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343B1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343B1
KR101033343B1 KR1020097016660A KR20097016660A KR101033343B1 KR 101033343 B1 KR101033343 B1 KR 101033343B1 KR 1020097016660 A KR1020097016660 A KR 1020097016660A KR 20097016660 A KR20097016660 A KR 20097016660A KR 101033343 B1 KR101033343 B1 KR 101033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topper
stopper
rail
guide rai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956A (ko
Inventor
나오유키 마루야마
에이지 안도
히로시 기가와
다카시 유무라
미네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0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rotatable eccentrically-mount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하우징에 받침 레일 스토퍼 및 회동 레일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은, 받침 레일 스토퍼와 회동 레일 스토퍼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받침 레일 스토퍼와 회동 레일 스토퍼와의 사이의 간격은, 회동 레일 스토퍼의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작아진다. 하우징은, 회동 레일 스토퍼가 가이드 레일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구동 기구에 의해 변위된다. 가이드 레일은, 회동 레일 스토퍼가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면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회동 레일 스토퍼 받침과 레일 스토퍼와의 사이에서 파지(把持)된다.
안전장치, 엘리베이터 칸, 하우징, 받침 레일 스토퍼, 회동 레일 스토퍼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제동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전기적으로 제동 동작되는 쐐기식(wedge-type)의 비상 멈춤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쐐기를 변위시켜,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받침대와의 사이에 쐐기를 물려들어가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에 제동력을 부여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 종래 한 쌍의 전자석의 동작을 조합함으로써, 회동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엘리베이터 칸의 제동 동작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회동 부재에는 상부 제동 슈 및 하부 제동 슈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은, 회동 부재의 위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하부 제동 슈와 고정 슈와의 사이에서 파지되어, 회동 부재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상부 제동 슈와 고정 슈와의 사이에서 파지된다. 엘리베이터 칸은, 상부 제동 슈 및 하부 제동 슈의 어느 한쪽과 고정 슈와의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이 파지됨으로써 제동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W02004/083091
특허문헌 2: 유럽 특허출원공개 제1460020호 명세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윗 방향 및 아래 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제동 동작을 행하는 복수의 비상 멈춤 장치를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해야 한다. 따라서,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제동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비상 멈춤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게 된다.
또,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도, 회동 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해서 한 쌍의 전자석을 사용해야 하므로 구동 부분이 대형화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 칸의 제동 동작을 단시간에 또한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하우징, 하우징에 마련된 받침 레일 스토퍼, 받침 레일 스토퍼와의 사이에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도록 하우징에 마련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받침 레일 스토퍼와의 간격이 작아지는 회동 레일 스토퍼, 및 회동 레일 스토퍼가 가이드 레일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하우징을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변위시키는 변위 구동 기구를 구비하며, 가이드 레일은 회동 레일 스토퍼가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면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회동 레일 스토퍼와 받침 레일 스토퍼와의 사이에서 파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상 멈춤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비상 멈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회동 레일 스토퍼의 중앙 접촉면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2의 회동 레일 스토퍼의 하부 마찰면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비상 멈춤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회동 레일 스토퍼의 중앙 접촉면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회동 레일 스토퍼의 하부 마찰면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는 메인 로프(2)에 의해 매달아져 있다. 메인 로프(2)는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다. 구동 쉬브는 권상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는 구동 쉬브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되게 된다.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의 승강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4)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반(4)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센서(5), 엘리베이터 칸(1)의 출입구(도시하지 않음)의 개폐 유무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센서(6), 및 메인 로프(2)의 파단(破斷) 유무를 검출하는 메인 로프 파단 검출 센서(7)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가 전송된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센서(5)로는, 예를 들어 구동 쉬브의 회전 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코더(encoder)나 리졸버(resolver) 등이 사용된다. 도어 개폐 검출 센서(6)로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1)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 등이 사용된다. 메인 로프 파단 검출 센서(7)로는, 예를 들어 메인 로프(2)의 장력(張力)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기 등이 사용된다.
제어반(4)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센서(5), 도어 개폐 검출 센서(6) 및 메인 로프 파단 검출 센서(7)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동 지령부(8)가 마련되어 있다. 제동 지령부(8)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 제동 지령을 출력한다.
제동 지령부(8)는 연산 처리부(CPU 등), 기억부(ROM, RAM 및 하드 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제동 지령부(8)의 기능은 컴퓨터에 의한 연산 처리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칸(1)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을 파지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인 한 쌍의 비상 멈춤 장치(9)가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 멈춤 장치(9)는 제동 지령부(8)로부터의 제동 지령을 받음으로써, 엘리베이터 칸(1)을 제동하는 제동 동작을 행한다.
도 2는, 도 1의 비상 멈춤 장치(9)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비상 멈춤 장치(9)의 측 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에는 장착 프레임(10)이 장착되어 있다. 장착 프레임(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부 가이드 로드(11) 및 하부 가이드 로드(12)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로드(11) 및 하부 가이드 로드(12)는 서로 평행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장착 프레임(10)의 내측에는 하우징(13)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3)의 상하에는 슬라이드 가이드(13a~13d)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13a, 13c)에는 상부 가이드 로드(11)가 관통하고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13b, 13d)에는 하부 가이드 로드(12)가 관통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상부 가이드 로드(11) 및 하부 가이드 로드(12)를 따라서 장착 프레임(10)에 대하여 미끄럼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하우징(13)은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13)은, 하우징 본체(14)와, 하우징 본체(1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 측으로 돌출하는 장착 안내부(15)와, 하우징 본체(1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과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조정 볼트 장착부(16)를 가지고 있다.
장착 안내부(15)는, 하우징(13)의 변위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하여 이탈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장착 안내부(1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부(15a)와, 받침부(15a)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부(15b, 15c)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3)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마련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은, 공통의 하우징(13)에 마련된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동 레일 스토퍼(18)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동 레일 스토퍼(18)는 하우징(13)과 함께 변위된다. 또,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동 레일 스토퍼(18)는, 하우징(13)의 장착 프레임(10)에 대한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각각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받침 레일 스토퍼(17)는, 각 수평부(15b, 15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받침 레일 스토퍼(17)는, 각 수평부(15b, 15c)를 따라서 안내된다. 받침 레일 스토퍼(17)에는, 받침부(15a)를 관통하는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숄더 볼트(shoulder bolt)(19)가 고정되어 있다. 각 숄더 볼트(19)는 받침부(15a)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받침 레일 스토퍼(17)는 하우징(1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받침 레일 스토퍼(17)와 받침부(15a)와의 사이(즉,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반대쪽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에는, 공통의 숄더 볼트(shoulder bolt)(19)가 각각 통과된 압부(押付, pressing) 요소(22) 및 조정 요소(23)가 배치되어 있다.
압부 요소(22)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접시 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압부 요소(22)는 접시 스프링이 압축되는 것에 따른 탄성 반발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근접하는 방향(즉, 받침부(15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받침 레일 스토퍼(17)를 부세(付勢)하고 있다. 조정 요소(23)는 압부 요소(22)의 탄성 반발력의 크기를 조정한다. 이 예에서는, 조정 요소(23)는 서로 겹쳐진 복수의 스페이서를 가지고 있다. 압부 요소(22)의 탄성 반발력의 크기의 조정은 스페이서의 매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각 숄더 볼트(19)에는 와셔(20)가 통과됨과 아울러, 위치 결정 너트(21)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와셔(20) 및 위치 결정 너트(21)는 받침부(15a)에 대하여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는, 와셔(20) 및 위치 결정 너트(21)의 받침부(15a)에 대한 결합에 의해 규제된다.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하우징(13)에 대한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의 조정은, 위치 결정 너트(21)의 숄더 볼트(19)에 대한 나사 결합 양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받침 레일 스토퍼(17)가 받침부(15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는, 압부 요소(22)는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변위에 역행하여 더욱 큰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킨다.
회동 레일 스토퍼(18)는, 하우징 본체(14)에 고정된 수평축(주축)(24)에 베어링(25)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베어링(25)은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동 레일 스토퍼(18)는 주축(24)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동 레일 스토퍼(18)는,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는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위쪽으로 회동되고,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는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형상은,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회동 레일 스토퍼(18)와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의 간격은,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회동 전이 최대이며,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회동량이 커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작아진다.
회동 레일 스토퍼(18)는, 회동 레일 스토퍼 본체(26)와, 회동 레일 스토퍼 본체(26)에 마련된 상부 제동 슈(27) 및 하부 제동 슈(28)(한 쌍의 제동 슈)를 가지고 있다.
회동 레일 스토퍼 본체(26)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의 외주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접촉 가능한 레일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다. 레일 접촉면은, 중앙 접촉면(26a)과 중앙 접촉면(26a)의 상단부에 연속되는 곡면인 상부 접촉 곡면(상부 곡면부)(26b)과, 중앙 접촉면(26a)의 하단부에 연속되는 곡면인 하부 접촉 곡면(하부 곡면부)(26c)을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중앙 접촉면(26a)은,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회동 중심 Cn을 통과하는 지름 방향을 따른 직선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이다. 또, 상부 접촉 곡면(26b)은, 회동 중심 Cn으로부터 위쪽으로 오프셋한 위치 Pup를 중심으로 하는 원 통면이다. 또한, 하부 접촉 곡면(26c)은 회동 중심 Cn로부터 아래쪽으로 오프셋한 위치 Pdn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이다. 또한, 상부 접촉 곡면(26b)의 중심 Pup는, 중심 Cn을 중심으로 한 X-Y 좌표의 제2 상한(象限)의 Y축 가까이에, 하부 접촉 곡면(26c)의 중심 Pdn은 제3 상한의 Y축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 예에서는, 각 접촉 곡면(26b, 26c)의 각각의 중심 Pup 및 Pdn과 회동 중심 Cn과의 사이의 Y축 방향에 대한 치수 LY와,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레일 접촉점과 회전 중심 Cn과의 사이의 X축 방향에 대한 치수 LX와의 비 γ(=LY/LX)에 대하여, 각 접촉 곡면(26b, 26c)의 각각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의 사이의 마찰 계수 μ가 커지도록(즉, γ<μ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압압력(押壓力)에 의한 복귀 회전력(제동시에 회동되어야 할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압압력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어, 회동 레일 스토퍼(18)를 보다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치수 비 γ의 값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각 접촉 곡면(26b, 26c)의 원통면의 반경 R을 크게 하면 된다. 또, 마찰 계수 μ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을 무급유(無給油) 가이드로 가이드하여 기름 성분의 부착이 방지되는 구조로 하거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파고드는 다수의 미소(微小) 돌기를 각 접촉 곡면(26b, 26c)에 마련하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부 제동 슈(27)는 상부 접촉 곡면(26b)의 상단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부 제동 슈(27)에는 평면인 상부 마찰면(상부 평면부)(27a)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제동 슈(27)의 상부 마찰면(27a)이 마련된 부분은, 상부 접촉 곡면(26b)의 상단 보다도 소정량만큼 돌출해 있다.
상부 제동 슈(27)의 배면(背面)과 회동 레일 스토퍼 본체(26)와의 사이에는, 상부 제동 슈(27)의 레일 접촉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 가능한 스페이서(45)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제동 슈(27)의 돌출량의 조정은 스페이서 (45)의 두께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하부 제동 슈(28)는 하부 접촉 곡면(26c)의 하단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하부 제동 슈(28)에는 평면인 하부 마찰면(하부 평면부)(28a)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 제동 슈(28)의 하부 마찰면(28a)이 마련된 부분은, 하부 접촉 곡면(26c)의 하단보다도 소정량만큼 돌출해 있다.
하부 제동 슈(28)의 배면과 회동 레일 스토퍼 본체(26)와의 사이에는, 하부 제동 슈(28)의 레일 접촉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 가능한 스페이서(46)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제동 슈(28)의 돌출량의 조정은 스페이서(46)의 두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이 예에서는, 상부 제동 슈(27) 및 하부 제동 슈(28)의 레일 접촉면으로부터의 각 돌출량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는,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으로의 변위에 의해 중앙 접촉면(26a)이 접촉한다.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중앙 접촉면(26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 위쪽으로 회동된다. 하부 접촉 곡면(26c)을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시키면서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위쪽으로 회동되면,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받침 레일 스토퍼(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3)이 변위된다. 상부 제동 슈(27)의 상부 마찰면(27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은, 상부 제동 슈(27)와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에서 파지된다.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중앙 접촉면(26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상부 접촉 곡면(26b)을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시키면서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아래쪽으로 회동되면,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받침 레일 스토퍼(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3)이 변위된다. 하부 제동 슈(28)의 하부 마찰면(28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은 하부 제동 슈(28)와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에서 파지된다.
장착 프레임(10)에는, 하우징(13)을 장착 프레임(10)에 대하여 변위시키는 변위 구동 기구(29)(도 3 및 도 4)가 마련되어 있다. 변위 구동 기구(29)는,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3)을 부세하는 복수의 부세 스프링(부세체)(30)과, 부세 스프링(30)의 부세력에 역행하여 하우징(13)의 변위를 규제 가능한 유지ㆍ개방 기구(유지 수단)(31)를 가지고 있다.
부세 스프링(30)은 슬라이드 가이드(13a, 13b)와 장착 프레임(10)의 일단부(도 2에서는 좌단부)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부세 스프링(30)으로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다. 각 부세 스프링(30)에는 슬라이드 가이드(13a, 13b)가 각각 통과되어 있다.
유지ㆍ개방 기구(31)는, 조정 볼트 장착부(16)에 마련된 틈새 배분용 조정볼트(41)와, 장착 프레임(1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며 또한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41)에 결합 가능한 유지 레버(32)와, 유지 레버(32)에 맞닿는 누름 핀(33)과, 누름 핀(33)을 변위시켜 유지 레버(32)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34)을 가지고 있다.
누름 핀(33) 및 전자 마그넷(34)은 장착 프레임(10)의 반대쪽 하우징(13)측에 마련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34)은, 장착 프레임(10)에 고정된 고정 철심(제1 철심)(36)과, 고정 철심(36)에 내장된 전자 코일(37)과, 고정 철심(36)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철심(제2 철심)(38)을 가지고 있다.
누름 핀(33)은 가동 철심(38)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 또, 누름 핀(33)은 고정 철심(36)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다. 누름 핀(33)에는 복수의 조정 너트(39)가 나사로 죄어 있다. 조정 너트(39)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가동 철심(38)과 고정 철심(36)과의 사이의 틈새의 크기가 소정의 값으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 레버(32)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회동 레일 스토퍼(18)를 분리한 상태에서, 하우징(13)의 변위를 규제하는 유지 위치(도 3)와 하우징(13)의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도 6)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 다. 고정 철심(36)에는 레버 장착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유지 레버(32)의 일단부는, 회동 지지 핀(40)을 통하여 레버 장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지 레버(32)의 타단부는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 (41)에 맞닿게 된다. 유지 레버(32)는, 회동 지지 핀(40)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유지 위치와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된다.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41)는 하우징(13)의 조정 볼트 장착부(16)에 나사로 죄어 있다. 또,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41)는, 각 부세 스프링(30)의 부세에 의해 유지 레버(32)의 타단부에 수평으로 내리 눌려져 있다. 유지 레버(32)가 유지 위치에 있을 때(즉, 하우징(13)의 변위가 규제되고 있을 때)의 회동 레일 스토퍼(18) 및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각각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의 사이의 틈새 치수(도 2 및 도 3)는,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41)의 조정 볼트 장착부(16)에 대한 나사 결합 양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가동 철심(38)은 전자 마그넷(34)이 여자(勵磁)됨으로써 고정 철심(36)에 흡착되어 유지된다. 누름 핀(33)은, 고정 철심(36)에 의한 가동 철심(38)의 흡착에 의해, 고정 철심(36)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된다. 유지 레버(32)는, 고정 철심(36)에 대하여 유지된 누름 핀(33)에 맞닿게 됨으로써 유지 위치에 유지된다. 즉, 유지 레버(32)의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변위는 전자 마그넷(34)의 여자에 의해 규제된다.
전자 마그넷(34)의 유지력은, 각 부세 스프링(30)의 하우징(13)에 대한 부세력을 극복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동 레일 스토 퍼(18)는, 전자 마그넷(34)의 여자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유지된다(도 2 및 도 3).
또, 유지 레버(32)의 해제 위치로의 변위에 대한 규제는, 전자 마그넷(34)의 여자의 정지에 의해서 유지력이 소실됨으로써 해제된다. 유지 레버(32)는 전자 마그넷(34)의 유지력이 소실되면, 각 부세 스프링(30)의 부세력에 의해,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41)를 통하여 하우징(13)에 눌려지면서 회동되어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하우징(13)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한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한 하우징 위치 조정 수단은,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 (41)로 되어 있다. 또,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회동 중심 Cn과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 가능한 레일 스토퍼간 조정 수단은, 숄더 볼트(19) 및 위치 결정 너트(21)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중앙 접촉면(26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도 2의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하부 마찰면(28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통상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반(4)의 제어에 의해 전자 마그넷(34)이 여자되고 있어, 가동 철심(38)이 고정 철심(36)에 흡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이 때에는, 유지 레버(32)는 누름 핀(33)과의 맞닿음에 의해 유지 위치(도 3)에 유지되어 있어, 해제 위치로의 회동(도 3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 이 때에는,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의 유지 레버(32)에 대한 결합에 의해, 회동 레일 스토퍼(18) 및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각각이 소정의 틈새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있다.
제동 지령부(8)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검출되면, 제동 지령이 제동 지령부(8)로부터 각 비상 멈춤 장치(9)에 출력된다. 각 비상 멈춤 장치(9)의 변위 구동 기구(29)가 제동 지령을 받으면, 전자 코일(37)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전자 마그넷(34)의 유지력이 소실된다. 이에 의해, 유지 레버(32)는, 각 부세 스프링(30)의 부세력에 의해 하우징(13)에 눌려지면서 유지 위치(도 3)로부터 해제 위치(도 6)로 회동된다. 이 때, 누름 핀(33)은, 유지 레버(32)에 맞닿음되면서 변위된다. 또, 가동 철심(38)은, 고정 철심(3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누름 핀(33) 및 가동 철심(38)의 변위는, 조정 너트(39)가 고정 철심(36)에 맞닿을 때까지 행해진다.
유지 레버(32)의 해제 위치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각 부세 스프링(30)의 부세력에 의해,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는 방향(도 3의 우측향)으로 하우징(13)이 변위된다. 이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한다.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 위쪽으로 회동된다. 이 때, 회동 레일 스토퍼(18)는, 각 부세 스프링(30)의 부세력에 의해, 하부 접촉 곡면(26c)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회동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받침 레일 스토퍼(1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이 때,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41)는 하우징(13)의 변위에 의해 유지 레버(32)로부터 개리된다.
이 후,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더욱 위쪽으로 회동되어 하부 제동 슈(2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도달하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제동 슈(28)와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파지된다. 이 때, 압부 요소(22)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눌려진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변위에 의해 압축되어 있어, 받침 레일 스토퍼(1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내리 누르는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 하부 제동 슈(28)의 하부 마찰면(28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 칸(1)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이 때, 회동 레일 스토퍼(18)는 각 부세 스프링(30)의 부세력에 의해, 상부 접촉 곡면(26b)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회동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받침 레일 스토퍼(1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이 때,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41)는 하우징(13)의 변위에 의해 유지 레버(32)로부터 개리된다.
이 후,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더욱 아래쪽으로 회동되어 상부 제동 슈(2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도달하면, 상부 제동 슈(27)와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파지된다. 이 때, 압부 요소(22)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눌려진 받침 레일 스토퍼(17)에 의해 압축되어 있어, 받침 레일 스토퍼(1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내리 누르는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 상부 제동 슈(27)의 상부 마찰면(27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 칸(1)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받침 레일 스토퍼(17)와,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간격이 작아지는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하우징(13)에 마련되고, 또한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3)을 변위시키는 변위 구동 기구(29)가 장착 프레임(10)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하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공통의 변위 구동 기구(29)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을 제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을 제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상하의 각각의 방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비상 멈춤 장치(9)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변위 구동 기구(29)는,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3)을 부세하는 부세 스프링(30)과, 부세 스프링(30)의 부세력에 역행하여 하우징(13)의 변위를 규제 가능한 유지ㆍ개방 기구(31)를 가지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하우징(13)을 변위시킬 수 있다. 또, 유지ㆍ개방 기구(31)의 고장에 의해 하우징(13)에 대한 유지력이 소실된 경우라도, 부세 스프링(30)의 부세력에 의해,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3)을 변위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1)의 제동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유지ㆍ개방 기구(31)는 여자에 의해 하우징(13)의 변위를 규제하고, 여자의 정지에 의해 하우징(13)의 규제의 해제를 행하는 전자 마그넷(34)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동 동작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또,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동 레일 스토퍼(18)는 하우징(13)과 함께 변위되므로,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하우징(13)에 대한 설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하우징(13)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한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한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41)와,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회동 중심 Cn과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 가능한 레일 스토퍼간 조정 수단(숄더 볼트(19) 및 위치 결정 너트(21))이 하우징(13)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13)의 변위가 변위 구동 기구(29)에 의해서 규제되고 있을 때의 회동 레일 스토퍼(18) 및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각각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의 사이의 틈새 치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9)를 엘리베이터 칸(1)에 장착한 후에 틈새 치수의 조정을 행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장착 프레임(10)이 기우는 것 등에 의한 오동작의 방지도 도모할 수 있다.
또, 회동 레일 스토퍼(18)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회동될 때에 상부 접촉 곡면(26b) 및 하부 접촉 곡면(26c) 중 어느 한쪽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여,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을 파지할 때에 상부 마찰면(27a) 및 하부 마찰면(28a) 중 어느 한쪽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므로,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회동시에,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한 접촉을 점접촉 혹은 선접촉으로 할 수 있어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마모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동 동작의 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상부 제동 슈(27) 및 하부 제동 슈(28)의 회동 레일 스토퍼 본체(26)에 대한 위치는, 스페이서(45, 46)의 두께 조정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상부 제동 슈(27) 및 하부 제동 슈(28)의 마모 등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파지력이 저하한 경우에, 상부 제동 슈(27) 및 하부 제동 슈(28)의 위치 조정에 의해 파지력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받침 레일 스토퍼(17)와 하우징(13)과의 사이에는, 받침 레일 스토 퍼(1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내리 누르는 압부 요소(2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한 파지력을 보다 확실히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에 제동력을 보다 확실히 부여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센서(5), 도어 개폐 검출 센서(6) 및 메인 로프 파단 검출 센서(7)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가 제동 지령부(8)에 의해 검출되고, 제동 지령부(8)에 의한 이상 검출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9)의 제동 동작이 행해지므로, 엘리베이터 칸(1)의 속도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칸(1)의 출입구가 열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1)이 이동했을 경우, 및 메인 로프(2)가 파단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1)에 제동력을 단시간에 또한 보다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상부 제동 슈(27) 및 하부 제동 슈(28)의 회동 레일 스토퍼 본체(26)로부터의 각 돌출량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으나, 상부 제동 슈(27)의 돌출량을 하부 제동 슈(28)의 돌출량보다 적게 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1)과 균형추와의 밸런스가 치우쳐서 상승하는 엘리베이터 칸(1)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력은, 메인 로프(2)가 파단하여 하강하는 엘리베이터 칸(1)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력보다도 작아도 된다. 따라서, 상부 제동 슈(27)의 돌출량을 하부 제동 슈(28)의 돌출량보다 적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2)의 상승시에 필요한 제동력을 엘리베이터 칸(1)의 하강시에 필요한 제동력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 방향에 따른 제동력을 엘리베이터 칸(1)에 부여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레일 접촉면은, 평면(26a)과, 회동 중심 Cn으로부터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각각 오프셋한 위치 Pup, Pdn을 중심으로 하는 각 원통면(26b, 26c)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고,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회동됨으로써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연속적으로 멀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비상 멈춤 장치(9)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하우징(13)은 하우징 본체(51)와, 하우징 본체(51)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부 장착 안내부(52) 및 하부 장착 안내부(53)를 가지고 있다.
상부 장착 안내부(52) 및 하부 장착 안내부(53)는 하우징 본체(51)로부터 가이드 레일(3)측에 돌출해 있다. 상부 장착 안내부(52)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반대쪽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받침부를 가지고 있다. 하부 장착 안내부(53)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반대쪽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의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받침부를 가지고 있다.
받침 레일 스토퍼(17)는, 상부 장착 안내부(52)와 하부 장착 안내부(5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받침 레일 스토퍼(17)는, 상부 장착 안내부(52) 및 하부 장착 안내부(53)의 각 수평부를 따라서 하우징(13)에 대하여 안내된다.
받침 레일 스토퍼(17)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숄더 볼트(19)가 고정되어 있다. 각 숄더 볼트(19)는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배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각 숄더 볼트(19)는, 상부 장착 안내부(52)와 하부 장착 안내부(53)와의 사이에 배치된 공통의 덧댐판(규제부, backing plate)(54)을 관통하고 있다.
덧댐판(54)에는, 각 숄더 볼트(19)가 각각 관통하는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압부력 조정 볼트(조정 요소)(55)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압부력 조정 볼트(55)는, 숄더 볼트(19)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받침 레일 스토퍼(17)와 각 압부력 조정 볼트(55)와의 사이(즉,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반대쪽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에는, 숄더 볼트(19)가 통과된 압부 요소(2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압부 요소(22)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접시 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압부 요소(22)는, 접시 스프링이 압축되는 것에 의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덧댐판(5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받침 레일 스토퍼(17)를 부세하고 있다.
압부력 조정 볼트(55)는 압부 요소(22)의 탄성 반발력의 크기를 조정한다. 압부 요소(22)의 탄성 반발력의 조정은, 압부력 조정 볼트(55)의 덧댐판(54)에 대한 나사 결합 양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각 숄더 볼트(19)에는, 와셔(20)가 통과됨과 아울러, 위치 결정 너트(21)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덧댐판(5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 로의 변위는, 와셔(20) 및 위치 결정 너트(21)의 덧댐판(54)에 대한 결합에 의해 규제된다.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덧댐판(54)에 대한 위치의 조정은, 위치 결정 너트(21)의 숄더 볼트(19)에 대한 나사 결합 양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받침 레일 스토퍼(17)는, 각 숄더 볼트(19), 와셔(20), 위치 결정 너트(21), 압부 요소(22), 덧댐판(54) 및 압부력 조정 볼트(55)와 함께, 하우징(13)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압부 요소(22)는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덧댐판(5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변위에 역행하여 더욱 큰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킨다.
상부 장착 안내부(52) 및 하부 장착 안내부(53)의 각 받침부와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에는,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부세 스프링(68)이 압축되어 마련되어 있다. 즉, 받침 레일 스토퍼(17)는, 상부 장착 안내부(52) 및 하부 장착 안내부(53)의 각 받침부로부터 수평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 부세 스프링(68)에 의해 부세되어 있다.
덧댐판(54)의 각 숄더 볼트(19) 사이의 부분에는, 덧댐판(54)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틈새 조정 볼트(56)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틈새 조정 볼트(56)에는, 틈새 조정 볼트(56)의 덧댐판(54)에 대한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고정 너트(57)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51)에는 레버 통과 구멍(58)이 마련되어 있다. 레버 통과 구멍(58)에는, 틈새 조정 볼트(56)에 결합되는 유지 레버(59)가 통과되어 있다. 받침 레일 스토퍼(17)는, 틈새 조정 볼트(56)가 유지 레버(59)에 결합되면서 하우징(13) 에 대해 변위된다. 유지 레버(59)와 덧댐판(54)과의 사이의 간격은, 틈새 조정 볼트(56)의 덧댐판(54)에 대한 나사 결합 양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이에 의해, 받침 레일 스토퍼(17)와 회동 중심 Cn과의 간격이 조정된다.
하우징(13)의 반대쪽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의 부분에는, 전자 마그넷(60)이 마련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60)은, 하우징(13)에 고정된 고정 철심(제1 철심)(61)과, 고정 철심(61)에 내장된 전자 코일(62)과, 고정 철심(61)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철심(제2 철심)(63)을 가지고 있다. 고정 철심(61) 및 가동 철심(63)은 전자 코일(62)로의 통전(즉, 전자 마그넷(60)의 여자)에 의해 서로 흡착되고, 전자 코일(62)로의 통전의 정지에 의해 하우징(13)의 변위 방향에 대해 서로 개리된다.
고정 철심(61)에는 레버 장착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레버 장착 부재에는, 유지 레버(59)의 일단부가 회동 지지 핀(64)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지 레버(59)의 타단부에는, 틈새 조정 볼트(56)의 받침 레일 스토퍼(17)측의 단부가 내리 눌려져 있다.
가동 철심(63)의 중앙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누름 핀(65)이 고정되어 있다. 누름 핀(65)은 고정 철심(61)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다. 누름 핀(65)에는, 가동 철심(6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고정 철심(61)의 변위를 규제하는 조정 너트(66)가 나사로 죄어 있다. 조정 너트(66)의 누름 핀(65)에 대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가동 철심(63)과 고정 철심(61)과의 사이의 틈새의 크기가 소정의 값으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 핀(65)의 선단부에는 유지 레버(59)의 중간부가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장착 프레임(10)에는, 유지 레버(59)의 중간부에 맞닿음 가능한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하우징 위치 조정 수단)(67)가 장착되어 있다.
고정 철심(61)과 가동 철심(63)이 서로 흡착되고 있을 때에는, 유지 레버(59)의 중간부가 누름 핀(65) 및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67)의 각각에 맞닿게 된다. 이에 의해,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각각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하여 떨어진 상태에서 유지된다. 즉, 고정 철심(61)과 가동 철심(63)이 서로 흡착되고 있을 때에는, 누름 핀(65)에 의한 유지 레버(59)의 회동 저지에 의해,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며,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67)에 의한 하우징(13)의 변위의 저지에 의해,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67)에 의해 하우징(13)의 변위가 규제되는 위치는,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67)의 장착 프레임(10)에 대한 나사 결합 양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즉,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각각과 가이드 레일(3)과의 사이의 틈새 치수(도 9 및 도 10)가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67)의 장착 프레임(10)에 대한 나사 결합 양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고정 철심(61)과 가동 철심(63)이 서로 개리되면, 부세 스프링(30, 68)의 각각의 부세력에 의해, 하우징(13)이 도 10의 우측 방향으로 변위되어, 유지 레버(59)가 도10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고정 철심(61)과 가동 철 심(63)이 서로 개리되면, 받침 레일 스토퍼(17)와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하우징(13) 및 유지 레버(59)가 변위된다. 이에 의해,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각각 접촉한다.
회동 레일 스토퍼 본체(26)에는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중심(重心) 조정 구멍(69)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중심이 회동 중심 Cn과 일치하고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상부 접촉 곡면(26b)의 중심 Pup는 회동 중심 Cn을 중심으로 한 X-Y 좌표의 제1 상한의 Y축 가까이에, 하부 접촉 곡면(26c)의 중심 Pdn은 제4 상한의 Y축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회동 레일 스토퍼(18)와 주축(24)과의 사이의 베어링(25)은 구림 베어링(rolling bearing)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변위 구동 기구(29)는, 각 부세 스프링(30) 및 유지ㆍ개방 기구(유지수단)를 가지고 있다. 또, 유지ㆍ개방 기구(유지 수단)는, 유지 레버(59), 전자 마그넷(60), 누름 핀(65) 및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67)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회동 중심 Cn과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레일 스토퍼간 조정 수단은, 덧댐판(54), 틈새 조정 볼트(56), 고정 너트(57) 및 각 부세 스프링(68)을 가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도 9의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중앙 접촉면(26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14는 도 9의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하부 마찰면(28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통상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반(4)의 제어에 의해 전자 마그넷(60)이 여자되어, 고정 철심(61)과 가동 철심(63)이 서로 흡착되고 있다. 이 때에는,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도 10의 좌측 방향으로의 변위)는 유지 레버(59)에 의해 규제되고,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도10의 우측 방향에의 변위)는 틈새 배분용 조정 볼트(67)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이에 의해, 회동 레일 스토퍼(18) 및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각각은, 소정의 틈새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각 비상 멈춤 장치(9)의 변위 구동 기구(29)가 제동 지령을 받으면, 전자 코일(62)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전자 마그넷(60)의 유지력이 소실된다. 전자 마그넷(60)의 유지력이 소실되면, 부세 스프링(30, 68)의 부세력에 의해, 고정 철심(61)과 가동 철심(63)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이 고정 철심(61)과 함께 변위되고,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근접하는 방향(도 10의 우측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 이 때, 유지 레버(59)가 도 10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받침 레일 스토퍼(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후,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 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한다. 이 후, 받침 레일 스토퍼(17)는 각 부세 스프링(68)의 부세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압압되고, 회동 레일 스토퍼(18)는 각 부세 스프링(30)의 부세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압압된다. 또한, 부세 스프링(30,68)의 부세력은, 이 때의 압압력이 서로 균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는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 위쪽으로 회동된다. 이 때, 각 부세 스프링(30)의 부세력에 의해,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하부 접촉 곡면(26c)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회동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2의 좌측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후,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다시 회동되어,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우징(13)이 변위되면, 상부 장착 안내부(52) 및 하부 장착 안내부(53)의 각 받침부가 덧댐판(54)에 결합하여, 각 압부 요소(22)가 더욱 압축된다.
이 후, 하부 제동 슈(2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도달하면, 하부 제동 슈(28)와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파지된다(도 14 및 도 15). 이 때, 압부 요소(22)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눌린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변위에 의해 압축되어 있어, 받침 레일 스토퍼(1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내리 누르는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 하부 제동 슈(28)의 하부 마찰면(28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 칸(1)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는,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이 때, 각 부세 스프링(30)의 부세력에 의해,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상부 접촉 곡면(26b)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회동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후, 회동 레일 스토퍼(18)가 다시 회동되어,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우징(13)이 변위되면, 상부 장착 안내부(52) 및 하부 장착 안내부(53)의 각 받침부가 덧댐판(54)에 결합하여, 각 압부 요소(22)가 더욱 압축된다.
이 후, 상부 제동 슈(2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도달하면, 상부 제동 슈(27)와 받침 레일 스토퍼(17)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파지된다. 이 때, 압부 요소(22)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눌린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변위에 의해 압축되어 있어, 받침 레일 스토퍼(1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내리 누르는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 상부 제동 슈(27)의 상부 마찰면(27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 칸(1) 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받침 레일 스토퍼(17)가 하우징(13)이 변위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받침 레일 스토퍼(17) 및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각각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의 사이의 간격을 통상시에는 넓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1)이 기우는 것에 따른 오작동의 방지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압부 요소(22)의 탄성 반발력의 조정이 압부력 조정 볼트(55)의 덧댐판(54)에 대한 나사 결합 양의 조정에 의해 행해지므로,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한 압압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중심이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회동 중심 Cn과 일치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1)의 요동 등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회동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중심이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회동 중심 Cn과 일치하고 있으나, 회동 중심 Cn보다 Y축상의 아래쪽에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중심을 위치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칸(1)의 요동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회동 레일 스토퍼(18)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압부력 조정 볼트(55)가 덧댐판(54)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나, 받침 레일 스토퍼(17)의 배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센서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센서(5), 도어 개폐 검출 센서(6) 및 메인 로프 파단 검출 센서(7)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2)

  1.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받침 레일 스토퍼,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와의 간격이 작아지는 회동 레일 스토퍼, 및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변위시키는 변위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와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와의 사이에서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위 구동 기구는,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부세(付勢)하는 부세체와, 상기 부세체의 부세력에 역행하여 상기 하우징의 변위를 규제 가능한 유지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여자(勵磁)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변위를 규제하고, 상기 여자의 정지에 의해 상기 규제의 해제를 행하는 전자 마그넷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 및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과 함께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고,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과 함께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변위 구동 기구는, 상기 하우징이 변위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를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위 구동 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한 하우징 위치 조정 수단과,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의 회동 중심과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와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 가능한 레일 스토퍼간 조정 수단을 가지 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에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레일 접촉면과, 상기 가이드 레일 접촉면의 상단 및 하단에 인접하는 평면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면서 회동될 때에 상기 곡면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고,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와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할 때에 상기 평면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는, 회동 레일 스토퍼 본체와,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와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할 때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제동 슈를 가지고 있고,
    각 상기 제동 슈는,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 본체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의 중심(重心)은,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의 회동 중심과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와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와의 사이에서 파지될 때에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내리 누르는 압부(押付, pressing) 요소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와,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는 규제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압부 요소와 조정 요소가 서로 겹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정 요소는, 상기 받침 레일 스토퍼 및 규제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나사 결합 양의 조정에 의해 상기 압부 요소의 압부력을 조정하는 압부력 조정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의 개폐 유무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파단 유무를 검출하는 메인 로프 파단 검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여 제동 지령을 출력하 는 판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변위 구동 기구는, 상기 제동 지령을 받음으로써, 상기 회동 레일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20097016660A 2007-02-15 2007-02-15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1033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2701 WO2008099487A1 (ja) 2007-02-15 2007-02-15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56A KR20100004956A (ko) 2010-01-13
KR101033343B1 true KR101033343B1 (ko) 2011-05-09

Family

ID=3968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660A KR101033343B1 (ko) 2007-02-15 2007-02-15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12116B1 (ko)
JP (1) JP5112342B2 (ko)
KR (1) KR101033343B1 (ko)
CN (1) CN101605713B (ko)
WO (1) WO2008099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7690B2 (ja) 2007-06-21 2013-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ES2627078T3 (es) * 2010-03-18 2017-07-26 Inventio Ag Instalación de ascensor con dispositivo de freno y actuador
US9169104B2 (en) * 2010-12-17 2015-10-27 Inventio Ag Activating a safety gear
CN103648953B (zh) * 2011-09-30 2016-06-15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电动机械致动装置的制动装置
WO2013083430A1 (de) 2011-12-09 2013-06-13 Inventio Ag Betätigung einer sicherheitsbremse
CN102530677A (zh) * 2012-02-24 2012-07-04 苏州莱茵电梯制造有限公司 一种采用凸轮结构的安全钳
MY170812A (en) * 2012-03-20 2019-08-30 Inventio Ag Safety brake device in a lift installation
ES2622286T3 (es) 2012-11-27 2017-07-06 Inventio Ag Dispositivo paracaídas para un cuerpo móvil de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EP2931641B1 (de) 2012-12-13 2017-01-18 Inventio AG Fangvorrichtung für eine aufzugsanlage
WO2014090688A1 (de) * 2012-12-13 2014-06-19 Inventio Ag Fangvorrichtung für eine aufzugsanlage
CN104150312B (zh) * 2014-07-23 2016-06-01 河北东方富达机械有限公司 电梯轿厢意外移动安全保护装置
DE102015103012A1 (de) * 2015-03-03 2016-09-08 Thyssenkrupp Ag Bremsvorrichtung für einen Fahrkorb einer Aufzugsanlage
WO2016147686A1 (ja) * 2015-03-18 2016-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022235B1 (ko) * 2016-03-04 2019-11-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제동 장치
CN111170114B (zh) * 2018-11-13 2021-05-25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快速响应电梯制动装置及电梯
RU2718706C1 (ru) * 2019-11-07 2020-04-1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Щербинский Лифт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Ловитель
CN113247732A (zh) * 2021-05-19 2021-08-1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制动部件及电梯制动装置
CN115092789B (zh) * 2022-08-25 2022-11-11 河南起升智能科技有限公司 防意外移动装置、防意外移动组件和电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506A (ko) * 2005-06-17 2006-12-21 인벤티오 아게 순차적 안전기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4216A (en) * 1973-05-01 1974-06-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peed sensor
ATE226554T1 (de) * 1997-08-21 2002-11-15 Aufzugstechnologie Schlosser G Bremsfangvorrichtung
WO2004083090A1 (ja) * 2003-03-18 2004-09-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FR2852588B1 (fr) 2003-03-20 2006-04-14 Thyssenkrupp Elevator Mfg F Parachute-guide pour ascenseur, ainsi que l'ascenseur ainsi equipe
CN2717905Y (zh) * 2004-04-16 2005-08-17 武汉市黄陂新隆建筑机械有限公司 同步自锁安全钳
ES2264897B1 (es) * 2005-07-08 2007-11-01 Orona, S. Coop. Mecanismo detector de sobrevelocidad en aparatos elevadores, dispositivo de seguridad de actuacion contra sobrevelocidad y aparato elevador.
ES2284356B1 (es) 2005-10-14 2008-09-16 Thyssenkrupp Elevadores, S.A. Aparato de frenado de emergencia de doble efecto para cabinas de ascenso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506A (ko) * 2005-06-17 2006-12-21 인벤티오 아게 순차적 안전기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2116A1 (en) 2009-10-28
WO2008099487A1 (ja) 2008-08-21
EP2112116A4 (en) 2012-03-28
JPWO2008099487A1 (ja) 2010-05-27
CN101605713B (zh) 2011-12-07
CN101605713A (zh) 2009-12-16
EP2112116B1 (en) 2017-08-30
JP5112342B2 (ja) 2013-01-09
KR20100004956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34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1033378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1124931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CA2312595C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vertical displacements and vertical vibrations of the load carrying means of vertical conveyors
US8336677B2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EP1739046B1 (en) Emergency stop system of elevator
US8006806B2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JP5081119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JP5189027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72168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7520262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作動装置
WO2022249793A1 (ja) 非常止め装置、エレベーター及び非常止め装置の復帰方法
CN110171760B (zh)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KR100889129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KR100844633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CN114364627A (zh) 施工用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