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797B1 -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797B1
KR101388797B1 KR1020120070877A KR20120070877A KR101388797B1 KR 101388797 B1 KR101388797 B1 KR 101388797B1 KR 1020120070877 A KR1020120070877 A KR 1020120070877A KR 20120070877 A KR20120070877 A KR 20120070877A KR 101388797 B1 KR101388797 B1 KR 101388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erminal
coil
terminal fastening
faste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131A (ko
Inventor
안덕진
남기흥
권순영
천명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797B1/ko
Priority to CN2012204513900U priority patent/CN202855466U/zh
Priority to CN201210326679.4A priority patent/CN103515047A/zh
Priority to US13/611,767 priority patent/US9019056B2/en
Publication of KR2014000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7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of signal type inductors or transformers with electronic circuits, e.g.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이면서도 1, 2차 간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는 코일 부품과 그의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다수의 제1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제1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자대와 상기 단자대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2 접속 단자들을 구비하는 제2 단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코일이 권선된 후, 상기 보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보빈과 이격되어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Coil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형이면서도 1, 2차 간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는 코일 부품과 그의 실장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전자 기기들이 소형화, 슬림화됨에 따라, 기기에 사용 되는 코일 부품에 있어서도, 외형상의 높이나 실장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코일 부품이 소형화되면 절연 성능에 대한 요구 사양을 충족시키거나, 국내외의 법령에 근거하는 안전 규격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종래의 경우, 하나의 보빈 상에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이 차례로 권선되고, 보빈에 코어가 결합되는 형태의 코일 부품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소형의 코일 부품의 경우, 보빈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1차측의 외부 접속 단자와 2차측의 외부 접속 단자 사이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경우, 2차측은 외부 접속 단자를 사용하지 않고, 2차 코일에 피복 전선 등을 연결하여 보빈으로부터 멀리 인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코일 부품은 2차측이 외부 접속 단자가 아닌, 와이어(즉 피복 전선)로 구성되므로 고정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품의 실장이나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모든 코일 부품을 수작업으로 실장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와이어는 권선 작업 시 고정되지 않으므로 자동 권선의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1-1511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면서도 1, 2차 간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는 코일 부품과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이면서도 자동 권선이 가능한 코일 부품과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권선 후 외부 접속 단자를 분리하여 기판에 따로 실장하는 코일 부품의 실장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다수의 제1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제1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자대와 상기 단자대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2 접속 단자들을 구비하는 제2 단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코일이 권선된 후, 상기 보빈으로부터 분리되어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단자대와 상기 보빈을 연결하는 보조 권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권선부에는 상기 제2 단자 체결부가 상기 보빈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보빈과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권선부는, 상기 보빈과 인접할수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단자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단자 체결부가 상기 기판에 실장될 때 상기 기판과 상기 단자대를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제2 접속 단자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상기 코일을 상기 제2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상기 제2 단자 체결부가 상기 보빈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결선된 상기 코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일이 적어도 1회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권선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2 단자 체결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2 단자 체결부에 결선되는 상기 코일을 지지하며 상기 코일의 경로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보빈과 일체로 제조되며, 외부 압력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와 상기 보빈이 연결되는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절단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 홈에 의해 인접한 다른 부분에 비해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보빈과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보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와 상기 보빈 중 어느 하나는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단자 체결부와 상기 보빈은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 홈에 끼워지며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제1 단자 체결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확장되는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플랜지부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다수의 제1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제1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보빈; 및 제2 접속 단자들이 체결되는 단자대, 상기 단자대와 상기 보빈을 연결하는 보조 권선부를 구비하는 제2 단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권선부의 외부에는 상기 코일이 일부 권선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보빈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보빈과 이격되어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실장 구조는, 기판; 및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다수의 제1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제1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제2 단자 체결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기판; 및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다수의 제1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제1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제2 단자 체결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보빈으로부터 절단된 제2 단자 체결부가 보빈과 일정거리(1, 2차 간의 절연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기판 상에 실장된다. 따라서 코일 부품을 소형으로 제조하더라도 1, 2차 간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소형의 코일 부품이지만, 종래와 같이 코일이나 와이어가 보빈으로부터 인출되어 직접 기판과 연결되지 않고, 제2 단자 체결부를 통해 기판과 연결된다. 즉 기판 상에 보빈과 제2 단자 체결부를 결합하여 외부 접속 단자들과 기판을 접합하는 과정만으로 코일 부품을 기판에 실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2 단자 체결부가 보빈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코일을 권선하므로, 자동 권선 설비를 통해 코일을 자동으로 권선하고, 자동으로 코일 부품을 기판 상에 실장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나 코일을 직접 기판에 실장하는 종래에 비해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부품 실장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확률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부분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부분 저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보빈으로부터 제2 단자 체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을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보빈으로부터 제2 단자 체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이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부분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부분 저면도이다. 여기서 도 2와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일이 생략된 코일 부품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소형의 트랜스포머(transformer)일 수 있으며, 코일(50), 보빈(20), 및 코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50)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후술되는 보빈(20)에 형성된 권선부(29)에 권선될 수 있다. 여기서 2차 코일은 1차 코일 상에 적층되는 형태로 보빈(20)의 권선부(29)에 권선될 수 있으며, 반대로 2차 코일이 먼저 권선된 후, 2차 코일 상에 1차 코일이 적층되며 권선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들이 권선부(29) 내에 권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다수의 코일들로 1차 코일을 구성하여 다양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2차 코일을 통해 다양한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1차 코일이나 2차 코일을 구성하는 각각의 코일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권선 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50)은 한 가닥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 가닥을 꼬아 형성한 리쯔와이어(Ritz Wire)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일(50)은 리드선이 보빈(20)에 구비되는 제1 접속 단자(26)와 단자핀(36)에 연결된다.
보빈(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심에 관통공(21)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22)와, 몸체부(22)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3), 코일들(50)이 외부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접속 단자(26)와 제2 접속 단자(36)이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4)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2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1)은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공(21)의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는 관통공(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빈(2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공(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관통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3)는 몸체부(22)의 양단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22)의 외주면과 플랜지부들(23)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코일(50)이 권선되는 권선부(29)로 이용된다.
이러한 플랜지부(23)는 권선부(29)에 권선되는 코일(5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코일(50)을 보호하고, 외부와 코일(5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자 체결부(24)는 보빈(20)의 플랜지부(23)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 체결부(24)는 플랜지부(23)에서 외경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체결부(24)는 제1 단자 체결부(25)와 제2 단자 체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 체결부(25)는 권선부(29)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단자 체결부(25)는 플랜지부(2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단자 체결부(25)는 두 개의 플랜지부(23)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 체결부(25)의 끝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 단자(26)가 체결된다. 제1 접속 단자(26)는 보빈(20)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자 체결부(25)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26)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 돌기(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 체결부(30)와 인접한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제2 단자 체결부(30)에 결선되는 코일(50)을 지지하며 코일(50)의 경로를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의 걸림 돌기(26)가 제1 단자 체결부(25)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2개가 일정 거리 이격 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걸림 돌기(26)에 의해, 보빈(20)에서 제2 단자 체결부(30)로 연결되는 코일(50)은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돌기(26)에 의해 연장된 코일(50)은 제2 단자 체결부(30)를 보빈(20)으로부터 분리할 때 걸림 돌기(26)로부터 풀려나와 보빈(20)과 제2 단자 체결부(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 돌기(26)는 상기한 코일(50)을 용이하게 걸 수만 있다면 형성되는 위치나 크기, 형상, 개수 등은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단자 체결부(30)는 끝단에 다수의 제2 접속 단자(36)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 체결부(30)는 코어의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라면 어디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단자 체결부(30)는 제1 단자 체결부(25)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단자 체결부(30)는 제1 단자 체결부(25)나 플랜지부(23) 등 코일(50)이 제2 단자 체결부(30)의 제2 접속 단자(36)에 용이하게 결선될 수 있고, 코일(50) 권선 후, 분리가 용이한 위치라면 다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 체결부(30)는 코일 부품(100)이 기판(90)에 실장될 때, 보빈(20)으로부터 분리되어 보빈(20)과 이격되어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2 단자 체결부(30)는 단자대(32)와 제2 접속 단자(36), 그리고 보조 권선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자대(32)에는 제2 접속 단자(36)들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단자대(32)에는 코일(50)을 제2 접속 단자들(36)까지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39)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 홈(39)은 단자대(32)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접속 단자(36)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넓은 폭을 갖는 하나의 안내 홈(39)만을 형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대(32)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돌기(38)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는 지지 돌기(38)는 제1 접속 단자(26)들 사이에서 제1 접속 단자(26)들이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단자대(32)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 돌기(38)는 솔더 등을 이용하여 제2 단자 체결부(30)를 기판(90)에 실장할 때, 용융된 솔더가 단자대(32)와 기판(90) 사이를 흘러 제2 접속 단자(36)들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지지 돌기(38)는 제2 접속 단자(36)들보다 짧게 돌출되어 제2 단자 체결부(30)가 기판(90)에 실장될 때 기판(90)을 지지하며 단자대(32)와 기판(90)을 일정거리 이격시킨다.
보조 권선부(34)는 단자대(32)와 보빈(20) 즉 제1 단자 체결부(25)를 연결한다.
또한 보조 권선부(34)에는 코일(50)의 일부가 권선된다. 따라서 보조 권선부(34)는 모서리 부분에서 코일(50)이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서리 부분이 면취 가공되거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권선부(34)는 단자대(32)보다 좁은 폭(또는 좁은 두께)로 형성되며, 이에 보조 권선부(34)와 단자대(3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권선부(34)에 권선되는 코일(50)은 상기한 단차에 의해 단자대(32)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보조 권선부(34) 상에 권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권선부(34)는 보빈(20)과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점점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 권선부(34)는 단자대(32)와 인접한 부분의 단면적이 가장 크며, 제1 단자 체결부(25)와 연결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가장 작은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제2 단자 체결부(30)가 제1 단자 체결부(25)에서 분리될 때, 보조 권선부(34)에 권선된 코일(50)들은 보조 권선부(34)에서 용이하게 외부로 빠져나가며 풀릴 수 있다. 이에, 제2 단자 체결부(30)는 보조 권선부(34)에서 풀려버린 코일(50)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보빈(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단자 체결부(30)는 외부 압력 즉, 힘을 가해 제1 단자 체결부(25)와 연결된 부분을 절단함에 따라 보빈(20)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단자 체결부(30)와 제1 단자 체결부(25)의 연결 부분은 절단 홈(35)에 의해 인접한 다른 부분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한 연결 부분은 보조 권선부(34)보다도 작은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단자 체결부(30)와 제1 단자 체결부(25)가 연결되는 부분은 외부 압력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2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스 가공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20)은 절연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2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코어(40, core)는 보빈(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1)에 일부가 삽입되어 자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보빈(20)의 관통공(21)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EE' 코어가 이용될 수 있다. 즉, 동일한 크기 와 형상을 갖는 'E' 형 코어 2개를 결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제2 단자 체결부(30)가 보빈(20)과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코일(50)이 보빈(20)에 권선된다. 그리고 권선된 코일(50)의 리드선들은 제1 단자 체결부(25)의 제1 접속 단자(26)들과 제2 단자 체결부(30)의 제2 접속 단자들(36)에 각각 결선된다.
여기서, 제1 단자 체결부(25)의 제1 접속 단자(26)들에 결선되는 코일(이하, 제1 코일)은 권선부(29)에서 제1 접속 단자(26)로 바로 인출되어 결선될 수 있다.
반면에, 제2 단자 체결부(30)의 제2 접속 단자들(36)에 결선되는 코일(이하, 제2 코일)은 제2 단자 체결부(30)의 보조 권선부(34)에 다수 회 권선된 후, 단자대(32)의 안내 홈(39)을 경유하여 제2 접속 단자들(36)에 결선된다.
여기서 보조 권선부(34)에 권선되는 코일(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빈(20)과 제2 단자 체결부(30)가 제1 단자 체결부(25)에서 분리될 때, 보조 권선부(34)에 권선된 코일(50)들의 길이만큼 제2 단자 체결부(30)는 보빈(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권선부(34)에 권선되는 코일(50)의 권선수는 제2 단자 체결부(30)가 보빈(2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보조 권선부(34)에 권선되는 코일(50)의 거리만으로 제2 단자 체결부(30)를 보빈(20)으로부터 충분하게 이격시키기 어려운 경우, 제1 단자 체결부(25)에 형성된 걸림 돌기(26)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코일(50)이 보조 권선부(34)에 권선될 뿐만 아니라 걸림 돌기(26)를 지지하며 제1 단자 체결부(25) 측으로 적어도 1회 권선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단자 체결부(30)의 이격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보빈(20)으로부터 절단된 제2 단자 체결부(30)가 보빈(20)과 일정거리(1, 2차 간의 절연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부품(100)을 소형으로 제조하더라도 1, 2차 간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제2 단자 체결부의 구성에 있어서 주로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가 있는 제2 단자 체결부의 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보빈으로부터 제2 단자 체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2 단자 체결부(30)가 보빈(20)과 일체로 제조되지 않고 별도로 제조되어 보빈(20)과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 체결부(30)는 보빈(20)에 조립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 단자 체결부(3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3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보빈(20)은 제2 단자 체결부(30)의 결합 돌기(31)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28)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홈(28)과 결합 돌기(31)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조립식으로 보빈(20)과 제2 단자 체결부(30)를 구성하는 경우, 제2 단자 체결부(30)는 보빈(20)에서 절단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단자 체결부(30)를 절단하기 위해 보빈(20)에 무리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2 단자 체결부(3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보빈(20)이나 코일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단자 체결부(25)의 측면에 결합 홈(28)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결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보빈으로부터 제2 단자 체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도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단자 체결부(30)가 보빈(20)과 일체로 제조되지 않고 별도로 제조되어 보빈(20)과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 체결부(30)는 보빈(20)에 조립되어 결합되며, 결합 방식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보빈(20)의 제1 단자 체결부(24)에 결합 홈(28)이 형성된다. 결합 홈(28)은 상부와 측면, 즉 인접한 2개의 면이 개방되는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단자 체결부(30)에는 결합 홈(28)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31)가 형성된다.
또한 보빈(20)과 제2 단자 체결부(3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결합 홈(28)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29)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자 체결부(30)에의 결합 돌기(31) 내에는 끼움 돌기(29)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미 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이(28)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보다 제2 단자 체결부(30)를 보빈(20)으로부터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홈(28)이 제1 단자 체결부(25)의 상부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제1 단자 체결부(25)의 하부에 형성하거나 플랜지부에 형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2 단자 체결부(30)의 단자대(32)에 적어도 하나의 권선 홈(33)이 형성된다.
권선 홈(33)은 코일(50)이 제2 접속 단자(36)에 결선되기 전에 적어도 1회 권선되는 곳으로, 코일(50)을 보다 견고하게 제2 단자 체결부(30)에 결선하기 위해 구비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권선 홈(33)에만 코일(50)이 권선된 형상을 도시하였다.
코일(50)이 먼저 권선 홈(33)에 권선된 후, 제2 접속 단자(36)에 결선됨에 따라, 제2 단자 체결부(30)가 보빈(20)으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코일(50)은 제1 접속 단자(26)로부터 쉽게 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코일(50)이 권선 홈(33)에 먼저 권선된 후 제2 접속 단자(36)에 결선되므로, 코일(50)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단자 체결부(30)가 상기 보빈(20)으로부터 이격될 때 제2 단자 체결부(30)의 움직임으로 인해 제2 접속 단자(36)에 결선된 부분에서 코일(50)이 절곡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보조 권선부(34)에 권선된 코일(50)의 양이 부족한 경우 권선 홈(33)에 권선된 코일(50)을 풀어 코일(50)의 길이를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 체결부(30)는 지지 돌기(38)가 제1 접속 단자(26)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기판(90)과 제2 단자 체결부(30)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의 지지 돌기(38)를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코일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200)은 제2 단자 체결부(30)가 제1 단자 체결부(25)가 아닌, 플랜지부(23)에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단자 체결부(30)가 플랜지부(23)에서 플랜지부(23)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랜지부(23)의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제2 단자 체결부(30)를 배치하는 등 코일의 권선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라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실장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이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실장 구조는 보빈(20)과 제2 단자 체결부(30)가 일정 거리 즉, 1, 2차 절연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각각 기판(90) 상에 실장된다.
이러한 실장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100)을 제조한 후, 이를 기판(90) 상에 먼저 실장하는 과정과, 실장된 코일 부품(100)으로부터 제2 단자 체결부(30)를 분리하는 과정, 그리고 분리된 제2 단자 체결부(30)를 보빈(2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실장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실장 구조는 소형의 코일 부품이지만, 종래와 같이 코일이나 와이어가 보빈으로부터 인출되어 직접 기판과 연결되지 않고, 제2 단자 체결부를 통해 기판과 연결된다.
즉 기판 상에 보빈과 제2 단자 체결부를 끼운 후 외부 접속 단자들과 기판을 접합하는 과정만으로 코일 부품을 기판에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와이어가 외부 접속 단자를 대신하는 경우, 수작업으로 코일을 권선하고 코일 부품을 실장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2 단자 체결부가 보빈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코일을 권선하므로, 자동 권선 설비를 통해 코일을 자동으로 권선하고, 자동으로 코일 부품을 기판 상에 실장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나 코일을 직접 기판에 실장하는 종래에 비해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부품 실장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확률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또는 전원 공급 장치에 코일 부품이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어와 코일을 구비하는 모든 코일 부품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00....코일 부품
20.....보빈
21.....관통공
22.....몸체부
23.....플랜지부
24.....단자 체결부
25.....제1 단자 체결부
26.....제1 접속 단자
29.....권선부
30.....제2 단자 체결부
36.....제2 접속 단자
40.....코어
50.....코일
90.....기판

Claims (18)

  1.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다수의 제1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제1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자대와, 상기 단자대에 체결되는 다수의 제2 접속 단자들을 구비하는 제2 단자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코일이 권선된 후, 상기 보빈으로부터 분리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코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단자대와 상기 보빈을 연결하는 보조 권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권선부에는 상기 제2 단자 체결부가 상기 보빈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보빈과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권선부는,
    상기 보빈과 인접할수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코일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단자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단자 체결부가 기판에 실장될 때 상기 기판과 상기 단자대를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제2 접속 단자들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상기 코일을 상기 제2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이 형성되는 코일 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상기 제2 단자 체결부가 상기 보빈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결선된 상기 코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일이 적어도 1회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권선 홈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2 단자 체결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2 단자 체결부에 결선되는 상기 코일을 지지하며 상기 코일의 경로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보빈과 일체로 제조되며, 외부 압력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분리되는 코일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와 상기 보빈이 연결되는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절단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 홈에 의해 인접한 다른 부분에 비해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보빈과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일 부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와 상기 보빈 중 어느 하나는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단자 체결부와 상기 보빈은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 홈에 끼워지며 상호 결합하는 코일 부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제1 단자 체결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코일 부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확장되는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플랜지부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코일 부품.
  15.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다수의 제1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제1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보빈; 및
    제2 접속 단자들이 체결되는 단자대, 상기 단자대와 상기 보빈을 연결하는 보조 권선부를 구비하는 제2 단자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권선부의 외부에는 상기 코일이 일부 권선되고,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는 상기 보빈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보빈과 이격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코일 부품.
  16. 삭제
  17. 기판; 및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다수의 제1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제1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제2 단자 체결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 부품의 실장 구조.
  18. 기판; 및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다수의 제1 접속 단자들이 체결된 제1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제2 단자 체결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단자 체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기기.
KR1020120070877A 2012-06-29 2012-06-29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1388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877A KR101388797B1 (ko) 2012-06-29 2012-06-29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2012204513900U CN202855466U (zh) 2012-06-29 2012-09-05 线圈组件、线圈组件的安装结构以及电子装置
CN201210326679.4A CN103515047A (zh) 2012-06-29 2012-09-05 线圈组件、线圈组件的安装结构以及电子装置
US13/611,767 US9019056B2 (en) 2012-06-29 2012-09-12 Coil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877A KR101388797B1 (ko) 2012-06-29 2012-06-29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31A KR20140003131A (ko) 2014-01-09
KR101388797B1 true KR101388797B1 (ko) 2014-04-23

Family

ID=4798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877A KR101388797B1 (ko) 2012-06-29 2012-06-29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19056B2 (ko)
KR (1) KR101388797B1 (ko)
CN (2) CN1035150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797B1 (ko) * 2012-06-29 2014-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6236868B2 (ja) * 2013-05-17 2017-11-29 富士通株式会社 トランス装置及びトランス装置の製造方法
CN104733228A (zh) * 2013-12-20 2015-06-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量化控制交流接触器走线余量的方法及交流接触器
GB2568497A (en) * 2017-11-17 2019-05-22 Invertek Drives Ltd A transform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ormer
EP3800652A4 (en) * 2018-07-23 2021-09-15 Suzhou Opple Lighting Co., Ltd. INDUCTOR CORE AND INDUCER DEVICE
KR102130678B1 (ko) 2019-04-16 2020-07-06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 부품
KR102173774B1 (ko) * 2020-07-10 2020-11-04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코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TWI751846B (zh) * 2020-12-18 2022-01-0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變壓器及其繞線架
US20240087800A1 (en) * 2021-01-22 2024-03-14 Lg Innotek Co., Ltd. Transform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0258A (ja) * 1998-11-12 2000-05-30 Fuji Elelctrochem Co Ltd ボビンと別体の端末ホルダを用いるコイル部品
JP2012015526A (ja) * 2010-07-02 2012-01-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021650A (ko) * 2010-08-11 2012-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KR20120025377A (ko) * 2010-08-11 2012-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05C (zh) * 2000-07-28 2004-09-22 达方电子股份有限公司 变压器的绕线架
JP3831368B2 (ja) * 2003-09-25 2006-10-11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リーケージトランス
TWI253658B (en) * 2005-03-01 2006-04-21 Darfon Electronics Corp Bobbin module of transformer
JP4099815B2 (ja) * 2005-09-05 2008-06-11 ミネベア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4860546B2 (ja) * 2007-05-23 2012-01-25 ミネベア株式会社 コイルボビ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52233B2 (ja) * 2007-07-17 2012-10-17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トランス
KR101521915B1 (ko) 2008-08-21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1323118Y (zh) * 2008-11-28 2009-10-07 东莞创慈磁性元件有限公司 改良的绕线架结构
TWI371763B (en) * 2009-06-03 2012-09-01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structure
CN101908411B (zh) * 2009-06-08 2012-10-0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变压器结构
JP2011151170A (ja) 2010-01-21 2011-08-04 Nec Tokin Corp 巻線部品ならびにスイッチング電源用トランスおよびチョークコイル
TWI381404B (zh) * 2010-03-12 2013-01-01 Delta Electronics Inc 組合式變壓器結構
US8698587B2 (en) * 2010-07-02 2014-04-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ransformer
US20120038448A1 (en) 2010-08-11 2012-02-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TWM411647U (en) * 2011-01-14 2011-09-11 Yujing Technology Co Ltd Dual-face secondary-side lamination transformer
CN102768899A (zh) * 2011-05-06 2012-11-0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绕线架及具有该绕线架的变压器
TWI420545B (zh) * 2011-05-06 2013-12-21 Delta Electronics Inc 繞線架及具有該繞線架之變壓器
KR101388797B1 (ko) * 2012-06-29 2014-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0258A (ja) * 1998-11-12 2000-05-30 Fuji Elelctrochem Co Ltd ボビンと別体の端末ホルダを用いるコイル部品
JP2012015526A (ja) * 2010-07-02 2012-01-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021650A (ko) * 2010-08-11 2012-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KR20120025377A (ko) * 2010-08-11 2012-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19056B2 (en) 2015-04-28
CN202855466U (zh) 2013-04-03
CN103515047A (zh) 2014-01-15
US20140002224A1 (en) 2014-01-02
KR20140003131A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797B1 (ko)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6380745B2 (ja) トランス
US9299491B2 (en) Transformer coil
CN108231378B (zh) 线圈装置
KR20120003008A (ko) 표면 실장 자성 부품 조립체
US20110115594A1 (en) Magnetic element, fabricating process thereof, and assembly of magnetic element and circuit carrier
JP2007096181A (ja) 面実装型インダクタ
KR101240854B1 (ko) 트랜스포머
JP2016187031A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06148B2 (ja) コイル部品
KR101588700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44261A (ko)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JP6344089B2 (ja) コイル装置
KR20160042559A (ko) 코일 부품
KR101153515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3521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3067A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42560A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116069A1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67951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352174B1 (ko) 코일 부품
JP6227245B2 (ja) チョークコイル装置
JP5464733B2 (ja) トランス
KR101690251B1 (ko) 코일 부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
US12027301B2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