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096B1 - 발 교정용 안창 - Google Patents

발 교정용 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096B1
KR0173096B1 KR1019960053313A KR19960053313A KR0173096B1 KR 0173096 B1 KR0173096 B1 KR 0173096B1 KR 1019960053313 A KR1019960053313 A KR 1019960053313A KR 19960053313 A KR19960053313 A KR 19960053313A KR 0173096 B1 KR0173096 B1 KR 0173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foot
rear end
wedg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082A (ko
Inventor
박인식
Original Assignee
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81467&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730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식 filed Critical 박인식
Priority to KR1019960053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096B1/ko
Priority to MYPI97003681A priority patent/MY125468A/en
Priority to JP24019897A priority patent/JP3239334B2/ja
Priority to CNB971182469A priority patent/CN1149028C/zh
Priority to US08/928,222 priority patent/US6105283A/en
Publication of KR1998003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9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의 발에 대하여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기본형의 안창판들과 상기 안창판들에 덧대어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단웨지 및 후단웨지들을 갖는 발 교정용 안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 교정용 안창은,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전체 또는 발가락들의 길이를 제외한 발바닥 전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또한 발의 족궁에 대응하는 볼록부(10)와 발뒤꿈치가 수용되는 뒤꿈치홈(11)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안창판(1)들과, 상기 안창판(1)들의 이면 전단부에 부착되어 지면에 대한 발의 전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단웨지(15) 및 상기 안창판(1)들의 이면 후단부에 부착되어 지면에 대한 발의 후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후단웨지(1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웨지(15)와 후단웨지(16) 각각에 각도조절을 위한 조절선(17)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특정인의 발에 대하여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발 교정용 안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 교정용 안창
본 발명은 발 교정용 안창에 과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의 발에 대하여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기본형의 안창판들과 상기 안창판들에 덧대어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단웨지 및 후단웨지들을 갖는 발 교정용 안창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발은 직립시에 지면과 접촉하여 전 체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적절한 운동으로 보행이나 운동 등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맞닿아 고르게 하중을 분산시켜 줄 필요가 있으며, 대부분의 정상적인 발의 발바닥은 직립시에 족궁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지면에 맞닿아 안정적인 직립을 가능하게 하며, 보행이나 달리기 등에서는 족궁이 마치 스프링과 같이 신축하면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발가락들을 포함한 발의 전단부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완만하고 부드러운 보행 및 달리기 등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인간의 발들 중에는 정상적인 발들(인체역학적 측면에서의 정상적인 발이란 외회운동이 4 내지 6˚, 내회운동이 4 내지 6˚, 도합 8 내지 12˚의 움직임을 갖는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의 비정상적인 발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대개 발바닥이 지면과 고르게 맞닿지 못하고, 발바닥의 외측이 들어올려지는 외회(supination), 발바닥의 내측이 들어올려지는 내회(pronation) 및 족궁이 거의 없이 발바닥의 내측이 과도하게 들어올려지는 과내회(hyperpronation) 등으로 언급되는 기형으로 구분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외회화(supinated), 내회화(pronated) 및 과내회화(hyperpronated) 등의 비정상적인 형태의 발들은 달리기와 같은 격렬한 운동은 물론 기본적인 보행조차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직립상태를 유지하는데에도 상당한 곤란을 초래하고,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발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기구와 발의 운동을 도와줄 수 있는 신발들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었다.
발의 교정을 위한 교정지구나 발에 잘 맞는 신발을 제작하기 위하여 적용대상이 되는 인간의 발을 석고붕대를 사용하여 주형을 만들고, 이 주형을 바탕으로 하여 적절한 물성의 합성수지로 교정기구를 만들거나, 신발 속에 투입될 수 있는 발 교정용 안창(insole)을 만들었다.
그러나, 석고붕대에 의한 주형의 제작 및 그 주형을 바탕으로 하는 교정기구나 발 교정용 안창의 제작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특정인을 대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개별적인 제작만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불가능함은 물론 특정인 이외의 자들에 대하여는 기 제작된 교정기구나 발 교정용 안창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4-97701호에는 스키부츠용 인솔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이 스키부츠용 인솔은 발의 압력분포에 따라 전족부와 후족부의 두께를 달리하여 형성된 인솔을 기술하고 있으나, 역시 특정인의 발의 압력분포를 개별적으로 측정한 후, 그에 적절한 두께를 산술적으로 계산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인솔의 두께에 따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고, 기 제작된 인솔을 다른 사람의 발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미합중국 소재 채타누가 코포레이션(Chattanooga corporation)에서는 비스콜라스(Viscolas)라는 등록상표명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발 교정용 안창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이 발 교정용 안창은 족형으로 형성된 좌, 우 한 쌍의 편평한 안창판(1)들과 그에 부속될 수 있는 한 쌍의 길이방향 장심패드(2)(Longitudinal Arch Pad)와, 한 쌍의 교정뒤꿈치웨지(3)(Corrective Heel Wedge)와, 대형 및 소형의 척골패드(4)(Metatarsal Pad)와, 하나의 뉴로마패드(5)(Neuroma Pad) 및 하나의 토크레스트패드(6)(Toe Crest Pad)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서 웨지라는 명칭을 갖는 부품들은 모두 양측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하여 경사진 상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웨지의 적용으로 일정한 각도를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며, 또한 패드라는 명칭을 갖는 부품들은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안창판(1)에 덧대어 안창판(1)의 두께나 안창판(1)과 발바닥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 교정용 안창은 상기 안창판(1)들에 이들 웨지 또는 패드들을 적절히 부착시켜 발바닥과 지면 사이의 불균일한 접촉을 안창판(1)들로 보충토록 함으로써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이러한 발교정용 안창은 특정인에 대한 안창의 적용시에 이들 웨지 또는 패드들을 부착, 적용시킬 때의 부착위치나 부착시의 두께 등 고려하여야 할 변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쉽게 특정의 발에 꼭 맞게 적용시키는 데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발의 외회나 내회의 정도에 따른 지면에 대한 각도조절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합중국 소재 랭커 그룹(The Langer Group) 산하의 프로페셔널 프로텍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Professional Protective Technology, Incorporated)에서는 템프토틱스(Temppthotics)라는 등록상표명으로 역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발 교정용 안창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이 발 교정용 안창은 발의 족궁에 대응하도록 볼록하게 가공되어 족형으로 형성된 좌, 우 한 쌍의 편평한 안창판(1)들과 그에 부속될 수 있는 한 쌍의 전단패드(7)와, 한 쌍의 후단패드(8)와, 한 쌍의 장심패드(2) 및 한 쌍의 보조패드(9)들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안창판(1)들에 이들 패드들을 적절히 부착시켜 발바닥과 지면 사이의 불균일한 접촉을 안창판(1)으로 보충토록 함으로써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이러한 발 교정용 안창 역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특정인에 대한 안창의 적용시에 이들 패드들을 부착, 적용시킬 때의 부착위치나 부착시의 두께 등 고려하여아 할 변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쉽게 특정의 발에 꼭 맞게 적용시키는 데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상기한 패드들이 안창판(1)의 전단부나 후단부에 전체적으로 적용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의 외회나 내회의 정도에 따른 지면에 대한 각도조절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외회나 내회 및 과내회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교정기구나 신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발 교정용 안창의 개발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회나 내회 및 과내회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발 교정용 안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발 교정용 안창의 하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종래의 발 교정용 안창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발 교정용 안창의 하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의 발 교정용 안창 중의 안창판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발 교정용 안창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6은 도5의 발 교정용 안창 중의 안창판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창판 2 : 장심패드
3 : 교정뒤꿈치웨지 4 : 척골패드
5 : 뉴로마패드 6 : 토크레스트패드
7 : 전단패드 8 : 후단패드
9 : 보조패드 10 : 볼록부
11 : 뒤꿈치홈 12 : 제1경사면
13 : 절삭부 14 : 제2경사면
15 : 전단웨지 16 : 후단웨지
17 : 조절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 교정용 안창은,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전체 또는 발가락들의 길이를 제외한 발바닥 전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을 가지며, 또한 발의 족궁에 대응하는 볼록부와 발뒤꿈치가 수용되는 뒤꿈치홈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안창판들과, 상기 안창판들의 이면 전단부에 부착되어 지면에 대한 발의 전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단웨지 및 상기 안창판들의 이면 후단부에 부착되어 지면에 대한 발의 후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후단웨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창판들은 발의 이상형태인 외회, 내회 및 과내회 등에 직접 적용하기에 적절하도록 외회형, 내회형 및 과내회형의 기본적인 형태들로 대별되어 정형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안창판들 중 외회형 안창판들에는 발의 제1척골 및 그에 연결된 제1지골과 접하는 인카빙한 제1경사면이 형성되거나, 또는 제1지골과 접하는 부분을 제거한 절삭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창판들 중 외회형 안창판들에는 발의 제1척골 및 그에 연결된 제1지골과 접하는 부분을 인카빙한 제1경사면이 형성되거나, 또는 제1지골과 접하는 부분을 제거한 절삭부가 동시에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창판들 중 과내회형 안창판들에는 그 뒤꿈치홈에 교정될 발의 형태에 따라 일정하게 경사진 제2경사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뒤꿈치홈에 대하여 상기 볼록부를 포함한 전단부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비틀린 비틀림감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창판들에 부착되는 상기 전단웨지의 일측단부가 상기 안창판들의 전단부와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둥글게 마무리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조절선들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조절선들 중의 어느 하나의 조절선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안창판들의 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단웨지의 조절선들에 의하여 상기 안창판들의 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0.5 내지 10˚의 범위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2 내지 3˚의 범위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창판들에 부착되는 상기 후단웨지의 일측단부가 상기 안창판들의 후단부와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둥글게 마무리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그 대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조절선들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조절선들 중의 어느 하나의 조절선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안창판들의 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단웨지의 조절선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안창판들의 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0.5 내지 10˚의 범위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2 내지 3˚의 범위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단웨지의 조절선들이 상기 후단웨지의 모서리와 동일한 반경의 원호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 교정용 안창은 한쌍의 안창판(1)들과 이들에 부착될 수 있는 전단웨지(15)와 후단웨지(16)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안창판(1)들은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전체의 길이를 갖거나 또는 발가락들의 길이를 제외한 발바닥 전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길이의 선택은 적용의 대상이 되는 발의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되어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창판(1)은 또한 발의 족궁에 대응하는 볼록부(10)와 발뒤꿈치가 수용되는 뒤꿈치홈(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주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이나 압출성형 등의 일반적으로 공지된 성형기술로 성형될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창판(1)들의 이면 전단부에 부착되는 전단웨지(15)는 상기 안창판(1)의 전단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지면에 대한 발의 전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일측이 두껍고, 타측이 얇은 양 모서리를 갖는 판상의 웨지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상기 안창판(1)과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한 약간의 신축성을 갖는 발포돈 합성수지가 될 수도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창판(1)들의 이면 후단부에 부착되는 후단웨지(16)도 상기 안창판(1)의 후단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지면에 대한 발의 후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전단웨지(15)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후단웨지(16)는 발의 뒤꿈치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전단웨지(15)에 비하여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창판(1)들의 후단부의 폭의 절반 정도를 차지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창판(1)들에 대한 상기 전단웨지(15)나 후단웨지(16)의 적용으로 상기 안창판(1)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한 안창판(1)이 적용되는 발의 발바닥과 지면 사이에서 발바닥과도 밀착될 수 있으며, 동시에 지면과도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발의 이상형태인 외회, 내회 및 과내회 등의 비정상적인 발에 적용되었을 때, 발에 가해지는 전 체중을 지면에 그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한 안창판(1)들은 발의 이상형태인 외회, 내회 및 과내회 등의 비정상적인 발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내회형을 기본으로 하여 외회형과 과내회형 등의 기본적인 형태들로 대별되어 정형화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정형화된 각 기본형태들은 또한 여러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동일한 형태의 다른 길이의 안창판(1)들로 성형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정형화된 안창판(1)들 중 외회형 안창판(1)들에는 발의 제1척골 및 그에 연결된 제1지골과 접하는 부분을 인카빙한 제1경사면(12)이 형성되거나, 또는 제1지공과 접하는 부분을 제거한 절삭부(13)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제1경사면(12) 및 절삭부(13)의 안창판(1)에의 적용은 본 발명에서 최초로 도입되는 중요한 개념의 하나로서, 이 외회형 안창판(1)의 독특한 창안으로 인하여 외회형, 내회형 및 과내회형으로 대별되는 발의 비정상적인 형태 모두를 기본적으로 정형화시켜 교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라 이러한 조절가능한 안창판(1)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고도 독창적인 발명을 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척골 및 그에 연결된 제1지골로 언급되는 부분은 주로 발의 엄지발가락으로부터 족궁이 시작되는 부분까지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 부분이 발의 다른 척골과 그에 연결된 지골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게 내려앉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회형의 발이 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회형 안창판(1)의 상기 제1척골 및 그에 연결된 제1지골과 접하는 부분을 인카빙하여 제1경사면(1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부분을 수용토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카빙이라 함은 가공대상물을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깎아내는 기술의 일종으로 발 교정용 안창을 제조하는 당해 업자들 및 족부의 학과 및 재활의학과의 의사들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지골과 접하는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절삭부(13)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제1지골과 접하는 부분이 최대한 낮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심한 외회형의 발에 대하여는 제1경사면(12)과 절삭부(13)를 동시에 형성시킨 외회형 안창판(1)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창판(1)들 중 과내회형 안창판(1)들에는 그 뒤꿈치홈(11)에 교정될 발의 형태에 따라 일정하게 경사진 제2경사면(14)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뒤꿈치홈(11)에 대하여 상기 볼록부(10)를 포함한 전단부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비틀린 비틀림각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내회형 안창판(1)에서 제2경사면(14)의 형성과 동시에 비틀림각을 형성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2경사면(14)의 형성은 커비법(Kirby's method)라고 알려진 것으로서, 닥터커비에 의하여 발의 교정을 위하여 고안된 것이며, 이는 발의 수용하는 뒤꿈치홈(11)에 15˚내지 40˚의 범위 이내의 일정한 각도가 형성되도록 깎아내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비법의 단독사용에 의한 제2경사면(14)의 형성에 의한 과내회형 발의 교정은 이미 상당히 경화가 진행되어 굳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성인들의 교정에는 적절치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틀림각의 형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블레이크법(Blake's method)라고 알려진 것으로서, 닥터 블레이크에 의하여 발의 교정을 위하여 고안된 방법이며, 이는 안창판(1)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서로에 대하여 대략 15˚내지 45˚의 범위 이내의 일정한 각도로 비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비틀림각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블레이크법의 단독사용에 의한 비틀림각의 형성에 의한 과내회형 발의 교정은 아직 경화가 진행되지 않은 어린아이의 발과 같은 유연한 발의 교정에는 적절치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커비법과 블레이크법의 혼용에 의하여 각각의 단점을 보충한 새로운 개념의 과내회형 발에 적용하기에 적절한 과내회형 안창판(1)을 개발한 점에도 큰 특징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형적인 발에 대하여 내회형을 기준으로 하여 외회형과 과내회형에 대한 정형적인 안창판(1)의 개발로 어떠한 형태의 기형적인 발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발 교정용 안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기본적인 세가지 형태 즉, 외회형, 내회형 및 과내회형으로 정형화된 안창판(1)들에 부착되어 안창판(1)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단웨지(15)와 후단웨지(16)를 포함한다.
상기 안창판(1)들에 부착되는 상기 전단웨지(15)는 그 일측단부가 상기 안창판(1)들의 전단부와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둥글게 마무리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조절선(17)들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조절선(17)들 중의 어느 하나의 조절선(17)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안창판(1)들의 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안창판(1)의 이면 전단부에 부착되어 안창판(1)의 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토록 함으로써 발의 개인차에 따라 적절히 지면에 대한 각도를 효과적으로 가감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전단웨지(15)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조절선(17)들은 안창판(1)의 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는 데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조절선(17)마다 1˚의 단위로 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절선(17)에 의하여 조절되는 각도의 단위는 달라질 수 있으며, 조절선(17)들의 개수 및 그에 의한 조절각도의 변위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이론적인 계산이나 시행착오적인 방법 등에 의하여 적절히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개념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조절선(17)의 개수나 그에 의한 조절각도의 변위 등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전단웨지(15)의 조절선(17)들에 의하여 상기 안창판(1)들의 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0.5 내지 10˚의 범위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의 범위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창판(1)들에 부착되는 상기 후단웨지(16)의 일측단부가 상기 안창판(1)들의 후단부와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둥글게 마무리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그 대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조절선(17)들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조절선(17)들 중의 어느 하나의 조절선(17)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안창판(1)들의 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단웨지(16)의 조절선(17)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안창판(1)들의 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0.5 내지 10˚의 범위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2 내지 3˚의 범위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후단웨지(16)에 의한 안창판(1)의 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 조절 역시 상기 전단웨지(15)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후단웨지(16)는 전단웨지(15)에 비하여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발의 전단부가 척골 및 지골들과 같이 구분된 뼈들에 의하여 지탱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부분적인 조절이 가능한 반면에, 발의 후단부는 종골에 의하여 지탱되는 발뒤꿈치가 전체적으로 조절될 수 밖에 없는 구조상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단웨지(16)의 조절선(17)들이 상기 후단웨지(16)의 모서리와 동일한 반경의 원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안창판(1)의 후단부에 상기 후단웨지(16)를 부착하고, 안창판(1)으로부터 벗어나는 잔여의 부분들을 용이하게 잘라내고, 정확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외회형, 내회형 및 과내회형으로 구분되는 교정대상인 발에 적절하게 기본형으로 정형화된 안창판(1)을 선정하고, 개인차에 의한 미세한 차이를 상기한 전단웨지(15)나 후단웨지(16)를 사용하여 안창판(1)의 전단부나 후단부를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교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발 교정용 안창판(1)은 신발의 중창과 밑창 사이에 적용되거나, 또는 중창에 덧대어 중창과 일체로 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중창을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발 교정용 안창판(1)이 적용된 신발의 평상시의 착용으로 활동의 편리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교정의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정형화되고, 특히 전단웨지(15)와 후단웨지(16)에 다수의 조절선(17)들이 형성되어 있어, 이 조절선(17)들 중 어느 하나의 조절선(17)의 선택에 의하여 발의 비틀린 정도에 따른 지면에 대한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특정인의 발에 대하여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발 교정용 안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발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용 안창에 있어서,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전체 또는 발가락들의 길이를 제외한 발바닥 전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또한 발의 족궁에 대응하는 볼록부와 발뒤꿈치가 수용되는 뒤꿈치홈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안창판들과, 상기 안창판들의 이면 전단부에 부착되어 지면에 대한 발의 전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단웨지 및 상기 안창판들의 이면 후단부에 부착되어 지면에 대한 발의 후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후단웨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 교정용 안창.
  2. 상기 안창판들이 발의 이상형태인 외회, 내회 과내회 등에 직접 적용하기에 적절하도록 외회형, 내회형 및 과내회형의 기본적인 형태들로 대별되어 정형화된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 교정용 안창.
  3. 상기 안창판들 중 외회형 안창판들에 발의 제1척골 및 그에 연결된 제1지골과 접하는 부분을 인카빙한 제1경사면이 형성되거나, 또는 제1지골과 접하는 부분을 제거한 절삭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회형 안창판들에 발의 제1척골 및 그에 연결된 제1지골과 접하는 부분을 인카빙한 제1경사면과 제1지골과 접하는 부분을 제거한 절삭부가 동시에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 교정용 안창.
  4. 상기 안창판들 중 과내회형 안창판들에 그 뒤꿈치홈에 교정될 발의 형태에 따라 일정하게 경사진 제2경사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뒤꿈치홈에 대하여 상기 볼록부를 포함한 전단부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비틀린 비틀림각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 교정용 안창.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판들에 부착되는 상기 전단웨지 또는 후단웨지의 일측단부가 상기 안창판들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와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둥글게 마무리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조절선들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조절선들 중의 어느 하나의 조절선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안창판들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 교정용 안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웨지 또는 후단웨지 조절선들에 의하여 상기 안창판들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0.5 내지 10˚의 범위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2 내지 3˚의 범위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 교정용 안창.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웨지의 조절선들이 상기 후단웨지의 모서리와 동일한 반경의 원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 교정용 안창.
KR1019960053313A 1996-11-11 1996-11-11 발 교정용 안창 KR0173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313A KR0173096B1 (ko) 1996-11-11 1996-11-11 발 교정용 안창
MYPI97003681A MY125468A (en) 1996-11-11 1997-08-12 Shoe insole for correction,control,and underfoot comfort
JP24019897A JP3239334B2 (ja) 1996-11-11 1997-08-22 足矯正用の中底
CNB971182469A CN1149028C (zh) 1996-11-11 1997-09-09 用于矫正、调节以及使脚底舒适的鞋垫
US08/928,222 US6105283A (en) 1996-11-11 1997-09-12 Shoe insole for correction, control, and underfoot comf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313A KR0173096B1 (ko) 1996-11-11 1996-11-11 발 교정용 안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082A KR19980035082A (ko) 1998-08-05
KR0173096B1 true KR0173096B1 (ko) 1999-01-15

Family

ID=1948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313A KR0173096B1 (ko) 1996-11-11 1996-11-11 발 교정용 안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05283A (ko)
JP (1) JP3239334B2 (ko)
KR (1) KR0173096B1 (ko)
CN (1) CN1149028C (ko)
MY (1) MY1254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6815A1 (en) * 2004-07-10 2006-01-19 Ji-Woog Kim Method and apparatus for curing body status
KR101320299B1 (ko) * 2004-07-10 2013-10-22 김지욱 인체 교정 개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11460D0 (en) * 1996-06-01 1996-08-07 Ludwig Inst Cancer Res Novel lipid kinase
US6604301B1 (en) * 2000-07-10 2003-08-12 II Arthur Manoli Shoe sole insert
KR100388136B1 (ko) * 2001-04-10 2003-06-19 박인식 인체공학적 단하지 보조기
US6823550B2 (en) * 2001-10-29 2004-11-30 Scott R. Kantro Devices and methods for orthotic customization
FR2838308B1 (fr) * 2002-04-15 2004-10-29 Pascal Chenut Semelle orthopedique proprioceptive comprenant des moyens modulaires de correction
US6694648B2 (en) 2002-07-19 2004-02-24 Julie Eriksen Metatarsal arch support
US7069665B1 (en) 2002-07-19 2006-07-04 Biocorrect L.L.C. Correcting foot alignment
US7140130B2 (en) * 2003-06-17 2006-11-28 Dr. Brooks Innovations, Llc Insole with a neuroma pad
US7299568B2 (en) * 2004-09-15 2007-11-27 Tager Steven E Orthopedic foot devices
AU2005319806B2 (en) * 2004-12-22 2009-01-15 Foot Science International Limited Orthotic kits and assemblies
US7484319B2 (en) * 2005-08-12 2009-02-03 Spenco Medical Corporation Shoe insole
US7644522B2 (en) * 2005-10-12 2010-01-12 Manuel Ramirez Martinez Ramirez Soles with adjustable and interchangeable supports
US7900380B2 (en) * 2005-10-13 2011-03-08 Masterfit Enterprises Inc. User moldable adjustable insert
US7707751B2 (en) 2006-06-16 2010-05-04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Adjustable orthotic
US8453346B2 (en) * 2007-08-24 2013-06-04 Orthosole Limited, A Guernsey Limited Company Orthotic foot device with removable support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250783B2 (en) * 2007-09-18 2012-08-28 Esoles Llc Multi-component footbeds
US20090083999A1 (en) * 2007-09-28 2009-04-02 Steve Fadem Shoe sole for reversed appearance of shoes
US7794368B2 (en) * 2007-10-30 2010-09-14 Rutherford Ralph A Shoe assembly for strength training and fitness exercise
CN102046115B (zh) * 2008-05-26 2013-04-24 原田正则 用于预防或治疗伴随有足部变形的疾病的支撑结构
GB2464326A (en) * 2008-10-10 2010-04-14 Gerrard Farrell Device for excercising the plantar fascia of the foot
US20100263230A1 (en) * 2009-04-15 2010-10-21 Marie Smirman Insert for rockered foot bed of footwear
US8360940B2 (en) * 2009-11-17 2013-01-29 Rk Inventions, Llc Lower leg and foot exercise device
US8826571B2 (en) 2010-04-27 2014-09-09 Ralph A. RUTHERFORD Shoe assembly for strength training and fitness exercise
CN101849727B (zh) * 2010-06-10 2012-08-29 浙江红蜻蜓鞋业股份有限公司 可平衡足底压力的鞋垫
AU2011270871B2 (en) 2010-06-25 2014-10-09 Implus Footcare, Llc Contoured support insole
US8479405B2 (en) 2010-09-30 2013-07-09 Marie Smirman Measurement system for varus/valgus angles in feet
US10010131B2 (en) 2011-02-02 2018-07-03 Implus Footcare, Llc Flow insole
CN103099384A (zh) * 2011-11-15 2013-05-15 株式会社学山 具备定制型平衡维持垫片的鞋垫
SG11201405207VA (en) * 2012-03-01 2014-09-26 Spenco Medical Corp Insole for relief of over-pronation and knee joint stress
EP2890261A4 (en) 2012-08-31 2016-04-13 Spenco Medical Corp BASKETBALL INSOLE
CN104720944A (zh) * 2015-01-22 2015-06-24 王水争 内增高矫形鞋
AU2016268834A1 (en) 2015-05-28 2017-11-16 Impulse Footcare, LLC Shoe insole
AU2016267089A1 (en) 2015-05-28 2017-11-16 Impulse Footcare, LLC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AU2016267082A1 (en) 2015-05-28 2017-10-26 Implus Footcare, Llc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EP3302137A4 (en) 2015-05-28 2019-01-23 Implus Footcare, LLC INNER SOLE SHOE WITH PROFILE SUPPORT
USD761543S1 (en) 2015-06-25 2016-07-19 Spenco Medical Corporation Shoe insole
USD762368S1 (en) 2015-06-25 2016-08-02 Spenco Medical Corporation Shoe insole
USD762367S1 (en) 2015-06-25 2016-08-02 Spenco Medical Corporation Shoe insole
USD758058S1 (en) 2015-06-25 2016-06-07 Spenco Medical Corporation Heel cup
USD762366S1 (en) 2015-06-25 2016-08-02 Spenco Medical Corporation Shoe insole
USD766560S1 (en) 2015-06-25 2016-09-20 Implus Footcare, Llc Shoe insole
USD771921S1 (en) 2015-06-25 2016-11-22 Implus Footcare, Llc Shoe insole
USD797428S1 (en) 2015-07-15 2017-09-19 Implus Footcare, Llc Shoe insole
USD797429S1 (en) 2015-07-15 2017-09-19 Implus Footcare, Llc Shoe insole
USD797430S1 (en) 2015-07-15 2017-09-19 Implus Footcare, Llc Shoe insole
USD771922S1 (en) 2015-09-15 2016-11-22 Implus Footcare, Llc Shoe insole
USD778567S1 (en) 2015-09-17 2017-02-14 Implus Footcare, Llc Shoe insole
USD814750S1 (en) 2015-09-25 2018-04-10 Fourfoot, Llc Sandal
USD778040S1 (en) 2015-09-25 2017-02-07 Implus Footcare, Llc Shoe insole
TWI569743B (zh) * 2016-01-15 2017-02-11 歐立達股份有限公司 具足部三維運動控制及足壓分散之裝置
WO2020006604A1 (en) * 2018-07-06 2020-01-09 Frankie4 IP 2 Pty Ltd An assembly for providing footwear with a plurality of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footbeds
US11350699B2 (en) * 2018-07-06 2022-06-07 Richard Kim Orthotic arch support device and method of use
JP7102036B2 (ja) * 2020-10-06 2022-07-19 エーシル株式会社 矯正板、インソール及び靴
CN112971267B (zh) * 2021-03-17 2022-02-01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抗足外翻鞋垫
ES2931430A1 (es) * 2021-06-21 2022-12-29 Podoactiva S L Kit de dispositivos para la realizacion de test biomecanicos en el pi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736A (en) * 1914-04-11 1914-11-24 Stella F Whittaker Insole.
US2312378A (en) * 1940-05-23 1943-03-02 John D Baum Arch support
US2613455A (en) * 1948-01-03 1952-10-14 Joseph A Amico Arch support
US2680919A (en) * 1951-12-03 1954-06-15 Florida L Riggs Insole-type appliance
US4841648A (en) * 1988-02-29 1989-06-27 Shaffer David E Personalized insole kit
US5799414A (en) * 1989-09-14 1998-09-01 Kellerman; David Shoe insert with non-compressible deformable base attached to resilient pads
US5138774A (en) * 1990-06-04 1992-08-18 Jeff Sarkozi Insole with removable, height-adjustable stackable support pads
JPH0636764B2 (ja) * 1990-08-16 1994-05-18 政道 内田 スキーブーツ用インソ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6815A1 (en) * 2004-07-10 2006-01-19 Ji-Woog Kim Method and apparatus for curing body status
KR101320299B1 (ko) * 2004-07-10 2013-10-22 김지욱 인체 교정 개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028C (zh) 2004-05-12
JPH10137280A (ja) 1998-05-26
CN1182559A (zh) 1998-05-27
JP3239334B2 (ja) 2001-12-17
US6105283A (en) 2000-08-22
KR19980035082A (ko) 1998-08-05
MY125468A (en)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096B1 (ko) 발 교정용 안창
US6594922B1 (en) Medial/lateral counter foot stabilizer
US3990159A (en) Therapeutic personalizable health shoe
US20040194348A1 (en) Heat malleable orthotic shoe insert
US4240214A (en) Foot-supporting sole
US20040194352A1 (en) Orthopedic insole for a diabetic shoe
US7849610B2 (en) Orthopedic shoe appliance and method
US20040103561A1 (en) Footwear with orthopedic component system
US20180325212A1 (en) Outsole for orthopedic device
US6874258B2 (en) Orthopedic shoe appliance and method
US4982737A (en) Orthotic support construction
US20130160331A1 (en) Shoe Insole or Midsole with a Tri-Dome Configuration for Foot Rehabilitation
US20020162250A1 (en) Unitary orthotic insert and orthopedic insole
US6938363B1 (en) Orthopedic shoe appliance and method
US20040031169A1 (en) Neuropathic foot protector
US5067256A (en) Acupressure heel cup
US20150101213A1 (en) Hallux valgus sandal
US20050251081A1 (en) Orthotic foot care and platform method and apparatus
CA1128825A (en) Orthopedic appliance
KR100633726B1 (ko) 기능성 신발깔창
KR200437328Y1 (ko)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WO2021173898A1 (en) An in-shoe insole to provide comfort and reduce pain in high heeled shoes and boots, constructed from an anatomically shaped last
RU2384281C1 (ru) Вкладная стелька с вентиляцией
KR101269569B1 (ko)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KR101352481B1 (ko) 거주상골 지지부를 가지는 발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