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959B1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959B1
KR102294959B1 KR1020170080005A KR20170080005A KR102294959B1 KR 102294959 B1 KR102294959 B1 KR 102294959B1 KR 1020170080005 A KR1020170080005 A KR 1020170080005A KR 20170080005 A KR20170080005 A KR 20170080005A KR 102294959 B1 KR102294959 B1 KR 102294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insulating body
curved
receptacle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959B9 (ko
KR20190000684A (ko
Inventor
오상준
이수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021859&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949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959B1/ko
Priority to PCT/KR2018/006294 priority patent/WO2018236070A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959B1/ko
Publication of KR10229495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95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 몸체; 및 절연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가이드 부재는, 상면; 상면에서 연장되어 절연 몸체의 내측으로 만곡된 제 1 내측면, 제 2 내측면 및 제 3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면과 제 1 내측면 내지 제 3 내측면 사이의 만곡부는,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 1 내측면의 종단부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 2 내측면의 종단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RECEPTACLE CONNECTOR AND GUIDE MEMBER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판용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나 도선이 패터닝된 전자 요소(electronic component)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들과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결합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나 플러그 커넥터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강도가 향상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이 용이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에 따른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 몸체; 및 상기 절연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면; 상기 상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절연 몸체의 내측으로 만곡된 제 1 내측면, 제 2 내측면 및 제 3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제 1 내측면 내지 제 3 내측면 사이의 만곡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 1 내측면의 종단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 2 내측면의 종단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면 내지 제 3 내측면은,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정을 통해 상기 상면으로부터 만곡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을 가이딩할 수 있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모서리를 가이딩하는 만곡 모서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상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절연 몸체의 외측으로 벤딩된 제 1 외측면, 제 2 외측면 및 제 3 외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면, 제 2 외측면 및 제 3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의 하단에는 솔더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솔더링부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 외측면으로 벤딩된 제 1 외측면과, 상기 길이 방향 외측면으로 벤딩된 제 2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의 접촉을 위해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면과 상기 제 3 내측면 사이의 모서리부 및 상기 제 2 내측면과 상기 제 3 내측면 사이의 모서리부 중 적어도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 장치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 장치에 있어서, 상면; 및 상기 상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절연 몸체의 내측으로 만곡된 제 1 내측면, 제 2 내측면 및 제 3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제 1 내측면들 내지 제 3 내측면들 사이의 만곡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 1 내측면의 종단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 2 내측면의 종단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는 높은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는 플러그 커넥터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는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동안 과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절연 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제 1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제 3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접촉부를 일반적인 컨택트의 구조로 구성하였을 때의 전개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반적인 형태의 컨택트를 제조하기 위해 캐리어에 부착된 도전 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유닛)', '모듈' 등으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리셉터클 커넥터는 기판 뿐만 아니라, 도전 와이어(wire) 등의 기타 전자 요소들과도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0)는 절연 몸체(110), 컨택트(130)들 및 가이드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몸체(1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택트(130)들과 가이드 부재(150)가 절연 몸체(110)에 결합된다. 절연 몸체(110)와 컨택트(130)들은 함께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구현예에 따라서는 절연 몸체(110)가 몰딩에 의해 제조되고 컨택트(130)들이 절연 몸체(1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가이드 부재(150)는 절연 몸체(110)에 조립될 수 있다.
컨택트(130)들은 도전 소재로 이루어지며,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컨택트(230)들 및 기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마련된다. 컨택트(130)들의 일부 영역은 기판과의 접촉을 위해 절연 몸체(110)로부터 노출되고, 컨택트(130)들의 다른 일부 영역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컨택트(230)들과의 접촉을 위해 절연 몸체(110)로부터 노출된다.
가이드 부재(15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와의 결합을 가이딩하고, 플러그 커넥터(100)의 강도 보강을 위해 마련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절연 몸체(210), 컨택트(230)들 및 가이드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몸체(2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택트(230)들과 가이드 부재(250)가 절연 몸체(210)에 결합된다. 절연 몸체(210)와 컨택트(230)들은 함께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구현예에 따라서는 절연 몸체(210)가 몰딩에 의해 제조되고 컨택트(230)들이 절연 몸체(2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가이드 부재(250)는 절연 몸체(210)의 양단(E1, E2)에 조립될 수 있다.
컨택트(230)들은 도전 소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100)의 컨택트(130)들 및 기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마련된다. 컨택트(230)들의 일부 영역은 기판과의 접촉을 위해 절연 몸체(210)로부터 노출되고, 컨택트(230)들의 다른 일부 영역은 플러그 커넥터(100)의 컨택트(130)들과의 접촉을 위해 절연 몸체(210)로부터 노출된다.
가이드 부재(250)는 플러그 커넥터(100)와의 결합을 가이딩하고,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강도 보강을 위해 마련된다. 가이드 부재(250)는 절연 몸체(210)의 양단(E1, E2)에 결합되어 플러그 커넥터(100)가 결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100)의 이동을 가이딩하고, 결합 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상부에서 화살표 방향(A)으로 이동시켜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에는 플러그 커넥터(100)가 삽입되는 홈(270)이 마련되어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100)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홈(270) 내 돌출부(290)에 대응하도록 홈(170, 도 1 참조)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가이드 부재(2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절연 몸체(210)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250)를 제 1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250)를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250)를 제 3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250)는 상면(610), 제 1 내측면(632), 제 2 내측면(634) 및 제 3 내측면(636)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내측면(632), 제 2 내측면(634) 및 제 3 내측면(636)은 상면(610)으로부터 연장되어 절연 몸체(210)의 내측(즉, 홈(270) 방향)으로 만곡된 면이다. 제 1 내측면(632)과 제 2 내측면(634)은 절연 몸체(210)의 길이 방향 내측면(211)과의 접촉 또는 근접을 위해 형성된 면이고, 제 3 내측면(636)은 절연 몸체(210)의 폭 방향 내측면(213)과의 접촉 또는 근접을 위해 형성된 면이다.
상면(610)과 제 1 내측면(632) 내지 제 3 내측면(636) 사이의 만곡부(620)는 플러그 커넥터(100)와의 결합을 가이딩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결합될 때, 만곡부(620)는 플러그 커넥터(100)가 홈(270)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플러그 커넥터(100)의 결합 방향을 가이딩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만곡부(620)와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을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홈(270)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면(610)과 제 1 내측면(632) 내지 제 3 내측면(636) 사이의 만곡부(62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만곡부(620)는 절연 몸체(210)의 길이 방향 내측면(211)으로 만곡된 제 1 내측면(632)의 종단부(633)로부터 절연 몸체(210)의 길이 방향 내측면(211)으로 만곡된 제 2 내측면(634)의 종단부(635)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만곡부(62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예를 들어, 만곡부(620) 중 일부가 단절되어 있으면, 플러그 커넥터(100)와의 결합을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가이드 부재(25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절연 몸체(210)의 파손 및 컨택트(230)들의 이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손 문제는 스마트 기기 등의 소형화 기기에 이용되는 커넥터의 경우에 더욱 심각하다. 다시 말하면, 기기가 소형화될수록 커넥터 역시 소형화되어야 하는데, 소형 커넥터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커넥터에 비해 파손이 더 잘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만곡부(620)는 상면(610)에서 제 1 내측면(632) 내지 제 3 내측면(636)을 따라 형성된 만곡 형상의 곡률의 중심이 바깥쪽(즉, 제 1 내측면(632) 내지 제 3 내측면(636)의 후면 측으로서, 예를 들어, 각 내측면과 각 외측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와의 결합을 위한 어떠한 형태든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620) 중 일부는 만곡 모서리부(622)에 해당하는데, 만곡 모서리부(622)는 플러그 커넥터(100)가 결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100)의 모서리를 가이딩하여 플러그 커넥터(100)가 보다 잘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제 1 내측면(632)과 제 3 내측면(636) 사이의 모서리부(638), 및 제 2 내측면(634)과 제 3 내측면(636) 사이의 모서리부(639) 중 적어도 일부의 하단이 절개될 수도 있다.
상기 모서리부(638,639)에 대한 절개 형상은 반구 형상일 수 있으나, 구현예에 따라서는, 모서리부(638, 639)의 하단이 절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면(610)과 제 1 내측면(632) 내지 제 3 내측면(636) 사이의 만곡부(620)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딥 드로잉 공정은 판재를 이용하여 이음매가 없는 용기 모양의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구체적으로, 판재를 둘레 방향에서 압축하고, 깊이 방향으로 가압을 하여 제품을 제조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250)를 제조하기 위한 판재에 대해 딥 드로딩 공정을 적용하여 상면(610), 그리고 연속적인 만곡부(620)를 갖는 제 1 내측면(632) 내지 제 3 내측면(636)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50)는 상면(610)에서 연장되어 절연 몸체(210)의 외측으로 벤딩된 제 1 외측면(642), 제 2 외측면(644) 및 제 3 외측면(646)을 포함한다. 제 1 외측면(642)과 제 2 외측면(644)은 절연 몸체(210)의 길이 방향 외측면(215)과의 접촉 또는 근접을 위해 형성된 면이며, 제 3 외측면(646)은 절연 몸체(210)의 폭 방향 외측면(217)과의 접촉 또는 근접을 위해 형성된 면이다.
제 1 외측면(642), 제 2 외측면(644) 및 제 3 외측면(646)은 벤딩(bending)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외측면(642), 제 2 외측면(644) 및 제 3 외측면(646) 중 적어도 일부의 하단에는 기판 실장을 위한 솔더링부(64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솔더링부(648)가 제 1 외측면(642), 제 2 외측면(644) 및 제 3 외측면(646) 각각에 두 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하나의 예시일뿐이며, 솔더링부(648)는 제 1 외측면(642), 제 2 외측면(644) 및 제 3 외측면(646) 중 일부의 외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고, 그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1 외측면(642), 제 2 외측면(644) 및 제 3 외측면(646) 중 적어도 일부의 하단에 형성된 솔더링부(648)를 기판에 솔더링시킴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기판에 실장시킬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250)는 제 1 외측면(642)과 제 2 외측면(644)으로부터 연장되어 플러그 커넥터(100)의 전기적 단자(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100)의 가이드 부재(150)에 포함된 접촉부(152, 도 2 참조) 또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컨택트(130))와 접촉되는 접촉부(6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접촉부(650)는 제 1 외측면(64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좌측 접촉부(650a)와 제 2 외측면(64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우측 접촉부(65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좌측 접촉부(650a)와 우측 접촉부(650b)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촉부(650)는 플러그 커넥터(100)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컨택트(230)들 이외에 추가적인 접점으로 기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촉부(650)는 플러그 커넥터(100)와의 접촉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최근 고전류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컨택트(230)들만으로 고전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고전류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250)에 접촉부(650)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접촉부(650)는 플러그 커넥터(100)와의 4점 접점을 이룰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 1 외측면(642)으로부터 연장된 좌측 접촉부(650a)에서 2점 접점을 형성하고, 제 2 외측면(644)으로부터 연장된 우측 접촉부(650b)에서 2점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650)의 구조는 일반적인 컨택트(230)의 구조와 상이한데, 구체적으로, 도 3을 보면, 일반적인 컨택트(230)의 경우, 제 1 단부(231)에서 기판과 접촉을 이루고, 제 2 단부(232)와 중간 영역(233)에서 플러그 커넥터(100)의 컨택트(130)와 접촉을 이룬다. 접촉부(650)의 형상을 일반적인 컨택트(230)의 형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가이드 부재(250)를 형성하기 위한 판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도 9 및 도 10은 일반적인 컨택트(230)의 형상으로 구현된 접촉부(650)를 평평하게 펼친 전개장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형태의 컨택트(230)를 평평하게 펼친 경우, 판재 중 접촉부(650)가 되는 두 영역(810, 820)이 길게 연장됨에 따라, 두 영역(810, 820)이 서로 간에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 부재(250)를 형성하기 위한 판재는, 가이드 부재(250)를 평평하게 펼친 전개장의 형태를 가져야 하나, 해당 판재 중 접촉부(650)가 되는 영역(810, 820)은 서로를 향해 중첩 또는 충돌할 정도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의 판재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컨택트(230)는 여러 도전 핀(1010)들의 단부가 캐리어(1020)에 부착된 상태에서 벤딩 공정에 따라 컨택트(230)로 제조가 되는데, 가이드 부재(250)를 위한 판재 중 접촉부(650)가 되는 영역(810, 820)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벤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제조 공정을 가이드 부재(250)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부(650)는 일반적인 컨택트(230)와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도 6 내지 도 8을 보면, 접촉부(650)는 제 1 외측면(642) 및 제 2 외측면(644)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부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 1 단자(656) 및 제 1 외측면(642) 및 제 2 외측면(644)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 2 단자(6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자(656)와 제 2 단자(657)는 제 1 외측면(642)과 제 1 연결부(662)를 통해, 제 2 외측면(644)와 제 2 연결부(66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단자(656)는 제 1 연결부(662)와 제 2 연결부(664)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벤딩되어 형성되며, 제 2 단자(657)는 제 1 연결부(662)와 제 2 연결부(664)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단자(656)는 수평 방향으로 벤딩된 상부 영역(651)과 하부 방향으로 벤딩된 단부 영역(652)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단자(657)는 수평 방향으로 벤딩된 하부 영역(653)과 상부 방향으로 벤딩된 단부 영역(65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단자(656)의 상부 영역(651)과 단부 영역(652)은 대략 직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단자(657)의 하부 영역(653)과 단부 영역(654) 역시 대략 직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단자(657)의 단부 영역(654)은 제 1 단자(656)의 단부 영역(652)에 비해 더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단자(657)의 하부 영역(653)에서 단부 영역(654)의 형성을 위해 벤딩된 지점(B1)은 제 1 단자(656)의 상부 영역(651)에서 단부 영역(652)의 형성을 위해 벤딩된 지점(B2)보다 외측면(642, 644)을 기준으로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제 1 단자(656)의 단부 영역(652)과 제 2 단자(657)의 단부 영역(654)에서 플러그 커넥터(100)의 전기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즉,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자(657)의 단부 영역(654) 중 일부 지점에는 플러그 커넥터(100)와의 접촉력 향상을 위해 절곡된 절곡부(658)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 절곡부(658)와 후술하는 홈(655)을 통해 플러그 커넥터(100)와 2점 접점 구조로서 접속될 수 있다.
일반적인 컨택트(230)와 달리 제 1 단자(656)의 단부 영역(652)과 제 2 단자(657)의 단부 영역(654)이 전기적 접점을 이루기 때문에 접촉부(650)를 평평하게 펼치더라도 가이드 부재(250)를 위한 판재 중 좌측 접촉부(650a)에 해당하는 영역과 우측 접촉부(650b)에 해당하는 영역 간에 서로 충돌하거나 중첩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자(656)의 단부 영역(652) 및 제 2 단자(657)의 단부 영역(654) 중 적어도 하나에는 홈(65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홈(655)은 플러그 커넥터(100)의 전기적 단자에 형성된 돌기(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100)의 가이드 부재(150)에 형성된 돌기(155, 도 2 참조))와 결합하여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홈(655)은 바람직하게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돌기와 대응되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변형 가능하다.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홈(655) 대신 돌기가 제 1 단자(656)의 단부 영역(652) 및 제 2 단자(657)의 단부 영역(654)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100)의 전기적 단자에는 그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가이드 부재(650)를 통해 높은 강도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한 압력에 따라 파손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또한, 만곡부(620)가 플러그 커넥터(100)의 정확한 안착을 가이딩하므로, 플러그 커넥터(100)와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플러그 커넥터 110: 절연 몸체
130: 컨택트 150: 가이드 부재
152: 접촉부 155: 돌기
170: 홈 200: 리셉터클 커넥터
210: 절연 몸체 211: 길이 방향 내측면
213: 폭 방향 내측면 215: 길이 방향 외측면
217: 폭 방향 외측면 230: 컨택트
250: 가이드 부재 270: 홈
290: 돌출부 610: 상면
620: 만곡부 632: 제 1 내측면
634: 제 2 내측면 636: 제 3 내측면
642: 제 1 외측면 644: 제 2 외측면
646: 제 3 외측면 648: 솔더링부
650: 접촉부 650a: 좌측 접촉부
650b: 우측 접촉부 651: 상부 영역
653: 하부 영역 652, 654: 단부 영역
655: 홈 656: 제 1 단자
657: 제 2 단자 658: 절곡부
662: 제 1 연결부 664: 제 2 연결부

Claims (9)

  1.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 몸체; 및
    상기 절연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면;
    상기 상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절연 몸체의 내측으로 만곡된 제 1 내측면, 제 2 내측면 및 제 3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제 1 내측면 내지 제 3 내측면 사이의 만곡부는,
    상기 제1 내측면과 제3 내측면 사이와, 상기 제2 내측면과 제3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각의 만곡 모서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 1 내측면의 종단부로부터, 상기 절연 몸체의 폭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3 내측면의 종단부를 거쳐, 상기 길이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 2 내측면의 종단부까지,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면 내지 제 3 내측면은,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정을 통해 상기 상면으로부터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을 가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 모서리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모서리를 가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상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절연 몸체의 외측으로 벤딩된 제 1 외측면, 제 2 외측면 및 제 3 외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측면, 제 2 외측면 및 제 3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의 하단에는 솔더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솔더링부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 외측면으로 벤딩된 제 1 외측면과, 상기 길이 방향 외측면으로 벤딩된 제 2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의 접촉을 위해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면과 상기 제 3 내측면 사이의 모서리부 및 상기 제 2 내측면과 상기 제 3 내측면 사이의 모서리부 중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 장치에 있어서,
    상면; 및
    상기 상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절연 몸체의 내측으로 만곡된 제 1 내측면, 제 2 내측면 및 제 3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제 1 내측면들 내지 제 3 내측면들 사이의 만곡부는,
    상기 제1 내측면과 제3 내측면 사이와, 상기 제2 내측면과 제3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각의 만곡 모서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 1 내측면의 종단부로부터, 상기 절연 몸체의 폭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3 내측면의 종단부를 거쳐, 상기 길이 방향 내측면으로 만곡된 제 2 내측면의 종단부까지,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부재 장치.

KR1020170080005A 2017-06-23 2017-06-23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KR102294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005A KR102294959B1 (ko) 2017-06-23 2017-06-23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PCT/KR2018/006294 WO2018236070A1 (ko) 2017-06-23 2018-06-01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005A KR102294959B1 (ko) 2017-06-23 2017-06-23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84A KR20190000684A (ko) 2019-01-03
KR102294959B1 true KR102294959B1 (ko) 2021-08-30
KR102294959B9 KR102294959B9 (ko) 2022-07-25

Family

ID=6502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005A KR102294959B1 (ko) 2017-06-23 2017-06-23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9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8768A (ja) 2012-08-16 2014-02-27 Molex Inc コネクタ
JP2015115200A (ja) * 2013-12-12 2015-06-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コネクタ
JP2016146255A (ja) 2015-02-06 2016-08-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ソケット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2855B2 (ja)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051242B2 (ja) * 2014-07-16 2016-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8768A (ja) 2012-08-16 2014-02-27 Molex Inc コネクタ
JP2015115200A (ja) * 2013-12-12 2015-06-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コネクタ
JP2016146255A (ja) 2015-02-06 2016-08-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ソケット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959B9 (ko) 2022-07-25
KR20190000684A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4566B2 (en)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9331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979551B2 (en)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TWI687002B (zh) 電連接器
US8814603B2 (en) Shielding socket with two pieces contacts and two pieces housing components
US882119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e a grounding terminal with a tongue for improving mechanical stability
JP2018081869A (ja) コネクタ
US20090068897A1 (en) Slot connector
US7448877B1 (en) High density flexible socket interconnect system
KR10263855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6325262B2 (ja) コネクタ
KR102294963B1 (ko)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TW201230508A (en) Connector and header used in same
US2007001012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397427B2 (en) Card edge connector
US9178323B2 (en) Electrical connector
TWM457332U (zh) 電連接裝置及其電連接器
US7794287B1 (en)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by wafer having coupling foi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044798B2 (en) Card connector
KR10229495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KR10232192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US9865947B2 (en) SIM connector
CN201160138Y (zh) 电连接器组件
US20100062654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ustaining member
KR101444431B1 (ko)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