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62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621B1
KR101604621B1 KR1020140069962A KR20140069962A KR101604621B1 KR 101604621 B1 KR101604621 B1 KR 101604621B1 KR 1020140069962 A KR1020140069962 A KR 1020140069962A KR 20140069962 A KR20140069962 A KR 20140069962A KR 101604621 B1 KR101604621 B1 KR 101604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late
connection object
accommodating portion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262A (ko
Inventor
아키히로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카드 홀더의 프레임부를 커넥터 본체의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거나 했을 때에 있어서, 프레임부에 의한 콘택트의 접촉부의 손상을 줄이는 커넥터. 커넥터는,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수용부를 갖는 프레임부를 갖는 카드 홀더와, 프린트 기판에 실장되고, 카드 홀더가 수용되는 홀더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한다. 카드 홀더를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거나 했을 때, 홀더 수용부 내로 돌출되어 있는 콘택트의 접촉부가 프레임부의 전측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경사부를 프레임부에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이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SIM 카드 등의 판상 접속 대상물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42 ∼ 도 4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 (902) 와 카드 홀더 (903) 로 이루어지는 카드용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21353호 (도 3, 도 5, 도 6, 단락 0013 ∼ 0016, 단락 0018, 단락 0020 ∼ 단락 0022 등) 참조).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본체 (902) 의 평면 (904) 에는, 도 4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속 단자 (905) 가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 (902) 는 프린트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실장된다. 접속 단자 (905) 의 콘택트부 (906) 가 평면 (904)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43 참조). 접속 단자 (905) 의 테일 (907) (도 42 참조) 은 프린트 회로 기판의 접속 패드 (도시 생략) 에 납땜된다.
도 4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속 단자 (905) 의 배열 방향 (D1) 에 있어서의 평면 (904) 의 양측에는, 각각 홈벽 (910) 이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홈벽 (910) 에는 각각 홈 (909) 이 형성되고, 홈 (909) 끼리가 배열 방향 (D1) 에서 대향하고 있다. 일방의 홈벽 (910) 에는 절결부 (911A) 가 형성되고, 타방의 홈벽 (910) 에는 절결부 (911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홀더 (903) 를 바로 위에서 본 형상은 거의 방형 (方形) 이다. 카드 홀더 (903) 의 이면 (917) 에는 카드 수용부 (918) 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 홀더 (903) 의 4 변 중 하나에는 파지부 (923) 가 형성되고, 다른 3 변에는 각각 가장자리부 (925A), 가장자리부 (925B), 가장자리부 (925C) 가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부 (925A) 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돌조 (突條) (927A) 가 형성되고, 가장자리부 (925B) 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돌조 (927B) 가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부 (925B) 에는, 카드 수용부 (918) 내로 돌출되는 1 쌍의 캔틸레버 빔 (921) 으로 구성되는 카드 누름부 (922) 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 누름부 (922) 가 카드 (도시 생략) 를 가장자리부 (925A) 로 가압하기 때문에, 카드 수용부 (918) 가 하측 방향이 되어도 카드는 탈락되지 않는다.
카드 홀더 (903) 를 하우징 본체 (902) 에 장전하려면, 먼저, 카드 홀더 (903) 의 이면 (917) 을 하우징 본체 (902) 의 평면 (904) 과 대향시키고, 가장자리부 (925A) 의 걸어맞춤 돌조 (927A) 와 홈벽 (910) 의 절결부 (911B) 를 맞춤과 함께, 가장자리부 (925B) 의 걸어맞춤 돌조 (927B) 와 홈벽 (910) 의 절결부 (911A) 를 맞춰, 카드 홀더 (903) 의 이면 (917) 이 하우징 본체 (902) 의 평면 (904) 에 접하도록 카드 홀더 (903) 를 안쪽으로 넣고, 다음으로, 카드 홀더 (903) 를 화살표 (930) 방향으로 조금 슬라이드시키면 된다. 그 결과, 카드의 회로 접점이 하우징 본체 (902) 의 콘택트부 (906) 에 접촉하여, 카드와 프린트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트레이형의 카드용 커넥터 외에, 도시하지 않은 공지된 카드용 커넥터가 있다. 이 커넥터는, 트레이형 카드 홀더와, 이 홀더가 수용되는 카드 홀더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고, 커넥터 본체의 전측에 위치하는 홀더 삽입구로부터 커넥터 본체의 후측을 향하여 카드를 카드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는 구조의 카드용 커넥터이다.
최근, 이러한 종류의 카드용 커넥터도 이른바 다심화나 소형화가 진행되어, 콘택트의 접촉부의 위치가 커넥터 본체의 홀더 삽입구에 가까워졌다.
따라서, 카드를 유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트레이형 카드 홀더를 좌우로 흔들면서 커넥터 본체의 홀더 삽입구로부터 카드 홀더 수용부 내에 삽입하면, 카드 홀더 수용부 내로 돌출되어 있는 콘택트의 접촉부가, 트레이형 카드 홀더의 전측 부분에 의해 소성 변형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 카드를 유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트레이형 카드 홀더를 커넥터 본체의 카드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할 때에도, 카드 홀더 수용부 내로 돌출되어 있는 콘택트의 접촉부가, 트레이형 카드 홀더의 전측 부분에 의해 소성 변형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홀더의 프레임부를 커넥터 본체의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거나 했을 때, 프레임부에 의한 콘택트의 접촉부의 손상을 줄이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판상 접속 대상물과 다른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수용되는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갖는 홀더와,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실장되고,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홀더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콘택트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홀더 수용부 내로 돌출되고,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가 수용되어 있을 때,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홀더를 상기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거나 했을 때의 상기 접촉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변형 억제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를 삽입하는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를 삽입하는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측과 후측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프레임부를 삽입하는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프레임부를 삽입하는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반원형의 홈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상기 프레임부의 내주면으로 가압하여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가 판상이고, 상기 스프링부의 자유단측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비스듬하게 수용된 경우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의 밖으로 가이드하는 스프링부측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과 대향하는 바닥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거나 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기 위한 지그를 걸기 위한 오목부가, 상기 조작부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홀더의 프레임부를 커넥터 본체의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거나 했을 때, 프레임부에 의한 콘택트의 접촉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층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로서, 카드 홀더를 커넥터 본체의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로서, 카드 홀더를 커넥터 본체의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로서, 카드 홀더를 커넥터 본체의 홀더 수용부에 삽입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로서, 카드 홀더를 커넥터 본체의 홀더 수용부에 삽입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1 의 커넥터를 바로 밑에서 본 바닥면도로서, 카드 홀더를 커넥터 본체의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도 1 의 커넥터의 카드 홀더의 표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1 의 커넥터의 카드 홀더의 이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커넥터의 카드 홀더의 이면측을 도 7 과는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1 의 커넥터의 카드 홀더의 표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1 의 커넥터의 카드 홀더의 이면의 전측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0 의 카드 홀더의 전측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 의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로부터 쉘을 제거하고 콘택트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 의 커넥터 본체의 홀더 수용부에 카드 홀더를 좌우로 흔들면서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도 1 의 커넥터 본체의 홀더 수용부에 삽입된 카드 홀더의 조작부와 커넥터 본체가 수용된 케이스체의 삽입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카드 홀더의 조작부의 단부에 핀상의 툴을 걸어 카드 홀더를 커넥터 본체로부터 인발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은 카드 홀더의 카드 수용부에 카드가 올바르게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카드 홀더의 카드 수용부에 카드가 올바르게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 은 도 1 의 커넥터의 카드 홀더의 변형예의 카드 홀더의 이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의 카드 홀더의 후측 부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0 은 도 18 의 카드 홀더의 스프링부측 경사부에 카드의 가장자리부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1 은 도 18 의 카드 홀더의 스프링부측 경사부에 의해 카드의 가장자리부가 상방으로 밀려 올라간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2 는 도 18 의 카드 홀더의 카드 수용부에 카드가 비스듬하게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은 도 18 의 카드 홀더의 카드 수용부에 카드가 비스듬하게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4 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카드 홀더의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는 도 24 의 카드 홀더의 카드 수용부에 카드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은 도 24 의 카드 홀더의 카드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카드와는 상이한 종류의 카드의 평면도이다.
도 27 은 이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카드 홀더의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은 도 27 의 카드 홀더의 표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는 도 27 의 카드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30 은 도 27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1 은 도 27 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2 는 도 27 의 카드 홀더의 카드 수용부에 카드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 은 이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카드 홀더의 이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34 는 도 33 의 카드 홀더의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 는 도 34 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6 은 도 34 의 D-D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7 은 도 34 의 E-E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8 은 도 33 의 카드 홀더의 표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39 는 도 33 의 카드 홀더의 표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 은 도 39 의 F-F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1 은 도 33 의 카드 홀더에 카드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 는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43 은 도 42 의 하우징 본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44 는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의 카드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는, 커넥터 본체 (3) 와, 커넥터 본체 (3) 에 카드 (판상 접속 대상물) (20) 를 유지한 상태에서 접속되는 카드 홀더 (홀더) (5) 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 (3)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 (21) 내에 고정된 프린트 기판 (다른 접속 대상물) (22) 에 실장된다. 또한, 이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의 편의상, 도 14 에는 케이스체 (21) 나 프린트 기판 (22) 이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다. 커넥터 (1) 는, 카드 홀더 (5) 에 유지된 카드 (20) (도 2 참조) 와 프린트 기판 (22) (도 14 참조) 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카드 (20) 에는, 예를 들어, SD (Secure Digital) 카드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IC 칩이 없는 타입) 등의 메모리 카드, IC (Integrated Circult) 카드 등이 포함된다.
도 1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 (3) 는, 수지제의 하우징 (2) 과, 하우징 (2) 을 덮는 금속제의 쉘 (32) 과, 카드 홀더 (5) 를 수용하는 홀더 수용부 (33) 와, 하우징 (2) 에 유지된 콘택트 (6) 와, 카드 홀더 (5) 를 케이스체 (21) (도 14 참조) 로부터 외부로 탈출시키기 위한 이젝트 기구 (34)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젝트 기구 (34) 로서, 예를 들어 이른바 푸시인 푸시아웃 타입 (Push In/Push Out Type) 의 주지된 이젝트 기구를 사용하였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커넥터 본체 (3) 의 홀더 수용부 (33) (도 1, 도 2 참조) 는, 하우징 (2) 과 쉘 (32)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고, 카드 홀더 (5) 의 프레임부 (51) 를 수용하는 장소이다.
콘택트 (6) 는, 도 5,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20) 의 전극 (20A) 에 접촉하는 접촉부 (6A) 와 프린트 기판 (22) (도 14 참조) 의 패드 (도시 생략) 에 접속되는 접속부 (6B) 를 갖는다. 접촉부 (6A) 는 홀더 수용부 (33) 내로 돌출되어 있다 (도 12 참조). 접속부 (6B) 는 프린트 기판 (22) 의 패드에 납땜할 수 있도록 커넥터 본체 (3) 의 하면 (32A) 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5 참조). 하우징 (2) 에는, 프레임부 (51) 가 홀더 수용부 (33) 에 수용되었을 때, 접촉부 (6A) 를 놓아주는 릴리즈부 (2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홀더 (5) 는, 카드 (20) 를 수용하는 카드 수용부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51A) 를 갖는 프레임부 (51) 와, 카드 수용부 (51A) 에 수용된 카드 (20) 와 대향하는 바닥부 (53) 와, 홀더 삽입 방향 (ID) 에 있어서 프레임부 (51) 의 후단에 연결되는 조작부 (52) 와, 카드 수용부 (51A) 에 수용된 카드 (20) 를 프레임부 (51) 의 내주면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 (54) 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부 (51) 와 바닥부 (53) 와 조작부 (52) 와 스프링부 (54) 는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다.
도 5 ∼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 (51) 는 거의 사각형의 틀체이다. 프레임부 (51) 의 표면 (H) (카드 수용부 (51A) 가 보이지 않는 쪽의 면) 에는 바닥부 (53)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 홀더 (5) 는 트레이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프레임부 (51) 는 전부 (前部) (51F) 와 측부 (51SR) 와 측부 (51SL) 와 후부 (51R) 를 갖는다.
스프링부 (54) 는 프레임부 (51) 의 측부 (51SL) 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 (54) 는 홀더 삽입 방향 (ID) 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판상의 형상을 갖는 스프링이다. 스프링부 (54) 는, 프레임부 (51) 의 측부 (51SL) 에 형성된 스프링부 수용실 (56) 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부 (54) 의 자유단은 약간 카드 수용부 (51A) 내에 들어가 있다 (도 5 참조).
조작부 (52) 는, 프레임부 (51) 를 홀더 수용부 (33) 에 삽입할 때에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혹은 프레임부 (51) 를 홀더 수용부 (33) 로부터 인발할 때에 손가락으로 잡거나 하는 부분이다.
조작부 (52) 의 중앙부 부근에서 프레임부 (51) 의 조작부측 단부에는 오목부 (52A)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 (52) 를 손가락으로 잡아 프레임부 (51) 를 홀더 수용부 (33) 로부터 인발하는 것이 곤란해졌을 때,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상의 툴 (10) 의 선단부를 오목부 (52A) 에 삽입하여 조작부 (52) 의 단부에 걸어, 카드 홀더 (5) 를 인발할 수 있다. 또한, 핀상의 툴 (10) 의 선단부를 거는 장소를, 프레임부 (51) 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프레임부 (51) 의 전후 방향 (이하, 전후 방향이라고 한다) (FB) 의 길이에 여유가 있어, 전후 방향 (FB) 으로 조작부 (52) 를 두껍게 할 수 있을 때에는, 오목부 (52A) 를 조작부 (52) 에 형성해도 된다.
도 7 ∼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 (51) 의 전부 (51F) 에는 경사부 (변형 억제부) (S1, S2, S3)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S1, S2, S3) 는 각각 전후 방향 (FB) 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부 (S1) 와 경사부 (S2) 사이, 경사부 (S2) 와 경사부 (S3) 사이에는 각각 카드 수용부 (51A) 에 수용된 카드 (20)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받아들이는 카드 받이부 (55) 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 받이부 (55) 에는 경사부 (변형 억제부) (S4, S5)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S4, S5) 는 각각 프레임부 (51) 의 좌우 방향 (이하, 좌우 방향이라고 한다) (LR) 으로 경사져 있다.
프레임부 (51) 의 측부 (51SL) 의 전측에는 경사부 (변형 억제부) (S6)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S6) 는 좌우 방향 (LR) 으로 경사져 있다.
프레임부 (51) 의 측부 (51SR) 의 전측에는 경사부 (변형 억제부) (S7)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S7) 는 좌우 방향 (LR) 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부 (51) 의 전부 (51F), 측부 (51SL) 의 전측, 및 측부 (51SR) 의 전측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 (A1) (도 8 참조) 이, 프레임부 (51) 의 전측에 상당한다.
카드 홀더 (5) 를 사용하여 카드 (20) 를 커넥터 (1) 에 접속시키려면, 먼저,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홀더 (5) 를 뒤집어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상태), 카드 수용부 (51A) 에 카드 (20) 를 수용한다. 이 때, 스프링부 (54) 의 자유단을 카드 (20) 등으로 밀어 카드 수용부 (51A)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카드 (20) 를 카드 수용부 (51A) 에 수용한다 (도 16, 도 17 에 나타내는 상태). 그 후, 스프링부 (54) 의 복귀력에 의해 바닥부 (53) 상의 카드 (20) 가 프레임부 (51) 의 측부 (51SR) 의 내주면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카드 (20) 가 카드 수용부 (51A) 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카드 홀더 (5) 를 뒤집어도 (도 6, 도 9 에 나타내는 상태), 카드 (20) 는 카드 수용부 (51A) 로부터 낙하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손가락으로 조작부 (52) 를 잡아 카드 홀더 (5) 의 표면 (H) 을 위로 하고 (도 6, 도 9 에 나타내는 상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홀더 (5) 의 프레임부 (51) 를 커넥터 본체 (3) 의 홀더 수용부 (33) 에 삽입한다. 프레임부 (51) 가 홀더 수용부 (33) 에 삽입되면 (도 4 참조), 홀더 수용부 (33) 로 돌출되어 있던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가 프레임부 (51) 의 전부 (51F) 에 밀려 탄성 변형되어, 하우징 (2) 의 릴리즈부 (2B) 를 향하여 밀린다. 이 때,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또는 그 선단이 릴리즈부 (2B) 내로 밀려 들어가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콘택트 (6) 의 선단이 릴리즈부 (2B)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프레임부 (51) 가 홀더 수용부 (33) 에 소정량 이상 삽입되었을 때, 프레임부 (51) 는 이젝트 기구 (34) 의 로크부 (도시 생략) 에 의해 로크되고, 홀더 수용부 (33) 내에 유지되어 카드 홀더 (5) 의 삽입이 완료된다. 이 때,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의 복귀력에 의해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가 카드 (20) 의 전극 (20A) 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카드 (20) 와 프린트 기판 (22)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카드 홀더 (5) 를 커넥터 본체 (3) 의 홀더 수용부 (33) 로부터 탈출시키려면, 카드 홀더 (5) 의 조작부 (52) 를 홀더 삽입 방향 (ID) 으로 밀면 된다. 조작부 (52) 가 밀리면, 이젝트 기구 (34) 의 탈출 기능이 작용하여 카드 홀더 (5) 의 대부분이 커넥터 본체 (3) 로부터 탈출하므로, 이후에는 조작부 (52) 를 손가락으로 잡고 카드 홀더 (5) 를 당기면, 카드 홀더 (5) 의 전부를 홀더 수용부 (33) 로부터 인발할 수 있다.
만일, 어떤 원인에 의해 카드 홀더 (5) 가 탈출되지 않을 때에는, 케이스체 (21) 의 삽입구 (21A) 에 꽃아 넣은 핀상의 툴 (10) 의 선단부를 오목부 (52A) 에 삽입하고, 조작부 (52) 의 단부에 걸어, 조작부 (52) 를 당김으로써, 카드 홀더 (5) 를 홀더 수용부 (33) 로부터 인발할 수 있다.
또, 카드 수용부 (51A) 에 카드 (20) 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카드 홀더 (5) 를 커넥터 본체 (3) 의 홀더 수용부 (33) 로부터 탈출시키는 경우,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는 카드 수용부 (51A) 에 들어가 있지만, 카드 홀더 (5) 가 탈출 방향 (홀더 삽입 방향 (ID) 과 반대 방향) 으로 이동할 때,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가 프레임부 (51) 의 경사부 (S1, S2, S3) 에 들어가, 그들의 경사부 (S1, S2, S3) 의 경사면 상을 매끄럽게 슬라이드하여 릴리즈부 (2B) 를 향하여 밀리므로,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를 손상 (소성 변형) 시키지 않고 카드 홀더 (5) 를 홀더 수용부 (33) 로부터 인발할 수 있다.
또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수용부 (51A) 에 카드 (20) 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카드 홀더 (5) 또는 카드 수용부 (51A) 에 카드 (20) 가 수용되어 있는 카드 홀더 (5) 를, 좌우로 흔들면서 (도 13 의 부호 57 참조), 커넥터 본체 (3) 의 홀더 수용부 (33) 에 삽입한 경우,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가 프레임부 (51) 의 경사부 (S4, S5, S6, S7) 에 들어가, 그 경사면 상을 슬라이드하여 릴리즈부 (2B) 를 향하여 밀리므로, 접촉부 (6A) 의 변형이 억제된다. 그 결과,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를 손상시키지 않고 카드 홀더 (5) 를 홀더 수용부 (33) 에 삽입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드 홀더 (5) 의 프레임부 (51) 를 커넥터 본체 (3) 의 홀더 수용부 (33) 에 삽입하거나 홀더 수용부 (33) 로부터 인발하거나 했을 때, 프레임부 (51) 에 의한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 스프링부 (54) 의 복귀력을 이용하여 카드 (20) 를 카드 수용부 (51A) 내에 유지할 수 있으므로, 카드 홀더 (5) 를 뒤집어도 카드 (20) 는 카드 수용부 (51A) 로부터 낙하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원인에 의해 홀더 수용부 (33) 내의 카드 홀더 (5) 와 커넥터 본체 (3) 사이의 접촉력이 이젝트 기구 (34) 의 홀더 탈출력을 초과하여, 카드 홀더 (5) 가 홀더 수용부 (33) 로부터 탈출할 수 없을 때, 케이스체 (21) 의 삽입구 (21A) 에 꽂아 넣은 핀상의 툴 (10) 의 선단부를 오목부 (52A) 에 삽입하고, 조작부 (52) 의 단부에 걸어 조작부 (52) 를 당김으로써, 카드 홀더 (5) 를 홀더 수용부 (33) 로부터 인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의 변형예를 도 18 ∼ 도 2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변형예의 카드 홀더 (105) 에서는, 도 18,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 (54) 의 자유단측에, 스프링부측 경사부 (54B) 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측 경사부 (54B) 는, 스프링부 (54) 의 자유단측에 위치하는 카드 (20) 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접촉부 (54A) 에 인접하고 있다.
스프링부측 경사부 (54B) 는, 카드 (20) 가 카드 수용부 (51A) 에 비스듬하게 수용된 경우 (즉, 카드 (20) 를 카드 수용부 (51A) 내의 적정한 위치까지 수용하지 않는 경우) 에, 카드 (20) 를 카드 수용부 (51A) 의 밖으로 가이드하는 기능과, 카드 (20) 를 카드 수용부 (51A) 에 수용할 때에 카드 (20) 가 스프링부 (54) 를 하방으로 미는 힘을, 스프링부 (54) 의 접촉부 (54A) 를 카드 수용부 (51A)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는 힘으로 변환하여, 스프링부 (54) 를 탄성 변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및 이 변형예의 카드 홀더 (105) 에서는, 도 22,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20) 의 위치 결정부 (20C) 를 프레임부 (51) 의 카드 위치 결정부 (51C) 측에 두지 않고 카드 (20) 를 카드 수용부 (51A) 에 수용하면, 즉 잘못하여 카드 (20) 를 카드 수용부 (51A) 에 표리를 반대로 (카드 (20) 의 전극 (20A) 을 바닥부측을 향하여), 혹은 상하 반대로 수용하면, 카드 (20) 가 카드 수용부 (51A) 내에서 비스듬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는, 카드 (20) 를 카드 수용부 (51A) 에 수용할 때에 적정한 위치 맞춤 (위치 결정부 (20C) 와 카드 위치 결정부 (51C) 를 맞추는 것) 을 하여 수용했지만, 카드 (20) 를 카드 수용부 (51A) 내에 끝까지 밀어넣지 않아 불완전하게 수용한 경우에도, 카드 (20) 가 카드 수용부 (51A) 내에서 비스듬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좌우 방향 (LR) 에 있어서의 카드 (20) 의 일단이 부상되는데, 부상되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는 판별하기 어렵다.
이 변형예의 카드 홀더 (105) 에서는, 카드 (20) 가 카드 수용부 (51A) 에 비스듬하게 수용된 경우, 즉 적정하게 수용 (도 16, 도 17 참조) 되지 않은 경우, 카드 (20) 의 일단의 에지가 스프링부측 경사부 (54B) 에 위치하므로 (도 20 참조), 스프링부 (54) 의 복귀력이 카드 (20) 에 작용하여, 스프링부측 경사부 (54B) 에 의해 카드 (20) 가 카드 수용부 (51A) 의 밖으로 (도 21 의 화살표 (A3) 의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도 21 참조). 그 결과, 카드 (20) 의 일단의 부상이 현저해져, 카드 (20) 가 카드 수용부 (51A) 에 올바르게 수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는 육안으로 판별하기 쉽다. 또, 이 변형예에서는 카드 (20) 의 위치 결정부 (20C) 를 프레임부 (51) 의 카드 위치 결정부 (51C) 측에 맞추어, 즉 적정한 위치 맞춤을 하여 카드 (20) 를 카드 수용부 (51A) 에 수용할 때에는, 카드 (20) 를 바닥부측을 향하여 누르는 것만으로, 스프링부측 경사부 (54B) 의 작용에 의해 스프링부 (54) 가 탄성 변형되어, 카드 (20) 를 카드 수용부 (51A) 내에 올바르게 수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를 도 24 ∼ 도 26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 커넥터 본체는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카드 홀더 (5) 에서는, 경사부 (S1 ∼ S7) 가 프레임부 (51) 의 전측에만 형성되어 있는데, 제 2 실시형태의 카드 홀더 (205) 에서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 (S1 ∼ S7) 가 프레임부 (51) 의 후측에도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부 (51) 의 후부 (51R) 에 조작부 (52) 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26 의 카드 (23) 의 평면의 외형과 카드 홀더 (205) 의 카드 수용부 (51A) 에 수용된 카드 (20) 의 평면의 외형은 동일하지만, 카드 (23) 의 사이즈는 카드 (20) 의 사이즈보다 크다. 카드 홀더 (205) 의 평면의 외형, 사이즈 각각은 카드 (23) 의 평면의 외형, 사이즈와 거의 동일하고, 카드 홀더 (205) 의 두께는 카드 (23) 의 두께보다 조금 두껍다.
커넥터 본체 (3) 의 홀더 수용부 (33) 에, 카드 (23) 를 직접 삽입할 수 있고, 카드 (23) 와 종류가 상이한 카드 (20) 를 카드 홀더 (205) 를 개재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부 (51) 의 후부 (51R), 측부 (51SR) 의 후측, 및 측부 (51SL) 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 (A2) (도 24 참조) 이, 프레임부 (51) 의 후측에 상당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드 홀더 (205) 를 잘못하여 전후 반대로 삽입하였다고 하더라도, 올바르게 삽입했을 때 (카드 홀더 (205) 의 전측에서부터 삽입했을 때) 와 마찬가지로,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를 도 27 ∼ 도 3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 커넥터 본체는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의 카드 홀더 (305) 에는, 도 27 ∼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카드 홀더 (5) (도 8 참조) 의 스프링부 (54) 가 채용되어 있지 않다. 카드 홀더 (305) 에서는, 프레임부 (351) 의 후부 (351R) 에 홀더 삽입 방향 (ID) 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3511) (도 31, 도 32 참조) 와, 돌출부 (3511) 와 홀더 두께 방향 (UD) (도 31 참조) 에서 대향하는 바닥부 (53) 에 의해, 카드 수용부 (51A) 에 수용된 카드 (20) 를 지지한다.
또, 제 3 실시형태의 카드 홀더 (305) 에서는, 도 27, 도 30,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 (S1 ∼ S7) 가 프레임부 (51) 의 전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를 도 33 ∼ 도 41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 커넥터 본체는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형태의 카드 홀더 (405) 에는, 도 33 ∼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 (53) 가 채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 4 실시형태의 카드 홀더 (405) 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트레이형의 카드 홀더는 아니다. 카드 홀더 (405) 에는,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 (451) 에 카드 (20)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453) 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 (453) 는 프레임부 (451) 의 측부 (451SL), 후부 (451R), 및 측부 (451SR) 로부터 각각 카드 수용부 (51A) 내로 돌출되는 돌출편이다. 지지부 (453) 는, 프레임부 (451) 의 측부 (451SL) 로부터 후부 (451R) 를 거쳐 측부 (451SR) 로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부 (451) 의 후부 (451R) 에는 조작부 (452)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9 와 도 4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 (453) 는 카드 (20)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한다.
또, 프레임부 (451) 의 표면 (H) 및 이면 (B) 의 양방에 변형 억제부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프레임부 (451) 의 이면 (B) 의 변형 억제부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부 (451) 의 전부 (451F) 에는 홈부 (변형 억제부) (S41, S42, S43) 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 (S41, S42, S43) 는 각각 전후 방향 (FB) 으로 연장되는 단면 대략 반원형의 홈이다 (도 33, 도 37, 도 40 참조). 홈부 (S41) 와 홈부 (S42) 사이, 홈부 (S42) 와 홈부 (S43) 사이에는 각각 카드 수용부 (51A) 에 수용된 카드 (20)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받아들이는 카드 받이부 (55) 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 받이부 (55) 에는 경사부 (변형 억제부) (S45)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S45) 는 전후 방향 (FB) 으로 경사져 있다. 홈부 (S41, S42, S43) 는 각각 제 1 실시형태의 경사부 (S1, S2, S3, S4, S5) 와 같이 기능한다. 경사부 (S45) 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사부 (S4, S5) 와 같이 기능한다.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 (451) 의 측부 (451SR) 의 전측에는 경사부 (변형 억제부) (S47)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S47) 는 좌우 방향 (LR) 으로 경사져 있다. 프레임부 (451) 의 측부 (451SL) 의 전측에는 경사부 (변형 억제부) (S46)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S46) 는 좌우 방향 (LR) 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부 (S46, S47) 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사부 (S6, S7) 와 같이 기능한다.
또한, 프레임부 (451) 의 전부 (451F), 측부 (451SR) 의 전측, 및 측부 (451SL) 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이, 프레임부 (451) 의 전측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프레임부 (451) 의 표면 (H) 의 변형 억제부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부 (451) 의 전부 (451F) 에는 경사부 (변형 억제부) (S48)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S48) 는 전후 방향 (FB) 으로 경사져 있다 (도 35, 도 36, 도 38 참조).
프레임부 (451) 의 측부 (451SL) 의 전측에는 경사부 (변형 억제부) (S49)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S49) 는 좌우 방향 (LR) 으로 경사져 있다. 프레임부 (451) 의 측부 (451SR) 의 전측에는 경사부 (변형 억제부) (S50)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S50) 는 좌우 방향 (LR) 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부 (S48) 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사부 (S1, S2, S3, S4, S5) 와 같이 기능한다. 경사부 (S49) 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사부 (S6) 와 같이 기능한다. 경사부 (S50) 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사부 (S7) 와 같이 기능한다.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임부 (451) 의 이면 (B) 에 변형 억제부로서 홈부 (S41, S42, S43) 와 경사부 (S45, S46, S47) 가 형성되고, 프레임부 (451) 의 표면 (H) 에 변형 억제부로서 경사부 (S48, S49, S50)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홀더 (405) 를 잘못하여 표리 반대로 삽입하였다고 하더라도, 올바르게 삽입했을 때 (카드 홀더 (405) 의 이면 (B) 을 아래로 하여 삽입했을 때) 와 마찬가지로,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변형 억제부로서 경사부 (S1) 등이나 홈부 (S41) 등을 채용했지만, 변형 억제부는 콘택트 (6) 의 접촉부 (6A) 의 변형을 억제하는 형상이면 되고, 경사부 (S1) 등이나 홈부 (S41) 등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상이 있고, 예를 들어 오목 형상이나 볼록 형상의 만곡된 면이어도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으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분명하다.

Claims (27)

  1. 판상 접속 대상물과 다른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수용되는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갖는 홀더 ; 및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실장되고,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홀더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콘택트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홀더 수용부 내로 돌출되고,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가 수용되어 있을 때,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홀더를 상기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거나 했을 때의 상기 접촉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변형 억제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를 삽입하는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측과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상기 프레임부의 내주면으로 가압하여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갖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가 판상이고, 상기 스프링부의 자유단측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비스듬하게 수용된 경우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의 밖으로 가이드하는 스프링부측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과 대향하는 바닥부를 갖는 커넥터.
  7. 판상 접속 대상물과 다른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수용되는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갖는 홀더 ; 및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실장되고,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홀더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콘택트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홀더 수용부 내로 돌출되고,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가 수용되어 있을 때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홀더를 상기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거나 했을 때의 상기 접촉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변형 억제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프레임부를 삽입하는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를 삽입하는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상기 프레임부의 내주면으로 가압하여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갖는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가 판상이고, 상기 스프링부의 자유단측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비스듬하게 수용된 경우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의 밖으로 가이드하는 스프링부측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커넥터.
  13.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과 대향하는 바닥부를 갖는 커넥터.
  14. 판상 접속 대상물과 다른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수용되는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갖는 홀더 ; 및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실장되고,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홀더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콘택트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홀더 수용부 내로 돌출되고,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가 수용되어 있을 때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홀더를 상기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거나 했을 때의 상기 접촉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변형 억제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프레임부를 삽입하는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반원형의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를 삽입하는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상기 프레임부의 내주면으로 가압하여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갖는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가 판상이고, 상기 스프링부의 자유단측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비스듬하게 수용된 경우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의 밖으로 가이드하는 스프링부측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9.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커넥터.
  20.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과 대향하는 바닥부를 갖는 커넥터.
  21. 판상 접속 대상물과 다른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수용되는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갖는 홀더 ; 및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실장되고,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홀더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콘택트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홀더 수용부 내로 돌출되고,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가 수용되어 있을 때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홀더를 상기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거나 했을 때의 상기 접촉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변형 억제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를 삽입하는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홀더 수용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거나 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홀더 수용부로부터 인발하기 위한 지그를 걸기 위한 오목부가, 상기 조작부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홀더 수용부에 상기 홀더를 삽입하는 홀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24.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상기 프레임부의 내주면으로 가압하여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갖는 커넥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가 판상이고, 상기 스프링부의 자유단측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이 비스듬하게 수용된 경우에,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을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의 밖으로 가이드하는 스프링부측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26.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커넥터.
  27.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 수용부 내의 상기 판상 접속 대상물과 대향하는 바닥부를 갖는 커넥터.
KR1020140069962A 2013-07-02 2014-06-10 커넥터 KR101604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8930 2013-07-02
JP2013138930A JP6044994B2 (ja) 2013-07-02 2013-07-02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62A KR20150004262A (ko) 2015-01-12
KR101604621B1 true KR101604621B1 (ko) 2016-03-18

Family

ID=5097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962A KR101604621B1 (ko) 2013-07-02 2014-06-10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84655B2 (ko)
EP (1) EP2821939B1 (ko)
JP (1) JP6044994B2 (ko)
KR (1) KR101604621B1 (ko)
CN (1) CN1042830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1347B2 (ja) * 2013-06-05 2015-10-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JP6044994B2 (ja) * 2013-07-02 2016-1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4795651B (zh) * 2014-01-22 2017-10-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9658641B2 (en) * 2014-09-29 2017-05-23 Apple Inc. Cosmetically self-centering removable module tray
CN106207578B (zh) * 2015-05-07 2020-09-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卡托和电子设备
KR102377740B1 (ko) * 2015-05-12 202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JP1552812S (ko) * 2015-11-03 2016-06-27
JP1553611S (ko) * 2015-11-03 2016-07-11
JP1553879S (ko) * 2015-11-03 2016-07-11
JP1552814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3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5S (ko) * 2015-11-06 2016-06-27
KR101875903B1 (ko) * 2015-12-11 2018-08-03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트레이
KR102483702B1 (ko) * 2016-03-03 2023-01-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WO2017181997A1 (zh) 2016-04-21 2017-10-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安装电话卡的卡托装置及移动设备
TWI635659B (zh) * 2017-04-19 2018-09-11 大陸商廣東歐珀移動通信有限公司 卡托、插接裝置和終端
JP6918677B2 (ja) * 2017-10-20 2021-08-1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回収庫およびカード処理装置
WO2019169891A1 (en) * 2018-03-07 2019-09-1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rd socket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CN209562543U (zh) * 2019-01-02 2019-10-29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Sim卡座
JP7313886B2 (ja) 2019-04-23 2023-07-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トレイおよびコネクタ
US11311114B1 (en) * 2020-11-11 2022-04-26 Pavilion Data Systems, Inc. Plastic drive caddy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426A (ja) * 2005-06-17 2006-12-2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トレイタイプのカードコネクタ
JP2011142102A (ja) * 2011-03-18 2011-07-21 Panasonic Corp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203013979U (zh) * 2011-12-27 2013-06-19 莫列斯公司 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020B2 (ja) * 1995-05-18 2000-03-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ド用コネクタ
JP2784346B2 (ja) * 1996-07-05 1998-08-06 山一電機株式会社 電極パッド付きカードとコンタクトの接触及び接触解除機構
US7925301B2 (en) * 1997-06-03 2011-04-12 Fujitsu Limited Portable telephone set with a card inserted through a battery holding space
JP4237834B2 (ja) * 1997-06-03 2009-03-1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5166377A (ja) * 2003-12-01 2005-06-23 Jst Mfg Co Ltd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4630204B2 (ja) * 2006-02-24 2011-02-09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CN201146263Y (zh) * 2007-11-27 2008-11-05 钜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5152303B2 (ja) * 2010-11-18 2013-02-27 Smk株式会社 Icカード装着ユニット、カードコネクタ、カードアダプタ
JP2012114089A (ja) * 2010-11-22 2012-06-1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JP5126724B2 (ja) * 2011-01-12 2013-01-23 Smk株式会社 取出し機能付きカードコネクタ
SG183575A1 (en) 2011-02-09 2012-09-27 Molex Singapore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CN202178465U (zh) * 2011-04-29 2012-03-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5893915B2 (ja) 2011-12-27 2016-03-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カード用トレイ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CN202906109U (zh) * 2012-11-16 2013-04-24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6044994B2 (ja) * 2013-07-02 2016-1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426A (ja) * 2005-06-17 2006-12-2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トレイタイプのカードコネクタ
JP2011142102A (ja) * 2011-03-18 2011-07-21 Panasonic Corp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203013979U (zh) * 2011-12-27 2013-06-19 莫列斯公司 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62A (ko) 2015-01-12
CN104283042A (zh) 2015-01-14
US9484655B2 (en) 2016-11-01
JP6044994B2 (ja) 2016-12-14
US20150011118A1 (en) 2015-01-08
EP2821939A1 (en) 2015-01-07
EP2821939B1 (en) 2017-04-05
JP2015011954A (ja) 201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621B1 (ko) 커넥터
JP5893915B2 (ja) カード用トレイ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JP5818366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57386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6442258B2 (ja)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TWI596833B (zh) Connector
US9124042B2 (en) Holder connected to an operation member via an elastic member
JP5727776B2 (ja) 検出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有するコネクタ
JP57495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150004850A1 (en) Card Connector and Contact
JP2007048607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TW201448361A (zh) 卡用連接器
TW201622266A (zh) 卡保持構件以及卡用連接器
CN109390721B (zh) 卡缘连接器
JP4848980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6319760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7141614A (ja) 電子回路素子接続具
JP6295165B2 (ja) 端子ユニット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TW201618391A (zh) 卡保持構件以及卡用連接器
TWI548147B (zh)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JP2015225748A (ja) カード用トレイ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6049239A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0040327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TWM477689U (zh) 卡用連接器
JP2006164604A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