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355B1 - 흡수체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체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355B1
KR101773355B1 KR1020167007785A KR20167007785A KR101773355B1 KR 101773355 B1 KR101773355 B1 KR 101773355B1 KR 1020167007785 A KR1020167007785 A KR 1020167007785A KR 20167007785 A KR20167007785 A KR 20167007785A KR 101773355 B1 KR101773355 B1 KR 101773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r
absorbent article
wearer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528A (ko
Inventor
미가쿠 스즈키
요시오 히라이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7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4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impermeable sheet or impermeable part of a sheet placed on or under the top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8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with channels or deep spot depressions on the up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2013/494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61F2013/495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with internal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tan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배출된 체액과 착용자의 피부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흡수체 물품의 제공.
[해결수단]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신축성을 갖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와, 좌우 한 쌍의 두부에 좌우 양 가장자리가 결합하고, 중앙부가 하측으로 처지는 커낼 시트(12)를 갖는 커낼 부재(14)와, 커낼 부재(14)의 두부(10)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커낼 부재(14)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갖는, 신체 접촉 파트와; 시트상의 방누체(22)와, 방누체(22)의 상측에 배치된 흡수체(24)를 갖는, 신체 비접촉 파트를 구비하고, 커낼 시트(12)의 상측으로부터 흡수체(12)에 체액을 이송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커낼 시트(12)의 하면의 일부와 흡수체(24)의 표면의 일부가 결합하고 있고, 흡수체(24)가 착용자의 피부와 이간된 상태를 유지하고, 착용자가 체액을 배출한 경우, 배출된 체액이 커낼 시트(12)의 상측에 수용되고, 그 후, 커낼 시트(12)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통로를 통하여 흡수체(24)에 이송되는, 흡수체 물품.

Description

흡수체 물품 및 그 제조 방법{ABSORBER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흡수체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수체 물품은 기저귀(아이용 및 어른용 기저귀), 생리대, 실금 대책 상품, 트레이닝 팬츠 등의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고흡수성 수지(이하 「SAP」라고도 함.)나 플러프(fluff)상으로 만든 목재 펄프 등을 사용한 흡수체에 의해 흡수하고, 처리하는 물품이다.
종래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체액은 착용자의 배출기로부터 직접적으로 흡수체의 표면에 배출되고, 흡수체의 표면에서의 확산과 흡수체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의 이행에 의하여 흡수체에 흡수되고, 처리된다.
따라서, 흡수체 물품으로부터 그 외부로의 체액의 리크(누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흡수체 물품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흡수체의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 특히 배출기를 밀착시키는 것이 필요했다.
하지만, 이러한 상태에서 흡수체 물품을 사용하면, 체액의 배출 후에는, 착용자의 피부가 체액으로 젖어 있는 흡수체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착용자의 피부가 체액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장시간 계속되면, 착용자에 있어서 불쾌할 뿐만 아니라, 피부를 팽화(膨化)시키고, 세균 증식의 원인이 되어, 발진이나 염증을 일으키는 사태를 초래하게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의 흡수체 물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제안으로서, 흡수체, 특히 착용자의 배설기에 상당하는 위치인 사타구니(crotch)부(밑아래부)에 체액을 직접적으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흡수체의 전후로 체액의 이동,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유닛을 흡수체의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새로이 도입함으로써, 배출된 체액과 착용자의 피부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수법을 제안하였다.
특허문헌 1에서는 상기 유닛은 플로팅 레그 개더(FLG)로서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상기 유닛은 체액의 이동 통로로서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상기 유닛은 체액의 수용 커낼(canal)로서 제안되어 있다. 이들 제안에 따른 유닛은 전부 좌우 한 쌍의 두부(頭部)와 좌우 한 쌍의 두부에 결합되어, 처지는 수하부(垂下部)를 갖고, 좌우 한 쌍의 두부만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5086492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보 제5236121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보 제5236122호
본 발명자는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각종의 유닛을 갖는 흡수체 물품의 연구를 진행한바, 착용시에 있어서 유닛의 입체 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존재시키고, 나아가서는 배출된 체액과 착용자의 피부의 접촉을 보다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였다.
본 발명자는 흡수체 물품을, 흡수체를 갖지 않는 「신체 접촉 파트」와, 흡수체를 갖는 「신체 비접촉 파트」의 2개의 주된 구성 요소로 모듈화하는 것 등에 의해, 유닛의 입체 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존재시키고, 나아가서는 배출된 체액과 착용자의 피부의 접촉을 보다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15)를 제공한다.
(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에 신축성을 갖는 좌우 한 쌍의 두부와, 상기 좌우 한 쌍의 두부에 좌우 양 가장자리가 결합하고, 중앙부가 착용시에 하측으로 처지는 커낼 시트를 갖는 커낼 부재와,
착용시에, 상기 커낼 부재의 상기 두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커낼 부재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갖는 신체 접촉 파트와;
체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시트상의 방누체와,
상기 방누체의 상측에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를 갖는, 신체 비접촉 파트를 구비하고,
상기 커낼 시트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흡수체의 표면에 체액을 이송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낼 시트의 하면의 일부와 상기 흡수체의 표면의 일부가 결합하고 있고,
착용시에, 상기 흡수체가 착용자의 피부와 이간(離間)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착용자가 체액을 배출한 경우, 배출된 체액이 상기 커낼 시트의 상측에 수용되고, 그 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커낼 시트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통로를 통하여 상기 흡수체의 표면에 이송되는, 흡수체 물품.
(2) 상기 커낼 시트의 하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의 일부와 상기 흡수체의 표면의 일부가 바닥면 결합부에서 결합하고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3) 상기 바닥면 결합부가 밑아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2)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4) 상기 커낼 시트의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부 부근의 일부와 상기 흡수체의 표면의 일부가 좌우의 측면 결합부에서 결합하고 있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5) 상기 좌우의 측면 결합부가, 밑아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4)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6) 상기 고정 부재가 앞판을 피복하는 전방 피복부와 뒷판을 피복하는 후방 피복부를 갖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7) 상기 전방 피복부와 상기 후방 피복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부재를 갖는, 상기 (6)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8) 상기 전방 피복부와 상기 후방 피복부가 일체화되고, 착용시에, 착용자의 복부의 주위를 피복하는, 상기 (6)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9) 상기 커낼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액 불투과성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10) 상기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액 불투과성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11) 상기 방누체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그 전후 방향의 길이를 줄이는 작용을 나타내는 신축 부재를 갖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12) 상기 방누체가, 착용시에, 적어도 밑아래부에서, 하측으로 볼록형의 형상이 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13) 착용시에, 상기 흡수체의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의 거리가 5mm 이상이 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14) 상기 신체 접촉 파트와 상기 신체 비접촉 파트가 착탈 가능한,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
(15)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을 제조하는, 흡수체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신체 접촉 파트 및 상기 신체 비접촉 파트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그 후, 상기 신체 접촉 파트와 상기 신체 비접촉 파트를 결합시키는 공정
을 갖는, 흡수체 물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은 배출된 체액과 착용자의 피부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테이프형 기저귀의 형태인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에서의 S 파트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커낼 시트를 갖는 커낼 부재를 도시한 모식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다양한 두부를 갖는 커낼 부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커낼부의 입체 구조가 유지되기 쉬운 다양한 커낼 부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다양한 S 파트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다양한 R 파트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다양한 R 파트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다양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도시한 밑아래부(C)에서의 모식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도시한 밑아래부(C)에서의 모식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첨부 도면에 도시된 적합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실제로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측을 「상」이라고 하고, 먼 측을 「하」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실제로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몸의 전측에 대응하는 측을 「전」이라고 하고, 후측에 대응하는 측을 「후」라고 한다. 또한, 각 도면 중,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실제로는 접촉하고 있는 부재를 이간시켜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첨부한 도면 중의 각 평면도에서는, 도면의 좌측에 흡수체 물품 등의 전측이 위치하도록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흡수체 물품 본체」란 흡수체 물품의 구성 부재인 방누체, 방누체 위에 형성할 수 있는 탑(top) 시트, 기타 흡수체 물품에 형성할 수 있는 각종 부재를 총칭하여 말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흡수체 물품이 기저귀인 경우에는, 흡수체 물품 본체를 기저귀 본체라고 부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흡수체의 표면」이란 흡수체가 노출되어 경우에는 그 표면을 의미하고, 흡수체가 확산 시트, 어퀴지션(acqusition) 시트, 탑 시트 (표면 시트), 코어 랩 시트 등으로 피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복하고 있는 확산 시트, 어퀴지션 시트, 탑 시트(표면 시트), 코어 랩 시트 등의 표면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은 「신체 접촉 파트(Skin-contact Part)」(이하 「S 파트」라고도 함.)와 「신체 비접촉 파트(Remote Part)」(이하 「R 파트」라고도 함.)를 갖고, S 파트와 R 파트가 일부에서 결합하여, 일체화된 아이용 팬츠형 기저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는 팬츠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을 그 고정 부재의 좌우 양측의 요부(腰部) 씰(seal)부(도면 중의 Z 및 Z')에서 절단하고,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긴장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전개 평면도이다. 도 1(B)는 긴장 상태의 도 1(A) 중의 IB-I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C)는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이완 상태의) 도 1(A) 중의 IC-IC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100)은 팬츠형 기저귀로서 구성되어 있고, 기본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에 신축성을 갖는 좌우 한쌍의 두부(10)와, 좌우 한 쌍의 두부(10)에 좌우 양 가장자리가 결합하고, 중앙부가 착용시에 하측으로 처지는 커낼 시트(12)를 갖는 커낼 부재(14)와, 착용시에, 커낼 부재(14)의 두부(10)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커낼 부재(14)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갖는, S 파트와; 체액의 누출을 방지 시트상의 방누체(22)와, 방누체(22)의 상측에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24)를 갖는, R 파트를 구비한다.
좌우 한 쌍의 두부(10)와 커낼 시트(12)는 결합부(78)에서 결합하고 있다.
상기 고정 부재로서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위치하는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가 사용되고 있다.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는 각각 전단부 또는 후단부 부근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스트 개더(20)를 갖고, 또한 웨이스트 개더(20)로부터 전후 방향의 중앙부 측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셔링 개더(21)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가 앞판을 피복하는 전방 피복부와 뒷판을 피복하는 후방 피복부를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전방 피복부(16)와 후방 피복부(18)는 요부 씰부(Z)끼리, 요부 씰부(Z')끼리에서 결합하여 일체화하고, 착용시에, 착용자의 복부의 주위를 피복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 피복부와 후방 피복부가 일체화되고, 착용시에, 착용자의 복부의 주위를 피복하는 것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팬츠형 기저귀로 할 수 있다.
커낼 시트(12)는, 그 하면의 좌우 양측이,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와, 각각 커낼부-전단 결합부(80) 및 커낼부-후단 결합부(82)에서 결합하고 있다. 이들 결합은, 커낼부의 전단 및 좌우 가장자리부에 간극이 생겨서 체액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 씰하는 역할을 한다.
흡수체(24)는 그 상면의 전체를 표면 시트(26)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방누체(22)의 좌우 가장자리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신축 부재(28)가 형성되어 있다. 신축 부재(28)의 외측면은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와 각각 R 파트-전단 결합부(86) 및 R 파트-후단 결합부(88)에서 결합되어 있다. 이들 결합은, R 파트와 S 파트를 일체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으면 좋고, 밀폐성은 불필요하다. 신축 부재(28)는 흡수체(24)의 측연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신축 부재(28)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할 필요는 없다.
흡수체 물품(100)은 R 파트가 신축 부재(28)를 갖는 형태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신축 부재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흡수체 물품(100)에서는, 커낼 시트(12)의 상측으로부터 흡수체(24)의 표면에 체액을 이송하는 통로로서, 커낼 시트(12)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미소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커낼 시트(12)의 하면(커낼 시트(12)로 구성된 커낼부의 바닥면의 하측면)의 일부와 흡수체(24)의 표면(표면 시트(26)의 표면)의 일부는 선형의 바닥면 결합부(84)에서 결합하고 있다.
S 파트의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에는 각각 R 파트의 전단부 주변 및 후단부 주변이 띠 형상으로, 또한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S 파트와 R 파트가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S 파트의 커낼부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완 상태에서는 V자형 또는 U자형의 형상을 띠고, 적어도 일부에 신축성을 갖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만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한다.
흡수체(24)를 갖는 R 파트는 착용자의 피부와는 확실하게 이간하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S 파트와 R 파트를 각각 모듈화함으로써 R 파트에 포함되는 흡수체의 무게에 의해, 커낼부의 바닥면부가 아래로 잡아 당겨지고, 커낼부 전체의 주저앉음과 변형이 적어지고, 특히 밑아래부(C)에서 V자형 또는 U자형의 입체 구조를 유지하기 쉬워져서, 유닛의 입체 구조가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시에, 흡수체(또는 그것을 피복하는 표면 시트 등)의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의 거리가 5mm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에서는 흡수체와 FLG 등이 일체화되어 있고, 주로 흡수체에 의한 FLG 등의 부위로의 물리적 구속이 존재하고 있고, 입체 구조의 안정화의 장해가 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예를 들어, 흡수체 물품(100)에서는 밑아래부에서 바닥면 결합부(84)에서 흡수체(24)의 표면과 접합되어 있을 뿐이므로, S 파트에서의 커낼부의 입체 구조가 R 파트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어 있어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커낼 시트(12)의 측면과 흡수체(24)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26)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흡수체 물품(100)에서는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은 좌우 한 쌍의 두부(10) 사이의 개구로부터 커낼부의 내측에 배출되어 커낼 시트(12)의 상측에 수용되고, 그 후, 커낼부 안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낼 시트(12)의 상측으로부터 미소 개구로 구성되는 통로를 통하여 흡수체(24)의 표면에 이송된다.
이 체액의 수용 및 이동은, 커낼부가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매우 원활하게 행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S 파트와 R 파트를 별체(別體)로 함으로써, 흡수체의 구성, 크기, 형상 등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다양화가 용이해진다.
종래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흡수체의 길이나 폭은 흡수체 물품의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좌우 방향의 폭의 범위 내에서, 특히 착용자의 밑아래부의 협착 부위에 적합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R 파트가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밑아래부의 협착 부위에 적합하게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밑아래부에 상당하는 짧은 길이로 하는 한편으로, 좌우 방향으로 폭넓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흡수체 물품을 S 파트 및 R 파트라는 2개의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구조 자체가 간이해지고, 부재의 수나 종류의 삭감이나, 감량이 가능해지고, 또한 제조 비용이 저렴해진다.
이하, S 파트 및 R 파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S 파트의 전체 구성 및 존재 상태
도 2는 테이프 형 기저귀의 형태인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S 파트에서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A)는 S 파트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긴장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전개 평면도이다. 도 2(B)는 긴장 상태의 도 2(A) 중의 ⅡB-Ⅱ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2(C)는 S 파트에 응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이완 상태의) 도 2(A) 중의 ⅡC-ⅡC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S 파트(SP)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에 신축성을 갖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a)와, 좌우 한 쌍의 두부(10a)에 좌우 양 가장자리가 결합하고, 중앙부가 착용시에 하측으로 처지는 커낼 시트(12a)를 갖는, 커낼 부재(14a)와, 착용시에,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위치하여, 커낼 부재(14a)의 두부(10a)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커낼 부재(14a)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서 기능하는 전방 피복부(16a) 및 후방 피복부(18a)를 갖고 있다.
S 파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흡수체 물품의 전후 방향의 길이(전장)(LS)와 같고, S 파트의 좌우 방향의 폭은 흡수체 물품의 좌우 방향의 폭(전폭)(WS)과 같고, 전부 흡수체 물품의 사이즈(예: S 사이즈(체중 4 내지 8kg 정도용), M 사이즈(체중 6 내지 11kg 정도용), L 사이즈(체중 9 내지 14kg 정도용), 빅(Big) 사이즈(체중 12 내지 20kg 정도용), 슈퍼 빅 사이즈(체중 13 내지 25kg 정도용))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후방 피복부(18a)의 좌우 양측에는 착탈 부재(30)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피복부(16a)의 하면에는 착탈 부재(30)와 서로 착탈이 자유롭게 되도록 착탈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착탈 부재는 예를 들어 각종 면 지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피복부(18a)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착탈 부재(30)로서, 점착 테이프, 벨크로 테이프(수(雄)), 전방 피복부(16a)의 방누체(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착탈 부재로서, TLZ(Tape Landing Zone)(암(雌)), ZLZ (Zipper Landing Zone)(암(雌))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방 피복부와 후방 피복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부재를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테이프형 기저귀로 할 수 있다.
커낼 시트(12a)는 도 2(B)의 전방 피복부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의 좌우 양측이 전방 피복부(16a)와 커낼부-전단 결합부(80a)에서 결합하고 있다. 이들 결합은, 커낼부의 전단 및 좌우 가장자리부에 틈이 생겨 체액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 씰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빈틈없이 결합시킨다.
착용시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두부(10a)로부터 커낼 시트(12a)가 처진다.
커낼 시트(12a)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근에 의해 구성되는 커낼 바닥면(32)과, 커낼 시트(12a)의 좌측의 두부(10a)로부터 아래로 처진 부분으로 구성되는 커낼 좌측면부(34)와, 커낼 시트(12a)의 우측의 두부(10a)로부터 아래로 처진 부분으로 구성되는 커낼 우측면부(36)에 의해 커낼부가 형성되어 있다.
커낼부는, 전후 방향에서, 앞판(F), 밑아래부(C), 뒷판(R)의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커낼부는 밑아래부(C)에서 가장 깊어지고, 단면이 V자형 또는 U자형이 되는 입체 구조를 나타낸다.
2. 커낼 부재의 구성
(1) 커낼 시트
도 3은 다양한 커낼 시트를 갖는 커낼 부재를 도시한 모식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4b)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b)에 커낼 시트(12b)의 좌우 가장자리부가 결합하여 단면이 V자형 또는 U자형이 되도록, 커낼 시트(12b)의 중앙부 부근이 아래로 처져 있다. 커낼 시트(12b)의 좌우 가장자리부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b)를 피복하고 있어도 좋다.
도 3(B)에 도시된 커낼 부재(14c)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b)에 커낼 시트(12c)의 좌우 가장자리부가 결합하여 단면이 V자형 또는 U자형이 되도록, 커낼 시트(12c) 중앙부 부근이 아래로 처져 있는 점에서,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0b)와 동일하지만, 커낼 시트(12c)의 좌우 단부는 두부(10b)와의 결합부로부터 더욱 내측으로 연장되어 처져 있다.
이 연장부는 통상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짧게 설계된다. 연장부는 체액을 커낼부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시트로서 작용하고, 또한 일시적으로 수용되어, 머물고 있는 체액이 커낼부 밖으로 오버 플로우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나타낸다.
커낼 시트(12c)의 좌우 가장자리부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b)를 피복하고 있어도 좋다.
도 3(C)에 도시된 커낼 부재(14d)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b)에 커낼 시트(12d)의 좌우 가장자리부가 결합하여 단면이 V자형 또는 U자형이 되도록, 커낼 시트(12d)의 중앙부 부근이 아래로 처져 있는 점에서,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0b)와 동일하지만, 커낼 시트(12d)의 좌우 단부는 두부(10b)와의 결합부로부터 더욱 외측으로 연장되어 아래로 처져 있다.
이 연장부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짧게 설계할 수 있다. 이 비교적 짧은 연장부는, 두부(10b)를 넘어가는 체액이 생긴 경우에, 그 체액을 흡수 체(도시하지 않음) 상에 회수하는 액 가이드 기능을 나타낸다.
연장부가 비교적 길게 설계되는 경우, 예를 들어, 커낼 부재(14d)에 흡수체 (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배치될 때에, 그 흡수체의 측면을 피복하는 부분으로서, 또는 그 흡수체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커낼 시트(12d)의 좌우 가장자리부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b)를 피복하고 있어도 좋다.
커낼 시트의 재료로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는 비교적 목부량(目付量)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목부량 10 내지 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로서는 예를 들어, 합성 섬유를 원료로 하는 부직포(예를 들어, PE, PP, PET 또는 이것들의 복합 섬유를 원료로 하는 스펀본드(spunbond)(SB), 스펀본드 멜트 블로운(melt blown) 적층체(SMS, SMMS) 등의 스펀멜트 부직포; 카드 웹을 결합한 스폿본드 부직포, 수류락합(水流絡合)(스펀레이스(spunlace)라고도 함.)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를 단독으로 또는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합성 섬유를 원료로 하는 부직포는 통상 소수성이므로, 체액의 침투성을 부여하기 위해 계면 활성제로 처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전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친수화 가공을 실시한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낼 시트의 상면으로 구성된 커낼부의 내면측에서 친수성이고, 커낼 시트의 하면으로 구성된 커낼부의 외면측에서는 소수성이며, 또한, 액 불투과성인 부직포가 커낼 시트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부직포를 커낼 시트로서 사용하면, 커낼부의 내면측에서는 체액의 수용과 이동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이로써, 체액의 출구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체액의 커낼부 밖으로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소수성의 부직포(예를 들어, PP제 SMS)에 친수성의 부직포(예를 들어, 레이온 부직포, 면 부직포) 또는 티슈 페이퍼를 부분적으로 적층한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이 적층체는 친수성의 부직포 또는 티슈 페이퍼의 면이 커낼부의 내면에 소수성의 부직포의 면이 커낼부의 외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예를 들어,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에 소수성의 필름(예를 들어, PE 필름)을 적층한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이 적층체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의 면이 커낼부의 내면으로, 소수성의 필름의 면이 커낼부의 외면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커낼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액 불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액의 수용과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행해진다.
(2) 두부
도 4는 다양한 두부를 갖는 커낼 부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A), 도 4(C), 도 4(E), 도 4(G) 및 도 4 (I)는 각각 이완 상태의 횡단면도이고, 도 4(B), 도 4(D), 도 4(F), 도 4(H), 및 도 4(J)는 각각 긴장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커낼 부재(14e)는 커낼 시트(12b)(예를 들어, PE/PP 스펀본드 부직포. 예를 들어, 목부량 15g/㎡)와, 그 좌우 가장자리부에 3개(本)의 필라멘트형의 탄성사(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필라멘트. 예를 들어, 600dtex)(11)를 병렬로 배치하여 피복시켜서 이루어진 좌우 한 쌍의 두부(10c)를 갖는다.
탄성사(1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판(F)으로부터 밑아래부(C)를 거쳐 뒷판(R)에 걸쳐서 전후의 양 단부 부근을 제외한 전장에 배치되어 있다.
두부(10c)의 탄성사(11)는 전후 방향으로 응력을 걸어 신장된 상태에서 커낼 시트(12b)에 피복되고, 접착된다. 접착 후, 응력을 해방하여 탄성사(11)를 이완 상태로 하면, 탄성사(11)는 수축되어 짧아지고, 이로 인해 커낼 시트(12b)의 좌우 가장자리부와 탄성사(11)과 일체가 되어 두부(10c)가 신축성을 갖게 된다.
커낼 부재(14e)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c)에 커낼 시트(12b)의 좌우 가장자리부가 결합하여 단면이 V자형 또는 U자형이 되도록, 커낼 시트(12b)의 중앙부 부근이 아래로 처져 있다.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커낼 부재(14f)는 커낼 시트(12b)(예를 들어, PE/PP 스펀본드 부직포. 예를 들어 목부량 15g/㎡)와, 벌키한(bulky) 발포 부재(11a)[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예를 들어,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연질 발포 시트. 예를 들어, 폭 15mm. 예를 들어, 두께 4mm]로 이루어진 좌우 한 쌍의 두부(10d)를 갖고, 두부(10d)의 하면에 커낼 시트(12b)의 좌우 가장자리부가 결합하고 있다.
발포 부재(11a)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판(F)으로부터 밑아래부(C)를 거쳐 뒷판(R)에 걸쳐서 전후의 양 단부 부근을 제외한 전장에 배치되어 있다.
두부(10d)의 발포 부재(11a)는 전후 방향으로 응력을 가하여 신장된 상태에서 커낼 시트(12b)에 피복되고, 접착된다. 접착 후, 응력을 해방하여 발포 부재(11a)를 이완 상태로 하면, 발포 부재(11a)는 수축되어 짧아지고, 이로써 두부(10d)가 신축성을 갖게 된다.
커낼 부재(14f)는 좌우 한쌍의 두부(10d)에 커낼 시트(12b)의 좌우 가장자리부가 결합하여 단면이 V자형 또는 U자형이 되도록, 커낼 시트(12b)의 중앙부 부근이 아래로 쳐져 있다.
도 4(E) 및 도 4(F)에 도시된 커낼 부재(14g)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 된 커낼 부재(14e)에 발포 부재(11b)[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예를 들어,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연질 발포 시트. 예를 들어, 폭 25mm. 예를 들어, 두께 3mm]를 조합한 것이다. 즉, 두부(10e)는 탄성사(11) 및 발포 부재(11b)란 2 종의 탄성 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탄성사(11)는,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판(F)으로부터 밑아래부(C)를 거쳐 뒷판(R)에 걸쳐서 전후의 양 단부 부근을 제외한 전장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 발포 부재(11b)는 밑아래부(C)와 앞판(F) 및 뒷판(R)의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발포 부재는 탄성사와 마찬가지로 거의 전장에 걸쳐 배치해도 좋지만,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에만 배치하는 편이 저렴해진다.
두부(10e)는 밑아래부(C)에서는 3개의 탄성사(11)와 측면으로부터 상부에 걸쳐서를 피복하는 발포 부재(11b)에 의해, 이완 상태에서 매우 벌키(bulky)하게(예를 들어, 두께 7 내지 8mm) 할 수 있다. 이로써, 두부(10e)는 벌키해지고, 쿠션성을 갖고, 두부(10e)와 착용자의 밑아래부의 피부의 우수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도 4(G) 및 도 4(H)에 도시된 커낼 부재(14h)는 도 4(E) 및 도 4(F)에 도시된 커낼 부재(14g)와 동일하지만, 발포 부재(11b) 대신에 고무 시트 부재(11c)(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시트. 예를 들어, 폭 20mm. 예를 들어, 두께 2mm)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즉, 두부(10f)는 탄성사(11) 및 고무 시트(11c)란 2종의 탄성 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커낼 부재(14h)의 기능은 커낼 부재(14g)와 거의 동일하다.
도 4(I) 및 도 4(J)에 도시된 커낼 부재(14i)는 도 4(E) 및 도 4(F)에 도시된 커낼 부재(14g)와 동일하지만, 발포 부재(11b) 대신에 발포 부재(11d)(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제 발포체 시트. 예를 들어, 폭 180mm. 예를 들어, 두께 3mm))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포 부재(11d)는 탄성사(11)를 피복하고 두부(10g)를 구성하며, 또한, 커낼 시트(12b)를 하측(외부)부터 피복하고 있다. 발포 부재(11d)와 커낼 시트(12b)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탄성사(11)는 도 4(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판(F)으로부터 밑아래부(C)를 거쳐 뒷판(R)에 걸쳐서 전후의 양 단부 부근을 제외한 전장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 발포 부재(11d)는 밑아래부(C)와 앞판(F) 및 뒷판(R)의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발포 부재는 탄성사와 마찬가지로 거의 전장에 걸쳐 배치해도 좋지만, 도 4(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에만 배치하는 것이 저렴해진다.
두부(10g)는 탄성사(11) 및 발포 부재(11d)란 2종의 탄성 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두부(10g)는 벌키해져, 쿠션성을 갖고, 두부(10g)와 착용자의 밑아래부의 피부와의 우수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낼 시트(12b)는 밑아래부(C)에서 발포 부재(11d)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로써, 밑아래부(C)에서 커낼 부재(14i)의 강성(剛性)이 높아지고, 착용시의 착용자의 체위의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가중에 의한 커낼 부재(14i)의 주저않음과 변형을 적게 하고, 도 4(I)에 도시된 V자형 또는 U자형의 입체 구조를 상시 유지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체액의 수용과 이동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발포 부재(11d)로서, 액 불투과성의 재료(예를 들어, 상술한 폴리프로필렌제 발포체 시트)를 사용한 경우, 커낼 시트(12b)에 친수성의 부직포를 사용한 경우라도, 밑아래부(C)에서의 커낼부로부터 그 외측으로의 체액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커낼 부재(14i)에서는 다른 기능 재료의 조합에 의해 제품 설계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어느 커낼 부재에서도, 커낼 부재의 전후 방향의 길이(LC(전장))는 흡수체 물품의 전장(LS)보다 짧다. 커낼 부재의 좌우 방향의 폭(전폭)(WC)은 흡수체 물품의 폭(WS)보다 짧다(도 4(B) 참조).
(3) 커낼 부재의 입체 구조
체액의 수용과 이동에 관한 커낼부가 안정적으로 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착용시에, V자형 또는 U자형의 단면을 갖는 입체 구조가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이나 체위 변화에 의한 가중이나 틈새 상태의 차이에 의해, 커낼부가 눌려지거나, 크게 비틀려서 변형되거나 하는 경우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커낼부가 깊어지는 밑아래부(C) 및 그 전후의 영역에서는 입체 구조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커낼부의 입체 구조가 유지되기 쉬운 다양한 커낼 부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A), 도 5(C), 도 5(E), 도 5(G) 및 도 5(I)는 각각 이완 상태의 횡단면도이고, 도 5(B), 도 5(D), 도 5(F), 도 5(H) 및 도 5(J)는 각각 긴장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커낼 부재(14j)는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4b)와 동일하지만, 커낼 시트(12b)(예를 들어, 친수성의 부직포(예를 들어, PET 에어 스루 부직포))의 하측(외부)에 액 불투과성 필름(15)[예를 들어, PE 필름(예를 들어, LLDPE 수지에 CaCO3를 공존시킨 통기성 필름). 예를 들어, 두께 20㎛)]이 형성되어 있다.
액 불투과성 필름(15)은, 전후 방향에서는 커낼 부재(14j)의 거의 전장에 걸쳐서, 좌우 방향에서는 커낼부의 바닥면부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낼 시트(12b)와 액 불투과성 필름(15)은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커낼 부재(14j)에서는, 커낼 시트(12b)가 액 불투과성 필름(15)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커낼부의 바닥면부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일부가 액 불투과성(방누성)이 되는 동시에, 커낼 시트(12b)가 보강되고, 커낼부의 주저앉음 현상이 경감되고, 변형이 적어지며, V자형 또는 U자형의 입체 구조가 거의 전장에 걸쳐서 유지되기 쉬워진다.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커낼 부재(14k)는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4b)와 동일하지만, 커낼 시트(12b)[예를 들어, 친수성의 부직포(예를 들어, PET 에어 스루 부직포)]의 하측(외부)에 액 불투과성 발포 부재(15a)[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예를 들어,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연질 발포 시트. 예를 들어, 두께 2mm]가 형성되어 있다.
액 불투과성 발포 부재(15a)는 전후 방향에서는 커낼 부재(14k)의 밑아래부(C) 및 그 전후에 걸쳐서, 좌우 방향에서는 커낼부의 바닥면부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일부와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낼 시트(12b)와 액 불투과성 발포 부재(15a)는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커낼 부재(14k)에서는, 커낼 시트(12b)가 액 불투과성 발포 부재(15a)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커낼부의 바닥면부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일부가 액 불투과성(방누성)이 되는 동시에, 커낼 시트(12b)가 보강되고, 커낼부의 주저앉음 현상이 경감되며, 변형이 적어지고, V자형 또는 U자형의 입체 구조가 밑아래부(C)를 중심으로 하는 영역에 걸쳐서 유지되기 쉬워지고, 그 전후의 영역도 변형이 경감된다.
도 5(E) 및 도 5(F)에 도시된 커낼 부재(14l)는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4b)와 동일하지만, 커낼 시트(12b)[예를 들어, 친수성의 부직포(예를 들어, PET 에어 스루 부직포)]의 하측(외부)에 액 불투과성 발포 부재(15b)[예를 들어, 발포 스티로폼(예를 들어, 냉동 식품 등의 수송에 사용되는 단열 용기로서 사용되는 것), 경질 우레탄 폼. 예를 들어, 가장 얇은 부분 5mm, 가장 두꺼운 부분 15mm가 형성되어 있다.
액 불투과성 발포 부재(15b)는, 전후 방향에서는 커낼 부재(14k)의 밑아래부(C)에, 좌우 방향에서는 커낼부의 바닥면부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낼 시트(12b)와 액 불투과성 발포 부재(15b)는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액 불투과성 발포 부재(15b)의 하측의 평면부는 흡수체 또는 그것을 피복하는 표면 시트(전부 도시하지 않음)와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좌우 방향의 폭 넓은 범위에서 결합되어 있다.
커낼 부재(14l)에서는, 커낼 시트(12b)가 액 불투과성 발포 부재(15b)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커낼부의 바닥면부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일부가 액 불투과성(방누성)이 되는 동시에, 커낼 시트(12b)가 효과적으로 보강되고, 커낼부의 주저앉음 현상이 대폭으로 경감되고, 변형이 거의 없어지고, V자형 또는 U자형의 입체 구조가 밑아래부(C)를 중심으로 하는 영역에 걸쳐서 유지되기 쉬워지고, 그 전후의 영역도 변형이 경감된다.
도 5(G) 및 도 5(H)에 도시된 커낼 부재(14m)는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4b)와 동일하지만, 커낼 시트(12b)[예를 들어, 소수성의 부직포(예를 들어, PP 제 SMMS 부직포)]의 상측(내측)에 흡액성 발포 부재(15c)(예를 들어, 압축 프레스한 셀룰로스 스폰지 시트. 예를 들어, 두께 1mm)가 형성되어 있다.
흡액성 발포 부재(15c)는, 전후 방향에서는 커낼 부재(14k)의 밑아래부(C)에, 좌우 방향에서는 커낼부의 바닥면부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낼 시트(12b)와 흡액성 발포 부재(15c)는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커낼 부재(14m)에서는, 커낼 시트(12b)가 흡액성 발포 부재(15c)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커낼부의 내면에서, 바닥면부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일부가 친수성이 되고, 체액의 젖음성이 우수해지고, 체액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는 동시에, 커낼 시트(12b)가 효과적으로 보강되고, 커낼부의 주저앉음 현상이 대폭으로 경감되고, 변형이 거의 없어지고, V자형 또는 U자형의 입체 구조가 밑아래부(C)를 중심으로하는 영역에 걸쳐서 유지되기 쉬워지고, 그 전후의 영역도 변형이 경감된다.
도 5(I) 및 도 5(J)에 도시된 커낼 부재(14n)는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4b)와 동일하지만, 커낼 시트(12b)[예를 들어, 소수성의 부직포(예를 들어, PP 제 SMMS 부직포)]의 상측(내측)에 친수성 벌키 웹(15d)[예를 들어, 표면 친수화 PET 섬유 웹(예를 들어, 중공 PET 섬유(예를 들어, 7데니어)의 카드 웹(예를 들어, 목부량 50g/㎡)에 가볍게 니들 펀치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벌키한 웹)]이 설치되어있다. 친수성 벌키 웹(15d)은 커낼부의 내부 용적의 1/3 정도를 충전하고 있다.
친수성 벌키 웹(15d)은, 전후 방향에서는 커낼 부재(14n)의 밑아래부(C)와 앞판(F) 및 뒷판(R)의 일부에 걸쳐서, 좌우 방향에서는 커낼부의 바닥면부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낼 시트(12b)와 친수성 벌키 웹(15d)은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커낼 부재(14n)에서는 커낼 시트(12b)가 친수성 벌키 웹(15d) 의해 피복되어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커낼부의 내면에서 바닥면부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일부가 친수성이 되고, 체액 젖음성이 우수한 것이 되어, 체액의 이동이 원활해지는 동시에, 커낼 시트(12b)가 효과적으로 보강되고, 커낼부의 주저앉음 현상이 대폭으로 경감되고, 변형이 거의 없어지고, V자형 또는 U자형의 입체 구조가 밑아래부(C)를 중심으로 하는 영역에 걸쳐 유지되기 쉬워지고, 그 전후의 영역도 변형이 경감된다.
3. 고정 부재의 구성 및 커낼 부재와의 관계
S 파트는 커낼 부재와 고정 부재를 갖는다.
고정 부재는 착용시에, 커낼 부재의 두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커낼 부재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 부재에 사용되는 재료는 예를 들어, 부직포, 부직포와 액 불투과성 필름(예를 들어, 통기성 PE 필름)을 적층시킨 다층 시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액 불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록 커낼 부재의 단부까지 체액이 전해져도, 거기에서 외부로 배어나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부재인 고정 부재와 커낼 부재를 결합시켜서 일체화하여 S 파트로 해도 좋고(별체 결합형), 고정 부재와 커낼 부재를 연속된 한 부재의 것으로 하여 S 파트로 해도 좋다(연속 일체형).
도 6은 다양한 S 파트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는 각각 별체 결합형의 S 파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S 파트는 도 2(A)에 도시된 S 파트와 같은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S 파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형 기저귀의 형태의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다.
고정 부재로서 기능하는 전방 피복부(16a) 및 후방 피복부(18a)와, 커낼 부재(14a)를 결합시켜서 일체화하여 S 파트가 구성된다.
후방 피복부(18a)의 좌우 양측에는 착탈 부재(30)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피복부(16a)의 하면에는 착탈 부재(30)와 서로 착탈이 자유롭게 되도록 착탈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된 S 파트는 도 1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의 S 파트와 같은 것이다(단, 도 6(B)는 간략화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된 S 파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팬츠형 기저귀의 형태의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다.
고정 부재로서 기능하는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커버(18)와, 커낼 부재(14)를 결합시켜서 일체화하여 S 파트가 구성된다.
전방 피복부(16a) 및 후방 피복부(18a)의 좌우 가장자리부의 요부 씰부(Z)끼리, 요부 씰부(Z')끼리는 서로 결합하고 있다. 이 결합은 커낼 부재(14)와의 일체화 전에 수행해도 좋고, 후에 수행해도 좋고, 동시에 수행해도 좋다.
전방 피복부(16a)와 후방 피복부(18a)는 하나의 원재료에서 잘라내어 제조할 수 있다.
도 6(C) 및 도 6(D)에는 각각 연속 일체형의 S 파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6(C)에 도시된 SP는 테이프형 기저귀의 형태의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6(C)에 도시된 SP에서는, 커낼 부재(14o)는 두부(10h)와 커낼 시트(12e)를 갖는다. 커낼 시트(12e)는 전방 피복부(16b) 및 후방 피복부(18b)와 연속된 한 부재(예를 들어,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두부(10h)는 이 부재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신축체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후방 피복부(18b)의 좌우 양측에는 착탈 부재(30)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피복부(16b)의 하면에는 착탈 부재(30)와 서로 착탈이 자유롭게 되도록 착탈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 6(D)에 도시된 SP는 팬츠형 기저귀의 형태의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6(D)에 도시된 SP에서는, 커낼 부재(14p)는 두부(10i)와 커낼 시트(12f)를 갖는다. 커낼 시트(12f)는 전방 피복부(16c) 및 후방 피복부(18c)와 연속된 한 재료(예를 들어,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두부(10i)는 이 부재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신축체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전방 피복부(16b) 및 후방 피복부(18b)의 좌우 가장자리부의 요부 씰부(Z)끼리, 요부 씰부(Z')끼리는 서로 결합하고 있다.
도 6(E)에는 별체 결합형의 S 파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6(F)에는 도 6(E)에 도시된 S 파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 6(E)에 도시된 SP는 테이프형 기저귀의 형태의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6(E)에 도시된 SP는, 도 6(F)에 도시된, 좌우 한 쌍의 두부(10j)와 커낼 시트(12g)를 갖는 커낼 부재(14q)와, 고정 부재로서 기능하는, 좌측 피복부(38) 및 우측 피복부(40)로 구성된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낼 부재(14q)의 좌측에 좌측 피복부(38), 커낼 부재(14q)의 우측에 우측 피복부(40)를 각각 결합부(90)에서 결합시켜서 일체화한다. 좌측 피복부(38) 및 우측 피복부(40)의 앞판(F) 부분을 전방 피복부, 뒷판(R) 부분을 후방 피복부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좌측 피복부(38)의 후방 좌측 및 우측 피복부(40)의 후방 우측에는 각각 착탈 부재(30)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피복부(38) 및 우측 피복부(40)의 하면에는 각각 착탈 부재(30)와 서로 착탈이 자유롭게 되도록 착탈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피복부(38)와 우측 피복부(40)는 하나의 원료에서 잘라내어 제조할 수도 있다.
4. R 파트의 구성
도 7 및 도 8은 각각 다양한 R 파트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A)는 R 파트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 중의 ⅦB-Ⅶ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R 파트는 시트상의 방누체(22a)와, 흡수체(24a)와, 표면 시트(26a)를 갖는다.
흡수체(24a)는 액 불투과성의 방누체(22a) 위에, 앞판(F)으로부터 밑아래부(C)를 거쳐 뒷판(R)에 이르기까지 연속하여 배치되고, 그 상면의 전체를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26a)가 피복하고 있다.
방누체(22a)와 표면 시트(26a)는 전후 좌우의 단부에서 결합하고, 흡수체(24a)가 밖으로 새거나, 비어져 나오거나 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7(A)에 도시된 R 파트는 특별히 크기를 한정하지 않는다.
R 파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전장)(LR)는 S 파트의 전장(LS)에 비하여 선택의 여지가 크다.
R 파트의 전장(LR)은 S 파트의 전장(LS)보다 짧아도 길어도 좋고, 또한 커낼 부재의 전장(LC)보다 짧아도 길어도 좋다.
R 파트의 좌우 방향의 폭(전폭)(WR)은 S 파트의 전폭(WS)에 비하여 선택의 여지가 크다.
R 파트의 전폭(WR)은 S 파트의 전폭(WS)보다 짧아도 길어도 좋고, 또한, 커낼 부재의 전폭(WC)보다 짧아도 길어도 좋다. 예를 들어, S 파트의 전폭(WS)이 커낼 부재의 전폭(WC)보다 길고, 또한, R 파트의 전폭(WR)이 S 파트의 전폭(WS)보다 길게 해도 좋다.
후술하는 도 7(I) 및 도 7(J)에 도시된 R 파트는, LR이 비교적 짧고, WR이 비교적 긴 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누체는 체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시트상의 방누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방누체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백 시트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PE, PP, PET, EVA 등의 수지 필름; 상기 수지의 발포 시트 등의 체액 불투과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체액 불투과성 시트는 통기성 필름 등의 통기성을 갖는 것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수지의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감촉이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름과 부직포의 복층 시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직포로서는 비교적 저목부(低目付)의 SB, 써멀본드 부직포(예를 들어, 에어 스루 타입)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수지의 필름과 후술하는 시트상 흡수체의 복층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고내수성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고내수성 부직포로서는, 예를 들어, 내수도 100mmH2O 이상의 내수성을 갖는 SMS, 부직포 웹의 세공을 마이크로 피 브릴화 셀룰로오스(MFC)나 왁스로 충진함으로써 내수성을 부여받은 SMS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필름과 고내수성 부직포의 복층 시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방누체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방누체는 시트상이며, 흡수체를 상부에 수납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수체는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흡수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된 목재 펄프, 분쇄된 목재 펄프와 입상(粒狀) 또는 분체상의 SAP를 혼합하고 매트상으로 성형한 흡수체, 얇은 시트상으로 성형된 SAP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상 흡수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흡수체는 그 형상을 유지하고, 동시에 펄프나 SAP에서 발생하는 미분(微粉)의 발생이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티슈 페이퍼, 부직포, 개공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코어 랩핑재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코어 랩핑재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코어 랩핑재도 포함하여 「흡수체」라고 부른다.
시트상 흡수체는 형태 안정성, SAP의 탈락 방지 성능 등이 우수하다.
시트상 흡수체 중에서도, SAP를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함유하는 고흡수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흡수성 시트에서의 SAP의 함유량은 고흡수성 시트의 안정성 등의 점에서 9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시트는 SAP를 주성분으로 하는 극히 얇은 시트상 흡수체이다. 고 흡수성 시트는 SAP의 함유량이 극히 높기 때문에, 두께가 극히 얇다. 고흡수성 시트의 두께는 1.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시트는 SAP를 주성분으로 하는 극히 얇은 시트상 흡수체이면 구성이나 제조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ir Laid법으로 얻어지는 고흡수성 시트를 들 수 있다. Air Laid법은 분쇄한 목재 펄프와 SAP를 혼합하고, 결합제를 첨가하여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고흡수성 시트를 얻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고흡수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미국 레오니어(Rayonier)사 제조의 NOVATHIN(미국 등록상표), 오지 키노크로스사 제조의 B-SAP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SAP의 분산 슬러리를 부직포 등의 체액 투과성 시트 위에 코팅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고흡수성 시트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SAP의 분산 슬러리는 SAP와 마이크로 피브릴화 셀룰로오스(MFC)를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에 분산시킨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고흡수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주)니혼 큐슈타이 기쥬츠 켄큐죠 제조의 MegaThin(등록상표)이 알려져 있다.
그 밖에, 예를 들어, 기모상 부직포에 SAP를 대량으로 담지시키고, 핫 멜트 접착제, 에멀션 바인더, 수성 섬유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고흡수성 시트, 섬유상 SAP를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혼합하여 웹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고흡수성 시트, SAP층의 상하를 티슈로 끼운 SAP 시트를 들 수 있다.
흡수체는 방누체의 상부에 적어도 1층 배치된다. 즉, 흡수체는 1층이라도 좋고, 2층 이상(복수층)이라도 좋다.
또한, 흡수체는 접은 상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R 파트가 추가로 표면 시트를 갖고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로서는, 종래의 흡수체 제품의 탑 시트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항균성 등의 스킨 케어 기능을 부여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국제공개 제02/00154호 팜플렛에서 제안한 바와 같은 특수한 스킨 컨택트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C)는 다른 형태의 R 파트의 평면도이다. 도 7(D)는 도 7(C) 중의 ⅦD-ⅦD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R 파트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R 파트와 동일하지만, 흡수체(24a) 대신에, 전부 및 후부에 존재하는 2개의 흡수체(24b)를 갖는 점에서 다르다.
전후 방향의 중앙부의 흡수체(24b)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방누체(22a)와 표면 시트(26a)가 결합되어 있다.
이 형태의 R 파트는 흡수체가 없는 중앙부를 절곡선으로 하여 전후로 접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도 7(E)는 또 다른 형태의 R 파트의 평면도이다. 도 7(F)는 도 7(E) 중의 ⅦF-ⅦF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7(E) 및 도 7(F)에 도시된 R 파트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R 파트와 동일하지만, 흡수체(24a) 대신에, 좌우 양측에 존재하는 2개의 가늘고 긴 흡수체(24c)를 갖는 점에서 다르다.
좌우 방향의 중앙부의 흡수체(24c)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방누체(22a)와 표면 시트(26a)가 결합되어 있다.
이 형태의 R 파트는 흡수체가 없는 중앙부를 절곡선으로 하여 좌우로 접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도 7(G)는 또 다른 형태의 R 파트의 평면도이다. 도 7(H)는 도 7(G) 중의 ⅦH-ⅦH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7(G) 및 도 7(H)에 도시된 R 파트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R 파트와 동일하지만, 흡수체(24a) 대신에 좌우 양 가장자리부를 상측으로 되접고, 중앙부가 1층, 그 좌우 양측이 2층으로 되어 있는 흡수체(24d)를 갖는 점에서 다르다.
이 형태의 R 파트는 흡수체가 1층인 중앙부를 절곡선으로 하여 좌우로 접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도 7(I)는 또 다른 형태의 R 파트의 평면도이다. 도 7(J)는 도 7(I) 중의 ⅦJ-ⅦJ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7(I) 및 도 7(J)에 도시된 R 파트는 시트상의 방누체(22b)와, 2개의 흡수체(24e)와, 표면 시트(26b)를 갖는다.
시트상의 방누체(22b)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예를 들어 100 내지 150mm), 거의 밑아래부(C)에만 존재한다.
시트상의 방누체(22b)는 좌우 방향의 폭이 비교적 길고(예를 들어 200mm 정도), 좌우에 날개(wing)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흡수체(24e)는 각각,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것(예를 들어, 길이 100mm, 폭 50mm)가 사용되어 방누체(22b)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그 상면의 전체를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26b)가 피복하고, 또한, 그 상측을 좌우 가장자리부가 상측으로 되접힌 방누체(22b)가 피복하고 있다. 방누체(22b)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흡수체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방누체(22b)와 표면 시트(26b)는 전후의 단부에서 결합하고 있다.
방누체(22b)는 좌측의 흡수체(24e)의 하면, 좌측면 및 상면의 3면을 피복하고, 좌측의 흡수체(24e)의 전측 및 후측에서, 흡수체(24e)가 없는 가장자리부에서 되접힌 부분끼리가 결합되어, 흡수체(24e)가 내부에 배치된 주머니 형상의 캡슐을 형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방누체(22b)는 우측의 흡수체(24e)의 하면, 우측면 및 상면의 3면을 피복하고, 우측의 흡수체(24e)의 전측 및 후측에서 흡수체(24e)가 없는 가장자리부에서 되접힌 부분끼리가 결합되어, 흡수체(24e)가 내부에 배치 된 주머니 형상의 캡슐을 형성하고 있다.
좌우 양측의 캡슐은 대향하는 개구부를 갖는다. 이 개구부는 커낼부로부터 이송된 체액의 입구가 된다.
도 8(A)는 또 다른 형태의 R 파트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긴장 상태)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 중의 ⅧB-Ⅷ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R 파트는 시트상의 방누체(22a)와, 흡수체(24f)와, 표면 시트(26a)를 갖는다.
흡수체(24f)는 전후 방향의 중앙부가 움푹 패인 형상을 하고 있고, 액 불투과성의 방누체(22a) 위에, 앞판(F)으로부터 밑아래부(C)를 거쳐 뒷판(R)에 이르기까지 연속하여 배치되고, 그 상면의 전체를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26a)가 피복하고 있다.
이 형태의 R 파트는 흡수체의 좌우 방향의 폭이 좁아지고 있는 중앙 부분을 절곡선으로 하여 전후로 접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방누체(22a)와 표면 시트(26a)는 전후 좌우의 단부에서 결합하고, 흡수체(24a)가 밖으로 새거나, 비어져 나오거나 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방누체(22a)의 좌우의 가장자리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누체(22a)와 표면 시트(26a)의 좌우의 단부의 결합부에는 필라멘트상의 2개의 신축 부재(28a)가 방누체(22a)와 표면 시트(26a)에 끼여 형성되어 있다.
신축 부재(28a)는, 종래의 흡수 물품에서의 이너 레그 개더(ILG)나 아우터 레그 개더(OLG)와 같이,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하여 체액의 가로 누출을 방지하는 목적의 것이 아니라, 그 전후 방향의 길이를 줄이는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C자형)으로 변형하여 기립하기 쉽게 하여, R 파트의 표면과 커낼부의 바닥면부의 곡면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방누체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그 전후 방향의 길이를 줄이는 작용을 나타내는 신축 부재를 갖는 것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또한, 이와 같이, 방누체가, 착용시에, 적어도 밑아래부에서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이 되는 것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도 8(C)는 또 다른 형태의 R 파트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긴장 상태)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8(D)는 도 8(C) 중의 ⅧD-ⅧD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8(C) 및 도 8(D)에 도시된 R 파트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R 파트와 동일하지만, 또한, 표면 시트(26a)의 전후 단부에 각각 S 파트(도시하지 않음)와 R 파트를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시키는 착탈 부재(30a)를 갖고, 또한, 표면 시트(26a)의 밑아래부(C)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낼부의 바닥면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42)를 갖는 점에서 다르다.
착탈 부재(30a)는 착탈 부재(3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종 면 지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착탈 부재(30a)로서, 점착 테이프, 벨크로 테이프(수), S 파트에 형성되는 착탈 부재로서, TLZ(암), ZLZ(암)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재(42)는 사용 전에는 박리지로 피복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C) 및 도 8(D)에 도시된 R 파트는, 착탈 부재(30a) 및 점착 부재(42)의 작용에 의해, S 파트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S 파트와 R 파트가 착탈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도 8(E)는 또 다른 형태의 R 파트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긴장 상태)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8(F)는 도 8(E) 중의 ⅧF-ⅧF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8(E) 및 도 8(F)에 도시된 R 파트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R 파트와 동일하지만, 방누체(22c)가 전후 단부에서 상측으로 되접고, 되접힌 부분의 좌우 가장자리부가 표면 시트(26a)와 결합하여, 전방 포켓부(44) 및 후방 포켓부(46)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이 형태의 R 파트는, 전방 포켓부(44) 및 후방 포켓부(46)에 의해, 전후 누출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5. S 파트의 커낼 시트의 하면의 일부와 R 파트의 흡수체(또는 흡수체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 또는 확산 시트)의 표면의 일부와의 결합 상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S 파트와 R 파트는 적어도 S 파트의 커낼 시트의 하면의 일부와 R 파트의 흡수체(또는 흡수체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 또는 확산 시트)의 표면의 일부가 결합하고 있다. 이로써, 커낼부에 수용된 체액을 통로를 경유하여 흡수체의 표면에 원활하게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 및 도 10은 다양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나타내는 밑아래부(C)에서의 모식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a)은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4b)를 갖는 S 파트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R 파트를 갖는다.
S 파트의 커낼 시트(12b)의 하면과 R 파트의 흡수체(24a)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26a)의 표면은,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결합부(84a)에서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커낼 시트의 하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의 일부와 흡수체 또는 그것을 피복하는 표면 시트 등의 표면의 일부가 바닥면 결합부에서 결합하고 있는 것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바닥면 결합부(84a)는 좌우 방향의 폭이 짧은 선형의 것이지만, 좌우 방향의 폭이 긴 띠 형상의 것으로 해도 좋다.
바닥 결합부(84a)는 밑아래부(C)에만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밑아래부(C)로부터 앞판(F) 및/또는 뒷판(R)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바닥면 결합부가 밑아래부(C)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도 9(B)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b)은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4b)를 갖는 S 파트와, 도 7(E) 및 도 7(F)에 도시된 R 파트를 갖는다.
S 파트의 커낼 시트(12b)의 하면과 R 파트의 흡수체(24c)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26a)의 표면은, 좌우 방향의 중앙부(흡수체(24c)가 존재하지 않는 개소)에서, 전후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결합부(84b)에서 결합하고 있다.
바닥면 결합부(84b)는 좌우 방향의 폭이 짧은 선형의 것이지만, 좌우 방향의 폭이 긴 띠 형상의 것으로 해도 좋다.
바닥면 결합부(84b)는 밑아래부(C)에만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밑아래부(C)로부터 앞판(F) 및/또는 뒷판(R)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도 9(C)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c)은 도 9(B)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b)과 동일하지만, 표면 시트(26c)가 좌우 가장자리부에서 하측으로 되접혀, 신축 부재(28b)를 피복하고 있다. 신축 부재(28b)는 상술한 신축 부재(28a)와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므로, 바닥면 결합부(84c)를 좌우 방향의 폭이 긴 띠 형상의 것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바닥면 결합부(84c)는 좌우 방향의 폭이 긴 띠 형상의 것이지만, 좌우 방향의 폭이 짧은 선형의 것으로 해도 좋다.
바닥면 결합부(84c)는 밑아래부(C)에만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밑아래부(C)로부터 앞판(F) 및/또는 뒷판(R)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도 10(A)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d)은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4b)를 갖는 S 파트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R 파트를 갖는다.
S 파트의 커낼 시트(12b)의 하면과 R 파트의 흡수체(24a)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26a)의 표면은, 좌우 방향의 중앙부 및 그 좌우 양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결합부(84d) 및 측면 결합부(92)의 3개소에서 결합하고 있다.
이 형태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커낼부의 V자형 또는 U자형에 핏트되도록, R 파트가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C자형)으로 변형하여 기립하고, 커낼부의 바닥면부터 측면에 걸친 부분과 결합하여 보강하기 때문에, 커낼부의 입체 구조가 유지되기 쉬워지고, 착용자의 체위에 변화나 동작에 의해 커낼부가 찌부러지거나, 변형되거나 하는 것이 대폭으로 억제된다.
이와 같이, 커낼 시트의 하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의 일부에 더하여, 커낼 시트의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부 부근의 일부와 흡수체 또는 그것을 피복하는 표면 시트 등의 표면의 일부가 좌우의 측면 결합부에서 결합하고 있는 것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측면 결합부(92)는 밑아래부(C)에만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밑아래부(C)로부터 앞판(F) 및/또는 뒷판(R)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측면 결합부가 밑아래부(C)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이 형태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S 파트의 커낼 시트(12b)의 하면과 R 파트의 흡수체(24a)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26a)의 표면은 3개소에서 결합하고 있는데, 커낼부의 바닥면부터 측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측면 결합부를 갖는 흡수체 물품은 착용시에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형성하기 쉬워지고, 특히, 밑아래부에서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이 커진다.
도 10(B)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e)은 도 9(C)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c)과 동일하지만, S 파트의 커낼 시트(12b)의 하면과 R 파트의 흡수체(24c)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26c)의 표면이 좌우 방향의 중앙부 및 그 좌우 양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결합부(84e) 및 측면 결합부(92a)의 3개소에서 결합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3개소에서 결합하는 것의 효과는 도 10(A)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d)과 동일하다.
도 10(B)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e)에서는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흡수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좌우로 절곡되기 쉬워지게 되어 있으므로, 커낼부의 단면 형상이, 도 10(A)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d)이 U자형에 가까운 형상을 나타내는 것에 비하여, V자형에 가까워진다.
이 형태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S 파트의 커낼 시트(12b)의 하면과 R 파트의 흡수체(24c)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26c)의 표면은 3개소에서 결합하고 있는데, 커낼부의 바닥면부터 측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도 10(C)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f)은 도 3(A)에 도시된 커낼 부재(14b)를 갖는 S 파트와, 좌우 양측에 캡슐을 갖는 R 파트를 갖는다.
R 파트에서는 방누체(22d) 위에 좌우 방향의 거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흡수체(24g)와, 흡수체(24g)의 위를 피복하는 확산 시트(48)와, 확산 시트(48)의 좌우 양측의 위에 존재하는 2개의 흡수체(24h)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상의 방누체(22d)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예를 들어, 120mm 정도), 거의 밑아래부(C)에만 존재한다.
시트상의 방누체(22d)는 좌우 방향의 폭이 비교적 길고(예를 들어, 300mm 정도), 좌우로 날개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흡수체(24h)는 각각,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것(예를 들어, 길이 100mm, 폭 50mm)이 사용된다.
방누체(22d)는 좌우의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으로 되접히고, 전단 및 후단(모두 도시하지 않음)에서 되접힘 부분끼리가 결합되어, 주머니 형상의 캡슐을 형성하고 있다.
좌우 양측의 캡슐은 대향하는 개구부를 갖는다. 이 개구부는, 커낼부로부터 이송된 체액의 입구가 된다.
확산 시트(48)는 소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로를 갖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체액 흡수성이나 체액 유지성을 갖지 않는 것이 소변의 이동이 빠르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에 개공을 갖는 요철 시트 부재(개공 요철 시트 부재)를 적합하게 들 수 있다.
S 파트의 커낼 시트(12b)의 하면과 R 파트의 흡수체(24g)를 피복하는 확산 시트(48)의 표면은,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결합부(84f)에서 결합하고 있다. 또한, S 파트의 커낼 시트(12b)의 하면과 R 파트의 방누체(22d)의 되접힘부의 단부는, 좌우 양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S 파트-R 파트 측연 결합부(94)에서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S 파트와 R 파트는 도 10(C) 중 3개소에서 결합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R 파트의 전후단은 커낼 시트(12b)의 하면(바깥면)에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10(C)에 도시된 캡슐형의 흡수체 물품은 밑아래부(C)에서 착용자의 배설부를 완전히 덮도록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여성용의 실금 용품이나 밤용 생리대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6. S 파트와 R 파트의 그 밖의 결합 상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기능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S 파트의 커낼 시트의 하면의 일부와 R 파트의 흡수체(또는 흡수체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 또는 확산 시트)의 표면의 일부가 결합하고 있으면 좋고, 그 밖의 개소에서는, S 파트와 R 파트는 결합하고 있지 않아도 좋지만, 결합하고 있는 편이 외관이 우수한 것이 된다.
R 파트의 전장(LR)이 S 파트의 전장(LS)보다 긴 경우에는, R 파트의 전단 및/또는 후단 부근의 좌우 양 측연부를 S 파트의 고정 부재(예를 들어, 전방 피복부 및/또는 후방 피복부)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R 파트의 전장(LR)이 S 파트의 전장(LS) 이하인 경우에는, R 파트의 전단 및/또는 후단을 S 파트의 고정 부재(예를 들어, 전방 피복부 및/또는 후방 피복부)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그 경우, 결합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좌우 양 가장자리부 및 중앙부의 3개소로 해도 좋고, 일정 간격으로 스팟(spot)적으로 결합해도 좋고, 전면을 띠 형상으로 결합해도 좋다. 이 경우, 액밀(液密)하게 결합시킬 필요는 없다.
그 중에서도, R 파트의 전장(LR)이 커낼 부재의 전장(LC) 이하인 경우, 예를 들어, 밑아래부(C)에만 R 파트가 존재하는 것 같은 경우에는, R 파트의 전단 및 후단이 커낼 시트에 좌우 방향으로 부분적 또는 전역에 결합시킬 수 있다.
7. 체액의 이송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커낼 시트의 상측으로부터 흡수체의 표면에 체액을 이송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는, 예를 들어, 커낼 시트 자체가 갖는 미소 개구(예를 들어, 커낼 시트가 액 투과성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액 투과성의 부직포의 세공), 커낼 시트에 형성된 슬릿, 커낼 시트에 형성된 노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착용하고 있는 착용자가 체액을 배출한 경우, 배출된 체액이 커낼 시트의 상측에 수용되고, 그 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낼 시트의 상측으로부터 상술한 통로를 통하여 흡수 표면에 이송된다.
8.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은 그 제조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S 파트 및 R 파트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그 후, S 파트와 R 파트를 결합시키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 파트 및 R 파트를 각각 모듈화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이해지고, 따라서, 투자 비용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생산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1(A)는 팬츠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 물품을 그 웨이스트 개더의 좌우 양측의 요부 씰부(도면 중의 Z 및 Z')에서 절단하고,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 전개도이다. 도 11(B)는 상기의 상태의 도 11(A) 중의 XIB-XI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1(C)는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의(이완 상태의) 도 11(A) 중의 XIC-XIC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1)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100)과 동일하지만, 커낼 시트의 상측으로부터 흡수체 표면에 체액을 이송하는 통로로서, 다양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100)의 설명으로서는 생략한 부분도 포함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부재의 재료는 예시이다.
도 11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1)은 아이용 팬츠형 기저귀[슈퍼 빅 사이즈 (체중 13 내지 25kg 정도용)]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흡수체 물품(101)의 각 부재의 크기는 슈퍼 빅 사이즈인 경우의 일례이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흡수체 물품의 사이즈가 다르면, 당연히 각 부재의 크기도 달라진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흡수체 물품(101)의 각 부재의 크기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긴장 상태의 것이다.
S 파트(SP)는 전장이 690mm, 전폭이 360mm(이완 상태에서는 200mm)이다.
커낼 시트 부재는 전장이 550mm, 전폭이 140mm이다. 커낼 시트(12)의 접힘 부분을 펼친 폭은 220mm이다. 좌우 한 쌍의 두부(10)의 폭은 20mm이다.
전방 피복부(16)는 전장이 130mm이다. 후방 피복부(18)는 전장이 160mm이다.
R 파트(RP)는 전장이 550mm, 전폭이 190mm이다.
흡수체(24)는 밑아래부(C)에서 폭이 좁아지고 있는 모래 시계 형상이며, 전장이 490mm, 전폭이 최대 180mm, 최소 90mm이다.
S 파트는 도 6(B)에 도시된 별체 결합형이다.
커낼 부재(14)의 전후 단부의 하면과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의 상면은 각각 커낼부-전단 결합부(80) 및 커낼부-후단 결합부(82)에서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띠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방누성을 갖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커낼 부재(14)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2개의 폴리우레탄 필라멘트가 신장 상태에서 그 상하면이 접착제에 의해 지지체인 부직포에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와 좌우 한 쌍의 두부(10) 사이를 연결하는 소수성의 커낼 시트(12)(목부량 15g/㎡의 SMMS 부직포)를 갖는다.
커낼 시트(12)는 소수성이기 때문에, 그 세공은 체액을 흡수체의 표면으로 이송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은 나타내지 않는다.
커낼 시트(12)의 앞판(F)에는 좌우로 가로지르는 C자형의 전부(前部) 슬릿(50)과, 그것보다 후측에 존재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는 선형의 전방 슬릿군(52)이 형성되어 있다. 전부 슬릿(50) 및 전방 슬릿군(52)은 S 파트의 커낼부로부터 R 파트의 흡수체(24)로 체액을 이송하는 통로(전방 출구)가 된다.
또한, 커낼 시트(12)의 뒷판(R)으로부터 밑아래부(C)에 걸친 영역에는 좌우로 가로지르는 C자형의 후부(後部) 슬릿(54)과, 그것보다 전측에 존재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는 선형의 후방 슬릿군(56)이 형성되어 있다. 후부 슬릿(54) 및 후방 슬릿군(56)은 S 파트의 커넬부로부터 R 파트의 흡수체(24)로 체액을 이송하는 통로(후방 출구)가 된다.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는 각각 2장의 부직포(목부량 13g/㎡의 PP제의 SMMS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피복부(16)의 전단 부근 및 후방 피복부(18)의 후단 부근에는, 각각 전폭에 걸쳐서, 웨이스트 개더(20)[두께 0.35mm, 폭 1mm의 고무사 3개가 12mm 간격으로 배치되고,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를 구성하는 2장의 부직포에 끼임으로써 구성되어 있다.]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피복부(16)의 웨이스트 개더(20)보다 후측 및 후방 피복부(18)의 웨이스트 개더(20)보다 전측에는 각각 셔링 개더(21)[400dtex의 폴리우레탄 필라멘트 3개가 20mm 간격으로 배치되고,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를 구성하는 2 장의 부직포에 끼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의 좌우 가장자리부에는 요부 씰부(Z, Z')가 형성되어 있고, 요부 씰부(Z)끼리, 요부 씰부(Z')끼리 결합하여 팬츠형 기저귀를 형성한다.
전방 피복부(16)의 전단으로부터 70mm 후측의 위치에 커낼 부재(14)의 전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커낼 부재(14)의 전단 및 그 주위의 좌우 측연과 전방 피복부(16)의 하면이 핫 멜트 접착제로 스팟적으로 결합되고, 또한, 후방 피복부(18)의 후단으로부터 70mm 전측의 위치에 커낼 부재(14)의 후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커낼 부재(14)의 후단 및 그 주위의 좌우 측연과 후방 피복부(16)의 하면이 핫 멜트 접착제로 스팟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R 파트에서, 흡수체(24)는 시트형의 방누체(22)의 상측에 배치되고, 그 상면을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26)로 피복되어 있다. 방누체(22)와 표면 시트(26)는 흡수체(24)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좌우 양 가장자리에서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방누체(22)는 두께 18㎛의 PE 통기성 필름과 목부량 12g/㎡의 PP/PE 스펀 본드 부직포의 적층체이다.
흡수체(24)는 SAP와 펄프의 혼합물(SAP/펄프=60/40(질량비))을 압축하여 두께 1.5mm로 하고, 목부량 20g/㎡의 티슈로 피복한 것이다.
표면 시트(26)는 목부량 20g/㎡의 PE/PET제 에어 스루 부직포이다.
방누체(22)의 좌우 가장자리부에는 신축 부재(28)[4개의 폴리우레탄 필라멘트를 병렬로 배치하고(폭 30mm), 부직포로 피복하여 구성되어 있다.]가 형성되어 있다. 신축 부재(28)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하단이 방누체(22)의 하면에 결합되고, 표면 시트(26)의 상면으로 접힌 상태로 배치된다.
신축 부재(28)는 흡수체(24)의 측연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축 부재(28) 자체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할 필요는 없다.
S 파트와 R 파트 사이에서는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커낼 시트(12)의 하면[커낼 시트(12)로 구성되는 커낼부의 바닥면의 하측면]의 일부와 흡수체(24)의 표면[표면 시트(26)의 표면]의 일부가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밑아래부(C)로부터 앞판(F)에 걸쳐 연장되는 선형의 바닥면 결합부(84)(길이 230mm, 폭 5mm)에서 결합하고 있다.
또한, S 파트의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의 하면과 R 파트의 접힌 신축 부재(28)가 각각 R 파트-전단 결합부(86) 및 R 파트-후단 결합부(88)에서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S 파트와 R 파트는 일체화되어 있다. S 파트와 R 파트의 전방 및 후방의 결합은 바닥면 결합부(84)에서의 결합을 보강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 파트의 커낼 부재(14)는 이완 상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의 간격이 좁아지고, 커낼 시트(12)에 의해 형성되는 커낼부는 깊어져서 V자형 또는 U자형의 형상을 나타낸다.
흡수체 물품(101)의 착용시에는 적어도 일부에 신축성을 갖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만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게 되고, 흡수체(24)를 포함하는 R 파트는 착용자의 피부와는 확실히 이간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2(A)는 테이프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 전개도이다. 도 12(B)는 상기한 상태의 도 12(A) 중의 XIIB-XII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2(C)는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이완 상태의) 도 12(A) 중의 XIIC-XIIC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부재의 재료는 예시이다.
도 12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2)은 아이용 테이프형 기저귀[M 사이즈(체중 6 내지 11kg 정도용)]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흡수체 물품(102)의 각 부재의 크기는 M 사이즈인 경우의 일례이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흡수체 물품의 사이즈가 다르면, 당연히 각 부재의 크기도 달라진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흡수체 물품(102)의 각 부재의 크기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긴장 상태의 것이다.
흡수체 물품(10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에 신축성을 갖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k)와 좌우 한 쌍의 두부(10k)에 좌우 양 가장자리가 결합하고, 중앙부가 착용시에 하측으로 처지는 커낼 시트(12h)를 갖는, 커낼 부재(14r)와, 착용시에, 커낼 부재(14r)의 두부(10k)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커낼 부재(14r)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서 기능하는 전방 피복부(16b) 및 후방 피복부(18b)를 갖는, 신체 접촉 파트(SP)와; 체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시트상의 방누체(22e)와, 방누체(22e)의 상측에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24i)를 갖는, 신체 비접촉 파트(RP)를 구비한다.
S 파트(SP)는 전장이 450mm, 전폭이 340mm이다.
커낼 시트 부재는 길이가 370mm, 전폭이 120mm이다. 좌우 한 쌍의 두부(10k)의 폭은 15mm이다.
전방 피복부(16b)는 전장이 70mm이다. 후방 피복부(18b)는 전장이 90mm이다.
R 파트(RP)는 전장이 370mm, 전폭이 140mm이다.
흡수체(24i)는 직사각형상이고, 전장이 340mm, 전폭이 110mm이다.
좌우 한 쌍의 두부(10k)의 폴리우레탄 필라멘트가 존재하지 않는 내측 연장부(58)(좌우 방향의 길이 40mm)의 선단부의 하면과 커낼 시트(12h)는 결합부(78a)에서 결합하고 있다.
S 파트는 도 6(A)에 도시된 별체 결합형이다.
커낼 부재(14r)의 전후 단부의 하면[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k)의 내측 연장부(58)의 결합부(78a)보다 외측의 부분의 하면]과 전방 피복부(16b) 및 후방 피복부(18b)의 상면은 각각 커낼부-전단 결합부(80b) 및 커낼부-후단 결합부(82b)에서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띠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방누성을 갖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커낼 부재(14r)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k)[3개의 폴리우레탄 필라멘트가 신장 상태에서 그 상하면이 점착제에 의해 지지체인 부직포에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와 좌우 한 쌍의 두부(10k) 사이를 연결하는 액 투과성의 커낼 시트(12h)[목부량 15g/㎡의 친수화 가공을 실시한 PE/PP 스펀 본드 부직포]를 갖는다.
액 투과성의 커낼 시트(12h)가 갖는 세공은 커낼 시트(12h)의 상측으로부터 흡수체(24i)의 표면에 체액을 이송하는 통로로서 기능한다.
전방 피복부(16b) 및 후방 피복부(18b)는 각각 1장의 부직포(목부량 15g/㎡의 PP제의 SMMS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후방 피복부(18b)의 좌우 양측에는 착탈 부재(30b)(벨크로 테이프(수))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피복부(16b)의 하면에는 착탈 부재(30b)와 서로 착탈이 자유롭게 되도록 착탈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흡수체 물품(102)은 테이프형 기저귀가 되어 있다.
전방 피복부(16b)의 전단으로부터 30mm 후측의 위치에 커낼 부재(14r)의 전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커낼 부재(14r)의 전단 및 그 주위의 좌우 측연과 전방 피복부(16b)의 하면이 핫 멜트 접착제로 결합되고, 또한, 후방 피복부(18b)의 후단으로부터 50mm 전측의 위치에 커낼 부재(14r)의 후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커낼 부재(14r)의 후단 및 그 주위의 좌우 측연과 후방 피복부(16b)의 하면이 핫 멜트 접착제로 결합되어 있다.
R 파트에서, 흡수체(24i)는 시트상의 방누체(22e)의 상측에 배치되고, 그 상면은 액 투과성의 코어 랩 시트(27)로 피복되어 있다. 방누체(22)와 코어 랩 시트(27)는 흡수체(24i)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좌우 양 가장자리에서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방누체(22e)는 두께 18㎛의 PE 통기성 필름과 목부량 12g/㎡ 의 PP/PE 스펀 본드 부직포의 적층체이다.
흡수체(24i)는 SAP와 펄프의 혼합물(SAP/펄프=60/40(질량비))을 압축하여 두께 1.5mm로 하고, 목부량 20g/㎡의 티슈로 피복한 것이다.
코어 랩 시트(27)는 목부량 13g/㎡의 표면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PP제의 스펀 본드 부직포이다.
S 파트와 R 파트 사이에서는 커낼 시트(12h)의 하면[커낼 시트(12h)로 구성되는 커낼부의 바닥면의 하측면]의 일부와 흡수체(24i)의 표면[코어 랩 시트(27)의 표면]의 일부가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밑아래부(C)부터 앞판(F)에 걸쳐 연장되는 선형의 바닥면 결합부(84g)(길이 120mm, 폭 5mm)에서 결합하고 있다.
또한, S 파트의 전방 피복부(16b) 및 후방 피복부(18b)의 하면과, 방누체(22e)의 상측으로 접힌 좌우 가장자리부[흡수체(24i) 및 코어 랩 시트(27)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는 각각 R 파트-전단 결합부(86a) 및 R 파트-후단 결합부(88a)에서 결합되어 있다.
또한, S 파트의 좌우 한 쌍의 두부(10k)의 내측 연장부(58)의 하면과, 방누체(22e)의 상측으로 접힌 좌우 가장자리부[흡수체(24i) 및 코어 랩 시트(27)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는 밑아래부(C)에서 S 파트-R 파트 측연 결합부(94a)에서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S 파트와 R 파트는 일체화되어 있다. S 파트와 R 파트의 전방 및 후방의 결합 및 좌우 가장자리부에서의 결합은 바닥면 결합부(84g)에서의 결합을 보강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 파트의 커낼 부재(14r)는 이완 상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k)의 간격이 좁아지고(밑아래부(C)에서는 40mm 정도), 커낼 시트(12h)에 의해 형성되는 커낼부는 깊어져서(밑아래부(C)에서 가장 깊어진다.), V자형 또는 U자형의 형상을 나타낸다.
흡수체 물품(102)의 착용시에는, 적어도 일부에 신축성을 갖는 좌우 한 쌍의 두부(10k)만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게 되고, 흡수체(24i)를 포함하는 R 파트는 착용자의 피부와는 확실하게 이간한다.
착용자가 체액을 배출하는 경우, 배출된 체액은 커낼 시트(12h)의 상측에 수용되고, 그 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낼 시트(12h)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통로를 통해 흡수체(24i)의 표면으로 이송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A)는 테이프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 전개도이다. 도 13(B)는 상기의 상태의 도 13(A) 중의 XIIIB-XIIIB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3(C)는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이완 상태의) 도 13(A) 중의 XIIIC-XIIIC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3)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102)과 동일하지만, 좌우 한쌍의 두부(10I)가 외측 연장부(60)(좌우 방향의 길이 30mm)를 갖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외측 연장부(60)는, 전방 피복부(16b) 및 후방 피복부(18b)의 각각과, 커낼부-전단 결합부(80c) 및 커낼부-후단 결합부(82c)에서 결합하고 있다.
외측 연장부(60)는 방누체(22e)와 S 파트-R 파트 측연 결합부(94b)에서 결합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도 13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3)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102)에 비하여, 좌우 한 쌍의 두부(10I)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도가 크다.
도 14는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A)는 팬츠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을 그 웨이스트 개더의 좌우 양측의 요부 씰부(도면 중의 Z와 Z')에서 절단하고,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14(B)는 상기한 상태의 S 파트의 평면도이다. 도 14(C)는 상기한 상태의 R 파트의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4)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101)과 동일하지만, S 파트와 R 파트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 및 각 부재의 크기의 점에서 다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부재의 재료는 예시이다.
도 14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4)은 아이용 팬츠형 기저귀[슈퍼 빅 사이즈 (체중 13 내지 25kg 정도용)]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흡수체 물품(104)의 각 부재의 크기는 슈퍼 빅 사이즈인 경우의 일례이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흡수체 물품의 사이즈가 다르면 당연히 각 부재의 크기도 달라진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흡수체 물품(104)의 각 부재의 크기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긴장 상태의 것이다.
S 파트(SP)는 전장이 690mm, 전폭이 360mm(이완 상태에서는 200mm)이다.
커낼 시트 부재는 전장이 570mm, 전폭이 140mm이다. 커낼 시트(12)의 접힘 부분을 펼친 폭은 220mm이다. 좌우 한 쌍의 두부(10)의 폭은 20mm이다.
전방 피복부(16)는 전장이 130mm이다. 후방 피복부(18)는 전장이 160mm이다.
R 파트(RP)는 전장이 500mm, 전폭이 210mm이다.
흡수체(24)는 밑아래부(C)에서 폭이 좁아지고 있는 모래 시계 형상이며, 전장이 430mm, 전폭이 최대 170mm, 최소 90mm이다.
S 파트와 R 파트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R 파트의 표면 시트(26)의 전단 및 후단에서는 각각 좌우 방향의 3개소에 착탈 부재(30c)(벨크로 테이프(수))가 형성되어 있다.
S 파트의 전방 피복부(16) 및 후방 피복부(18)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각 하면에 착탈 부재(30c)와 착탈이 자유로운 착탈 부재(TLZ(암))가 형성되어 있다.
R 파트의 착탈 부재(30c)가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위치는 S 파트의 전방 피복부(16)의 전단으로부터 35mm 정도 후측, 및 후방 피복부(18)의 후단으로부터 35mm 정도 전측이다.
또한, R 파트의 흡수체(24)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26)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밑아래부(C)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점착 부재(42a)(전후 방향의 길이 120mm, 좌우 방향의 폭 5mm)가 형성되어 있고, S 파트의 커낼 시트(12)의 하면(커낼부의 바닥면부)과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착탈 부재(30c) 및 이것과 착탈이 자유로운 착탈 부재와, 점착 부재(42a)의 작용에 의해, S 파트와 R 파트는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도시한 각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각 부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의 각 부의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다른 실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은, 종이 기저귀(아이용과 어른용), 실금 용품, 트레이닝 팬츠, 여성용 생리용품 등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두부
11: 탄성사
11a, 11b, 11d: 발포 부재
11c: 고무 시트
12, 12a, 12b, 12c, 12d, 12e, 12f, 12g, 12h: 커낼 시트
14, 14a, 14b, 14c, 14d, 14e, 14f, 14g, 14h, 14i, 14j, 14k, 14l, 14m, 14n, 14o, 14p, 14q, 14r: 커낼 부재
15: 액 불투과성 필름
15a, 15b: 액 불투과성 발포 부재
15c: 흡액성 발포 부재
15d: 친수성 벌키 웹
16, 16a, 16b: 전방 피복부
18, 18a, 18b: 후방 피복부
20: 웨이스트 개더
21: 셔링 개더
22, 22a, 22b, 22c, 22d, 22e: 방누체
24, 24a, 24b, 24c, 24d, 24e, 24f, 24g, 24h, 24i: 흡수체
26, 26a, 26b, 26c: 표면 시트
27: 코어 랩 시트
28, 28a, 28b: 신축 부재
30, 30a, 30b, 30c: 착탈 부재
32: 커낼 바닥면부
34: 커낼 좌측면부
36: 커낼 우측면부
38: 좌측 피복부
40: 우측 피복부
42, 42a: 점착 부재
44: 전방 포켓부
46: 후방 포켓부
48: 확산 시트
50: 전방 슬릿
52: 전부 슬릿군
54: 후방 슬릿
56: 후부 슬릿군
58: 내측 연장부
60: 외측 연장부
78, 78a, 90: 결합부
80, 80a, 80b, 80c: 커낼부-전단 결합부
82, 82a, 82b, 82c: 커낼부-후단 결합부
84, 84a, 84b, 84c, 84d, 84e, 84f, 84g: 바닥면 결합부
86, 86a: R 파트-전단 결합부
88, 88a: R 파트-후단 결합부
92, 92a: 측면 결합부
94, 94a, 94b: S 파트-R 파트 측연 결합부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1, 102, 103, 104: 흡수체 물품
C: 밑아래부
F: 앞판
R: 뒷판
RP: 신체 비접촉 파트
SP: 신체 접촉 파트
Z, Z': 요부 씰부

Claims (15)

  1. 신체 접촉 파트와 신체 비접촉 파트라는 두 가지의 모듈에 의해 구성되는 흡수체 물품으로서, 상기 신체 접촉 파트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에 신축성을 갖는 좌우 한 쌍의 두부와, 상기 좌우 한 쌍의 두부에 좌우 양 가장자리가 결합하고, 중앙부가 착용시에 하측으로 처지는 커낼 시트를 갖는 커낼 부재와,
    착용시에, 상기 커낼 부재의 상기 두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커낼 부재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갖고,
    상기 신체 비접촉 파트가,
    체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시트상의 방누체와,
    상기 방누체의 상측에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를 갖고,
    상기 커낼 시트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흡수체의 표면에 체액을 이송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낼 시트의 하면의 일부와 상기 흡수체의 표면의 일부가 결합하고 있고,
    착용시에, 상기 흡수체가 착용자의 피부와 이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착용자가 체액을 배출한 경우, 배출된 체액이 상기 커낼 시트의 상측에 수용되고, 그 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커낼 시트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통로를 통하여 상기 흡수체의 표면에 이송되는, 흡수체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낼 시트의 하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의 일부와 상기 흡수체의 표면의 일부가 바닥면 결합부에서 결합하고 있는, 흡수체 물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결합부가 밑아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수체 물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낼 시트의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부 부근의 일부와 상기 흡수체의 표면의 일부가 좌우의 측면 결합부에서 결합하고 있는, 흡수체 물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측면 결합부가 밑아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수체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앞판을 피복하는 전방 피복부와 뒷판을 피복하는 후방 피복부를 갖는, 흡수체 물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피복부와 상기 후방 피복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부재를 갖는, 흡수체 물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피복부와 상기 후방 피복부가 일체화되고, 착용시에, 착용자의 복부의 주위를 피복하는, 흡수체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낼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액 불투과성인, 흡수체 물품.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액 불투과성인, 흡수체 물품.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누체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그 전후 방향의 길이를 줄이는 작용을 나타내는 신축 부재를 갖는, 흡수체 물품.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누체가, 착용시에, 적어도 밑아래부에서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이 되는, 흡수체 물품.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시에, 상기 흡수체의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의 거리가 5mm 이상이 되는, 흡수체 물품.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접촉 파트와 상기 신체 비접촉 파트가 착탈 가능한, 흡수체 물품.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체 물품을 제조하는, 흡수체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신체 접촉 파트 및 상기 신체 비접촉 파트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그 후, 상기 신체 접촉 파트와 상기 신체 비접촉 파트를 결합시키는 공정
    을 갖는, 흡수체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167007785A 2013-09-30 2013-09-30 흡수체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3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6513 WO2015045145A1 (ja) 2013-09-30 2013-09-30 吸収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528A KR20160047528A (ko) 2016-05-02
KR101773355B1 true KR101773355B1 (ko) 2017-08-31

Family

ID=5274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785A KR101773355B1 (ko) 2013-09-30 2013-09-30 흡수체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70942B2 (ko)
EP (1) EP3053556A4 (ko)
JP (1) JP5828907B2 (ko)
KR (1) KR101773355B1 (ko)
CN (1) CN105579004B (ko)
WO (1) WO2015045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2073B (zh) 2014-02-28 2020-11-03 阿坦斯医疗保健产品公司 具有多层折叠吸收芯的吸收性用品
JP6085707B1 (ja) * 2016-03-31 2017-02-22 株式会社光洋 使い捨て下着及び使い捨て下着の製造方法
EP3801424A1 (en) 2018-05-28 2021-04-14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Dryness layer laminate for absorbent articles
US20220023110A1 (en) * 2018-12-05 2022-01-27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absorbent leg cuff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6492B1 (ja) 2012-02-14 2012-11-28 大王製紙株式会社 新規なレッグギャザーを備えた吸収体物品
JP5236122B1 (ja) * 2012-10-12 2013-07-17 大王製紙株式会社 体液受容キャナルを備えた吸収体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6424B2 (ja) * 1990-02-07 1999-03-0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933967B2 (ja) * 1990-02-09 1999-08-16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DE4343947A1 (de) 1993-12-22 1995-06-29 Temca Chemische Union Gmbh Dünne Hygieneprodukte mit vorgefertigtem Saugkörper
WO1995032699A1 (en) * 1994-06-01 1995-12-07 Pope & Talbot, Inc. Absorbent garment with elasticized containment strips
US6623466B1 (en) * 1997-10-23 2003-09-23 Irene Richardson Absorbent article having detachable components
JP3169585B2 (ja) * 1999-01-08 2001-05-2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638094B2 (ja) * 1999-06-07 2005-04-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防漏カフ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4484354B2 (ja) * 2000-11-14 2010-06-1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おむつ
US20040039363A1 (en) 2000-06-29 2004-02-26 Katsuhiko Sugiyama Absorber product
JP4050920B2 (ja) * 2002-03-20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040002690A1 (en) * 2002-07-01 2004-0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outer leg cuff
DE102007055524A1 (de) 2007-11-21 2009-05-28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EP2241300B1 (en) * 2008-01-16 2013-11-20 Uni-charm Corporation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JP5414099B2 (ja) * 2009-03-31 2014-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186526B2 (en) * 2009-07-08 2012-05-29 Rexam Healthcare Packaging Inc. Child resistant closure with a stacking position
JP5395630B2 (ja) * 2009-11-13 2014-01-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02010007872A1 (de) 2010-02-13 2011-08-18 Paul Hartmann AG, 89522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US20120022491A1 (en) * 2010-07-22 2012-01-26 Donald Carroll Roe Flexible Reusable Outer Covers For Disposable Absorbent Inserts
US9308131B2 (en) * 2012-07-12 2016-04-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ment pant
JP5236121B1 (ja) * 2012-08-20 2013-07-17 大王製紙株式会社 新規なレッグギャザーを備えた吸収体物品
JP6211777B2 (ja) 2013-03-18 2017-10-1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6492B1 (ja) 2012-02-14 2012-11-28 大王製紙株式会社 新規なレッグギャザーを備えた吸収体物品
JP5236122B1 (ja) * 2012-10-12 2013-07-17 大王製紙株式会社 体液受容キャナルを備えた吸収体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35600A1 (en) 2016-08-18
EP3053556A4 (en) 2017-05-31
KR20160047528A (ko) 2016-05-02
EP3053556A1 (en) 2016-08-10
JPWO2015045145A1 (ja) 2017-03-02
CN105579004A (zh) 2016-05-11
CN105579004B (zh) 2019-04-30
WO2015045145A1 (ja) 2015-04-02
JP5828907B2 (ja) 2015-12-09
US10470942B2 (en)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2394B2 (en) Absorbent article with selectively positioned waist containment member having an improved waist seal
KR101657487B1 (ko) 흡수체 물품
US10709618B2 (en) Absorbent article with compressible waist containment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11007095B2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CA2795046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leg cuffs
KR20140034232A (ko) 흡수성 물품용 배리어 플랩
US20140296821A1 (en) Absorbent Article
AU2016430794B2 (en) Array of absorbent products comprising three or more different sizes
KR101717217B1 (ko) 신규의 레그 개더를 구비한 흡수체 물품
TW413630B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pertured liner
KR101773355B1 (ko) 흡수체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US9339424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assembly with integral containment flaps
US11730636B2 (en) Absorbent article with bodyside liner providing a barrier region
US20230114320A1 (en) Absorbent article
JP5237084B2 (ja) 吸収性物品
JP6273169B2 (ja) 吸収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59673A (ja) 吸収体物品及びスキンコンタクトシート
EP2792338B1 (en) Absorbent article
JP2015066436A (ja) 吸収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099012A1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faeces pocket
CN116615164A (zh) 具有腰带的吸收制品
JP2006130189A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9268526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