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945B1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945B1
KR101735945B1 KR1020150123628A KR20150123628A KR101735945B1 KR 101735945 B1 KR101735945 B1 KR 101735945B1 KR 1020150123628 A KR1020150123628 A KR 1020150123628A KR 20150123628 A KR20150123628 A KR 20150123628A KR 101735945 B1 KR101735945 B1 KR 101735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ngagement
contact member
wiring board
groun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759A (ko
Inventor
다카키 구라치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5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with separate members fixing the shield to the PCB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관한 전자 차폐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상대 커넥터(2)와의 감합 상태를 유지하는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한 쉴드 플레이트(14c)를, 상대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외방측으로부터 덮고, 양쪽 커넥터(1, 2)의 감합시에 감합 보유 부재(14)를 회동하는 작업과 동시에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를 즉시 행함과 아울러,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한 그라운드 접속부(14c3)를, 상대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의 근방 위치에 설치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접속시킴으로써 양호한 전자 차폐(쉴드) 특성을 얻으면서, 기판 접속 다리 부위(22a)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를 양호하게 확인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ELECTRICAL CONNECTO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감합 보유 부재가 회동됨으로써,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FPC(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나, FFC(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혹은 동축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종의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인쇄 배선 기판에 접속하는데 즈음하여, 전기 커넥터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 전기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인쇄 배선 기판상에 실장되는 제1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동축 케이블 등의 신호 전송 매체가 연결된 제2 커넥터(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도록 하여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커넥터 본체부의 내부에 다극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도전성의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를 통해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전송 신호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noise)의 영향을 저감하고, 혹은 외부를 향해 방사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서, 커넥터 본체부(절연 하우징)의 외표면이나 콘택트 부재의 외방측을 박판 형상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shell)이나 쉴드 플레이트(shield plate)로 덮음으로써 전자 차폐(쉴드)를 행하는 구성이 자주 채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특히 근년에 있어서는, 전송 신호의 가일층의 고주파화가 도모되는 데 따라서,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의 주체 부분 뿐만 아니라,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대해서도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의 영향을 없애고, 또 그 콘택트 부재의 접속 부위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의 외부 방사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커넥터 장치에서는, 콘택트 부재와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도전성의 테이프를 붙인 것이나, 도전성 쉘을 연장하여 당해 접속 부위를 덮도록 한 것도 있지만, 도전성 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전성 테이프를 붙인다고 하는 비교적 시간이 걸리는 작업 공정이 부가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하는 경향으로 되고 있다. 또, 예를 들면, 제1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도전성 쉘을 연장하여 덮는 경우에 있어서는, 콘택트 부재와 배선 기판의 접속 부위가 눈으로 보거나 화상 검사 등에서의 확인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콘택트 부재 등의 접속 작업이 지장 없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의 검사·확인이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7-7342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1-238410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관한 전자 차폐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는,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커넥터 본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배선 기판의 표면상에 실장된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장착된 콘택트 부재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상대 커넥터에 장착된 상대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상기 배선 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상기 콘택트 부재가 상기 상대 콘택트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한편,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됨으로써,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는, 당해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적어도 상기 상대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를 덮는 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그 배선 기판의 그라운드(ground) 접속용 도전로에 대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쉴드 플레이트에 대해 일체적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또,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는,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배선 기판의 표면상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감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장착된 제1 콘택트 부재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커넥터에 장착된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상기 배선 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끼리의 감합시에, 상기 제1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제2 콘택트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한편, 상기 제1 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가, 상기 제2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됨으로써, 상기 제2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감합 보유 부재에는, 당해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적어도 상기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를 덮는 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접속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가 형성되고, 그 배선 기판의 그라운드 접속용 도전로에 대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쉴드 플레이트에 대해 일체적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양쪽 커넥터의 감합 후에 감합 보유 부재를 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시킴으로써,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쉴드 플레이트가, 상대 콘택트 부재 또는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 부위를 외방측으로부터 덮기 때문에, 양쪽 커넥터의 감합시에 감합 보유 부재를 회동하는 작업과 동시에,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즉시 행해짐과 아울러, 상대 콘택트 부재 또는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 부위의 근방에 배치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감합 보유 부재의 그라운드 접속부가 접속되고, 전자 차폐를 행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그라운드 접속이 행해지기 때문에, 양호한 전자 차폐의 특성이 얻어진다. 또, 감합 보유 부재를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하기까지는,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가 감합 보유 부재의 쉴드 플레이트에 의해 덮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해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게 확인된다.
이 때에,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해 기계적 결합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판스프링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기계적 결합 수단이 상기 복수의 판스프링 형상 부재의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차폐(쉴드)를 행하기 위한 그라운드 접속이, 기계적 결합 수단에 의해 확실하고 강고하게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전자 차폐(쉴드) 특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쉴드 플레이트가, 상기 배선 기판의 외방측으로부터 상기 상대 콘택트 부재 또는 상기 제2 콘택트 부재를 덮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쉴드 플레이트는, 상기 상대 콘택트 부재 또는 상기 제2 콘택트 부재를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상면측 쉴드 커버와, 그 상면측 쉴드 커버로부터 상기 기판 접속 다리부의 외방측을 덮도록 뻗어 나오는 배면측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상대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에, 당해 상대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외표면을 덮는 쉴드 쉘 부재가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쉴드 쉘 부재와 상기 쉴드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상대 콘택트 부재 또는 상기 제2 콘택트 부재가 상기 배선 기판의 외방측으로부터 덮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쉴드 플레이트 단독, 또는 쉴드 쉘 부재와 쉴드 플레이트의 쌍방에 의해, 상대 콘택트 부재 또는 제2 콘택트 부재가 외방측으로부터 덮이기 때문에, 당해 상대 콘택트 부재 또는 제2 콘택트 부재에 대한 전자 차폐 특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된다.
또, 청구항 7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상대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에는, 상기 감합 보유 부재를 감합 작용 위치에 보유하는 잠금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가 잠금부에 의해 양호하게 보유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유지하는 감합 보유 부재에 쉴드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쉴드 플레이트에 의해 상대 콘택트 부재 또는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를 외방측으로부터 덮음으로써, 양쪽 커넥터의 감합시에 감합 보유 부재를 회동하는 작업과 동시에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를 즉시 행함과 아울러,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한 그라운드 접속부를, 상대 콘택트 부재 또는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부위의 근방 위치에 설치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접속시키고, 전자 차폐를 행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서 그라운드 접속함으로써, 양호한 전자 차폐 특성을 얻으면서, 기판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를 양호하게 확인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관한 전자 차폐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고,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의 신뢰성을 저렴하게 또 큰 폭으로 높일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에 감합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 제2 커넥터)에 감합시킨 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감합 개방 위치」에 있는 감합 보유 부재를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시킨 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감합 작용 위치」에 있는 감합 보유 부재를, 기계적 결합 수단으로서 고정 나사로 조여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의 양쪽 커넥터끼리가 감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의 양쪽 커넥터끼리가 감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4의 양쪽 커넥터끼리가 감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4의 양쪽 커넥터끼리가 감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배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양쪽 커넥터끼리를 감합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의 하단측 동축 케이블의 단면 위치에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양쪽 커넥터끼리를 감합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의 상단측 동축 케이블의 단면 위치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나타내는 C-C선에 있어서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나타내는 D-D선에 있어서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이하,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을 인쇄 배선 기판측에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행한다.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 구조의 개요]
우선, 도 1~도 1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 장치는, 신호 전송 매체를 구성하는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연결된 제1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와, 인쇄 배선 기판 B상에 실장된 제2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를 구비한 수평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 장치로서, 도 1과 같이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감합의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대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후에,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2)측에 근접하도록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도 2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의 선단측 부분이, 리셉터클 커넥터(2)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꽂히고, 이에 의해 양쪽 커넥터(1, 2)끼리가 감합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를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꽂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뽑아 내는 방향이,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의 뻗어 있는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하에 있어서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이 뻗어 있는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하고, 그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또, 플러그 커넥터(1)에 있어서는, 당해 플러그 커넥터(1)를,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에 꽂는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뽑아 내는 방향을 후방향으로 한다. 또한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에 있어서는,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2)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1)를 뽑아 내는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향으로 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양쪽 커넥터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된 절연 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본체부로서의 절연 하우징(11, 21)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절연성의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 21)에는, 당해 절연 하우징(11, 21)의 길이 방향(도 7의 지면 수직 방향)을 따라, 콘택트 부재로서의 복수의 도전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12, 22)가 적당한 피치 간격으로 다극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상술한 양쪽 커넥터(1, 2) 중,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단연(端緣)부(이하, 후단연부라고 한다)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다극 형상으로 병렬하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상하의 2단에 걸쳐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상단 및 하단의 양쪽 동축 케이블 SC, SC끼리는,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 피치만큼 위치 어긋난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에 있어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피복재가 벗겨짐으로써,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 및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가 동축 형상을 이루도록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동축 케이블 SC의 중심축선을 따르도록 배치된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신호 전송용의 도전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12, 22)에 접속됨으로써 신호 회로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케이블 중심 도체 SCa에 관한 접속 구조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상술한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외주측을 동심 형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블 외부 도체 SCb는, 상하 2단의 다극 배열단마다, 도전성의 그라운드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그라운드 바 GB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하 2단의 각 그라운드 바 GB는, 상술한 동축 케이블 SC의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가늘고 긴 블록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각 그라운드 바 GB가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대해서, 납땜이나 코킹(caulking)이나 압접 등에 의해 일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설치된 상하 2단의 각 그라운드 바 GB는, 후술하는 도전성 쉘 등을 개재하여 인쇄 배선 기판 B에 형성된 그라운드 회로에 접속된다.
[절연 하우징 및 도전 콘택트 부재]
한편, 이들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양쪽 전기 커넥터는, 전술한 것처럼 도전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12, 22)의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가늘고 긴 형상의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 21)을 각각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 절연 하우징(11, 21)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12, 22)는, 전술한 상하 2단의 동축 케이블 SC, SC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형상이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것끼리의 형상이 서로 다른 2 종류의 도전 콘택트 부재(12, 22)가 교대로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1)측에 설치된 절연 하우징(11)은, 상술한 것처럼 커넥터 길이 방향(다극 배열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플러그 커넥터(1)의 내부측에 배치되어 커넥터 본체부를 형성하고 있는 본체 지지부(11a)와, 그 본체 지지부(11a)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뻗어 나오도록 설치된 감합 돌기부(11b)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절연 하우징(11)의 본체 지지부(11a)로부터 감합 돌기부(11b)에 걸친 내부에는, 상술한 상하 2단의 양쪽 그라운드 바 GB, GB에 접촉하는 그라운드 콘택트 GC가 매설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본체 지지부(11a)로부터 감합 돌기부(11b)에 걸친 부위에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가, 절연 하우징(11)의 상하 양쪽 표면의 각각으로부터 노출되는 상태로, 인서트(insert) 성형 또는 압입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즉, 2종류를 이루도록 형성된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일방측이, 절연 하우징(11)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도 11 및 도 13 참조), 당해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타방측이, 절연 하우징(11) 하측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도 10 및 도 12 참조), 이들 2종류의 양쪽 도전 콘택트 부재(12)가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에 설치된 각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후단 부분에는, 상하 2단의 각 동축 케이블 SC에 있어서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맞닿은 상태로 각각 땜납 접속되어 있다. 이들 케이블 중심 도체 SCa와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땜납 접합은 일괄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와 같이 하여 플러그 커넥터(1)의 도전 콘택트 부재(12)에 동축 케이블 SC가 연결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의 전단측에 설치된 감합 돌기부(11b)의 상하 양쪽 표면에는, 상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단자 전극부(12a)가, 다극 형상의 노출 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전방측 뻗어 있는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단자 전극부(12a)는, 전술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되었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2)에 설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에 맞닿음으로써 신호 전송 회로가 구성된다. 또한 이들 도전 콘택트 부재(12, 22)는 그라운드 접속용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21)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는,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측의 2종류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에 대응한 2종류의 것이 다극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들 2종류의 도전 콘택트 부재(22) 중 일방은, 상단측에 배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상방측으로 뻗어 나오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도 11 및 도 13 참조), 타방의 도전 콘택트 부재(22)는, 하단측에 배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하방측으로 뻗어 나오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10 및 도 12 참조). 그리고, 이들 리셉터클 커넥터(2)측에 설치된 2종류의 도전 콘택트 부재(22)는,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시에, 플러그 커넥터(1)측의 2종류의 도전 콘택트 부재(12)에 대해서, 상하의 양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설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단 부분(도 10~도 13의 우방측)에는, 전술한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상을 따라 뻗어 있도록 형성된 기판 접속 다리부(22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기판 접속 다리부(22a)는, 실제의 사용시에 있어서, 전술한 인쇄 배선 기판 B상의 신호 도전로 또는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올려 놓여지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땜납 접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는, 상술한 후단측에 배치된 기판 접속 다리부(22a)로부터 상방을 향해 일어서도록 절곡 성형되어 있고, 그 일어선 부위에 있어서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전방측(도 10~도 13의 좌방측)을 향해 편지(片持) 형상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당해 도전 콘택트 부재(22)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선단 부분에는, 상하의 다극 배열단마다 하방측 및 상방측을 향해 산(山) 형상으로 뻗어 나가는 접점 볼록부(22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도전 콘택트 부재(22)에 설치된 접점 볼록부(22b)의 하단측 및 상방측의 정부(頂部)는, 전술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되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1)측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단자 전극부(12a)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적인 접촉 관계에 의해, 상술한 양쪽 접점부(12a, 22b)끼리의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진다.
[도전성 쉘(쉴드 쉘 부재)에 대해서]
한편,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설치된 각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 21)의 외표면은, 박판 형상 금속 부재를 적당한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도전성 쉘(쉴드 쉘 부재)(13, 23)에 의해 각각 덮여 있다. 이들 도전성 쉘(13, 23)은, 각 커넥터(1, 2)의 내부에 형성되는 신호 전송 회로 및 그라운드 회로를 덮음으로써 전자 차폐성(쉴드성)을 갖게 하는 부재로서 장착된 것이지만, 그라운드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기도 하다.
이 때에,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측에 설치된 도전성 쉘(쉴드 쉘 부재)(13)은,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을 상하로부터 끼우는 한 쌍의 쉘편 부재의 감합체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도전성 쉘(13)의 상반측 부분 및 하반측 부분의 양쪽 쉘편 부재가, 동축 케이블 SC에 대해 양쪽 그라운드 바(그라운드 부재) GB, GB가 땜납 접합된 후에,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에 대해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부터 덮어 씌우도록 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도전성 쉘(13)의 양쪽 쉘편 부재의 상측 표면 및 하측 표면에는, 다극 배열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체의 그라운드 접속 설편(舌片)(13a)이 절결(切缺)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그라운드 접속 설편(13a)은, 커넥터 내방측의 공간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편지의 판스프링 형상을 이루도록 잘라 일으켜져 있고, 전술한 그라운드 바 GB의 상면측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 또는 땜납 접합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도전성 쉘(쉴드 쉘 부재)]
이에 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설치된 도전성 쉘(쉴드 쉘 부재)(23)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외방측으로부터 끼도록 하여 홀드 다운(hold down)(23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홀드 다운(23a)은, 커넥터 길이 방향의 편측 부분에 있어서 한 쌍씩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홀드 다운(23a)의 하단연부가, 인쇄 배선 기판 B상에 형성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대해 땜납 접합되고, 이에 의해 그라운드 회로의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짐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2)의 전체가 강고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양쪽 홀드 다운(23a, 23a)끼리는,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21)의 상면을 따라 평면 형상으로 뻗어 있는 상측 쉘판(23b)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도전성 쉘(23)은 전술한 절연 하우징(21)과 함께 커넥터 본체부를 구성하고 있다.
[감합 보유 부재]
다음에, 도 2로부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된 양쪽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상태는, 플러그 커넥터(1)에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14)의 보유력에 의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에 감합한 플러그 커넥터(1)를, 리셉터클 커넥터(2)로부터 발거할 때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14)를 개방시키는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양쪽 커넥터(1, 2)끼리가 발거 가능한 상태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감합 보유 부재(14)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의 도전성 쉘(1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감합 보유 부재(14)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 설치된 회동축부(14a, 14a)가, 도전성 쉘(13)의 후단 부분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 설치된 축받이부(13d, 13d)에 헐거운 감합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한 쌍의 회동축부(14a, 14a)는 횡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각 회동축부(14a)의 외주 표면을 구성하고 있는 어느 평탄면에 대해서, 상기 축받이부(13d)에 설치된 스프링 규제 부재(13e)의 부세력(付勢力)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스프링 규제 부재(13e)의 부세력에 의해, 후술하는 「감합 개방 위치」및 「감합 작용 위치」에 상기 회동축부(14a)가 보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회동축부(14a)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측의 외단 부분으로부터는, 한 쌍의 연결 암(arm)부(14b, 14b)가 회동 반경 방향으로 거의 따르도록 하여 뻗어 나와 있고, 이들 연결 암부(14b, 14b)의 뻗어 나온 단부분인 회동측의 선단 부분끼리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판 형상을 이루도록 뻗어 있는 쉴드 플레이트(14c)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쉴드 플레이트(14c)의 일부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적당한 회동력을 부여함으로써, 감합 보유 부재(14)의 전체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감합 개방 위치」와, 도 3~도 8에 도시된 「감합 작용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쉴드 플레이트(14c)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시에 있어서 계단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상면측 쉴드 커버(14c1)를 구비하고 있다. 그 상면측 쉴드 커버(14c1)는, 평판 형상을 이루도록 뻗어 있고, 당해 상면측 쉴드 커버(14c1)에 있어서의 회동 반경의 외방측의 단연부로부터는, 배면측 쉴드 커버(14c2)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체적으로 뻗어 나와 있다. 이 배면측 쉴드 커버(14c2)는,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술한 상면측 쉴드 커버(14c1)의 단연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뻗어 나와 있다.
또한, 그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배면측 쉴드 커버(14c2)의 하단연에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의 후방측을 향해 뻗어 나오는 그라운드 접속판(14c3)이 일체적으로 연설(連設)되어 있다. 이하, 이들 쉴드 플레이트(14c)의 각부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감합 보유 부재(1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상면측 쉴드 커버(14c1)는, 상술한 연결 암부(14b)의 회동 반경에 있어서의 선단측 부분으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후방측을 향해 뻗어 나오는 평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상면측 쉴드 커버(14c1)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연 부분에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뻗어 나오는 잠금판(14d, 14d)이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들 양쪽 잠금판(14d, 14d)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 각 잠금판(14d)에 잠금 걸림 구멍(14e)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어 왔을 때에, 이들 각 잠금판(14d)에 관통 형성된 잠금 걸림 구멍(14e)이,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측에 설치된 잠금부에 계합(係合)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도전성 쉘(23)에 설치된 각 홀드 다운(23a)에는, 상술한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된 감합 보유 부재(14)의 잠금 걸림 구멍(14e)이 가볍게 감합되는 잠금부(23a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잠금부(23a1)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을 향해 뻗어 나가는 판스프링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2)에 감합된 후에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 작용 위치」의 근방까지 회동되어 오면, 당해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잠금판(14d)이, 상술한 잠금부(23a1)의 외방으로 뻗어 나간 부분을 타고 넘도록 하여 이동해 나간다. 그리고, 그 감합 보유 부재(14)의 잠금 걸림 구멍(14e)의 내부로 잠금부(23a1)가 들어가도록 하여 탄성 변위가 행해짐으로써 계합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감합 보유 부재(14)의 전체가 「감합 작용 위치」에 탄성적으로 보유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2)에 감합된 상태에서, 감합 보유 부재(14)를 「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양쪽 커넥터(1, 2)끼리가 일정 범위 내의 외력에 의해서는 분리하는 일 없이 감합 상태로 보유된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감합 보유 부재(14)의 쉴드 플레이트(14c)를 구성하고 있는 상면측 쉴드 커버(14c1)는, 한 쌍의 연결 암부(14b, 14b)의 선단측 부분끼리의 사이에 있어서 대략 평판 형상을 이루어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특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양쪽 커넥터(1, 2)의 감합시에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있어서는, 당해 상면측 쉴드 커버(14c1)가 리셉터클 커넥터(2)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전송 신호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상면측 쉴드 커버(14c1)는, 도전 콘택트 부재(22)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상면측 쉴드 커버(14c1)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가,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다극 배열의 배치 폭보다 약간 큰 길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다극 배열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전체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설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방측 부분에는,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된 감합 보유 부재(14)의 배면측 쉴드 커버(14c2)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의 배면측 쉴드 커버(14c2)는,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의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근접한 위치에 배면측 쉴드 커버(14c2)가 배치되고, 당해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가, 배면측 쉴드 커버(14c2)에 의해 외부와 차단됨으로써, 당해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22a)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의 쉴드 플레이트(14c)를 구성하고 있는 상면측 쉴드 커버(14c1) 및 배면측 쉴드 커버(14c2)에 더하여, 전술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설치된 도전성 쉘(23)의 홀드 다운(23a)이,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를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전체가, 플러그 커넥터(1)측의 쉴드 플레이트(14c)와, 리셉터클 커넥터(2)측의 도전성 쉘(23)에 의해 덮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도전 콘택트 부재(22)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쪽 커넥터(1, 2)의 감합시에 있어서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단자 전극부(12a)와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접점 볼록부(22b)가 접속 상태로 되지만, 당해 접속 부위에 관해서는, 상술한 도전성 쉘(13, 23)이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배면측 쉴드 커버(14c2)의 하단연으로부터 뻗어 나와 있는 그라운드 접속판(14c3)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그라운드 접속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쉴드 플레이트(14c)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배면측 쉴드 커버(14c2)에 일체적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것처럼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을 따라 뻗어 있는 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그라운드 접속판(14c3)에는,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상에 형성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접촉하는 복수(4체)의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는, 상술한 그라운드 접속판(14c3)의 일부를 하방을 향해 편지 형상으로 잘라 일으킨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병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상에는,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 (2)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에 설치된 기판 접속 다리부(22a)의 후방측 근방 위치에, 복수(4체)의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병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은, 상술한 그라운드 접속판(14c3)의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각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의 상방으로부터, 그라운드 접속판(14c3)에 설치된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라운드 접속판(14c3)이,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를 개재하여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접촉함으로써 그라운드 회로가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또, 전술한 것처럼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그라운드 접속판(14c3)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기계적 결합 수단으로서의 고정 나사(15)를 삽입하기 위한 그라운드 고정 구멍(14c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그라운드 접속판(14c3)에 설치된 그라운드 고정 구멍(14c5)의 하방측에 겹치도록 하여, 인쇄 배선 기판 B에도 기판 고정 구멍 B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감합 보유 부재(14)가 「감합 작용 위치」에 회동된 후에, 그라운드 접속판(14c3)에 설치된 그라운드 고정 구멍(14c5)에 대해서, 고정 나사(기계적 결합 수단)(15)가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당해 고정 나사(15)의 나사 형성 부분이, 그라운드 접속판(14c3)을 관통하고, 인쇄 배선 기판 B의 기판 고정 구멍 B2에 나착(螺着)되어 조임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나사(15)의 나착에 의한 조임 고정 작용에 의해, 상술한 그라운드 접속판(14c3)의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는,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대해 강고하게 접촉되는 것으로 되고, 이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 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정 나사(기계적 결합 수단)(15)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인접하고 있는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 14c4)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술한 고정 나사(15)의 고정 작용이,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에 대해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되고,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대한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의 접촉성이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양쪽 커넥터(1, 2)의 감합 후에 감합 보유 부재(14)를 「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시킴으로써,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쉴드 플레이트(14c)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외방측으로부터 덮기 때문에, 양쪽 커넥터(1, 2)끼리의 감합시에 감합 보유 부재(14)를 회동하는 작업과 동시에,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즉시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또, 이와 같은 전자 차폐(쉴드)가 행해지는 것과 동시에,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그라운드 접속판(그라운드 접속부)(14c3)이,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의 근방에 배치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접속되기 때문에, 전자 차폐를 행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서 그라운드 접속이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양호한 전자 차폐의 특성이 얻어진다.
또한, 감합 보유 부재(14)를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하는데까지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에 있어서의 배선 기판 B와의 접속 부위인 기판 접속 다리부(22a)가, 감합 보유 부재(14)의 그라운드 접속판(그라운드 접속부)(14c3)에 덮이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당해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게 확인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그라운드 접속판(14c3)이,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를 개재하여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접속되고, 또한 고정 나사(기계적 결합 수단)(15)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차폐(쉴드)를 행하기 위한 그라운드 접속이 확실하고 강고하게 행해지고, 이에 의해 전자 차폐(쉴드) 특성이 한층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 라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도전성 쉘(23)이 장착되어 있지만, 도전성 쉘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형식의 상대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즉,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쉴드 플레이트(14c)와 도전성 쉘(23)의 쌍방에 의해,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전체를 인쇄 배선 기판 B의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쉴드 플레이트(14c)가 단독으로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전체를 인쇄 배선 기판 B의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기계적 결합 수단으로서의 고정 나사(15)를 그라운드 고정 구멍(14c5)에 삽입하고, 당해 고정 나사(15)의 나사 형성 부분을 인쇄 배선 기판 B의 기판 고정 구멍 B2에 나착시킴으로써, 그라운드 접속판(14c3)이 조임 고정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각종 기계적 결합 수단을 마찬가지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 접속판(14c3)에 그라운드 고정 구멍(14c5)을 형성하는 대신에, 그 그라운드 고정 구멍(14c5)이 형성된 위치에, 그라운드 접속판(14c3)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뻗는 탄성 형상의 잠금편을 형성하고, 인쇄 배선 기판 B의 기판 고정 구멍 B2에 계합시킴으로써 기계적 결합 수단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는, 그라운드 접속판(14c3)에 형성된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가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부여하는 접촉 압력보다도 잠금편의 계합력을 강고하게 하면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계적 결합 수단은,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 14c4)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판스프링 형상 부재(14c4, 14c4)를 끼우도록 복수의 기계적 결합 수단을 설치하면 좋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연 케이블용 커넥터나, 동축 케이블과 절연 케이블을 복수 혼합한 타입의 전기 커넥터나, 플렉서블 배선 기판 등이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프린트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
11 :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
11a : 본체 지지부 11b : 감합 돌기부
12 :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
12a : 단자 전극부 13 : 도전성 쉘
13a : 그라운드(ground) 접속 설편
13d : 축받이부 13e : 스프링 규제 부재
14 : 감합 보유 부재 14a : 회동축부
14b : 연결 암(arm)부
14c : 쉴드(shield) 플레이트
14c1 : 상면측 쉴드 커버
14c2 : 배면측 쉴드 커버
14c3 : 그라운드 접속판(그라운드 접속부)
14c4 : 판스프링 형상 부재
14c5 : 그라운드 고정 구멍
14d : 잠금판 14e : 잠금 걸림 구멍
15 : 고정 나사(기계적 결합 수단)
GB : 그라운드 바 GC : 그라운드 콘택트
SC : 동축 케이블(신호 전송 매체)
SCa :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b :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2 :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
21 :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
22 :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
22a : 기판 접속 다리부 22b : 접점 볼록부
23 : 도전성 쉘(커넥터 본체부)
23a : 홀드 다운(hold down) 23a1 : 잠금부
23b : 상측 쉘판
B : 인쇄 배선 기판
B1 :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B2 : 기판 고정 구멍

Claims (8)

  1.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커넥터 본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배선 기판의 표면상에 실장된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장착된 콘택트 부재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상대 커넥터에 장착된 상대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상기 배선 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상기 콘택트 부재가 상기 상대 콘택트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한편,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됨으로써,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는, 당해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적어도 상기 상대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를 덮는 쉴드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 부분으로서 상기 상대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접속되는 부위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대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쉴드 커버에 대해 일체적으로 연속하는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당해 그라운드 접속부를 구성하고 있는 판 형상 부재는,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 부분으로서 상기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및 그 주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덮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배선 기판의 표면상에 실장된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가 감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장착된 제1 콘택트 부재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커넥터에 장착된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상기 배선 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끼리의 감합시에, 상기 제1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제2 콘택트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한편,
    상기 제1 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가, 상기 제2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됨으로써, 상기 제2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감합 보유 부재에는, 당해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적어도 상기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를 덮는 쉴드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 부분으로서 상기 제2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접속되는 부위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대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쉴드 커버에 대해 일체적으로 연속하는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당해 그라운드 접속부는,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 부분으로서 상기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 및 그 주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덮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배선 기판에 대해 기계적 결합 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그라운드 접속용의 도전로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판스프링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기계적 결합 수단이 상기 복수의 판스프링 형상 부재의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커버가, 상기 배선 기판의 외방측으로부터 상기 상대 콘택트 부재를 덮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쉴드 커버는, 상기 상대 콘택트 부재를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상면측 쉴드 커버와, 그 상면측 쉴드 커버로부터 상기 기판 접속 다리부의 외방측을 덮도록 뻗어 나오는 배면측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에, 당해 상대 커넥터의 외표면을 덮는 쉴드 쉘 부재가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쉴드 쉘 부재와 상기 쉴드 커버에 의해, 상기 상대 콘택트 부재가 상기 배선 기판의 외방측으로부터 덮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부에는, 상기 감합 보유 부재를 감합 작용 위치에 보유하는 잠금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가 상하의 2단에 걸쳐서 다극 형상으로 배치되고, 또한 이들 2단의 신호 전송 매체가 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서로 위치 어긋난 배치 관계로 된 상태로, 2 종류의 콘택트 부재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2 종류의 콘택트 부재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2 종류의 상대 콘택트 부재의 기판 접속 다리부가 배선 기판 상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50123628A 2014-10-10 2015-09-01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KR101735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8761 2014-10-10
JP2014208761A JP6056830B2 (ja) 2014-10-10 2014-10-10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759A KR20160042759A (ko) 2016-04-20
KR101735945B1 true KR101735945B1 (ko) 2017-05-15

Family

ID=5558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628A KR101735945B1 (ko) 2014-10-10 2015-09-01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97447B2 (ko)
JP (1) JP6056830B2 (ko)
KR (1) KR101735945B1 (ko)
CN (1) CN105514708B (ko)
DE (1) DE102015116126A1 (ko)
FR (1) FR3027163B1 (ko)
TW (1) TWI5968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786A1 (ko) * 2020-04-14 2021-10-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2268B2 (ja) * 2014-11-28 2016-12-2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KR102566675B1 (ko) * 2016-05-19 2023-08-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CN107623203B (zh) * 2016-07-13 2019-07-26 洪瑞聪 电连接器的结构及其组装方法
JP7035015B2 (ja) * 2016-08-15 2022-03-14 サム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相互接続システムのためのバックアウト防止ラッチ
US9935412B1 (en) * 2017-01-06 2018-04-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a product that includes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8129150A (ja) * 2017-02-07 2018-08-1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179824B2 (ja) 2017-04-10 2022-11-29 サム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保持特徴部を有する相互接続システム
CN109428235B (zh) * 2017-08-22 2023-10-24 正凌精密工业(广东)有限公司 高速连接器及连接器组合
USD886066S1 (en) 2017-12-06 2020-06-02 Samtec, Inc. Securement member of electrical connector
JP6807028B2 (ja) * 2017-12-20 2021-01-06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接続構造
CN109980444B (zh) * 2017-12-27 2021-11-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DE102019110695A1 (de) * 2018-04-27 2019-10-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erbinder und verbinderanschluss zur verwendung in dem verbinder
JP6741040B2 (ja) * 2018-05-10 2020-08-19 第一精工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CN109411958B (zh) * 2018-06-05 2023-11-14 温州意华接插件股份有限公司 高速互连组件
JP6658798B2 (ja) 2018-06-05 2020-03-0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108531B2 (ja) * 2018-12-27 2022-07-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DE102019100219A1 (de) * 2019-01-07 2020-07-09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teckverbindung mit Schirmauflage
CN109659773B (zh) * 2019-01-18 2023-11-24 江苏联炜诚电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电连接器组合
CN112018546B (zh) * 2019-05-29 2021-12-10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插座连接器及连接器组合
JP7099993B2 (ja) * 2019-05-30 2022-07-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03700B2 (ja) * 2019-07-24 2023-01-13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コネクタシールドの取付構造
CN112563782A (zh) * 2019-09-25 2021-03-26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双排焊线结构
JP7360918B2 (ja) * 2019-12-06 2023-10-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599071U (zh) * 2020-03-12 2020-07-2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單排焊線結構
CN111952792A (zh) * 2020-08-21 2020-11-17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服务器
WO2022208247A1 (en) * 2021-03-29 2022-10-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ielded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8410A (ja) * 2010-05-07 2011-11-2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3851A (en) * 1991-03-11 1992-06-23 Apple Computer, Inc. Integrated connector module with conductive elastomeric contacts
JPH11345652A (ja) * 1998-06-03 1999-12-14 Amp Japan Ltd カードコネクタ
US6152754A (en) * 1999-12-21 2000-11-28 Masimo Corporation Circuit board based cable connector
JP4391975B2 (ja) 2005-09-08 2009-1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M294134U (en) * 2006-03-01 2006-07-11 Proconn Technology Co Ltd Fixation structure improvement of connector
CN101114745A (zh) * 2006-07-28 2008-01-30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电连接器电磁屏蔽结构
US8133360B2 (en) * 2007-12-20 2012-03-13 Applied Materials, Inc. Prediction and compensation of erosion in a magnetron sputtering target
JP4922420B2 (ja) * 2010-02-23 2012-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5182334B2 (ja) * 2010-08-02 2013-04-1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94053B2 (ja) * 2010-10-22 2014-09-2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JP5813349B2 (ja) * 2011-03-29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接続対象物
CN103247913A (zh) * 2013-04-25 2013-08-14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快扣式板对板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8410A (ja) * 2010-05-07 2011-11-2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786A1 (ko) * 2020-04-14 2021-10-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16126A1 (de) 2016-04-14
JP2016081591A (ja) 2016-05-16
CN105514708B (zh) 2018-04-03
TW201622270A (zh) 2016-06-16
KR20160042759A (ko) 2016-04-20
US20160104971A1 (en) 2016-04-14
JP6056830B2 (ja) 2017-01-11
TWI596845B (zh) 2017-08-21
FR3027163B1 (fr) 2018-04-20
US9397447B2 (en) 2016-07-19
CN105514708A (zh) 2016-04-20
FR3027163A1 (fr) 201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94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KR10178169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KR101809824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JP551604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1703419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6299733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8016212A (ja) 電気コネクタ
CN102771014B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装体
KR101500853B1 (ko) 평평한 판상 접속 대상물의 접속에 적합한 동축 커넥터
JP6442964B2 (ja) 電気コネクタ
TWI451640B (zh)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8097849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並びに電気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652041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KR101296699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17199466A (ja) 電気コネクタ
JP2013110031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