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529B1 - 착유기 - Google Patents

착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529B1
KR101394529B1 KR1020140005988A KR20140005988A KR101394529B1 KR 101394529 B1 KR101394529 B1 KR 101394529B1 KR 1020140005988 A KR1020140005988 A KR 1020140005988A KR 20140005988 A KR20140005988 A KR 20140005988A KR 101394529 B1 KR101394529 B1 KR 101394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ing
teat cup
extension
support cas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규
최규준
소병현
Original Assignee
소병현
최규준
박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병현, 최규준, 박창규 filed Critical 소병현
Priority to KR102014000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되어 우유를 짤 수 있도록 된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는 상기 착유유닛(A)이 지지케이스(30)와, 상기 지지케이스(30)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대(40)로 구성되고, 상기 티트컵(10)은 상기 연장대(40)에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유관(20)은 상기 지지케이스(30)와 연장대(40)를 통해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티트컵(10)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티트컵(10)과 착유관(20)이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티트컵(10)을 당겨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티트컵(10)을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착유기{Milking units}
본 발명은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되어 우유를 짤 수 있도록 된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농가에서 우유를 짤 때 사용되는 착유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젖소의 젖꼭지에 결합되는 착유유닛(A)과, 상기 착유유닛(A)에 연결된 착유펌프(B) 및 상기 착유유닛(A)에 의해 착유된 우유를 저장하는 저장탱크(C)로 구성된다.
상기 착유유닛(A)은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되는 티트컵(teat cup, 10)과, 상기 티트컵(10)과 착유펌프(B)를 연결하는 착유관(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일반적인 젖소의 경우, 4개의 젖꼭지로 구성됨으로, 상기 티트컵(10)은 4개로 이루어져, 티트컵(10)이 각각의 젖꼭지에 1개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착유관(20)은 후단부는 상기 착유펌프(B)에 연결되며, 선단부는 4개로 분기되어 상기 티트컵(10)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착유관(20)과 티트컵(10)은 적절한 탄성으로 휘어질 수 있으면서 상기 착유펌프(B)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을 견딜 수 있는 고무재질 또는 그와 유사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착유펌프(B)는 상기 착유관(2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착유유닛(A)에 의해 착유된 우유를 흡입하여 상기 저장탱크(C)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저장탱크(C)는 상기 착유펌프(B)의 후단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방법 이외에, 상기 저장탱크(C)를 상기 착유관(20)의 중간부에 연결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착유유닛(A)에 의해 착유된 우유가 상기 저장탱크(C)에 저장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티트컵(10)을 젖소의 유방에 구비된 4개의 젖꼭지에 각각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착유펌프(B)를 작동시키면, 젖소의 젖꼭지를 통해 착유된 우유가 상기 착유관(20)을 통해 흡입된 후 상기 저장탱크(C)에 저장된다.
한편, 이러한 착유유닛(A)은 착유작업이 끝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유유닛(A)을 거꾸로 뒤집어 상기 티트컵(10)을 하측으로 향하도록 거치대(4)에 거치하여, 티트컵(10)의 내부에 남은 우유가 배출되도록 한 후, 별도의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티트컵(10)을 세척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착유관(20)은 강도가 높으면서 탄성이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됨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유유닛(A)을 틀어 올려서 상기 티트컵(10)을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하거나, 작업이 끝난 착유유닛(A)을 상하로 뒤집어 티트컵(10)이 상기 거치대(4)에 거치되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69167호 공고실용신안 20-1994-0007042호 공고실용신안 20-1980-0000261호 등록실용신안 20-024177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티트컵을 젖꼭지에 고정하거나, 작업이 끝난 티트컵의 내부에 남은 우유를 배출하거나 티트컵을 세척하는 것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착유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유유닛(A)과, 상기 착유유닛(A)에 연결된 착유펌프(B) 및 상기 착유유닛(A)에 의해 착유된 우유를 저장하는 저장탱크(C)를 포함하며, 상기 착유유닛(A)은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되는 티트컵(10)과, 상기 티트컵(10)과 착유펌프(B)를 연결하는 착유관(20)을 포함하는 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유유닛(A)은 지지케이스(30)와, 상기 지지케이스(30)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대(40)를 포함하고, 상기 티트컵(10)은 상기 연장대(40)에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유관(20)은 상기 지지케이스(30)와 연장대(40)를 통해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티트컵(10)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티트컵(10)과 착유관(20)이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티트컵(10)을 당겨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장대(40)는 상기 지지케이스(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장대(40)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대(4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액츄에이터(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위치된 착유관(20)의 중간부를 당겨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된 착유관(20)의 선단부와 티트컵(10)이 상기 연장대(40) 및 지지케이스(3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장치(50)와, 상기 수납장치(5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장치(50)는 상기 연장대(40)에 구비되어 상기 티트컵(10)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출감지수단(51)과,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 둘레면에 상기 착유관(20)의 중간부가 걸쳐지는 승강롤(52)과, 상기 승강롤(52)에 연결되어 승강롤(52)을 승강시키는 승강액츄에이터(53)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의 신호를 감시하여 작업자가 상기 티트컵(10)을 잡아당기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액츄에이터(53)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롤(52)을 하강시켜 상기 티트컵(10) 및 착유관(20)이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액츄에이터(53)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롤(52)을 상승시켜 상기 티트컵(10) 및 착유관(20)이 연장대(40)와 지지케이스(3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착유관(2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착유관(20)을 통과하는 우유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유량측정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착유관(20)을 통과하는 우유의 유량이 설정된 값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수납장치(50)를 작동시켜 상기 착유관(20)과 티트컵(10)이 강제로 젖소의 젖꼭지에서 이탈되어 상기 연장대(40)와 지지케이스(3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여, 더 이상 우유가 나오지 않는 젖꼭지의 착유작업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티트컵(10)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착유관(20)은 후단부가 상기 착유펌프(B)에 연결되는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21)의 선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북수개의 분기부(22)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대(40)에 구비되어 상기 티트컵(10)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출감지수단(51)과, 상기 착유관(20)의 분기부(22)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부(22)의 중간부를 개폐하는 제어밸브(70)와,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제어밸브(7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방으로 인출되는 티트컵(10)에 연결된 분기부(22)의 제어밸브(7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장대(40)의 선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된 착유관(2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바(81)가 구비된 진동아암(80)과, 상기 진동아암(80)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아암(8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하는 진동액츄에이터(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케이스(30)는 전방 일측에 구비된 경첩(31)에 의해 착유실(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2)의 일측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는 상기 착유유닛(A)이 지지케이스(30)와, 상기 지지케이스(30)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대(40)로 구성되고, 상기 티트컵(10)은 상기 연장대(40)에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유관(20)은 상기 지지케이스(30)와 연장대(40)를 통해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티트컵(10)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티트컵(10)과 착유관(20)이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티트컵(10)을 당겨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티트컵(10)을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유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착유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의 착유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의 착유유닛을 도시한 후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의 착유유닛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의 착유유닛을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의 착유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착유유닛(A)과, 상기 착유유닛(A)에 연결된 착유펌프(B) 및 상기 착유유닛(A)에 의해 착유된 우유를 저장하는 저장탱크(C)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착유유닛(A)은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되는 티트컵(10)과, 상기 티트컵(10)과 착유펌프(B)를 연결하는 착유관(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착유유닛(A)에는 지지케이스(30)와, 상기 지지케이스(30)에 구비된 연장대(40)가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케이스(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의 금속 케이스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일측에 구비된 경첩(31)에 의해, 착유실(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2)의 일측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착유실(1)은 젖소가 부딪히더라도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금속파이프재질의 펜스(3)에 의해, 내부에 들어간 젖소가 움직이지 못할 정도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펜스(3)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착유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2)가 형성되며, 상기 착유유닛(A)은 상기 개구부(2)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경첩(31)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착유작업을 하기 위해 작업자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케이스(30)의 전면이 상기 개구부(2)를 향하도록 지지케이스(30)를 회동시키면, 상기 지지케이스(30)를 비롯한 착유유닛(A) 전체가 상기 착유실(1)에 들어간 젖소를 향하게 되어 착유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착유작업이 끝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유유닛(A)이 상기 개구부(2)를 막지 않게 측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케이스(30)를 회동시켜, 젖소의 유방을 닦는 등의 작업을 할 때 상기 착유유닛(A)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장대(4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사각 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기단부가 상기 지지케이스(30)의 하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승강되도록 힌지결합되어, 일측에 연결된 회동액츄에이터(4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액츄에이터(41)는 일반적인 에어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단부는 상기 지지케이스(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장대(40)의 기단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액츄에이터(41)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연장대(4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착유유닛(A)의 티트컵(1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젖소의 젖꼭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4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착유관(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부가 상기 착유펌프(B)에 연결되는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21)의 선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분기부(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기부(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가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접힌 상태로 수납되며 선단부가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대(40)는 도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양단이 개방되어 상기 착유관(20)의 선단부와 티트컵(10)이 수납되는 수납부(42)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42)는 내부에 4개의 티트컵(10)이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42)의 내부에는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에 걸리는 지지로울러(43)가 구비되어, 상기 티트컵(10)이 상기 수납부(42)의 내부로 수납될 때,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가 상기 지지로울러(43)에 걸려 티트컵(10)의 선단부가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대(40)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돌출된 티트컵(10)의 선단부를 잡고 전방으로 당기면, 티트컵(10)과 착유관(20)의 분기부(22)가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되며, 이와 같이 인출된 티트컵(10)을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케이스(30)에는,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위치된 착유관(20)의 중간부를 당겨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된 착유관(20)의 선단부와 티트컵(10)이 상기 연장대(40) 및 지지케이스(3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장치(50)와, 상기 착유관(2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착유관(20)을 통과하는 우유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수단(60)과, 상기 착유관(20)의 중간부에는 착유관(20)의 중간부를 개폐하는 제어밸브(70)와, 상기 연장대(40)의 선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진동아암(80)과, 상기 진동아암(80)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아암(8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하는 진동액츄에이터(90)와, 상기 수납장치(50)와 제어밸브(70) 및 진동액츄에이터(9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1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수납장치(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대(40)에 구비되어 상기 티트컵(10)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출감지수단(51)과,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 둘레면에 상기 착유관(20)의 중간부가 걸쳐지는 승강롤(52)과, 상기 승강롤(52)에 연결되어 승강롤(52)을 승강시키는 승강액츄에이터(53)로 구성된다.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은 상기 연장대(40)의 수납부(42) 하측면에 구비된 근접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티트컵(10)을 전방으로 인출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승강롤(52)은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대(5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32)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52a)는 상기 가이드레일(3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32)과 승강대(52a) 및 승강롤(52)은 상기 착유관(20)의 분기부(22)에 대응되도록 4개로 구성되며, 상기 착유관(20)의 분기부(22) 중간부가 상기 승강롤(52)의 상측 둘레면에 걸쳐진다.
상기 승강액츄에이터(53)는 상기 승강대(52a)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대(52a)와 함께 승강롤(52)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케이스(30)의 상단에 구비된 제1 로울러(53a)와, 피스톤로드(53c)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케이스(30)에 결합된 에어실린더(53b)와, 상기 에어실린더(53b)의 피스톤로드(53c)에 구비된 제2 로울러(53d)와, 일단은 상기 승강대(52a)에 고정되고 중간부는 상기 제1 로울러(53a)의 상측 둘레부와 상기 제2 로울러(53d)의 하측둘레부를 경유하며 타단은 상기 지지케이스(30)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부(53f)에 고정된 케이블(53e)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실린더(53b)를 축소시키면 상기 제2 로울러(53d)가 하강되면서 상기 케이블(53e)을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승강대(52a)와 승강롤(52)이 상승되면서 상기 착유관(20), 특히, 분기부(22)의 중간부가 상측으로 당겨져,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된 분기부(22)와 티트컵(10)이 후방으로 당겨져 상기 연장대(40)로 수납되도록 한다.
반대로, 도 10 및 도 11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실린더(53b)가 신장되면, 상기 승강대(52a)와 승강롤(52)이 하강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티트컵(10)을 연장대(40)의 전방으로 당겨 티트컵(10)과 착유관(20)의 분기부(22)가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53e)은 상기 제1 및 제2 로울러(53a,53d)의 둘레면을 경유하게 됨으로, 상기 에어실린더(53b)가 신축되는 길이의 2배만큼 승강되어 상기 에어실린더(53b)를 길이가 짧은 것을 사용하면서도 상기 승강대(52a)와 승강롤(52)이 충분한 높이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량측정수단(60)은 상기 착유관(20)의 분기부(22)에 각각 1개씩 구비되어 각각의 티트컵(10)에 의해 착유되어 상기 분기부(22)를 통해 흐르는 우유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밸브(70)는 상기 착유관(20)의 분기부(22)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닛(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기관(20)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다.
상기 진동아암(80)은 기단부가 상기 연장대(40)의 선단부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된 착유관(2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바(81)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액츄에이터(90)는 일단은 상기 연장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진동아암(80)에 연결된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액츄에이터(90)를 신축시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아암(8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연장대(40)에서 인출된 착유관(20), 특히 상기 분기부(22)의 하측면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젖소의 유방이 마사지되어 젖꼭지를 통해 배출되는 우유의 유량이 증가되어 착유속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즉, 상기 착유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기 티트컵(10)의 당겨 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티트컵(10)을 젖소의 젖꼭지에 결합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착유관(20)의 분기부(22)는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진동액츄에이터(90)를 이용하여 진동아암(80)을 승강시키면, 상기 분기부(22)의 중간부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며, 이러한 움직임이 상기 분기부(22)를 통해 상기 티트컵(10)과 젖소의 젖꼭지에 전달되어 젖소의 젖꼭지를 마사지하는 효과를 얻게 되며, 이에 따라, 젖꼭지를 통해 배출되는 우유의 유량을 증가시켜 착유속도가 향상된다.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인출감지수단(51)과, 상기 유량측정수단(60)을 감지하여, 상기 회동액츄에이터(41)와, 상기 수납장치(50)의 승강액츄에이터(53)에 구비된 에어실린더(53b)와, 상기 진동액츄에이터(90) 및 상기 제어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착유유닛(A)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회동액츄에이터(41)를 작동시켜 상기 연장대(40)가 하측을 향하도록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어밸브(70)를 이용하여 상기 착유관(20)의 분기부(22)를 밀폐한다.
이때, 상기 지지케이스(3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제어유닛(1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101)이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101)을 조작하여 착유유닛(A)을 작동시키면,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회동액츄에이터(41)를 제어하여,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대(40)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장대(40)에 수납된 티트컵(10)이 젖소를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연장대(40)에 수납된 티트컵(10)의 선단부를 잡고 티트컵(10)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제어유닛(10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납장치(50)의 에어실린더(53b)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전방으로 당겨진 티트컵(10)에 연결된 분기부(22)의 제어밸브(70)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에어실린더(53b)가 신장되면, 상기 승강대(52a)와 승강롤(52)이 하강되면서 작업자가 상기 티트컵(10)과 착유관(20)의 분기부(22)가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티트컵(10)의 단부를 젖소의 젖꼭지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유량측정수단(60)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각각의 분기부(22)를 통해 흐르는 우유의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우유의 유량에 따라 상기 진동액츄에이터(90)를 작동시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아암(80)을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이때, 상기 진동액츄에이터(90)에 의해 진동아암(8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속도는 상기 분기부(22)를 통해 흐르는 우유의 유량에 반비례한다.
즉, 상기 분기부(22)를 통해 흐르는 우유의 양이 많을 때는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진동아암(80)이 천천히 승강되도록 하여 젖소의 젖꼭지를 천천히 마사지하도록 하고, 분기부(22)를 통해 흐르는 우유의 양이 적어질수록 상기 제어유닛(100)은 진동아암(80)이 빠르게 승강되도록 하여, 젖소의 꼭지를 강하게 마시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00)은, 각각의 분기부(22)를 통해 흐르는 우유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저하되면, 해당 분기부(22)에 연결된 티트컵(10)이 고정된 젖꼭지에서 더 이상 우유가 착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분기부(22)에 연결된 제어밸브(70)를 밀폐함과 동시에, 해당 분기부(22)에 연결된 수납장치(50)를 작동시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분기부(22) 및 티트컵(10)이 상기 연장대(40)의 수납부(42)로 수납되도록 한다.
그리고, 4개의 분기부(22)를 통해 흐르는 우유의 유량이 모두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저하되어, 2개의 티트컵(10)이 모두 수납부(42)로 수납되면,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회동액츄에이터(41)를 제어하여, 상기 연장대(40)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착유기를 이용하여 착유를 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착유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대(40)가 하측을 향하고, 상기 티트컵(10)이 상기 연장대(40)의 내부로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케이스(30)는 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착유유닛(A)이 상기 개구부(2)를 막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착유실(1)에 젖소를 넣고 상기 착유펌프(B)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케이스(30)를 회동시켜 상기 지지케이스(30)의 전면이 상기 개구부(2)를 통해 젖소를 향하게 한 후, 상기 입력수단(101)을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회동액츄에이터(41)를 제어하여,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대(40)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장대(40)에 수납된 티트컵(10)이 젖소를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연장대(40)에 수납된 티트컵(10)의 선단부를 잡고 티트컵(10)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제어밸브(70)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납장치(50)의 에어실린더(53b)를 신장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티트컵(10)과 착유관(20)의 분기부(22)를 연장대(40)의 전방으로 당겨 티트컵(10)을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착유펌프(B)에 의해 발생된 진공압이 상기 착유관(20)을 통해 티트컵(10)에 전달되어, 젖소의 젖꼭지에서 배출된 우유가 티트컵(10)과 착유관(2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C)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티트컵(10)과 분기부(22)는 4개로 구성됨으로, 작업자는 4번의 작업을 통해 각각의 티트컵(10)이 젖소의 유방에 구비된 4개의 젖꼭지에 모두 결합되도록 한다.
다만, 젖소의 젖꼭지 중에서 염증이 발생되어 우유를 짤 수 없는 젖꼭지가 있을 경우, 염증이 발생된 젖꼭지를 제외한 젖꼭지에만 상기 티트컵(10)을 고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티트컵(10)을 젖꼭지에 고정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유량측정수단(60)의 신호를 감시하고 이에 따라 상기 진동액츄에이터(90)를 작동시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아암(80)을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젖소의 젖꼭지를 마사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유량측정수단(60)의 신호를 감시하여, 일측의 분기부(22)를 통해 흐르는 우유의 양이 설정값 이하로 저하될 경우, 해당 분기부(22)에 구비된 제어밸브(70)를 제어하여 해당 분기부(22)를 밀폐함과 동시에, 해당 분기부(22)에 연결된 수납장치(50)를 작동시켜, 해당 분기부(22)와 분기부(22)에 연결된 티트컵(10)이 상기 연장대(4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한다.
즉, 젖소의 유방에 구비된 4개의 젖꼭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젖꼭지에서 우유가 나오지 않을 경우, 해당 젖꼭지에 고정된 티트컵(10)을 먼저 상기 연장대(40)의 내부로 수납함과 동시에 해당 분기부(22)에 구비된 제어밸브(70)를 밀폐하여 강제로 착유작업을 완료한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으로 각각의 티트컵(10)의 착유작업이 순차적으로 완료되어, 최종적으로 4개의 젖꼭지의 착유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회동액츄에이터(41)를 작동시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대(40)가 하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4개의 티트컵(10)에 남은 우유가 모두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케이스(30)를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착유유닛(A)이 상기 착유실(1)의 개구부(2)를 막지 않도록 하고, 상기 착유펌프(B)를 정지시킴으로써, 착유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착유기는 상기 착유유닛(A)이 지지케이스(30)와, 상기 지지케이스(30)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대(40)로 구성되고, 상기 티트컵(10)은 상기 연장대(40)에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유관(20)은 상기 지지케이스(30)와 연장대(40)를 통해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티트컵(10)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티트컵(10)과 착유관(20)이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티트컵(10)을 당겨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티트컵(10)을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대(40)는 상기 지지케이스(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액츄에이터(4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됨으로, 착유작업이 완료된 후, 티트컵(10)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티트컵(10)에 남은 우유를 배출하고, 상기 티트컵(10)을 별도로 마련된 거치대에 거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는 착유관(20)의 선단부와 티트컵(10)이 상기 연장대(40) 및 지지케이스(3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장치(50)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티트컵(10)을 인출하여 착유작업을 완료한 후, 상기 티트컵(10)이 자동으로 연장대(40)로 수납되도록 할 수 있어서, 티트컵(10)을 상기 연장대(40)로 수납하는 것이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수납장치(50)는 상기 연장대(40)에 구비되어 상기 티트컵(10)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출감지수단(51)과,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 둘레면에 상기 착유관(20)의 중간부가 걸쳐지는 승강롤(52)과, 상기 승강롤(52)에 연결되어 승강롤(52)을 승강시키는 승강액츄에이터(53)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의 신호를 감시하여 작업자가 상기 티트컵(10)을 잡아당기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액츄에이터(53)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롤(52)을 하강시켜 상기 티트컵(10) 및 착유관(20)이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액츄에이터(53)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롤(52)을 상승시켜 상기 티트컵(10) 및 착유관(20)이 연장대(40)와 지지케이스(3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함으로, 상기 티트컵(10)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티트컵(10)에 연결된 분기부(22)는 상기 수납장치(50)에 의해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음으로, 작업자가 상기 티트컵(10)을 당길 때 상기 수납장치(50)에 의해 티트컵(10)이 당겨지지 않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작업자가 티트컵(10)을 당기면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을 이용하여 제어유닛(100)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수납장치(50)를 제어하여 티트컵(10)과 분기부(22)가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쉽게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잇다.
그리고, 상기 착유관(20)의 중간부에는 착유관(20)을 통과하는 우유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수단(6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유량측정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착유관(20)을 통과하는 우유의 유량이 설정된 값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수납장치(50)를 이용하여 상기 착유관(20)과 티트컵(10)을 강제로 젖소의 젖꼭지에서 이탈시켜 상기 연장대(40)와 지지케이스(3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여, 우유가 더 이상 나오지 않는 젖꼭지의 착유작업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더 이상 우유가 나오지 않는 젖꼭지를 과도하게 자극하여, 젖꼭지에 염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티트컵(10)은 4개로 구성되고, 상기 착유관(20)은 상기 착유펌프(B)에 연결되는 상기 착유관(20)은 후단부가 상기 착유펌프(B)에 연결되는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21)의 선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분기부(22)로 구성되며, 상기 착유관(20)의 분기부(22) 중간부에는 상기 분기부(22)의 중간부를 개폐하는 제어밸브(7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방으로 인출되는 티트컵(10)에 연결된 분기부(22)의 제어밸브(70)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4개의 티트컵(10) 중에서 일부의 티트컵(10)만을 선택적으로 젖소의 젖꼭지에 결합하더라도, 용이하게 착유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젖소의 유방에 구비된 젖꼭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젖꼭지에 염증이 발생될 경우, 해당 젖꼭지에 착유를 하지 않음으로, 이러한 경우, 일부의 티트컵(10)만을 이용하여 착유작업을 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착유유닛(A)에 구비된 착유관(20)은 선단부의 분기부(22)가 상호 연통됨으로, 일부의 티트컵(10)만을 이용하여 착유작업을 해야 할 경우, 사용하지 않는 티트컵(10)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밀폐시켜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각각의 분기부(22)에는 제어밸브(7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유작업을 하기 위해 인출한 티트컵(10)에 연결된 분기부(22)만을 개방할 수 있음으로, 사용하지 않은 티트컵(10)을 밀폐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이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대(40)의 선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된 착유관(2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바(81)가 구비된 진동아암(80)과, 상기 진동아암(80)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아암(8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하는 진동액츄에이터(90)가 구비되어, 티트컵(10)을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한 상태로, 상기 진동아암(80)을 상하방향으로 진동시켜 젖소의 젖꼭지를 마사지함으로써, 착유작업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케이스(30)는 전방 일측에 구비된 경첩(31)에 의해 착유실(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2)의 일측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됨으로, 상기 지지케이스(30)를 회동시켜 지지케이스(30)의 전면이 착유실(1)의 개구부(2)를 향하도록 하거나, 착유유닛(A) 전체가 상기 개구부(2)를 막지 않도록 위치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착유작업이 완료된 후, 젖소의 유방을 세척하거나 마사지하는 등의 작업을 할 때, 상기 착유유닛(A)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착유유닛 B. 착유펌프
C. 저장탱크 10. 티트컵
20. 착유관 30. 지지케이스
40. 연장대 50. 수납장치
60. 유량측정수단 70. 제어밸브
80. 회동아암 90. 진동액츄에이터
100. 제어유닛

Claims (8)

  1. 착유유닛(A)과,
    상기 착유유닛(A)에 연결된 착유펌프(B) 및 상기 착유유닛(A)에 의해 착유된 우유를 저장하는 저장탱크(C)를 포함하며,
    상기 착유유닛(A)은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되는 티트컵(10)과,
    상기 티트컵(10)과 착유펌프(B)를 연결하는 착유관(20)을 포함하는 착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유유닛(A)은
    지지케이스(30)와,
    상기 지지케이스(30)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대(40)를 포함하고,
    상기 티트컵(10)은 상기 연장대(40)에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착유관(20)은 상기 지지케이스(30)와 연장대(40)를 통해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티트컵(10)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티트컵(10)과 착유관(20)이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티트컵(10)을 당겨 젖소의 젖꼭지에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위치된 착유관(20)의 중간부를 당겨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된 착유관(20)의 선단부와 티트컵(10)이 상기 연장대(40) 및 지지케이스(3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장치(50)와,
    상기 수납장치(5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장치(50)는
    상기 연장대(40)에 구비되어 상기 티트컵(10)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출감지수단(51)과,
    상기 지지케이스(3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 둘레면에 상기 착유관(20)의 중간부가 걸쳐지는 승강롤(52)과,
    상기 승강롤(52)에 연결되어 승강롤(52)을 승강시키는 승강액츄에이터(53)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의 신호를 감시하여 작업자가 상기 티트컵(10)을 잡아당기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액츄에이터(53)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롤(52)을 하강시켜 상기 티트컵(10) 및 착유관(20)이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액츄에이터(53)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롤(52)을 상승시켜 상기 티트컵(10) 및 착유관(20)이 연장대(40)와 지지케이스(3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40)는 상기 지지케이스(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장대(40)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대(4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액츄에이터(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관(2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착유관(20)을 통과하는 우유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유량측정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착유관(20)을 통과하는 우유의 유량이 설정된 값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수납장치(50)를 작동시켜 상기 착유관(20)과 티트컵(10)이 강제로 젖소의 젖꼭지에서 이탈되어 상기 연장대(40)와 지지케이스(3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여, 더 이상 우유가 나오지 않는 젖꼭지의 착유작업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티트컵(10)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착유관(20)은
    후단부가 상기 착유펌프(B)에 연결되는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21)의 선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티트컵(10)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북수개의 분기부(22)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대(40)에 구비되어 상기 티트컵(10)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출감지수단(51)과,
    상기 착유관(20)의 분기부(22)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부(22)의 중간부를 개폐하는 제어밸브(70)와,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제어밸브(7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인출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방으로 인출되는 티트컵(10)에 연결된 분기부(22)의 제어밸브(7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40)의 선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연장대(40)의 전방으로 인출된 착유관(2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바(81)가 구비된 진동아암(80)과,
    상기 진동아암(80)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아암(8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하는 진동액츄에이터(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스(30)는 전방 일측에 구비된 경첩(31)에 의해 착유실(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2)의 일측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KR1020140005988A 2014-01-17 2014-01-17 착유기 KR101394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88A KR101394529B1 (ko) 2014-01-17 2014-01-17 착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88A KR101394529B1 (ko) 2014-01-17 2014-01-17 착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529B1 true KR101394529B1 (ko) 2014-05-14

Family

ID=5089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988A KR101394529B1 (ko) 2014-01-17 2014-01-17 착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5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482A (ko) 2018-11-28 2020-06-05 이나경 가축용 착유기
KR20200069560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다운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KR102363145B1 (ko) * 2021-06-15 2022-02-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8186A (en) * 1995-11-14 1998-02-17 Van Der Lely; Cornelis Construction including an implement for milking animals
US5957081A (en) * 1993-01-26 1999-09-28 Maasland N.V. Automatic milking and milk cooling apparatus
US6948449B2 (en) * 2000-08-25 2005-09-27 Idento Electronics B.V. Milking apparatus and holder for receiving teat cups
KR100788965B1 (ko) * 2006-04-04 2007-12-27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착유자동화 로봇 및 그 착유자동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081A (en) * 1993-01-26 1999-09-28 Maasland N.V. Automatic milking and milk cooling apparatus
US5718186A (en) * 1995-11-14 1998-02-17 Van Der Lely; Cornelis Construction including an implement for milking animals
US6948449B2 (en) * 2000-08-25 2005-09-27 Idento Electronics B.V. Milking apparatus and holder for receiving teat cups
KR100788965B1 (ko) * 2006-04-04 2007-12-27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착유자동화 로봇 및 그 착유자동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482A (ko) 2018-11-28 2020-06-05 이나경 가축용 착유기
KR20200069560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다운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KR102163580B1 (ko) * 2018-12-07 2020-10-08 주식회사 다운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KR102363145B1 (ko) * 2021-06-15 2022-02-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WO2022265156A1 (ko) * 2021-06-15 2022-12-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2247B1 (en) A control system and a method for milking members in a milking parlour
NL1022699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melken van dieren.
US9549530B2 (en) Milk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senting a teat cup for attaching to an animal
KR101394529B1 (ko) 착유기
NL1020934C2 (nl) Reinigingsinrichting.
JP2001507234A (ja) 搾乳装置及びその方法
PT1731426E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o enchimento de líquidos em sacos de plástico, com um bico.
EP1230844B1 (en) A cleaning device
RU2549109C2 (ru) Система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гибкого трубчатого элемента, соединенного с чашеобразным элементом
US7334537B2 (en) Method of milking an animal and device for this purpose
KR102163580B1 (ko)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CA2946871C (en) Milking device
JP2002176871A (ja) 乳頭の洗浄装置並びに洗浄方法
US9955670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feeding calves
US1987955A (en) Cow milking apparatus
CN205596817U (zh) 一种挤奶杯的泄漏自检控制***
KR102363145B1 (ko)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JP2024524101A (ja) 家畜用自動搾乳装置
RU2654245C1 (ru) Доильный агрегат
US4022158A (en) Automated milking assembly
EA008549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начала процесса доения
NL2025365B1 (nl) Melkinrichting, melksysteem en werkwijze daarvoor
CN214902893U (zh) 一种***牛挤奶设备
GB2307393A (en) Teat-cup cluster removal device
CN209984317U (zh) 一种医用虹吸管式取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