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320B1 -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320B1
KR101759320B1 KR1020160020755A KR20160020755A KR101759320B1 KR 101759320 B1 KR101759320 B1 KR 101759320B1 KR 1020160020755 A KR1020160020755 A KR 1020160020755A KR 20160020755 A KR20160020755 A KR 20160020755A KR 101759320 B1 KR101759320 B1 KR 101759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light
hinge connection
wheel knob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대연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비접촉식 센싱을 이용하는 복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노브가 외부의 누름에 의하여 각도를 가지며 하강하도록 구비된 비접촉식 센싱을 이용하는 복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누름에 의한 휠노브의 하강 운동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휠노브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하강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합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Composition Switch}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비접촉식 센싱을 이용하는 복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노브가 외부의 누름에 의하여 각도를 가지며 하강하도록 구비된 비접촉식 센싱을 이용하는 복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등의 전장부품 또는 각종 전자 기기에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적용되는 리모트 스위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의 전면에 다수개의 키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기기의 측면 또는 전면에 전부 또는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휠 버튼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 중에서 휠 버튼 장치는 사용자의 다양한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충분할 정도로 그 기능이 다양화되어 가고 있으며, 단순히 회전 조작뿐만 아니라 회전 조작과 동시에 누름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휠 버튼 장치는 무한 회전 또는 지정 각도의 회전 변위를 내부의 센서가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동시에 누름 조작에 의한 작동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접촉 센서, 택트 스위치(tact switch) 등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최근 출시되는 스티어링 휠, 전자 기기 등은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그 기능이 점점 다양해지면서 점차 단소화되어 가는 추세로 변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기들은 크기 및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슬림 타입(slim type)으로 변모해가고 있는바, 전술한 휠 버튼 장치 스위치 역시 이에 대응하도록 동일한 기능 또는 보다 우수한 기능을 구현하면서 그 두께 및 크기를 점차 줄여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차량에 적용되는 스티어링 휠의 경우 휠 버튼 장치의 개선은 상당히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휠 버튼 장치는 비교적 많은 부품들이 사용, 설치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휠 버튼 장치 전체 부피의 증가로 스티어링 휠 등 협소한 공간에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조립 공수의 증가 및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제품 생산성, 조립성 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휠 버튼 장치는 누름 조작시 휠노브의 유동으로 인하여 하강 운동이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누름에 의한 휠노브의 하강 운동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휠노브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하강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합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측에 제1 힌지연결부를 가지는 하우징; 외부의 누름에 의하여 각도를 가지고 하강하도록 상기 제1 힌지연결부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힌지연결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힌지연결부를 가지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축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휠노브 어셈블리를 가지는 스위치 어셈블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각도를 가지는 하강에 의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부와 상기 휠노브 어셈블리의 축회전에 의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부를 가지는 메인 PCB를 포함하되,
상기 휠노브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수단과,
내부에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생성된 빛을 상기 제2 신호생성부로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부와, 상기 라이트 가이드부에 고정 설치되는 휠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부는, 빛이 이동하도록 중공홀이 형성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빛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제2 신호생성부로 전달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헤드부가 안착되고, 기저부에 상기 헤드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관통로가 형성된 제3 안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수단은 LED 와 상기 LED가 실장되고 상기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PC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홀더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삭제
상기 헤드부는 외주면이 다각형 형상이고, 상기 제2 신호생성부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복수의 수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홀더의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휠노브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된 캠과 상기 캠을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상기 발광수단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홀더의 상기 제2 힌지연결부는 한 쌍이되, 상기 제1 신호생성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연결부가 연결되어 형성된 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누름에 의한 휠노브의 하강 운동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휠노브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하강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합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스위치의 구성들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위치 어셈블리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도를 가지고 하강하는 휠노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휠노브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캠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발광수단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라이트 가이드부의 내부에 형성된 광로를 통과하고, 헤드부에서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제2 신호생성부로 수광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스위치의 구성들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스위치 어셈블리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100)는 내측에 제1 힌지연결부(256)를 가지는 하우징; 외부의 누름에 의하여 각도를 가지고 하강하도록 상기 제1 힌지연결부(256)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힌지연결부(256)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힌지연결부(252)를 가지는 홀더(250)와, 상기 홀더(250)에 축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휠노브 어셈블리를 가지는 스위치 어셈블리(200);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홀더(250)의 상기 각도를 가지는 하강에 의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부(290)와 상기 휠노브 어셈블리의 축회전에 의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부(270)를 가지는 메인 PCB(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패널하우징(110), 케이스(120),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패널하우징(110)에는 휠노브(230)와 인디케이터(14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휠노브(230)를 누르거나 회전시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신호의 입력은 인디케이터(140)의 발광을 통하여 확인될 수 있다. 제1 힌지연결부(256)는 하우징 중에서 케이스(120)의 내벽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어셈블리(200)는 휠노브 어셈블리와 홀더(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휠노브 어셈블리는 발광수단(280), 캠(210), 리턴스프링(220), 휠노브(230), 라이트 가이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수단(280)은 하네스(283)를 통하여 메인 PCB(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280)은 LED(282) 와 상기 LED(282)가 실장되고 상기 메인 PCB(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PCB(2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PCB(281)는 LED(282)가 메인 PCB(260)로부터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아서 발광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휠노브 어셈블리는 내부에 상기 발광수단(280)으로부터 생성된 빛을 상기 제2 신호생성부(270)로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부(240)와, 상기 라이트 가이드부(240)에 고정 설치되는 휠노브(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트 가이드부(240)는, 빛이 이동하도록 중공홀이 형성된 축부(242)와, 상기 축부(242)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빛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제2 신호생성부(270)로 전달하는 헤드부(2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헤드부(241)는 외주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 신호생성부(270)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복수의 수광수단(271, 272)일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280)은 상기 홀더(25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발광수단(280)은 생성한 빛이 가이드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라이트 가이드부(240)와 축정렬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50)에는 제3 안착부(254)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안착부(254)는 상기 헤드부(241)가 안착되고, 제3 안착부(254)의 기저부에는 상기 헤드부(241)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관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빛은 헤드부(241)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관통로를 통과하여 수광 수단에 수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홀더(250)의 일측에는 돌출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노브(230)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251)와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된 캠(210)과 상기 캠(210)을 지지하는 리턴스프링(22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캠(210)과, 리턴스프링(220)과 휠노브(230)는 동축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홀더(25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부(240)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255)와 상기 발광수단(280)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부(255)는 홀더(250)의 한 쌍의 제2 힌지연결부(252)의 상부 테두리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 한 쌍의 홈에 라이트 가이드부(240)의 축부(242)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50)의 상기 제2 힌지연결부(252)는 한 쌍이되, 상기 제1 신호생성부(290)를 가압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연결부(252)가 연결되어 형성된 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253)와 제3 안착부(254)는 각각 한 쌍의 제2 힌지연결부(252)의 외측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도를 가지고 하강하는 휠노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100)는 외부의 사용자에 의한 누름에 의하여 휠노브(230)가 각도를 가지고 하강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도를 가지고 하강한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우징의 내벽에는 제1 힌지연결부(256)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홀더(250)의 제2 힌지연결부(252)는 제1 힌지연결부(256)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제2 힌지연결부(252)는 제1 힌지연결부(256)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제2 힌지연결부(252)의 길이만큼 홀더(250)는 힌지축(C)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구조다. 사용자가 휠노브(230)를 누르면 휠노브(230)는 홀더(250)를 누르고 홀더(250)의 브릿지는 힌지축(C)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각도를 가지고 하강하여 메인 PCB(260) 상에 설치된 제1 신호생성부(290)를 누른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신호생성부(290)는 복원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복원스프링에 의하여 홀더(250)는 다시 상승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구조는 홀더(250)를 한 방향으로 구속하는 힌지축(C)으로 인해 휠노브(230)가 눌리어 하강할때 미세한 각도가 발생하나 제1 신호생성부(290)는 누름 동작으로 인지하며, 체결된 힌지축(C)에 의해 휠노브 어셈블리의 좌/우 유동 및 이상 작동감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누름 동작이 수행된다.
도 5는 휠노브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캠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250)의 내측에는 돌출부(251)가 형성되고 돌출부(251)와 대응하는 위치에 캠(210)의 홈부가 위치하며 돌출부(251)와 홈부는 리턴 스프링의 푸쉬에 의하여 서로 맞닿아 위치하는 구조이다.
사용자가 휠노브(230)를 축회전시키면 캠(210)은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돌출부(251)와 홈부가 끼워 맞춤 동작을 반복하게 되며, 이로써 기구적인 클릭감이 휠노브(230)의 측면에 부착된 캠(210) 및 스프링 구조로부터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발광수단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라이트 가이드부의 내부에 형성된 광로를 통과하고, 헤드부에서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제2 신호생성부로 수광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휠노브 어셈블리에서 발광수단(280)과 라이트 가이드부(240)는 동축으로 정렬하여 배치된다. 라이트 가이드부(240)는 축부(242)와 헤드부(24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축부(242)는 내부가 빛이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어 광로를 구성한다. 헤드부(241)는 빛 반사수단이 개재되어 광로를 통과한 빛이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며, 헤드부(241)의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빛이 일정한 영역에서만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안착부(254)의 기저부에 형성된 관통로는 제2 신호생성부(270)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발광수단(280)의 LED(282)가 빛을 조사하면 빛은 라이트 가이드부(240)의 축부(242)의 광로를 통과하여 헤드부(241)에서 방향을 전환하며 방향을 전환한 빛의 일부만이 제2 신호생성부(270)로 이동하며 사용자가 휠노브(230)를 회전시키면 빛은 제2 신호생성부(270)의 복수의 수광수단(271, 272)을 특정 순서에 따라서 비추게 되어 신호가 생성된다.
휠노브(230)의 회전에 의하여 신호가 입력되는 구조를 발광수단(280)과 수광수단(271, 272)으로 구성되는 비접촉식으로 구현한 구조는 외부의 누름에 의하여 휠노브 어셈블리가 각도를 가지고 하강하는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힌지 연결부에 의한 하강으로 제1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빛의 발광 및 수광을 이용함으로써 회전 운동에 의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동시에 구조화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100)는 발광수단(280)에서 생성된 빛이 회전하는 휠노브(230)의 내측 공간을 투과하여 비접촉 센싱을 출력하는 회전기능과 한쪽 축을 구속하여 푸쉬시키는 휠노브(230)와 결합한 홀더(250)가 메인 PCB(260) 상의 제1 신호생성부(290)를 접촉하여 직접적으로 신호를 전달하므로 휠노브 어셈블리의 유동이 억제되고 휠노브(230)의 하강 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작동감이 향상되는 간결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휠노브(230) 내부의 투과 구조를 형성하여 빛을 반대편으로 보내 비접촉 센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휠노브(230)의 내부에 측면으로 반력을 작용시켜 캠(210)을 활용한 클릭 감촉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복합 스위치
110: 패널하우징
120: 케이스
130: 커버
140: 인디케이터
200: 스위치 어셈블리
250: 홀더
260: 메인 PCB

Claims (10)

  1. 내측에 제1 힌지연결부를 가지는 하우징;
    외부의 누름에 의하여 각도를 가지고 하강하도록 상기 제1 힌지연결부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힌지연결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힌지연결부를 가지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축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휠노브 어셈블리를 가지는 스위치 어셈블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각도를 가지는 하강에 의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부와 상기 휠노브 어셈블리의 축회전에 의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부를 가지는 메인 PCB를 포함하되,
    상기 휠노브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수단과,
    내부에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생성된 빛을 상기 제2 신호생성부로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부와, 상기 라이트 가이드부에 고정 설치되는 휠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부는,
    빛이 이동하도록 중공홀이 형성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빛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제2 신호생성부로 전달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헤드부가 안착되고, 기저부에 상기 헤드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관통로가 형성된 제3 안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LED 와 상기 LED가 실장되고 상기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P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홀더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외주면이 다각형 형상이고, 상기 제2 신호생성부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복수의 수광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휠노브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된 캠과 상기 캠을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상기 발광수단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제2 힌지연결부는 한 쌍이되, 상기 제1 신호생성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연결부가 연결되어 형성된 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KR1020160020755A 2016-02-22 2016-02-22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KR101759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55A KR101759320B1 (ko) 2016-02-22 2016-02-22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55A KR101759320B1 (ko) 2016-02-22 2016-02-22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320B1 true KR101759320B1 (ko) 2017-07-18

Family

ID=5943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755A KR101759320B1 (ko) 2016-02-22 2016-02-22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3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510B1 (ko) * 2017-09-12 2018-09-12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
KR102532803B1 (ko) * 2022-09-19 2023-05-16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139A (ja) * 1998-11-20 2000-06-06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JP2007076539A (ja) * 2005-09-15 2007-03-29 Tokai Rika Co Ltd 入力装置
JP2010015881A (ja) * 2008-07-04 2010-01-21 Tokai Rika Co Ltd 光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139A (ja) * 1998-11-20 2000-06-06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JP2007076539A (ja) * 2005-09-15 2007-03-29 Tokai Rika Co Ltd 入力装置
JP2010015881A (ja) * 2008-07-04 2010-01-21 Tokai Rika Co Ltd 光スイッ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510B1 (ko) * 2017-09-12 2018-09-12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
KR102532803B1 (ko) * 2022-09-19 2023-05-16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7883B2 (en) Electrical switch with multiple switching ways
EP1764815B1 (en) Switching apparatus
JP6345035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4659672B2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2000195388A (ja)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180905B1 (en) Two position pushbutton switch with illuminated button
KR101759320B1 (ko) 비접촉식 복합 스위치
KR20170041336A (ko) 스크롤 푸시 스위치 모듈
EP1631976B1 (en) Drum-type control device having multiple switching ways and electronic appliance equipped with such devices
JP2008192559A (ja) 車載用ノブスイッチ
CN211376507U (zh) 一种带按键开关的编码器
KR200464058Y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JP6126704B2 (ja) 可動部付電子部品
KR101721578B1 (ko) 복합조작 구조를 가지는 리모트 스위치
JP3991491B2 (ja)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11128589A (zh) 一种多功能开关
KR100813416B1 (ko) 회전형 멀티키
JP2015153576A (ja) 節度切り替え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7066636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
JP4380446B2 (ja) シーソースイッチ
CN211376504U (zh) 一种多功能开关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100782781B1 (ko) 회전형 멀티키
JP2008305653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KR101271313B1 (ko) 레버 스위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