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316B1 -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316B1
KR101597316B1 KR1020150145648A KR20150145648A KR101597316B1 KR 101597316 B1 KR101597316 B1 KR 101597316B1 KR 1020150145648 A KR1020150145648 A KR 1020150145648A KR 20150145648 A KR20150145648 A KR 20150145648A KR 101597316 B1 KR101597316 B1 KR 101597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late
device case
main body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14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316B1/ko
Priority to JP2016031099A priority patent/JP6106297B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316B1/ko
Priority to US15/073,160 priority patent/US20170111485A1/en
Priority to PCT/KR2016/008698 priority patent/WO20170693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7Telephone sets adapted to be mounted on a desk or o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부재와 조립되어 케이스의 전체적인 결합구조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일면에 레일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결합부재와의 결합을 통하여 손쉬운 거치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심한 진동과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감싸므로 디바이스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아울러 사용자들의 취향에 따라 외관 디자인을 손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REMOVABLE DEVICE CASES}
본 발명은 벽체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부재와 조립되어 케이스를 벽면에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스가 씌워지는 디바이스 가령 휴대폰의 경우 고정된 외관구조에 맞춰진 케이스를 사용해야 하며, 외관 디자인을 바꾸고 싶은 경우에는 새로운 휴대폰을 구입해야 했다.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는 커버가 손상되거나 파손이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외형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하고자 하는 교체 요구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휴대폰 케이스를 구성하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일체로 만들어져 있어 전체를 새로운 휴대폰 케이스로 교체해야 하므로 경제적 부담을 줄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을 차량 내부에서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휴대폰의 거치를 위한 별도의 거치대를 사용하는데, 거치대의 설치는 안정적이고, 평평한 곳에 설치 되야 하며, 거치대와 휴대폰을 결합하는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개선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된 커버를 쉽게 바꾸고 사용자 취향에 맞게 커버를 교체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또한, 휴대폰의 외관에 따라서 다양한 케이스를 제작하는 작업공수를 줄이고, 제작비용과 작업시간을 절감하기 위하여 표준크기의 케이스 제작을 통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307호는 보호커버와 보조커버를 탈부착 가능하게 한 휴대폰 케이스를 게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들의 취향에 따라 일부 커버만을 선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휴대폰이 고정될 수 있도록 거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해주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307호(2014.03.03. 자 등록)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레일이 형성된 본체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재가 상호 조립되어 벽체에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일면에 레일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결합부재와의 결합을 통하여 손쉬운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커버 케이스에 결합부재를 부착하여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들을 수용할 수 있는 표준크기의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는 전면에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일면은 벽체에 부착되고, 타면은 상기 본체의 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레일부는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단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는 보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결합부재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단턱 내측에 끼워지도록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는 헤드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레일치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결합부재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단턱 내측에 끼워지는 돌출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레일치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레일치합부는 상기 레일의 상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플레이트는 상기 결합돌기가 탄성결합하여 안착되도록 2개가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조플레이트는 상기 레일부의 단턱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는 제1 보조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보조플레이트는 상기 제2슬라이딩 결합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벽체에 부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재에 형성된 돌기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레일이 형성된 본체가 조립식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벽체에 용이하게 탈부착 될 수 있는 디바이스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심한 진동과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감싸 보호함과 아울러 사용자들의 취향에 따라 외관 디자인을 손쉽게 변화시킬 수 있고, 편리한 휴대 및 거치를 보조하는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의 제1슬라이딩 결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의 보조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의 제2슬라이딩 결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의 제2보조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면에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후면에 연결되어 임의의 벽체(W)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결합부재(200)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케이스를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본체(100)에 수용되는 임의의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디바이스의 일 예로 휴대폰(P)을 게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가 씌워질 수 있는 디바이스는 어떤 것이든 가능한 것이 자명하다.
또한, “벽체(W)”는 본체(1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부착되기 위한 임의의 장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벽면을 게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의 거치가 필요한 어떤 곳이든 가능한 것이 자명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체(1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의 본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면에는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면에 일정 방향으로 레일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휴대폰과 같은 디바이스를 장착시키기 위하여 휴대폰 케이스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는 디바이스 후면을 지지하는 평판(101)과, 상기 평판(101)의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디바이스의 측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측판(102)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의 평판(101)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레일을 구비한 레일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110)는 후술할 슬라이딩 결합부재(200, 40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부(110)가 형성된 방향을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게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레일부(110)는 슬라이딩 결합부재(200, 400)가 개방된 일측에서 진입하여 레일부(110)를 따라 이동하고, 차폐된 타측에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레일부(110)는 레일 전면부(110A)와 레일 후면부(110B)의 폭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 전면부(110A)는 레일 후면부(110B)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짐으로써 단면이 “
Figure 112016008057203-pat00008
“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높이의 단턱을 가지고, 슬라이딩 결합부재(200, 400)가 단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턱은 슬라이딩 결합부재(200, 400)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해줌과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부재(200, 40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턱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부(111)가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슬라이딩 결합부재(200, 400)가 상기 걸림부(111)에 걸리면서 탄성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결합부재(200, 400)의 이동거리를 일정간격으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레일 후면부(110B)에는 슬라이딩 결합부재(200, 400)의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레일부(11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레일부(110)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을 가지는 삽입유도부(120)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결합부재(200, 400)는 레일부(11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본체(100)를 거치할 수 있게 하는 구조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나, 돌기형의 제1슬라이딩 결합부재(200)나, 레일형의 제2슬라이딩 결합부재(40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제1슬라이딩 결합부재(200)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의 제1슬라이딩 결합부재(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슬라이딩 결합부재(200)는 제1플레이트(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210)의 일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벽체(W)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210)의 타면에는 본체(100)와 연결되기 위한 제1레일치합부(220)가 구비된다.
제1슬라이딩 결합부재(2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레일치합부(220)를 포함하고, 제1레일치합부(220)가 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부(110)에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제1슬라이딩 결합부재(200)와 본체(1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레일치합부(220)는 레일부(110)의 단턱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레일부(110)에 삽입되는 헤드부(221)와, 제1플레이트(210)와 헤드부(221)를 연결하는 연결기둥(222)을 포함한다. 그리고, 헤드부(221)의 길이방향의 폭은 연결기둥(222)의 단면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부(221)는 레일 후면부(110B)로 삽입되어 단턱에 걸리게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연결기둥(222)은 헤드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턱 사이의 슬릿을 통해 제1플레이트(210)와 연결됨으로써 제1레일치합부(22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보조플레이트(300, 500)는 레일부(110)의 움직임을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0)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의 제1보조플레이트(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제1보조플레이트(300)는 본체(100)의 레일전면부(110A) 방향으로 끼워지는 플레이트로서, 제1레일치합부(220)가 레일부(110)를 따라 이동할 때 레일부(110)의 흔들림을 잡아줌과 동시에 레일부(110)의 내구성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보조플레이트(300)는 레일부(110)의 전면 단턱 사이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요홈부(310)가 형성되어 본체(100)의 삽입홈에 끼워진다. 즉, 요홈부(310)가 레일부(110)의 단턱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치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레일치합부(220)가 레일부(110)를 따라 이동할 때 레일부(110)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다.
다만, 본체(100)와 제1보조플레이트(300)가 일체형으로 사출되어 구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의 제2슬라이딩 결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의 제2보조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슬라이딩 결합부재(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은 접착제 등에 의해 벽체(W)에 부착될 수 있고, 타면은 본체(100)에 형성된 레일부(11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레일치합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치합부(420)는 두 개의 레일이 한 쌍을 이루고, 각각의 레일이 본체(100)의 레일부(110)에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제2 슬라이딩 결합부재(400)와 본체(1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치합부(4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421)과, 레일(421)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단(422)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단(422)이 본체(100)의 레일부(110)의 단턱과 치합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제2레일치합부(420)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레일치합부(420)는 후술할 제2보조플레이트(500)와 탄성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23)가 제2보조플레이트(500)에 형성되는 안착돌기(510)와 탄성적으로 치합되어 제2레일치합부(42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2보조플레이트(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레일전면부(110A)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으로서, 레일부(110)의 움직임을 잡아주기 위한 역할을 하며, 제1보조플레이트(300)와 마찬가지로 레일부(110)의 단턱과 대응하는 요홈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보조플레이트(500)의 요홈부의 돌출면에는 제2슬라이딩 결합부재(400)의 제2레일치합부(420)의 결합돌기(423)와 탄성결합되기 위한 안착돌기(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보조플레이트(500)가 본체(100)에 결합될 경우 제2슬라이딩 결합부재(400)와 제2보조플레이트(500) 간의 상대적 이동 위치를 임시 구속하기 위하여, 제2레일치합부(420)의 결합돌기(423)가 제2보조플레이트(500)에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안착돌기(510)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서 안착돌기(510) 사이에 안착된다.
안착돌기(510)는 제2보조플레이트(500)에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레일치합부(420)에 안착돌기(510)가 형성되고 제2보조플레이트(500)에 결합돌기(423)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슬라이딩 결합부재(400)가 레일부(110)의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보조플레이트(500)의 끝단에 걸림돌기(5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 케이스는 벽체(W)에 부착되어 있는 슬라이딩 결합부재(200,400)에 본체(100)를 결합하여 간단하게 거치할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커버 케이스에 슬라이딩 결합부재(200)를 부착하여 본체(100)를 슬라이딩 결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디바이스의 외관과 동일한 크기의 커버 케이스가 아니어도 사용 가능한 표준크기의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가령, 본 발명의 본체(100)와 보조플레이트(300, 500)가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고, 슬라이딩 결합부재(200, 400)의 레일치합부(220, 420)가 레일과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본체
101: 평판
102: 측판
110: 레일부
110A: 레일 전면부
110B: 레일 후면부
111: 걸림부
120: 삽입유도부
200: 제1 슬라이딩 결합부재
210: 제1플레이트
220: 제1레일 치합부
221: 헤드부
222: 연결기둥
300: 제1보조플레이트
310: 요홈부
400: 제2슬라이딩 결합부재
410: 제2플레이트
420: 제2레일 치합부
421: 결합돌기
500: 제2보조플레이트
510: 안착돌기
520: 걸림돌기

Claims (11)

  1. 전면에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부를 포함하는 본체;
    일면은 벽체에 부착되고, 타면은 상기 본체의 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결합부재;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는 보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단턱을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재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단턱 내측에 끼워지도록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는 헤드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레일치합부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재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단턱 내측에 끼워지는 돌출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레일치합부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일치합부는 상기 레일의 상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플레이트는 상기 결합돌기가 탄성결합하여 안착되도록 2개가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안착돌기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플레이트는
    상기 레일부의 단턱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는 제1 보조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45648A 2015-10-19 2015-10-19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KR101597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648A KR101597316B1 (ko) 2015-10-19 2015-10-19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JP2016031099A JP6106297B1 (ja) 2015-10-19 2016-02-22 着脱可能なデバイスケース
US15/073,160 US20170111485A1 (en) 2015-10-19 2016-03-17 Removable device case
PCT/KR2016/008698 WO2017069387A1 (ko) 2015-10-19 2016-08-08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648A KR101597316B1 (ko) 2015-10-19 2015-10-19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316B1 true KR101597316B1 (ko) 2016-02-25

Family

ID=5544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648A KR101597316B1 (ko) 2015-10-19 2015-10-19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111485A1 (ko)
JP (1) JP6106297B1 (ko)
KR (1) KR101597316B1 (ko)
WO (1) WO20170693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88U (ko) * 2017-03-06 2018-09-14 문성관 사진촬영이 용이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2435S1 (en) 2017-05-19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ing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D933055S1 (en) * 2019-05-24 2021-10-12 Case-Mate, Inc. Case for cell phone device
USD1020721S1 (en) * 2024-01-04 2024-04-02 Liyang Li Phone ca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238Y1 (ko) * 2006-09-12 2006-12-08 (주)중앙티앤씨 벨트클립 장착용 휴대폰 케이스
KR20090092622A (ko) * 2008-02-27 2009-09-01 용숙 이 휴대용 단말기 외장 케이스
KR20120004715U (ko) * 2010-12-21 2012-06-29 김상현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KR101220507B1 (ko) * 2012-09-05 2013-01-10 김정상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371307B1 (ko) 2013-10-29 2014-03-11 주식회사아리움 조립식 휴대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1047A (ja) * 2003-10-14 2005-05-12 Hara Doki Kk 物品のホルダー
JP2012115030A (ja) * 2010-11-24 2012-06-14 Pioneer Electronic Corp 充電装置及び保持構造
KR20130113655A (ko) * 2012-04-06 2013-10-16 이규진 기능성 키트가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KR20150015894A (ko) * 2013-08-02 2015-02-11 와이어 팩토리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238Y1 (ko) * 2006-09-12 2006-12-08 (주)중앙티앤씨 벨트클립 장착용 휴대폰 케이스
KR20090092622A (ko) * 2008-02-27 2009-09-01 용숙 이 휴대용 단말기 외장 케이스
KR20120004715U (ko) * 2010-12-21 2012-06-29 김상현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KR101220507B1 (ko) * 2012-09-05 2013-01-10 김정상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371307B1 (ko) 2013-10-29 2014-03-11 주식회사아리움 조립식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88U (ko) * 2017-03-06 2018-09-14 문성관 사진촬영이 용이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87466Y1 (ko) * 2017-03-06 2018-09-19 문성관 사진촬영이 용이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11485A1 (en) 2017-04-20
WO2017069387A1 (ko) 2017-04-27
JP6106297B1 (ja) 2017-03-29
JP2017079458A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316B1 (ko)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US6637350B2 (en) Portable, compact computer and projector stand
KR102621353B1 (ko) 바퀴 달린 여행 가방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고정 장치 및 대응하는 보조 훅킹 요소
US9476438B2 (en) Glass clamp for a vehicle mirror assembly
CN107972548B (zh) 用于车辆的托物板组件及车辆
CN103115331B (zh) 灯具
RU2722235C2 (ru) Узел держателя планше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KR20140075089A (ko) 밴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리어 케이스 및 휴대 단말기용 보호커버
JP5412014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取付装置
JP6125198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120002677U (ko) 분리형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JP4621005B2 (ja) 机等におけるデスクトップパネル及び幕板の取付装置
KR20150002636U (ko) 차량용 시트
US20220274470A1 (en) Vehicle sun visor equipped with card holder
KR100617191B1 (ko) 은폐형 슬라이드 결합 구조를 갖는 캐비넷 및 백커버일체형 모니터 케이스
JP4750404B2 (ja) 机等における配線装置
JP6463964B2 (ja) 手すりブラケット
JP2018079794A (ja) 車体構造
JP2000342345A (ja) 机の支持脚におけるカバー部材
JP2006122145A (ja) 浴室壁面用ミラー
JP2549696Y2 (ja) シェーバーの刃枠の係合構造
JP4509717B2 (ja) 収納ポケット
JP3179709U (ja) 卓上鏡
JP5892633B1 (ja) キャスタ着脱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台車
KR200469726Y1 (ko) 휴대 단말기 부착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오디오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