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953B1 -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953B1
KR101763953B1 KR1020117030164A KR20117030164A KR101763953B1 KR 101763953 B1 KR101763953 B1 KR 101763953B1 KR 1020117030164 A KR1020117030164 A KR 1020117030164A KR 20117030164 A KR20117030164 A KR 20117030164A KR 101763953 B1 KR101763953 B1 KR 101763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periodontal disease
mass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656A (ko
Inventor
아유미 아마노
하루오 카도야
타카시 치카자와
츠구노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A)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B)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C) EO 평균부가몰수 10 내지 60의 POE 경화피마자유, 알킬기가 C14 내지 18이고 EO 평균부가몰수 5 내지 8의 POE 알킬에테르 및 알킬기가 C10 내지 14의 알킬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계면활성제, 및 (D) 비이온성 살균제를 함유하고, (A), (B) 및 (D)의 합계량이 0.2 내지 1.5질량%, (C)/((B)+(D))가 질량비로 8 내지 20이고, (A) 내지 (C)성분, 및 (E) 카티온성 살균제를 함유하고, (A), (B) 및 (E)성분의 합계량이 0.2 내지 1.3질량%, (C)/((B)+(E))가 질량비로 8 내지 18인 구강용 조성물이고, 본 발명에 의하면,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및 살균제가 안정하며 유효하게 배합되어, 우수한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이루고, 또한 경시보존 안정성에 우수하다.

Description

구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ORAL CAVITY}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을 함유하고, 높은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발휘되고, 또한 경시적으로 보존 안정성에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기술하면, 치주질환에 수반하는 증상 중에서도 특히 구취나 치육구(齒肉溝) 삼출액량(渗出液量) 증가를 개선하는 효과가 높고, 또한 경시적으로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등의 보존 안정성에 우수하고, 분리나 변색이 방지되고 외관 안정성에도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주질환은 치아를 상실하는 큰 원인의 하나로 셀 수 있고, 그 예방은 QOL(Quality of Life)의 향상에도 이어지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치주질환의 대부분은 편성 혐기성 그램음성 간균을 주로 한 세균에 의한 감염증이라고 생각되고, 그 결과, 결합조직과 치조골이 파괴된다. 이 과정의 임상 소견으로서 발적, 종창, 출혈, 배농, 구취 등이 인정된다. 또한, 원인과 결과의 사이에는 세균-숙주 반응이 개재한다.
만성적 치주질환에서는, 염증의 사이클이 순환하면서 콜라게나제 등의 숙주 유래의 효소에 의한 조직 파괴가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그 조직에 있어서는, 치주 포켓에의 호중구(好中球)의 집적, 치육 조직에의 임파구의 침윤 등이 인정되는 것, 치주질환에 이환(罹患)한 치육에서 선용(線溶) 효소인 플라스민이 관여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생체에 있어서 호중구는 세균을 살균하고, 생체를 방어하는 기능을 갖지만, 특히 만성적인 염증에서는 세포 성분의 누출, 과잉인 활성 산소의 산출에 의해 생체 조직에 대해 악영향을 준다. 따라서,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과 같은 항산화제를 이용함에 의해 활성 산소에 의한 조직 파괴를 방지하는 것은 유용하다. 구강용 조성물에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유도체를 배합하는 것이 치주질환 예방에 유효한 것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는 제제 중에서 분해하기 쉽고, 물이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가 존재하면 보존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치육의 혈행을 촉진하여 대사를 활성화하는 것도 치주질환 예방에는 유효하다. 비타민E(별명 ; 토코페롤) 유도체는, 혈행 촉진 효과에 더하여, 항산화 작용도 갖기 때문에, 치주질환 예방에는 유효하다. 구강용 조성물에 비타민E 유도체를 배합하는 것이 치주질환 예방에 유효한 것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비타민E 유도체는 제제 중에서 분해하기 쉽고, 보존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용 성인 비타민E 유도체를 구강용 조성물에 가용화시켜서 안정하게 배합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를 병용하여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경우는,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에 의해서는 계면활성제가 형성하는 미셀(micelle)이 너무 리지드(rigid)하게 되어, 미셀 중에 받아들여진 비타민E 유도체가 표적 부위에서 방출되지 않아, 그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직접, 치육의 염증의 원인으로 된 구강내 세균의 수를 줄임에 의해 효과를 발현하는 살균제가, 치주질환의 예방·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살균제를 구강용 조성물에 가용화시켜서 안정하게 배합하는데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에 의해서는 계면활성제가 형성하는 미셀이 너무 리지드하게 되어, 미셀 중에 받아들여진 살균제가 표적 부위에서 방출되지 않아, 그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살균제는, 구강용 조성물 중에 안정 배합하여 이들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점에 있어서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있고, 특히 이들 성분을 동시에 안정 배합하여 높은 효과를 발현시키면서 경시적으로 보존 안정성도 양호하게 하는 것은 어려웠다.
특허 문헌 4에는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염과 비타민E 유도체와 카티온성 살균제를 배합한 치마 조성, 비타민E 유도체와 카티온성 살균제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이하, 폴리옥시에틸렌은 POE라고 약기한다.)를 배합한 세구제(洗口劑) 조성이 기재되고, 특허 문헌 5에는, 비수계 구강용 조성물에 비타민E 유도체와 카티온성 살균제와 POE 경화피마자유을 병용한 조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조성의 치주질환 예방 효과는 충분하다고는 말하기 어렵고, 또한, 적절한 POE 경화피마자유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이하, EO 평균부가몰수라고 기재한다.)의 기재도 없다. 또한, 특허 문헌 6에는 연마제를 함유하지 않는 우식[dental caries] 예방용 도포제 조성으로서,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염과 비타민E 유도체와 비이온성 살균제를 병용한 조성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 조성에서는 비타민E 유도체와 비이온성 살균제의 가용화나 배합 안정성이 충분하지가 않다.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치마제 조성물로서,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와 비타민E 유도체와 POE 스테아릴에테르(EO 평균부가몰수 5)와 POE 경화피마자유(EO 평균부가몰수 40)와 카티온성 살균제를 병용한 조성이 특허 문헌 7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조성은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이 적절하다고는 말하기 어렵고, 이 때문에, 계면활성제가 형성하는 미셀이 너무 리지드하게 되어, 미셀 중에 받아들여진 비타민E 유도체와 살균제가 표적 부위에서 충분히 방출되지 않아, 그 효과의 발현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허 문헌 8에는,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로서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염과 비타민E 유도체와 POE 알킬에테르와 비이온성 살균제를 배합한 조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조성은, 각 성분의 배합 비율, 특히 비타민E 유도체 및 비이온성 살균제에 대한 POE 알킬에테르의 배합 비율이 적절하다고는 말하기 어렵고, 이 때문에, 비타민E 유도체 및 비이온성 살균제의 안정화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가 없다. 또한, 특허 문헌 8에는, POE 알킬에테르의 알킬기 부분에 관한 규정도 없고, 또한, 아스코르빈산 유도체가 비타민E를 안정화하는 취지의 기재는 있지만, 비타민E 및 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동시 안정화에 관해서는 나타나 있지 않다.
출원인은,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EO 평균부가몰수 5 내지 10의 POE 경화피마자유을 배합하고, pH를 6.5 내지 9.0으로 조정한 구강용 조성물을 일본 특원2007-326959(특개2009-149537호 공보)호에 제안하였다. 이 출원에는, 그 실시예 30에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염, 비타민E 유도체, EO 평균부가몰수5 및 20의 POE 경화피마자유, EO 평균부가몰수 7의 POE 세틸에테르 및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을 함유하는 조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특정한 POE 경화피마자유을 배합하고, pH를 조정함으로써,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염의 구강내 체류성이나 점막 침투성을 개선하고,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염 유래의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가 있던 것이고, 본 발명과는 기술적 사상이 상위하다.
또한, 여기에 들은 어느 기술에도, 치주질환에 유래하는 구취의 억제 기술에 관해 나타내는 기재는 없고, 이들 기술로부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기술적 사상 및 작용 효과는 도출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해소하여, 보다 높은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며, 또한 경시적으로 보존 안정성, 분리나 변색의 방지로 대표되는 외관 안정성에도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7-16920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5-350483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6-312588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2005-239654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개2002-114656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 특개2005-187333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 특개2005-247786호 공보 특허 문헌 8 : 일본 특개2004-323488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 「치주병과 전신의 건강을 생각하는 - 새로운 건강 과학에의 가교」, 재단법인 라이온 치과 위생 연구소·편, 의치약출판, 2004, P. 221 비특허 문헌 2 : 「치주병과 전신의 건강을 생각하는 - 새로운 건강 과학에의 가교, 재단법인 라이온 치과 위생 연구소·편, 의치약출판, 2004, P. 116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및 살균제가 안정하며 유효하게 배합되어, 우수한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이루고, 또한 경시적으로 보존 안정성에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A)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과, (B)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와, (C) EO 평균부가몰수가 10 내지 60몰의 POE 경화피마자유, 알킬기의 탄소수가 14 내지 18이고 EO 평균부가몰수가 5 내지 8몰의 POE 알킬에테르,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내지 14의 알킬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고, 또한 살균제로서 (D) 비이온성 살균제 또는 (E) 카티온성 살균제를 배합하고, 이들 성분의 배합량이나 배합 비율을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응한 범위로 한 구강용 조성물이,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에 우수하고, 또한 경시적으로 보존 안정성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및 살균제가 동시에 안정 배합되어 이들 성분 유래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현하고, 치주질환에 유래하는 구취나 치육구 삼출액(이하, GCF)량의 증가를 개선하는 높은 효과 및 치주병 원인균에의 높은 살균 효과가 동시에 발휘되고, 치주질환의 예방·개선 효과가 현격하게 향상함과 함께,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과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가 동시에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 배합되고, 또한 경시적으로 분리나 변색이 생기는 일이 없고, 경시보존 안정성에도 우수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높은 치주질환 개선 효과 및 우수한 경시보존 안정성을 겸비한 구강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이나,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살균제가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성분을 조합시켜서, 적당한 배합량 및 비율로 배합함에 의해, 이들 성분이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치주질환에 수반하는 증상 중에서도 특히 구취나 GCF량의 증가를 개선하는 높은 효과가 발휘되고, 치주병 원인균에의 높은 살균 효과도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과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가, 장기간 보존하여도 안정하게 유지되어, 이들 성분에 유래하는 효과를 경시적으로 안정하게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장기 보존에서 분리나 변색이 생기는 일도 없고, 양호한 외관 안정성으로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어느 하나의 필수 성분을 결여하거나, 각 성분의 배합량이나 비율이 부적절한 경우는 이룰 수가 없는 각별한 것이다.
또한, 치주질환에 의한 구취는, 구강내의 그램 음성 세균에 의해 산생(産生)되는데, 이 기질(基質)이 되는 함황(含黃) 아미노산은, GCF나 혈액으로부터 공급된다. 치주질환에 이환하면 GCF량이 증가하고, 즉 구취 산생의 기질이 증가하기 때문에 구취가 발생한다(비특허 문헌 1). 본 발명에서는, 높은 치주질환 개선 효과가 발휘되고, GCF량의 감소에 의해 구취 산생의 기질인 함황 아미노산의 양도 감소하는 것, 및 살균제가 구취 산생균을 살균하는 것이 상승적으로 효과하고, 이것이 하나의 요인이 되어 치주질환 유래의 구취를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GCF는, 치육이나 치육구에 존재하고, 항체 성분 등에 의해 세균이나 독소 등 이물의 침입을 적극적으로 저지하고, 생체 방어에 기여하고 있지만, 그 한편으로, 인터로이킨(이하, IL이라고 약칭한다.)-1, IL-6, IL-8 등의 사이토카인이 존재하고, 치주질환과의 관련도 시사되어 오고 있다(비특허 문헌 2). 본 발명에서는, 치주질환이 현격하게 개선하고, 일단 증가한 GCF량이 감소하여 구취 산생의 기질이 감소하는 것과, 살균제가 구취 산생균을 살균하는 것이 상승적으로 효과하여, 구취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GCF량은, 치주질환에 이환하면 증가하고, 개선하면 감소하기 때문에, 치주질환의 중증도나 개선도를 재는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은, 또한, (F) 글리시레틴산, ε-아미노카프론산, 글리시리진산염, 트라넥삼산, 황백 엑기스, 알란토인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효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보다 향상하고, 치주질환의 이환에 수반하여 증가하고 있던 GCF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청구항 1 ;
(A)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B)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C)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0 내지 60몰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알킬기의 탄소수가 14 내지 18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가 5 내지 8몰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내지 14의 알킬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D) 비이온성 살균제
를 함유하고, (A), (B) 및 (D)성분의 합계 함유량이 0.2 내지 1.5질량%이고, 또한 (C)/((B)+(D))가 질량비로 8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청구항 2 ;
(D) 비이온성 살균제가, 이소프로필메틸페놀 또는 트리클로산인 청구항 1 기재의 구강용 조성물.
청구항 3 ;
(A)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B)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C)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0 내지 60몰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알킬기의 탄소수가 14 내지 18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가 5 내지 8몰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내지 14의 알킬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E) 카티온성 살균제
를 함유하고, (A), (B) 및 (E)성분의 합계 함유량이 0.2 내지 1.3질량%이고, 또한 (C)/((B)+(E))가 질량비로 8 내지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청구항 4 ;
(E) 카티온성 살균제가,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벤제토늄, 염화 벤잘코늄,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염산 클로르헥시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청구항 3 기재의 구강용 조성물.
청구항 5 ;
(A)성분과, (B)성분과, (D) 또는 (E)성분의 합계 함유량이 0.2 내지 1.0질량%이고, 또한 (C)/[(B)+((D) 또는 (E))]가 질량비로 8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 기재의 구강용 조성물.
청구항 6 ;
또한, (F) 글리시레틴산, ε-아미노카프론산, 글리시리진산염, 트라넥삼산, 황백 엑기스 및 알란토인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한 항 기재의 구강용 조성물.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치주질환에 수반하는 증상 중에서도 특히 구취나 GCF량의 증가를 개선하는 높은 효과, 및 치주병 원인균에의 높은 살균 효과가 발휘되고, 또한 경시적으로 보존 안정성에 우수하고, 분리나 변색으로 대표되는 외관 안정성에도 우수하다. 또한, 상기 (F)성분을 배합함으로써, 보다 높은 GCF량 증가의 억제 효과가 발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A)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B)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C) 특정한 계면활성제, 및 살균제로서 (D) 비이온성 살균제 또는 (E) 카티온성 살균제를 함유한다.
(A)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및 그 염은, 아스코르빈산의 2, 3, 5, 6위(位)의 어느 하나의 수산기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인산, 폴리인산 등의 화합물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것이고,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2-인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3-인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6-인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2-폴리인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그 염류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류 금속염을 들 수 있다. 특히 구강용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나, 치육염(齒肉炎) 예방 효과의 점에서,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의 마그네슘염이나 나트륨염, 즉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인산 L-아스코르빌나트륨이 알맞게 사용된다.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및 그 염은, 시판품, 구체적으로는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은 소화 전기공(주)(상품명 : 아스코르빈산 PM), 와코순약 공업(주)(상품명 :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등, 인산 L-아스코르빌나트륨은 DSM뉴토리숀재팬(상품명 : 스테이-C50), BASF재팬(주)(상품명 : 인산 L-아스코르빌나트륨)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의 배합량은, 치주질환 예방 효과나 경시보존 안정성의 점에서, 조성물 전체의 0.05 내지 0.8%(질량%, 이하 마찬가지.), 특히 0.1 내지 0.5%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5% 미만에서는 치주질환 예방·개선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0.8%를 초과하면 경시적으로 변색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또한 자극이 생겨서 사용감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B)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이하, 비타민E는 VE라고 약기한다.)로서는, d-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이나 이들의 아세트산, 니코틴산, 호박산, 리놀렌산 등의 유기산과의 에스테르 또는 염 등이 사용할 수 있다. VE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d-α-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니코틴산 d-α-토코페롤,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호박산 d-α-토코페롤, 호박산 dl-α-토코페롤, 리놀렌산 d-α-토코페롤, 리놀렌산 dl-α-토코페롤, 호박산 토코페롤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생리 활성이 높고, 또한 무색부터 담황색으로 제제의 색조나 외관에(거의 인정되지 않영향을 주지 않는 점에서, 특히 dl-α-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바람직하다. 또한, VE 또는 그 유도체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배합할 수 있다.
VE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구(舊) 화장품원료기준(장원기(粧原基)) 또는 의약부외품 원료규격 2006 등에 적합하는 것이 사용 가능하고, 화장품이나 구강용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VE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DSM뉴토리숀재팬사, 에자이후도·케미컬사, BASF재팬사 등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VE 또는 그 유도체의 배합량은, 치주질환 예방 효과나 경시보존 안정성의 점에서, 조성물 전체의 0.05 내지 0.5%, 특히 0.05 내지 0.3%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5% 미만에서는 치주질환 예방·개선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0.5%를 초과하면, 제제 중에의 가용화가 곤란해지고 경시적으로 분리나 변색 등이 생기거나, 느끼하게 되어 맛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C)성분은, EO 평균부가몰수가 5 내지 8몰이고 알킬기의 탄소수가 14 내지 18의 POE 알킬에테르, EO 평균부가몰수가 10 내지 60몰의 POE 경화피마자유,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내지 14의 알킬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POE 알킬에테르로서는, 탄소수 14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 내지 18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4 미만에서는, 친유성이 낮기 때문에 유용성 성분의 가용화가 불충분하게 되고, 또한 충분한 기포성이 얻어지지 않고, 탄소수가 18을 초과하면, 형성되는 미셀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유용성 성분의 가용화가 불충분하게 되고, 또한 제제를 사용중에 독특한 이상한맛(異味)·느끼함이 생긴다. 구체적으로 POE 알킬에테르로서는, POE 세틸에테르, POE 미리스틸에테르, POE 스테아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POE 스테아릴에테르가 알맞다.
또한, POE 알킬에테르의 EO 평균부가몰수는 5 내지 8몰의 범위이다. EO 평균부가몰수가 5몰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용화능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제제 중에 유용성 액체 성분의 분리가 생기고, 8몰을 초과하면 독특한 느끼함·향미 발현의 열화가 일어나고, 사용감이 뒤떨어지게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POE 알킬에테르로서는, 일본 에멀션(주)의 EMALEX105, 107, 605, 608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POE 경화피마자유로서는, EO 평균부가몰수가 10 내지 60의 것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치마제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EO 평균부가몰수가 10 내지 30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세구제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EO 평균부가몰수가 40 내지 60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EO 평균부가몰수가 10몰 미만에서는, 유용성 성분의 가용화능이 불충분하고, 또한 특히 연치마제로서 조제한 경우에 저온에서의 거친표면이 생기고, 외관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60몰을 초과하면,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나 살균제, 나아가서는 유용성 유효 성분, 향료 성분 등의 유용성 성분의 가용화능에 뒤떨어지고, 유용성 성분이 분리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POE 경화피마자유로서는, 닛꼬 케미칼즈(주)의 NIKKOL HCO-10, HCO-20, HCO-30, HCO-40, HCO-50, HCO-60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알킬글루코시드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의 것이 사용된다. 탄소수가 10 미만에서는 충분한 기포성이 얻어지지 않고, 14를 초과하면 사용중에 독특한 이상한 맛이나 느끼함이 생긴다.
이와 같은 알킬글루코시드로서는, 코구니스사의 플랜터케어 1200UP, 플랜터케어 2000UP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C)성분으로서는, 상기한 POE 알킬에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또는 알킬글루코시드를 배합하여도 좋고, 또는 POE 알킬에테르, POE 경화 히마시유 및 알킬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배합하여도 좋다.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는, POE 알킬에테르와 POE 경화피마자유과의 병용이 바람직하다. 연(練)치마제 등의 치마제인 경우는, 특히 알킬기의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EO 평균부가몰수가 5 내지 8몰의 POE 알킬에테르와 EO 평균부가몰수가 10 내지 30의 POE 경화피마자유를 질량비로 3 : 7 내지 7 : 3의 비율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알킬기의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EO 부가 몰수가 6 이하의 POE 알킬에테르를 이용하는 경우는, EO 평균부가몰수가 20 내지 40의 POE 경화피마자유을 병용하는 것, 또한 EO 평균부가몰수 20 미만의 POE 경화피마자유을 이용하는 경우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6 내지 18이고 EO 평균부가몰수가 7 내지 8의 POE 알킬에테르를 병용하는 것이, (B)성분의 안정성이나 분리 억제의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C)성분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총 배합량은, 유용성 성분의 가용화능, 유용성 성분의 효과 발현, 사용성의 점에서, 조성물 전체의 0.5 내지 5%, 특히 0.5 내지 3%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5% 미만에서는 유용성 성분 가용화능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VE 또는 그 유도체나 비이온성 살균제가 충분히 가용화하지 않기 때문에 보존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다. 5%를 초과하면, (C)성분에 의한 미셀이 너무 리지드하게 되어 미셀 중에 받아들여진 유용성의 유효 성분이 구강내에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치주질환이나 구취의 예방·개선 효과를 얻을 수가 없는 경우나, 쓴맛이나 자극이 생겨서 구강내에 제제를 장시간 적용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치마제인 경우는, 향료 등의 유용성 성분을 많이 배합하기 때문에, 배합량을 1 내지 3%로 하는 것이 가장 알맞다.
더욱 본 발명 조성물에는, 살균제로서 (D) 비이온성 살균제 또는 (E) 카티온성 살균제를 배합한다.
(D) 비이온성 살균제로서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트리클로산, 히노키 티올, 페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살균력 및 맛 등의 점에서,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트리클로산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살균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은 오사카 화성사(상품명 :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트리클로산은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상품명 : 이루가산DP-300)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비이온성 살균제의 배합량은, 치주질환 예방 효과나 사용감의 점에서, 조성물 전체의 0.01 내지 0.3%, 특히 0.02 내지 0.1%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1% 미만에서는 살균 효과에 뒤떨어지고, 살균에 의한 치주질환·구취 개선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0.3%를 초과하는 양을 배합하여도 가용화하지 않기 때문에 경시적으로 분리나 변색이 생기거나, 쓴맛이 생겨서 사용감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E) 카티온성 살균제로서는,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벤제토늄, 염화 벤잘코늄, 염화 데쿠알리늄 등의 제 4급 암모늄계,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염산 클로르헥시딘 등의 비스구아니드계, 염산 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되지만, 특히 살균력이나 맛의 면에서 제 4급 암모늄계, 비스구아니드계가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벤제토늄, 염화 벤잘코늄,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염산 클로르헥시딘이 가장 바람직하다.
카티온성 살균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염화 세틸피리디늄은 와코순약 공업사(상품명 :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벤제토늄은 롱더재팬사(상품명 : 하이아민 1622), 염화 벤잘코늄은 아마카스 화학 산업사(상품명 : 10%벤잘코늄 염화물 액),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은 대일본 스미토모 제약사(상품명 : 히비텐·굴코네토 액), 염산 클로르헥시딘은 대일본 스미토모 제약사(상품명 : 5%히비텐 액)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카티온성 살균제의 배합량은, 치주질환 예방 효과나 사용감의 점에서, 조성물 전체의 0.001 내지 0.1%, 특히 0.01 내지 0.05%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01% 미만에서는 살균 효과에 뒤떨어지고, 살균에 의한 치주질환·구취 개선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0.1%를 초과하면, 쓴맛 등이 생기고 사용감이 나빠지거나, 변색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B)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및 (D) 비이온성 살균제의 합계 배합량은, 치주질환 예방 효과 및 외관 안정성의 점에서, 조성물 전체의 0.2 내지 1.5%이고, 특히 0.2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합계 배합량이 0.2% 미만에서는 치주질환 예방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1.5%를 초과하면 (A), (B) 또는 (D)성분이 경시적으로 분리하거나, 변색이 생긴다.
또한, (C), (B) 및 (D)성분의 배합 비율은, 치주질환 예방 효과나 (B)성분의 안정성, 분리 억제의 점에서, (C)/((B)+(D))의 질량비가 8 내지 20이고, 특히 8 내지 1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배합 비율이 8 미만에서는 (B)성분이나 (D)성분이 가용화하지 않기 때문에 보존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되거나, 제제 중에서 분리가 생겨 버리고, 20을 초과하면 (C)성분에 의한 미셀이 너무 리지드하게 되어, 미셀 중에 받아들여진 (B)성분이나 (D)성분이 구강내에 방출되지 않아, 치주질환 예방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B)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및 (E) 카티온성 살균제의 합계 배합량은, 치주질환 예방 효과나 외관 안정성의 점에서, 조성물 전체의 0.2 내지 1.3%이고, 특히 0.2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합계 배합량이 0.2% 미만에서는 치주질환 예방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1.3%를 초과하면 (A), (B) 또는 (E)성분이 경시적으로 분리하거나, 변색이 생긴다.
또한, (C), (B) 및 (E)성분의 배합 비율은, 치주질환 예방 효과나 (B)성분의 안정성, 외관 안정성의 점에서 (C)/((B)+(E))의 질량비가 8 내지 18이고, 특히 8 내지 1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배합 비율이 8 미만에서는, (B)성분이 가용화하지 않기 때문에 보존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제제 중에 분리가 생겨 버리고, 18을 초과하면 (C)성분에 의한 미셀이 너무 리지드하게 되어, 미셀 중에 받아들여진 (B)성분이나 (E)성분이 구강내에 방출되지 않아, 이들 성분 유래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A)성분과, (B)성분과, (D) 또는 (E)성분의 합계 함유량이 0.2 내지 1.0%이고, 또한 (C)/((B)+((D) 또는 (E))이 질량비로 8 내지 15이면,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보다 향상하고, 또한 경시적으로 보존 안정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가장 유효하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는, 또한, (F) 글리시레틴산, ε-아미노카프론산, 글리시리진산염, 트라넥삼산, 황백 엑기스 및 알란토인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효 성분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성분을 배합함에 의해, 치주질환 예방·개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치주질환에 수반하는 GCF의 침출을 보다 크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알란토인류에는, 알란토인, 알란토인클로르히드록시알루미늄, 알란토인디히드록시알루미늄(별명 : 알디옥사)이 포함된다.
(F)성분은, 천연품이라도 합성품이라도 좋고, 시판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리시레틴산은 마루젠 제약사(상품명 : 글리시레틴산), ε-아미노카프론산은 제일 화학 약품사(상품명 : 입실론-아미노카프론산)나 아지노모토사(상품명 : 입실론-아미노카프론산), 글리시리진산염은, 예를 들면 글리시리진산 디칼륨은 마루젠 제약사(상품명 : 글리시리진K2)나 알프스 약품 공업사(상품명 : 글리시리진산 2K), 트라넥삼산은 제 1 팔마텍사(상품명 : 트라넥삼산), 황백 엑기스는 고시로제약사(상품명 : 황백 엑기스)나 이와세 코스파사(상품명 : 오우바쿠리키도E), 알란토인은 DSM뉴토리숀재팬사(상품명 : 알란토인), 알란토인클로르히드록시알루미늄은 메르크사(상품명 : RonaCare Allantoin(등록상표)), 알란토인디히드록시알루미늄은 천연 정밀 화학 약품사(상품명 : ALDA)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F)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치주질환 예방 효과나 사용감의 점에서, 조성물 전체의 0.01 내지 0.5%, 특히 0.01 내지 0.3%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1% 미만에서는 GCF량 증가 억제 효과가 만족하게 발현하지 않고, 치주질환 예방 효과의 향상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고, 0.5%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쓴맛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는, 또한 덱스트라나제를 배합할 수 있다. 덱스트라나제를 배합함에 의해, 치주질환의 원인의 하나인 플라그를 분해하여 제거하기 쉽게 되어, 치주질환의 예방·개선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덱스트라나제는 케토미움속(屬), 페니실리움속, 아스페르길루스속, 스피카리아속, 락도바실루스속, 셀비브리오속 등이 산생하는 효소로, 플라그 분해 작용이 있다. 덱스트라나제는, 제 1 삼공프로파마사(상품명 : 덱스트라나제)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덱스트라나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플라그 분해 효과나 제제 안정성의 점에서, 2 내지 200단위/g, 특히 10 내지 50단위/g이 바람직하다. 덱스트라나제 1단위란, 덱스트란을 기질(基質)로 하여 반응을 행한 경우에, 1분간당에 글루코스 1㎛ol에 상당하는 유리(遊離)환원당이 생기는 덱스트라나제의 양이다. 예를 들면, 13,000단위/g품(品)의 덱스트라나제를 이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016 내지 1.5%, 특히 0.08 내지 0.38%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2단위/g 미만에서는, 그 배합 효과, 예를 들면 충분한 플라크 제거 효과를 얻을 수가 없는 경우가 있고, 200단위/g을 초과하면, 제제의 변색 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는, 또한 불소 이온 공급원을 배합할 수 있다. 불소 이온 공급원을 배합함에 의해, 치주질환에 의한 치육 퇴축의 결과로서 노출한 치근부(齒根部)의 치질(齒質)을 강화하고, 근면(根面) 우식의 발현 또는 진행을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치근부는 산(酸)에 용해하기 쉬운 성질을 갖기 때문에, 우식이 되기 쉽지만, 건상(健常)치육의 경우는 치근부가 치육의 내측에 있기 때문에, 산과 접촉하는 일이 없고, 우식이 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치주질환에 이환하여 치육이 퇴축하면 치근부가 노출하고, 산과 접촉하여 용해하고, 우식이 된다. 이것을 「근면 우식」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불소 이온 공급원을 배합함으로써, 치근부의 치질이 강화하여 산에 용해하기 어려워지고, 근면 우식의 발현 또는 진행을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불소 이온 공급원으로서는, 불화 나트륨, 불화 칼륨, 불화 암모늄, 불화 주석, 아민 불화물, 모노플루오로인산 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 칼륨, 불화 규소나트륨, 불화 규소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맛의 면에서 불화 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이온 공급원은 시판의 것, 예를 들면 불화 나트륨은 스테라케미파사, 모노플루오로인산 나트륨은 올브라이트&윌손사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불소 이온 공급원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근면 우식 예방 효과나 용해성의 점에서 조성물 전체의 0.02 내지 10.0%, 특히 0.05 내지 1.5%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불화 나트륨의 경우는 0.02 내지 3.0%, 특히 0.05 내지 1.5%, 모노플루오로 인산 나트륨의 경우는 0.05 내지 10.0%, 특히 0.1 내지 5.0%, 불화 주석의 경우는 0.01 내지 1.6%, 특히 0.03 내지 0.8%가 바람직하다. 불소 이온 공급원의 배합량이 0.02% 미만에서는, 만족스러운 배합 효과를 얻을 수가 없는 경우가 있고, 10.0%를 초과하면 제제 중에서의 가용화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연치마, 윤제(潤製)치마, 포상(泡狀)치마, 액상치마, 액체치마 등의 치마제, 세구제, 구중(口中) 청량제, 구강용 파스타, 양치질용 정제, 추잉검 등의 각종 형태로 할 수 있고, 치마제나 세구제로서 알맞게 조제할 수 있다.
이 경우, 구강용 조성물은, 각종 제형에 응하여, 상기 성분에 더하여, 그 밖의 공지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배합할 수 있는 임의 성분으로서는, 연마제, 습윤제, 점결제, 용제, 상기 (C)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 나아가서는 필요에 응하여 감미제, 방부제, 각종 유효 성분, pH 조정제, 착색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고, 이들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연마제로서는, 실리카겔, 침강 실리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지르코노실리케이트, 비정질 무수규산 등의 실리카계 연마제, 제 2 인산 칼슘 2수화물, 제 2 인산 칼슘 무수물, 제 3 인산 칼슘, 제 4 인산 칼슘, 제 8 인산 칼슘, 피로인산 칼슘, 수산화 알미늄, 알루미나, 2산화 티탄, 불용성 메타인산 칼슘, 경질 탄산 칼슘, 중질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제 3 인산 마그네슘, 제오라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나일론 파우더, 실크 파우더, 셀룰로오스 파우더, 글로코만난 등을 들 수 있다.
연마제의 배합량은 통상 0 내지 50%이고, 치마제 조성물에서는 특히 2 내지 40%가 바람직하다.
습윤제로서는, 소르비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평균분자량 200 내지 6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락티톨, 팔라티노스, 팔라티닛, 트레할로스 등의 당(糖)알코올, 다가(多價)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배합량은 통상 0 내지 50%, 특히 5 내지 45%).
점결제로서는, 크산탄고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카라기난,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트라같트고무, 구아고무, 히드록시프로필구아고무, 타라고무, 로커스트빈고무, 카라야고무, 퀸스시드고무, 타마린드고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젤란고무, 젤라틴, 카들란, 아라비아고무, 한천, 펙틴, 카세인 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풀룰란, 증점성 실리카, 비고무, 스멕타이트, 라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배합량은 통상 0 내지 5%. 특히 0.1 내지 5%).
용제로서는, 일반적으로 물이 사용된다. 물을 함유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통상 1 내지 99%로, 치마제 조성물에는 통상 1 내지 50% 배합된다. 용제로서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배합하여도 좋고, 저급 알코올의 배합량은 0.1 내지 30%가 알맞다. 용제의 총 배합량은 통상 0 내지 99%이다.
계면활성제로서는, (C)성분의 계면활성제에 더하여, 다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OE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POE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POE 소르비트지방산 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POE 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인산 및 그 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POE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타놀, POE 알킬페닐에테르인산 및 그 염, POE 라놀린 및 라놀린알코올, POE 알킬아민 및 지방산 아미드, POE 알킬페닐포름알데히드 축합물, POE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POE 알킬페닐에테르 및 지방산 에탄올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옥틸황산, 데실황산, 라우릴황산, 미리스틸황산, 팔미틸황산, 스테아릴황산이나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염) 등의 알킬황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N-라우로일사르코신 나트륨, N-미리스토일사르코신 나트륨 등의 아실사르코신 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수소첨가 코코넛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모노황산 나트륨, 라우릴술포아세트산 나트륨, N-팔미토일글루타민산 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타민산염, N-메틸-N-아실타우린 나트륨, N-메틸-N-아실알라닌 나트륨, α-올레핀술폰산 나트륨, 디옥틸술포호박산 나트륨 등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암모늄, 알킬벤질암모늄염 등의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아세트산 베타인, 이미다졸리늄베타인,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통상 0 내지 5%이고, 특히 (C)성분 이외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배합하지 않아도 좋고, 0%라도 좋다.
상기한 임의 성분으로서의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C)성분의 계면활성제와의 합계 배합량이 0.5 내지 6%가 되는 범위가 바람직하다.
감미제로서는,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스테비아 엑기스, 파라메톡시신나믹알데히드, 네오헤스피리딜히드로칼콘, 페릴라르틴, 타우마틴,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등의 파라벤류(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안식향산 및 그 염, 살리실산 및 그 에스테르 또는 염 등을 들 수 있다.
유효 성분으로서는, 상기 (A), (B), (D), (E), (F)성분, 나아가서는 덱스트라나제, 불소 이온 공급원 이외의 것,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 및 그 유도체, 리보플라빈, 염산 피리독신, 시아노코발라민, β-카로틴, 에르고칼시페롤, 메나디온, 유비퀴논 등의 비타민류, 황련, 황금, 하마멜리스, 정향나무, 카밀레, 라타니아, 몰약, 당귀, 로즈마리, 홍화 등의 식물 추출물, 무타나제, 리소자임, 아밀라제, 프로테아제, 용균 효소, 슈퍼옥시드디스무타제 등의 효소, 염화 나트륨, 질산 칼륨, 폴리인산 나트륨, 탄산염, 중탄산염, 세스키탄산염 등의 염류, γ-오리잔올, 디히드로콜레스테롤, α-비사볼롤, 아즐렌, 메톡시에틸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알라닌, 글리신, 프롤린, L-아르기닌, L-아스파라긴산 나트륨, 트리메틸글리신, 구리동 클로로필린 나트륨, 글루콘산 구리, 염화 아연, 구연산 아연, 제오라이트, 수용성 무기인산 화합물, 젖산 알루미늄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유효량으로 할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구연산, 사과산, 젖산, 주석산, 호박산, 아세트산, 인산, 피로인산, 구리세로인산, 이들의 칼륨염, 나트륨염 및 암모늄염 등의 각종 염, 수산화 나트륨, 염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조성물의 pH가 5 내지 9의 범위가 되도록,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배합할 수 있다(배합량은 통상 0 내지 2%)
착색제로서는, 적색2호, 적색3호, 적색225호, 적색226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5호, 청색1호, 청색2호, 청색201호, 청색204호, 녹색3호 등의 법정 색소, 홍화 색소, 치자 색소, 코치닐 색소, 아나토 색소, 철단, 운모 티탄, 산화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페퍼민트유(油), 스페아민트유, 아니스유, 유칼리유, 윈터그린유, 카시아유, 클로브유, 타임유, 세이지유, 레몬유, 오렌지유, 박하유, 카르다몬유, 코리안더유, 만다린유, 라임유, 라벤더유, 로즈마리유, 로렐유, 카모밀유, 카라웨이유, 마조람유, 베이유, 레몬글라스유, 올리가눔유, 파인니들유, 네롤리유, 장미유, 자스민유, 이리스콘크리트, 앱솔류트페퍼민트, 앱솔류트로즈, 오렌지플라워 등의 천연 향료, 및 이들 천연 향료의 가공 처리(전류부(前溜部) 컷트, 후류부 컷트, 분류, 액액 추출, 에센스화, 분말향료화 등)한 향료, 및, 멘톨, 카르본, 아네톨, 시네올, 살리실산 메틸, 신나믹알데히드, 오이겐올, 3-l-멘톡시프로판-1,2-디올, 리날로올, 리날릴아세테이트, 리모넨, 멘톤, 멘틸아세테이트, N-치환-파라멘탄-3-카르복사미드, 피넨, 옥틸알데히드, 시트랄, 플레곤, 카르빌아세테이트, 아니스알데히드,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 알릴시클로헥산프로피오네이트, 메틸안트라닐레이트, 에틸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바닐린, 운데카락톤, 헥산알,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 헥센올, 디메틸술파이드, 시클로텐, 푸르푸랄, 트리메틸피라진, 에틸락테이트, 에틸티오아세테이트 등의 단품(單品) 향료, 또한, 스트로베리프레이버, 애플프레이버, 바나나프레이버, 파인애플프레이버, 그레이프프레이버, 망고프레이버, 버터프레이버, 밀크프레이버, 후루츠믹스프레이버, 트로피컬후루츠프레이버 등의 조합 향료 등,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의 향료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실시예의 향료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합량도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한 향료 소재는, 제제 조성중에 0.000001 내지 1%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향료 소재를 사용한 부향용(賦香用) 향료로서는, 제제 조성중에 0.1 내지 2.0%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튜브, 유리 증착 플라스틱 튜브 등의 튜브, 기계적 또는 차압에 의한 디스펜서 용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유리 등의 보틀 용기, 필로우 포장 등의 필름 포장 용기 등의 용기에 충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 처방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 배합량은 모두 질량%이다. 원료는, 표 1에 표시하는 것 외는, 화장품 원료 기준 또는 의약 부외품 원료 규격에 적합한 것을 이용하였다. 또한, 향료의 조성은 표 9 내지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다. 또한, 에틸렌옥사이드는 EO, 폴리옥시에틸렌은 POE로 약기하였다.
[표 1]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한 원료
Figure 112011100158360-pct00001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 2에 표시하는 공통 조성으로, 표 3 내지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종류 및 배합량으로 (A) 내지 (C)성분, (D) 또는 (E)성분, 나아가서는(F)성분을 배합한 조성의 치마제 조성물을, 니더를 이용하여 탈기(脫氣) 혼합하고, 일상방법에 의해 조제하였다. 치마제 조성물의 넣는 량은 5㎏으로 하였다. 얻어진 치마제 조성물을, 후술하는 재질의 튜브(A)에 충전하고, 하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내지 8에 표시한다.
튜브 A(다이닛폰인쇄(주)제) :
최외층부터 LDPE55/PET12/ℓDPE20/백(白)LDPE60/EMAA20/AL10/EMAA30/ℓDPE20/ℓLDPE30(두께 257㎛, 직경 26㎜, 충전량 50g)
수치는 두께(㎛)를 나타낸다. 약호가 나타내는 것은 이하와 같다.
LDPE : 저밀도 폴리에틸렌
백LDPE : 백색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AL : 알루미늄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EMAA : 에틸렌·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치주질환 억제 효과의 평가
비글견(犬)(4세, 암컷), 각 군 4마리(頭)를 이용하여, 구취와 GCF량을 지표(指標)로 평가를 행하였다. 시험 시작 전에 구취의 평가와 GCF량의 측정을 행한 후, 1일 2 회, 1개월간 투여하여, 구취와 GCF량의 평가를 행하였다. 피험 제제의 투여는, 피험 제제가 치마제인 경우는 0.5g, 세구제인 경우는 0.5㎖을 면구(綿球)에 취하고 비글견의 구강내 전체를 브러싱하였다. 평가법의 상세를 이하에 나타낸다.
치주질환 유래의 구취의 평가 :
시험 시작시의 구취를 조향사(調香師) 5명이 후술하는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그 평점을 S1으로 하였다. 1개월간 피험 제제를 투여한 후, 마찬가지로 조향사 5명이 후술하는 기준에 따라 치주질환 유래의 구취의 레벨을 평가하고, 그 평점을 S2로 하였다. 다음 식에 따라 각 비글견의 치주질환 유래의 구취의 개선도를 산출하고, 비글견 4마리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치주질환 유래의 구취의 개선도 = S1 - S2
이 평균치를 후술하는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치주질환 유래의 구취의 개선도가 ◎, ○의 구강용 조성물을, 치주질환 예방·개선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이라고 판단하였다.
<구취의 평가 기준>
5 : 치주질환 유래의 극히 강한 구취가 있다
4 : 치주질환 유래가 강한 구취가 있다
3 : 치주질환 유래의 구취가 약간 있다
2 : 치주질환 유래의 구취가 겨우 있다
1 : 치주질환 유래의 구취가(거의 없다
0 : 치주질환 유래의 구취가 전혀 없다
<구취의 판정 기준>
치주질환 유래의 구취의 개선도
◎ : 3 이상 내지 5 이하
○ : 2 이상 내지 3 미만
△ : 1 이상 내지 2 미만
× : 1 미만
치육구 침출액(GCF)을 지표로 한 치주질환 예방 효과의 평가 :
비글견의 아래턱 4부위(P3, P4, M1 근심(近心), M2 원심(遠心))를 피험 부위로 하고, 시험 시작의 전후에 GCF량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GCF의 채취는, 구취를 평가한 후에 행하였다. GCF량은, GCF 컬렉션 스트립스(페리오페이퍼(등록상표), (주)요시다)를 시험 시작시에 선정한 피험 부위 치주 포켓에 30초간 삽입함으로써 채취하고, GCF 미터(페리오토론(등록상표), (주)요시다)로 측정하였다. 다음 식에 따라 GCF 변화율을 산출하고, 비글견 4마리의 피험 부위 4개소의 평균치를 후술하는 기준에 따라 판정하고, ◎, ○의 구강용 조성물을, 치육구 침출액을 지표로 한 치주질환 예방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GCF 변화율(%) =
((시험 시작시의 GCF량 - 시험 종료시의 GCF량)/시험 시작시의 GCF량)×100
<치주질환 예방 효과의 평점>
GCF 변화율
◎ : 70% 이상
○ : 40% 이상 70% 미만
△ : 20% 이상 40% 미만
× : 20% 미만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의 경시보존 안정성의 평가 :
피험 샘플을, 50℃의 항온조 중에서 1개월간 보존하였다. 그 후, 샘플을 상온이 될 때 까지 방치한 후,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의 보존 안정성의 평가에 이용하였다. 잔존률은 제조 당일의 초기치로부터 산출하였다. 시약은 전부 관동 화학사제를 이용하였다.
<정량법>
피험 제제가 치마제인 경우는 0.1g을 재어서 취하고, 10mmol/ℓ의 인산 완충액(1.5mmol/ℓ 인산 2수소칼륨, 23.5mmol/ℓ 인산 수소2칼륨, pH8.0)을 가하여,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을 추출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펌프 : 일본분광 PU1580, 오토 샘플러 : 시마즈 제작소 SIL-10A, UV 검출기 : 시마즈 제작소 SPD-6A, 기록 장치 : 시마즈 제작소 C-R4A, 칼럼 항온조 : 일본분광 CO-966)를 이용하여, 절대검량선법으로 정량을 행하였다. 이동상은 25mmol/ℓ 인산 2수소칼륨 + 5mmol/ℓ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토니트릴 = 91/9혼액(용량비), 칼럼은 직경 약 4.6㎜, 길이 약 150㎜의 스테인리스관에 5㎛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옥타데실실릴화(化) 실리카겔을 충전한 것(예 : TSK-gel ODS-80Ts(동소(주)사제)), 칼럼 온도 약 40℃, 검출 파장 240㎚, 유속은 0.8㎖/분으로 하였다. 또한, 세구제인 경우는, 10mmol/ℓ의 인산 완충액을 이용하여 희석하고, 같은 조건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이 결과를 후술하는 기준에 따라 판정하고, ◎, ○의 구강용 조성물을,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염의 보존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다고 판단하였다.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의 잔존률(%) =
(평가 샘플값(%)/초기치(%))×100
<평점>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의 안정성 평가는, 반복 3회의 평균치를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의 잔존률
◎ : 95% 이상
○ : 95% 미만
△ : 90% 미만
× : 80% 미만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의 경시보존 안정성의 평가 :
피험 샘플을, 50℃의 항온조중으로 1개월간 보존하였다. 이것을 상온이 될 때 까지 방치한 후, 피험 제제가 치마제 또는 구강용 파스타인 경우는 10g 분배하고, 메탄올로 추출한 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펌프 : 일본분광 PU-980, 오토 샘플러 : 일본분광 AS-950, 검출기 : 일본분광 UV-970, 기록 장치 : 시스템 인스트루먼트 Chromatocoder21J, 칼럼 항온조 : 일본분광 CO-966)에 의해 정량을 행하였다. 측정 조건은, 내경 4.6㎜, 길이 15㎝의 스테인리스관에 5㎛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옥타데실실릴화 실리카겔을 충전한 칼럼을 이용하여,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이용하여, 칼럼 온도 25℃, 1.0㎖/분의 유량으로, 자외흡광 광도(측정 파장 284㎚)로의 절대검량선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세구제인 경우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희석하고, 같은 조건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이 결과를 후술하는 기준에 따라 판정하고, ◎, ○의 구강용 조성물을, 비타민E 유도체의 보존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다고 판단하였다.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의 잔존률(%) =
(평가 샘플값(%)/초기치(%))×100
<평점>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의 안정성 평가는, 반복 3회의 평균치를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의 잔존률
◎ : 95% 이상
○ : 90% 이상 95% 미만
△ : 80% 이상 90% 미만
× : 80% 미만
살균력의 평가 :
동결 보존하고 있던 포르피로모나스·진지발리스 배양액 40㎕을 각각 5mg/ℓ 헤민(Sigma사제), 및 1mg/ℓ 비타민K(와코순약 공업사제)를 포함하는 토드-헤위트-브로스(Becton and Dickinson사제) 배양액(THBHM) 4㎖에 첨가하고, 37℃로 이만 혐기 배양(80vol% 질소, 10vol% 이산화탄소, 10vol% 수소) 후, 파장 660㎚에서의 탁도(OD660) = 1로 조정하여, 균액(菌液)으로 하였다.
피험 제제가 치마제인 경우는 조성물 10g에 인공 타액 40㎖을 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 분리(10,000회전/분, 10분간)하여, 얻어진 상청(上淸)을 시료 원액으로 하였다. 피험 제제가 세구제인 경우는 조성물 10g에 인공 타액 40㎖을 가하여 희석하고, 시료 원액으로 하였다. 이 시료 원액 2㎖을 균액 2㎖에 30초간 작용시켰던 후, 50㎕을 분취하고, 살균력 평가 샘플액으로 하였다. 살균력 평가는, 살균력 평가 샘플액(50㎕)을 THB 액체 배지(4㎖)에 첨가하고, 배양(37℃, 8시간)한 후, 증식한 균량을 탁도(OD660)를 지표로 측정하고, 수치가 작은 것이 보다 높은 살균력이 얻어진 것으로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인공 타액으로서는, 3.73g의 염화 칼륨, 0.14g의 인산 2수소1칼륨, 0.15g의 염화 칼슘·2수화물, 0.02g의 염화 마그네슘·6수화물을 정제수에 용해하고, 수산화 칼륨으로 pH를 7로 조정하고, 1,000㎖로 한 것을 사용하였다.
<살균력의 판단 기준>
◎ : OD660이 1 미만
○ : OD660이 1 이상 1.2 미만
△ : OD660이 1.2 이상 2 미만
× : OD660이 2 이상
경시적으로 외관 안정성(분리, 변색)의 평가 :
피험 샘플을, 50℃의 항온조중에서 1개월간 보존하였다. 그 후, 샘플을 상온이 될 때 까지 방치한 후, 외관 안정성의 평가에 이용하였다. 피험 샘플이 연치마인 경우는, 샘플을 갱지(藁半紙)의 위에 약 10㎝ 압출하고, 분리 및 변색의 유무를 관찰하고, 평가하였다. 피험 샘플이 세구제인 경우는, 용기를 1일 정치 한 후, 분리 및 변색의 유무를 관찰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변색은 피험 샘플을 5℃의 항온조에 보존하여 둔 물건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분리의 평점>
◎ : 분리가 전혀 인정되지 않는다
○ : 분리가 거의 인정되지 않는다
△ : 분리가 약간 인정된다
× : 현저한 분리가 인정된다
<변색의 평점>
◎ : 변색이 전혀 인정되지 않는다
○ : 변색이 거의 인정되지 않는다
△ : 변색이 약간 인정된다
× : 현저한 변색이 인정된다
[표 2]
공통조성
Figure 112011100158360-pct00002

[표 3-1]
Figure 112016118018392-pct00020
[표 3-2]
Figure 112011100158360-pct00004
[표 4-1]
Figure 112011100158360-pct00005
[표 4-2]
Figure 112011100158360-pct00006
표 3,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치주질환에 유래하는 구취의 억제 효과, GCF를 지표로 한 치주질환 예방 효과, 살균력,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과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의 경시보존 안정성, 및 외관 안정성(분리의 없음, 변색의 없음)에 우수하고, 높은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발휘되는데다가, 경시보존 안정성에 우수한 것이 판명되었다. 이들에 대해, (A), (B), (D)성분의 어느 하나를 결여하고 있거나, 이들 성분의 합계 배합량이나, (C)/((B)+(D))의 비율이 부적절한 경우, 또는 계면활성제의 알킬기의 쇄장이나 EO 부가 몰수가 부적절한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효과에 뒤떨어지고,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가 없었다. 비교예 12는, 특개2005-187333호 공보의 실시예 23을 재현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가 없었다. 또한, 향료 A 대신에 향료 B 내지 I를 이용하여도,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표 5-1]
Figure 112011100158360-pct00007
[표 5-2]
Figure 112011100158360-pct00008
[표 6-1]
Figure 112011100158360-pct00009
[표 6-2]
Figure 112011100158360-pct00010
표 5, 6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치주질환에 유래하는 구취의 방지 효과, GCF를 지표로 한 치주질환 예방 효과, 살균력,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과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의 경시보존 안정성, 및 외관 안정성(분리의 없음, 변색의 없음)에 우수하고, 높은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발휘되는데다가, 경시보존 안정성에 우수한 것이 판명되었다. 이들에 대해, (A), (B), (E)성분의 어느 하나를 결여하고 있거나, 이들 성분의 합계 배합량이나, (C)/((B)+(E))의 비율이 부적절한 경우, 또는 계면활성제의 알킬기의 쇄장이나 EO 평균부가몰수가 부적절한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효과에 뒤떨어지고,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가 없었다. 비교예 25는 일본 특개2005-247786호 공보의 실시예9를 재현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가 없었다. 또한, 향료 A 대신에 향료 B 내지 I를 이용하여도,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표 7]
Figure 112011100158360-pct00011

[표 8]
Figure 112011100158360-pct00012
표 7, 8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또한 글리시레틴산, ε-아미노카프론산, 글리시리진산염, 트라넥삼산, 황백 엑기스 또는 알란토인류의 배합에 의해, GCF를 지표로 한 치주질환 예방·개선 효과가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향료 A 대신에 향료 B 내지 I를 이용하여도,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표 9]
Figure 112011100158360-pct00013
[표 10]
Figure 112011100158360-pct00014
[표 11]
Figure 112011100158360-pct00015
[표 12]
Figure 112011100158360-pct00016

[표 13]
Figure 112011100158360-pct00017
[표 14]
Figure 112011100158360-pct00018
[표 15]
Figure 112011100158360-pct00019
이하에, 본 발명을 이용한 처방예를 나타낸다.
하기 조성의 구강용 조성물을 조제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평가한 바, 어느 구강용 조성물도, 치주질환에 유래하는 구취의 방지 효과, GCF를 지표로 한 치주질환 예방 효과,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의 보존 안정성,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의 보존 안정성, 살균력, 및 외관 안정성(분리의 없음, 변색의 없음)이 우수하였다. 또한, 덱스트라나제 함유 조성은 플라그 제거 효과, 불소 이온 공급원 함유 조성은 근면 우식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에도 우수하였다.
[처방예 1] 연치마제
(A)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0.3%
(B)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1
(C) POE 스테아릴에테르 1
(EO 평균부가몰수 5)
(C) POE 경화피마자유 1
(EO 평균부가몰수 20)
(D) 이소프로필메틸페놀 0.05
β-글리시레틴산 0.05
덱스트라나제(13,000단위/g) 0.16
불화 나트륨 0.21
라우릴황산 나트륨 1.5
침강성 실리카 15
증점성 실리카 4
크산탄고무 0.5
카라기난 0.5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0.2
70% 소르비트액 45
프로필렌글리콜 3
수산화 나트륨 0.4
사카린 나트륨 0.15
산화 티탄 0.5
향료 A 1
청색1호 0.0001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0%
A+B+D=0.45%
C/(B+D)=13.3
[처방예 2] 연치마제
(A)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0.3%
(B)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1
(C) POE 스테아릴에테르 1
(EO 평균부가몰수 5)
(C) POE 경화피마자유 1
(EO 평균부가몰수 20)
(D) 이소프로필메틸페놀 0.05
β-글리시레틴산 0.05
덱스트라나제(13,000단위/g) 0.16
모노플루오로 인산 나트륨 0.73
라우릴황산 나트륨 1.5
침강성 실리카 15
증점성 실리카 4
크산탄고무 0.5
카라기난 0.5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0.2
70% 소르비트액 45
프로필렌글리콜 3
수산화 나트륨 0.4
사카린나트륨 0.15
산화 티탄 0.5
향료 A 1
청색1호 0.0001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0%
A+B+D=0.45%
C/(B+D)=13.3
[처방예 3] 연치마제
(A)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0.3%
(B)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1
(C) POE 스테아릴에테르 1
(EO 평균부가몰수 5)
(C) POE 경화피마자유 1
(EO 평균부가몰수 20)
(E) 염화 세틸피리디늄 0.01
β-글리시레틴산 0.05
덱스트라나제(13,000단위/g) 0.16
불화 나트륨 0.21
라우릴황산 나트륨 1.5
침강성 실리카 15
증점성 실리카 4
크산탄고무 0.5
카라기난 0.5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0.2
70% 소르비트액 45
프로필렌글리콜 3
수산화 나트륨 0.4
사카린나트륨 0.15
산화 티탄 0.5
향료 A 1
청색1호 0.0001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0%
A+B+E=0.41%
C/(B+E)=12.7
[처방예 4] 연치마제
(A)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0.3%
(B)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1
(C) POE 스테아릴에테르 1
(EO 평균부가몰수 5)
(C) POE 경화피마자유 1
(EO 평균부가몰수 20)
(E) 염화 세틸피리디늄 0.01
β-글리시레틴산 0.05
덱스트라나제(13,000단위/g) 0.16
모노플루오로 인산 나트륨 0.73
라우릴황산 나트륨 1.5
침강성 실리카 15
증점성 실리카 4
크산탄고무 0.5
카라기난 0.5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0.2
70% 소르비트액 45
프로필렌글리콜 3
수산화 나트륨 0.4
사카린나트륨 0.15
산화 티탄 0.5
향료 A 1
청색1호 0.0001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0%
A+B+E=0.41%
C/(B+E)=12.7
[처방예 5] 연치마제
(A)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0.5%
(B)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1
(C) 데실글루코시드 1
(C) 라우릴글루코시드 1
(E) 염화 세틸피리디늄 0.05
모노플루오로 인산 나트륨 0.7
라우릴황산 나트륨 1.5
치마용 인산 수소칼슘 40
증점성 실리카 4
크산탄고무 0.5
카라기난 0.5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0.2
70% 소르비트액 20
팔라티닛 2
프로필렌글리콜 3
수산화 나트륨 0.4
사카린나트륨 0.15
산화 티탄 0.5
향료 A 1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0%
A+B+E=0.65%
C/(B+E)=13.3
[처방예 6] 연치마제
(A)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0.5%
(B)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1
(C) 데실글루코시드 1
(C) 라우릴글루코시드 1
(E) 염화 세틸피리디늄 0.05
불화 나트륨 0.21
라우릴황산 나트륨 1.5
치마용 인산 수소칼슘 40
증점성 실리카 4
크산탄고무 0.5
카라기난 0.5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0.2
70% 소르비트액 20
팔라티닛 2
프로필렌글리콜 3
수산화 나트륨 0.4
사카린나트륨 0.15
산화 티탄 0.5
향료 A 1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0%
A+B+E=0.65%
C/(B+E)=13.3
[처방예 7] 연치마제
(A)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0.5%
(B)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1
(C)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2
(EO 평균부가몰수 20)
(E) 염화 벤제토늄 0.05
β-글리시레틴산 0.05
모노플루오로 인산 나트륨 0.7
라우릴황산 나트륨 1.5
탄산 칼슘 40
증점성 실리카 4
크산탄고무 0.5
카라기난 0.5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0.2
70% 소르비트액 20
에리스리톨 2
프로필렌글리콜 3
수산화 나트륨 0.4
사카린나트륨 0.15
산화 티탄 0.5
향료 A 1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0%
A+B+E=0.65%
C/(B+E)=13.3
[처방예 8] 세구제
(A)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0.5%
(B)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0.1
(C) 라우릴글루코시드 1
(E) 염화 세틸피리디늄 0.01
β-글리시레틴산 0.2
덱스트라나제(13,000단위/g) 0.2
라우릴황산 나트륨 0.5
에탄올 10
글리세린 10
수산화 나트륨 0.4
사카린나트륨 0.01
향료 A 0.5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0%
A+B+E=0.61%
C/(B+E)=9.1
[처방예 9] 세구제
(A)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0.5%
(B)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0.1
(C)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1
(EO 평균부가몰수 60)
(E) 염화 세틸피리디늄 0.01
β-글리시레틴산 0.2
덱스트라나제(13,000단위/g) 0.2
라우릴황산 나트륨 0.5
에탄올 10
글리세린 10
수산화 나트륨 0.4
사카린나트륨 0.01
향료 A 0.5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0%
A+B+E=0.61%
C/(B+E)=9.1

Claims (6)

  1. (A)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 또는 그 염 0.05 내지 0.8질량%,
    (B) d-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아세트산에스테르, 니코틴산에스테르, 호박산에스테르 및 리놀렌산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0.05 내지 0.5질량%,
    (C)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0 내지 60몰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알킬기의 탄소수가 14 내지 18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가 5 내지 8몰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내지 14의 알킬글루코시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0.5 내지 5질량%,
    (D) 이소프로필메틸페놀 0.01 내지 0.3질량%
    를 함유하고, (A), (B) 및 (D)성분의 합계 함유량이 0.2 내지 1.5질량%이고, 또한 (C)/((B)+(D))가 질량비로 8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A)성분과, (B)성분과, (D) 성분의 합계 함유량이 0.2 내지 1.0질량%이고, 또한 (C)/[(B)+((D)]가 질량비로 8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F) 글리시레틴산, ε-아미노카프론산, 글리시리진산염, 트라넥삼산, 황백 엑기스 및 알란토인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0.01 내지 0.5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치아 연마제(dentifrice) 또는 구강 세정제(mouthwa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5. 삭제
  6. 삭제
KR1020117030164A 2009-06-08 2010-06-04 구강용 조성물 KR101763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6994 2009-06-08
JP2009136994 2009-06-08
PCT/JP2010/059505 WO2010143589A1 (ja) 2009-06-08 2010-06-04 口腔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656A KR20120034656A (ko) 2012-04-12
KR101763953B1 true KR101763953B1 (ko) 2017-08-14

Family

ID=4330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164A KR101763953B1 (ko) 2009-06-08 2010-06-04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5765225B2 (ko)
KR (1) KR101763953B1 (ko)
CN (1) CN102802602B (ko)
WO (1) WO2010143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806B (zh) * 2011-09-28 2018-10-16 狮王株式会社 口腔用组合物
JP2013129600A (ja) * 2011-12-20 2013-07-04 Lion Corp 歯磨剤組成物
JP5834881B2 (ja) * 2011-12-20 2015-12-2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RU2467738C1 (ru) * 2011-12-21 2012-11-27 Юлия Витальевна Шикова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ая мазь с хлоргексидином и аминокапроновой кислотой для комплексного лечения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пародонта
JP5825093B2 (ja) * 2011-12-26 2015-12-02 ライオン株式会社 洗口剤組成物
KR20140143136A (ko) * 2012-03-07 2014-12-15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구강용 조성물
CN104780901B (zh) * 2012-11-08 2019-04-26 狮王株式会社 口腔用组合物
KR102006955B1 (ko) * 2013-07-18 2019-08-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 케어용 조성물
JP6111981B2 (ja) * 2013-10-30 2017-04-12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口腔用組成物
KR101636430B1 (ko) * 2014-07-10 2016-07-05 동아제약 주식회사 항염 및 살균력이 증진된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6435852B2 (ja) * 2014-12-24 2018-12-12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及び口腔用組成物の変色防止方法
JP6413815B2 (ja) * 2015-02-06 2018-10-31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口腔用組成物
JP6985786B2 (ja) * 2015-04-07 2021-12-2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組成物及び歯磨組成物における容器へのイソプロピルメチルフェノールの吸着抑制方法
JP7479254B2 (ja) * 2015-04-07 2024-05-0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組成物及び歯磨組成物における容器へのイソプロピルメチルフェノールの吸着抑制方法
JP6610001B2 (ja) * 2015-05-28 2019-11-27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口腔用組成物
JP6648640B2 (ja) * 2016-05-30 2020-02-14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WO2017209088A1 (ja) * 2016-05-30 2017-12-07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2017214300A (ja) * 2016-05-30 2017-12-07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2018002617A (ja) * 2016-06-29 2018-01-11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6879704B2 (ja) * 2016-09-29 2021-06-02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抗歯周病組成物
CN108042420B (zh) * 2017-12-20 2020-07-07 弘美制药(中国)有限公司 一种用于口腔保健的组合物及其应用
CN108245552B (zh) * 2018-01-24 2021-01-26 弘美制药(中国)有限公司 一种用于口腔的组合物及其应用
JP2019167297A (ja) * 2018-03-22 2019-10-0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JP7087782B2 (ja) * 2018-07-27 2022-06-21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7363815B2 (ja) * 2018-12-26 2023-10-18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US20220205011A1 (en) * 2019-04-25 2022-06-30 Adtec Co., Ltd. Method for detecting periodontopathic bacteria
CN111053705A (zh) * 2019-12-31 2020-04-24 合肥赛为智慧医疗有限公司 一种改善口臭型牙膏及其制备方法
JP2022168043A (ja) * 2020-09-14 2022-11-0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組成物及び歯磨組成物における容器へのイソプロピルメチルフェノールの吸着抑制方法
JP2023057209A (ja) * 2021-10-11 2023-04-21 ライオン株式会社 非水系口腔用組成物
WO2024108103A1 (en) * 2022-11-17 2024-05-23 Colgate-Palmolive Company Micellar mouthwash com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3488A (ja) * 2003-04-30 2004-11-1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及び口腔用製品
JP2005247786A (ja) * 2004-03-05 2005-09-15 Lion Corp 歯磨剤組成物及び歯磨剤製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5115A (ja) * 1985-03-29 1986-10-06 Lion Corp 2重カプセル及び該カプセル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JPS6296408A (ja) * 1985-10-23 1987-05-02 Showa Denko Kk 口腔用薬剤
JP2936579B2 (ja) * 1989-05-08 1999-08-23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2000256152A (ja) * 1999-03-05 2000-09-19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4257479B2 (ja) * 2000-06-30 2009-04-22 ライオン株式会社 アスコルビン酸リン酸エステル又はその塩含有歯磨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3212741A (ja) * 2000-11-29 2003-07-30 Lion Corp 歯磨組成物
JP2003221320A (ja) * 2002-01-29 2003-08-05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2004026658A (ja) * 2002-06-21 2004-01-29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2004083543A (ja) * 2002-08-27 2004-03-18 Lion Corp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配合口腔用組成物
JP4778726B2 (ja) * 2005-05-09 2011-09-21 日本ゼトック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2007169201A (ja) * 2005-12-21 2007-07-05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4892966B2 (ja) * 2005-12-27 2012-03-0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JP5053683B2 (ja) * 2006-03-31 2012-10-17 株式会社コーセー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7308443A (ja) * 2006-05-22 2007-11-29 Lion Corp 口腔用貼付剤製品
JP2008143825A (ja) * 2006-12-08 2008-06-26 Lion Corp 歯磨組成物
JP5205618B2 (ja) * 2007-06-19 2013-06-05 学校法人日本大学 抗菌剤
JP5166780B2 (ja) * 2007-06-20 2013-03-21 花王株式会社 液体口腔用組成物
JP5132208B2 (ja) * 2007-06-28 2013-01-30 東洋ビューティ株式会社 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3488A (ja) * 2003-04-30 2004-11-1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及び口腔用製品
JP2005247786A (ja) * 2004-03-05 2005-09-15 Lion Corp 歯磨剤組成物及び歯磨剤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3589A1 (ja) 2010-12-16
JP6207541B2 (ja) 2017-10-04
JP2015110664A (ja) 2015-06-18
CN102802602A (zh) 2012-11-28
JPWO2010143589A1 (ja) 2012-11-22
JP5765225B2 (ja) 2015-08-19
CN102802602B (zh) 2014-08-06
KR20120034656A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953B1 (ko) 구강용 조성물
JP5526619B2 (ja) 練歯磨剤組成物
EP3865113A1 (en) Or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cannabinoids
KR101821422B1 (ko) 치마제 조성물
CN106470737A (zh) 含有锌离子源、亚锡离子源和氟离子源的口腔组合物
KR20140113901A (ko) 치마제 조성물
KR20200093514A (ko) 구강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제 및 구강용 조성물
JP2008143825A (ja) 歯磨組成物
JP2009256228A (ja) 液体口腔用組成物
JP4147412B2 (ja) 口腔用組成物
KR101780837B1 (ko) 유화형 액체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7169201A (ja) 口腔用組成物
KR20170117406A (ko) 액체 구강용 조성물
JP4284522B2 (ja) 練歯磨組成物
JP7477291B2 (ja) 口腔用組成物
JP4158036B2 (ja) 歯磨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22054A (ja) 口腔用組成物
RU2777153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для пациентов с метаболическими нарушениями
JP6222216B2 (ja) 口腔用組成物
JP2006022053A (ja) 口腔用組成物
JP5625704B2 (ja) 歯磨剤組成物
JP2007091737A (ja) 口腔用組成物
JP4985975B2 (ja) 口腔用組成物
JP5471318B2 (ja) 歯磨剤組成物
JP6222217B2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