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559A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559A
KR20160042559A KR1020140136629A KR20140136629A KR20160042559A KR 20160042559 A KR20160042559 A KR 20160042559A KR 1020140136629 A KR1020140136629 A KR 1020140136629A KR 20140136629 A KR20140136629 A KR 20140136629A KR 20160042559 A KR20160042559 A KR 20160042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connection
coil
terminal portion
terminal
connec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덕진
권순영
이영민
박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4013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2559A/ko
Priority to CN201510184897.2A priority patent/CN106158292A/zh
Publication of KR2016004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01F27/2852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코일들을 외부 접속 단자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부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다수의 열로 상기 단자부에 체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부품{COIL COMPONENT}
본 발명은 코일 부품을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제조가 용이한 코일 부품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원공급장치는 기본적으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코일 부품 즉 트랜스포머가 탑재되는데,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일반적으로 보빈에 코일이 권선되고, 코어가 보빈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전자 기기가 복잡해짐에 따라, 하나의 트랜스포머로부터 하나의 전압이 아닌 다양한 전압을 인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1차 코일과 2차 코일도 하나가 아닌 여러 코일 가닥이 권선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코일들을 외부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핀의 개수도 증가한다.
그러나 이처럼 단자핀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단자핀들 사이의 절연 거리도 확보되어야 하며, 이에 단자핀들이 배치되는 단자부의 길이도 증가한다. 따라서 코일 부품의 전체적인 크기나, 실장 영역도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 2010-02774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단자핀을 구비하더라도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많은 단자핀을 구비하더라도 제조가 용이한 코일 부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부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다수의 열로 상기 단자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자부는 상기 권선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1열이 체결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제1 단자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2열이 체결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상기 권선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제1 단자부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에 체결되는 1열의 외부 접속 단자들, 및 상기 1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1열의 외부 접속 단자보다 보다 수직 방향 상측에서 상기 단자부에 체결되는 2열의 외부 접속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외부 접속 단자를 1열이 아닌 2열 이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많은 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을 구비하더라도 단자부의 길이가 길어져 코일 부품 전체의 폭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에 대해 단차(230)를 두어 배치하므로 제조 과정에서 솔더링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 외부 접속 단자들의 개수가 많더라도 외부 접속 단자들 간의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자동 권선 설비를 이용한 자동 권선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도 1의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솔더링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일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전원공급장치에 탑재되는 플라이백(flyback) 트랜스포머일 수 있으며, 보빈(10), 코어(40), 및 코일(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빈(10)은 코일 부품(100)의 전체적인 몸체를 형성한다. 보빈(1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1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빈(10)은 코일(50)이 권선되는 권선부(12)와, 권선부(12)의 일단에 형성되는 단자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선부(12)는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3)와, 몸체부(13)의 양단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3)의 내부에는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며, 몸체부(13)의 외주면에는 코일(50)의 권선 공간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14)에 의해 구분되는 각각의 공간에는 코일(50)이 권선될 수 있다.
권선부(12)는 하나의 격벽(14)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는 2개의 분할된 공간을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격벽(14)을 통해 다양한 개수의 공간을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격벽(14)은 그 형태를 유지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두께 및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14)이 보빈(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독립적인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보빈(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격벽(14)은 후술되는 상부 플랜지부(15a)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5)는 몸체부(13)의 양단 즉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15)는 형성 위치에 따라 상부 플랜지부(15a)와 하부 플랜지부(15b)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의 외주면, 상부 플랜지부(15a), 및 하부 플랜지부(15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코일(50)이 권선되는 권선 공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부(15)는 권선 공간에 권선되는 코일(5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코일(50)을 보호하고, 외부와 코일(5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자부(20)는 하부 플랜지부(15b)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20)는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하부 플랜지부(15b)에서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 플랜지부(15b)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20)는 하부 플랜지부(15b)에서 부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하부 플랜지부(15b)와 단자부(20)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단자부(20)는 하부 플랜지부(15b) 자체가 단자부(20)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단자부(20)는 체결 블록(28), 안내 홈(26), 및, 안내 돌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블록(28)은 다수개가 단자부(20)의 형상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이때, 체결 블록(28)이 이격된 사이의 공간은 안내 홈(26)으로 형성되며, 코일의 리드선(도 1의 L)이 인출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또한 안내 홈(26)은 자동 권선 장치(미도시)에서 코일을 권선하는 노즐이 이동하는 통로로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홈(26)의 폭은 코일(50)의 직경 또는 노즐의 직경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 블록(28)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30)가 체결된다. 도 3에서는 하나의 체결 블록(28)에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30)만이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체결 블록(28)에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30)를 체결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안내 돌기(24)는 단자부(20)의 측면에서 돌출된다. 따라서 안내 돌기(24)는 외부 접속 단자들(30)과 직각을 이루며 돌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내 돌기(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의 리드선(L)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안내 홈(26)을 통해 인출된 리드선(L)은 안내 돌기(24)에 감기는 형태로 안내 돌기(24)를 지지하며 근거리(또는 원거리)에 배치된 외부 접속 단자(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내 돌기(24)는 코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코일의 리드선(L) 직경 이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단자부(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 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인출 홈(22)은 단자부(20)와 하부 플랜지부(15b)를 절개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권선부(12)에 권선된 코일(50)이 권선부(12)의 외부로 인출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따라서 코일(50)의 리드선(L)들은 인출 홈(22)을 통해 권선부(12)의 하부로 인출된 후, 안내 홈(26)을 통해 단자부(20)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안내 돌기(24)를 지지하며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출 홈(22)을 통해 인출된 후 직접 외부 접속 단자(30)로 연결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외부 접속 단자(30)는 일단이 단자부(20)의 하부면 예컨대, 체결 블록(28)에 체결되고 타단은 하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는 핀(Pin)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부 접속 단자(30)를 단자부(20)의 하부면이 아닌 단자부(20) 측면에 체결하고 중심을 절곡하여 타단을 하측 방향으로 배치하는 등 코일 부품의 형태나 구조, 또는 코일 부품이 장착되는 기판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20)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되는 코일(50)의 차수에 따라 1차측 단자부(20b)와 2차측 단자부(20a)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1차측 단자부(20b)와 2차측 단자부(20a)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접속 단자(30)가 다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1차측 단자부(20b)에는 6개의 외부 접속 단자(30)가 체결되고, 2차측 단자부(20a)에는 8개의 외부 접속 단자(30)가 체결된다. 이는 2차측 코일이 다수개의 코일(예컨대, 4개)을 포함으로써 도출된 구성이다. 따라서 2차측 코일이 5개 이상의 코일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 접속 단자(30)의 개수는 더 증가될 수 있다.
이처럼 많은 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30)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2차측 단자부(20a)의 길이가 권선부(12)나 플랜지부(15)의 폭(또는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보빈의 전체적인 폭도 증가하게 되므로 코일 부품의 실장 면적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보빈의 제조 과정에서 금형 내에 보빈이 차지하는 면적도 증가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외부 접속 단자들(30)을 다수의 열로 배열한다.
이를 위해, 2차측 단자부(20a)는 1차측 단자부(20b)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단자부(210)와 제1 단자부(210)의 양단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되는 제2 단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2차측 단자부(20a)는 전체적으로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차측 단자부(20a)에 체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의 1열(30a)은 제1 단자부(210)에 체결되고, 2열(30b)은 제2 단자부(220)에 체결된다.
도 3에는 제2 단자부(220)에 각각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30)만이 체결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단자부(220)가 외부로 더 돌출되고 제2 단자부(220)를 따라 외부 접속 단자들(30)이 3열, 4열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단자부(220)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하여 2열(30b)에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30)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외부 접속 단자(30)가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2차측 단자부(20a)는 하부면에 단차(도 4의 2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230)는 제1 단자부(210)와 제2 단자부(220)를 연결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차(230)는 외부 접속 단자(30)의 1열(30a)과 2열(30b)을 구분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단차(230)에 의해 1열의 외부 접속 단자(30a)와 2열의 외부 접속 단자(30b)는 서로 다른 수평면에서 단자부(20b)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차(230)는 권선부(12)의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단자부(220)에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30)은 제1 단자부(210)에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30)보다 수직 방향 상측에서 단자부(20b)에 체결된다.
이러한 단차(230)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의 리드선(L)이 2열(30b)의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되는 수직 위치는 1열(30a)의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되는 수직 위치보다 상측에 형성된다. 또한 2열(30b)에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30)의 길이는 1열(30a)에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30)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30)에 리드선(L)을 결선하고 솔더링(soldering)하는 과정에서 상호 간에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일 부품(100)은 보빈에 코일의 권선이 완료되고 코어(40)가 조립된 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된 코일(L)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는 솔더링 공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솔더링 공정은 코일(L)이 결선된 외부 접속 단자(30)를 용융 솔더(92)가 수용된 납조(90)에 담그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솔더링 공정에서 외부 접속 단자들(3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면, 외부 접속 단자(30)에 감겨진 리드선(L)들의 부피로 인해 외부 접속 단자들(30)은 상호 간에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외부 접속 단자들(30)을 과도하게 이격 배치하는 경우, 단자부(20)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므로 코일 부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1열에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30a)과, 2열에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30b)이 서로 다른 수평면에서 체결된다.
이러한 경우, 코일의 리드선(L)들은 서로 다른 수직 위치에서 외부 접속 단자(30)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외부 접속 단자들(3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면서 리드선(L)이 권선된 부분은 최대로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으로 갈수록 단자부(20)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단차(230)가 형성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접속 단자(30)의 1열(30a)과 2열(30b)을 용융 솔더 납조(90)에 동시에 담글 수 있다. 따라서 한번의 공정으로 2차측 단자부(20a)의 모든 외부 접속 단자(30)에 용융 솔더(90)의 도포가 가능하다.
외부 접속 단자(30)의 1열(30a)과 2열(30b)이 동일한 수평면상에 배치되는 경우, 1열(30a)과 2열(30b)을 용융 솔더(92)가 저장된 납조(90)에 동시에 담그게 되면, 코어(40)나, 권선부에 권선된 코일로 용융 솔더(92)가 유입되기 쉬우며, 이에 제조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에 본 실시예와 같이 외부 접속 단자(30)의 내측 열(예컨대 1열(30a))과 외측 열(예컨대 2열(30b))에 단차(230)를 형성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40)나 권선부(12)를 납조(90)의 용융 솔더(92)와 충분히 이격시키면서 내측 열(30a)과 외측 열(30b)을 용이하게 납조(90)에 담글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어(40)의 하부면은 외부 접속 단자(30)의 1열(30a)이 체결되는 단자부(20b)의 하부면과 대략 동일하거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코어(40, core)는 일부가 보빈(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도 2의 11)에 삽입되어 코일(50)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보빈(10)의 관통공(11)에 일부가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는 그 형상에 따라 'EE' 코어, 'EI' 코어, 'UU' 코어, 'UI' 코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코일(도 1의 50)은 보빈(10)의 권선부(12)에 권선되며,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각각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 개의 개별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모두 다수의 개별 코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에 따라 1차 코일은 6개의 외부 접속 단자(30)를 이용하고, 2차 코일은 8개의 외부 접속 단자(30)를 이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개별 코일 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50)은 통상의 절연 코일(예컨대, 폴리우레탄 와이어, polyurethane wir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 가닥의 와이어를 꼬아 형성한 연선(撚線) 형태의 코일(예컨대 리쯔 와이어, Litz wir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절연성이 높은 다중 절연 코일(예컨대 TIW, Triple Insulated Wire)을 이용하는 등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외부 접속 단자를 1열이 아닌 2열 이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많은 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을 구비하더라도 단자부의 길이가 길어져 코일 부품 전체의 폭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에 대해 단차를 두어 배치하므로 제조 과정에서 솔더링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 접속 단자를 1열이 아닌 2열 이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코일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로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제공하므로, 코일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들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호 간에 교차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하여, 외부 접속 단자들의 개수가 많더라도 외부 접속 단자들 간의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자동 권선 설비를 이용한 자동 권선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200)은 보빈(10)의 단자부(예컨대 2차측 단자부(20a))형상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를 갖는 부분을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200)의 단자부(20a, 20b)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단자부(20b)에 외부 접속 단자(30)가 다수의 열로 배치된다.
또한 단자부(20b)는 권선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단자부(20b)의 바닥면 중 권선부 측에 배치된 1열(30a)이 체결된 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며, 2열(30b)이 체결된 면은 경사면(S)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2열에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30b)는 1열에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30a)보다 상부에서 단자부(20b)에 체결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300)은 1열(30a)과 2열(30b)이 모두 경사면(S)에 체결된다.
도 6의 실시예와 도 7의 실시예 모두 1열의 외부 접속 단자(30a)와 2열의 외부 접속 단자(30b)가 서로 다른 수직 위치에서 단자부(20b)에 체결된다. 따라서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코일의 리드선이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되는 되는 수직 위치도 다르게 형성되므로 솔더링 과정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열(30a)과 2열(30b)을 동시에 납조에 담글 수 있으므로 제조도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코일 부품 중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트랜스포머나 고주파 필터 등 코일을 권선하여 이용하는 부품이나,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 200, 300.....코일 부품
10.....보빈 11.....관통 홀
12.....권선부 13.....몸체부
14.....격벽
15.....플랜지부
15a.....상부 플랜지부 15b.....하부 플랜지부
20.....단자부
30.....외부 접속 단자
40.....코어 50.....코일

Claims (18)

  1.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부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다수의 열로 상기 단자부에 체결되는 코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권선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1열이 체결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제1 단자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2열이 체결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권선부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1 단자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코일 부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는,
    하부면에 단차(230)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230)에 의해 상호 구분되는 코일 부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1 단자부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외부로 갈수록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하부면 중 적어도 일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열의 외부 접속 단자들은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코일 부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들은 모두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코일 부품.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2열의 외부 접속 단자가 상기 1열의 외부 접속 단자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코일 부품.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열에 배치되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들은 1열에 배치되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들 보다 수직 방향 상측에서 상기 단자부에 체결되는 코일 부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들이 체결되는 체결 블록,
    상기 체결 블록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이 배치되는 안내 홈; 및
    상기 단자부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코일을 지지하는 안내 돌기;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에서 상기 권선부를 향해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권선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이 상기 권선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이월 홈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15. 코일;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상기 권선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제1 단자부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에 체결되는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단자부의 외측에 배치될수록 갈수록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코일 부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제2 단자부에 체결된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수직 위치는 상기 제1 단자부에 체결된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수직 위치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코일 부품.
  18.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에 체결되는 1열의 외부 접속 단자들; 및
    상기 1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1열의 외부 접속 단자보다 보다 수직 방향 상측에서 상기 단자부에 체결되는 2열의 외부 접속 단자들;
    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KR1020140136629A 2014-10-10 2014-10-10 코일 부품 KR20160042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29A KR20160042559A (ko) 2014-10-10 2014-10-10 코일 부품
CN201510184897.2A CN106158292A (zh) 2014-10-10 2015-04-17 线圈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29A KR20160042559A (ko) 2014-10-10 2014-10-10 코일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559A true KR20160042559A (ko) 2016-04-20

Family

ID=5591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629A KR20160042559A (ko) 2014-10-10 2014-10-10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42559A (ko)
CN (1) CN1061582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529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필룩스 변압 장치
KR20220009652A (ko) * 2020-07-16 2022-01-2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KR20220022671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529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필룩스 변압 장치
KR20220009652A (ko) * 2020-07-16 2022-01-2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KR20220022671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58292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797B1 (ko)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112399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692638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9935448B (zh) 线圈装置
US8749336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20038448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2015525A (ja) トランスフォーマー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383216A (zh) 安装在电路基板上的带有绝缘用罩的变压器
CN104517710A (zh) 线圈组件
CN103515044A (zh) 线圈组件及包括该线圈组件的显示装置
CN103915246B (zh) 线圈部件
KR101240865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3107005A (zh) 变压器
KR20160042559A (ko) 코일 부품
KR101218997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6158240A (zh) 线圈组件及其制造方法
JP5680327B2 (ja) 分割巻トランス
JP6413639B2 (ja) 磁性素子
JP2014053453A (ja) 電磁誘導器
KR101328286B1 (ko) 트랜스포머
KR101133294B1 (ko) 트랜스포머
CN104599821A (zh) 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KR101656013B1 (ko) 코일 부품
KR102352174B1 (ko) 코일 부품
KR101133315B1 (ko)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