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350B1 -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350B1
KR101342350B1 KR1020120031424A KR20120031424A KR101342350B1 KR 101342350 B1 KR101342350 B1 KR 101342350B1 KR 1020120031424 A KR1020120031424 A KR 1020120031424A KR 20120031424 A KR20120031424 A KR 20120031424A KR 101342350 B1 KR101342350 B1 KR 101342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rotrusion
fully open
check link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117A (ko
Inventor
요시하루 셋쯔
도시히사 니시조
도꾸 후까야
Original Assignee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0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298Form or shape having inden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Combinations of materials creating distinct artic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 체크 링크 장치는, 코어판의 표면에 합성 수지를 몰딩함으로써 형성되고 완전 개방 스토퍼를 구비하는 체크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완전 개방 스토퍼는 코어판의 팁단부에 위치하고 정지면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돌기부, 상기 돌기부의 제1 단부에 형성되고 스토퍼 수용면과 대면하는 스토퍼면을 갖는 굴곡 피스, 및 스토퍼면에 대해 스토퍼 수용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돌기부에 형성되고 스토퍼 수용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완전 개방 스토퍼는 돌기부, 굴곡 피스, 및 돌출부를 구비하는 코어판의 팁단부에 합성 수지를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DOOR CHECK LINK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보디에 피봇 장착되는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배치되는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3099226호는 보디에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단부를 갖는 체크 링크와, 도어에 장착된 케이스에 장착되고 도어의 개방 동작에 따라 체크 링크의 정지면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인접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슈를 수용하는 체크 구조물을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양자의 슈는 체크 링크의 양자의 정지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인접되며, 도어 체크 링크 장치는 도어의 개방 동작에 소정의 체크력을 제공한다. 도어 체크 링크 장치는 체크 링크의 팁부분에 제공된 완전 개방 스토퍼에 체크 구조물의 케이스를 인접시킴으로써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를 제한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에서, 돌출부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체크 링크를 구성하는 코어판의 단부에 제공된 돌기부를 코어판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완전 개방 스토퍼는 이 돌출부에 합성 수지를 몰딩(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돌출부의 내부 단부면은 케이스에 인접되도록 구성되는 인접부다. 따라서, 체크 구조물의 케이스가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완전 개방 스토퍼에 인접되고 케이스와 완전 개방 스토퍼가 편측(one-side) 인접 상태(체크 구조물의 케이스가 완전 개방 스토퍼의 스토퍼면에 비스듬히 인접되는 상태)가 될 때, 하중은 케이스가 편측 인접 상태에서 인접되는 돌출부 중 하나에 국소적으로 집중된다. 따라서, 합성 수지가 균열될 수 있으며, 합성 수지가 코어판의 돌기부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체크 링크를 구성하는 코어판으로부터 합성 수지가 박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고안된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로서, 차량의 도어와 보디 중 하나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도어와 보디 중 다른 하나에 스윙 연결되는 베이스 단부를 갖는 체크 링크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체크 링크의 정지면에 슬라이딩 인접되는 슈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링크는 금속으로 제조된 코어판의 표면에 합성 수지를 몰딩함으로써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부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융기부 및 오목부를 갖는 정지면과 팁단부에 위치하고 케이스의 스토퍼 수용면에 인접되어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를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완전 개방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체크 링크는 정지면과 완전 개방 스토퍼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체크 링크의 완전 개방 스토퍼는, 코어판의 팁단부에 위치하고 정지면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돌기부와, 케이스의 스토퍼 수용면에 가까운 돌기부의 제1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수용면과 대면하는 스토퍼면을 갖는 굴곡 피스와, 상기 굴곡 피스의 스토퍼면에 대해 스토퍼 수용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돌기부에 형성되고 스토퍼 수용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완전 개방 스토퍼는 돌기부, 굴곡 피스 및 돌출부를 구비하는 코어판의 팁단부에 합성 수지를 몰딩함으로써 형성되는 체크 링크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 링크 장치가 장착되는 차량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 체크 링크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 라인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4는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에서의 도어 체크 링크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5는 체크 링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체크 링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양쪽의 슈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Ⅷ-Ⅷ 단면 라인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체크 링크의 보스부가 양쪽의 슈 사이에 삽입될 때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10은 체크 링크의 보스부가 양쪽의 슈 사이를 통과할 때의 주요의 확대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XI-XI 단면 라인을 따라서 취한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XⅡ-XⅡ 단면 라인을 따라서 취한 횡단면도.
도 13은 체크 링크의 보스부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 링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4a는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b는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4c는 도 14b의 화살표 c로부터 바라본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d는 도 14c의 화살표 d로부터 바라본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 링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5a는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5b는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5c는 도 15b의 화살표 c로부터 바라본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d는 도 15c의 화살표 d로부터 바라본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 링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6a는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6b는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6c는 도 16b의 화살표 c로부터 바라본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6d는 도 16c의 화살표 d로부터 바라본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 링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7a는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7b는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7c는 도 17b의 화살표 c로부터 바라본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7d는 도 17c의 화살표 d로부터 바라본 완전 개방 스토퍼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서의 하측 방향은 전방 방향에 대응한다. 도 2에서의 상측 방향은 후방 방향에 대응한다. 도 2에서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은 각각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에 대응한다.
도어 체크 링크 장치(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 샤프트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힌지(H)에 의해 차량 보디(B)에 피봇 장착되는 도어의 개폐 동작을 위해 체크력을 제공하여, 도어(D)를 절반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거나 도어(D)를 완전 개방 위치에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체크 장치(1)는 체크 링크(4)를 좌우 방향으로 스윙시키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샤프트(3)에 의해 보디(B)에 고정된 고정 브래킷(2)에 피봇 장착되는 베이스 단부(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서의 하단부) 및 도어(D)에 진입하도록 배치된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서의 상측의) 팁단부를 갖는 체크 링크(4)와, 도어(D)에 장착되는 체크 구조물(5)을 구비한다.
도어(D)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면, 체크 구조물(5)은 도 2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도 2에서 상측의) 체크 링크(4)의 팁단부를 향해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체크 구조물(5)의 케이스(8)의 뒷면, 즉 스토퍼 수용면(82)은 체크 링크(4)의 팁단부에 제공되는 완전 개방 스토퍼(43)에 인접되어, 도어(D)의 완전 개방 위치가 제한된다.
체크 링크(4)는 금속제 코어판(베이스 판)(6)의 전체면에 합성 수지(7)를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코어판(6)은 코어판(6)의 베이스 단부(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서 하측부)에 위치하고 피봇 샤프트(3)가 삽입되는 샤프트 구멍(61)과, 코어판(6)의 팁단부(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서 상측부)에 위치하고 완전 개방 스토퍼(43)를 구성하는 돌기부(플레어부)(60), 굴곡 피스(62) 및 돌출부(65)를 구비한다. 돌기부(60), 굴곡 피스(62) 및 돌출부(65)는 굴곡 또는 버링(burring)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샤프트 구멍(61)은 버링에 의해 형성된다. 코어판(6)은 샤프트 구멍(61) 주위에 형성되고 상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돌출부(63)를 더 구비한다. 완전 개방 스토퍼(43)의 돌기부(60), 굴곡 피스(62) 및 돌출부(65)의 전체 둘레는 합성 수지(7)의 합성 수지 스토퍼부(7a)로 몰딩된다.
합성 수지(7)는, 코어판(6)의 전체면에 몰딩에 의해 형성되고 코어판(6)의 길이 방향(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서 상하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는 융기부(411) 및 오목부(412)를 각각 구비하는 상부 및 하부 정지면(41)을 포함한다. 또한, 합성 수지(7)는 코어판(6)의 베이스 단부에 형성되고 피봇 샤프트(3)를 통해서 고정 브래킷(2)에 피봇 장착되는 보스부(42)와, 도어(D)의 완전 개방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합성 수지(7)의 일부인 합성 수지 스토퍼부(7a)를 돌기부(60), 굴곡 피스(62) 및 돌출부(65)의 전체 둘레에 몰딩함으로써 코어판(6)의 팁단부에 형성되는 완전 개방 스토퍼(43)를 구비한다.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는 합성 수지(7)를 코어판(6)의 샤프트 구멍(61)의 내주면 및 원통형 돌출부(63)의 외주에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는 정지면(41)의 폭(W2)(도 2 참조)과 사실상 동일한 폭(W1)(도 2 참조)을 갖는다.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는 정지면(41)에서의 융기부(411)의 두께(H2)(도 6 참조)와 사실상 동일한 피봇 샤프트(3)의 축방향으로의 두께(H1)(도 6 참조)를 갖는다. 이런 식으로, 보스부(42)는 샤프트 구멍(61) 주위에 형성되는 원통형 돌출부(63)에 몰딩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정지면(41)의 폭(W2)에 대한 보스부(42)의 폭(W1)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보스부(4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판(6)의 샤프트 구멍(6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서 합성 수지(7)에 의해 형성되며, 사실상 H-형상으로 내측 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7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보스부(42)를 피봇 샤프트(3) 주위로 원활하게 스윙시킬 수 있다.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의 선단부에는, 슈(9, 10)(후술됨) 사이에 보스부(42)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64)가 형성된다.
체크 링크(4)의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완전 개방 스토퍼(43)가 체크 링크(4)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위해 체크 링크(4)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코어판(6)의 돌기부(60), 굴곡 피스(62), 및 돌출부(65)에 합성 수지(7)를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체크 링크(4)의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정지면(41)의 폭(W2)보다 큰 폭을 가지며, 정지면(41)의 두께(H2)보다 큰 상하 방향 두께를 갖는다.
도어(D)를 완전 개방 위치에 제한하는 경우에, 체크 구조물(5)의 케이스(8)의 스토퍼 수용면(82)은 완전 개방 스토퍼(43)의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에 인접된다.
체크 구조물(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도어(D)의 내부에 고정된다. 체크 구조물(5)은 체크 링크(4)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81, 81)을 구비하는 상술한 케이스(8)와, 케이스(8)에 수용되고 체크 링크(4)의 정지면(41, 41)에 각각 슬라이드 인접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슈(9, 10)와, 고무로 제조되고 케이스(8)에 수용되며 슈(9, 10)를 정지면(41, 41)을 향해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탄성 부재(11, 11)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탄성 부재(11)는 고무 대신에 코일 스프링일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링크(4)가 체크 구조물(5)에 장착될 때,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의 테이퍼부(64)는 상부 및 하부 슈(9, 10) 사이에서 체크 구조물(5)의 케이스(8)의 관통 구멍(81)을 통해서 삽입되며, 따라서 양 슈(9, 10)는 양 슈(9, 1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탄성 부재(1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체크 구조물(5)은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과 정지면(41) 사이에 있는 얇은 두께의 편평부(44)으로 이동된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슈(9, 10)는 이들 슈(9, 10)가 체크 링크(4)를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부터 개재시킨 상태에서 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슈(9)는 체크 링크(4)의 상부 정지면(41)에 슬라이딩 인접되는 슬라이딩 인접부(91)와, 상기 슬라이딩 인접부(91)의 우측에 위치되고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체크 링크(4)의 우측면에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접되는 가이드 벽(92)과, 슬라이딩 인접부(91)의 좌측[체크 링크(4)의 폭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인접부(91)의 표면에 대해 하부 슈(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상측 방향)으로 오목하며 하부 슈(10)의 가이드 벽(102)의 상단부면과 대면하는 계단형부(93)를 구비한다. 가이드 벽(92)의 외측면(우측면)은 케이스(8)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인접된다. 계단형부(93)의 외측면(좌측면)은 케이스(8)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인접된다. 이로 인해, 상부 슈(9)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부 슈(9)는 케이스(8) 내에서 기울어지지 않으며, 상부 슈(9)는 상하 방향으로 확실히 이동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슈(10)는 체크 링크(4)의 하부 정지면(41)에 슬라이딩 인접되는 슬라이딩 인접부(101)와, 상기 슬라이딩 인접부(101)의 좌측에 위치되고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체크 링크(4)의 좌측면에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접되는 가이드 벽(102)과, 슬라이딩 인접부(101)의 우측에 위치되고 슬라이딩 인접부(101)에 대해 상부 슈(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며 상부 슈(9)의 가이드 벽(92)의 하단부면과 대면하는 계단형부(103)를 포함한다. 가이드 벽(102)의 외측면(좌측면)은 케이스(8)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인접된다. 계단형부(103)의 외측면(우측면)은 케이스(8)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인접된다. 이로 인해, 하부 슈(10)는 케이스(8) 내에서 기울어지지 않으며, 하부 슈(10)는 상하 방향으로 확실히 이동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슈(9, 10)의 슬라이딩 인접부(91, 101)는 체크 링크(4)의 표면을 향해서 융기되는 융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가 슈(9, 10) 사이에 삽입될 때, 보스부(42)의 테이퍼부(64)는 슈(9, 10)의 슬라이딩 인접부(91, 101)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슈(9, 10)를 체크 링크(4)의 양 정지면(41, 41)에 가압하도록, 탄성 부재(11)는 슈(9, 10)의 뒷면과 케이스(8)의 상부 및 하부 내면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슈(9, 10)가 도 3에 도시된 도어(D)의 폐쇄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 슈(9, 10)는 체크 링크(4)의 편평부(44)를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부터 개재시킨다. 도 4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슈(9, 10)가 도어(D)의 절반 개방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 슬라이딩 인접부(91, 101)는 정지면(41)의 오목부(412)에 끼워진다. 따라서, 도어(D)는 소정의 체크력에 의해 절반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더욱이, 도 4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슈(9, 10)가 완전 개방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 슬라이딩 인접부(91, 101)는 완전 개방 스토퍼(43)와 연결된 융기부(413)에서 이동된다.
슈(9, 10)의 가이드 벽(92, 102)의 상하 방향 돌출량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1)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슈(9, 10)의 가이드 벽(92, 102)은 보스부(42)의 합성 수지(7)의 상면 및 하면 각각의 두께(H3)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로 인해, 체크 구조물(5)에 대한 체크 링크(4)의 조립 작업 시 체크 링크(4)가 보스부(42)로부터 슈(9, 10) 사이를 통과할 때, 슈(9, 10)의 가이드 벽(92, 102)과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의 측면 사이의 인접량(길이)[가이드 벽(92, 102)의 내측면이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의 측면에 인접되는 범위]은 종래 장치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증가된다. 가이드 벽(92)의 팁단부면과 슬라이딩 인접부(101) 사이의 갭, 및 가이드 벽(102)의 팁단부면과 슬라이딩 인접부(91) 사이의 갭은 각각,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의 폭(W1)이 정지면(41)의 폭(W2)과 사실상 동일하다는 이유로, 보스부(42)의 삽입 방향이 제한되도록 감소된다. 따라서,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를 양 슈(9, 10)의 슬라이딩 인접부(91, 101) 사이와 양 슈(9, 10)의 가이드 벽(92, 102) 사이에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립 맨-아워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벽(92, 102)의 상하 방향 돌출량은 보스부(42)의 합성 수지(7)의 상하 방향 두께(H3)보다 크다. 따라서, 횡방향으로 큰 힘이 체크 링크(4)에 작용되고 체크 링크(4)의 측면이 슈(9, 10)의 가이드 벽(92, 102)에 대해 타이트하게 가압될 때에도, 코어판(6)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합성 수지(7)가 박리되지 않는다.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슈(9, 10)가 도어(D)의 폐쇄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될 때, 즉 양 슈(9, 10)가 체크 링크(4)의 편평부(44)에 위치될 때, 상부 슈(9)의 가이드 벽(92)은, 상부 슈(9)의 가이드 벽(92)의 하단부면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슈(10)의 계단형부(103)에 진입하도록 체크 링크(4)의 하면(44)을 지나서 하향 돌출된 상태에서, 체크 링크(4)의 편평부(44)의 우측면에 슬라이딩 인접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슈(10)의 가이드 벽(102)은, 하부 슈(10)의 가이드 홈(102)의 상측면이 상부 슈(9)의 계단형부(93)에 진입하도록 체크 링크(4)의 편평부(44)의 상면을 지나서 상향 돌출된 상태에서, 체크 링크(4)의 편평부(44)의 좌측면에 슬라이딩 인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슈(9, 10)의 가이드 벽(92, 102)의 돌출량이 증가할 때에도, 양 슈(9, 10)는 상호 간섭하지 않으며, 체크 링크(4)의 폭방향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슈(9)에서, 가이드 벽(92)의 외측면(우측면)은 케이스(8)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인접되고, 계단형부(93)의 외측면(좌측면)은 케이스(8)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인접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8)에서 상부 슈(9)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하부 슈(10)에서, 가이드 벽(102)의 외측면(좌측면)은 케이스(8)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인접되고, 계단형부(103)의 외측면(우측면)은 케이스(8)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인접된다. 따라서, 케이스(8)에서 하부 슈(10)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D)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양 슈(9, 10)의 슬라이딩 인접면(91, 101)은 체크 링크(4)의 상면과 하면을 확실하게 개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달릴 때 체크 링크(4)의 백래시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상기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코어판(6)의 팁단부에 위치하고 정지면(41)의 폭(W2)보다 큰 폭을 갖는 돌기부(60)와, 상기 돌기부(60)의 전방측, 즉 돌기부(60)에 있어서 케이스(8)의 스토퍼 수용면(82)에 가까운 측(도 14b 및 도 14c에서 좌측)의 양측을 하측 방향[스토퍼 수용면(82)에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한 쌍의 좌우 굴곡 피스(62)와, 상기 돌기부(60)의 상면[굴곡 피스(62)의 굴곡 방향과 대향하고 굴곡 피스(62)의 굴곡 방향에 수직한 표면]에 형성되고 원통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5)를 구비한다.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합성 수지(7)의 일부인 합성 수지 스토퍼부(7a)를 돌기부(60), 양 굴곡 피스(62), 및 돌출부(65)를 구비하는 코어판(6)의 팁단부에 몰딩함으로써 형성되어,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굴곡 피스(62)는, 돌기부(60)의 전방부[스토퍼 수용부(82)과 대면하는 부분]의 좌측 및 우측부를 체크 링크(4)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각각이 돌기부(60)의 상면 및 스토퍼면(62a)과 연결된] 굴곡 피스(62)의 외부 굴곡부(62b)는 돌기부(60)의 전방 단부(60a)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한다. 굴곡 피스(62)의 스토퍼면(62a)의 각각은 스토퍼 수용면(82)에 평행하게 대면한다. 굴곡 피스(62)의 스토퍼면(62a)의 각각은 합성 수지 스토퍼부(7a)를 통해서 스토퍼 수용면(82)에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돌출부(65)는 돌기부(60)의 상면에 위치한다. 돌출부(65)는 양 굴곡 피스(62)의 후방 위치[양 굴곡 피스(62)의 스토퍼면(62a)에 대해 스토퍼 수용면(8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양 굴곡 피스(62, 62) 사이에 형성된다. 합성 수지(7)는 원통형 돌출부(65)에 몰딩된다. 이로 인해, 돌기부(60)의 상면 및 하면에 몰딩된 합성 수지 스토퍼부(7a)는 돌출부(65)에서 합성 수지(7)에 의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돌기부(60)에 몰딩된 합성 수지 스토퍼부(7a)는 돌기부(60)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렵다.
도어(D)가 개방될 때, 케이스(8)의 스토퍼 수용면(82)은 합성 수지 스토퍼부(7a)를 통해서 양 굴곡 피스(62)의 스토퍼면(62a)에 인접되어, 도어(D)의 완전 개방 위치가 제한된다. 이 경우,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8)의 스토퍼 수용면(82)이 조립 오류 등에 의해 편측 인접 상태[스토퍼 수용부(82)의 편측이 완전 개방 스토퍼(43)에 인접되도록 스토퍼 수용면(82)이 완전 개방 스토퍼(43)에 비스듬히 인접된 상태]에서 완전 개방 스토퍼(43)에 인접될 때, 하중은 합성 수지 스토퍼(7a)를 통해서 양 굴곡 피스(62) 중 하나[도 14b에서 상부 굴곡 피스(62)]의 스토퍼면(62a) 및 돌출부(65)에 작용된다.
그러나, 제1 실시예에서는, 도어(D)가 완전 개방 위치로 제한될 때 케이스(8)의 스토퍼 수용면(82)과 완전 개방 스토퍼(43)가 편측 인접 상태에 있을 때에도, 하중은 굴곡 피스(62)의 넓은 스토퍼면(62a)에 의해 수용된다. 이로 인해, 하중의 집중이 저감되며,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크랙킹 및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굴곡 피스(62)의 외부 굴곡부(62b)는 케이스(8)의 스토퍼 수용면(82)과 대면한다. 따라서, 굴곡 피스(62)에 작용되는 하중은 압축 하중이다. 따라서, 굴곡 피스(6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완전 개방 스토퍼(4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돌기부(60)의 상면측에서의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변형은, 양 굴곡 피스(62)의 스토퍼면(62a)의 후방 위치에서 굴곡 피스(62)의 굴곡 방향과 대향하는 표면에 위치하고 원통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5)에 의해 방지된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의 집중은 돌출부(65)의 하면과 원통형 외면의 두 표면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더욱이, 하중의 집중을 수용하기 위한 영역은 편측 인접 상태에서나 양측 인접 상태에서나 돌출부(65)의 원통 형상을 위해 변경되지 않는다. 추가로,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일부는 양 굴곡 피스(62, 62)의 후방 위치에서 굴곡 피스(62, 62)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65)의 구멍 및 상부 굴곡 피스(62)의 스토퍼면(62a)에 의해 개재된다. 이로 인해, 돌기부(60)에 대한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위치 편차를 억제할 수 있으며 돌기부(60)로부터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박리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돌기부(60) 및 한 쌍의 좌우 굴곡 피스(62)와, 상기 돌기부(60)의 후방부[굴곡 피스(62)의 스토퍼면(62a)에 대해 스토퍼 수용면(8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인 후방 굴곡 피스(66)를 구비한다.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합성 수지 스토퍼부(7a)를 돌기부(60), 양 굴곡 피스(62), 및 후방 굴곡 피스(66)를 구비하는 코어판(6)의 팁단부에 몰딩함으로써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의 체크 링크 장치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태양에서 제1 실시예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어(D)가 완전 개방 위치로 제한될 때 스토퍼 수용면(82)과 완전 개방 스토퍼(43)가 편측 인접 상태로 될 때에도, 하중은 제1 실시예와 같이 굴곡 피스(62)의 넓은 스토퍼면(62a)에 의해 수용된다. 따라서, 하중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크랙킹 및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굴곡 피스(62)의 외부 굴곡부(62b)는 케이스(8)의 스토퍼 수용면(82)과 대면한다. 따라서, 굴곡 피스(62)에 작용되는 하중은 압축 하중이다. 이로 인해, 굴곡 피스(6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완전 개방 스토퍼(4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돌기부(60)의 상면측에서의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변형은, 양 굴곡 피스(62)의 스토퍼면(62a)의 후방 위치에 위치하고, 굴곡 돌기부(6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양 굴곡 피스(62)의 굴곡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큰 표면을 갖는 후방 굴곡 피스(66)에 의해 방지된다. 이로 인해, 합성 수지 스토퍼부(7a)가 돌기부(6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돌기부(60)와, 돌기부(60)의 전방부의 좌측(도 16b에서 하측)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상향 굴곡 피스(621)와, 돌기부(60)의 전방부의 우측(도 16b에서 상측)에 위치하고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하향 굴곡 피스(622)와, 돌기부(60)의 후방부의 좌측에 위치하고 하측 방향 구부림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인 후방 하향 굴곡 피스(661)와, 돌기부(60)의 후방부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 구부림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인 후방 상향 굴곡 피스(662)를 구비한다.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합성 수지 스토퍼부(7a)를 돌기부(60) 및 굴곡 피스(621, 622, 661, 662)를 구비하는 코어판(6)의 팁단부에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제3 실시예의 체크 링크 장치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태양에서 제1 실시예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도어(D)가 완전 개방 위치로 제한될 때 스토퍼 수용면(82)과 완전 개방 스토퍼(43)가 편측 인접 상태로 될 때, 하중은 제1 실시예와 같이, 굴곡 피스(621, 622)의 큰(넓은) 스토퍼면(621a, 622a)에 의해 수용된다. 따라서, 하중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크랙킹 및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외부 굴곡부(621b, 622b)는 케이스(8)의 스토퍼 수용면(82)과 대면한다. 따라서, 굴곡 피스(621, 622)에 작용되는 하중은 압축 하중이다. 이로 인해, 굴곡 피스(621, 62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완전 개방 스토퍼(4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돌기부(60)의 굴곡 피스(621, 622)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변형은, 굴곡 피스(621, 622)의 스토퍼면(621a, 622a)의 후방 측에 위치하고 굴곡 피스(621, 622)의 굴곡 방향과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후방 굴곡 피스(661, 662)에 의해 방지된다. 즉, 합성 수지 스토퍼부(7a)는 굴곡 피스(622)와 굴곡 피스(662) 사이에 개재된다. 이로 인해, 합성 수지 스토퍼부(7a)가 돌기부(6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7a 내지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돌기부(60)와, 돌기부(60)의 전방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한 쌍의 좌우 상향 굴곡 피스(623)와, 돌기부(60)의 사실상 중심면에 위치하고 돌기부(60)를 절단 및 융기시킴으로써 하측 방향[스토퍼 수용면(82)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며 비교적 큰 표면을 갖는 돌출부(651)를 구비한다. 완전 개방 스토퍼(43)는 합성 수지 스토퍼부(7a)를 돌기부(60), 양 굴곡 피스(623), 및 돌출부(651)를 구비하는 코어판(6)의 팁단부에 몰딩함으로써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4 실시예의 체크 링크 장치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태양에서 제1 실시예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도어(D)가 완전 개방 위치로 제한될 때 스토퍼 수용면(82)과 완전 개방 스토퍼(43)가 편측 인접 상태로 될 때, 하중은 제1 실시예와 같이, 굴곡 피스(623)의 큰 스토퍼면(623a)에 의해 수용된다. 이로 인해, 하중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크랙킹 및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굴곡 피스(623)의 외부 굴곡부(623b)는 케이스(8)의 스토퍼 수용면(82)과 대면한다. 따라서, 굴곡 피스(623)에 작용되는 하중은 압축 하중이다. 이로 인해, 굴곡 피스(62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완전 개방 스토퍼(4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돌기부(60)의 하면측에 위치하는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변형은, 굴곡 피스(623)의 스토퍼면(623a)의 후방 측에 위치하고 굴곡 피스(623)의 굴곡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비교적 큰 표면을 갖는 돌출부(651)에 의해 방지된다. 이로 인해, 합성 수지 스토퍼부(7a)가 돌기부(6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일부는 굴곡 피스(623, 623)의 후방에서 굴곡 피스(623, 623) 사이에 형성되는 돌출부(651)의 구멍과, 상부 굴곡 피스(623)의 스토퍼면(623a)에 의해 개재된다. 이로 인해, 돌기부(60)에 대한 합성 수지 스토퍼부(7a)의 위치 편차를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합성 수지 스토퍼부(7a)가 돌기부(6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의 관점에서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상술한 실시예의 이하의 수정 및 변경을 이룰 수 있다.
(1) 체크 링크(4)의 보스부(42)는 도어(D)에 피봇 장착될 수도 있다. 체크 구조물(5)은 보디(B)에 배치될 수도 있다.
(2) 돌출부(65, 651, 66, 661, 662)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2011년 3월 2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071998호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한정된다.

Claims (9)

  1.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이며,
    차량의 도어와 보디 중 하나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도어와 보디 중 다른 하나에 스윙 연결되는 베이스 단부를 갖는 체크 링크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체크 링크의 정지면에 슬라이딩 인접되는 슈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링크는 금속으로 제조된 코어판의 표면에 합성 수지를 몰딩함으로써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부에 위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융기부 및 오목부를 갖는 정지면과 팁단부에 위치되고 케이스의 스토퍼 수용면에 인접되어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를 제한하도록 배열되는 완전 개방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체크 링크는 정지면과 완전 개방 스토퍼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체크 링크의 완전 개방 스토퍼는, 코어판의 팁단부에 위치되고 정지면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돌기부와, 상기 케이스의 스토퍼 수용면에 가까운 돌기부의 제1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수용면과 대면되는 스토퍼면을 갖는 굴곡 피스와, 상기 굴곡 피스의 스토퍼면에 대해 스토퍼 수용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돌기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수용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완전 개방 스토퍼는 돌기부, 굴곡 피스 및 돌출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코어판의 팁단부에 합성 수지를 몰딩함으로써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피스는 케이스의 스토퍼 수용면과 대면하는 외부 굴곡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굴곡 피스의 굴곡 방향에 수직한 돌기부의 표면에 버링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굴곡 피스의 굴곡 방향에 수직한 돌기부의 표면에 돌기부의 절단 및 융기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돌기부의 제1 단부에 대향하는 돌기부의 제2 단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 개방 스토퍼는 체크 링크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굴곡 피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굴곡 피스는 동일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 개방 스토퍼는 체크 링크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굴곡 피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굴곡 피스는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 개방 스토퍼는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굴곡 피스의 굴곡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KR1020120031424A 2011-03-29 2012-03-28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KR101342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1998 2011-03-29
JP2011071998A JP5239101B2 (ja) 2011-03-29 2011-03-29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リン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117A KR20120112117A (ko) 2012-10-11
KR101342350B1 true KR101342350B1 (ko) 2013-12-16

Family

ID=4692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424A KR101342350B1 (ko) 2011-03-29 2012-03-28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99416B2 (ko)
JP (1) JP5239101B2 (ko)
KR (1) KR101342350B1 (ko)
CN (1) CN20278835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3567A (ja) * 2011-03-17 2012-10-11 Mitsui Kinzoku Act Corp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6064239B2 (ja) * 2012-08-10 2017-01-25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チェックリンク装置
JP6007745B2 (ja) * 2012-11-20 2016-10-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駆動装置
US10107020B2 (en) * 2014-03-26 2018-10-23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 opening degree adjustment device
JP6264995B2 (ja) * 2014-03-27 2018-01-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ポップアップ装置
DE102014108023A1 (de) * 2014-06-06 2015-12-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ürfeststeller
JP6374256B2 (ja) * 2014-07-25 2018-08-15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チェッカ
JP6587863B2 (ja) * 2015-08-20 2019-10-09 株式会社ティムス 車両用ドアチェックリンク
US9598890B1 (en) * 2015-12-01 2017-03-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finite check link system
JP6578548B2 (ja) * 2016-04-26 2019-09-25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リンク装置
CN106246018B (zh) * 2016-07-26 2018-02-13 丰业迪睦斯(芜湖)汽车部件有限公司 侧门限位器尾部铁芯结构
KR102403644B1 (ko) * 2017-07-05 2022-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체커 장치
CN107322257B (zh) * 2017-08-02 2023-10-20 广东利元亨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汽车门限位器自动组装设备
CN107476688A (zh) * 2017-08-14 2017-12-15 丰业迪睦斯(芜湖)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车门限位器铁芯头结构
JP6800177B2 (ja) * 2018-04-23 2020-12-16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装置
DE102018119650A1 (de) * 2018-08-13 2020-02-13 Edscha Engineering Gmbh Türfeststeller
JP7099671B2 (ja) 2019-04-09 2022-07-1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リンク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0431A (ja) * 2002-12-13 2004-07-08 Riken Kaki Kogyo Kk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2010116685A (ja) * 2008-11-11 2010-05-2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チェックリン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8456B2 (ja) * 1995-03-23 2005-09-21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ー
JP3099226B2 (ja) * 1996-12-12 2000-10-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3892639B2 (ja) * 2000-03-08 2007-03-14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用チェックリンク装置
DE10025185C2 (de) * 2000-05-20 2002-12-19 Edscha Ag Kugeldruckgleiter-Türfeststeller
JP3542343B2 (ja) * 2001-10-16 2004-07-14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US7793387B2 (en) * 2004-08-30 2010-09-14 M.T.M. Pty Ltd. Door check
US7143473B2 (en) * 2005-01-13 2006-12-05 Rikenkaki Kogyo Kabushiki Kaisha Door checker for automobile
CA2501197A1 (en) * 2005-03-18 2006-05-30 Cristiaan Stefanus Lambertus Petrus Van Den Heuvel Door retaining rod for a doorstop
JP2006307430A (ja) * 2005-04-26 2006-11-09 Shiroki Corp ドアチェック装置
US7469944B2 (en) * 2006-04-04 2008-12-30 Honda Motor Co., Ltd. Vehicle door checker having a water management d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0431A (ja) * 2002-12-13 2004-07-08 Riken Kaki Kogyo Kk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2010116685A (ja) * 2008-11-11 2010-05-2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チェックリン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99416B2 (en) 2013-08-06
JP5239101B2 (ja) 2013-07-17
CN202788352U (zh) 2013-03-13
KR20120112117A (ko) 2012-10-11
US20120246871A1 (en) 2012-10-04
JP2012207390A (ja)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350B1 (ko)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US7076833B2 (en) Automobile door checker
KR101539004B1 (ko) 차량용 백 도어 구조
EP2540936B1 (en) Retaining device for vehicle door
KR20120106644A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
US9003604B2 (en) Door checker for automobile
KR100202465B1 (ko) 뚜껑 개폐 장치
JP5633313B2 (ja) 車両ドア固定装置、その可動楔装置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US7914073B2 (en) Slider structure of sunroof apparatus
EP2767433B1 (en) Vehicle seat sliding apparatus
JPS58218423A (ja) 自動車の摺動屋根装置用のケ−ブル案内機構
US9957738B2 (en) Fixing device for vehicle doors
EP3124300B1 (en) Sunroof device
KR101784601B1 (ko)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US20150159409A1 (en) Affixation device for vehicle door
JP5124880B2 (ja) チェックリンク装置
KR20130042406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JP6544011B2 (ja) サンルーフ装置
US11807088B2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JP2019069702A (ja) サンルーフ装置
EP2354395B1 (en) A door-stop device for vehicles
JP7288155B1 (ja) ドアハンドル
JP6019494B2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装置
JP7023883B2 (ja) 車両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JP7023884B2 (ja) 車両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