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500B1 -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500B1
KR101412500B1 KR1020120027060A KR20120027060A KR101412500B1 KR 101412500 B1 KR101412500 B1 KR 101412500B1 KR 1020120027060 A KR1020120027060 A KR 1020120027060A KR 20120027060 A KR20120027060 A KR 20120027060A KR 101412500 B1 KR101412500 B1 KR 10141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bamboo
extract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003A (ko
Inventor
주영아
김한곤
서동환
김기호
정혜진
Original Assignee
(주)제로투세븐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로투세븐,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제로투세븐
Priority to KR102012002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50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5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보습 및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를 갖는 지실, 백지, 천궁, 갈근, 연교, 감초, 작약, 상지, 매지, 도지, 괴지, 유지 복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약 원료인 지실 5~22 중량%, 백지 1~15 중량%, 천궁 1~15 중량%, 갈근 1~15 중량%, 연교 5~22 중량%, 감초 5~22 중량%, 작약 1~15 중량%, 상지 5~40 중량%, 매지 1~15 중량%, 도지 1~15 중량%, 괴지 1~15 중량%, 유지 5~4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극성 및 비극성 용매로 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후 일정량 감압 농축하고, 이 농축물을 대나무 통 용기에서 고온으로 살균한 후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하여 20 내지 30℃에서 일정기간(1 내지 7일) 숙성 발효하여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복합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을 액상의 중량으로서 0.001%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의 양으로,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영양에센스, 클렌져 제형 등의 각종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skin comprising herb extract fermented in bamboo cylin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습,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지실, 백지, 천궁, 갈근, 연교, 감초, 작약, 상지, 매지, 도지, 괴지, 유지로 구성된 생약원료를 일정량의 극성 또는 비극성 용매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뒤 대나무 통을 이용하여 장기간 발효 숙성한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효과, 항염효과 및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토피(Atopy)란 그리스어가 어원으로 '비정상적인 반응', '기묘한', '뜻을 알 수 없다'라는 의미로서 어원 그대로 아토피성 피부염이란 다양한 원인이 복잡하게 뒤엉켜 발병하고 완화와 재발을 반복하며, 치료가 어려운 피부질환이다.
아토피는 아토피 소인이 있는 개인에서 피부, 호흡기 점막, 안점막, 장잠막 등에 나타나는 일련의 알레르기 증상을 말하며, 이러한 아토피 소인(알레르기 체질)은 유전되어 가족적으로 나타나며, 아토피 소인에 의한 알레르기 질환으로 알레르기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성 두드러기 등이 있으며, 이들 질환은 단독 또는 여러 질환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아토피 알레르기의 메커니즘을 보면 알레르겐이 각질층을 통해 침입해서 표피세포에까지 이르게 되면, 백혈구의 일종인 대식세포(Macrophage, 大食細胞)가 이를 포식하여 조각조각 분해하게 된다. 침입한 알레르겐의 양이 많아 대식세포가 다 처리하지 못할 경우에는, 미처 처리하지 못한 알레르겐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같은 백혈구의 일종인 T세포(면역 촉진과 억제의 조절 기능을 맡고 있다)에 보내주고, T세포는 그 정보를 다시 백혈구의 일종인 호산구(호산성 백혈구)에 전하여, 혈중에 널리 분포된 호산구를 알레르겐이 침입한 장소로 불러 모으게 된다.
이때에 환부에 집적(모여 쌓임)된 호산구가 화학전달물질(활성산소)을 과잉으로 방출시킴으로 인하여 염증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이 된다.
아토피 피부염(태열)의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을 가지며, 급성기에는 피부가 가렵고, 붉어지거나 붓거나 좁쌀처럼 돋아 오르거나, 작은 물집이 잡히거나 습하고 딱지가 앉거나 하며, 만성기에는 가렵고, 피부가 딱딱하거나 두꺼워지거나 줄이 가거나 쌀가루 같은 비늘이 앉거나 검어지거나 또는 희게 탈색되거나 하는 모양을 보인다.
대개 아토피 피부염은 흔히 태열이라 부르는 영아기 습진으로부터 시작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치료약 중 스테로이드제(부신피질호르몬제)는 크게 소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이 있으며 효과가 우수하다.
주의해야할 점은 스테로이드제의 부작용이다.
장기간 바르면 바른 부위의 피부에 털이 나고 피부가 위축될 수 있으며, 피부색소가 적어지고 세균의 감염이 생기며, 여드름이 돋고, 피부가 얇아지고 실핏줄이 드러나 아주 흉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호르몬에 의한 전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게다가 약을 중지하면 다시 폭발적으로 증상이 심해지므로 이 약을 중지할 수도 없게 된다.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연령이 5세 이전의 유아기에 흔하므로 부신피질의 전신적 투여는 권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호르몬 농도가 아주 적은 스테로이드 연고를 단기간에만 꼭 필요할 때 한꺼번에 많은 양을 바르기보다는 적은 양을 자주 발라야 한다.
물론 임의로 구해서 사용해서는 안되고 반드시 전문의의 처방을 받아야한다.
항히스타민제는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지 못하도록 하여 가려운 증상을 경감시키나 임시방편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장기간 복용시 불면, 불안, 식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그 자체보다 가려워 긁다가 생기는 2차성 세균감염이 더 무서운 병이다.
항생제는 아토피 치료에 필수적이다.
아토피 환자의 피부는 장기간 긁고 건조해진 결과로 세균감염이 꼭 따라온다.
아토피 환자의 90%이상이 포도상 구균에 감염되어 있는데 이 균은 환자가 가려움을 참지 못해 긁어서 생기기도 하지만,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이 세균의 외독소가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나오게 하여 아토피를 악화시킨다고 한다.
즉, 이 세균 자체가 알레르겐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토피의 치료에는 적절한 항생물질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 외 약물 치료로 비스테로이드 연고제로는 보습제 종류인데 피부가 좋아진 후에도 계속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진정시키기 위해 진정제나 신경안정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밤에는 보습을 위해 연고를 바른 후 랩으로 도포 부위를 감싸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물 제제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로 조성된 제제는 부작용이 적고, 그 작용이 일반적으로 온화하고 지속적이며 보조성분으로 난용성 성분이 이용성 성분으로 되는 경우가 있으며, 생분해성이 높고 환경 친화적이라고 알려져 있다(KISTI 보고서 2003, 손은수).
이러한 천연물 제제의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제 0431076호에는 백급, 자소, 에키나시아 및 발효대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의 치유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제 2004-0065126호에는 천연의 영지버섯, 유근피, 감초, 백봉령, 백지마 및 백년초 등으로부터 얻은 한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의 치유와 예방에 효과를 갖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1913호에는 길경, 드름, 연교, 치자, 황백, 황금, 황련, 지황, 작약, 천궁, 당귀, 시호, 박하, 우방자 및 천화분으로 구성된 생약추출물을 잎새버섯 균사체 또는 잎새버섯 균사체의 전 배양액을 혼합하여 배양하고, 이 배양액으로부터 잎새버섯 균사체를 제거한 후, 수득된 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피부자극 완화, 아토피 개선효과 및 항염효과 등의 피부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발효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특허에서는 잎새버섯을 배양하여 생약 추출물과 당이 혼합된 합성배지에서 배양하는 복잡한 공정에 의하여 발효 생약 추출물은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일반 배양기를 사용함으로써 중금속 등의 2차 오염의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아토피 치료제의 필수 항목인 보습 효과, 항염, 프리라디칼(Free radical) 소거효과 등을 제공하면서, 부작용이 없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개선용으로서 만족할 만한 천연 제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아토피 치료제의 필수 항목으로 보습효과, 항염효과,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등을 만족시키고, 부작용이 없는 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아토피 피부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한 보습효과, 항염효과,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등의 효능이 우수하고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대나무 통에서 발효시킨 발효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효능을 갖는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토피의 원인에 대한 근본적 물질을 찾고자 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약재를 처리한 결과, 보습 효과, 항염, 프리라디칼(Free radical) 소거효과가 우수한 지실, 백지, 천궁, 갈근, 연교, 감초, 작약, 상지, 매지, 도지, 괴지, 유지를 선택하여 용매로 추출 후 농축하여, 이를 대나무 통에서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매우 우수한 보습효과, 항염효과,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등의 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한약재로 쓰이는 지실, 백지, 천궁, 갈근, 연교, 감초, 작약, 상지, 매지, 도지, 괴지, 유지의 추출물을 사용하고, 대나무 통속에서 발효시킴으로써 대나무의 효능 및 이를 사용함에 따라 오염이 없는 천연의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여 안전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을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일정농도 이상 배합하여 사람 피부에 직접 도포한 실험 결과에서도 뚜렷한 피부 보습 및 진정효과를 발휘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실(枳實,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은 탱자나무의 어린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와 비타민 C, 아세트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위의 적체를 없애고 가스를 제거하며 위하수와 항문탈출을 낫게 하고, 자궁탈출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그 외, 피부병 치료에 효과가 있고, 약리실험 결과 자궁수축작용, 위장운동, 항진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탄제레틴(tangeretin), 노비레틴(nobiletin), 씨네프린, 헤스페리딘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히스타민 방출을 억제하고, 식욕억제작용 및 콜레스테롤을 억제하는 작용도 있다.
백지(白芷, Angelica Dahuricae Radix)는 산형과(Umbelliferae) 식물인 구릿대를 기원으로 하며 다년생 초본으로 풀이 무성한 저습지나 관목 숲 또는 강가에서 자라며, 가을철에 근부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기존의 성분 동정 연구에 의하면 쿠마린(Cumarins), 비악-안겔리신(Byak-angelicin), 오신(Oscine), 강초톡신(Xangthotoxin) 등의 물질이 알려져 있다.
백지는 전통적으로 열이나 풍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한 풍증으로 어지러운 것을 낫게 하는데 알약을 만들어 복용한다(본초강목).
한방에서는 진통, 지혈, 진정약으로 사용한다.
백지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피지분비 촉진에 의한 피부염 치료(일본 특개평 9-176030), 인체 안정성이 뛰어난 발모 억제제(일본 특개평 10-139639), 온욕 효과를 높인 입욕제(일본 특개평 06-206814) 등이 알려져 있고, 동의보감과 신농본초경에 상기 백지를 고약과 분으로 만들어 얼굴에 바르면 따뜻한 기운을 얼굴 피부로 보내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안색을 기름지게 윤택하게 하며, 얼굴에 기미와 주근깨, 흉터를 없앤다고 기록하고 있다.
천궁(川芎, Cnidium officinale Makino)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이 원산이며 약용 작물로 재배하며, 높이 30 ~60cm이며, 성분으로는 크니딜라이드(cnidilide), 리구스틸라이드(ligustilide), 네오크니딜라이드(neocnidilide), 부틸프탈라이드(butylphthalide), 세다노닉산(sedanonic acid)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식물체에 향기가 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천궁의 뿌리는 불규칙한 결절상의 덩어리로서 직경이 2 내지 7㎝이며 표면은 황갈색으로 거친 주름과 평행으로 융기한 윤절이 여러 개 있으며, 정상부에는 오목한 원형의 줄기 흔적이 있고, 그 단면은 황백색 혹은 회황색인데 황갈색의 유실이 산재해 있고 형성층은 물결 모양의 황문을 이룬다.
천궁은 한방에서는 그 뿌리줄기를 건조하여 사용하고, 자궁 진정작용과 혈압조절작용, 항균작용, 피부사상균에 대한 억제 작용, 두통, 빈혈, 불임, 월경불순, 냉증 등의 부인병에 사용하였다. 민간에서 좀 예방을 위해 옷장에 넣어두었다(정보섭, 신민교, 향약 대사전).
갈근(葛根, Pueraria lobata Ohwi)은 콩과 식물의 다년생 초본인 칡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한국, 중국, 일본 각 지역의 산에 자생한다.
한의학에서는 칡의 여러 부위를 각각 분류하여, 칡뿌리를 건조한 것을 갈근, 꽃은 갈화, 열매는 갈곡 또는 갈실, 잎은 갈엽, 덩굴은 갈만이라 부르며 질병의 증상 및 치료방법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하여 왔다.
한방에서 갈근은 기육을 풀어 주는 작용을 하므로 감기 몸살이나 발진성 질환, 항강통 등을 해소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비장과 위장의 기를 상승하게 도와주어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게 하고 지사시키는 작용을 한다.
주요성분으로는 이소플라보노이드인 디옥시미로에스트롤(deoxymiroestrol)과 푸에라린(puerarin)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갈근과 관련한 약리 작용으로는 항 알코올중독(antidipsotropic) 작용, 간 보호 작용, 숙취 억제 작용, 항산화 활성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정보섭, 신민교, 향약 대사전).
연교(連翹, Forsythia koreana Nakai)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개나리의 열매이다.
개나리는 낙엽관목으로 높이는 2~3m이고 가지가 가늘고 길며, 퍼져 있거나 혹은 아래로 드리워져 있고 속이 비어 있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는데 1~4송이가 잎에 착생한다.
열매는 좁은 계란형이고 끝에는 짧은 부리가 있으며 완전히 익었을 때는 2조각으로 갈라졌으며, 산야의 황무지에서 자라고, 열매가 익었을 때 또는 완전히 익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쓴다.
연교의 성분은 리그난(lignan)으로서 악티게닌 등, 리그난 배당체로서 악틴(arctiin) 및 카페인 배당체(caffeic acid glycoside) 등이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 소염, 배농 등의 피부질환제로서 사용되며 한국과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다(본초강목).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이며, 유럽감초(Glycyrrhiza glabraL.), 만주감초(Glycyrrhiza uralensis F.)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와 주출경을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감초의 약리작용으로 부신피질 호르몬 작용, 항염 활성증 및 항알레르기 작용, 소화계통에 대한 작용, 해독 작용, 지질대사에 대한 작용, 실험성 황달에 대한 영향, 진해 작용, 진통 및 항경련 작용, 비뇨 및 생식기계통에 대한 작용, 항종양 작용, 기타 체중증가작용, 근력 증강 작용, 혈압 상승 작용, 용혈 작용, 억균작용, 항균작용, 해열작용, 조충에 대한 구충 작용 등이 밝혀졌다.
약용으로 주로 뿌리와 포복경을 이용하며, 약용되는 주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사포닌(saponin)인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c acid)을 3.63 내지 13.06% 함유하며 그 외 여러 종류의 플라본(flavone) 화합물이 있다(생약학교재편찬회, 생약학, 개정3판(2002), 동명사).
작약(芍藥, Paeoniae Radix)은 참작약 및 동속 식물의 뿌리로서 매우 중요한 생약 중의 하나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길며, 2회 삼출 겹잎으로 작은 잎은 타원형이며, 톱니는 없고 꽃은 줄기 끝에 한 개씩 나며, 5, 6월에 흰 꽃이 핀다.
생약으로는 뿌리를 말린 것이며, 생지는 산의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한방에서는 3월과 8월에 땅속줄기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치조, 양혈제, 보혈, 익비, 지통에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수렴완화, 진경, 진통제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계지가작약가대황탕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상지(桑枝, Ramulus Mori)는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 가지를 말린 것으로, 뽕나무속 식물로는 뽕나무(Morus alba,Linne), 처진 뽕나무(Morus alba for. Peldulls DIPPEL), 산 뽕나무(Morus bombycis, Koidzumi), 꼬리 뽕나무(Morus bombycis var. Caudatifolia), 섬 뽕나무(Morus bombycis var. maritima KOIDZ), 가새 뽕나무(Morus bombycis for. Kase VYKEI), 몽고 뽕나무, 왕 뽕나무, 돌 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가 있으며, 이들은 낙엽활엽성의 교목으로 한국의 대부분 지역에 걸쳐 표고 500 - 1,400 m에 수평적으로 분포하며, 산골 마을 부근이나 산기슭에 자생한다.
통상적으로 상지는 약간 쓴맛이 나며, 소염, 이뇨, 강장, 발한 및 풍을 제거하는 등의 효능이 있어, 오래전부터 한약재로 쓰이고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230130 호).
매지(梅枝)는 매화나무 가지로 매화나무(Prunus mume Sieb.Et Zucc)는 잎이 지는 작은 큰키나무(소교목)로서, 달걀 모양의 잎이 어긋나게 붙어있고, 이른 봄 잎이 나기 전에 흰색 또는 붉은 색 꽃이 핀다.
매화나무의 열매를 매실이라 하며 열매는 둥글고 여물면 노란색을 띤다.
열매살에는 레몬산, 사과산, 포도산, 호박산, 시토스테롤, 올레아놀산, 세틸알코올, 씨에는 아미그달린이 있으며, 선열매는 레몬산의 원료로도 사용하고, 마른 열매에는 레몬산 19%, 사과산 1.5% 가 들어있으므로 약 10%의 거둠률로 레몬산을 만들 수 있다.
동의치료에서 청량성 수렴약, 설사멎이약, 열내림약, 기침약, 가래약으로 쓴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1999, 358).
도지(桃枝)는 복숭아나무 가지로 복숭아 나무는 잎이 지는 작은 큰키나무이다.
꽃에는 켐페롤과 그 배당체, 3염기산과 디옥시1염기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잎에는 니트릴 배당체를 함유하고 있고 수증기 증류하면 벤즈알데히드와 시안화수소가 생기며 타닌질이 0.07~0.2% 함유하고 있다.
씨에는 에물신이 약 30%, 아미그달린이 약 1.5% 함유되어 있으며, 나무껍질에는 나린게닌(C15H12O5), 트리아콘탄, 펜타트리아콘탄 등이 있고, 기름 40 내지 50%(주성분은 올레인, 팔미틴, 스테아린)가 함유되어 있다.
동의치료에서 꽃을 이뇨제, 센 설사약으로 변비치료에 쓰이며, 민간에서는 잎이 붙은 가지를 가마에 넣고 달인 액으로 건포, 습진에 목욕한다.
괴지(槐枝)는 회화나무의 가지로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는 콩과에 속하며, 높이 25m 안팎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가지가 퍼지고 작은 가지는 녹색이며 자르면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이며, 잎은 어긋나고 1회 깃꼴겹잎이다.
<향약집성방>에는 종기와 음낭 밑이 축축하고 가려울 때 회화나뭇가지를 물로 달여서 씻으면 효과가 있다고 전한다.
회화나무의 꽃봉오리를 괴화 또는 괴미라고 하며 열매를 괴실 또는 괴각이라 하는데, 모두 약용으로 한다.
열매는 협과로 원기둥 또는 염주 모양이며, 과실은 가지 및 나무껍질과 더불어 치질치료에 쓰이기도 하며, 정원수나 목재는 가구재로 이용되기도 한다.
한편, 괴화의 알려진 용도로는 동맥경화 및 고협압의 치료 또는 예방이며, 맥주와 종이를 황색으로 만드는데 쓰이기도 한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11-0004603호).
유지(柳枝)는 버드나무 가지로 버드나무(Salix koreensis Andersson)는 버들 또는 뚝 버들이라고도 하며, 껍질에는 탄닌질 3 ~ 10%, 플라본, 아스코르부산, 배당체 살리신(C13H18O7, 녹는점 201.5℃, 물에 풀리고 알코올에 약간 풀리며 에테르에는 풀리지 않는다.)이 있다.
살리신은 식물의 부위와 종류에 따라 없거나 5%까지 들어 있다.
살리신은 효소에 의하여 살리게닌과 포도당으로 분해된다.
버드나무는 아스피린의 주요작용 성분과 비슷한 성분(Salicyl)을 가지고 있어서 열을 내리게 하고 염증과 통증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감기 몸살과 같이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에 그리고 급만성 류마티즘 및 가벼운 증상의 두통과 염증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는 데 좋은 효과가 있으며, 효능이 가장 좋을 때인 2월과 3월 사이에 수확한 버드나무껍질을 이용한다.
이러한 버드나무의 효능을 이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7000798호 ‘버드나무 추출물, 그 용도, 및 그것을 함유하는 제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0081882호 ‘버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등이 있다.
대나무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벼과, Poaceae) 대나무아과(Bambusoid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식물의 총칭으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나 주로 열대 지방에서 자라며, 특히 아시아의 계절풍 지대에 흔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과 제주도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대나무는 뿌리에서부터 잎까지 약용으로서 활용도가 높으며 고대문헌 <신봉본초경>에 댓잎은 맛이 쓰고 성질이 차서 해소, 상기, 종양, 해열 및 상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대나무 기름(죽력)은 아토피, 여드름, 습진, 무좀, 기미, 두피 가려움증, 탈모, 건선 등 각종 피부 트러블에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의학 서적에 기록된 내용을 보면 곽란, 토혈, 거담, 중풍, 당뇨, 두통, 고혈압, 현기증, 신경쇠약, 임신 빈혈, 간질, 불면, 과다음주 및 피로회복 등에 신비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듯 대나무의 좋은 효능을 활용하기 위해 대나무 통을 이용한 여러 음식이 개발되어 왔지만, 대나무를 이용하여 쉽게 음용할 수 있는 차의 형태는 대나무 잎을 활용한 죽엽차(竹葉茶)만 있을 뿐이다.
이러한 대나무의 효능을 이용한 기술의 예로서 ‘죽내피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007943호)와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1-0068203),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규한 치료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료제’(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0052649)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성분들을 지실 5~22 중량%, 백지 1~15 중량%, 천궁 1~15 중량%, 갈근 1~15 중량%, 연교 5~22 중량%, 감초 5~22 중량%, 작약 1~15 중량%, 상지 5~40 중량%, 매지 1~15 중량%, 도지 1~15 중량%, 괴지 1~15 중량%, 유지 5~4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용매 추출한 후 대나무 통에서 발효시켜 발효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을 액상으로 0.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 범위로 화장료에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천연의 생약 추출물을 대나무 통에서 발효시킨 천연 발효 생약 추출물로, 인체에 안전하며 우수한 보습효과, 항염효과, 프리라디칼 소거효과를 가짐으로써, 아토피 피부의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습효과, 항염효과, 프리라디칼 소거효과를 가짐으로 인해 아토피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지실, 백지, 천궁, 갈근, 연교, 감초, 작약, 상지, 매지, 도지, 괴지, 유지 복합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지실, 백지, 천궁, 갈근, 연교, 감초, 작약, 상지, 매지, 도지, 괴지, 유지 복합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실 1~22 중량%, 백지 1~15 중량%, 천궁 1~15 중량%, 갈근 1~15 중량%, 연교 1~22 중량%, 감초 1~22 중량%, 작약 1~15 중량%, 상지 1~40 중량%, 매지 1~15 중량%, 도지 1~15 중량%, 괴지 1~15 중량%, 유지 1~4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상기 성분을 용매로 추출 후 0.45 ㎛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약 60℃ 전, 후의 온도에서 일정량 감압 농축하고, 이를 대나무 통 용기에 첨가하여 약 110 내지 130℃에서 멸균하고 냉각한 후, Sabouraud dextrose broth (BD Difco 사)를 이용하여 18시간 26℃에서 종균 배양한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배양액을 접종하고, 20 내지 30℃에서 1 내지 7일 동안 숙성 발효시킨다.
상기 용매로는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탄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 내지 95℃에서 4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내지 37℃에서 1 내지 15일간 용매에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을 0.45 ㎛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액상으로 0.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 범위로 화장료에 첨가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의 함량 범위의 하한치를 벗어나면 그 효과가 현저하게 감소되며, 상한치를 벗어나면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기 곤란하거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로는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영양에센스, 클렌져 등의 제형으로 사용되며 특별히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모발용이나 피부용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4. 정제수를 이용한 식물 추출 여과 농축물 제조
지실, 백지, 천궁, 갈근, 연교, 감초, 작약, 상지, 매지, 도지, 괴지, 유지를 하기 표와 같이 혼합한 후 정제수를 사용하여 추출기로 25℃에서 7일간 숙성한다.
숙성 후 400메시 여과포로 여과한 후 0.45 ㎛의 여과지로 여과하고,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112012021357768-pat00001
실시예 5. 70% 함수 에탄올 추출 농축물의 제조
지실 200g, 백지 100g, 천궁 100g, 갈근 100g, 연교 200g, 감초 200g, 작약 100g, 상지 400g, 매지 100g, 도지 100g, 괴지 100g, 유지 300g을 혼합하여 70% 함수 에탄올 14 kg에 혼합하고 25℃에서 7일간 숙성한다.
숙성 후 0.45 ㎛의 여과지로 여과하고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Figure 112012021357768-pat00002
실시예 6, 7과 비교예 1 내지 3.의 대나무 통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
실시예 1 내지 5의 농축물을 대나무 통 용기에 첨가하여 121℃에서 30분간 멸균하고 25℃까지 냉각한 후, Sabouraud dextrose broth (BD Difco 사)를 이용하여 18시간 26℃에서 종균 배양한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배양액을 농축액량의 1/100량을 접종하였다. 이를 26℃에서 3일간 숙성 발효한 후 발효액을 제조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Figure 112012021357768-pat00003
비교예 4. 유리 배양기를 이용한 발효물 제조
실시예 1의 농축물 500g 을 2L 삼각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121℃에서 30분간 멸균하고, 25℃까지 냉각한 후 abouraud dextrose broth (BD Difco 사)를 이용하여 18시간 26℃에서 종균 배양한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배양액을 농축액량의 1/100의 중량을 접종하였다. 이를 26℃에서 3일간 숙성 발효한 후 발효액을 제조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표 4]
Figure 112012021357768-pat00004
실험예 1. 프리라디칼 소거 효능 실험
실시예의 프리라디칼 소거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실시예가 갖는 SC50값을 표 4에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실험 방법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실험법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DPPH)을 사용하여 Fujita 등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0.2 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Sigma 사, 미국) 용액 1mL에 각각의 실시예 시료를 각 농도별로 2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 시킨 후, 5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프리라디칼 소거효과(%)를 구하였다.
이때 블랭크(Blank)는 DPPH 대신 에탄올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농도의 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2mL을 첨가하였다.
각각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SC50을 구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SC50은 프리라디칼을 50% 소거하는데 요구되는 추출물의 농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2021357768-pat00005
상기 표 5에서, 본 발명의 정제수 추출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실시예 6)은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SC50 값이 7.5 ㎍/㎖의 결과를 보였으며 70% 함수 에탄올 추출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실시예 7)은 7.3 ㎍/㎖로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조구로 사용된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할 때 우수한 효과로 소량으로도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가 뛰어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조성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가 뛰어나며, 대나무 통을 이용한 발효 추출물(실시예 6, 실시예 7) 이 일반 용기 발효 추출물(비교예 4)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은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항염 실험
상기 실시예의 항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이용한 평가법(A. Crummey, G. P. Harper, E. A. Boyle and F. R. Mangan. Inhibition of arachidonic acid-induced ear edema as a model for assessing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und. Agents and Actions, 1987, 20: 69-76)을 이용하였다.
실험 방법
마우스 좌측 귀를 대조부위, 우측 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를 적용하기 전에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각각의 실시예의 시료 20 ㎕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 좌측 귀에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 양으로 도포하여 1시간 후 귀의 부종(ear ed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 귀를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추출물로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 효과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처리 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내었다.
※ 억제율(%) = (A ― B) / A × 100
A : 대조군 귀의 평균두께 (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 - 아라키돈산 비 처리 귀의 두께)
B : 실시예의 도포군 귀의 두께 (시료 처리 귀의 두께 - 시료 비처리 귀 의두께)
[표 6]
Figure 112012021357768-pat00006
표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정제수 추출물의 대나무 통 발효물 1.0% 시료는 32.1%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70% 함수 에탄올 추출물의 대나무 통 발효물 1.0% 시료는 34.1%의 염증 억제율로 비슷한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들에 비하여 현저히 상승된 것으로, 이러한 수치는 의약품 성분으로서 항염 효과가 매우 우수한 물질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은 항염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보습실험
본 발명 실시예의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orneometer CM 825 (Courage + Khazaka, Cologne, Germany)를 사용하여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실시예에 대하여 고형분을 1%로 고정하여 추출용매로 희석하여 보습실험을 실시하였고 시료 도포 40분 후의 값을 측정하여 표 7. 에 나타내었다.
실험 방법
20 대 여성 20 명을 대상으로 상박부 2 × 2 ㎠ , 8 구획을 물로 여러 차례 세정한 후 자극없이 수분을 제거한다.
5 분경과 후, 각각 2 구획에 대하여 측정시료 10 ㎕ 씩 점적하여 고르게 도포한다.
10 분 후,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획 당 5 회 측정한다.
1 구획에 대하여 5 분 간격으로 6 회 측정하였고, 실내온도는 20℃, 상대습도 20%였다.
Water contents (%) = 시료 도포 후 Corneometer Value - 시료 도포 전 Corneometer Value이며, data 값은 20 명에 대한 평균치로 나타냈다.
[표 7]
Figure 112012021357768-pat00007
상기 결과, 발효하지 않은 추출물에 의한 보습효과도 나타났지만 본 발명의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이 일반 용기 발효 추출물, 발효를 하지 않은 추출물보다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의 정제수 추출 대나무 발효물과 실시예 7의 70% 함수 에탄올 추출 대나무 발효물은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처방예 조제 기준
상기 실험예 1 내지 7 비교예 1 내지 4 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본 발명의 대나무 발효물인 실시예 6, 실시예 7은 비교적 비슷한 결과로 전반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하기 처방은 실시예 7.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각 성분의 함량을 중량%이다.
처방예 1.
실시예 7.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21357768-pat00008
<제조방법>
제형예 1. : 11번에 2, 3, 4, 8 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며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1. : 제형예 1.에서 실시예 7.을 제외한 것 외에는 제형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처방예 2.
실시예 7.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21357768-pat00009
<제조방법>
제형예 2. : 10, 11, 13, 16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내지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를 80 내지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에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 제형예 2. : 제형예 2.에서 실시예 7.을 제외한 것 외에는 제형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처방예 3
실시예 7.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21357768-pat00010
<제조방법>
제형예 3. : 10, 12, 15를 교반, 혼합하면서 80 내지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1을 80 내지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3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 후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3. : 제형예 3.에서 실시예 7.을 제외한 것 외에는 제형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처방예 4.
실시예 7.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21357768-pat00011
<제조방법>
제형예 4. : 8, 9, 10, 12, 15를 혼합, 교반하면서 80 내지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11을 80 내지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후, 14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3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 후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4.: 제형예 4.에서 실시예 7.을 제외한 것 외에는 제형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처방예 5.
실시예 7.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21357768-pat00012
<제조방법>
제형예 5. :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시키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 뒤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5. : 제형예 5.에서 실시예 7.을 제외한 것 외에는 제형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처방예 6
실시예 7.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화형 화운데이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21357768-pat00013
<제조방법>
제형예 6. : 9, 10, 11, 12, 13, 14, 15, 17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내지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을 80 내지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 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한 뒤 1번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하여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6. : 제형예 6.에서 실시예 7.을 제외한 것 외에는 제형예 6.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시험예 1. 아토피 개선 효과 확인실험
제형예 3.과 비교 제형예 3.의 영양크림에 대한 피부 도포시, 아토피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임상 확인 실험을 하였다.
5 내지 30세의 아토피 환자로서, 2년 이상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 중 20 여명에 대하여 아토피 개선 효과를 조사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동일인에게 왼쪽 손에는 제형예 3.의 영양 크림을, 복부 오른쪽 손에는 비교제형예 3.의 영양크림을 매일 저녁 세정 후, 피부에 1일 1회 60일간 도포한 후 아토피 상태 개선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상태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표 8]
Figure 112012021357768-pat00014
상기 조사 결과와 같이 실시예 7.을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예 3.이 실시예 7.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제형예 3.보다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서 아토피 피부에 유용한 생약의 선택과 대나무 통 용기에서 발효시킴으로써, 대나무에 포함된 약재 성분의 추출과 천연의 재료인 대나무 통을 발효용기로 사용하여, 대나무 자체가 가지고 있는 영양분에 의하여 별도의 영양 배지 없이도 발효가 가능하고, 별도의 배양기를 사용하지 아니하여 2차 오염의 우려도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가 뛰어나며 인체에 무해한 것이므로, 화장료의 원료로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항염, 보습 및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를 갖는 지실 5 내지 22 중량%, 백지 1 내지 15 중량%, 천궁 1 내지 15 중량%, 갈근 1 내지 15 중량%, 연교 5 내지 22 중량%, 감초 5 내지 22 중량%, 작약 1 내지 15 중량%, 상지 5 내지 40 중량%, 매지 1 내지 15 중량%, 도지 1 내지 15 중량%, 괴지 1 내지 15 중량%, 유지 5 내지 40 중량%로 구성된 생약 원료를 용매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을 대나무 통 용기에 첨가하여 약 110 내지 130℃에서 멸균하고 냉각한 후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을 접종하고, 20 내지 30℃에서 1 내지 7일 동안 숙성 발효시킨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탄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 내지 95℃에서 4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내지 37℃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을 액상중량 기준 0.001 내지 2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영양에센스, 클렌져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항염, 보습 및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를 갖는 지실 5 내지 22 중량%, 백지 1 내지 15 중량%, 천궁 1 내지 15 중량%, 갈근 1 내지 15 중량%, 연교 5 내지 22 중량%, 감초 5 내지 22 중량%, 작약 1 내지 15 중량%, 상지 5 내지 40 중량%, 매지 1 내지 15 중량%, 도지 1 내지 15 중량%, 괴지 1 내지 15 중량%, 유지 5 내지 4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 성분을 용매로 추출 후 0.45 ㎛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약 60℃ 전, 후의 온도에서 일정량 감압 농축하는 공정,
    상기 추출물을 대나무 통 용기에 첨가하여 약 110 내지 130℃에서 멸균하고 냉각한 후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을 접종하고, 20 내지 30℃에서 1 내지 7일 동안 숙성 발효시키는 공정,
    상기의 대나무 통 발효 추출물을 0.45 ㎛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액상으로 0.1 내지 10중량% 범위로 화장료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20027060A 2012-03-16 2012-03-16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1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60A KR101412500B1 (ko) 2012-03-16 2012-03-16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60A KR101412500B1 (ko) 2012-03-16 2012-03-16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03A KR20130105003A (ko) 2013-09-25
KR101412500B1 true KR101412500B1 (ko) 2014-06-26

Family

ID=4945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060A KR101412500B1 (ko) 2012-03-16 2012-03-16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060B1 (ko) * 2023-01-09 2023-06-20 주식회사 제이앤제이파머텍 천연소재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3911A (zh) * 2014-05-27 2014-09-03 上海市中医医院 一种治疗静脉炎茶黄膏药物及其应用
KR101687353B1 (ko) * 2015-12-11 2016-12-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오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CN108785167A (zh) * 2018-07-11 2018-11-13 王培战 白芷液体生物发酵物及其制备方法和在化妆品方面的用途
CN109207550A (zh) * 2018-11-22 2019-01-15 哈尔滨氧态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牡丹籽多肽的制备方法
KR102149223B1 (ko) * 2019-12-13 2020-08-28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천연 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7598B1 (ko) * 2020-05-22 2022-08-29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항균 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908A (ko) * 2003-02-24 2003-03-10 이재학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20090023236A (ko) * 2007-08-31 2009-03-04 (주)콤비메드 생약재 발효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및/또는예방용 조성물
KR20100088880A (ko) * 2009-02-02 2010-08-1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발효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908A (ko) * 2003-02-24 2003-03-10 이재학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20090023236A (ko) * 2007-08-31 2009-03-04 (주)콤비메드 생약재 발효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및/또는예방용 조성물
KR20100088880A (ko) * 2009-02-02 2010-08-1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발효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060B1 (ko) * 2023-01-09 2023-06-20 주식회사 제이앤제이파머텍 천연소재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03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38369A (ko) 한방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5479A (ko) 발모용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0701B1 (ko)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CN103041042B (zh) 一种藏药组合物及其在防脱生发产品中的应用
KR20190003268A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KR102002894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0434057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smanthus asiaticus extract and clematis apiifolia extract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5336B1 (ko)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한약재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100903827B1 (ko) 수제 한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