KR20230145429A - 조절 기구와 지지 요소를 갖는 차량 서브어셈블리용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조절 기구와 지지 요소를 갖는 차량 서브어셈블리용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429A
KR20230145429A KR1020237031276A KR20237031276A KR20230145429A KR 20230145429 A KR20230145429 A KR 20230145429A KR 1020237031276 A KR1020237031276 A KR 1020237031276A KR 20237031276 A KR20237031276 A KR 20237031276A KR 20230145429 A KR20230145429 A KR 20230145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instrument housing
support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1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르게이 코스틴
울프 하트만
마티아스 쉬스
압델라흐만 이브라힘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23014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42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20Measures for elimination or compensation of play or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53Screws in parallel arrangement driven simultaneously with an output member moved by the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16H2025/2084Perpendicular arrangement of drive motor to screw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서브어셈블리(1)용 조절 장치(2)는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21); 길이 방향(X)을 따라 변위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21) 상에서 안내되며 차량 서브어셈블리(21)에 할당되는 조절 어셈블리(20); 가이드 레일(21) 상에 배치되는 스핀들(23); 스핀들(23)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조절 어셈블리(20)에 배치되며, 기구 하우징(224)을 포함하는 조절 기구(22) ― 이 조절 기구(22)는 조절 어셈블리(20)와 함께 길이 방향(X)을 따라 가이드 레일(21)에 대해 변위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음 ― ; 및 조절 어셈블리(20)에 배치되고, 가장자리(225)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개구(222, 22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 ― 스핀들(23)은 개구를 통해 연장됨 ―;를 포함한다. 기구 하우징(224)이 스핀들(23)과 함께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방향(Z)을 따르는 베어링 이동 거리(Z1)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는 기구 하우징(224)을 조절 어셈블리(20) 상에서 부유 방식으로 지지한다. 조절 장치(2)는 지지 요소(28, 28A, 28B, 28C)를 포함하고, 스핀들(23)이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방향(Z)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의 개구(222, 223)의 가장자리(225)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하도록 지지 요소는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방향(Z)을 따른 기구 하우징(224)의 베어링 이동 거리(Z1)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조절 기구와 지지 요소를 갖는 차량 서브어셈블리용 조절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 서브어셈블리용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절 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 길이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 상에서 안내되고 차량 서브어셈블리에 할당되는 조절 어셈블리, 가이드 레일 상에 배치되는 스핀들, 스핀들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조절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조절 기구, 및 조절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를 포함한다. 조절 기구는 기구 하우징을 가지며, 조절 어셈블리와 함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에 대해 변위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가장자리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개구를 가지며, 스핀들은 그 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이러한 차량 서브어셈블리는, 특히, 가이드 레일 상의 조절 어셈블리를 조절함으로써 예를 들어 차량 바닥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는 차량 시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에 대한 조절 어셈블리의 조절 이동은 스핀들 기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스핀들이 가이드 레일에 배치되고, 조절 기구 및 이 조절 기구와 함께 조절 어셈블리가 구동되어 가이드 레일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 기구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조절 기구는, 예를 들어, 기구 하우징 안에 둘러싸이는 스핀들 너트를 가지며, 이 스핀들 너트는 스핀들과 나사 결합되며, 그래서, 회전되면 스핀들 너트는 스핀들 상에서 구르게 되며 그리하여 스핀들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조절된다. 조절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 상에서 지지되어 기구 하우징을 통해 조절 어셈블리에 배치되며, 그래서, 조절 기구가 조절될 때, 조절 어셈블리는 조절 기구와 함께 이동되어 가이드 레일에 대해 변위된다.
이러한 유형의 조절 장치가 예를 들어 DE 10 2007 023 329 A1에 알려져 있다.
새로운 차량 시트 개념에서, 차량 내부에 있는 차량 서브어셈블리, 예컨대, 차량 시트 또는 콘솔 요소가 상대적으로 큰 조절 경로에 걸쳐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에서 큰 조절 이동 거리에 걸쳐 차량 시트를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조절 어셈블리를 안내하고 예를 들어 차량 바닥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은 길게, 예컨대, 1m 보다 길거나, 예를 들어 심지어 1.5m 보다 길도록 구성된다.
이는, 미래의 개념에서는, 가이드 레일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핀들은 또한 긴 거리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는 사실을 동반한다. 이로 인해, 스핀들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완전히 직선으로 연장되지 않고 예를 들어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특정 거리만큼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스핀들의 진직도 및 위치의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조절 장치의 정상 작동 동안, 스핀들이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의 개구의 경계를 정하는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러한 접촉은 시스템에서 마찰을 증가시키고 또한 소음을 동반할 수 있다. 접촉을 억제하기 위해, 개구를 확대할 수 있다. 그러나, 예외적인 상황에서, 특히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충돌 발생시에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스핀들은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서의 변형 발생시에 개구의 가장자리에 걸림의 결과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와 작동적으로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예컨대 기구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유지 브라켓으로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있는 개구가 그렇게 해서 확대되면, 충돌 발생시에 조절 장치의 감소된 강도가 동반된다. 이는 피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돌(collision-resistant) 설계를 가지며 저소음 개발로 유리한 조절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내부에 있는 차량 서브어셈블리를 위한, 특히, 차량 시트 또는 콘솔 요소를 위한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조절 장치에서, 기구 하우징이 스핀들과 함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르는 베어링 이동 거리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기구 하우징을 조절 어셈블리 상에서 부유 방식으로 지지한다. 본 조절 장치는 지지 요소를 포함하고, 스핀들이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의 개구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지지 요소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르는 기구 하우징의 베어링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구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 상에 부유 방식으로 장착되고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 수직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기구 하우징에 대한 축방향 지지를 생성하며, 그래서, 조절 기구가 구동될 때, 기구 하우징을 통한 힘의 도입으로 조절 어셈블리는 조절 기구와 함께 길이 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조절된다. 그러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기구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대해 움직일 수 있으며, 그래서 기구 하우징은, 예컨대 조절 기구의 공차 또는 스핀들의 형상 또는 배치의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대해 특히 보상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대한 기구 하우징의 이동 및 스핀들의 관련 이동으로 인해 정상 작동시에 스핀들이 개구의 경계를 정하는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르는 기구 하우징의 부유 베어링의 베어링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정상 작동시에 기구 하우징을 위한지지를 제공하는 지지 요소가 제공된다. 베어링 이동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기구 하우징은, 스핀들이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의 개구를 한정하는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대한 정도로만, 정상 작동시에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정상 작동시에 스핀들과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 사이의 접촉이 방지되며, 이로써, 조절 장치의 낮은 마찰의 그리고 음향학적으로 유리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베어링 이동 거리의 제한은 특히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일) 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구 하우징의 수직 하향 이동(즉, 차량의 수직 방향을 따른 이동)은 지지 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그래서 스핀들은 수직 방향 아래쪽으로 개구의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없다. 다른 방향으로는, 스핀들과 개구의 가장자리의 접촉은 다른 방식으로, 가능하게는 추가적인 지지 요소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접촉은 실제로 중력 방향으로만 일어날 수도 있고 그래서 다른 공간 방향으로는 방지될 필요가 없다.
지지 요소는 상이한 방식으로 기구 하우징의 베어링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는 기구 하우징을 조절 어셈블리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지지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또는 조절 어셈블리에, 예를 들어 조절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조절 레일의 레일 레그에 지지되는 결과로, 지지 요소는, 예를 들어, 조절 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가 유지 요소 또는 조절 레일의 한 레일 레그 또는 두 레일 레그에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 개구에 결합하고 따라서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유지 요소 및/또는 레일 레그에 대해 형상 끼워맞춤으로 고정된다는 점에서, 지지 요소는 형상 끼워맞춤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는 조절 어셈블리에, 예를 들어 조절 레일의 레일 레그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조절 기구의 기구 하우징에 대해 간극을 가지며, 그래서 조절 기구는 부유 방식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여기서 기구 하우징의 베어링 이동 거리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조절 어셈블리에 고정된 지지 요소에 의해 제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는 기구 하우징에 배치된다. 여기서 지지 요소는 기구 하우징의 하우징 부분과 일체형으로, 예를 들어,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요소는, 예를 들어, 하우징 부분과 함께 사출 성형된다. 지지 요소는 조절 어셈블리, 예를 들어 그 조절 어셈블리의 조절 레일의 레일 레그와 상호 작용한다는 점에서, 그 지지 요소는 조절 어셈블리에 대한 기구 하우징을 위한 지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지지 요소는 조절 어셈블리에 대해 간극을 가지며, 그래서 기구 하우징은 조절 어셈블리에 대해 부유 방식으로 장착되는데, 하지만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르는 기구 하우징의 베어링 이동 거리는 제한된다.
지지 요소는, 예를 들어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탄력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는 와이어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랫칭될 클립 요소 또는 플라스틱 몰딩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는 조절 어셈블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지지 요소는 조절 기구를 조절 어셈블리에 대해 지지하기 위해 조절 기구의 장착 후에 조절 어셈블리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 요소는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조절 기구를 분해시킴으로써 다시 제거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는 기구 하우징을 안내 레일에 대해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지지 요소는, 예를 들어, 기구 하우징에 예컨대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지지 요소가 기구 하우징을 가이드 레일 상에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 요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기구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요소는, 예를 들어, 러그, 리브 또는 심지어 롤링식으로 장착되는 롤러의 형태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기구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다.
대안적으로, 가이드 레일 상에, 예를 들어 그 가이드 레일의 기부 상에 지지 요소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지지 요소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부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기구 하우징을 갖는 조절 기구가 지지를 위해 그 돌출부 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정 설계에 관계없이, 지지 요소는 정상 작동 중에 가이드 레일에 대한 조절 어셈블리의 전체 조절 범위에 걸쳐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는 조절 경로의 일부분에 걸쳐서만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요소의 지지 효과는 또한 공차, 중력의 효과 또는 마모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구 하우징이 부유 베어링의 범위 내에서 조절될 때, 예컨대, 기존의 공차로 인해 스핀들이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의 개구의 가장자리에 (허용 불가능하게) 접근하는 경우에만 지지 요소가 지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하지만 정상 작동 중에 (과도한) 접근이 없으면 지지 효과를 갖지 않고 그래서 또한 마찰에 기여하지 않는다.
한 실시예에서, 조절 어셈블리는, 기부와 이 기부에 배치되는 2개의 레일 레그를 갖는 조절 레일로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 어셈블리는 가이드 레일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는 레일로서 구성되며, 이 레일 상에 예컨대 차량 시트 또는 콘솔 요소 형태의 차량 서브어셈블리가 고정된다. 이 경우, 조절 기구는 기구 하우징과 함께 레일 레그들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를 통해 조절 레일에 대해 지지될 수 있으며, 그래서 조절 기구가 구동될 때, 조절 레일은 조절 기구와 함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핀들에 대해 또한 그래서 가이드 레일에 대해 이동된다.
한 실시예에서, 여기서 지지 요소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레일 레그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에 형상 끼워맞춤으로 고정되어, 레일 레그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조절 레일에 고정된다. 조절 레일에 고정된 지지 요소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르는 베어링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기구 하우징을 위한 지지를 생성하며, 그래서 기구 하우징은 실제로 조절 레일에 대해 부유 방식으로 장착되지만,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르는 기구 하우징의 베어링 이동 거리는 제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는 기구 하우징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르는 베어링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레일 레그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일 레그 상에서의 기구 하우징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기구 하우징은 조절 레일 상에 부유 방식으로 지지되며, 길이 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르는 기구 하우징의 베어링 이동 거리는, 기구 하우징에 배치된 지지 요소와 조절 레일의 레일 레그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일 레그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는 기구 하우징의 하우징 부분에 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요소는, 예를 들어, 레일 레그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지지 개구에 결합하는 결합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결합 돌출부는 지지 개구에 유격을 가지고 위치되며, 그래서 기구 하우징이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조절 레일의 레일 레그 사이에서 부유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지만, 기구 하우징의 베어링 이동 거리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결합 돌출부가 레일 레그에 있는 할당된 지지 개구에 결합함으로써 제한된다.
지지 요소는 기구 하우징의 한 측에 일방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는 각각 레일 레그 중 하나와 대향하면서 기구 하우징의 상호 대향 측들에 배치된다. 따라서 지지 요소는 조절 레일의 양쪽 레일 레그에 대해 기구 하우징의 양측에서 지지를 제공하며, 각 지지 요소는, 예를 들어, 할당된 레일 레그에 있는 할당된 지지 개구에 결합하는 결합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돌출부는 할당된 지지 개구에 유격을 가지고 결합하며, 그래서 기구 하우징은 레일 레그 사이에 부유 방식으로 장착되지만,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르는 베어링 이동 거리는 제한된다.
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레일 레그 사이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조절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이 목적을 위해, 레일 레그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그래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조절 어셈블리에 대해 길이 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조절 기구를 지지한다.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 방향을 따라 기구 하우징이 부유 베어링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대해 움직일 수 있음)은, 이 경우에, 차량의 수평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중력 방향에 대응하는 특히 차량 수직 방향에 대응하여, 기부에 수직으로 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길이 방향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평판 부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판 부분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유지 요소가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유지 요소 사이에 기구 하우징이 수용되며, 그래서 기구 하우징은 조절 어셈블리에 대해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서 유지 요소를 통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따라서 길이 방향을 따르는 조절 기구의 이동이 가이드 레일을 따르는 이동을 위한 조절 어셈블리의 구동을 일으키게 된다.
예컨대, 유지 요소가 이미 조절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있으면 기구 하우징이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장착될 수 있도록,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조절 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조절 어셈블리에 대해 길이 방향을 따라 기구 하우징을 축방향으로 지지하지만, 예를 들어,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는 지지하지 않는다. 이로써, 기구 하우징의 쉬운 조립이 가능하게 되며, 작동시에 (추가적인) 지지 요소를 통해 지지가 생성되며, 이 지지 요소는 정상 작동 중에 스핀들이 유지 요소에 있는 개구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개념은 도면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조절 장치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차량 시트 형태의 차량 서브어셈블리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차량 서브어셈블리의 길이 방향 조절을 위한 2개의 가이드 레일 쌍을 포함하는 조절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관련된 가이드 레일 상의 조절 어셈블리의 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배치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도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6은 기구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요소를 갖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지지 요소의 별도의 도를 나타낸다.
도 9는 기구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요소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조절 레일의 레일 레그들 사이에 배치된 지지 요소를 갖는 조절 기구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를 나타낸다.
도 11a-11c는 기구 하우징에 배치된 지지 요소를 갖는 조절 기구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를 나타낸다.
도 12a, 12b는 조절 레일에 장착된 위치에 있는 조절 기구의 도를 나타낸다.
도 13a, 13b는 조절 레일의 레일 레그들 사이의 횡방향 이동 동안 조절 기구의 전달 하우징의 하우징 부분의 도를 나타낸다.
도 14a, 14b는 조절 레일의 레일 레그에 있는 할당된 지지 개구와 결합하는 지지 요소의 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지지 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지지 요소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은 시트부(10)와 등받이부(11)를 가지며 시트부(10)에서 경사가 조절될 수 있는, 차량 시트(1) 형태의 차량 서브어셈블리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차량 시트(1) 형태의 차량 서브어셈블리는, 길이 방향(X)을 따른 차량 시트(1)의 길이 방향 조절을 위한 조절 장치(2)에 높이 조절 장치(12)를 통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차량 시트(1)는 높이 조절 장치(12)의 소위 로커(rocker)의 형태로 되어 있는 운동학적 부분(120)을 통해 2개의 가이드 레일 쌍에 연결되며 그리하여 길이 방향(X)을 따라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 2에 따른 개략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조절 장치(2)는 2개의 가이드 레일 쌍을 가지며, 이들 가이드 레일 쌍 각각은 상측 조절 레일(20)과 하측 가이드 레일(21)로 형성된다. 조절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조절 레일(20)은, 조절 레일(20)을 길이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차량 시트(1)가 길이 방향(X)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장치(12)를 통해 차량 시트(1)에 연결된다. 하측 가이드 레일(21)은, 예컨대, 바닥 어셈블리(3), 예컨대, 차량 바닥에 고정되며, 그래서 차량 시트(1)는 하측 가이드 레일(21)을 통해 바닥 어셈블리(3)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 쌍의 가이드 레일에는, 스핀들(23)에 배치되는 스핀들 너트(24)를 갖는 조절 기구(22)가 할당되어 있으며, 스핀들 너트(24)는 스핀들(23)과 나사 결합하며, 회전될 때 스핀들(23) 상에서 구르게 되며, 그래서 스핀들 너트(24)는 길이 방향(X)을 따라 스핀들(23)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컨대, 구동 웜의 형태로 되어 있는 구동 요소(25)가 스핀들 너트(24)와 치부 결합하며, 그래서 조절력이 할당된 구동 축(26) 및 구동 모터(27)를 통해 각 스핀들 너트(24)에 도입될 수 있고 따라서 가이드 레일 쌍의 조절 기구(22)가 구동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쌍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3에 나타나 있다.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 내부에서 비교적 큰 조절 범위에 걸쳐 차량 시트(1)를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하측 가이드 레일(21)은 비교적 길며, 예를 들어 1m 보다 길며, 예를 들어 1.5m 보다 길다. 조절 레일(20)은 가이드 레일(21) 상에서 길이 방향(X)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며, 이를 위해, 기부(200)에 배치되는 조절 레일(20)의 레일 레그(201, 202)가 기부(210)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1)의 레그(211, 212) 사이에 수용된다.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핀들(23)은 소위 스핀들 유지 브라켓 형태의 체결 요소(230, 231)를 통해 가이드 레일(21)의 기부(21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조절 기구(22)의 구동에 의해 조절 레일(20)이 가이드 레일(21)에 대해 길이 방향(X)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조절 레일(20)과 관련된 조절 기구가 고정 스핀들(23)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종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조절 기구(22)는, 조절 레일(2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유지 요소(220, 221) 사이에 수용되는 기구 하우징(224)을 갖는다. 조절 기구(22)가 구동되고 이에 의해 스핀들(23) 상에서의 조절 기구(22)의 길이 방향 이동이 이루어질 때, 조절 레일(20)이 조절 기구(22)와 함께 길이 방향(X)을 따라 이동되어 차량 시트(1)의 길이 방향 조절을 위해 조절되도록, 유지 요소(220, 221)는 조절 레일(20)에 대한 조절 기구(22)에 대한 축방향 지지를 제공한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종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있듯이, 스핀들(23)은 판형 유지 요소(220, 221)의 개구(222, 223)를 통해 연장되고, 유지 요소(220, 221) 사이에서 조절 기구(22)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가이드 레일(21)의 긴 설계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큰 조절 범위에 걸쳐 차량 시트(1)의 조절을 허용하기 위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핀들(23)도 상대적으로 길다. 결과적으로, 스핀들(23)의 위치 지정 또는 진직도의 공차로 인해 또는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스핀들(23)의 위치는 유지 요소(220, 221)에 대한 조절 이동 중에 변할 수 있으며, 그래서, 스핀들(23)에 대해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핀들(23)은, 필요한 경우, 개구(222, 223)의 경계를 정하는 유지 요소(220, 221)의 가장자리에 접근할 수 있다. 스핀들(23)이 작동 중에 유지 요소(220)와 접촉하게 되면, 이로 인해 원하지 않는 마찰 및 소음 발생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유지 요소(220, 221)의 개구(222, 223)를 확대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충돌 발생시에, 예컨대 유지 요소(220, 221)의 변형을 초래하는 큰 충돌력으로 인해 스핀들(23)이 유지 요소(220, 221)와 결합되어 이렇게 해서 추가적인 충돌 지지를 생성하고 그래서 충돌 발생시에 차량 시트(1)의 제어되지 않은 조절을 방지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개구(222, 223)는 너무 커서는 안 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지 요소(220, 221)는 판형 요소로 구성되며, 이 판형 요소는 길이 방향(X)을 따라 축방향으로 조절 기구(22)의 기구 하우징(224)을 지지하지만 동시에 특히 수직 방향(Z)을 따라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부유 방식으로 기구 하우징(224)을 지지하며, 그래서 기구 하우징(224)은 수직 방향(Z)을 따라 유지 요소(220. 221)에 대해 특정 베어링 이동 거리 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는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조절 기구(22)의 보상 이동을 허용하지만, 동시에 유지 요소(220, 221)의 개구(222, 223)의 가장자리 쪽으로의 스핀들(23)의 접근에 유리하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8에서 별도의 도로 나타나 있는 스프링 요소 형태의 추가 지지 요소(28)가, 이러한 이유로, 유지 요소(220, 221)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Z)을 따른 기구 하우징(224)의 베어링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요소(28)는 가이드 레일(21)의 기부(210)와 대향하는 기구 하우징(224)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기구 하우징(224)을 아래쪽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스핀들(23)에서의 공차 또는 중력 유도 편향(스핀들(23)의 처짐의 형태임)이, 스핀들(23)이 가장자리(225)와 접촉하도록 스핀들(23)이 개구(222, 223)의 가장자리(225)에 접근하게 할 수 없다.
특히, 스핀들(23)이 수직 방향(Z)을 따라 유지 요소(220, 221)의 개구(222, 223)의 가장자리(225)에 접촉할 수 있기 전에 기구 하우징(224)이 정상 작동 중에 지지 요소(28)와 접촉하게 기구 하우징(224)의 베어링 이동 거리(Z1)가 제한되도록, 지지 요소(28)는 유지 요소(220, 221) 사이에 배치된다.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요소(220, 221)는 판형이고 조절 레일(20)의 레그(202)에 있는 수용 개구(203, 204)에 형상 끼워맞춤으로 지지된다. 추가로, 유지 요소(220, 221)는, 예를 들어, 용접 연결에 의해 기부(200)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 와이어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요소로서 구성되는 지지 요소(28)는, 수직 방향(Z)에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되고 조절 레일(20)의 레그(201, 202)의 내측면에 있는 슬롯 개구(205)에 레그(280, 281)를 통해 수용되며, 그래서 지지 요소(28)는 조절 레일(20)의 레일 레그(201, 202) 사이에 고정된다. 지지 요소(28)는 또한 접촉점의 형태로 되어 있는 접촉 부분(282)을 통해 또한 이 접촉 부분(28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있는 레그(280, 281)의 단부를 통해 유지 요소(220, 221)에 지지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구 하우징(224)은 유지 요소(220, 221)에 대해 그리고 그에 따라 조절 레일(20)에 대해 지지된다.
이 경우, 조절 기구(22)는, 조절 레일(20)에 이미 배치된 유지 요소(220, 221) 사이에 장착되기 위해 아래로부터 삽입될 수 있으며, 지지 요소(28)는 조절 기구(22)의 삽입 후에 장착된다.
지지 요소(28)는, 그의 탄성적인 설계로 인해, 또한 다시 해제될 수 있어, 필요한 경우 조절 기구(22)가 분해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비교하여, 지지 요소(28)는 기구 하우징(224)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기구 하우징(224)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지지 요소(28)는 러그(lug) 또는 리브(rib)의 형태로 기구 하우징(224)으로부터 수직 방향(Z)을 따라 돌출되고, 기구 하우징(224)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이드 레일(21)의 기부(210)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지지 요소(28)는 기부(210) 상의 기구 하우징(224)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며, 따라서, 기구 하우징(224) 및 이에 따라 기구 하우징(224) 내에 둘러싸이는 스핀들 너트(24)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스핀들(23)이 가이드 레일(21)의 기부(210) 쪽으로 과도하게 접근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또한 정상 작동 중에 스핀들(23)이 유지 요소(220, 221)의 개구(222, 223)의 가장자리(225)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 요소(28)의 설계와는 별도로, 도 9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기능적으로 동일하며, 그래서 이전 설명도 참조해야 한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28)는 조절 레일(20)의 레일 레그(201, 202)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지지 요소(28)는 (도 10에서 아래쪽에서 수직 방향(Z)을 따라 조절 레일(20) 안으로 볼 때) 수직 방향(Z)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기본 형태를 가지며 기부 부분(283)을 가지며, 이 기부 부분은 (수직 방향(Z)을 따라 볼 때) 조절 기구(22)의 기구 하우징(224) 아래에 배치되어 수직 방향(Z)을 따라 아래쪽으로 기구 하우징(224)을 위한 지지를 제공한다. 지지 요소(28)는 조절 레일(20)의 레일 레그(201, 202) 사이에 배치되고, 이를 위해, 결합돌출부(284A, 284B, 285A, 285B)로, 레일 레그(201, 202)에 있는 할당된 지지 개구(205)에 결합한다. 기구 하우징(224)은, 레일 레그(201, 202) 사이에 생성되고 수직 방향(Z)을 따라 한편으로 조절 레일(20)의 기부(200)와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요소(28)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에서 유격(play)을 가지며, 그래서 조절 기구(22)는 조절 레일(20) 내에 부유 방식으로 장착되지만, 기구 하우징(224)의 베어링 이동 거리는 수직 방향(Z)을 따라 지지 요소(28)에 의해 제한된다.
지지 요소(28)의 설계와는 별개로, 도 10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기능적으로 동일하며, 그래서 위의 설명도 참조해야 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지지 요소(28A, 28B, 28C)가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 부분(226-229)에 의해 생성된 기구 하우징(224)을 포함하는 조절 기구(22)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하우징 부분(226, 227)은 수직 방향(Z)을 따라 서로에 대해 배치되는 하우징 절반부들을 구현하며, 이들 하우징 절반부들 사이에는 스핀들 너트(24)가 둘러싸여 있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하우징 부분(226, 227)의 전방측에는, 이들 하우징 부분(226, 227)을 서로에 연결하는 하우징 플레이트 형태의 하우징 부분(228, 229)이 배치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28A, 28B, 28C)는 하우징 부분(226)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탭(tab) 형태로 하우징 부분(226)으로부터 돌출한다. 여기서 지지 요소(28A, 28B, 28C)는 스냅 작용 훅크로 구성되고 하우징 부분(226)과 함께 사출 성형된다.
각각의 지지 요소(28A, 28B, 28C)는 기구 하우징(224)으로부터 연장되는 자유 단부(286)를 갖는다. 이 자유 단부(286)의 영역에서, 각 경우에 결합 돌출부(287)가 형성되어 있고, 도 12a 및 도 1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결합 돌출부는 지지를 위해 조절 레일(20)의 할당된 레일 레그(201, 202)에 있는 할당된 지지 개구(205)에 결합한다.
지지 요소(28A, 28B, 28C) 각각은 단부(28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측에서 결합 돌출부(287)에 있는 런-온 베벨(run-on bevel)(288)을 갖는다. 지지 요소(28A, 28B, 28C)의 런-온 베벨(288)은, 조절 기구(22)가 조절 레일(20)의 레일 레그(201, 202) 사이의 아래로부터 수직 방향(Z)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해주고, 결합 돌출부(287)는 레일 레그(201, 202)에 있는 할당된 지지 개구(205)와 스냅 결합한다.
도 12a, 12b 및 14a, 14b에 나타나 있는 조립 위치에서, 지지 요소(28A, 28B, 28C)는, 할당된 지지 개구(205)에서 유격을 가지고 결합 돌출부(287)와 결합한다. 따라서 조절 기구(22)는 그의 기구 하우징(224)과 함께 레일 레그(201, 202) 사이에 수직 방향(Z)을 따라 부유 방식으로 장착되며, 수직 방향(Z)을 따른 베어링 이동 거리는, 지지 요소(28A, 28B, 28C)의 결합 돌출부(287)가 할당된 지지 개구(205)에 유격을 가지고 결합함으로써 제한된다.
베어링 이동 거리의 제한은, 특히, 스핀들 너트(24)(도 1-6 참조)와 나사 결합되는 스핀들(23)이 유지 요소(220, 221)의 개구(222, 223)의 경계를 정하는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없지만 접촉이 이루어지기 전에 수직 방향(Z)을 따라 지지가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 13a, 1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구 하우징(224)은 레일 레그(201, 202) 사이에서 수직 방향(Z)에 대해 횡으로 또한 길이 방향(X)에 대해 횡으로 향하는 횡방향(Y)을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 요소(28A, 28B, 28C)는, 하우징 부분(226)에 의해 도 13a, 13b에 도시되어 있는, 기구 하우징(224)의 횡방향 이동시에도, 지지 요소(28A, 28B, 28C)가 기구 하우징(24) 안에 둘러싸인 스핀들 너트(24)와 상호 작용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28A, 28B, 28C)는 하우징 부분(226)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도 13a, 1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서 횡방향(Y)을 따라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그러나, 수직 방향(Z)을 따라, 지지 요소(28A, 28B, 28C)는 여기서 굴곡 강성적이며, 그래서, 조절 레일(20)의 레일 레그(201, 202)에 대한 기구 하우징(224)의 지지가 지지 요소(28A, 28B, 28C)를 통해 생성되어 수직 방향(Z)을 따른 베어링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정상(normal) 위치에서(예를 들어, 제어 하중을 초과하지 않는 하중 하에서), 지지 요소(28A, 28B, 28C)는, 그의 결합 돌출부(287)로, 레일 레그(201, 202)에 있는 지지 개구(205)의 경계를 정하는 가장자리와 바람직하게 접촉하지 않으며, 따라서, 조절 기구(22)의 강제 위치는 정상 위치에서 억제되고, 정상 사용시에 조절 기구(22)는 그의 베어링 유격의 범위 내에서 조절 레일(20) 상에서 부유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지지 요소(28A, 28B, 28C)의 결합 돌출부(287)는,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Z)으로만 하향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 돌출부(287)는 수직 방향(Z)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하향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 접촉면은 지지를 위해 각각의 관련된 지지 개구(205)의 하측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향 지지는 생성되지 않는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 돌출부(287)는 또한 상향 지지 및 하향 지지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 돌출부(287) 각각은, 할당된 지지 개구(205)의 하측 가장자리와의 상호 작용을 지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Z)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향 접촉면 및 할당된 지지 개구(205)의 상측 가장자리 상에서의 지지를 위해 수직 방향(Z)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향 접촉면 을 가질 수 있다.
도 14a, 14b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지 요소(28A, 28B, 28C)의 결합 돌출부(287)는 또한 길이 방향(X)을 따라 할당된 지지 구멍(205)에 유격을 가지고 결합한다. 길이 방향(X)을 따라, 기구 하우징(224)의 축방향 지지는 유지 요소(220, 221)를 통해(서만) 제공된다.
도 10 내지 도 16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28A, 28B, 28C)는 기구 하우징(224)에 있는 스냅 작용 훅크 형태의 탭으로서 성형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 요소(28A, 28B, 28C)는, 예를 들어, 삽입, 베이요넷(bayonet) 연결 또는 다른 형상 끼워맞춤 연결에 의해 기구 하우징(224)에 연결되는 별도의 요소일 수 있는 핀으로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아이디어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
조절 장치를 통해 조절될 차량 서브어셈블리는, 차량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조절되는 차량 시트 또는 예를 들어 콘솔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서브어셈블리는 가이드 레일 및 관련된 조절 어셈블리를 통해 또는 각기 가이드 레일 및 관련된 조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쌍을 통해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1 차량 서브어셈블리(차량 시트)
10 시트부
11 등받이부
12 높이 조절 장치
120 운동학적 부분
2 길이 방향 조절 장치
20 조절 어셈블리(조절 레일)
200 기부
201, 202 레일 레그
203, 204 수용 개구
205 지지 개구
21 가이드 레일
210 기부
211, 212 유지 요소
22 조절 기구
220, 221 유지요소
222, 223 개구
224 기구 하우징
225 가장자리
226-229 하우징 부분
23 스핀들
230, 231 체결 요소
24 스핀들 너트
25 구동 요소(구동 스크류)
26 구동축
27 구동 모터
28 지지 요소
28A, B, C 지지 요소
280, 281 레그
282 접촉 부분
283 기부 부분
284A, B 결합 돌출부
285A, B 결합 돌출부
286 단부
287 돌출부
288 런-온 베벨
3 바닥 어셈블리
X 길이 방향
Y 횡방향
Z 수직 방향
Z1 베어링 이동 거리

Claims (22)

  1. 차량 서브어셈블리(1)용 조절 장치(2)로서,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21);
    길이 방향(X)을 따라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21) 상에서 안내되며 상기 차량 서브어셈블리(21)에 할당되는 조절 어셈블리(20);
    상기 가이드 레일(21) 상에 배치되는 스핀들(23);
    상기 스핀들(23)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조절 어셈블리(20)에 배치되며, 기구 하우징(224)을 포함하는 조절 기구(22) ― 이 조절 기구(22)는 상기 조절 어셈블리(20)와 함께 상기 길이 방향(X)을 따라 가이드 레일(21)에 대해 변위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음 ― ; 및
    상기 조절 어셈블리(20)에 배치되고, 가장자리(225)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개구(222, 22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 ― 상기 스핀들(23)은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됨 ―;
    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 하우징(224)이 스핀들(23)과 함께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방향(Z)을 따르는 베어링 이동 거리(Z1)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는 기구 하우징(224)을 조절 어셈블리(20) 상에서 부유 방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조절 장치(2)는 지지 요소(28, 28A, 28B, 28C)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23)이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방향(Z)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의 개구(222, 223)의 가장자리(225)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 요소는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방향(Z)을 따른 기구 하우징(224)의 베어링 이동 거리(Z1)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절 장치(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조절 어셈블리(20)에 대해 상기 기구 하우징(224)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절 장치(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조절 어셈블리(20)에 배치되는, 조절 장치(2).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 에 지지되는, 조절 장치(2).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상기 기구 하우징(224)에 배치되는, 조절 장치(2).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상기 기구 하우징(224)의 하우징 부분(226-229)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절 장치(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상기 하우징 부분(226-229)으로부터 연장되는 탭(tab)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조절 장치(2).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조절 장치(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상기 조절 어셈블리(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조절 장치(2).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기구 하우징(224)을 상기 가이드 레일(21)에 대해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절 장치(2).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상기 기구 하우징(224)에 배치되는, 조절 정치(2).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상기 기구 하우징(224)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조절 장치(2).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상기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방향(Z)을 따라 상기 기구 하우징(224)으로부터 돌출되는, 조절 장치(2).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어셈블리(20)는, 기부(200)와 이 기부(200)에 배치되는 2개의 레일 레그(201, 202)를 포함하는 조절 레일로 형성되어 있는, 조절 장치(2).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상기 레일 레그(201, 202)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방향(Z)을 따르는 베어링 이동 거리(Z1)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기구 하우징(224)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절 장치(2).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상기 기구 하우징(224)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방향(Z)을 따르는 베어링 이동 거리(Z1)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레일 레그(201, 202)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일 레그 상에서의 상기 기구 하우징(224)의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절 장치(2).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28, 28A, 28B, 28C)는, 결합 돌출부(287)로, 상기 레일 레그(201, 202)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있는 지지 개구(205)에 결합하는, 조절 장치(2).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는 상기 레일 레그(201, 202) 사이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조절 장치(2).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방향(Z)은 상기 기부(200)에 수직으로 향하는, 조절 장치(2).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는 상기 길이 방향(X)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평판 부분을 형성하는, 조절 장치(2).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는 상기 길이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유지 요소(220, 221)를 포함하고, 이들 유지 요소 사이에 상기 기구 하우징(224)이 수용되는, 조절 장치(2).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가 이미 상기 조절 어셈블리(20)에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기구 하우징(224)은 길이 방향(X)에 수직인 방향(Z)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220, 221)에 장착될 수 있는, 조절 장치(2).
KR1020237031276A 2021-02-18 2022-01-11 조절 기구와 지지 요소를 갖는 차량 서브어셈블리용 조절 장치 KR202301454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201566.2A DE102021201566A1 (de) 2021-02-18 2021-02-18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baugruppe mit einem Verstellgetriebe und einem Stützelement
DE102021201566.2 2021-02-18
PCT/EP2022/050421 WO2022174989A1 (de) 2021-02-18 2022-01-11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baugruppe mit einem verstellgetriebe und einem stütz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429A true KR20230145429A (ko) 2023-10-17

Family

ID=7973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276A KR20230145429A (ko) 2021-02-18 2022-01-11 조절 기구와 지지 요소를 갖는 차량 서브어셈블리용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227632A9 (ko)
EP (1) EP4294668A1 (ko)
KR (1) KR20230145429A (ko)
CN (1) CN117015485A (ko)
DE (1) DE102021201566A1 (ko)
WO (1) WO20221749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7148B1 (fr) 2002-03-18 2004-07-02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reglage pour glissie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ainsi que glissiere et siege equipes d'un tel mecanisme
FR2882974B1 (fr) * 2005-03-14 2008-11-07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reglage a vis, glissier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de reglage et sieg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DE102007023329A1 (de) 2007-05-16 2008-11-20 Ims Gear Gmbh Getriebe für eine Verstelleinrichtung, insbesondere eine Kfz-Verstelleinrichtung, mit Spielausgleich
JP5397236B2 (ja) 2010-01-18 2014-01-22 Smc株式会社 送りねじ機構
JP5662056B2 (ja) * 2010-05-24 2015-01-2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パワースライド装置
DE102011108982A1 (de) 2011-08-01 2013-02-07 Roschiwal + Partner Ingenieur Gmbh Schlit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227632A9 (en) 2024-07-11
US20240131965A1 (en) 2024-04-25
DE102021201566A1 (de) 2022-08-18
CN117015485A (zh) 2023-11-07
WO2022174989A1 (de) 2022-08-25
EP4294668A1 (de)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850B1 (ko) 자동차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KR101769342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JP5970481B2 (ja) 車輌の座席のシート長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及びこのような装置を備えた座席
JP2008500921A (ja) 調整可能なアームレスト
AU2013265155B2 (en) Damping unit for a lift
KR101866306B1 (ko) 자동차의 콘솔 높이 조절 장치
JP5351979B2 (ja) キャリッジ部材を備えたサンルーフ
JP2017190598A (ja) 車両用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2013538749A (ja) 自動車シート用長手方向調整装置
KR20120094139A (ko) 시트 트랙 시스템
KR20230145429A (ko) 조절 기구와 지지 요소를 갖는 차량 서브어셈블리용 조절 장치
EP3895934B1 (en) Seat elevating device
CN113286716B (zh) 用于机动车的车顶***的可运动的车顶部件的驱动***
CN208559200U (zh) 一种汽车扶手箱滑轨总成结构
KR101845843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975375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CN112977214B (zh) 一种汽车座椅
JP6710541B2 (ja) 引戸の上部ガイド装置
JP2023525453A (ja) 車両シート用の前後方向調節装置
KR101260842B1 (ko) 진동감쇄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타입 암레스트 모듈
KR102676586B1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20190048404A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JP7400381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20230144772A (ko) 더스트 커버의 교체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롱슬라이드 레일 시스템
JP7413733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