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391B1 - 무 껍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무 껍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391B1
KR101832391B1 KR1020160046435A KR20160046435A KR101832391B1 KR 101832391 B1 KR101832391 B1 KR 101832391B1 KR 1020160046435 A KR1020160046435 A KR 1020160046435A KR 20160046435 A KR20160046435 A KR 20160046435A KR 101832391 B1 KR101832391 B1 KR 10183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inger
disposed
radish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525A (ko
Inventor
조인남
Original Assignee
조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남 filed Critical 조인남
Priority to KR102016004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39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의 전체 껍질을 균일하게 완벽하게 박피하도록 엇갈려 다수 형성된 칼날 모듈이 부착된 칼날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핑거 실린더 및 실린더의 각 피스톤이 연동하여 무를 박피부 내부로 진입시켜서,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서, 연동된 실린더의 피스톤 작동에 의해 많은 양의 무의 껍질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벗길 수 있으며, 무의 크기에 따라 칼날의 박피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무의 크기에 상관없이 무의 껍질을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박피할 수 있고, 칼날의 박피 각도가 탄성 부재에 의해서 구근류의 크기에 따라 조절되므로, 무 이외의 구근류의 박피 공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 껍질 제거장치{Device for Peeling White Radish}
본 발명은 구근류의 껍질을 벗기는 박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의 껍질을 벗겨서 식자재로 즉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무 껍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뿌리를 가진 구근류 식물로, 무, 감자, 당근, 고구마 등이 있다. 특히, 무(Radish)는 배추과의 식용이 가능한 뿌리채소로서, 식자재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또한, 대형 식당, 김치 공장 또는 무를 활용한 식품 가공 공장에서는 신선하고 위생적으로 손질된 다량의 무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구근류 박피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구근류 박피 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4068호 (2012.03.14) '무 등 구근류 자동 박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수직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무의 외면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는 원형 칼날을 접촉시켜 무 껍질을 자동으로 벗기는 무 자동 박피 장치를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 회전축 수단에 무를 수직으로 세운 후, 클램핑 수단으로 무의 상단을 고정하며, 상하로 이동하는 칼날 수단에 의해 무 껍질을 벗기며, 배출 수단에 의해 껍질을 배출하고, 취출 수단에 의해서 회전축 수단으로부터 무를 분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선행기술은 무를 박피 공정에 투입하고 배출하는데 하나의 회전축 수단에는 하나의 무만을 박피할 수 있으므로 여전히 많은 양의 무를 신속하게 박피할 수 없고, 박피하는 무 껍질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서 수작업에 의해 스토퍼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크기가 제 각각인 무의 껍질을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박피할 수가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4068호 (2012.03.14)
본 발명은 다량의 무를 신속하고 연속적으로 박피하여 무 박피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무 크기와 상관없이 무의 껍질을 균일하게 박피할 수 있는 무 껍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 껍질 제거장치는 박피할 무가 안착될 수 있는 핑거 척, 상기 핑거 척의 전단에 배치되고 안착된 상기 무를 길이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실린더 및 상기 핑거 척의 후단에 배치되고 전진하는 상기 무를 박피하는 박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피부는 무의 껍질과 접촉하여 박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칼날 모듈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칼날 프레임이 상기 무의 전진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핑거 척은,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 및 상기 한 쌍의 핑거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한 쌍의 핑거 피스톤을 포함하는 핑거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무는 상기 핑거 상부에 얹혀지고, 상기 핑거 피스톤에 의해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가 벌어져 무가 내부로 낙하하여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칼날 모듈은, 무를 박피하는 칼날, 상기 칼날을 지지하는 칼날 회전판, 상기 칼날 회전판과 힌지 결합하는 칼날 고정판, 상기 칼날 고정판을 상기 칼날 프레임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판 및 상기 칼날 고정판과 상기 프레임 고정판 사이에 형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 회전판에는 칼날이 상하단으로 복수 고정 배치되고, 상기 칼날 고정판과 힌지 결합하는 상기 칼날 회전판은 일정 각도로 회전하며, 상기 칼날 고정판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일정 각도로 탄성 회전하여, 상기 박피부 내부로 진입하는 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칼날 회전판의 칼날의 박피 각도를 조절하여 무를 박피할 수 있다.
상기 칼날 프레임의 내측에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상기 칼날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칼날 프레임은 상기 무의 전진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며, 이웃한 상기 칼날 프레임의 상기 칼날 모듈은 11.25° 각도로 상호 순차적으로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핑거가 벌어져 상기 핑거 척 내부로 무가 안착되면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은 상기 박피부 전단을 향해 상기 무를 전진시키고, 상기 박피부의 후단에 무가 도달하면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은 후퇴하며, 연동하여, 상기 핑거 실린더의 핑거 피스톤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핑거가 좁혀질 수 있다.
상기 박피부는, 내부에 상기 칼날 프레임이 배치되고 입구와 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배치된 입구 고무판 및 상기 하우징의 출구에 배치된 출구 고무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구 고무판 및 상기 출구 고무판은 무의 진입 또는 후퇴 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복수 절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하단에 배치되어 있고 박피된 무의 껍질이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호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 실린더 및 실린더의 각 피스톤이 연동하여 무를 박피부 내부로 진입시켜서,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서, 각 피스톤의 1회의 왕복 운동만으로도 1회의 박피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반복된 피스톤 작동에 의해 많은 양의 무의 껍질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벗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무의 크기에 따라 칼날의 박피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무의 크기에 상관없이 무의 껍질을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박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칼날의 박피 각도가 탄성 부재에 의해서 구근류의 크기에 따라 조절되므로, 무 이외의 구근류의 박피 공정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 껍질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도 1의 무 껍질 제거장치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 껍질 제거장치의 핑거 척, 실린더 및 박피부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핑거 척의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박피부의 칼날 모듈 및 칼날 프레임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칼날 모듈의 접힘 동작을 예시하는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 껍질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a 내지 2c는 도 1의 무 껍질 제거장치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무 껍질 제거장치의 핑거 척, 실린더 및 박피부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핑거 척의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박피부의 칼날 모듈 및 칼날 프레임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칼날 모듈의 접힘 동작을 예시하는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 껍질 제거장치는, 무가 안착되는 핑거 척(110)과, 안착된 무를 전진시키는 실린더(120)와, 전진하는 무를 박피하는 박피부(130)와, 박피된 껍질을 수납하는 호퍼(140)와, 전술한 구성 요소가 각각 고정 배치되는 선반 프레임(170)을 전체적인 구성으로 하여서, 무의 껍질을 신속하며 연속적이고 균일하게 벗길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중심으로 무 껍질 제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핑거 척(finger chuck)(110)은,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111,112)로 구성되며, 무(미도시)가 핑거(111,112) 상부에 얹혀지고,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111,112)가 무의 폭(크기, 두께)만큼 벌어져 무가 내부로 낙하하여 안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핑거 척(110)의 핑거(111,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소정 폭만큼 이격되어 마주보는 핑거(111,112)의 상단에 무가 얹혀진 후 무의 폭만큼 벌어져 무가 낙하하여 안착되도록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핑거(111,112)의 상단은 무의 안정된 투입을 위해 상부를 향해 벌어진 구조이고, 핑거(111,112)의 하단은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핑거 척(110)은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111,112)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핑거 실린더(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핑거 실린더(113)는 핑거(111,112)의 하단에 배치되고, 한 쌍의 핑거 피스톤(113a)으로 구성되어 핑거(111,112)를 각각 밀어내어 핑거(111,112)의 이격거리를 넓히거나 각각 잡아당겨 핑거(111,112)의 이격거리를 좁힌다.
예컨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척(110)의 닫힘 상태에서는, 한 쌍의 핑거(111,112)는 무의 폭보다 작은 이격 거리로 마주보아 무가 핑거(111,112)의 개방된 상단에 올려질 수 있다. 이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척(110)의 열림 상태에서는, 핑거 실린더(113)의 핑거 피스톤(113a)은 핑거(111,112)의 이격 거리가 무의 통상적인 폭보다 크도록 핑거(111,112)를 각각 밀어내어, 무가 핑거 척(110) 내부로 낙하하여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핑거(111,112)의 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져, 핑거 척(110) 내부로 낙하한 무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안착될 수 있다.
한편, 핑거 척(110) 내부로의 무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무의 안착을 감지하거나, 무가 핑거 척(110) 내부로 안착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핑거 피스톤(113a)이 핑거(111,112)를 각각 잡아당겨 핑거(111,112)의 이격거리를 좁혀 안착된 무를 느슨하게 붙잡아서 무의 이탈을 방지한다.
실린더(120)는 핑거 척(110)의 전단에 배치 형성되며, 핑거 척(110) 내부에 안착된 무를 길이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피스톤(12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실린더(113)의 핑거 피스톤(113a)에 의해 한 쌍의 핑거(111,112)의 이격 거리가 벌어져 핑거 척(110) 내부로 무가 안착되면, 연동하여, 실린더(120)의 피스톤(121)은 후술하는 박피부(130)의 전단을 향해 무를 전진시키고, 박피부(130)의 후단에 무가 도달하면 실린더(120)의 피스톤(121)은 핑거 척(110)의 전단으로 후퇴하고, 연동하여, 핑거 실린더(113)의 핑거 피스톤(113a)에 의해 한 쌍의 핑거(111,112)의 이격 거리가 좁혀질 수 있다. 즉, 실린더(120)의 피스톤(121)은 핑거 척(110) 내부로 무가 안착되면 핑거 척(110)의 핑거(111,112)에 의해 붙잡힌 무를 길이 방향으로 박피부(130) 내부로 전진시켜 무를 박피부(130)의 후단까지 진행시켜 무를 배출한 후, 피스톤(121)은 핑거 척(110)의 전단으로 다시 후퇴하여, 다른 무의 핑거 척(110) 내부로의 안착 시까지 대기한다. 이에 따라서, 핑거 실린더(113)의 핑거 피스톤(113a)과 실린더(120)의 피스톤(121)의 연동에 의해, 1회의 연동된 작동만으로도 무의 껍질을 신속하게 벗길 수 있다.
박피부(130)는 핑거 척(110)의 후단에 형성되며, 실린더(120)의 피스톤(121)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는 무의 껍질을 벗긴다.
도 3,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피부(130)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무의 껍질과 접촉하여 박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칼날 모듈(131)이 소정의 각도로 상호 이격되어 내측에 형성된 칼날 프레임(132)이 무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칼날 모듈(131)은, 무를 박피하는 칼날(131a), 칼날(131a)을 지지하는 칼날 회전판(131b), 칼날 회전판(131b)과 힌지 결합하는 칼날 고정판(131c), 칼날 고정판(131c)을 칼날 프레임(132)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판(131d), 및 칼날 고정판(131c)과 프레임 고정판(131d) 사이에 형성된 탄성 부재(131e)로 이루어져서, 탄성 부재(131e), 예컨대 스프링에 의해서, 박피부(130) 내부로 진입하는 무의 크기에 따라 칼날 회전판(131b)에 지지되는 칼날(131a)의 박피 각도를 조절하여 무의 껍질을 균일하게 벗길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칼날 회전판(131b)에는 2개의 칼날(131a-1, 2)이 상하 2단으로 고정 배치된다. 예컨대, 칼날 회전판(131b)의 하단(131b-1)에 배치되는 1단 칼날(131a-1)과 상단(131b-2)에 배치되는 2단 칼날(131a-2)이 상호 상이한 박피 각도로 형성된다. 또한, 무와 접촉하게 되면 탄성 부재(131e)에 의해서 칼날 고정판(131c)이 탄성 회전하여, 무의 크기에 따라 칼날 고정판(131c)의 회전 각도가 달라진다.
즉, 무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큰 무의 경우)에는, 도 6의 (a) 구조와 같이, 탄성 부재(131e)에 의해서 칼날 고정판(131c)이 뒤로 일정 각도로 젖혀져 1단 칼날(131a-1) 또는 2단 칼날(131a-2)이 무의 껍질을 균일하게 벗길 수 있다.
또한, 무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작은 무의 경우)에는, 도 6의 (b) 구조와 같이, 탄성 부재(131e)의 탄성력에 의해서 칼날 고정판(131c)이 앞으로 일정 각도로 펴지고, 칼날 회전판(131b)이 힌지 핀(131f)에 의해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1단 칼날(131a-1) 중심으로 무의 껍질을 균일하게 벗길 수 있다. 여기서, 무와 접촉하게 되면 힌지 핀(131f)에 의해서 칼날 회전판(131b)이 일정 각도로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된다.
한편, 1단 칼날(131a-1)과 2단 칼날(131a-2) 중 어느 하나는 주 칼날로 사용되며 다른 칼날은 예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비용 칼날은 주 칼날 손상 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동에 의해서 무의 크기와 상관없이, 무의 껍질을 균일하고 완벽하게 박피할 수 있다. 여기서, 칼날(131a)과 칼날 고정판(131c)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칼날(131a)에 의해 박피된 껍질이 무와 분리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칼날 프레임(132)의 내측에는 90도 각도로 상호 이격된 4개의 칼날 모듈(131)이 배치되고, 4개의 칼날 모듈(131)이 형성된 칼날 프레임(132)이 무의 길이 방향으로 8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웃한 칼날 프레임(132)의 칼날 모듈(131)은 11.25°의 각도(D)(도 5 참조)로 상호 순차적으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다. 이에 칼날 모듈(131)은 통과하는 무의 전체 껍질을 박피할 수 있다. 즉, 총 32개의 칼날 모듈(131)이 11.25° 각도로 상호 엇갈려 형성되므로 무의 껍질을 완벽하게 벗길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피부(130)의 내측 벽에는 칼날 프레임(132)을 탈 부착시키는 'ㄷ' 형상의 가이드 부재(133)가 고정 형성되고, 박피부(130)의 내부 청소 또는 칼날(131a)의 원활한 교체를 위해서 칼날 프레임(132)이 가이드 부재(133)에 의해서 용이하게 탈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핀(131g)이 칼날 고정판(131c)에 형성되어서, 힌지 핀(131f)에 의해 회전하는 칼날 회전판(131b)의 회전각을 제한하여 칼날(131a)이 일정 박피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호퍼(hopper)(140)는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되어서, 칼날(131a)에 의해 벗겨진 무의 껍질이 낙하하도록 안내한다. 예컨대, 도 1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40)는 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 없이 껍질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고, 보다 원활한 낙하를 위하여 호퍼(140)를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박피부(130)와 접하는 호퍼(140)의 상부에는 위생 막(미도시)이 형성되어 무 껍질의 낙하는 허용하지만, 하부로부터 박피부(130)로 이물질, 예컨대 흙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박피부(130) 내부의 청결을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핑거 척(110)에서 무가 진입하는 입구와 박피된 무가 배출되는 출구를 갖는다. 하우징의 입구에는 입구 고무판(151), 출구에는 출구 고무판(152)이 각각 배치되며, 각 고무판(151,152)은 무의 진입 또는 후퇴시 중심부로부터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하는 8개로 분리된 고무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 고무판(151,152)은 무의 진입과 후퇴는 허용하되, 그 이외에는 박피부(130) 내부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박피부(130)의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출구 고무판(152)은 박피된 껍질이 박피부(13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무의 표면과 접촉하여 무에 남아 있는 껍질을 긁어 내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전기 조작함으로써, 핑거 실린더(113) 및 실린더(120)의 각 피스톤의 작동 및 무 껍질 제거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각 푸시 버튼(161)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반 프레임(170)에는 전술한 핑거 척(110), 실린더(120), 박피부(130), 호퍼(140) 및 제어부(160)가 고정 배치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 지지대(171)에 의해 바닥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박피부(130)를 통과하여 껍질이 벗겨진 무는 컨베이어 벨트(미도시)를 타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후속하여 무의 뿌리 끝단과 꼭지단을 각각 절단하는 절단부(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요약하자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피스톤(121)이 무를 박피부(130)의 후단까지 무를 밀어내어 칼날(131a)이 무의 껍질을 벗긴 후, 피스톤(121)은 핑거 척(110)의 전단으로 후퇴한다. 즉, 핑거 피스톤(113a)에 의해 한 쌍의 핑거(111,112)의 이격 거리가 벌어져 핑거 척(110) 내부로 무가 안착되면, 연동하여 실린더(120)의 피스톤(121)은 무를 박피부(130)의 전단을 향해 전진시켜서 무를 박피하고, 무가 박피부(130)의 후단에 도달하면, 연동하여 실린더(120)의 피스톤(121)은 핑거 척(110)의 전단으로 후퇴할 수 있어서, 전술한 각 피스톤의 반복된 피스톤 작동에 의해 무의 박피 공정을 반복하게 되어 많은 양의 무의 껍질을 신속하게 박피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작업자의 조작 없이 무의 크기에 따라 칼날(131a)의 박피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무의 크기에 상관없이 무의 껍질을 완벽하게 박피할 수 있고, 칼날(131a)의 박피 각도가 구근류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무 이외의 구근류의 박피 공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핑거 척 111,112: 핑거
113: 핑거 실린더 113a: 핑거 피스톤
120: 실린더 121: 피스톤
130: 박피부 131: 칼날 모듈
131a: 칼날 131a-1: 1단 칼날
131a-2: 2단 칼날 131b: 칼날 회전판
131b-1: 칼날 회전판의 하단 131b-2: 칼날 회전판의 상단
131c: 칼날 고정판 131d: 프레임 고정판
131e: 탄성 부재 131f: 힌지 핀
131g: 고정 핀 132: 칼날 프레임
133: 가이드 부재 140: 호퍼
151: 입구 고무판 152: 출구 고무판
160: 제어부 161: 푸시 버튼
170: 선반 프레임 171: 선반 지지대

Claims (8)

  1. 박피할 무가 안착 될 수 있는 핑거 척, 그리고
    상기 핑거 척에서 공급되는 상기 무를 박피할 수 있는 박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박피부는, 상기 무와 접촉하여 박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칼날 모듈이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칼날 프레임이 상기 무의 진행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칼날 모듈은,
    상기 무를 박피하는 칼날, 상기 칼날을 지지하는 칼날 회전판, 상기 칼날 회전판과 힌지 결합된 칼날 고정판, 상기 칼날 고정판을 상기 칼날 프레임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판 및 상기 칼날 고정판과 상기 프레임 고정판 사이에 형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칼날 회전판에는 2개의 칼날이 상하 2단으로 고정 배치되고, 상기 칼날 고정판과 힌지 결합된 상기 칼날 회전판은 일정 각도로 회전하며, 상기 칼날 고정판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일정 각도로 탄성 회전하여, 상기 박피부 내부로 진입하는 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칼날 회전판의 칼날의 박피 각도를 조절하여 무를 박피하는
    무 껍질 제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핑거 척은,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 및
    상기 한 쌍의 핑거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한 쌍의 핑거 피스톤을 포함하는 핑거 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무는 상기 핑거 상부에 얹혀지고, 상기 핑거 피스톤에 의해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핑거가 벌어져 무가 내부로 낙하하여 안착되는
    무 껍질 제거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핑거 척의 전단에 배치되고 안착 된 상기 무를 길이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무 껍질 제거장치.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칼날 프레임의 내측에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상기 칼날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칼날 프레임은 상기 무의 전진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며, 이웃한 상기 칼날 프레임에는 상기 칼날 모듈이 11.25° 각도로 상호 순차적으로 엇갈려 배치된 무 껍질 제거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한 쌍의 핑거가 벌어져 상기 핑거 척 내부로 무가 안착되면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은 상기 박피부 전단을 향해 상기 무를 전진시키고, 상기 박피부의 후단에 무가 도달하면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은 후퇴하며, 연동하여, 상기 핑거 실린더의 핑거 피스톤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핑거가 좁혀지는 무 껍질 제거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박피부는
    내부에 상기 칼날 프레임이 배치되고 입구와 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배치된 입구 고무판 및
    상기 하우징의 출구에 배치된 출구 고무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구 고무판 및 상기 출구 고무판은 무의 진입 또는 후퇴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복수 절개되어 있는
    무 껍질 제거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하우징 하단에 배치되어 있고 박피된 무의 껍질이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호퍼를 더 포함하는 무 껍질 제거장치.
KR1020160046435A 2016-04-15 2016-04-15 무 껍질 제거장치 KR10183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35A KR101832391B1 (ko) 2016-04-15 2016-04-15 무 껍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35A KR101832391B1 (ko) 2016-04-15 2016-04-15 무 껍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525A KR20170118525A (ko) 2017-10-25
KR101832391B1 true KR101832391B1 (ko) 2018-02-26

Family

ID=6030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435A KR101832391B1 (ko) 2016-04-15 2016-04-15 무 껍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602B1 (ko) * 2018-11-22 2019-06-10 원용대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379B1 (ko) * 2017-06-16 2020-06-17 신광선 채소껍질 박피장치
KR102001596B1 (ko) * 2018-07-30 2019-07-19 정우엔텍 주식회사 무 껍질 박피장치
KR102449068B1 (ko) * 2019-10-29 2022-09-29 백운기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KR102449745B1 (ko) * 2021-10-15 2022-10-04 청학동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구근류 껍질 제거 방법
KR102648086B1 (ko) * 2021-11-18 2024-03-1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627B2 (ja) * 1992-09-18 2000-06-05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複合工作機械
JP3085309B2 (ja) * 1989-11-20 2000-09-04 富士通株式会社 デバッグシステム
KR101333491B1 (ko) 2011-11-04 2013-11-28 대명이엔지(주) 박피기용 커터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309B2 (ja) * 1989-11-20 2000-09-04 富士通株式会社 デバッグシステム
JP3049627B2 (ja) * 1992-09-18 2000-06-05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複合工作機械
KR101333491B1 (ko) 2011-11-04 2013-11-28 대명이엔지(주) 박피기용 커터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602B1 (ko) * 2018-11-22 2019-06-10 원용대 자동 박피 장치용 칼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525A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391B1 (ko) 무 껍질 제거장치
KR101280677B1 (ko) 자동 양파 탈피장치
US9095149B2 (en) System for washing, deveining and peeling shrimp
KR101184870B1 (ko) 양파 껍질 제거기
JP2572921B2 (ja) 果物の皮むき装置
CN106889633B (zh) 一种核果切片加工方法
CN103919082A (zh) 用于生产土豆块的设备
KR101249746B1 (ko) 양파 탈피 장치
EP3186043A1 (en) Produce preparation
KR20190052571A (ko) 밤 껍질 탈피 장치
KR100840693B1 (ko) 과실가공 시스템
MX2014006067A (es) Dispositivo de corte y separacion de aguacate.
JP5838449B2 (ja) 結球野菜の芯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JP5995391B1 (ja) 根菜類などの皮むき装置
KR101899889B1 (ko) 양파 탈피 시스템
JP6132268B2 (ja) 皮剥き装置用保持具、皮剥き装置及び皮剥き方法
CN209846139U (zh) 一种切丁去皮装置及一种芒果加工设备
US5447737A (en) Pepper coring process and apparatus
KR101764984B1 (ko) 양파 탈피 장치
KR102449745B1 (ko) 구근류 껍질 제거 방법
KR200487611Y1 (ko) 탈피기
KR101996556B1 (ko) 양파 탈피장치
KR101712657B1 (ko) 계단식 농산물 껍질 탈피장치
KR20170129984A (ko) 감자 탈피장치
KR101762908B1 (ko) 양파 탈피기 및 상기 양파 탈피기를 구성하는 양파 탈피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