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248B1 -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248B1
KR100996248B1 KR1020090033321A KR20090033321A KR100996248B1 KR 100996248 B1 KR100996248 B1 KR 100996248B1 KR 1020090033321 A KR1020090033321 A KR 1020090033321A KR 20090033321 A KR20090033321 A KR 20090033321A KR 100996248 B1 KR100996248 B1 KR 100996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closing
opening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768A (ko
Inventor
왕한석
Original Assignee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filed Critical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to KR102009003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2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3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one or more sliding rigid plate or lam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movable to overlapping or nested relations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60J7/0573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power driven arrangements, e.g.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선루프를 위한 루프글래스와 상기 루프글래스의 하부에 구비된 선쉐이드의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루프글래스와 상기 선쉐이드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루프글래스와 상기 선쉐이드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루프글래스 또는 상기 선쉐이드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선쉐이드가 개방된 경우 상기 루프글래스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루프글래스가 폐쇄된 경우 상기 선쉐이드의 폐쇄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에 따르면, 선쉐이드를 수동 개폐하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조작부를 이용하여 선쉐이드의 편리한 자동 개폐가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 및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센서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글라스와 선쉐이드의 개폐 상태에 따라 글라스와 선쉐이드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개폐 효율을 증진시키고,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바람 부하, 소음 등에 의한 기구적 파손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sunshade sunroof}
본 발명은,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선루프에 구비된 루프글래스와 선쉐이드의 개폐 제어를 수행하는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따른 선루프의 선쉐이드는 수동(완력)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선쉐이드는 사용자의 완력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개폐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이 불편하며 조작시 선쉐이드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의 선루프에 구비된 루프글래스와 선쉐이드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선루프를 위한 루프글래스와 상기 루프글래스의 하부에 구비된 선쉐이드의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루프글래스와 상기 선쉐이드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루프글래스와 상기 선쉐이드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루프글래스 또는 상기 선쉐이드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선쉐이드가 개방된 경우 상기 루프글래스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루프글래스가 폐쇄된 경우 상기 선쉐이드의 폐쇄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에 따르면, 선쉐이드를 수동 개폐하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조작부를 이용하여 선쉐이드의 편리한 자동 개폐가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 및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센서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글라스와 선쉐이드의 개폐 상태에 따라 글라스와 선쉐이드의 개폐 가 가능하도록 하여, 개폐 효율을 증진시키고,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바람 부하, 소음 등에 의한 기구적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가 적용 가능한 선루프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각 상태별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각 상태별 제어를 위한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도 2,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선루프(10)를 위한 루프글래스(11)와 이 루프글래스(11)의 하부에 구비된 선쉐이드(12)의 개폐 제어를 위한 것이다. 상기 선루프(10)의 예로서, 프론트(front) 측에는 루프글래스(11) 및 선쉐이드(12)가 상하로 구비되고, 별도로 선단에 프론트 글래스(16)가 배치 가능하다. 또한, 선루프(10)의 리어(Rear) 측에는, 리어 글래스(13)와 리어 선쉐이드(14)가 상하로 구비 가능한데, 리어 글래스(13)는 고정형으로 설치된 것이다.
프론트 측의 선쉐이드(12)와, 리어 측의 리어 선쉐이드(14)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데, 그 예로서 롤러 블라인드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각 롤러 블라인드는 수납부(15) 내로 롤링되어 수납됨으로써 각 선쉐이드(12)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선루프(10) 구조에 대해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루프글래스(11)와 선쉐이드(12)가 상하로 배치되어 개폐 가능한 선루프(10) 형태라면 모두 적용 가능 함은 자명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100)는, 제1센서(110), 제2센서(120), 조작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센서(110)는 상기 루프글래스(11)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2센서(120)는 상기 선쉐이드(12)의 위치를 각각 감지한다. 즉, 상기 제1센서(110) 및 제2센서(120)는, 상기 루프글래스(11)와 선쉐이드(12)의 개방 또는 폐쇄의 여부, 개방 또는 폐쇄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센서(110) 및 제2센서(120)는 홀센서(hall sensor)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홀센서를 이용한 위치 감지의 원리는 종래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루프글래스(11)와 상기 선쉐이드(12)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부분이다. 종래에는 선루프(10)의 선쉐이드(12)를 수동(완력)에 의해 개폐시키는 구성으로서, 개폐시 소음이 발생하고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조작부(130)를 이용한 경우,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자동으로 루프글래스(11)와 선쉐이드(12)의 편리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선쉐이드(12)의 구동 위치정보가 제2센서(120)를 통해 파악되고 있어, 선쉐이드(12)가 매커니즘(선루프 둘레)에 부딪히기 전에 개폐를 완료할 수 있으며 부딪히는 소음 또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소음 저감은 루프글래스(11) 개폐의 경우에서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130)는 차량 내부 중 어떠한 곳에 설치되어도 무관한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볼 때 조작이 편리하고 조작 동선이 짧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조작부(130)로부터 상기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루프글래스(11) 또는 상기 선쉐이드(1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센서(110)와 제2센서(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40)는, 각 센서(110,120)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선쉐이드(12)가 개방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루프글래스(11)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루프글래스(11)가 폐쇄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선쉐이드(12)의 폐쇄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루프글래스(11)의 개방의 경우, 상기 선쉐이드(12)가 개방된 경우에만 가능한데, 이는 차량의 주행중 발생되는 바람 부하, 이물질, 소음 등 의한 기구적 파손을 줄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선쉐이드(12)가 닫혀있는 경우, 루프글래스(11)를 개방시키면 선쉐이드(12) 측을 향한 바람 부하의 작용, 이물질, 기타 소음 등에 의해 기구적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선쉐이드(12)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루프글래스(11)를 개방시키는 것은 그 목적에 크게 의미가 없음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선쉐이드(12)의 폐쇄는 루프글래스(11)가 폐쇄된 경우에만 가능한데, 루프글래스(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선쉐이드(12)를 폐쇄하면 상기와 같이 바람 부하의 작용, 이물질, 기타 소음 등에 이한 기구적 파손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물론, 루프글래스(11)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선쉐이드(12)를 폐쇄시키는 것은, 루프글래스(11)를 개방시키는 목적에 크게 의미가 없음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부(130)는, 상기 루프글래스(11) 및 상기 선쉐이드(12)의 개 별 작동을 위한 스위치로서, 열림 스위치(131), 닫힘 스위치(13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각각의 개방 동작으로서, 상기 루프글래스(11) 및 상기 선쉐이드(12)가 모두 폐쇄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130)를 통해 상기 열림 스위치(131)가 1회 조작되는 경우, 상기 선쉐이드(12)를 먼저 개방시킨다.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선쉐이드(12)가 개방된 이후에 상기 열림 스위치(131)가 다시 1회 조작되는 경우, 상기 루프글래스(11)를 개방시킨다. 도 3(b)는, 상기 열림 스위치(131)의 1회 조작시 선쉐이드(12)가 개방된 구조로서, 롤러 블라인드가 수납부(15)에 수납됨으로써 가능하다. 물론, 선쉐이드(12)의 개방과 함께, 리어 선쉐이드(14) 또한 수납부(15)에 함께 수납되어 개방되도록 동작 가능하다. 도 3(d)는, 도 3(b)의 상태에서 열림 스위치(131)를 다시 1회 더 조작한 경우로서, 루프글래스(11)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140)는, 각각의 폐쇄 동작으로서, 상기 루프글래스(11) 및 상기 선쉐이드(12)가 모두 개방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130)를 통해 상기 닫힘 스위치(132)가 1회 조작되는 경우, 상기 루프글래스(11)를 먼저 폐쇄시킨다.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루프글래스(11)가 폐쇄된 이후 상기 닫힘 스위치(132)가 다시 1회 조작되는 경우, 상기 선쉐이드(12)를 폐쇄시킨다.
또한, 상기 조작부(130)는, 상기 루프글래스(11)의 틸트 업(Tilt Up) 동작을 위한 틸트 스위치(133)를 구비한다. 상기 틸트 업 동작은 도 3의 (c)를 참조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상기 선쉐이드(12)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루프글래스(11)가 폐쇄되어 있는 도 3의 (b)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130)를 통해 상기 틸트 스위치(133)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선쉐이드(12)의 개방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루프글래스(11)를 틸트 업(Tilt Up) 상태로 변경 가능하다(도 3의 (c) 상태).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선쉐이드(12) 및 루프글래스(11)가 모두 폐쇄되어 있는 도 3의 (a)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130)를 통해 상기 틸트 스위치(133)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선쉐이드(12)를 먼저 개방시킨 다음 상기 루프글래스(11)를 틸트 업시킨다(도 3의 (c) 상태). 이외에도,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선쉐이드(12) 및 루프글래스(11)가 모두 개방되어 있는 도 3의 (d)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130)를 통해 상기 틸트 스위치(133)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선쉐이드(12)의 개방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루프글래스(11)를 틸트 업 상태로 변경시킨다(도 3의 (c) 상태).
그리고, 상기 조작부(130)는, 상기 루프글래스(11) 및 상기 선쉐이드(12)의 연동 작동을 위한 스위치로서, 연동 스위치(134)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루프글래스(11) 및 상기 선쉐이드(12)가 모두 폐쇄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130)를 통해 상기 연동 스위치(134)가 1회 조작되는 경우, 상기 선쉐이드(12)를 먼저 개방시킨 이후 상기 루프글래스(11)를 자동 개방시켜 전체적으로 열림을 완료한다(도 3(d) 상태). 즉, 이는 선쉐이드(12)의 열림 이후, 자동으로 루프글래스(11)의 열림이 연동되어 작동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루프글래스(11) 및 상기 선쉐이드(12)가 모두 개방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130)를 통해 상기 연동 스위치(134)가 1회 조작되는 경 우, 상기 루프글래스(11)를 먼저 폐쇄시킨 이후 상기 선쉐이드(12)를 자동 폐쇄시켜 전체적으로 닫힘을 완료한다(도 3(a) 상태). 이는 루프글래스(11)의 닫힘 이후, 자동으로 선쉐이드(12)의 닫힘이 연동되어 작동되는 구성이다.
상기 각각의 스위치(131,132,133,134)에 대한 구동 회로의 예는 도 5를 참조한다. 시그널 A ~ 시그널 D는 스위치의 조작시 실제로 제어부(140)로 전달되는 신호에 해당된다. 개별 열림 및 닫힘 스위치(131,132)는 통상의 선루프 조작에 이용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스위치에 해당될 수 있고, 틸트 스위치(133)는 통상의 누름 방식의 스위치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및 누름 이후에는, 추후 다음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스위치가 다시 원래의 오픈 상태로 복귀 가능할 수 있다.
먼저, 시그널 A(SIG A)는 개별 열림 스위치(131)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른 신호이다. 시그널 B(SIG B)는 개별 닫힘 스위치(132)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른 신호이다. 시그널 C(SIG C)는 틸트 스위치(133)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이다. 그리고, 시그널 D는 연동 스위치(134)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른 신호이다. 개별 열림 스위치(131)가 On된 상태에서 연동 스위치(134)가 On 조작되었을 때 시그널 D가 발생되어, 선쉐이드(12)와 루프글래스(11)의 연동식 개방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별 닫힘 스위치(132)가 On된 상태에서 연동 스위치(134)가 On 조작되었을 때 시그널 D가 발생하여, 선쉐이드(12)와 루프글래스(11)의 연동식 폐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시그널 D는, 개별 열림 스위치(131)와 연동 스위치(134)에 의한 것인지, 개별 열림 스위치(132)와 연동 스위치(134)에 의한 것인지를 스위치 구동에 따른 논리 신호에 의해 알 수 있다. 상기 스위치의 조작 구성은 도 3의 스위치 조작 형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변형 예가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조작부(130)의 개별 작동용 스위치(131,132), 틸트 스위치(133) 및 연동 작동용 스위치(134)는, 스위치 형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튼, 터치 스크린 등의 조작 형태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선쉐이드(12)의 자동 닫힘시에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어 장치(100)는 물체 끼임 검출 수단(미도시)을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물체 끼임 검출 수단은 기존에 선루프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식 중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DC전원(160)을 입력받아 구동되는 슬레이브유닛(147)과 마스터유닛(141)을 구비한다. 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슬레이브유닛(147)은 상기 선쉐이드(12)에 대해 구비되고 상기 제2센서(120)와 연결되며, 제2모터(14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유닛(141)은 상기 루프글래스(11)에 대해 구비되고 상기 제1센서(110)와 연결되며, 상기 슬레이브유닛(147)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시간 통신을 통해 정보 전송을 수행하면서 개폐에 필요한 정보를 상호 확인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 또는 외부 장치의 이상 현상(불량 등) 발생시, 루프글래스(11) 또는 선쉐이드(12)의 개별 작동, 연동 작동을 각각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유닛(141)은, 판단부(142), 비교부(143), 명령부(144), 제1모터(145)를 구비한다. 상기 판단부(142)는 상기 조작부(130)로부터 수신한 조 작신호의 종류(총 4가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부(143)는 상기 판단부(142)의 판단 결과와 연동하여, 상기 제1센서(110) 및 제2센서(120)의 위치 감지로부터 얻어진 상기 루프글래스(11) 및 상기 선쉐이드(12)의 개폐 상태를 서로 비교한다. 이후, 상기 명령부(144)는, 상기 비교부(143)의 결과에 따라 상기 루프글래스(11) 또는 선쉐이드(12)의 개폐 동작을 명령한다. 이때, 상기 제1모터(145)는 상기 명령부(144)의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루프글래스(11)의 개방 또는 폐쇄를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유닛(147)의 제2모터(148)는 상기 명령부(144)의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선쉐이드(12)의 개방 또는 폐쇄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제1중앙제어부(146)는 비교부(143), 판단부(142), 제1센서(110)에 대해 정보를 송수신하여 이들을 각각 제어한다. 또한, 제2중앙제어부(149)는 비교부(143), 판단부(142), 제2센서(120)에 대해 정보를 송수신하여 이들을 각각 제어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의 경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루프글래스(11)를 위한 마스터유닛(141) 부분과 선쉐이드(12)를 위한 슬레이브유닛(147) 부분이 각각 리어 선쉐이드(14)의 후단에 위치한 예로서, 루프글래스(11) 구동용 케이블(151,152)과 선쉐이드(12) 구동용 케이블(153,154)가 각각 내장된 형태이다. 물론, 마스터유닛(141) 부분에는 제1센서(110)용 부품이 함께 장착되고, 슬레이브유닛(147) 부분에는 제2센서(120)용 부품이 함께 장착 가능하다.
상기 일 실시예를 요약하면, 조작부(130)를 통해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전송되면, 판단부(142)는 조작신호의 종류를 판단하고, 비교부(143)는 판단부(142)의 판단 결과와 제1센서(110)와 제2센서(120)의 정보를 이용하여 루프글래스(11)와 선 쉐이드(12)의 위치를 판단한다. 명령부(144)는 비교부(143)의 판단결과에 따라 구동 명령신호을 생성하여 각각 제1모터(145)와 제2모터(148)에 전송함으로써, 루프글래스(11)와 선쉐이드(12)의 개폐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이러한 개폐 동작 제어시 제1센서(110)와 제2센서(120)는 루프글래스(11)와 선쉐이드(12)의 위치를 일정 간격으로 실시간 감지하고, 상기 비교부(143)는 그 감지 결과를 전송받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는, 슬레이브유닛(147)이 선쉐이드(12)에 대해 구비되고, 마스터유닛(141)이 루프글래스(11)에 대해 구비된 경우이다. 그런데, 다른 실시예는 이와 반대로, 슬레이브유닛(B)이 루프글래스(11)에 대해 구비되고, 상기 제1센서(110)와 연결되며, 제1모터(145)를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마스터유닛(A)은 선쉐이드(12)에 대해 구비되고, 제2센서(120)와 연결되며, 슬레이브유닛(B)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시간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선쉐이드(12)에 대해 구비된 마스터유닛(A)은, 앞서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판단부(142), 비교부(143), 명령부(144)의 구성을 각각 갖는다. 물론, 마스터유닛(A)의 제2모터(148)는 명령부(144)의 명령신호에 따라 선쉐이드(12)의 개방 또는 폐쇄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루프글래스(11)에 대해 구비된 슬레이브유닛(B)의 제1모터(145)는 상기 명령부(144)의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루프글래스(11)의 개방 또는 폐쇄를 구동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 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한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가 적용 가능한 선루프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각 상태별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각 상태별 제어를 위한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각 스위치의 구동 회로의 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선루프 11: 루프글래스
12: 선쉐이드 13: 리어 글래스
14: 리어 선쉐이드 15: 수납부
16: 프론트 글래스 100: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110: 제1센서 120: 제2센서
130: 조작부 131: 열림 스위치
132: 닫힘 스위치 133: 틸트 스위치
134: 연동 스위치 140: 제어부
141: 마스터유닛 142: 판단부
143: 비교부 144: 명령부
145: 제1모터 146: 제1중앙제어부
147: 슬레이브유닛 148: 제2모터
149: 제2중앙제어부 151,152: 제어케이블
153,154: 제어케이블 160: DC전원

Claims (6)

  1. 차량의 선루프를 위한 루프글래스와 상기 루프글래스의 하부에 구비된 선쉐이드의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루프글래스와 상기 선쉐이드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제1센서와 제2센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루프글래스와 상기 선쉐이드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루프글래스 또는 상기 선쉐이드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선쉐이드가 개방된 경우 상기 루프글래스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루프글래스가 폐쇄된 경우 상기 선쉐이드의 폐쇄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쉐이드에 대해 구비되고 상기 제2센서와 연결되는 슬레이브유닛과, 상기 루프글래스에 대해 구비되며 상기 제1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슬레이브유닛과 실시간 통신하는 마스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유닛은,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한 조작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와 연동하여,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의 위치 감지로부터 얻어진 상기 루프글래스 및 상기 선쉐이드의 개폐 상태를 서로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루프글래스 또는 선쉐이드의 개폐 동작을 명령하는 명령부; 및
    상기 명령부의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루프글래스의 개방 또는 폐쇄를 구동시키는 제1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슬레이브유닛은,
    상기 명령부의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선쉐이드의 개방 또는 폐쇄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를 구비하는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2. 차량의 선루프를 위한 루프글래스와 상기 루프글래스의 하부에 구비된 선쉐이드의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루프글래스와 상기 선쉐이드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홀센서인 제1센서와 제2센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루프글래스와 상기 선쉐이드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루프글래스 또는 상기 선쉐이드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선쉐이드가 개방된 경우 상기 루프글래스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루프글래스가 폐쇄된 경우 상기 선쉐이드의 폐쇄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열림 스위치 및 닫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루프글래스 및 상기 선쉐이드가 모두 폐쇄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열림 스위치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선쉐이드를 먼저 개방시키고, 상기 선쉐이드가 개방된 이후 상기 열림 스위치가 재조작되는 경우, 상기 루프글래스를 개방시키며,
    상기 루프글래스 및 상기 선쉐이드가 모두 개방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닫힘 스위치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루프글래스를 먼저 폐쇄시키고, 상기 루프글래스가 폐쇄된 이후 상기 닫힘 스위치가 재조작되는 경우, 상기 선쉐이드를 폐쇄시키는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연동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루프글래스 및 상기 선쉐이드가 모두 폐쇄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연동 스위치가 한번 조작되는 경우, 상기 선쉐이드를 먼저 개방시킨 이후 상기 루프글래스를 자동 개방시켜 전체적으로 열림을 완료하고,
    상기 루프글래스 및 상기 선쉐이드가 모두 개방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연동 스위치가 한번 조작되는 경우, 상기 루프글래스를 먼저 폐쇄시킨 이후 상기 선쉐이드를 자동 폐쇄시켜 전체적으로 닫힘을 완료하는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틸트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쉐이드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루프글래스가 폐쇄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틸트 스위치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선쉐이드의 개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루프글래스를 틸트 업(Tilt Up) 상태로 변경시키고,
    상기 선쉐이드 및 루프글래스가 모두 폐쇄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틸트 스위치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선쉐이드를 먼저 개방시킨 다음 상기 루프글래스를 틸트 업시키는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는,
    홀센서인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KR1020090033321A 2009-04-16 2009-04-16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KR100996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21A KR100996248B1 (ko) 2009-04-16 2009-04-16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21A KR100996248B1 (ko) 2009-04-16 2009-04-16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68A KR20100114768A (ko) 2010-10-26
KR100996248B1 true KR100996248B1 (ko) 2010-11-23

Family

ID=4313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21A KR100996248B1 (ko) 2009-04-16 2009-04-16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2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547B1 (ko) * 2015-04-27 2016-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US11521431B2 (en) 2021-01-26 2022-12-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window or panel covering with service level indic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8336B2 (en) 2011-06-09 2015-0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sensitivity control and method therefor
US8975903B2 (en) 2011-06-09 2015-03-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learned sensitivity and method therefor
US10004286B2 (en) 2011-08-08 2018-06-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love having conductive ink and method of interacting with proximity sensor
US9143126B2 (en) 2011-09-22 2015-09-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lockout control for controlling movable panel
KR101283833B1 (ko) * 2011-10-24 2013-07-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112556B2 (en) 2011-11-03 2018-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wrong touch adaptive learning and method
US8994228B2 (en) 2011-11-03 2015-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wrong touch feedback
US8878438B2 (en) 2011-11-04 2014-11-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mp and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KR101302566B1 (ko) * 2011-11-21 2013-09-0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568527B2 (en) 2012-04-11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having virtual button mode
US9197206B2 (en) 2012-04-11 2015-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differential contact surface
US9219472B2 (en) 2012-04-11 2015-1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using rate monitoring
US9065447B2 (en) 2012-04-11 2015-06-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having adaptive time delay
US9184745B2 (en) 2012-04-11 2015-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sensing user input based on signal rate of change
US9531379B2 (en) 2012-04-11 2016-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groove between adjacent proximity sensors
US9944237B2 (en) 2012-04-11 2018-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with signal drift rejection and method
US9831870B2 (en) 2012-04-11 2017-1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tuning same
US9520875B2 (en) 2012-04-11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liable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US9287864B2 (en) 2012-04-11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calibration method therefor
US9559688B2 (en) 2012-04-11 2017-01-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pliable surface and depression
US9660644B2 (en) 2012-04-11 2017-05-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US8933708B2 (en) 2012-04-11 2015-01-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with exploration mode
US9136840B2 (en) 2012-05-17 2015-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dynamic tuned threshold
US8981602B2 (en) 2012-05-29 2015-03-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non-switch contact and method
US9337832B2 (en) 2012-06-06 2016-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nd method of adjusting sensitivity therefor
US9641172B2 (en) 2012-06-27 2017-05-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varying size electrode fingers
US8922340B2 (en) 2012-09-11 2014-12-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based door latch release
US8796575B2 (en) 2012-10-31 2014-08-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ground layer
US9311204B2 (en) 2013-03-13 2016-04-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interface development system having replicator and method
US10038443B2 (en) 2014-10-20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ional proximity switch assembly
US9654103B2 (en) 2015-03-18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haptic feedback and method
US9548733B2 (en) 2015-05-20 2017-0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ensor assembly having interleaved electrode configuration
KR101943847B1 (ko) * 2017-04-03 2019-01-31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선 루프 전장품의 동작 방법
KR102648824B1 (ko) * 2019-10-29 2024-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썬루프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22111673A (ja) * 2021-01-20 2022-08-01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4908A (ja) 2003-04-21 2004-11-11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4908A (ja) 2003-04-21 2004-11-11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547B1 (ko) * 2015-04-27 2016-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US9752365B2 (en) 2015-04-27 2017-09-05 Hyundai Motor Company Dual-opening panoramic sunroof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521431B2 (en) 2021-01-26 2022-12-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window or panel covering with service level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68A (ko)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248B1 (ko)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US7933703B2 (en) Control system of open/close part for a vehicle
JP2009108605A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KR101060484B1 (ko) 창문개폐장치
US10464399B2 (en) Vehicle window opening device
CN104114800A (zh) 车辆用开闭体控制装置
JP3909469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装置の制御装置
JP2007224685A (ja) 開閉制御装置及び開閉制御の設定方法
US20090009120A1 (en) Signal input method and opening/closing controller
JP4585846B2 (ja) 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JP4823677B2 (ja) 建築用電動開閉装置における制御装置
JP2011246988A (ja) 異物挟み込み検出装置
KR200403008Y1 (ko) 커튼 개폐 장치
JP4153181B2 (ja) サンルーフ制御装置及びサンルーフ制御方法
JP5402331B2 (ja) すべり出し窓の開閉装置
JP3595922B2 (ja) 建物用電動シャッターの開閉制御装置
EP3822102B1 (en) Method and motor control system for use in a vehicle roof assembly
KR200433217Y1 (ko)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제어장치
JP6771376B2 (ja) 過負荷検知システム
JP4153180B2 (ja) サンルーフ制御装置及びサンルーフ制御方法
JPH11173043A (ja) 電動式開閉体における制御装置
JP2006257757A (ja) 車両用のパワーウインド操作装置
JP4588940B2 (ja) サンルーフ制御装置及びサンルーフ制御方法
KR100534275B1 (ko) 경사로에서의 슬라이딩 도어 과부하 방지장치
JP2020094363A (ja) 安全装置、自動ドア装置及び自動ドア安全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