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970B1 -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970B1
KR102670970B1 KR1020230184671A KR20230184671A KR102670970B1 KR 102670970 B1 KR102670970 B1 KR 102670970B1 KR 1020230184671 A KR1020230184671 A KR 1020230184671A KR 20230184671 A KR20230184671 A KR 20230184671A KR 102670970 B1 KR102670970 B1 KR 102670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insertion hole
toe
hallux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수
Original Assignee
박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수 filed Critical 박해수
Priority to KR102023018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970B1/ko
Priority to KR1020240023642A priority patent/KR102683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지외반증이나 소지내반증의 발가락을 동시에 내외측으로 당겨 스트레칭하기 위한 스트레칭 밴드 및 이를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단에 무지(50)가 끼워지는 무지밴드(210)가 형성된 제 1 밴드(230); 일단에 소지(60)가 끼워지는 소지밴드(220)가 형성된 제 2 밴드(240); 및 인장력을 조절하면서, 제 1 밴드(230)와 제 2 밴드(240)의 타단을 연결하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무지(50)를 내측 방향(10)으로 당기면서 동시에 소지(60)를 외측 방향(20)으로 당겨서 스트레칭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Toe stretching band for hallux valgus and hallux varus and shoe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지외반증이나 소지내반증의 발가락을 동시에 내외측으로 당겨 스트레칭하기 위한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발은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부위로 인체의 축소판으로 중요하게 여겨왔다. 또한, 발은 제2의 심장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 이유를 보면 발은 신축 및 압박 등으로 인해 여기에 도달한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보내지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걷는 일을 소홀히 하거나 발에 문제가 생겨서 똑바로 걷지 못하게 되면 제2의 심장인 발의 운동이 감소되면서 혈액 순환이 악화되며 그 결과 신체의 영양전달이나 체내에서 생긴 불순물을 체외로 배출하는 기능이 감소된다.
발 모양이 변형되는 등의 구조적 결함이 있는 발을 가진 경우 무릎관절 또는 척추 등의 전신관절에 영향을 주어 통증을 유발하거나 신체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볼이 좁고 앞이 뾰족한 신발, 뒷굽이 높은 하이힐, 통굽 신발 등을 많이 착용함에 따라, 발의 형상이 변형되어 족부 기형 증상인 무지외반증(엄지건막류)이 발병되어 걸을 때 지지하고 추진력을 주어야 하는 엄지발가락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지외반증이 심해질 경우 발의 다른 부위에도 통증이 생기는데, 그 예로는 소지(새끼발가락)가 무지(엄지발가락) 쪽을 향해 휘는 소지내반증이 있으며, 초기에는 새끼발가락 관절 부분이 튀어나오는 것 외에는 특별한 문제를 유발하지 않지만 증상이 지속되면 돌출된 부위가 빨갛게 부어오르면서 통증이 생기고, 굳은살, 물집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무지외반증 및 소지내반증이 심해지면 발가락의 이상 증세로 인해 보행 장애가 유발돼 무릎, 골반, 척추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0684호 등에서 엄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 고정링을 연결패드로 연결한 형태의 발가락 교정구가 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4607호에서는 각 발가락의 위치를 잡아주도록 각 발가락 사이에 교정판을 위치시키고 교정판들을 바닥판으로 연결한 발가락 교정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발가락 교정기들은 휘어진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을 바깥으로 당겨줘 스트레칭해주는 기능은 없고 단지 발가락들이 벌어지도록만 하여 발가락이 정상이 되도록 하는 효과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0684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460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 착용시 발가락 교정밴드의 양측 고정면에 무지와 소지가 각각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된 조임면에 의해 무지가 내측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소지가 외측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정상형태의 발가락이 되도록 스트레칭하는 효과와 동시에 무릎이 내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에 무지(50)가 끼워지는 무지밴드(210)가 형성된 제 1 밴드(230); 일단에 소지(60)가 끼워지는 소지밴드(220)가 형성된 제 2 밴드(240); 및 인장력을 조절하면서, 제 1 밴드(230)와 제 2 밴드(240)의 타단을 연결하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무지(50)를 내측 방향(10)으로 당기면서 동시에 소지(60)를 외측 방향(20)으로 당겨서 스트레칭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가 제공된다.
또한, 고정체는 스냅버튼(250a), 버클(250b), 벨크로, 신발끈 중 하나이다.
또한, 제 1, 2 밴드(230, 240)는 직물, 가죽, 및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밑창(110)과 연결되는 제 1 발등걸이(120)를 갖는 신발(100); 밑창(110) 중 무지(50)와 인접한 영역에 관통형성된 제 1 삽입홀(70); 밑창(110) 중 소지(60)와 인접하게 관통형성된 제 2 삽입홀(75); 일단에 상기 무지(50)가 끼워지는 무지밴드(210)가 형성되고, 제 1 삽입홀(70)을 통과하는 제 1 밴드(230); 일단에 소지(60)가 끼워지는 소지밴드(220)가 형성되고, 제 2 삽입홀(75)을 통과하는 제 2 밴드(240); 및 인장력을 조절하면서, 제 1 밴드(230)와 제 2 밴드(240)의 각 타단을 연결하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무지(50)를 내측 방향(10)으로 당기면서 동시에 소지(60)를 외측 방향(20)으로 당겨서 스트레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포함하는 신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밑창(110)과 연결되는 제 1 발등걸이(120)를 갖는 신발(100); 밑창(110) 중 무지(50)와 인접한 영역에 관통형성된 제 1 삽입홀(70); 제 1 발등걸이(120) 중 무지(50)와 인접한 영역에 관통형성된 제 3 삽입홀(80); 밑창(110) 중 소지(60)와 인접한 측면영역에 관통형성된 제 2 삽입홀(75); 제 1 발등걸이(120) 중 소지(60)와 인접한 영역에 관통형성된 제 4 삽입홀(85); 제 1 삽입홀(70), 제 3 삽입홀(80), 제 4 삽입홀(85) 및 제 2 삽입홀(75)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제 1 밴드(230); 인장력을 조절하면서, 제 1 밴드(230)의 양단을 연결하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제 1 밴드(230)는 중간 영역이 무지(50)를 감아돌아 무지밴드(210)를 형성하고, 또 다른 중간 영역이 소지(60)를 감아돌아 소지밴드(220)를 형성함으로써, 무지(50)를 내측 방향(10)으로 당기면서 동시에 소지(60)를 외측 방향(20)으로 당겨서 스트레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포함하는 신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체는 스냅버튼(250a), 버클(250b), 벨크로, 신발끈 중 하나이다.
또한, 제 1, 2 밴드(230, 240)는 직물, 가죽, 및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포함하는 신발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신발 착용시 발가락 교정밴드의 양측 고리에 무지와 소지를 각각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된 조임면에 의해 당겨지면서 무지가 내측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소지가 외측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정상형태의 발가락이 되도록 스트레칭하는 효과와 동시에 무릎이 내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발 형태에 따라 무지와 소지에 외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임면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별 맞춤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스트레칭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지외반증이나 소지내반증에 의해 발가락의 인대가 굳어서 굴절된 부분을 당겨주어 유연해지도록 하여 발과 정강이가 전체적으로 과내전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a)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발가락 교정밴드(200a)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a)가 신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b)에 대한 구성도,
도 6는 도 5의 발가락 교정밴드(200b)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b)가 신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c)가 신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무릎이 아픈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엄지발가락이 대부분 휘어져 있다. 엄지발가락이 외측으로 변형되는 원인 중 첫 번째가 발이 안쪽으로 많이 굴러 회전하는 과내전인데 인체 하지 구조 상 과내전을 하게 되면 무릎이 안쪽으로 회전하여 연골이 갈리게 되어, 다른 사람들보다 무릎이 빠르게 망가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발 착용시 발가락 교정밴드의 양측 고리에 무지와 소지가 각각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된 조임면에 의해 무지와 소지가 외측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정상형태의 발가락이 되도록 스트레칭하는 효과와 동시에 무릎이 내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a)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가락 교정밴드(200a)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a)가 신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a)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신발(100)과 신발(10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발가락을 양측으로 당겨 스트레칭되도록 하는 발가락 교정밴드(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가락 교정밴드(200a)는 슬리퍼, 샌들, 운동화, 구두 등 다양한 종류의 신발(1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발등이 덮혀진 구조의 신발이라면 형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00)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무지(50)와 소지(60)를 스트레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처럼 신발(100)은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밑창(110)과, 밑창(110)의 상부 양측으로 연결되어 발등을 감싸는 제1 발등걸이(120) 및 밑창(110)의 옆면으로부터 밑창(110)의 상면까지 관통 형성되는 제 1, 2 삽입홀(70, 75)이 갖추어진다. 제1 발등걸이(120)는 발가락 교정밴드(200a)가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체형의 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신발(100)은 형상 및 구조에 따라 제1 발등걸이(120)와 약 30 mm 이격되어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열로 배치되는 제2 발등걸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등걸이(14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버클, 스냅버튼, 벨크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발등걸이(140)는 사용자의 중족골 부분을 조여주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부학적으로 발가락이 서로 벌어지게 되어 스트레칭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제2 발등걸이(140)는 사용자별 발의 크기 또는 발가락의 변형 정도에 따라 중족골 부분이 조여질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갖추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신발(100)은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보면서 착용하기 쉽도록 발가락 부분이 개구된 슬리퍼나 샌들을 사용할 수 있다.
신발(100)은 제 1, 2 삽입홀(70, 75)을 통해 발가락 교정밴드(200a)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그리고 제 1, 2 삽입홀(70, 75)은 사용자에 의해 발가락 교정밴드(200a)가 삽입되어 장착되거나 탈거되기 쉽도록 타원형상의 양측으로 사각홀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2 삽입홀(70, 75)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발가락 교정밴드(200)를 분리하거나 삽입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발가락 교정밴드(200a)는 무지(50)를 내측방향(10)으로 당김과 동시에 소지(60)를 외측방향(20)으로 당겨 스트레칭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발가락 교정밴드(200a)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밴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발가락 교정밴드(20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00)의 제 1, 2 삽입홀(70, 75)을 통해 신발(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 삽입되어 제1 발등걸이(120)의 상면을 감싸며 조이는 구성을 갖는다.
제 1 밴드(230)의 일단에는 무지(50)가 끼워지는 무지밴드(2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체의 일예인 암형 스냅버튼(250a)이 형성된 자유단이다. 제 2 밴드(240)의 일단에는 소지(60)가 끼워지는 소지밴드(22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체의 일예인 수형 스냅버튼(250a)이 형성된 자유단이다.
스냅버튼(250a)은 상호 체결/체결해제될 수 있어서 길이방향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 외의 고정체는 벨크로, 신발끈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스냅버튼(250a)을 개시하였다. 스냅버튼(250a)의 체결위치를 조절함으로서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발등 너비에 맞춰 또는 스트레칭 강도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발가락 교정밴드(200a)는 띠 형태나 끈 형태의 직물, 스판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고무, 가죽과 같은 천연소재,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이들의 혼합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처럼 발가락 교정밴드(200a)는 사용자의 신발(100)과 발가락에 장착된 상태에서 무지(50)가 내측방향(10)으로 당겨지고, 동시에 소지(60)가 외측방향(20)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스트레칭으로 굳어진 근육을 유연해지도록 풀어주어 정상형태의 발모양이 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발 형태에 따라 무지(50)와 소지(60)의 당겨지는 힘을 조절하여 사용자별 맞춤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스트레칭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b)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6는 도 5의 발가락 교정밴드(200b)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b)가 신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 2 실시예의 구성 중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로 갈음하면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의 일예로서 버클(250b)이 사용된다. 제 1 밴드(230)의 단부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제 2 밴드(240)의 단부에는 버클(250b)이 구비된다. 버클(250b)이 구멍에 끼워지는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교정밴드(200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b)는 신발 착용시 발가락 교정밴드의 무지밴드(210)와 소지밴드(220)에 무지와 소지를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당겨져서 고정된다.
또한, 무지외반증이나 소지내반증에 의해 발가락의 인대가 굳어서 굴절된 부분을 당겨주어 유연해지도록 하여 발과 정강이가 전체적으로 과내전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발가락 교정밴드(200c)가 신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삽입홀(70)은 밑창(110) 중 무지(50)와 인접한 측면영역에 관통형성된다.
제 2 삽입홀(75)은 밑창(110) 중 소지(60)와 인접한 측면영역에 관통형성된다.
제 3 삽입홀(80)은 제 1 발등걸이(120) 중 무지(50)와 인접한 영역에 관통형성된다.
제 4 삽입홀(85)은 제 1 발등걸이(120) 중 소지(60)와 인접한 영역에 관통형성된다.
제 1 밴드(230)는 외부에서 제 1 삽입홀(70)을 지난 뒤, 제 1 발등걸이(120) 안쪽에서 제 3 삽입홀(80)을 지나 외부로 노출된다. 그 다음, 제 1 발등걸이(120)를 지나 외부에서 제 4 삽입홀(85)을 지난 뒤, 제 1 발등걸이(120)의 안쪽에서 제 2 삽입홀(75)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제 1 밴드(230)는 가운데 부분을 제 1 발등걸이(120)에 올려 놓은 후 한쪽 끝단은 제 3 삽입홀(80), 제1 삽입홀(70), 다른 끝단은 제 4 삽입홀(85), 제 2 삽입홀(75)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스냅버튼(250a)이나 버클(250b)이 제 1 밴드(230)의 양단을 연결한다.
제 1 밴드(230)는 중간 영역이 무지(50)를 감아돌아 무지밴드(210)를 형성하고, 또 다른 중간 영역이 소지(60)를 감아돌아 소지밴드(220)를 형성한다. 이러한 무지밴드(210)와 소지밴드(220)는 발가락 둘레의 약 3/4을 감아돌게 된다. 이로써 무지(50)를 내측 방향(10)으로 당기면서 동시에 소지(60)를 외측 방향(20)으로 당겨서 스트레칭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무지와 소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그밖의 발가락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과 원리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내측 화살표,
20 : 외측 화살표,
50 : 무지,
60 : 소지,
70 : 제 1 삽입홀,
75 : 제 2 삽입홀,
80 : 제 3 삽입홀,
85 : 제 4 삽입홀,
100 : 신발,
110 : 밑창,
120 : 제1 발등걸이,
140 : 제2 발등걸이,
200a, 200b, 200c : 발가락 교정밴드,
210 : 무지밴드,
220 : 소지밴드,
230 : 제 1 밴드,
240 : 제 2 밴드,
250a : 스냅버튼,
250b : 버클.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밑창(110)과 연결되는 제 1 발등걸이(120)를 갖는 신발(100);
    상기 밑창(110) 중 무지(50)와 인접한 측면영역에 관통형성된 제 1 삽입홀(70);
    상기 제 1 발등걸이(120) 중 무지(50)와 인접한 영역에 관통형성된 제 3 삽입홀(80);
    상기 밑창(110) 중 소지(60)와 인접한 측면영역에 관통형성된 제 2 삽입홀(75);
    상기 제 1 발등걸이(120) 중 소지(60)와 인접한 영역에 관통형성된 제 4 삽입홀(85);
    상기 제 1 삽입홀(70), 상기 제 3 삽입홀(80), 상기 제 4 삽입홀(85) 및 상기 제 2 삽입홀(75)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제 1 밴드(230);
    인장력을 조절하면서, 상기 제 1 밴드(230)의 양단을 연결하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밴드(230)는 중간 영역이 상기 무지(50)를 감아돌아 무지밴드(210)를 형성하고, 또 다른 중간 영역이 상기 소지(60)를 감아돌아 소지밴드(2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무지밴드(210)의 인장력으로 상기 무지(50)를 내측 방향(10)으로 당기면서 동시에 상기 소지밴드(220)의 인장력으로 상기 소지(60)를 외측 방향(20)으로 당겨서 스트레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스냅버튼(250a), 버클(250b), 벨크로, 신발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230)는 직물, 가죽, 및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KR1020230184671A 2023-12-18 2023-12-18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KR102670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4671A KR102670970B1 (ko) 2023-12-18 2023-12-18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KR1020240023642A KR102683891B1 (ko) 2023-12-18 2024-02-19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4671A KR102670970B1 (ko) 2023-12-18 2023-12-18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3642A Division KR102683891B1 (ko) 2023-12-18 2024-02-19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0970B1 true KR102670970B1 (ko) 2024-05-30

Family

ID=912754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4671A KR102670970B1 (ko) 2023-12-18 2023-12-18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KR1020240023642A KR102683891B1 (ko) 2023-12-18 2024-02-19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3642A KR102683891B1 (ko) 2023-12-18 2024-02-19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709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94Y1 (ko) * 2001-11-14 2002-02-21 권병하 무지외반증 교정신발
KR200405993Y1 (ko) * 2005-10-27 2006-01-11 (주)아나렉스피 발가락 교정기
KR200437328Y1 (ko) * 2006-12-20 2007-11-29 바이오메카닉스 (주)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KR101454607B1 (ko) 2014-01-07 2014-10-27 남궁진 인체의 체형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발가락 교정기
KR20170000684U (ko) 2015-08-13 2017-02-22 최양호 발가락 교정구
KR20200022861A (ko) * 2018-08-24 2020-03-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풋드랍을 방지하고 보행을 보조하는 발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94Y1 (ko) * 2001-11-14 2002-02-21 권병하 무지외반증 교정신발
KR200405993Y1 (ko) * 2005-10-27 2006-01-11 (주)아나렉스피 발가락 교정기
KR200437328Y1 (ko) * 2006-12-20 2007-11-29 바이오메카닉스 (주)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KR101454607B1 (ko) 2014-01-07 2014-10-27 남궁진 인체의 체형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발가락 교정기
KR20170000684U (ko) 2015-08-13 2017-02-22 최양호 발가락 교정구
KR20200022861A (ko) * 2018-08-24 2020-03-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풋드랍을 방지하고 보행을 보조하는 발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3891B1 (ko) 202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697B1 (ko)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
US20220039986A1 (en) Brace or support with atfl support
US20220039988A1 (en) Dynamic tension brace or support
US20120136293A1 (en) Support for foot injuries
US20080269655A1 (en) Removable Flexible Orthosis for Middle Foot Damage
KR101770617B1 (ko)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KR200437328Y1 (ko)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US20030005601A1 (en) Corrective appliance mounted to footwear for correcting and preventing deformity of a foot
JP2913192B2 (ja) 外反母趾矯正用装具
KR102670970B1 (ko)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KR20010105550A (ko) 착화가 간편한 신발
JP2004167144A (ja) 履物
JPS6348255Y2 (ko)
WO2021186084A1 (en) Footwear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pathological deformity of a wearer´s foot
JP2005013365A (ja) レーシング股付シューズ
KR200378623Y1 (ko) 무지외반증 교정기
US11793267B1 (en) Shoe and therapy system
KR102462175B1 (ko) 발가락 스트레칭기
KR20200057931A (ko) 족부환자의 보행 특성에 적합한 족부환자용 신발
CN212913497U (zh) 矫正袜
JP3241914U (ja) 履き具
WO2023168337A2 (en) Stabilizing footwear
US20240164475A1 (en) Footwear having an elastic correcting strap for treating and preventing foot malpositions
US20230414394A1 (en) Ankle brace
JPH0739559A (ja) 外反母趾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