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231B1 - 압전진동모듈 - Google Patents

압전진동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231B1
KR101569231B1 KR1020110064704A KR20110064704A KR101569231B1 KR 101569231 B1 KR101569231 B1 KR 101569231B1 KR 1020110064704 A KR1020110064704 A KR 1020110064704A KR 20110064704 A KR20110064704 A KR 20110064704A KR 101569231 B1 KR101569231 B1 KR 101569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ibration
piezoelectric element
engaging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377A (ko
Inventor
김재경
박동선
손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231B1/ko
Priority to US13/536,332 priority patent/US9117999B2/en
Priority to CN201210225676.1A priority patent/CN102857189B/zh
Publication of KR2013000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77A/ko
Priority to US14/138,876 priority patent/US2014017594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6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only longitudinal or thickness displacement, e.g. d33 or d31 typ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1Beam ty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7Membrane type
    • H10N30/2048Membrane type having non-plan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진동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인장 및 압축 변형을 반복하여 진동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자와, 일면에 상기 압전소자가 결합되고, 상기 압전소자와 일체로 인장 및 압축 변형을 반복하여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외부부품으로 전달하는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중앙부가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와 상기 진동플레이트를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전진동모듈 {Piezo Vibration module}
본 발명은 압전진동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e-book, 게임기, PMP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진동기능은 여러가지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는 주로 휴대전화 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주로 탑재되어 무음의 착신 신호인 경보 기능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기능화에 맞추어 진동발생장치는 현재 소형 및 집적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를 간편하게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 방식의 디바이스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개념이란, 터치하여 입력하는 개념 이외에도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직관적 경험을 반영하고 터치에 대한 피드백을 더 다양화하는 개념까지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따라서, 터치 방식의 디바이스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는 주로 압전 소자를 이용한 진동 모터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편심을 이용하는 기존 진동 모터 대비 빠른 응답 속도 및 다양한 주파수에서 구동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진동발생장치의 진동 전달 방식은 진동모터 혹은 Linear Actuator를 휴대용 전자기기 Set(세트 또는 본체)의 내부에 장착시켜 진동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발생장치(13)가 장착되는 위치가 휴대용 전가기기 세트(또는 본체,10) 쪽이기 때문에 Touch Screen Panel(TSP,11)에서 손가락을 눌러 작동시킬 때 휴대용 전자기기를 쥐고 있는 손에는 진동력이 잘 전달되지만 손가락으로 입력하는 위치인 TSP(11)에 까지 충분히 진동력이 전달되지 못하여 사용자는 작은 진동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SP(11)에서의 진동력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LCD(12)하면에 진동발생장치를 직접 부착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기존의 진동발생장치(13)의 경우 박형 설계가 어렵기 때문에, LCD(12) 뒷면에 장착하여 구동시키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형화 및 TSP(Touch Screen Panel)으로 진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LCD 하면에 부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압전진동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은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인장 및 압축 변형을 반복하여 진동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자와, 일면에 상기 압전소자가 결합되고, 상기 압전소자와 일체로 인장 및 압축 변형을 반복하여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외부부품으로 전달하는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중앙부가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와 상기 진동플레이트를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와 대향되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쪽 일측면과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의 양쪽 일측면을 고정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와 대향되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쪽 일측면과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의 양쪽 일측면을 고정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상기 중량체의 양단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중량체의 양쪽 일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량체와 고정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중량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량체를 상기 진동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탈착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중량체를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가 상기 제2 결합부의 내주면에 도포되기 위하여 상기 제2 결합부의 내주면에 다수 개의 접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와 대향되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쪽 일측면과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의 양쪽 일측면을 고정결합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상기 중량체의 양단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중량체의 양쪽 일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량체와 고정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중량체의 양쪽 타측면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량체의 양쪽 타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량체와 고정결합되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중량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량체를 상기 진동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탈착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3 결합부와 상기 중량체를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가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3 결합부의 내주면에 도포되기 위하여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3 결합부의 내주면에 다수 개의 접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는 단층형 또는 다층형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체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고정결합되는 상기 중앙부에서부터 상기 중량체의 양단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체의 양단부에는 접촉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중량체와 고정결합하지 않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은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부품과 결합하여 진동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은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인장 및 압축 변형을 반복하여 진동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자와, 일면에 상기 압전소자와 결합되고, 상기 압전소자와 일체로 인장 및 압축 변형을 반복하여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외부부품으로 전달하는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중앙부가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와 상기 진동플레이트를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쪽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량체와 이격되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압전소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결합부에 고정결합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체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고정결합되는 상기 중앙부에서부터 상기 중량체의 양단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와 대향되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쪽 일측면과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의 양쪽 일측면을 고정결합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상기 중량체의 양단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중량체의 양쪽 일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량체와 고정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중량체의 양쪽 타측면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량체의 양쪽 타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량체와 결합되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중량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량체를 상기 진동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탈착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3 결합부와 상기 중량체를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가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3 결합부의 내주면에 도포되기 위하여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3 결합부의 내주면에 다수 개의 접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중량체의 접촉 및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주면 또는 상기 중량체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방진부재 및 상기 중량체와 고정결합하지 않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체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압전소자의 압축 변형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 방향으로의 구동시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하부 케이스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픈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은 외부부품과 결합되고, 상기 압전소자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오픈영역을 통하여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외부부품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의 압축 변형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 방향으로 구동시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제3 방진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FP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세트를 구성하는 LCD에 직접적으로 진동력을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빠른 터치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압전소자, 진동플레이트 및 중량체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세트의 다양한 위치에 손쉽게 부착시킴으로써 작업 수율의 향상, 작업 프로세스의 간소화, 제품의 내구성 향상 및 압전진동모듈의 박형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와 본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과 본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플레이트의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압전진동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구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플레이트의 제2 실시예를 포함하는 압전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플레이트의 제3 실시예를 포함하는 압전진동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진동플레이트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플레이트의 제4 실시예를 포함하는 압전진동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진동플레이트의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결합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결합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 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과 본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플레이트의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압전진동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구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TSP(Touch Screen Panel,11)에 직접적으로 진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TSP(11)의 하부에 결합하는 LCD(12)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압전소자(110), 진동플레이트(120), 중량체(130), 결합부재(221a), 지지부재(140) 및 접촉방지부재(15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소자(110)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인장 및 압축 변형을 반복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면에 상기 중량체(130)가 결합된 상기 진동플레이트(120) 또한 상기 압전소자(110)와 일체로 인장 및 압축 변형을 반복하게 되어 진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110)는 단층형 또는 다층형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만약, 다층형으로 적층하여 상기 압전소자(110)를 구성할 경우에는 낮은 외부전압에서도 상기 압전소자(110)의 구동에 필요한 전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진동모듈의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전소자(110)를 다층형으로 적층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전소자(110)는 본딩 방식 또는 솔더링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일면에 결합 된다.
상기 진동플레이트(120)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인장 및 압축 변형을 반복하는 상기 압전소자(110)와 일체로 변형되기 위하여 서스(Sus)와 같은 탄성력을 구비한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와 상기 압전소자(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딩 방식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접착부재의 경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벤딩(Bend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120)는 상기 압전소자(110)의 열팽창계수와 유사한 재질인 인바(Invar)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압전소자(110)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인바 재질로 구성되는 상기 진동플레이트(120)로 인하여 상기 압전소자(110)는 고온의 외부환경에서의 작동 또는 열 충격 시 발생하는 써멀 스트레스(Thermal Stress)가 감소되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압전 열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진동플레이트(120)는 본딩 방식 또는 솔더링 방식으로 상기 중량체(120)와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중량체(120)의 일측면에 결합하는 결합부(121a)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터(100)는 진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타면에 상기 중량체(130)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터(100)의 진동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체(130)는 상기 압전소자(110)의 인장 및 압축 변형에 따라 최대로 변위가 일어나는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최대 변위지점에 상기 중량체(130)의 중앙부가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중량체(130)의 중앙부와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상기 최대 변위지점을 상기 결합부재(121a)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중량체(130)는 금속(Steel)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동일 체적에서 밀도가 높은 텅스텐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상하방향으로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중량체(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체(130)의 표면은 액상으로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130)는 진동력을 최대로 증가시키고 상기 중량체(130)와 고정결합하지 않는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체(130)의 중앙부에서부터 상기 중량체(130)의 양단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라운드부(131)가 형성된다.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본체를 구성하는 외부부품인 LCD(12)에 결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단은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양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LCD(12)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부재(140)를 이용하여 진동력을 외부부품인 상기 LCD(12)에 전달한다.
도 4a는 외부전원이 인가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외부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압전소자(110)가 압축되어 상기 압전진동모듈(100)이 상기 LCD(12)의 방향으로 구동하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상기 압전소자(110)가 인장되어 상기 압전진동모듈(100)이 반대방향으로 구동하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체(130)의 형상은 중앙부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며, 상기 라운드부(131)를 구비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압전소자(110)가 압축되어 상기 진동플레이트(120)가 상기 LCD(12) 방향으로 변형되어도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와 상기 중량체(130)는 서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압전진동모듈(100)의 구동을 전혀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중량체(130)의 중앙부과 이에 대향되는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최대 변위지점이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중량체의 전체 면과 진동플레이트의 전체 면이 결합하는 구조에 비해 보다 큰 진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도한 진동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중량체(130)와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접촉에 의한 마찰 및 파손을 방지하고자 상기 중량체(130)의 상기 라운드부(131)에는 방진재질로 구성되는 접촉방지부재가 부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중량체(130)의 양단부에 상기 접촉방지부재(150)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플레이트의 제2 실시예를 포함하는 압전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진동모듈(100)의 상하방향의 구동에 의해 상기 중량체(130)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120)는 제1 결합부(121b) 및 제2 결합부(122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부(121b)는 본딩 방식 또는 솔더링 방식으로 상기 중량체(130)의 중앙부에 대향하는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양쪽 일측면과 상기 중량체(130)의 중앙부의 양쪽 일측면을 고정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122b)는 상기 제1 결합부(121b)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량체(130)의 양단부를 향하도록 상기 중량체(13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양쪽 일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량체(130)와 고정결합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플레이트의 제3 실시예를 포함하는 압전진동모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진동플레이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플레이트(120)는 탈착방지부(123b) 및 접착홈(124b)을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탈착방지부(123b)는 상기 제2 결합부(122b)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중량체(13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량체(130)를 상기 진동플레이트(12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탈착방지부(123b)와 대응하는 단차부(132)가 상기 중량체(130)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중량체(130)는 상기 진동플레이트(120)가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거나 아니면 정지상태로 있더라도 항시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상기 중량체(130)가 중력이 작용하는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압전진동모듈(100)이 상기 LCD(12)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중량체(130)는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상기 탈착방지부(120b)에 의해 항시 상기 진동플레이트(120)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 상기 진동플레이트(120)로부터 탈착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도한 구동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중량체(130)는 항상 진동플레이트(120)와 일체로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홈(124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결합부(122b)와 상기 중량체(13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가 상기 제2 결합부(122b)의 내주면에 도포되기 위하여 상기 제2 결합부(122b)의 내주면에 다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플레이트의 제4 실시예를 포함하는 압전진동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진동플레이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진동모듈(100)의 상하방향의 구동에 의해 상기 중량체(130)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120)는 제1 결합부(121c), 제2 결합부(122c), 제3 결합부(123c), 탈착방지부(124c) 및 접착홈(125c)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21c)는 본딩 방식 또는 솔더링 방식으로상기 중량체(130)의 중앙부에 대향하는 상기 진동플레이트(120)의 양쪽 일측면과 상기 중량체(130)의 중앙부의 양쪽 일측면을 고정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122c)는 상기 제1 결합부(121c)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량체(130)의 양단부를 향하도록 상기 중량체(13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중량체(130)의 양쪽 일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량체(130)와 고정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3 결합부(123c)는 상기 제2 결합부(122c)로부터 연장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량체(130)의 너비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량체(130)의 너비 방향에 해당하는 따라 상기 중량체(130)의 양쪽 타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량체(130)와 고정결합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B 부분을 확대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방지부(124c)는 상기 제2 결합부(122c)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중량체(13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량체(130)를 상기 진동플레이트 (120)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탈착방지부(123b)와 대응하는 단차부(132)가 상기 중량체(130)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착홈(125c)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결합부(122c) 또는 상기 제3 결합부(123c)와 상기 중량체(130)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가 상기 제2 결합부(122c) 또는 상기 제3 결합부(123c)의 내주면에 도포되기 위하여 상기 제2 결합부(122c) 또는 상기 제3 결합부(123c)의 내주면에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결합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진동모듈(200)은 압전소자(210), 진동플레이트(220), 중량체(230), FPC(240), 복수 개의 방진부재(250a, 250b, 250c), 상부 케이스(310), 하부 케이스(320) 및 부착부재(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과 대응되는 구성요소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진동모듈(200)의 박형화 및 주변부품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310)는 상기 압전소자(210)와 진동플레이트(220) 및 중량체(230)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중량체(130)의 상부와 이격되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310)는 상기 진동플레이트(220)의 양쪽 단부와 결합되기 위하여 양 측면에 결합부(311)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플레이트(220)의 양쪽 단부가 상기 결합부(311)에 결합되고 후술할 상기 하부 케이스(320)에 형성된 돌출부(321)가 상기 결합부(311)에 고정결합됨으로써, 상기 진동플레이트(220)의 양쪽 끝단은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하부 케이스(320)에 의해 지지되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소자(210)의 인장 및 압축 변형에 의해 상기 진동플레이트(220)가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하부 케이스(32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구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3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311)에 고정결합되는 상기 돌출부(3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압전소자(210)의 압축 변형으로 인한 상기 진동플레이트(220)의 구동 변위를 충분히 확보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320) 방향으로 구동시 상기 압전소자(210)와 상기 하부 케이스(320)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진동플레이트(220)의 최대 변위 지점과 대향되는 영역에 오픈영역(3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하면으로는 세트와 결합하기 위하여 접착재질로 구성된 상기 부착부재(400)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하면으로 상기 부착부재(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재(400)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상기 오픈영역(322)과 대응되는 오픈영역(4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전진동모듈(200)은 상기 상부 케이스(310)와 상기 중량체(230)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체(230)의 상부 또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내측 상부에 선택적으로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제1 방진부재(250a)가 부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중량체(230)의 상부에 상기 제1 방진부재(250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도한 진동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중량체(230)와 상기 진동플레이트(220)의 접촉에 의한 마찰 및 파손을 방지하고자 상기 중량체(230)의 상기 라운드부(231)에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제2 방진부재(250b)가 부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중량체(230)의 양단부에 상기 제2 방진부재(250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소자(210)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압전소자(210)의 하면에 FPC(240)가 결합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과도한 진동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오픈영역(322)을 통하여 상기 압전소자(310)와 외부부품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전소자(210)의 하면에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제3 방진부재(250c)가 결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결합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한 진동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압전소자(310)와 하부 케이스(320b)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320b)의 상부에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제3 방진부재(250c)가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하부 케이스(320b)의 상부에는 상기 제3 방진부재(250c)가 수용되기 위한 결합홈(322b)이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200: 압전진동모듈 110, 210: 압전소자
120, 220: 진동플레이트 130, 230; 중량체
140: 지지부재 150: 접촉방지부재
240: FPC 250a: 제1 방진부재
250b: 제2 방진부재 250c: 제3 방진부재
310: 상부 케이스 320, 320b: 하부 케이스
400, 400b: 부착부재

Claims (20)

  1.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인장 및 압축 변형을 반복하여 진동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자와;
    일면에 상기 압전소자가 결합되고, 상기 압전소자와 일체로 인장 및 압축 변형을 반복하여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외부부품으로 전달하는 진동플레이트;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타면에 배치된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와 상기 진동플레이트를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와 대향되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쪽 일측면과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의 양쪽 일측면을 고정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상기 중량체의 양단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중량체의 양쪽 일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량체와 고정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중량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량체를 상기 진동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탈착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중량체를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가 상기 제2 결합부의 내주면에 도포되기 위하여 상기 제2 결합부의 내주면에 다수 개의 접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중량체의 양쪽 타측면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량체의 양쪽 타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량체와 고정결합되는 제3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중량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량체를 상기 진동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탈착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3 결합부와 상기 중량체를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가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3 결합부의 내주면에 도포되기 위하여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3 결합부의 내주면에 다수 개의 접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단층형 또는 다층형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고정결합되는 상기 중앙부에서부터 상기 중량체의 양단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양단부에는 접촉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중량체와 고정결합하지 않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부품과 결합하여 진동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쪽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량체와 이격되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압전소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결합부에 고정결합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중량체의 접촉 및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주면 또는 상기 중량체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방진부재; 및
    상기 중량체와 고정결합하지 않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타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체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압전소자의 압축 변형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 방향으로의 구동시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하부 케이스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픈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은 외부부품과 결합되고, 상기 압전소자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오픈영역을 통하여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외부부품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의 압축 변형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 방향으로 구동시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제3 방진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FP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KR1020110064704A 2011-06-30 2011-06-30 압전진동모듈 KR101569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04A KR101569231B1 (ko) 2011-06-30 2011-06-30 압전진동모듈
US13/536,332 US9117999B2 (en) 2011-06-30 2012-06-28 Piezoelectric vibration module
CN201210225676.1A CN102857189B (zh) 2011-06-30 2012-06-29 压电振动模块
US14/138,876 US20140175947A1 (en) 2011-06-30 2013-12-23 Piezoelectric vibrat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04A KR101569231B1 (ko) 2011-06-30 2011-06-30 압전진동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77A KR20130003377A (ko) 2013-01-09
KR101569231B1 true KR101569231B1 (ko) 2015-11-16

Family

ID=4738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704A KR101569231B1 (ko) 2011-06-30 2011-06-30 압전진동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117999B2 (ko)
KR (1) KR101569231B1 (ko)
CN (1) CN1028571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0017B2 (en) * 2013-01-18 2017-03-0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igh resolution low power consumption OLED display with extended lifetime
KR102026905B1 (ko) * 2013-03-29 2019-11-04 주식회사 엠플러스 압전진동모듈
US9431926B2 (en) 2013-05-23 2016-08-30 Mplus Co., Lt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40137722A (ko) * 2013-05-23 2014-12-03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101648863B1 (ko) * 2013-05-23 2016-08-17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514531B1 (ko) * 2013-07-12 2015-04-22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101715926B1 (ko) * 2014-05-14 2017-03-14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975087B (zh) * 2016-06-14 2019-04-26 苏州攀特电陶科技股份有限公司 压电振动模块
CN105975088A (zh) * 2016-06-14 2016-09-28 苏州攀特电陶科技股份有限公司 压电振动模块
DE102016116763A1 (de) * 2016-09-07 2018-03-08 Epcos Ag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haptischen Rückmeldung
KR102655324B1 (ko) * 2016-12-09 2024-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19454B1 (ko) * 2017-07-31 2018-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TWI637303B (zh) * 2017-10-11 2018-10-01 聯陽半導體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及觸控裝置的操作方法
KR102599125B1 (ko) * 2018-10-31 2023-1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진동 출력 소자
CN111538404B (zh) * 2019-12-27 2023-10-03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触觉反馈器
FI20205029A1 (en) * 2020-01-14 2021-07-15 Aito Bv HAPPTIC EFFEC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8692A (ja) 1998-08-31 2000-03-14 Kyocera Corp 圧電振動体
JP2005278227A (ja) 2004-03-22 2005-10-06 Sharp Corp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制御機器
US20080136292A1 (en) 2004-10-21 2008-06-12 Jack Thiesen Miniaturized Piezoelectric Based Vibrational Energy Harvest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5515B2 (ja) * 1999-10-01 2007-08-29 日本碍子株式会社 圧電/電歪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FR2850217A1 (fr) * 2003-01-17 2004-07-23 Cedrat Technologies Actionneur piezoactif a deplacement amplifie amorti
JP2005045691A (ja) * 2003-07-24 2005-02-17 Taiyo Yuden Co Ltd 圧電振動装置
DE102005028970A1 (de) * 2005-06-22 2006-12-28 Siemens Ag Piezoakter mit gesteigertem Hubvermögen
JP4946272B2 (ja) * 2006-08-30 2012-06-0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該電気音響変換器を搭載するソーナー用送信器
DE102008000816A1 (de) * 2008-03-26 2009-10-0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regung und/oder Dämpfung und/oder Erfassung struktureller Schwingungen einer plattenförmigen Einrichtung mittels einer piezoelektrischen Streifeneinrichtung
KR101250798B1 (ko) 2009-10-27 2013-04-04 주식회사 로브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8692A (ja) 1998-08-31 2000-03-14 Kyocera Corp 圧電振動体
JP2005278227A (ja) 2004-03-22 2005-10-06 Sharp Corp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制御機器
US20080136292A1 (en) 2004-10-21 2008-06-12 Jack Thiesen Miniaturized Piezoelectric Based Vibrational Energy Harv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77A (ko) 2013-01-09
US20130002093A1 (en) 2013-01-03
CN102857189A (zh) 2013-01-02
CN102857189B (zh) 2016-10-26
US9117999B2 (en) 2015-08-25
US20140175947A1 (en)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231B1 (ko) 압전진동모듈
JP5409925B2 (ja) 圧電振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JP5558577B2 (ja) 圧電振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KR101354893B1 (ko) 압전진동모듈
JP2011091719A (ja) 撓み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
WO2012161061A1 (ja) 触覚提示装置
JP5763122B2 (ja) 圧電振動モジュール
KR101539044B1 (ko) 음향을 발생시키는 장치
WO2014050983A1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409512B1 (ko) 압전진동모듈
KR20130125169A (ko) 압전진동모듈
US9931671B2 (en) Piezoelectric vibration actuator
JP4931073B2 (ja) 音響信号発生用圧電装置
JP6335626B2 (ja) 触感伝達装置
KR101544834B1 (ko) 압전진동발생기
KR101877504B1 (ko) 압전 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2015180053A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端末
JP4160042B2 (ja)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
JP2014121697A (ja) 圧電振動モジュール
JP5947006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
JP2017118424A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423148B2 (ja) 圧電振動伝達素子
KR20140073182A (ko) 압전진동모듈
KR20150078637A (ko) 압전 진동 모듈과 이를 구비한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