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981B1 -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981B1
KR101542981B1 KR1020130165791A KR20130165791A KR101542981B1 KR 101542981 B1 KR101542981 B1 KR 101542981B1 KR 1020130165791 A KR1020130165791 A KR 1020130165791A KR 20130165791 A KR20130165791 A KR 20130165791A KR 101542981 B1 KR101542981 B1 KR 101542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pper rail
front door
latch
sw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7001A (ko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981B1/ko
Priority to US14/522,340 priority patent/US9493056B2/en
Priority to IN3143DE2014 priority patent/IN2014DE03143A/en
Priority to CN201410641988.XA priority patent/CN104742702B/zh
Priority to DE102014116523.3A priority patent/DE102014116523A1/de
Publication of KR2015007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4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4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15/10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2015/108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 E05D2015/10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swingingly, e.g. on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가 개시된다. 프론트 도어, 상기 프론트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된 상부 레일, 상기 상부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을 지지하는 상부 슬라이더, 차체에 장착된 하부 레일,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 레일에 끼워져 장착된 하부 슬라이더, 상기 상부 슬라이더에 일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더를 차체에 지지시키는 상부 지지구조물 및, 상기 하부 슬라이더와 상기 상부 레일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물을 포함하여, 프론트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Front door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차체의 도어 개구부를 개방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도어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된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체에는 차실 개폐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실 개폐 도어는 승용차의 경우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도어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에 설치된 리어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는 통상적으로 차체에 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많은 사람이 승합할 수 있는 승합차의 경우에는 상기 차실 개폐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상기 차실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승합차의 슬라이딩식 차실 개폐 도어는, 차실 개폐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차실을 개방하는 반면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실을 폐쇄하게 되어 있어서, 승용차와 같은 힌지식 차실 개폐 도어보다 도어 개폐에 필요한 개폐 필요 공간이 작고, 좁은 개폐 필요 공간에서도 차체에 형성한 도어 개구부를 완전하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딩식 차실 개폐 도어는,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 도어의 상부와 중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3개의 지지 및 안내 레일과 그 관련 부품들이 필요하여, 차량의 중량과 부품수를 증가시키고, 차량의 디자인 자유도를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프론트 도어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개폐 공간이 작은 경우에도 프론트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고, 2개의 레일만으로 프론트 도어를 지지하여 차량의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외관 디자인 자유도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는, 프론트 도어, 상기 프론트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된 상부 레일, 상기 상부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을 지지하는 상부 슬라이더, 차체에 장착된 하부 레일,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 레일에 끼워져 장착된 하부 슬라이더, 상기 상부 슬라이더에 일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더를 차체에 지지시키는 상부 지지구조물 및, 상기 하부 슬라이더와 상기 상부 레일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레일은,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된 중앙 레일, 상기 중앙 레일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상단 레일 및, 상기 중앙 레일보다 하부에 위치된 하단 레일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과 상단 레일 및 하단 레일은 각각 "ㄷ"자 형상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중앙 레일의 개구부에 대해 상기 상단 레일 및 상기 하단 레일의 개구부들은 각각 직각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단 레일 및 하단 레일의 개구부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의 하면에는 스트라이커가 높이 방향으로 상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더는 대체로 사각 평판 형상을 한 상부 슬라이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중앙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의 이동에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2개의 중앙 레일 롤러가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상단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의 이동에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2개의 상단 레일 롤러가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하단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의 이동에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2개의 하단 레일 롤러가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각각 직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에는 관통하는 제1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관통하는 제1조립홀과, 제2조립홀 및 제3조립홀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구조물은,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일단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스윙 암 및, 상기 스윙 암의 타단에 일단이 체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된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 암은, 스윙 암바디와, 상기 스윙 암바디의 한쪽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해서 돌출하도록 원통 형상을 한 제1플랜지, 상기 스윙 암바디의 다른쪽 선단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좌우에 배치되면서 일체로 연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2개의 제2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랜지의 일부는 절개되고, 그 절개된 한쪽 가장자리는 가압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1플랜지의 원통 내부에는 리턴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하부 플랜지에는 상기 상부 레일을 상기 상부 슬라이더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레일 록킹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록킹장치는,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하부 플랜지의 제2조립홀과 제3조립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2개의 제1걸쇠 및 제2걸쇠; 상기 제1걸쇠 및 상기 제2걸쇠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쇠는 그 일단에 형성된 갈고리와, 상기 갈고리의 반대쪽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압 가장자리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걸쇠는, 길이가 짧은 제1변과, 상기 제1변과 대체로 평행하면서 상기 제1변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제2변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개방형 걸림홈을 가진 후크; 상기 제1걸쇠의 갈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레일은,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된 중앙 레일과, 상기 중앙 레일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제1상단 레일; 상기 제1상단 레일보다 상부에 위치된 제2상단 레일 및 상기 중앙 레일보다 하부에 위치된 하단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과, 상기 제1상단 레일, 상기 제2상단 레일 및 상기 하단 레일은 각각 "ㄷ"자 형상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중앙 레일의 개구부에 대해 상기 제1상단 레일과 상기 제2상단 레일 및 상기 하단 레일의 개구부들은 각각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상단 레일 및 제2상단 레일의 개구부들은 상기 하단 레일의 개구부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 레일과 상기 제1상단 레일 및 상기 하단 레일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제2상단 레일은 상기 제1상단 레일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이 차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차량의 전방으로 향하는 전방 선단부에는 관통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하부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홀드오픈래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단 레일의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후방 선단부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가 완전히 닫혔을 때에 상기 프론트 도어에 장착된 래치와 결합하는 스트라이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더는,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한 하부 슬라이더 바디;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레일의 중앙 레일에 삽입되어 구름 운동하는 2개의 중앙 레일 롤러;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2개의 중앙 레일 롤러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레일의 제1상단 레일에 각각 삽입되어 구름 운동하는 2개의 상단 레일 롤러;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2개의 중앙 레일 롤러와 인접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2개의 상단 레일 롤러에 대해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레일의 하단 레일에 각각 삽입되어 구름 운동하는 2개의 하단 레일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른 한쪽 선단부의 전면에 상기 홀드오픈래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론트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스트라이커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른 다른쪽 선단부에는 어저스터 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어저스터 홀에는 어저스터 블록이 하부 슬라이더 바디의 폭 방향으로 따라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어저스터 블록에는 어저스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에서 폭 방향을 따른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각각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사이에는 상기 연결구조물의 일단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에는 상기 하부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제3걸쇠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조물은,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스윙 암; 상기 스윙 암의 타단에 장착된 회전 조인트; 및 상기 회전 조인트에 일단이 장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상부 레일에 일체로 고정되게 연결된 사각 형상의 지지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 암은, 대체로 사각 바아 형상을 한 스윙 암바디; 상기 스윙 암바디의 한쪽 선단부에서 상기 스윙 암바디에 대해 소정 각도로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된 작동 돌출부; 상기 작동 돌출부의 선단에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프론트 도어의 개방 작동시에 상기 하부 레일의 상기 제2상단 레일에 삽입되어 구름 운동을 하는 제2상단 레일 롤러; 및 상기 스윙 암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돌출부에는 상기 제3걸쇠를 눌러서 상기 제3걸쇠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작동면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레일의 상기 제1상단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는 상기 제3걸쇠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파여진 형태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걸쇠는, 걸쇠 바디; 상기 걸쇠 바디의 한쪽 선단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제1상단 레일의 상기 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갈고리; 상기 걸쇠 바디의 상기 갈고리의 반대쪽 부위에 상기 걸쇠 바디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상기 스윙 암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작동 돌출부의 작동면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조인트는, 상기 스윙 암바디의 선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된 지지조인트; 상기 지지조인트에 일단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지지바아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된 결합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조인트는, 상기 스윙 암바디의 선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반구형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한 조인트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결합조인트는, 상기 지지부의 반구형 원주면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을 따라 회전하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사각 바아 형상의 지지바아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사각 박스 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에 의하면, 프론트 도어에 설치된 중앙 레일과, 차체에 장착된 하부 레일을 따라 프론트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개폐되어, 프론트 도어의 개폐 공간이 작은 경우에도 프론트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슬라이딩식 도어에 비해 상부 레일 및 그 관련 장치들이 필요 없으므로, 차량의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차량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미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론트 도어가 소정 각도로 안정되게 회전된 후에 상기 중앙 레일 및 하부 레일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프론트 도어의 개폐 동작이 부드럽고 원활하며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레일과 상부 지지구조물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슬라이더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지지구조물의 스윙 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록킹장치에 의해 상부 레일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록킹장치로부터 상부 레일이 해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도어장치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레일과 그 연결구조물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걸쇠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스윙 암과 연결구조물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도어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는, 프론트 도어 패널(10)의 상부에 프론트 도어 패널(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장착된 상부 레일(20)과, 도시되지 않은 차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장착된 하부 레일(30), 상기 상부 레일(20)에 끼워져서 상부 레일(20)을 지지하는 상부 슬라이더(40), 상기 하부 레일(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부 레일(30)에 끼워져 장착되는 하부 슬라이더(50), 상기 상부 슬라이더(40)에 일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더(40)를 차체에 지지시키는 상부 지지구조물(60), 상기 하부 슬라이더(50)와 상기 상부 레일(20)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물(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레일(20)은,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된 중앙 레일(22)과, 이 중앙 레일(22)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상단 레일(24) 및 상기 중앙 레일(22)보다 하부에 위치된 하단 레일(26)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레일(20)은, 상기 중앙 레일(22)과 상단 레일(24) 및 하단 레일(26)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22)과 상단 레일(24) 및 하단 레일(26)은 각각 "ㄷ"자 형상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22)의 개구부에 대해 상단 레일(24) 및 하단 레일(26)의 개구부들은 각각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단 레일(24) 및 하단 레일(26)의 개구부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2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의 하면에는 스트라이커(28)가 높이 방향으로 상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28)는 대체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레일(20)에는 상부 슬라이더(4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슬라이더(40)는 대체로 사각 평판 형상을 한 상부 슬라이더 바디(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41)의 전면에는 상기 중앙 레일(22)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20)의 이동에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2개의 중앙 레일 롤러(42)가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41)의 전면에는 상기 상단 레일(24)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20)의 이동에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2개의 상단 레일 롤러(43)가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상부를 향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41)의 전면에는 상기 하단 레일(26)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20)의 이동에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2개의 하단 레일 롤러(44)가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하부를 향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41)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부 플랜지(45)와 하부 플랜지(46)가 각각 직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45)에는 관통하는 제1조립홀(451)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관통하는 제1조립홀(461)과, 제2조립홀(462) 및 제3조립홀(463)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지지구조물(60)은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41)의 상부 플랜지(45)와 하부 플랜지(46) 사이에 일단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스윙 암(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 암(62)은, 스윙 암바디(621)와, 이 스윙 암바디(621)의 한쪽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해서 돌출하도록 원통 형상을 한 제1플랜지(622), 상기 스윙 암바디(622)의 다른쪽 선단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좌우에 배치되면서 일체로 연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2개의 제2플랜지(62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랜지(622)의 일부는 절개되고, 그 절개된 한쪽 가장자리는 후술하는 걸쇠를 눌러서 회전시키는 가압 가장자리(624)를 형성한다.
상기 제1플랜지(622)의 원통 내부에는 리턴스프링(625)이 내장되고, 이 리턴스프링(625)은 스윙 암(62)이 스윙 운동을 한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41)의 상부 플랜지(45)와 하부 플랜지(46) 사이에는 스윙 암(62)의 제1플랜지(622)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조립핀(626)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스윙 암바디(621)의 제2플랜지(623)는 마운팅 브래킷(64)에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64)은 도시되지 않은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윙 암바디(621)의 2개의 제2플랜지(623) 사이에 상기 마운팅 브래킷(64)의 일단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조립핀(641)으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윙 암(62)은 상기 마운팅 브래킷(64)에 대해 상대 스윙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스윙 암(62)이 마운팅 브래킷(64)에 대해 스윙 운동을 한 후에 스윙 암(62)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리턴스프링(642)이 상기 조립핀(641)의 외주에 감기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41)의 하부 플랜지(46)에는 레일 록킹장치(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록킹장치(80)는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41)의 하부 플랜지(46)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2개의 제1걸쇠(82) 및 제2걸쇠(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쇠(82)는 상기 제2조립홀(462)에 조립핀(821)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조립핀(821)의 외주에는 제1걸쇠(82)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822)이 감겨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쇠(82)는 그 일단에 갈고리(8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쇠(82)는 상기 조립핀(821)을 중심으로 상기 갈고리(823)의 반대쪽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압 가장자리(624)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돌기(8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걸쇠(84)는 상기 제3조립홀(463)에 조립핀(841)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조립핀(841)의 외주에는 제2걸쇠(84)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842)이 감겨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쇠(84)는 길이가 짧은 제1변(843a)과, 이 제1변(843a)과 대체로 평행하면서 상기 제1변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제2변(843b)에 의해 형성된 개방형 걸림홈(843c)을 가진 후크(843)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843)는 상기 스트라이커(28)에 상기 개방형 걸림홈(843c)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걸쇠(84)는 상기 제1걸쇠(82)의 갈고리(823)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 돌기(8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쇠(82)와 제2걸쇠(84)는 상부 슬라이더(40)에 레일(20)을 록킹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록킹부재를 구성한다.
도 2는 상기 상부 레일(20)과 상부 슬라이더(40)가 2개의 제1걸쇠(82)와 제2걸쇠(84)를 매개로 일체로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상부 레일(20)과 상부 슬라이더(40)는 서로 상대 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윙 암(62)이 프론트 도어의 개방에 따른 선회 운동으로 대략 80°도 회전하면, 상기 스윙 암(62)의 가압 가장자리(624)가 상기 제1걸쇠(82)의 눌림돌기(824)를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걸쇠(82)는 상기 조립핀(82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1걸쇠(82)의 갈고리(823)로부터 제2걸쇠(84)의 걸림돌기(844)가 해방되어, 제2걸쇠(84)는 제1걸쇠(82)로부터 자유로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레일(20)은 스트라이커(28)에 걸린 제2걸쇠(84)를 통해서만 슬라이더(40)에 구속된 상태에 있게 되는 데, 즉 상기 제2걸쇠(84)의 후크(843)의 개방형 걸림홈(843c)에 스트라이커(28)가 삽입되어 걸려 있는 상태에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레일(20)이 상기 제2걸쇠(8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즉 프론트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부 레일(20)의 스트라이커(28)는 후크(843)의 걸림홈(843c)의 개구부를 따라 자연스럽게 빠져 나오게 되므로, 상부 레일(20)은 상부 슬라이더(40)로부터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상부 레일(20)은 상부 슬라이더(40)에 지지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부 레일(20)의 이동에 따라 상부 레일(20)에 내장된 상부 슬라이더(40)의 롤러들은 상부 레일(40)에 접촉한 상태로 구름 운동을 함에 따라 상부 레일(20)의 이동 운동이 원활해지게 한다.
한편, 상기 상부 레일(2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걸쇠(84)가 스트라이커(28)에 걸려서 상부 레일(20)이 상부 슬라이더(40)에 결합되어 구속되고, 상기 제2걸쇠(84)는 다시 제1걸쇠(82)에 걸려서 구속되어, 상부 레일(20)은 상부 슬라이더(40)를 통해 스윙 암(62) 및 마운팅 브래킷(64)을 매개로 차체와 같은 고정체에 걸려서 지지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레일(30)은,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된 중앙 레일(32)과, 이 중앙 레일(32)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제1상단 레일(34), 이 제1상단 레일(34)보다 상부에 위치된 제2상단 레일(36) 및, 상기 중앙 레일(32)보다 하부에 위치된 하단 레일(38)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레일(30)은, 상기 중앙 레일(32)과, 제1상단 레일(34), 제2상단 레일(36) 및 하단 레일(38)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32)과 제1상단 레일(34), 제2상단 레일(36) 및 하단 레일(38)은 각각 "ㄷ"자 형상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32)의 개구부에 대해 제1상단 레일(34)과 제2상단 레일(36) 및 하단 레일(38)의 개구부들은 각각 직각으로 배치되고, 제1상단 레일(34) 및 제2상단 레일(36)의 개구부들은 상기 하단 레일(38)의 개구부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32)과 제1상단 레일(34) 및 하단 레일(38)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제2상단 레일(36)은 상기 제1상단 레일(34)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앙 레일(32)의 길이 방향을 따른 한쪽 선단부, 중앙 레일(32)이 차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차량의 전방으로 향하는 전방 선단부에는 관통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는 홀드오픈래치(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홀드오픈래치(35)는 프론트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하부 슬라이더(50)와 결합되어, 프론트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상단 레일(34)의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후방 선단부에는 스트라이커(37)가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37)는 상기 중앙 레일(32)의 개구부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37)는 프론트 도어가 완전히 닫혔을 때에 프론트 도어에 장착된 래치와 결합하여 프론트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슬라이더(50)는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한 하부 슬라이더 바디(51)와, 이 하부 슬라이더 바디(51)의 전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레일(30)의 중앙 레일(32)에 삽입되어 구름 운동하는 2개의 중앙 레일 롤러(52)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51)의 전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2개의 중앙 레일 롤러(52)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레일(30)의 제1상단 레일(34)에 각각 삽입되어 구름 운동하는 2개의 상단 레일 롤러(53),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51)의 전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2개의 중앙 레일 롤러(52)와 인접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2개의 상단 레일 롤러(53)에 대해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레일(30)의 하단 레일(38)에 각각 삽입되어 구름 운동하는 2개의 하단 레일 롤러(5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51)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른 한쪽 선단부의 전면에 상기 홀드오픈래치(3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론트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스트라이커(55)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51)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른 다른쪽 선단부에는 어저스터 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어저스터 홀에는 어저스터 블록(56)이 하부 슬라이더 바디(51)의 폭 방향으로 따라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어저스터 블록(56)에는 어저스터 롤러(5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어저스터 홀에서 상기 어저스터 블록(56)이 어저스터 볼트(561)를 매개로 체결되는 위치에서 따라 상기 어저스터 롤러(57)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어저스터 롤러(57)는 상기 하부 레일(30)의 중앙 레일(32)의 상면에 맞닿아서 상기 연결구조물을 통해 입력되는 프론트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하부 레일(30)의 공차와 롤러들의 공차를 흡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51)에서 폭 방향을 따른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부 플랜지(511)와 하부 플랜지(512)가 각각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511)와 하부 플랜지(512)사이에는 상기 연결구조물(70)의 일단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조립핀(57)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상부 플랜지(511)와 하부 플랜지(512)에는 각각 관통하는 조립홀(511a, 512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3걸쇠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조물(70)은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51)에 상기 조립핀(57)으로 일단이 체결된 스윙 암(72), 상기 스윙 암(72)의 타단에 장착된 회전 조인트(74) 및, 상기 회전 조인트(74)에 일단이 장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상부 레일(20)에 일체로 고정되게 연결된 사각 형상의 지지바아(76)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 암(72)은 대체로 사각 바아 형상을 한 스윙 암바디(721)와, 이 스윙 암바디(721)의 한쪽 선단부에서 스윙 암바디(721)에 대해 소정 각도로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된 작동 돌출부(722), 상기 작동 돌출부(722)의 선단에 장착됨과 더불어 프론트 도어의 개방 작동시에 상기 제2상단 레일(36)에 삽입되어 구름 운동을 하는 제2상단 레일 롤러(723) 및, 상기 조립핀(57)의 외주에 감기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스윙 암(72)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724)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돌출부(722)에는 후술 하는 제3걸쇠(90)를 해제 작동시키는 작동면(7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단 레일 롤러(723)는, 프론트 도어의 개방 운동으로 상기 스윙 암(72)이 대략 80° 정도 스윙 운동을 하면, 상기 제2상단 레일(36)에 삽입되어 스윙 암(72)의 추가적인 스윙 운동을 저지하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레일(30)의 제1상단 레일(3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는 파여진 형태의 걸림홈(3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51)의 상부 플랜지(511) 및 하부 플랜지(512)의 조립홀(511a, 512a)에는 제3걸쇠(9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3걸쇠(90)는, 상부 플랜지(511) 및 하부 플랜지(512)의 조립홀(511a, 512a)과 일치하는 조립홀(91)이 관통해서 형성된 걸쇠 바디(92)와, 이 걸쇠 바디(92)의 한쪽 선단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제1상단 레일(34)의 걸림홈(341)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갈고리(94), 상기 걸쇠 바디(92)의 상기 갈고리(94)의 반대쪽 부위에 걸쇠 바디(92)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상기 스윙 암(72)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작동 돌출부(722)의 작동면(725)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 돌출부(96)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 암(72)이 프론트 도어의 선회 운동에 따라 함께 대략 80° 정도 회전하면, 상기 작동 돌출부(722)의 작동면(725)에 의해 제3걸쇠(90)의 눌림 돌출부(96)가 눌려져서 제3걸쇠(90)는 조립홀(91)에 조립된 조립핀을 기준으로 도 14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갈고리(94)가 제1상단 레일(34)의 걸림홈(341)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상기 하부 슬라이더(50)가 하부 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프론트 도어가 차량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조인트(74)는, 상기 스윙 암바디(721)의 선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된 지지조인트(742)와, 이 지지조인트(742)에 일단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지지바아(76)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된 결합조인트(74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조인트(742)는 상기 스윙 암바디(721)의 선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반구형의 지지부(742a)와, 이 지지부(742a)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홈(742b)을 구비한 조인트부(742c)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조인트(744)는 상기 지지부(742a)의 반구형 원주면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742b)에 삽입되어 결합홈(742b)을 따라 회전하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원통부(744a)와, 이 원통부(744a)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사각 바아 형상의 지지바아(76)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사각 박스 형상의 하우징(744b)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론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을 위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선회 운동을 할 때에 상기 지지조인트(742)와 결합조인트(744) 사이에서 상대 회전 운동이 발생하고, 이들 사이의 상대 회전 운동은 상기 원통부(744a)의 외주면의 하부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1스톱퍼돌기(744d)가 상기 스윙 암바디(721)에 형성된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2스톱퍼돌기(726)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도 17(A)를 참조하면, 프론트 도어(100)는 차체(110)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115)를 닫아서 폐쇄하고 있다.
상기 상부 지지구조물(60)의 마운팅 브래킷(64)은 차체(110)에 형성 도어 개구부(115)와 인접한 부위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프론트 도어(100)에는 상기 상부 레일(20)이 그 폭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 레일(20)에는 상부 슬라이더(40)가 삽입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더(40)는 상부 지지구조물(60)의 스윙 암(62)과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레일(30)도 차체(110)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하부 레일(30)에는 하부 슬라이더(5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슬라이더(50)는 연결구조물(70)을 통해 상기 프론트 도어(100)와 연결되어 있다.
프론트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장치(80)에 의해 상부 슬라이더(40)와 상부 레일(20) 사이의 상대 운동이 구속되어 있고, 하부 레일(30)의 스트라이커(55)에는 프론트 도어(100)에 장착된 래치가 걸려서 고정되어 프론트 도어(100)와 하부 레일(30) 사이의 상대 운동이 구속되어 있으며, 하부 레일(30)의 제3걸쇠(90)는 하부 레일(30)의 걸림홈(341)에 걸려서 고정되어 하부 슬라이더(50)와 하부 레일(30) 사이의 상대 운동이 구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도어(100)가 차체(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프론트 도어(100)를 개방하면, 프론트 도어(100)가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선회 운동을 하게 되는 데, 상기 프론트 도어(100)의 선회 운동으로 상부 지지구조물(60)의 스윙 암(62)과 하부 연결구조물(70)의 스윙 암(72)은 각각 대략 80° 정도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프론트 도어(100)의 선회 운동은 상기 2개의 스톱퍼돌기(726, 744d)가 서로 간섭될 때까지 계속된다.
프론트 도어(100)가 선회 운동을 완료하게 되면, 상부 레일(20)의 스트라이커(28)는 상부 슬라이더(40)의 제2걸쇠(84)에 이탈 가능하게 걸린 상태에 있고, 제3걸쇠(90)는 걸림홀(341)으로부터 벗어나서 하부 슬라이더(50)와 하부 레일(30) 사이에는 상대 운동이 가능한 상태 있다(도 17(B)).
이러한 상태에서 프론트 도어(100)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프론트 도어(100)은 상부 슬라이더(40)에 그 상부가 지지된 상태 및 상기 연결구조물(70)에 의해 하부 슬라이더(50)를 매개로 하부 레일(30)에 지지된 상태로 하부 레일(3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상부 슬라이더(40)는 상부 레일(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레일(20)의 전방 이동에 따라 구름 운동을 하면서 상부 레일(20)을 지지하게 된다(도 17(C)).
프론트 도어(100)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완전히 개방되면, 하부 슬라이더(50)의 스트라이커(55)가 홀드오픈래치(35)에 걸려서 프론트 도어(10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해주게 된다(도 17(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프론트 도어 패널
20: 상부 레일
30: 하부 레일
40: 상부 슬라이더
50: 하부 슬라이더
60: 상부 지지구조물
70; 연결구조물
80: 록킹장치
90: 제3걸쇠

Claims (22)

  1. 프론트 도어;
    상기 프론트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된 상부 레일;
    상기 상부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을 지지하는 상부 슬라이더;
    차체에 장착된 하부 레일;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 레일에 끼워져 장착된 하부 슬라이더;
    상기 상부 슬라이더에 일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더를 차체에 지지시키는 상부 지지구조물; 및
    상기 하부 슬라이더와 상기 상부 레일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일은,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된 중앙 레일;
    상기 중앙 레일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상단 레일; 및
    상기 중앙 레일보다 하부에 위치된 하단 레일;
    을 각각 포함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레일과 상단 레일 및 하단 레일은 각각 "ㄷ"자 형상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중앙 레일의 개구부에 대해 상기 상단 레일 및 상기 하단 레일의 개구부들은 각각 직각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단 레일 및 하단 레일의 개구부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의 하면에는 스트라이커가 높이 방향으로 상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는 대체로 사각 평판 형상을 한 상부 슬라이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중앙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의 이동에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2개의 중앙 레일 롤러가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상단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의 이동에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2개의 상단 레일 롤러가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하단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의 이동에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2개의 하단 레일 롤러가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각각 직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에는 관통하는 제1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관통하는 제1조립홀과, 제2조립홀 및 제3조립홀이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구조물은,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일단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스윙 암; 및
    상기 스윙 암의 타단에 일단이 체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된 마운팅 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암은,
    스윙 암바디와;
    상기 스윙 암바디의 한쪽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해서 돌출하도록 원통 형상을 한 제1플랜지;
    상기 스윙 암바디의 다른쪽 선단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좌우에 배치되면서 일체로 연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2개의 제2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랜지의 일부는 절개되고, 그 절개된 한쪽 가장자리는 가압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1플랜지의 원통 내부에는 리턴스프링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하부 플랜지에는 상기 상부 레일을 상기 상부 슬라이더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레일 록킹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록킹장치는,
    상기 상부 슬라이더 바디의 하부 플랜지의 제2조립홀과 제3조립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2개의 제1걸쇠 및 제2걸쇠;
    상기 제1걸쇠 및 상기 제2걸쇠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쇠는 그 일단에 형성된 갈고리와, 상기 갈고리의 반대쪽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압 가장자리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걸쇠는,
    길이가 짧은 제1변과, 상기 제1변과 대체로 평행하면서 상기 제1변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제2변에 의해 형성되어 스트라이커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개방형 걸림홈을 가진 후크;
    상기 제1걸쇠의 갈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레일은,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된 중앙 레일과,
    상기 중앙 레일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제1상단 레일;
    상기 제1상단 레일보다 상부에 위치된 제2상단 레일; 및
    상기 중앙 레일보다 하부에 위치된 하단 레일;
    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레일과, 상기 제1상단 레일, 상기 제2상단 레일 및 상기 하단 레일은 각각 "ㄷ"자 형상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중앙 레일의 개구부에 대해 상기 제1상단 레일과 상기 제2상단 레일 및 상기 하단 레일의 개구부들은 각각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상단 레일 및 제2상단 레일의 개구부들은 상기 하단 레일의 개구부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 레일과 상기 제1상단 레일 및 상기 하단 레일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제2상단 레일은 상기 제1상단 레일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레일이 차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차량의 전방으로 향하는 전방 선단부에는 관통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하부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홀드오픈래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단 레일의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후방 선단부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가 완전히 닫혔을 때에 상기 프론트 도어에 장착된 래치와 결합하는 스트라이커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더는,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한 하부 슬라이더 바디;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레일의 중앙 레일에 삽입되어 구름 운동하는 2개의 중앙 레일 롤러;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2개의 중앙 레일 롤러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레일의 제1상단 레일에 각각 삽입되어 구름 운동하는 2개의 상단 레일 롤러;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의 전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2개의 중앙 레일 롤러와 인접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2개의 상단 레일 롤러에 대해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레일의 하단 레일에 각각 삽입되어 구름 운동하는 2개의 하단 레일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른 한쪽 선단부의 전면에 상기 홀드오픈래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론트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스트라이커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른 다른쪽 선단부에는 어저스터 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어저스터 홀에는 어저스터 블록이 하부 슬라이더 바디의 폭 방향으로 따라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어저스터 블록에는 어저스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에서 폭 방향을 따른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각각 직각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사이에는 상기 연결구조물의 일단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에는 상기 하부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제3걸쇠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물은,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스윙 암;
    상기 스윙 암의 타단에 장착된 회전 조인트; 및
    상기 회전 조인트에 일단이 장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상부 레일에 일체로 고정되게 연결된 사각 형상의 지지바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암은,
    대체로 사각 바아 형상을 한 스윙 암바디;
    상기 스윙 암바디의 한쪽 선단부에서 상기 스윙 암바디에 대해 소정 각도로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된 작동 돌출부;
    상기 작동 돌출부의 선단에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프론트 도어의 개방 작동시에 상기 하부 레일의 상기 제2상단 레일에 삽입되어 구름 운동을 하는 제2상단 레일 롤러; 및
    상기 스윙 암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돌출부에는 상기 제3걸쇠를 눌러서 상기 제3걸쇠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작동면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레일의 상기 제1상단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는 상기 제3걸쇠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파여진 형태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걸쇠는,
    걸쇠 바디;
    상기 걸쇠 바디의 한쪽 선단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제1상단 레일의 상기 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갈고리;
    상기 걸쇠 바디의 상기 갈고리의 반대쪽 부위에 상기 걸쇠 바디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상기 스윙 암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작동 돌출부의 작동면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인트는,
    상기 스윙 암바디의 선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된 지지조인트;
    상기 지지조인트에 일단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지지바아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된 결합조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조인트는,
    상기 스윙 암바디의 선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반구형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한 조인트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결합조인트는,
    상기 지지부의 반구형 원주면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을 따라 회전하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사각 바아 형상의 지지바아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사각 박스 형상의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KR1020130165791A 2013-12-27 2013-12-27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KR101542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791A KR101542981B1 (ko) 2013-12-27 2013-12-27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US14/522,340 US9493056B2 (en) 2013-12-27 2014-10-23 Front door device in vehicle
IN3143DE2014 IN2014DE03143A (ko) 2013-12-27 2014-10-31
CN201410641988.XA CN104742702B (zh) 2013-12-27 2014-11-11 车辆中的前车门装置
DE102014116523.3A DE102014116523A1 (de) 2013-12-27 2014-11-12 Vordertür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791A KR101542981B1 (ko) 2013-12-27 2013-12-27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001A KR20150077001A (ko) 2015-07-07
KR101542981B1 true KR101542981B1 (ko) 2015-08-07

Family

ID=5337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791A KR101542981B1 (ko) 2013-12-27 2013-12-27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93056B2 (ko)
KR (1) KR101542981B1 (ko)
CN (1) CN104742702B (ko)
DE (1) DE102014116523A1 (ko)
IN (1) IN2014DE031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729B1 (ko) * 2013-12-17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레일 록킹장치
KR101601106B1 (ko) * 2014-04-09 2016-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1684539B1 (ko) * 2015-06-10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모듈 구조
JP6583211B2 (ja) * 2016-10-28 2019-10-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構造
US10480233B2 (en) * 2016-12-16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dden sliding do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19006157A (ja) * 2017-06-20 2019-01-17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前部用スライドドア装置
US11002054B2 (en) * 2018-11-09 2021-05-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liding door mechanism
KR102644311B1 (ko) * 2018-12-12 202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KR20210033780A (ko) * 2019-09-19 2021-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KR20210046908A (ko) * 2019-10-18 2021-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락 장치
KR20210057618A (ko) *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용 링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6175A1 (de) * 1988-05-11 1989-11-23 Bode & Co Geb Schwenkschiebetuer fue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 kraftfahrzeug
JPH0749746B2 (ja) * 1990-06-29 1995-05-31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EP0800944B1 (en) * 1996-04-09 2001-12-19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A sliding door supporting apparatus
US5992097A (en) * 1997-05-16 1999-11-3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liding door structure
US6183039B1 (en) * 1999-02-05 2001-02-06 Delphi Technologies, Inc. Pivot and slide door system
US6036257A (en) * 1999-06-02 2000-03-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rticulating lower roller assembly for sliding vehicle door
JP3855600B2 (ja) * 2000-05-29 2006-12-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US6793268B1 (en) * 2003-05-12 2004-09-2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Gliding do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CN1640708A (zh) * 2004-01-16 2005-07-20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式车门及其安全装置
JP4153904B2 (ja) * 2004-06-24 2008-09-2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スライド扉用ローラーアームユニット
DE102005034346A1 (de) * 2005-05-09 2006-11-23 Dura Automotive Plettenberg Entwicklungs- Und Vertriebs Gmbh Schiebetüre für ein Kraftfahrzeug
DE202005017077U1 (de) * 2005-10-28 2007-03-0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Schiebetü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JP5040512B2 (ja) * 2006-10-27 2012-10-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構造
KR100861561B1 (ko) * 2006-11-08 2008-10-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운전실
DE102007006360A1 (de) * 2007-02-08 2008-08-21 Dura Automotive Body & Glass Systems Gmbh Schiebetüre für ein Kraftfahrzeug
US7798557B2 (en) * 2007-08-20 2010-09-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unguided four-bar rear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mechanism
US7950719B2 (en) * 2007-09-14 2011-05-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ual hinge rear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system
JP4914841B2 (ja) * 2008-01-09 2012-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US7731270B2 (en) * 2008-03-11 2010-06-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sliding door travel extension system
KR100946496B1 (ko) * 2008-07-25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 도어 구조
US7611190B1 (en) * 2009-02-24 2009-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mechanism
JP5633141B2 (ja) * 2009-11-27 2014-12-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8336949B2 (en) * 2010-08-06 2012-12-25 Honda Motor Co., Ltd. Link-type sliding door mechanism
US8353555B2 (en) * 2010-08-06 2013-01-15 Honda Motor Co., Ltd. Link-type sliding door mechanism
JP5609849B2 (ja) * 2011-11-29 2014-10-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ドア構造
KR101338781B1 (ko) * 2011-12-14 2014-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일이 보이지 않는 슬라이딩 도어
US8794688B2 (en) * 2012-01-24 2014-08-05 Chrysler Group Llc Door assembly for a vehicle
JP6064332B2 (ja) * 2012-02-09 2017-01-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5712952B2 (ja) * 2012-03-01 2015-05-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ITTO20120754A1 (it) * 2012-08-31 2014-03-01 Coproget S R L Guida per una porta scorrevole, in particolare di un veicolo, e relativo metodo di realizzazione
KR101382777B1 (ko) * 2013-02-15 2014-04-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로워레일 구조
KR101382759B1 (ko) * 2013-02-27 201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101439011B1 (ko) * 2013-03-15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비저블 슬라이딩 도어 트림 구조
JP6155753B2 (ja) * 2013-03-27 2017-07-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5880480B2 (ja) * 2013-04-17 2016-03-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ドア構造
US9506282B2 (en) * 2013-04-24 2016-11-29 Fca Us Llc Tumble-home extending sliding door system
US9022455B2 (en) * 2013-10-09 2015-05-05 Honda Motor Co., Ltd. Hinge garnish panel for vehicle slid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3304A1 (en) 2015-07-02
IN2014DE03143A (ko) 2015-07-03
US9493056B2 (en) 2016-11-15
KR20150077001A (ko) 2015-07-07
CN104742702B (zh) 2018-10-12
CN104742702A (zh) 2015-07-01
DE102014116523A1 (de)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981B1 (ko)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KR101542980B1 (ko) 차량의 리어 도어장치
KR101601106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1534729B1 (ko) 레일 록킹장치
KR101673338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JP3930459B2 (ja) 引戸の戸閉装置
US9428086B2 (en) Over-travel mechanism for easy-entry system
KR10138275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101886445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EP2436860A2 (en) Electric door-locking system using a cam
CN105667406B (zh) 具有减振支柱和集成的惯性锁的控制台扶手总成
CN111173395B (zh) 滑动门机构
EP2940235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CN112943011A (zh) 全板玻璃设备及车辆
JP5448855B2 (ja) 車両用ローディングフラップ
KR101605784B1 (ko)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US20230302977A1 (en) Vehicle armrest of bidirectionally opened and closed type
KR101181905B1 (ko) 도어 개폐장치
KR1013712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20009182A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료도어 충돌방지장치
JP2500175Y2 (ja) 車両のスイングスライド式ドア構造
KR101786705B1 (ko) 차량의 대향 개폐형 도어구조
JP2005113546A (ja) 引戸用鎌錠
JP2003214016A (ja) 車両用スライド扉装置
KR100828606B1 (ko) 자동차 뒷문의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