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008B1 -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 Google Patents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008B1
KR101616008B1 KR1020140087660A KR20140087660A KR101616008B1 KR 101616008 B1 KR101616008 B1 KR 101616008B1 KR 1020140087660 A KR1020140087660 A KR 1020140087660A KR 20140087660 A KR20140087660 A KR 20140087660A KR 101616008 B1 KR101616008 B1 KR 10161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x
cart
couple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255A (ko
Inventor
이준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팩
Priority to KR102014008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0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4Means for facilitating stowing or transporting of the trolleys; Antithef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2Boxes, C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박스 판재가 적재되는 상부 프레임, 복수의 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며,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 판재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 판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박스이송장치로 이송해서 자동으로 하역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직접 이송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적재한 상태 그대로 박스 판재를 박스이송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Box moving cart for Box making machine}
본 발명은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 판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박스이송장치로 박스 판재를 이송하여 자동으로 박스 판재를 하역할 수 있는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함기는 각종 상품을 포장하는 포장 박스를 만들기 위해 판상의 박스 판재를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주는 기계를 말한다.
포장박스는 골판지나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의 박스 판재를 용도에 맞는 전개도 형태로 절단한 후 육면체 형태로 접어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면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공개 제2002-006983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제함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제함기는 박스 판재를 제함기로 하나씩 공급하는 공급장치에 박스 판재를 적재할 때 작업자가 일일이 박스 판재를 이송하고 수작업으로 적재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2-0069835호(공개일: 2002. 09. 0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 판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박스이송장치로 박스 판재를 이송하여 자동으로 박스 판재를 하역할 수 있는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는, 복수의 박스 판재가 적재되는 상부 프레임, 복수의 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며,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 판재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박스 판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카트 적재부와, 상기적재된 박스 판재의 양측을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 적재부는 상기 가이드 패널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 유닛에 의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박스 판재가 하역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손잡이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바퀴를 향해 하향 연장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와 접촉 또는 분리되는 제동부와, 상기 링크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제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면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단부가 상기 링크부의 상부를 당기면서 인장되고,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링크부를 작동 전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동부는 상기 링크부가 상승할 때 상기 바퀴와 분리되고, 상기 링크부가 하강할 때 상기 바퀴에 접촉하여 상기 바퀴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카트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브래킷과, 상기 승강 브래킷에 결합되어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력 제공부와, 상기 승강력 제공부를 작동시키는 발판과, 상기 승강력 제공부 및 발판을 연결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브래킷은 일단이 상기 카트 적재부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력 제공부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력 제공부는 작업자가 상기 발판을 밟으면 상기 연결 링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승강 브래킷을 상승시키고, 상기 발판을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승강 브래킷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폭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카트 적재부와, 상기 카트 적재부의 폭 조절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 패널과, 상기 카트 적재부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 적재부는 상기 박스 판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바닥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과, 상기 박스 판재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폭 조절부에 의해 상호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폭 조절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박스 판재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면 가이드 패널을 각각 하부에서 지지하는 슬라이딩부와, 일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측면 가이드 패널의 하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절 샤프트와, 상기 조절 샤프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는 박스 판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박스이송장치로 이송해서 자동으로 하역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직접 이송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적재한 상태 그대로 박스 판재를 박스이송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500)는 각기 다른 사이즈의 박스 판재(100)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 박스공급장치(300)로 박스 판재(100)를 이송 및 하역하는 기구이다. 기존에 작업자가 박스 판재(100)를 들어서 옮기던 방식에서 박스이송카트(500)에 복수의 박스 판재(100)를 먼저 적재한 후 적재한 상태 그대로 자동으로 박스공급장치(300)로 박스 판재(100)를 하역하는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장점을 갖는 박스이송카트(500)의 상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박스이송카트(500)는 크게 박스 판재(100)가 적재되는 상부 프레임(510)과, 이동 가능하게 복수의 바퀴(532)가 결합된 하부 프레임(530)과, 상부 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30)을 연결하며 손잡이(552)가 구비된 지지 프레임(550)으로 구성된다. 손잡이(552)는 이동 중 정지 시 사용되는 제동 유닛(570)에 연결되고, 적재된 박스 판재(100)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590)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프레임(510)은 박스 판재(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카트 적재부(512)와, 적재된 박스 판재(100)의 양측을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514)로 구성되며, 카트 적재부(512)는 승강 유닛(590)에 의해 승강된다.
카트 적재부(512)는 상부 프레임(51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복수의 박스 판재(100)가 적재된다. 박스 판재(100)는 판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겹쳐서 적재되며, 박스 판재(100)는 판면이 박스이송카트(500)의 전방을 향하도록 적재되었다가 적재된 상태 그대로 박스공급장치(300)로 하역된다. 카트 적재부(512)는 승강 유닛(590)에 의해 승강하며, 이를 위해 가이드 패널(514)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박스 판재(100)가 적재될 때에는 가이드 패널(514)과 결합되며, 박스 판재(100)가 하역될 때에는 승강 유닛(590)에 의해 상승하여 가이드 패널(514)로부터 분리된다.
가이드 패널(514)은 상부 프레임(510)의 양측면을 형성하며, 복수의 박스 판재(100)가 적재된 상태에서 박스 판재(100)의 하부 양측을 지지한다. 가이드 패널(514)은 복수의 지지 브래킷(516)에 의해 하부 프레임(530)에 결합됨으로써 카트 적재부(512)가 이동하더라도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하부 프레임(530)의 상부에는 가이드 패널(514) 및 승강 유닛(590)이 결합되어 지지되며, 하부에는 복수의 바퀴(532)가 결합되어 박스이송카트(500)의 이동 수단이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이 별도로 구분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하부 프레임이 하나의 지지 구조를 형성하고 박스 판재를 적재하는 카트 적재부만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유닛은 하부 프레임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 프레임(550)은 상부 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30)을 일측에서 상호 연결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552)가 구비된다. 지지 프레임(550)은 박스 판재(100)의 적재 및 하역 시 간섭되지 않도록 박스 판재(100)가 하역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552)는 일단이 지지 프레임(550)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손잡이(55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손잡이 프레임(554)에 연결된다. 작업자가 손잡이(552)를 하향 가압하면 손잡이 프레임(554)의 일단이 지지 프레임(550)을 기준으로 상향 이동하고, 손잡이(552)를 가압하는 힘을 해제하면 손잡이 프레임(554)의 일단이 지지 프레임(550)을 기준으로 하향 이동한다.
제동 유닛(570)은 링크부(572) 및 링크부(57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74)와, 링크부(572)에 의해 작동되어 바퀴(532)를 가압해 정지시키는 제동부(576)로 구성된다.
링크부(572)는 손잡이 프레임(55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바퀴(532)를 향해 하향 연장되며, 연장된 하단에 제동부(576)가 형성된다. 링크부(572)의 상부에는 탄성부재(574)가 결합된다.
탄성부재(574)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 프레임(554)에 의해 링크부(572)의 상단이 상승될 때 인장되고, 손잡이 프레임(554)으로부터 작용되는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되어 링크부(572)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탄성부재(574)는 링크부(572)와 손잡이 프레임(554)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링크부(57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부(572)를 상승 및 복원시킬 수 있다면 유압 실린더 등 다른 구성품으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
제동부(576)의 재질은 고무나 실리콘,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블록(block)이나 패드(pad)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동부(576)는 바퀴(532)의 외주면에 접촉해 바퀴(532)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바퀴(532)의 회전을 정지시켜 박스이송카트(500)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작업자가 박스이송카트(500)를 이동시킬 때에는, 손잡이(552)를 하향 가압하여 손잡이 프레임(554)을 지지 프레임(550)을 기준으로 일단이 상향 이동하도록 한다. 손잡이 프레임(554)의 일단이 상향 이동하면서 링크부(572)의 상단이 상향 이동하게 되며 탄성부재(574)가 인장된다. 이에 따라 링크부(572)의 하단에 형성된 제동부(576)가 바퀴(532)로부터 이격되어 바퀴(532)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작업자가 박스이송카트(500)를 정지시킬 때에는, 손잡이(552)를 하향 가압하는 힘을 해제하여 손잡이 프레임(554)을 지지 프레임(550)을 기준으로 일단이 하향 이동하도록 한다. 손잡이 프레임(554)의 일단이 하향 이동하면서 탄성부재(574)를 인장시키던 힘이 해제되어 링크부(572)의 상단이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링크부(572)의 하단에 형성된 제동부(576)가 바퀴(532)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바퀴(532)를 가압하여 바퀴(532)의 회전이 정지되고 박스이송카트(500)가 정지된다. 박스이송카트(500)를 박스공급장치(300)로 이동시킨 후 정지하고, 박스 판재(100)를 박스공급장치(300)로 하역하게 된다. 이때 승강 유닛(590)에 의해 박스 판재(100)를 박스공급장치(300)로 하역할 수 있다.
승강 유닛(590)은 카트 적재부(512)를 승강시키는 승강 브래킷(592)과, 승강 브래킷(592)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력 제공부(594)와, 승강력 제공부(594)를 작동시키는 발판(596), 승강력 제공부(594)와 발판(596)을 연결하는 연결 링크(598)로 구성된다.
승강 브래킷(592)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일단이 카트 적재부(512)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하부 프레임(530)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 브래킷(592)은 한 쌍이 서로 교차되게 'X'자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서로 교차된 승강 브래킷(592)의 쌍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교차된 승강 브래킷(592)의 쌍 중 어느 하나에는 승강력 제공부(594)가 결합된다.
승강력 제공부(594)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단이 승강 브래킷(592) 상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부 프레임(530) 상에 결합되어 승강력이 제공될 때에는 승강 브래킷(592)을 밀어 올리고, 승강력이 해제될 때에는 승강 브래킷(592)을 끌어 내린다. 따라서 승강 브래킷(592)을 승강시킬 수 있다면 유압 실린더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구성품으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 승강력 제공부(594)는 연결 링크(598)에 의해 발판(596)에 연결된다.
발판(596)은 작업자가 밟을 수 있는 패널 형태로, 작업자가 발판(596)을 밟으면 연결 링크(598)가 승강력 제공부(594)를 가압하고, 작업자가 별도로 구비된 해제수단(미도시)을 작동하면 연결 링크(598)에 제공되던 외력이 해제된다. 즉, 발판(596)을 밟으면 승강력 제공부(594)가 가압되며, 유압에 의해 승강 브래킷(592)이 상승하면서 카트 적재부(512)를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발판(596)에 의해 카트 적재부(512)가 승강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을 구비하고 자동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자동으로 카트 적재부가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단,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박스이송카트에 박스 판재(100)의 크기에 따라 카트 적재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박스이송카트는 하부 프레임(530')의 상부에 폭 조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카트 적재부(630)와, 카트 적재부(630)의 폭 조절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 패널(620)이 구비되고, 카트 적재부(63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 조절부(640)가 하부 프레임(530')의 상부에 설치된다.
카트 적재부(630)는 박스 판재(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바닥 프레임(632)과, 바닥 프레임(632)의 전면 및 후면(편의상 손잡이 쪽을 후면으로 정의함)에 각각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634) 및 후면 프레임(636)과, 박스 판재(10)의 측면을 지지하며 폭 조절부(640)에 의해 상호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638)으로 구성된다. 카트 적재부(630)의 높이 조절 방법은 제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전면 프레임(634)은 박스 판재(10)의 이송 방향을 차단하지 않도록 바닥 프레임(6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프레임(634)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 박스 판재(10)가 이동될 때 박스 판재(10)에 의해 밀려 회전함으로써 자동으로 이송 방향을 개방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638)은 측면 가이드 패널(62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박스 판재(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박스 판재(10)의 높이가 낮으면 박스 판재(10)의 측면부가 측면 가이드 패널(620)에 의해 지지되고, 박스 판재(10)의 높이가 높으면 박스 판재(10)의 측면부가 측면 가이드 패널(620) 및 측면 프레임(638)에 의해 함께 지지된다. 박스 판재(10)의 폭이 좁은 경우 측면 프레임(638)이 박스 판재(10)의 측면부를 지지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638)은 측면 가이드 패널(620)보다 박스 판재(10)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박스 판재(10)의 적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측면 가이드 패널(6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폭 조절부(640)는 하부 프레임(530')의 상면에 설치되되 박스 판재(10)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642)과, 가이드 레일(6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측면 가이드 패널(62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슬라이딩부(644)와, 일단이 하부 프레임(53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슬라이딩부(644) 및 측면 가이드 패널(620)의 하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절 샤프트(646)와, 조절 샤프트(646)를 고정하는 고정 블록(648)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딩부(644)는 하부를 관통하는 조절 샤프트(646) 및 가이드 레일(64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한 쌍의 측면 가이드 패널(620) 간의 거리를 조정한다.
조절 샤프트(646)는 실질적으로 측면 가이드 패널(62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고정 블록(648)을 풀어준 후 조절 샤프트(646)를 하부 프레임(530')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슬라이딩부(644) 및 측면 가이드 패널(620)이 함께 당겨진다. 이에 따라 측면 가이드 패널(620)간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카트 적재부(630)의 폭이 넓어진다. 반대로, 사용자가 조절 샤프트(646)를 전면 프레임(634)을 향해 밀어주면 측면 가이드 패널(620)이 밀리면서 측면 가이드 패널(620)간의 간격이 좁아져 카트 적재부(630)의 폭이 좁아진다. 이렇게 측면 가이드 패널(620)의 위치가 정해지면 사용자는 고정 블록(648)을 조여 조절 샤프트(646)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측면 가이드 패널(6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 샤프트(646)를 이용해 카트 적재부(630)의 폭을 조절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적절한 구동 수단을 구비하여 자동으로 폭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의 작동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편의상 제1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제2 실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박스이송카트(500)는 작업자가 박스 판재(100)를 손쉽게 적재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에 카트 적재부(51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 적재부(512)와 박스공급장치(300) 간의 높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발판(596)을 작동시켜 카트 적재부(512)를 상승시킴으로써 박스공급장치(300)의 높이와 일치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기존에 수동으로 들어 올리던 방식에서 발판만 밟으면 카트 적재부의 높이가 상승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어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작업자가 카트 적재부(512)를 상승시켜 박스공급장치(300)와 높이를 일치시키면, 박스 판재(100)는 박스공급장치(300)의 가이드 레일(미도시)로 진입하고 자동으로 투입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박스 판재 300: 박스공급장치
500: 박스이송카트 510: 상부 프레임
512: 카트 적재부 514: 가이드 패널
516: 지지 브래킷 530: 하부 프레임
532: 바퀴 550: 지지 프레임
552: 손잡이 554: 손잡이 프레임
570: 제동 유닛 572: 링크부
574: 탄성부재 576: 제동부
590: 승강 유닛 592: 승강 브래킷
594: 승강력 제공부 596: 발판
598: 연결 링크

Claims (14)

  1. 적재된 복수의 박스 판재의 하부를 지지하며 폭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카트 적재부, 상기 카트 적재부의 폭 조절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 패널, 상기 카트 적재부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복수의 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며,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 적재부는 상기 박스 판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바닥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가이드 패널보다 박스 판재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측면 가이드 패널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폭 조절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박스 판재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면 가이드 패널을 각각 하부에서 지지하는 슬라이딩부와, 일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측면 가이드 패널의 하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절 샤프트와, 상기 조절 샤프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박스 판재가 하역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6. 제5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손잡이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바퀴를 향해 하향 연장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와 접촉 또는 분리되는 제동부와, 상기 링크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제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면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단부가 상기 링크부의 상부를 당기면서 인장되고,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링크부를 작동 전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링크부가 상승할 때 상기 바퀴와 분리되고, 상기 링크부가 하강할 때 상기 바퀴에 접촉하여 상기 바퀴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카트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브래킷과, 상기 승강 브래킷에 결합되어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력 제공부와, 상기 승강력 제공부를 작동시키는 발판과, 상기 승강력 제공부 및 발판을 연결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브래킷은 일단이 상기 카트 적재부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력 제공부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력 제공부는 작업자가 상기 발판을 밟으면 상기 연결 링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승강 브래킷을 상승시키고, 상기 발판을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승강 브래킷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087660A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KR10161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60A KR101616008B1 (ko)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60A KR101616008B1 (ko)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55A KR20160007255A (ko) 2016-01-20
KR101616008B1 true KR101616008B1 (ko) 2016-04-27

Family

ID=5530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660A KR101616008B1 (ko)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0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8956A (zh) * 2018-09-26 2019-02-12 嘉善县泗洲中学 一种可升降多箱体物流小车
KR200493282Y1 (ko) * 2020-06-04 2021-03-04 삼우금속개발 주식회사 손수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63B1 (ko) * 2018-11-19 2019-01-17 김주호 리프터
CN112874600B (zh) * 2020-12-31 2022-03-08 南京深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amoled掩模版的自动化转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118A (ja) * 1999-11-25 2001-06-05 Exedy Corp ハンドカート
JP2008168882A (ja) * 2007-01-10 2008-07-24 Yasuzo Yoshioka スライドが出来る側壁つき手押し台車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093A (ja) * 1998-05-29 1999-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重量物搬送台車
KR100377241B1 (ko) 2001-02-28 2003-03-26 준 제 이 박스개함장치 및 이송장치를 구비한 제함기
KR101426074B1 (ko) * 2012-11-26 2014-08-13 고병기 풋다운 방식 이송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118A (ja) * 1999-11-25 2001-06-05 Exedy Corp ハンドカート
JP2008168882A (ja) * 2007-01-10 2008-07-24 Yasuzo Yoshioka スライドが出来る側壁つき手押し台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8956A (zh) * 2018-09-26 2019-02-12 嘉善县泗洲中学 一种可升降多箱体物流小车
KR200493282Y1 (ko) * 2020-06-04 2021-03-04 삼우금속개발 주식회사 손수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55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008B1 (ko) 제함기용 박스이송카트
KR101697329B1 (ko) 양끝절단 포장 적재시스템의 정렬장치 및 그 부대장치
US9914279B2 (en) Dunnage conversion machine and method with sequential stock roll storage and loading
JP2009107657A (ja) 箱搬送設備
CN104441778A (zh) 包装盒面顶贴装机
KR101276774B1 (ko) 지게차용 유리판재 적재물 작업장치
KR101521210B1 (ko) 다단 하중조절형 대차
KR101785453B1 (ko) 운반용 대차
KR101697312B1 (ko)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
JP2011116483A (ja) 扁平重量物の荷降ろし装置
KR200484482Y1 (ko) 박스 적재장치
KR102028471B1 (ko) 엘리베이터 패널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패널 제작방법
CN215557015U (zh) 一种料盘运输机构和加工设备
JP5866748B2 (ja) コンテナの段ばらし装置
KR101669053B1 (ko) 페이퍼 블록 자동 포장시스템
JP3592537B2 (ja) 梱包ケースへの部品パッケージ積載装置
KR20130092166A (ko) 테이블 리프트
JP4856935B2 (ja) 被搬送物の移載装置
KR102028544B1 (ko) 묶음 라벨링 머신
JPH09309697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降ろし用アタッチメント
JP5240484B1 (ja) 胴巻き包装装置
KR101426074B1 (ko) 풋다운 방식 이송대차
KR100670414B1 (ko) 골판지 자동 공급장치
JP7448211B2 (ja) 原反搬送装置
KR20080003460U (ko) 수리 운반용 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