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697B1 -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697B1
KR101261697B1 KR1020107028945A KR20107028945A KR101261697B1 KR 101261697 B1 KR101261697 B1 KR 101261697B1 KR 1020107028945 A KR1020107028945 A KR 1020107028945A KR 20107028945 A KR20107028945 A KR 20107028945A KR 101261697 B1 KR101261697 B1 KR 101261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upport structure
ankle
sole
in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396A (ko
Inventor
마사노리 하라다
Original Assignee
마사노리 하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노리 하라다 filed Critical 마사노리 하라다
Publication of KR20110017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sole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과제] 사용자의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도 횡 아치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불편함과 통증을 주지않고 발 변형 (예컨대, 평발, 엄지발가락 외반 및 PTTD) 에 수반되는 질환의 포괄적이고도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가능케 하는 지지물, 양말 또는 스타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의 수단]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로서, 발등부, 발바닥부 및 앞발의 측부를 잡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을 포함하며, 발등부와 발바닥부는 함께 연결되어 원통형 구조체를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발등부와 발바닥부 사이의 경계가 앞발의 측부와 정렬하게 되며, 미끄럼 방지 수단은 상기 원통형 구조체에 있어서 앞발의 측부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서 그 원통형 구조체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고, 발등부는 발의 폭방향으로 발바닥부 보다 큰 신장률을 갖는다.

Description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SUPPORT STRUCTURE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 ASSOCIATED WITH DEFORMITY OF FOOT}
본 발명은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앞발의 발등을 덮는 발등부, 앞발의 바닥을 덮는 발바닥부, 및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발등부와 발바닥부는 함께 연결되어 원통형 구조체를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지지 구조체가 발에 착용되면, 발등부와 발바닥부 사이의 경계가 앞발의 내외측부와 정렬하게 되며,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은 상기 원통형 구조체에 있어서 앞발의 내외측부와 접촉하게 되는 각 부분에서 그 원통형 구조체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발등부는 상기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상기 발바닥부 보다 큰 신장률을 갖는,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지지 구조체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도 지지 구조체를 발에 착용함으로써 형성된 횡 아치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구조체에 의해 발등에 가해지는 의복 압력을 비교적 낮은 레벨로 억제하여 부종과 마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통증을 주지 않고, 발 변형 (평발, 엄지발가락 외반, 후경골 힘줄 기능장애 (이하, 종종 "PTTD" 라고 약칭함) 로 인한 발 아치의 저하(발바닥의 편평화) 및 뒤꿈치 외반) 에 수반되는 다양한 질환의 포괄적이고도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는 얇은 재료와 간단한 구조체를 사용해서 얻어질 수 있으며, 그리 하여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는 발에 쉽게 착용될 수 있고 또한 실외 및 실내 발 착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지지 구조체를 매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며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우수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지지 구조체의 매일의 사용으로 큰 정도로 쉽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람의 발은 3개의 아치를 갖는데, 즉 제 1 발가락(즉, 큰 발가락 또는 엄지 발가락)의 기부와 제 5 발가락(즉, 작은 발가락 또는 새끼 발가락)의 기부를 연결하는 횡 아치, 뒤꿈치와 엄지 발가락의 기부를 연결하는 내측 종 아치, 및 뒤꿈치와 새끼 발가락의 기부를 연결하는 외측 종 아치를 갖고 있다. 발의 아치는 체중이 발에 실린 상태에서 움직이는 동안에 스프링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그 아치는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하며,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횡 아치는 중족골 인대와 근육으로 구성된 스프링과 같으며, 보행중에 발가락 끝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주고 또한 몸 전체의 균형을 잡는데 중요하다. 그러나 요즘들어 횡 아치의 붕괴로 평발인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평발은 횡 아치가 붕괴되어(즉, 편평화되어) 상방에서 보았을 때 발이 부채 모양으로 퍼진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는 예컨대 운동 부족으로 인한 근육의 약화 및 체중 증가와 굽이 높은 신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족골 인대의 이완으로 야기된다. 평발의 증상은 신발의 내면과 제 1 및 5 발가락의 기부 사이의 접촉으로 야기되는 통증을 포함한다. 특히 평발은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장시간 신는 여자한테서 생기며, 많은 경우에 평발은 엄지발가락 외반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즉 제 1 발가락이 그의 기부로부터 제 2 발가락쪽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제 1 발가락의 기부에 있는 관절이 발의 내측부에서 바깥으로 돌출해 있는 상태로 고정된다. 평발과 엄지발가락 외반은 통증 뿐만 아니라, 부자연스러운 보행 자세를 초래하여 요통과 몸 전체의 피로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의 아치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후 경골 힘줄에 대해서는, 노화 등으로 인한 힘줄 기능 장애로 발 변형이 초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후 경골 힘줄의 기능 장애를 "PTTD" 라고 하는데, 뒤꿈치 외반과 평발과 같은 다양한 발 변형의 원인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
발 아치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운동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양말과 지지물이 개발되었다. 특허 문헌 1 에는 연속적인 고탄성부 및 별개의 저탄성부를 각기 갖는 한쌍의 양말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연속적인 고탄성부는 발바닥 아치를 가로지르는 영역과 종골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영역에 대응하는 양말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별개의 저탄성부는 양말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한다. 이 양말은 발등의 과도한의 조임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발의 발바닥 아치를 올릴 수 있으며, 따라서 종 아치를 교정함으로써 피로를 감소시키고 또한 사용자의 운동 성능을 개선시켜 준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에는 횡 아치와 그이 중요성에 대한 기재는 없다.
특허 문헌 2 에는 또한 보행 중에 부드러운 발 움직임을 위한 양말이 개시되어 있다. 이 양말은 발바닥부의 종축선과 발가락부의 횡축선 사이의 각도가 0°보다 크고 80°이하가 되도록 양말의 위치에 따라 니팅 설계와 재료를 변경하여 제조된다. 또한, 이 양말의 발등부는 양말이 착용되는 발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신장률이 저하되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특허 문헌 2 에는 특히 각 양말에 있어서 그 양말이 착용되는 발의 중족골 및/또는 중족지절 관절과 대향하게 되는 부분을 감싸는 잠금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잠금 영역은 중족골 및/또는 중족지절 관절을 적절히 압박하여 사용자의 발가락을 퍼지게 함으로써 엄지발가락 외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특허 문헌에는 횡 아치의 회복이나 평발의 개선에 대한 설명은 없다.
중족골 인대를 조이고 횡 아치를 회복시켜서 평발과 엄지발가락 외반을 교정하는 다양한 지지물과 양말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특허 문헌 3 에는 엄지발가락 외반을 교정하기 위한 지지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지지물은 그 지지물이 착용되는 발의 큰 발가락과 작은 발가락의 기부에 있는 관절과 대향하게 되는 상기 지지물의 각 부분에 구멍을 뚫어 형성된 개구와, 발바닥에 있어서 발의 "용천" 이라고 불리는 경락점과 대향하게 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원추형 쿠션과, 압축력과 지압 효과를 얻기 위해 중족골 전체를 덮고 또한 발바닥과 발등 둘레를 감싸는 원통형의 관절 감싸기부 및, 상기 압축력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교정력을 가하여 횡 아치를 교정하기 위해 큰 발가락과 제 2 발가락의 사이에 또한 작은 발가락과 제 4 발가락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패드를 갖고 있다. 특허 문헌 3 의 지지물은 중족골 모두를 덮고 중족골 인대를 압축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중족골 인대의 내외측 단부에서 발의 중앙부쪽으로 가해지는 압축력이 횡 아치의 형성을 쉽게 한다. 그러나, 동시에 상기 지지물은 발등부에서부터 발바닥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중족골 인대를 조이는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 힘은 횡 아치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체중이 발에 실리지 않을 때, 상기 패드의 효과는 줄어들며 아치 형성이 만족스럽지 않게 된다. 또한, 이 지지물의 사용은 발등의 특히 강한 조임으로 인한 부종과 마비의 위험을 동반한다.
특허 문헌 4 에는 발가락 수용부와 조절 벨트를 갖는 지지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발의 큰 발가락과 작은 발가락은 발가락 수용부에 각각 끼워지며, 큰 발가락과 작은 발가락의 외향 퍼짐의 정도는 엄지발가락 외반과 새끼발가락 내반의 각 증상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벨트로 조절된다. 이 지지물은 펌프와 같은 패션너블한 신발과 함께 사용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목적에 적합한 다자인을 얻기 위해, 이 지지물의 발등부는 발가락의 기부를 따라 뻗은 가는 선으로 설계되어 있다. 특허 문헌 4 의 지지물은 발등부로부터 발바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중족골 인대를 조이지 않기 때문에 횡 아치의 붕괴를 일으키지 않지만, 이 지지물은 발의 중앙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중족골 인대의 내외측부로부터 조임력 (이 힘은 횡 아치의 형성에 필요하다) 을 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 지지물은 평발을 개선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특허 문헌 5 에는 붕괴된 횡 아치를 회복시키기 위한 기능성 양말 한 켤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양말은, 발바닥의 중족골 인대를 덮는 발바닥부와 이 발바닥부의 내외측부에 인접한 부분은 고탄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반면에 발등의 중족골 인대를 덮는 양말의 발등부는 상기 고탄성 재료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 저탄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특허 문헌 5 의 기재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양말이 착용되면, 발이 그의 폭방향으로 조여져 각 종족골 인대의 내외측 단부들이 서로에 더 가깝게 당겨지고, 반면에 발등부에서 발바닥부로 향하는 두께 방향으로는 발이 조이지 않아서, 중족골 인대가 원하는 횡 아치 형태로 효과적으로 회복된다. 특허 문헌 5 에 개시된 기능성 양말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저탄성 재료는 통상적인 양말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면(cotton)이고, 고탄성 재료는 우레탄 고무가 직조되어 있는 면 재료이다. 우레탄 고무를 함유하는 면 재료는 탄성 영역의 힘점을 지지하는데 필요한 조임력을 가할 수 없고, 저탄성 재료로서 사용되는 양말용 면은 양말의 고탄성 영역과 함께 늘어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이 특허 문헌 5 의 양말을 다시 제조하여 시험해 보았더니, 그 양말은 발에 체중이 실리기 전에 작은 횡 아치를 형성하는 약간의 효과를 보였지만, 횡 아치 형성 효과는 발에 체중이 실리면 상실되었다.
또한, 상기 "PTTD" 를 위한 치료 보호대로서, UCBL(University of California Biomechanics Laboratory) 에서 개발된 신발 인서트(소위 "UCBL 신발 인서트")가 알려져 있다. 이 UCBL 신발 인서트는 경질 플라스틱 재료(폴리우레탄과 같은) 로 만들어지며 내외측 종 아치 지지부와, 종골을 적절한 높이에 유지하는 함몰부를 갖는 뒤꿈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발 인서트는 벨트 등에 의해 신발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UCBL 신발 인서트는 경질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또한 발의 넓은 영역을 덮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구속감과 불쾌감을 준다. 일반적으로, UCBL 신발 인서트는 각 환자의 발의 네거티브 이미지를 갖는 공동을 구비하는 주형을 사용하는 성형으로 주문 제작되는데, 따라서 제작이 수고롭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상표명 "Aircast" 으로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것과 같은 보호대 (이의 특정 예중의 하나가 "AirLift"(등록 상표) 임) 가 알려져 있는데, 이는 발바닥 뿐만 아니라, 전체 발목 부분도 덮는다. 이 보호대의 발바닥부에는, 공기가 불어 넣어질 수 있는 공기 펌프 형태의 중족골 패드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보호대는 발의 전체 발목 부분을 압박하고 혈액 순환 불량과 사용자에게 고통과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미국의 Richie Brace, Inc. 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Richie Brace"(등록 상표)도 알려져 있다. 이 보호대는 발등 굽힘과 발바닥 굽힘을 제외하고는 발 관절의 움직임을 강하게 제한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다시 말해, 이 보호대는 발등 굽힘과 발바닥 굽힘을 제외하고는 발을 강하게 고정시키는 깁스와 같은 기능을 한다. 이 보호대는 크고 주문 제작되기 때문에, 비싸고 보호대 구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PTTD 를 치료하기 위한 상기 모든 통상적인 보호대는 평발을 방지 또는 교정하는 효과가 거의 없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매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평발, 엄지발가락 외반, PTTD 로 인한 발 아치의 저하(발바닥의 편평화) 및 뒤꿈치 외반과 같은 발 변형에 수반되는 다양한 질환의 포괄적이고도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를 가능케 하는 양말이나 지지물은 없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25833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31615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5085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30743 [특허 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42213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도 지지물 등을 발에 착용함으로써 형성된 횡 아치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통증을 주지않고, 발 변형 (평발, 엄지발가락 외반, PTTD 로 인한 발 아치의 저하(발바닥의 편평화) 및 뒤꿈치 외반) 에 수반되는 다양한 질환의 포괄적이고도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가능케 하는 지지물이나 양말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넓고 심도 있는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는, 앞발의 발등을 덮는 발등부, 앞발의 바닥을 덮는 발바닥부, 및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발등부와 발바닥부는 함께 연결되어 원통형 구조체를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지지 구조체가 발에 착용되면, 발등부와 발바닥부 사이의 경계가 앞발의 내외측부와 정렬하게 되며,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은 상기 원통형 구조체에 있어서 앞발의 내외측부와 접촉하게 되는 각 부분에서 그 원통형 구조체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발등부는 상기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상기 발바닥부 보다 큰 신장률을 갖는 지지 구조체로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예기치 않게 알아냈다. 또한, 발 변형 (평발, 엄지발가락 외반, PTTD 로 인한 발 아치의 저하(발바닥의 편평화) 및 뒤꿈치 외반) 에 수반되는 다양한 질환들 사이에 상호 관련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본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아냈는데, 즉 발목의 앞 부분과 뒤꿈치를 에워싸면서 발목 둘레에 착용되는 발목 지지 밴드를 상기 지지 구조체에 부가하면, 앞발에서 뒷발까지의 전체 발의 3차원 구조의 교정이 가능하게 되어 그 지지 구조체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향상된다는 것이다. 상기 발목 지지 밴드는 발목의 앞 부분을 덮는 앞 발목부와 뒤꿈치를 덮는 뒤꿈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앞 발목부와 뒤꿈치부는, 발목 지지 밴드가 발목 둘레에 착용되면, 상기 앞 발목부와 뒤꿈치부 사이의 경계가 발목의 내외측부와 정렬하도록 함께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발목 지지 밴드는 발목을 잡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이 미끄럼 방지 수단은 상기 발목 지지 밴드의 내면에 부착되고, 이 미끄럼 방지 수단 중의 하나는 발목 지지 밴드에 있어서 발의 내과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되고, 다른 미끄럼 방지 수단은 발목 지지 밴드에 있어서 발의 외과와 뒤꿈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그 발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자는, 발바닥부의 내면에 부착되는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으로서,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앞발의 내측부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따라 뻗어 있고 정상부에서 저부로 가면서 두께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쇄기형 단면을 갖는 상기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을 상기 지지 구조체가 포함하므로써, 엄지발가락 외반의 원인인 엄지발가락 지골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교정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도 지지 구조체를 발에 착용함으로써 형성된 횡 아치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구조체에 의해 발등에 가해지는 의복 압력을 비교적 낮은 레벨로 억제하여 부종과 마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통증을 주지않고, 발 변형 (평발, 엄지발가락 외반, PTTD 로 인한 발 아치의 저하(발바닥의 편평화) 및 뒤꿈치 외반) 에 수반되는 다양한 질환의 포괄적이고도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는 얇은 재료와 간단한 구조체를 사용해서 얻어질 수 있으며, 그리 하여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는 발에 쉽게 착용될 수 있고 또한 실외 및 실내 발 착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지지 구조체를 매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며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우수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지지 구조체의 매일의 사용으로 큰 정도로 쉽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a 은 정상적인 횡 아치(파선으로 나타나 있음)를 갖는 발의 단면도로, 중족골의 골두부를 따라 취한 것이다.
도 1b 는 붕괴된 횡 아치(파선으로 나타나 있음)를 갖는 평발의 단면도로, 중족골의 골두부를 따라 취한 것이다.
도 2 는 평발에 착용되는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발의 단면도로, 도 2 의 선Ⅰ-Ι을 따라 취한 것이다.
도 4 는 양말의 형태로 된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로, 발에 착용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 5 는 도 4 의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로, 발에 착용된 상태이다.
도 6 은 양말의 형태로 된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다른 실시 형태의 사시도로, 내과측을 나타낸다.
도 7 은 도 6 의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로, 외과측을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지지 구조체에 사용되는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의 일예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을 발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과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아래에 열거한다.
1.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로서,
앞발의 발등을 덮는 발등부,
앞발의 바닥을 덮는 발바닥부, 및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발등부와 발바닥부는 함께 연결되어 원통형 구조체를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지지 구조체가 발에 착용되면, 발등부와 발바닥부 사이의 경계가 앞발의 내외측부와 정렬하게 되며,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은 상기 원통형 구조체에 있어서 앞발의 내외측부와 접촉하게 되는 각 부분에서 그 원통형 구조체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발등부는 상기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상기 발바닥부 보다 큰 신장률을 갖는 지지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부의 신장률 (B) 에 대한 발등부의 신장률 (A) 의 비 (A)/(B) 는 1.2 이상이고, 각각의 신장률은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지지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상기 각각의 미끄럼 방지 수단은 접착재로 만들어져 있는 지지 구조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부의 내면에 부착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며, 이 패드는 상기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이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중족골과 대향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되는 지지 구조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말의 형태로 된 지지 구조체.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타킹의 형태로 된 지지 구조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목의 앞 부분과 뒤꿈치를 에워싸면서 그 발목 둘레에 착용되는 발목 지지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목 지지 밴드는,
발목의 앞 부분을 덮는 앞 발목부,
뒤꿈치를 덮는 뒤꿈치부, 및
발목을 잡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앞 발목부와 뒤꿈치부는, 발목 지지 밴드가 발목 둘레에 착용되면, 상기 앞 발목부와 뒤꿈치부 사이의 경계가 발목의 내외측부와 정렬하도록 함께 연결되어 있으며,
발목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은 상기 발목 지지 밴드의 내면에 부착되고, 이 미끄럼 방지 수단 중의 하나는 발목 지지 밴드에 있어서 발의 내과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되고, 다른 미끄럼 방지 수단은 발목 지지 밴드에 있어서 발의 외과와 뒤꿈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그 발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앞 발목부는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상기 뒤꿈치부 보다 큰 신장률을 갖는 지지 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부의 신장률 (B') 에 대한 앞 발목부의 신장률 (A') 의 비 (A')/(B') 는 1.2 이상이며, 각각의 신장률은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지지 구조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발목을 잡기 위한 상기 각각의 미끄럼 방지 수단은 접착재로 만들어져 있는 지지 구조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은 상기 발바닥부의 내면에 부착되고 또한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앞발의 내측부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따라 뻗어 있고, 상기 가요성 판은 정상부에서 저부로 가면서 두께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쇄기형 단면을 갖고 있는 지지 구조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은 이 가요성 판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형상 기억 합금판을 포함하며, 이 형상 기억 합금판은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에 내포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지지 구조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에 나타난 정상적인 발은, 제 1 발가락의 기부 (제 1 중족골의 골두부) 와 제 5 발가락의 기부 (제 5 중족골의 골두부) 를 연결하는 횡 아치 (파선으로 나타나 있음) 를 갖는다. 다른 한편, 도 1b 에 나타난 평발은 붕괴되어 편평한 횡 아치의 증상을 보인다.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는 도 1b 에 나타난 붕괴된 횡 아치를 도 1a 에 나타난 정상적인 횡 아치로 회복시켜 평발을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지지 구조체" 는 지지물의 구조를 갖는 발 보조기를 의미하며, 지지물 그 자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규정한 구조를 갖는 한, 양말이나 스타킹의 형태로 된 것과 같은 다른 발 보조기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발의 "측부" 는, 발의 내외측부만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발등의 양 측부도 의미하는 것이다.
도 2 는 평발에 착용된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발의 단면도로, 도 2 의 선 Ι-Ι을 따라 취한 것이다.
도 2 에 나타난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는 지지물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2 의 지지물 (6) 은 앞발의 발등 (즉, 앞발의 정상부) 을 덮는 발등부 (7) 와 앞발의 바닥 (즉, 앞발의 저부) 를 덮는 발바닥부 (8) 를 가지고 있으며, 발등부 (7) 와 발바닥부 (8) 는 함께 연결되어 원통형 구조체를 형성하며, 따라서 지지 구조체가 발에 착용되면, 발등부 (7) 와 발바닥부 (8) 간의 경계는 앞발의 내외측부와 정렬하게 된다. 발등부 (7) 는,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발바닥부 (8) 보다 더 큰 신장률을 갖는다. 또한,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 (9, 9)(파선으로 나타나 있음) 이 원통형 구조체에 있어서 앞발의 내외측부와 접촉하게 되는 각 부분에서 그 원통형 구조체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물 (6) 이 발에 착용되면,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은, 발바닥부 (7) 가 발을 그의 폭방향으로 조인 상태에서(도 3 참조) 지지물 (6) 을 발의 내외측부에서 그 발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발등부 (7) 의 신장률은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발바닥부 (8) 의 신장률 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발등에 가해지는 의복 압력이 감소되고, 발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면서 횡 아치를 형성하는 조임력이 발에 효과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또한,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조임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에 체중이 실리는 중에 그 조임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이 없는 특허 문헌 5 에 개시된 것과 같은 지지물은, 발등부 (7) 의 신장률이 발의 폭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발바닥부 (8) 의 신장률 보다 크게 되어 있을 때에도, 발의 내외측부에서 미끄러져 떨어지게 된다. 그 결과, 발바닥부에서 가해지는 조임력이 발등부에서 가해지는 조임력과 균형을 이루게 되어 소망하는 횡 아치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발등부 (7) 의 신장률과 발바닥부 (8) 의 신장률 사이의 전술한 관계가 만족될 수 있는 한 이들 발등부와 발바닥부를 위한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지지물, 스타킹 및 양말을 제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사용 중에 편안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통기성, 흡습성 및 속건성(quick drying)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등부 (7) 와 발바닥부 (8) 를 위한 재료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1 및 2 에 기재된 재료가 있다. 이들 특허 문헌에는 또한 양말 등에서 신장률이 상이한 부위를 만드는 방법도 기재되어 있는데, 그러한 방법은 신장률의 조절을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재료의 전형적인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과 나일론의 혼합 직물이 있다. 발바닥부 (8) 는 실질적으로 탄성이 없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폴리프로필렌의 부직물 등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9)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가 발에 착용될 때 상기 재료가 그 지지 구조체를 앞발의 내외측부에서 그 앞발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고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와 접착재가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9) 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고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클로로프렌 고무(CR) 및 실리콘 고무와 같은 합성 고무 그리고 천연 고무(NR)가 있다. US 특허 제 5,948,707 호에는, 다리와 팔에 사용되는 깁스(지지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에 형성되는 불연속 엘라스트머 층을 갖는 내수성 및 증기 투과성 재료) 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재료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접착재에 대해서는, 발의 피부에 대한 만족스러운 접착과 또한 지지 구조체가 발에서 분리될 때 그 피부로부터의 용이한 제거를 동시에 실현하는데 적절하다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통상적인 다양한 접착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으로서 통상적인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는데, 지지 구조체를 제거한 다음에 사용자의 발에 다시 착용할 때 마다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를 바꾸게 된다. 그러나, 세정으로 접착력이 회복되는 접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으로 접착력이 회복되는 접착재는, 접착재의 사용중에 먼지와 기름의 부착으로 인해 접착력이 저하되었을 때 그의 접착력을 회복하기 위해 물이나 중성 세제로 세정될 수 있는 접착재이다. 이러한 접착재의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1-323616 에 기재되어 있는 실리콘 겔 접착층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47061 에 기재되어 있는 우레탄 접착층이 있다. 통상적인 접착 탄성 붕대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발등부 (7) 와 발바닥부(8) 각각의 적절한 크기는 발의 크기에 따라 변한다. 발의 폭방향으로 만족스런 조임력이 가해질 수 있고 또한 발등에 가해지는 의복 압력이 감소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지지 구조체의 폭에 대해서, 발바닥부의 폭은 발의 폭의 약 1.0 ∼ 1.5 배일 수 있고, 발등부는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므로 그 발등부의 폭은 발 폭의 약 0.2 ∼ 1.0 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 구조체가 발의 측부(특히, 내측부)에 있는 중족골과 지골 사이의 경계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평발에서는, 제 1 발가락의 기부에 있는 관절과 제 5 발가락의 기부에 있는 관절은 발의 내측부와 외측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는데, 지지물이나 양말의 두께가 약간만 증가해도 마찰을 증대시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엄지발가락 외반증이 있는 발에서는, 제 1 발가락의 기부에 있는 관절 주위에는 부은 활액낭이나 건막류가 생길 수 있다. 이들 경우에는, 상기 관절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서 건막류 개구 (10, 10) (도 2 에 나타나 있음)를 형성하여 지지 구조체와 관절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건막류 개구 (10, 10) 의 크기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컨대, 건막류 개구는 약 1.5 ∼ 4 cm 의 직경 또는 장축을 갖는 원형이나 타원형 구멍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의 폭방향으로 만족스런 조임력을 얻고 또한 발등에 가해지는 의복 압력을 만족스럽게 줄이기 위해서는, 발등부 (7) 의 신장률 (A) 을 발바닥부 (8) 의 신장률 (B) 보다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즉, (A) > (B)), 여기서 각각의 신장률은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된다. 발바닥부 (8) 의 신장률 (B) 에 대한 발등부 (7) 의 신장률 (A) 의 비 (A)/(B) 는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200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 100 이다. 발바닥부 (8) 의 신장률 (B) 은 0% 일 수 있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발등부 (7) 의 신장률 (A) 이 아래에서 언급하는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4.9 N(5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한 발등부 (7) 의 신장률 (A) 은 일반적으로 5 ∼ 200%, 바람직하게는 35 ∼ 180% 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75 ∼ 155% 이며, 17.7 N(18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한 신장률 (A) 은 일반적으로 10 ∼ 300%, 바람직하게는 115 ∼ 250% 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60 ∼ 210% 이며, 이 신장률은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된 것이다. 발등부 (7) 의 신장률 (A) 이 상기 범위 보다 작을 때, 발등의 조임이 너무 강하게 되어(즉, 의복 압력이 너무 높게 되어) 발등의 부음, 마비, 통증, 발적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4.9 N(5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한 발바닥부 (8) 의 신장률 (B) 은 일반적으로 0 ∼ 150%, 바람직하게는 1 ∼ 100% 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 ∼ 75% 이며, 17.7 N(18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한 신장률 (B) 은 일반적으로 0 ∼ 180%, 바람직하게는 5 ∼ 150% 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 120% 이며, 이 신장률은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된 것이다. 발바닥부 (8) 의 신장률 (B) 이 상기 범위 보다 클 때, 발의 폭방향 조임력이 만족스럽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신장률 (A) 와 (B) 는 3 cm 의 길이와 2 cm 의 폭을 갖는 영역에 대해 측정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발등부 (7) 와 발바닥부 (8) 를 형성하기 위해, 발의 폭방향으로 만족스런 조임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발등에 가해지는 의복 압력을 만족스럽게 줄일 수 있다면, 상이한 신장률을 갖는 상이한 재료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발바닥부 (8) 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발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강한 조임력이 요구되지 않는 부분(예컨대, 중족골과 지골 사이의 경계에서 먼 부분)에 대해서는 큰 신장률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상기 신장률 (A) 와 (B) 및 비 (A)/(B) 모두는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등부 (7) 의 모든 부분에 대한 신장률 값의 평균이 상기 신장률 (A) 로서 사용되고, 발바닥부 (8) 의 모든 부분에 대한 신장률 값의 평균은 상기 신장률 (B) 로서 사용된다. 적어도 중족골과 지골 사이의 경계 주위의 영역에서의 신장률 (A) 와 (B) 및 비 (A)/(B) 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족골과 지골 사이의 경계 주위의 영역" 은 중족골과 지골 사이의 경계에서 위로 1 cm 아래로 1 cm, 바람직하게는 그 경계에서 위로 2 cm 아래로 2 cm, 더 바람직하게는 위로 3 cm 아래로 3 cm 인 영역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비 (A)/(B) 는 4.9 N(5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한 신장률의 비이거나 17.7 N(18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한 신장률의 비일 수 있고, 이들 비 중 하나는 상기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두 비 모두가 상기 각각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를 발에 착용할 때, 발등에서의 의복 압력이 0 ∼ 25.0 kPa 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의 형상과 크기에 대해서는, 이 미끄럼 방지 수단이 본 발명의 지기 구조체를 앞발의 내외측부에서 그 앞발에 고정시킬 수 있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3 ∼ 10 cm 의 길이와 0.5 ∼ 3 cm 의 폭을 갖는 직사각형 또는 유사 직사각형의 미끄럼 방지 수단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막류 개구 (10, 10) 가 형성될 때, 미끄럼 방지 수단은 그 개구에 맞는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앞발의 내외측부와 접촉하게 되는 지지 구조체의 각 부분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 수단 (9) 이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앞발의 내외측부와 접촉하게 되는 지지 구조체의 각 부분 또는 그 중의 하나에는, 각기 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의 두 스트립이나 또는 발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정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에서,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은 발의 내외측부 가장자리 및/또는 발등의 내외측부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되는 지지 구조체의 각 부분에 부착되며, 미끄럼 방지 수단은 발바닥의 내외측부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지 구조체를 발에 착용하기 전에, 발등부 (7), 발바닥부 (8) 및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은 예컨대 이들 구성 요소를 도 2 에 나타난 지지 구조체의 형상으로 꿰매어 함께 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지지 구조체를 발에 착용할 때 상기 구성 요소들을 함께 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는, 루프와 훅크 패스너에 의해 서로 조합될 수 있는 발등부 (7) 와 발바닥부 (8) 를 사용하고 또한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으로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해서 아래의 단계 (1) ∼ (3)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1)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으로서 양면 테이프를 발의 내외측부의 각 가장자리에 부착한다.
(2) 발의 내외측부의 각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양면 테이프를 사용해서, 훅크 패스너(발바닥부의 양 측부의 가장자리에서 그 발바닥부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음)가 제공되어 있는 발바닥부를 발에 고정시키고, 이때 발바닥부는 발이 그의 폭방향으로 조여지도록 고정된다.
(3) 발등부에 제공되어 있는 루프 패스너(발등부의 양 측부의 가장자리에서 그 발등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음)를 발바닥부의 대응하는 훅크 패스너에 걸어서 발등부를 발바닥부에 부착시킨다 (물론, 루프 패스너를 발바닥부에 사용하고 훅크 패스너는 발등부에 사용할 수 있다).
발가락이 안에 위치되는 둘 이상의 백부(bag part)(이 백부는 상기 특허 문헌 5 에 기재되어 있음)를 갖는 지지 구조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백부가 있음으로 해서, 사용자가 지지 구조체를 발에 고정시키기 위해 발가락을 각각의 백부안에 넣을 때 제 1 발가락과 제 5 발가락을 발바닥의 중심 축선쪽으로 당겨서 횡 아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형성된 횡 아치를 유지하면서,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을 발의 내외측부의 원하는 위치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발의 중족골과 대향하는 부분에서 패드를 발바닥부 (8) 의 내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 패드는 특히 체중이 발에 실릴 때 횡 아치를 교정해주는 지지 구조체의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중족골 패드의 재료와 제조에 대해서는, 예컨대 상기 특허 문헌 3 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난 실시 형태는 지지물 그 자체이지만,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는 양말이나 스타킹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가 양말이나 스타킹의 형태일 때, 발등부 (7), 발바닥부 (8) 및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외의 다른 부분은 양말과 스타킹을 제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재료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 는 발에 착용되기 전에 있는 양말의 형태로 된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도 4 의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로 발에 착용된 상태이다. 양발의 형태로 된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 (6') 에서, 발등부 (7), 발바닥부 (8) 및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외의 다른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추가적인 부분 (11a, 11b) 은 통상적인 양말이나 스타킹을 제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를 사용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 은 양말의 형태로 된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다른 실시 형태의 사시도로 내과(medial malleolus)측을 나타내며, 도 7 은 도 6 의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로 외과(lateral malleolus)측을 나타낸다. 도 6, 7 에 나타난 실시 형태의 지지 구조체 (6') 는 발목 지지 밴드를 더 포함하는데, 이 지지 밴드는 발목의 앞 부분과 뒤꿈치를 에워싸면서 발목 둘레에 착용된다. 상기 발목 지지 밴드는 발목의 앞 부분을 덮는 앞 발목부 (12) 와 뒤꿈치를 덮는 뒤꿈치부 (13) 를 갖는다. 앞 발목부 (12) 와 뒤꿈치부 (13) 는, 발목 지지 밴드가 발목 둘레에 착용되면 앞 발목부와 뒤꿈치부 사이의 경계가 발목의 내외측부와 정렬하도록 함께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발목을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14, 14) (파선으로 나타나 있음) 이 발목 지지 밴드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데, 이 미끄럼 방지 수단 중 하나는 발목 지지 밴드에 있어서 발의 내과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미끄럼 방지 수단은 발목 지지 밴드에 있어서 발의 외과와 뒤꿈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그 발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앞 발목부 (12) 는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뒤꿈치부 (13) 보다 큰 신장률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발목 지지 밴드는 발목에 있는 혈관과 신경에 대한 불필요한 압박을 방지하면서 또한 발목 둘레의 근육과 인대의 움직임을 지나치게 방해함이 없이 PTTD 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 변형(예컨대, 평발, 엄지발가락 외반증 및 PTTD) 을 수반하는 다양한 질환들 사이에는 상호 관련이 있는데,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에 상기 발목 지지 밴드가 추가됨으로써, 발 변형의 더욱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예방과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의 중족골과 대향하는 부분에서 중족골 패드 (15) 를 발바닥부 (8) 의 내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 중족골 패드 (15) 의 부착으로 본 발명의 예방 및 교정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될 것이다. 중족골 패드 (15) 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와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발목 지지 밴드에 대해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이 발목 지지 밴드는 양말 형태의 지지 구조체와 일체화되어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별도로 준비된 발목 지지 밴드를 지지 구조체의 본체에 부착할 수도 있다. 발목 지지 밴드의 형상과 크기에 대해서는, 지지 구조체가 발에 착용되면 발목 지지 밴드가 발목의 앞 부분과 뒤꿈치를 감쌀 수 있고 또한 미끄러져 빠지지 않고 발의 원하는 부분에서 유지될 수 있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1 ∼ 8 cm, 바람직하게는 2 ∼ 5 cm 의 폭 (발의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 을 갖는 스트립이 앞 발목부 (12) 로서 사용될 수 있다. 뒤꿈치부 (13) 는 뒤꿈치에 견고하게 고정되기에 충분한 폭 (발의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뒤꿈치부 (13) 의 폭은 바람직하게 5∼ 12 cm, 더 바람직하게는 6 ∼ 10 cm 이다. 도 6, 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뒤꿈치부 (13) 는 뒤꿈치의 중심과 그 중심의 주변부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 개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앞 발목부 (12) 와 뒤꿈치부 (13) 는 상기 발등부와 발바닥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재료와 방법에 의해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등부와 발바닥부의 경우에서 처럼,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앞 발목부 (12) 는 뒤꿈치부 (13) 의 신장률 (B') 보다 큰 신장률 (A') 을 가질 필요가 있다 (즉, (A') >(B')). 뒤꿈치부의 신장률 (B') 에 대한 앞 발목부의 신장률 (A') 의 비 (A')/(B') 는 1.2 이상, 바람직하게는 2 ∼ 200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 100 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신장률 (A') 과 신장률 (B') 모두는 전술한 신장률 (A) 및 신장률 (B) 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뒤꿈치부 (13) 의 신장률 (B') 은 0% 일 수 있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신장률 (A') 이 상기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목을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 (14, 14) 은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재료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과측에서 발목을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14) 은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발의 내과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된다. 내과측에서 발목을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 (14) 의 위치와 크기는,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가 발에 착용될 때 미끄럼 방지 수단 (14) 이 내과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외과측에서 발목을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 (14) 은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발의 외과와 뒤꿈치 사이의 중간 위치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된다. 발목을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14, 14) 을 전술한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내반(발의 내향 각형성)의 과도한 억제를 방지하면서 외반(발의 외향 각형성)의 발생을 쉽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발의 움직임을 지나치게 제한함이 없이 PTTD 의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발목을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 (14) 은 전체 미끄럼 방지 수단 (14) 이 외과의 저부(도 7 에서 점선으로 표시)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발목을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 (14) 은 그 미끄럼 방지 수단 (14) 의 일부가 외과의 하부를 덮도록 해주는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과의 하부를 덮는 부분에서의 미끄럼 방지 수단 (14) 의 면적은 발목을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14) 의 전체 면적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발목을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 (14, 14) 의 특정 형상과 크기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소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의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크기에 대해서는, 정사각형의 변의 길이, 직사각형의 장변의 길이, 원의 직경 또는 타원의 장축의 길이가 2 ∼ 10 cm, 바람직하게는 2.5 ∼ 7 cm, 더 바람직하게는 3 ∼ 5 cm 인 것이 좋다.
앞발을 잡기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의 경우에서 처럼, 발목을 잡기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14, 14) 은 접착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접착재의 구체적인 예는 앞발을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 중의 하나에서, 상기 발바닥부와 뒤꿈치부는 그 발바닥부와 뒤꿈치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저 신장률의 재료로 만들어진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다 (이하, 이 연결부를 "중족부 발바닥 연결 밴드" 라고 한다). 이러한 중족부 발바닥 연결 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이 밴드는 엄지발가락과 뒤꿈치의 외반을 방지 또는 교정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주기 때문이다. 상기 중족부 발바닥 연결 밴드의 재료, 신장률 등에 대해서는, 발바닥부와 뒤꿈치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를 참조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이 지지 구조체는 제 1 발가락을 위한 개구와 나머지 발가락을 위한 다른 개구로 분리되어 있는 발가락 개구를 갖고 있다. 도 8 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앞발의 내측부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따라 뻗어 있는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이 발바닥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은 정상부에서 저부로 가면서 두께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쇄기형 단면을 갖고 있다.
많은 경우에, 엄지발가락 외반에는 제 1 중족골과 제 1 발가락 (엄지발가락) 의 회전이 수반된다. 예컨대, 우측 발의 경우에, 엄지발가락은 발가락 끝에서 볼 때 종종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은 엄지발가락에 쇄기 효과를 줌으로써 그 엄지발가락의 회전을 방지하거나 교정할 수 있다. 이점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하겠다. 본 발명에서, 지지 구조체의 전술한 구성에 의해, 엄지발가락의 중족지절간(MTP) 관절의 위치를 중간 위치(정상 위치)로 유지 또는 교정함으로써 평발의 예방 또는 교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MTP 관절이 중간 위치에 고정되면, 엄지발가락의 내향근이 이완된다. 이런 상황에서,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이 도 8 및 도 10 에서 도시된 대로 위치되면,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의 쇄기 효과에 의해 반력이 엄지발가락에 효과적으로 가해지고, 그리 하여 엄지발가락 지골의 내측 회전 (즉, 발톱이 내측부를 향하도록 엄지발가락 지골이 비틀려 있는 상태) 을 방지 및 교정할 수 있다.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의 크기에 대해서는, 가요성 판 (16) 이 도 10 에 나타난 치수, 즉 가요성 판이 기절 골두부에서 중족골의 중간부까지 이르는 길이와, 쇄기 효과를 주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가요성 판 (16) 의 크기는 발의 크기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그 길이는 3 ∼ 15 cm 이고 폭은 1.5 ∼ 5 cm 일 수 있다. 또한, 가요성 판의 정상부에서의 두께는 1 ∼ 8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 ∼ 6 mm 이다.
도 9 및 도 10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발가락의 MTP 관절부에 대한 압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이 그 관절의 형상에 맞는 절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절취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제 1 발가락의 MTP 관절부에 대한 압박을 피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도 10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에 있어서 MTP 관절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이 발의 바닥부와 측부 사이의 경계에 있는 좁은 영역하고만 접촉하도록 상기 가요성 판 (16) 의 폭이 상기 부분에서 좁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절취부에서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의 폭 (절취부가 도 9 또는 도 1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휘어졌을 때 가요성 판의 최소폭) 에 대해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 그러나, 이 절취부에서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의 폭은 0.2 ∼ 1.5 c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3 ∼ 1.3 cm 이다.
도 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은 이 가요성 판의 길이 방향으로 뻗은 형상 기억 합금판 (17)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상 기억 합금판 (17) 은 체중이 발에 실릴 때 발 변형을 예방 및 교정해주는 효과를 강화시켜 준다. 형상 기억 합금판 (17) 은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에 내포될 수 있거나 또는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의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이 사용될 때, 도 10 에 나타난 방식으로 발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서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이 지지 구조체의 발바닥부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가요성 판은 발의 바닥과 측부 사이의 경계를 따라 뻗어 있고 또한 기절 골두부에서 중족골의 중간부까지의 영역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6) 은 통상적인 가요성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플루오로카본 수지, 아크릴 수지, ABS 수지 및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평발의 교정은 도 2 에 나타난 지지물 (6) 을 사용해서 수행했다. 환자는, 종 아치와 횡 아치의 저하, 제 2, 3 MTP 관절부에서 변지종의 형성, 및 엄지발가락 MTP 관절의 부음(건막류 형성), 발적 및 통증을 포함하는 증상이 있는 53세의 여자였다. HV 각(엄지발가락 외반각) 은 25°였고 (HV 각은 엄지발가락 기절골의 골축과 제 1 중족골의 골축 사이의 각도로, 엄지발가락의 외반 변형의 지표이다), 또한 M1M2 각은 15°였다 (M1M2 각은 제 1 중족골의 골축과 제 2 중족골의 골축 사이의 각도로, 제 1 중족골 내반의 지표이다).
이하, 지지물 (6) 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등각 사다리꼴 (짧은 평행변: 2 cm, 긴 평행변: 4 cm, 그리고 나머지 각각의 두 변: 8 cm)의 형상을 갖는 탄성의 합성 섬유포 (73% 폴리우레탄, 27% 나일론) 를 발등부 (7) 로서 사용했고, 직사각형의 폴리프로필렌 부직물 (폭: 16 cm, 길이: 8 cm) 을 발바닥부 (8) 로서 사용했다. 발등부 (7) 로서 사용된 상기 탄성의 합성 섬유포의 신장률 (A) 은 4.9 N(5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했을 때 75% 였고, 17.7 N(18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했을 때는 160% 였으며, 여기서 신장률은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된 것이다. 발바닥부 (8) 로서 사용되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의 신장률 (B) 은 4.9 N(5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했을 때 5% 였고, 17.7 N(18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했을 때는 10% 였으며, 여기서 신장률은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된 것이다. 따라서, 발바닥부 (8) 의 신장률 (B) 에 대한 발등부 (7) 의 신장률 (A) 의 비 (A)/(B) 는 4.9 N(5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했을 때 15 였고, 17.7 N(1800 gf)의 하중하에서 측정했을 때는 16 이었다.
발등부 (7) 로서 사용되는 상기 탄성의 합성 섬유포의 8 cm 의 양 변은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의 대응하는 8 cm 변에 각각 재봉되어 원통형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였다. 발바닥부 (8) 로서 사용되는 직사각형의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은 2개의 타원형 개구 (건막류 개구 (10, 10))를 가졌으며, 이 각각의 개구는 3 cm 의 장축을 가졌다. 상기 타원형 개구는, 앞발의 내외측부에 있는 중족골과 지골 사이의 경계와 접촉하게 되는 발바닥부의 각 부분에 형성되었다.
통상적인 양면 테이프의 스트립을 도 2 에 나타난 형상으로 절단하여,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 (9, 9) 으로서 사용했다.
중족골과 지골 사이의 경계에서의 환자 발의 폭 (환자의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측정되었음) 은 지지물을 발에 착용하기 전에 10.5 cm 였지만, 이 값은 지지물을 발에 착용한 후에는 9.5 cm 로 줄어들었다. 또한, 지지물을 발에 착용한 후에, 발의 HV 각은 25°에서 18°로 줄어들었고 발의 M1M2 각은 15°에서 9°로 줄어들었다 (HV 각과 M1M2 각 모두는 체중이 발에 실린 상태에서 측정된 것이다). 지지물을 발에 착용한지 8 시간 후에 환자의 발을 관찰해 보았더니, 발의 폭, HV 각 및 M1M2 각 모두는 지지물을 발에 착용한 직후의 측정으로 얻은 상기 값으로 각각 유지되었으며, 지지물이 착용된 발은 부음, 마비, 통증 및 발적과 같은 어떠한 질환도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 1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 (9) 을 사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지지물을 실시예 1 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지지물을 사용해서 평발의 교정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했다. 체중을 발에 싣지 않고 (즉, 발을 공중에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물이 착용된 발의 폭을 측정했을 때, 그 폭은 10.5 cm 에서 10.0 cm 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환자의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는 발의 폭이 10.5 cm 로 되돌아 왔다.
또한, 발의 HV 각과 M1M2 각을 환자의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측정했을 때, 지지물을 발에 착용하기 전과 후에 발의 HV 각과 M1M2 각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지지물이 착용된 발의 HV 각과 M1M2 각은 각각 약 24°와 약 14°였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도 지지 구조체를 발에 착용함으로써 형성된 횡 아치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구조체에 의해 발등에 가해지는 의복 압력을 비교적 낮은 레벨로 억제하여 부종과 마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통증을 주지않고, 발 변형 (평발, 엄지발가락 외반, PTTD 로 인한 발 아치의 저하(발바닥의 편평화) 및 뒤꿈치 외반) 에 수반되는 다양한 질환의 포괄적이고도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는 얇은 재료와 간단한 구조체를 사용해서 얻어질 수 있으며, 그리 하여 본 발명의 지지 구조체는 발에 쉽게 착용될 수 있고 또한 실외 및 실내 발 착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지지 구조체를 매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며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우수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지지 구조체의 매일의 사용으로 큰 정도로 쉽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1 제 1 중족골
2 제 2 중족골
3 제 3 중족골
4 제 4 중족골
5 제 5 중족골
6 지지물
6' 양말 형태의 지지 구조체
7 발등부
8 발바닥부
9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10 건막류 개구
11a 발가락부
11b 뒤꿈치부
11c 중족부
11d 하측 다리부
12 발목 지지 밴드의 앞 발목부
13 발목 지지 밴드의 뒤꿈치부
14 발목을 잡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
15 중족골 패드
16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
17 형상 기억 합금판

Claims (12)

  1.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로서,
    앞발의 발등을 덮는 발등부,
    앞발의 바닥을 덮는 발바닥부, 및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발등부와 발바닥부는 함께 연결되어 원통형 구조체를 형성하게 되며 , 따라서 상기 지지 구조체가 발에 착용되면, 발등부와 발바닥부 사이의 경계가 앞발의 내외측부와 정렬하게 되며,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은 상기 원통형 구조체에 있어서 앞발의 내외측부와 접촉하게 되는 각 부분에서 그 원통형 구조체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발등부는 상기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상기 발바닥부 보다 큰 신장률을 갖는 지지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부의 신장률 (B) 에 대한 상기 발등부의 신장률 (A) 의 비 (A)/(B) 는 2 ∼ 200 이고, 각각의 신장률은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지지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발의 내외측부를 잡기 위한 상기 각각의 미끄럼 방지 수단은 접착재로 만들어져 있는 지지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부의 내면에 부착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며, 이 패드는 상기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이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중족골과 대향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되는 지지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양말의 형태로 된 지지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스타킹의 형태로 된 지지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발목의 앞 부분과 뒤꿈치를 에워싸면서 그 발목 둘레에 착용되는 발목 지지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목 지지 밴드는,
    발목의 앞 부분을 덮는 앞 발목부,
    뒤꿈치를 덮는 뒤꿈치부, 및
    발목을 잡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앞 발목부와 뒤꿈치부는, 발목 지지 밴드가 발목 둘레에 착용되면, 상기 앞 발목부와 뒤꿈치부 사이의 경계가 발목의 내외측부와 정렬하도록 함께 연결되어 있으며,
    발목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한쌍의 미끄럼 방지 수단은 상기 발목 지지 밴드의 내면에 부착되고, 이 미끄럼 방지 수단 중의 하나는 발목 지지 밴드에 있어서 발의 내과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되고, 다른 미끄럼 방지 수단은 발목 지지 밴드에 있어서 발의 외과와 뒤꿈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그 발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앞 발목부는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상기 뒤꿈치부 보다 큰 신장률을 갖는 지지 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부의 신장률 (B') 에 대한 앞 발목부의 신장률 (A') 의 비 (A')/(B') 는 2 ∼ 200 이며, 각각의 신장률은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지지 구조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을 잡기 위한 상기 각각의 미끄럼 방지 수단은 접착재로 만들어져 있는 지지 구조체.
  10.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은 상기 발바닥부의 내면에 부착되고 또한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앞발의 내측부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따라 뻗어 있고,
    상기 가요성 판은 정상부에서 저부로 가면서 두께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쇄기형 단면을 갖고 있는 지지 구조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은 이 가요성 판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형상 기억 합금판을 포함하며, 이 형상 기억 합금판은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에 내포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엄지발가락 외반 교정용 가요성 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지지 구조체.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부의 내면에 부착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며, 이 패드는 상기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이 지지 구조체가 착용되는 발의 중족골과 대향하게 되는 부분에 부착되는 지지 구조체.
KR1020107028945A 2008-05-26 2009-01-19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 KR101261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36612 2008-05-26
JPJP-P-2008-136612 2008-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396A KR20110017396A (ko) 2011-02-21
KR101261697B1 true KR101261697B1 (ko) 2013-05-06

Family

ID=4137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945A KR101261697B1 (ko) 2008-05-26 2009-01-19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88145A1 (ko)
JP (1) JP4355364B1 (ko)
KR (1) KR101261697B1 (ko)
CN (1) CN102046115B (ko)
WO (1) WO2009144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6716A1 (ja) * 2010-01-15 2011-07-2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外反母趾矯正装具及び外反母趾矯正装具の製造方法
FR2957246B1 (fr) * 2010-03-10 2013-02-08 Sarl Pody Concept Dispositif orthopedique pour le traitement de l'hallux valgus par reaxation de l'hallux valgus par effet mecanique
EP2723280B1 (en) * 2011-06-01 2017-03-01 Kinetic Orthotics Pty Ltd Foot orthotic design system
GB2494451A (en) * 2011-09-12 2013-03-13 Kathleen Anne Reilly Anti-pronation sock with instep strap
US20150018741A1 (en) * 2011-11-13 2015-01-15 Aharon Libers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ot amendment
FR2999417B1 (fr) 2012-12-14 2015-02-06 Benoit Causse Dispositif orthopedique pour un membre inferieur humain et chaussure equipee d'un tel dispositif
TWI606814B (zh) * 2013-01-08 2017-12-01 3M新設資產公司 足底筋膜支撐系統
DE102014101191A1 (de) * 2014-01-31 2015-08-06 Fenix Outdoor AB Outdoorschuh, insbesondere Berg- oder Wanderschuh
FR3031037B1 (fr) * 2014-12-24 2017-01-13 Millet Innovation Dispositif de protection du capiton plantaire en particulier lors d'une activite sportive
FR3043321A1 (fr) * 2015-11-06 2017-05-12 Millet Innovation Bande de contention ou de maintien d’une articulation
WO2017157857A1 (de) * 2016-03-16 2017-09-21 Fischer Fussfit Kg Medizinischer strumpf
WO2017214318A2 (en) * 2016-06-07 2017-12-14 Brown Timothy W Foot supporting garments and methods
IT201600081375A1 (it) * 2016-08-02 2018-02-02 Dispositivo terapeutico per ridurre i dolori e le infiammazioni causate dall'alluce valgo
US10799414B1 (en) * 2016-10-20 2020-10-13 Ing Source, Inc. Orthotic ankle garment,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lower leg of a wearer
IT201700028227A1 (it) * 2017-03-14 2018-09-14 Massimo Tulipani Supporto ortopedico
PL71377Y1 (pl) * 2017-10-23 2020-05-18 Bryla Dorota Izabela Skarpeta profilaktyczna
US10456287B2 (en) * 2017-12-06 2019-10-29 David Shaffer Therapeutic sock
CN110251289A (zh) * 2019-07-30 2019-09-20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扁平足矫正组合贴及使用方法
US20210045930A1 (en) * 2019-08-14 2021-02-18 Go Fitness, Inc. Compression garment
KR102562653B1 (ko) * 2020-08-21 2023-08-02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발 착용형 하지 훈련기
WO2023169662A1 (de) * 2022-03-08 2023-09-14 Infiniri Ag Strump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811A (ja) 2003-02-05 2004-08-26 Alcare Co Ltd 足関節サポ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9875A (en) * 1957-11-13 1960-11-15 Jr Albert C Frese Slip-proof sock lining for shoes
US4809447A (en) * 1987-11-13 1989-03-07 W. L. Gore & Associates, Inc. Waterproof breathable sock
JPH0189908U (ko) * 1987-12-04 1989-06-13
KR0173096B1 (ko) * 1996-11-11 1999-01-15 박인식 발 교정용 안창
JP3765948B2 (ja) * 1999-07-16 2006-04-12 砂山靴下株式会社 足用サポータ
DE10240121B4 (de) * 2002-08-30 2010-09-02 Vitus Maria Huber Orthopädische Vorrichtung zur Korrektur von Zehenfehlstellungen
JP2005042213A (ja) * 2003-07-22 2005-02-17 Rapooru:Kk 矯正機能付き靴下
JP4447559B2 (ja) * 2005-01-18 2010-04-07 美津濃株式会社 靴下
CN2788610Y (zh) * 2005-04-17 2006-06-21 王新明 电热保健组合式鞋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811A (ja) 2003-02-05 2004-08-26 Alcare Co Ltd 足関節サポ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55364B1 (ja) 2009-10-28
KR20110017396A (ko) 2011-02-21
US20110088145A1 (en) 2011-04-21
WO2009144967A1 (ja) 2009-12-03
CN102046115A (zh) 2011-05-04
JPWO2009144967A1 (ja) 2011-10-06
CN102046115B (zh)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697B1 (ko)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
AU2014255524B2 (en) Orthotic foot support
US5185000A (en) Ankle joint bandage
US2708930A (en) Arch maintaining device
KR101555003B1 (ko) 발 관절 서포터
JP6620332B2 (ja) パッドおよびサポーター
JP2007332470A (ja)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US20140352170A1 (en) Modern dance shoe
JP6364574B1 (ja) 踵足首サポーター
JP2007332469A (ja)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US20120136293A1 (en) Support for foot injuries
US20190105187A1 (en) Foot supporting garments and methods
JP2005305085A (ja) 外反母趾矯正用サポーター
JP2009518554A (ja) 糖尿病患者用靴下
JP6578401B1 (ja) 足健康装具
JPH03188849A (ja) 外反母趾矯正用装具
JP3165090U (ja)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JP4202039B2 (ja) 幼児用靴
KR102670970B1 (ko)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JP2004236811A (ja) 足関節サポーター
US11793267B1 (en) Shoe and therapy system
KR102462175B1 (ko) 발가락 스트레칭기
US20240206585A1 (en) Foot guard
JP3084399U (ja) 足用サポーター
CN115316747A (zh) 拇指外翻及扁平足矫正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