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399B1 - 초점면 셔터 및 이를 구비한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초점면 셔터 및 이를 구비한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399B1
KR101303399B1 KR1020127006847A KR20127006847A KR101303399B1 KR 101303399 B1 KR101303399 B1 KR 101303399B1 KR 1020127006847 A KR1020127006847 A KR 1020127006847A KR 20127006847 A KR20127006847 A KR 20127006847A KR 101303399 B1 KR101303399 B1 KR 10130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blade
driving
braking
en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686A (ko
Inventor
히로시 타카하시
요이치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8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36Sliding rigid 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는,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한 블레이드와, 시단 위치 및 종단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종단 위치측으로 힘이 가해져,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종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음 및 퇴피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종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도록 힘이 가해진 제동 부재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종단 위치로부터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세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세트 부재는, 상기 제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키고 그 후에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초점면 셔터 및 이를 구비한 광학 기기{FOCAL PLANE SHUTTER AND OPTICAL DEVICE USING SAME}
본 발명은 초점면 셔터 및 이를 구비한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초점면 셔터는 블레이드(blade)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종단 위치로부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세트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 초점면 셔터에는 구동 부재의 바운드(bound) 방지 등의 관점으로부터 제동 부재를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제동 부재는 종단 위치에 있는 구동 부재와 맞닿음으로써 시단 위치로부터 종단 위치로 이동한 구동 부재가 종단 위치에서 바운드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9-3151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1-21947호 공보
구동 부재의 종단 위치로부터 시단 위치로의 이동은, 제동 부재를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킨, 그 후에 구동 부재를 시단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하게 된다. 세트 부재에는 제동 부재에 맞닿아 제동 부재를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키는 부분과 구동 부재에 맞닿아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분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세트 부재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대형화하고, 초점면 셔터도 대형화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형화된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한 블레이드와, 시단 위치 및 종단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종단 위치측으로 힘이 가해져,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종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음, 퇴피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종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도록 힘이 가해진 제동 부재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종단 위치로부터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세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세트 부재는, 상기 제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키고 그 후에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고 있는 초점면 셔터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트 부재에 설치된 단일의 구동부가, 종단 위치에 있는 구동 부재로부터 제동 부재를 퇴피시킴과 아울러 구동 부재를 시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세트 부재에 구동 부재로부터 제동 부재를 퇴피시키는 부분과 구동 부재를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분을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세트 부재를 소형화할 수가 있어 초점면 셔터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에 설치된 철편(鐵片)과, 상기 시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철편을 흡착 가능한 전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함으로써, 상기 전자석에의 통전의 차단에 기초하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시단 위치로부터 상기 종단 위치에의 이동을 허용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일의 구동부에 의해 블레이드를 동작시킬 수가 있어 초점면 셔터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상기 목적은,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한 블레이드와, 시단 위치 및 종단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종단 위치측으로 힘이 가해져,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종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음 및 퇴피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종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도록 힘이 가해진 제동 부재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종단 위치로부터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세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세트 부재는, 상기 제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키고 그 후에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는, 리딩 블레이드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리딩 블레이드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를 각각 구동하는 리딩 블레이드 구동 부재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리딩 블레이드 구동 부재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부재의 각각과 맞닿음 및 퇴피 가능한 리딩 블레이드 제동 부재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제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리딩 블레이드 구동부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딩 블레이드 구동부는, 상기 리딩 블레이드 제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리딩 블레이드 제동 부재를 상기 리딩 블레이드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키고 그 후에 상기 리딩 블레이드 구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리딩 블레이드 구동 부재를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일의 구동 캠이고,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부는,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제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제동 부재를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키고 그 후에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부재를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일의 구동 캠인 초점면 셔터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상기 초점면 셔터를 구비한 광학 기기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화된 초점면 셔터 및 이를 구비한 광학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초점면 셔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초점면 셔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초기 상태로의 이행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초기 상태로의 이행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초기 상태로의 이행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초기 상태로의 이행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초기 상태로의 이행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초기 상태로의 이행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초점면 셔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초점면 셔터의 개략도이고, 도 1에 나타낸 구성을 일부 생략하고 있고, 또 도 1에서는 부호가 첨부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3은 초점면 셔터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초점면 셔터는, 기판(10), 리딩(leading) 블레이드(20A), 트레일링(trailing) 블레이드(20B), 구동 암(drive arm)(31a, 32a, 31b, 32b), 구동 레버(drive lever)(40A), 구동 레버(40B), 전자석(70A), 전자석(70B)을 가지고 있다. 기판(10)은 합성 수지제이고, 직사각형 모양의 개구(11)를 가지고 있다.
리딩 블레이드(20A),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각각 복수의 블레이드로 구성되어 있고, 도 1에는 블레이드(21a, 21b)만을 나타내고 있다. 각 블레이드는 합성 수지제이고, 얇게 형성되어 있다. 리딩 블레이드(20A)는 구동 암(31a, 32a)에 연결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구동 암(31b, 32b)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암(31a, 32a, 31b, 32b)은 금속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 암(31a, 32a, 31b, 32b)은 각각 기판(10)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리딩 블레이드(20A),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각각 개구(11)로부터 퇴피한 위치와 개구(11)를 폐색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또, 개구(11)로부터 퇴피한 위치에서는 각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겹치고, 개구(11)를 폐색하는 위치에서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전개된다. 도 1의 경우에는 리딩 블레이드(20A)가 전개되어 개구(11)를 폐쇄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개구(11)로부터 퇴피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리딩 블레이드(20A),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각각 이동 범위의 시단 위치에 자리매김된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판(10)에는 구동 암(32a, 32b)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구동 레버(40A), 구동 레버(40B)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레버(40A), 구동 레버(40B)는 각각 기판(10)에 형성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구동 레버(40A)에는 구동 암(32a)과 감합한 구동 핀(drive pin)(43a)이 설치되고, 구동 레버(40B)에는 구동 암(32b)과 감합한 구동 핀(43b)이 설치되어 있다. 기판(10)에는 원호상의 빠져나감 구멍(13a, 13b)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핀(43a, 43b)은 각각 빠져나감 구멍(escape slot)(13a, 13b) 내를 이동한다. 이에 의해 구동 레버(40A), 구동 레버(40B)의 요동 범위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빠져나감 구멍(13a, 13b)의 종단부에는 바운드 방지용의 고무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레버(40A), 구동 레버(40B)는 합성 수지제이다.
구동 레버(40A)가 요동함으로써 구동 암(31a, 32a)이 요동하여 리딩 블레이드(20A)가 이동한다. 구동 레버(40A)는 리딩 블레이드 구동 부재이다. 마찬가지로 구동 레버(40B)가 요동함으로써, 구동 암(31b, 32b)이 요동하여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이동한다. 구동 레버(40B)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부재이다.
다음에, 구동 레버(40A), 구동 레버(40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구동 레버(40A)는 대략 평판 모양으로 형성된 베이스부(41a), 베이스부(41a) 상에 세워 설치한 통부(42a), 베이스부(4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roller)(46a), 철편(45a)를 보유하는 지지벽(44a)을 포함한다. 철편(45a)은 지지벽(44a)을 관통한 핀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레버(40B)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 레버(40A)는 철편(45a)이 전자석(70A)에 맞닿는 위치로부터 퇴피한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다. 구동 레버(40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구동 레버(40A)는 도 3에 나타낸 스프링(54A)에 의해 이동 범위의 시단 위치로부터 종단 위치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시단 위치라는 것은 구동 레버(40A)가 전자석(70A)에 맞닿는 위치이다. 종단 위치라는 것은 구동 레버(40A)가 전자석(70A)으로부터 퇴피한 위치이다. 환언하면, 구동 레버(40A)는 스프링(54A)에 의해 전자석(7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 레버(40B)도 스프링(54B)에 의해 이동 범위의 시단 위치로부터 종단 위치로 힘이 가해지고. 스프링(54A, 54B)은 각각 통부(42a, 42b)의 외주측에 감겨져 있다.
스프링(54A)의 일단은 구동 레버(40A)에 계합하고, 스프링(54A)의 타단은 래칫 휠(ratchet wheel)(50A)에 계합하고 있다. 래칫 휠(50A)은 도 1, 도 2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도 3에 나타내듯이, 통부(42a)의 상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래칫 휠(50A)의 회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스프링(54A)의 힘을 가하는 능력(이하 '부세력(付勢力)'이라 함)을 조정할 수 있다. 래칫 휠(50B), 스프링(54B)도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3에는 래칫 휠(50A, 50B)의 회전을 각각 정지시키기 위한 조부(pawl portion)(99a, 99b)가 설치되어 있다. 조부(99a, 99b)는 기판(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보유판(90)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보유판(90)은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제이다. 보유판(90)의 상면측에는 프린트 기판(100)이 고정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100)은 전자석(70A, 70B)을 통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석(70A)은 통전됨으로써 구동 레버(40A)의 철편(45a)을 흡착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자석(70B)도 통전됨으로써 구동 레버(40B)의 철편(45b)을 흡착 가능하게 된다.
전자석(70A)은 철심(76a)에 감겨지고 철심(76a)을 여자하는 코일(coil)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도 2에 있어서는 코일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코일은 프린트 기판(100)의 패턴에 도통 접속되어 있다. 코일에의 통전을 바꿈으로써 철심(76a)이 여자(勵磁) 또는 소자(消磁)된다. 전자석(70B)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세트 부재(60)는 미도시의 기어로부터의 회전 이동력을 받아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세트 부재(60)는 구동 레버(40A), 구동 레버(40B)를 각각의 시단 위치에 자리매김을 하는 것이다. 세트 부재(60)는 제동 부재(80A, 80B)와 맞닿는다. 세트 부재(60)는, 도 1, 도 3에 나타내듯이, 구동 캠(drive cam)(62a, 62b), 기어부(68)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구동 캠(62a, 62b), 기어부(68)는 광축 방향 OD로 줄지어 있다. 환언하면, 구동 캠(62a, 62b), 기어부(68)는 광축 방향의 높이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기어부(68)는 미도시의 기어와 맞물려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캠(62a)은 세트 부재(6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주를 따른 돌출면(62a1)과, 상기 원주의 내측으로 후퇴한 퇴피면(62a0)과, 돌출면(62a1)과 퇴피면(62a0)의 사이에 있는 작용면(62a2)을 구비한다. 돌출면(62a1)은 세트 부재(60)의 회전 중심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퇴피면(62a0)은 돌출면(62a1)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후퇴하고 있다. 구동 캠(62a)은 돌출면(62a1) 및 작용면(62a2)에서 롤러(46a)에 맞닿음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구동 캠(62b)은 세트 부재(6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주를 따른 돌출면(62b1)과, 상기 원주의 내측으로 후퇴한 퇴피면(62b0)과, 돌출면(62b1)과 상기 퇴피면(62b0)의 사이에 있는 작용면(62b2)을 구비한다. 돌출면(62b1)은 세트 부재(60)의 회전 중심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퇴피면(62b0)은 돌출면(62b1)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후퇴하고 있다. 구동 캠(62b)은 돌출면(62b1) 및 작용면(62b2)에서 롤러(46b) 맞닿음 가능하다. 도 1, 도 2에 나타내듯이, 구동부인 구동 캠(62a, 62b)은 모두 대략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트 부재(60)의 회전에 따라, 구동 캠(62a, 62b)은 각각 롤러(46a, 46b)에 맞닿음, 퇴피한다. 롤러(46a, 46b)도 구동 캠(62a, 62b)의 광축 방향의 높이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동 부재(80A)의 요동 중심, 구동 레버(40A)의 요동 중심은 세트 부재(60)의 회전 방향의 순으로 줄지어 있다. 제동 부재(80B) 및 구동 레버(40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기판(10)에는 제동 부재(80A, 80B)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동 부재(80A)는 완부(arm portion)(81a), 완부(81a)에 설치된 통부(82a), 구동 캠(62a)에 눌리는 피압압부(84a), 구동 레버(40A)와 맞닿을 수 있는 피당접부(88a)를 가지고 있다. 통부(82a)는 기판(10)에 설치된 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한다. 제동 부재(80A)는 기판(10)에 고정된 스프링 Sa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이 가해지고 있다. 스프링 Sa는 기판(10)에 형성된 축에 감겨, 그 일단은 제동 부재(80A)에 계합하고 있고, 타단은 기판(10)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부(41a)의 저면측에는 당접부(48a)가 설치되어 있다. 당접부(48a)는 제동 부재(80A)의 피당접부(88a)와 맞닿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구동 레버(40A)가 종단 위치에 자리매김되어 있을 때, 당접부(48a)와 피당접부(88a)는 맞닿는다.
또한, 제동 부재(80B)는 통부(82b), 구동 캠(62b)에 눌리는 피압압부(84b), 구동 레버(40B)와 맞닿을 수 있는 피당접부(88b)를 가지고 있다. 통부(82b)는 기판(10)에 설치된 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한다. 제동 부재(80B)는 기판(10)에 고정된 스프링 Sb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자세하게는 후술한다. 구동 레버(40B)의 통부(42b)의 외주부에는 당접부(48b)가 설치되어 있다. 당접부(48b)는 통부(42b)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당접부(48b)는 제동 부재(80B)의 피당접부(88b)와 맞닿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구동 레버(40B)가 종단 위치에 자리매김되어 있을 때, 당접부(48b)와 피당접부(88b)는 맞닿는다.
다음에, 초점면 셔터의 동작에 대해서 도 2,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촬영에 즈음하여 카메라의 릴리즈(release) 버튼이 눌리면, 도 2에 나타낸 상태로 전자석(70A, 70B)의 코일이 통전되어 구동 레버(40A)의 철편은 전자석(70A)에 흡착되고, 구동 레버(40B)의 철편은 전자석(70B)에 흡착된다. 도 2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구동 캠(62a, 62b)은 각각 롤러(46a, 46b)에 맞닿아 있다.
그 후, 도 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캠(62a)의 돌출면(62a1)은 롤러(46a)의 작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한 위치로 이동하여 롤러(46a)와 이간하고, 구동 캠(62b)의 돌출면(62b1)은 롤러(46b)의 작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한 위치로 이동하여 롤러(46b)와 이간한다. 이 상태로 전자석(70A)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구동 레버(40A)는 스프링(54A)의 부세력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구동 레버(40A)는 시단 위치로부터 종단 위치로 이동한다. 개구(11)를 폐쇄하고 있던 리딩 블레이드(20A)는 개구(11)로부터 퇴피하여 개구(11)는 전개 상태로 된다. 도 4는 노출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전자석(70B)의 코일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구동 레버(40B)는 스프링(54B)의 부세력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구동 레버(40B)는 시단 위치로부터 종단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전개 상태인 개구(11)는 트레일링 블레이드(20B)에 의해 폐쇄된다. 도 5는 노광 작동을 종료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1회의 촬영이 종료된다.
제동 부재(80A)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동 레버(40A)가 시단 위치로부터 종단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구동 핀(43a)이 빠져나감 구멍(13a)의 종단부에 맞닿아 바운드할 우려가 있다. 제동 부재(80A)는 구동 레버(40A)의 속도를 저하시킴과 아울러 구동 레버(40A)의 바운드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제동 부재(80A)의 피압압부(84a)가 구동 캠(62a)에 눌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스프링 Sa의 부세력에 거역하여 제동 부재(80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게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는, 제동 부재(80B)의 피압압부(84b)가 구동 캠(62b)에 눌려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스프링 Sb의 부세력에 거역하여 제동 부재(80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게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상태로부터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캠(62a)의 돌출면(62a1)은 제동 부재(80A)의 피압압부(84a)로부터 퇴피하고, 제동 부재(80A)는 스프링 Sa의 부세력에 따라 약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동 부재(80A)의 피당접부(88a)는 당접부(48a)의 궤도상에 위치한다. 그 후,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도 4에 나타내듯이, 구동 캠(62a)의 돌출면(62a1)이 롤러(46a)로부터 이간한다. 여기서, 전자석(70A)의 코일에의 통전이 차단되어, 시단 위치에 보유되어 있던 구동 레버(40A)가 스프링(54A)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당접부(48a)가 피당접부(88a)에 맞닿고, 제동 부재(80A)는 스프링 Sa의 부세력에 거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게 한다. 당접부(48a)가 피당접부(88a)를 통과하면, 제동 부재(80A)는 스프링 Sa의 부세력에 의해 다시 시계방향으로 되밀린다. 이에 의해 구동 레버(40A)의 회전 속도는 저하한다. 당접부(48a)가 피당접부(88a)를 통과하면, 피당접부(88a)는 재차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당접부(48a)의 배면측에 위치한 상태로 당접부(48a)와 맞닿는다. 환언하면, 구동 레버(40A)가 시단 위치 방향으로 이동,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피당접부(88a)가 구동 레버(40A)의 이동을 방해한다. 이에 의해 종단 위치에서의 구동 레버(40A)의 바운드가 방지된다. 제동 부재(80A)는 구동 레버(40A)의 속도를 저하시킴과 아울러 구동 레버(40A)의 바운드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리딩 블레이드 제동 부재이다.
제동 부재(80B)의 피당접부(88b), 구동 레버(40B)의 당접부(48b)도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2의 상태로부터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에 나타내듯이, 구동 캠(62b)의 돌출면(62b1)은 제동 부재(80B)의 피압압부(84b)로부터 퇴피하고, 제동 부재(80B)는 스프링 Sb의 부세력에 따라 약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동 부재(80B)의 피당접부(88b)는 당접부(48b)의 궤도상에 위치한다. 그 후,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도 4에 나타내듯이, 구동 캠(62b)의 돌출면(62b1)이 롤러(46b)로부터 이간한다. 여기서, 전자석(70B)에의 통전이 차단되면, 구동 레버(40B)는 스프링(54B)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당접부(48b)가 피당접부(88b)에 맞닿고, 제동 부재(80B)는 스프링 Sb의 부세력에 거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게 한다. 당접부(48b)가 피당접부(88b)를 통과하면, 제동 부재(80B)는 스프링 Sb의 부세력에 의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되밀린다. 이에 의해 구동 레버(40B)의 회전 속도는 저하한다. 당접부(48b)가 피당접부(88b)를 통과하면, 도 5에 나타내듯이, 구동 레버(40B)가 종단 위치에서 바운드하지 않게 피당접부(88b)는 당접부(48b)의 배면측에 위치한 상태로 당접부(48b)와 맞닿는다. 환언하면, 구동 레버(40B)가 시단 위치 방향으로 이동,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피당접부(88b)가 구동 레버(40B)의 이동을 방해한다. 이에 의해 종단 위치에서의 구동 레버(40B)의 바운드가 방지된다. 제동 부재(80B)는 구동 레버(40B)의 속도를 저하시킴과 아울러 구동 레버(40B)의 바운드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제동 부재이다.
초기 상태로의 이행에 대해서 도 6~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내듯이 구동 캠(62a)의 작용면(62a2)이 제동 부재(80A)의 피압압부(84a)에 맞닿는다. 또한,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7에 나타내듯이 제동 부재(80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게 하여 피당접부(88a)는 당접부(48a)로부터 퇴피한다. 이에 의해 구동 레버(40A)는 종단 위치로부터 시단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캠(62a)의 작용면(62a2)이 롤러(46a)와 맞닿아 구동 레버(40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8에 나타내듯이 구동 레버(40A)를 시단 위치에 자리매김한다.
또한,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9에 나타내듯이 구동 캠(62b)의 작용면(62b2)이 제동 부재(80B)의 피압압부(84b)에 맞닿는다. 또한세트 부재(60)가 회전하면, 도 10에 나타내듯이 제동 부재(80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피당접부(88b)는 당접부(48b)로부터 퇴피한다. 이에 의해 구동 레버(40B)는 종단 위치로부터 시단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캠(62b)의 작용면(62b2)이 롤러(46b)와 맞닿아 구동 레버(40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11에 나타내듯이 구동 레버(40B)를 시단 위치에 자리매김한다. 이 때, 구동 레버(40A)는 세트 부재(60)의 구동 캠(62a)에 의해 상술한 것처럼 시단 위치에 보유되어 있다. 이 상태로 전자석(70A, 70B)이 통전됨으로써 철편(45a, 45b)은 각각 철심(76a, 76b)에 흡착 보유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동 레버(40A), 구동 레버(40B)는 종단 위치로부터 시단 위치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세트 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구동 캠(62a)은 제동 부재(80A)에 맞닿아 제동 부재(80A)를 구동 레버(40A)로부터 퇴피시키고, 그 후에 구동 레버(40A)에 맞닿아 구동 레버(40A)를 시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단일의 구동 캠(62a)이 제동 부재(80A)의 퇴피와 구동 레버(40A)의 시단 위치에의 이동을 행한다. 구동 캠(62b)도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세트 부재에 제동 부재(80A)를 구동 레버(40A)로부터 퇴피시키는 구동부와 구동 레버(40A)를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개별적으로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세트 부재(60)는 구조가 간소화되고 소형화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는 소형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세트 부재에 제동 부재(80A)를 구동 레버(40A)로부터 퇴피시키는 구동 캠과 구동 레버(40A)를 이동시키는 구동 캠을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양쪽 구동 캠은 광축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이유는 세트 부재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제동 부재(80A)를 퇴피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구동 레버(40A)에 맞닿는 것을 피하기 때문이다. 또, 구동 레버(40A)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캠이 제동 부재(80A)에 맞닿는 것을 피하기 때문이다. 또, 세트 부재에는 제동 부재(80B)를 구동 레버(40B)로부터 퇴피시키는 구동 캠과 구동 레버(40B)를 이동시키는 구동 캠을 함께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트 부재에는 4개의 구동 캠이 광축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고, 세트 부재는 광축 방향으로 특히 대형화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구동 캠(62a, 62b)에 의해 제동 부재(80A, 80B)를 퇴피시킬 수가 있고, 구동 레버(40A), 구동 레버(40B)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세트 부재(60)는 특히 광축 방향의 크기가 소형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는 광축 방향으로 박형화가 도모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는 사진기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에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리딩 블레이드, 트레일링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각 블레이드가 합성 수지제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각 블레이드는 금속성이라도 좋다.

Claims (5)

  1.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한 블레이드와,
    시단 위치 및 종단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종단 위치측으로 힘이 가해져,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종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음 및 퇴피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종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도록 힘이 가해진 제동 부재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종단 위치로부터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세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세트 부재는, 상기 제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키고 그 후에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트 부재에 설치된 단일의 부분인, 초점면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에 설치된 철편과,
    상기 시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철편을 흡착 가능한 전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함으로써, 상기 전자석에의 통전의 차단에 기초하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시단 위치로부터 상기 종단 위치에의 이동을 허용하는 초점면 셔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트 부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면과, 상기 돌출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한 퇴피면과, 상기 돌출면과 상기 퇴피면과의 사이에 있는 작용면을 구비한 단일의 구동 캠이고,
    상기 돌출면은,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로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시단 위치에 보유하고,
    상기 퇴피면은, 상기 제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지 않고 상기 제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작용면은,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키고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종단 위치로부터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초점면 셔터.
  4.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한 블레이드와,
    시단 위치 및 종단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종단 위치측으로 힘이 가해져,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종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음 및 퇴피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종단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도록 힘이 가해진 제동 부재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종단 위치로부터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세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세트 부재는, 상기 제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키고 그 후에 상기 구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는, 리딩 블레이드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리딩 블레이드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를 각각 구동하는 리딩 블레이드 구동 부재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리딩 블레이드 구동 부재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부재의 각각과 맞닿음 및 퇴피 가능한 리딩 블레이드 제동 부재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제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리딩 블레이드 구동부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딩 블레이드 구동부는, 상기 리딩 블레이드 제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리딩 블레이드 제동 부재를 상기 리딩 블레이드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키고 그 후에 상기 리딩 블레이드 구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리딩 블레이드 구동 부재를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일의 구동 캠이고,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부는,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제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제동 부재를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부재로부터 퇴피시키고 그 후에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부재에 맞닿아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부재를 상기 시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일의 구동 캠인, 초점면 셔터.
  5. 제1항 또는 제4항의 초점면 셔터를 구비한 광학 기기.
KR1020127006847A 2010-06-23 2011-02-24 초점면 셔터 및 이를 구비한 광학 기기 KR101303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3184A JP5844032B2 (ja) 2010-06-23 2010-06-23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光学機器
JPJP-P-2010-143184 2010-06-23
PCT/JP2011/054078 WO2011161985A1 (ja) 2010-06-23 2011-02-24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光学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686A KR20120048686A (ko) 2012-05-15
KR101303399B1 true KR101303399B1 (ko) 2013-09-05

Family

ID=4537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847A KR101303399B1 (ko) 2010-06-23 2011-02-24 초점면 셔터 및 이를 구비한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76635B2 (ko)
JP (1) JP5844032B2 (ko)
KR (1) KR101303399B1 (ko)
CN (1) CN102597866B (ko)
WO (1) WO20111619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4032B2 (ja) * 2010-06-23 2016-01-13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光学機器
JP5622601B2 (ja) * 2011-01-31 2014-11-1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6153362B2 (ja) * 2013-03-27 2017-06-2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JP2015129821A (ja) * 2014-01-06 2015-07-16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JP6246060B2 (ja) * 2014-04-25 2017-12-1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
JP6513183B2 (ja) * 2015-03-13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9643043B (zh) * 2016-08-25 2021-04-09 富士胶片株式会社 数码相机以及数码相机的控制方法
JP7353756B2 (ja) 2018-12-21 202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ャッタ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7557A (ja) * 2001-09-27 2003-04-09 Nikon Corp シャッタ羽根の係止解除装置
JP2009031513A (ja) * 2007-07-26 2009-02-12 Canon Inc シャッタ装置及びシャッタ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6527A (ja) 1982-05-12 1983-11-16 Copal Co Ltd フオ−カルプレ−ンシヤツタの制動構成
US4975722A (en) * 1989-02-10 1990-12-04 Copal Company Limited Focal plane shutter
JP3913873B2 (ja) * 1998-01-07 2007-05-0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4290284B2 (ja) 1999-07-08 2009-07-0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02287209A (ja) * 2001-03-28 2002-10-03 Canon Inc シャッタ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4264468A (ja) * 2003-02-28 2004-09-24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4101221B2 (ja) * 2004-09-30 2008-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ャッタ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6184717A (ja) * 2004-12-28 2006-07-13 Sigma Corp 一眼レフカメラのミラークイックリターン機構
JP4628387B2 (ja) * 2006-03-31 2011-02-0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08275778A (ja) * 2007-04-26 2008-11-13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10034818A (ja) * 2008-07-29 2010-02-12 Sony Corp シャッタ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4931986B2 (ja) * 2009-11-30 2012-05-1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5844032B2 (ja) * 2010-06-23 2016-01-13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光学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7557A (ja) * 2001-09-27 2003-04-09 Nikon Corp シャッタ羽根の係止解除装置
JP2009031513A (ja) * 2007-07-26 2009-02-12 Canon Inc シャッタ装置及びシャッタ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7866B (zh) 2014-11-05
US8376635B2 (en) 2013-02-19
KR20120048686A (ko) 2012-05-15
US20120177359A1 (en) 2012-07-12
JP5844032B2 (ja) 2016-01-13
WO2011161985A1 (ja) 2011-12-29
CN102597866A (zh) 2012-07-18
JP2012008285A (ja)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399B1 (ko) 초점면 셔터 및 이를 구비한 광학 기기
JP4931471B2 (ja) デジタル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KR101118427B1 (ko) 포컬 플레인 셔터
KR101271908B1 (ko)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US20120183287A1 (en) Blade driving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KR101292871B1 (ko)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JP5253903B2 (ja)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15169739A (ja)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US8376636B2 (en) Focal-plane shutter and optical apparatus
JP2014059331A5 (ko)
US8313256B2 (en) Focal plane shutter and optical device
US8882370B2 (en) Focal plane shutter and optical device
JP2008275778A (ja)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15230387A (ja)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JP6329480B2 (ja) カメラ用シャッタ及びカメラ
JP3789166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3789162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5905424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H1195282A (ja)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11180213A (ja) デジタル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19040069A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撮像装置
JP2003057716A (ja) シャッ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