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89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896B1
KR101647896B1 KR1020140179148A KR20140179148A KR101647896B1 KR 101647896 B1 KR101647896 B1 KR 101647896B1 KR 1020140179148 A KR1020140179148 A KR 1020140179148A KR 20140179148 A KR20140179148 A KR 20140179148A KR 101647896 B1 KR101647896 B1 KR 101647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uide portion
fitting
connector body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919A (ko
Inventor
겐타 아리치카
도시유키 소메야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6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9Snap means not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2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loca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끼움결합 작업 중에 커넥터 본체의 끼움결합 가이드부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이, 보강 기구와 상대방 보강 기구의 도통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가 있고,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움결합이 확실하게 보호지지되고,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단자와,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움결합 가이드부로서,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와 끼움결합하는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보강 기구는,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끼움결합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좌우 1 쌍의 측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측방 가이드부가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고, 접촉 아암부가 상대방 커넥터 본체에 장전된 상대방 보강 기구와 접촉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1 쌍의 평행한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1 쌍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장착되고, 서로 끼움결합하여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 단부에 장착된 보강 기구를 로크 부재로서 기능시키고, 상대방 커넥터의 끼움결합 상태를 보호지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도 7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811은 도시되지 않은 제 1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의 하우징으로서의 제 1 하우징이며, 911은 도시되지 않은 제 2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의 하우징으로서의 제 2 하우징이다. 상기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끼움결합됨으로써, 제 1 회로 기판과 제 2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면에서, 제 1 하우징 (811)의 끼움결합면은 위를 향하고, 제 2 하우징 (911)의 끼움결합면은 아래를 향하고 있고, 이대로의 자세에서, 제 1 커넥터를 제 2 커넥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근시켜서 끼움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 (81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측벽부 (814)와, 이 측벽부 (814)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1 쌍의 끼움결합 가이드부 (821)를 구비한다. 각 끼움결합 가이드부 (821) 에는, 끼움결합 오목부 (8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 (814) 에는 복수의 제 1 단자 (861)가 장착되고, 끼움결합 가이드부 (821) 에는 제 1 보강 기구 (85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 (911)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1 쌍의 끼움결합 볼록부 (92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2 하우징 (911) 에는 복수의 제 2 단자 (961)가 장착되고, 끼움결합 볼록부 (922) 에는 제 2 보강 기구 (951)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끼움결합하면, 대응하는 제 1 단자 (861)와 제 2 단자 (961)가 서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회로 기판과 제 2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끼움결합 볼록부 (922)가 끼움결합 가이드부 (821)의 끼움결합 오목부 (822) 내로 진입한다. 그리고, 이 끼움결합 오목부 (822) 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1 보강 기구 (851)의 결합 돌기 (858)가 제 2 보강 기구 (951)의 측부와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로크되고, 그 끼움결합 상태가 보호지지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 2011-249297 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끼움결합 작업 시에, 제 1 하우징 (811) 또는 제 2 하우징 (911)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제 1 회로 기판에 장착된 제 1 커넥터와 제 2 회로 기판에 장착된 제 2 커넥터를 끼움결합할 경우, 작업 조건에 따라서는, 오퍼레이터가 제 1 하우징 (811)의 끼움결합면 및 제 2 하우징 (911)의 끼움결합면을 육안으로 볼 수 없어, 수작업으로 끼움결합 작업을 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 (低背化)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제 1 하우징 (811)의 끼움결합면 및 제 2 하우징 (911)의 끼움결합면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는 수작업으로 제 1 하우징 (811)의 끼움결합면과 제 2 하우징 (911)의 끼움결합면을 미끄럼이동시키면서, 제 1 하우징 (811)에 대한 제 2 하우징 (911)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 2 하우징 (911)의 끼움결합 볼록부 (922)를 제 1 하우징 (811)의 끼움결합 오목부 (822) 내에 삽입시킨다.
그 때문에, 제 1 하우징 (811)과 제 2 하우징 (911)의 위치정렬이 완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하우징 (811) 및 제 2 하우징 (911)에 끼움결합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 1 하우징 (811)의 끼움결합면의 일부 또는 제 2 하우징 (911)의 끼움결합면의 일부가 큰 가압력을 받아서,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제 1 하우징 (811)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끼움결합 가이드부 (821)는 비교적 두께가 얇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 2 하우징 (911)의 길이 방향의 단부가 비스듬하게 당접한 경우, 용이하게 파손되어 버린다.
또한, 제 1 보강 기구 (851) 및 제 2 보강 기구 (951)를 제 1 회로 기판 및 제 2 회로 기판의 전원 라인 등에 접속하여 둠으로써, 제 1 보강 기구 (851) 및 제 2 보강 기구 (951)를 전기 회로 접속부재로서 이용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제 1 보강 기구 (851)의 결합 돌기 (858)는 충분한 유연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 1 회로 기판 및 제 2 회로 기판이 실장되어 있는 전자 기기 등이 낙하한다든지 외력을 받는다든지 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면, 제 1 보강 기구 (851)와 제 2 보강 기구 (951)의 도통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소위 순간 단절로 불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버릴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의 끼움결합 가이드부에 보강 기구를 배치함과 함께, 보강 기구의 접촉 아암부를 측방 가이드부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끼움결합 작업 중에 커넥터 본체의 끼움결합 가이드부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이, 보강 기구와 상대방 보강 기구의 도통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가 있고,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움결합이 확실하게 보호지지되어,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움결합 가이드부로서,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와 끼움결합하는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기구는,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좌우 1 쌍의 측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상기 측방 가이드부가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고, 상기 접촉 아암부가 상대방 커넥터 본체에 장전된 상대방 보강 기구와 접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에서는, 상기 보강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양단에 기단이 접속된 좌우 1 쌍의 접속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아암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의 자유단에 접속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의 자유단보다도 기단 근처의 위치에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커넥터에서는,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끼움결합 오목부와, 이 끼움결합 오목부의 내측 벽면으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 쌍의 내벽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내벽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커넥터에서는,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끼움결합 오목부의 내측 벽면으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벽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기구는, 상기 내벽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중앙 가이드부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상기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중앙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커넥터에서는,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의 변형에 의해,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며, 상기 측방 가이드부의 하단부가 정지부에 당접하면,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커넥터에서는, 상기 접촉 아암부는, 상기 측방 가이드부가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하더라도,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커넥터에서는, 상기 접촉 아암부는, 만곡 볼록면을 구비하는 하방 만곡부와,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방 만곡부가 상기 상대방 보강 기구와 접촉하면, 상기 하단부는 외측으로 변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접촉 아암부 하단 수용공 내에 진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의 끼움결합 가이드부에 보강 기구를 배치함과 함께, 보강 기구의 접촉 아암부가 측방 가이드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끼움결합 작업 중에 커넥터 본체의 끼움결합 가이드부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이, 보강 기구와 상대방 보강 기구의 도통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움결합이 확실하게 보호지지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사사도이며 끼움결합면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하우징과 보강 기구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제 1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도 1 에서의 선 A-A를 따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파단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 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커넥터의 끼움결합 공정에서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커넥터의 끼움결합 공정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끼움결합한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도 5 에서의 선 B-B 및 선 C-C에 따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파단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강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끼움결합면 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의 하우징과 보강 기구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3 에서, (a)는 제 1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도 1 에서의 선 A-A에 따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파단면의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커넥터로서, 1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한 쪽으로서의 제 1 커넥터이다. 이 제 1 커넥터는,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 1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의 커넥터로서, 후술되는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 2 커넥터 (101)와 서로 끼움결합된다. 또한, 이 제 2 커넥터 (101)는 1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다른 쪽이며,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 2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의 커넥터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커넥터 (1) 및 제 2 커넥터 (101)는 바람직하게는, 기판으로서의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지만, 다른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프린트 회로 기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 Flexible Flat Cable), 플렉시블 회로 기판 (FPC :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이지만, 어떠한 종류의 기판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커넥터 (1) 및 제 2 커넥터 (101)의 각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 상기 제 1 커넥터 (1) 및 제 2 커넥터 (101)의 각부가 도면에 나타내는 자세인 경우에 적절하지만, 그 자세가 변화한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변경하여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커넥터 (1)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 1 하우징 (11) 을 가진다. 이 제 1 하우징 (1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인 대략 직사각형의 후판 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제 2 커넥터 (101)가 끼워 넣어지는 측, 즉, 끼움결합면 측 (도 3 (b) 에서의 상측) 에는, 주위가 둘러싸인 개략 직사각형의 오목부 (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 (1)는 예를 들어, 세로 약 7.0 [mm], 가로 약 2.5 [mm] 및 두께 약 0.6 [mm]의 치수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치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 (12) 내에는 아일랜드부로서의 제 1 볼록부 (13)가 제 1 하우징 (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볼록부 (13)의 양측에는 이 제 1 볼록부 (13)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벽부 (14)가 제 1 하우징 (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볼록부 (13) 및 측벽부 (14)는 오목부 (12)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고, 제 1 하우징 (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볼록부 (13)의 양측에는, 오목부 (12)의 일부로서, 제 1 하우징 (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오목부인 오목 홈부 (12a)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 상기 제 1 볼록부 (13)는 단수이지만, 복수이어도 좋고, 그 수는 몇 개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볼록부 (13)는 예를 들어, 폭 약 0.4 [mm]의 치수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치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볼록부 (13)의 양측의 측면에는 오목 홈 모양의 제 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 (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 (14)의 내측의 측면에는 오목 홈 모양의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 (1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 (15a)와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 (15b)는 오목 홈부 (12a)의 저면에서 연결되어 서로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제 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 (15a)와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 (15b)를 통합적으로 설명할 경우에는,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 (15) 로서 설명한다.
이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 (15)는, 제 1 볼록부 (13)의 양측에, 예를 들어, 약 0.2 [mm]의 피치로 10 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 (15)의 각각에 수용되는 제 1 단자 (61) 도, 제 1 볼록부 (13)의 양측에, 예를 들어, 약 0.2 [mm]의 피치로 10 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 (15)의 피치 및 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자 (61)는 도전성의 금속판에 펀칭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피보호지지부 (63)와, 이 피보호지지부 (63)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 (62)와, 상기 피보호지지부 (63)의 상단에 접속된 상측 접속부 (67)와, 이 상측 접속부 (67)의 내측단 근처에 형성된 제 2 접촉부 (66)와, 이 제 2 접촉부 (66)에 접속된 하측 접속부 (64)와, 이 하측 접속부 (64)의 자유단 근처에 형성된 제 1 접촉부 (6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피보호지지부 (63)는 상하 방향, 즉, 제 1 하우징 (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 (15b)에 끼워 넣어져서 보호지지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테일부 (62)는 피보호지지부 (63)에 대하여 구부러져서 접속되고, 좌우 방향, 즉, 제 1 하우징 (11)의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제 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는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상기 상측 접속부 (67)는 피보호지지부 (63)에 대하여 구부러져서 접속되고, 제 1 하우징 (11)의 폭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상측 접속부 (67)의 내측단에는, 하방을 향해 구부러지고, 동시에, 제 1 하우징 (11)의 폭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만곡된 제 2 접촉부 (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측 접속부 (64)는 상기 제 2 접촉부 (66)의 하단에 접속된 U 자 모양의 측면 형상을 구비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측 접속부 (64)의 자유단, 즉, 상기 내측의 상단 근처에는, U 자 모양으로 구부러지고, 동시에, 제 1 하우징 (11)의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만곡된 제 1 접촉부 (6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 (61)는 실장면 측 (도 3 (b) 에서의 하측)으로부터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 (15) 내에 끼워 넣어지고, 피보호지지부 (63)가 측벽부 (14)의 내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 (15b)의 측벽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끼움지지됨으로써, 제 1 하우징 (11)에 고정된다. 이 상태, 즉, 제 1 단자 (61)가 제 1 하우징 (11)에 장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접촉부 (65)와 제 2 접촉부 (66)는 오목 홈부 (12a)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고 있다.
또한, 제 1 단자 (61)는 금속판에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므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그 형상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제 1 접촉부 (65)와 제 2 접촉부 (66)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변화가능하다. 즉, 제 1 접촉부 (65)와 제 2 접촉부 (66)의 사이에 제 2 커넥터 (101)가 구비하는 후술되는 제 2 단자 (161)가 삽입되면, 그것에 의해, 제 1 접촉부 (65)와 제 2 접촉부 (66)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신장된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끼움결합 가이드부로서의 제 1 돌출 단부 (2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 돌출 단부 (21) 에는, 상기 오목부 (12)의 일부로서 끼움결합 오목부 (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움결합 오목부 (22)는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부이며, 각 오목 홈부 (12a)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결합 오목부 (22) 내에는, 제 1 커넥터 (1) 및 제 2 커넥터 (101)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이 제 2 커넥터 (101)가 구비하는 후술되는 제 2 돌출 단부 (122)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 단부 (21)는 측벽부 (14)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제 1 하우징 (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연장부 (21c)와, 제 1 하우징 (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측벽 연장부 (21c)에 접속된 단벽부 (21b)를 구비한다. 각 제 1 돌출 단부 (21) 에서, 단벽부 (21b)와 그 양단에 접속된 측벽 연장부 (21c)는 연속된 역 "ㄷ" 자 모양의 측벽을 형성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끼움결합 오목부 (22)의 3 방위를 획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돌출 단부 (21) 에는, 보강 기구로서의 제 1 보강 기구 (51)가 장착된다. 이 제 1 보강 기구 (51)는 제 1 돌출 단부 (21)에 형성된 제 1 기구 보호지지 오목부 (26) 내에 수용되어 보호지지된다. 이 제 1 기구 보호지지 오목부 (26)는 끼움결합면 측으로부터 보아서 연속된 역 "ㄷ" 자 모양이며, 제 1 돌출 단부 (21)의 상면 (21a) 으로 개구하고, 이 상면 (21a)으로부터 제 1 하우징 (11)의 두께 방향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슬릿 모양의 공간이다.
또한, 상기 단벽부 (21b) 및 측벽 연장부 (21c)에 의해 형성된 역 "ㄷ" 자 모양의 측벽은 제 1 기구 보호지지 오목부 (26)에 의해 내벽부 (21f)와 외벽부 (21k)로 분할된다. 상기 내벽부 (21f)는 연속된 역 "ㄷ" 자 모양으로서, 측벽부 (14)의 길이 방향 양단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각 외벽부 (21k)는 제 1 기구 보호지지 오목부 (26)가 구비하는 제 1 아암부 수용 개구부 (26f), 제 2 아암부 수용 개구부 (26a) 및 기판 접속부 수용 개구부 (26e)에 의해, 중앙부 (21d)와 좌우의 코너부 (21h)의 3 개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 2 아암부 수용 개구부 (26a)는 측벽 연장부 (21c)의 외면으로 개구하고, 상기 기판 접속부 수용 개구부 (26e)는 단벽부 (21b)의 외면으로 개구하고, 상기 제 1 아암부 수용 개구부 (26f)는 측벽 연장부 (21c)와 단벽부 (21b)의 접속 부분 주변의 외면으로 개구한다. 상기 중앙부 (21d)의 외벽면 (21g)은 제 1 하우징 (11)의 길이 방향의 최외측면이다.
또한, 상기 내벽부 (21f) 에서의 측벽 연장부 (21c)의 측벽부 (14)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접촉 아암부 수용 개구부 (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 아암부 수용 개구부 (28)는 그 상면 (28a)이 상면 (21a) 보다도 낮고, 제 2 아암부 수용 개구부 (26a)의 상단에 연통한다. 또한, 상기 접촉 아암부 수용 개구부 (28)의 내측면에는 접촉 아암부 하단 수용공 (2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벽부 (21f) 에서의 단벽부 (21b)에 대응하는 부분의 끼움결합 오목부 (22) 측의 면인 내벽단면 (21e) 에는, 제 1 볼록부 (13)를 향해 돌출되는 내단 볼록부 (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단 볼록부 (25) 에서의 제 1 볼록부 (13)와 대향하는 대향 평면 (25a)은 제 1 커넥터 (1)의 각부의 제 1 하우징 (11)의 길이 방향에 관한 위치결정을 행할 때의 기준면으로서 기능하는 평면이다.
또한, 상기 내벽부 (21f) 에서의 측벽 연장부 (21c)에 대응하는 부분의 끼움결합 오목부 (22) 측의 면인 1 쌍의 내벽 측면 (21j) 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내측 볼록부 (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볼록부 (27) 에서의 끼움결합면 측의 지지면 (27a)은 제 1 보강 기구 (51)의 측방 가이드부 (54)를 지지하는 면으로서 기능하는 평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보강 기구 (51)는, 금속판에 펀칭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 1 하우징 (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띠 모양의 본체부로서의 제 1 본체부 (52)와, 이 제 1 본체부 (52)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가늘고 긴 띠 모양의 접속 아암부 (53)와, 이 접속 아암부 (53)의 상단에 접속된 측방 가이드부 (54)와, 동일하게 접속 아암부 (53)의 상단에 접속된 접촉 아암부 (55)와, 상기 제 1 본체부 (52)의 하단에 접속된 기판 접속부 (56)와, 상기 제 1 본체부 (52)의 상단에 접속된 중앙 가이드부 (57)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본체부 (52)는 외벽부 (21k)의 중앙부 (21d)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접속 아암부 (53)는 상하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접속 아암부 (53)는 제 1 본체부 (52)로부터 측방 가이드부 (54) 까지의 범위의 제 1 접속 아암부 (53a)와, 측방 가이드부 (54)로부터 접촉 아암부 (55) 까지의 범위의 제 2 접속 아암부 (53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접속 아암부 (53a)는 실장면 측 (도 3 (b) 에서의 하측)으로부터 보아서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진 부분이며, 제 1 보강 기구 (51)를 실장면 측으로부터 보면, 연속하는 제 1 본체부 (52) 및 접속 아암부 (53)가 역 "ㄷ" 자 모양으로 되어 있어, 제 1 기구 보호지지 오목부 (26)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제 1 접속 아암부 (53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1 보강 기구 (51)가 제 1 돌출 단부 (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아암부 수용 개구부 (26f) 내에 수용되고, 그 하단이 코너부 (21h)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접속 아암부 (53a)는 실장면 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 아암부 (53b)는 측방으로부터 보아서, 비스듬하게 경사진 중간 부분을 포함하는 대략 크랭크 모양으로 절곡되고, 그 선단이 제 1 접속 아암부 (53a) 보다도 실장면 근처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직선 모양의 형상과 비교하여 전장이 길고,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길이, 즉, 스프링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접속 아암부 (53b)는 하방이 개방된 제 2 아암부 수용 개구부 (26a) 내에 수용되고, 실장면 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또한, 1 쌍의 기판 접속부 (56)는 그 기단이 상기 제 1 본체부 (52)와 동일 면 상에 연장됨과 함께, 그 자유단이 제 1 하우징 (11)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만곡된 띠 모양의 판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기판 접속부 (56)는 기판 접속부 수용 개구부 (26e) 내에 수용되고, 그 자유단의 하단은 제 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전력 라인이다.
상기 중앙 가이드부 (5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1 보강 기구 (51)가 제 1 돌출 단부 (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벽부 (21f) 에서의 단벽부 (21b)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면 (21a) 및 내벽단면 (21e)의 대부분을 덮는 정도의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 가이드부 (57)는, 기단이 제 1 본체부 (52)의 상단에 접속되고, 선단이 경사 하방을 향하도록 만곡된 형상의 상측 덮개부 (57a)와, 이 상측 덮개부 (57a)의 선단에 기단이 접속되고, 선단이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 덮개부 (57b)를 구비한다.
또한, 이 내측 덮개부 (57b)의 하단 중앙부에는, 내단 볼록부 (25)를 수용하는 볼록부 수용 개구 (57c)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제 1 보강 기구 (51)가 제 1 돌출 단부 (21)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대향 평면 (25a)은 끼움결합 오목부 (22) 내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 수용 개구 (57c)가 내단 볼록부 (25)와 끼움결합함으로써, 제 1 보강 기구 (51)의 제 1 돌출 단부 (21)에 대한 위치결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상측 덮개부 (57a)와 내측 덮개부 (57b)의 접속 부분 근처는 그 외면이 비스듬하게 경사진 평면 내지 만곡 볼록면으로 되어 있는 슬로프부 (57d) 이다. 이 슬로프부 (57d)는, 제 1 커넥터 (1) 및 제 2 커넥터 (101)가 끼움결합될 때에, 이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돌출 단부 (122)를 끼움결합 오목부 (22) 내에 부드럽게 유입하는 유입면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측방 가이드부 (5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1 보강 기구 (51)가 제 1 돌출 단부 (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벽부 (21f) 에서의 측벽 연장부 (21c)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면 (21a) 및 내벽 측면 (21j)의 대부분을 덮는 정도의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부재이다. 그리고, 각 측방 가이드부 (54)는, 기단이 접속 아암부 (53)의 상단에 접속되고, 선단이 경사 하방을 향하도록 만곡된 형상의 상측 덮개부 (54c)와, 이 상측 덮개부 (54c)의 선단에 기단이 접속되고, 선단이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 덮개부 (54a)를 구비한다.
또한, 이 내측 덮개부 (54a)의 하단부 (54b)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보강 기구 (51)가 제 1 돌출 단부 (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측 볼록부 (27)의 지지면 (27a) 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동시에, 내벽 측면 (21j) 보다도 내측에 위치하지만, 제 1 커넥터 (1) 및 제 2 커넥터 (101)가 끼움결합될 때에, 이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돌출 단부 (122)가 당접하여 측방 가이드부 (54)가 눌러 내려지고, 동시에, 펴서 넓혀지면, 상기 지지면 (27a) 및 내벽 측면 (21j)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측방 가이드부 (54)는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가 정지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면 (27a) 및 내벽 측면 (21j)은 측방 가이드부 (54)의 변위를 정지시키는 정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상측 덮개부 (54c)와 내측 덮개부 (54a)의 접속 부분 근처는, 그 외면이 비스듬하게 경사진 평면 내지 만곡 볼록면으로 되어 잇는 슬로프부 (54d) 이다. 이 슬로프부 (54d)는, 제 1 커넥터 (1) 및 제 2 커넥터 (101)가 끼우결합될 때에, 이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돌출 단부 (122)를 끼움결합 오목부 (22) 내에 부드럽게 유입하는 유입면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접촉 아암부 (55)는, 기단이 제 2 접속 아암부 (53b)의 선단에서의 상단에 접속되고, 상방을 향한 만곡 볼록면을 구비하는 상방 만곡부 (55d)와, 이 상방 만곡부 (55d)의 선단에 기단이 접속되고, 제 1 하우징 (11)의 내측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대략 평판 모양의 접촉 본체부 (55a)와, 이 접촉 본체부 (55a)의 선단에 기단이 접속되고, 하단부 (55c)가 제 1 하우징 (11)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한 만곡 볼록면을 구비하는 하방 만곡부 (55b)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보강 기구 (51)가 제 1 돌출 단부 (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방 만곡부 (55d)는 접촉 아암부 수용 개구부 (28)의 상면 (28a) 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단부 (55c)는 접촉 아암부 하단 수용공 (28b) 내에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커넥터 (1) 및 제 2 커넥터 (101)가 끼움결합될 때에, 이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보강 기구 (151)가 상방으로부터 당접하여도, 상방 만곡부 (55d)는 하방으로 변위하고, 하방 만곡부 (55b)는 하단부 (55c)가 제 1 하우징 (11)의 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하도록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보강 기구 (51)가 제 1 돌출 단부 (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촉 아암부 (55)의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상방 만곡부 (55d)의 정점은, 측벽부 (14)의 상면 (14a) 및 제 1 볼록부 (13)의 상면 (13a)과 동등 또는 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한편, 중앙 가이드부 (57)의 상측 덮개부 (57a)의 정점 및 측방 가이드부 (54)의 상측 덮개부 (54c)의 정점은, 측벽부 (14)의 상면 (14a) 및 제 1 볼록부 (13)의 상면 (13a) 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다.
또한, 중앙 가이드부 (57)의 상측 덮개부 (57a)의 정점 및 측방 가이드부 (54)의 상측 덮개부 (54c)의 정점의 높이는 거의 동등하며, 측벽부 (14)의 상면 (14a) 및 제 1 볼록부 (13)의 상면 (13a)의 높이도 거의 동등하다. 또한, 제 1 단자 (61)는 제 1 단자 수용 캐비티 (15) 내에 수용되어 보호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그 각 부가 측벽부 (14)의 상면 (14a) 및 제 1 볼록부 (13)의 상면 (13a)과 동등 또는 더욱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제 1 접촉부 (65)의 적어도 일부 및 제 2 접촉부 (66)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 홈부 (12a)의 좌우의 측벽으로부터 오목 홈부 (12a)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2 커넥터 (10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 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제 2 커넥터 (101)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대방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 2 하우징 (111) 을 가진다. 이 제 2 하우징 (11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인 대략 직사각형의 후판 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예를 들어, 세로 약 5.0 [mm], 가로 약 1.5 [mm] 및 두께 약 0.5 [mm]의 치수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치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하우징 (111)의 제 1 커넥터 (1)에 끼워 넣어지는 측, 즉, 끼움결합면 측 (도면에서의 상측) 에는, 제 2 하우징 (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오목 홈부 (113)와, 이 오목 홈부 (113)의 외측을 획정함과 함께, 제 2 하우징 (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볼록부로서의 제 2 볼록부 (1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볼록부 (112)는 오목 홈부 (113)의 양측을 따라, 또한, 제 2 하우징 (111)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제 2 볼록부 (112) 에는, 상대방 단자로서의 제 2 단자 (161)가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홈부 (113)는 제 2 기판에 실장되는 측, 실장면 (도면에서의 하면) 측이 저부에 의해 닫혀져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 상기 제 2 볼록부 (112)는 2 개이지만, 단수이어도 좋고, 그 수는 몇 개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오목 홈부 (113)는 예를 들어, 폭 약 0.7 [mm]의 치수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치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자 (161)는, 도전성의 금속판에 펀칭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도시되지 않은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 (162)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접속된 제 1 접촉부 (165)와, 이 제 1 접촉부 (165)의 상단에 접속된 접속부 (164)와, 이 접속부 (164)의 외측단에 접속된 제 2 접촉부 (16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제 2 하우징 (111)에 주위를 둘러싸여 보호지지되는 부분이며,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은 부분이다. 또한, 상기 테일부 (162)는 본체부의 좌우 방향, 즉, 제 2 하우징 (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에 접속되고, 제 2 하우징 (111)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제 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상기 제 1 접촉부 (165)는, 본체부에 접속되고, 상하 방향, 즉, 제 2 하우징 (1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모양의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 (164)는 제 1 접촉부 (165)에 대하여 구부러져서 접속되고, 제 2 하우징 (111)의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 2 접촉부 (166)는, 접속부 (164)의 외측단에 하방을 향해 구부려서 접속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2 단자 (161)는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2 하우징 (111)과 일체화된다. 즉, 제 2 하우징 (111) 은, 제 2 단자 (161)를 미리 내부에 세트한 금형의 캐비티 내에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성형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단자 (161)는, 본체부가 제 2 하우징 (111) 내에 매설되고, 제 1 접촉부 (165), 접속부 (164) 및 제 2 접촉부 (166)의 표면이 제 2 볼록부 (112)의 각 측면 및 끼움결합면에 노출한 상태에서, 제 2 하우징 (111)에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 단자 (161)는 예를 들어, 약 0.2 [mm]의 피치로 좌우에 10 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단자 (161)의 피치 및 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하우징 (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로서의 제 2 돌출 단부 (12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돌출 단부 (122)는, 제 2 하우징 (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각 제 2 볼록부 (11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두꺼운 부재이며, 그 상면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출 단부 (122)는, 제 1 커넥터 (1) 및 제 2 커넥터 (101)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넥터 (1)가 구비하는 제 1 돌출 단부 (21)의 끼움결합 오목부 (22)에 삽입되는 삽입 볼록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 단부 (122) 에는, 상대방 보강 기구로서의 제 2 보강 기구 (151)가 장착된다. 이 제 2 보강 기구 (151)는, 제 2 돌출 단부 (122) 에서의 제 2 하우징 (111)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고, 그 보호지지용 돌출편 (158)의 선단이 제 2 볼록부 (112)의 길이 방향 양단 근처의 내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기구 보호지지 오목부 (126) 내에 수용되어 보호지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 2 보강 기구 (151)는, 금속판에 펀칭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 2 하우징 (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띠 모양의 제 2 본체부 (152)와, 이 제 2 본체부 (152)의 상단에 접속된 중앙 덮개부 (157)와, 이 중앙 덮개부 (157)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측방 덮개부 (154)와, 이 측방 덮개부 (154)의 측부 테두리에 접속된 보호지지용 돌출편 (158)과, 상기 측방 덮개부 (154)의 다른 측부 테두리에 접속된 접촉 측판부 (155)와, 이 접촉 측판부 (155)의 하단에 접속된 기판 접속부 (156)를 구비한다.
상기 중앙 덮개부 (157)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2 보강 기구 (151)가 제 2 돌출 단부 (1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 제 2 돌출 단부 (122)의 상면의 대부분을 덮는 정도의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부재이다.
또한, 상기 측방 덮개부 (154)는, 중앙 덮개부 (157)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제 2 하우징 (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볼록부 (112)의 길이 방향 양단 근처의 상면을 덮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 측판부 (155)는 제 2 볼록부 (112)의 길이 방향 양단 근처의 외측의 측면을 덮는 부재이다. 또한, 측방 덮개부 (154)와 그 양측 테두리에 접속된 보호지지용 돌출편 (158) 및 접촉 측판부 (155)는, 연속된 U 자 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제 2 볼록부 (112)의 길이 방향 양단 근처에서, 상기 제 2 볼록부 (112)의 내측의 측면, 제 2 볼록부 (112)의 상면 및 제 2 볼록부 (112)의 외측의 측면에 연속하여 걸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판 접속부 (156)는, 제 2 하우징 (111)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제 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전력 라인이다.
또한, 상기 제 2 보강 기구 (151) 에서의 제 2 본체부 (152), 중앙 덮개부 (157), 측방 덮개부 (154) 및 보호지지용 돌출편 (158)은 적절하게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제 1 커넥터 (1)와 제 2 커넥터 (101)를 끼움결합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커넥터의 끼움결합 공정에서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커넥터의 끼움결합 공정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 에서, (a)는 끼움결합한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도 5 에서의 선 B-B 및 C-C를 따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파단면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제 1 커넥터 (1)는, 제 1 단자 (61)의 테일부 (62)가 도시되지 않은 제 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과 함께, 제 1 보강 기구 (51)의 기판 접속부 (56)가 제 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 1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자 (61)의 테일부 (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 1 보강 기구 (51)의 기판 접속부 (56)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커넥터 (101)는, 제 2 단자 (161)의 테일부 (162)가 도시되지 않은 제 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과 함께, 제 2 보강 기구 (151)의 기판 접속부 (156)가 제 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 2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자 (161)의 테일부 (1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 2 보강 기구 (151)의 기판 접속부 (156)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우선, 오퍼레이터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의 제 1 하우징 (11)의 끼움결합면과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하우징 (111)의 끼움결합면을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볼록부 (112)의 위치가 제 1 커넥터 (1)의 대응하는 오목 홈부 (12a)의 위치와 합치되고,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돌출 단부 (122)의 위치가 제 1 커넥터 (1)의 대응하는 끼움결합 오목부 (22)의 위치와 합치되면, 제 1 커넥터 (1)와 제 2 커넥터 (101)의 위치정렬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커넥터 (1) 및/또는 제 2 커넥터 (101)를 상대 측에 접근하는 방향, 즉, 끼움결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볼록부 (112) 및 제 2 돌출 단부 (122)가 제 1 커넥터 (1)의 오목 홈부 (12a) 및 끼움결합 오목부 (22) 내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와 제 2 커넥터 (101)의 끼움결합이 완료되면, 제 1 단자 (61)와 제 2 단자 (161)가 도통한 상태로 된다.
상세하게는, 각 제 1 단자 (61)의 제 1 접촉부 (65)와 제 2 접촉부 (66)의 사이에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단자 (161)가 삽입되고, 제 1 단자 (61)의 제 1 접촉부 (65)와 제 2 단자 (161)의 제 1 접촉부 (165)가 접촉하고, 제 1 단자 (61)의 제 2 접촉부 (66)와 제 2 단자 (161)의 제 2 접촉부 (166)가 접촉한다. 그 결과, 제 1 단자 (61)의 테일부 (62)가 접속된 제 1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와, 제 2 단자 (161)의 테일부 (162)가 접속된 제 2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가 도통한다.
그런데, 면적이 넓은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에 제 1 커넥터 (1) 및 제 2 커넥터 (101)가 각각 실장되어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제 1 커넥터 (1)의 끼움결합면과 제 2 커넥터 (101)의 끼움결합면을 육안으로 볼 수 없고, 수작업으로 끼움결합 작업을 행하게 된다. 그러면, 수작업이므로 정확한 위치정렬을 할 수 없어, 제 1 커넥터 (1)의 위치와 제 2 커넥터 (101)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 (1)에 대하여 제 2 커넥터 (101)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상태이며, 또한 제 1 커넥터 (1)의 끼움결합면에 대하여 제 2 커넥터 (101)의 끼움결합면이 경사진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제 1 커넥터 (1) 및/또는 제 2 커넥터 (101)를 끼움결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 커넥터 (1)의 어느 한 쪽의 제 1 돌출 단부 (21)의 단벽부 (21b) 에, 제 2 커넥터 (101)의 어느 한 쪽의 제 2 돌출 단부 (122)가 당접하게 되어버려, 상기 단벽부 (21b)는, 제 2 돌출 단부 (122)로부터 끼움결합 방향의, 즉, 도 5 에서의 위로부터 아래로 향한 큰 가압력을 받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돌출 단부 (21) 에는 제 1 보강 기구 (51)가 장착되고, 내벽부 (21f) 에서의 단벽부 (21b)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면 (21a) 및 내벽단면 (21e)의 대부분은, 제 1 보강 기구 (51)의 중앙 가이드부 (57)에 의해 덮여져 있으므로, 제 2 돌출 단부 (122)로부터 큰 가압력을 받더라도, 이 가압력은 제 1 보강 기구 (51)의 제 1 본체부 (52)로부터 기판 접속부 (56)를 통해 제 1 기판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단벽부 (21b) 에는 거의 전달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단벽부 (21b)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게다가, 상기 제 1 보강 기구 (51)의 중앙 가이드부 (57)는, 단면 형상이 대략 U 자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단면 계수가 크고, 강도가 높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돌출 단부 (122)를 통해, 제 1 돌출 단부 (21)의 단벽부 (21b)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크더라도, 이 가압력을 제 1 보강 기구 (51)의 중앙 가이드부 (57)가 효과적으로 받아낼 수 있어, 상기 단벽부 (21b) 에는, 상기 가압력이 거의 전달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가압력이 크더라도, 상기 단벽부 (21b)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 기구 (51)의 중앙 가이드부 (57)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슬로프부 (57d)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중앙 가이드부 (57)에 당접한 제 2 돌출 단부 (122)는, 상기 슬로프부 (57d)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끼움결합 오목부 (22) 내에 부드럽게 유입되어 삽입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 (1)에 대하여 제 2 커넥터 (101)가 폭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상태에서는, 제 2 돌출 단부 (122)가 제 1 돌출 단부 (21)의 측벽 연장부 (21c)에 당접하여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벽부 (21f) 에서의 측벽 연장부 (21c)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면 (21a) 및 내벽 측면 (21j)의 대부분은, 제 1 보강 기구 (51)의 측방 가이드부 (54)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제 2 돌출 단부 (122)로부터 큰 가압력을 받더라도, 측벽 연장부 (21c)가 손상되거나 파손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 기구 (51)의 측방 가이드부 (54)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슬로프부 (54d)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측방 가이드부 (54)에 당접한 제 2 돌출 단부 (122)는, 상기 슬로프부 (54d)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끼움결합 오목부 (22) 내에 부드럽게 유입되어 삽입된다.
또한, 제 1 커넥터 (1)에 대하여 제 2 커넥터 (101)가 위치 어긋난 상태라도, 중앙 가이드부 (57)의 상측 덮개부 (57a)의 정점 및 측방 가이드부 (54)의 상측 덮개부 (54c)의 정점은, 접촉 아암부 (55)의 상방 만곡부 (55d)의 정점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제 2 돌출 단부 (122)가 최초에 접촉 아암부 (55)에 당접하여 버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접촉 아암부 (55)는 유연성을 구비하고, 강도가 낮더라도,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중앙 가이드부 (57)의 상측 덮개부 (57a)의 정점 및 측방 가이드부 (54)의 상측 덮개부 (54c)의 정점은, 측벽부 (14)의 상면 (14a) 및 제 1 볼록부 (13)의 상면 (13a) 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제 2 돌출 단부 (122)가 최초에 측벽부 (14) 및 제 1 볼록부 (13)에 당접하여 버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측벽부 (14) 및 제 1 볼록부 (13)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무엇보다도, 제 1 커넥터 (1)에 대하여 제 2 커넥터 (101)가 크게 위치 어긋난 상태에서는, 제 2 돌출 단부 (122)가 제 1 보강 기구 (51)에 당접하지 않고, 측벽부 (14) 및 제 1 볼록부 (13)에 최초로 당접하여 버릴 가능성도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이어도, 접촉 아암부 (55)의 상방 만곡부 (55d)의 정점 및 제 1 단자 (61)의 각 부는 측벽부 (14)의 상면 (14a) 및 제 1 볼록부 (13)의 상면 (13a)과 동등 또는 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접촉 아암부 (55) 및 제 1 단자 (61)가 제 2 돌출 단부 (122)로부터 가압력을 받을 일은 없다. 따라서, 접촉 아암부 (55) 및 제 1 단자 (61)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그런데,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하우징 (111) 은, 제 1 커넥터 (1)의 제 1 하우징 (11)과 비교하여, 횡 방향 즉, 폭 방향의 치수가 작게 되어 있으므로, 제 2 돌출 단부 (122)는, 제 1 돌출 단부 (21)의 단벽부 (21b)와 비교하여, 강도가 높고 파손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보강 기구 (151) 에서의 제 2 본체부 (152), 중앙 덮개부 (157), 측방 덮개부 (154) 및 보호지지용 돌출편 (158)은 적절하게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커넥터 (1)와 제 2 커넥터 (101)의 끼움결합이 완료되면, 제 1 단자 (61)와 제 2 단자 (161)가 도통한 상태로 됨과 함께, 제 1 커넥터 (1)가 구비하는 제 1 보강 기구 (51)와 제 2 커넥터 (101)가 구비하는 제 2 보강 기구 (151)가 서로 결합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보강 기구 (51)와 제 2 보강 기구 (151)가 도통한 상태로 되어, 전력 라인의 도통이 유지된다.
상세하게는, 제 1 보강 기구 (51)의 내측에 제 2 보강 기구 (151)가 삽입되고, 제 1 보강 기구 (51)의 좌우의 접촉 아암부 (55) 에서의 하방 만곡부 (55b)가 제 2 보강 기구 (151)의 좌우의 접촉 측판부 (155)에 접촉한다. 이 때, 하방 만곡부 (55b)는 제 2 보강 기구 (151)가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하방으로 변위함과 함께, 제 1 하우징 (11)의 폭 방향 외측으로, 즉, 외측으로 변위한다. 그러면, 접촉 아암부 (55) 및 이 접촉 아암부 (55)가 접속된 접속 아암부 (53)가 구비하는 탄력성에 의해, 즉, 스프링부로서의 기능에 의해, 상기 하방 만곡부 (55b)의 표면이 접촉 측판부 (155)의 표면으로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하방 만곡부 (55b)의 표면과 접촉 측판부 (155)의 표면의 접촉이 확실하게 유지되므로, 제 1 보강 기구 (51)와 제 2 보강 기구 (151)의 도통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접속 아암부 (53)는, 제 1 본체부 (52)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기단으로부터 접촉 아암부 (55)가 접속된 선단, 즉, 자유단까지의 긴 스프링 길이를 구비한다. 또한, 접속 아암부 (53)의 자유단은, 대략 크랭크 모양으로 절곡된 제 2 접속 아암부 (53b)의 선단이므로 하방에 위치해 있고, 이와 같이 하방에 위치하는 자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 (55) 도, 하방 만곡부 (55b) 까지의 긴 스프링 길이를 구비한다. 따라서, 하방 만곡부 (55b)는, 매우 긴 스프링 길이를 구비하는 스프링부인 접속 아암부 (53) 및 접촉 아암부 (55)의 자유단에 위치하고, 탄성적인 변위량이 매우 크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이 실장되어 있는 전자 기기 등이 낙하한다든지 외력을 받는다든지 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어, 제 1 보강 기구 (51)에 대하여 제 2 보강 기구 (151)가 상대적으로 변위한 경우이어도, 하방 만곡부 (55b)는, 접촉 측판부 (155)의 변위에 추종하여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 1 보강 기구 (51)와 제 2 보강 기구 (151)의 도통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고, 도통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소위 순간 단절로 불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에 대하여 제 2 커넥터 (101)가 위치 어긋난 상태에서도, 제 2 돌출 단부 (122)가 최초로 접촉 아암부 (55)에 당접하여 버리는 일이 없어, 접촉 아암부 (55)가 제 2 돌출 단부 (122)로부터 가압력을 받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접속 아암부 (53) 및 접촉 아암부 (55)에 유연성을 가지게 할 수 있어, 하방 만곡부 (55b)를 유연하게, 또한 크게 변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접속 아암부 (53)의 도중에는 측방 가이드부 (54)가 접속되고, 이 측방 가이드부 (54)는, 어느 정도 하방 및 외측으로 변위하면, 내측 덮개부 (54a)의 하단부 (54b)가 내측 볼록부 (27)의 지지면 (27a) 및 내벽 측면 (21j)에 당접하므로, 변위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측 덮개부 (54c)가 내벽부 (21f) 에서의 단벽부 (21b)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면 (21a)에 당접하는 일이 없고, 이 상면 (21a)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측방 가이드부 (54)의 변위가 도중에 정지하게 되므로, 접속 아암부 (53) 중의 제 1 접속 아암부 (53a)는 어느 정도 변위하면 변위 불능으로 되고, 제 2 접속 아암부 (53b) 만이 변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하방 만곡부 (55b)는, 변위량이 어느 정도의 범위까지, 즉, 측방 가이드부 (54)의 변위가 정지하게 되기까지는, 접속 아암부 (53) 전체 및 접촉 아암부 (55)를 스프링 길이로 하는 긴 스프링부에 의해 유연하게 변위하고, 변위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제 2 접속 아암부 (53b) 및 접촉 아암부 (55)를 스프링 길이로 하는 비교적 짧은 스프링부에 의해 강한 스프링력을 발휘하면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하방 만곡부 (55b)는 큰 변위량과 강한 스프링력을 함께 가지게 되므로, 접촉 측판부 (155) 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 1 보강 기구 (51)와 제 2 보강 기구 (151)의 도통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고, 도통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소위 순간 단절로 불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와 제 2 커넥터 (101)의 끼움결합이 완료되면, 접촉 아암부 (55)의 하방 만곡부 (55b)는, 접촉 측판부 (155)에 의해 외측으로 변위시켜진 상태로 되므로, 하단부 (55c)가 접촉 아암부 하단 수용공 (28b) 내에 진입한다. 제 1 커넥터 (1)와 제 2 커넥터 (101)의 끼움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제 1 커넥터 (1) 및/또는 제 2 커넥터 (101)를 상대 측으로부터 떨어뜨리는 방향, 즉, 반 끼움결합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제 2 보강 기구 (151)를 보호지지하고 있는 제 1 보강 기구 (51)의 접촉 아암부 (55) 에는, 제 1 하우징 (1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하단부 (55c)가 접촉 아암부 하단 수용공 (28b) 내에 진입하여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하단부 (55c)의 상방으로의 변위가 저지되어, 하방 만곡부 (55b)의 젖혀짐이 방지되고, 접촉 아암부 (55)가 제 1 하우징 (11)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커넥터 (1)는, 제 1 하우징 (11)과, 제 1 하우징 (11)에 장전되는 제 1 단자 (61)와, 제 1 하우징 (11)에 장전되는 제 1 보강 기구 (51)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하우징 (11) 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 1 돌출 단부 (21) 로서,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하우징 (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 2 돌출 단부 (122)와 끼움결합하는 제 1 돌출 단부 (21)를 포함하고, 제 1 보강 기구 (51)는,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 (55)와, 제 1 돌출 단부 (21)에 배치되는 좌우 1 쌍의 측방 가이드부 (54)를 포함하고, 제 1 하우징 (11)이 제 2 하우징 (111)과 끼움결합할 때, 측방 가이드부 (54)가 제 2 돌출 단부 (122)를 가이드하고, 접촉 아암부 (55)가 제 2 하우징 (111)에 장전된 제 2 보강 기구 (151)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끼움결합 작업 중에 제 1 하우징 (11)의 제 1 돌출 단부 (21)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고, 제 1 보강 기구 (51)와 제 2 보강 기구 (151)의 도통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제 2 커넥터 (101) 와의 끼움결합이 확실하게 보호지지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 1 보강 기구 (51)는, 제 1 하우징 (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본체부 (52)와, 제 1 본체부 (52)의 양단에 기단이 접속된 좌우 1 쌍의 접속 아암부 (53)를 포함하고, 접촉 아암부 (55)는 접속 아암부 (53)의 자유단에 접속되고, 측방 가이드부 (54)는 접속 아암부 (53)의 자유단보다도 기단 근처의 위치에 접속된다. 따라서, 접촉 아암부 (55) 까지의 스프링 길이가 길어, 접촉 아암부 (55)의 탄성적인 변위량을 크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제 1 돌출 단부 (21)는, 제 2 돌출 단부 (122)가 삽입되는 끼움결합 오목부 (22)와, 끼움결합 오목부 (22)의 내측 벽면으로서 제 1 하우징 (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 쌍의 내벽 측면 (21j) 을 포함하고, 측방 가이드부 (54)는 내벽 측면 (21j)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따라서, 내벽 측면 (21j)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제 1 돌출 단부 (21)는, 끼움결합 오목부 (22)의 내측 벽면으로서 제 1 하우징 (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벽단면 (21e) 을 포함하고, 제 1 보강 기구 (51)는, 내벽단면 (21e)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중앙 가이드부 (57) 로서, 제 1 하우징 (11)이 제 2 커넥터 (101)의 제 2 하우징 (111)과 끼움결합할 때, 제 2 돌출 단부 (122)를 가이드하는 중앙 가이드부 (57)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벽단면 (21e)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측방 가이드부 (54)는, 접속 아암부 (53)의 변형에 의해,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고, 측방 가이드부 (54)의 하단부 (54b)가 지지면 (27a) 및 내벽 측면 (21j)에 당접하면,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측방 가이드부 (54)가 제 1 돌출 단부 (21)의 상단에 당접하지 않고 정지할 수 있어, 제 1 돌출 단부 (21)의 상단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접촉 아암부 (55)는, 측방 가이드부 (54)가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하여도,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접촉 아암부 (55)는, 큰 변위량과 강한 스프링력을 함께 가지게 되므로, 제 2 보강 기구 (151) 와의 접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 아암부 (55)는, 만곡 볼록면을 구비하는 하방 만곡부 (55b)와, 하단부 (55c)를 포함하고, 하방 만곡부 (55b)가 제 2 보강 기구 (151)와 접촉하면, 하단부 (55c)는, 외측으로 변위하고, 제 1 하우징 (11)에 형성된 접촉 아암부 하단 수용공 (28b) 내에 진입한다. 이것에 의해, 하단부 (55c)가 접촉 아암부 하단 수용공 (28b) 내에 진입하여 결합된 상태로 되므로, 제 1 커넥터 (1) 및/또는 제 2 커넥터 (101)를 반 끼움결합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접촉 아암부 (55)에 제 1 하우징 (1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하단부 (55c)의 상방으로의 변위가 저지되어, 하방 만곡부 (55b)의 젖혀짐이 방지되고, 접촉 아암부 (55)가 제 1 하우징 (11)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각종 변형시키는 일이 가능하고, 이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1 : 제 1 커넥터
11, 811 : 제 하우징
12 : 오목부
12a, 113 : 오목 홈부
13 : 제 1 볼록부
13a, 14a, 21a, 28a : 상면
14, 814 : 측벽부
15a : 제 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
15b : 제 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
21 : 제 1 돌출 단부
21b : 단벽부
21c : 측벽 연장부
21d : 중앙부
21e : 내벽단면
21f : 내벽부
21g : 외벽면
21h : 코너부
21j : 내벽 측면
21k : 외벽부
22, 822 : 끼움결합 오목부
25 : 내단 볼록부
25a : 대향 평면
26 : 제 1 기구 보호지지 오목부
26a : 제 2 아암부 수용 개구부
26e : 기판 접속부 수용 개구부
26f : 제 1 아암부 수용 개구부
27 : 내측 볼록부
27a : 지지면
28 : 접촉 아암부 수용 개구부
28b : 접촉 아암부 하단 수용공
51, 851 : 제 1 보강 기구
52 : 제 1 본체부
53 : 접속 아암부
53a : 제 1 접속 아암부
53b : 제 2 접속 아암부
54 : 측방 가이드부
54a, 57b : 내측 덮개부
54b, 55c : 하단부
54c, 57a : 상측 덮개부
54d, 57d : 슬로프부
55 : 접촉 아암부
55a : 접촉 본체부
55b : 하방 만곡부
55d : 상방 만곡부
56, 156 : 기판 접속부
57 : 중앙 가이드부
57c : 볼록부 수용 개구
61, 861 : 제 1 단자
62, 162 : 테일부
63 : 피보호지지부
64 : 하측 접속부
65, 165 : 제 1 접촉부
66, 166 : 제 2 접촉부
67 : 상측 접속부
101 : 제 2 커넥터
111, 911 : 제 2 하우징
112 : 제 2 볼록부
122 : 제 2 돌출 단부
126 : 제 2 기구 보호지지 오목부
151, 951 : 제 2 보강 기구
152 : 제 2 본체부
154 : 측방 덮개부
155 : 접촉 측판부
157 : 중앙 덮개부
158 : 보호지지용 돌출편
161, 961 : 제 2 단자
164 : 접속부
821 : 끼움결합 가이드부
858 : 결합 돌기
922 : 끼움결합 볼록부

Claims (27)

  1. (a)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b) 상기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끼움결합 가이드부로서,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와 끼움결합하는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c) 상기 보강 기구는,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분리되어 있는 좌우 1 쌍의 측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d)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상기 측방 가이드부가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고, 상기 접촉 아암부가 상대방 커넥터 본체에 장전된 상대방 보강 기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양단에 기단이 접속된 좌우 1 쌍의 접속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아암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의 자유단에 접속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의 자유단보다도 기단 측으로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끼움결합 오목부와, 이 끼움결합 오목부의 내측 벽면으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 쌍의 내벽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내벽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끼움결합 오목부의 내측 벽면으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벽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기구는, 상기 내벽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중앙 가이드부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상기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중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의 변형에 의해,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며, 상기 측방 가이드부의 하단부가 정지부에 당접하면,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아암부는, 상기 측방 가이드부가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하더라도,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아암부는, 만곡 볼록면을 구비하는 하방 만곡부와,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방 만곡부가 상기 상대방 보강 기구와 접촉하면, 상기 하단부는 외측으로 변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접촉 아암부 하단 수용공 내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결합 가이드부로서,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와 끼움결합하는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기구는 본체부와, 좌우 1 쌍의 접속 아암부와,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상기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분리되어 있는 좌우 1 상의 측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아암부는 상기 본체부의 대향 단부들에 접속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접촉 아암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에 접속되며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에 접속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에 배치되며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상기 접촉 아암부가 상대방 커넥터 본체에 장전된 상대방 보강 기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아암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의 자유단에 접속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자유단 사이에서 상기 접속 아암부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 아암부는 상기 본체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의 변형에 의해,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며, 상기 측방 가이드부의 하단부가 하나 이상의 정지부에 당접하면,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아암부는, 상기 측방 가이드부가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하더라도,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끼움결합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 쌍의 내벽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내벽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벽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기구는, 상기 내벽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중앙 가이드부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상기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중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아암부는, 만곡 볼록면을 구비하는 하방 만곡부와,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방 만곡부가 상기 상대방 보강 기구와 접촉하면, 상기 하단부는 외측으로 변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접촉 아암부 하단 수용공 내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접촉 아암부가 상기 접속 아암부에 접속되는 위치와 상기 접속 아암부가 상기 본체부에 접속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속 아암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결합 가이드부로서,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와 끼움결합하는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기구는 본체부와, 좌우 1 쌍의 접속 아암부와,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상기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분리되어 있는 좌우 1 상의 측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속 아암부는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접속되는 기단을 구비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에 배치되며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상기 접촉 아암부가 상대방 커넥터 본체에 장전된 상대방 보강 기구와 접촉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의 변형에 의해,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며, 상기 측방 가이드부의 하단부가 하나 이상의 정지부에 당접하면,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정되는 좌우 1 쌍의 내벽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내벽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아암부는, 상기 측방 가이드부가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하더라도,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벽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기구는, 상기 내벽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중앙 가이드부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상기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중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결합 가이드부로서,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와 끼움결합하고,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끼움결합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 쌍의 내벽 측면을 형성하는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기구는 본체부와, 좌우 1 쌍의 접속 아암부와,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상기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분리되어 있는 좌우 1 쌍의 측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속 아암부는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접속되는 기단을 구비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내벽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상기 접촉 아암부가 상대방 커넥터 본체에 장전된 상대방 보강 기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벽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기구는, 상기 내벽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중앙 가이드부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상기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중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2.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결합 가이드부로서,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측 끼움결합 오목부를 형성하며 외측 표면을 더 형성하는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기구는 본체부와, 좌우 1 쌍의 접속 아암부와,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상기 좌우 1 쌍의 접촉 아암부와 분리되어 있는 좌우 1 쌍의 측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아암부는 상기 본체부의 대향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속 아암부는 상기 끼움 결합 가이드부의 외측 표면에 대항하여 위치하고, 상기 접촉 아암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에 접속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에 접속되고,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내측 끼움결합 오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 쌍의 내벽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내벽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 아암부의 변형에 의해,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며, 상기 측방 가이드부의 하단부가 하나 이상의 정지부에 당접하면,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아암부는, 상기 측방 가이드부가 하방 및 외측으로의 변위를 정지하더라도, 하방 및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벽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기구는, 상기 내벽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중앙 가이드부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와 끼움결합할 때, 상기 상대방 끼움결합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중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가이드부는, 상기 접촉 아암부가 상기 접속 아암부에 접속되는 위치와 상기 접속 아암부가 상기 본체부에 접속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속 아암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179148A 2013-12-12 2014-12-12 커넥터 KR101647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6578 2013-12-12
JP2013256578A JP5887326B2 (ja) 2013-12-12 2013-12-12 コネク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350A Division KR101730768B1 (ko) 2013-12-12 2016-07-29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919A KR20150068919A (ko) 2015-06-22
KR101647896B1 true KR101647896B1 (ko) 2016-08-11

Family

ID=534155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148A KR101647896B1 (ko) 2013-12-12 2014-12-12 커넥터
KR1020160097350A KR101730768B1 (ko) 2013-12-12 2016-07-29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350A KR101730768B1 (ko) 2013-12-12 2016-07-29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350095B2 (ko)
JP (1) JP5887326B2 (ko)
KR (2) KR101647896B1 (ko)
CN (1) CN104716506B (ko)
TW (1) TWI5408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7815C2 (sv) * 2013-12-05 2015-10-20 Moduel Ab Elektriska moduler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4795654B (zh) * 2014-01-17 2017-09-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US10338221B2 (en) * 2014-01-29 2019-07-02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extracting depth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JP6473990B2 (ja) * 2014-08-07 2019-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152084A (ja) * 2015-02-16 2016-08-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JP6319210B2 (ja) * 2015-07-02 2018-05-09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CN114552261A (zh) 2015-07-07 2022-05-27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6356656A (zh) * 2015-07-17 2017-01-25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CN107851914B (zh) 2015-08-05 2019-10-29 京瓷株式会社 插头连接器
JP6751912B2 (ja) * 2016-12-27 2020-09-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取付金具、コネクタ、及び接続装置
US10498056B2 (en) 2016-04-28 2019-12-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ounting metal fitting,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JP6399063B2 (ja)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6761736B2 (ja) * 2016-11-11 2020-09-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07218B2 (ja) 2016-11-18 2021-01-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12210B2 (ja) * 2016-12-21 2019-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797677B2 (ja) * 2016-12-28 2020-12-09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コネクタ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JP6925883B2 (ja) * 2017-06-09 2021-08-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2321920B1 (ko) * 2017-06-23 2021-11-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KR102294963B1 (ko) * 2017-07-13 2021-08-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WO2018236070A1 (ko) * 2017-06-23 2018-12-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KR102294959B1 (ko) * 2017-06-23 2021-08-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CN111512499B (zh) 2017-10-30 2022-03-08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低串扰卡缘连接器
US10601181B2 (en) 2017-12-01 2020-03-24 Amphenol East Asia Ltd.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KR102542024B1 (ko) * 2018-02-23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41368B1 (ko)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JP7253337B2 (ja) 2018-08-22 2023-04-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10932008A (zh) * 2018-08-31 2020-03-27 北京铂阳顶荣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器
JP6721015B2 (ja) * 2018-09-04 2020-07-08 第一精工株式会社 固定金具、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WO2020073460A1 (en) 2018-10-09 2020-04-16 Amphenol Commercial Products (Chengdu) Co. Ltd. High-density edge connector
JP7148357B2 (ja) * 2018-10-18 2022-10-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209119431U (zh) 2018-10-26 2019-07-16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与板对板连接器组件
TWM576774U (zh) 2018-11-15 2019-04-11 香港商安費諾(東亞)有限公司 具有防位移結構之金屬殼體及其連接器
JP7202937B2 (ja) * 2018-12-19 2023-01-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11381015B2 (en) * 2018-12-21 2022-07-05 Amphenol East Asia Ltd. Robust, miniaturized card edge connector
JP1638607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606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447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446S (ko) * 2018-12-28 2019-08-05
TWM580268U (zh) * 2019-01-25 2019-07-0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Connector assembly
TWM582251U (zh) 2019-04-22 2019-08-11 香港商安費諾(東亞)有限公司 Connector set with built-in locking mechanism and socket connector thereof
US11095059B2 (en) *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JP2020184459A (ja) 2019-05-08 2020-11-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TWD206847S (zh) * 2019-05-29 2020-09-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的固定件
CN209929525U (zh) * 2019-05-29 2020-01-10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与插座电连接器
CN209929524U (zh) * 2019-05-29 2020-01-10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与插座电连接器
TWI750832B (zh) * 2019-10-11 2021-12-2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組
US11411333B2 (en) 2019-11-05 2022-08-09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US11424565B2 (en) 2019-11-05 2022-08-23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air
TW202127754A (zh) 2019-11-06 2021-07-16 香港商安費諾(東亞)有限公司 具有互鎖段之高頻率電連接器
US11588277B2 (en) 2019-11-06 2023-02-21 Amphenol East Asia Ltd. High-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with lossy member
US11637391B2 (en) 2020-03-13 2023-04-25 Amphenol Commercial Products (Chengdu) Co., Ltd. Card edge connector with strength member, and circuit board assembly
JP7348131B2 (ja) * 2020-04-28 2023-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7033737B2 (ja) * 2020-05-08 2022-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CN111740252A (zh) * 2020-06-08 2020-10-02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JP7449401B2 (ja) * 2020-06-16 2024-03-13 シェンチェン エバーウィン プレシジョン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基板対基板ソケット
US11652307B2 (en) 2020-08-20 2023-05-16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zhen) Co., Ltd. High speed connector
CN212874843U (zh) 2020-08-31 2021-04-02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
JP7441147B2 (ja) * 2020-09-17 2024-02-29 株式会社フジクラ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JP1696084S (ko) * 2020-10-26 2021-10-04
JP7398496B2 (ja) * 2021-04-02 2023-12-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US20220368045A1 (en) * 2021-05-17 2022-1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650A (ja) 2009-09-11 2011-03-24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3206771A (ja) 2012-03-29 2013-10-07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30497T2 (de) * 1991-07-16 2000-06-21 Berg Electronics Mf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verbindergehäuse
JP3423560B2 (ja) * 1996-05-29 2003-07-07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US6343951B1 (en) * 1997-06-12 2002-02-05 Ke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2006210206A (ja) * 2005-01-31 2006-08-10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JP2007018949A (ja) * 2005-07-11 2007-01-25 Yokowo Co Ltd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49633B2 (ja) * 2005-10-21 2009-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7258001A (ja) 2006-03-23 2007-10-04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付き電気コネクタ
JP4333884B2 (ja) *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23694B2 (ja) * 2008-05-12 2014-1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498883B2 (ja)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07181B2 (ja) * 2011-02-07 2015-1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US8292635B2 (en) * 2011-03-12 2012-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assembly with robust latching means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CN103050805B (zh) * 2011-10-14 2014-12-10 莫列斯公司 连接器
JP6148952B2 (ja) * 2013-03-14 2017-06-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99666B2 (ja) *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650A (ja) 2009-09-11 2011-03-24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3206771A (ja) 2012-03-29 2013-10-07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63464A1 (en) 2015-09-17
CN104716506A (zh) 2015-06-17
US9577379B2 (en) 2017-02-21
TWI540801B (zh) 2016-07-01
JP2015115200A (ja) 2015-06-22
KR101730768B1 (ko) 2017-05-11
US9350095B2 (en) 2016-05-24
KR20150068919A (ko) 2015-06-22
KR20160096062A (ko) 2016-08-12
JP5887326B2 (ja) 2016-03-16
US20160268732A1 (en) 2016-09-15
TW201535879A (zh) 2015-09-16
CN104716506B (zh)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768B1 (ko) 커넥터
TWI823154B (zh) 連接器
KR101985141B1 (ko) 커넥터
US10651581B1 (en) Connector
JP6404248B2 (ja) コネクタ
KR101832599B1 (ko) 커넥터
JP6807218B2 (ja) コネクタ
KR101919691B1 (ko) 커넥터
JP6813621B2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JP5197294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943774B2 (ja) コネクタ
TWI539680B (zh) Substrate to substrate connector
TWI475765B (zh) Connector
KR101241686B1 (ko) 보드간 컨넥터
JP6554567B2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JP6279989B2 (ja) コネクタ
JP7021293B2 (ja) コネクタ
JP6714056B2 (ja) コネクタ
JP7129462B2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