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92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924B1
KR101434924B1 KR1020120090039A KR20120090039A KR101434924B1 KR 101434924 B1 KR101434924 B1 KR 101434924B1 KR 1020120090039 A KR1020120090039 A KR 1020120090039A KR 20120090039 A KR20120090039 A KR 20120090039A KR 101434924 B1 KR101434924 B1 KR 101434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oard
printed wiring
flexible printed
connector
f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089A (ko
Inventor
가쓰토시 도조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2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94Lever acting on a connector mounted onto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도체(導體) 패턴에 접촉 가능한 접점부를 가지는 복수 개의 컨택트와, 하우징 내에 있어서 도전체 패턴과 접점부를 압접(壓接)시키도록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두께 방향으로 컨택트를 압압(押壓)하는 위치와 압압하지 않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하여 기복(起伏) 가능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이며, 하우징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탑재하여 삽입구로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삽입구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 전화기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회로끼리 등을,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삽입 및 인출 가능한 커넥터를 통하여 회로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511)와, 어스 컨택트(512)를 구비한 커넥터(501)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6-134708호 공보).
커넥터(501)는,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511) 및 어스 컨택트(512)가 조립되는 하우징(51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501)는, 플렉시블 기판(502)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과 신호 컨택트(511)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고정시키는 록(lock) 위치 및 록 위치 이외의 비(非)록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는 개폐 커버(514)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501)의 어스 컨택트(512)는, 플렉시블 기판(502)에 있어서 신호선을 포위하고 있는 도전성(導電性)의 차폐(遮蔽)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어스 접속부(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56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어스 컨택트(512)는, 하우징(513)에 압입(壓入)되는 압입편(56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어스 컨택트(512)는, 하우징(513)의 측벽을 보강하는 보강부(562)와, 프린트 배선 기판(503)의 랜드(533)와 땜납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 탭(564)을 구비하고 있다. 어스 컨택트(512)는, 접속부(561)와, 압입편(563)과, 보강부(562)와, 고정 탭(564)이 일체로 되어 있다.
커넥터(501)는, 신호선의 신호 접속부가 신호 컨택트(511)와 대향하도록 플렉시블 기판(502)이 삽입된 상태에서, 개폐 커버(514)가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신호 컨택트(511)가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커넥터(501)는, 개폐 커버(514)가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어스 컨택트(512)가 차폐 부재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501)는, 개폐 커버(514)가 하우징(513)의 개구부(513a)를 폐쇄함으로써, 록 위치로 된다.
또한, 커넥터(501)는, 하우징(513)의 측벽 및 차양형 돌출부(575a, 575b)의 전방 단부에서 플렉시블 기판(502)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커넥터(501)는, 삽입구에서의 하우징(513)의 측벽 단부의 내측에, 플렉시블 기판(502)을 삽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테이퍼면(57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기판(502)은, 플렉시블 기판(502)에서의 접속면의 반대측의 면의 단부에 보호판(523)이 접착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502)의 단부의 강성(剛性)을 높이고 있다.
상기 특허 문헌의 커넥터(501)는, 접속부(561)의 형상이나 테이퍼면(579)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502)을 하우징(513)의 내부로 유도하기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커넥터는,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박형화된 저배화(低背化; low height) 구조로 되어 있고, 커넥터가 실장(實裝)된 실장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삽입되는 커넥터의 삽입구까지의 높이도 낮다. 그러므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하우징의 삽입구에 삽입할 때,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선단부가 커넥터의 삽입구 주위의 부위에 걸리고, 삽입구에 삽입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 전자 기기의 더욱 소형화의 요망에 따라 커넥터는, 보다 박형화가 가능한 저배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커넥터는, 보다 박형화되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삽입되는 커넥터의 삽입구의 높이 치수도 더욱 작아진다. 그러므로, 커넥터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 시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커넥터의 삽입구에, 더욱 삽입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6-134708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삽입구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도체 패턴에 접촉 가능한 접점부를 가지는 복수 개의 컨택트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패턴과 상기 접점부를 압접(壓接)시키도록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컨택트를 압압(押壓)하는 위치와 압압하지 않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기복(起伏) 가능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탑재하여 상기 삽입구로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상기 삽입구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삽입구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복수 개의 컨택트를 압압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에 삽입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가(假)유지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상기 삽입구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지지 금속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탑재 가능한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로부터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상기 삽입구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높이 위치 보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외저면(外底面) 측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는, 상기 탑재부로부터 상승하고, 상기 복수 개의 컨택트의 상기 삽입구 측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부의 높이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경사면을 선단 에지부에 구비하고,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상기 단자부의 상기 소정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구의 폭 방향에 대한 양단 측의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폭 방향에 대한 양 단부만을 탑재 가능하게 하여 상기 삽입구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복수 개의 컨택트를 압압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에 삽입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가유지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상기 삽입구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지지 금속 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의 각각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탑재 가능한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로부터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상기 삽입구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높이 위치 보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외저면 측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는, 상기 탑재부로부터 상승하고, 상기 복수 개의 컨택트의 상기 삽입구 측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부의 높이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경사면을 선단 에지부에 구비하고,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상기 단자부의 상기 소정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기술 및 첨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한층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커넥터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의 2A-2A선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의 3A-3A선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 설명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커넥터(10)를 도 1 내지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10)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하, FPC라고도 함)(100)이 삽입되는 삽입구(21)를 구비한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10)는, 하우징(2) 내에 삽입되는 FPC(100)의 도체 패턴(101)에 접촉 가능한 접점부로 되는 돌출부(32a)(도 1 및 도 2를 참조)를 가지는 복수 개의 컨택트(3)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하우징(2) 내에 삽입되는 FPC(100)의 도체 패턴(101)에 접촉 가능한 접점부로 되는 돌출부(42a)(도 1 및 도 3을 참조)를 가지는 복수 개의 컨택트(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10)는, 하우징(2) 내에 있어서 도전체 패턴(101)과 돌출부(32a, 42a)를 압접시키도록 FPC(100)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컨택트(3, 4)를 압압하는 위치와 압압하지 않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하우징(2)에 대하여 기복 가능한 레버(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10)의 하우징(2)은, FPC(100)를 탑재하여 삽입구(21)로의 FPC(10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a)를 삽입구(2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가이드부(1a, 1a)가 삽입구(21)의 폭 방향에 대한 양단 측의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커넥터(10)에서는, FPC(100)의 일주면(一主面)에 설치된 도체 패턴(101)과, 스프링부(32, 42)에 설치된 돌출부(32a, 42a)를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접점부로서 기능하게 하고 있다. 커넥터(10)는, FPC(100)의 일주면에 설치된 도체 패턴(101)과 접속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고, FPC(100)의 일주면과 대향하는 타주면(他主面)에 설치된 도체 패턴(101)과 지지부(31, 41)에 설치된 돌출부(31a, 41a)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커넥터(10)는, 지지부(31, 41)에 설치된 돌출부(31a, 41a)가 접점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커넥터(10)는, FPC(100)의 일주면 및 타주면의 양면에 각각 설치된 도체 패턴(101)과, 스프링부(32, 42)에 설치된 돌출부(32a, 42a) 및 지지부(31, 41)에 설치된 돌출부(31a, 41a)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터(10)는, 스프링부(32, 42)에 설치된 돌출부(32a, 42a) 및 지지부(31, 41)에 설치된 돌출부(31a, 41a)가 접점부로서 각각 기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커넥터(10)는, 하우징(2)과, 복수 개의 컨택트(3, 4)와, 레버(5)와, 한쌍의 지지 금속 부재(1)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10)에서의 지지 금속 부재(1)는, FPC(100)를 탑재하여 삽입구(21)로의 FPC(10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a)를 구비하고 있고, FPC(100)를 커넥터(10)에 가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10)의 가이드부(1a)는, 레버(5)가 복수 개의 컨택트(3, 4)를 압압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삽입구(21)에 삽입한 FPC(100)를 가유지하고 FPC(100)가 삽입구(21)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지지 금속 부재(1)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은,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2)은, FPC(100)가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전체로서 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은, 커넥터(10)가 실장되는 실장 기판(도시하지 않음) 측으로 되는 기벽부(基壁部)(2b)와, 기벽부(2b)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측벽부(2c, 2c)와, 기벽부(2b) 상에 기벽부(2b)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벽부(覆壁部)(2a)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은, 도 2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도 2 및 도 3의 상하 방향)에서의 일단부측(도 2 및 도 3의 아래쪽)에, 내부의 컨택트 수납 공간(2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삽입구(21)가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10)는, 수평인 면에 배치된 실장 기판 상에 커넥터(10)를 실장시켰을 경우, 삽입 및 인출 방향이 1수평 방향으로 된다. 또한, 하우징(2)은,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의 타단부 측(도 2 및 도 3의 위쪽)에, 복벽부(2a)의 일부를 절결(切缺)하도록 형성된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은, 하우징(2)의 내부에 복수 개의 컨택트(3, 4)를 수용하는 컨택트 수납 공간(20)이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수납 공간(20)은,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과 직교하는 하우징(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로 설치된 격벽(23)에 의해 복수 개의 수납실에 구획되어 있다. 컨택트 수납 공간(20)은, 각각의 수납실마다 컨택트(3), 또는 컨택트(4)가 1개씩 수납되어 있다. 또한, 격벽(23)에는, 삽입구(21) 측으로 개방되어, 삽입구(21)로부터 삽입되는 FPC(100)의 주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4)이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격벽(23)은, FPC(100)의 전단부(前端部)를 접촉시켜, FPC(100)가 하우징(2)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도록, FPC(100)의 삽입을 규제하여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면(23a)을 구비하고 있다.
컨택트(3, 4)는, 예를 들면, 인청동(燐靑銅) 등의 탄성 및 도전성(導電性)이 우수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인청동의 표면에 형성한 Ni의 베이스부에 Au의 도금이 행해진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하고 있다. 복수 개의 컨택트(3, 4)는, 하우징(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컨택트(3)와 컨택트(4)가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한쪽의 컨택트(3)는,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컨택트(3)와 컨택트(4) 중, 하우징(2)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홀수 번째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컨택트(4)는,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컨택트(3)와 컨택트(4) 중, 하우징(2)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짝수 번째로 배치되어 있다.
홀수 번째의 컨택트(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택트 수납 공간(20)의 내부에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하우징(2)의 기벽부(2b)에 지지되는 지지부(3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컨택트(3)는, 컨택트 수납 공간(20)의 내부에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FPC(100)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3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컨택트(3)는,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서의 중간부보다 타단부 측에, 지지부(31)와 스프링부(32)를 대향시켜 연속 일체로 접속하는 접속부(33)를 가지고 있다. 즉, 컨택트(3)는, 지지부(31)와, 스프링부(32)과, 접속부(33)에 의해 H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3)는, 삽입구(21) 측으로부터 각각의 수납실에 삽입되어 있고, 삽입되는 FPC(100)를, 지지부(31)와 스프링부(32)에 의해 협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컨택트(3)의 지지부(31)는, 하우징(2) 내의 바닥면[기벽부(2b)의 상면]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컨택트 수납 공간(20)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31)에 있어서 삽입구(21) 측의 선단부에는, 하우징(2)의 기벽부(2b)에 형성한 절결부(2aa)로부터 하우징(2)의 외저면[기벽부(2b)의 하면]과 대략 동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연장된 단자부(34)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부(34)는, 커넥터(10)가 실장되는 실장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배선 패턴과 납땜 가능한 단자로서 기능한다. 또한, 지지부(31)는, 지지부(31)에서의 선단부 측과 접속부 측과의 대략 중간에, 스프링부(32)의 선단부에 설치된 돌출부(32a)와 대향하는 돌출부(31a)가 돌출되어 있다.
컨택트(3)는, 지지부(31)에서의 접속부(33)보다 타단부 측에 스프링부(32) 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돌기부(35)를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 돌기부(35)는, 하우징(2)의 복벽부(2a)와 기벽부(2b)와의 사이에서, 인접하는 격벽(23, 23)에 일체로 형성한 중벽부(中壁部)(2e)에 형성된 오목부(2ea)와 걸어맞추어져 있다. 컨택트(3)는, 걸어맞춤 돌기부(35)와 중벽부(2e)의 오목부(2ea)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컨택트(3)가 하우징(2)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억제한다.
컨택트(3)의 스프링부(32)에는, 접속부(33)에 지지되는 부위보다 개구부(22) 측이며 지지부(31)와 대향하는 면에, 레버(5)의 캠부(51)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부(32)의 선단부에는, 지지부(31)의 돌출부(31a)와 대향하는 부위에, 지지부(31) 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32a)가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10)는, 하우징(2)에 대하여 레버(5)를 낮추면, FPC(100)의 두께 방향으로 컨택트(3)의 스프링부(32)를 압압한다. 즉, 커넥터(10)는, 레버(5)의 캠부(51)가 스프링부(32)의 오목부(36)와 맞닿아 오목부(36)를 압압한다. 커넥터(10)는, 지지부(31) 측의 돌출부(31a)와, 스프링부(32) 측의 돌출부(32a)에 의해, 지지부(31)와 스프링부(32)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FPC(100)를 협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짝수 번째의 컨택트(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택트 수납 공간(20)의 내부에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하우징(2)의 기벽부(2b)에 지지되는 지지부(4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컨택트(4)는, 컨택트 수납 공간(20)의 내부에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FPC(100)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4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컨택트(4)는,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서의 중간부보다 타단부 측에, 지지부(41)와 스프링부(42)를 대향시켜 연속하여 일체로 접속하는 접속부(43)를 가지고 있다. 즉, 컨택트(4)는, 지지부(41)와, 스프링부(42)와, 접속부(43)에 의해 H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4)는, 개구부(22) 측으로부터 각각의 수납실에 삽입되어 있고, 삽입구(21)로부터 삽입되는 FPC(100)를, 지지부(41)와 스프링부(42)에 의해 협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컨택트(4)의 지지부(41)는, 하우징(2) 내의 바닥면[기벽부(2b)의 상면]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컨택트 수납 공간(20)에 배치된다. 지지부(41)에 있어서 개구부(22) 측의 단부에는, 하우징(2)의 기벽부(2b)에 형성한 절결부(2ba)로부터 하우징(2)의 외저면[기벽부(2b)의 하면]과 대략 동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연장된 단자부(44)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부(44)는, 커넥터(10)가 실장되는 실장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배선 패턴과 납땜 가능한 단자로서 기능한다. 또한, 지지부(41)는, 지지부(41)에서의 삽입구(21) 측의 선단부에, 스프링부(42) 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41a)가 돌출되어 있다.
컨택트(4)는, 지지부(41)에서의 접속부(43)보다 일단부 측에 스프링부(42) 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돌출부(45)를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 돌출부(45)는, 하우징(2)의 복벽부(2a)와 기벽부(2b)와의 사이에서, 인접하는 격벽(23, 23) 사이와 일체로 형성한 중벽부(2e)에 형성된 오목부(2eb)와 걸어맞추어져 있다. 컨택트(4)는, 걸어맞춤 돌출부(45)와 중벽부(2e)의 오목부(2eb)가 걸어맞춤으로써, 컨택트(4)가 하우징(2)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억제한다.
컨택트(4)의 스프링부(42)에는, 접속부(43)에 지지되는 부위보다 개구부(22) 측으로서 지지부(41)와 대향하는 면에, 레버(5)의 캠부(52)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부(42)의 선단부에는, 지지부(41)의 돌출부(41a)와 대향하는 부위에, 지지부(41) 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42a)가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10)는, 하우징(2)에 대하여 레버(5)를 낮추면, FPC(100)의 두께 방향으로 컨택트(4)의 스프링부(42)를 압압한다. 즉, 커넥터(10)는, 레버(5)의 캠부(52)가 스프링부(42)의 오목부(46)와 맞닿아 오목부(46)를 압압한다. 커넥터(10)는, 지지부(41) 측의 돌출부(41a)와, 스프링부(42) 측의 돌출부(42a)에 의해, 지지부(41)와 스프링부(42)와의 사이에 삽입되는 FPC(100)를 협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레버(5)는, 전기 절연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레버(5)는, 하우징(2)의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판(長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5)는, 하우징(2) 측의 일단측에 설치한 캠부(51, 52)를 회동(回動)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2)에 대하여 회동하고 기복 가능하게 하우징(2)에 유지되어 있다. 이로써, 레버(5)는, 하우징(2) 내에 있어서, FPC(100)의 도체 패턴(101)과 돌출부(31a, 32a, 41a, 42a)를 압접시키도록, FPC(100)의 두께 방향으로 컨택트(3, 4)를 압압하는 위치와 압압하지 않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하우징(2)에 대하여 기복 가능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레버(5)는, FPC(100)를 커넥터(10)로부터 상대적으로 빠지기 어렵게 하는 스톱 위치와, 상대적으로 빠지기 용이하게 하는 비(非)스톱 위치와의 사이에서, 하우징(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레버(5)의 캠부(51)는, 컨택트(3)의 오목부(36)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0)에서는, 레버(5)의 조작에 의해, 캠부(51)와 오목부(36)와의 거리가 변화한다. 커넥터(10)는, 레버(5)를 따른 상태(스톱 위치)에 있어서, 캠부(51)와 오목부(36)가 맞닿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5)를 일으킨 상태(비스톱 위치)에서는, 캠부(51)와 오목부(36)가 이격된 상태로 된다.
또한, 레버(5)의 캠부(52)는, 컨택트(4)의 오목부(46)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0)에서는, 레버(5)의 조작에 의해, 캠부(52)와 오목부(46)와의 거리가 변화한다. 커넥터(10)는, 레버(5)를 따른 상태(스톱 위치)에 있어서, 캠부(52)로 오목부(46)가 맞닿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5)를 일으킨 상태(비스톱 위치)에서는, 캠부(52)와 오목부(46)가 이격된 상태로 된다. 커넥터(10)는, 레버(5)에서의 캠부(51)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캠부(51)가 오목부(36)를 압압하는 힘을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레버(5)에서의 캠부(52)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캠부(52)가 오목부(46)를 압압하는 힘을 변경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레버(5)를 따른 상태(스톱 위치)에 있어서, 캠부(51)가 컨택트(3)의 오목부(36)를 압압하는 힘보다, 캠부(52)가 컨택트(4)의 오목부(46)를 압압하는 힘 쪽이 강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지지 금속 부재(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에 설치된 제1 하우징 걸림부(2d)에 거는 U자 형상의 걸림부(1d)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금속 부재(1)는, U자 형상의 걸림부(1d)에서의 한쪽의 직선형 부분이 하우징(2)의 측벽부(2c)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지지 금속 부재(1)는, U자 형상의 걸림부(1d)에서의 다른 쪽의 직선형 부분의 선단측에 S자 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금속 부재(1)는, 지지 금속 부재(1)의 S자 형상으로 형성된 일부가, 컨택트 수납 공간(20)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FPC(100)에 설치한 가유지 오목부(103)와 끼워맞추어져 FPC(100)를 가유지하는 가유지부(1c)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지지 금속 부재(1)는, 지지 금속 부재(1)의 S자 형상으로 형성된 일부가,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서의 삽입구(21) 측에 위치 수정부(1b)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수정부(1b)는, FPC(100)의 삽입구(21)로의 삽입 시에, 하우징(2)의 좌우 방향에서의 FPC(100)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여 삽입구(21)로 유도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지지 금속 부재(1)는, 지지 금속 부재(1)의 S자 형상으로 형성된 일부가, 하우징(2)에 설치된 제2 하우징 걸림부(2f)에 걸려져 있다.
커넥터(10)에는, 삽입구(21)를 정면에서 볼 때, 하우징(2)의 좌우 방향으로, 한쌍의 지지 금속 부재(1)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지지 금속 부재(1)는, 삽입구(21)를 정면에서 볼 때, 외형이 U자 형상이며, U자 형상의 내부에 위치 수정부(1b)가 수용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지지 금속 부재(1)는, 삽입구(21)를 정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의 한쪽의 제1 편부(1f)의 상면이 하우징(2)의 복벽부(2a)와 대략 평행한 평면을 구성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한, 지지 금속 부재(1)는, 삽입구(21)를 정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의 다른 쪽의 제2 편부(1g)에서의 하면이, 하우징(2)의 외저면[기벽부(2b)의 하면]과 대략 동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지지 금속 부재(1)는, 하우징(2)의 전방으로 돌출된 U자 형상의 제2 편부(1g)의 선단부를 가이드부(1a)로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a)는, 삽입구(2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하우징(2)에 구비되게 된다. 가이드부(1a)는, 기벽부(2b)와 대략 평행한 평면을 구비하고 FPC(100)를 탑재 가능한 탑재부(1a1)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가이드부(1a)는, 컨택트(3)의 단자부(34)와의 걸림이 없이, 삽입구(21)로의 FPC(100)의 삽입을 안내하는 높이 위치 보정부(1a2)를 구비하고 있다. 탑재부(1a1)는, 기벽부(2b)나 단자부(34)의 두께보다 얇게 하고 있다. 탑재부(1a1)는,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하고 있으므로, 기벽부(2b)보다 얇게 해도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탑재부(1a1)는, 높이 위치 보정부(1a2)보다 하우징(2)의 외저면 측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높이 위치 보정부(1a2)는, 탑재부(1a1)로부터 상승하고, 복수 개의 컨택트(3)의 삽입구(21) 측의 선단에 설치되어 접점부로 되는 돌출부(32a)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부(34)의 높이와 대략 같은 높이로 하고 있다.
또한, 단자부(34)는,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경사면을 선단 에지부(34a)에 구비하고, 높이 위치 보정부(1a2)는,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단자부(34)의 상기 소정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높이 위치 보정부(1a2)의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단자부(34)의 선단 에지부(34a)에서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한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이해도 된다. 어느 것으로 해도, 커넥터(10)는, 가이드부(1a)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FPC(100)를 삽입구(21)에 삽입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이드부(1a)는, 단자부(34)의 선단 에지부(34a)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높이 위치 보정부(1a2)의 높이가 단자부(34)에서의 천정면(34b) 이상의 높이로 되도록, 높이 위치 보정부(1a2)의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한 경사각을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부(1a)는, 단자부(34)의 선단이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경우, 높이 위치 보정부(1a2)의 높이를, 단자부(34)에서의 천정면(34b) 이상의 높이로 하면 된다.
가이드부(1a)는, 삽입구(2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하우징(2)으로부터 돌출된 단자부(34)에 FPC(100)의 선단부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금속 부재(1)의 U자 형상의 제1 편부(1f)에는, FPC(100)의 선단을 탑재부(1a1)에 탑재시키기 용이하도록, 개구 절결부(1e)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커넥터(10)는, 하우징(2)의 양측 단부에 설치한 지지 금속 부재(1)가 FPC(100)를 삽입할 때의 FPC(100)의 높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여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부(1a)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금속 부재(1)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상체(板狀體)의 절곡 가공에 의해, 비교적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금속 부재(1)에는, 판상체의 절곡 가공을 행하기 용이하게, 절결부(1aa, 1da)를 적절하게 형성하면 된다. 지지 금속 부재(1)는, 절결부(1aa, 1da)를 형성할뿐아니라, 판두께를 얇게 한 것이라도 된다.
그런데, 커넥터(10)는, 합성 수지의 성형품을 사용하여 하우징(2)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 커넥터(10)의 소형화에 따라 하우징(2)의 강도를 높이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10)에서는, 하우징(2)의 삽입구(21)의 양측 단부에 FPC(100)를 가유지하는 지지 금속 부재(1)를 구비함으로써, 하우징(2)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지 금속 부재(1)는, FPC(100)의 삽입 시에 있어서, 위치 수정부(1b)에 의해 FPC(100)를 삽입구(21)에 삽입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넥터(10)에서는, 하우징(2)의 삽입구(21)의 양측 단부에 설치한 지지 금속 부재(1)의 가이드부(1a)가 하우징(2)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넥터(10)는, 가이드부(1a)의 탑재부(1a1)에 탑재시킨 FPC(100)를 삽입구(21)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탑재부(1a1)보다 높이 위치 보정부(1a2)를 따라 FPC(100)의 삽입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커넥터(10)는, 하우징(2)으로의 FPC(100)의 삽입 시에, 작업자가 삽입구(21)의 위치를 정확하게 의식하지 않고서도, 컨택트(3)의 걸림을 억제하면서 하우징(2) 내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10)는, 지지 금속 부재(1)의 가이드부(1a)에 의해, FPC(100)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보정하여, 하우징(2)으로부터 전방의 돌출되어 있는 단자부(34)를 피해 FPC(100)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커넥터(10)에서는, 커넥터(10)에 FPC(100)를 삽입하는 공정에 있어서, 지지 금속 부재(1)와 일체로 된 가이드부(1a)에 의해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여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커넥터(10)는, 커넥터(10)의 소형화에 따라 FPC(100)의 삽입구(21)의 높이 치수가 작게 된 경우라도, FPC(100)의 삽입 시에 단자부(34)에 FPC(100)의 선단이 걸려 삽입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1a)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구(21)의 폭 방향에 대한 양단 측의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부(1a, 1a)를 구비한다. 즉, 한쌍의 가이드부(1a, 1a)는, FPC(100)의 폭 방향에 대한 양 단부만을 탑재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비교적 작은 부재 구성에 의해, FPC(100)의 삽입구(21)로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커넥터(10)에 FPC(100)를 삽입 및 인출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는, FPC(100)를 접속하기 전에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5)를 대략 직립하는 위치[컨택트(3, 4)의 지지부(31, 41)과 대략 직교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10)는, 이 상태에서 캠부(51)가 컨택트(3)의 오목부(36)를 압압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컨택트(3)는, 스프링부(32) 및 접속부(33)에 탄성 변형이 생기고 있지 않고, 스프링부(32)의 돌출부(32a)는, 지지부(31)의 돌출부(31a)로부터 FPC(100)가 삽입 및 인출 가능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이 상태에서 캠부(52)가 컨택트(4)의 오목부(46)를 압압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컨택트(4)는, 스프링부(42) 및 접속부(43)에 탄성 변형이 생기고 있지 않고, 스프링부(42)의 돌출부(42a)는, 지지부(41)의 돌출부(41a)로부터 FPC(100)가 삽입 및 인출 가능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커넥터(10)는, 레버(5)가 비스톱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커넥터(3)의 돌출부(31a)와 돌출부(32a)와의 사이 및 커넥터(4)의 돌출부(41a)와 돌출부(42a)와의 사이가, 각각 FPC(100)의 두께보다 큰 이격 거리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FPC(100)를 커넥터(10)에 삽입할 때의 삽입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유연한 FPC(100)를 커넥터(10)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커넥터(10)는, 레버(5)를 비스톱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컨택트(3)의 돌출부(31a, 32a)나 컨택트(4)의 돌출부(41a, 42a)가 FPC(100)와 접촉하는 것이라도 된다. 커넥터(10)는, 레버(5)를 비스톱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도 컨택트(3)의 접점부로 되는 돌출부(32a)나 컨택트(4)의 접점부로 되는 돌출부(42a)가 FPC(100)와 접촉함으로써, FPC(100)를 삽입하는 동시에 전기적인 접속을 확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커넥터(10)는, 레버(5)가 스톱 위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컨택트(3, 4)가 FPC(100)를 유지하는 유지력은 상대적으로 작은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FPC(100)가 상대적으로 빠지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커넥터(10)는, 레버(5)를 비스톱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삽입구(21)로부터 하우징(2)의 내부에 FPC(100)를 삽입하면, 격벽(23)에 설치한 가이드홈(24)을 따라 FPC(100)가 안내된다.
여기서, 커넥터(10)에는, 하우징(2)의 삽입구(2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FPC(100)를 탑재하여 컨택트(3)와의 걸림이 없고 삽입구(21)에 삽입 가능한 지지 금속 부재(1)의 가이드부(1a)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10)는, 하우징(2)의 삽입구(21)로부터 돌출된 탑재부(1a1)에 FPC(100)의 선단부를 탑재해 둘 수 있다. 커넥터(10)는, FPC(100)를 삽입구(21)를 향해 삽입시켰을 경우, 탑재부(1a1)와 연속하여 일체로 된 높이 위치 보정부(1a2)에 따라 FPC(100)가 삽입된다. 이로써, 커넥터(10)는, FPC(100)의 선단부를 가이드부(1a)를 따라 삽입구(21)에 안내시킬 수 있다.
삽입구(21)로부터 커넥터(10)의 내부에 삽입된 FPC(100)는, 컨택트(3, 4)의 지지부(31, 41)와 스프링부(32, 42) 사이에 삽입된다. FPC(100)를 하우징(2)의 내부에 다시 삽입하면, FPC(100)의 전단부가 컨택트(3)의 위치 결정면(23a)과 맞닿는다. 이로써, 커넥터(10)는, 컨택트(3, 4)에 대하여 FPC(100)의 전단부의 위치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FPC(100)를 하우징(2)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레버(5)를 컨택트(3, 4)의 지지부(31, 41)와 대략 평행한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레버(5)의 캠부(51)가 컨택트(3)의 오목부(36)를 압압한다. 컨택트(3)는, 접속부(33)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스프링부(32) 및 접속부(33)가 탄성 변형하고, 스프링부(32)의 돌출부(32a)가 지지부(31) 측으로 변위한다. 이로써, 커넥터(10)는, 스프링부(32)의 돌출부(32a)가 FPC(100)에 설치된 도체 패턴(101)에 탄력적으로 접한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레버(5)의 캠부(52)가 컨택트(4)의 오목부(46)를 압압한다. 컨택트(4)는, 접속부(43)를 지점으로 하여 스프링부(42) 및 접속부(43)가 탄성 변형하고, 스프링부(42)의 돌출부(42a)가 지지부(41) 측으로 변위한다. 이로써, 커넥터(10)는, 스프링부(42)의 돌출부(42a)가 FPC(100)에 설치된 도체 패턴(101)에 탄력적으로 접한다.
커넥터(10)는, 레버(5)가 스톱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스프링부(32)의 돌출부(31a, 32a) 및 스프링부(42)의 돌출부(41a, 42a)가 각각 FPC(100)에 가압된다. 커넥터(10)는, 스프링부(32)의 돌출부(32a)와 지지부(31)의 돌출부(31a)와의 사이에 FPC(100)를 협지한다. 또한, 커넥터(10)는, 스프링부(42)의 돌출부(42a)와 지지부(41)의 돌출부(41a)와의 사이에 FPC(100)를 협지한다. 커넥터(10)는, 컨택트(3, 4)의 접촉압에 의해, 컨택트(3, 4)로 FPC(100)의 도체 패턴(101)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한편, 커넥터(10)는, FPC(100)가 커넥터(1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버(5)를 스톱 위치로부터 비스톱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캠부(51, 52)가 컨택트(3, 4)의 오목부(36, 46)를 압압하는 힘이 약해진다. 컨택트(3, 4)는, 스프링부(32, 42) 및 접속부(33, 43)의 스프링 복귀력에 의해, 스프링부(32, 42)의 돌출부(32a, 42a)가 변위되어 FPC(100)로부터 이격된다. 커넥터(10)는, 컨택트(3, 4)가 FPC(100)를 협지하는 힘이 약해져, FPC(100)를 인출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10)는, 삽입구(21)로부터 FPC(100)를 삽입하면, 하우징(2)에 설치된 위치 결정면(23a)에 FPC(100)의 전단부가 맞닿는다. 여기서, 커넥터(10)는, 지지 금속 부재(1)의 가유지부(1c)가 FPC(100)의 선단부 측에서의 폭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가유지 오목부(103)에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FPC(100)의 가유지를 행한다. 이로써, 커넥터(10)는, 삽입한 FPC(100)가 레버(5)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기 전에, 삽입구(21)로부터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커넥터(10)는, 컨택트(3, 4)에 대한 FPC(100)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도 있다. 즉, 커넥터(10)는, 스프링부(32, 42)의 접점부로 되는 돌출부(32a, 42a)와 FPC(100)가 접촉하는 접촉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커넥터(10)는, 컨택트(3, 4)가 소정의 위치에서 FPC(1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하우징(10)에 접속되는 FPC(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택트(3)가 접촉하는 도체 패턴(101)의 광폭부(102)를, 컨택트(4)가 접촉하는 도체 패턴(101)의 광폭부(102)와 비교하여, FPC(100)에서의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의 선단측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FPC(100)는, 컨택트(4)가 접촉하는 도체 패턴(101)의 광폭부(102)의 길이 치수를, FPC(10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서의 컨택트(3)가 접촉하는 광폭부(102)의 길이 치수에 비하여, 보다 길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을 몇 가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의 본래의 정신 및 범위, 즉 청구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8)

  1.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도체(導體) 패턴에 접촉 가능한 접점부를 가지는 복수 개의 컨택트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도체 패턴과 상기 접점부를 압접(壓接)시키도록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컨택트를 압압(押壓)하는 위치와 압압하지 않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기복(起伏) 가능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탑재하여 상기 삽입구로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상기 삽입구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복수 개의 컨택트를 압압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에 삽입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가(假)유지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상기 삽입구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지지 금속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탑재 가능한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로부터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상기 삽입구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높이 위치 보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외저면(外底面) 측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는, 상기 탑재부로부터 상승하고, 상기 복수 개의 컨택트의 상기 삽입구 측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부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경사면을 선단 에지부에 구비하고,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상기 단자부의 상기 소정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면을 구비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구의 폭 방향에 대한 양단 측의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폭 방향에 대한 양 단부만을 탑재 가능하게 하여 상기 삽입구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복수 개의 컨택트를 압압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에 삽입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가유지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상기 삽입구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지지 금속 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의 각각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탑재 가능한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로부터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상기 삽입구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높이 위치 보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외저면 측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는, 상기 탑재부로부터 상승하고, 상기 복수 개의 컨택트의 상기 삽입구 측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부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경사면을 선단 에지부에 구비하고, 상기 높이 위치 보정부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상기 단자부의 상기 소정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면을 구비하는, 커넥터.
KR1020120090039A 2011-08-24 2012-08-17 커넥터 KR101434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2361A JP5999541B2 (ja) 2011-08-24 2011-08-24 コネクタ
JPJP-P-2011-182361 2011-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089A KR20130023089A (ko) 2013-03-07
KR101434924B1 true KR101434924B1 (ko) 2014-08-27

Family

ID=4800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039A KR101434924B1 (ko) 2011-08-24 2012-08-17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99541B2 (ko)
KR (1) KR101434924B1 (ko)
CN (1) CN103078209B (ko)
TW (1) TWI5099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2510B2 (ja) * 2013-08-08 2016-03-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1489494B1 (ko) * 2013-10-04 2015-02-0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접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JP6362084B2 (ja) * 2014-05-15 2018-07-25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6656808B2 (ja) * 2015-02-17 2020-03-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組立体
JP6448136B2 (ja) * 2015-07-03 2019-0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7454995B2 (ja) * 2020-05-11 2024-03-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0347B2 (ja) * 1993-09-28 1999-11-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146167A (ja) * 2002-10-23 2004-05-20 Jst Mfg Co Ltd 挿入機構付きコネクタ
KR100806471B1 (ko) * 2000-12-21 2008-02-21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카드 엣지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1908A (en) * 1988-10-11 1989-11-21 Beta Phase, Inc. High density and high signal integrity connector
JP3741619B2 (ja) * 2001-03-23 2006-0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3045527A (ja) * 2001-07-26 2003-02-14 Kyocera Elco Corp Fpc/ffc用コネクタ
JP4073766B2 (ja) * 2002-11-27 2008-04-09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044773B2 (en) * 2002-08-01 2006-05-16 Ddk Ltd. Connector
JP4184881B2 (ja) * 2003-07-10 2008-11-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6134708A (ja) * 2004-11-05 2006-05-25 Jst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CN2757370Y (zh) * 2004-12-21 2006-02-08 钜航科技股份有限公司 共享型电连接器插卡引导定位装置
JP4215265B2 (ja) * 2006-04-28 2009-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JP4752705B2 (ja) * 2006-09-28 2011-08-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018061Y (zh) * 2007-04-05 2008-02-06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软性排线连接器
JP4386129B2 (ja) * 2007-11-27 2009-12-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323266Y (zh) * 2008-10-16 2009-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0946176B1 (ko) * 2009-04-29 2010-03-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
CN201601278U (zh) * 2009-12-30 2010-10-06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柔性线路板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0347B2 (ja) * 1993-09-28 1999-11-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806471B1 (ko) * 2000-12-21 2008-02-21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카드 엣지 커넥터
JP2004146167A (ja) * 2002-10-23 2004-05-20 Jst Mfg Co Ltd 挿入機構付き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5042A (zh) 2013-04-01
JP2013045617A (ja) 2013-03-04
CN103078209B (zh) 2015-12-02
TWI509909B (zh) 2015-11-21
CN103078209A (zh) 2013-05-01
KR20130023089A (ko) 2013-03-07
JP5999541B2 (ja)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924B1 (ko) 커넥터
US864143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ard edge connector
US10581184B2 (en) Low-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matin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KR20150110333A (ko) 커넥터
US11043764B2 (en) Flat-conductor connector
JP2007299554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KR20120084690A (ko) 커넥터
US7503796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 guide spring for precise contact guidance of a PCB
US7950952B2 (en)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US20060270267A1 (en) Connector
US9490559B2 (en) Connector having easily unfastened lock lever from a flat conductor
WO2007015339A1 (ja) 電気コネクタ
JP5457888B2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057229B2 (ja) コネクタ
TWI488381B (zh) 連接器
CN114600321B (zh) 连接器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KR102001285B1 (ko)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JP2015002094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US10122104B2 (en)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US9337560B2 (en) Connector having a mounting surface with engagement hooks offset from each other in an insertion direction of a flexible integrated wiring
KR100591116B1 (ko) 전기 커넥터
EP0884802B1 (en) Terminal et boítier comprenant le terminal
KR100515173B1 (ko)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