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186B1 - 원고 반송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원고 반송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186B1
KR101439186B1 KR1020120124164A KR20120124164A KR101439186B1 KR 101439186 B1 KR101439186 B1 KR 101439186B1 KR 1020120124164 A KR1020120124164 A KR 1020120124164A KR 20120124164 A KR20120124164 A KR 20120124164A KR 101439186 B1 KR101439186 B1 KR 101439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document
section
unit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407A (ko
Inventor
마사유키 카쿠타
타쿠로우 무라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45779A external-priority patent/JP53988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45778A external-priority patent/JP5417411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7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detecting size, presence or position of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687Presence or absence
    • H04N1/00694Presence or absence in an input t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2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45Detecting the leading or trailing ends of a moving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63Action taken as a result of detection
    • H04N1/00774Adjusting or controlling
    • H04N1/00777Inhibiting, e.g. a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79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0081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a detected condition or state of the reading apparatus, e.g.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Abstract

원고의 반송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상기 적재부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어, 또한 상기 원고가 반송중이며, 또한 상부 구조체가 폐쇄 자세가 아닌 경우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적재부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원고가 반송중이며, 또한 상부 구조체가 폐쇄 자세가 아닌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중인 원고의 후단이 원고 판독 위치를 아직 통과하고 있지 않을 때는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고, 한편 상기 후단이 원고 판독 위치를 통과했을 때는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지 않고 상기 원고를 원고 배출부로 배출시킨다.

Description

원고 반송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OCUMENT FEEDING PART}
본 출원은 2011년 11월 9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1-245778호 및 일본 특허 출원 2011-245779호를 기초로 하고, 그 내용은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본 개시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상면을 덮는 폐쇄 자세와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상부 구조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수용하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상면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상기 장치 본체에 부착된 자동 원고 급송 장치(상부 구조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자동 원고 급송 장치는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적재부와 원고 배출부를 포함한다. 자동 원고 급송 장치가 판독 자세(폐쇄 자세)일 때에 원고 적재부에 적재된 원고는 원고 판독면으로 반송되고, 그 후에 원고 배출부로 배출된다.
이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자동 원고 급송 장치에 의해 원고가 원고 배출부로 배출될 때까지 동안에 자동 원고 급송 장치의 개폐 조작이 행해지면 원고가 반송 경로 상으로부터 일탈해서 원고를 정상적으로 판독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조작에 의해 원고의 전락(轉落)이나 종이막힘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자동 원고 급송 장치의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자세 검출부)이 설치된다. 원고의 반송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자동 원고 급송 장치에 의한 원고의 반송중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자동 원고 급송 장치가 폐쇄 상태가 아닌 것이 검출되었을 때는 자동 원고 급송 장치를 사용 금지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최종 원고가 판독된 후이며, 상기 최종 원고가 배출될 때까지 동안에 유저가 다른 원고를 수동으로 원고 판독면에 적재해서 판독시키려고 해서 빠르게 자동 원고 급송 장치를 개방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미 원고의 판독은 종료되어 있으므로, 그 후의 화상 형성 동작에 지장은 초래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동 원고 급송 장치가 사용 금지의 상태로 되어 최종 원고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자동 원고 급송 장치의 사용 금지의 상태를 해제할 때까지 다른 원고를 판독하는 것을 대기하지 않으면 안되어 유저에게 번거로움을 느끼게 할 우려가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원고를 판독시키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일국면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면을 갖는 장치 본체, 상부 구조체, 자세 검출부, 원고통과 검출부 및 원고의 반송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상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판독 위치에 있어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화상에 의거해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구조체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면을 덮는 폐쇄 자세와 상기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는 상기 원고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판독부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원고를 1매씩 내보내어 상기 판독 위치를 경유해서 상기 원고 배출부로 반송하는 원고 반송부와, 상기 적재부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원고 검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자세 검출부는 상기 상부 구조체의 자세를 검출한다. 원고통과 검출부는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원고의 후단이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적재부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상기 원고의 반송중이며, 또한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상기 폐쇄 자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적재부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상기 원고의 반송중이며, 또한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상기 폐쇄 자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중인 원고의 후단이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것이 상기 원고통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반송중인 원고의 후단이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것이 상기 원고통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고 있을 때는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지 않고 상기 반송중인 원고를 상기 원고 배출부로 배출시킨다.
도 1은 본 개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복합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상부 구조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상부 구조체를 하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판독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자세 검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상부 구조체가 개방 자세일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상기 자세 검출부가 상부 구조체가 폐쇄 자세일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복합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상부 구조체의 원고 급지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상부 구조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상부 구조체의 판독 위치 근방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복합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상부 구조체의 원고 급지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개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복합기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복합기(1)의 개략 단면도이다. 복합기(1)는 복사기, 프린터, 및 스캐너 등의 복수의 기능을 겸비한 것이며, 본체부(2)와, 본체부(2)의 좌측에 설치된 스택 트레이(3)와, 유저가 각종 조작 지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36)와, 본체부(2)의 상부에 설치된 화상 판독부(판독부) (4)와, 화상 판독부(4)의 상측에 설치된 원고 급지부(상부 구조체)(5)를 구비하고 있다. 복합기(1)의 장치 본체는 본체부(2)와 화상 판독부(4)를 포함하고, 화상 판독부(4)의 상면이 상기 장치 본체의 상면이다. 원고 급지부(5)는 상기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상면을 덮는 폐쇄 자세와 상기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본체부(2)는 복수의 급지 카세트(23)와, 급지 카세트(23)로부터 기록지를 1매씩 내보내어 화상 형성부(25)에 반송하는 급지 롤러(24)와, 급지 카세트(23)로부터 반송되어 온 기록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25)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25)는 감광체 드럼(26), 광학 유닛(27), 현상부(28), 전사부(29), 정착 장치(32), 반송 롤러쌍(34 및 35)을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26)은 그 주면에 정전잠상 및 토너상을 담지한다. 광학 유닛(27)은 후술하는 화상 판독부(4)에 의해 취득된 화상신호에 의거해서 레이저광을 출력해서 감광체 드럼(26)을 노광한다. 현상부(28)는 감광체 드럼(26)에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해서 토너상을 형성한다. 전사부(29)는 감광체 드럼(26) 상의 토너상을 기록지에 전사한다. 정착 장치(32)는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지를 가열해서 토너상을 기록지에 정착시키는 한쌍의 롤러(30 및 31)를 포함한다. 반송 롤러쌍(34 및 35)은 화상 형성부(25) 내의 용지 반송로중에 설치되어 기록지를 스택 트레이(3) 또는 배출 트레이(33)까지 반송한다.
또한, 기록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는 화상 형성부(25)에 의해 기록지의 한쪽 면에 화상을 형성한 후 이 기록지를 배출 트레이(33)측의 반송 롤러쌍(34)에 닙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반송 롤러쌍(34)을 반전시켜서 기록지를 스위치백시켜 기록지를 용지 반송로로 보내서 화상 형성부(25)의 상류역으로 다시 반송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부(25)에 의해 기록지의 다른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기록지는 스택 트레이(3) 또는 배출 트레이(33)로 배출된다.
조작부(36)는 유저가 인쇄 실행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스타트키(361)와, 인쇄부수 등을 입력하기 위한 텐키(362)와, 각종 복사 동작의 조작 가이드 정보 등을 표시하고 이들 각종 설정 입력용에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363)와, 표시부(363)에 의해 설정된 설정 내용 등을 리셋하는 리셋키(364)와, 실행중인 인쇄(화상 형성)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키(365)와, 복사 기능, 프린터 기능, 스캐너 기능 및 팩시밀리 기능을 스위칭하기 위한 기능 스위칭키(366)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판독부(4)는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취득해서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화상 판독부(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 유리(410), 광원(42), 제 1 미러(431), 제 2 미러(432), 제 3 미러(433), 제 1 캐리지(46), 제 2 캐리지(47), 결상 렌즈(48), CCD(Charge Coupled Device)(49)를 구비하고 있다. 광원(42) 및 제 1 미러(431)는 제 1 캐리지(46)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미러(432) 및 제 3 미러(433)는 제 2 캐리지(4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콘택트 유리(410)는 폭이 넓은 원고 적재용 유리(412)와, 원고 적재용 유리(412)의 좌측에 위치하는 가늘고 긴 원고 자동 판독용 유리(411)를 포함한다. 화상 판독부(4)에 의한 원고의 광학적인 화상 판독 방법에는 원고 적재용 유리(412) 상에 적재된 원고를 판독하는 플랫 베드 판독 모드와, 원고 급지부(5)에 의해 원고를 반송시켜 원고가 원고 자동 판독용 유리(411)에 대응한 판독 위치(413)(장치 본체 상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판독 위치)를 통과할 때에 원고를 판독하는 ADF 판독 모드 2종류의 방법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랫 베드 판독 모드에서는 광원(42)이 원고 적재용 유리(412) 상에 적재된 원고를 조사하고, 상기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이 제 1 미러(431), 제 2 미러(432), 제 3 미러(433)의 순으로 반사되어 결상 렌즈(48)에 입사된다. 결상 렌즈(48)에 입사된 광은 CCD(49)의 수광면에 결상되고, CCD(49)의 광전변환에 의해 화상신호로서 출력된다. 1라인분의 판독이 종료되면 원고의 주주사방향(도 2의 지면에 대해서 수직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부주사방향, 화살표 Y방향)으로 제 1 캐리지(46) 및 제 2 캐리지(47)가 이동되고, 다음 라인의 판독이 행해진다.
한편, ADF 판독 모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고 급지부(5)에 의해 반송된 원고가 원고 자동 판독용 유리(411)와 판독 가이드(60)의 간극부인 판독 위치(413)를 통과할 때 광원(42)으로부터 원고 자동 판독용 유리(411)를 통해 원고에 광이 조사된다. 상기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이 제 1 미러(431), 제 2 미러(432), 제 3 미러(433)의 순으로 반사되어 결상 렌즈(48)에 입사되고, 결상 렌즈(48)에 입사된 광은 CCD(49)의 수광면에 결상되고, CCD(49)의 광전변환에 의해 화상신호로서 출력된다. 1라인분의 판독이 종료되면 원고가 원고 급지부(5)에 의해 반송되고, 다음 라인의 판독이 행해진다.
원고 급지부(5)는 ADF(Auto Document Feeder:자동 급지 장치)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트레이(적재부)(51), 픽업 롤러(원고 반송부)(52), 분리 롤러(원고 반송부)(53), 레지스트 롤러(원고 반송부)(54), CIS(Contact Image Sensor)(55), 판독전 롤러(원고 반송부)(56), 판독후 롤러(원고 반송부)(57), 배출 롤러(원고 반송부)(58), 및 배출 트레이(원고 배출부)(59)를 구비한다. 또한, 원고 급지부(5)에는 원고 검출 센서(원고 검출부)(91), 판독 검출 센서(상류 검출부)(92) 및 배출 검출 센서(하류 검출부)(93)가 구비되어 있다.
원고 트레이(51)는 화상이 광학적으로 판독되는 1매 또는 복수매의 원고가 적재되는 트레이이다. 원고 트레이(51)의 저면에는 예를 들면, 상측으로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리프트판을 이동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원고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도시가 생략된 리프트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트레이(51)에 원고가 적재되면 리프트 기구에 의해 리프트판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서 최상부의 원고가 픽업 롤러(52)에 접촉된다.
픽업 롤러(52)는 원고 트레이(51)에 적재된 원고다발의 최상부의 원고에 접촉되어 상기 원고를 분리 롤러(53)를 향해서 송출한다. 분리 롤러(53)는 픽업 롤러(52)로부터 내보내어지는 원고를 레지스트 롤러(54)를 향해서 1매씩 송출한다. 레지스트 롤러(54)는 대치하는 롤러와의 사이에서 닙을 형성하고, 그 회전과 정지가 제어됨으로써 원고의 경사 이송을 교정하면서 조정된 소정의 타이밍으로 원고를 판독 위치(413)로 송출한다.
CIS(55)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1차원의 라인 센서이다. 발광소자는 레지스트 롤러(54)로부터 판독 위치(413)로 반송중인 원고의 이면에 광을 조사한다. 수광소자는 원고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해서 광전변환하고, 원고의 한쪽 면의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원고 반송방향으로 볼 때 레지스트 롤러(54)의 하류측이며, 판독전 롤러(56)와 판독후 롤러(57) 사이에는 화상 판독부(4)의 원고 자동 판독용 유리(411)에 대치하도록 해서 판독 가이드(6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판독 가이드(60)에 대해서는 도 4에 의거해서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판독전 롤러(56)는 원고 반송방향으로 볼 때 판독 가이드(60)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그 대치하는 롤러와의 사이에서 닙을 형성하고, 원고를 판독 가이드(60)를 향해서 반송한다. 이 판독 가이드(60)와 원고 자동 판독용 유리(411) 사이를 원고가 통과할 때에 원고의 화상면(원고의 다른쪽 면)이 판독된다.
판독후 롤러(57)는 원고 반송방향으로 볼 때 판독 가이드(60)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그 대치하는 롤러와의 사이에서 닙을 형성하고, 판독 위치(413)에서 판독된 원고를 배출 트레이(59)를 향해서 반송한다. 배출 롤러(58)는 원고 반송방향으로 볼 때 판독후 롤러(57)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그 대치하는 롤러와의 사이에서 닙을 형성하고, 판독 위치(413)에서 판독된 원고를 배출 트레이(59)로 배출한다.
배출 트레이(59)는 배출된 원고를 적층하는 적재면을 갖는다. 상기 적재면은 배출 롤러(58)의 근방에서는 배출 롤러(58)의 하측에 위치하고, 배출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픽업 롤러(52), 분리 롤러(53), 레지스트 롤러(54), 판독전 롤러(56), 판독후 롤러(57) 및 배출 롤러(58)가 원고 트레이(51)에 적재된 원고를 1매씩 내보내어 상기 원고를 판독 위치(413)를 경유해서 배출 트레이(59)로 반송하는 원고 반송부를 구성하고 있다.
원고 검출 센서(91)는 원고 트레이(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픽업 롤러(52)의 하측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원고 검출 센서(91)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원고 급지부(5)내의 양측면(도 2의 지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의 양측면)에 구비한 광투과형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원고 검출 센서(91)는 원고 트레이(51)에 원고가 적재되고, 최상부의 원고가 픽업 롤러(52)에 접촉되어 있을 때는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이 상기 원고에 의해 차광되므로 수광소자에 의해 원고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원고 트레이(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므로 수광소자에 의해 원고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원고 검출 센서(91)는 광투과형 센서에 한정되는 취지는 아니고, 광반사형 센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고 트레이(51)의 저면에 구비된 스프링 등으로 상측으로 바이어싱된 돌기물이 원고에 접해서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원고가 있는 것을 검출하는 등 기계적인 센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판독 검출 센서(92)는 원고 반송방향으로 볼 때 판독전 롤러(56)의 상류측 근방의 위치(검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에서 원고의 존재를 검지한다. 판독 검출 센서(92)로서는 예를 들면, 원고의 반송로를 통해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향하는 포토인터럽터를 사용할 수 있다. 판독 검출 센서(92)는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해서 발광된 광이 차광되어 있지 않는 동안은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해서 발광된 광이 반송되는 원고에 의해 차광되어 있는 동안은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원고의 선단이 판독 검출 센서(92)까지 반송되었을 때에 판독 검출 센서(92)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스위칭되고, 그 후 원고의 후단이 판독 검출 센서(92)를 통과했을 때에 판독 검출 센서(92)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스위칭된다.
배출 검출 센서(93)는 원고 반송방향으로 볼 때 판독 위치(413)의 하류이며 배출 롤러(58)의 상류측 근방의 위치(검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에서 원고의 존재를 검지한다. 배출 검출 센서(93)로서는 예를 들면, 원고의 반송로를 통해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향하는 포토인터럽터를 사용할 수 있다. 배출 검출 센서(93)는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해서 발광된 광이 차광되어 있지 않는 동안은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해서 발광된 광이 배출되는 원고에 의해 차광되어 있는 동안은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원고의 선단이 배출 검출 센서(93)까지 반송되었을 때에 배출 검출 센서(9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스위칭되고, 그 후 원고의 후단이 배출 검출 센서(93)를 통과했을 때에 배출 검출 센서(9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스위칭된다.
또한, 판독 검출 센서(92) 및 배출 검출 센서(93)는 포토인터럽터에 한정되는 취지가 아니고, 광반사형 센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반송로의 하측의 면에 구비된 스프링 등으로 상측으로 바이어싱된 돌기물이 원고에 접해서 일단 아래로 이동 후 위로 이동함으로써 원고가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등 기계적인 센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원고 급지부(5)는 원고 적재용 유리(412) 상에 적재된 원고를 누르는 원고누름으로서도 기능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급지부(5)는 복합기(1)의 배면측(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지면 이면측)에 배치된 힌지부(70)에서 상기 장치 본체(화상 판독부(4))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원고 급지부(5)는 콘택트 유리(410)를 덮는 폐쇄 자세와 콘택트 유리(410)를 노출시키는 개방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원고 급지부(5)의 하면에는 압박판(71)이 설치되어 원고 적재용 유리(412)가 압박판(71)에 대치하고 있다. 즉, 원고 급지부(5)를 폐쇄 자세로 해서 원고 적재용 유리(412)에 적재한 원고를 압박판(71)으로 밀착해서 유저에 의한 조작부(36)의 조작에 의해 화상 판독부(4)에 상기 원고의 화상면을 판독시킬 수 있다.
판독 가이드(6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의 폭방향(주주사방향)으로 긴 부재이다. 판독 가이드(6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설치한 코일 스프링(61a,61b)에 의한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판독 가이드(60)는 콘택트 유리(410)를 향해서 압박된다. 또한, 한쪽의 코일 스프링(61a)은 판독 가이드(60)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설치된 부착부(65a)에 부착되며, 다른쪽의 코일 스프링(61b)은 판독 가이드(60)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에 설치된 부착부(65b)에 부착된다.
판독 가이드(60)의 하면은 길이방향의 양단부(도 2에 있어서의 실선부)가 중앙부(도 2에 있어서의 파선부)보다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원고 급지부(5)를 폐쇄 자세로 했을 때에 판독 가이드(6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콘택트 유리(410)에 접촉해서 중앙부와 콘택트 유리(410)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형성된다. 원고는 상기 간극을 통과한다.
판독 가이드(6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각각 가이드 구멍(62a,62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62a)은 원고 급지부(5)의 전방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판독 가이드(6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원고 급지부(5)에 고정된 상하방향으로 긴 가이드봉(63)이 삽입되어 있다. 이 가이드봉(63)은 예를 들면 상단이 원고 급지부(5)에 고정되고, 하단측에는 가이드 구멍(62a)보다 하측에 환상의 빠짐 방지 부재(63a)가 부착되어 있다. 즉, 판독 가이드(60)의 전방측은 가이드봉(63)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구멍(62b)은 원고 급지부(5)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판독 가이드(60)의 측판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원고 급지부(5)로부터 수평하게 돌출한 가이드편(64)이 삽입되어 있다. 즉, 판독 가이드(60)의 후방측은 가이드편(64)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판독 가이드(60)는 그 전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콘택트 유리(410)에 대해서 접촉 이간된다.
판독 가이드(60)의 전방면측단의 근방에는 상측을 향해서 돌출된 판상의 차광 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 차광 부재(66)는 소정의 높이 치수를 갖는다. 도 5 및 도 6은 차광 부재(66)의 근방에 설치된 개폐 검출 센서(67)(자세 검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원고 급지부(5)가 개방 자세인 상태를, 도 6은 폐쇄 자세인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개폐 검출 센서(67)는 원고 급지부(5)가 장치 본체의 상면에 대해서 열려진 개방 자세 또는 상기 상면에 대해서 닫혀진 폐쇄 자세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한다. 개폐 검출 센서(67)는 차광 부재(66)를 통해 발광소자(67a)와 수광소자(67b)가 대향하는 광투과형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개폐 검출 센서(6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소자(67a)로부터 발광된 광이 수광소자(67b)에 의해 수광되면 원고 급지부(5)가 개방 자세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개폐 검출 센서(67)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광소자(67b)에 의해 수광되야할 광이 차광 부재(66)에 의해 차광되면 수광소자(67b)에 의해 원고 급지부(5)가 폐쇄 자세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개폐 검출 센서(67)는 이것에 한정되는 취지가 아니고, 광반사형 센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어서, 복합기(1)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 7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복합기(1)는 복합기(1)의 각 부의 동작 제어를 담당하는 컨트롤러(80)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80)는 예를 들면, CPU와, ROM이나 RAM 등의 메모리를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메모리에 기억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각 부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컨트롤러(80)는 상기 화상 판독부(4), 화상 형성부(25), 각종 검출 센서(67,91,92,93) 및 각종 롤러(52,53,54,56,57,58)의 구동부와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80)는 모터 제어부(81), 원고 통과 검출부(82), 및 급지 이상 검출부(제어부)(83)로서 기능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원고 급지부(5)에 의한 원고 급지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모터 제어부(81)는 각종 롤러(52,53,54,56,57,58)를 그 축 둘레로 회전 구동시키는 도시 생략된 각 모터(상기 구동부)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각종 롤러(52,53,54,56,57,58)를 각각 미리 정해진 소정 속도로 회전 구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각 모터는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로 구성되어 있고, 구동 신호의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구동한다.
원고 통과 검출부(82)는 각종 롤러(52,53,54,56,57,58)를 통해 반송되는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413)를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원고 통과 검출부(82)는 판독 검출 센서(92)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가 원고 있음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신호로부터 원고 없음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신호로 변화된 후 판독전 롤러(56)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구동 신호의 펄스수가 미리 정해진 펄스수에 도달했을 때에 원고가 판독 위치(413)를 통과했다고 판정한다.
또한, 미리 정해진 펄스수는 시험 운전 등의 실험값에 의거해서 정해진다. 예를 들면, 원고를 판독 검출 센서(92)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검출 위치)로부터 판독 위치(413)까지의 거리분만큼 반송시키고, 이 때 판독전 롤러(56)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 신호의 펄스수 이상의 펄스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펄스수로서 정해진다.
급지 이상 검출부(83)는 원고 검출 센서(91)에 의해 원고 트레이(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원고의 반송중에 개폐 검출 센서(67)에 의해 원고 급지부(5)의 폐쇄 자세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는 각종 롤러(52,53,54,56,57,58)의 회전 구동을 정지해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급지 이상 검출부(83)는 원고 검출 센서(91)에 의해 원고 트레이(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원고의 반송중에 개폐 검출 센서(67)에 의해 원고 급지부(5)의 폐쇄 자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413)를 통과한 것이 원고 통과 검출부(82)에 의해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는 각종 롤러(52,53,54,56,57,58)의 회전 구동을 정지해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한편, 급지 이상 검출부(83)는 원고 검출 센서(91)에 의해 원고 트레이(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원고의 반송중에 개폐 검출 센서(67)에 의해 원고 급지부(5)의 폐쇄 자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413)를 통과한 것이 원고 통과 검출부(82)에 의해 검출되어 있을 때는 각종 롤러(52,53,54,56,57,58)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반송중인 원고를 배출 트레이(59)로 배출시킨다.
이하, 도 8의 플로우 챠트를 사용해서 원고 급지부(5)를 사용한 원고 급지 동작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트롤러(80)에 의해, 예를 들면, 조작부(36)로부터 입력된 복사 기능의 실행 지시에 의거해서 ADF 판독 모드로 원고를 판독하는 동작이 개시되면 모터 제어부(81)는 각종 롤러(52,53,54,56,57,58)의 구동용 모터의 구동을 개시하여 원고 트레이(51)에 적재된 원고다발의 최상부의 원고의 급지를 개시한다(S1).
급지 이상 검출부(83)는 각종 롤러(52,53,54,56,57,58)에 의한 원고의 반송중에 있어서 개폐 검출 센서(67)로부터 원고 급지부(5)가 폐쇄 자세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는(S2;YES), 배출 검출 센서(9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스위칭되고, 즉 원고의 후단이 배출 검출 센서(93)를 통과한 것에 의해 반송중인 원고가 배출 트레이(59)로 배출된 것이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S3;NO) 각종 롤러(52,53,54,56,57,58)에 의한 원고의 반송을 계속한다. 그리고, 반송중인 원고가 배출 트레이(59)로 배출되면(S3;YES), 스텝S1로 돌아가고, 다음 원고, 즉 원고 트레이(51)의 최상부의 원고의 급지를 개시한다.
한편, 급지 이상 검출부(83)는 원고의 반송중 개폐 검출 센서(67)로부터 원고 급지부(5)가 개방 자세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 경우는(S2;NO), 원고 검출 센서(91)에 의해 원고 트레이(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시킨다(S4).
원고 트레이(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고, 원고 검출 센서(91)에 의해 원고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 경우, 즉 최종의 원고가 아닌 원고가 반송되고 있는 경우(S4;YES), 급지 이상 검출부(83)는 모터 제어부(81)에 대해서 각종 롤러(52,53,54,56,57,58)의 구동용 모터를 정지시키도록 지시하고, 이것에 의해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킨다(S5). 또한, 급지 이상 검출부(83)은 스텝S5의 실행에 맞춰 예를 들면, 원고 급지부(5)가 원고의 반송중에 개방되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363)에 표시하거나 해서 원고의 반송을 정지한 이유를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원고 트레이(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고, 원고 검출 센서(91)에 의해 원고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 경우로서, 즉 최종의 원고가 반송되고 있는 경우로서(S4;NO), 최종의 원고의 반송이 개시된 후 원고 통과 검출부(82)에 의해 원고가 판독 위치(413)를 통과한 것이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도(S6;NO), 급지 이상 검출부(83)는 스텝S5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S6에 있어서 원고 통과 검출부(82)에 의해 원고가 판독 위치(413)를 통과한 것이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는 급지 이상 검출부(83)는 스텝S5를 실행함과 아울러 예를 들면, 최종 원고의 판독중에 원고 급지부(5)가 열렸기 때문에 최종의 원고를 다시 판독할 필요가 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363)에 표시하거나 해서 최종의 원고를 다시 판독할 필요가 있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한편, 원고 검출 센서(91)에 의해 원고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 경우로서, 즉 최종의 원고가 반송되고 있는 경우로서(S4;NO), 최종의 원고의 반송이 개시된 후 원고 통과 검출부(82)에 의해 원고가 판독 위치(413)를 통과한 것이 검출되어 있었을 때는(S6;YES), 최종의 원고의 반송이 계속된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 급지 이상 검출부(83)는 배출 검출 센서(9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스위칭된 시점, 즉 최종의 원고의 후단이 배출 검출 센서(93)를 통과한 시점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반송중인 최종의 원고가 배출 롤러(58)를 통과해서 배출 트레이(59)로 배출된 것이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S7;NO), 각종 롤러(52,53,54,56,57,58)에 의해 최종의 원고의 반송을 계속시킨다.
또한, 스텝S6에 있어서 원고 통과 검출부(82)에 의해 원고가 판독 위치(413)를 통과한 것이 검출되어 있었을 때는 급지 이상 검출부(83)는 예를 들면, 원고의 판독이 종료되어 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363)에 표시하거나 해서 원고의 판독이 종료된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반송중인 최종의 원고가 배출 트레이(59)로 배출된 것이 검출되면(S7;YES), 급지 이상 검출부(83)는 모터 제어부(81)에 대해서 각종 롤러(52,53,54,56,57,58)의 구동용 모터를 정지시키도록 지시하고, 이것에 의해, 원고 급지부(5)를 사용한 원고 급지 동작을 종료한다.
이렇게,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최종의 원고의 반송중에 원고 급지부(5)가 폐쇄 자세가 아닌 상태로 된 경우이어도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413)를 통과한 것이 원고 통과 검출부(82)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상기 최종의 원고의 판독의 종료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최종의 원고는 반송이 정지되지 않고 배출 트레이(59)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최종의 원고가 배출된 후 즉시 다른 원고를 판독시킬 수 있어 다음 원고를 판독시키는 작업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원고 통과 검출부(82)는 스텝S6(도 8)에 있어서 판독 검출 센서(92)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가 원고 있음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신호로부터 원고 없음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신호로 변화된 후 판독전 롤러(56)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구동 신호의 펄스수가 미리 정해진 펄스수에 도달했을 때에 원고가 판독 위치(413)를 통과한 것을 판정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배치 스페이스가 없는 등의 이유로 판독 위치(413)로부터 배출 트레이(59) 까지의 사이에 원고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센서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이어도 원고 통과 검출부(82)는 판독 위치(413)의 상류에 설치된 검출 위치에서 원고를 검출하는 판독 검출 센서(92)를 사용해서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413)를 통과한 것을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대신해서 원고 통과 검출부(82)는 스텝S6(도 8)에 있어서 배출 검출 센서(9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원고 있음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신호로부터 원고 없음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신호로 변화되었을 때 즉 최종의 원고가 배출 트레이(59)로 배출될 때에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413)를 통과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배출 검출 센서(93)는 판독 위치(413)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고 통과 검출부(82)는 판독 위치(413)보다 하류의 위치를 원고가 통과한 것에 의해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413)를 통과한 것을 정밀도 좋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판독후 롤러(57)와 배출 검출 센서(93) 사이 등 판독 위치(413)의 하류에 원고를 검출하는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고, 배출 검출 센서(93) 대신에 상기 별도 설치한 센서에 의해 원고의 통과를 검출했을 때에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413)를 통과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구성 및 설정은 단순한 일례에 지나치지 않고, 본 개시를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예를 들면, 원고 급지부(5)는 CIS(55)(도 2)를 구비하지 않는 간소화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각종 신호가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인 경우에 나타내어지는 정보가 상기 실시형태와는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원고의 표리를 반전시켜서 원고의 표면의 화상 및 이면의 화상을 판독시킬 수 있는 원고 급지부를 사용하는 경우의 원고 반송 제어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지부(5A)(상부 구조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0은 원고 급지부(5A)의 판독 위치 근방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원고 급지부(5A)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원고 급지부(5)와 마찬가지로 복합기(1)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원고 급지부(5A) 이외의 장치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원고 급지부(5A)는 원고 트레이(적재부)(251), 리프트판(252), 원고 반송부(270), 및 원고 배출 트레이(원고 배출부)(256)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 트레이(251)는 원고 급지부(5A)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원고 트레이(251)에는 화상이 광학적으로 판독되는 1매의 원고 또는 복수매의 원고가 쌓아 올려져 적재된다. 원고 트레이(251)는 원고 반송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 즉 도 9에 있어서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서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다.
리프트판(252)은 원고 트레이(251)의 원고 반송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판(252)은 원고 트레이(251)의 적재면을 따른 형태를 이루는 판상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리프트판(252)는 그 상류부에 설치된 원고 급지부(5A)의 전후방향(도 9의 지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수평한 지축(252a)을 중심으로 하고, 하류단을 자유단으로 해서 원고 반송방향으로 따른 수직면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리프트판(252)은 원고 급지시에 도시가 생략된 구동 기구에 의해 지축(252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되고, 원고 트레이(251)에 쌓아 올려진 원고의 하류단이 그 상측에 배치된 픽업 롤러(254a)에 접촉하도록 상측을 향해서 바이어싱된다.
원고 반송부(270)는 원고 트레이(251)의 원고 반송방향 하류단에 원고 공급구(271)와 급지부(254)를 구비하고 있다. 급지부(254)는 원고 트레이(251)에 쌓아 올려진 원고를 최상층으로부터 1매씩 분리해서 원고 공급구(271)를 통해서 원고 반송부(270)의 내부를 향해서 공급한다. 원고 공급구(271)의 하류측에는 원고 반송부(270)의 내부를 향해서 제 1 원고 반송로(27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원고 반송로(272)의 하류단은 원고 급지부(5A)의 저면에 도달하고 있다. 이 제 1 원고 반송로(272)의 하류단의 위치에 ADF 판독 모드에 있어서의 원고의 판독 위치(273)가 설정되어 있다. 판독 위치(273)의 하류측에는 제 2 원고 반송로(27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원고 반송로(272)와 제 2 원고 반송로(274) 사이에는 원고 자동 판독용 유리(411)와 대치하도록 해서 판독 가이드(26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원고 반송로(272)로부터 제 2 원고 반송로(274)로 반송되는 원고가 원고 자동 판독용 유리(411)와 판독 가이드(260)의 간극부인 판독 위치(273)를 통과할 때에 하측에 설치된 화상 판독부(4)에 의해 하측면인 제 1 면(표면)의 화상이 판독된다. 또한, 판독 가이드(260)는 앞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에 의거해서 설명한 판독 가이드(60)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제 2 원고 반송로(274)에 있어서 판독 위치(273)의 하류에는 원고 스위칭부(275)가 설치되어 있다. 판독 위치(273)에서 제 1 면의 화상이 판독되고, 원고 스위칭부(275)까지 반송되어 온 원고는 제 2 원고 반송로(274)의 상측으로 나뉘어진다. 원고 스위칭부(275)의 원고 반송방향 하류측에는 제 1 면의 화상이 판독된 원고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원고 반전부(276)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반전부(276)에 있어서 제 1 면의 화상이 판독된 원고의 반송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변경된다. 반송방향이 변경되어, 즉 하측의 면이 제 1 면이 된 원고는 원고 스위칭부(275)의 상측의 반송로를 거쳐서 제 1 원고 반송로(272)로 보내진다. 그리고, 판독 위치(273)까지 반송되었을 때에는 상기 원고의 상측면은 제 1 면이 되고, 화상 판독부(4)에서 제 1 면과 반대측의 제 2 면(이면)의 화상이 판독되게 된다. 이렇게, 원고 반전부(276)에 있어서 제 1 면의 화상이 판독된 원고의 반송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원고의 표리가 반전된다.
원고 스위칭부(275)의 하류이며 제 2 원고 반송로(274)의 하류단에는 원고 배출구(277)가 설치되어 있다. 표리 양면의 화상의 판독이 종료된 원고는 원고 배출구(277)로부터 원고 배출 트레이(256)로 배출된다. 원고 배출 트레이(256)는 원고 트레이(251)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원고 배출 트레이(256)로 배출된 원고를 유저는 원고 급지부(5A)의 전방면측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렇게, 원고 반송부(270)는 원고 트레이(251)에 적재된 원고를 1매씩 내보내어 판독 위치(273)를 경유해서 원고 반전부(276)로 반송하고, 원고 반전부(276)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원고를 판독 위치(273)를 경유해서 원고 배출 트레이(256)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후에 원고 반송부(27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도 10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의 실선 화살표는 원고의 반송경로 및 반송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고 반송부(270)는 원고 트레이(251)의 원고 반송방향 하류단에 원고 공급구(271)와 급지부(25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원고 반송로(272)가 원고 공급구(271)의 하류측에 있어서 하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급지부(254)는 원고 반송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원고폭 방향 대략 중앙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픽업 롤러(254a), 급지 벨트(254b), 및 분리 롤러(254c)를 구비하고 있다.
픽업 롤러(254a)는 원고 공급구(271)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원고 급지시 원고 트레이(251)에 쌓아 올려진 원고가 리프트판(252)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최상부의 원고가 픽업 롤러(254a)에 하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이 최상부의 원고는 픽업 롤러(254a)의 회전에 의해 급지 벨트(254b)로 인도되어 급지 벨트(254b)에 의해 원고 반송부(270)의 내부로 반송된다.
급지 벨트(254b)는 픽업 롤러(254a)의 하류측에 있어서 그 표면 하부가 제 1 원고 반송로(272)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급지 벨트(254b)는 2개의 풀리에 감아 걸리고, 원고 공급구(271)로부터 도 10의 좌측으로 원고를 반송할 수 있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분리 롤러(254c)는 급지 벨트(254b)의 하측에 배치되고, 급지 벨트(254b)에 접촉하고 있다. 이 급지 벨트(254b)와 분리 롤러(254c)가 접촉해서 형성되는 반송 닙에 원고가 삽입통과된다. 분리 롤러(254c)는 상기 반송 닙에 원고가 겹쳐서 복수매 진입했을 때에 겹친 하측의 원고를 송출하지 않도록 회전 구동력이 제한되어 있다. 즉, 상기 반송 닙에 원고가 겹쳐서 복수매 진입했을 때에는 겹친 상측의 원고만이 급지 벨트(254b)에 의해 송출된다. 이것에 의해, 원고가 겹쳐서 보내져 이송되어 버리는 중송(重送)이라는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원고를 1매씩 반송할 수 있다.
제 1 원고 반송로(272) 상에 있어서 급지부(254)의 하류에는 레지스트 롤러(278), 반송 롤러(279) 및 판독전 롤러(280)가 설치되어 있다. 레지스트 롤러(278)는 대치하는 롤러와의 사이에서 닙을 형성하고, 그 회전과 정지가 제어됨으로써 원고의 경사 이송을 교정하면서 조정된 소정의 타이밍으로 원고를 송출한다. 반송 롤러(279)는 대치하는 롤러와의 사이에서 원고를 협지하고, 그 회전에 의해 원고를 반송한다. 판독전 롤러(280)는 대치하는 롤러와의 사이에서 닙을 형성하고, 그 회전에 의해 원고를 판독 위치(273)를 향해서 반송한다.
제 2 원고 반송로(274) 상에 있어서 판독 위치(273)의 하류측에는 판독후 롤러(282)와 원고 스위칭부(275)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스위칭부(275)에는 원고 급지부(5A)의 전후방향(도 10의 지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수평한 도시가 생략된 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수직면내에서 요동 가능한 스위칭 가이드(283)가 구비되어 있다. 스위칭 가이드(283)는 원고 급지부(5A)의 전후방향, 즉 원고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스위칭 가이드(283)는 도시가 생략된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고, 원고 반송방향 상류측의 선단부를 상하로 방향이 바뀌도록 자세변경한다.
원고 스위칭부(275)의 하류측이며, 제 2 원고 반송로(274)의 하류단에는 배출 롤러(284) 및 원고 배출구(277)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롤러(284)는 그 대치하는 롤러와의 사이에서 닙을 형성하고, 그 회전에 의해 원고를 원고 배출구(277)로부터 원고 배출 트레이(256)로 배출한다.
한편, 원고 스위칭부(275)의 하류에는 도 10에 있어서 대략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원고 반송로(274)에 대해서 우측 경사 상방의 위치에 제 3 원고 반송로(285)가 설치되어 있다. 판독 위치(273)에서 제 1 면의 화상이 판독된 후 원고 스위칭부(275)까지 반송되어 온 원고는 원고 스위칭부(275)의 스위칭 가이드(283)가 하측으로 자세 변경함으로써 제 2 원고 반송로(274)의 도중으로부터 제 3 원고 반송로(285)를 거쳐 원고 반전부(276)로 반송된다.
제 3 원고 반송로(285) 상에 있어서 원고 스위칭부(275)의 하류에는 제 1 원고 분기부(28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원고 분기부(286)는 제 3 원고 반송로(285)보다 원고 배출 트레이(256)측에 설치된 후술하는 제 5 원고 반송로(293)와 상기 제 3 원고 반송로(285)의 분기 개소이다. 제 3 원고 반송로(285)와 제 5 원고 반송로(293) 사이에는 제 1 분기 가이드(287)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분기 가이드(287)는 상기 원고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1 분기 가이드(287)는 그 하부가 원고 급지부(5A)의 프레임에 도시가 생략된 스프링재로 연결되어서 지지되고, 이 지지부를 중심으로 해서 상단측이 원고 반송방향을 따른 수직면내에서 요동 가능하다. 제 1 분기 가이드(287)는 그 상단측이 제 3 원고 반송로(285)를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분기 가이드(287)를 지지하는 스프링재는 원고의 제 1 분기 가이드(287)에의 접촉에 의해 만곡될 정도의 탄발력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분기 가이드(287)는 원고가 제 3 원고 반송로(285)를 통과할 때 상단부를 도 10에 있어서 우측으로 방향을 돌리도록 자세변경한다. 그리고, 원고의 후단이 제 1 분기 가이드(287)를 통과했을 때 또는 원고가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 제 1 분기 가이드(287)는 상단부를 좌측으로 방향을 바꿔 도 10에 나타내는 자세, 즉 제 3 원고 반송로(285)를 막도록 자세를 유지한다.
제 3 원고 반송로(285)의 하류단과 원고 반전부(276) 사이에는 제 2 원고 분기부(288)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원고 분기부(288)에는 제 2 분기 가이드(289)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분기 가이드(289)는 원고 급지부(5A)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2 분기 가이드(289)는 도시가 생략된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그 우단부를 상하로 방향을 바꾸도록 자세변경한다.
제 2 분기 가이드(289)는 원고가 제 3 원고 반송로(285)를 통과할 때, 도 10에 있어서의 우단부를 상측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자세변경한다. 원고의 후단이 제 2 분기 가이드(289)를 통과했을 때, 또는 원고가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 제 2 분기 가이드(289)는 우단부를 하측으로 방향을 바꿔 도 10에 나타내는 자세, 즉 제 3 원고 반송로(285)을 막는 자세를 유지한다.
원고 반전부(276)는 제 3 원고 반송로(285)의 하류이며, 제 2 원고 반송로(274)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원고 반전부(276)는 반전 롤러(276a)와 반전용 트레이(276b)를 구비하고 있다.
반전 롤러(276a)는 제 3 원고 반송로(285)에 대해서 원고 반전부(276)의 최상류부에 배치되고, 도시가 생략된 모터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반전용 트레이(276b)는 원고 트레이(251)의 바로 하측에 비교적 좁은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원고 트레이(251)와 마찬가지로 경사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원고 반전부(276)에서는 제 3 원고 반송로(285)를 지나 도 10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반송되어 온 원고의 선단이 반전용 트레이(276b)로 일단 보내진다. 그 원고의 후단이 반전 롤러(276a)에 도달했을 때 대치하는 롤러와의 사이에 원고를 유지한 상태로 반전 롤러(276a)의 회전을 역전시킴으로써 원고의 반송방향을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변경한다.
원고 반전부(276) 및 제 2 원고 분기부(288)의 좌측이며, 제 3 원고 반송로(285)의 상측에는 제 4 원고 반송로(292)가 설치되어 있다. 제 4 원고 반송로(292)는 제 2 원고 분기부(288)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그 끝에서 제 1 원고 반송로(272)의 레지스트 롤러(278)의 상류의 위치에 합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원고 분기부(288)를 완전히 통과해서 원고 반전부(276)에서 반송방향이 변경된 원고는 제 4 원고 반송로(292)를 통과하고, 다시 제 1 원고 반송로(272)로 보내진다. 그 후 상기 원고는 판독 위치(273)에 도달하고, 하측의 면인 제 2 면(이면)의 화상이 판독된다.
또한, 제 3 원고 반송로(285)에 대해서 제 1 원고 분기부(286)에서 분기되는 형태로 제 5 원고 반송로(293)가 설치되어 있다. 제 5 원고 반송로(293)는 제 1 원고 분기부(286)에서 제 3 원고 반송로(285)로부터 분기되어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제 2 원고 반송로(274)에 합류하고 있다. 제 5 원고 반송로(293)의 도중에는 반송 롤러(294)가 구비되어 있다. 반송 롤러(294)는 대치하는 롤러와의 사이에서 원고를 협지하고, 그 회전에 의해 원고를 제 2 원고 반송로(274)의 하류부로 반송한다.
판독 위치(273)에서 표리 양면의 화상의 판독이 완료된 원고는 다시 원고 반전부(276)에 보내져서 반송방향이 역방향으로 변경된다. 이 후 제 2 분기 가이드(289)는 우단부를 상방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자세변경되어 원고가 제 5 원고 반송로(293)로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원고가 당초 원고 트레이(251)에 쌓아 올려져 있었던 상태와 표리를 맞춘 상태로 원고 배출 트레이(256)로 배출된다.
원고 급지부(5A)에는 원고 검출 센서(원고 검출부)(P1), 판독 검출 센서(상류 검출부)(P2), 배출 검출 센서(하류 검출부)(P3), 및 반전 검출 센서(P4)가 구비되어 있다.
원고 검출 센서(P1)는 원고 트레이(2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픽업 롤러(254a)의 하측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원고 검출 센서(P1)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원고 급지부(5A) 내의 양측면(도 10의 지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의 양측면)에 구비한 광투과형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원고 검출 센서(P1)는 원고 트레이(251)에 적재된 원고가 리프트판(252)에 의해 들어 올려져 최상부의 원고가 픽업 롤러(254a)에 접촉하고 있을 때는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이 상기 원고에 의해 차광되므로 수광소자에 의해 원고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원고 트레이(2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므로 수광소자에 의해 원고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판독 검출 센서(P2)는 제 1 원고 반송로(272)에 있어서 판독전 롤러(280)의 상류측 근방의 위치(검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에서 원고의 존재를 검지한다. 판독 검출 센서(P2)는 제 1 원고 반송로(272)를 통해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향하는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되어 있다. 판독 검출 센서(P2)는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해서 발광된 광이 차광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해서 발광된 광이 반송되는 원고에 의해 차광되어 있는 동안은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원고의 선단이 판독 검출 센서(P2)까지 반송되었을 때에 판독 검출 센서(P2)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스위칭되고, 그 후 원고의 후단이 판독 검출 센서(P2)를 통과했을 때에 판독 검출 센서(P2)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스위칭된다.
배출 검출 센서(P3)는 제 2 원고 반송로(274)에 있어서 배출 롤러(284)의 상류측 근방의 위치(검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에서 원고의 존재를 검지한다. 배출 검출 센서(P3)는 제 2 원고 반송로(274)를 통해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향하는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되어 있다. 배출 검출 센서(P3)는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해서 발광된 광이 차광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해서 발광된 광이 배출되는 원고에 의해 차광되어 있는 동안은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원고의 선단이 배출 검출 센서(P3)까지 반송되었을 때에 배출 검출 센서(P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스위칭되고, 그 후 원고의 후단이 배출 검출 센서(P3)를 통과했을 때에 배출 검출 센서(P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스위칭된다.
반전 검출 센서(P4)는 제 4 원고 반송로(292)에 있어서 제 2 원고 분기부(288)의 하류측이며 제 2 분기 가이드(289)의 하류측의 근방의 위치(검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에서 원고의 존재를 검지한다. 반전 검출 센서(P4)는 제 4 원고 반송로(292)를 통해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향하는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되어 있다. 반전 검출 센서(P4)는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해서 발광된 광이 차광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해서 발광된 광이 원고 반전부(276)에서 반송방향이 변경된 후에 제 2 원고 분기부(288)를 거쳐 반송되어 온 원고에 의해 차광되어 있는 동안은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원고의 선단이 반전 검출 센서(P4)까지 반송되었을 때에 반전 검출 센서(P4)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스위칭되고, 그 후 원고의 후단이 반전 검출 센서(P4)를 통과했을 때에 반전 검출 센서(P4)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스위칭된다.
이후에,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복합기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복합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복합기는 상기 복합기의 각 부의 동작 제어를 담당하는 컨트롤러(80A)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80A)는 예를 들면, CPU와, ROM이나 RAM 등의 메모리를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메모리에 기억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각 부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컨트롤러(80A)는 화상 판독부(4) 및 화상 형성부(25)(제 1 실시형태 참조), 상술의 각종 검출 센서(P1∼P4), 개폐 검출 센서(P5)(자세 검출부)와, 픽업 롤러(254a), 분리 롤러(254c), 레지스트 롤러(278), 판독전 롤러(280), 판독후 롤러(282), 배출 롤러(284), 반전 롤러(276a), 및 반송 롤러(279,294)의 구동부와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개폐 검출 센서(P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의거해서 설명한 개폐 검출 센서(67)에 상당하는 센서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픽업 롤러(254a), 분리 롤러(254c), 레지스트 롤러(278), 판독전 롤러(280), 판독후 롤러(282), 배출 롤러(284), 반전 롤러(276a), 및 반송 롤러(279,294)를 합쳐서 「각종 롤러」라고 기재한다.
컨트롤러(80A)는 모터 제어부(81A), 원고 통과 검출부(82A), 및 급지 이상 검출부(제어부)(83A)로서 기능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원고 급지부(5A)에 의한 원고 급지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모터 제어부(81A)는 각종 롤러를 그 축둘레로 회전 구동시키는 도시가 생략된 각 모터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각종 롤러를 각각 미리 정해진 소정 속도로 회전 구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각 모터는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동 신호의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구동한다.
원고 통과 검출부(82A)는 각종 롤러를 통해 반송되는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원고 통과 검출부(82A)는 판독 검출 센서(P2)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가 원고 있음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신호로부터 원고 없음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신호로 변화된 후 판독전 롤러(280)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구동 신호의 펄스수가 미리 정해진 펄스수에 도달했을 때에 원고가 판독 위치(273)를 통과했다고 판정한다.
또한, 미리 정해진 펄스수는 시험 운전 등의 실험값에 의거해서 정해진다. 예를 들면, 원고를 판독 검출 센서(P2)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검출 위치)로부터 판독 위치(273)까지의 거리분만큼 반송시키고, 이 때 판독전 롤러(280)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 신호의 펄스수 이상의 펄스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펄스수로서 정해진다.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원고 검출 센서(P1)에 의해 원고 트레이(2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원고의 반송중에 개폐 검출 센서(P5)에 의해 원고 급지부(5A)의 폐쇄 자세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는 각종 롤러의 회전 구동을 정지해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원고 검출 센서(P1)에 의해 원고 트레이(2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원고의 반송중에 개폐 검출 센서(P5)에 의해 원고 급지부(5A)의 폐쇄 자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원고 반전부(276)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의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이 원고 통과 검출부(82A)에 의해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는 각종 롤러의 회전 구동을 정지해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한편,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원고 검출 센서(P1)에 의해 원고 트레이(2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원고의 반송중에 개폐 검출 센서(P5)에 의해 원고 급지부(5A)의 폐쇄 자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원고 반전부(276)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의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이 원고 통과 검출부(82A)에 의해 검출되어 있을 때는 각종 롤러를 정지시키지 않고 반송중인 원고를 원고 배출 트레이(256)로 배출시킨다.
이하, 도 12의 플로우 챠트를 사용해서 원고 급지부(5A)를 사용한 원고 급지 동작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트롤러(80A)에 의해, 예를 들면, 조작부(36)(도 1)로부터 입력된 복사 기능의 실행 지시에 의거해서 ADF 판독 모드로 원고의 양면을 판독하는 동작이 개시되면 모터 제어부(81A)는 각종 롤러의 구동용 모터의 구동을 개시하고, 원고 트레이(251)에 적재된 원고다발의 최상부의 원고의 급지를 개시한다(S11).
스텝S11이 실행된 후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후술의 스텝S12 이후의 처리와 병행해서 반전원고 판독 위치 통과의 검출 처리(이하, 검출 처리 D라고 한다)를 개시한다.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검출 처리 D를 개시하면 RAM에 후술하는 반전원고 판독 위치 통과의 검출 정보(이하, 검출 정보 N이라고 한다)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이것을 삭제(초기화)한다(S21). 그리고, 반전 검출 센서(P4)에 의해 스텝S11에서 급지 개시된 원고가 통과한 것이 검출될 때까지 대기한다(S22;NO). 한편, 반전 검출 센서(P4)에 의해 상기 원고가 통과한 것이 검출되면(S22;YES), 원고 통과 검출부(82A)에 의해 상기 원고가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이 검출될 때까지 즉 상기 원고가 원고 반전부(276)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에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이 검출될 때까지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대기한다(S23;NO).
원고 통과 검출부(82A)에 의해 스텝S11에서 급지 개시된 원고가 원고 반전부(276)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에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이 검출되면(S23;YES),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검출 정보 N을 RAM에 기억한다(S24). 이 검출 정보 N은 스텝S11에서 급지 개시된 원고가 원고 반전부(276)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에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한편, 스텝S11이 실행된 후 각종 롤러에 의해 원고의 반송중에 개폐 검출 센서(P5)로부터 원고 급지부(5A)가 폐쇄 자세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는(S12;YES),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배출 검출 센서(P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스위칭되고, 즉 원고의 후단이 배출 검출 센서(P3)를 통과한 것에 의해 반송중인 원고가 원고 배출 트레이(256)로 배출된 것이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S13;NO), 각종 롤러에 의한 원고의 반송을 계속한다. 그리고, 반송중인 원고가 원고 배출 트레이(256)로 배출되면 (S13;YES) 스텝S11에 돌아가고, 다음 원고, 즉 원고 트레이(251)의 최상부의 원고의 급지를 개시한다.
한편,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원고의 반송중에 개폐 검출 센서(P5)로부터 원고 급지부(5A)가 개방 자세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 경우는(S12;NO), 원고 검출 센서(P1)에 의해 원고 트레이(2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시킨다(S14).
원고 트레이(2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고, 원고 검출 센서(P1)에 의해 원고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 경우, 즉 최종의 원고가 아닌 원고가 반송되어 있는 경우(S14;YES),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모터 제어부(81A)에 대해서 각종 롤러의 구동용 모터를 정지시키도록 지시하고, 이것에 의해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킨다(S15). 또한,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스텝S15의 실행에 맞춰, 예를 들면, 원고 급지부(5A)가 원고의 반송중에 열렸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363)에 표시하거나 해서 원고의 반송을 정지한 이유를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원고 트레이(251)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고, 원고 검출 센서(P1)에 의해 원고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 경우로서, 즉 최종의 원고가 반송되고 있는 경우로서(S14;NO), 상기 검출 처리 D에 의해 RAM에 상기 검출 정보 N이 기억되어 있지 않고, 즉 원고 통과 검출부(82A)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의 최종의 원고가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이 아직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S16;NO),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스텝S15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S16에 있어서 상기 검출 처리 D에 의해 RAM에 상기 검출 정보 N이 기억되어 있지 않고, 즉 원고 통과 검출부(82A)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의 최종의 원고가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이 아직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는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스텝S15를 실행함과 아울러, 예를 들면, 최종의 원고의 판독중에 원고 급지부(5A)가 열렸기 때문에 최종의 원고를 다시 판독할 필요가 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363)에 표시하거나 해서 최종의 원고를 다시 판독할 필요가 있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한편, 원고 검출 센서(P1)에 의해 원고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 경우로서, 즉 최종의 원고가 반송되고 있는 경우로서(S14;NO), 상기 검출 처리 D에 의해 RAM에 상기 검출 정보 N이 기억되어 있으며, 즉 원고 통과 검출부(82A)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의 최종의 원고가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이 이미 검출되어 있었을 때는(S16;YES), 최종의 원고의 반송이 계속된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배출 검출 센서(P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스위칭된 시점, 즉 최종의 원고의 후단이 배출 검출 센서(P3)를 통과한 시점부터 소정 시간 경과후에 반송중인 최종의 원고가 배출 롤러(284)를 통과해서 원고 배출 트레이(256)로 배출된 것이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S17;NO), 각종 롤러에 의한 최종의 원고의 반송을 계속시킨다.
또한, 스텝S16에 있어서 상기 검출 처리 D에 의해 RAM에 상기 검출 정보 N이 기억되어 있고, 즉 원고 통과 검출부(82A)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의 최종의 원고가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이 이미 검출되어 있었을 때는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예를 들면, 원고의 판독이 종료되어 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363)에 표시하거나 해서 원고의 판독이 종료한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반송중인 최종의 원고가 원고 배출 트레이(256)로 배출된 것이 검출되면(S17;YES), 급지 이상 검출부(83A)는 모터 제어부(81A)에 대해서 각종 롤러의 구동용 모터를 정지시키도록 지시하고, 이것에 의해 원고 급지부(5A)를 사용한 원고 급지 동작을 종료한다.
이렇게,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최종의 원고가 반송되고 있는 경우에 원고 급지부(5A)가 폐쇄 자세가 아닌 상태로 되었을 때이어도, 원고 반전부(276)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의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273)를 통과한 것이 원고 통과 검출부(82A)에 의해 검출되는 것에 의해, 상기 최종의 원고의 양면의 판독의 종료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최종의 원고는 반송이 정지되지 않고 원고 배출 트레이(256)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최종의 원고가 배출된 후 즉시 다른 원고를 판독시킬 수 있고, 다음 원고를 판독시키는 작업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개시에 의하면,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의 상면을 덮는 폐쇄 자세와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상부 구조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원고를 판독시키는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복합기를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또는 FAX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4)

  1. 상면을 갖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상면을 덮는 폐쇄 자세와 상기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상부 구조체와, 상기 상부 구조체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와, 원고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원고의 후단이 판독 위치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원고통과 검출부와, 원고의 반송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상면에 있어서의 소정 판독 위치에 있어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화상에 의거해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구조체는,
    상기 원고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판독부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원고를 1매씩 내보내어 상기 판독 위치를 경유해서 상기 원고 배출부로 반송하는 원고 반송부와,
    상기 적재부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원고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적재부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상기 원고의 반송중이며, 또한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상기 폐쇄 자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고,
    상기 원고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적재부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상기 원고의 반송중이며, 또한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상기 폐쇄 자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중인 원고의 후단이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것이 상기 원고통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반송중인 원고의 후단이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것이 상기 원고통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지 않고 상기 반송중인 원고를 상기 원고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체는,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상기 원고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판독 위치의 상류에 설치된 검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를 검출하고 상기 원고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상류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또한
    상기 원고통과 검출부는,
    상기 신호가 상기 원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상기 원고 없음을 나타내는 신호로 변화된 후 상기 검출 위치부터 상기 판독 위치까지의 거리 이상의 거리로서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만큼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해 상기 원고가 반송되었을 때 상기 원고의 후단이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체는,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상기 원고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판독 위치의 하류에 설치된 검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를 검출하고 상기 원고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하류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또한
    상기 원고통과 검출부는,
    상기 신호가 상기 원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상기 원고 없음을 나타내는 신호로 변화되었을 때 상기 원고의 후단이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 원고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원고 반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고 반송부는,
    상기 원고의 양면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위치를 경유해서 상기 원고를 상기 원고 반전부로 반송하고, 또한, 상기 원고 반전부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상기 원고를 상기 판독 위치를 경유해서 상기 원고 배출부로 반송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적재부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지 않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상기 원고의 반송중이며, 또한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상기 폐쇄 자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원고 반전부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의 원고의 후단이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것이 상기 원고통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원고 반전부에 의해 표리가 반전된 후의 원고의 후단이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것이 상기 원고통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원고 반송부에 의한 원고의 반송을 정지시키지 않고 상기 반송중인 원고를 상기 원고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124164A 2011-11-09 2012-11-05 원고 반송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1439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5778 2011-11-09
JP2011245779A JP5398807B2 (ja) 2011-11-09 2011-11-09 画像形成装置
JP2011245778A JP5417411B2 (ja) 2011-11-09 2011-11-09 画像形成装置
JPJP-P-2011-245779 2011-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407A KR20130051407A (ko) 2013-05-20
KR101439186B1 true KR101439186B1 (ko) 2014-09-12

Family

ID=4735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164A KR101439186B1 (ko) 2011-11-09 2012-11-05 원고 반송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73679B2 (ko)
EP (1) EP2592819B1 (ko)
KR (1) KR101439186B1 (ko)
CN (1) CN103101783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4957A (ja) 2002-05-30 2003-12-03 Sharp Corp 画像読取装置
JP2011046487A (ja) 2009-08-27 2011-03-10 Sharp Corp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その自動原稿搬送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1077812A (ja) 2009-09-30 2011-04-14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8690A (ja) * 1992-01-16 1993-07-30 Mita Ind Co Ltd 原稿自動給送装置
US6647240B2 (en) * 2001-03-12 2003-11-11 Canon Kabushiki Kaisha Original feed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ensors
JP4292734B2 (ja) * 2001-08-31 2009-07-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
JP3959638B2 (ja) * 2003-03-14 2007-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り装置における用紙搬送装置
JP3751293B2 (ja) * 2003-07-02 2006-03-01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22254B2 (ja) * 2003-12-22 2007-05-30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120639B2 (ja) * 2004-12-22 2008-07-1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US7633657B2 (en) * 2006-03-08 2009-12-1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4722767B2 (ja) * 2006-04-28 2011-07-13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39207B2 (ja) * 2006-12-27 2011-12-21 ニスカ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5000427B2 (ja) 2007-08-21 2012-08-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自動原稿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69025B2 (ja) * 2008-06-06 2011-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591556B2 (ja) * 2008-06-13 2010-12-0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626442A (zh) * 2008-06-16 2010-01-13 株式会社东芝 自动文件输送装置、图像读取装置及文件输送方法
JP5223829B2 (ja) * 2009-09-18 2013-06-26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原稿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4957A (ja) 2002-05-30 2003-12-03 Sharp Corp 画像読取装置
JP2011046487A (ja) 2009-08-27 2011-03-10 Sharp Corp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その自動原稿搬送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1077812A (ja) 2009-09-30 2011-04-14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407A (ko) 2013-05-20
US8773679B2 (en) 2014-07-08
CN103101783B (zh) 2015-10-07
EP2592819A3 (en) 2015-01-21
US20130114097A1 (en) 2013-05-09
EP2592819A2 (en) 2013-05-15
CN103101783A (zh) 2013-05-15
EP2592819B1 (en)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0727B2 (en) Sheet-conveying device having opening
JP200701094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61261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EP2739028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33340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218273A (ja)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65541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US891330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194011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6540041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439186B1 (ko) 원고 반송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JP5197667B2 (ja) 原稿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39880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11237A (ja) 給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802642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95488B2 (ja) 画像形成装置
JP5417411B2 (ja) 画像形成装置
JP6060189B2 (ja) 原稿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825931B2 (ja) 原稿自動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40051781A1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that permits or inhibits transport of document through horizontal transport route, depending on status of discharge tra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446839B2 (ja) シート給送装置、シート給送装置を備えたシート読取装置、シート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240109743A1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936724B2 (ja) 原稿送り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83996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29504B2 (ja) 原稿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