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930B1 - 스피닝 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930B1
KR101740930B1 KR1020110036314A KR20110036314A KR101740930B1 KR 101740930 B1 KR101740930 B1 KR 101740930B1 KR 1020110036314 A KR1020110036314 A KR 1020110036314A KR 20110036314 A KR20110036314 A KR 20110036314A KR 101740930 B1 KR101740930 B1 KR 10174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spool
bobbin trunk
portions
rea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065A (ko
Inventor
첸 위 츄
춘 위 츄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110127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합성 수지제의 스풀에 있어서, 스풀의 외측면(外側面)에서의 싱크 마크(sink mark)의 발생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스풀(4)은, 스피닝 릴의 릴 본체(2)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풀 축(16)에 장착되어 낚싯줄을 감기 위한 것이다. 스풀(4)은, 전 플랜지부(4c)와 후 플랜지부(4b)와 줄 감기 몸통부(4a)를 가지고 있다. 후 플랜지부(4b)는, 전 플랜지부(4c)의 후방(後方)에 배치되어 있다. 줄 감기 몸통부(4a)는, 전 플랜지부(4c)와 후 플랜지부(4b)를 연결하도록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줄의 연결부(25)를 가지고, 전 플랜지부(4c) 및 후 플랜지부(4b)보다 소경(小經)으로 양자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스풀{SPINNING REEL SPOOL}
본 발명은, 스풀, 특히,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을 감기 위한 스풀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있어서,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합성 수지제의 것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스풀은,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줄 감기 몸통부와, 줄 감기 몸통부의 선단(先端)에 대경(大徑)으로 형성된 전(前) 플랜지부와, 줄 감기 몸통부의 기단(基端)에 대경으로 형성된 보강 리브를 구비하고 있다. 전(前) 플랜지부 및 보강 리브는, 줄 감기 몸통부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보강 리브는, 스풀 축 방향에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3958737호 명세서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전 플랜지부 및 2개의 보강부에 있어서, 두께가 환상(環狀)으로 두꺼워진다. 이 때문에, 사출 성형 시에 냉각하면 두께가 두꺼운 부일수록 수축량이 커진다. 이 결과,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서 싱크 마크(sink mark, 수축)가 외측면에 발생하여, 외관의 볼품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합성 수지제의 스풀에 있어서, 스풀의 외측면에서의 싱크 마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풀 축에 장착되고 낚싯줄을 감기 위한 전체가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합성수지제의 스풀이다. 스풀은, 전 플랜지부와 후 플랜지부와 줄 감기 몸통부를 가지고 있다. 후 플랜지부는, 전 플랜지부의 후방(後方)에 배치되어 있다. 줄 감기 몸통부는, 전 플랜지부와 후 플랜지부를 연결하도록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줄의 연결부를 가지고, 전 플랜지부 및 후 플랜지부보다 소경(小徑)으로 양자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줄 감기 몸통부는, 전 플랜지부 형성 부분의 내주부(內周部)에 형성된 원판상(圓板狀)의 전 벽부와, 관통공을 가지고 전 벽부의 내주부에 설치된 보스부를 가진다. 전 벽부의 후면(後面)에는, 보스부의 외주부로부터 방사상(放射狀)으로 연장되는 보강용의 복수의 리브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줄 감기 몸통부는, 전 플랜지부와 후 플랜지부와의 사이에서 복수 줄의 연결부의 내주부를 연결하는 연결 몸통부를 더 가진다. 연결 몸통부의 내주면에는, 뽑기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에서는, 복수 줄의 연결부가 전 플랜지부와 후 플랜지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 복수 줄의 연결부에 의하여, 전 플랜지부 및 후 플랜지부에 대하여 줄 감기 몸통부의 두께의 변동이 적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줄 감기 몸통부를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줄의 연결부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전 플랜지부 및 후 플랜지부와 줄 감기 몸통부와의 두께의 변동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풀의 외측면에서의 싱크 마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통부로 연결부의 내주부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줄 감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발명 1에 기재된 스풀에 있어서, 복수 줄의 연결부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의 구조가 간소하게 되어,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풀을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하기 쉬워진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발명 1에 기재된 스풀에 있어서, 복수 줄의 연결부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가 비스듬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줄 감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의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발명 3에 기재된 스풀에 있어서, 복수 줄의 연결부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제1 연결부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제2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연결부가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복수의 교차 부분이 둘레 방향 및 전후 방향에 형성된다. 이 결과, 줄 감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의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에 있어서, 줄 감기 몸통부는, 스풀 축과 직교하여 배치되고 연결부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상부를 더 가진다. 이 경우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연결부가 환상부에 의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줄 감기 몸통부의 둘레 방향의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에 있어서, 후 플랜지부의 외주(外周) 측에 통상(筒狀)으로 일체 형성된 스커트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통상의 스커트부에 의하여 스풀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줄 감기 몸통부를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줄의 연결부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전 플랜지부 및 후 플랜지부와 줄 감기 몸통부와의 두께의 변동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풀의 외측면에서의 싱크 마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사시도.
도 2는 그 측면 단면도.
도 3은 그 배면 단면도.
도 4는 스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V-V선 단면도.
도 6은 제2 실시예의 스풀의 사시도.
도 7은 제3 실시예의 스풀의 사시도.
도 8은 제4 실시예의 스풀의 사시도.
도 9는 제5 실시예의 스풀의 사시도.
도 10은 제6 실시예의 스풀의 사시도.
도 11은 제7 실시예의 스풀의 사시도.
도 12는 제8 실시예의 스풀의 사시도.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던질 낚시용의 스피닝 릴이고, 핸들(1)을 가지고,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3)와, 로터(3)의 전부에 배치된 전후 이동하는 스풀(4)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피닝 릴은,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터(3)를 회전 구동하는 로터 구동 기구(5)와,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4)을 전후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내부에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를 수납하고 있다. 릴 본체(2)는, 양측이 개구(開口)하는 케이스부(10)와, 케이스부(10)의 양측을 각각 막는 제1 덮개 부재(11) 및 제2 덮개 부재(12)와, 케이스부(10)에 일체 형성된 장대 취부 다리부(13)와, 케이스부(10) 및 제1 덮개 부재(11), 제2 덮개 부재(12)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제1 커버 부재(14) 및 제2 커버 부재(15)를 가지고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의 핸들 축(1a)이 틀어넣음 고정되는 마스터 기어축(8)과, 마스터 기어축(8)에 일체 형성된 마스터 기어(7)와, 마스터 기어(7)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9)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터 기어축(8)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7)와 알루미늄 합금에 의하여 일체 성형된 중실(中實) 부재이고, 릴 본체(2)의 제1 덮개 부재(11), 제2 덮개 부재(12)에 형성된 제1 보스부(11a) 및 제2 보스부(12a)에 장착된 베어링(19a, 19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7)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페이스 기어이고, 마스터 기어축(8)과 함께 일체 성형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7)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헬리컬기어 이빨로 구성되는 기어부(7a)가 우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中空) 통상의 부재이며, 전부가 로터(3)를 관통하여 로터(3)를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9)의 내주부에는, 스풀 축(16)이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의 전부에는, 너트(17)가 장착되어 있고, 너트(17)에 의하여 로터(3)가 피니언 기어(9)에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8a, 18b)에 의하여 릴 본체(2)의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traverse) 캠 방식의 레벨 와인드 기구이고,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감속 기구(20, 도 2)와, 감속 기구(20)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트래버스 캠축(21)과, 트래버스 캠축(21)에 계합(係合, 걸어 맞춤)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슬라이더(22)를 스풀 축(16) 방향으로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 축(23a, 23b)을 가지고 있다. 트래버스 캠축(21)은,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상 홈(21a)이 형성된 축이다.
슬라이더(2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16)의 후단(後端)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부재이다. 슬라이더(22)는, 트래버스 캠축(21)의 나선상 홈(21a)에 계합하는 계합 부재(22a)와, 계합 부재(22a)가 장착되고 트래버스 캠축(2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 이동하는 슬라이더 본체(22b)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는, 계합 부재(22a)의 선단이 나선상 홈(21a)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트래버스 캠축(21)의 회전에 따라 스풀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스풀 축(16)을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 이동시킨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를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 본체(35)와, 로터 본체(35)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34)을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35)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피니언 기어(9)에 고정된 통상의 지지부(30)와, 지지부(30)의 후단부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지지부(30)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前方)으로 연장되는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을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35)를 구성하는 지지부(30),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다이캐스트 성형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직경 방향 외주 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제1 커버 부재(36) 및 제2 커버 부재(37)에 의하여 덮여 있다. 또한,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선단의 외주 측에는, 베일 암(34)을 구성하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낚싯대로부터 스풀(4)로 낚싯줄을 부드럽게 안내하여 스풀(4)에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줄 안내 자세와 그것으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전 방지 기구(50)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 및 해제 가능하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케이스부(10)에 장착된 롤러형의 원 웨이 클러치(51)를 가지고 있다. 원 웨이 클러치(51)는, 역전 금지 상태와 역전 가능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원 웨이 클러치(51)를 역전 금지 상태와 역전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조작부(52)를 더 가지고 있다. 전환 조작부(52)는, 케이스부(10)의 하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얕은 홈형의 것이다. 스풀(4)은, 스풀 축(16)의 선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풀 축(16)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평행한 모따기부를 가지는 회전 멈춤부(16a)와, 수나사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4)은, 수나사부(16b)에 나합하는 스풀 손잡이(54)에 의하여 스풀 축(16)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풀(4)은, 배면에 나사 멈춤된 회전 멈춤 부재(55)에 의하여 스풀 축(16)에 대하여 회전 멈춤된다. 회전 멈춤 부재(55)는, 단면으로부터 보아 정육각형의 외주면(55a)을 가지고 있다. 이 외주면(55a)은, 스풀 축(16)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바닥을 가지는 통상의 음출(音出) 부재(56)의 내주면에 계합한다. 음출 부재(56)는, 원형의 스풀 받이(57)에 접촉하고 있다. 이들 음출 부재(56) 및 스풀 받이(57)는, 회전 멈춤부(16a)에 계합하여 스풀 축(16)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 받이(57)는, 회전 멈춤부(16a)의 스풀 축(16)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단차로 축 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덧붙여, 음출 부재(56)는, 제1 실시예에서는, 스풀(4)이 스풀 축(16)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발음 기구로서는 기능하지 않는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4a)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후단부에 줄 감기 몸통부(4a)보다 약간 대경으로 형성된 후 플랜지부(4b)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선단부에 줄 감기 몸통부(4a)보다 약간 대경으로 형성된 전 플랜지부(4c)와, 후 플랜지부의 외주 측에 통상으로 일체 형성된 스커트부(4d)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각각의 부는, 예를 들어, 유리 단섬유로 강화된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이며,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줄 감기 몸통부(4a)는, 로터(3)의 지지부(30)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있다. 줄 감기 몸통부(4a)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줄의 연결부(25)와, 전 플랜지부(4c)와 후 플랜지부(4b)와의 사이에서 연결부(25)의 내주부를 연결하는 연결 몸통부(26)를 가지고 있다. 또한, 줄 감기 몸통부(4a)는, 전 플랜지부(4c) 형성 부분의 내주부에 형성된 원판상의 전(前) 벽부(27)와, 관통공(28a)을 가지고 전 벽부(27)의 내주부에 설치된 보스부(28)를 가지고 있다. 전 벽부(27)의 후면에는, 보스부(28)의 외주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보강용의 복수(예를 들어 4개)의 리브(27a)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28)의 관통공(28a)에, 스풀 축(16)의 외주면이 회전 가능하게 감합(嵌合)하고 있다. 또한, 보스부(28)의 배면에 회전 멈춤 부재(55)가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25)는, 전 플랜지부(4c)와 후 플랜지부(4b)를 연결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복수 줄의 연결부(25)는, 줄 감기 몸통부(4a)와 전 플랜지부(4c) 및 후 플랜지부(4b)와의 두께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25)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스풀 축(16)으로부터의 반경이 동일한 원호면으로 외주면이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연결부(25)는, 예를 들어 16조 설치되어 있다.
연결 몸통부(26)의 내주면에는, 성형 시의 금형의 이탈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뽑기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풀 축에 대하여 0.5도에서 2도 정도의 각도의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어, 후방 측이 전방 측에 비하여 내경이 커져 있다.
후 플랜지부(4b)는, 전 플랜지부(4c)보다 약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 플랜지부(4b)는, 줄 감기 몸통부(4a)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원환상(圓環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 플랜지부(4c)는, 줄 감기 몸통부(4a) 측에 전방을 향하여 경사하는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다. 전 플랜지부(4c)의 전면에는, 전 플랜지부(4c)의 두께를 조정하기 위한 제1 파임부(4g)가 환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파임부(4g)는, 전 플랜지부(4c)의 전면(前面) 전체에 형성되어 있지만, 전체 면에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스커트부(4d)에는, 낚싯줄을 계지(係止,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것)하는 낚싯줄 계지부(4e)가 설치되어 있다. 낚싯줄 계지부(4e)는, U자상으로 오목한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낚싯줄 계지부(4e)의 장착 부분을 제외한 스커트부(4d)의 외주면에는,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과 함께 두께를 조정하기 위한 직사각형으로 오목한 복수(예를 들어 15개)의 제2 파임부(4f)가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2 파임부(4f)의 형성 부분에는, 환상의 오목부(4h)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h)에 의하여, 줄 감기 몸통부(4a)로부터 스커트부(4d)에 낚싯줄이 침입하여도, 침입한 낚싯줄이 오목부(4h)에서 걸려 그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기 어렵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스풀(4)로부터 후방으로의 줄 빠짐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풀(4)에서는, 복수 줄의 연결부(25)에 의하여, 전 플랜지부(4c) 및 후 플랜지부(4b)에 대하여 두께의 변동이 적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풀(4)의 외측부에서의 싱크 마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스풀(4)의 줄 감기 몸통부(4a)의 연결부(25)를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하였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04)의 줄 감기 몸통부(104a)의 연결부(125)를 전후 방향과 교차시켜 비스듬하게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125)는, 전 플랜지부(4c)와의 연결 부분과 후 플랜지부(4b)와의 연결 부분과의 둘레 방향의 위상이, 예를 들어 22.5도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연결 몸통부(126)는, 연결부(125)의 내주부를 연결한다. 그 외의 스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예>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관련되는 스풀(204)의 줄 감기 몸통부(204a)는, 스풀 축(16)과 직교하여 배치되고 연결부(225)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상부(229)를 더 가지고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환상부(229)는, 전후 방향에 간격을 두고 3개 설치되어 있다. 연결 몸통부(226)는, 연결부(225)의 내주부를 연결한다. 그 외의 스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예>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관련되는 스풀(304)의 줄 감기 몸통부(304a)는, 복수 줄의 연결부(325)와, 연결 몸통부(326)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325)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복수 줄의 제1 연결부(325a)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복수 줄의 제2 연결부(325b)를 가지고 있다. 제1 연결부(325a)와 제2 연결부(325b)는, 반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325a)와 제2 연결부(325b)는, 전후 방향의 도중에서 교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교차 부분(325c)에 의하여 연결부(325)가 보강되어, 둘레 방향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연결 몸통부(326)는, 연결부(325)의 내주부를 연결한다. 그 외의 스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예>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의 스풀(404)의 줄 감기 몸통부(404a)는, 제1 실시예의 스풀(4)에 대하여, 연결 몸통부(26)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연결부(425)는, 제1 실시예의 연결 몸통부(26)의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까지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커트부(404d)에 형성된 파임부(404f)가 스커트부(404d)의 내외 둘레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커트부(404d)의 내외 둘레면을 관통하여 파임부(404f)를 형성하면, 스풀(404)을 한층 더 경량화할 수 있다. 그 외의 스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예>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의 스풀(504)의 줄 감기 몸통부(504a)는, 제3 실시예의 환상부(229)를 가지는 줄 감기 몸통부(204a)에 대하여, 연결 몸통부(226)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결부(525) 및 환상부(529)는, 연결 몸통부(226)의 내주면이 형성된 부분까지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또한, 파임부(504f)는,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커트부(504d)의 내외 둘레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스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예>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의 스풀(604)의 줄 감기 몸통부(604a)는, 제4 실시예의 제1 연결부(325a) 및 제2 연결부(325b)가 형성된 연결부(325)를 가지는 줄 감기 몸통부(304a)에 대하여, 연결 몸통부(326)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연결부(625a) 및 제2 연결부(625b)를 가지는 연결부(625)는, 연결 몸통부(326)의 내주면이 형성된 부분까지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파임부(4f)를 포함하는 그 외의 스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8 실시예>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8 실시예의 스풀(704)의 줄 감기 몸통부(704a)는, 제7 실시예의 제1 연결부(625a) 및 제2 연결부(625b)가 형성된 연결부(625)를 가지는 줄 감기 몸통부(604a)에 대하여, 환상부(72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연결부(725a) 및 제2 연결부(725b)를 가지는 연결부(725) 및 환상부(729)는, 제7 실시예의 연결부(625)와 같은 두께를 가지고 있다. 파임부(4f)를 포함하는 그 외의 스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특징>
(A) 스피닝 릴의 스풀(4, 104, 204, … 704)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2)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풀 축(16)에 장착되고 낚싯줄을 감기 위한 것이다. 스풀(4, 104, 204, … 704)은, 전 플랜지부(4c)와, 후 플랜지부(4b)와, 줄 감기 몸통부(4a, 104a, 204a, … 704a)를 가지고 있다. 후 플랜지부(4b)는, 전 플랜지부(4c)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줄 감기 몸통부(4a, 104a, 204a, … 704a)는, 전 플랜지부(4c)와 후 플랜지부(4b)를 연결하도록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줄의 연결부(25, 125, 225, … 725)를 가지고, 전 플랜지부(4c) 및 후 플랜지부(4b)보다 소경으로 양자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에서는, 줄 감기 몸통부(4a, 104a, 204a, … 704a)는, 복수 줄의 연결부(25, 125, 225, … 725)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25, 125, 225, … 725)가 전 플랜지부(4c)와 후 플랜지부(4b)를 연결하고 있다. 이 복수 줄의 연결부(25, 125, 225, … 725)에 의하여, 전 플랜지부(4c) 및 후 플랜지부(4b)에 대하여 줄 감기 몸통부(4a, 104a, 204a, … 704a) 의 두께의 변동이 적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줄 감기 몸통부(4a, 104a, 204a, … 704a)를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줄의 연결부(25, 125, 225, … 725)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전 플랜지부(4c) 및 후 플랜지부(4b)와 줄 감기 몸통부(4a, 104a, 204a, … 704a)와의 두께의 변동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풀(4, 104, 204, … 704)의 외측면에서의 싱크 마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B) 스풀(4, 104, 204, 304)에 있어서, 줄 감기 몸통부(4a, 104a, 204a, 304a)는, 복수 줄의 연결부(25, 125, 225, 325)의 내주부를 연결하는 연결 몸통부(26, 126, 226, 326)를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연결 몸통부(26, 126, 226, 326)로 연결부(25, 125, 225, 325)의 내주부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줄 감기 몸통부(4a, 104a, 204a, 304a)의 둘레 방향의 강성이 높아진다.
(C) 스풀(4, 204, 404, 504)에 있어서, 복수 줄의 연결부(25, 225, 425, 525)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25, 225, 425, 525)의 구조가 간소하게 되어, 연결부(25, 225, 425, 525)를 포함하는 스풀(4, 204, 404, 504)을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하기 쉬워진다.
(D) 스풀(104, 304, 604, 704)에 있어서, 복수 줄의 연결부(125, 325, 625, 725)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125, 325, 625, 725)가 비스듬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줄 감기 몸통부(104a, 304a, 604a, 704a)의 둘레 방향의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E) 스풀(604, 704)에 있어서, 복수 줄의 연결부(625, 725)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제1 연결부(625a, 725a)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제2 연결부(625b, 725b)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제1 연결부(625a, 725a)와 제2 연결부(625b, 725b)로 연결부(625, 725)가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제1 연결부(625a, 725a)와 제2 연결부(625b, 725b)와의 복수의 교차 부분이 둘레 방향 및 전후 방향에 형성된다. 이 결과, 줄 감기 몸통부(604a, 704a)의 둘레 방향의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F) 스풀(204, 504, 704)에 있어서, 줄 감기 몸통부(204a, 504a, 704a)는, 스풀 축(16)과 직교하여 배치되고 연결부(225, 525, 725)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상부(229, 529, 729)를 더 가진다. 이 경우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연결부(225, 525, 725)가 환상부(229, 529, 729)에 의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줄 감기 몸통부(204a, 504a, 704a)의 둘레 방향의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G) 스풀(4, 104, 204, … 704)에 있어서, 후 플랜지부(4b)의 외주 측에 통상으로 일체 형성된 스커트부(4d, 404d)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통상의 스커트부(4d, 404d)에 의하여 스풀(4, 104, 204, … 704)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부를 전후 방향을 따라 또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도록 직선적인 형상으로 하였지만, 연결부의 형성 방향은, 전 플랜지부와 후 플랜지부를 연결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전 플랜지부와 후 플랜지부를 굴곡한 복수 줄의 직선 또는 만곡한 복수 줄의 곡선(예를 들어 스파이럴 형상의 곡선)으로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드랙 기구를 가지지 않는 던질 낚시용의 스피닝 릴의 얕은 홈형의 스풀을 예시하였지만, 드랙 기구를 가지는 스풀 등의 모든 형식의 스피닝 릴의 스풀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 표면에 아무것도 처리를 하고 있지 않지만, 스풀의 줄 감기 몸통부 및 전후의 플랜지부 등의 낚싯줄이 접촉하는 부분에 경질 도금이나 이온 도금 피막 등의 경질 피막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줄 감기 몸통부의 내주 측에 로터의 지지부가 수납되는 스풀을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스커트부의 내주 측에 로터의 지지부가 수납되는 스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2: 릴 본체 4: 스풀
4a: 줄 감기 몸통부 4b: 후 플랜지부
4c: 전 플랜지부 4d: 스커트부
4e: 낚싯줄 계지부 16: 스풀 축
25: 연결부 26: 연결 몸통부
104: 스풀 104a: 줄 감기 몸통부
125: 연결부 126: 연결 몸통부
204: 스풀 204a: 줄 감기 몸통부
225: 연결부 226: 연결 몸통부
229: 환상부 304: 스풀
304a: 줄 감기 몸통부 325: 연결부
325a: 제1 연결부 325b: 제2 연결부
326: 연결 몸통부 404: 스풀
404a: 줄 감기 몸통부 404d: 스커트부
425: 연결부 504: 스풀
504a: 줄 감기 몸통부 525: 연결부
529: 환상부 604: 스풀
604a: 줄 감기 몸통부 625: 연결부
625a: 제1 연결부 625b: 제2 연결부
704: 스풀 704a: 줄 감기 몸통부
725: 연결부 725a: 제1 연결부
725b: 제2 연결부 729: 환상부

Claims (7)

  1.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풀 축에 장착되고 낚싯줄을 감기 위한, 전체가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합성수지제의 스풀이고,
    전(前) 플랜지부와,
    상기 전 플랜지부의 후방(後方)에 배치된 후(後) 플랜지부와,
    상기 전 플랜지부와 상기 후 플랜지부를 연결하도록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줄의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전 플랜지부 및 상기 후 플랜지부보다 소경(小經)으로 양자와 일체 형성된 줄 감기 몸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줄 감기 몸통부는, 상기 전 플랜지부 형성 부분의 내주부(內周部)에 형성된 원판상(圓板狀)의 전 벽부와,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전 벽부의 내주부에 설치된 보스부를 가지고,
    상기 전 벽부의 후면(後面)에는, 상기 보스부의 외주부로부터 방사상(放射狀)으로 연장되는 보강용의 복수의 리브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줄 감기 몸통부는, 상기 전 플랜지부와 상기 후 플랜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복수 줄의 연결부의 내주부를 연결하는 연결 몸통부를 더 가지고,
    상기 연결 몸통부의 내주면에는, 뽑기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줄의 연결부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줄의 연결부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줄의 연결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복수 줄의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복수 줄의 제2 연결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줄 감기 몸통부는, 상기 스풀 축과 직교하여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상부(環狀部)를 더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 플랜지부의 외주(外周) 측에 통상(筒狀)으로 일체 형성된 스커트부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7. 삭제
KR1020110036314A 2010-05-18 2011-04-19 스피닝 릴의 스풀 KR101740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14385A JP5680335B2 (ja) 2010-05-18 2010-05-18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JP-P-2010-114385 2010-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065A KR20110127065A (ko) 2011-11-24
KR101740930B1 true KR101740930B1 (ko) 2017-06-15

Family

ID=4447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314A KR101740930B1 (ko) 2010-05-18 2011-04-19 스피닝 릴의 스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87881B1 (ko)
JP (1) JP5680335B2 (ko)
KR (1) KR101740930B1 (ko)
CN (1) CN102246730B (ko)
TW (1) TWI5666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9516B2 (ja) * 2012-02-06 2015-09-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巻回用スプールと、このスプールを搭載した魚釣用リール
JP6462382B2 (ja) * 2015-01-29 2019-01-30 株式会社シマノ 係合ピン及び係合ピンを有する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CN112262828A (zh) * 2020-11-19 2021-01-26 许一帆 一种可实现缓冲的定位卡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902B2 (ja) 1996-05-31 2001-02-26 株式会社熊谷組 地中連続壁構築用の掘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70088U (ko) * 1972-10-03 1974-06-18
JPH0445506Y2 (ko) * 1985-07-22 1992-10-26
JPH0452470U (ko) * 1990-09-07 1992-05-01
JP3033414U (ja) * 1996-07-10 1997-01-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3443811B2 (ja) * 1997-01-28 2003-09-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46635A (ja) * 1997-08-08 1999-02-23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
JP3512683B2 (ja) * 1999-08-04 2004-03-3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01148973A (ja) * 1999-11-26 2001-06-0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4081097A (ja) * 2002-08-27 2004-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3981325B2 (ja) * 2002-12-06 2007-09-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JP3958737B2 (ja) 2003-12-03 2007-08-15 弘孝 寺田 魚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
JP4476790B2 (ja) * 2004-11-25 2010-06-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4795135B2 (ja) * 2006-06-27 2011-10-1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137902U (ja) * 2007-09-28 2007-12-13 世淵 葉 魚釣り用リール
JP5205121B2 (ja) * 2008-04-30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20100040393A (ko) * 2008-10-10 2010-04-20 강석운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CN201388450Y (zh) * 2009-02-23 2010-01-27 威海光威精密机械有限公司 渔线轮的卷线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902B2 (ja) 1996-05-31 2001-02-26 株式会社熊谷組 地中連続壁構築用の掘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46730B (zh) 2014-11-26
TW201200013A (en) 2012-01-01
TWI566695B (zh) 2017-01-21
EP2387881B1 (en) 2015-07-29
KR20110127065A (ko) 2011-11-24
CN102246730A (zh) 2011-11-23
JP5680335B2 (ja) 2015-03-04
EP2387881A1 (en) 2011-11-23
JP2011239722A (ja)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855B1 (ko) 낚시용 릴의 트래버스 캠축 및 그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US7374119B2 (en) Handle knob and handle assembly for a fishing reel
US7802744B2 (en) Spinning reel
KR20090028440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1740930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20040071074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US6978957B2 (en) Spool support structure for a spinning reel
US7967232B2 (en) Spinning-reel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JP200422252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KR100983927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US20070278335A1 (en) Fixed spool fishing reel
JP5869240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KR100942709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US7028937B2 (en) Reel unit for spinning reel
KR20030029038A (ko) 낚시용 부품의 체결 구조
JP5010860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KR20040071628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장착 구조
US6854677B2 (en) Spinning-reel sounding mechanism
KR20040071629A (ko) 스피닝 릴의 로터
US7077349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200405714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KR20170070785A (ko) 스피닝 릴의 로터, 및 스피닝 릴
JP200425453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32446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351898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