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707B1 -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및 전자 섬광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및 전자 섬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707B1
KR100981707B1 KR1020057008417A KR20057008417A KR100981707B1 KR 100981707 B1 KR100981707 B1 KR 100981707B1 KR 1020057008417 A KR1020057008417 A KR 1020057008417A KR 20057008417 A KR20057008417 A KR 20057008417A KR 100981707 B1 KR100981707 B1 KR 100981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air
continuous
light source
inter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4597A (ko
Inventor
사토루 이시노
마코토 이와세
다쿠미 마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바카와 세이사쿠쇼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바카와 세이사쿠쇼,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바카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7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78Flashtube moun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82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89Diffusors, filters or refraction means
    • G03B2215/0592Diffusors, filters or refraction means installed in front of light emi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직접광 및 반사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모아서 피사체에 조사시키는 전자 섬광 장치에 이용되는 반사경 및 그 반사경을 이용한 전자 섬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은 원통 곡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 1반사면(24, 25)과 한 쌍의 제 1반사면에 연속되는 동시에 내부에 크세논관(12)이 수납되는 제 2반사면(26)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반사면(24, 25)과 제 2반사면(26)이 연속하는 연속부(B1, B2)를 광원인 크세논관(12)의 중심(0)보다도 한 쌍의 제 1반사면(24, 25)의 개구부(13a) 측에 설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광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소정의 광학 성능을 유지하면서 박형화,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및 전자 섬광 장치{Reflector for electronic flashing device and electronic flashing device}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직접광과 반사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모아서 피사체에 조사시키는 전자 섬광 장치에 이용되는 반사경 및 그 반사경을 이용한 전자 섬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 반사경(1)은 중앙부에 광원(2)이 수납되는 광원 수납부(3)와, 이 광원 수납부(3)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상면부(4) 및 하면부(5)를 갖추고 있다. 광원 수납부(3)는 수납된 광원(2)의 중심(O)을 곡률 반경의 중심으로서 형성된 원통형의 원통면부를 가지고, 이 원통면부의 내면이 제 2반사면(3a)으로 되어 있다. 또, 상면부(4) 및 하면부(5)의 각 내면이 제 1반사면(4a, 5a)으로 되어 있다. 이들 제 1반사면(4a, 5a)은, 상하에 쌍을 이루는 상면부(4) 및 하면부(5)의 중심면(L)을 기준으로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반사경(1)의 광원 수납부(3)와 상하면부(4, 5)가 연속되는 연속 부분(6, 6)을 포함한 가상 평면(7)은, 광원(2)의 중심(0)보다도 거리 M 만큼 배면측(반사경(1)의 개구부(8)와 반대 측)에 변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경(1)에 의하면, 광원(2)으로부터 나온 광(N)은, 도면에 나타내는 배광각(配光角)(α)(예를 들면, 45도)을 가지고 개구부(8)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또, 전자 섬광 장치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도 있다. 이 특허 문헌 2에는, 차체(車體) 전부(前部)의 좌우에 배치된 전조등의 사이에 배치되고, 램프를 내장하는 것에 의해서 부품 개수, 조립 및 조립 공정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램프 일체형 프론트 그릴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램프 일체형 프론트 그릴은, 차체 앞부분의 좌우에 배치된 전조등의 사이에 배치되는 램프 일체형 프론트 그릴이며, 좌우로 길고 또한 좌우 양단부에 전면에 개구한 반사 오목부를 가짐과 동시에, 내면이 반사면으로 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그 전면을 덮도록 피착된 렌즈와, 몸체의 상기 오목부에 부착된 전구를 갖추고, 몸체는 반사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 상방부에 비하여 하방부의 공간이 넓게 형성되고, 렌즈에는 그 전체에 걸쳐서 렌즈 스텝이 형성되고, 더욱이, 반사 오목부의 개구 가장자리가 전구의 광원부로부터 렌즈의 단부에 직사하는 광을 차단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평 5-257194호 공보(제 2페이지, 도 5)
[특허 문헌 2]
특개평 1-265401호 공보(제 2~3페이지, 제 4도)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특히, 특허 문헌 1의 것에 있어서는, 한 쌍의 제 1반사면(4a, 5a)의 개구부(8)의 치수가 넓고, 배광각(α)이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개구부(8)로부터 방사되는 직사광을 소정의 배광각내에 들어가게 하려면 깊이가 깊어지게 되고, 전자 섬광 장치의 박형화, 소형화를 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 프로텍터를 사용해 배광각을 좁게 해도, 이것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고, 배광각의 밖에 방사되는 광이 있기 때문에, 방사 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반사경에서는, 반사광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소정의 광학 성능을 유지한 채로 개구부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 종래의 반사경에 있어서도, 개구부의 치수를 작게 한 것도 존재하지만, 그 경우에는, 프로텍터를 특수한 비구면 렌즈계로 하여 유니트화해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구조가 복잡하여 고가의 것이 되고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광원에서 후방으로 방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제 2반사면 등의 형상을 연구해, 반사광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배광각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광학 성능을 유지하면서 박형화,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및 그 반사경을 이용한 전자 섬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은, 원통 곡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 1반사면과 한 쌍의 제 1반사면에 연속됨과 동시에 내부에 광원이 수납되는 제 2반사면을 갖추고, 한 쌍의 제 1반사면과 제 2반사면이 연속하는 연속부를 수납된 광원의 중심부로부터 한 쌍의 제 1반사면의 개구부 측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출원의 전자 섬광 장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그 반사면에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갖춘 전자 섬광 장치에 있어서, 반사경은 원통 곡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 1반사면과 한 쌍의 제 1반사면에 연속됨과 동시에 중앙부에 광원이 수납되는 제 2반사면을 갖추고, 한 쌍의 제 1반사면과 제 2반사면이 연속하는 연속부를 수납된 광원의 중심부로부터 한 쌍의 제 1반사면의 개구부 측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출원의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에 의하면, 한 쌍의 제 1반사면과 제 2반사면의 연속부를 제 2반사면에 수납된 광원의 중심부로부터 한 쌍의 제 1반사면의 개구부 측에 설정하는 것으로써, 반사광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소정의 배광각에 의해서 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방사시킬 수 있어 소정의 광학 성능을 유지하면서 전자 섬광 장치의 박형화,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반사면을 이용하고 광원에서 나온 광을 1번 이상 반사시켜, 전방을 향하는 광의 광량을 증가시켜 효율적으로 방사할 수 있는 동시에,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배광각의 조정을 간단 또한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출원의 전자 섬광 장치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경에 한 쌍의 제 1반사면과 제 2반사면을 설치하고, 제 1반사면과 제 2반사면이 연속하는 연속부를 광원의 중심부로부터 개구부 측에 설정하는 것으로써, 반사광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방사시킬 수 있고, 소정의 광학 성능을 유지하면서 전자 섬광 장치 전체의 박형화,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반사면을 이용하고 광원에서 나온 광을 1번 이상 반사시켜, 전방을 향하는 광의 광량을 증가시켜 효율적으로 방사할 수 있는 동시에,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배광각의 조정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제 1실시예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내는 제 1실시예와 관련되는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광로를 설명하는 것으로, 광이 직접 전방으로 방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b는 동일하게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광로를 설명하는 것으로, 광이 평행 평면에서 1차 반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c는 동일하게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광로를 설명하는 것으로, 광이 앞측 원통면에서 1차 반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a는 동일하게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광로를 설명하는 것으로, 광이 제 1반사면에서 반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b는 동일하게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광로를 설명하는 것으로, 광이 경사평면에서 1차 반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c는 동일하게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광로를 설명하는 것으로, 광이 평행 평면에서 1차 반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제 2실시예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제 3실시예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제 4실시예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제 5실시예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의 제 1실시예를 가지는 전자 섬광 장치의 일 실시예를 분해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전자 섬광 장치의 일 실시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전자 섬광 장치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렌즈 커버를 연 전자 스틸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전자 스틸카메라의 렌즈 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반사경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및 그 반사경을 갖춘 전자 섬광 장치의 실시의 형태의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우선, 전자 섬광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섬광 장치(10)는, 프로텍터(11)와, 광원으로서의 크세논관(12)과, 반사경(리플렉터)(13)과, 홀더(14)와, 실드 고무(15)와,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판(이하 「플렉서블판」이라고 한다.)(16)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반사경(13)은, 도 8에 나타내듯이, 상하에 대향된 대략 원통 곡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상면부(20) 및 하면부(21)와, 좌우에 대향된 한 쌍의 측면부(22, 22)와, 이들 배면 측에 연속된 광원 수납부(23)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면부(20, 21)와 좌우 측면부(22, 22)는, 배면측을 좁히는 것에 의해서 개구부(13a)측이 넓혀진 대략 나팔과 같은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배면측을 닫도록 광원 수납부(2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면부(20, 21) 및 광원 수납부(23)는 중심면(L)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하면부(20, 21)의 각 내면이 상하 방향으로 대향된 쌍을 이루는 제 1반사면(24, 25)을 구성하고, 광원 수납부(23)의 내면이 제 2반사면(26)을 구성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제 1반사면(24, 25), 제 2반사면(26) 및 좌우 측면부(22, 22)의 내면인 제 3반사면은, 광을 잘 반사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경면(鏡面)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삭제
제 1반사면(24, 25)은 각각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형을 이루는 원통 곡면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제 1반사면(24, 25)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포물선, 2차 곡선, 3차 곡선, 그 외의 곡면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좌우의 측면부(22, 22)는, 적당한 크기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이어도 좋고, 또, 적당한 각도로 경사진 평면이어도 좋다.
광원 수납부(23)의 양측면에는, 제 2반사면(26)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구멍(23a)이 개구되어 있다(도 8 참조). 이 구멍(23a)으로부터 크세논관(12)을 출입시키는 것으로써, 광원 수납부(23)의 중심(0)에 설치되고 또한 그 내면이 제 2반사면을 구성하는 중앙 구멍(28)에 크세논관(12)이 착탈 자유로 장착된다. 중앙구멍(28)의 내경은 크세논관(1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거의 반동이 없는 상태로 크세논관(12)이 중앙구멍(28)에 서로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광원인 크세논관(12)은 제 2반사면(26)에 의해서 주위가 180도를 넘어서 둘러싸도록 덮인다.
또한, 제 1반사면(24, 25)과 제 2반사면(26)이 교차하도록 연속하는 연속부(Bl, B2)의 사이에, 제 2반사면(26)을 형성하는 곡률 반경(R)의 2배의 길이보다 짧은 간극을 형성하는 넥부(37, 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앙구멍(28)의 내면인 제 2반사면(26)은, 제 1반사면(24, 25)과는 다르고, 그 중심(0)을 곡률 반경(R)의 중심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지는 원통형의 원통면부의 일부에 평면부가 설치된 비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광원 수납부(23)에 크세논관(12)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위치 결정을 실시할 수 있어 크세논관(12)의 위치를 반사면의 소정 위치에 정밀도 좋게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즉, 제 2반사면(26)은, 상하 한 쌍의 앞측 원통면(30, 31) 및 뒷측 원통면(32)과, 상하 한 쌍의 평행 평면(33, 34)과, 상하 한 쌍의 경사평면(35, 3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한 쌍의 앞측 원통면(30, 31) 및 뒷측 원통면(32)은, 중앙구멍(28)의 중심(0)을 중심으로서 크세논관(12)의 직경의 1/2을 곡률 반경(R)으로 하는 원호가 축방향으로 연속된 원통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중앙구멍(28)의 중심(0)을 통하고 또한 중심면(L)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수직면(Ⅹ축과 직교하는 방향인 Y축상의 면)(38)보다 앞측이 앞측 원통면(30, 31)으로 되고, 또 중심(0)과 각 연속부(B1, B2)를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이 원통형의 곡면과 교차하는 점보다 뒷측이 뒷측 원통면(32)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평행 평면(33, 34)은, 중앙구멍(28)의 중심(0)을 통하고 또한 중심면(L)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수직면(Ⅹ축과 직교하는 방향인 Y축 상의 면)(38)과 한 쌍의 앞측 원통면(30, 31)이 각각 교차하는 수직 교차부(C1 및 C2)를 일단으로서 접선 방향으로 연재되고, 그들 수직 교차부(C1, C2)로부터 한 쌍의 경사 평면(35, 36)과 교차하는 제 2교차부(E1 및 E2)를 타단으로 하는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의 수직 교차부(C1, C2)는, 수직면(38) 상의 점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약간 앞측에 설정해도 좋고, 또, 약간 뒷측에 설정해도 좋다.
즉, 평행 평면(33, 34)이란, 엄밀한 의미로 중심면(L)과 평행인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직면(38)으로부터 개구부(13a)측에 변위한 위치에 수직 교차부(C1, C2)를 설정해도 좋고, 이 경우의 평행 평면은, 개구부(13a)측보다도 배면측이 넓어진다. 또, 이것과는 반대로, 수직면(38)으로부터 배면 측에 변위한 위치에 수직 교차부(C1, C2)를 설정해도 좋고, 이 경우의 평행 평면은, 배면측보다 개구부(13a)측이 넓어진다.
한 쌍의 경사평면(35, 36)은, 한 쌍의 제 1반사면(24, 25)과 한 쌍의 앞측 원통면(30, 31)이 교차하는 연속부(B1 및 B2)와 중앙구멍(28)의 중심(0)을 연결한 선의 연장선과 뒷측 원통면(32)이 교차하는 제 1교차부(D1 및 D2)를 일단으로서 접선 방향으로 연재되고 또한 한 쌍의 경사평면(35, 36)과 교차하는 제 2교차부(E1및 E2)를 타단으로 하는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교차부(E1, E2)도 수직 교차부(C1, C2)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나타낸 위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직 교차부 (C1, C2)의 위치에 대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적당하게 변위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반사경(13)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독일, 아노랏드 사제의 「MIRO(상표명)」를 적용할 수 있다. 이 「MIRO(상표명)」는, 알루미늄의 기재 표면에 고순도 알루미늄의 진공 증착을 실시하고, 또한 투명한 산화막을 증착해 증(增)반사처리를 행한 것이다. 그렇지만, 반사경(13)의 재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빛에 대한 전반사율(全反射率)이 높은 것이면, 각종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광원으로서의 크세논관(12)은, 고압 크세논 가스가 봉입된 원통형의 램프(12a)와, 이 램프(12a)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전극 단자(12b, 12b)를 가지고 있 다. 이 크세논관(12)을 반사경(13)의 중앙구멍(28)에 삽입하면, 양단의 전극 단자(12b, 12b) 및 램프(12a)의 양단부가 광원 수납부(23)의 양측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다.
이 크세논관(12)이 장착된 반사경(13)은, 그 배면에 배치되는 홀더(14)에 장착되어 있다. 홀더(14)는, 단면 형상이 대략 ⊃자형을 이루는 통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배면부(14a)와 그 양단에 연속된 상면부(14b) 및 하면부(14c)로 둘러싸인 오목부(39) 내에 반사경(13)의 광원 수납부(23)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 홀더(14)의 상면부(14b) 및 하면부(14c)에는, 프로텍터(11)를 결합 유지하기 위한 결합편(40)과 프로텍터(11)를 소정 깊이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 결정 돌기부(4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홀더(14)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ABS수지(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수지)가 적합하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플라스틱은 물론, 플라스틱 이외의 금속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홀더(14)와 반사경(13)이, 쉴드 고무(15)에 의해 단단히 조여져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쉴드 고무(15)는, 크세논관(12)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15a, 15a)와 양 지지부(15a, 15a)를 연결하는 연결부(15b)로 이루어지고, 탄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15a, 15a)에는, 크세논관(12)의 각 단부가 삽입되는 지지구멍(15c)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쉴드 고무(15)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가 적합하나, 다른 고무형상 탄성 부재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쉴드 고무(15)의 배면에는, 크세논관(1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플렉서블판(16)이 배치되어 있다. 플렉서블판(16)은, 크세논관(12)의 축방향 양단에 돌출된 전극 단자(12b, 12b)에 접속되는 전극 단자부(16a, 16a)와 반사경(13)에 접속되는 접지 단자부(16b)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자부(16a, 16a 및 16b)를 전극 단자(12b, 12b) 및 반사경(13)에 접속하는 것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진다.
이 반사경(13)의 앞부분에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프로텍터(11)가 착탈 자유로 장착된다. 프로텍터(11)는 반사경(13)의 광원 수납부(23)의 중도부(中途部)에서 앞측을 덮는 일면에만 개구(開口)된 본체부(11a)와, 광원 수납부(23)에 수납된 크세논관(12)의 전극 단자(12b, 12b)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11b, 11b)로 이루어지고, 정면에는 프레넬(Fresnel)렌즈부(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11a)의 상면과 하면에는, 홀더(14)의 상하의 결합편(40)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구멍(4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전자 섬광 장치(10)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먼저, 반사경(13)의 광원 수납부(23)에 광원인 크세논관(12)을 장착한다. 이것은, 광원 수납부(23)의 구멍(23a)에 크세논관(12)을 측방으로부터 삽입하고, 양단부로부터 전극 단자(12b, 12b)를 각각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서 행해진다.
다음에, 홀더(14)의 오목부(39)에 반사경(13)의 광원 수납부(23)를 끼워넣고, 홀더(14)로 반사경(13)을 지지한다. 그 다음에, 쉴드 고무(15)의 양단의 지지구멍(15c, 15c)에 전극 단자(12b, 12b)를 각각 끼워 넣어, 각 지지부(15a)로 광원 수납부(23) 및 홀더(14)의 측면을 덮도록 한다. 이때, 미리 플렉서블판(16)의 접지 단자부(16b)를 홀더(14)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두도록 한다.
다음에, 쉴드 고무(15)를 장착한 후, 플렉서블판(16)의 양단의 전극 단자부(16a, 16a)를 크세논관(12)의 전극 단자(12b, 12b)의 외측에 각각 중첩한다. 그리고, 납땜에 의해서 전극 단자(12b)와 전극 단자부(16a)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 후, 반사경(13)의 앞부분에 프로텍터(11)을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작업이 완료하여 전자 섬광 장치(10)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전자 섬광 장치(10)의 작용에 대해서, 예를 들면, 도 2a, 2b, 2c 및 도 3a, 3b,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실시예는, 최대 배광각(α)을 45도(상배광각(αu)이 22.5도이며, 하배광각(αd)도 22.5도)로 설정함과 동시에, 크세논관(12)의 중심(0)을 뒷측 원통면(32)의 초점으로 한 것이다.
도 2a는,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 가운데, 개구부(13a)에 직접 향하는 광이며, 상기 광각(αu)의 범위 내의 광(S1) 및 하배광각(αd)의 범위내의 광(S2)의 광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경우, 광(S1) 및 광(S2)은, 한 쌍의 제 1반사면(24, 25)의 개구부(13a)측 선단의 점(A1)으로부터 점(A2)까지의 범위, 즉, 최대 배광각α(α=αu+αd) 내에 있어서, 그대로 직선적으로 진행해 전방으로 방사된다.
이 때,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 가운데, 최대 배광각(α)의 각도 범위 내에 있어서 배면 측을 향하는 광(S3)은, 뒷측 원통면(32)의 상측 제 1교차부(D1)로부터 하측 제 1교차부(D2)의 사이에 조사된다. 이 상측 제 1교차부(D1)로부터 하측 제 1교차부(D2)까지의 사이는, 뒷측 원통면(32)의 초점인 중심(0)을 중심으로서 곡률 반경 R(크세논관(12)의 반경)에 의해서 얻어지는 원호이기 때문에, 뒷측 원통면(32)에 입사된 그 광(S3)은, 지나 온 광로를 그대로 돌아와 개구부(13a)측을 향하는 반사광이 된다.
도 2b는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이며, 제 2반사면(26)으로 향하는 광 가운데, 상측 수직 교차부(C1)로부터 상측 제 2교차부(E1)까지의 사이의 상평행평면(33)에 조사되는 광(아래 쪽 수직 교차부(C2)로부터 하측 제 2교차부(E2)까지의 사이의 하평행평면(34)에 조사되는 광은, 상하 대칭 형상이 되기 때문에 동일하다.)(S4)의 광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S4)은, 상평행평면(33)에 대하여 배면 측에 경사하여 입사되기 때문에, 그 반사광은, 더욱 배면 측에 경사해 뒷측 원통면(32)에 입사된다. 이 뒷측 원통면(32)에 입사된 광은, 그 입사각도에 따라 개구부(13a)측에 방향을 바꾸어 반사되고, 하배광각(αd)의 범위내에서 개구부(13a)측에 진행하고, 그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도 2c는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이며, 제 2반사면(26) 측을 향하는 광 가운데, 상측 연속부(B1)로부터 상측 수직 교차부(C1)까지의 사이의 상전측 원통면(30)에 조사되는 광(하측 연속부(B2)로부터 하측 수직 교차부(C2)까지의 사이의 상전측 원통면(31)에 조사되는 광은, 상하 대칭 형상이 되기 때문에 동일하다.)(S5)의 광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S5)은, 상(上) 앞측 원통면(30)에 있어서 수직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그 반사광은, 지나온 광로를 그대로 돌아와 반대 측을 향해, 하(下)평행평면(34)에 입사된다. 이 하평행평면(34)에 입사된 광은, 또한 배면측에 반사되어 뒷측 원통면(32)에 입사된다. 이 뒷측 원통면(32)에 입사된 광은, 그 입사각도에 따라 개구부(13a)측에 방향을 바꾸어 반사되어, 하배광각(αd)의 범위 내에서 개구부(13a) 측에 진행하고, 그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삭제
도 3a는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이며, 개구부(13a) 측을 향하는 광 가운데, 점(A1)으로부터 상측 연속부(B1)까지의 사이의 상 제1반사면(24)에 조사되는 광(점(A2)로부터 하측 연속부(B2)까지의 사이의 하 제1반사면(25)에 조사되는 광은, 상하 대칭 형상이 되기 때문에 동일하다.)(S6 및 S7)의 광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S6 및 S7)은, 상 제 1반사면(24)에 대하여 개구부(13a) 측에 경사하여 입사된다. 이때, 상 제 1반사면(24)의 초점이 점(T)이기 때문에(하 제 1반사면(25)도 동일하다.), 상 제 1반사면(24)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광(S6 및 S7)의 어느 경우에서도, 그 초점(T)으로 향하도록 진행한다. 이것에 의해, 도 2a의 직사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 제 1반사면(24)인 점(A1)으로부터 상측 연속부(B1)의 영역 내에 들어간 광은, 모두 상 배광각(αu) 내의 반사광이 되어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이때,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 가운데, 점(A1)으로부터 상측 연속부(B1)까지의 범위(점(A2)으로부터 하측 연속부(B2)까지의 범위의 경우도 동일하다.) 내에 있어서 배면 측을 향하는 광(S8)은, 뒷측 원통면(32)의 상측 제 1교차부(D1)로부터 하측 제 1교차부(D2)의 사이에 조사된다. 따라서, 뒷측 원통면(32)의 상측 제 1교차부(Dl)로부터 하측 제 1교차부(D2)까지의 사이에 입사된 광(S8)은, 지나온 광로를 그대로 돌아와, 상 제 1반사면(24)(하 제 1반사면(25)의 경우도 동일하다.)에서 반사되고,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도 3b는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이며, 제 2반사면(26) 측을 향하는 광 가운데, 상측 제 2교차부(E1)로부터 상측 제 1교차부(D1)까지의 사이 상경사평면(35)에 조사되는 광(하측 제 2교차부(E2)로부터 하측 제 1교차부(D2)까지의 사이의 하평행평면(36)에 조사되는 광은, 상하 대칭 형상이 되기 때문에 동일하다.)(S9 및 S1O)의 광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S9)은, 상경사평면(35)에 대하여 경사하여 입사되기 때문에, 그 반사광은, 그 입사각도에 따라 개구부(13a) 측에 방향을 바꾸어 반사된다. 그리고, 전방의 하 제 1반사면(25)에서 반사되어 상방을 향하여 변화하고, 배광각(α)의 범위 내에서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또,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SlO)은, 상 경사 평면(35)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사되기 때문에, 그 반사광은, 지나온 광로를 그대로 돌아와 반대 측으로 향한다. 또한, 그 반사광은, 전방의 하 제 1반사면(25)에서 반사되어 윗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그리고, 초점(T)로 향하도록 진행하고, 그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도 3c는,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이며, 제 2반사면(26) 측을 향하는 광 가운데, 상측 수직 교차부(C1)로부터 상측 제 2교차부(E1)까지의 사이의 상평행평면(33)에 조사되는 광(하측 수직 교차부(C2)로부터 하측 제 2교차부(E2)까지의 사이의 하평행평면(34)에 조사되는 광은, 상하 대칭 형상이 되기 때문에 동일하다.)(S11)과, 하측 연속부(B2)로부터 하측 수직 교차부(C2)까지의 사이의 앞측 원통면(31)에 조사되는 광(상측 연속부(B1)로부터 상측 수직 교차부(C1)까지의 사이의 상전측 원통면(30)에 조사되는 광은, 상하 대칭 형상이 되기 때문에 동일하다.)(S12)의 광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S11)은 상평행평면(33)에 대해서 경사해 입사되기 때문에, 그 반사광은 그 입사각도에 따라 배면 측으로 방향을 바꾸어 반사된다. 그 반사광은 뒷측 원통면(32)에 입사되어 그 입사각도에 따라 개구부(13a)측으로 방향을 바꾸어 반사된다. 그리고, 개구부(13a)로 진행하고, 배광각(α)의 범위 내에서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또,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S12)은 하 앞측 원통면(31)에 대해서 수직으로 입사되기 때문에, 그 반사광은 지나온 광로를 그대로 돌아와 반대측으로 향한다. 그리고, 상평행평면(33)에 입사된 후, 상술한 광(S11)과 동일의 광로를 경유하여, 상평행평면(33) 및 뒷측 원통면(32)을 통하여, 진행 방향을 전방으로 바꾸고,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광원인 크세논관(12)으로부터 직접 전방으로 방사되는 광은, 직접 또는 제 1반사면(24, 25)에서 반사되어 종래와 동일하게 전방으로 방사되기 때문에 변화는 없지만, 크세논관(12)으로부터 후방으로 방사되는 광에 대해서는, 제 2반사면(26)에 의해 크게 반사 효율이 높여지고 있다.
즉, 제 2반사면(26)의 반사광을 고려한 경우에, 상측 제 1교차부(D1)로부터 하측 제 1교차부(D2)까지의 뒷측 원통면(32)에서는, 0도로부터 ±22.5도까지의 범위에서 반사된다. 또, 상측 수직 교차부(C1)로부터 상측 제 2교차부(E1)까지의 상평행평면(33) 하측 수직 교차부(C2)로부터 하측 수직 교차부(E2)까지의 하평행평면(34)에 입사되는 광은, 뒷측 원통면(32)에서 1차 반사된 후, 그 대로 혹은 제 1반사면(24, 25)에서 2차 반사되어 전방으로 방사된다. 또, 상측 제 2교차부(E1)로부터 상측 제 1교차부(D1)까지의 상경사 평면(35) 및 하측 제 2교차부(E2)로부터 하측 제 1교차부(D2)까지의 하경사 평면(36)에 입사되는 광은, 그 평면에서 개구부(13a)측에 반사되어 그대로 직접적으로 혹은 제 1반사면(24, 25)에서 2차 반사되어 전방으로 방사된다.
또, 상측 연속부(B1)로부터 상측 수직 교차부(C1)까지의 상 앞측 원통면(30) 및 하측 연속부(B2)로부터 하측 수직 교차부(C2)까지의 하 앞측 원통면(31)에 입사 되는 광은, 상하의 평행 평면(33, 34) 또는 경사 평면(35, 36)에서 1차 반사된 후, 뒷측 원통면(32) 또는 제 1반사면(24, 25)에서 2차 반사되고, 더욱이 경우에 따라 3차 반사 혹은 그 이상의 반사를 반복하여, 전방의 개구부(13a)로부터 모두 외부에 방사된다. 이것에 의해, 반사경(13) 내부에 있어서의 반사 흡수에 의한 열변환을 극력 억제해 외부에 출력하고, 많은 광을 유효광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직사광과 반사광이 소정의 배광각 내에 있어서 모두 효율좋게 방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Figure 112005024764237-pct00001
Figure 112005024764237-pct00002
Figure 112005024764237-pct00003
Figure 112005024764237-pct00004
표 1, 표 2, 표 3 및 표 4는, 상술한 실시예의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시험에는, GNo(그레이드 넘버) 5, 66㎌, 광원으로서 직경 1.8 mm, 전체 길이 20mm, 아크 길이 11 ±0.5 mm의 크세논관을 사용하고, 프로텍터로서 아크릴 수지제의 것을 이용했다.
표 1은 표 2의 내용을 그래프에 나타낸 것이고, 표 3은 표 4의 내용을 그래프에 나타낸 것이다. 표 1및 표 3에 있어서, 선형의 폭방향에는, 전자 섬광 장치(10)의 횡방향의 각도를 취하고, 세로 방향에는 노광량(EV)을 취하고 있다. 여기서, 노광량(EV)은 0의 값을 기준치로 하고 있고, -1.0은 기준치의 1/√2이며,-2.0은 기준치의 1/2이다.
또, 표 2는 중심면(L)을 기준으로서 상하 방향의 각 각도 위치에 있어서 노광량(EV)을 측정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4는 전자 섬광장치(10)의 중앙을 기준치 0도로 하고, 좌우 방향의 각 각도 위치에 있어서 노광량(EV)을 측정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상방향 각도 10도의 위치에 있어서의 측정치는 0.152이고, 또, 예를 들면, 좌향 각도 15도의 위치에 있어서의 측정치는 -0.024이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반사경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반사경(46)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을 이루는 광원 수납부(23)를 단면 형상이 타원형(장원형)을 이루는 광원 수납부(47)로서 구성한 것이다. 광원 수납부(47)에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평행 평면(앞측 수직 교차부(C1)로부터 뒷측 수직 교차부(C2)까지의 평면)을 중심면(L)을 따라서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 평면부(48a, 48b)(앞측 상 수직 교차부(Cla) ~ 뒷측 상 수직 교차부(C1b), 앞측 하 수직교차부(C2a) ~ 뒷측 하 수직교차부(C2b))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러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제 2반사면의 단면 형상을 광축에 대하여 타원형이 되도록 구성했으므로, 광원인 크세논관(12)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 위치의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크세논관(12)의 설치 위치를 반사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시켜 배광각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카메라의 줌 동작에 연동시켜 크세논관(12)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줌 동작에 맞추어 조사각을 바꿀 수 있다. 또한, 평면부(48a, 48b)의 내면도, 다른 면과 동일하게 반사면인 것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반사경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반사경(50)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앞측 원통면(30, 31)을 없애고 평행 평면(33, 34)을 개구부(13a)측으로 연장하여, 그 평행 평면(33, 34)을 제 1반사면(24, 25)에 직접 교차시키도록 하여 평행 평면(51, 52)을 구성한 것이다. 제 1반사면(24, 25)은 광원의 중심(0)을 곡률 반경의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써 형성되는 곡면부로서 얻어진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러한 설명을 생략한다.
삭제
이 제 3실시예에 의하면, 평행 평면(33, 34)중, 상측 연속부(B1)로부터 상측 수직 교차부(C1)까지의 사이(하측 연속부(B2)로부터 하측 수직 교차부(C2)까지의 사이의 경우도 동일하다.)의 수직면(38)에서 개구부(13a)측의 부분에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S13)이 조사되면, 그 광은, 예를 들면, 하평행평면(52)에 대하여 경사하여 입사된다(상평행평면(51)의 경우도 동일하다.). 그 때문에, 그 반사광은, 그 입사각도에 따라서 상하 평행 평면(51, 52) 및 제 1반사면(24, 25)에서 1차, 2차, 혹은 그 이상 반사되어 개구부(13a)측으로 진행하고, 배광각(α)의 범위 내에서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다른 부분에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나온 광이 조사되는 경우는,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2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반사경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반사경(60)은,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2반사면(26)을 타원형으로서 구성한 것이다. 이 제 4실시예와 관련되는 제 2반사면(61)은 마찬가지로 광원 수납부(62)의 내면에 설정되어 있고, Ⅹ축 측을 긴 지름으로 하고, Y축 측을 짧은 지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 4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반사경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반사경(80)은,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광원 수납부(23)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으로써 제 2반사면의 형상을 변형한 실시예이다. 즉, 반사경(80)은 상면부(20)와 하면부(21)와 좌우의 측면부(22)와 광원 수납부(81)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면부(20)와 하면부 (21) 및 좌우의 측면부(22)는 동일하고, 이들의 뒷부분에 연속되어 일체로 형성된 광원 수납부(81)의 내면인 제 2반사면(82)에 상기 실시예의 제 2반사면(26)과 다른 특징이 있다. 그 때문에, 제 1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삭제
반사경(80)의 광원 수납부(81)에 설치된 제 2반사면(82)은, 광원의 중심(0)을 곡률 반경(R)의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써 얻어지는 제 1곡면부인 뒷측 원통면(32)과 상측 연결부(B1) 및 하측 연결부(B2)를 각각 통하고 또한 곡률 반경(Ra)의 중심(Oa)을 광원의 중심(0)보다 뒷측(상하 연결부(B1, B2)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설정하는 것으로써 얻어지는 제 2곡면부인 상하 앞측 곡면(83, 84)과 뒷측 원통면(32)의 양측으로 연속됨과 동시에 상하의 연결부(B1, B2)와 광원의 중심(0)을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과 뒷측 원통면(32)이 교차하는 상하의 제 1교차부(D1, D2)로부터 각각 접선 방향으로 연재되고 또한 중심(0)을 통과하는 수직면(38)에 교차하는 상하 앞측 곡면(83, 84)까지 전개된 한 쌍의 경사부의 하나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경사평면부(85, 86)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앞측 곡면(83, 84)의 곡률 반경(Ra)의 중심(Oa)은 상하의 제 1교차부(D1, D2)로부터 중심면(L)에 수직으로 내린 교점으로 하면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술하듯이 각 앞측 곡면(83, 84)에서 반사된 광을 뒷측 원통면(32)에 의한 1번의 반사만으로 개구부(13a)로부터 외부에 각각 방사시킬 수 있다. 곡률 반경(Ra)의 중심(Oa)의 위치는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심(Oa)으로부터 중심(0)에 가까운 위치로 설정해도 좋고, 또, 중심(0)으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에 설정해도 괜찮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곡률 반경(Ra)의 중심(Oa)의 위치는, 광원의 중심(0)으로부터 연결부(B1, B2)에 대해서 멀어지는 측으로 편이(偏移)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심(0)으로부터 연결부(B1, B2)에 대해서 가까워지는 측으로 편의(偏倚)하고, 중심(0)에서 개구부(13a)측에 곡률 반경(Ra)의 중심(Oa)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제 5실시예의 경우, 광원(크세논관(12))으로부터 방사된 광 가운데, 상측 연결부(Bl)(하측 연결부(B2)의 경우도 상하 대칭이 되어 동일하다.)로 향하는 광(S14)은, 그 상측 연결부(B1)에서 반사되어 뒷측 원통면(32)의 중앙부로 향하고, 그 중앙부 근방에 있어 반사된다. 이것에 의해, 뒷측 원통면(32)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그 입사각도에 따라서 앞측으로 진행하고, 1번의 반사에 의해 배광각(α)의 범위 내에서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또, 크세논관(12)으로부터 방사된 광 가운데, 그 중심(0)으로부터 상측 수직 교차부(C1)(하측 수직 교차부(C2)의 경우도 동일하다.)로 향하는 광(S15)은 그 상측 수직 교차부(C1)에서 반사되어 뒷측 원통면(32)으로 향하고, 그 중앙부 근방에 있어서 반사된다. 이것에 의해, 뒷측 원통면(32)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그 입사각도에 따라서 앞측으로 진행하고, 동일하게 1번의 반사에 의해서 배광각(α)의 범위 내에서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더욱이 또한, 크세논관(12)의 중심(0)으로부터 상측 제 1교차부(D1)(하측 제 1교차부(D2)의 경우도 동일하다.)로 향하는 광(S16)은 그 상측 제 1교차부(D1)에서 반사되어 하측 제 1반사면(25)측(하측 제 1교차부(D2)의 경우에는 상측 제 2반사면(24)측)을 향해, 뒷측 원통면(32)에서 반사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광원인 크세논관(12)으로부터 방사되는 광 가운데, 상하 앞측 곡면(83, 84)에서 반사되는 광은 그 상하 전측 곡면(83, 84)이 곡면이기 때문에 뒷측 원통면(32)에 의한 1번의 반사에 의해 진행 방향이 앞쪽으로 변경된다. 또, 상하의 경사평면부(85, 86)의 경우에는, 그 반사면이 평면이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직접 앞쪽으로 변경된다. 그 결과, 광의 반사 횟수가 지극히 적은 1회 또는 2회 내에, 상하 앞측 곡면(83, 84) 또는 상하 경사평면부(85, 86)에서 반사된 광이 개구부(13a)로부터 전방으로 방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광의 반사 효율을 지극히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하 앞측 곡면(83, 84)의 후단으로서 광원의 중심(0)을 통하고 또한 중심면(L)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면(38) 상의 상하 수직교차부(C1, C2)를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하 앞측 곡면(83, 84)의 후단부는 중심(0)의 근방에 있어, 그 중심(0)으로부터 개구부(13a)에 가까워지는 측으로 조금 편이한 위치에 있어도 좋고, 또, 그 역측의 개구부(13a)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조금 편의한 위치에 있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요는, 본원발명은 반사면(24, 25)과 역경사의 부분에 대해서 크세논관과 동심원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역경사를 보다 강하게 하는 것으로써, 크세논관으로부터 이 역경사면에 닿는 광을 효율적으로 개구부(13a)로 유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한 쌍의 경사부로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경사평면부(85, 86)를 적용했지만,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경사곡면부로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 10 및 도 1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 섬광 장치(10)가 탑재된 전자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촬상 장치인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디지털 카메라(70)는, 카메라 기구가 내장된 카메라 케이스(71)와, 이 카메라 케이스(71)의 촬영 렌즈(72)를 이동 가능하게 덮는 렌즈 커버(73)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케이스(71)는 가로로 길게 이루어진 속이 빈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전면의 길이 방향의 일 측에, 파인더(74)와, 전자 섬광 장치(10)와, 촬영 렌즈(72)를 가지는 렌즈계가 세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케이스(71)의 대략 중앙부에, 렌즈 커버(73)가 길이 방향(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렌즈 커버(73)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써, 파인더(74)와 전자 섬광 장치(10)의 프로텍터(11)와 촬영 렌즈(72)가 대략 동시에 개폐된다.
또, 카메라 케이스(71)의 상면에는 셔터구(7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 케이스(71)의 한편의 측면에는 전원으로서의 건전지를 출납 가능하게 하는 전지뚜껑(76)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70)에 상기 전자 섬광 장치(10)를 탑재시켜 이용하는 것으로써, 소형이어도 발광 효율이 높고, 야간 촬영에 있어서도 예쁜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섬광 장치(10) 부착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1반사면의 단면이 타원이나 포물선 등의 소정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곡면의 소정의 위치에 광원을 배치하면, 램프의 굵기 때문에 아무리 해도 개구부의 폭이 커져 버리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제 1반사면과 제 2반사면이 연속하는 연속부를 광원의 중심보다도 개구부 측에 설정하도록 했으므로, 제 2반사면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속을 그 반사면에서 반사시키는 스트로브(strobe)용 반사경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그 단면 형상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는 소정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 1반사면과 중앙부에 광원이 수납되는 제 2반사면을 갖추고, 제 1반사면과 제 2반사면의 연속 부분을 광원의 중심보다 개구부 측에 설정하는 동시에, 광원의 중심을 제 1반사면의 단면의 소정 곡선을 연결하는 가상선보다 개구부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브용 반사경으로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 1반사면의 단면이 타원이나 포물선 등의 소정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을 가지기 때문에, 곡면의 소정 위치에 광원을 배치하면, 램프의 굵기 때문에 아무리 해도 개구부의 폭이 커져 버리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램프의 수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램프의 중심을 가상선보다 개구부 측에 위치하도록 했으므로, 제 1반사면에 의해서 광속을 소정의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 본 발명은 촬영 렌즈와 플래시를 전면에 갖춘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는 봉 모양의 광원과 그 광원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속을 그 반사면에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가지고 있고, 그 반사면의 단면 형상을 촬상 장치의 전면에 광학적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소정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 1반사면과 중앙부에 광원이 수납되는 제 2반사면을 갖추어 제 1반사면과 제 2반사면과의 연속 부분의 간격을 광원의 직경보다 작게 한 반사경으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로서 적용할 수 있다.
현재, 디지탈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서는, 촬상 소자나 메모리 등의 소형화에 의해, 촬상 장치자체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래시에서는 램프의 굵기에 맞추어 반사면을 만들고 있었기 때문에, 소형화에는 한도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광원 수납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광원의 광을 외부의 소정의 방향으로 방사하는 제 1반사면과의 상하 연속부의 간격을 상기 광원의 직경보다 작게 하고, 말하자면 넥 부분을 설치했으므로, 개구부를 작게 하면서도, 넥의 부분만큼 광원의 광을 외부의 소정의 방향으로 방사하는 면을, 보다 크게 하도록 구성할 수 있었으므로, 촬상 장치도 소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은, 상술하고 또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자 섬광 장치(10)가 이용되는 전자기기로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70)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아날로그 스틸 카메라, 사진기 또는 정지화면 촬영기능부착 비디오 카메라, 그 외의 섬광 장치가 이용되는 각종의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디지털 스틸 카메라(70)의 렌즈계가 고정식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줌형, 스포트형, 접사형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형광 램프(열음극관, 냉음극관 등)를 사용하는 반사경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하의 배광각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상기 구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그 각도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종래와 같이 실험에 근거하여 각도를 도출하지 않고, 제작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금형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6)

  1.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reflector for an electronic flash device)에 있어서,
    원통 곡면(cylindrical curved surface)의 일부(portion)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하는(face) 한 쌍(pair)의 제 1 반사면(first reflective surface)과,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에 연속되고(contiguous) 내부(inside portion)에 광원이 수납되는 제 2 반사면(second reflective surface)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과 상기 제 2 반사면이 연속하는 연속부(contiguous portion)가, 수납된 상기 광원의 중심부보다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의 개구부(opening) 측에 더 가깝게 설정되고,
    상기 제 2 반사면은,
    상기 광원의 중심부를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의 중심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곡면부(curved surface portion)와,
    상기 곡면부의 각 단부(end)에 연속하고 그 접선 방향(tangential direction)으로 연장하는(extend) 한 쌍의 경사 평면부(inclined flat surface portion)와,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이 대칭이 되는 중심면(center plane)에 평행하고(parallel), 상기 경사 평면부와 교차하는(intersecting) 한 쌍의 평행 평면부(parallel flat surface portion)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원통형의 원통면부(cylindrical surface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평면부는, 상기 연속부와 상기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이 상기 원통면부와 교차하는 제 1 교차부(first intersection portion)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평행 평면부가 교차되는 제 2 교차부(second intersection portion)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과 상기 제 2 반사면이 연속하는 상기 연속부 사이의 거리(distance)가 상기 제 2 반사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곡면부의 직경(diameter)보다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면은 타원형(oval shape)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의 위치가 상기 중심면을 따라서 이동(move) 및 조정(adjust)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평행 평면부는, 상기 곡률 반경이 상기 중심부를 지나고(pass) 상기 중심면에 수직인 수직면(perpendicular plane)과 교차하는 수직 교차부(perpendicular intersection portion)로부터 상기 중심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상기 한 쌍의 경사 평면부는, 상기 연속부와 상기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이 상기 곡면부와 교차하는 제 1 교차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평행 평면부가 교차되는 제 2 교차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광원의 중심부를 곡률 반경의 중심으로 설정함으로써 생성되는 타원형의 원통면부(oval cylindrical surface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경사평면부는, 상기 연속부와 상기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이 상기 원통면부와 교차하는 제 1 교차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평행 평면부가 교차되는 제 2 교차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7.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에 있어서,
    원통 곡면의 일부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반사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에 연속되고 내부에 광원이 수납되는 제 2 반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과 상기 제 2 반사면이 연속하는 연속부가, 수납된 상기 광원의 중심부보다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의 개구부 측에 더 가깝게 설정되며,
    상기 제 2 반사면은,
    상기 광원의 중심부를 곡률 반경의 중심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곡면부와,
    상기 연속부를 지나고, 상기 광원의 중심부에서보다 상기 연속부로부터 더 가깝거나 또는 더 멀도록 곡률 반경의 중심을 배치함으로써 얻어지는 제 2 곡면부와,
    상기 제 1 곡면부의 양 측면(both sides)에 연속하며, 상기 연속부와 상기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이 상기 제 1 곡면부와 교차하는 제 1 교차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중심부를 지나며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이 대칭이 되는 중심면에 수직인 수직면과 교차하는 상기 제 2 곡면부까지 연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곡면부의 상기 곡률 반경의 중심부는 상기 연속부와 상기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이 상기 제 1 곡면부와 교차하는 제 1 교차부로부터 상기 중심면에 수직으로 내린(dropped) 교점(a point of intersection)에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교점 근방의 교점에 설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9. 전자 섬광 장치에 있어서,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그 반사면에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사경은,
    원통 곡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반사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에 연속하고 내부에 광원이 수납되는 제 2 반사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과 상기 제 2 반사면이 연속하며, 수납된 상기 광원의 중심부보다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의 개구부에 더 가깝게 설정되는 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반사면은,
    상기 광원의 중심부를 곡률 반경의 중심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각 단부에 연속하고 그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경사 평면부와,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이 대칭이 되는 중심면에 평행하고, 상기 경사 평면부와 교차하는 한 쌍의 평행 평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원통형의 원통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평면부는, 상기 연속부와 상기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이 상기 원통면부와 교차하는 제 1 교차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평행 평면부가 교차되는 제 2 교차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과 상기 제 2 반사면이 연속하는 상기 연속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2 반사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곡면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의 위치가 상기 중심면을 따라서 이동 및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평행 평면부는, 상기 곡률 반경이 상기 중심부를 지나고 상기 중심면에 수직인 수직면과 교차하는 수직 교차부로부터 상기 중심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상기 한 쌍의 경사 평면부는, 상기 연속부와 상기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이 상기 곡면부와 교차하는 제 1 교차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평행 평면부가 교차되는 제 2 교차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광원의 중심부를 곡률 반경의 중심으로 설정함으로써 생성되는 타원형의 원통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경사평면부는, 상기 연속부와 상기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이 상기 원통면부와 교차하는 제 1 교차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평행 평면부가 교차되는 제 2 교차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
  15. 전자 섬광 장치에 있어서,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그 반사면에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사경은,
    원통 곡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반사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에 연속하고 내부에 광원이 수납되는 제 2 반사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과 상기 제 2 반사면이 연속하며, 수납된 상기 광원의 중심부보다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의 개구부에 더 가깝게 설정되는 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반사면은,
    상기 광원의 중심부를 곡률 반경의 중심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곡면부와,
    상기 연속부를 지나고, 상기 광원의 중심부에서보다 상기 연속부로부터 더 가깝거나 또는 더 멀도록 곡률 반경의 중심을 배치함으로써 얻어지는 제 2 곡면부와,
    상기 제 1 곡면부의 양 측면에 연속하며, 상기 연속부와 상기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이 상기 제 1 곡면부와 교차하는 제 1 교차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중심부를 지나며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면이 대칭이 되는 중심면에 수직인 수직면과 교차하는 상기 제 2 곡면부까지 연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곡면부의 상기 곡률 반경의 중심부는 상기 연속부와 상기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이 상기 제 1 곡면부와 교차하는 상기 제 1 교차부로부터 상기 중심면에 수직으로 내린 교점에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교점 근방의 교점에 설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섬광 장치.
KR1020057008417A 2002-11-13 2003-11-12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및 전자 섬광 장치 KR100981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29852 2002-11-13
JPJP-P-2002-00329852 2002-11-13
JPJP-P-2003-00151190 2003-05-28
JP2003151190A JP4067451B2 (ja) 2002-11-13 2003-05-28 電子閃光装置用反射鏡及び電子閃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597A KR20050074597A (ko) 2005-07-18
KR100981707B1 true KR100981707B1 (ko) 2010-09-13

Family

ID=3232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417A KR100981707B1 (ko) 2002-11-13 2003-11-12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및 전자 섬광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34845B2 (ko)
EP (1) EP1564586B1 (ko)
JP (1) JP4067451B2 (ko)
KR (1) KR100981707B1 (ko)
CN (1) CN1735836B (ko)
TW (1) TWI239427B (ko)
WO (1) WO2004046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7731B2 (ja) * 2004-02-23 2007-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密閉型光源装置とこれ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
US20060023457A1 (en) * 2004-07-08 2006-02-02 Leadford Kevin F Luminaire utilizing reflecting and refracting optics
JP4423330B2 (ja) * 2005-08-08 2010-03-03 株式会社芝川製作所 電子閃光装置用反射鏡
KR20070116435A (ko) 2006-06-05 2007-12-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 섬광장치
WO2008059404A1 (en) * 2006-11-13 2008-05-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uminaire for inspecting the surface quality of an object
CN101499400B (zh) * 2008-01-31 2010-06-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闪光灯
JP2011517031A (ja) * 2008-04-04 2011-05-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ヘッドライトための投射モジュール
CA2730328C (en) 2008-09-03 2015-03-31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Immunogenic escherichia coli heat stable enterotoxin
JP2010097074A (ja) * 2008-10-17 2010-04-30 Stanley Electric Co Ltd ストロボ装置
TWI396926B (zh) * 2008-10-31 2013-05-21 Hon Hai Prec Ind Co Ltd 閃光燈模組
JP2011102897A (ja) * 2009-11-11 2011-05-26 Panasonic Corp ストロボ装置及び撮像装置
WO2011071734A1 (en) * 2009-12-08 2011-06-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biological growth plate scan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815A (ja) * 1995-12-18 1997-06-24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66406A (fr) * 1960-08-20 1962-12-31 Infranor Sa Projecteur donnant un éclairement pratiquement uniforme sur une surface rectangulaire
JPH0685281B2 (ja) 1988-04-18 1994-10-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ランプ一体型フロントグリル
JPH03231724A (ja) * 1990-02-07 1991-10-15 Canon Inc ストロボ反射笠
JPH05232553A (ja) 1992-02-20 1993-09-10 Fuji Photo Film Co Ltd ストロボ発光装置
JP3231379B2 (ja) 1992-03-12 2001-11-1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ボ用反射鏡
JP3273517B2 (ja) 1992-10-05 2002-04-0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閃光発光装置
JP3401333B2 (ja) 1993-08-19 2003-04-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ストロボ装置
JPH07319013A (ja) * 1994-05-24 1995-12-08 Olympus Optical Co Ltd 閃光装置の光学パネル
JPH09197497A (ja) * 1996-01-19 1997-07-31 Olympus Optical Co Ltd 照明装置
DE19722397C2 (de) * 1996-05-30 2001-04-19 West Electric Co Strobe-Lichtgerät mit variablem Emissionswinkel und Steuerverfahren für dieses
JP3019920B2 (ja) 1996-08-23 2000-03-15 ウエスト電気株式会社 照射角可変ストロボ装置
US5884104A (en) * 1997-11-26 1999-03-16 Eastman Kodak Company Compact camera flash unit
JP2000180923A (ja) 1998-12-15 2000-06-30 Olympus Optical Co Ltd 反射装置
JP2001133857A (ja) 1999-11-05 2001-05-18 Minolta Co Ltd フラッシュ装置
US6632004B2 (en) * 2000-12-27 2003-10-14 Canon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815A (ja) * 1995-12-18 1997-06-24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4586A1 (en) 2005-08-17
JP2004212926A (ja) 2004-07-29
CN1735836A (zh) 2006-02-15
US7234845B2 (en) 2007-06-26
EP1564586A4 (en) 2009-07-01
KR20050074597A (ko) 2005-07-18
US20060028824A1 (en) 2006-02-09
EP1564586B1 (en) 2011-07-20
CN1735836B (zh) 2011-06-08
WO2004046808A1 (ja) 2004-06-03
TWI239427B (en) 2005-09-11
JP4067451B2 (ja) 2008-03-26
TW200422757A (en) 200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707B1 (ko) 전자 섬광 장치용 반사경 및 전자 섬광 장치
JP3891535B2 (ja) 照射角可変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US6850375B2 (en) Light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6981775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camera
US6381415B1 (en) Flash apparatus and camera using the same
US5852751A (en) Strobe light and image recorder containing that strobe light
JPH02291538A (ja) 照射角可変電子閃光装置
JP2005352356A (ja) 照明装置及び撮影装置
JP3315174B2 (ja) カメラ
JP2899305B2 (ja) イメージスキャナ
JP4423330B2 (ja) 電子閃光装置用反射鏡
JP3392903B2 (ja) ストロボ装置
JPH0455487B2 (ko)
JP3352149B2 (ja) 閃光発光装置
JP2001133857A (ja) フラッシュ装置
JPH0222679A (ja) 照明装置
JP2002174843A (ja) 閃光装置及びカメラ
JP3231379B2 (ja) ストロボ用反射鏡
JPH04147118A (ja) 閃光発光装置
JP2871227B2 (ja) 照射角可変の閃光照明装置
JP2000250105A (ja) 閃光発光装置及び該閃光発光装置を有するカメラ
JPH05158118A (ja) ストロボ閃光器
JP2004029623A (ja) ストロボ装置
JPH02124547A (ja) 照射角可変ストロボ
JP2002318409A (ja) 照射角可変の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