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824B1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824B1
KR101809824B1 KR1020160033209A KR20160033209A KR101809824B1 KR 101809824 B1 KR101809824 B1 KR 101809824B1 KR 1020160033209 A KR1020160033209 A KR 1020160033209A KR 20160033209 A KR20160033209 A KR 20160033209A KR 101809824 B1 KR101809824 B1 KR 101809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ing member
conductive
cov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988A (ko
Inventor
다카시 마스나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관한 전자 차폐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한 도전성 커버 부재(15)에 당해 감합 보유 부재(14)의 회동 조작시에 상대 커넥터(2)의 도전성 쉘(23)에 접촉하는 커버 접점부(15g)를 설치하고, 그 도전성 커버 부재(15)를 감합 보유 부재(14)와 함께 회동 조작시킴으로써, 배선 기판 B 상에 실장된 상대 커넥터(2)와 배선 기판 B의 접속 부위(22a)를 도전성 커버 부재(15)로 덮어 배선 기판 B와의 접속 부위(22a)에 대한 전자 차폐를 행함과 아울러, 도전성 커버 부재(15)의 커버 접점부(15g) 및 도전성 쉘(23)을 통해 도전성 커버 부재(15)를 접지하여 접지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한층 더 양호한 전자 차폐 특성(쉴드 특성)을 얻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ELECTRICAL CONNECTO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감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동 조작되는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한 도전성 커버 부재로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를 덮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FPC(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나, FFC(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혹은 동축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종의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 커넥터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 배선 기판에 접속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들 전기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에 대해서, 동축 케이블 등의 신호 전송 매체가 연결된 플러그(plug) 커넥터가 삽입되도록 하여 양쪽 전기 커넥터끼리가 감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양쪽 전기 커넥터끼리의 감합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에 설치된 조작 레버 형상의 감합 보유 부재를 리셉터클 커넥터측에 걸어 놓도록 회동 조작함으로써,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보유하는 구성이 자주 채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보유하는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전송 신호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noise)의 영향을 저감하고, 혹은 외부를 향해 방사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하여, 커넥터 본체부(절연 하우징)의 외표면이나 콘택트 부재의 외방측을 박판 형상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shell)이나 쉴드 플레이트(shield plate)로 덮음으로써 전자 차폐(쉴드)를 행하는 구성이 자주 채용되고 있지만, 또한,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2 등에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조작 레버)에 도전성 커버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가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도전 콘택트와 배선 기판의 접속 부위를 도전성 커버 부재가 덮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도전 콘택트의 배선 기판에의 접속 부위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양쪽 커넥터의 감합시에 행해지게 되고, 제조 공정의 증대가 방지됨과 아울러, 감합 보유 부재를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할 때까지는, 도전 콘택트의 배선 기판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게 확인된다.
그런데, 특히 근년에 있어서의 전송 신호의 가일층의 고주파화 등에 수반하여, 상술한 도전 콘택트(도전 단자)의 주체(主體) 부분이나,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대한 외부 전자파 노이즈의 영향을 더욱 저감시킴과 아울러, 당해 배선 기판에 대한 접속 부위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의 외부 방사를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7-73426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2011-238410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관한 전자 차폐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는,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가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배선 기판에 접속된 실장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가 감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양쪽 커넥터의 감합시에, 상기 제1 커넥터에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설치된 도전성 쉘을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의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가 보유됨과 아울러,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를 덮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에는,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시에, 상기 제2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대해서 접촉 상태가 되는 커버 접점부가 설치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또,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는,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배선 기판에 접속된 상태로 실장되는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당해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도전성 쉘을 감합 보유 부재가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감합 보유 부재가 상기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도전성 쉘을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회동 조작되게 구성되고,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가 보유됨과 아울러,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상대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를 덮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에는,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시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대해서 접촉 상태가 되는 커버 접점부가 설치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후에, 감합 보유 부재와 함께 도전성 커버 부재가 회동 조작됨으로써,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된 일방의 전기 커넥터와 배선 기판의 접속 부위가 도전성 커버 부재에 의해 덮이게 되고, 배선 기판에 대한 접속 부위의 전자 차폐(쉴드)가 행해짐과 아울러, 도전성 커버 부재에 설치된 커버 접점부 및 도전성 쉘을 통해 도전성 커버 부재가 접지(ground)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접지 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한층 더 양호한 전자 차폐 특성(쉴드 특성)이 얻어진다.
이때에,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와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서로 다른 부재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대해서 기계적 고정 수단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도전성 커버 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전기 커넥터의 감합 보유 부재에 대해서도, 이른바 추후 부착에 의해 도전성 커버 부재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기 커넥터의 범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단면 원형 형상 또는 단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봉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박형화한 경우에 있어서도, 감합 보유 부재의 강도가 충분히 유지된다.
또,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기계적 고정 수단이 상기 감합 보유 부재를 협지(挾持)하도록 대향 배치된 코킹(caulking) 고정편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감합 보유 부재를 협지하도록 대향 배치된 코킹 고정편에 의해 도전성 커버 부재가 강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박형화해도 도전성 커버 부재의 고정 강도를 충분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커버 접점부가 상기 제2 커넥터 또는 상대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대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압압(押壓)력으로 압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자 차폐를 행하는 도전성 커버 부재와 도전성 쉘이 압접 상태로 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게 되어 접지 접속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청구항 7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시에 상기 배선 기판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뻗어서 설치된 선단 연장(延長)판과 그 선단 연장판으로부터 편지(片持) 형상으로 뻗어 있는 탄성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는 편지 형상으로 뻗어 있는 부분의 중간 위치가 절곡되어 뻗어 나오도록 형성되고, 당해 탄성 스프링 부재의 뻗어 나오는 방향의 선단 부분에 상기 커버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박형화한 경우에 있어서도, 탄성 스프링 부재의 스팬(span)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탄성 스프링 부재의 필요한 탄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8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제2 커넥터 또는 상대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의 접점부가 접촉하는 쉘 접촉편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쉘 접촉편은 상기 배선 기판으로부터 일어서도록 뻗어 나온 후에 상기 배선 기판을 향해 되돌려 접힌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청구항 9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가 열(列) 형상을 이루어 복수 배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쉘 접촉편은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의 배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뻗어 있는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8 또는 9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탄성 스프링 부재가 쉘 접촉편에 대해서 양호한 접촉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 회로의 전기적인 접속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보유하는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도전성 커버 부재에,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시에 상대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접촉하는 커버 접점부를 설치하고, 감합 보유 부재와 함께 도전성 커버 부재를 회동 조작시킴으로써,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된 일방의 전기 커넥터와 배선 기판의 접속 부위를 도전성 커버 부재로 덮음으로써,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를 행함과 아울러, 도전성 커버 부재에 설치한 커버 접점부 및 도전성 쉘을 통해 도전성 커버 부재를 접지 상태로 하여 접지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한층 더 양호한 전자 차폐 특성(쉴드 특성)을 얻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에 관한 전자 차폐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어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의 신뢰성을 저렴하고 큰 폭으로 높일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제1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와 제2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수평 방향으로 대향 배치한 감합 전의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제1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와 제2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감합 후의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감합 후의 상태에 있어서 「감합 개방 위치」로 일으켜진 감합 보유 부재를 대략 수평이 되는 「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도 5에 도시된 제1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감합 전의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의 축선을 통과하는 위치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감합 전의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 간 위치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한 감합 후의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의 축선을 통과하는 위치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감합 후의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 간 위치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이하,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을 인쇄 배선 기판측에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행한다.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 구조의 개요]
우선, 도 1~도 1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 장치는, 신호 전송 매체를 구성하는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연결된 제1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와, 인쇄 배선 기판 B 상에 실장된 제2 커넥터(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를 구비한 수평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인쇄 배선 기판 B 상에 실장된 감합의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후에,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한 방향(인쇄 배선 기판 B의 뻗어 있는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2)측에 근접하도록 수평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의 선단측 부분이 리셉터클 커넥터(2)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고, 도 2와 같이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가 감합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를 삽입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뽑아내는 방향이,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이 뻗어 있는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이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하에 있어서는,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의 뻗어 있는 방향을 「수평 방향」이라고 하고,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이 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또, 플러그 커넥터(1)에 있어서는, 당해 플러그 커넥터(1)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 삽입하는 방향을 「전(前)방향」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뽑아내는 방향을 「후(後)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에 있어서는,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2)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1)를 뽑아내는 방향을 「전방향」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향」이라고 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양쪽 전기 커넥터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된 절연 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본체부로서의 절연 하우징(11, 21)(도 7에 도시됨)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 21)에는, 당해 절연 하우징(11, 21)의 길이 방향(도 7의 지면 수직 방향)을 따라 콘택트 부재로서의 복수의 도전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12, 22)가 적당한 피치(pitch) 간격으로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상술한 양쪽 전기 커넥터(1, 2) 중,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단연(端緣)부(이하, 후(後)단연부라고 한다.)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다극상으로 병렬하도록 배열된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각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에 있어서는, 특히 도 7~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피복재가 박피(剝皮)됨으로써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 및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가 동축상을 이루도록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동축 케이블 SC의 중심축선을 따라 뻗어 있도록 배치된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신호 전송용의 도전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12, 22)에 접속됨으로써 신호 회로가 구성된다. 이 케이블 중심 도체 SCa에 관한 접속 구조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상술한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외주측을 동심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블 외부 도체 SCb는, 도전성의 접지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접지 바 GB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지 바 GB는 상술한 동축 케이블 SC의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가늘고 긴 블록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접지 바 GB가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대해서, 납땜이나 코킹이나 압접 등에 의해 일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설치된 접지 바 GB는 후술하는 도전성 쉘 등을 개재하여 인쇄 배선 기판 B에 형성된 접지 회로에 접속된다.
[절연 하우징 및 도전 콘택트 부재]
여기서,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양쪽 전기 커넥터는, 전술한 것처럼 도전 콘택트 부재(도전 단자)(12, 22)의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가늘고 긴 형상의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 21)을 각각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 절연 하우징(11, 21)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12, 22)는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형상의 것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1)측에 설치된 절연 하우징(11)은 상술한 것처럼 커넥터 길이 방향(다극 배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지 등의 절연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플러그 커넥터(1)의 내부측에 배치된 커넥터 본체부로서의 본체 지지부(11a)와 그 본체 지지부(11a)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뻗어 나오도록 설치된 감합 돌기부(11b)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절연 하우징(11)의 본체 지지부(11a)로부터 감합 돌기부(11b)에 걸친 하면측의 부위에는, 상술한 접지 바 GB에 접촉하는 접지 콘택트 GC가 인서트(insert) 성형 또는 압입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이 접지 콘택트 GC는 본체 지지부(11a)로부터 감합 돌기부(11b)에 걸쳐 하면측 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시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2 커넥터(상대 커넥터)의 제2 쉴드 쉘 부재(23)의 내면측에 접촉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본체 지지부(11a)로부터 감합 돌기부(11b)에 걸친 상면측의 부위에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가 인서트 성형 또는 압입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이 도전 콘택트 부재(12)는 절연 하우징(11)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출하도록 하여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에 설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후단 부분에는, 동축 케이블 SC에 있어서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의 단말 부분이, 상방측으로부터 맞닿은 상태로 땜납 접속되어 있다. 이때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와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땜납 접합은 다극 배열 방향의 복수 개소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러한 일괄 땜납 접합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의 도전 콘택트 부재(12)에 대해서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 SC가 효율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의 전단측에 설치된 감합 돌기부(11b)의 상측 표면에는, 상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전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단자 전극부(12a)가 다극상의 노출 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전 콘택트 부재(12)의 전방측 뻗어 있는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단자 전극부(12a)는 전술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되었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2)에 설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맞닿고, 이에 의해 신호 전송 회로가 구성된다. 또한, 이들 복수의 도전 콘택트 부재(12, 22) 중 일부를 접지 접속용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의 전단측에 설치된 감합 돌기부(11b)의 하측 표면에는, 상술한 접지 콘택트 GC의 전방측 부분이, 다극상의 노출 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지 콘택트 GC에 있어서의 전방측 뻗어 있는 부분은, 전술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되었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장착된 제2 쉴드 쉘 부재(23)의 저판(底板)의 내면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맞닿고, 이에 의해 그라운드(ground) 접지 회로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측의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21)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는,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측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에 대응한 위치에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는,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시에, 플러그 커넥터(1)측의 도전 콘택트 부재(12)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단 부분(도 7~도 10의 우단측 부분)은, 전술한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 상을 따라 뻗어 있도록 형성된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가지고 있다. 그 기판 접속 다리부(22a)는, 실제의 사용시(실장시)에 있어서, 전술한 인쇄 배선 기판 B 상의 신호 도전로 또는 접지 접속용의 도전로에 재치(載置)된 후, 예를 들면 일괄적인 땜납 접합이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본체 부분은, 상술한 커넥터 후단측에 배치된 기판 접속 다리부(22a)로부터 상방을 향해 일어서도록 절곡 성형되어 있고, 그 일어선 부위에 있어서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전방측(도 7~도 10의 좌방측)을 향해 편지 형상으로 뻗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도전 콘택트 부재(22)에 있어서의 커넥터 전방측의 선단 부분에는, 하방측을 향해 산(山) 형상으로 돌출하는 접점 볼록부(22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도전 콘택트 부재(22)에 설치된 접점 볼록부(22b)의 하방 정부(頂部)는, 전술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되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1)측의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단자 전극부(12a)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적인 접촉 관계에 의해, 상술한 양쪽 접점부(12a, 22b)끼리의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진다.
[도전성 쉘(쉴드 쉘 부재)에 대해서]
한편,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설치된 각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 21)의 외표면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박판 형상 금속 부재를 적당한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도전성의 제1 및 제2의 쉴드 쉘 부재(도전성 쉘)(13. 23)에 의해 각각 덮여 있다. 이들 제1 및 제2의 쉴드 쉘 부재(13, 23)는 각 전기 커넥터(1, 2)의 내부에 형성되는 신호 전송 회로 및 접지 회로를 덮음으로써 전자 차폐성(쉴드성)을 가지게 하는 부재로서 장착된 것이지만, 접지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기도 하다.
이때에,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측에 설치된 제1의 쉴드 쉘 부재(13)는,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을 상하로부터 끼우는 한 쌍의 쉘편의 감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양쪽 쉘편 부재는 박판 형상 금속 부재의 절곡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고, 우선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에 대해서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재치되도록 하여 세팅되고, 그 동축 케이블 SC의 외부 도체 SCb에 대해서 접지 바(접지 부재) GB가 땜납 접합된 후에, 상술한 제1의 쉴드 쉘 부재(13)의 상반(上半)측 부분 및 하반(下半)측 부분의 양쪽 쉘편 부재가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에 대해서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부터 덮어 씌우도록 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제1 쉴드 쉘 부재(13)의 상반측의 쉘편 부재에는, 다극 배열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체(複數體)의 접지 접속 설(舌)편(13a)이 절결(切缺)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접지 접속 설편(13a)은 커넥터 내방측의 공간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편지의 판스프링 형상을 이루도록 잘라 일으켜져 있고, 전술한 접지 바 GB의 상면측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 또는 땜납 접합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도전성 쉘(쉴드 쉘 부재)]
한편,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있어서의 제2의 쉴드 쉘 부재(23)도,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21)에 대해서 상하로부터 끼우는 한 쌍의 쉘편의 감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양쪽 쉘편 부재는 박판 형상 금속 부재의 절곡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반측의 쉘편 부재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같은 방향의 양측 외방으로부터 절연 하우징(21)을 끼우도록 하여 홀드 다운(hold down)(23a)이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홀드 다운(23a)은 제2 쉴드 쉘 부재(23)의 측벽판을 형성하도록 커넥터 길이 방향의 한쪽 부분에 있어서 한 쌍씩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홀드 다운(23a)의 하(下)단연부가 인쇄 배선 기판 B 상에 형성된 접지 접속용의 도전로에 대해서 땜납 접합되고, 이에 의해 접지 회로의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짐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2)의 전체가 강고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측벽판을 이루도록 배치된 양쪽 홀드 다운(23a, 23a)끼리는, 절연 하우징(21)의 상측 표면을 따라 평면 형상의 천장판을 이루도록 뻗어 있는 상측 쉘판(23b)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측 쉘판(23b)의 전(前)단연 부분은, 마찬가지로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반측의 쉘편 부재의 전단연 부분과의 사이에 가로로 긴 형상의 감합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고, 당해 감합 개구부를 통해,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의 감합 돌기부(11b)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설치된 제2의 쉴드 쉘 부재(23)에 있어서의 커넥터 후단측의 부분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가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는 배면판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는 상술한 다극 배열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띠판(band plate)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가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선 상(上)단연 부분은, 인쇄 배선 기판 B를 향해 하방측으로 되돌려 접힌 쉘 접촉편(23g)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상단연 부분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되돌려 접은 부위를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쉘 접촉편(23g)에는, 후술하는 도전성 커버 부재(15)에 설치된 커버 접점부가 접촉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2 쉴드 쉘 부재(23)의 천판(天板)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측 쉘판(23b)에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단 부분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쉘 개구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쉘 개구부(23d)는 상측 쉘판(23b)의 후방측 영역을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후단 부분인 기판 접속 다리부(22a) 및 그 근방 부분(상방 일어선 부분)의 상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쉘 개구부(23d)가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다극 배열의 전체 폭에 이르는 개구 길이를 가짐으로써,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포함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 및 절연 하우징(11)의 후단 부분이,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 상방측으로부터 당해 쉘 개구부(23d)를 통해 목시(目視)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쉘 개구부(23d)는 상측 쉘판(23b)의 후방측 영역을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쉘 개구부(23d)에 있어서의 커넥터 후단측의 단연부는 배면판을 이루도록 배치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그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의 후방측 영역에 있어서,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도록 배치되는 박판 형상 금속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상단연부를 형성하도록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쉘 접촉편(23g)이 상술한 쉘 개구부(23d)의 후단연부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2 쉴드 쉘 부재(23)의 배면판을 형성하고 있는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대해서 커넥터 후방측으로부터 근접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것처럼 당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는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대해서, 커넥터 후방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으로써,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평행한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전자 차폐(쉴드)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 그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하단연 부분에는,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접지용 도전로 B1에 접촉하는 복수(10체(體))의 접지 접속부(23e, 23e,···)가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접지 접속부(23e)는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하단연 부분을 잘라 일으키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들 각 접지 접속부(23e)에 대응하여,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 상에는, 복수(10체)의 접지용 도전로(B1, B1,···)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대략 등 간격으로 병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당해 각 접지용 도전로 B1은,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설치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에 대해서, 커넥터 후방측에 근방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접지 접속부(23e)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설치된 각 접지 접속부(23e)는, 인쇄 배선 기판 B측에 설치된 각 접지용 도전로 B1 상에 재치된 상태로, 예를 들면 일괄적으로 땜납 접속된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접지 접속부(23e)를 개재하여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가 접지용 도전로 B1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는, 당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의해 전자 차폐(쉴드)가 행해지는 위치의 근방에 있어서 접지 회로가 형성되게 된다. 또, 이러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는,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측의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에 설치된 도전성 커버 부재(15)가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감합 보유 부재]
즉, 전술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감합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되었을 때의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상태는, 플러그 커넥터(1)에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의 보유력에 의해 보유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에 감합한 플러그 커넥터(1)를 리셉터클 커넥터(2)로부터 발거(拔去)할 때에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14)를 개방시키는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가 발거 가능한 상태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그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는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의 제1 쉴드 쉘 부재(1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당해 감합 보유 부재(14)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 설치된 회동축부(14a, 14a)가 제1 쉴드 쉘 부재(13)의 후단 부분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 설치된 축받이부(13d, 13d)에 헐거운 감합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에 설치된 한 쌍의 회동축부(14a, 14a)는 횡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을 이루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된 것이지만, 뻗어 있는 방향의 중간 부분에 직경 방향의 단차 부분(축 어긋난 부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회동축부(14a)의 단차 부분에 대해서, 상기 축받이부(13d)에 설치된 스프링 규제 부재(13e)의 부세력(付勢力)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스프링 규제 부재(13e)로부터 회동축부(14a)의 단차 부분(축 어긋난 부분)에 부여되는 부세력에 의해, 후술하는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 및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에 회동축부(14a)가 보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의 회동축부(14a)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 양측의 외단 부분으로부터는, 한 쌍의 연결 암부(14b, 14b)가 회동 반경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도록 뻗어 나와 있다. 이들 연결 암부(14b, 14b)는 상술한 회동축부(14a, 14a)로부터 절곡되도록 뻗어 나온 직후의 부위로부터 커넥터 중심 측을 향해 서로 가까워지도록 비스듬하게 뻗고, 그 후에 감합 보유 부재(14)의 회동 반경을 따르도록 뻗어 있다. 또한, 이들 연결 암부(14b, 14b)의 회동 반경 외단 부분에는, 당해 연결 암부(14b, 14b)의 회동측의 선단 부분끼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회동 조작부(14c)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형상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그 회동 조작부(14c)의 일부를, 조립 작업자가 파지하면서 적당한 회동력을 부여함으로써,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의 전체가 도 2에 도시된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와, 도 3~도 5에 도시된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양쪽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완료 후에, 보유 부재(14)가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됨으로써 양쪽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제2 쉴드 쉘 부재(23)에 설치된 각 홀드 다운(23a)에는, 도 1, 2에 도시된 것처럼 상술한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된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의 연결 암부(14b)가 감합되는 잠금부(23f)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잠금부(23f)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을 향해 돌출하는 탄성 스프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후에, 감합 보유 부재(14)가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의 근방까지 회동되어 오면,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연결 암부(14b)가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2)측의 잠금부(23f)의 외방으로 돌출한 부분을 타고 넘은 후에, 커넥터 내방측을 향해 탄성 변위하도록 이동하여 잠금부(23f)의 하방측으로 빠져 들어감으로써 양자가 계합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감합 보유 부재(14)의 전체가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에 탄성적으로 보유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된 상태로,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를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시켜 둠으로써,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가 일정 범위 내의 외력에 의해서는 분리되는 일 없이 감합 상태에 보유되게 된다.
또, 상술한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에는, 당해 감합 보유 부재(14)와는 별개의 도전성 박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커버 부재(15)가 장착되어 있다. 이 도전성 커버 부재(15)는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제2 쉴드 쉘 부재(23)를 덮도록 절곡 형성된 덮개 형상체로 구성되어 있고, 주된 구성 부분으로서, 제2 쉴드 쉘 부재(23)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겹치도록 배치되는 상면측 쉴드 커버(15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면측 쉴드 커버(15a)는 당해 상면측 쉴드 커버(15a)의 외주 연(緣)부에 기계적 고정 수단을 이루도록 부설된 측(側)부 고정판(15b) 및 전(前)부 고정판(15c)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이들 측부 고정판(15b) 및 전부 고정판(15c)을 개재함으로써, 상술한 감합 보유 부재(14)에 대한 장착이 행해진다.
이 도전성 커버 부재(15)의 주체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상면측 쉴드 커버(15a)는 전술한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가 「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천장판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당해 상면측 쉴드 커버(15a)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측의 제2 쉴드 쉘 부재(23)에 설치된 상측 쉘판(23b), 쉘 개구부(23d), 및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단 부분에 있어서의 상방측 부분이 덮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포함한 후단 부분에 대해서, 도전성 커버 부재(15)의 상면측 쉴드 커버(15a)가 상방측으로부터 겹치도록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으로써,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수직인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전자 차폐(쉴드)가 행해지게 된다.
또, 도전성 커버 부재(15)의 측부 고정판(15b)은 상술한 상면측 쉴드 커버(15a)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단연부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의 연결 암부(14b)를 구성하고 있는 환봉 형상 부재의 외주측에 감겨지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감합 보유 부재(14)의 연결 암부(14b)에 대해서 코킹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 커버 부재(15)의 전부 고정판(15c)은 상술한 상면측 쉴드 커버(15a)의 회동 반경 외(外)단연부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으로부터 회동 반경의 외방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연설(連設)되어 있고, 전술한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의 회동 조작부(14c)를 구성하고 있는 환봉 형상 부재의 외주측에 감겨지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감합 보유 부재(14)의 회동 조작부(14c)에 대해서 코킹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커버 부재(15)의 상면측 쉴드 커버(15a)의 외주 연부에, 기계적 고정 수단을 이루도록 설치된 측부 고정판(15b) 및 전부 고정판(15c)은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를 직경 방향으로 협지하도록 대향 배치된 코킹 고정편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감합 보유 부재(14)와는 다른 부품을 이루도록 형성된 도전성 커버 부재(15)가 기계적 고정 수단으로서의 측부 고정판(15b) 및 전부 고정판(15c)을 개재하여 감합 보유 부재(14)에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이른바 추후 부착에 의해 도전성 커버 부재(15)가 용이하고 강고하게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상면측 쉴드 커버(15a)에 있어서의 회동 반경 외방측의 단연부에는,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의 회동 조작부(14c)를 따르도록 하여 뻗어 있는 띠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배면측 쉴드 커버(15d)가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 배면측 쉴드 커버(15d)는 상면측 쉴드 커버(15a)의 회동 반경 외단연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계단 형상을 이루도록 뻗어 나와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감합 보유 부재(14)가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면측 쉴드 커버(15a)의 후단연부로부터 배면측 쉴드 커버(15d)가 하방을 향해 뻗어 나오는 배치 관계로 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측의 제2 쉴드 쉘 부재(23)에 설치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d)에 대해서, 배면측 쉴드 커버(15d)가 커넥터 후방측으로부터 겹치도록 되어 있다.
이때에, 상술한 배면측 쉴드 커버(15d)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단연, 즉 감합 보유 부재(14)가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하단측의 연부에는,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의 회동 반경 외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계단 형상으로 뻗어 나오는 선단 연장판(15e)이 일체적으로 연접(連接)되도록 하여 뻗어서 설치되어 있다. 이 선단 연장판(15e)은 감합 보유 부재(14)의 회동 조작부(14c)를 따라 띠 형상으로 뻗어 있는 평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것처럼 감합 보유 부재(14)가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인쇄 배선 기판 B의 표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 상태로 되어 근접 또는 접촉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면측 쉴드 커버(15d)에 연설된 선단 연장판(15e)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배열된 복수의 도피 구멍(15f)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도피 구멍(15f)은 상술한 것처럼 인쇄 배선 기판 B에 설치된 접지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 평면 직사각형 형상의 투공(透孔)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 연장판(15e)으로부터 배면측 쉴드 커버(15d)의 일부에 걸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가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됨으로써, 배면측 쉴드 커버(15d)의 선단 연장판(15e)이 인쇄 배선 기판 B에 근접 또는 접촉했을 때에, 당해 선단 연장판(15e)에 설치된 도피 구멍(15f)이 접지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이에 의해 상(上) 배면측 쉴드 커버(15d)가, 특히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지 접속용의 도전로 B1 및 그 접지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땜납 접속되는 접지 접속부(23e)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복수 설치된 도피 구멍(15f)끼리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부분에는, 커버 접점부를 구성하는 탄성 스프링 부재(15g)가 잘라 일으켜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커버 접점부로서의 탄성 스프링 부재(15g)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복수 배열되어 있고, 상술한 선단 연장판(15e)으로부터 배면측 쉴드 커버(15d)의 일부에 걸쳐 편지 형상을 이루도록 뻗어 나와 있다. 이들 각 탄성 스프링 부재(커버 접점부)(15g)는 편지 형상으로 뻗어 나오는 방향의 중간 부분에 있어서 대략 「く」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탄성 스프링 부재(15g)의 뿌리측 기단(基端) 부분인 선단 연장판(15e)에 형성된 부위가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의 회동 반경 방향으로 뻗어 있음과 아울러, 그 뻗어 있는 부분의 중간 위치로부터 절곡되어 뻗어 있고, 이 탄성 스프링 부재(15g)의 선단측 부분, 즉 배면측 쉴드 커버(15d)에 형성되어 있는 부위가 배면측 쉴드 커버(15d)를 따라 뻗어 나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전성 커버 부재(15)에 설치된 복수의 탄성 스프링 부재(커버 접점부)(15g)는, 감합 보유 부재(14)가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커넥터 전방측의 비스듬한 상방을 향해 뻗어 나오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전술한 제2 쉴드 쉘 부재(23)의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상단연 부분에 설치된 쉘 접촉편(23d)에 대해서, 당해 도전성 커버 부재(15)의 탄성 스프링 부재(커버 접점부)(15g)가 커넥터 후방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속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의 도전성 커버 부재(15)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 부재(15g)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제2 쉴드 쉘 부재(23)에 대해서, 커버 접점부로서 전기적인 접촉 상태로 됨으로써, 쉴드용의 접지 회로가 양호하게 형성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단측을 제외한 부분이, 제2 쉴드 쉘 부재(23)의 상측 쉘판(23b), 홀드 다운(23a, 23a) 및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의해, 원래의 덮인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감합된 후에,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가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도전성 커버 부재(15)가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후단측 부분을 덮게 되고, 이에 의해 도전 콘택트 부재(22)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한,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시에 있어서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12)의 단자 전극부(12a)와,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접점 볼록부(22b)가 접속 상태로 되지만, 당해 접속 부위에 관해서는,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측의 제2 쉴드 쉘 부재(23) 및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측의 도전성 커버 부재(15)가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가 인쇄 배선 기판 B 상에 실장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2)의 제2 쉴드 쉘 부재(23)에 설치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가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를 커넥터 후방측으로부터 덮어 대향 상태로 된다. 그리고, 그러한 리셉터클 커넥터(2)의 실장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가 감합되고, 그 후에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가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측의 감합 보유 부재(14)에 설치된 도전성 커버 부재(15)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측의 쉘 개구부(23d)를 덮고, 그 결과,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가 인쇄 배선 기판 B의 수직 상방측으로부터도 도전성 커버 부재(15)에 의해 덮이게 되어 인쇄 배선 기판 B와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접속 부위에 대한 전자 차폐(쉴드)가 양호하게 행해진다.
이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22)의 기판 접속 다리부(22a)의 근방에 배치된 접지 접속용의 도전로 B1에 대해서,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가 접지 접속부(23e)를 개재하여 접속됨으로써, 전자 차폐(쉴드)를 행하는 부위의 근방 위치에서의 접지 접속이 행해지게 되고, 양호한 전자 차폐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에 설치된 도전성 커버 부재(15)가 쉘 개구부(23d)를 덮는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를 향해 회동 조작을 행할 때까지의 사이에, 인쇄 배선 기판 B와 도전 콘택트 부재(22)의 접속 부위가 쉘 개구부(23d)를 통해 외방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가 상방으로부터 예를 들면 목시에 의해 양호하게 확인된다.
또,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후에,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가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됨으로써, 당해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상태가 양호하게 보유되게 되지만, 그와 동시에, 당해 감합 보유 부재(14)의 파지력에 의해, 전자 차폐를 행하는 도전성 커버 부재(15)와 제2 쉴드 쉘 부재(23)가 압접 상태로 되어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전자 차폐(쉴드)를 행하기 위한 접지 접속이 확실하고 강고하게 행해져 전자 차폐(쉴드) 특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가 「비 쉴드 위치(감합 개방 위치)」로부터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되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의 도전성 커버 부재(15)가 당해 도전성 커버 부재(15)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 부재(커버 접점부)(15g)를 개재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의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양호하게 접촉되기 때문에, 전자 차폐(쉴드) 특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가 단면 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박형화한 경우에 있어서도, 감합 보유 부재(14)의 강도가 충분히 유지되게 되지만,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실시 형태로서, 단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봉 형상 부재에 의해 감합 보유 부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그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14)에 대해서는, 당해 감합 보유 부재(14)를 「쉴드 위치(감합 작용 위치)」에 보유하는 잠금부(23f)를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양쪽 전기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상태가 잠금부(23f)에 의해 양호하게 보유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전성 커버 부재(15)에 편지 형상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된 탄성 스프링 부재(탄성 스프링 부재)(15g)를 뻗어 있는 중간 위치에서 절곡되어 뻗어 나오도록 함과 아울러, 그 탄성 스프링 부재(15g)에 설치한 접점부를 제2 쉴드 쉘 부재(23)의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박형화한 경우에 있어서도, 탄성 스프링 부재(15g)의 스팬(span)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게 되고, 탄성 스프링 부재(15g)의 필요한 탄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에, 탄성 스프링 부재(탄성 스프링 부재)(15g)가 접촉하는 상대 부재로서의 제2 쉴드 쉘 부재(23)의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에는, 당해 고정 쉴드 플레이트(23c)의 되돌려 접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쉘 접촉편(23g)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스프링 부재(15g)가 쉘 접촉편(23g)에 대해서 양호한 접촉 관계로 되고, 이에 의해 접지 회로의 전기적인 접속성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라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연 케이블용 커넥터나, 동축 케이블과 절연 케이블이 복수 혼합된 타입의 전기 커넥터나, 플렉서블 배선 기판 등이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프린트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
11 :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
11a : 본체 지지부 11b : 감합 돌기부
12 : 도전 콘택트 부재(제1 콘택트 부재)
12a : 단자 전극부
13 : 제1 쉴드 쉘(shield shell) 부재(도전성 쉘)
13a : 접지 접속 설편 13d : 축받이부
13e : 스프링 규제 부재
14 : 감합 보유 부재(감합 조작 레버)
14a : 회동축부 14b : 연결 암부
14c : 회동 조작부 15 : 도전성 커버 부재
15a : 상면측 쉴드 커버
15b : 측부 고정판 15c : 전부 고정판
15d : 배면측 쉴드 커버
15e : 선단 연장판 15f : 도피 구멍
15g : 탄성 스프링 부재(커버 접점부)
GB : 접지 바(ground bar)
GC : 접지 콘택트
SC ; 동축 케이블(신호 전송 매체)
SCa :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b :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2 :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
21 : 절연 하우징(커넥터 본체부)
22 : 도전 콘택트 부재(제2 콘택트 부재)
22a : 기판 접속 다리부 22b : 접점 볼록부
23 : 제2 쉴드 쉘 부재(도전성 쉘)
23a : 홀드 다운(hold down)
23b : 상측 쉘판 23c : 고정 쉴드 플레이트
23d : 쉘 개구부 23e : 접지 접속부
23f : 잠금부 23g : 쉘 접촉편
B : 인쇄 배선 기판
B1 : 접지 접속용의 도전로

Claims (14)

  1.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가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배선 기판에 접속된 실장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가 감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양쪽 커넥터의 감합시에, 상기 제1 커넥터에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설치된 도전성 쉘을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돤 것으로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의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가 보유됨과 아울러,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를 덮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와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서로 다른 부재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대해서 기계적 고정 수단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에는,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시에, 상기 제2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대해서 접촉 상태가 되는 커버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단면 원형 형상 또는 단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봉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고정 수단이 상기 감합 보유 부재를 협지하도록 대향 배치된 코킹 고정편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접점부가 상기 제2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대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압압력으로 압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치.
  5.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가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배선 기판에 접속된 실장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가 감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양쪽 커넥터의 감합시에, 상기 제1 커넥터에 설치된 감합 보유 부재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설치된 도전성 쉘을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돤 것으로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의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가 보유됨과 아울러,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를 덮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시에 상기 배선 기판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뻗어서 설치된 선단 연장판과 그 선단 연장판으로부터 편지 형상으로 뻗어 있는 탄성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는 편지 형상으로 뻗어 있는 부분의 중간 위치가 절곡되어 뻗어 나오도록 형성되고, 당해 탄성 스프링 부재의 뻗어 나오는 방향의 선단 부분에는,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시에, 상기 제2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대해서 접촉 상태가 되는 커버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의 접점부가 접촉하는 쉘 접촉편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쉘 접촉편은 상기 배선 기판으로부터 일어서도록 뻗어 나온 후에 상기 배선 기판을 향해 되돌려 접힌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가 열 형상을 이루어 복수 배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쉘 접촉편은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의 배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치.
  8.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배선 기판에 접속된 상태로 실장되는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당해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도전성 쉘을 감합 보유 부재가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가 보유됨과 아울러,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상대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를 덮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와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서로 다른 부재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대해서 기계적 고정 수단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에는,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시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대해서 접촉 상태가 되는 커버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가 단면 원형 형상 또는 단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봉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고정 수단이 상기 감합 보유 부재를 협지하도록 대향 배치된 코킹 고정편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접점부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대해서,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압압력으로 압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배선 기판에 접속된 상태로 실장되는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당해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도전성 쉘을 감합 보유 부재가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가 보유됨과 아울러, 상기 감합 보유 부재에 설치된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상대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배선 기판과의 접속 부위를 덮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커버 부재가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시에 상기 배선 기판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뻗어서 설치된 선단 연장판과 그 선단 연장판으로부터 편지 형상으로 뻗어 있는 탄성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는 편지 형상으로 뻗어 있는 부분의 중간 위치가 절곡되어 뻗어 나오도록 형성되고, 당해 탄성 스프링 부재의 뻗어 나오는 방향의 선단 부분에는, 상기 감합 보유 부재의 회동 조작시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대해서 접촉 상태가 되는 커버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의 접점부가 접촉하는 쉘 접촉편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쉘 접촉편은 상기 배선 기판으로부터 일어서도록 뻗어 나온 후에 상기 배선 기판을 향해 되돌려 접힌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가 열 형상을 이루어 복수 배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쉘 접촉편은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의 배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60033209A 2015-04-17 2016-03-21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KR101809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85439 2015-04-17
JP2015085439A JP6225941B2 (ja) 2015-04-17 2015-04-17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988A KR20160123988A (ko) 2016-10-26
KR101809824B1 true KR101809824B1 (ko) 2017-12-15

Family

ID=5704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209A KR101809824B1 (ko) 2015-04-17 2016-03-21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95793B2 (ko)
JP (1) JP6225941B2 (ko)
KR (1) KR101809824B1 (ko)
CN (1) CN106058580B (ko)
DE (1) DE102016107023A1 (ko)
FR (1) FR3035273A1 (ko)
TW (1) TWI5830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83930S (ko) * 2016-08-03 2017-08-21
JP1579181S (ko) * 2016-11-30 2017-06-19
JP6807028B2 (ja) * 2017-12-20 2021-01-06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6741040B2 (ja) * 2018-05-10 2020-08-19 第一精工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CN110808493B (zh) * 2018-08-06 2022-06-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9066179A (zh) * 2018-08-27 2018-12-21 四川华丰企业集团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子设备
WO2020078276A1 (zh) * 2018-10-19 2020-04-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器、电路板及通信设备
JP7108531B2 (ja) * 2018-12-27 2022-07-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TWM601912U (zh) * 2019-03-26 2020-09-2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插座連接器
JP7446094B2 (ja) 2019-12-03 2024-03-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続対象物、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TWI760985B (zh) * 2020-12-23 2022-04-11 佳必琪國際股份有限公司 插頭連接器及其製造方法
TWI800067B (zh) * 2021-10-29 2023-04-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0640A (ja) 2000-11-29 2002-06-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7234491A (ja) 2006-03-03 2007-09-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09048941A (ja) 2007-08-22 2009-03-05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1238410A (ja) * 2010-05-07 2011-11-2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033431A (ja) * 2010-08-02 2012-02-16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6866B (en) * 2003-03-07 2007-09-11 J S T Mfg Co Ltd Plug connector housing with locking mechanism and plug connector with the locking mechanism using the same
JP4391975B2 (ja) 2005-09-08 2009-1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0935778B1 (ko) * 2006-08-03 2010-01-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소형화에 용이하게 적응된 커넥터
JP2009199809A (ja) * 2008-02-20 2009-09-03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光伝送モジュールおよび光−電気伝送モジュール
JP2011238420A (ja) 2010-05-10 2011-11-24 Panasonic Corp 照明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594053B2 (ja) * 2010-10-22 2014-09-2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JP5813349B2 (ja) * 2011-03-29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接続対象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0640A (ja) 2000-11-29 2002-06-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7234491A (ja) 2006-03-03 2007-09-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09048941A (ja) 2007-08-22 2009-03-05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1238410A (ja) * 2010-05-07 2011-11-2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033431A (ja) * 2010-08-02 2012-02-16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25941B2 (ja) 2017-11-08
JP2016207357A (ja) 2016-12-08
US20160308308A1 (en) 2016-10-20
DE102016107023A1 (de) 2016-10-20
CN106058580A (zh) 2016-10-26
KR20160123988A (ko) 2016-10-26
TWI583077B (zh) 2017-05-11
TW201703369A (zh) 2017-01-16
FR3035273A1 (fr) 2016-10-21
US9595793B2 (en) 2017-03-14
CN106058580B (zh)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824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KR10173594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KR10178169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JP551604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299733B2 (ja) 電気コネクタ
TWI396332B (zh) Connector
JP2008016212A (ja) 電気コネクタ
US20110136380A1 (en) Electric connector
KR20150144266A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202109696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KR101500853B1 (ko) 평평한 판상 접속 대상물의 접속에 적합한 동축 커넥터
JP6442964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TWI451640B (zh)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83674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並びに電気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2023041187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grounding structure thereof
KR101296699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15125963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2017199466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