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318B1 -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318B1
KR101457318B1 KR1020137014170A KR20137014170A KR101457318B1 KR 101457318 B1 KR101457318 B1 KR 101457318B1 KR 1020137014170 A KR1020137014170 A KR 1020137014170A KR 20137014170 A KR20137014170 A KR 20137014170A KR 101457318 B1 KR101457318 B1 KR 101457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layer
waiting
landing call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3653A (ko
Inventor
나오히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6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1Sequential evaluation of plurality of criteria
    • B66B2201/232Sequential evaluation of plurality of criteria where the time needed for a passenger to arrive at the allocated elevator car from where the call is made is taken into acc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43Distribution of elevator cars, e.g. based on expected future n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 회수 및 주행 거리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킨다.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승객이 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승강장 호출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동 시간 비교 수단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이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예측 이동 시간 Te와 예측 보행 시간 Tw를 비교한다. 그리고, 대기 운전 가부 수단은 이동 시간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대기 운전 가부 수단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가 판정된 경우에만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후에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ELEVATOR SYSTEM AND GROUP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를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를 실시하는 그룹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는 이용자에의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든 호출(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이용 빈도가 높은 로비층 등의 특정 층상(대기층)에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켜 대기시키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종래 기술로서, 상기 대기층을 시간대마다 변경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에는 승객의 승차 시각이나 승강층, 엘리베이터 칸의 진행 방향 등을 검출함으로써 승차 예정자의 엘리베이터 칸 대기 시간이 최대한 짧아지도록 각 시간대의 대기층을 결정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5-32495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여, 대기 운전 기능을 구비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모든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엘리베이터를 대기층으로 반드시 이동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주행 회수 및 주행 거리가 증대하여 엘리베이터의 소비 에너지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함에 있어서, 주행 회수 및 주행 거리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 층의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소정의 조건하에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홀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승강장 호출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이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었을 때의 정지층에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으로 엘리베이터가 이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이동 시간과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의 승차 위치까지 승객이 이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보행 시간을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대기 운전 가부 수단과, 대기 운전 가부 수단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가 판정된 경우에만,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후에 엘리베이터를 대기층으로 이동시키는 대기 운전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 층의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소정의 조건하에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홀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승강장 호출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이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었을 때의 정지층이 소정의 대기 금지층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를 판정하고, 대기 금지층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기 운전을 실시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판정하는 대기 운전 가부 수단과, 대기 운전 가부 수단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가 판정된 경우에만,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후에 엘리베이터를 대기층으로 이동시키는 대기 운전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 층의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소정의 조건하에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소정의 인증 조작을 행함으로써 홀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승강장 호출 및 행선 호출의 자동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와,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에 의하여 기등록자로 인증된 승객의 행선층이 무효, 미등록,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과 동일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판정 수단에 의하여 해당한다는 취지가 판정된 경우에, 엘리베이터가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 이외의 층상에서 대기하고 있으면 엘리베이터를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으로 이동시키는 대기 엘리베이터 사전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은,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 관리함과 아울러, 소정의 조건하에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홀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승강장 호출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이 적어도 1대의 엘리베이터의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었을 때의 정지층에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으로 엘리베이터가 이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이동 시간과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의 승차 위치까지 승객이 이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보행 시간을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대기 운전 가부 수단과, 대기 운전 가부 수단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가 판정되고, 또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소정의 대수보다 적은 경우에만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후에 엘리베이터를 대기층으로 이동시키는 대기 운전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은,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 관리함과 아울러, 소정의 조건하에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서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홀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승강장 호출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이 적어도 1대의 엘리베이터의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었을 때의 정지층이 소정의 대기 금지층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를 판정하고, 대기 금지층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기 운전을 실시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판정하는 대기 운전 가부 수단과, 대기 운전 가부 수단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가 판정되고, 또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소정의 대수보다 적은 경우에만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후에 엘리베이터를 대기층으로 이동시키는 대기 운전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은,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 관리함과 아울러, 소정의 조건하에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소정의 인증 조작을 행함으로써 홀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승강장 호출 및 행선 호출의 자동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와,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에 의하여 기등록자로 인증된 승객의 행선층이 무효, 미등록,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과 동일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판정 수단에 의하여 해당한다는 취지가 판정된 경우에,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 이외의 층상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있으면 그 엘리베이터를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으로 이동시키는 대기 엘리베이터 사전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 회수 및 주행 거리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내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 홀(이하, 단순히 ‘홀’이라고도 한다), 2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안을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이다.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기 위하여 누르는 행선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2) 내에서 행선 버튼을 누르면 엘리베이터 칸(2)(의 조작반(操作盤))으로부터 제어장치(3)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 요구가 송신된다. 4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홀(1)의 승강장 출입구 앞에서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기 위하여 누르는 승강장 버튼이다. 승강장 버튼(4)은 각 층의 엘리베이터 홀(1)에 설치되어 있다. 승객이 홀(1)에 있어서 승강장 버튼(4)을 누르면, 홀(1)(의 조작반)로부터 제어장치(3)에 대하여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가 송신된다.
제어장치(3)는 엘리베이터 전체의 운행 제어를 맡는다. 제어장치(3)는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를 수신함으로써 승강장 호출을,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 요구를 수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한다. 그리고, 제어장치(3)는 등록한 호출(각 층의 승강장 호출,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를 순차 응답시키도록 각 기기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한다.
또,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홀(1)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승강장 호출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가 마련되어 있다.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는 예를 들면, 로비층의 공동 현관의 근방, 로비층의 통로, 로비층의 홀(1) 등에 설치된다. 도 1에서는 일례로서 홀(1)에 진입하기 위한 도어(6)의 근방에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는 승객에 의해 소정의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제어장치(3)에 대하여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를 송신한다. 제어장치(3)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를 수신함으로써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고, 엘리베이터를 적절히 응답시킨다.
본 제어장치(3)는 각 층 및 원격으로부터의 승강장 호출이나, 엘리베이터 칸(2)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기능에 더하여, 소정의 조건하에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어장치(3)에는 대기층 판정 수단(7), 기억 수단(8), 이동 시간 비교 수단(9),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 대기 운전 수단(11)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 도 3 및 도 4도 참조하여,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특히 제어장치(3)) 특유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는 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장치(3)에서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로부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상시 판정하고 있다. 제어장치(3)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로부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S101), 대기층 판정 수단(7)으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를 송신해 온(즉, 승객에 의하여 호출의 입력 조작이 행해진)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이 상기 대기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2). 또한, 대기층의 정보는 기억 수단(8)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대기층 판정 수단(7)에 의하여 상기 설치층이 대기층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지면, 제어장치(3)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설치층이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S102의 Yes), 제어장치(3)는 다음으로,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으로 다음의 식이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3)
Te-Tw≥Ta (1)
여기서,
Te: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승강장 호출·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직후의 정지층에서 대기층인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가 이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이하, ‘예측 이동 시간’이라고도 한다)
Tw: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에서 호출의 입력 조작을 행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그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 위치에서부터 엘리베이터의 승차 위치까지 걸어서 이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이하, ‘예측 보행 시간’이라고도 한다)
Ta:승객이 홀(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도착을 기다리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시간(이하, ‘허용 시간’이라고도 한다)
이다.
도 4는 상기 예측 이동 시간 Te, 예측 보행 시간 Tw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호출에 대한 서비스를 완료하였을 때의 정지층이 건물의 상방층(上方層)인 9층인 경우, 엘리베이터가 최하층(1층)인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까지 이동하기 위하여는 시간 Te를 요한다. 또,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는 1층의 홀(1)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를 조작하고 나서 엘리베이터의 승차 위치까지 걸어서 이동하는데 시간 Tw를 요한다. 또한, 예측 보행 시간 Tw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에서 엘리베이터까지의 거리와 승객의 일반적인 보행 속도(예를 들면, 1.0m/sec)로부터 용이하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은 예측 이동 시간 Te와 예측 보행 시간 Tw와의 비교를 실시하고, 예측 이동 시간 Te에서 예측 보행 시간 Tw를 감산한 값이 허용 시간 Ta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허용 시간 Ta에는, 예를 들면 5초 정도의 값이 설정된다. 엘리베이터의 승객의 편리성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허용 시간 Ta를 0초 이하로 설정하면 된다. 즉, 허용 시간 Ta로서 음의 값을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은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 1이 성립한다고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에 의하여 판정되면,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은 대기 운전의 실시(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으로의 배차)를 허가한다(S104).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가 판정되면, 대기 운전 수단(11)은 엘리베이터에 의한 서비스가 모두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대기 운전 수단(11)은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후에 대기 운전을 개시하고, 엘리베이터를 대기층으로 이동시킨다(S105).
한편, 상기 식 1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에 의하여 판정된 경우,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은 대기 운전의 실시를 불허가한다(S106). 이로써, 제어장치(3)는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일 없이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즉, 대기 운전 수단(11)은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에 의하여 대기 운전의 실시가 허가된 경우에만 모든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된 후에 대기 운전으로 이행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대기층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에서 엘리베이터 앞까지 이동하는 시간 동안 엘리베이터가 서비스 완료 후의 정지층에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에는(Ta=0, Te≤Tw),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는 모든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된 후 그 정지층에 계속 대기하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에서 엘리베이터 앞까지 이동하는 시간 동안 엘리베이터가 서비스 완료 후의 정지층에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는(Ta=0, Te≥Tw), 엘리베이터는 모든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된 후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으로 이동하고 나서 대기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용 빈도가 높은 로비층 등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가 설치되어 있는 층상에서는 승객의 대기 시간이 증가하는 일은 없으며, 쾌적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대기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만 대기 운전이 실시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주행 회수나 주행 거리가 감소하여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든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된 후에 엘리베이터가 그 정지층에 계속 대기하는 경우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가 설치되어 있는 층상 이외의 층상으로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시스템 전체로서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로부터 승강장 호출의 등록만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에 개인 인증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로부터 승강장 호출과 행선 호출 쌍방의 등록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는 IC카드의 카드 정보 등 소정의 정보가 입력되면, 그 입력 정보와 기등록 정보를 조합(照合)함으로써 개인 인증을 실시한다. 그리고,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는 입력 정보와 기등록 정보와의 일치로 인증이 성공하면, 설치층의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와 인증된 개인의 행선층에 대응하는 행선 호출 등록 요구를 제어장치(3)에 대하여 자동 송신한다. 아울러, 개인 인증을 위하여, 지문·홍채 등을 이용한 생체인식(Biometrics)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으로 예측 이동 시간 Te와 예측 보행 시간 Tw와의 비교를 실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은 도 3의 S103에 있어서, 상기 식 1 대신에 다음의 식이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도 좋다.
We≥αTw (2)
여기서,
We: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승강장 호출·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직후의 정지층에서 대기층인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까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소비 에너지량
α:사전에 설정한 파라미터
이다.
즉,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은 S103에 있어서, 소비 에너지량 We와 예측 보행 시간 Tw와의 비교를 실시한다. 또한, 소비 에너지량 We는 엘리베이터가 1층상(또는 단위 거리)을 이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단위 소비 에너지를 사전에 설정해 둠으로써 용이하게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은 상기 식 2가 성립하는 경우에는 대기 운전의 실시를 허가하고(S104),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기 운전의 실시를 불허가한다(S106).
또한, 상기는 1대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설명이지만, 본 실시형태 특유의 기능은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 관리하는 그룹 관리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복수의 제어장치(3)를 관리하는 그룹 관리 장치에 필요에 따라서 상기 7 내지 11에 나타낸 각 수단의 기능을 추가하여 도 3에 나타낸 동작 플로우를 실시한다. 이때, 대기층 판정 수단(7)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로부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를 송신해 온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이 어느 엘리베이터의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대기 운전은 그룹 관리 장치가 그룹 관리를 실시하는 모든 엘리베이터가 실시하여도 좋고, 일부 엘리베이터만이 하여도 좋다.
또한,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이 적어도 1대의 엘리베이터의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 각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상기 식 1(혹은 식 2)에 나타낸 비교를 실시한다. 그리고, 대기 운전 수단(11)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소정의 대수보다 적은 경우에만,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
또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소정의 대수보다 적은지 여부의 판정은 S103의 처리 전에 실시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면, 상기 설치층에 필요 대수 이상의 엘리베이터가 대기하고 있는 경우는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이나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의 판정을 실시하는 일 없이 처리를 종료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장치(3)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장치(3)에는 대기층 판정 수단(7), 기억 수단(8), 대기 운전 가부 수단(12), 대기 운전 수단(11)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는 제어장치(3)에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또, 대기 운전 가부 수단(12)은 본 실시형태 특유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어장치(3) 이외의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형태 1과 같다.
대기 운전 가부 수단(12)은 대기 운전을 실시할지 여부의 판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 운전 가부 수단(12)은 도 3의 S101 및 S102의 처리를 실시한 후, S103에 있어서 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승강장 호출·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직후의 엘리베이터의 정지층이 사전에 설정한 대기 금지층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대기 운전 가부 수단(12)은,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을 종료하였을 때에 엘리베이터가 상기 대기 금지층에 정지하는 경우에는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즉, S104 및 S105의 각 처리에 진행하여 모든 서비스 종료 후에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으로의 배차를 실시한다. 한편, 대기 운전 가부 수단(12)은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을 종료하였을 때에 엘리베이터가 상기 대기 금지층 이외의 층상에 정지하는 경우에는 대기 운전을 실시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이러한 경우, 대기 운전 수단(11)은 S106에 있어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으로의 배차를 불허가하고, 제어장치(3)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대기 금지층의 정보는 기억 수단(8)에 미리 기억시켜 두면 좋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대기 금지층의 설정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 금지층으로서 건물의 최상층을 포함한 7층에서 10층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모든 호출에 대한 서비스를 종료하였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정지층이 7층에서 10층 중 어느 층상인 경우에 대기 운전은 실행된다. 한편, 상기 정지층이 1층에서 6층 중 어느 층상인 경우에는 대기 운전은 실행되지 않고, 엘리베이터는 상기 정지층에서 그대로 정지를 계속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용 빈도가 높은 로비층 등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가 설치되어 있는 층상에서는 승객의 대기 시간이 증가하는 일은 없고, 쾌적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대기 동작이 필요한 소정의 경우에만 대기 운전이 실시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주행 회수나 주행 거리가 감소하여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든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된 후에 엘리베이터가 그 정지층에 계속 대기하는 경우에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가 설치되어 있는 층상 이외의 층상으로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시스템 전체로서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는 1대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설명이지만, 본 실시형태 특유의 기능도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 관리하는 그룹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복수의 제어장치(3)를 관리하는 그룹 관리 장치에, 필요에 따라서 상기 7 및 8, 11 및 12에 나타낸 각 수단의 기능을 추가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 플로우를 실시한다. 이때, 대기층 판정 수단(7)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로부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를 송신해 온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이 어느 엘리베이터의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대기 운전은 그룹 관리 장치가 그룹 관리를 실시하는 모든 엘리베이터가 실시하여도 좋으며, 일부의 엘리베이터만이 실시하여도 좋다.
또, 대기 운전 가부 수단(12)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이 적어도 1대의 엘리베이터의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 각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직후의 정지층이 사전에 설정한 대기 금지층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대기 운전 수단(11)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소정의 대수보다 적은 경우에만 대기 운전 가부 수단(12)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
또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소정의 대수보다 적은지 여부의 판정은 상기 대기 운전 가부 수단(12)의 판정 전에 실시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3.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장치(3)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장치(3)에는 상기 7 내지 11에 나타낸 각 수단에 더하여 대기층 선택 수단(13)이 구비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어장치(3) 이외의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형태 1과 같다.
이하에, 도 8 및 도 9도 참조하여,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특히 제어장치(3)) 특유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9는 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S201의 처리는 도 3의 S103의 처리와 같다. 즉, 제어장치(3)는 S201의 처리 전에 S101 및 S102와 동일한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제어장치(3)는 S201의 처리에 있어서 상기 식 2에 나타낸 비교를 실시하여도 좋다.
S201에 있어서 상기 식 1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에 의하여 판정된 경우,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은 대기 운전의 실시를 불허가한다(S202). 이것에 의해, 모든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엘리베이터는 그 정지층상에 있어서 대기하게 된다.
한편, S201에 있어서 상기 식 1이 성립한다고 이동 시간 비교 수단(9)에 의하여 판정된 경우,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은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대기층 선택 수단(13)은 대기 운전 가부 수단(10)에 의하여 대기 운전의 실시가 허가되면(S201의 Yes), 등록되어 있는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직후의 엘리베이터의 정지층과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 사이에 소정의 대기 후보층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시한다(S203).
또한, 상기 대기 후보층이란, 대기 운전을 실시할 때의 대기층으로서 선택 가능한 층상이며, 소정의 조건 등에 의하여 적절히 결정되는, 혹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에서 엘리베이터의 앞까지 걸어서 이동하는데 필요로 하는 보행 시간 내에 엘리베이터가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까지 이동할 수 있는 층상이 상기 대기 후보층으로서 설정된다. 또, 사전에 설정된 층상, 사전에 대기 금지층으로서 설정된 층상 이외의 층상을 상기 대기 후보층으로 하여도 좋다. 대기 후보층에 관한 정보(설정을 위한 조건이나, 대기 후보층 자체의 정보 등)는 기억 수단(8)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대기층 선택 수단(13)은 S203에 있어서 대기 후보층이 있다는 취지를 판정하면 그 층상을 대기층으로서 설정한다. 예를 들면, S203의 조건에 해당하는 대기 후보층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대기층 선택 수단(13)은 이들 대기 후보층 가운데 서비스 완료시의 상기 정지층에 가장 가까운 층상을 대기층으로서 선택한다(S204). 한편, 대기층 선택 수단(13)은 S203에 있어서 대기 후보층이 없다는 취지를 판정하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의 설치층을 대기층으로서 선택한다(S205). S204 혹은 S205에 있어서 대기층의 설정이 완료되면, 대기 운전 수단(11)은 엘리베이터에 의한 서비스가 모두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대기 운전 수단(11)은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후에 대기 운전을 개시하고, 상기 설정된 대기층에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킨다(S206).
도 9는 상기 대기 후보층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 후보층으로서 1층에서 6층의 각 층상이 설정되어 있고, 또한 모든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가 9층에 정지하는 경우, 대기층 선택 수단(13)은 9층에서 가장 가까운 층상인 6층을 대기층으로서 설정한다.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보일 수 있다.
즉, 이용 빈도가 높은 로비층 등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가 설치되어 있는 층상에서는 승객의 대기 시간이 증가하는 일은 없고, 쾌적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대기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만 대기 운전을 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주행 회수나 주행 거리가 감소하여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든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된 후에 엘리베이터가 그 정지층에 계속 대기하는 경우에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5)가 설치되어 있는 층상 이외의 층상으로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시스템 전체로서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대기층 선택 수단(13)의 기능을 실시형태 2의 구성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도 5에 나타낸 구성의 제어장치(3)에 대기층 선택 수단(13)을 부가하여 도 8에 나타낸 처리와 같은 처리를 실시하면 된다.
실시형태 4.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14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일 그룹으로서 관리하는 그룹 관리 장치, 2a 내지 2d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3a 내지 3d는 각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맡는 제어장치이다. 도 10에는 일례로서 그룹 관리 장치(14)가 4대의 엘리베이터(즉, 제어장치(3a 내지 3d))를 그룹 관리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이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 및 제어장치에 대해서 특별히 어느 것으로 특정할 필요가 없으면 단순히 엘리베이터 칸(2), 제어장치(3)로 표기한다.
15는 엘리베이터 홀(1)에 마련된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이다.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15)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홀(1)에 있어서 승강장 호출 등록과 행선 호출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15)에는 숫자 키패드나 터치 패널이 구비되어 있으며 승객은 숫자 키패드나 터치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자신의 행선층을 입력한다. 그리고, 적절한 행선층 입력이 행해지면,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15)로부터 그룹 관리 장치(14)에 대하여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15)의 설치층에 대응하는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와, 입력된 행선층에 대응하는 행선 호출 등록 요구가 송신된다.
그룹 관리 장치(14)에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 결정 수단(16), 판정 수단(17), 대기 엘리베이터 사전 이동 수단(18)이 구비되어 있다. 할당 엘리베이터 칸 결정 수단(16)은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할당 엘리베이터 칸 결정 수단(16)은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15)로부터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 및 행선 호출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 이들 호출을 등록하고 대응하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한다. 또한, 할당 엘리베이터 칸 결정 수단(16)에 의하여 결정된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정보는 대응하는 제어장치(3)와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15)으로 송신된다.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정보를 수신한 제어장치(3)에서는 승강장 호출 및 행선 호출에 자호기(自號機)를 응답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시한다. 또,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15)에는 표시장치(15a)가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15)는 그룹 관리 장치(14)로부터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정보를 수신하면, 그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호기 번호 ‘A’)를 표시장치(15a)에 표시시킨다.
또, 본 그룹 관리 시스템에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홀(1)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승강장 호출 및 행선 호출의 자동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에는 예를 들면, 개인을 인증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승객은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인증 조작을 행함으로써 호출의 자동 등록을 실시한다. 즉,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는 IC카드의 카드 정보나 지문·홍채의 패턴 정보 등 소정의 정보가 입력되면, 그 입력 정보와 기등록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개인 인증을 실시한다. 그리고,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는 입력 정보와 기등록 정보와의 일치로 인증이 성공하면, 설치층의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와 인증된 개인의 행선층에 대응하는 행선 호출 등록 요구를 그룹 관리 장치(14)에 대하여 자동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원격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를 보안 게이트(19)와 ID 인증 장치(20)로써 구성한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보안 게이트(19)는 로비층의 공동 현관의 근방, 로비층의 통로, 로비층의 홀(1) 등에 설치된다. 그리고, 보안 게이트(19)를 통행하려고 하려는 자(이하, 단순히 ‘통행자’라 한다)가 자신의 ID카드를 카드 리더(21)에 드리우면, 그 카드 정보가 카드 리더(21)에 의해 판독된다. 카드 리더(21)는 카드 정보를 판독하면, 그 판독된 카드 정보를 ID 인증 장치(20)로 송신한다.
ID 인증 장치(20)에는 보안 게이트(19)의 통과를 허가하는 통행 허가자의 카드 정보와 그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즉, 통행 허가자의) 행선층이 미리 관련지져서 등록되어 있다. ID 인증 장치(20)는 카드 리더(21)로부터 카드 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카드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즉, 통행자가 통행 허가자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ID 인증 장치(20)는 수신한 카드 정보가 기등록 카드 정보와 일치하면, 통행자가 통행 허가자인 것으로 인증하여 보안 게이트(19)의 통과를 허가한다. 또, ID 인증 장치(20)는 통행자가 통행 허가자인 경우에는,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에 대응하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와, 그 통행 허가자의 행선층에 대응하는 행선 호출 등록 요구를 그룹 관리 장치(14)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룹 관리 장치(14)에서는 ID 인증 장치(20)로부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 및 행선 호출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 이들 호출을 등록하고 할당 엘리베이터 칸 결정 수단(16)으로, 등록한 호출을 어느 엘리베이터 칸(2)에 할당한다. 또한, 할당 엘리베이터 칸 결정 수단(16)은 예를 들면,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으로의 예상 도착 시간이나, 각 엘리베이터 칸(2)의 예정 정지수(停止數) 등을 고려하여 상기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결정을 실시한다.
그룹 관리 장치(14)는 ID 인증 장치(20)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결정을 실시하면, 그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정보를 대응하는 제어장치(3)와 할당 호기 표시기(22)로 송신한다. 또한, 할당 호기 표시기(22)는 보안 게이트(19)의 통행자에게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것이며, 보안 게이트(19)나 그 근방에 설치된다. 할당 호기 표시기(22)는 그룹 관리 장치(14)로부터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정보를 수신하면, 그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호기 번호 ‘A’)의 표시를 실시한다. 또,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정보를 수신한 제어장치(3)에서는 승강장 호출 및 행선 호출에 자호기를 응답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본 그룹 관리 시스템에서는 ID 인증 장치(20)에 의하여 통행자가 통행 허가자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라 하여도, 그룹 관리 장치(14)가 그 통행 허가자의 행선층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게스트용의 IC카드에 대하여는 그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행선층은 무효 혹은 미등록으로 되어있다. 또, 관리자용의 IC카드에 대하여는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이 행선층으로서 등록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승차층과 하차층이 동일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그룹 관리 장치(14)는 그 통행 허가자의 행선층을 특정할 수 없다.
이하에, 도 12도 참조하여, 본 그룹 관리 시스템(특히, 그룹 관리 장치(14)) 특유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4)(혹은 제어장치(3))에 소정의 조건하에 엘리베이터(엘리베이터 칸(2))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대기 운전 기능은 그룹 관리 장치(14)가 그룹 관리를 실시하는 모든 엘리베이터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으며, 일부 엘리베이터에만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도 1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그룹 관리 장치(14)에서는 ID 인증 장치(2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면, 판정 수단(17)이 통행 허가자의 행선층을 특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판정 수단(17)은 통행 허가자(즉, ID 인증 장치(20)에 의하여 기등록자로 인증된 통행자)의 행선층이 무효·미등록·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과 동일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01). 타층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기등록자가 자신의 ID카드를 카드 리더(21)에 드리웠을 경우에는 ID 인증 장치(20)로부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요구와 행선 호출 등록 요구가 송신되고, S301에 있어서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그룹 관리 장치(14)에서는 ID 인증 장치(2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할당 엘리베이터 칸 결정 수단(16)이 최적의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한다(S302).
한편, 보안 게이트(19)의 통행자가 게스트용의 ID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S301에 있어서 해당한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그룹 관리 장치(14)에서는 승강장 호출 및 행선 호출의 등록을 실시하지 않는다. 또, S301에 있어서 해당한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지면, 그룹 관리 장치(14)는 엘리베이터 홀(1)에서 행선층의 입력을 실시하도록 촉구하는 메세지를 할당 호기 표시기(22)에 표시시킨다.
이에 더하여, S301에 있어서 해당한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지면, 그룹 관리 장치(14)는 대기 엘리베이터 사전 이동 수단(18)으로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시한다(S303). 여기서,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1대라도 있다면(S303의 No), 그룹 관리 장치(14)는 처리를 종료한다.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1대도 없는 경우(S303의 Yes), 대기 엘리베이터 사전 이동 수단(18)은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 이외의 층상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1대 이상 있고, 또한 그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보다 먼저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에 도착할 예정인 엘리베이터가 없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04). 또한, S304에 있어서 No의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룹 관리 장치(14)는 처리를 종료한다.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 이외의 층상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있고, 또한 그 엘리베이터보다 빨리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에 도착할 예정인 엘리베이터가 없는 경우, 대기 엘리베이터 사전 이동 수단(18)은 그 대기중인 엘리베이터를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까지 이동시킨다. 또한,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 이외의 층상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복수대 존재하는 경우에는, 대기 엘리베이터 사전 이동 수단(18)은 이들 엘리베이터 가운데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에 가장 가까운 층상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를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으로 이동시킨다(S305).
상기 구성의 그룹 관리 시스템이면, 사전에 행선층을 등록한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때뿐만 아니라, 행선층이 등록되지 않은 게스트 혹은 관리자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때에도,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으로 엘리베이터를 대기를 위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에 엘리베이터를 대기시키는 회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주행 회수나 주행 거리가 감소하여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그룹 관리 시스템이면 방문자나 관리자에 대한 서비스가 저하할 우려도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룹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 특유의 기능은 1대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시스템 구성에서 할당 호기 표시기(22) 및 그룹 관리 장치(14)를 제외하고, 상기 판정 수단(17) 및 대기 엘리베이터 사전 이동 수단(18)의 각 기능을 제어장치(3)에 부가한다. 그리고, 제어장치(3)는 도 12에 나타낸 동작 플로우를 실시할 때, S303 내지 S305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 이외의 층상에서 대기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설치층 이외의 층상에서 대기하고 있으면 엘리베이터를 보안 게이트(19)의 설치층으로 이동시킨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은 소정의 조건하에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홀
2, 2a~2d 엘리베이터 칸
3, 3a~3d 제어장치
4 승강장 버튼
5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6 도어
7 대기층 판정 수단
8 기억 수단
9 이동 시간 비교 수단
10, 12 대기 운전 가부 수단
11 대기 운전 수단
13 대기층 선택 수단
14 그룹 관리 장치
15 승강장 행선 호출 등록 장치
15a 표시장치
16 할당 엘리베이터 칸 결정 수단
17 판정 수단
18 대기 엘리베이터 사전 이동 수단
19 보안 게이트
20 ID 인증 장치
21 카드 리더
22 할당 호기 표시기

Claims (11)

  1. 각 층의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소정의 조건하에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홀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승강장 호출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와,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이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었을 때의 정지층에서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으로 엘리베이터가 이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이동 시간과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의 승차 위치까지 승객이 이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보행 시간을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대기 운전 가부 수단과,
    상기 대기 운전 가부 수단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가 판정된 경우에만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후에 엘리베이터를 대기층으로 이동시키는 대기 운전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그룹 관리함과 아울러, 소정의 조건하에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대기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홀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승강장 호출 등록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와,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이 적어도 1대의 엘리베이터의 대기층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었을 때의 정지층에서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으로 엘리베이터가 이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이동 시간과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의 승차 위치까지 승객이 이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보행 시간을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대기 운전 가부 수단과,
    상기 대기 운전 가부 수단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가 판정되고, 또한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소정의 대수보다 적은 경우에만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된 후에 엘리베이터를 대기층으로 이동시키는 대기 운전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는 입력 정보와 기등록 정보를 조합(照合)함으로써 개인 인증을 실시하고, 인증이 성공하면 설치층의 승강장 호출을 자동 등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기 운전 가부 수단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가 판정된 경우에,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었을 때의 정지층과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 사이에 소정의 대기 후보층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대기 후보층이 있는 경우에는 그 층상(floor)을 대기층으로 선택하여 상기 대기 운전 수단에 대기 운전을 실시하게 하고, 상기 대기 후보층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을 대기층으로 선택하여 상기 대기 운전 수단에 대기 운전을 실시하게 하는 대기층 선택 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대기 후보층은 사전에 설정된 층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기층 선택 수단은,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었을 때의 정지층과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 사이에 복수의 대기 후보층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대기 후보층 가운데 상기 정지층에 가장 가까운 층상을 대기층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는 입력 정보와 기등록 정보를 대조함으로써 개인 인증을 실시하고, 인증이 성공하면 설치층의 승강장 호출을 자동 등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기 운전 가부 수단에 의하여 대기 운전을 실시한다는 취지가 판정된 경우에,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었을 때의 정지층과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 사이에 소정의 대기 후보층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대기 후보층이 있는 경우에는 그 층상(floor)을 대기층으로 선택하여 상기 대기 운전 수단에 대기 운전을 실시하게 하고, 상기 대기 후보층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을 대기층으로 선택하여 상기 대기 운전 수단에 대기 운전을 실시하게 하는 대기층 선택 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대기 후보층은 사전에 설정된 층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대기층 선택 수단은, 모든 호출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었을 때의 정지층과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설치층 사이에 복수의 대기 후보층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대기 후보층 가운데 상기 정지층에 가장 가까운 층상을 대기층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11. 삭제
KR1020137014170A 2010-11-24 2010-11-24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KR101457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70917 WO2012070124A1 (ja) 2010-11-24 2010-11-24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653A KR20130093653A (ko) 2013-08-22
KR101457318B1 true KR101457318B1 (ko) 2014-11-04

Family

ID=4614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170A KR101457318B1 (ko) 2010-11-24 2010-11-24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90433B2 (ko)
EP (1) EP2644555B1 (ko)
JP (1) JP5626357B2 (ko)
KR (1) KR101457318B1 (ko)
CN (1) CN103237748B (ko)
WO (1) WO2012070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6338B (zh) * 2009-11-19 2016-01-1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组群管理控制***及电梯的组群管理控制方法
WO2011067848A1 (ja) * 2009-12-03 2011-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FI122597B (fi) * 2010-09-07 2012-04-13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CN105764827B (zh) * 2013-10-04 2018-02-02 通力股份公司 基于行走者速度的确定用于电梯分配的***和方法
WO2015060851A1 (en) 2013-10-24 2015-04-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CN103577709A (zh) * 2013-11-18 2014-02-12 苏州大学 一种群控电梯控制***的满意度指标评估方法
JP6269219B2 (ja) * 2014-03-20 2018-01-3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乗り場行先階登録システムを具えるエレベータ
US9834405B2 (en) * 2014-11-10 2017-12-0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elevator cars in a group elevator system with uncertain information about arrivals of future passengers
JP6318105B2 (ja) * 2015-02-27 2018-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JP6444822B2 (ja) * 2015-07-03 2018-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群管理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乗りかごの待機階床を決定する乗りかご制御方法
JP6426066B2 (ja) * 2015-07-31 2018-1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の群管理方法
CN108349683B (zh) * 2015-11-26 2020-02-2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9988237B1 (en) * 2016-11-29 2018-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vator management according to probabilistic destination determination
JP2019026477A (ja) * 2017-07-31 2019-0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送電電極ユニット、および電力伝送方法
US11535489B2 (en) 2018-08-10 2022-12-2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lls from a wearable based on health profile
JP6625189B2 (ja) * 2018-10-24 2019-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の群管理方法
JP2020125196A (ja) * 2019-02-06 2020-08-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運転制御システム
CN110980452B (zh) * 2019-12-24 2022-05-13 深圳技术大学 一种远程电梯呼叫方法及***
JP2022148188A (ja) * 2021-03-24 2022-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5285809B (zh) * 2022-08-04 2024-04-12 广汽本田汽车有限公司 基于汽车位置的电梯控制方法、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455A (ko) * 1990-07-27 1992-02-28 이희종 엘리베이터의 부름할당 운전제어방법
JPH06127845A (ja) * 1992-10-13 1994-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KR20070088519A (ko) * 2007-03-15 2007-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JP2008254850A (ja) 2007-04-03 200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5692A (en) * 1967-02-07 1975-07-22 Reliance Electric & Eng Co Elevator control
JPS54124461A (en) 1978-03-22 1979-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Platform call register for elevator
JPS60128175A (ja) 1983-12-08 1985-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運転装置
GB8419767D0 (en) 1984-08-02 1984-09-05 Thorn Emi Domestic Appliances Terminal unit for balanced flue
JPH01203185A (ja) * 1988-02-04 1989-08-1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4538264B2 (ja) 2004-05-17 2010-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制御パラメータ設定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06009542A1 (en) * 2004-06-21 2006-01-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multiple cars in a hoistway
US7353915B2 (en) * 2004-09-27 2008-04-08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destination entry system with override capability
US7328775B2 (en) * 2004-09-27 2008-02-12 Otis Elevator Company Destination entry system with delayed elevator car assignment
JPWO2006043324A1 (ja) * 2004-10-21 2008-05-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7849974B2 (en) * 2005-03-18 2010-12-14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of dispatching an elevator car
JP4776267B2 (ja) 2005-04-27 2011-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遠隔制御システム
EP2033926B1 (de) * 2005-09-30 2014-12-31 Inventio AG Aufzugsanlage zur Beförderung von Aufzugsbenutzern in einem Gebäudeareal
JPWO2007052336A1 (ja) 2005-11-01 2009-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JP4388546B2 (ja) * 2006-12-28 2009-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サービスエレベータ案内表示方法
FI121878B (fi) * 2009-06-03 2011-05-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CN102471015B (zh) * 2009-09-02 2014-11-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
CN102666338B (zh) * 2009-11-19 2016-01-1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组群管理控制***及电梯的组群管理控制方法
FI122260B (fi) * 2010-05-10 2011-11-15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kulkuoikeuksien rajoittamiseksi
EP2594518B1 (en) * 2010-07-14 2020-03-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hall-call registr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455A (ko) * 1990-07-27 1992-02-28 이희종 엘리베이터의 부름할당 운전제어방법
JPH06127845A (ja) * 1992-10-13 1994-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KR20070088519A (ko) * 2007-03-15 2007-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JP2008254850A (ja) 2007-04-03 200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4555B1 (en) 2024-07-17
WO2012070124A1 (ja) 2012-05-31
US20130186713A1 (en) 2013-07-25
US9090433B2 (en) 2015-07-28
EP2644555A4 (en) 2017-10-25
CN103237748B (zh) 2014-11-05
JPWO2012070124A1 (ja) 2014-05-19
CN103237748A (zh) 2013-08-07
JP5626357B2 (ja) 2014-11-19
KR20130093653A (ko) 2013-08-22
EP2644555A1 (en)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31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JP4131456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US7487860B2 (en) Controller of one-shaft multi-car system elevator
JP5522272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US7392884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ler
JP5257451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US7392883B2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US9079752B2 (en) 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park floor cancellation
US7389857B2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JP2013241230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CN107298351A (zh) 用于控制电梯***的方法、程序和移动设备
JP5684307B2 (ja) エレベータのオートロック連動運転システム
WO2017090179A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JPH0517083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0909312B1 (ko)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KR102361662B1 (ko) 하이브리드 행선층 예약시스템의 카콜 제어장치
JP2004123242A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CN116395520A (zh) 电梯群管理装置以及电梯群管理方法
JP201500694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741244B1 (ko) 원샤프트 멀티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N114538220A (zh) 基于摄像头的电梯运行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6027858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