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607B1 -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607B1
KR101735607B1 KR1020150127823A KR20150127823A KR101735607B1 KR 101735607 B1 KR101735607 B1 KR 101735607B1 KR 1020150127823 A KR1020150127823 A KR 1020150127823A KR 20150127823 A KR20150127823 A KR 20150127823A KR 101735607 B1 KR101735607 B1 KR 101735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inverter
mode
switching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345A (ko
Inventor
박천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607B1/ko
Priority to ES16188057T priority patent/ES2813345T3/es
Priority to EP16188057.0A priority patent/EP3142248B1/en
Priority to US15/261,014 priority patent/US10120361B2/en
Priority to CN201610814784.0A priority patent/CN106972801B/zh
Publication of KR2017003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1/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P1/00 - H02P5/00, H02P7/00 or H02P21/00 - H02P2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8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conversion of DC into AC, e.g. with chopp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24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24Safety, surveilla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waveform of the supplied voltage or current
    • H02P2209/13Different type of waveforms depending on the mode of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와,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모터 동작 모드인 제1 모드에서,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가 일정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고장 진단을 위한 사운드 출력모드인 제2 모드에서,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가변되는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모터를 이용하여 고장 진단과 관련된 사운드를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Motor driving apparatus,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를 이용하여 고장 진단과 관련된 사운드를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는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모터 구동장치는, 회전 운동을 하는 회전자와 코일이 감긴 고정자를 구비하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모터 구동장치는, 센서를 이용한 센서 방식의 모터 구동장치와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의 모터 구동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 제조 비용 저감 등을 이유로, 센서리스 방식의 모터 구동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모터 구동을 위해, 센서리스 방식의 모터 구동장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를 이용하여 고장 진단과 관련된 사운드를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는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와,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모터 동작 모드인 제1 모드에서,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가 일정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고장 진단을 위한 사운드 출력모드인 제2 모드에서,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가변되는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는, 메모리와,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와,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진단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진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모터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와,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모터 동작 모드인 제1 모드에서,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가 일정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고장 진단을 위한 사운드 출력모드인 제2 모드에서,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가변되는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와, 디바이스 진단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진단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로 진단 데이터를 요청하고, 진단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마이크를 통해, 사운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사운드로부터 진단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진단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와,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모터 동작 모드인 제1 모드에서,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가 일정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고장 진단을 위한 사운드 출력모드인 제2 모드에서,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가변되는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모터를 이용하여 고장 진단과 관련된 사운드를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모드로 동작 중, 에러 발생시, 에러 발생시의 모터(230)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통해,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를 간편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는, 메모리와,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와,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진단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진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함으로써, 모터를 이용하여 고장 진단과 관련된 사운드를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모드로 동작 중, 에러 발생시, 에러 발생시의 모터(230)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통해,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를 간편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와, 디바이스 진단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진단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로 진단 데이터를 요청하고, 진단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마이크를 통해, 사운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사운드로부터 진단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진단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통해, 진단 데이터를 간편하게 수신하고, 수신된 진단 데이터를 간편하게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2는 도 1의 모터 구동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3은 도 2의 모터 구동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3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모터에 인가되는 출력 전류 파형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눈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11은 도 7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예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른 예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또 다른 예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냉장고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100)는, 세탁물 처리기기, 공기조화기, 냉장고, 정수기, 청소기, 차량(vehicle), 로봇(robot), 드론(drone)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홈 어플라이언스(100)는, 입력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구동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조작 버튼, 키 등을 구비하며, 홈 어플라이언스(100)의 전원 온/오프, 동작 설정 등을 위한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주변 기기,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6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IR) 통신, RF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WiFi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메모리(140)는, 홈 어플라이언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20)의 동작시의 동작 시간, 동작 모드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홈 어플라이언스(100) 내의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에를 들어, 제어부(170)는, 입력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구동부(22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70)는, 모터(230) 동작 모드인 제1 모드에서, 인버터(420)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가 일정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고장 진단을 위한 사운드 출력모드인 제2 모드에서, 인버터(420)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가변되는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1 모드로 동작 중, 에러 발생시, 에러 발생시의 모터(230)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2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에러 발생에 따라, 제2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메모리(270)에 저장된 모터(230)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전원 온 이후, 소정 시간 이내 또는 전원 온 이후, 모터(230)의 정렬 기간 이전에, 제2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통신부(130)를 통해, 진단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2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메모리(270)에 저장된 진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600)와의 거리,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진단 데이터 요청 신호의 세기에 따라, 사운드의 볼륨 또는 주파수를 가변하거나, 사운드의 출력 기간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운드의 볼륨이 가변되도록,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운드의 볼륨 또는 주파수가 가변되도록,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 또는 주파수를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2 모드에서, 진단 데이터가 부가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출력할 사운드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진단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삽입하는 데이터 삽입부와, 진단 데이터가 삽입된 오디오 신호를 역변환하는 역변환부와, 역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다중화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420)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2 모드 수행 중, 제1 모드 수행을 위한 입력이 있는 경우, 제2 모드의 동작 완료 시간에 기초하여, 제2 모드의 동작 중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작 완료 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인 경우, 제2 모드가 계속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220)는, 홈 어플라이언스(100)의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모터 구동장치는,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와 같은 위치 감지부가 구비되지 않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에 의해,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모터 구동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센서리스 방식의 모터 구동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부(220)는, 모터 구동장치(220)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모터 구동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하고, 도 3은 도 2의 모터 구동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220)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버터(420), 인버터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220)는, 컨버터(410), dc 단 전압 검출부(B), 평활 커패시터(C), 출력전류 검출부(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20)는, 입력 전류 검출부(A), 리액터(L)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230) 동작 모드인 제1 모드에서, 인버터(420)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가 일정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고장 진단을 위한 사운드 출력모드인 제2 모드에서, 인버터(420)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가변되는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제1 모드로 동작 중, 에러 발생시, 에러 발생시의 모터(230)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2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에러 발생에 따라, 제2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메모리(270)에 저장된 모터(230)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전원 온 이후, 소정 시간 이내 또는 전원 온 이후, 모터(230)의 정렬 기간 이전에, 제2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통신부(130)를 통해, 진단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2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메모리(270)에 저장된 진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이동 단말기(600)와의 거리,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진단 데이터 요청 신호의 세기에 따라, 사운드의 볼륨 또는 주파수를 가변하거나, 사운드의 출력 기간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사운드의 볼륨이 가변되도록,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사운드의 볼륨 또는 주파수가 가변되도록,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 또는 주파수를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제2 모드에서, 진단 데이터가 부가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할 사운드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진단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삽입하는 데이터 삽입부와, 진단 데이터가 삽입된 오디오 신호를 역변환하는 역변환부와, 역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다중화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420)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제2 모드 수행 중, 제1 모드 수행을 위한 입력이 있는 경우, 제2 모드의 동작 완료 시간에 기초하여, 제2 모드의 동작 중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작 완료 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인 경우, 제2 모드가 계속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의 모터 구동장치(220) 내의 각 구성 유닛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405, vs)과 컨버터(4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4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 전류 검출부(A)는, 상용 교류 전원(405)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전류 검출부(A)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컨버터(4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405)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4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컨버터(410)는,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컨버터(4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평활 커패시터(C)는,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평활 커패시터(C)로 하나의 소자를 예시하나,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자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컨버터(41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류 전원이 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평활 커패시터(C)에 바로 입력되거나 직류/직류 변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부분을 위주로 기술한다.
한편, 평활 커패시터(C) 양단은, 직류 전원이 저장되므로, 이를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dc 단 전압 검출부(B)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삼상 동기 모터(230)에 출력되게 된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센서리스 방식을 기반으로,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한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을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된다. 인버터 제어부(430) 내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의 출력에 대한 상세 동작은 도 3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삼상 모터(23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한다. 즉,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모터(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3개의 션트 저항이, 인버터(420)와 동기 모터(230) 사이에 위치하거나, 인버터(420)의 3개의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2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1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커패시터(C)와 인버터(420) 사이에서 해당 션트 저항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검출된 출력전류(io)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검출된 출력전류(io)가 삼상의 출력 전류(ia,ib,ic)인 것으로 병행하여 기술할 수도 있다.
한편, 삼상 모터(230)는,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ar)를 구비하며, 각상(a,b,c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모터(230)는, 예를 들어,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 및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SMPMSM과 IPMSM은 영구자석을 적용한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이며, Synrm은 영구자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도 4는 도 3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변환부(310), 속도 연산부(320), 전류 지령 생성부(330), 전압 지령 생성부(340), 축변환부(35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변환부(3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삼상 출력 전류(ia,ib,ic)를 입력받아,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로 변환한다.
한편, 축변환부(310)는,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를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
속도 연산부(320)는, 축변환부(310)에서 축변화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에 기초하여, 연산된 위치(
Figure 112015087830343-pat00001
)와 연산된 속도(
Figure 112015087830343-pat00002
)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연산 속도(
Figure 112015087830343-pat00003
)와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연산 속도(
Figure 112015087830343-pat00004
)와 속도 지령치(ω*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3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류 지령치로, q축 전류 지령치(i* q)를 예시하나, 도면과 달리, d축 전류 지령치(i* d)를 함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d축 전류 지령치(i* d)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전류 지령치(i*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 생성부(330)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 d,i* 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q축 전류(iq)와, q축 전류 지령치(i* q)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q축 전압 지령치(v* q)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d축 전류(id)와, d축 전류 지령치(i* d)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48)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d축 전압 지령치(v* 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d 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는, 축변환부(350)에 입력된다.
축변환부(350)는, 속도 연산부(3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112015087830343-pat00005
)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
먼저, 축변환부(350)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속도 연산부(3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112015087830343-pat00006
)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변환부(350)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35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하게 된다.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36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도 5는 도 2의 모터에 인가되는 출력 전류 파형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모터(230)는, 정지 이후 기동시, 모터를 정렬하는 모터 정렬 구간(T1), 모터를 가속하는 가속 구간(T2), 부하에 따라 모터 속도를 가변 운전하는 통상 운전 구간(T3)으로 구분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모드는, 모터를 정렬하는 모터 정렬 구간(T1), 모터를 가속하는 가속 구간(T2), 부하에 따라 모터 속도를 가변 운전하는 통상 운전 구간(T3)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는, 모터 정렬 구간(T1)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온 이후, 소정 시간 이내 또는 전원 온 이후, 모터(230)의 정렬 기간 이전에, 제2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홈 어플라이언스가 공기조화기인 경우, 통신부(130)를 통해, 전원 온 이후, 온도 조절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모터(230)의 동작 전에, 즉, 모터 정렬 구간(T1) 전에, 제2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 A/V(Audio/Video) 입력부(620), 사용자 입력부(630), 센싱부(640), 출력부(650), 메모리(660), 인터페이스부(667), 제어부(67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3), 무선 인터넷 모듈(615), 음향 통신부(617), 및 GPS 모듈(6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6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WFi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에,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부가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로부터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한다.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6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6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21)와 마이크(6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6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68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640)는, 감지센서(641), 압력센서(643), 및 모션 센서(6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6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680), 오디오 출력부(653), 알람부(655), 및 햅틱 모듈(6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80)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68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68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653)는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6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655)는 이동 단말기(6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6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660)는 제어부(6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667)는 이동 단말기(6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667)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7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은 제어부(67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67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6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눈 순서도이고, 도 8a 내지 도 11은 도 7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모터 구동장치(220)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230) 동작 모드인 제1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510), 해당하는 경우, 인버터(420)의 각 스위칭 소자(Sa,Db,Sc,S'a,S'b,S'c)의 스위칭 주파수가 일정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515).
도 8a는, 제1 모드에서의 제1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1)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모드에서의 제1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1)는, 주기(Ts1), 즉 스위칭 주파수가 일정하며, 각 주기 별로, 듀티(Dt1,Dt2,Dt3,Dt4)가 다른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Sa,Db,Sc,S'a,S'b,S'c)는, 일정한 스위칭 주파수로 스위칭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모터 구동장치(220)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제1 모드 동작 중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520).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인버터 제어부(430)는, 제1 모드로 동작 중, 에러 발생시, 에러 발생시의 모터(230)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2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고장 진단을 위한 사운드 출력모드인 제2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525).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메모리(270)에 저장된 모터(230)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인버터(420)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한다(S530).
도 8b는, 제2 모드에서의 제2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2)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모드에서의 제2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2)는, 주기(Ts1,Ts2,Ts3,Ts4)가 가변하며, 각 주기 별로, 듀티(Dt1,Dt2,Dt3,Dt4)가 다른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Sa,Db,Sc,S'a,S'b,S'c)는, 가변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동작하며, 이에 따라, 모터(230)를 통해, 사운드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모터 구동장치(220)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600)는, 마이크(623)를 통해, 모터 구동장치(220)로부터의 사운드를 획득한다(S535).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사운드로부터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에러 정보가 있는 경우, 에러 정보를 확인한다(S540).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디스플레이(680)를 통해, 에러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550).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간단하게, 홈 어플라이언스의 에러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100)의 에러 발생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모드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100)의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운전 정보 요청 또는 동작 정보 요청이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인버터 제어부(430)는, 메모리(140 또는 270)에 저장된,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정보 또는 동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100)의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진단 데이터 요청이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인버터 제어부(430)는, 메모리(140 또는 270)에 저장된, 홈 어플라이언스의 진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진단 데이터는, 동작 정보, 운전 정보 및 그 히스토리 데이터, 에러 정보 및 그 히스토리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이동 단말기(600)와의 거리,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진단 데이터 요청 신호의 세기에 따라, 사운드의 볼륨 또는 주파수를 가변하거나, 사운드의 출력 기간을 가변할 수 있다.
도 9a는, 모터 구동장치(220)와 이동 단말기(600)가, 제1 거리(Da1)에 있는 경우를 예시하며, 도 9b는, 모터 구동장치(220)와 이동 단말기(600)가, 제1 거리(Da1) 보다 먼 제2 거리(Da2)에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면과 같이,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 구동장치(220)와 이동 단말기(600)가, 제1 거리(Da1)에 있는 경우, 제1 볼륨의 제1 사운드(Sa1)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모터 구동장치(220)와 이동 단말기(600)가, 제1 거리(Da1) 보다 먼 제2 거리(Da2)에 있는 경우, 제1 볼륨 보다 큰 제2 볼륨의 제2 사운드(Sa2)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면과 달리,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 구동장치(220)와 이동 단말기(600)가, 제1 거리(Da1)에 있는 경우, 고주파의 제1 사운드(Sa1)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모터 구동장치(220)와 이동 단말기(600)가, 제1 거리(Da1) 보다 먼 제2 거리(Da2)에 있는 경우, 제1 사운드(Sa1) 보다 주파수가 낮은 저주파의 제2 사운드(Sa2)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달 거리가 더 좋은 저주파의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면과 달리, 모터 구동장치(220)와 이동 단말기(600)가, 제1 거리(Da1)에 있는 경우, 제1 기간 동안 제1 사운드(Sa1)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모터 구동장치(220)와 이동 단말기(600)가, 제1 거리(Da1) 보다 먼 제2 거리(Da2)에 있는 경우, 제1 기간 보다 긴 제2 기간의 제2 사운드(Sa2)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면과 달리, 모터 구동장치(220)와 이동 단말기(600)가, 제1 거리(Da1)에 있는 경우, 재1의 데이터 양에 대응하는 제1 사운드(Sa1)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모터 구동장치(220)와 이동 단말기(600)가, 제1 거리(Da1) 보다 먼 제2 거리(Da2)에 있는 경우, 제1의 데이터 양 보다 많은 제2의 데이터 양에 대응하는 제2 사운드(Sa2)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b는, 사운드 출력을 위해, 인버터(420)의, 제1 상암 스위칭 소자(Sa)가 턴 온, 제2 및 제3 하암 스위칭 소자(S'b,S'c)가 턴 온가 되고, 제1 하암 스위칭 소자(S'a)가 턴 오프, 제2 및 제3 상암 스위칭 소자가 턴 온(Sb,Sc)가 턴 온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b에서의, 사운드 출력을 위해, 인버터(420)의, 제1 상암 스위칭 소자(Sa)가 턴 온, 제2 및 제3 하암 스위칭 소자(S'b,S'c)가 턴 온가 되고, 제1 하암 스위칭 소자(S'a)가 턴 오프, 제2 및 제3 상암 스위칭 소자가 턴 온(Sb,Sc)가 턴 온되는 것은, 도 5의 모터 정렬 구간(T1)에서의 동작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사운드의 볼륨이 가변되도록,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한편, 도 10a 내지 도 10b는, 사운드의 볼륨 조절을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먼저, 도 10a는, 주기가 Ts1에서 Ts2로 가변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1의 Ts1 구간 동안, a상 턴 온 듀티(Tda)와, b상 턴 온 듀티(Tdb), c상 턴 온 듀티(Tdc)와의 차이가 클수록,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사운드의 볼륨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2의 Ts1 구간 동안, a상 턴 온 듀티가 작아지며, b상 턴 온 듀티, c상 턴 온 듀티가 커지며, 제1의 Ts1 구간 동안, 증가된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제1의 Ts2 구간 동안, 주기, 즉, 스위칭 주파수가 가변하면서, a상 턴 온 듀티(Tda)와, b상 턴 온 듀티(Tdb), c상 턴 온 듀티(Tdc)와의 차이에 따라,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사운드의 볼륨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2의 Ts2 구간 동안, a상 턴 온 듀티가 작아지며, b상 턴 온 듀티, c상 턴 온 듀티가 커지며, 제1의 Ts2 구간 동안, 증가된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0b는, 주기가 Ts1으로 일정한 것을 예시한다.
제1의 Ts1 구간 동안, a상 턴 온 듀티(Tda)와, b상 턴 온 듀티(Tdb), c상 턴 온 듀티(Tdc)와의 차이가 클수록,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사운드의 볼륨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2의 Ts1 구간 동안, a상 턴 온 듀티가 작아지며, b상 턴 온 듀티, c상 턴 온 듀티가 커지며, 제1의 Ts1 구간 동안, 증가된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제1의 Ts1 구간 동안, 주기, 즉, 스위칭 주파수가 가변하면서, a상 턴 온 듀티(Tda)와, b상 턴 온 듀티(Tdb), c상 턴 온 듀티(Tdc)와의 차이에 따라,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사운드의 볼륨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2의 Ts1 구간 동안, a상 턴 온 듀티가 작아지며, b상 턴 온 듀티, c상 턴 온 듀티가 커지며, 제1의 Ts2 구간 동안, 증가된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제2 모드에서, 다양한 사운드에, 데이터가 매칭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인버터 제어부(430)는, 진단 데이터가 부가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음향 신호인 사운드를 캐리어(carrier)로 사용하여, 음향 신호에, 데이터를 변조 방식으로 부가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음향 통신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a는, 모터 구동장치(220)에서 음향 통신에 의한 사운드를 출력하고, 이동 단말기(600)가 해당 사운드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를 위해, 모터 구동장치(220)는, 인버터 제어부(430), 인버터(420), 모터(230)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 구동장치(220)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할 오디오 신호(digital sound)를, 제어부(170) 등으로부터 수신하고, 출력할 오디오 신호(digital sound)에 소정 데이터(data)를 부가한다.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소정 데이터(data)가 부가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인버터(420)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한다. 이에 따라, 모터(230)를 통해, 소정 데이터(data)가 부가된 사운드가 출력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마이크(623)는, 모터 구동장치(22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sound)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음향 통신부(617)로 전달한다. 음향 통신부(617)는, 사운드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에 의해, 모터 구동장치(22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서, 간단한 정보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1a에 역으로, 이동 단말기(600)에서 음향 통신에 의한 사운드를 출력하고, 모터 구동장치(220)가 해당 사운드를 수신하는 것도 하다.
도 11b는, 모터 구동장치(220)의 인버터 제어부(430) 내의 내부 블록도와, 이동 단말기(600) 내의 음향 통신부(617)의 내부 블록도를 예시한다.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해, 모터 구동장치(220)의 인버터 제어부(430)는, 주파수 변환부(510), 데이터 삽입부(515), 역 변환부(520), 다중화부(525)를 구비할 수 있다.
주파수 변환부(510)는, 시간 기반(time domain)의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주파수 변환은, 프레임 단위로 수행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변조 컴플렉스 랩트 트랜스폼(modulated complex lapped transform)(MCLT)에 기반한 주파수 변환일 수 있다.
MCLT 방식은, 프레임 별 overlapping 특성에 따라, 프레임 경계에서의 블럭킹 아티팩트(blocking artifact)를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삽입부(515)는,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소정의 데이터(data)를 부가, 또는 삽입한다. 즉, 변조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에 부가한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변환된, 각 주파수별 계수들(크기, 위상 등) 중 위상 계수를 가변하여, 데이터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되는 위상 계수는, 0도 또는 180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부가되는 데이터가 구별 가능하게 된다.
역 변환부(520)는, 정보 데이터가 삽입된 오디오 신호를 역변환(inverse transform)한다. 주파수 변환부(510)에서, MCLT 변환을 수행한 경우, inverse MCLT 변환을 수행하여, 시간 기반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주파수 변환부(510), 데이터 삽입부(515), 역 변환부(520)는, 프레임 단위로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중화부(525)는, 역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즉, 복수의 프레임을 다중화한다.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다중화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인버터(420)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한다. 이에 따라, 모터(230)에서 다중화된 사운드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마이크(623)를 통해 사운드를 수신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 내의 음향 통신부(617)는, 수신되는 사운드로부터 데이터 추출을 위해, 동기화부(530), 주파수 변환부(535), 데이터 추출부(540)를 구비할 수 있다.
동기화부(53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한다. 즉, 다중화된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시켜, 프레임 단위로 분리할 수 있다.
주파수 변환부(535)는, 시간 기반(time domain)의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주파수 변환은, 프레임 단위로 수행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변조 컴플렉스 랩트 트랜스폼(modulated complex lapped transform)(MCLT)에 기반한 주파수 변환일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540)는,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로에서, 부가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주파수별 계수들 중 위상 계수를 가변하여, 데이터가 부가되므로, 위상 계수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위상 계수가, 0도 또는 180도의 값을 가지는 경우, 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MCLT 기반의 음향 통신 방식에 의하면, 원래 출력하려고 한 오디오 신호와 비슷한 사운드를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부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 별 overlapping 특성에 따라, 프레임 경계에서의 블럭킹 아티팩트(blocking artifact)를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c는 도 11b의 인버터 제어부(430)의 동작을 오디오 파형과 함께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출력할 오디오 신호(400)를 예시하며, 출력할 오디오 신호(400)는, 시간 기준으로, 복수의 프레임(FR1~FR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프레임(FR1) 구간에, 제1 오디오 신호(400a)가, 제2 프레임(FR2) 구간에, 제2 오디오 신호(400b)가, 제3 프레임(FR3) 구간에, 제3 오디오 신호(400c)가, 제4 프레임(FR4) 구간에, 제4 오디오 신호(400d)가 예시된다.
주파수 변환부(510)는, 각 프레임 별로, 오디오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MCLT 방식에 의한 주파수 변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삽입부(515)는, 각 프레임 별로,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소정의 데이터(data)를 부가한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변환된, 각 주파수별 계수들(크기, 위상 등) 중 위상 계수를 가변하여, 데이터를 부가한다.
역 변환부(520)는, 각 프레임 별로, 정보 데이터가 삽입된 오디오 신호를 역변환(inverse transform)한다. 이에 따라, 시간 기반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각 프레임 별로, 제1 내지 제4 오디오 신호(400a~400d)와 유사한, 제1 내지 제4 사운드 신호(401a~401d)를 예시한다. 도면을 보면, 제1 내지 제4 사운드 신호(401a~401d)는, 각각 원래 출력하려고 한 오디오 신호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다중화부(525)는, 각 프레임 별로, 데이터 부가된 사운드 신호를, 다중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모터 구동장치(220)는, 다양한 기기에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 중 세탁물 처리기기, 공기조화기, 냉장고, 정수기, 청소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터로 동작 가능한 차량(vehicle), 로봇(robot), 드론(drone) 등에 적용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a)는, 포가 전면 방향으로 세탁조 내로 삽입되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이다. 이러한 프론트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하에서는 세탁기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12의 세탁물 처리기기(100a)는, 세탁조식 세탁물 처리기기로서, 세탁물 처리기기(100a)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닛(110)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0)와, 터브(120)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세탁되는 세탁조(122)과, 세탁조(122)을 구동시키는 모터(130)와, 캐비닛 본체(111) 외측에 배치되며 캐비닛(11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터브(120) 하측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세탁조(122)에는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22A)이 형성되며, 세탁조(122)의 회전시 세탁물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진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세탁조(112)의 내 측면에 리프터(124)가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2)와, 캐비닛 커버(112)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컨트롤패널(115)과, 컨트롤패널(115)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탑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2)는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포 출입홀(114)과, 포 출입홀(114)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113)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5)은 세탁물 처리기기(100a)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조작키들(117)과, 조작키들(117)의 일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0a)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8)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5) 내의 조작키들(117) 및 디스플레이 장치(118)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세탁물 처리기기(100a)의 각 구성요소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세탁조(122)에는 오토 밸런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오토 밸런스(미도시)는 세탁조(122)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밸런스, 볼밸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탁물 처리기기(100a)는, 세탁조(122)의 진동량 또는 캐비닛(110)의 진동량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a)는, 제어부(210)의 제어 동작에 의해, 구동부(220)가 제어되며,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조(122)에 모터(23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제어부(210)는, 조작키(1017)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18)를 제어하여, 세탁 코스, 세탁 시간, 탈수 시간, 헹굼 시간 등, 또는 현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구동부(220)를 제어하여,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모터(230) 내부 또는 외부에는,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즉, 구동부(220)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에 의해 모터(230)를 제어한다.
구동부(220)는, 모터(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버터(미도시), 및 인버터 제어부(미도시), 모터(230)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전류 검출부(도 2의 E)와, 모터(230)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vo)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도 2의 F)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20)는, 인버터(미도시)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 등을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20) 내의 인버터 제어부(도 2의 430)는, 출력 전류(io) 및 출력 전압(vo)에 기초하여, 모터(230)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된 회전자 위치에 기초하여, 모터(230)가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인버터 제어부(도 2의 430)가, 출력 전류(io) 및 출력 전압(vo)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도 2의 Sic)를 생성하여, 인버터(미도시)로 출력하면, 인버터(미도시)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모터(230)에 공급한다. 그리고, 모터(230)는,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한편, 구동부(220)는, 도 1의 모터 구동장치(220)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모터(230)에 흐르는 출력 전류(io) 등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조(122)가 회전하는 동안에, 모터(230)의 전류값(io)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10)는, 포량 감지시, 모터 정렬 구간에서 측정된 모터의 고정자 저항과 인덕턴스 값을 이용하여, 포량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조(122)의 편심량, 즉 세탁조(122)의 언밸런스(unbalance; UB)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심량 감지는, 모터(230)에 흐르는 출력 전류(io)의 리플 성분 또는 세탁조(122)의 회전 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10)는, 포량 감지시, 모터 정렬 구간에서 측정된 모터의 고정자 저항과 인덕턴스 값을 이용하여, 편심량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른 예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0b)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31b), 실내기(31b)에 연결되는 실외기(21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31b)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도면에서는, 스탠드형 실내기(31b)를 예시한다.
한편, 공기조화기(100b)는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21b)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외기(21b)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1b)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21b)는 원격제어기(미도시) 또는 실내기(31b)의 요구(demand)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실외기(21b)는, 연결된 실내기(310b)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한다.
실내기(31b)는, 실외기(21b)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31b)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실외기(21b) 및 실내기(31b)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는 원격제어기(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리모컨(미도시)은 실내기(31b)에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00b)는, 크게 실내기(31b)와 실외기(21b)로 구분된다.
실외기(21b)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b)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b)와, 실외 열교환기(104b)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b)과 실외팬(105ab)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b)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b)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b)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b) 등을 포함한다.
실내기(31b)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9b)와, 실내측 열교환기(109b)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b)과 실내팬(109ab)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b)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109b)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b)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b)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의 실외기(21b) 내의 압축기(102b)는, 압축기 모터(250b)를 구동하는, 도 1과 같은, 모터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실내팬(109ab) 또는 실외팬(105ab)은, 각각 실내팬 모터(109bb), 실외 팬 모터(150bb)를 구동하는, 도 1과 같은, 모터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또 다른 예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과 관련한 냉장고(100c)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동실 및 냉장실로 구획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110c)와, 냉동실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120c)와 냉장실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140c)에 의해 개략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냉동실 도어(120c)와 냉장실 도어(140c)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도어핸들(121c)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고 냉동실 도어(120c)와 냉장실 도어(140c)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냉장실 도어(140c)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냉장실 도어(140c)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내부에 수용된 음료와 같은 저장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수단인 홈바(180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 도어(120c)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120c)를 개방하지 않고 얼음 또는 식수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수단인 디스펜서(160c)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펜서(160c)의 상측에는, 냉장고(100c)의 구동운전을 제어하고 운전중인 냉장고(100c)의 상태를 화면에 도시하는 컨트롤패널(210c)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디스펜서(160c)가 냉동실 도어(120c)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냉장실 도어(140c)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냉동실(미도시)의 내측 상부에는 냉동실 내의 냉기를 이용하여 급수된 물을 제빙하는 제빙기(190c)와, 제빙기에서 제빙된 얼음이 이빙되어 담겨지도록 냉동실(미도시) 내측에 장착된 아이스 뱅크(195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아이스 뱅크(195c)에 담겨진 얼음이 디스펜서(160c)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아이스 슈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10c)은,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입력부(220c), 및 제어 화면 및 작동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30c)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0c)는, 제어 화면, 작동 상태 및 고내(庫內) 온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30c)는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얼음), 냉동실의 설정 온도, 냉장실의 설정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30c)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다이오드(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30c)는 입력부(220c)의 기능도 수행 가능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220c)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c)는,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 얼음 등)를 설정하기 위한 디스펜서 설정버튼(미도시)과, 냉동실 온도설정을 위한 냉동실 온도설정 버튼(미도시)과, 냉동실 온도설정을 위한 냉장실 온도 설정 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20c)는 표시부(230c)의 기능도 수행 가능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면에 도시된 더블도어형(Double Door Type)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 도어형(One Door Type), 슬라이딩 도어형(Sliding Door Type), 커튼 도어형(Curtain Door Type) 등 그 형태를 불문한다.
도 17은 도 16의 냉장고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냉장고(100c)는, 압축기(112c)와, 압축기(112c)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16c)와, 응축기(116c)에서 응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증발시키되, 냉동실(미도시)에 배치되는 냉동실 증발기(124c)와, 냉동실 증발기(124c)에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냉동실 팽창밸브(134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하나의 증발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냉장실과 냉동실에 각각의 증발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냉장고(100c)는, 냉장실(미도시)에 배치되는 냉장실 증발기(미도시), 응축기(116c)에서 응축된 냉매를 냉장실 증발기(미도시) 또는 냉동실 증발기(124c)에 공급하는 3방향 밸브(미도시)와, 냉장실 증발기(미도시)에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냉장실 팽창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c)는 증발기(124c)를 통과한 냉매가 액체와 기체로 분리되는 기액 분리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c)는, 냉동실 증발기(124c)를 통과한 냉기를 흡입하여 각각 냉장실(미도시) 및 냉동실(미도시)로 불어주는 냉장실 팬(미도시) 및 냉동실 팬(144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12c)를 구동하는 압축기 구동부(113c)와, 냉장실 팬(미도시) 및 냉동실 팬(144c)을 구동하는 냉장실 팬 구동부(미도시) 및 냉동실 팬 구동부(14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따르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통의 증발기(124c)가 사용되므로, 이러한 경우에, 냉장실 및 냉동실 사이에 댐퍼(미도시)가 설치되될 수 있으며, 팬(미도시)은 하나의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과 냉장실로 공급되도록 강제 송풍시킬 수 있다.
도 17의 압축기(112c)는,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도 1과 같은, 모터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는, 냉장실 팬(미도시) 또는 냉동실 팬(144c)은, 각각 냉장실 팬 모터(미도시), 냉동실 팬 모터(미도시)를 구동하는, 도 1과 같은, 모터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터 구동방법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모터 구동장치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
    상기 모터와 상기 인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
    상기 출력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회전자 위치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모터 동작 모드인 제1 모드에서, 상기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가 일정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고장 진단을 위한 사운드 출력모드인 제2 모드에서, 상기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가변되는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정지 이후 기동시, 상기 모터를 정렬하는 모터 정렬 구간, 상기 모터를 가속하는 가속 구간, 부하에 따라 상기 모터 속도를 가변 운전하는 통상 운전 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온 이후, 소정 시간 이내 또는 전원 온 이후, 상기 모터의 정렬 구간 이전에, 상기 제2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 동작 중, 에러 발생시, 에러 발생시의 모터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에러 발생에 따라, 상기 제2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모터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진단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진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거리,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진단 데이터 요청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사운드의 볼륨 또는 주파수를 가변하거나, 상기 사운드의 출력 기간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의 볼륨이 가변되도록, 상기 인버터 내의 각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의 볼륨 또는 주파수가 가변되도록,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 또는 주파수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진단 데이터가 부가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력할 사운드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진단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삽입하는 데이터 삽입부;
    상기 진단 데이터가 삽입된 오디오 신호를 역변환하는 역변환부; 및
    상기 역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 수행 중, 상기 제1 모드 수행을 위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모드의 동작 완료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드의 동작 중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작 완료 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모드가 계속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1. 메모리;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
    상기 모터와 상기 인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
    상기 출력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회전자 위치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진단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진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상기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정지 이후 기동시, 상기 모터를 정렬하는 모터 정렬 구간, 상기 모터를 가속하는 가속 구간, 부하에 따라 상기 모터 속도를 가변 운전하는 통상 운전 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온 이후, 소정 시간 이내 또는 전원 온 이후, 상기 모터의 정렬 구간 이전에, 상기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가변되는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2. 모터;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
    상기 모터와 상기 인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
    상기 출력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회전자 위치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가 일정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제2 모드에서, 상기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가변되는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모드는, 고장 진단을 위한 사운드 출력모드이며,
    상기 제어부는,
    정지 이후 기동시, 상기 모터를 정렬하는 모터 정렬 구간, 상기 모터를 가속하는 가속 구간, 부하에 따라 상기 모터 속도를 가변 운전하는 통상 운전 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온 이후, 소정 시간 이내 또는 전원 온 이후, 상기 모터의 정렬 구간 이전에, 상기 제2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3. 제12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 동작 중, 에러 발생시, 에러 발생시의 모터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에러 발생에 따라, 상기 제2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모터 동작 정보 또는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4. 제12항에 있어서,
    메모리;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진단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진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가 공기조화기인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원 온 이후, 온도 조절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동작 전에, 상기 제2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의 볼륨 또는 주파수가 가변되도록,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 또는 주파수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진단 데이터가 부가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력할 사운드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진단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삽입하는 데이터 삽입부;
    상기 진단 데이터가 삽입된 오디오 신호를 역변환하는 역변환부; 및
    상기 역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27823A 2015-09-09 2015-09-09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 KR101735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823A KR101735607B1 (ko) 2015-09-09 2015-09-09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
ES16188057T ES2813345T3 (es) 2015-09-09 2016-09-09 Aparato de accionamiento de motor, electrodoméstico que incluye el mismo y terminal móvil
EP16188057.0A EP3142248B1 (en) 2015-09-09 2016-09-09 Motor driving apparatus,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terminal
US15/261,014 US10120361B2 (en) 2015-09-09 2016-09-09 Motor driving apparatus,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terminal
CN201610814784.0A CN106972801B (zh) 2015-09-09 2016-09-09 马达驱动装置、包括其的家用电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823A KR101735607B1 (ko) 2015-09-09 2015-09-09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345A KR20170030345A (ko) 2017-03-17
KR101735607B1 true KR101735607B1 (ko) 2017-05-15

Family

ID=5689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823A KR101735607B1 (ko) 2015-09-09 2015-09-09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20361B2 (ko)
EP (1) EP3142248B1 (ko)
KR (1) KR101735607B1 (ko)
CN (1) CN106972801B (ko)
ES (1) ES281334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6043B1 (fr) * 2017-12-27 2022-08-05 Somfy Activites Sa Procede de commande electronique d'un moteur.
CN110221552A (zh) * 2018-03-01 2019-09-10 上海九物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无线数据传输的变频器装置及其控制方法
US10607457B1 (en) * 2018-10-19 2020-03-31 Flowserve Management Company Electronically controlled motor-driven device with vibrational acoustic alert capability
CN114666713B (zh) * 2022-03-31 2023-09-01 广州极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发音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105A (en) 1997-06-25 1999-11-16 Fisher & Paykel Limited Appliance communication system
JP2001025258A (ja) * 1999-07-05 2001-01-26 Meidensha Corp Pwmインバ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2301B1 (en) * 1997-11-17 2001-04-24 Canon Kabushiki Kaisha Motor control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692993B2 (ja) * 2001-10-04 2005-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駆動装置および動力出力装置
ES2315491T3 (es) * 2002-05-15 2009-04-01 Lg Electronics Inc. Metodo para controlar una maquina lavadora accionada por motor y sistema de control para el mismo.
EP2207260A4 (en) * 2007-10-29 2011-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 OF A MOTOR
KR20110010374A (ko) 2009-07-2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AP2012006150A0 (en) * 2009-09-12 2012-04-30 Fenix Interna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KR101748605B1 (ko) 2010-01-15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진단시스템
KR101275582B1 (ko) * 2010-12-31 2013-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US8446117B2 (en) * 2011-01-03 2013-05-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duty cycle of pulse width modulated (PWM) waveforms
KR101416937B1 (ko) * 2011-08-02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동작방법
KR101252167B1 (ko) * 2011-08-18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KR20140007178A (ko) * 2012-07-09 2014-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시스템
US9007013B2 (en) * 2012-10-17 2015-04-14 Hyundai Motor Company Inverter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eco-friendly vehicle
KR20140070851A (ko) * 2012-11-28 201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기기의 잡음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잡음을 처리하는 청각 장치 및 잡음 처리 방법
DE102013215846A1 (de) 2013-08-12 2015-02-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Tonausgabeeinheit
US9774284B2 (en) * 2015-02-19 2017-09-2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Rotor posi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9940824B2 (en) * 2015-03-13 2018-04-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of self-monitoring notification applian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105A (en) 1997-06-25 1999-11-16 Fisher & Paykel Limited Appliance communication system
JP2001025258A (ja) * 1999-07-05 2001-01-26 Meidensha Corp Pwmインバ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68233A1 (en) 2017-03-09
EP3142248B1 (en) 2020-07-15
US10120361B2 (en) 2018-11-06
ES2813345T3 (es) 2021-03-23
CN106972801B (zh) 2019-08-06
KR20170030345A (ko) 2017-03-17
EP3142248A2 (en) 2017-03-15
EP3142248A3 (en) 2017-04-12
CN106972801A (zh) 2017-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2302B1 (en) A home appliance for transmitting diagnostic data
US10483893B2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1691793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US10397016B2 (en) Mobile termin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ome appliance
KR101663520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1709496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1735607B1 (ko) 모터 구동장치,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
US20170047876A1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US9998941B2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KR101738085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1756411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1822897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EP3416272B1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1749530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1797201B1 (ko) 모터 구동장치,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KR101750878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1752797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