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495B1 -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및 그러한 윈드 디플렉터를 갖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및 그러한 윈드 디플렉터를 갖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495B1
KR101357495B1 KR1020070074407A KR20070074407A KR101357495B1 KR 101357495 B1 KR101357495 B1 KR 101357495B1 KR 1020070074407 A KR1020070074407 A KR 1020070074407A KR 20070074407 A KR20070074407 A KR 20070074407A KR 101357495 B1 KR101357495 B1 KR 101357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eflector
vehicle
tension bow
brace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321A (ko
Inventor
펠릭스 헤르만
도미닉 바이엘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8001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2Wind deflectors for open roofs
    • B60J7/223Wind deflectors for open roofs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bl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2Wind deflectors for open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1)용 윈드 디플렉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1)용 윈드 디플렉터(2)는, 인장 보우(3) 및 인장 보우(3)와 연결된 루프 버팀대(8)를 가지며, 인장 보우는 차량(1)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고정된 선회축(7)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인장 보우(3)에는 가요성 평면 구조(19, 42)가 고정되고, 평면 구조는 인장 보우(3)의 선회축(7)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되는 롤링 축(20, 41)을 중심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루프 버팀대(8)는 차량(1)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고정된 선회축(12)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회축(12)은 차량(1)의 종방향으로 인장 보우(3)의 선회축(7)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인장 보우(3)는 운동 가능한 연결 메카니즘(13, 23, 24, 25)에 의해 루프 버팀대(8)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윈드 디플렉터(2)를 갖는 차량(1)에 관한 것이다.
윈드 디플렉터, 인장 보우, 연결 메카니즘, 루프 버팀대, 평면구조

Description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및 그러한 윈드 디플렉터를 갖는 차량{WIND DEFLECTOR FOR A VEHICLE AND VEHICLE WITH SAID WIND DEFLECTOR}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및 그러한 윈드 디플렉터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윈드 디플렉터 및 차량은 DE 197 25 217 C1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윈드 디플렉터의 경우 방향 전환 지지부가 관절식으로 인장 보우(stretching bow)에 장착되어 있다. 방향 전환 지지부는 횡 요소를 포함하는데, 이는 방향 전환부로서 유연하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평면 구조를 위해 사용되고 평면 구조의 감김 및 풀림을 위해 가위 조인트 방식에 의해 수평으로 변위된다. 평면 구조가 감길 수 있고 그로부터 풀릴 수 있는 롤링 축은, 차량 후방에 위치 고정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가위 조인트는 구현하기가 복잡하며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윈드 프로텍터로서 사용되는 작동 위치와, 윈드 프로텍터로서 사용되지 않는 휴지 위치로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확실한 방법으로 올 수 있는 윈드 디플렉터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0항의 기술적 교시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에서 루프 버팀대는, 차량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며 위치 고정식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루프 버팀대의 선회축은 인장 보우의 선회축에서 차량의 종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다. 또한 인장 보우는 이동할 수 있는 연결 메카니즘에 의해 루프 버팀대와 연결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특히 컨버터블 차량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 인장 보우와 루프 버팀대는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 운동학 즉, 이동 가능한 연결 메카니즘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 메카니즘은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의 선회시 특히 적어도 연결 메카니즘의 부분이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움직인다. 또한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의 연결부는 한 부분의 선회가 또 다른 부분의 선회를 유도하도록 야기하는데, 이는 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 함께 구동하기 때문이다.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의 선회를 위해 하나의 동력 장치면 충분할 수 있다. 윈드 디플렉터는, 대체로 차량의 벨트 선 높이에 위치하고 윈드 프로텍터가 보장되지 않는 휴지 위치와, 대체로 수직 배향되고 윈드 프로텍터가 보장되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특히 간단한 방법으로 선회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의 분리식 및 위치 고정식 지지에 의해 그 형태와 크기 설계가 광범위하게 서로 독립되게 제공된다. 또한 장치의 특히 양호한 안정성 및 신뢰도가 주어진다.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는 특히 회전 이동의 실행을 위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인장 보우의 선회축은 차량의 전진 방향으로 루프 버팀대의 선회축 전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메카니즘은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 측면 영역에서 상기 인장 보우와 루프 버팀대와 연결된다. 따라서 특히 간단한 방법으로 윈드 디플렉터의 작동 위치와 휴지 위치 사이의 변경을 보장하기 위해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의 선회를 위한 특히 소형 장치 및 짧은 이동 경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메카니즘은 인장 보우와 루프 버팀대 모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 메카니즘은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에 관절식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은 간단하고 확실히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메카니즘은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에 4개의 조인트의 형태로 연결된다. 그러한 4개의 조인트는 작고 저렴하게 형성된다. 또한 간단한 방법으로 중간 기어가 인장 보우와 루프 버팀대 사이에 구현되어 인장 보우의 선회와 루프 버팀대 사이에 특정한 전환비가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발명의 구성예에서 연결 메카니즘은 조정 레버를 포함하는데, 이는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인장 보우와 조정 레버 사이에 연결 위치로서 형성된 회전점은 인장 보우의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해 형성된 인장 보우의 회전점에서, 그리고 루프 버팀대와 조정 레버 사이에 연결 위치로서 형성된 회전점은 루프 버팀대의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해 형성된 루프 버팀대의 회전점에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특히 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조정 레버는 특히 저렴하게 제작 가능하고 설치 가능하며 견고하고 확실한 연결과 선회를 보장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루프 버팀대의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해 형성된 회전점은 구동점으로서 윈드 디플렉터의 선회를 위한 동력 장치의 연결을 위해 형성된다. 상기 동력 장치가 상기 회전점에 작용함으로써 윈드 디플렉터의 효과적인 선회 및 평면 구조의 감김 또는 풀림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연결 메카니즘은 제1 조정 레버, 제2 조정 레버 및 제3 조정 레버를 포함하고, 이는 공동 회전점에서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조정 레버는 인장 보우와, 제2 조정 레버는 루프 버팀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3 조정 레버는 윈드 디플렉터의 선회를 위한 동력 장치의 연결을 위한 구동점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4개의 조인트가 형성되는데, 이는 인장 보우와 루프 버팀대 사이의 바람직한 진행이 컴팩트하고 신뢰성 있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장 보우의 선회 운동과 루프 버팀대의 선회 운동 사이의 전환비 설정을 위한 중간 기어가 특히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인장 보우의 선회 및 루프 버팀대의 선회 사이에 약 1:2의 전환비가 고정되도록 연결 메카니즘이 배치되고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와 연결된다. 휴지 위치에서 윈드 디플렉터 즉, 인장 보우와 루프 버팀대 모두 대체로 차량의 벨트 선 높이에 있다. 윈드 디플렉터의 작동 위치에서 인장 보우는 대체로 수직 위치를 갖는데, 즉 휴지 위치에 비해 약 90°로 선회된다. 루프 버팀대는 이에 반해 수평의 즉, 휴지 위치에 비해 약 180°선회된 위치를 갖는다. 연결 메카니즘에 의해 구현된 1:2의 전환비로 인해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의 상이한 선회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예에서 롤링 축은 평면 구조의 감김 및 풀림을 위해 차량, 특히 후미부에서 위치 고정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루프 버팀대는 풀려있는 평면 구조의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 전환 요소로서 배치된다. 따라서 윈드 디플렉터의 선회시 인장 보우에 고정된 평면 구조가 롤링 축에서 풀리게 된다. 또 풀려있는 평면 구조는 루프 버팀대에서 방향 전환되고 인장된다. 그 경우에 평면 구조의 한 부분은 인장 보우에 대한 평면 구조의 고정부와, 방향 전환 요소로서 사용되는 루프 버팀대 사이에 작용 면을 인장 고정하는데 이는 윈드 프로텍터로서 사용된다. 평면 구조의 상기 부분은 바람직하게 전반적으로 수직으로 진행한다. 또 다른 부분은 방향 전환 요소로서 사용되는 루프 버팀대와 롤링 축 사이에 커버 표면을 인장 고정하는데, 이는 바람직하게 예컨대 차량의 뒷자석 영역 또는 컨버터블 차량의 루프 케이스를 위한 커버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평면 구조의 상기 다른 부분은 바람직하게 전반적으로 수평으로 진행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성예에서 평면 구조의 감김 및 풀림을 위한 롤링 축은 루프 버팀대에, 특히 그 선회축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되는 루프 버팀대의 횡 방향 웨브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특별히 공간이 남겨진 윈드 디플렉터의 구성예를 가능케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예에서는 추가의 가요성 평면 구조가 있는데, 이는 차량에, 특히 그 후미부에 위치 고정식으로 장착되고 루프 버팀대에 형성된 롤링 축을 중심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이를 통해 평면 구조는 윈드 디플렉터의 작동 위치에서 인장 보우에 대한 평면 구조의 고정부와, 루프 버팀대에 형성되어 있고 그에 할당되어 있는 롤링 축 사이에 작용 면을 인장 고정하고, 이는 윈드 프로텍터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평면 구조는 바람직하게 전반적으로 수직으로 진행된다. 추가 평면 구조는, 루프 버팀대에 형성되어 있고 그에 할당되어 있는 롤링 축과, 차량에 대한 위치 고정식 고정부 사이에 커버 표면을 인장 고정하는데, 이는 바람직하게 예컨대 차량의 뒷자석 영역 또는 컨버터블 차량의 루프 케이스를 위한 커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평면 구조는 바람직하게 전반적으로 수평으로 진행된다.
바람직하게 두 평면 구조는, 동일한 롤링 축을 중심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고 감긴 경우에는 롤링 축 상에 적층되게 감겨있다. 특히 이로써 윈드 디플렉터의 소형 구성과 평면 구조의 감김 및 풀림의 구현이 적은 부품으로 가능해진다.
특히 바람직하게 평면 구조는 망상 형태의 재료를 포함한다. 이는 특히 유연하므로 특히 양호하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는 루프 버팀대의 선회에 의해 양호하게 인장될 수 있어, 특히 효과적인 윈드 프로텍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예에서,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는 특히 차량 차체의 마주 놓여 있는 측면 영역들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특히 안정적인 지지부가 주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성예에는 커버 부분이 존재하며, 이는 윈드 디플렉터의 작동 위치에서 차량의 측면 영역과 풀려있는 평면 구조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실질적으로 수평 커버하기 위한 커버 위치를 취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이 간격으로 인해 측면 영역과 풀린 평면 구조 사이에 형성된 갭이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폐쇄될 수 있어, 전반적으로 연속되는 커버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이 존재하며, 이는 윈드 디플렉터의 작동 위치에서 인장 보우의 측면 영역과 윈드 프로텍터를 보장하는 풀려있는 평면 구조 사이에 추가의 윈드 프로텍터의 형성을 위한 측면 작용 면을 인장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선회 가능하게 인장 보우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인장 보우의 측면 영역과 풀려있는 평면 구조 사이의 갭이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바람직하게 폐쇄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연속되는 작용 면 및 특히 양호한 윈드 프로텍터가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윈드 디플렉터가 그 작동 위치로 선회할 때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을 루프 버팀대가 선회시킴으로써, 인장 보우와, 그에 장착된 측면 윈드 프로텍터 영역과, 루프 버팀대는 추가의 작용 면을 인장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된다. 또한 인장 보우가 위쪽으로 작동 위치로 선회할 때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도 선회한다. 또한 루프 버팀대의 선회에 의해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을 루프 버팀대가 안쪽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들은 풀린 그리고 고정된 평면 구조와 함께 윈드 프로텍터를 위한 작용 면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측면 커버 부분 및/또는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은 윈드 프로텍터로서 사용되지 않는 윈드 디플렉터의 휴지 위치에서 차량의 패널 하부에 숨겨지도록 형성되고 배치된다. 따라서 측면 커버 부분 및/또는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은 휴지 위치에서 양호하게 보호되고 특히 공간이 절약되게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연결 메카니즘이 차량의 패널 하부에 숨겨지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연결 메카니즘은 유해한 외부 영향에서 보호된다. 이밖에 차량의 양호한 외관이 보장된다. 연결 메카니즘은 특히 차량의 벨트 선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 및 바람직한 구성예는 바람직한 예 및 실시예의 계속되는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에서 루프 버팀대는 차량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며 위치 고정식 선회축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공된다.
도1a 및 도1b는 컨버터블 차량(1)의 왼쪽 측면 영역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이는 특히 컨버터블 차량(1)의 뒷자석 영역에 인접해 있다. 컨버터블 차량(1)의 측면 영역은 여기서 컨버터블 차량(1)의 차체의 영역이다. 차체 패널은 도1a 및 도1b에서 개방되게 도시되어있다. 컨버터블 차량(1)은 윈드 디플렉터(2)를 포함하는데, 이는 그 중앙을 통해 종방향으로 진행되는 축에 대해 대체로 반사 대칭으로 컨버터블 차량(1)의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도1a 및 도1b에서는 명료성의 이유로 컨버터블 차량(1)의 왼쪽, 측면 영역 및 윈드 디플렉터(2)의 왼쪽 부분만 도시하고 있다. 윈드 디플렉터(2)는 인장 보우(3)를 포함하는데, 이는 서로 거리를 두고 마주하고 있는 두 개의 측면 비임을 포함하고, 이는 횡 방향 웨브(4)에 의해 바람직하게 하나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1a 및 도1b는 인장 보우(3)의 왼쪽 측면 비임(5)을 도시한다. 인장 보우(3)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핀에 의해, 컨버터블 차량(1) 차체의 마주하고 있는 측면 영역들에 위치 고정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1a 및 도1b는 핀(6)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왼쪽 측면 비임(5)에 형성되어 있고 이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인장 보우(3)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위치 고정된 선회축(7)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차체에 지지되어 있다. 선회축(7)은 인장 보우(3)의 횡 방향 웨브(4)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한다.
또한 윈드 디플렉터(2)는 보우 형태로 형성된 루프 버팀대(8)를 포함하는데, 이는 서로 거리를 두고 마주하고 있는 두 개의 측면 비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비임들은 횡 방향 웨브(9)에 의해 바람직하게 하나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1a 및 도1b는 루프 버팀대(8)의 왼쪽 측면 비임(10)을 도시한다. 루프 버팀대(8)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핀에 의해, 컨버터블 차량(1) 차체의 마주하고 있는 측면 영역들에 위치 고정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1a 및 도1b는 핀(11)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왼쪽 측면 비임(10)에 형성되어 있고 이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루프 버팀대(8)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위치 고정된 선회축(12)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차체에 지지되어 있다. 선회축(12)은 루프 버팀대(8)의 횡 방향 웨브(9)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한다. 인장 보우(3)의 선회축(7) 및 루프 버팀대(8)의 선회축(12)은 컨버터블 차량(1)의 종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회축(12)은 컨버터블 차량(1)의 전진 주행 방향으로 선회축(7)의 뒤에 형성되어 있다.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는 연결 메카니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메카니즘은 이동 가능한 연결 메카니즘으로, 본 실시예에서 약간 구부러진 길쭉한 조정 레버(13)를 포함하고, 조정 레버의 하나의 단부는 인장 보우(3)의 회전점(14)에서, 그리고 또 다른 단부는 루프 버팀대(8)의 회전점(15)에서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있다. 회전점(14)은 인장 보우(3)의 측면 비임(5)에, 특히 횡 방향 웨브(4)와의 연결부와 마주놓여 있는 측면 비임(5)의 단부 영역에 위치한다. 회전점(15)은 루프 버팀대(8)의 측면 비임(10)에, 특히 횡 방향 웨브(9)와의 연결부와 마주놓여 있는 측면 비임(10)의 단부 영역에 위치한다. 조정 레버(13)는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데, 즉 선회 과정 중 조정 레버(13)는 그 배향을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에 대하여 변경시킨다. 또한 상기 구성예에서 연결 메카니즘,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에 대한 상기 메카니즘의 힌지 연결부는 컨버터블 차량(1)의 차체 패널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 메카니즘은 차체에 의해 숨겨진다. 이는 컨버터블 차량(1)의 양호한 외관을 보장하고 연결 메카니즘을 유해한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구성예에서 조정 레버(13)를 구비한 컨버터블 차량(1)의 왼쪽 측면 영역에 설치된 연결 메카니즘은 상응하는 컨버터블 차량(1)의 오른쪽 측면 영역에 마찬가지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 선회 과정은 확실하게 더 안정화된다. 그러나 연결 메카니즘을 양쪽 측면에 배치하는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원칙상 그러한 연결은 윈드 디플렉터(2)의 선회를 보장하기 위해 한쪽 측면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도1a는 휴지 위치의 윈드 디플렉터(2)를 도시하는데, 그 상태에서 윈드 디플렉터(2)는 컨버터블 차량(1)의 종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내려 놓여져 있고 윈드 프로텍션을 위한 작용 면을 인장 고정하고 있지 않다.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는 후방을 향해 선회되고 대체로 컨버터블 차량(1)의 벨트 선 높이에 놓인다. 이러한 경우 인장 보우(3)는 루프 버팀대(8) 상에 안착되어 있다. 도1b는 작동 위치의 윈드 디플렉터(2)를 도시하는데, 그 상태에서 윈드 디플렉터(2)는 컨버터블 차량(1) 좌석의 윈드 프로텍션을 위한 작용 면을 인장 고정한다. 인장 보우(3)가 휴지 위치로부터 약 90°로 상부를 향해 선회됨에 따라, 그 측면 비임은 거의 수직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루프 버팀대(8)가 휴지 위치로부터 약 180°로 전면을 향해 선회됨에 따라, 루프 버팀대는 대체로 컨버터블 차량(1)의 벨트 선 높이에 놓이며 그 측면 비임은 거의 수평으로 진행한다. 횡 방향 웨브(9)는 거의 횡 방향 웨브(4)의 하부에서 진행한다. 상기 구성예에서, 휴지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윈드 디플렉터(2)의 선회를 위해 루프 버팀대(8)는 핀(11)에서 동력 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동력 장치에 의해, 회전 운동이 핀(11)에 전달되고, 이는 루프 버팀대(8)의 선회를 야기한다. 루프 버팀대(8)의 선회 운동은 조정 레버(13)로 전달되고 이로부터 인장 보우(3)로 전달된다. 그러나 인장 보우(3) 또는 조정 레버(13)에 의해 구동이 실행될 수 있도록 인장 보우(3), 조정 레버(13) 및 루프 버팀대(8)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는 내려 놓여져 있는 휴지 위치에서 유해한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되게 바람직하게 특히 폐쇄된 케이스 내에 내려 놓여질 수 있다. 케이스는 윈드 디플렉터(2)가 작동 위치로 세워져야 할 때 바람직하게 자동으로 개방된다.
도2는 인장 보우(3), 루프 버팀대(8) 및, 이 둘을 연결하는 조정 레버(13)의 배치를 도1a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2)의 휴지 위치에서 도시하고 있다. 측면 비임(5)의 측면이 회전점(14)에서 조정 레버(13)의 하나의 단부와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측면 비임(10)이 회전점(15)에서 조정 레버(13)의 다른 쪽 단부와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루프 버팀대(8) 및 조정 레버(13)는 인장 보우(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핀(6)은 인장 보우(3)의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해 그리고 핀(11)은 루프 버팀대(8)의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회전점(14)은 핀(6)으로의 축방향 연장선에서 인장 보우(3)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점(14)은 윈드 디플렉터(2)의 휴지 위치에서 전진 주행 방향으로 핀(6)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점(14)은 핀(6)에 대해 특정 간격(16)을 갖는다. 회전점(15)은 핀(11)으로의 축방향 연장선에서 루프 보(8)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점(15)은 윈드 디플렉터(2)의 휴지 위치에서 전진 주행 방향으로 핀(11)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점(15)은 핀(11)에 대해 특정한 간격(17)을 갖는다. 상기 구성예에서 간격(16)은 간격(17)보다 더 크다. 두 간격(16, 17)은 윈드 디플렉터(2)의 선회시 인장 보우(3)와 루프 버팀대(8) 사이에 약 1:2의 전환비가 설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선회시 루프 버팀대(8)가 인장 보우(3)보다 2배 더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루프 버팀대(8)는 휴지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윈드 디플렉터(2)가 선회할 경우 거의 180°의 각을 커버하는 반면 인장 보우(3)는 거의 90°의 각을 커버한다.
조정 레버(13)는 상기 구성예에서 하부를 향해 약간 휘어있는 형태를 갖는다. 조정 레버(13)는 루프 버팀대(8)에 대한 회전점(15)의 힌지 연결부로부터 먼저 짧은 구간 동안 약간 휘어져 하부로 향해 진행되므로, 측면 비임(5)과 조정 레버(13) 사이에 간격이 나타난다. 그 다음 조정 레버(13)는 더 크고 긴 구간 동안 측면 비임(5)에 거의 평행하게 진행된다. 상부를 향해 약간 휨으로써 조정 레버(13)의 진행이 변경되므로, 조정 레버는 회전점(14)으로 진행되며 상기 회전점에서 인장 보우(3)의 단부와 만나고 선회 가능하게 상기 단부에 고정된다. 조정 레버(13)의 형태에 의해 루프 버팀대(8)와 인장 보우(3) 사이에 선회 이동의 특히 양호한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루프 버팀대(8)에 형성된 핀(11)은 적합한 동력 장치를 이용한 루프 버팀대(8)의 작동을 위해 사용된다. 동력 장치는 예컨대 전동기를 갖는 모터 동력 장치 또는 유압 동력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동력 장치는 루프 버팀대(8)의 선회축(12)에 작용한다. 도2에서는 회전점(14)을 관통하는 수직 단면(A-A) 및 회전점(15)을 관통하는 수직 단면(B-B)이 도시되고 있다.
도3a는 도2에 따른 단면(A-A)의 도면을 인장 보우(3) 및 조정 레버(13)의 연결 위치로서의 회전점(14)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3b는 도2에 따른 단면(B-B)의 도면을 루프 버팀대(8) 및 조정 레버(13)의 연결 위치로서의 회전점(15)에서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요소는 회전점(14 및 15)에서 연결 해제 슬리브에 의해 서로 연결 해제될 수 있다.
도4는 도2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위치한 인장 보우(3)는 그 하부에 존재하는 핀(11) 및 회전점(15)의 도면을 가능케 하기 위해 가운데 영역에서 절삭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4는 핀(11)에 고정되어 있고 루프 버팀대(8)의 선회와 완전한 윈드 디플렉터(2)의 선회를 위해 사용되는 동력 장치(18)를 도시하고 있다.
도5a 내지 도5d는 윈드 디플렉터(2)를 갖는 컨버터블 차량(1)의 양쪽 측면 영역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5a 내지 도5d에서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는 윈드 디플렉터(2)의 상이한 선회 위치로 도시된다.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의 연결을 위한 조정 레버(13)는 여기서 차체 패널의 외부에 제공된다. 윈드 프로텍터를 위한 작용 면의 인장 고정을 위해 인장 보우(3)의 횡 방향 웨브(4)에 가요성 평면 구조의 전방의 단부 엣지가 고정된다. 평면 구조는 여기서 망상 형태의 재료를 갖는 망상 면(19)에 의해 형성된다. 망상 면(19)의 후방 단부 엣지는 횡방향으로 진행되는 롤링 축(20)에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롤링 축은 망상 면(19)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위해 사용된다. 롤링 축(20)은 선회축(7 및 12)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되고 컨버터블 차량(1)의 후미부 영역 내 컨버터블 차량(1)의 뒷자석의 상부 가장자리 영역에서 벨트 선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롤링 축(20)은 위치 고정식이고 회전 가능하게 컨버터블 차량(1)의 차체 내에 지지되어 있다. 루프 버팀대(8)는 풀려있는 망상 면(19)의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 전환 요소로서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망상 면(19)은 루프 버팀대(8)의 횡 방향 웨브(9) 밑을 관통하여 안내된다.
도5a는 휴지 위치에 있는 윈드 디플렉터(2)를 도시하고 있다.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는 후방을 향하여 컨버터블 차량(1)의 벨트 선 높이에 내려 놓여있다. 도5b는 윈드 디플렉터(2)의 선회 직후의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인장 보우(3)와 루프 버팀대(8) 모두 휴지 위치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선회된다. 망상 면(19)은 인장 보우(3)의 선회 운동에 의해 롤링 축(20)에서 약간 풀려있다. 루프 버팀대(8)에 의해 풀린 망상 면(19)의 방향 전환에 의해 두 개의 작용 부분 면은 인장 고정된다. 작용 부분 면(21)은 루프 버팀대(8)의 횡 방향 웨브(9)와 인장 보우(3)의 횡 방향 웨브(4) 사이에 그리고 작용 부분 면(22)은 루프 버팀대(8)의 횡 방향 웨브(9) 및 롤링 축(20) 사이에 인장 고정된다. 이는 도5c에서 자세히 볼 수 있는데, 상기 도면에는 윈드 디플렉터(2)가 이미 넓게 선회되어 있고 작동 위치 직전에 있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두 작용 부분 면(21 및 22)은 이미 자세히 전개되어 있다. 도5d에는 작동 위치의 윈드 디플렉터(2)가 도시되어 있다. 인장 보우(3)는 대체로 수직으로 상부를 향하여 선회되고 루프 버팀대(8)는 거의 180°로 앞쪽으로 선회되어 다시 수평으로 컨버터블 차량(1)의 벨트 선 높이에 위치한다. 작용 부분 면(21)은 양호한 윈드 프로텍터를 보장하고 횡 방향 웨브(4)로부터 횡 방향 웨브(9)까지 연장된다. 또한 작용 부분 면(21)은 인장 보우(3)의 측면 비임이 내부로 기울어짐에 따라 그리고 망상 면(19)의 횡방향 폭에 따라 인장 보우(3)에 의해 거의 완전하게 고정된 평면을 커버한다. 작용 면(22)은 컨버터블 차량(1)의 벨트 선 높이에 있는 횡 방향 웨브(9)에서 롤링 축(2)으로 연장된다. 작용 부분 면(22)은 그 하부에 놓인 공간의 커버를 보장한다. 이 공간은 여기서 컨버터블 차량(1)의 뒷자석 공간이다.
도6은 휴지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선회된 윈드 디플렉터(2)의 다른 구성예의 개략 측면도이다.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는 4개의 회전 조인트를 갖는 4개의 조인트로 도시된 추가 연결 메카니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추가 연결 메카니즘은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 사이, 특히 이 둘의 선회시 진행의 제어를 위한 중간 기어를 도시한다. 추가 연결 메카니즘은 세 개의 길쭉한 레버(23, 24 및 25)를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하나의 그 단부에의 공동 회전점(26)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점(26)은 컨버터블 차량(1)에 장착되지 않아 움직일 수 있다. 레버(23)의 다른 쪽 단부는 회전점(27)에서 선회 가능하게 인장 보우(3)의 측면 비임(5)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점(27)은, 인장 보우(3)가 차체 패널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핀(6)에서 이격되어 있다. 레버(24)의 다른 단부는 회전점(28)에서 회전 가능하게 루프 버팀대(8)의 측면 비임(1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점(28)은 차체 패널에 루프 버팀대(8)가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핀(11)에서 이격되어 있다. 레버(25)의 다른 단부는 회전점(29)에서 회전 가능하게 컨버터블 차량(1)의 차체 패널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점(29)에는 레버(25)의 회전을 위해 사용되는 동력 장치가 설치된다. 레버(25)의 회전 운동은 공동 회전점(26)을 통해 레버(23 및 24)에 전달되고, 이들에 의해 다시 고정 레버(3) 또는 루프 버팀대(8)에 전달된다. 도6에 따른 구성예에서 롤링 축(20)은 마찬가지로 컨버터블 차량(1)의 후미부에 배치되어 있고 망상 면(19)은 인장 보우(3)의 횡 방향 웨브(4)에 고정되어 있다.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의 선회에 의해 작용 부분 면(21 및 22)이 인장 고정 및 해체될 수 있다. 레버(23 내지 25)의 크기 및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에서 회전점(27 및 28)의 배치는 인장 보우(3)의 선회와 루프 버팀대(8)의 선회 사이에 1:2의 전환비가 설정되도록 선택된다.
도7은 컨버터블 차량(1)의 왼쪽 측면 영역과 작용 부분 면(22)을 인장 고정하는 풀려있는 망상 면(19)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31)을 커버하기 위한 측면 커버 플랩(30)을 갖는 작동 위치에서 윈드 디플렉터(2)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한다. 컨버터블 차량(1)의 측면 영역의 내부 패널이 직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망상 면(19)의 왼쪽 측면 외부 엣지가 내부 패널에서 이격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수평 간격(31)은 인장 고정된 망상 면(19)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다. 상기 간격은 추가 커버 플랩(30)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커버 플랩은 윈드 디플렉터(2)가 그 작동 위치로 세워진 후 간격(31)을 커버한다. 간격(31)의 커버를 위해 커버 플랩(30)의 프레임들 사이에는 특히 망상 면(19) 유형의 망상 형상의 재료가 인장 고정된다. 윈드 디플렉터(2)의 휴지 위치에서 커버 플랩(30)은 휴지 위치에서 차체 패널의 하부에 숨겨져 있다. 이는 도7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휴지 위치와 간격(31)을 커버하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커버 플랩(30)의 이동을 위해 특정한 동력 장치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상기 동력 장치 메카니즘은 예컨대 스프링 하중식으로 구현되거나 윈드 디플렉터(2)의 선회를 위한 동력 장치와 커버 플랩(30)이 연결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동력 장치 메카니즘은 인장 보우(3) 및/또는 루프 버팀대(8)의 제어 또는 이동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랩(30)은 예컨대 차체 패널로부터 밀려나거나 풀릴 수 있다. 커버 플랩(30)에 상응하는 추가 커버 판이 추가 간격을 커버하기 위해 컨버터블 차량(1)의 오른쪽 측면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추가 간격(31)은 윈드 디플렉터(2)의 작동 위치에서 오른쪽 측면 영역의 내부 패널과 풀려있는 망상 면(19)의 오른쪽 측면 외부 엣지 사이에 나타난다.
도8은 휴지 위치의 윈드 디플렉터(2)을 갖는 컨버터블 차량(1)의 왼쪽 측면 영역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인장 보우(3)의 측면 비임(5)에는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이 두 개의 힌지(33)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고정된다.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은 윈드 디플렉터(2)의 작동 위치에서 인장 보우(3)의 측면 비임(5)과 윈드 프로텍터를 보장하는 풀려있는 망상 면(19) 사이에서 추가 윈드 프로텍터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8에서 도시된 윈드 디플렉터(2)의 휴지 위치에서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은 컨버터블 차량(1)의 측면 영역의 패널(34) 하부에 숨겨진다. 이를 위해 윈드 프로텍터 부분은 패널(34)에 거의 수직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은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의 삽입을 위해 패널(34)에 제공된 간격(35)이 상부에서 인장 보우(3)에 의해 커버되기 때문에 외부에 드러나지 않는다. 도8은 컨버터블 차량(1)의 오른쪽 측면 영역의 일부를 관통하는 단면(A-A)을 도시한다.
도9는 간격(35)에 의해 차체 패널(34)으로 수직 삽입되는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을 갖는 도8에 따른 단면(A-A)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인장 보우(3)에 대한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의 힌지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힌지들(33) 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도10은 도8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2) 선회시의 개략 사시도이다.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의 선회가 상부로 향하게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화살표(36)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를 향한 인장 보우(3)의 선회시 패널(34)으로 삽입된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은 패널으로부터 외부로 빼내진다. 윈드 디플렉터 부분이 패널(34)의 내부를 완전히 벗어나자마자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은 내부로 접힌다. 윈드 프로텍터 부분은 루프 버팀대(8)의 선회에 의해 측면 비임(10)으로부터 루프 버팀대(8)의 횡 방향 웨브(9)로의 전환부에 형성된 모서리(37)(이는 시작 연결 링크로서 사용된다)에 의해 붙잡히고, 그 선회 운동은 루프 버팀대(8)의 선회시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이 거의 90°로 전방을 향해 가압되도록 모서리(37)에 의해 제어된다.
도11은 작동 위치에서의 윈드 디플렉터(2)를 도시한다. 풀려있는 망상 면(19)에 의해 인장 고정된 작용 부분 면(21)에 대해 추가로, 좌석을 위한 추가 윈드 프로텍터의 형성을 위해 측면 작용 면(38)이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에 의해 인장 고정된다. 이를 위해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은 그 휴지 위치로부터 선회축(39)을 중심으로 거의 90 °로, 상기 윈드 프로텍터 부분이 추가 윈드 프로텍터로서 작용 면을 인장 고정하는 작동 위치로 선회한다.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의 이 선회는 도11에서 화살표(40)로 도시되어 있다. 작용 면(38)의 형성을 위해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의 프레임들 사이에 특히 망상 면(19) 유형의 네트 형상의 재료가 고정된다. 도8 내지 11에 의거하여 상응하게 도시된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은 제시된 구성예에서 인장 보우(3)의 오른쪽 측면 비임에 추가 윈드 프로텍터 부분을 형성하는데, 이는 오른쪽 측면 비임과 망상 면(19)에 의해 인장 고정된 작용 부분 면(21) 사이의 추가 윈드 프로텍터를 위해 추가 작용 면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도12는 루프 버팀대(8)의 횡 방향 웨브(9)에 형성된 회전 가능한 롤링 축(41)을 갖는 윈드 디플렉터(2)의 다른 구성예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한다. 롤링 축(41)에는 두 개의 망상 면(42 및 43)의 전방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망상 면(42)의 하나의 전방 단부는 인장 보우(3)의 횡 방향 웨브(4)에, 그리고 망상 면(43)의 다른 전방 단부는 컨버터블 차량(1)의 차체 패널(44), 특히 후미부에 고정되어 있다. 감겨있는 상태에서 두 망상 면(42, 43)은 롤링 축(41) 상에 적층되게 감겨 있다.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의 선회에 의해 롤링 축(41)은 회전하고 망상 면(42, 43)은 롤링 축(41)의 상이한 방향으로 풀린다. 망상 면(42)은 윈드 디플렉터(2)가 작동 위치로 선회할 때 작용 부분 면(21)을 인장 고정한다. 이는 도12에 화살표(45)로 표시되어 있다. 망상 면(43)는 동시에 작용 부분 면(22)을 인장 고정한다. 이는 도12에 화살표(46)로 표시되어 있다. 도12는 윈드 디플렉터(2)를 관통하는 단면(A-A)을 도시한다.
도13은 도12에 따른 단면(A-A)의 개략도이다. 상기 단면도에서는 롤링 축(41)으로서 제공된 루프 버팀대(8)의 횡 방향 웨브(9) 상에 두 망상 면(42 및 43)이 이중으로 감겨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망상 면(42)은 추가로 인장 보우(3)의 횡 방향 웨브(4)에 그리고 망상 면(43)은 추가로 차체 패널(44)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두 망상 면(42 및 43)은 윈드 디플렉터(2)의 선회시 자동으로 롤링 축(41)에서 풀린다. 풀려있는 망상 면(42, 43)을 감기 위한 감김 과정은 역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경우 두 망상 면(42, 43)은 다시 롤링 축(41) 상에 적층되게 감기게 된다.
도12 및 13에 따라 도시된 구성예에서 망상 면(42, 43)은 공동의 롤링 축(41) 상에서 적층되게 놓여 감긴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각각 두 망상 면(42, 43)를 위해 루프 버팀대의 횡 방향 웨브(9)에 단독 롤링 축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a 및 도1b는 윈드 디플렉터의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를 위한 연결 메카니즘을 갖는 컨버터블 차량의 개방된 측면 영역의 개략 사시도.
도2는 도1에 따른 인장 보우, 루프 버팀대와, 이 둘을 연결하는 연결 메카니즘의 배치에 대한 개략 측면도.
도3a 및 도3b는 도2의 배치에 따른 인장 보우 및 연결 메카니즘의 연결 위치와, 루프 버팀대 및 연결 메카니즘의 연결 위치의 단면도.
도4는 도2에 따른 배치의 개략 평면도.
도5a 내지 도5d는 다양한 선회 위치에서의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의 개략 사시도.
도6은 인장 보우, 루프 버팀대와, 이 둘을 연결하며 세 개의 레버를 포함하는 추가 연결 메카니즘의 개략 측면도.
도7은 컨버터블 차량의 측면 영역과 풀려있는 평면 구조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의 커버를 위한 측면 커버 플랩을 갖는 작동 위치에서의 윈드 디플렉터의 개략 사시도.
도8은 인장 보우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고 컨버터블 차량의 패널 하부에 숨겨져 있는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을 갖는 휴지 위치에서 윈드 디플렉터의 개략 사시도로서 부분 단면도.
도9는 도8에 따른 윈드 프로텍터 부분과 인장 보우에 대한 그 지지의 개략 단면도.
도10은 선회 중에 있는, 도8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 개략 사시도.
도11은 도8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의 그 작동 위치에서의 개략 사시도.
도12는 루프 버팀대에 배치된 롤링 축을 갖는 윈드 디플렉터의 실시예의 개략 사시도.
도13은 도12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의 개략 단면도.
계속해서, 동일한 또는 동일하게 작용하는 요소를 위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2 : 윈드 디플렉터
3 : 인장 보우
4 : 횡 방향 웨브
5 : 측면 비임
6 : 핀
7 : 선회축
8 : 루프 버팀대
9 : 횡 방향 웨브
10 : 측면 비임
13 : 조정 레버
19 : 망상 면
20 : 롤링 축
21 : 작용 면
22 : 작용 면

Claims (20)

  1. 인장 보우(3) 및 상기 인장 보우(3)와 연결된 루프 버팀대(8)를 구비한 차량(1)용 윈드 디플렉터(2)이며, 상기 인장 보우는 차량(1)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고정된 선회축(7)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가요성 평면 구조(19, 42)가 상기 인장 보우에 고정되며, 평면 구조는 인장 보우(3)의 선회축(7)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되는 롤링 축(20, 41)을 중심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에 있어서,
    루프 버팀대(8)는 차량(1)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고정된 선회축(12)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회축(12)은 차량(1)의 종방향으로 인장 보우(3)의 선회축(7)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인장 보우(3)는 이동 가능한 연결 메카니즘(13, 23, 24, 25)에 의해 루프 버팀대(8)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 메카니즘(13, 23, 24, 25)은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의 측면 영역(5, 10)에서 상기 인장 보우 및 루프 버팀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메카니즘(13, 23, 24, 25)은 인장 보우(3)및 루프 버팀대(8)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4. 제3항에 있어서, 연결 메카니즘(13, 23, 24, 25)은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와 4개의 조인트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5. 제3항에 있어서, 연결 메카니즘은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와 연결된 조정 레버(13)를 포함하고, 인장 보우(3)와 조정 레버(13) 사이에 연결 위치로서 형성된 회전점(14)은 인장 보우(3)의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해 형성된 인장 보우(3)의 회전점(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루프 버팀대(8)와 조정 레버(13) 사이에 연결 위치로서 형성된 회전점(15)은 루프 버팀대(8)의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해 형성된 루프 버팀대(8)의 회전점(1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6. 제5항에 있어서, 루프 버팀대(8)의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해 형성된 회전점(11)은 윈드 디플렉터(2)의 선회를 위한 동력 장치(18)의 연결을 위한 구동점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7. 제3항에 있어서, 연결 메카니즘은 제1 조정 레버(23), 제2 조정 레버(24) 및 제3 조정 레버(25)를 포함하고, 이들은 공동 회전점(26)에서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며, 제1 조정 레버(23)는 인장 보우(3)와, 제2 조정 레버(24)는 루프 버팀대(8)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조정 레버(25)는 윈드 디플렉터(2)의 선회를 위한 동력 장치(18)의 연결을 위한 구동점(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메카니즘(13, 23, 24, 25)은 인장 보우(3)의 선회와 루프 버팀대(8)의 선회 사이에 1:2의 전환비가 정해지도록 배치되고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면 구조(19)의 감김 및 풀림을 위한 롤링 축(20)은 차량(1)에 위치 고정식으로 형성되고 루프 버팀대(8)는 풀려 있는 평면 구조(19)의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 전환 요소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면 구조(19, 42, 43)의 감김 및 풀림을 위한 롤링 축(41)은 루프 버팀대(8)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차량(1)에 위치 고정식으로 고정되고 루프 버팀대(8)에 형성된 롤링 축(41)을 중심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추가의 가요성 평면 구조(4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12. 제11항에 있어서, 두 평면 구조(42, 43)는 동일한 롤링 축(41)을 중심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고 감긴 상태에서는 롤링 축(41) 상에 적층되게 감기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면 구조(19, 42, 43)는 망상 형태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14. 제1항에 있어서, 인장 보우(3) 및 루프 버팀대(8)는, 차량(1) 차체의 마주 놓여있는 측면 영역들에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측면 커버 부분(30)이 제공되고, 상기 측면 커버 부분은 윈드 프로텍터로서 사용되는 윈드 디플렉터(2)의 작동 위치에서 실질적로 차량(1)의 측면 영역과 풀려있는 평면 구조(19)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31)을 수평 커버하기 위한 커버 위치를 취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16. 제1항에 있어서,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이 제공되고, 상기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은 윈드 프로텍터로서 사용되는 윈드 디플렉터(2)의 작동 위치에서 인장 보우(3)의 측면 영역과, 윈드 프로텍터를 보장하는 풀려있는 평면 구조(19) 사이에 추가의 윈드 프로텍터 형성을 위한 측면 작용 면(38)을 인장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인장 보우(3)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디플렉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윈드 디플렉터(2)가 작동 위치로 선회할 때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32)을 루프 버팀대(8)가 선회시킴으로써, 인장 보우(3), 인장 보우에 장착된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32) 및 루프 버팀대(8)는 추가 작용 면(38)을 인장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디플렉터.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측면 커버 부분(30)과, 측면 윈드 프로텍터 부분(3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윈드 프로텍터로서 사용되지 않는 윈드 디플렉터(2)의 휴지 위치에서 차량(1)의 패널 하부에 숨겨지도록 형성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디플렉터.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메카니즘(13, 23, 24, 25)은 차량(1)의 패널의 하부에 숨겨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디플렉터.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2)을 갖는 차량.
KR1020070074407A 2006-07-26 2007-07-25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및 그러한 윈드 디플렉터를 갖는 차량 KR101357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4445.6 2006-07-26
DE102006034445A DE102006034445B3 (de) 2006-07-26 2006-07-26 Windschott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Windschot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321A KR20080010321A (ko) 2008-01-30
KR101357495B1 true KR101357495B1 (ko) 2014-02-03

Family

ID=3851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407A KR101357495B1 (ko) 2006-07-26 2007-07-25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및 그러한 윈드 디플렉터를 갖는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99025B2 (ko)
EP (1) EP1884390B1 (ko)
JP (1) JP5161501B2 (ko)
KR (1) KR101357495B1 (ko)
CN (1) CN100581860C (ko)
DE (1) DE102006034445B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271A (ko) 2020-07-17 2022-01-25 권오정 자동차용 윈드 디플렉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8246B4 (de) 2009-04-21 2021-07-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Windschott für ein Cabriolet
DE102009018245B4 (de) 2009-04-21 2019-03-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Windschott für ein Cabriolet
DE102009035335A1 (de) * 2009-07-21 2011-01-27 Scambia Industrial Developments Aktiengesellschaft Antriebseinheit für eine Windstopeinrichtung
DE102010004964B4 (de) * 2010-01-20 2021-05-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Cabriolet mit einem Windschottelement
DE102010005029B4 (de) * 2010-01-20 2021-05-1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Cabriolet mit einer Dachanordnung
DE102010004963B4 (de) 2010-01-20 2021-05-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triebseinrichtung für verstellbare Funktionseinheiten eines Cabriolets
DE102010021400B4 (de) 2010-05-25 2023-06-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estängeklappenanordnung und Fahrzeug mit einer solchen Gestängeklappenanordnung
DE102011052026B4 (de) 2011-07-21 2021-08-2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Cabriolet mit einem Verdeck und einer Windschotteinrichtung
DE102011056872B4 (de) 2011-12-22 2021-09-0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Windschott
DE102011056871B4 (de) 2011-12-22 2021-09-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Windschott
USD823758S1 (en) * 2015-10-20 2018-07-24 Russ Andrews Vehicular wind deflector
DE102015122582B3 (de) * 2015-12-22 2017-06-08 Webasto-Edscha Cabrio GmbH Cabriolet-Fahrzeug mit Rückbank und Windschottanordnung
DE102016122628A1 (de) 2016-11-23 2018-05-24 Bosal Acps Holding 2 B.V. Windstopeinrichtung
DE102017109950A1 (de) * 2017-05-09 2018-11-1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komponente
DE102020123281A1 (de) 2020-09-07 2022-03-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Cabriolet mit fahrzeugfestem Windschot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9214A1 (en) 2000-12-21 2002-07-11 Bernhard Gloss Windbreak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020096911A1 (en) 2000-10-24 2002-07-25 Oris Fahrzeugteile Hans Riehle Gmbh Wind stop device
US20030085006A1 (en) 2000-03-13 2003-05-08 Oris Fahrzeugteile Hans Riehle Gmbh Screen element for motor vehicles; in particular, wind block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4938A1 (de) * 1997-04-10 1998-10-1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Windschutz für Cabriolets oder ähnliche Fahrzeuge
DE19725217C1 (de) * 1997-06-15 1998-07-09 Daimler Benz Ag Windschutzvorrichtung für ein offenes Kraftfahrzeug
US7559600B2 (en) * 2004-02-17 2009-07-14 Wilhelm Karmann Gmbh Windscreen deflector for automotive vehic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5006A1 (en) 2000-03-13 2003-05-08 Oris Fahrzeugteile Hans Riehle Gmbh Screen element for motor vehicles; in particular, wind blocker
US20020096911A1 (en) 2000-10-24 2002-07-25 Oris Fahrzeugteile Hans Riehle Gmbh Wind stop device
US20020089214A1 (en) 2000-12-21 2002-07-11 Bernhard Gloss Windbreak device for a mot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271A (ko) 2020-07-17 2022-01-25 권오정 자동차용 윈드 디플렉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99025B2 (en) 2008-07-15
CN100581860C (zh) 2010-01-20
EP1884390A2 (de) 2008-02-06
KR20080010321A (ko) 2008-01-30
US20080023984A1 (en) 2008-01-31
CN101112863A (zh) 2008-01-30
JP5161501B2 (ja) 2013-03-13
EP1884390B1 (de) 2015-02-11
DE102006034445B3 (de) 2007-10-18
JP2008030742A (ja) 2008-02-14
EP1884390A3 (de)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495B1 (ko)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및 그러한 윈드 디플렉터를 갖는 차량
JP4562397B2 (ja) クーペ型自動車の折りたたみ屋根
EP1882605B1 (en) Convertible vehicle body
US20110210578A1 (en) Aerodynamic Drag Reducing Apparatus
JPH08869U (ja) 折畳み可能なルーフを備えた乗用車のための折畳み幌
US7677632B2 (en) Roof construction for motor vehicles
EP2632751B1 (en) Openable roof for a vehicle
JPH06104418B2 (ja) 自動車のキャンバストップ
US20210016724A1 (en) Cover Device for a Side Sill of a Passenger Vehicle
KR20080010319A (ko) 롤러 블라인드 장치, 윈드 블록커 및 롤러 블라인드 장치를갖는 차량
KR20060049782A (ko) 컨버터블 차량의 가동 루프를 틸팅하는 제어 장치
JP2009523089A (ja) 自動車の折畳み式ルーフ
US20190126837A1 (en) System for covering a motor-vehicle luggage compartment
KR20040073576A (ko) 자동차의 리어 패널 작동 장치
JP2008265742A (ja) 乗用車用のコンバーチブルルーフ
US7000981B2 (en) Collapsible wind deflector for a vehicle roof
JP2011063261A (ja) コンバーティブル車のための折り畳み屋根構造
JPH0332491B2 (ko)
KR200153081Y1 (ko) 자동차의 수평이동형 와이퍼장치
JP2524463Y2 (ja) 自動車のキャンバストップ構造
JP5388612B2 (ja) 可動式トップのための作動リンク機構
JPH0262408B2 (ko)
JP2002087066A (ja) 車両の後部構造
JPH0585183A (ja) 自動車の上部車体
CN107635810A (zh) 车辆车篷的推和/或拉装置和可打开的车顶的车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