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926B1 -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용의 어댑터 - Google Patents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용의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926B1
KR101418926B1 KR1020120131657A KR20120131657A KR101418926B1 KR 101418926 B1 KR101418926 B1 KR 101418926B1 KR 1020120131657 A KR1020120131657 A KR 1020120131657A KR 20120131657 A KR20120131657 A KR 20120131657A KR 101418926 B1 KR101418926 B1 KR 101418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dapter
carrier
hole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739A (ko
Inventor
테츠조 이시카와
요 쓰루미
요시타카 시즈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5Support of gearboxes, e.g. torque arms, or attachment to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5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comprising a carrier with pins guiding at least one orbital gear with circular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모터축의 축심과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의 축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기어모터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캐리어(43)와 케이싱(54)이 상대회전하는 유성기어장치(12)와, 모터(14)를, 어댑터(16)를 통해 연결한 기어모터(10)에 있어서, 캐리어(43)는, 어댑터(16)측에 축방향으로 돌출함과 함께, 그 어댑터(16)에 대한 제1 인로우면(X1)을 외주에 가지는 볼록부(50)를 구비함과 함께, 모터(14)는, 그 어댑터(16)에 대한 제2 인로우면(X2)을 구비하고, 어댑터(16)는, 직경방향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6A)을 가짐과 함께, 제1 인로우면(X1)에 대응한 상대 제1 인로우면(제3 인로우면)(Y1)을 관통공(16A)의 일단측의 내주(16A1)에 가지고, 또한 관통공(16A)의 타단측의 내주(16A2)에, 제2 인로우면(X2)에 대응한 상대 제2 인로우면(제4 인로우면)(Y2)을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용의 어댑터{Gear motor and adapter for the gear motor}
본 발명은,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용의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를 고정하여, 내치기어와 일체화된 케이싱을 회전시키는, 이른바 프레임 회전형의 유성기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유성기어장치에 있어서는, 구동원이 되는 모터는, 캐리어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와 캐리어와의 사이에는, 어댑터가 개재되어, 그 모터와 캐리어의 연결을 중개하고 있다. 어댑터는, 축방향 일방측의 측면에 단부를 형성하여 캐리어에 대한 인로우(in low)면으로 함과 함께, 축방향 타방측의 측면에 단부를 형성하여 모터에 대한 인로우면으로 하고 있다.
즉, 이 기어모터용의 어댑터는, 당해 2개의 인로우면의 존재에 의하여, 모터의 모터축의 축심과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의 축심을 일치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5-85531호(도 5)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되어 있던 어댑터를 포함하여, 종래의 기어모터용의 어댑터는, 캐리어측의 인로우면과 모터측의 인로우면이, 각각 축방향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단부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가공이 각각의 측으로부터의 별도가공(소재의 척킹을 다시 하는 가공)이 행해질 수 밖에 없었다. 그로 인하여, 캐리어측의 인로우면과 모터측의 인로우면의 축심을 정확하게 합치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결과적으로 모터의 모터축의 회전축심과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의 회전축심이 어긋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모터의 모터축의 축심과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의 축심을 보다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용의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캐리어와 케이싱이 상대회전하는 유성기어장치와, 모터를, 어댑터를 통해 연결한 기어모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 중 일방은, 상기 어댑터측에 축방향으로 돌출함과 함께, 그 어댑터에 대한 제1 인로우면을 외주에 가지는 볼록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의 타방은, 그 어댑터에 대한 제2 인로우면을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는, 직경방향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1 인로우면에 대응한 제3 인로우면을 상기 관통공의 일단측의 내주에 가지고, 또한 상기 관통공의 타단측의 내주 또는 당해 어댑터의 타단측의 외주에, 상기 제2 인로우면에 대응한 제4 인로우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 및 모터 중 어느 일방에, 볼록부의 외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인로우면"을 형성한다. 또,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 및 모터 중 어느 타방에는, "제2 인로우면"을 형성한다.
이 제2 인로우면은 볼록부에 의한 것이어도 오목부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또, 제1, 제2 인로우면은, 모두, 유성기어장치나 모터에 있어서 원래 형성되어 있는 인로우면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한편, 어댑터는, 직경방향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이 관통공의 일단측의 내주에, 상기 제1 인로우면에 대응한 "제3 인로우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의 타단측의 내주, 또는 그 어댑터의 타단측의 외주에, 상기 제2 인로우면에 대응한 "제4 인로우면"이 형성된다.
이로써, 어댑터는, 제3 인로우면 및 제4 인로우면의 쌍방을, "동시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동시가공"이란, 시간적으로 동시에 가공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공작기계에 대해서 소재를 한 번 세팅하는 것만으로 (척킹된 상태로 재파지하는 일 없이) 2개의 가공을 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공구는 교환되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한 어댑터는, 제3 인로우면, 제4 인로우면의 쌍방의 인로우면을, 동시가공에 의하여 축심을 보다 정확하게 일치시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모터의 축심과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의 축심을, 보다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어댑터 자체에 주목했을 경우는, "모터와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를 연결하기 위한 기어모터용의 어댑터로서, 직경방향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짐과 함께,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측 중 어느 일방측에 형성된 제1 인로우면에 대한 제3 인로우면을 상기 관통공의 일단부 내주에 구비하고, 또한, 그 관통공의 타단부의 내주 또는 당해 어댑터의 외주에,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의 타방측에 형성된 제2 인로우면에 대한 제4 인로우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모터용의 어댑터"라고 파악할 수도 있다.
모터의 모터축의 축심과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의 축심을 보다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용의 어댑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한 예에 관한 기어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공작기계용의 기어모터(10)의 전체단면도이다.
이 기어모터(10)는, 유성기어감속기(유성기어장치)(12)와 모터(14)를 어댑터(16)를 통해 연결한 것이다.
유성기어감속기(유성기어장치)(12)부터 설명한다.
이 유성기어감속기(12)는, 요동내접맞물림형이라 불리는 것으로, 입력축(18)과 일체로 3개의 편심체(21~23)를 구비하고 있다. 각 편심체(21~23)는, 120도씩 편심방향이 어긋나 있어, 입력축(18)의 축심(O1)에 대해서 각각 δe만큼 편심되어 있다(도 1에서는 편의상, 좌측의 편심체(21)가 가장 하측으로 편심된 상태, 우측의 편심체(23)가 가장 상측으로 편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각 편심체(21~23)에는, 롤러(25~27)를 통해 3매의 외치기어(31~33)가 요동가능하게 각각 끼워맞춰져 있다. 외치기어(31~33)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내롤러 구멍(31A~3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롤러 구멍(31A~33A)에는, (슬라이딩 촉진체로서의) 내롤러(36)가 씌워진 내핀(38)이 관통되어 있다. 내핀(38)은, 외치기어(31~33)의 축방향측부에 설치된 제1 캐리어(41)와 일체화되어 있다.
제1 캐리어(41)는, 내핀(38) 및 볼트(44)를 통해 외치기어(31~33)의 축방향 반대측의 측부에 설치된 제2 캐리어(42)와 일체화되며, 이로써 캐리어(43)가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캐리어(41)는, 볼트(46)를 통해 외부의 고정플레이트(48)에 연결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캐리어(41, 42)는, 쌍방 모두 고정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모터(14)는, 이 고정상태에 있는 캐리어(43)(구체적으로는 그 제2 캐리어(42))에 어댑터(16)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된다.
구동계의 설명으로 돌아와, 외치기어(31~33)는, 내치기어(52)에 내접하여 맞물려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내치기어(52)는, 케이싱(54)과 일체화된 내치기어 본체(52A)와, 그 내치기어 본체(5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내치기어(52)의 내치를 구성하는 외핀(52B)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치기어(52)의 내치의 수(외핀(52B)의 개수)는, 외치기어(31~33)의 외치의 수보다 약간만(이 실시형태에서는 1개만) 많다. 따라서, 입력축(18)의 회전과 함께 편심체(21~23)가 1회 회전할 때마다, 외치기어(31~33)가 내핀(38) 및 내롤러(36)에 의하여 자전이 구속된 상태로 1회 요동하여, 그 결과, 내치기어(52)의 내치기어 본체(52A)는, 외치기어(31~33)에 대해서 1톱니분만큼 원주방향의 위상이 어긋나게 (자전하게) 된다. 이로써, 내치기어 본체(52A)와 일체화되어 있는 유성기어감속기(12)의 케이싱(54)을 회전시킬 수 있다(이른바 프레임 회전).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54)의 회전은, 볼트(56)를 통해 구동스프로킷(동력전달부재)(58)에 전달된다.
다만,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어댑터(16)는, 그 최외경(원통 부분의 외경이 아닌 볼트(59)를 정지시키는 에지부(도 1에서는 1개만 도시)(16E)의 최외형을 잇는 원의 외경)(da)이, 구동스프로킷(58)의 최내경(Dp)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da<Dp).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성기어감속기(12)와 모터(14)를, 어댑터(16) 및 볼트(57, 59)를 통해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그 유성기어감속기(12)와 모터(14)의 어댑터(16)를 통한 연결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성기어감속기(12)의 구동원이 되는 모터(14)는, 다양한 연결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하여 사용되는 것을 상정한 범용의 모터이다. 모터(14)의 모터축(14A)은, 유성기어감속기(12)의 입력축(18)과 마찰걸어맞춤식의 커플링(6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위치결정의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백래시가 존재하는 키나 스플라인에 의한 연결을 회피했기 때문이다. 이 커플링(60)의 구성 자체는 공지의 것이며, 어댑터(16)에 형성된 공구삽입구멍(16H)의 캡(17)을 떼어내, 그 공구삽입구멍(16H)으로부터 체결용 렌치(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 커플링(60)의 도시하지 않은 나사부를 체결함으로써, 그 커플링(60)의 직경을 축소시켜, 모터축(14A)의 외주에 입력축(18)의 오목부(18A)의 내주를 강한 압력으로 마찰결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찰걸어맞춤식의 커플링(60)은, 모터축(14A)과 유성기어감속기(12)의 입력축(18) 등을 마찰에 의하여 강고하게 일체화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키나 스플라인에 의한 연결과 같이, 연결하는 축끼리의 축심의 어긋남을 흡수하는 기능이 없다. 따라서, 입력축(18)의 축심(O1)과, 모터축(14A)의 축심(O2)의 어긋남의 영향이 생기기 쉬운 연결 형태이며, 그런 의미에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가 특히 발휘되는 연결 형태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성기어감속기(12)의 캐리어(43)(보다 정확하게는 그 제2 캐리어(42))에는, 어댑터(16)측에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어댑터(16)에 대한 제1 인로우면(X1)을 외주에 가지는 볼록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50)는, 인로우면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상정하여 그 제2 캐리어(42)에 원래 형성되어 있던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볼록부(50)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형성한 볼록부여도 된다. 다만, 볼록부(50)의 축심은, 캐리어(43)의 축심(O1)에 일치하고 있다.
다만,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볼록부(50)가 통형상의 볼록부로 되어, 그 볼록부(50)의 내주에 유성기어감속기(12)의 내외를 씰하는 오일씰(51)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모터(14)는, 모터 커버(14B)에, 어댑터(16)측에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어댑터(16)에 대한 제2 인로우면(X2)을 외주에 가지는 볼록부(6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볼록부(64)도, 인로우면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상정하여 그 모터(14)의 모터 커버(14B)에 원래 형성되어 있던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볼록부(64)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형성한 볼록부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캐리어(43) 또는 모터(14) 중 어느 일방이, 이와 같이 축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제1 인로우면을 외주에 가지는 볼록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필수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때때로 캐리어(43) 및 모터(14)의 쌍방 모두, 그 볼록부의 요건에 합치하는 볼록부(50, 64)를 원래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제1 인로우면을 외주에 가지는 볼록부"를 볼록부(50)로서 파악하는 것도, 볼록부(64)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캐리어(43)측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50)를, 본 발명에 관한 "제1 인로우면(X1)을 외주에 가지는 볼록부", 모터(14)측의 볼록부(64)를 본 발명에 관한 "제2 인로우면(X2)을 가지는 볼록부"라고 파악하여 설명한다.
어댑터(16)는, 최외경(da)이 모터(14)의 외경(da)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 최외경(da)은, 구동스프로킷(58)의 최내경(Dp)보다 작다.
어댑터(16)는, 전체가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직경방향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6A)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16A)은, 일단측의 내주(16A1)의 내경(D1)이 캐리어(43)의 볼록부(50)의 외주에 형성된 제1 인로우면(X1)의 외경(d1)에 대응한 내경이 되며, 그 관통공(16A)의 일단측의 내주(16A1)에, 캐리어(43)에 형성된 제1 인로우면(X1)에 대응한 상대 제1 인로우면(제3 인로우면)(Y1)을 가지고 있다. 즉, 캐리어(43)의 제1 인로우면(X1)과 어댑터(16)의 상대 제1 인로우면(Y1)으로 캐리어 어댑터간의 제1 인로우부(XY1)가 구성되어 있다.
또, 이 관통공(16A)의 타단측의 내주(16A2)의 내경(D2)은, 모터(14)의 볼록부(64)의 외주에 형성된 제2 인로우면(X2)의 외경(d2)에 대응한 내경이 되며, 그 관통공(16A)의 타단측의 내주(16A2)에, 모터(14)의 모터 커버(14B)에 형성된 제2 인로우면(X2)에 대응한 상대 제2 인로우면(제4 인로우면)(Y2)을 가지고 있다. 즉, 모터(14)의 모터 커버(14B)의 제2 인로우면(X2)과 어댑터(16)의 상대 제2 인로우면(Y2)으로 모터 어댑터간의 제2 인로우부(XY2)가 구성되어 있다.
상대 제1 인로우면(Y1) 및 상대 제2 인로우면(Y2)은, 절삭 또는 연삭에 의하여 정밀도 좋게 가공되어 있다. 상대 제2 인로우면(Y2)의 축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단부(16A3)는, 그 상대 제2 인로우면(Y2)을 정밀도 좋게 형성하기 위한 절삭 여유(연삭 여유)에 따른 것이다. 상대 제1 인로우면(Y1)의 내경(D1)은, 상대 제2 인로우면(Y2)의 내경(D2)보다 작다(D1<D2).
다음으로, 이 기어모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이 기어모터(10)의 구동계의 작용부터 간단하게 설명하면, 모터(14)의 회전에 의하여 마찰걸어맞춤식의 커플링(60)을 통해 유성기어감속기(12)의 입력축(18)이 백래시없이 일체적으로 회전하면, 입력축(18)에 형성되어 있는 편심체(21~23)가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이로써, 그 편심체(21~23)의 외주에 롤러(25~27)를 통해 끼워맞춰져 있는 외치기어(31~33)가 요동한다. 외치기어(31~33)는, 고정상태에 있는 제1 캐리어(41)와 일체화되어 있는 내핀(38)(및 내롤러(36))이 관통함으로써, 자전이 구속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외치기어(31~33)가, 요동하면서 내치기어(52)에 내접함으로써, 내치기어(52)(내치기어 본체(52A))는, 입력축(18) 및 편심체(21~23)가 1회전 할 때마다, 외치기어(31~33)와의 톱니수차분(1톱니분)만큼 그 외치기어(31~33)에 대해서 원주방향의 위상이 어긋나게 된다. 이로써, 1/(내치기어의 톱니수)의 감속비에 상당하는 감속이 실현된다. 내치기어 본체(52A)는, 케이싱(54)과 일체화되어 있으며, 케이싱(54)은, 볼트(56)를 통해 구동스프로킷(58)과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입력축(18)이 회전함으로써, 구동스프로킷(58)이 1/(내치기어의 톱니수)의 감속비로 회전한다.
이 기어모터(10)의 유성기어감속기(12)는, 요동내접맞물림형이라고 불리는 타입의 감속기이며, 1단으로 고감속비를 달성할 수 있고, 또, 동시에 복수의 톱니가 맞물려 있어 외치와 내치의 백래시가 거의 없어, 예를 들면 동일한 감속비를 얻는데 복수 단의 감속단을 필요로 하는 평행축형의 감속기와 비교해 백래시가 적다. 이 구성에 관한 요동내접맞물림형의 유성기어감속기(12)에 의하여, 입력축(18)에 전달된 회전을 거의 백래시가 없는 상태로 크게 감속하여, 구동스프로킷(58)의 출력으로서 취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모터(14)와 유성기어감속기(12) 사이에서의 백래시를 극소로 하기 위하여, 모터축(14A)과 유성기어감속기(12)의 입력축(18)이 마찰걸어맞춤식의 커플링(60)에 의하여 직경방향으로 여유가 없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축(14A)의 축심(O2)과 입력축(18)의 축심(O1)이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진동 발생의 원인이 되기 쉽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어댑터(16)가 관통공(16A)을 가지고, 이 관통공(16A)의 일단측의 내주(16A1)에 캐리어(43)측의 제1 인로우면(X1)에 대응하는 상대 제1 인로우면(Y1), 타단측에 모터(14)측의 제2 인로우면(X2)에 대응하는 상대 제2 인로우면(Y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대 제1 인로우면(Y1)의 내경(D1)은, 상대 제2 인로우면(Y2)의 내경(D2)보다 작다(D1<D2). 따라서, 어댑터(16)를 외주측으로부터 척킹한 상태로, 어댑터(16)의 모터(14)측에서 가공하는 (공구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상대 제2 인로우면(Y2) 및 상대 제1 인로우면(Y1)의 쌍방을 (공구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공구를 교환하기는 하지만) 이 순서로 동시가공으로 연속해서 가공할 수 있다.
다만, 상대 제1 인로우면(Y1)의 내경보다 상대 제2 인로우면(Y2)의 내경이 작은 경우는, 캐리어측으로부터 가공하도록 하면, 용이하게 동시가공할 수 있다. 상대 제1 인로우면(Y1)과 상대 제2 인로우면(Y2)의 내경이 동일한 경우에는, 어느 측으로부터도 한 번에 동일한 공구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시가공에 의하여, 어댑터(16)의 상대 제1 인로우면(Y1)의 축심(O3) 및 상대 제2 인로우면(Y2)의 축심(O4)을 거의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그 어댑터(16)를 통해 모터축(14A)의 축심(O2)과 유성기어감속기(12)의 캐리어(43)(입력축(18))의 축심(O1)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당해 기어모터(10)의 진동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어, 장착되는 공작기계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보다 높일 수 있으므로, 소음의 감소, 그리스 누출의 억제, 내구성의 저하 방지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어댑터(16)는, 그 관통공(16A) 내에 커플링(60)을 수용함으로써, 그 커플링(60)이 노출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커플링(60)의 보호 커버의 기능도 겸비하게 된다.
또, 어댑터(16)는, 그 최외경(da)이, 구동스프로킷(동력전달부재)(58)의 최내경(Dp)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댑터(16)를 장착한 상태인 채(이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어댑터(16)와 동일직경의 모터(14)를 장착한 상태인 채) 구동스프로킷(58)을 교환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캐리어(43)측의 볼록부(50)가 통형상의 볼록부로 되어, 그 볼록부(50)의 내주에 유성기어감속기(12)의 내외를 씰하는 오일씰(51)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그 볼록부(50)의 축방향폭의 일부를 오일씰(51)의 설치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하다면, 예를 들면, 오일씰(51)을 2개 병설하는 구성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어댑터(16)의 상대 제1 인로우면(Y1) 및 상대 제2 인로우면(Y2)의 쌍방을 관통공(16A)의 내주에 형성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캐리어 또는 모터 중 어느 일방의 (볼록부의 외주에 형성된) 제1 인로우면에 대한 "상대 제1 인로우면"이 관통공의 내주에 형성되어 있다면, 타방측의 상대 제2 인로우면에 대해서는, 반드시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캐리어 또는 모터의 타방측의 제2 인로우면이 (오목부의) 내주에 형성되어 있을 때는, 어댑터의 외주측에 상대 제2 인로우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상대 제1 인로우면이 어댑터의 관통공의 내주에 형성되어 있는 한, 동일한(타방측의 단부 이외를 파지하는) 척킹으로, 그 일방의 단부 내주측의 상대 제1 인로우면과 타방의 단부외주측의 상대 제2 인로우면을 동시가공할 수 있다. 환언하면, 캐리어 및 모터 중 적어도 일방에 "볼록부" 외주에 의한 제1 인로우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본 발명에 관한 어댑터는, "직경방향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짐과 함께,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 중 어느 일방측에 형성된 제1 인로우면에 대한 상대 제1 인로우면을 상기 관통공의 일단부 내주에 구비하고, 또한, 그 관통공의 타단부의 내주 또는 당해 어댑터의 외주에,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의 타방측에 형성된 제2 인로우면에 대응하는 상대 제2 인로우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기어모터 혹은 어댑터는, 그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작기계 이외의 용도(예를 들면 산업용 로봇 등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모터축과 유성기어감속기의 입력축이 마찰걸어맞춤식에 의한 커플링(직경방향의 어긋남을 흡수하기 어려운 커플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가장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처음부터 모터축과 유성기어감속기구의 입력축은, 반드시 마찰걸어맞춤식의 커플링으로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키나 스플라인에 의한 걸어맞춤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직경방향의 축심 어긋남을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는) 스플라인 연결에 의하여 모터축과 유성기어감속기의 입력축 등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어댑터의 상대 제1 인로우면 및 상대 제2 인로우면의 축심의 동일성과 함께, 모터축과 입력축의 축심 어긋남에 기인하는 문제의 발생을 거의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모터축이 입력축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성기어장치로서, 입력축이 캐리어와 축심을 일치시켜 배치되어, 편심체축을 겸하는 요동내접맞물림형의 유성기어감속기가 예시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유성기어장치의 구체적인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캐리어의 축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복수의 편심체축을 가지는 이른바 분할타입이라고 불리는 요동내접맞물림형의 유성기어장치나, 단순 유성기어장치 등이어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력전달부재는 구동스프로킷이었지만, 본 발명에 관한 동력전달부재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풀리여도 된다.
10: 기어모터 12: 유성기어감속기
14: 모터 16: 어댑터
50: 볼록부 X1: 제1 인로우면
X2: 제2 인로우면 Y1: 상대 제1 인로우면
Y2: 상대 제2 인로우면

Claims (5)

  1. 캐리어와 케이싱이 상대회전하는 유성기어장치 및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와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를 어댑터를 통해 연결한 기어모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 중 일방은, 상기 어댑터측에 축방향으로 돌출함과 함께, 상기 어댑터에 대한 제1 인로우면을 외주에 가지는 볼록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의 타방은, 상기 어댑터에 대한 제2 인로우면을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는, 직경방향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1 인로우면에 대응한 제3 인로우면을 상기 관통공의 일단측의 내주에 가지고, 또한 상기 관통공의 타단측의 내주 또는 당해 어댑터의 타단측의 외주에, 상기 제2 인로우면에 대응한 제4 인로우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되며, 더욱이 제3 인로우면과 제4 인로우면 사이에, 제3 인로우면과 제4 인로우면 중 직경이 작은 쪽의 인로우면보다 직경이 작은 부위를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주에 동력전달부재가 장착됨과 함께, 상기 어댑터의 최외경을,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최내경보다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모터.
  3. 캐리어와 케이싱이 상대회전하는 유성기어장치 및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와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를 어댑터를 통해 연결한 기어모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 중 일방은, 상기 어댑터측에 축방향으로 돌출함과 함께, 상기 어댑터에 대한 제1 인로우면을 외주에 가지는 볼록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의 타방은, 상기 어댑터에 대한 제2 인로우면을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는, 직경방향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1 인로우면에 대응한 제3 인로우면을 상기 관통공의 일단측의 내주에 가지고, 또한 상기 관통공의 타단측의 내주 또는 당해 어댑터의 타단측의 외주에, 상기 제2 인로우면에 대응한 제4 인로우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되며,
    상기 제1 인로우면을 외주에 가지는 볼록부가, 상기 캐리어측에 존재하고, 또한, 상기 볼록부가 통형상의 볼록부로 되어, 상기 통형상의 볼록부의 내주에 당해 유성기어장치의 내외를 씰하는 오일씰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모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상기 관통공 내에, 상기 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입력축을 연결하는 커플링이 수용되고, 상기 어댑터가 상기 커플링의 보호 커버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모터.
  5. 모터와,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를 연결하기 위한 기어모터용의 어댑터로서,
    직경방향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짐과 함께,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측 중 어느 일방측에 형성된 제1 인로우면에 대한 제3 인로우면을 상기 관통공의 일단부 내주에 구비하고, 또한,
    상기 관통공의 타단부의 내주 또는 당해 어댑터의 외주에, 상기 캐리어 또는 모터의 타방측에 형성된 제2 인로우면에 대응하는 제4 인로우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되며, 더욱이 제3 인로우면과 제4 인로우면 사이에, 제3 인로우면과 제4 인로우면 중 직경이 작은 쪽의 인로우면보다 직경이 작은 부위를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모터용의 어댑터.
KR1020120131657A 2012-02-06 2012-11-20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용의 어댑터 KR101418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23542A JP5816568B2 (ja) 2012-02-06 2012-02-06 ギヤモータ
JPJP-P-2012-023542 2012-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739A KR20130090739A (ko) 2013-08-14
KR101418926B1 true KR101418926B1 (ko) 2014-07-15

Family

ID=4879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657A KR101418926B1 (ko) 2012-02-06 2012-11-20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용의 어댑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16568B2 (ko)
KR (1) KR101418926B1 (ko)
CN (1) CN103248170B (ko)
DE (1) DE102013001161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930A (ko) 2022-10-25 2024-05-0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용 파워트레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8719B2 (ja) * 2013-03-29 2016-05-1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モータと減速機とを有する回動装置
CN105697660B (zh) * 2014-11-28 2018-01-23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齿轮马达单元以及带齿轮马达单元的组装方法
JP7170389B2 (ja) * 2017-11-28 2022-11-1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ギヤモータ
WO2023227236A1 (de) * 2022-05-26 2023-11-30 Sew-Eurodrive Gmbh & Co. Kg Adapter, insbesondere für einen ein getriebe und einen elektromotor umfassenden getriebemo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7512A (ja) * 1993-04-22 1994-11-01 Mitsubishi Heavy Ind Ltd モータ直結型遊星転がり摩擦ローラ減速機
JP2002295605A (ja) 2001-03-30 2002-10-09 Sumitomo Heavy Ind Ltd 減速装置の遊星部材の軸方向の移動規制構造
KR100642307B1 (ko) 2005-08-29 2006-11-03 주식회사 해성산전 중공형 모터 감속기
JP2008240852A (ja) 2007-03-27 2008-10-09 Sumitomo Heavy Ind Ltd 内接揺動噛合型遊星歯車減速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357Y2 (ja) * 1989-02-21 1995-11-08 帝人製機株式会社 自動工具交換装置の駆動装置
JPH0587731A (ja) 1991-09-25 1993-04-06 Hamamatsu Photonics Kk 遺伝子構造解析装置
JPH0585531A (ja) 1991-09-30 1993-04-06 Hitachi Zosen Sangyo Kk ラベル取り出し装置
JPH0750122Y2 (ja) * 1993-01-14 1995-11-15 帝人製機株式会社 回転駆動装置
JP2896081B2 (ja) * 1994-06-16 1999-05-3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単純遊星歯車構造を採用した変速機
JP2000120812A (ja) * 1998-10-21 2000-04-28 Sumitomo Heavy Ind Ltd 遊星歯車変速機
JP2002106660A (ja) * 2000-09-28 2002-04-10 Sumitomo Heavy Ind Ltd モータ付き動力伝達装置
JP2012023542A (ja) 2010-07-14 2012-02-02 Nec Corp 撮影システム
CN201774382U (zh) * 2010-08-11 2011-03-23 金龙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微型减速马达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7512A (ja) * 1993-04-22 1994-11-01 Mitsubishi Heavy Ind Ltd モータ直結型遊星転がり摩擦ローラ減速機
JP2002295605A (ja) 2001-03-30 2002-10-09 Sumitomo Heavy Ind Ltd 減速装置の遊星部材の軸方向の移動規制構造
KR100642307B1 (ko) 2005-08-29 2006-11-03 주식회사 해성산전 중공형 모터 감속기
JP2008240852A (ja) 2007-03-27 2008-10-09 Sumitomo Heavy Ind Ltd 内接揺動噛合型遊星歯車減速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930A (ko) 2022-10-25 2024-05-0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용 파워트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739A (ko) 2013-08-14
JP2013162654A (ja) 2013-08-19
CN103248170B (zh) 2015-10-14
DE102013001161B4 (de) 2021-06-02
CN103248170A (zh) 2013-08-14
JP5816568B2 (ja) 2015-11-18
DE102013001161A1 (de)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926B1 (ko)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용의 어댑터
KR101732287B1 (ko) 기어 장치
CN110966355B (zh) 齿针双模啮合少齿差行星齿轮副及精密减速器
JP5231530B2 (ja) 歯車装置
KR20100008580U (ko) 감속기
EP3270003B1 (en) Gear device
CN117628125A (zh) 齿轮传动装置
JP5917422B2 (ja) 減速機
KR101739396B1 (ko) 기어장치
EP2730806B1 (en) Speed reducing device
KR102362479B1 (ko) 기어 장치
KR101925805B1 (ko) 밀링 공구대의 드라이빙 장치
CN103846684A (zh) B轴头座自动转换角度的加工机附加头
KR20200066200A (ko) 산업 기계의 회전 기구, 감속기, 산업 기계 및 구동 장치
KR101679431B1 (ko) 편심키를 이용한 백래시 제거용 더블 피니언 기어 구조
JP7498609B2 (ja) 変速機付モータ
KR20170107899A (ko) 기어 장치
CN107856056B (zh) 一种机器人的腕部件
KR20170000349A (ko) 내접 캠과 원통 피니언을 이용한 동력 전달 장치
CN116336140A (zh) 一种基于摆线传动的轴承式双盘精密减速器
JP2020139535A (ja) 偏心揺動型の変速機
KR20240088151A (ko) 일체화 구조로 제조비용과 사이즈가 축소된 싸이클로이드 감속기
KR20240088150A (ko) 가공오차와 조립오차를 없애 고정밀 고감속 특성을 확보한 싸이클로이드 감속기
KR20150127753A (ko) 고감속 내접요동 감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