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013B1 -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 Google Patents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013B1
KR101147013B1 KR1020107004853A KR20107004853A KR101147013B1 KR 101147013 B1 KR101147013 B1 KR 101147013B1 KR 1020107004853 A KR1020107004853 A KR 1020107004853A KR 20107004853 A KR20107004853 A KR 20107004853A KR 101147013 B1 KR101147013 B1 KR 101147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white film
particle diame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705A (ko
Inventor
시게루 아오야마
아키카즈 키쿠치
코조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voids or po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08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light absorbing layer
    • G02F2201/086UV absorb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6Micro- or nano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6Void-containing component contains also a solid fiber or solid part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백색성, 반사성, 경량성, 열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필름 제공하는 것, 및 그것을 사용함으로써 휘도 특성이 우수한 면광원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내부에 수지 입자를 갖고, 상기 수지 입자의 주위에 기포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으로서, 상기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이 1.5㎛ 이하이며, 또한 상기 수지 입자를 0.05개/㎛2 이상 함유하고, 또한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상기 수지 입자수의 비율이 15% 이하인 층(S층)을 갖는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Description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WHITE FILM AND SURFACE LIGHT SOURCE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백색 필름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면광원용 반사 부재(반사판, 및 리플렉터)로서 바람직한 백색 필름으로서, 보다 밝고, 또한 조명 효율이 우수한 면광원을 얻을 수 있는 백색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젼, 휴대전화 등의 표시 장치로서 액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가 수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액정 디스플레이는 그 자체는 발광체가 아니기 때문에 이면측으로부터 백라이트라고 불리는 면광원을 설치해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백라이트는 단지 광을 조사할 뿐만 아니라 화면 전체를 균일하게 조사하지 않으면 안되다고 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사이드라이트형 또는 직하형이라고 불리는 면광원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박형?소형화가 요망되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박형 액정 디스플레이 용도에는 사이드라이트형, 즉 화면에 대하여 측면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타입의 백라이트가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사이드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는 도광판의 에지로부터 냉음극선관을 조명 광원으로 하고, 광을 균일하게 전파?확산시키는 도광판을 이용해서 액정 디스플레이 전체를 균일하게 조사하는 도광판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조명 방법에 있어서, 보다 광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냉음극선관의 주위에 리플렉터가 설치되고, 또한 도광판으로부터 배면으로 확산된 광을 액정 화면측에 효율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 도광판 밑에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냉음극선관으로부터의 광의 손실을 적게 하고, 액정 화면을 밝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한편, 액정 텔레비젼과 같은 대형 화면용에서는, 에지 라이트 방식으로는 대면적 화면의 고휘도화를 바랄 수 없기 때문에 직하형 라이트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방식은 액정 화면의 하부에 냉음극선관을 병렬로 설치하는 것으로, 반사판 위에 평행하게 냉음극선관이 배열된다. 반사판은 평면 형상 또는, 냉음극선관의 부분을 반원 오목형상으로 성형한 것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액정 화면용의 면광원에 사용되는 리플렉터나 반사판(면광원 반사 부재로 총칭한다)에는, 박막인 것과 동시에 높은 반사 기능이 요구되고, 종래, 백색안료를 첨가한 필름이나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킨 필름 단독, 또는 이들 필름과 금속판, 플라스틱판 등을 합친 것이 사용되어 왔다. 특히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킨 필름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휘도의 향상 효과나 균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2).
그런데, 액정 화면의 용도는 종래부터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에 추가해서, 최근에는 거치형의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젼,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기기로 채용이 확산되고 있다. 액정 화면의 화상도 보다 고정세한 것이 요구됨에 따라, 액정 화면의 밝기를 증가시켜 화상을 보다 선명하게, 보다 보기 쉽게 하는 개량이 진행되고 있고, 조명 광원(예를 들면 냉음극선관)도 보다 고휘도, 고출력의 것으로 되어 왔다.
일본 특허 공개 평 6-32215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7-11843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필름의 경우, 광반사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면광원 반사 부재인 반사판이나 리플렉터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조명 광원의 광의 일부가 반대면으로 투과하고, 그 결과, 액정 화면의 휘도(밝기)가 부족하며, 또한 조명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전달 손실에 의해 조명의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백색 필름으로서는 반사율, 은폐성의 더 한층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내부에 수지 입자를 갖고, 상기 수지 입자의 주위에 기포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으로서, 상기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이 1.5㎛ 이하이며, 또한 상기 수지 입자를 0.05개/㎛2 이상 함유하고, 또한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상기 수지 입자수의 비율이 15% 이하인 층을 갖는 백색 필름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반사 특성, 경량성 등이 뛰어나고, 특히 면광원 내의 반사판이나 리플렉터로서 사용했을 때에 액정 화면을 밝게 비추어 액정 화상을 보다 선명하고 또한 보기 쉽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내부에 수지 입자를 갖고, 상기 수지 입자를 핵재로 해서 그 주위에 기포가 형성되는 층(S층)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수지 입자의 주위에 기포를 함유시킴으로써 높은 반사 특성을 갖는 백색 필름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핵재로서 무기 입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핵재의 주위에 미세한 기포를 많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다. 그러나, 무기 입자는 수지에 비해 불순물을 함유하기 쉽고, 불순물을 함유한 무기 입자는 약간이나마 광흡수성을 갖기 때문에 필름의 전체, 또는 주층에 다량으로 함유시켰을 경우 형성한 백색 필름의 특성을 충분하게 높이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많은 경우, 무기 입자는 입자 형상이 구면상으로 되기 어렵기 때문에 균일한 기포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핵재로서 수지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무기 입자를 핵재로서 사용할 경우와 비교하여 광흡수성을 억제하고, 형성한 백색 필름의 반사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색 필름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기포는 독립된 기포이여도 좋고, 복수의 기포가 연속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기포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필름의 백색성?광반사성은 필름에 입사한 광선이 내부의 기체/고체 계면(기포와, 매트릭스 수지 또는 수지 입자로 이루어지는 기체/고체 계면)에서 반사됨으로써 발현되기 때문에, 필름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기체/고체 계면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기체/고체 계면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기포의 단면 형상은 원 형상 내지 필름 면방향에 대하여 신장되어 있는 타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매트릭스 수지(「매트릭스」라고 약칭할 경우도 있음)란, S층에 함유되는 수지이며, 수지 입자 이외의 전체 수지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S층 중에 함유되는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이 1.5㎛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이란, 백색 필름의 S층 단면 내에 있어서 관찰되는 수지 입자의 직경을 말하며, 형상이 진원이 아닌 경우에는 동 면적의 진원으로 변환한 값을 말한다. 여기에서, 수평균 입경(Dn)은 후술의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평균 입경(Dn)이 1.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이 1.5㎛를 상회하면, 백색 필름 중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기포를 수많이 함유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조대(粗大)한 기포가 형성되는 결과, 필름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기체/고체 계면을 형성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백색 필름으로서의 백색성, 광반사 특성, 경량성이 떨어지고,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장착해도 휘도 특성이 떨어질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S층 중에 함유되는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을 1.5㎛ 이하로 함으로써 백색 필름으로서의 높은 반사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수평균 입경(Dn)을 1.5㎛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1) 미리 입경을 제어한 수지 입자를 사용한다, 2) 수지 입자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함유시키는 수지 입자의 용융점도와 매트릭스의 용융점도를 소정 범위로 제어한다, 3) 소정의 매트릭스와 수지 입자의 조합을 사용한다, 4) 매트릭스에 분산제를 함유시킨다,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S층 중에 상기 수지 입자를 0.05개/㎛2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 입자의 개수란, 후술하는 측정 방법으로 구해지는 개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개/㎛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개/㎛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11개/㎛2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12개/㎛2 이상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입자가 0.1개/㎛2 미만이면 백색 필름 중에 상기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기포를 수많이 함유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조대한 기포가 형성되는 결과, 필름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기체/고체 계면을 형성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백색 필름으로서의 백색성, 광반사 특성, 경량성이 떨어지고,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장착해도 휘도 특성이 떨어질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S층 중의 상기 수지 입자를 0.05개/㎛2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백색 필름으로서의 높은 반사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S층 중에 수지 입자를 0.05개/㎛2 이상 함유시키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1) 미리 입경을 제어한 수지 입자를 사용하여 소정량 첨가한다, 2) 수지 입자로서 매트릭스와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함유시키는 수지 입자의 원료의 용융점도와 매트릭스의 용융점도를 소정 범위로 제어하고, 수지 입자를 미분산화시킨다, 3) 소정의 매트릭스와 수지 입자의 조합을 이용해 수지 입자를 미분산화시킨다, 4) 매트릭스에 분산제를 함유시켜 수지 입자를 미분산화시킨다, 5) 2)~4)의 방법에 의해 미분산화하고, 매트릭스에 대하여 수지 입자가 되는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소정량 이상 첨가하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S층 중에 함유되는 수지 입자 중,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상기 수지 입자수의 비율이 S층 중의 전체 수지 입자수에 대하여 15% 이하가 되는 것이 필요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상기 수지 입자수의 비율이 15%를 상회하면, 백색 필름 중에 상기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기포를 수많이 함유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조대한 기포가 형성되는 결과, 필름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기체/고체 계면을 형성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백색 필름으로서의 백색성, 광반사 특성, 경량성이 떨어지고,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장착하여도 휘도 특성이 떨어질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S층 중에 함유되는 상기 수지 입자 중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상기 수지 입자의 수의 비율이 15% 이하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백색 필름으로서의 높은 반사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S층 중에 함유되는 수지 입자 중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상기 수지 입자의 수의 비율이 15% 이하로 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1) 미리 입경을 제어한 수지 입자를 사용한다, 2) 수지 입자가 매트릭스와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에는 S층 중의 수지 입자의 용융점도와, S층 중의 매트릭스의 용융점도를 소정 범위로 제어한다, 3) 소정의 매트릭스와 수지 입자의 조합을 사용한다, 4) 매트릭스에 분산제를 함유시킨다,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기체/고체 계면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종래의 백색 필름에서는 도달할 수 없는 높은 반사 특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액정 표시용 반사 필름용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광의 이용 효율을 높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종래의 백색 필름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높은 휘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S층 중에 함유되는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Dv)과 수평균 입경(Dn)의 비(Dv/Dn)를 1.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Dv)과 수평균 입경(Dn)의 비(Dv/Dn)란, 후술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체적 평균 입경(Dv)을 구하고, 상술의 수평균 입경(Dn)과의 비(Dv/Dn)를 구함으로써, Dv/Dn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얻어진 Dv/Dn는 수지 입자의 입경의 퍼짐을 나타내는 값이며, 이 값이 클수록 수지 입자의 입경의 분포의 퍼짐이 큰 것을 의미한다. 이론상의 최하한값은 1.0이며, 이 경우 완전 단분산인 것을 의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Dv/Dn가 1.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4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Dv/Dn가 1.7을 상회하면 백색 필름 중에 조대한 기포가 형성되는 결과, 상기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기포를 균일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필름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기체/고체 계면을 형성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S층 중에 함유되는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Dv)과 수평균 입경(Dv)의 비(Dv/Dn)를 1.7 이하로 함으로써, 필름 내부에 균일한 기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백색 필름으로서의 높은 반사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매트릭스로 되는 수지에 수지 입자로 되는 비상용의 수지를 분산시키고, 이것을 시트 형상으로 가공하고, 이어서 이 시트를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수지 입자로서 사용되는 비상용의 수지로서는, 그 재질은 열가소성 수지, 가교성 수지 입자의 어느 것이든 상관 없다. 수지 입자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 간단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어 비용의 점으로부터 유리하게 된다. 한편, 가교성 수지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 비해서 공정이 증가할 경우가 있지만, 상술의 범위가 되도록 미리 형상을 제어한 수지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상술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백색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S층 중에 수지 입자 이외에 결정성 수지(A)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릭스로서 결정성 수지(A)를 적어도 함유함으로써 연신, 열처리에 의해 S층을 배향 결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기계적 강도, 내열성이 우수한 백색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정성 수지란, JIS K7122(1999)에 준하고,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2ndRUN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차트에 있어서, 결정화에 수반되는 발열 피크가 관찰되는 수지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구해지는 결정화 엔타르피(ΔHcc)가 1J/g 이상의 수지를 결정성 수지로 한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는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수지 중, 결정성 수지가 1종류일 경우는 그 수지를 결정성 수지(A)라고 한다. 또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결정성 수지가 복수 함유되는 경우에는 결정성 수지 중, 주된 성분이 되는 결정성 수지를 결정성 수지(A)라고 한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결정성 수지(A)는, 바람직하게는 결정화 엔타르피(ΔHcc)가 5J/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J/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J/g 이상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결정성 수지(A)의 결정화 엔타르피를 상술의 범위로 함으로써 연신, 열처리에 의한 배향 결정화를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보다 기계적 강도, 내열성이 우수한 백색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사용되는 결정성 수지(A)는 상술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공중합하는 모노머종의 다양성, 및 그것에 의해서 재료 물성의 조정이 용이한 등의 이유로부터, 특히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의 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매트릭스 수지로서 사용함으로써 높은 무착색성을 유지하면서, 필름으로 했을 때에 높은 기계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저렴하다.
여기에서, 결정화 엔타르피는 결정성 수지(A)를 구성하는 수지의 모노머종을 적당하게 공중합시킴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벤젠환, 나프탈렌환, 안트라센환, 피렌환 등의 방향족의 골격을 주골격에 도입하거나, 수지에 결정화 촉진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결정화 엔타르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시클로헥산 골격, 노르보넨 골격 등의 지환식 골격, 비스페놀-A 골격, 스피로글리콜 골격, 비스페녹시에탄올플루오렌 등의 부피가 큰 골격을 주골격에 도입하거나 함으로써 결정화 엔타르피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가소제나 가교제 등의 도입에 의해서도 결정화 엔타르피의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소제나 가교제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결정화 엔타르피를 낮출 수 있다. 이것들을 적당하게 첨가함으로써 상술의 조건 범위에 만족시키는 수지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는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수지종이 결정성 수지와 비결정성 수지의 혼합물이여도 관계 없다. 그 경우, S층을 구성하는 전체 수지(수지 입자를 포함한다)를 100중량%라고 했을 때, S층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결정성 수지(A)(결정성 수지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든 결정성 수지의 합계 중량)의 비율을 50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내열성, 기계적 강도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기포를 형성시키는 수지 입자는 필름을 구성하는 결정성 수지(A)에 대하여 비상용인 수지[비상용 수지(B)]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용성 수지(B)란, 적어도 결정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에는 상용하지 않고, 또한 매트릭스 중에 미분산하는 수지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매트릭스 중에 비상용성 수지를 미분산시키고 연신함으로써, 그 수지를 핵으로 해서 보이드(기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함유되는 비상용성 수지(B)는, 상술의 요건을 만족시키면 결정성 수지, 비결정성 수지 어느쪽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정성 수지란, 결정성 수지(A)의 정의에서 말한 것과 같이 JIS K7122(1999)에 준해서 후술하는 방법으로 얻어진 2ndRUN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차트에 있어서, 결정화에 수반되는 발열 피크가 관찰되는 수지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구해지는 결정화 엔타르피(ΔHcc)가 1J/g 이상의 수지를 결정성 수지라고 한다. 또한, 비결정성 수지란 결정화에 수반되는는 발열 피크가 관찰되지 않거나, 또는 관찰되었다고 해도 결정화 엔타르피가 1J/g 미만의 수지이다.
여기에서, 비상용성 수지(B)가 비결정성 수지(B1)인 경우에는, 상기 비결정성 수지(B1)의 유리전이온도(Tg1)가 1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결정성 수지(B1)의 유리전이온도(Tg1)란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이하, DSC)에 의해 얻어지는, 승온 과정(승온 속도 : 20℃/min)에 있어서의 유리전이온도(Tg1)이며, JIS K-7121(1999)에 근거한 방법에 의해 상술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얻어진 2ndRUN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차트에 있어서, 유리전이의 계단상의 변화 부분에 있어서 각 베이스라인의 연장된 직선으로부터 세로축 방향으로 등거리에 있는 직선과 유리전이의 계단상의 변화 부분의 곡선이 교차하는 점으로부터 구한 값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Tg1)가 1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85℃ 이상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비결정성 수지(B1)의 유리전이온도(Tg1)가 170℃ 미만이면,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필름에 열처리를 실시했을 때에 핵재인 비상용성 수지(B1)가 변형하고, 그 결과, 그것을 핵으로 해서 형성된 기포가 감소?또는 소실되어 반사 특성이 저하하거나 할 경우가 있다. 또한, 반사 특성을 유지하려고 해서 열처리 온도를 저온화하면, 그 경우에 필름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비결정성 수지(B1)의 유리전이온도(Tg1)를 170℃ 이상으로 함으로써, 높은 반사율과 치수 안정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비결정성 수지(B1)의 유리전이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수지(A)의 융점(Tm)-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m-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Tm-20℃ 이하가 좋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비결정성 수지(B1)의 유리전이온도(Tg1)가 Tm-5℃를 넘으면 매트릭스로 되는 결정성 수지(A)와 용융 혼련할 때에 충분하게 비상용성 수지(B1)가 연화되지 않고 미분산화가 촉진되지 않는 경우가 고려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비상용성 수지(B)가 결정성 수지(B2)인 경우에는, 상기 결정성 수지(B2)의 융점(Tm2)이 1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성 수지(B2)의 융점(Tm2)이란, 승온 과정(승온 속도 : 20℃/min)에 있어서의 융점(Tm)이며, JIS K-7121(1999)에 근거한 방법에 의해 후술하는 방법으로 얻어진 2ndRUN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차트에서의 결정 융해 피크에 있어서의 피크 톱의 온도를 가지고 결정성 수지(B2)의 융점(Tm2)이라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수지(B2)의 융점(Tm2)이 1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85℃ 이상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결정성 수지(B2)의 융점(Tm2)이 170℃ 미만이면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필름에 열처리를 실시하였을 때에 핵재인 비상용성 수지(B2)가 융해되고, 그 결과, 그것을 핵으로 해서 형성된 기포가 감소?또는 소실되어 반사 특성이 저하하거나 할 경우가 있다. 또한 반사 특성을 유지하려고 해서 열처리 온도를 저온화하면, 그 경우에 필름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결정성 수지(B2)의 융점(Tm2)을 170℃ 이상으로 함으로써 높은 반사율과, 치수 안정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결정성 수지(B2)의 융점(Tm2)의 상한은 특별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수지(A)의 융점(Tm)-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m-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Tm-20℃ 이하가 좋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결정성 수지(B2)의 융점(Tm2)이 Tm-5℃를 넘으면 매트릭스가 되는 결정성 수지(A)와 용융 혼련할 때에 충분하게 비상용성 수지(B2)가 연화되지 않고 미분산화가 촉진되지 않는 경우가 고려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비상용성 수지(B)는 상술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시클로펜타디엔 등과 같은 직쇄상, 분쇄상 혹은 환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스티렌,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공중합하는 모노머종의 다양성, 및 그것에 의해서 재료 물성의 조정이 용이한 등의 이유로부터, 특히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의 비상용성 수지는 단독 중합체이여도 공중합체이여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의 비상용성 수지를 병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매트릭스로서 폴리에스테르계의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 비상용성 수지(B)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비상용 수지(B)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시클로펜타디엔 등과 같은 직쇄상, 분쇄상 혹은 환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불소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비상용성 수지는 단독 중합체이여도 공중합체이여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의 비상용성 수지를 병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 표면장력이 작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보이드 형성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함유되는 비상용성 수지(B)가 결정성 수지(B2)인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메틸펜텐은 상대적으로 폴리에스테르와의 표면장력차가 크고 보이드 형성성이 뛰어나며, 첨가량당의 기포 형성의 효과가 클뿐만 아니라, 또한 융점이 높기 때문에 열처리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필름 제조시에 열처리를 충분히 실시할 수 있고, 그 결과, 형성되는 필름의 기계적 강도, 치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결정성 수지(B2)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에서, 폴리메틸펜텐으로서는 분자 골격 중에 4-메틸펜텐-1로부터의 유도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밖의 유도 단위로서는 에틸렌 단위, 프로필렌 단위, 부텐-1 단위, 3-메틸부텐-1, 또는 4-메틸펜텐-1 이외로 탄소수 6~12의 탄화수소 등이 예시된다. 폴리메틸펜텐은 단독 중합체이여도 공중합체 여도 좋다. 또한 조성이나, 용융점도 등이 다른 복수의 폴리메틸펜텐을 사용하거나, 다른 올레핀계 수지나 기타 수지와 병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사용하는 비상용성 수지(B)가 비결정성 수지(B1)인 경우,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란, 시클로알켄, 비시클로알켄, 트리시클로알켄 및 테트라시클로알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직쇄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환상 올레핀의 대표예로서는, 비시클로[2,2,1]헵토-2-엔, 6-메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6-디메틸비시클로[2,2,1]헵토-2-엔, 1-메틸비시클로[2,2,1]헵토-2-엔, 6-에틸비시클로[2,2,1]헵토-2-엔, 6-n-부틸비시클로[2,2,1]헵토-2-엔, 6-i-부틸비시클로[2,2,1]헵토-2-엔, 7-메틸비시클로[2,2,1]헵토-2-엔, 트리시클로[4,3,0,12.5]-3-데센, 2-메틸-트리시클로[4,3,0,12.5]-3-데센, 5-메틸-트리시클로[4,3,0,12.5]-3-데센, 트리시클로[4,4,0,12.5]-3-데센, 10-메틸-트리시클로[4,4,0,12.5]-3-데센 등이 있다.
특히, 비시클로[2,2,1]헵토-2-엔(노르보넨)이나 그 유도체가 생산성?투명성?고Tg화가 용이하다고 하는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비상용성 수지(B)가 비결정성 수지(B1)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폴리메틸펜텐,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 종래 사용되어 온 비상용성 수지 이상으로 필름 중에 미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필름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기체/고체 계면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종래의 백색 필름에서는 도달할 수 없는 높은 반사 특성, 백색성, 은폐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액정 표시용 반사 필름용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광의 이용 효율을 높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종래의 백색 필름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높은 휘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비결정성 수지(B1)의 유리전이온도(Tg1)를 상술한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중의 환상 올레핀 성분의 함유량을 많게 하고, 에틸렌 등의 직쇄 올레핀 성분의 함유량을 적게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상 올레핀 성분은 60몰% 이상이며, 에틸렌 등의 직쇄 올레핀 성분의 함유량은 40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환상 올레핀 성분은 70몰% 이상이며, 에틸렌 등의 직쇄 올레핀 성분의 함유량은 30몰%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환상 올레핀 성분이 80몰% 이상이며, 에틸렌 등의 직쇄 올레핀 성분의 함유량이 20몰% 미만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환상 올레핀 성분이 90몰% 이상이며, 에틸렌 등의 직쇄 올레핀 성분의 함유량이 10몰% 미만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상술한 범위의 유리전이온도(Tg1)까지 높일 수 있다.
또한, 직쇄 올레핀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반응성의 관점으로부터 에틸렌 성분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상 올레핀 성분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시클로[2,2,1]헵토-2-엔(노르보넨)이나 그 유도체가 생산성?투명성?고Tg화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성분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다른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 성분을 공중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의 탄소원자수가 3~20의 α-올레핀,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3-메틸시클로헥센, 시클로옥텐, 1,4-헥사디엔, 4-메틸-1,4-헥사디엔, 5-메틸-1,4-헥사디엔, 1,7-옥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5-에틸리덴-2-노르보넨, 5-비닐-2-노르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 2-메틸테트라시클로도데센, 2-에틸테트라시클로도데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상술의 비상용성 수지(B)는 S층을 구성하는 전체 재료의 합계를 100중량%로 했을 때 5~50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비상용성 수지(B)의 첨가량은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비상용성 수지(B)의 첨가량이 5중량% 미만이면 백색성이나 광반사 특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S층을 구성하는 전재료의 합계 중량 100중량%에 있어서 50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강도가 저하하고, 연신시의 파단이 일어나기 쉬워질 경우가 있다. 함유량을 이러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충분한 백색성?반사성?경량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결정성 수지(A)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매트릭스로서 결정성 수지(A)에 공중합 성분을 도입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C)를 함유시켜도 좋다. 이 경우 공중합 성분의 양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투명성, 성형성 등의 관점 및 다음에 서술하는 비결정화의 관점으로부터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디올 성분 모두, 각각의 성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70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몰%이다.
또한, 공중합 수지(C)로서 공중합에 의해 비결정성이 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비결정성으로 한 폴리에스테르의 예로서는, 디올 성분의 주성분이 지환족 글리콜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산 성분이 이소프탈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적합 예로서 들 수 있다. 특히, 디올 성분을 지환족 글리콜의 일종인 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하고, 공중합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가 투명성, 성형성의 점이나 후술하는 비상용 수지(B)의 미분산화 효과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공중합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올 성분의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성분이 30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비결정화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디올 성분의 30~40몰%를 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하고, 디올 성분의 60~70몰%를 에틸렌글리콜로 하며,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을 사용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첨가함으로써 매트릭스 수지 중에서의 비상용성 수지(B)의 분산을 보다 안정되게 하고, 미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가 발현되는 상세한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이것에 의해 필름 중에 다수의 기포를 생성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반사성, 고백색성, 경량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첨가함으로써 연신성이나 제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수지(C)의 함유량은 S층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전체 수지(수지 입자(Ⅱ)를 포함함)를 100중량%라고 했을 경우, 그것에 대하여 5중량% 이상 50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40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35중량% 미만이다. 매트릭스에 포함되는 공중합 수지(C)의 함유량이 10중량% 미만이면 비상용성 수지(B)를 매트릭스 중에 미분산화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공중합 수지(C)의 함유량이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하고,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필름의 열처리를 실시했을 때에 매트릭스가 연화되고, 그 결과, 기포가 감소?또는 소실되어 반사 특성이 저하하거나 할 경우가 있다. 또한, 반사 특성을 유지하려고 해서 열처리 온도를 저온화하면, 그 경우에 필름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전체 수지(수지 입자를 포함함) 100중량% 대한 공중합 수지(C)의 첨가량을 상술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비상용 성분의 분산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시키면서 필름 제막성이나 기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결과, 높은 반사율과, 치수 안정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는 매트릭스에 비상용성 수지(B)를 보다 미분산시키기 위해서 매트릭스에 상술한 결정성 수지(A) 및 공중합 수지(C) 이외에 분산제(D)를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D)를 첨가함으로써 비상용성 수지(B)의 분산 지름을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연신에 의해 생성되는 편평기포를 보다 미세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필름의 백색성, 반사성, 경량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산제(D)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결정성 수지(A)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경우, 카르복실기나 에폭시기 등의 극성기나 폴리에스테르와 반응성이 있는 관능기를 가진 올레핀계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계면활성제 및 열접착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것들은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알킬렌글리콜 공중합체(D1)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폴리에스테르 성분으로서는 탄소수가 2~6의 지방족 디올 부분과,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성분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으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성분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성분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사용한 조합이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성분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사용한 조합, 또는 폴리에스테르 성분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산제(D)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S층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전체 수지(수지 입자를 포함함)를 100중량%로 했을 때에 0.1~3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중량%이다. 첨가량이 0.1중량%보다 적을 경우 기포를 미세화하는 효과가 작아질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첨가량이 30중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내열성이 저하되고,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필름의 열처리를 실시하였을 때에 매트릭스가 연화되고, 그 결과, 기포가 감소?또는 소실되어 반사 특성이 저하하거나 할 경우가 있다. 또한 반사 특성을 유지하려고 해서 열처리 온도를 저온화하면, 그 경우에 필름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생산 안정성의 저하나 비용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전체 매트릭스 성분에 대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첨가량을 상술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비상용성 수지(B)의 분산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시키면서 필름 제막성이나 기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결과, 높은 반사율과, 치수 안정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생산 안정성의 저하나 비용 상승 등의 문제를 발생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결정성 수지(A)의 융점(Tm)+20℃, 전단속도 200sec-1에서의 상기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s)]와 상기 비상용성 수지(B)의 용융점도[η2(㎩?s)]가 -0.3≤log10(η2/η1)≤0.55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 비상용성 수지(B)의 용융점도(η2)는, JIS K-7199(1991)에 준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며, 이하의 1)~4)의 순서로 구해지는 값이다.
1) 상기 결정성 수지(A), 비상용성 수지(B) 각각에 대해서 가수분해성을 갖는 경우에는 수분 함유율이 50ppm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다.
2) 1)의 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성 수지(A)의 융점(Tm)+20℃의 온도에서 적어도 3점 이상의 다른 전단속도로 용융점도를 측정한다.
3) 얻어진 값을 가로축에 전단속도, 세로축에 용융점도를 각각 대수(對數) 플롯하고, 얻어진 플롯으로부터 누승 근사 곡선을 구한다.
4) 얻어진 누승 근사 곡선으로부터 전단속도 200sec-1에서의 용융점도를 구한다.
여기에서, 수지의 건조 방법으로서는 열풍 오븐이나, 핫플레이트, 적외선 등에 의한 가열 건조나, 진공 건조, 동결 건조 등의 공지의 방법이나, 그것들을 조합시킨 방법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건조 후 흡습을 막기 위해서 측정 직전까지 건조를 실시하고, 건조 종료 후 즉시 측정을 실시한다. 만약 건조 직후의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측정 직전까지 데시케이터나, 보관고 등에서 건조 조건 하, 건조 질소 조건 하, 진공 조건 하 등, 흡습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시료를 보관한다.
또한, 결정성 수지(A)의 융점(Tm)이란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이하, DSC)에 의해 얻어지는 승온 과정(승온 속도 : 20℃/min)에 있어서의 융점(Tm)이며, JIS K-7121(1999)에 근거한 방법에 의해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2ndRUN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차트에 있어서의 결정 융해 피크에 있어서의 피크 톱의 온도를 가지고 결정성 수지의 융점(Tm)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상술의 방법으로 구해진 상기 결정성 수지(A)의 융점(Tm)+20℃, 전단속도 200sec-1에 있어서의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s)]와 비상용성 수지(B)의 용융점도[η2(㎩?s)]가 -0.3≤log10(η2/η1)≤0.5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log10(η2/η1)≤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log10(η2/η1)≤0.45, 특히 바람직하게는 0≤log10(η2/η1)≤0.40이다. log10(η2/η1)이 0.55를 상회하면 비상용성 수지(B)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혼련시에 비상용성 수지(B)에 충분한 전단을 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분산 지름을 미세화하는 것이 곤란해질 경우가 있다. 또한, log10(η2/η1)이 -0.3을 밑돌면 비상용성 수지(B)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서 비상용성 수지(B)를 결정성 수지(A)를 함유하는 매트릭스에 혼련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log10(η2/η1)을 -0.3≤log10(η2/η1)≤0.55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혼련성과 미분산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결정성 수지(A)의 융점(Tm)+20℃, 전단속도 200sec-1에 있어서의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s)]와 비상용성 수지(B)의 용융점도[η2(㎩?s)]가 0.5≤log10(η2)/log10(η1)≤1.3의 관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8≤log10(η2)/log10(η1)≤1.3, 더욱 바람직하게는 0.9≤log10(η2)/log10(η1)≤1.25, 특히 바람직하게는 0.95≤log10(η2)/log10(η1)≤1.20, 가장 바람직하게는 0.95≤log10(η2)/log10(η1)≤1.15가 좋다. log10(η2)/log10(η1)이 1.3을 상회하면 비상용성 수지(B)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혼련시에 비상용성 수지(B)에 충분한 전단을 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분산 지름을 미세화하는 것이 곤란해질 경우가 있다. 또한 log10(η2)/log10(η1)이 0.5를 밑돌면 비상용성 수지(B)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서 비상용성 수지(B)를 결정성 수지(A)를 함유하는 매트릭스에 혼련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게 될 경우가 있다. log10(η2)/log10(η1)을 0.5≤log10(η2)/log10(η1)≤1.3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혼련성과 미분산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수지 입자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 결정성 수지(A)의 융점(Tm)+20℃, 전단속도 200sec-1에 있어서의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s)]와 비상용성 수지(B)의 용융점도[η2(㎩?s)] 차(η2-η1)를 -300~1000㎩?s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η2-η1이 -200~800㎩?s,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700㎩?s, 특히 바람직하게는 -50~600㎩?s이다. η2-η1이 1000㎩?s를 초과하면 비상용성 수지(B)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매트릭스 중에 미분산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결정성 수지(A)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서 형성한 시트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η2-η1이 -300㎩?s를 밑돌면 비상용성 수지(B)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서 결정성 수지(A)를 함유하는 매트릭스에 혼련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게 되거나, 결정성 수지(A)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압출이 곤란하게 되고, 시트화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결정성 수지(A)의 η1과 비상용성 수지(B)의 용융점도(η2)의 차(η2-η1)를 -300~1000㎩?s로 함으로써 혼련성, 미분산성, 제막성, 형성한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양립할 수 있다.
또한,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를 50~3000㎩?s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2000㎩?s,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000㎩?s이다. η1이 3000㎩?s를 상회하면 그 중합이 곤란하게 되거나, 중합을 할 수 있었다고 해도 그 수지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압출이 곤란하게 될 경우가 있다. 또 η2가 50㎩?s를 밑돌면 혼련시에 전단이 가해지기 어려워져 조대 입자가 남기 쉬워지거나, 또한 제막시에 기포를 혼입시키기 쉬워져 시트화가 곤란하게 되거나, 시트화할 수 있었다고 해도 그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거나 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를 50~3000㎩?s로 함으로써 백색 필름의 제막성과 기계적 강도를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를 300㎩?s 이상으로 하면 보다 분자쇄의 서로 얽힘이 강해져 제막성이 보다 제막시에 깨짐이 적고, 제막성 양호하게 백색 필름을 제막할 수 있다. 또한, 용융점도를 400㎩?s 이하로 하면 연신시의 내부응력이 남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보다 열수축률의 낮은 백색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비상용성 수지(B)의 용융점도(η2)를 10~2000㎩?s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500㎩?s,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000㎩?s, 특히 바람직하게는 50~800㎩?s이다. η2가 2000㎩?s를 상회하면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와 결정성 수지(B)의 η2를 상술의 점도관계로 하기 위해서 결정성 수지(A)의 점도를 높일 필요가 있고, 그 중합이 곤란하게 되거나, 중합을 할 수 있었다고 해도 그 수지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압출이 곤란하게 될 경우가 있다. 또한 η2가 10㎩?s를 밑돌면 상기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와 결정성 수지(B)의 η2의 관계를 만족시키기 위해는 결정성 수지(A)의 점도를 낮게 할 필요가 있고, 제막시에 기포를 혼입시키기 쉬워져 시트화가 곤란하게 되거나, 시트화할 수 있었다고 해도 그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거나 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비상용성 수지(B)의 용융점도(η2)를 10~2000㎩?s로 함으로써 백색 필름의 제막성과 기계적 강도를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양에서의 적당한 첨가제, 예를 들면 내열 안정제, 내산화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유기계의 이활제, 유기계 미립자, 충전제, 핵제, 염료, 분산제, 커플링제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결정성 수지(A), 비상용성 수지(B), 공중합 수지(C), 분산제(D)를 용융 혼련한 후 시트 형상으로 가공하고, 2축 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S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 단체라도 좋지만, 상기 S층(이하, S층을 A층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의 적어도 한쪽에, A층과는 다른 층(B층)을 적층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이러한 다른 기능의 층을 갖는 층을 적층함으로써 반사광의 광확산성을 제어하거나, 높은 기계적 강도를 필름에 부여하거나, 제막성을 부여하거나, 기타 부수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 적층 구조는 A층/B층이여도 B층/A층/B층이여도 어느 쪽이라도 개의치 않는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이 적층 구조인 경우, 표면 미끄럼성이나 제막시의 주행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 각종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적층한 B층에는 유기 혹은 무기의 미립자, 또는 비상용성 수지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필름의 권취성, 장시간의 제막 안정성, 경시에 의한 안정성이나, 광학 특성향상 등의 점에서 무기계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기 입자는 흡수 등이 수지 입자 등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필름 전체나 주층(A층)에 대량으로 사용하면 그 흡수 효과에 의해 고반사 특성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나, B층으로서 표면에 얇게 형성함으로써 흡수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각종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무기계 미립자의 예로서는,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탄산 아연, 산화티타늄, 산화아연(아연화), 산화안티몬, 산화세륨, 산화지르코늄, 산화주석, 산화란탄, 산화마그네슘, 탄산 바륨, 탄산 아연, 염기성 탄산 납(연백), 황산 바륨, 황산 칼슘, 황산 납, 유화아연, 인산 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마이카, 운모 티타늄, 탤크, 클레이, 카올린, 불화리듐 및 불화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계 미립자는 기포 형성성을 갖고 있어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기포 형성성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수지(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의 표면 장력차나, 무기계 미립자의 평균 입자지름이나 응집성(분산성) 등에도 의존하지만, 상술의 무기계 미립자 중에서 기포 형성성을 갖는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탄산 칼슘, 황산 바륨, 탄산 마그네슘 등이다. 기포 형성성이 있는 입자를 사용했을 경우, 필름의 제조시에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적층한 층에도 기포를 함유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반사 특성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기포 형성성을 갖지 않는 무기계 미립자란, 주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수지(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의 굴절율차에 의해 필름을 백색화시키는 것이며, 그 대표예는 산화티타늄, 유화아연, 산화아연, 산화세륨 등이며, 이것들을 사용했을 경우 백색 필름의 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들의 무기계 미립자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다공질이나 중공 다공질 등의 형태라도 되고,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기계 미립자는 B층 중에서의 평균 입자지름이 0.05~3㎛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1㎛이다. 무기계 미립자의 평균 입자지름이 상기 범위 밖인 경우, 응집 등에 의한 무기계 미립자의 균일 분산성 불량, 또는 입자 자신에 의해 필름 표면의 광택 또는 평활성이 저하될 경우가 있다.
또한, B층 중에 있어서의 무기계 미립자의 함유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1~3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중량%, 또한 3~25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을 경우에는 필름의 백색성, 은폐성(광학농도)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게 될 경우가 있고, 반대로 함유량이 상기 범위보다 많을 경우에는 필름 표면의 평활성이 저하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연신시에 필름 깨짐이나 후가공시에 가루 발생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의 두께는 10~500㎛가 바람직하고, 20~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S층의 두께도, 마찬가지로 10~500㎛가 바람직하고, 20~3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가 10㎛ 미만의 경우 필름의 평탄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면광원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밝기에 편차가 생기기 쉽다. 한편, 500㎛보다 두꺼울 경우 광반사 필름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했을 경우에 두께가 지나치게 커질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이 적층 필름일 경우, 그 표층부/내층(S층)부의 두께 비율은 1/200~1/3이 바람직하고, 1/50~1/4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층부/내층(S층)부/표층부의 3층 적층 필름의 경우, 상기 비율은 양 표층부의 합계/내층(S층)부로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이접착성이나 대전방지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서, 주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도포액을 도포하거나, 내충격성을 높이기 위해서 하드코트층이나, 내자외선성을 갖기 위한 내자외선층, 난연성 부여를 위한 난연층 등, 또 다른 기능을 갖는 층(C층)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백색 필름 중 및/또는 도포층 중에 내광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내광제란,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것이며, 이것을 백색 필름 중 및/또는 도포층 중에 함유함으로써 필름의 자외선에 의한 색조 변화가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내광제로서는, 다른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내열성이 뛰어나고, 매트릭스로 되는 수지와의 상성이 좋게 균일 분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색이 적고 수지 및 필름의 반사 특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내광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광제로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트리아진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 및 힌다드아민계 등의 자외선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상술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상기 백색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이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투과율이란, JIS-7361(1997)에 의거하여 측정된 값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투과율을 2.0% 이하로 함으로써, 이면으로의 광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결과, 백색성, 반사 특성이 우수한 백색 필름으로 할 수 있고, 특히 액정 표시 장치용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높은 휘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상대 반사율이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 이상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상대 반사율이란, 내면이 황산 바륨제의 적분구, 10°경사 스페이서를 구비한 분광광도계, 표준 백색판으로서 산화알류미늄을 이용하여 입사각 10°로 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율을 파장 560㎚에서 측정하고, 표준 백색판의 반사율을 100%로 했을 때의 상대 반사율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 상대 반사율을 100% 이상으로 함으로써 백색성, 반사 특성이 우수한 백색 필름으로 할 수 있고, 특히 액정 표시 장치용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높은 휘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 상대 반사율을 상술의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1) S층 내부의 수지 입자의 분산 지름, 밀도를 상술의 범위로 제어한다, 2) S층의 두께를 두껍게 한다,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종래의 백색 필름에서는 상대 반사율을 상술의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2)의 필름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는, 필름 내부의 수지 입자의 분산 지름, 밀도를 상술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종래의 백색 필름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보다 박막이고 고은폐 성능, 고반사 성능을 갖는 백색 필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상술의 투과율, 반사율을 두께 300㎛ 이하에서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두께 250㎛ 이하에서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두께 225㎛ 이하에서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 상술의 두께에서 투과율, 반사율을 만족시킴으로써 보다 박막이고 고반사 성능을 갖는 백색 필름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반사 부재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높은 휘도 향상 효과와, 디스플레이의 박막화의 양립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의 비중은 1.2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비중이란 JIS K7112(1980판)에 근거해서 구한 값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비중이 1.2를 초과한 경우에는 기층의 점유율이 지나치게 낮아서 반사율이 저하되고, 면광원용의 반사판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휘도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비중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이상이다. 0.3 미만의 경우에는 필름으로서의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하거나, 접히기 쉬워 취급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경우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그 일례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의 점도 관계에 있는 결정성 수지(A)의 칩과, 상기 결정성 수지(A)에 대하여 비상용의 수지인 수지 입자(비상용 수지(B))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필요에 따라 충분히 진공 건조를 행하고, 압출기(주압출기)를 갖는 제막 장치의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한다. 비상용성 수지(B)의 첨가는 사전에 균일하게 용융 혼련해서 배합시켜서 제작된 마스터 칩을 이용하여도 좋고, 또는 직접 혼련 압출기에 공급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수지 입자가 가교성 수지 입자인 경우에는 미리 비상용성 수지(B) 이외의 성분을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균일 혼련성이라고 하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이 적층 필름인 경우에는 상기 주압출기 이외에 부압출기를 갖는 복합 제막 장치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충분한 진공 건조를 행한 열가소성 수지의 칩, 무기 입자 및 형광증백제 등을 가열된 부압출기에 공급해서 공압출 적층한다.
또한, 용융 압출시에는 메쉬 40㎛ 이하의 필터로 여과한 후에 T다이 구금 내에 도입하여 압출성형에 의해 용융 시트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용융 시트를 표면 온도 10~60℃로 냉각된 드럼 상에서 정전기에 의해 밀착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한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70~120℃의 온도로 가열된 롤 군에 안내하여 길이 방향(세로 방향, 즉 필름의 진행 방향)으로 3~4배 연신하고, 20~50℃의 온도의 롤 군에서 냉각한다.
계속해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에 도입하고, 90~150℃의 온도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 방향에 직각한 방향(폭 방향)으로 3~4배로 연신한다.
연신 배율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 각각 3~5배로 하지만, 그 면적 배율(종연신 배율×횡연신 배율)은 9~1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 배율이 9배 미만이면 얻어지는 2축 연신 필름의 반사율이나 은폐성, 필름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고, 반대로 면적 배율이 15배를 초과하면 연신시에 깨짐을 보이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얻어진 2축 연신 필름의 결정 배향을 완료시켜서 평면성과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텐터 내에서 150~240℃의 온도에서 1~30초간의 열처리를 행하고, 균일하게 서냉한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그 후 필요에 따라 타소재와의 밀착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코로나 방전 처리 등을 행하고, 권취함으로써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 중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3~12%의 이완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또한, 일반적으로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열치수 안정성도 높아지지만,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제막 공정에 있어서 고온(190℃ 이상)으로 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일정한 열치수 안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탑재되어 있는 면광원(백라이트)의 반사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백라이트에 따라서는 백라이트 내부의 분위기 온도가 100℃ 정도까지 상승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비결정성 수지(B1)의 유리전이온도(Tg1) 및/또는 결정성 수지(B2)의 융점(Tm2)을 상술의 온도 범위로 함으로써, 고온 하에서의 열처리에서도 보이드 핵제인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가 보다 열변형하지 않고(찌부러지지 않고) 확실한 기포를 유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백색성?고광반사성?경량성을 유지하면서 열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2축 연신의 방법은 순차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동시 2축 연신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조 공정의 필름 깨짐을 방지할 수 있거나, 가열 롤에 점착함으로써 생기는 전사 결점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2축 연신 후에 길이 방향, 폭 방향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재연신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에는 전자파 차폐성이나 절곡 가공성 부여 등의 목적으로, 필름 표면에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층을 금속 증착이나 접합 등의 방법에 의해 추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광반사를 위해서 면광원에 장착되는 판상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화면용의 에지 라이트의 반사판, 직하형 라이트의 면광원의 반사판, 및 냉음극선관 주위의 리플렉터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상을 정리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S층의 원료 조성은 이하와 같다.
(1) 주된 매트릭스 수지로서 결정성 수지(A)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것. 또한, S층에 있어서의 상기 결정성 수지(A)의 함유량은 40~70중량%이다. 또한, 상기 결정성 수지의 η1은 100~1000㎩?s이다.
(2) 수지 입자로서 상기 결정성 수지와는 비상용인 수지(B)이며, 또한 비결정성 수지(B1)인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 또한, 그 유리전이온도(Tg)는 180℃ 이상이다. S층에 있어서의 상기 비결정성 수지(B1)의 함유량은 20~50중량%이다. 또한, 상기 결정성 수지의 η2는 50~800㎩?s이다.
(3) 매트릭스로서 공중합 수지(C)이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디올 성분의 30~40몰%를 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하고, 디올 성분의 60~70몰%를 에틸렌글리콜로 하며,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을 사용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시킨 것. S층에 있어서의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유량은 10~35중량%이다.
(4) 매트릭스로서 분산제(D)인 폴리에스테르-폴리알킬렌글리콜 공중합체를 함유시킨 것. S층에 있어서의 상기 분산제(D)의 함유량은 5~20중량%이다.
(측정 방법)
A. 수지의 결정성, 유리전이온도, 융점(JIS 7121-1999, JIS 7122-1999)
각각의 수지에 대해서 JIS K7122(1999)에 준하고, 세이코 덴시 고교(주)제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 "로봇 DSC-RDC220"을, 데이터 해석에는 디스크 섹션 "SSC/5200"을 사용해서 수지의 결정성, 유리전이온도, 융점은 구했다. 샘플 팬에 수지를 5mg씩 칭량하고, 승온 속도는 20℃/min, 1stRUN에서 수지를 25℃로부터 300℃까지 20℃/분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고, 그 상태에서 5분간 유지하고, 이어서 25℃ 이하가 되도록 급냉하고, 다시 실온으로부터 20℃/분의 승온 속도로 300℃까지 승온을 행하여 얻어진 2ndRUN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차트에 있어서, 수지의 결정성은 결정화의 발열 피크가 관찰된(즉, 결정화의 발열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구한 결정화 엔타르피(ΔHcc)가 1J/g 이상) 것을 결정성 수지, 관찰되지 않은(즉, ΔHcc가 1J/g 미만) 것을 비결정성 수지라고 했다.
또한, 유리전이온도는 상술의 2ndRUN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차트의 유리전이의 계단상의 변화 부분에 있어서, 각 베이스라인의 연장한 직선으로부터 세로축 방향으로 등거리에 있는 직선과 유리전이의 계단상의 변화 부분의 곡선이 교차하는 점으로부터 구했다. 또한, 결정성 수지의 융점은 2ndRUN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차트의 결정 융해 피크에 있어서의 피크 톱의 온도를 결정성 수지의 융점이라고 했다.
B. 용융점도
플로우 테스터 CFT-500형 A((주)시마즈 세이사쿠쇼제)를 사용해 정온 시험으로 측정했다. 즉, 결정성 수지(A)의 융점(Tm)+20℃의 온도로 가열한 실린더 내에서 수지를 5분간 예열한 후, 단면적 1㎠의 피스톤(플런저)으로 지름 1㎜, 길이 10㎜의 구멍을 갖는 구금으로부터 일정 가중으로 압출하고, K 팩터=1에서의 용융점도를 얻었다. 또한 같은 측정을 반복하여 합계 3회에서의 평균치를 구했다. 다음에 가중을 바꾸어서 같은 측정을 3점 행한 후, 전단속도(단위 : sec-1)에 대하여 용융점도(단위 : ㎩?s)를 대수 플롯하고, 누승 근사 곡선을 구했다. 얻어진 누승 근사 곡선으로부터 전단속도 200sec-1에서의 용융점도를 외삽해서 구하여 용융점도로 했다.
또한, 측정하는 수지가 가수분해성을 갖는 경우에는 수분 함유율이 50ppm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것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C. 수지 입자의 입경(d), 수평균 입경(Dn), 체적 평균 입경(Dv), 단위면적당의 입자수, 입경(d)이 2㎛ 이상인 개수 비율
각 실시예?비교예에서 제작한 백색 필름을 잘라내어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필름 TD 방향(가로 방향)과 평행 방향의 단면을 잘라내고, 백금-팔라듐을 증착한 후, 니폰 덴시(주)제 전계방사 주사형 전자현미경 "JSM-6700F"로 3000~5000배의 사진을 촬영했다.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이하의 1)~4)의 순서로 수평균 입경(Dn)을 구했다.
1) 상기 화상 중의 S층 단면 내에서 관찰되는 각 수지 입자에 대해서 그 단면적(S)을 구하고, 하기 식(1)에서 구해지는 입경(d)을 구한다.
d=2×(S/π)1/2 …(1)
(단 π는 원주율)
2) 얻어진 입경(d)과, 수지 입자의 개수(n)를 이용하여, 하기 식(2)에 있어서 Dn을 구했다.
Dn=Σd/n …(2)
(단, Σd는 관찰면 내에 있어서의 입경의 총합, n은 관찰면 내의 입자의 총수)
3) 또한 하기 식(4)에 있어서 Dv를 구했다.
Dv=Σ[4/3π×(d/2)3×d]/Σ[4/3π×(d/2)3] …(4)
(단 π는 원주율)
4) 상기 1)~3)을, 5개소 장소를 바꾸어서 실시하고, 그 평균치로써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체적 평균 입경(Dv)으로 한다. 또한, 관찰점 1개소에 대해 2500㎛2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평가를 실시한다.
5) 얻어진 수평균 입경(Dn)과 체적 평균 입경(Dv)으로부터 수평균 입경(Dn)과의 비(Dv/Dn)를 구했다.
6) 또한, 관찰 영역의 면적을 구하고, 단위면적(1㎛2)당의 수지 입자수를 구했다. 또한 입경(d)이 2㎛ 이상인 것의 개수를 구하고, 전체 수지 입자수에 대한 입경(d)이 2㎛ 이상인 수지 입자의 비율을 구했다.
D. 상대 반사율
분광광도계 U-3410((주)히타치 세이사쿠쇼)에 φ60 적분구 130-0632((주)히타치 세이사쿠쇼)(내면이 황산 바륨제) 및 10°경사 스페이서를 부착한 상태에서 560㎚의 광반사율을 구했다. 또한, 광반사율은 백색 필름의 양면에 대해서 구하고, 보다 높은 수치를 상기 백색 필름의 반사율이라고 했다. 표준 백색판에는 (주)히타치 케이소쿠키 서비스제의 부품번호 210-0740(산화알류미늄)을 사용했다.
E. 투과율(은폐성)
헤이즈 미터 NDH-5000(니폰 덴쇼쿠(주)제)을 이용하여 필름 두께 방향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또한, 투과율은 백색 필름의 양면에 대해서 구하고, 보다 낮은 수치를 상기 백색 필름의 투과율로 했다.
F. 비중
백색 필름을 5㎝×5㎝의 크기로 잘라내고, JIS K7112(1980판)에 의거하여 전자 비중계 SD-120L(미라쥬 보우에키(주)제)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각 백색 필름에 대해서 5매 준비하고, 각각을 측정하여 그 평균치로써 상기 백색 필름의 비중으로 했다.
G. 내열성
백색 필름을 1㎝×15㎝의 직사각 형상으로 잘라내고, 길이 방향의 양단 2.5㎝ 내측에 표시를 하고, 그 폭(L0)을 측장했다. 이어서, 샘플을 90℃의 열풍 오븐에 30분간 방치, 냉각한 후의 샘플의 표시 사이의 거리(L1)를 구했다. 하기 식(5)에 의해 샘플의 수축률을 구했다.
?S=(L0-L1)/L0×100 (5)
또한, 측정은 필름의 길이 방향, 폭 방향 각각에 대해서 행하고, 각 3샘플의 평균치로써 각각의 열수축률을 구하고, 길이 방향의 수축률과 폭 방향의 수축률의 평균치로써 샘플의 열수축률(S)로 하고, 내열성은 이하와 같이 판정했다.
열수축률(S)이
0.5% 이하인 경우 S
0.5%보다 크고 0.8% 이하인 경우 A
0.8%보다 크고 1.0% 이하인 경우 B
1.0보다 클 경우 C
로 했다.
H. 휘도
20인치 사이즈의 직하형 백라이트(CCFL 16개, 형광관 지름 3㎜, 형광관 간격 2.5㎝. 유백판과 형광관의 거리 1.5㎝)에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작한 백색 필름을 반사판으로서 설치하고, 유백판으로서 RM401(스미토모 카가쿠(주)제), 유백판 상측에 광확산 시트 "라이트 업"(등록상표) GM3(키모토(주)제), 프리즘 시트 BEFⅢ(3M제), DBEF-400(3M제)을 배치했다.
이어서, 12V의 전압을 인가해서 CCFL을 점등시켜 면광원을 일으켰다. 50분 후, 색채 휘도계 BM-7/FAST(탑콘(주)제)를 이용하여 시야각 1°, 백라이트-휘도계 거리 40㎝에서 중심 휘도를 측정했다. 각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3샘플에 대해서 측정하고, 각각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이것을 휘도 B1로 했다.
마찬가지로 반사 필름을 두께 250㎛의 백색 필름 "루미러" E6SL(도레이(주)제)의 경우에 대해서 측정하고, 휘도 B2를 얻었다. 얻어진 값을 이용하여 하기 식(6)에 의해 휘도 향상율(B)을 산출했다.
?휘도 향상율[B(%)]=100×(B1-B2)/B2 (6).
I. 연신성
실시예?비교예에 있어서 제막했을 때에 거의 연신 편차가 생기지 않는 것을 S, 아주 조금 연신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A, 약간의 연신 편차가 약간 발생하지만 제막 공정에 있어서 시인할 수 없는 것을 B, 제막 공정에 있어서 시인할 수 있는 연신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C로 했다. 대량 생산에는 B 이상의 제막성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연신 편차는, 연신 후의 필름에 있어서 필름 두께가 극단적으로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연신 편차는 연신 공정에 있어서 필름 전면이 균일하게 연신되지 않고 불균일하게 연신되기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연신 편차의 원인으로서는 여러 가지 원인이 고려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 중으로의 비상용 수지의 분산이 불안정할 경우에 연신 편차가 일어나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연신 편차가 생기면 필름 두께가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에서 반사율 등이 다른 경우가 많아,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측정은 필름의 길이 방향의 막두께 분포를 측정하고, 이하와 같이 판정했다.
두께 편차가
±5% 이하인 경우 S
±5%보다 크고, ±7.5% 이하인 경우 A
±7.5%보다 크고, ±10% 이하인 경우 B
±10%보다 클 경우 C.
J. 제막성
실시예?비교예에 있어서 제막했을 때에 필름 깨짐이 거의 생기지 않는 것을 S, 아주 조금 발생하는 것을 A, 약간 발생하는 것을 B, 빈발하는 것을 C라고 했다. 대량 생산에는 B 이상의 제막성이 필요하고, A 이상이면 더욱 비용 저감 효과가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료)
?결정성 수지(A-1)
극한점도가 0.70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J125S(미츠이 카가쿠(주)제)를 사용했다. 이 수지의 융점(Tm)을 측정한 결과 250℃이었다.
?결정성 수지(A-2)
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을,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고, 3산화안티몬(중합 촉매)를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펠릿에 대하여 안티몬 원자환산으로 300ppm이 되도록 첨가하고,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극한점도 0.63dl/g, 카르복실 말단기 양 40당량/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릿(PET)을 얻었다. 시차열 분석계를 이용하여 결정 융해열을 측정한 결과 1cal/g 이상이며, 융점 250℃의 결정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A-2).
?결정성 수지(A-3),(A-4)
결정성 수지(A-2)를 온도 220℃, 진공도 0.5mmHg의 조건의 회전식의 진공 장치(로터리 버큠 드라이어)에 넣고, 각각 10, 20시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각각 극한점도 0.80dl/g, 카르복실 말단기 양 12당량/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릿(PET), 극한점도 1.0dl/g, 카르복실 말단기 양 10당량/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릿(PET)을 얻었다. 각각 시차열 분석계를 이용하여 결정 융해열을 측정한 결과 모두 1cal/g 이상이며, 각각 융점 250℃의 결정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A-3),(A-4).
?결정성 수지(A-5)
결정성 수지(A-2)와 같은 방법에 의해 극한점도 0.50dl/g, 카르복실 말단기 양 40당량/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릿(PET)을 얻었다. 시차열 분석계를 이용하여 결정 융해열을 측정한 결과 1cal/g 이상이며, 융점 250℃의 결정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A-5).
상기 결정성 수지 A-1~5에 대해서 융점(Tm), 융점(Tm)+20℃에서의 용융점도를 측정했다. 또한, 용융점도는 180℃의 온도에서 3시간 진공 건조한 후에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1)
유리전이온도가 140℃, MVR(260℃/2.16㎏)이 14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3」(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을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2)
유리전이온도가 160℃, MVR(260℃/2.16㎏)이 4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5」를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3)
유리전이온도가 180℃, MVR(260℃/2.16㎏)이 1.5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7」(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을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4)
유리전이온도가 180℃, MVR(260℃/2.16㎏)이 4.5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7」(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을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5)
유리전이온도가 190℃, MVR(260℃/2.16㎏)이 1.5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8」(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을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6)
유리전이온도가 190℃, MVR(260℃/2.16㎏)이 2.0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8X1 T4 Sack No.32」(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를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7)
유리전이온도가 190℃, MVR(260℃/2.16㎏)이 3.0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8X1 T2 Lot No060286」(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을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8)
유리전이온도가 190℃, MVR(260℃/2.16㎏)이 4.5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8X1 T5」(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를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9)
유리전이온도가 190℃, MVR(260℃/2.16㎏)이 7.0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8X1 T6 Sack No.190」(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을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10)
유리전이온도가 190℃, MVR(260℃/2.16㎏)이 10.0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8X1 T6 Sack No.205」(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를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11)
유리전이온도가 190℃, MVR(260℃/2.16㎏)이 20.0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8X1 T6 Sack No.220」(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을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12)
유리전이온도가 190℃, MVR(260℃/2.16㎏)이 15.0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8X1 T7」(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을 사용했다.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B1-13)
유리전이온도가 190℃, MVR(260℃/2.16㎏)이 80.0ml/10mim인 환상 올레핀 수지 「TOPAS 6018X1 T6 Sack No.245」(니폰 폴리플라스틱스(주)제)를 사용했다.
또한, 상기 비상용성 수지(비결정성) B1-1~12(「TOPAS 6013」「TOPAS 6015」「TOPAS 6017」「TOPAS 6018」)의 수지는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르보넨 성분과 에틸렌 성분으로 구성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13869394-pct00001
각 성분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어느 수지나 시차열 분석계를 이용하여 결정 융해열을 측정한 결과 1cal/g 미만이며, 비결정성 수지이었다.
?비상용성 수지(결정성)(B2-1)
멜트플로레이트(260℃/5.0㎏)가 8g/10mim의 비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PMP(폴리메틸펜텐) 「TPX DX845」(미츠이 카가쿠(주)제)를 사용했다. 시차열 분석계를 이용하여 결정 융해열을 측정한 결과 1cal/g 이상이며, 결정성 수지이었다. 또한 유리전이온도는 25℃, 융점은 235℃이었다.
?비상용성 수지(결정성)(B2-2)
멜트플로레이트(260℃/5.0㎏)가 180g/10mim인 비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PMP(폴리메틸펜텐) 「TPX DX820」(미츠이 카가쿠(주)제)을 사용했다. 시차열 분석계를 이용하여 결정 융해열을 측정한 결과 1cal/g 이상이며, 결정성 수지이었다. 또 유리전이온도는 25℃, 융점은 235℃이었다.
?비상용성 수지(결정성)(B2-3)
멜트플로레이트(260℃/5.0㎏)가 100g/10mim의 비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PMP(폴리메틸펜텐)(미츠이 카가쿠(주)제)를 사용했다. 시차열 분석계를 이용하여 결정 융해열을 측정한 결과 1cal/g 이상이며, 결정성 수지이었다. 또한 유리전이온도는 25℃, 융점은 235℃이었다.
상기 비상용성 수지 B1-1~10, B2-1~3에 대해서, 결정성 수지(A)의 융점(Tm)+20℃에서의 용융점도(η2)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C)
CHDM(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PET「PETG 6763」(이스트만 케미컬제)을 사용했다. 상기 공중합 글리콜 성분에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33mol% 공중합한 PET이다. 시차열 분석계를 이용하여 결정 융해열을 측정한 결과 1cal/g 미만이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C)이다.
?분산제(D)
PBT-PAG(폴리알킬렌글리콜) 공중합체 「하이트렐 7247」(도레이 듀퐁(주)제)을 사용했다. 상기 수지는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PAG(주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이다. 시차열 분석계를 이용하여 결정 융해열을 측정한 결과 1cal/g 이상이며, 결정성 수지이었다.
(실시예 1-1, 1-2, 1-12, 1-16, 1-18, 1-19, 1-25)
표 5에 나타낸 원료의 혼합물을 180℃의 온도에서 3시간 진공 건조한 후에 압출기에 공급하고, 280℃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 후 30㎛ 차단 필터에 의해 여과를 행한 후에 T다이 구금에 도입했다.
이어서, T다이 구금 내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압출해서 용융 단층 시트로 하고, 상기 용융 단층 시트를 표면 온도 25℃로 유지된 드럼 상에 정전인가법으로 밀착 냉각 고착화시켜서 미연신 단층 필름을 얻었다. 계속해서, 상기 미연신 단층 필름을 85℃의 온도로 가열한 롤 군에서 예열한 후, 90℃의 온도의 가열 롤을 이용하여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3.3배 연신을 행하고, 25℃의 온도의 롤 군에서 냉각해서 1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1축 연신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 내의 95℃의 온도의 예열 존에 안내하고,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105℃의 온도의 가열 존에서 길이 방향에 직각인 방향(폭 방향)으로 3.2배 연신했다. 또한 계속해서, 텐터 내의 열처리 존에서 소정의 온도(표 5 참조)로 20초간의 열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180℃의 온도에서 4% 폭 방향으로 이완 처리를 행한 후, 140℃의 온도에서 1% 폭 방향으로 이완 처리를 더 행하였다. 이어서, 균일하게 서냉한 후 권취하여 두께 188㎛의 단층의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 제막성은 모두 양호하고, 특히 제막성은 결정성 수지(A-1)를 사용했을 경우가 보다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렇게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모두 양호하며, 특히 결정성 수지(A-2)를 사용했을 경우에 보다 양호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하여 휘도 평가한 결과,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 1-4, 1-7, 1-13, 1-17, 1-20, 1-21)
표 5에 나타낸 원료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열처리 온도를 표 4에 나타낸 온도로 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 제막성은 모두 양호하고, 특히 제막성은 결정성 수지(A-1)를 사용했을 경우가 보다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실시예 1-1에는 미치지 않지만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모두 양호하며, 특히 결정성 수지(A-2)를 사용했을 경우에 보다 열치수 안정성이 양호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1에는 미치지 않지만,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8, 1-10)
표 5에 나타낸 원료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열처리 온도를 표 5에 나타낸 온도로 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은 실시예 1-1에 비해서 약간 뒤지지만, 제막성은 모두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 열치수 안정성은 실시예 1-1과 비교해서 약간 떨어지고 있었다.
(실시예 1-9, 1-11)
표 5에 나타낸 원료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열처리 온도를 표 5에 나타낸 온도로 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은 실시예 1-1에 비해서 약간 뒤지지만, 제막성은 모두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던 바, 약간 수지 입자가 편평하게 되어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실시예 1-3, 1-4, 1-7, 1-13, 1-17, 1-20, 1-21에 뒤지지만,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양호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3, 1-4, 1-7, 1-13, 1-17, 1-20, 1-21에 뒤지지만,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5, 1-6, 1-14, 1-15, 1-22)
표 5에 나타낸 원료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 제막성은 모두 양호하고, 특히 제막성은 결정성 수지(A-1)를 사용했을 경우가 보다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실시예 1-3, 1-4, 1-7, 1-13, 1-17, 1-20, 1-21에는 미치지 않지만,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모두 양호하며, 특히 결정성 수지(A-2)를 사용했을 경우에 보다 열치수 안정성이 양호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3, 1-4, 1-7, 1-13, 1-17, 1-20, 1-21에는 미치지 않지만,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3, 1-24)
표 5에 나타낸 필름 두께로 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 제막성은 모두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렇게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모두 양호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1 이상의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6)
표 5에 나타낸 원료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 제막성은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1에는 미치지 않지만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 열치수 안정성은 실시예 1-1과 비교해서 약간 뒤떨어져 있었다.
(실시예 1-27)
표 5에 나타낸 원료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 제막성은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실시예 1-3, 1-4, 1-7, 1-13, 1-17, 1-20, 1-21에는 미치지 않지만,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3, 1-4, 1-7, 1-13, 1-17, 1-20, 1-21에는 미치지 않지만,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 열치수 안정성은 실시예 1-1과 비교해서 약간 뒤떨어져 있었다.
(실시예 1-28)
표 5에 나타낸 원료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은 모두 양호했지만, 제막시에 깨짐이 빈발하여 제막성은 다른 실시예에 비해서 낮은 것이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실시예 1-3, 1-4, 1-7, 1-13, 1-17, 1-20, 1-21에는 미치지 않지만,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모두 양호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3, 1-4, 1-7, 1-13, 1-17, 1-20, 1-21에는 미치지 않지만,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1, 2-2)
표 5에 나타낸 원료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열처리 온도를 표 5에 나타낸 온도로 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은 모두 양호하고, 제막성은 실시예 1-1~실시예 1-25에 뒤지지만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지만, 약간 수지 입자가 편평하게 되어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실시예 1-3, 1-4, 1-7, 1-13, 1-17, 1-20, 1-21에 뒤지지만,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뛰어나고 있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3, 1-4, 1-7, 1-13, 1-17, 1-20, 1-21에 뒤지지만,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3, 2-4)
표 5에 나타낸 필름 두께로 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은 모두 양호하며, 제막성은 실시예 1-1~실시예 1-25에 뒤지지만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열치수 안정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2-1, 2-2 이상의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1, 3-7)
주압출기와 부압출기를 갖는 복합 제막 장치에 있어서, 표 6에 나타낸 메인층(A층)용 원료의 혼합물을 170℃의 온도에서 5시간 진공 건조한 후 주압출기측에 공급하고, 280℃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 후 30㎛ 차단 필터에 의해 여과를 행한 후에 T다이 복합 구금에 도입했다.
한편, 부압출기에는 표 6에 나타낸 서브층(B층)용 원료의 혼합물을 170℃의 온도에서 5시간 진공 건조한 후 부압출기에 공급하고, 280℃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후 30㎛ 차단 필터에 의해 여과를 행한 후에 T다이 복합 구금에 도입했다.
이어서, 상기 T다이 복합 구금 내에서 부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수지층(B)이 주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수지층(A)의 양 표층에 적층(B/A/B)되도록 합류시킨 후, 시트 형상으로 공압출해서 용융 적층 시트로 하고, 상기 용융 적층 시트를 표면 온도 25℃로 유지된 드럼 상에 정전하법으로 밀착 냉각 고화시켜서 미연신 적층 필름을 얻었다. 계속해서, 상기 미연신 적층 필름을 상법에 따라 85℃의 온도로 가열한 롤 군에서 예열한 후, 90℃의 온도의 가열 롤을 이용하여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3.3배 연신을 행하고, 25℃의 온도의 롤 군에서 냉각해서 1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1축 연신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 내의 95℃의 온도의 예열 존에 안내하고,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105℃의 온도의 가열 존에서 길이 방향에 직각인 방향(폭 방향)으로 3.2배 연신했다. 또한 계속하여, 텐터 내의 열처리 존에서 소정의 온도(표 참조)에서 20초간의 열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180℃의 온도에서 4% 폭 방향으로 이완 처리를 행한 후, 140℃의 온도에서 1% 폭 방향으로 이완 처리를 더 행하였다. 이어서, 균일하게 서냉한 후 권취하여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가 B층/A층/B층=1/20/1이 되도록 하여 총두께 188㎛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단면 구조를 확인한 결과, A층은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A층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6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6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양호함과 아울러, 단막의 필름(실시예 1-1, 1-18)과 비교하여 제막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1, 1-18과 같이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2, 3-8)
B층의 원료로서, 수평균 입경 0.5㎛의 산화티타늄을 5중량% 함유하는 PET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3-1, 3-7과 같은 방법으로,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가 B층/A층/B층=1/20/1, 총두께 188㎛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또한, A층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6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의 단면 구조를 확인한 결과, A층은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6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양호함과 아울러, 단막의 필름(실시예 1-1, 1-18)과 비교하여 은폐성, 제막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1, 1-18보다는 뒤떨어지지만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3, 3-4, 3-9, 3-10)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층의 원료로서 각각 수평균 입경 0.5㎛의 탄산 칼슘을 10중량% 함유하는 PET, 수평균 입경 0.5㎛의 황산 바륨을 10중량% 함유하는 PET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3-1, 3-7과 같은 방법으로,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가 B층/A층/B층=1/20/1, 총두께 188㎛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또한 A층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6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의 단면 구조를 확인한 결과, A층은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6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양호함과 아울러, 단막의 필름(실시예 1-1, 1-18)과 비교하여 반사 특성, 제막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1, 1-18보다도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5, 3-6, 3-11, 3-12)
표 6에 나타낸 필름 두께로 한 이외는, 실시예 3-1, 3-7과 마찬가지로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6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실시예 3-1, 3-7과 비교해서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양호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3-1, 3-7 이상의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1)
표 6에 나타낸 원료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3-1, 3-7과 같은 방법으로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가 B층/A층/B층=1/20/1, 총두께 188㎛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또한 A층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6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의 단면 구조를 확인한 결과, A층은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 백색 필름은 실시예 3-1, 3-7에는 뒤지지만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실시예 3-1보다 우수하였다. 단막의 필름(실시예 2-1)과 비교하여 제막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3-1, 3-7에는 뒤지지만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2)
B층의 원료로서 수평균 입경 0.5㎛의 산화티타늄을 5중량% 함유하는 PET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4-1과 같은 방법으로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가 B층/A층/B층=1/20/1, 총두께 188㎛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또한 A층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6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의 단면 구조를 확인한 결과, A층은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6에 나타낸다. 이 백색 필름은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열치수 안정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과 아울러, 단막의 필름(실시예 2-1)과 비교하여 은폐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4-1보다는 뒤떨어지지만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3, 4-4)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층의 원료로서 각각 수평균 입경 0.5㎛의 탄산 칼슘을 10중량% 함유하는 PET, 수평균 입경 0.5㎛의 황산 바륨을 10중량% 함유하는 PET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4-1과 같은 방법으로,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가 B층/A층/B층=1/20/1, 총두께 188㎛의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또한 A층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6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의 단면 구조를 확인한 결과, A층은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6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실시예 4-1과 비교해서 백색성?반사성?경량성 뛰어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우수하였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4-1보다도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5, 4-6)
표 6에 나타낸 필름 두께로 한 이외는, 실시예 4-1과 마찬가지로 적층 백색 필름을 얻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실시예 4-1과 비교해서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뛰어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우수하였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4-1 이상의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1)
표 8에 나타낸 결정성 수지(A), 공중합 수지(C), 분산제(D)를 혼합, 분쇄하고, 이어서 비상용성 수지(B)로서 수평균 입경 0.7㎛의 실리콘 수지 입자 XC99-A8808(몬메티브 퍼포먼스 마테리알스(주)제)을 혼합시켜서, 180℃의 온도에서 3시간 진공 건조한 후에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80℃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 압출 후 30㎛ 차단 필터에 의해 여과를 행한 후에 T다이 구금에 도입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 제막성은 모두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이들 백색 필름은 백색성?반사성?경량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열치수 안정성은 모두 양호했다. 또한,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1~1-6, 2-1~2-4)
표 5에 나타낸 원료를 이용하여, 표 5에 나타낸 열처리 온도로 한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제막을 행하고, 두께 188㎛의 단막의 필름을 얻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의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지만, 실시예와 비교해서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5에 나타내지만, 은폐성, 반사성이 떨어지고,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1과 비교해서 휘도가 대폭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5-1)
극한점도 0.63dl/g, 카르복실 말단기 양 40당량/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릿(PET) 65중량부와, 이소프탈산 17.5몰% 공중합한 PET를 20중량부, 수평균 입경 0.8㎛의 황산 바륨을 15중량%를 2축 혼련기에서 혼합해서 제작한 칩을 사용하는 것 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제막을 행했다. 두께 188㎛의 단막의 필름을 얻을 수는 있었지만, 제막 중 깨짐이 빈발해 실시예 1-1과 비교해서 제막성이 나빴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무기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무기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무기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의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7에 나타내지만, 반사성이 떨어지고,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1-1과 비교해서 휘도가 대폭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5-2)
극한점도 0.63dl/g, 카르복실 말단기 양 40당량/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릿(PET) 60중량부와, 이소프탈산 17.5몰% 공중합한 PET를 20중량부, 수평균 입경 0.8㎛의 황산 바륨을 20중량%를 2축 혼련기에서 혼합해서 제작한 칩을 사용하는 것 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제막을 행했지만 깨짐이 빈발하고, 백색 필름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3-1~3-4, 3-5~3-8, 4-1~4-4)
표 6에 나타낸 원료를 이용하여 각각 실시예 3-1~3-4와 마찬가지로 제막을 행하고, 두께 188㎛의 단막의 필름을 얻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의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지만, 각각 실시예 3-1~3-4와 비교해서 뒤떨어지는 것 알 수 있었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6에 나타내지만, 은폐성, 반사성이 떨어지고,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각각 실시예 3-1~3-4와 비교해서 휘도가 대폭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5-3~5-6)
표 7에 나타낸 원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3-1~3-4와 마찬가지로 제막을 행했다. 두께 188㎛의 단막의 필름을 얻을 수는 있었지만, 제막 중 깨짐이 빈발해 실시예 3-1~3-4와 비교해서 제막성이 나빴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무기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무기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무기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의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7에 나타내지만, 반사성이 떨어지고,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3-1~3-4와 비교해서 휘도가 대폭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6-1)
표 8에 나타낸 원료[비상용성 수지(B)로서 수평균 입경 2.0㎛의 실리콘 수지 입자 "토스펄" 120(몬메티브 퍼포먼스 마테리알스(주)제)]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6-1과 마찬가지로 백색 필름을 얻었다. 연신성, 제막성은 모두 양호했다. 이 백색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내부에 수지 입자를 핵으로 한 미세한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있었다. 필름 중의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 수지 입자수(개/㎛2),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비율, 체적 평균 입경(Dv)을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의 각종 특성을 표 8에 나타내지만, 반사성이 뒤지고, 얻어진 백색 필름을 백라이트에 장착해서 휘도 평가한 결과, 실시예 6-1과 비교해서 휘도가 대폭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
Figure 112010013869394-pct00002
[표 2]
Figure 112010013869394-pct00003
[표 3]
Figure 112010013869394-pct00004
[표 4]
Figure 112010043589734-pct00022
[표 5-1]
Figure 112010013869394-pct00006
[표 5-2]
Figure 112010013869394-pct00007
[표 5-3]
Figure 112010013869394-pct00008
[표 5-4]
Figure 112010013869394-pct00009
[표 6-1]
Figure 112010013869394-pct00010
[표 6-2]
Figure 112010013869394-pct00011
[표 6-3]
Figure 112010013869394-pct00012
[표 6-4]
Figure 112010013869394-pct00013
[표 6-5]
Figure 112010013869394-pct00014
[표 6-6]
Figure 112010013869394-pct00015
[표 7-1]
Figure 112010013869394-pct00016
[표 7-2]
Figure 112010013869394-pct00017
[표 7-3]
Figure 112010013869394-pct00018
[표 8-1]
Figure 112010013869394-pct00019
[표 8-2]
Figure 112010013869394-pct00020
[표 8-3]
Figure 112010013869394-pct00021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백색 필름은 반사 특성, 경량성 등에 뛰어나고, 특히 면광원 내의 반사판이나 리플렉터로서 사용했을 때에 액정 화면을 밝게 비추어 액정 화상을 보다 선명하고 또한 보기 쉽게 할 수 있어 유용한 것이다.

Claims (8)

  1. 내부에 수지 입자를 갖고, 상기 수지 입자의 주위에 기포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으로서:
    상기 수지 입자의 수평균 입경(Dn)이 1.5㎛ 이하이며,
    또한 상기 수지 입자를 0.05개/㎛2 이상 함유하고,
    또한 상기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Dv(㎛)]과 수평균 입경[Dn(㎛)]의 비(Dv/Dn)가 1.4 이하이고,
    또한 2㎛ 이상의 입경을 갖는 상기 수지 입자수의 비율이 15% 이하인 층(S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필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입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결정성 수지(A)를 상기 S층 중에 함유하고,
    또한 상기 수지 입자가 상기 결정성 수지(A)와는 비상용성의 수지(B)[이하, 비상용성 수지(B)라고 함]이며,
    또한 상기 결정성 수지(A)의 융점(Tm)+20℃, 전단속도 200sec-1에 있어서의 상기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s)]와 상기 비상용성 수지(B)의 용융점도[η2(㎩?s)]가 이하의 (1) 및 (2)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필름.
    (1) -0.3≤log10(η2/η1)≤0.55
    (2) 0.5≤log10(η2)/log10(η1)≤1.3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수지(A)의 용융점도(η1)와 상기 비상용성 수지(B)의 용융점도(η2)의 차(η2-η1)는 -300~1000㎩?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대 반사율은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면광원용 반사 필름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필름.
  8. 제 1 항에 기재된 백색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KR1020107004853A 2007-09-28 2008-09-25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KR101147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53721 2007-09-28
JP2007253720 2007-09-28
JP2007253721 2007-09-28
JPJP-P-2007-253720 2007-09-28
PCT/JP2008/067217 WO2009041448A1 (ja) 2007-09-28 2008-09-25 白色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705A KR20100063705A (ko) 2010-06-11
KR101147013B1 true KR101147013B1 (ko) 2012-05-17

Family

ID=4051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853A KR101147013B1 (ko) 2007-09-28 2008-09-25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09694A1 (ko)
EP (1) EP2194405B1 (ko)
KR (1) KR101147013B1 (ko)
CN (1) CN101809468B (ko)
TW (1) TWI441852B (ko)
WO (1) WO2009041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318A1 (ja) * 2009-06-12 2010-12-16 東洋紡績株式会社 空洞含有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TWI402299B (zh) * 2009-07-28 2013-07-21 Ind Tech Res Inst 多孔聚乳酸薄膜、多孔聚乳酸複合薄膜及其製造方法
WO2011050228A2 (en) 2009-10-24 2011-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radient low index article and method
EP2540768A1 (en) * 2010-02-26 2013-01-02 Toray Industries, Inc. White film and surface light source using same
JP5915524B2 (ja) * 2011-03-18 2016-05-11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637605B2 (en) * 2011-11-10 2017-05-02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cavitated polylactic acid film
EP2832775A4 (en) * 2012-03-27 2015-12-09 Kasei Co C I HEAT SHRINKABLE WHITE FOIL
WO2014021476A1 (ja) * 2012-08-03 2014-02-0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白色反射性フィルム
CN103018804B (zh) * 2012-12-28 2016-01-20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反射膜
US9720283B2 (en) * 2014-02-26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Curved display devic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liquid crystal molecules with respective first and second pretilt-ang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62770B1 (ko) * 2014-02-26 2022-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표시 장치 및 곡면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5182448A1 (ja) * 2014-05-30 2015-12-03 東レ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6701790B2 (ja) * 2015-02-27 2020-05-27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965508B2 (ja) 2016-03-29 2021-11-10 東洋紡株式会社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920183A (zh) * 2019-12-04 2020-03-27 江苏光辉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白色聚酯热收缩标签膜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817A (ja) * 2004-10-21 2006-06-08 Toyobo Co Ltd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鏡面反射フィルム
JP2007112121A (ja) * 2005-09-20 2007-05-10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部材用フィルム
JP2007168089A (ja) * 2005-12-19 2007-07-05 Toray Ind Inc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2175A (en) * 1992-06-01 1995-06-0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Void-containing composite film of polyester type
JP3296021B2 (ja) 1993-05-14 2002-06-24 東洋紡績株式会社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622860B2 (ja) 1993-10-27 2005-02-23 東洋紡績株式会社 配送伝票用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WO2002004996A1 (fr) * 2000-07-12 2002-01-17 Toray Industries, Inc. Pellicule blanche pour elements reflecteurs de lumieres de surface
JP4576687B2 (ja) * 2000-09-25 2010-11-10 東レ株式会社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181360C (zh) * 2000-12-28 2004-12-22 王子油化合成纸株式会社 光半透过反射体
JP4200715B2 (ja) * 2002-09-05 2008-12-24 東レ株式会社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7136B1 (ko) * 2003-12-26 2011-12-2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감열전사기록용 2축배향 백색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그것으로 이루어지는 감열전사기록용 수용시트
JP4835438B2 (ja) * 2004-08-11 2011-12-14 東レ株式会社 光反射体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817A (ja) * 2004-10-21 2006-06-08 Toyobo Co Ltd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鏡面反射フィルム
JP2007112121A (ja) * 2005-09-20 2007-05-10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部材用フィルム
JP2007168089A (ja) * 2005-12-19 2007-07-05 Toray Ind Inc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4405B1 (en) 2016-02-17
KR20100063705A (ko) 2010-06-11
EP2194405A1 (en) 2010-06-09
CN101809468B (zh) 2011-12-28
WO2009041448A1 (ja) 2009-04-02
CN101809468A (zh) 2010-08-18
EP2194405A4 (en) 2014-03-26
TW200927802A (en) 2009-07-01
US20100209694A1 (en) 2010-08-19
TWI441852B (zh) 201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013B1 (ko)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KR101247233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KR101238791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반사시트
KR101813543B1 (ko)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KR20090009107A (ko) 백색 폴리에스테르필름
TW200829962A (en) White polyester film for light reflecting plate
JP5682667B2 (ja) 白色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6119343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91618B2 (ja) 白色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CN111936566B (zh) 白色聚酯膜
JP2010237670A (ja) 白色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2016147980A (ja) 白色フィルム
US20130222932A1 (en) White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reflecting sheet
JP2016147981A (ja) 白色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