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993B1 - 가랑이가 있는 의류 - Google Patents

가랑이가 있는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993B1
KR101665993B1 KR1020127001775A KR20127001775A KR101665993B1 KR 101665993 B1 KR101665993 B1 KR 101665993B1 KR 1020127001775 A KR1020127001775 A KR 1020127001775A KR 20127001775 A KR20127001775 A KR 20127001775A KR 101665993 B1 KR101665993 B1 KR 10166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edge
pubic bone
body portion
long
stami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2859A (ko
Inventor
토모코 오카모토
마유미 우메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ublication of KR2012004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4Knickers for ladies,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ip dislocation; Abdu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24Tru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일례로서의 쇼츠(1)는 본체부(10)와, 치골 근방을 덮는 치골부(20)와, 치골부(20)의 상부의 중앙 하단부(30a)로부터 좌우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하방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와, 치골부(20) 및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와 연결되어 대전자(73)를 피복하면서 본체부(10)의 배면측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제 1 긴체부(40a)와, 선골로부터 요추 상의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는 띠 형상의 제 2 긴체부(40b)와, 대전자(73)를 덮도록 설치되는 강긴체부(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랑이가 있는 의류{GARMENT WITH CROTCH}
본 발명은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골반이나 고관절을 안정시킴으로써 착용자의 자세를 좋게 하거나, 걷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한 거들, 쇼츠 등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러한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서는 본체 부분보다 긴체력(緊締力)이 강한 강긴체력부가 대전자를 누름과 아울러 대전근을 서포트함으로써 고관절의 가동역을 넓혀서 안정된 보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3870232호
그런데, 우리들은 일상생활 중에서 좌우 비대칭의 움직임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평상시에 앉아서 다리를 꼬거나 해서 골반이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태가 계속되면 근육의 활동 밸런스가 무너져 신체의 좌우에서 불균등하게 되고, 그 결과, 신체의 피로, 나른함, 결림 등을 야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습관화됨으로써 신체가 더욱 비뚤어져서 악순환이 된다.
상술한 특허문헌 1 등의 기술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자세나 걷는 방법을 개선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렇게 신체의 비뚤어짐에 기인하는 신체의 피로나 나른함을 완화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착안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신체의 비뚤어짐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천천히 입욕해서 피로를 충분하게 풀거나 스트레치 운동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시간이 걸리거나 수고가 들기 때문에 평상시와 같은 생활을 유지하면서 손쉽게 신체의 피로, 결림을 예방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착용해서 평상시와 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 것 만으로 신체의 비뚤어짐를 경감시켜 피로를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가랑이가 있는 의류는 적어도 착용자의 하반신의 일부를 피복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 신축성을 갖는 본체부와, 치골 근방을 덮는 치골부와, 치골부 상부의 중앙 하단부에서 좌우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보다 강한 긴체력을 갖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와, 일단은 복근을 서포트하도록 치골부 및 상부 가장자리 단부와 연결되고 내복사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여 대전자를 피복하면서, 타단은 대전근을 서포트하도록 본체부의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본체부의 긴체력보다 강한 긴체력을 갖는 띠 형상의 제 1 약긴체부와, 선골로부터 요추 상의 어느 하나의 부분에 상당하는 위치에 있어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의 대전근의 대략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융기부 정점 또는 그 근방을 지나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는, 본체부의 긴체력보다 강한 긴체력을 갖는 띠 형상의 제 2 약긴체부와, 대전자를 덮도록 설치되어서 제 1 및 제 2 약긴체부의 긴체력보다 강한 긴체력을 갖는 강긴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서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부 가장자리 단부는 그 상부 가장자리 단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치골부의 방향으로 긴체력을 발생시키고, 제 1 및 제 2 약긴체부는 보행시에는 띠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체력을 발생시키며, 강긴체부는 대전자를 서포트함으로써 착용시에 대전자 위치에서 인체와 의류의 어긋남을 방지시킨다.
이러한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의하면, 상부 가장자리 단부에 의해 착용시에 치골 방향으로 긴체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골반이 전경(前傾)되어 유지된다. 또한, 강긴체부에 의해 대전자에 긴체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대전자 위치에서 인체와 의류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이것들에 의해, 골반의 전후 좌우의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골반을 전경시켜서 안정적인 체간축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약긴체부에 의해 보행시에는 띠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근 및 대전근에 대하여 긴체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골반대의 움직임에 추종한 킥백이 좋은 서포트가 행하여져 골반의 위치를 체간의 중심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골반대의 움직임을 좌우의 밸런스 좋게 유도할 수 있고, 골반대 주변의 근육이 밸런스 좋게 사용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착용자의 골반을 전경 상태로 유지하여 안정적인 체간의 축을 만듬과 아울러 골반대의 움직임을 좌우 밸런스 좋게 유도해서 골반대 주변의 근육을 밸런스 좋게 사용할 수 있게 된 결과, 신체의 비뚤어짐이 경감되어서 신체의 좌우 밸런스가 개선된다. 그러면, 골반 주위의 근육이 유연해져서 고관절의 가동역이 넓어짐과 아울러 다리나 허리의 나른함이나 피로의 저감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해서 평상시와 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 것 만으로 신체의 비뚤어짐를 경감시켜 다리나 허리의 나른함이나 피로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가장자리 단부가 중앙 하단부에서 적어도 상전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상 또는 그 상방의 위치로 좌우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부 가장자리 단부가 중앙 하단부에서 적어도 장골릉의 최외부보다 하방의 위치로 좌우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가장자리 단부의 중앙 하단부가 상전장골극과 치골의 중간점으로부터 하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부 가장자리 단부의 중앙 하단부가 치골 상으로부터 상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골부의 착압(着壓)이 가장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착용시에 치골 방향으로의 긴체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골반을 더한층 전경시키는 작용이 커지고, 이 결과, 골반대의 전후 좌우의 흔들림을 더한층 방지할 수 있고, 골반을 전경으로 해서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가장자리 단부의 상방으로 연결되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 웨이스트라인까지 피복하는 직물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시의 피복 범위를 웨이스트라인까지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착용감과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여성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착용자가 남성인 경우, 착용자에 대한 치골부의 밀착성이 외음부에 의해 저하되어 상술한 착용시의 치골 방향으로의 긴체력의 작용이 저감되어 버릴 경우가 있다. 또한, 착용자는 치골부에 의해 외음부가 압박되어 외음부에 통증을 느껴버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한 치골부는 남성 착용자의 외음부 위치에 외음부 도피부를 갖고, 외음부 도피부의 착압은 치골부의 다른 부분의 착압보다 작아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착용자가 나성이어도 치골부의 외음부 도피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착압을 높일 수 있고, 착용시의 치골 방향으로의 긴체력을 적절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나성이어도 상술한 바와 같이 골반을 전경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골반의 전후 좌우의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골반을 전경시켜서 안정적인 체간축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치골부의 외음부 도피부에 의한 외음부의 압박을 저감할 수 있어, 남성 착용자의 외음부의 통증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한 남성용으로서 바람직한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서도 상기한 치골부의 외음부 도피부 이외의 부분의 착압이 가장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착용자가 나성이어도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시에 치골 방향으로의 긴체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골반을 더 한층 전경시키는 작용이 커지고, 이 결과, 골반대의 전후 좌우의 흔들림을 더한층 방지할 수 있고, 골반을 전경으로 해서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남성용으로서 바람직한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서도 상기한 상부 가장자리 단부의 상방으로 연결되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 웨이스트라인까지 피복하는 직물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나성이어도 상기한 바와 같이 착용감과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의하면, 착용해서 평상시와 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 것 만으로 신체의 비뚤어짐를 경감시켜서 피로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일례로서의 여성용 쇼츠를 전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쇼츠를 배면측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인체의 골반 근방의 골격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쇼츠에 의한 신체의 좌우 밸런스의 개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일례로서의 남성용 속옷을 전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남성용 속옷을 배면측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남성용 속옷에 있어서의 치골부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쇼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남성용 속옷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쇼츠, 및 비교예에 따른 쇼츠를 전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쇼츠 및 비교예의 쇼츠의 기능 검증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속옷, 및 비교예에 따른 남성용 속옷의 기능 검증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일례로서의 여성용 쇼츠를 전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쇼츠를 배면측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쇼츠의 구성 요소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인체의 골반 근방의 골격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쇼츠(1)는 본체부(10)와, 치골부(20)와,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와, 약긴체부(40)와, 강긴체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은 신축성을 갖는 생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착용자에 대하여 밀착성을 가지면서 가랑이부 및 둔부를 피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0)에는, 예를 들면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는 경편 소재(파워넷)가 적용 가능하다.
치골부(20)는 착용자의 치골(71)(도 3 참조) 근방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치골부(20)에는 골반을 전경시키는 작용을 적합하게 발생시키기 위해, 본체부(10), 및 후술하는 강긴체부(50)보다 긴체력이 강한 소재(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우레탄 혼성의 경편 T/W 소재)의 덧천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지만, 본체부(10)와 동일 소재나 비신축성 소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치골부(20)의 착압이 다른 부위[본체부(10), 상부 가장자리 단부(30), 약긴체부(40), 강긴체부(50)]와 비교해서 가장 커지면 좋다. 치골부(20)의 착압이 가장 커짐으로써 치골(71) 근방을 몸의 내측으로 밀어넣도록 치골부(20)가 작용하고, 이 결과, 골반이 전경시키는 작용이 커진다.
상부 가장자리 단부(30)는 본체부(10)의 전면측에 있어서 체간 상의 중앙 하단부(30a)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의 비스듬히 위쪽의 단부(30b, 30c)가 상전장골극(72)(도 3 참조)을 피복하도록 하방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는 본체부(10)의 전방 중앙 영역(10a)에서는 중앙 하단부(30a)를 최하점으로 해서 하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원호상의 곡선을 취한다. 그리고, 옆쪽을 향해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곡선으로 매끄러렙게 이행하면서 웨이스트라인과 평행해지도록 서서히 점점 접근해 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측에서는 웨이스트라인과 평행하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중앙 하단부(30a) 및 그 주변 부분은 치골부(20)의 상부 가장자리단이다.
또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는 치골(71) 상에서 상전장골극(72)과 치골(71)의 중간점까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의 하한 위치는 치골(71) 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꿔 말하면 대전자(73)(도 3 참조)의 높이 위치의 상하 1cm 정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의 상한 위치는 상전장골극(72)과 치골(71)의 중간점, 보다 상세하게는 상전장골극(72)의 높이 위치와 치골(71)의 높이 위치[대전자(73)의 높이 위치]의 대략 중간의 높이 위치의 상하 1cm 정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단부(30b, 30c)는 상전장골극(72)으로부터 장골릉의 최외부(74)까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단부(30b, 30c)의 하한 위치는 상전장골극(72) 상이며, 상한 위치는 장골릉의 최외부(74)의 높이 위치이다. 그리고, 상부 가장자리 단부(30)는 착용시에 단부(30b, 30c)가 상전장골극(72) 상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장골릉의 최외부」란, 도 3과 같이 골반을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가장 좌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장골릉의 일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가장자리 단부(30)가 취할 수 있는 범위는, 도 3에 해칭으로 나타내는 영역(75)으로 된다.
또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는 그 상부 가장자리 단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치골부의 방향으로 긴체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골부(20)를 향한 긴체력(F1)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가장자리 단부(30)는 긴체력이 본체부(10)의 것보다 강해지도록 본체부(10)와 같은 소재이거나, 또는 본체부(10)보다 긴체력이 강한 소재의 테이프를 이용하여,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긴체력은 약긴체부(40)의 것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이어도 좋고, 강긴체부(50)의 것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이어도 좋으며, 또는 치골부(20)에 강긴체부(50)보다 긴체력이 강한 소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치골부(20)의 긴체력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이어도 좋다.
약긴체부(40)는 그 일단(40c)이 복근을 서포트하도록 치골부(20) 및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대전근을 서포트하도록 배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1 긴체부(제 1 약긴체부)(40a)와 제 2 긴체부(제 2 약긴체부)(40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근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면, 주로 내복사근이다. 제 1 긴체부(40a)는 그 일단(40c)이 치골부(20) 및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와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골부(20)의 좌우단의 상부로부터 치골부 좌우단과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교점에 인접하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일부분에 걸쳐서 제 1 긴체부(40a)의 일단(40c)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긴체부(40a)는 일단(40c)으로부터 내복사근의 대략 근섬유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여 대전자(73)를 피복하면서, 배면측에서는 본체부(10) 하부 가장자리단을 따라 연장되고, 배면측 중앙에서 좌우로부터의 단부가 연결되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긴체부(40b)는 그 일단이 대전자(73) 근방에서 제 1 긴체부(40a)의 하측의 경계선을 따르도록 제 1 긴체부(40a)와 중복해서 연결되고, 이 일단으로부터 배면측 중앙의 웨이스트라인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며, 배면측 중앙에서 좌우로부터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 2 긴체부(40b)는 선골로부터 요추 상의 어느 하나의 부분에 상당하는 위치에 있어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의 대전근의 대략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융기부 정점 또는 그 근방을 지나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한다. 제 1 긴체부(40a) 및 제 2 긴체부(40b)는 모두 착용자의 체간의 축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약긴체부(40)는 본체부(10)보다 강한 긴체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면 본체부(10)와 같은 소재의 덧천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제 1 긴체부(40a)는 일단(40c)과 배면측의 타단 사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체력(F2)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 2 긴체부(40b)는 대전자 근방에서 제 1 긴체부(40a)와의 연결부와, 배면측 중앙에서 좌우로부터의 단부가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체력(F3)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 1 긴체부(40a)의 일단(40c)이 치골부(20)와 결합할 때의 제 1 긴체부(40a)의 일단(40c)의 하측 경계선과, 치골부(20)의 좌우단의 교점의 위치(40d)는 치골(71) 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꿔 말하면, 대전자(73)의 높이 위치의 상하 1cm 정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술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의 하한 위치와 같다.
강긴체부(50)는 대전자(73)를 피복하도록 형성되고, 본체부(10) 및 약긴체부(40)보다 강한 긴체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강긴체부(50)는 제 1 긴체부(40a) 및 제 2 긴체부(40b)이 중복하는 부분이며,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해칭을 실시한 다이아몬드 형상의 부분이다. 제 1 긴체부(40a) 및 제 2 긴체부(40b)가 덧천을 이용하여 형성될 경우에는, 2중으로 덧천이 사용됨으로써 본체부(10) 및 약긴체부(40)보다 강한 긴체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강긴체부(50)는 이렇게 약긴체부(40)보다 강한 긴체력에 의해 대전자를 서포트함으로써 착용시에 대전자 위치에서 인체와 의류의 어긋남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강긴체부(50)는 대전자(73)를 덮는 부분이며, 개인 차, 가동 영역을 고려하면 표준적인 체형의 대전자 위치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8∼10cm 정도, 전후 방향으로 15∼20cm 정도의 영역을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강긴체부(50)의 최하점은 표준적인 체형에서 대전자(73)의 위치로부터 4∼5cm 정도 아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쇼츠(1)에서는, 착용시에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에 의해 이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치골부(20)를 향한 긴체력(F1)이 발생한다. 이 긴체력(F1)에 의해 골반이 전경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된다. 이 결과, 골반대에 안정적인 체간의 축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치골부(20)의 착압이 가장 커짐으로써 골반 전경 상태가 더한층 안정되어, 보다 안정적인 골반대의 축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강긴체부(50)가 제 1 긴체부(40a)보다 큰 긴체력으로 대전자를 피복함으로써 착용시에 대전자 위치에서 인체와 의류의 어긋남을 방지시킬 수 있다.
그런데, 골반은 원래 옆에서 보면 약간 앞으로 넘어진 것 같은 상태가 되지만, 일상생활에서 이상한 걷는 방법을 하는 등 쓸데 없는 부하를 가하면 서서히 직립되어 온다. 골반 전경량이 적어지면 체간의 축이 안정되지 않고, 동작의 밸런스가 나빠진다.
본 실시형태의 쇼츠(1)에 의하면, 이러한 상태를 고려하여 골반 상부로부터 치골(71)을 향한 긴체력(F1)을 부여함으로써 착용자의 골반을 전경 상태로 유지하여 안정적인 체간의 축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쇼츠(1)에서는 약긴체부(40)를 구성하는 제 1 긴체부(40a) 및 제 2 긴체부(40b)의 길이 방향의 긴체력(F2, F3)에 의해 보행시에 골반대의 움직임에 추종한 킥백이 좋은 서포트를 행하여 골반의 위치를 체간의 중심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결과, 골반의 움직임을 좌우의 밸런스 좋게 유도할 수 있고, 골반대 주변의 근육이 밸런스 좋게 사용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쇼츠(1)에 의하면, 착용자의 골반을 전경 상태로 유지하여 안정적인 체간의 축을 만듬과 아울러, 골반대의 움직임을 좌우 밸런스 좋게 유도하여 골반대 주변의 근육을 밸런스 좋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신체의 비뚤어짐이 경감되어서 신체의 좌우 밸런스가 개선되고, 골반 주위의 근육이 유연해져서 고관절의 가동역이 넓어지고, 다리나 허리의 나른함이나 피로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쇼츠(1)에 의한 신체의 좌우 밸런스의 개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과 도 4(b)는 동일 인물이며, 다른 날이긴 하지만 동일 시각에 계측을 행하고 있다. 도 4(a)는 비교예로서의 다른 쇼츠를 6시간 착용한 후에 계측용 쇼츠를 착용했을 때의 고관절의 가동역의 좌우 차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실시형태의 쇼츠(1)를 6시간 착용한 후에 계측용 쇼츠를 착용했을 때의 고관절의 내선 가동역의 좌우 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 및 도 4(b)에 있어서의 고관절의 내선 가동역의 좌우 차의 상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쇼츠(1)를 착용함으로써 고관절의 내선 각도의 좌우 차가 경감되어, 신체의 좌우 밸런스가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쇼츠(1)는 여성용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착용자가 남성인 경우 착용자에 대한 치골부(20)의 밀착성이 외음부에 의해 저하되고, 상술한 착용시의 치골 방향으로의 긴체력(F1)의 작용이 저감해 버릴 경우가 있다. 또한 착용자는 치골부(20)에 의해 외음부를 압박받아 외음부에 통증을 느껴버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 가능한 남성용 속옷을 고안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일례로서의 남성용 속옷을 전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남성용 속옷을 배면측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남성용 속옷(1A)은 여성용 쇼츠(1)에 있어서 본체부(10) 및 치골부(20) 대신에 본체부(10A), 치골부(20A)를 구비하는 구성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본체부(10A)는 상기한 본체부(10)와 마찬가지로 신축성을 갖는 생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착용자에 대하여 밀착성을 가지면서 가랑이부 및 둔부를 피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0A)에는, 예를 들면 면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는 천축(天竺) 소재가 적용 가능하다.
치골부(20A)는 착용자의 치골(71)(도 3 참조) 근방에 대응하는 부분 및 가랑이부에 형성된다. 치골부(20A)는 남성 착용자의 외음부의 위치에 외음부 도피부(20a)를 갖고, 외음부 도피부(20a)의 착압은 치골부(20A)의 다른 부분(20b)의 착압보다 작다. 이와 같이 하여, 치골부(20A)는 외음부 도피부(20a)를 제외한 다른 부분(20b)에 의해 골반을 전경시키는 작용을 바람직하게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치골부(20A)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치골부(20A)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골부(20A)는 표면측 생지(20c), 이면측 생지(20d), 및 표면측 생지(20c)와 이면측 생지(20d) 사이에 내장된 내장 부재(20e)로 구성된다. 표면측 생지(20c) 및 이면측 생지(20d)에는, 예를 들면 본체부(10A)와 동일한 소재가 적용되면 좋다.
한편, 내장 부재(20e)는 착용시에 있어서 남성의 외음부(즉 바깥 성기. 특히 음경 및 고환)에 대응하는 부분이 도려내진 형상을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장 부재(20e)는 타원 형상으로 도려내진 형상을 하기 위해서 대략 역U자 형상의 패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내장 부재(20e)는 음경의 선단(귀두) 하방에 있어서 도려냄 폭이 좁아지도록 표주박 형상으로 도려내어진 형상을 하고 있고, 표주박 형상의 하측 부분의 좌우가 봉착(縫着)되어 타원 형상의 도려냄 부분을 이룬다. 이 도려 냄 부분이 치골부(20A)의 외음부 도피부(20a)에 대응한다.
내장 부재(20e)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골반을 전경시키는 작용을 바람직하게 발생시키기 위해 본체부(10A), 및 강긴체부(50)보다 긴체력이 강한 소재(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우레탄 혼성의 경편 T/W 파워넷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지만, 본체부(10A)와 동일한 소재나 비신축성 소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치골부(20A)의 외음부 도피부(20a) 이외의 부분(20b)의 착압이 다른 부위[본체부(10A), 상부 가장자리 단부(30), 약긴체부(40), 강긴체부(50)]와 비교해서 가장 커지면 좋다. 치골부(20A)의 외음부 도피부(20a) 이외의 부분(20b)의 착압이 가장 커짐으로써 치골(71) 근방을 몸의 내측으로 밀어넣도록 치골부(20A)가 작용하고, 이 결과, 골반이 전경시키는 작용이 커진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의 남성용 속옷(1A)은 제 1 실시형태의 쇼츠(1)와 마찬가지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 약긴체부(40)[제 1 긴체부(40a) 및 제 2 긴체부(40b)], 및 강긴체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여성용 쇼츠(1)에서는 전방측에 있어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가 중앙 하단부(30a)로부터 옆쪽 상방을 향해서 곡선을 이루고, 웨이스트라인과 평행해지도록 서서히 점점 접근하는 일례를 나타냈지만, 남성용 속옷에서는 직선적인 디자인이 요망된다. 이것으로부터, 제 2 실시형태의 남성용 속옷(1A)에서는 전방측에 있어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는 중앙 하단부(30a)로부터 옆쪽 상방을 향해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대략 V자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여성용 쇼츠(1)에서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의 위치, 및 제 1 긴체부(40a)의 일단(40c)의 하측 경계선과 치골부(20)의 좌우단의 교점의 위치(40d)가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의 하한 위치인 일례를 나타냈지만, 남성용 속옷에서는 외음부에 닿지 않도록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의 위치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의 상기한 상한 위치 근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남성용 속옷(1A)에 의하면, 착용자가 남성이어도 치골부(20A)의 외음부 도피부(20a)를 제외한 다른 부분(20b)의 착압을 높일 수 있고, 착용시의 치골 방향으로의 긴체력(F1)을 적절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남성이어도 상술한 바와 같이 골반을 전경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골반의 전후 좌우의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골반을 전경시켜서 안정적인 체간축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의 남성용 속옷(1A)에서도 제 1 실시형태의 쇼츠(1)와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남성용 속옷(1A)에 의하면, 치골부(20A)의 외음부 도피부(20a)에 의한 외음부의 압박을 저감할 수 있어, 남성 착용자의 외음부의 통증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대해서 여성용 쇼츠(1) 및 남성용 속옷(1A)을 일례로 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쇼츠(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더욱 상방으로 웨이스트라인까지 피복하는 직물부(60)를 구비해서 구성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남성용 속옷(1A)도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더욱 상방으로 웨이스트라인까지 피복하는 직물부(60)를 구비해서 구성해도 좋다. 이 직물부(60)는 본체부(10, 10A)와 같은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시의 피복 범위를 웨이스트라인까지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쇼츠(1)나 남성용 속옷(1A)의 착용감과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 10A)의 소재로서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파워넷이나 레이스와 같은 경편 소재, 천축과 같은 위편 소재, 환편(성형편) 소재 등 여성용 쇼츠나 남성용 속옷의 소재로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약긴체부(40), 강긴체부(50), 및 치골부(20)의 본체부(10)로의 부착 방법은 봉착이어도 좋고, 부착이어도 좋다. 또한, 약긴체부(40), 강긴체부(50), 및 치골부(20)는 본체부(10)에 잇대어 붙여져서 형성되어도 좋고, 편성 방법을 변경해서 긴체력이 강한 부위로 해도 좋다. 또한, 우레탄 수지를 도포(프린트 등)하거나, 오팔 가공함으로써 약긴체부(40), 강긴체부(50), 및 치골부(20)를 본체부(10)와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치골부(20A)의 형성 방법으로서 표면측 생지(20c)와 이면측 생지(20d) 사이에 내장 부재(20e)를 내장하는 3층 구조를 예시했지만, 치골부(20A)도 상술한 치골부(20)의 형성 방법과 마찬가지로 부재(20e)를 본체부(10A)에 재봉하거나, 붙이거나, 잇대어 붙이거나 해도 좋다. 또한, 치골부(20A)는 상술한 치골부(20)의 형성 방법과 마찬가지로, 본체부(10A)를 형성할 때에 편성 방법을 변경해서 형성해도 좋고, 우레탄 수지를 도포(프린트 등)하거나, 오팔 가공하거나 해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는 테이프나 스트레치 레이스를 본체부(10)[본체부(10A)]에 봉착 또는 부착하거나, 되접음 처리, 하복부 피복천과 본체부(10)[본체부(10A)]의 이음선 등에 의해 본체부(10)[본체부(10A)]보다 강한 긴체력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고, 편성 방법을 변경하거나, 우레탄 수지를 도포(프린트 등)하거나, 오팔 가공하는 것 등에 의해 본체부(10)[본체부(10A)]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면서 본체부(10)[본체부(10A)]보다 강한 긴체력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여성용 쇼츠(1) 및 남성용 속옷(1A)과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실시예 1∼3에 따른 쇼츠(101, 102, 103), 비교예 1∼4에 따른 쇼츠(104, 105, 106, 107)에 대해서 기능 검증 시험을 실시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쇼츠, 및 비교예에 따른 쇼츠를 전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은, 중앙 하단부(31a)가 상전장골극(72) 및 치골(71)의 대략 중간(상술의 상한 위치)에 위치하고, 이 중앙 하단부(31a)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의 상전장골극(72) 상을 지나는 하방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1)와, 본체부(10)와 동일한 소재가 적용되는 치골부(21)를 구비하는 쇼츠(101)이다. 도 10(b)에 나타내는 실시예 2는, 중앙 하단부(32a)가 치골(71) 상(상술의 하한 위치)에 위치하고, 이 중앙 하단부(32a)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의 상전장골극(72) 상을 지나는 하방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2)와, 본체부(10)나 강긴체부(50)보다 착압이 높은 치골부(22)를 구비하는 쇼츠(102)이다. 도 10(c)에 나타내는 실시예 3은, 중앙 하단부(31a)가 상전장골극(72) 및 치골(71)의 대략 중간(상술의 상한 위치)에 위치하고, 이 중앙 하단부(31a)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의 상전장골극(72) 상을 지나는 하방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즉, 실시예 1과 같은 형상을 취하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1)와, 본체부(10)나 강긴체부(50)보다 착압이 높은 치골부(23)를 구비하는 쇼츠(103)이다.
도 10(d)에 나타내는 비교예 1은, 상부 가장자리 단부(33)의 중앙 하단부(33a)가 상술의 상한 위치보다 상방이며 웨이스트라인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강긴체부(50)보다 착압 높은 치골부(24)를 구비하는 쇼츠(104)이다. 도 10(e)에 나타내는 비교예 2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4)의 중앙 하단부(34a)가 웨이스트라인 상에 위치하고, 강긴체부(50)보다 착압이 높은 치골부(25)를 구비하는 쇼츠(105)이다. 도 10(f)에 나타내는 비교예 3은, 상부 가장자리 단부(31)의 중앙 하단부(31a)가 상전장골극(72) 및 치골(71)의 대략 중간(상술의 상한 위치)에(즉, 실시예 1,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위치하고, 강긴체부(50)보다 착압이 높은(실시예 3과 같은 형상 및 기능을 갖는) 치골부(23)를 구비하고, 약긴체부(40) 및 강긴체부(5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쇼츠(106)이다. 도 10(g)에 나타내는 비교예 4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 약긴체부(40) 및 강긴체부(50)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또한 치골부(26)에 덧천을 사용하지 않고 본체부(10)와 동일한 소재를 적용하는 쇼츠(107)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쇼츠(101, 102, 103), 및 비교예 1∼4에 따른 쇼츠(104, 105, 106, 107)에 대해서 기능 검증 시험을 실시했다. 계측 장치로서 VICON사 제품, 광학 반사식 모션 켑처 시스템을 이용하여 쇼츠의 착용자의 보행시의 자세를 계측하는 기능 검증 시험을 실시했다. 이 기능 검증 시험에서는 쇼츠의 착용자가 시속 3.8km으로 보행하고, 착용자의 90초간의 보행 후 계측을 개시하여 12초간의 보행 후 계측을 종료했다.
기능 검증 시험에서는 복장뼈자루, 검상 돌기, 제7경추, 제10흉추의 각 근방에 계측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마커를 부착하여 체절 세그먼트로 하고, 좌전장골극, 우전장골극, 좌후장골극, 우후장골극의 각 근방에 마커를 부착하여 골반 세그먼트로 했다.
그리고, 체절 세그먼트와 골반 세그먼트의 상대 관계로부터 착용자의 체간를 축으로 해서 도는 동작인 회선(回旋)의 가동역(range) 및 좌우 차(difference)(기준 위치로부터의 좌측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와, 기준 위치로부터 우측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의 차), 및 착용자의 측굴(側屈)의 범위 및 좌우 차에 대해서 각각 가동역 및 좌우 차를 산출했다. 좌우 차는 가동역에 대한 좌우 차의 비율(%)로 했다. 회선의 가동역은 클수록 바른 보행 자세인 것을 나타내고, 회선의 좌우 차, 측굴의 범위 및 좌우 차는 각각 0에 가까울수록 바른 보행 자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세그먼트」란 마커가 부착된 4점의 위치에 의거하는 동작 단위이며, 예를 들면 마커가 부착된 4점의 중점의 상관 관계에 의거하여 회선의 가동역 및 좌우 차, 그리고 측굴의 범위 및 좌우 차를 산출해도 좋다.
여기에서, 골격이 비뚤어져 있는 착용자의 경우, 보행시에 좌우의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 있는 상태가 표준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측굴 동작의 범위(진폭)가 작아지면 비뚤어짐이 경감되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기능 검증 시험에서는 5명의 착용자 A∼E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쇼츠(실시예 1∼3)를 착용시켰을 경우와, 비교예 1∼4를 착용시켰을 경우의 비교를 행했다.
도 11은 기능 검증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측정 결과의 각각에 대해서 비교예 4의 것보다 개선된(즉, 회선의 가동역은 커지고, 회선의 좌우 차, 측굴의 범위 및 좌우 차는 작아진) 경우에 ○를 명기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각각에 대해서, 계측 결과가 비교예 4에 비해서 개선된 착용자 A∼E의 인원수를 「인원수 카운트」란에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3에서는 비교예와 비교해서 회선의 가동역 및 좌우 차가 모두 개선되어 있고, 특히 회선의 좌우 차의 개선 효과가 크다. 또한, 실시예 1∼3의 회선의 좌우 차와 가동역에 주목하면 실시예 2가 가장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치골부(21) 자체의 긴체력이 작고, 상부 가장자리 단부(31)에 의해 치골에 힘(착압)이 집중되므로 회선의 좌우 차가 작아져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2에서는 치골부(22)의 착압이 커지므로 회선의 가동역이 커져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2에 비해서 치골부(23)의 면적이 커서 착압이 분산되므로 회선의 가동역의 평가는 저하된다. 그러나, 실시예 1에서는 치골부(21)가 본체부(10)와 동일 소재이며 덧천을 사용하고 있지 않고, 또한 실시예 2에서는 치골부(20)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모두 음모가 보여 버려 디자인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시예 3 정도의 위치까지 치골부(23)를 설치하고, 또한 덧천을 이용하여 치골부 근방을 보기 어렵게 함으로써 기능과 디자인성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서는 회선의 좌우 차가 개선되었기 때문에 신체의 비뚤어짐이 경감되어서 신체의 좌우 밸런스가 개선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3에서는 회선의 가동역도 개선되었기 때문에 신체의 비뚤어짐이 경감되어서 고관절의 가동역이 넓어진 것이 나타내어졌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의하면, 착용해서 평상시와 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 것 만으로 신체의 비뚤어짐을 경감시켜서 피로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실시예 11, 실시예 12에 따른 남성용 속옷, 비교예 11∼13에 따른 남성용 속옷에 대해서 기능 검증 시험을 실시했다.
실시예 11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남성용 속옷(1A)이며, 본체부(10A), 치골부(20A), 상부 가장자리 단부(30), 약긴체부(40)[제 1 긴체부(40a) 및 제 2 긴체부(40b)], 및 강긴체부(50)를 구비한다. 즉, 실시예 11에서는, 치골부(20A)는 남성 착용자의 외음부의 위치에 착압이 낮은 외음부 도피부(20a)를 갖고, 외음부 도피부(20a) 이외의 부분(20b)의 착압은 본체부(10A)나 강긴체부(50)보다 높다. 또한, 실시예 11에서는 도 10(c)에 나타내는 실시예 3의 여성용 쇼츠(103)와 같이,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가 상전장골극(72) 및 치골(71)의 대략 중간(상술의 상한 위치)에 위치하고, 이 중앙 하단부(30a)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의 상전장골극(72) 상을 지나는 하방 볼록 형상으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가 형성된다.
실시예 12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가 다르다. 즉, 실시예 12에서는 도 10(b)에 나타내는 실시예 2의 여성용 쇼츠(102)와 같이,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가 치골(71) 상(상술의 하한 위치)에 위치하고, 이 중앙 하단부(30a)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의 상전장골극(72) 상을 지나는 하방 볼록 형상으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가 형성된다.
비교예 11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치골부(20A)가 다르다. 즉, 비교예 11에서는 치골부(20A)는 외음부 도피부(20a)를 갖고 있지 않고, 치골부(20A) 전체의 착압이 본체부(10A)나 강긴체부(50)보다 높다.
비교예 12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와 다르다. 즉, 비교예 12에서는 도 10(d)에 나타내는 비교예 1의 여성용 쇼츠(104)와 같이,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가 상술의 상한 위치보다 상방이며, 웨이스트라인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비교예 13은 도 10(g)에 나타내는 비교예 4의 여성용 쇼츠(107)와 같이,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 약긴체부(40)[제 1 긴체부(40a) 및 제 2 긴체부(40b)], 및 강긴체부(50)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치골부(20A)가 외음부 도피부(20a)를 갖고 있지 않으며, 치골부(20A) 전체에 본체부(10)와 동일한 소재를 적용한다.
본 기능 검증 시험에서는 착용자가 약 6시간 착용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보낸 후에 착용자의 족압의 좌우 차를 계측했다. 그리고, 본 기능 검증 시험에서는 5명의 착용자 F∼J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속옷(실시예 11, 실시예 12)을 착용시켰을 경우와, 비교예 11∼13을 착용시켰을 경우의 비교를 행했다.
도 12는 이 기능 검증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실시예 11, 실시예 12 및 비교예 11, 비교예 12의 측정 결과의 각각에 대해서, 비교예 13의 것보다 개선되된(즉, 족압 좌우 차가 작아진) 경우에 ○를 명기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 11, 실시예 12 및 비교예 11, 비교예 12의 각각에 대해서 계측 결과가 비교예 13에 비해서 개선된 착용자 F∼J의 인원수를 「인원수 카운트」란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기능 검증 시험에서는 개선 효과가 있은 착용자가 3명 이상일 경우에 개선 효과가 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한다.
도 12에 의하면 비교예 13과 비교해서 실시예 11 및 비교예 11에 있어서 족압 좌우 차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1에 있어서 족압 좌우 차가 가장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결과를 검증한다.
비교예 11에서는 치골부(20A)가 외음부 도피부(20a)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에 대한 치골부의 착압이 외음부에 의해 저하되고, 상술한 착용시의 치골방향으로의 긴체력(F1)의 작용이 저감된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실시예 11에서는 치골부(20A)의 외음부 도피부(20a)를 제외한 다른 부분(20b)의 착압을 높일 수 있고, 착용시의 치골 방향으로의 긴체력(F1)을 적절하게 작용시킬 수 있었던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비교예 12에서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가 상술의 상한 위치보다 높기 때문에 상술한 착용시의 치골 방향으로의 긴체력(F1)의 작용이 저감되고, 골반을 전경시켜서 안정적인 체간축을 만들 수 없었던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실시예 11에서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가 상술의 상한 위치에 위치하므로 착용시의 치골 방향으로의 긴체력(F1)을 적절하게 작용시킬 수 있고, 골반을 전경시켜서 안정적인 체간축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이라 생각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여성용 쇼츠의 경우에는 실시예 2, 즉,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가 하한 위치에 가까울수록 개선 효과가 컸지만, 남성용 속옷의 경우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가 하한 위치인 실시예 12보다,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가 상한 위치인 실시예 11 쪽이 개선 효과가 컸다. 이것은 실시예 12에서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가 낮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서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가 외음부에 닿아서 착용자에 대한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의 밀착성이 외음부에 의해 저하되고, 상술한 착용시의 치골 방향으로의 긴체력(F1)의 작용이 저감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바꾸어 말하면, 남성용 속옷의 경우에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30)의 중앙 하단부(30a)가 상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라 생각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1에서는 족압의 좌우 차가 개선되었기 때문에 착용자가 남성이어도 신체의 비뚤어짐이 경감되어서 신체의 좌우 밸런스가 개선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1에서는 회선의 가동역도 개선되었기 때문에 신체의 비뚤어짐이 경감되어서 고관절의 가동역이 넓어진 것이 나타내어졌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의하면, 착용자가 남성이어도 착용해서 평상시와 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 것 만으로 신체의 비뚤어짐를 경감시켜 피로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착용해서 평상시와 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 것 만으로 신체의 비뚤어짐을 경감시켜서 피로를 완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1, 1A : 쇼츠(가랑이가 있는 의류) 10, 10A : 본체부
20, 20A : 치골부 20a : 외음부 도피부
20b : 외음부 도피부 이외의 다른 부분 30 : 상부 가장자리 단부
30a : 중앙 하단부 40 : 약긴체부
40a : 제 1 긴체부(제 1 약긴체부)
40b : 제 2 긴체부(제 2 약긴체부)
50 : 강긴체부 60 : 직물부
71 : 치골 72 : 상전장골극
73 : 대전자 74 : 장골릉의 최외부

Claims (11)

  1. 적어도 착용자의 하반신의 일부를 피복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
    신축성을 갖는 본체부와,
    치골 근방을 덮는 치골부와,
    상기 치골부 상부의 중앙 하단부에서 좌우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는 하방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보다 강한 긴체력을 갖는 상부 가장자리 단부와,
    일단은 복근을 서포트하도록 상기 치골부 및 상기 상부 가장자리 단부와 연결되고 내복사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여 대전자를 피복하면서, 타단은 대전근을 서포트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긴체력보다 강한 긴체력을 갖는 띠 형상의 제 1 약긴체부와,
    선골로부터 요추 상의 어느 하나의 부분에 상당하는 위치에 있어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우의 대전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둔부의 융기부 정점 또는 그 근방을 지나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는, 상기 본체부의 긴체력보다 강한 긴체력을 갖는 띠 형상의 제 2 약긴체부와,
    상기 대전자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약긴체부의 긴체력보다 강한 긴체력을 갖는 강긴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장자리 단부는 그 상부 가장자리 단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치골부의 방향으로 긴체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1 약긴체부 및 제 2 약긴체부는 보행시에는 띠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체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강긴체부는 상기 대전자를 서포트함으로써 착용시에 대전자 위치에서 인체와 의류의 어긋남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장자리 단부는 상기 중앙 하단부로부터 적어도 상전장골극 상 또는 그 상방의 위치로 좌우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장자리 단부는 상기 중앙 하단부로부터 적어도 장골릉의 최외부보다 하방의 위치로 좌우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장자리 단부의 중앙 하단부는 상전장골극와 치골의 중간점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장자리 단부의 중앙 하단부는 치골 상에서 상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골부의 착압이 가장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장자리 단부의 상방으로 연결되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 웨이스트라인까지 피복하는 직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골부는 남성 착용자의 외음부 위치에 외음부 도피부를 갖고,
    상기 외음부 도피부의 착압은 상기 치골부의 다른 부분의 착압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골부의 상기 외음부 도피부 이외의 부분의 착압이 가장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장자리 단부의 상방으로 연결되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 웨이스트라인까지 피복하는 직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
KR1020127001775A 2009-08-13 2010-08-12 가랑이가 있는 의류 KR101665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7796 2009-08-13
JP2009187796 2009-08-13
PCT/JP2010/063707 WO2011019070A1 (ja) 2009-08-13 2010-08-12 股付き衣類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859A KR20120042859A (ko) 2012-05-03
KR101665993B1 true KR101665993B1 (ko) 2016-10-13

Family

ID=4358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775A KR101665993B1 (ko) 2009-08-13 2010-08-12 가랑이가 있는 의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86001A1 (ko)
JP (1) JP4755322B2 (ko)
KR (1) KR101665993B1 (ko)
CN (1) CN102469835B (ko)
TW (1) TWI558328B (ko)
WO (1) WO20110190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571B1 (ko) * 2022-06-30 2023-02-06 임병록 고환의 정자 활성화 및 배눌림 방지 남성 기능성 속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8314B (zh) * 2011-02-25 2018-01-09 依瑞奥体育股份公司 用于神经肌肉骨骼辅助的服装
CN103826485A (zh) * 2011-09-30 2014-05-28 株式会社华歌尔 衣服的端部构造、下装、带罩杯的衣服及具有修整功能的衣服的构造
JPWO2013046457A1 (ja) * 2011-09-30 2015-03-26 株式会社ワコール 衣類の端部構造、ボトム衣類、カップ付き衣類、及び補整機能を有する衣類の構造
JP5081329B1 (ja) * 2012-06-06 2012-11-28 有限会社ユニバーサルライフ ガードル
JP5971572B2 (ja) * 2012-09-28 2016-08-17 株式会社ワコール ボトム衣類
FR2998140B1 (fr) * 2012-11-21 2015-01-30 Dbapparel Operations Ceinture multi-elast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20150257963A1 (en) * 2014-03-13 2015-09-17 Jean Prahm Post-Pregnancy Hip Compression Garment
CA3108529A1 (en) * 2018-08-03 2020-02-06 Rosecovered Llc Shapewear garment
JP2020165003A (ja) * 2019-03-28 2020-10-08 旭化成株式会社 ボトム製品
JP7204158B1 (ja) 2022-06-17 2023-01-16 株式会社シャルレ ウエスト補正機能付き衣類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5139A (ja) 2006-04-03 2007-10-25 Gunze Ltd 体型補正衣類
US20070256217A1 (en) 2004-09-21 2007-11-08 Asics Corporation Tights
JP2008223154A (ja) 2007-03-08 2008-09-25 Maruten Tenmaya:Kk 骨盤サポート用下衣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5761A (en) * 1963-05-20 1965-12-28 Swensen Robert Fatigue support for men no leg straps
JPS5935022A (ja) * 1982-08-17 1984-02-25 Mitsubishi Chem Ind Ltd 硝酸アンモニウムの製造方法
JPH03102742U (ko) * 1990-02-09 1991-10-25
JPH0424287A (ja) * 1990-05-15 1992-01-28 Kanebo Ltd 繊維強化材の製造方法
JP3012819B2 (ja) * 1997-04-01 2000-02-28 株式会社ワコール 下肢部保護衣料
CN2321415Y (zh) * 1997-12-10 1999-06-02 陈江全 美姿器
JP3023354B2 (ja) * 1998-04-22 2000-03-21 株式会社ワコール 体型補整機能または筋肉サポート機能を有する衣類
JP3870232B2 (ja) * 1999-04-21 2007-01-17 株式会社ワコール 衣料
GB9919969D0 (en) * 1999-08-24 1999-10-27 Courtaulds Textiles Holdings An undergarment
DE60033856T2 (de) * 2000-12-11 2007-12-20 Wacoal Corp. Kleidungsstück
US6874337B2 (en) * 2002-06-05 2005-04-05 Mizuno Corporation Underpant garment
JP2006093044A (ja) * 2004-09-27 2006-04-0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電球形蛍光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WO2006069308A1 (en) * 2004-12-21 2006-06-29 Smart Fitness Products Llc Garment with enhanced knee support
EP1859761A4 (en) * 2005-02-28 2009-04-08 Indy & Associate UNDERWEAR FOR LOWER PARTS
JP3924580B2 (ja) * 2005-05-27 2007-06-06 株式会社ワコール ボトム衣類
JP4024287B1 (ja) * 2007-02-27 2007-12-19 株式会社エヌ・エル・シーコーポレーション 腰痛体操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6217A1 (en) 2004-09-21 2007-11-08 Asics Corporation Tights
JP2007275139A (ja) 2006-04-03 2007-10-25 Gunze Ltd 体型補正衣類
JP2008223154A (ja) 2007-03-08 2008-09-25 Maruten Tenmaya:Kk 骨盤サポート用下衣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02742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571B1 (ko) * 2022-06-30 2023-02-06 임병록 고환의 정자 활성화 및 배눌림 방지 남성 기능성 속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859A (ko) 2012-05-03
JPWO2011019070A1 (ja) 2013-01-17
TWI558328B (zh) 2016-11-21
TW201114377A (en) 2011-05-01
CN102469835A (zh) 2012-05-23
US20120186001A1 (en) 2012-07-26
JP4755322B2 (ja) 2011-08-24
CN102469835B (zh) 2014-07-02
WO2011019070A1 (ja)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993B1 (ko) 가랑이가 있는 의류
KR100961508B1 (ko) 요통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의복
CN101106915B (zh) 紧身衣
KR101064031B1 (ko) 체형교정용 바지
JP5244140B2 (ja) 下部肌着
US20070256217A1 (en) Tights
KR101287899B1 (ko) 하지 교정 피복
US7670205B2 (en) Crotch-possessing corrective garment
JP5947328B2 (ja) 衣服
JP3931144B2 (ja) タイツ
JP4660630B1 (ja) 姿勢改善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
JP2004107844A (ja) 股付き矯正衣類
JP6543186B2 (ja) レッグウェア
JP2020059942A (ja) ショーツ
JP7212374B2 (ja) 機能性タイツ
JP6270800B2 (ja) タイツ
JP2004300619A (ja) 股付き衣類
JP7117788B2 (ja) 機能性インナーシャツ
JP7214169B1 (ja) 下半身用下着
JP2016069764A (ja) 運動用衣服
JP6171366B2 (ja) ボトム衣類
JP2012127038A (ja) 運動用衣服
JP3195380U (ja) 靴下
JP2018114182A (ja) 水泳用具
JP2001303306A (ja) 腹部裏打ち布を有する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