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552B1 -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552B1
KR101272552B1 KR1020110067079A KR20110067079A KR101272552B1 KR 101272552 B1 KR101272552 B1 KR 101272552B1 KR 1020110067079 A KR1020110067079 A KR 1020110067079A KR 20110067079 A KR20110067079 A KR 20110067079A KR 101272552 B1 KR101272552 B1 KR 10127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insulating material
foam
fiber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593A (ko
Inventor
구홍모
김경남
양준호
김용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경북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경북,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552B1/ko
Priority to US13/270,718 priority patent/US9005498B2/en
Priority to DE102011085191.7A priority patent/DE102011085191B4/de
Priority to CN201110332262.4A priority patent/CN102864579B/zh
Publication of KR20130005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2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for shaping parts, e.g. multilayered parts with at least one layer containing regenerated plas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1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ontaining granules other than absorbent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66Natural fibre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H1/425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4Olef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시트를 미세 분쇄하고, 이를 통해 얻은 분쇄물에 PET와 같은 폴리에스터 섬유, LM PET와 같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마를 혼합하고 카딩하는 과정으로부터 흡차음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흡차음 부품에 적용하기 위한 외관 품질 또는 우수한 흡차음 성능의 흡차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원 발명의 과정을 통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표면이 고른 흡차음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조성물{Method for Manufacturing for Soundproofing Material Using Polyurethane Foam from Car Seat Foam and the Composition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폐 시트 내의 폴리우레탄 폼을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흡차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폐 시트 내의 폴리우레탄 폼을 회수 및 세척후 적정 크기로 미세 분쇄한 분쇄물을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흡차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앞쪽 좌석과 뒷쪽 좌석에 사용자의 쿠션감과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 폼의 소재인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폼을 회수 및 세척 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원통형 분쇄기를 이용하여 적정 크기로 분쇄하는 방법과, 상기 폴리우레탄 분쇄물을 주재료로 하여, 여기에 여러 가지 섬유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새로운 물성을 갖는 흡차음재를 제조하는 방법과, 자동차에서 회수된 폐 시트의 소재인 폴리우레탄 폼을 주재료로 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바인더 역할을 하는 저융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혼합하거나 경우에 따라 올레핀계 섬유 및 황마(jute)를 추가로 첨가하여 내열성 및 파단강도 뿐만 아니라 성형품의 우수한 흡음 성능 및 외관 품질을 가지는 재활용 흡차음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차음재는 주로 자동차 엔진룸의 후드 인슐레이션 패드나 대쉬 인슐레이션 패드 또는 내장 부품인 러기지 트림류나 대쉬 아이솔레이션 패드 등에 적용되며, 흡음 특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주로 사용된다.
자동차용 흡차음재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주재료인 소재와 잡사가 주재료인 소재, 우레탄 폼 단독 소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전량 폐기하고 있는 자동차 부품중의 하나인 시트는 쿠션감을 부여하기 위해 발포 타입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폼을 적용하는 부품으로, 전 차종에 적용하고 있다. 상기 시트 폼은 종래 재활용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열가소성재료 부품과 달리 열경화성 재료로 구성된 부품으로 재활용이 곤란하여 대부분 땅속에 매립시키거나 연소하는 방법으로 처리됨으로써 토양 및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재활용하기 위한 상업적인 방법 및 자동차의 흡차음 부품에 적용하기 위한 외관 품질이나 흡차음 성능 등 만족하는 폐 시트 폼 재활용 흡차음재는 전무한 상태이다.
해외의 경우 TOYOTA社에서 RSPP(Recycled sound proofing products, 상품명) 제품을 개발하여 2002년 무렵 일본 내수용 차량인 “라움(RAUM)”에 적용하였으나,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폐차잔재물 중 Light Fluff 전체를 선별 공정이나 특별한 추가 절차가 없이 그대로 적용하여 순수한 폴리우레탄(PU) 폼이 아닌 기타 잡사류 및 소물 플라스틱 등이 섞여 있는 조성 상태로 단순한 칩보드(Chip-Board) 타입으로 제작된 부품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을 통해 개발된 폐 시트 폼 재활용 흡차음재 대비 기술 및 품질 등이 매우 저급한 수준이며, 냄새 및 VOC 문제, 조밀도, 흡음성능 및 제품 외관 등 전반적인 품질 수준에서 판단해 볼 때에 순수한 PU 폼을 선택적으로 재질 선별하여 미세 분쇄, 혼합 및 카딩 기술 등을 적용한 연속식 공정을 통해 고성능 흡차음재로 개발한 본 발명과는 기술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부가가치 측면에서도 확연하게 열세인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매립 또는 소각되는 폐 시트의 재활용을 위하여 전처리 및 분쇄, 혼합 등의 공정을 통해 자동차 흡차음용 흡차음 재료를 제조하고자, 이를 위해 흡차음재 내에 고른 분산을 위한 PU 폼의 미세 분쇄와 우수한 흡음 성능 및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기 위한 흡차음재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PU 폼이 갖는 우수한 흡음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흡차음재 제조시 고른 분산성과 최종 제품으로 성형시 제품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원통형 분쇄기를 활용하여 적정 크기로 분쇄하는 것과, 자동차의 엔진룸 부품(내열성, 흡음성) 또는 내장재(흡음성, 연소성) 부품뿐만 아니라 건설자재 등의 흡차음재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자동차 폐부품인 시트 폼을 주재료로 분쇄 및 혼합, 카딩, 니들펀칭, 열성형 및 냉각, 히팅롤링 및 절단하여, 흡차음재로 재사용이 가능하고 물성적으로도 요구 성능에 맞는 제조방법 및 조성물 배합기술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거된 폐 시트의 주재료인 폴리우레탄 폼을 미세 분쇄한 분쇄물에 폴리에스터계 섬유(예컨대 PET 섬유), 저융점 폴리에스터계 섬유(예컨대, LM PET 섬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섬유, 마(예컨대, 황마) 등 신재료를 도입하는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한 새로운 흡차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활용 흡차음재 제조 방법은, (a) 수거된 폐 시트의 소재인 분쇄된 PU 폼을 주재료로 하고 폴리에스터계 섬유(예컨대 PET 섬유), 저융점 폴리에스터계 섬유(예컨대, LM PET 섬유)를 혼합기로 혼합하거나 추가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섬유와 마(예컨대, 황마)를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기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혼합한 배합물을 카딩, 니들펀칭, 열성형 및 냉각 공정을 거쳐 펠트(FELT) 형태로 형상화한 후 히팅롤링 및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혼합 단계에서 분쇄된 PU 폼 주재료에 첨가하는 섬유는 PET 및 LM PET를 혼합하거나 PP 섬유와 황마(Jute)를 추가로 혼합 적용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종래 개발된 흡차음재 제조 설비로 작업시 혼합 공정중 배합물에 과다 정정기 발생으로 물 분사 스프레이를 보완하였으며, 배합물을 웹(Web) 적층시 부위별 두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스윙(Swing) 속도 및 진행 속도를 최적화 하였으며, 배합물의 조성물이 PU 폼과 섬유류이기 때문에 발생되는 표면의 고르지 못 한 점을 니들펀칭시 니들 개수 및 니들 틀 폭 및 길이, 니들 심도, 펀칭 횟수 조정으로 표면이 매끄럽도록 공정 최적화가 필요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혼합 단계는 흡음성 및 물성, 외관 품질의 개선을 위해 PP 섬유, 마(Jute), 유리섬유를 첨가하는 과정을 추가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직포 융착은 보드 형태 유지 및 PU 폼 이탈 방지를 위해 라미네이팅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활용 흡차음재 조성물은 ① 폐 시트 폼 분쇄물 10-80 중량%, ②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신재료 10-80 중량%, ③ 저융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LM PET) 섬유 신재료 2-50 중량%, ④폴리프로필렌(PP, polyolefine계) 섬유 신재료 2-30 중량%, ⑤마(JUTE) 신재료 2-30중량%, 등 상기의 구성 성분 ①, ② 및 ③ 또는 ①, ②, ③, ④ 및 ⑤로 100 중량%의 구성을 이루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폐 시트를 미세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단계를 통하여 얻은 폴리우레탄 폼 분쇄물에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 저융점(Low Melting point) 폴리에스터 섬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섬유, 열가소성 섬유 및 마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배합물을 카딩하는 단계; (d) 니들펀칭 단계; (e) 열성형 및 냉각 공정 단계; 및 (f) 펠트(FELT) 형태로 형상화한 후 히팅롤링 및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차음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분쇄물은 그 크기가1-15 mm인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mm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3 mm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는 폴리글리코르 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에틸렌 아디파트(Polyehtylene adipate, PEA), 폴리하이드로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PH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섬유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열가소성 섬유는 나일론,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다이엔 스타이렌(ABS), 셀룰로이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알코올,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마이드 이미드, 폴리아릴에테케톤, 폴리부타다이엔, 폴리부틸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실렌 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터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락트산, 폴리메틸펜텐,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프탈아마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폴리설폰, 폴리우레탄, 폴리바이닐 아세테이트, 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 또는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마는 황마(Jute), 아마(Flax, Linen), 대마(Hemp) 또는 저마(Ramie)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황마(Jute)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하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① 10-80 중량%의 시트 폼 분쇄물, ② 10-80중량%의 폴리에스터계 섬유 및 ③ 2-50중량%의 저융점 폴리에스터계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계 섬유는 PET이며, 저융점 폴리에스터계 섬유는 LM PET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④ 폴리프로필렌(PP) 섬유 및 ⑤ 마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는 황마(Jute)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및 마는 그 조성물 함량이 2-30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은 20-25중량%, 마는 10-15중량%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관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불필요한 반복을 회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은 폐 시트를 이용하여 우수한 흡음성을 보유한 재활용 흡차음재로의 실용적인 재활용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폐 시트 재활용으로 인한 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종래 매립 또는 소각하던 것을 재활용함으로써 자동차 재활용률 향상으로 자동차의 환경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국내외 폐차 처리법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폐 시트를 활용한 재활용 흡차음재 조성물은 기존에 사용되는 신재료 PET 60%와 신재료 LM PET 40% 함유 흡차음재 재료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나타내므로, 약 15-20% 정도의 원가 절감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폐기물 재활용으로 자원 고갈을 방지하는 환경 친화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폐 우레탄 시트 조각 및 이를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흡차음재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전체적인 제조 방법 과정 및 그에 대한 간략한 설명에 대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분쇄 단계, 혼합 단계 및 카딩 단계를 통해 종래의 기술보다 개선된 효과를 보여주는 대비그림이다.
도 4는 크기가 6 mm인 폼의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한 흡차음재 사진이다.
도 5는 도요타사의 재활용 방음 제품(Recycled sound proofing products, RSRP) 사진이다.
도 6은 3 mm 크기의 폐 시트로 분쇄한 PU 폼50wt%에 신재료 PET 섬유 20wt%와 신재료 LM PET 30wt%를 도입하고, 실시예 1 대비 PU 폼 함량을 10wt% 증가시키고, 신재료 PET 함량을 조정한 후 흡자음재 제작 결과의 흡차음재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흡차음재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전체적인 제조 방법 과정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 시트의 PU 폼 분쇄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재활용 흡차음재 조성물과 이 때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수거한 폐 시트를 원통형 분쇄기로 분쇄하여 얻은 PU 폼 분쇄물을 주재료로 한 흡차음재 조성물로, 이에 첨가할 수 있는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녹는점이 낮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LM PET) 섬유나 물성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목적으로 기타 섬유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유리섬유 등도 첨가할 수 있다.
재활용 흡차음재의 물성 및 외관 품질 개선을 위한 첨가제로는 PP 섬유, 황마(Jute), 유리섬유 등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흡차음재 조성물은 PU 폼과 PET 및 LM PET신재료를 기재로 하여 0-40 중량%의 PP섬유 및 황마(Jute), 유리섬유가 첨가되어 있는 조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흡차음재 제조 설비로 제조된 재활용 흡차음재 대표 물성은 인장강도 길이 방향 7.0kgf/cm2,폭 방향 20.0kgf/cm2이고, 1.0Khz음파에서 흡음계수 0.57, 2.0khz음파에서 흡음계수 0.69, 3.15khz음파에서 0.83이다. 또한, 제조된 흡차음재를 열프레스(200-230℃ & ) 사이에 넣고 30초-200초 내로 예열후 냉간 금형으로 성형한 흡차음 보드 대표 물성은 파열강도 17.0kgf/cm2이다.
상기의 PU 폼은 열경화성 소재로 열이나 압력으로 재가공이 불가능하여 폼 자체를 도 1과 같이 미세(입자 크기: 1-10mm)하게 분쇄하여 사용한다. 분쇄된 PU 폼에 PET와 LM PET를 혼합하여 흡차음재를 제조함으로써 요구 물성 및 최종 제품의 외관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흡음재 제조 공정은 하기 도2에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수거된 폐 시트를 3mm 크기로 분쇄한 PU 폼 40wt%에 신재료 PET 섬유 30wt%와 신재료 LM PET 30wt%를 도입하였다. PU 폼 대비 신재료 섬유 투입량을 높게 가져갈 경우 제품 외관은 양호하나, 제조 과정에서 섬유들의 뭉침 현상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었으며, 흡차음재 제조후 흡음성 측면에서 비교예1 보다 다소 열세한 특성을 보였다.
실시예 2
수거된 폐 시트를 3mm 크기로 분쇄한 PU 폼 50wt%에 신재료 PET 섬유 20wt%와 신재료 LM PET 30wt%를 도입하였다. 실시예 1 대비 PU 폼 함량을 10wt% 증가시키고, 신재료 PET 함량을 조정한 후 흡자음재 제작 결과 도6에 알 수 있듯이 PU 폼이 고르게 분산되어 단위 면적당 충진율 높아져 흡음성이 개선되고 제품 외관이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3
PU 폼 크기에 따른 작업성 및 제품 외관, 흡음성을 평가하기 위해 PU 폼을 6mm 크기로 분쇄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배합으로 흡차음재를 제조한 결과 도 4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PU 폼 분산성 및 제품 외관, 흡음성 모두 불리한 결과를 보였다. 폼의 입자가 너무 크게 되면 분산된 폼 주면에 공극이 다수 발생되므로 흡음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외관 굴곡면이 발생되는 결과를 보였다. (도 4)
실시예 4
수거된 폐 시트를 3mm 크기로 분쇄한 PU 폼 50wt%에 신재료 PET 섬유 10wt%와 신재료 LM PET 25wt%, 황마 15wt%를 도입하였다. 신재료 PET 대비 가격이 저렴한 황마를 도입하여 가격적인 이점을 얻고자한 배합이며, 흡차음재 제조 결과 3가지(분산성, 외관, 흡음성) 측면에서 실시예 2와 동등한 결과을 보였다.
실시예 5
수거된 폐 시트를 3mm 크기로 분쇄한 PU 폼 50wt%에 신재료 LM PET 10wt%, 마 20wt%, PP 섬유 20wt%를 도입하였다. 녹는점이 낮은 PP 섬유 도입을 통해 제품 성형 온도를 낮게 가져갈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내열성이 실시예 2와 3 대비 불리한 결과를 보였다. 분산성 및 외관, 흡음성 측면에서 실시예 2와 동등한 결과을 보였다.
실시예 6 및 7
수거된 폐 시트를 3mm 크기로 분쇄한 PU 폼 60wt%에 신재료 PET 10-30wt%, 신재료 LM PET 10-30wt%를 도입하였다. 실시예 2 대비 PU 폼 함량을 증가시켜 재활용재료의 사용을 극대화 방안에 대한 검토 목적이며, PU 폼의 함량이 증가함으로 분산성이 다소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인더 함량이 부족할 경우 제품 외관이 저하되는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
재활용 PU 폼 분쇄물 적용의 객관적인 실용화 비교를 위해, 현재 시중에서 사용 중인 신재료 흡차음재(PET 60wt%+LM PET 40wt%)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하기의 표1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인 배합물의 함량에 따른 제품 내 PU 폼 분산성 및 외관 품질, 흡음성에 대한 결과이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재활용
폴리우레탄
비율
(%)
40 50 60 -
중량
(g)
400 500 600 -
폼 크기(mm) 3 6 3 3 -
PET 섬유
(신재료)
비율
(%)
30 20 10 - 10 30 60
중량
(g)
300 200 100 - 100 100 600
LM PET
섬유
(신재료)
비율
(%)
30 30 25 10 30 10 40
중량
(g)
300 300 250 100 300 100 400
PP 섬유 비율
(%)
- - - - 20 - - -
중량
(g)
- - - - 200 - - -
황마(Jute) 비율
(%)
- - - 15 10
중량
(g)
- - - 150 100
Total 비율
(%)
100
중량
(g)
1,000
흡차음재 내
PU 폼 분산성
4 5 3 5 5 4 4 -
제품 외관 5 5 2 5 5 5 3 5
흡음성
(흡음계수)
1kHz 0.4 0.57 0.0.48 0.59 0.60 0.59 0.60 0.49
2kHz 0.52 0.69 0.65 0.69 0.69 0.69 0.69 0.64
3.15kHz 0.71 0.83 0.75 0.83 0.82 0.83 0.82 0.77
(1) 흡차음재 내 PU 폼 분산성은 칼을 이용하여 흡차음재를 절단하고 단면을 확인하여 PU 폼의 분산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등급은 우수(5), 양호(4), 보통(3), 미흡(2), 불량(1) 기준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2) 제품 외관은 흡차음재를 표면 굴곡을 육안으로 평가하고, 추가로 열프레스로(200-230℃, 1분) 예열후 냉간 금형으로 프레스후 면의 굴곡성을 육안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등급은 우수(5), 양호(4), 보통(3), 미흡(2), 불량(1) 기준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3) 흡음성은 잔향실법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재활용 PU폼 흡차음재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한 상세한 성분은 다음과 같다.
① 폐 시트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 분쇄물은 자동차 시트 상태 또는 폐차잔재물(일정 크기로 분쇄됨) 형태로 회수되어 재활용시 미세 분쇄 공정이 필요하다. 현재, 재활용 기술 개발이 전무한 상태로 땅 속에 매립하거나 소각함으로 인해 환경공해 문제를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② 폴리우레탄 폼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우레탄 폼은 열경화성 소재로 열가소성 소재와 달리재활용이 곤란한 소재이다.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발포한 것이며, 현재 자동차 대당 약 10kg 발생된다. 상기의 PU 폼은 10-80 중량%로 포함된다.
③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ET 섬유는 녹는점이 250-260℃이고, 2-10 데니어(de) 이다.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흡차음재의 형상 및 내열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의 PET 섬유는 10-80 중량%로 포함된다.
④ 저융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LM PET) 섬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M PET 섬유는 녹는점이 130-180℃이고, 3-8 데니어(de) 이다. 흡차음재 내에서 바이더 역할을 위해 사용한다. 상기의 LM PET 섬유는 5-50 중량%로 포함된다.
⑤ 폴리프로필렌(PP, polyolefine계) 섬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P 섬유는 녹는점이 130-150℃이고, 2-10 데니어(de) 이다. 흡차음재 내에서 바이더 역할과 PET 섬유를 대체하여 적용시 성형 온도를 저하기키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의 PP 섬유는 2-30 중량%로 포함된다.
⑥ 황마(JUT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황마는 기계적 강성을 위해 사용한다. 상기의 황마는 2-30 중량%로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②, ③ 및 ④ 또는 ②, ③, ④, ⑤ 및 ⑥ 조성물에 상기 구성성분 이외에도 각각의 용도에 따라 난연성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a) 폐 시트를 미세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단계를 통하여 얻은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PU) 폼 분쇄물에 폴리에스터(polyester)계 섬유, 저융점(Low Melting point) 폴리에스터계 섬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섬유, 열가소성 섬유 및 마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배합물을 카딩하는 단계;
    (d) 니들펀칭 단계;
    (e) 열성형 및 냉각 공정 단계; 및
    (f) 펠트(FELT) 형태로 형상화한 후 히팅롤링 및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은 그 크기가1-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계 섬유는 폴리글리코르 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에틸렌 아디파트(Polyehtylene adipate, PEA), 폴리하이드로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PH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재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섬유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다이엔 스타이렌(ABS), 셀룰로이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틸렌-바이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바이닐 알코올,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마이드 이미드, 폴리아릴에테케톤, 폴리부타다이엔, 폴리부틸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실렌 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터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락트산, 폴리메틸펜텐,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프탈아마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폴리설폰, 폴리우레탄, 폴리바이닐 아세테이트, 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 또는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재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는 황마(Jute), 아마(Flax, Linen), 대마(Hemp) 또는 저마(Ram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재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① 10-80 중량%의 시트 폼 분쇄물, ② 10-80중량%의 폴리에스터계 섬유 및 ③ 2-50중량%의 저융점 폴리에스터계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재의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④ 2-60 중량%의 마를 추가적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폐 시트 폼 또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KR1020110067079A 2011-07-06 2011-07-06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조성물 KR10127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79A KR101272552B1 (ko) 2011-07-06 2011-07-06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조성물
US13/270,718 US9005498B2 (en) 2011-07-06 2011-10-11 Method for manufacturing soundproofing material using polyurethane foam from car seat foam and composition thereof prepared thereby
DE102011085191.7A DE102011085191B4 (de) 2011-07-06 2011-10-25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challisolierenden Materials unter Verwenden eines Polyurethanschaums aus einem Schaum für Autositze und Zusammensetzung mit demselben, welche mittels des Verfahrens erzeugt wird
CN201110332262.4A CN102864579B (zh) 2011-07-06 2011-10-27 使用来自汽车座椅泡沫的聚氨酯泡沫制造隔音材料的方法及通过其制备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79A KR101272552B1 (ko) 2011-07-06 2011-07-06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93A KR20130005593A (ko) 2013-01-16
KR101272552B1 true KR101272552B1 (ko) 2013-06-11

Family

ID=4742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079A KR101272552B1 (ko) 2011-07-06 2011-07-06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05498B2 (ko)
KR (1) KR101272552B1 (ko)
CN (1) CN102864579B (ko)
DE (1) DE102011085191B4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963B1 (ko) * 2015-07-10 2015-11-17 신혜원 섬유합판의 제조방법
KR20160015043A (ko) 2014-07-30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음성능이 우수한 흡차음 보드 부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 보드 부품
KR101897809B1 (ko) 2018-04-30 2018-09-12 조웅현 자동차용 우레탄폼 시트 이형 조성물
KR20190037023A (ko) 2017-09-28 2019-04-05 원풍물산주식회사 파형 버블구조를 갖는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794B1 (ko) * 2012-04-24 201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융복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88308B1 (ko) * 2013-05-06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흡차음 강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06049B (zh) * 2013-06-19 2015-10-28 苏州佰家丽新材料科技有限公司 针刺3d吸音体的制备方法
CN103303214B (zh) * 2013-07-02 2015-04-08 无锡吉兴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隔音垫及其制造工艺
KR101488320B1 (ko) * 2013-07-16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음재,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6222843B2 (ja) * 2014-03-31 2017-11-01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クッションの成形方法およびシートクッション
EP3136528B1 (de) * 2015-08-31 2020-04-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Differentialschutzverfahren, differentialschutzeinrichtung und differentialschutzsystem
WO2017178717A1 (fr) * 2016-04-12 2017-10-19 Cera Aps Procédé de réalisation d'un panneau insonorisant de garnissage intérieur de véhicule automobile
FR3049894B1 (fr) 2016-04-12 2018-05-18 Treves Products, Services & Innovation Procede de realisation d’un panneau insonorisant de garnissage interieur de vehicule automobile
WO2018002457A1 (fr) * 2016-07-01 2018-01-04 Cera Aps Panneau de protection acoustique destiné à habiller une paroi de véhicule automobile
CN109898232A (zh) * 2019-03-15 2019-06-18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声调节材料及其用途
KR102340236B1 (ko) 2020-02-27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45788B1 (ko) 2021-06-14 2023-06-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멜트블로운 부직포, 이를 포함하는 다층구조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726B1 (ko) * 1998-07-13 2001-05-02 박성탁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매트의 제조방법
KR20030022552A (ko) * 2001-09-11 2003-03-17 주식회사 풍진 자동차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12589B1 (ko) * 2004-11-10 2006-08-14 동아화성(주)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7417A (en) * 1969-04-25 1971-11-02 Kendall & Co Process for forming a bonded nonwoven fabric
US4184237A (en) * 1978-08-31 1980-01-22 Sofisti-Caire Furniture Mfg. Inc. Method of making a cushion construction
US4473609A (en) * 1983-10-17 1984-09-25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Colored embossed needle-bonded fabric wall covering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818586A (en) * 1986-01-21 1989-04-04 Gates Formed-Fibre Products, Inc. Preferentially needled textile panel and method
DE4020602C1 (ko) * 1990-06-28 1992-03-19 Stankiewicz Gmbh, 3101 Adelheisdorf, De
KR100387653B1 (ko) * 2000-12-14 2003-06-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RU22454U1 (ru) * 2001-08-27 2002-04-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топластик" Слоистый формующийся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ий материал (варианты)
DE10208524B4 (de) * 2002-02-27 2004-07-08 Johann Borgers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Faservlies-Formteilen
JP2003345363A (ja) 2002-05-28 2003-12-03 Kasai Kogyo Co Ltd 車両用吸音材
KR100540360B1 (ko) 2002-06-05 2006-01-10 동진이공(주) 천연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79850B1 (ko) 2006-09-20 2007-11-29 신후철 자동차용 흡음재 제조방법
KR100908340B1 (ko) 2007-08-17 2009-07-17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52413A (ko) 2009-11-11 2011-05-18 (주)고경씨앤피 자동차 내장 시트 폐기물 재활용 칩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726B1 (ko) * 1998-07-13 2001-05-02 박성탁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매트의 제조방법
KR20030022552A (ko) * 2001-09-11 2003-03-17 주식회사 풍진 자동차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12589B1 (ko) * 2004-11-10 2006-08-14 동아화성(주)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043A (ko) 2014-07-30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음성능이 우수한 흡차음 보드 부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 보드 부품
KR101568963B1 (ko) * 2015-07-10 2015-11-17 신혜원 섬유합판의 제조방법
KR20190037023A (ko) 2017-09-28 2019-04-05 원풍물산주식회사 파형 버블구조를 갖는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97809B1 (ko) 2018-04-30 2018-09-12 조웅현 자동차용 우레탄폼 시트 이형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64579B (zh) 2016-12-21
CN102864579A (zh) 2013-01-09
US9005498B2 (en) 2015-04-14
DE102011085191B4 (de) 2020-10-29
KR20130005593A (ko) 2013-01-16
DE102011085191A1 (de) 2013-01-10
US20130009087A1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552B1 (ko)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조성물
KR101371811B1 (ko)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7160742A (ja) 自動車用内装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980570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undproofing board part having excellent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and soundproofing board part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755850B1 (ko) 재활용 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8509535A (ja) 使用済の織られた又は編まれたテキスタイルの再使用
KR101405794B1 (ko) 융복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69903B1 (ko) 흡음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8980A (ko) 자동차 내장용 생분해성 흡음재의 제조방법
JP2002178848A (ja) 車両用防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88605B1 (ko) 폴리우레탄 폐자재를 이용한 자동차용 칩몰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180047882A (ko) 단일소재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88320B1 (ko) 흡음재,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4167505B2 (ja) 多密度構成のフェルト吸音材
KR101601857B1 (ko) 자동차 내장 기재용 친환경 열가소성 펠트 적층물
KR102111208B1 (ko) 흡차음성이 우수한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JP2004027383A (ja) 成形用吸音マット及び車両用吸音材
KR20090097525A (ko) 이형소재를 혼합성형하여 얻어지는 판재와 그 제조방법
KR101082129B1 (ko) 폐 폴리우레탄 폼을 재활용한 자동차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28063B1 (ko) 자동차용 노이즈 방지재와 그 제조방법
JP2000185321A (ja) ポリウレタン微粉末、それを配合してなる樹脂組成物、レザ―調物品用素材、および高周波ウエルダ―加工素材
JPH0655678A (ja) 自動車用成形防音材
JP2000276179A (ja) 防音材及び該防音材の製造方法
JP3372089B2 (ja) 高性能遮音材
KR20230078840A (ko) 차량용 바이오-재생 복합 내장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