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446B1 -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446B1
KR101640446B1 KR1020140136888A KR20140136888A KR101640446B1 KR 101640446 B1 KR101640446 B1 KR 101640446B1 KR 1020140136888 A KR1020140136888 A KR 1020140136888A KR 20140136888 A KR20140136888 A KR 20140136888A KR 101640446 B1 KR101640446 B1 KR 10164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ng
plate
piezoelectric elemen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667A (ko
Inventor
최준
박경수
문동수
손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36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446B1/ko
Priority to US14/707,827 priority patent/US9931671B2/en
Publication of KR2016004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4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 B06B1/064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of rectangular sha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02N2/04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 H02N2/046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for conversion into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2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electric means
    • F01L9/24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tubular flexible members
    • F04B43/09Pumps having electric drive
    • F04B43/095Piezoelectric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38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flux distributors, and armatures and magnets both stationary
    • H02K21/4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flux distributors, and armatures and magnets both stationary with armature windings wound upon the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2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rotating flux distributors, the armatures and magnets both being stationa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는, 편평한 커버부재와; 이 커버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진동 플레이트와,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반복하여 진동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자를 갖춘 진동부;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진동부 상에 배치된 중량부; 및 진동부와 중량부를 고정하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중량부와 구동부 사이에 구동부의 중심 영역을 에워싸서 압전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Piezoelectric vibration actuator}
본 발명은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전자책(E-book) 단말기, 게임기, PMP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진동 기능은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주로 탑재되어 무음의 착신 신호인 경보 기능으로 이용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기능화에 맞춰 진동발생장치는 현재 소형화 뿐만 아니라 집적화 그리고 다양한 고기능화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는 간편하게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 방식의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과의 의사 소통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감각 인터페이스의 일종인 햅틱(haptic) 모듈을 적용할 수도 있다. "촉각인지"를 뜻하는 햅틱은 터치하여 입력하는 개념 이외에도 인터페이스에 사용자의 직관적 경험을 반영하여 터치에 대한 피드백을 더욱 다양화하는 개념까지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압전소자를 통해 진동력을 발생하는 특허문헌 1에서,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는 일체형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져 조립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예상치 못한 낙하 충돌시 진동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간의 접합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크랙 등의 손상을 통해 진동 플레이트를 통해 중량부를 지지보유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5170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압전소자를 구비한 진동부와 중량부를 밴딩(banding) 방식으로 조립하여 진동부와 중량부에 자유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테이프를 통한 밴딩 부재 혹은 링형상의 밴드로 이루어진 결속부재를 수단으로 하여 진동력에 의한 상하 방향으로의 굴곡 진동 뿐만 아니라 이상 충돌에 따른 횡방향 충격에도 중량부와 구동부 간의 신뢰할 수 있는 결속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는, 편평한 커버부재와; 이 커버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진동 플레이트와,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반복하여 진동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자를 갖춘 진동부;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진동부 상에 배치된 중량부; 및 진동부와 중량부를 고정하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중량부와 구동부 사이에 엔클로저부를 개재하고 이들을 테이프를 통한 밴딩 부재 혹은 링형상의 밴드로 이루어진 결속부재를 수단으로 하여 이들을 묶어 상호 밀착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는 구동부의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엔클로저부를 통해 구동부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압전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으로 절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으로 절취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Ⅶ-Ⅶ 선으로 절취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반복적인 수축 및 팽창 변형을 통해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외부 부품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는 예컨대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미도시) 등에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케이스(100)와 커버부재(900)로 둘러싸여 있고, 그 내부에 연성회로기판(500;Flexible Printed Circuit) 혹은 인쇄회로기판의 전원 인가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굴곡 진동하여 선형으로 구동하는 진동부(400)를 배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는 그 내부 공간에 중량부(200)를 구비한다.
케이스(100)는 일측면(예컨대 하부면)을 개방한 사각형상의 가늘고 긴 박스(box)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 공간에 진동부(400), 다시 말하자면 압전소자(410)와 진동 플레이트(420)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는 케이스(100)의 개방된 일측면을 커버부재(900)로 덮어씌워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00)는 도시된 사각형상의 박스 형상 이외에도 진동부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커버부재(900)는 케이스(100)의 개방 일측면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0)와 커버부재(900)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코킹(caulking), 용접 혹은 본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는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의 인가로 인해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반복하는 압전소자(410)의 병진 이동을 매개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력을 유발하는 진동부(400)로 구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400)는 압전소자(410)와 진동 플레이트(420)로 이루어진다. 진동부(400)는 압전소자(4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연성회로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 압전소자(410)와 연성회로기판(500) 간의 배선에 대한 설명은 배제한다.
연성회로기판(500)을 통해 압전소자(41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압전소자(410)는 진동 플레이트(420)에 완전히 부착되어 있어 팽창 및/또는 수축 변형을 통해 진동 플레이트(42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진동 플레이트(420)는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의 케이스(100)에서 대향되는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모멘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진동 플레이트(420)의 중심부가 상하 방향으로 굴곡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진동 플레이트(420)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로 인해 압전소자(410)와 커버부재(900)의 직접적인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진동 플레이트(210)는 커버부재(900) 위로 소정의 간격(진동 플레이트의 변위를 고려하여)를 두고 떨어지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압전소자(410)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특히 폴리머, 세라믹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앞서 기술되었듯이, 진동 플레이트(420)는 이의 하부면에 배열된 압전소자(410)와 일체로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반복하여 압전소자(410)의 진동력을 외부 부품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전반적으로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동 플레이트(420)의 편평한 일면, 구체적으로 하부면은 압전소자(410)를 장착하고, 진동 플레이트(420)의 타면, 구체적으로 상부면에는 중량부(200)를 배치한다.
진동 플레이트(420)는 연성회로기판(500)을 통한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반복하는 압전소자(410)와 일체로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 금속 재질, 예컨대 서스(SUS)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진동 플레이트(420)와 압전소자(410)가 본딩 결합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접착부재의 경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벤딩(bending)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압전소자(410)의 열팽창계수와 유사한 재질인 인바(invar)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되었듯이, 진동 플레이트(420)가 압전소자(410)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가진 인바 재질로 형성되어, 압전소자(410)는 고온의 외부 환경 하에서도 작동 혹은 열 충격시 발생하는 써멀 스트레스(thermal stress)가 감소되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압전 열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진동 플레이트(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 한쌍의 제1 플레이트와 함께 한쌍의 제1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플레이트로 이루질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400)의 진동 플레이트(420)는 커버부재(9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되, 바람직하기로는 커버부재(900)는 이의 양 단부에 안착부(910)를 형성한다. 안착부(910)는 진동 플레이트(420)와 커버부재(900) 사이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케이스(100)는 대향되게 마주보고 있는 내측면, 예컨대 좌측벽과 우측벽의 내측면에 개별적으로 블록(110)을 구비한다. 블록(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와 커버부재(900)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 배치될 중량부(200)와 동일한 높이로 케이스(100)의 내측면에서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덧붙여서 안착부(910) 상에 배열된 진동 플레이트(420)의 양 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진동 플레이트(420)의 고정을 도와 모멘트를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신뢰할 수 있는 굴곡 진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여기서, 2개의 블록(110)은 중량부(200)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데에 방해되지 않게 중량부(200)의 길이부보다 넓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블록(110)은 본 발명의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의 외부 충격, 특히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의 길이방향(횡방향) 충격시 중량부(200)의 양 단부와 케이스(100)의 내측면의 접촉에 의해 압전소자(4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횡방향 충격시, 중량부(200)는 블록(110)으로 인해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정도를 줄여 압전소자(410)를 보호하는 동시에 낙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블록(110)은 케이스(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고, 탄성계수가 높아 탄성변형을 거의 일어나지 않는 단단한 강성(剛性)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블록(110)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댐퍼와 같은 충격완화를 위해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진동부(4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진동 플레이트(420) 상에 중량부(200)를 구비하는데, 이 중량부(200)는 결속부재(600)를 수단으로 하여 진동 플레이트(420)에 고정된다. 결속부재(600)는 중량부(200)와 진동 플레이트(420)의 중심부를 상호 묶어 상호 밀착될 수 있게 한다. 필요에 따라, 진동 플레이트(420)와 중량부(200) 사이에 양면 테이프가 개재되어 이들의 고정을 도울 수 있다.
여기서, 중량부(200)는 진동부(400)의 진동력을 최대로 증가시키는 매개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중량부(200)는 굴곡 진동시 진동 플레이트(420)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중량부(200)의 중심부에서 양 단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에서 케이스(100)는 중량부(200)의 상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진동부(400)의 진동 플레이트(420)가 윗방향으로 휘어지는 구동 변위하는 동안에도 중량부(200)와 케이스(100)의 상부 내측면과 불필요한 접촉 혹은 충돌되지 않게 한다.
참고로, 중량부(20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동일 체적에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텅스텐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가능하기로, 중량부(200)는 이의 중심 영역 외주면에 오목부(210)를 형성한다. 이 오목부(210)는 결속부재(60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속부재(600)의 체결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속부재(600)의 횡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결속부재(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200)의 중심 영역과 진동부(400)의 중심 영역을 체결하는 것으로, 테이프(tape)와 같은 밴딩 부재를 채용한다. 선택가능하기로 결속부재(600)는 탄성을 가진 연성 재질로 만들어져 중량부(200)와 진동부(400)를 지속적으로 죄여 굴곡 진동에서도 유격(裕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결속부재(600)는 수축가능한 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외에, 결속부재(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의 밴드(band) 형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결속부재(600)는 중량부(200)와 진동부(400)의 진동 플레이트(420)를 종래의 브라켓 등을 통한 고정 혹은 본딩 접합방식을 통한 고정 등으로 고정하지 않고 있어 낙하 충돌 혹은 횡방향 충격시 중량부(200)와 진동부(400)의 접합 부위에 응력을 최소화시켜 중량부(200)와 진동부(400)의 신뢰할 수 있는 결속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서, 결속부재(600)는 중량부(200)와 진동부(400) 둘레에 링형상의 밴드 혹은 테이프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장착하게 되어 조립시 편이성을 추가로 제공하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는 중량부(200)와 진동부(400)를 결속부재(600)의 텐션(tension) 작용으로 고정을 돕는 한편 2개의 구성부재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외부 충격시 접합 부위에 유동성을 제공하여 각 구성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을 다른 구성부재에 전달하지 않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서, 압전소자(410)는 단층형 또는 다층형으로 적층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층형으로 적층된 압전소자는 낮은 외부 전압에서도 압전소자의 구동에 필요한 전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의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성취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다층형으로 적층된 압전소자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는 압전소자(410)의 활성화로 발생되는 진동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중량부(200) 혹은 진동부(400)를 보호할 수 있는 충돌완충부재(700)를 케이스(100)의 상부 내측면과 커버부재(900)의 상부면에 구비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충돌완충부재(700)는 진동부(400), 중량부(200), 케이스(100), 또는 커버부재(900) 간에 접촉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포른(poron)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에서 중량부(200)와 진동부(400) 사이의 배열 방식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는 개방 일측면을 가진 케이스(100)와, 이 개방 일측면을 폐쇄하는 커버부재(900), 케이스(100)와 커버부재(900)로 한정된 내부 공간에서 압전소자(410)의 팽창 및/또는 수축 변형으로 선형으로 구동하는 진동부(400), 이 진동부(400) 상에 배치된 중량부(200), 진동부(400)와 중량부(200) 둘레를 묶는 결속부재(600), 및 진동부(400)와 중량부(200) 사이에 개재되는 엔클로저부(300;enclosure)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200)와 진동부(400) 사이에 엔클로저부(300)를 배치하여 진동부(400)의 중심 영역을 둘러싸고 있다.
엔클로저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역U자 단면형상을 가진 구성부재로, 편평면(310)의 양 가장자리에서 수직하방으로 뻗은 다리부(320;leg)를 구비한다. 엔클로저부(300)의 다리부(320)는 압전소자(410)와 진동 플레이트(420)의 두께 합보다 큰 크기로 신장되어 있다. 다리부(320)는 진동부(400)의 상·하 방향의 굴곡 진동시 진동 플레이트(420)의 하방 변위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진동 플레이트(420) 하부에 배치된 압전소자(410)가 커버부재(900)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엔클로저부(300)의 편평면(310)은 중량부(200)의 하부면과 진동부(400)의 진동 플레이트(420)의 상부면을 상호 면접가능하게 하는 한편 중량부(200) 바로 아래에 진동 플레이트(420)를 배치하지 않아 중량부(200)의 이상 구동으로부터 진동 플레이트(420)를 보호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엔클로저부의 편평면(310)는 압전소자(410)의 길이보다 길이연장되어 전반적으로 압전소자(410)를 덮어 씌우는 구조를 갖춘다.
선택가능하기로, 엔클로저부(300)는 편평면(310)의 하부면과 진동 플레이트(420)의 상부면 사이에 양면 테이프(330)을 수단으로 하여 각 구성부재의 결합을 돕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1')는 결속부재(600)를 수단으로 하여 중량부(200)와 엔클로저부(300) 및 진동부(400)의 중심부를 상호 묶어 밀착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재(600)는 중량부(200)의 중심 영역과 진동부(400)의 압전소자(410)의 중심 영역을 둘레를 따라 테이프와 같은 밴딩 부재 혹은 링형상의 밴드로 체결된다. 결속부재(600)가 압전소자(410)의 하부면를 둘러싸도록 엔클로저부(300)의 다리부(320)는 편평면(310)의 양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를 제외한 양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결속부재(600)는 진동부(20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다리부(320) 사이로 감겨진다. 이는 결과적으로 결속부재를 수단으로 하여 중량부의 중심 영역과 진동부의 중심 영역과의 결속을 돕는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가늘고 긴 진동 플레이트(420)를 대신하여 3개의 구성부재로 이루어진 진동 플레이트(420)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로 하면, 진동 플레이트(420)는 한쌍의 제1 플레이트(421)와 하나의 제2 플레이트(422)로 구성되되, 한쌍의 제1 플레이트(421)는 소정의 간격, 바람직하기로 압전소자(410)의 길이보다 큰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혹은, 제2 플레이트(422)의 길이는 압전소자(410)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도록 한다. 압전소자(310)는 제2 플레이트(422)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422)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 플레이트(421)의 사이에 배치되고 한쌍의 제1 플레이트(421)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기로, 한쌍의 제1 플레이트(421)는 제2 플레이트(422)의 양 단부 하부면에 결합되고, 압전소자(410)는 제2 플레이트(422)의 하부면과 한쌍의 제1 플레이트(421)로 한정된 공간에 배치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한쌍의 제1 플레이트(421)는 압전소자의 변형에 종속되어 탄성력을 가진 금속재질, 서스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422)는 압전소자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가진 인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1 플레이트(421)와 제2 플레이트(422)는 다양한 재질로 대체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1' -----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100 ----- 케이스
200 ----- 중량부
300 ----- 엔클로저부
400 ----- 진동부
410 ----- 압전소자
500 ----- 연성회로기판
600 ----- 결속부재
900 ----- 커버부재

Claims (17)

  1. 양 단부에 안착부를 구비하며 편평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진동 플레이트와,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을 반복하여 진동력을 생성하고, 진동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압전소자를 갖춘 진동부;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진동부 상에 배치된 중량부;
    일측면을 개방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상호 대향되게 마주보고 있는 내측면에 각각의 블록을 구비하는 케이스;
    편평면 및 상기 편평면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편평면의 양 가장자리에서 수직하방으로 뻗은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부와 상기 진동부 사이에 마련되는 엔클로저부;

    상기 진동부와 중량부를 고정하는 결속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이격되어 제2 플레이트 양 단부의 하단에 결합된 한쌍의 제1 플레이트와 상기 한쌍의 제1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면에 압전소자가 배치된 제2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편평면은 상기 압전소자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면과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면은 충돌완충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진동부와 중량부의 중심 영역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이의 양 단부에 안착부를 구비하는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 일측면은 상기 커버부재로 차폐되는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이의 중심 영역 외주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136888A 2014-10-10 2014-10-10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KR101640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88A KR101640446B1 (ko) 2014-10-10 2014-10-10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US14/707,827 US9931671B2 (en) 2014-10-10 2015-05-08 Piezoelectric vibration actu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88A KR101640446B1 (ko) 2014-10-10 2014-10-10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667A KR20160042667A (ko) 2016-04-20
KR101640446B1 true KR101640446B1 (ko) 2016-07-18

Family

ID=5565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888A KR101640446B1 (ko) 2014-10-10 2014-10-10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31671B2 (ko)
KR (1) KR101640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26B1 (ko) 2018-05-14 2019-10-17 주식회사 넥스벨 진동 액추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2687A (zh) * 2016-01-29 2018-08-3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振动装置
DE102020102516B3 (de) * 2020-01-31 2021-02-18 Kyocera Corporation Taktilvibrations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8232A (en) * 1968-08-12 1970-11-03 Sonotone Corp Musical instrument and piezoelectric pickup with diaphragms and inertial mass
JPH0274868A (ja) * 1988-09-09 1990-03-14 Nissan Motor Co Ltd 圧電型力学量センサ
JPH02119784U (ko) * 1989-03-08 1990-09-27
EP1803168A4 (en) * 2004-10-21 2009-05-20 Michelin Soc Tech MINIATURIZED PIEZOELECTRICALLY BASED VIBRATION ENERGY COLLECTION DEVICE
DE102007006994A1 (de) * 2006-08-11 2008-02-14 Robert Bosch Gmbh Schaltungsmodul
JP5136644B2 (ja) * 2008-07-14 2013-02-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発電装置
KR101250798B1 (ko) * 2009-10-27 2013-04-04 주식회사 로브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WO2013051806A2 (ko) * 2011-10-06 2013-04-11 (주)하이소닉 압전소자가 장착된 바이브레이터
US9054294B2 (en) * 2011-10-06 2015-06-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oft mechanical stops to limit over-travel of proof masses in cantilevered piezoelectric devices
KR101320176B1 (ko) * 2011-12-26 2013-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KR101354893B1 (ko) 2012-05-08 2014-0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진동모듈
KR101409512B1 (ko) * 2012-05-08 2014-06-19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진동모듈
KR101438477B1 (ko) * 2012-12-05 2014-09-12 주식회사 하이소닉 햅틱 액추에이터
KR101515136B1 (ko) * 2012-12-17 2015-05-04 (주)테라다인 피에조 엑츄에이터
KR20140085268A (ko) 2012-12-27 2014-07-07 (주)테라다인 피에조 액츄에이터
JP5843371B2 (ja) * 2013-03-20 2016-01-13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振動発生装置
CN203278764U (zh) * 2013-05-13 2013-11-06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压电振动器
CN106232244B (zh) * 2014-04-24 2019-03-2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振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26B1 (ko) 2018-05-14 2019-10-17 주식회사 넥스벨 진동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01438A1 (en) 2016-04-14
KR20160042667A (ko) 2016-04-20
US9931671B2 (en)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071B1 (ko) 압전진동모듈
KR101354856B1 (ko) 압전진동모듈
KR101354893B1 (ko) 압전진동모듈
KR101569231B1 (ko) 압전진동모듈
KR101432438B1 (ko) 압전진동모듈
KR101913341B1 (ko) 압전진동모듈
KR101539044B1 (ko) 음향을 발생시키는 장치
KR20140071184A (ko) 진동발생장치
US10848123B2 (en) Vibration device
KR20150082938A (ko) 압전 진동 모듈
KR101409512B1 (ko) 압전진동모듈
KR101640446B1 (ko)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TW201324279A (zh) 激振裝置
KR20150097276A (ko)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와 이의 제작 방법
KR101569007B1 (ko) 진동발생장치
JP4931073B2 (ja) 音響信号発生用圧電装置
KR101648863B1 (ko)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40081148A (ko) 압전진동모듈
KR101343214B1 (ko) 압전진동모듈
KR20140073182A (ko) 압전진동모듈
KR101964302B1 (ko) 압전 액추에이터
KR102138325B1 (ko) 압전 진동 모듈과 이를 구비한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KR20140146412A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59018A (ko) 진동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