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995B1 -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테스트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테스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995B1
KR100937995B1 KR1020070137427A KR20070137427A KR100937995B1 KR 100937995 B1 KR100937995 B1 KR 100937995B1 KR 1020070137427 A KR1020070137427 A KR 1020070137427A KR 20070137427 A KR20070137427 A KR 20070137427A KR 100937995 B1 KR100937995 B1 KR 100937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change
output lines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683A (ko
Inventor
장지은
윤석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13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995B1/ko
Priority to US12/181,700 priority patent/US8296610B2/en
Publication of KR2009006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48Arrangements in static store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by means external to the store, e.g. using direct memory access [DMA] or using auxiliary access pa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1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I/O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4Implementation of control logic, e.g. test mode decoders

Landscapes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테스트시 다양한 데이터 패턴을 구현 가능하게 해 스크린 어빌리티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칩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들을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부; 정렬된 각각의 상기 데이터들과 각각 대응되는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 및 테스트시 하나 이상의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들과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간의 대응관계를 바꿔주는 변경부를 포함한다.
메모리장치, 테스트, 스크린 어빌리티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테스트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Tes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스트시 입력되는 데이터의 순서를 변경 가능하게 해 스크린 어빌리티(screen ability)를 높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정렬해 데이터 입/출력 라인까지 전달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데이터 입력버퍼(110), 데이터 정렬부(120), 대응결정부(130), 드라이버(140)를 포함해 데이터 핀(DQ)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DQ_i)을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으로 전달한다.
데이터 입력버퍼(110)는, 데이터 핀(DQ)을 통해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버퍼링해 칩 내부로 전달(DQ_i)한다.
데이터 정렬부(120)는, 라이징 및 폴링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R, DQSF: Data Strobe)를 이용해 직렬(serial)로 입력된 데이터들(DQ_i)을 병렬(parallel)로 정렬한다. 데이터들(D0~D7)은 버스트 길이(BL: Burst Length)에 따라 직렬(serial)로 입력되는데 도면의 경우 기본적으로 버스트 길이(BL)가 8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D0, D1, D2, D3, D4, D5, D6, D7 순서로 8개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D0=ALIGNR_0, D1=ALIGNF_0, D2=ALIGNR_1, D3=ALIGNF_1 , D4=ALIGNR_2, D5=ALIGNF_2 , D6=ALIGNR_3 , D7=ALIGNF_3로 각각 정렬된다.
대응결정부는(130), 기본적으로는(도면은 DDR3 메모리장치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므로 BL=8이 기본) ALIGNR_0~3을 ALIGNTD_0~3으로 ALIGNF_0~3을 ALIGNFD_0~3으로 그대로 전달한다. 따라서 데이터 입/출력 라인 GIO0~7에는 차례로 D0~D7이 실리게 된다.
버스트 길이(BL)가 4인 경우(도면의 BL4 신호 인에이블)에 대응결정부(130)는 ALIGN_2,3(R이던 F이던 마찬가지)을 ALIGND_0,1로 바꾸어 출력한다. 그리고 ALIGN_0,1도 그대로 ALIGN_0,1로 그대로 전달한다. 따라서 버스트 길이(BL)에 따라 입력된 4개의 데이터(D0, D1, D2, D3)는 차례로 GIO0~3에 실리게 된다.
온 더 플라이 모드(BLFLYb='로우': on the fly mode 스펙에 정의됨)인 경우 대응결정부(130)는 ALIGN_0,1(R이던 F이던 마찬가지)를 ALIGND_2,3으로 바꾸어 출력한다. 그리고 ALIGN_0,1도 그대로 ALIGN_0,1로 출력한다. 따라서 온 더 플라이 모드시 입력된 4개의 데이터(D0, D1, D2, D3)는 차례로 GIO4~7에 실리게 된다.
대응결정부(130)는 기본적인 버스트 길이(BL) 이외에 다른 버스트 길이(BL) 를 지원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은 DDR3 메모리장치의 경우에, 대응 결정부는 BL=8 이외에 BL=4 및 온 더 플라이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메모리장치가 하나의 버스트 길이(BL)만을 지원해도 되는 경우라면 메모리장치는 대응결정부(13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140)는 대응결정부(130)의 출력라인들(ALIGNRD_0~3, ALIGNFD_0~3)의 데이터를 도면에 도시된 순서대로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에 실어준다. 도면의 DIN_CLK는 데이터들이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에 전달되는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클럭(clock)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대응결정부(13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대응결정부(130)는 BL4 신호 또는 BLFLYb 신호에 응답하여 두 신호(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들(210, 220, 230, 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는 R, F의 기호를 병기하지 않았는데, ALIGN 중 R로 이름 붙여지는 라인이던지 F로 이름 붙여지는 라인이던지 모두 도면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실제의 대응결정부(130)는 도 2와 같은 회로 2개로 구성된다.
BL=8 이어서 BL4 신호와 BLFLYb 신호가 모두 디스에이블된 경우(BL4='로우', BLFLYb='하이'), 입력되는 라인과 출력되는 라인들은 모두 동일한 번호로 매칭된다.
BL=4 이어서 BL4 신호가 '하이'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ALIGN2,3은 ALIGND0,1로 출력된다. 그리고 ALIGN2,3은 ALIGND2,3으로도 출력된다. 이때는 실제로 한번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8개가 아닌 4개이기 때문에 이와 같이 동작하더라도 동작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다.
온 더 플라이 모드이어서 BLFLYb 신호가 '로우'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ALIGN1,2는 ALIGND2,3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ALIGN1,2는 ALIGND1,2로도 출력된다. 온 더 플라이 모드에서도 실제로 한번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8개가 아닌 4개이기 때문에 이와 같이 동작하더라도 동작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다.
도 3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병렬로 정렬해 데이터 입/출력 라인에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병렬로 정렬하여 입력된 순서대로 데이터 입/출력 라인 GIO0~7로 전달한다(BL=8인 경우를 도시함).
도 3은 특히 테스트장비를 통해 데이터를 메모리장치에 입력시키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면을 보면 데이터 D0~D3은 모두 '하이' 데이터이고, D4~D7은 모두 '로우' 데이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속도(예, 800Mhz)가 테스트장비의 데이터 입/출력 속도(예, 200Mhz)보다 4배 빠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경우 테스트장비는 4개의 데이터 단위(D0~D3, D4~D7)로만 데이터의 논리값을 변경할 수 있다.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속도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그러나 메모리장치의 속도가 더 빨라지더라도 메모리제조사는 바로 더 속도가 빠른 테스트장비를 도입하지는 않는다. 메모리장치의 스피드가 변할 때마다 테스트장비 를 바꾼다면 메모리장치의 제조비용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모리장치의 테스트시 도 3과 같이, 연속적인 여러 개의 데이터(예, D0, D1, D2, D3)를 동일한 논리값으로 입력해 줄 수밖에 없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메모리장치의 테스트시에는 효율적으로 여러 가지의 불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여러가지의 데이터 패턴(data pattern)을 사용한다. 데이터 패턴을 자유롭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위치에다가 원하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데이터들을 서로 다른 논리값으로 입력해 주어야 할 경우도 생긴다. 예를 들어, 특정 테스트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D0='하이', D1='로우', D2='하이', D3='로우'로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가 있을 수가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메모리장치의 스피드보다 테스트장비의 스피드가 느린 경우에는 자유로운 데이터 패턴을 구현하는데 제약이 따르고, 그에 따라 테스트시 불량에 대한 스크린 어빌리티(screen ability)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메모리장치의 스피드보다 느린 스피드로 동작하는 테스트장비를 사용하더라도 다양한 데이터 패턴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느린 테스트장비로 빠른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하더라도 다양한 데이터 패턴을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테스트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칩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들을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부; 정렬된 각각의 상기 데이터들과 각각 대응되는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 및 테스트시 하나 이상의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들과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간의 대응관계를 바꿔주는 변경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칩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들을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부; 정렬된 상기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 및 테스트시 하나 이상의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에 실린 데이터들을 서로 바꿔주는 변경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칩 외부로부터 직 렬로 입력된 데이터들을 병렬로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부; 정렬된 각각의 상기 데이터들과 각각 대응되는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 버스트 길이 설정신호 및 온 더 플라이 모드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에 의해 결정되는 규칙에 따라 상기 정렬된 데이터들과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간의 대응관계를 결정하는 대응결정부; 및 테스트시 변경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대응결정부로 입력되는 버스트 길이 설정신호와 상기 온 더 플라이 모드 신호를 인에이블시키는 테스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테스트방법은, 테스트장비로부터 반도체 메모리장치로 데이터들이 직렬로 입력되는 단계; 직렬로 입력된 상기 데이터들을 병렬로 정렬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병렬로 정렬된 상기 데이터들을 서로 바꾸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 내에 입력된 데이터를 변경 신호에 의해 서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메모리장치의 스피드보다 테스트장비의 스피드가 느리더라도 다양한 데이터 패턴을 구현하게 해준다. 예를 들어, 테스트 장비에서 D0~D3='하이', D4~D7='로우'로 데이터를 입력해 주더라도, 메모리장치 내부적으로 D0='하이', D1='로우', D2='하이', D3='로우', D4='하이', D5='로우', D6='하이', D7='로우'로 입력된 것과 같이 데이터 패턴을 변경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테스트시 원하는 데이터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이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스크린 어빌리티(screen ability)를 향상시켜 준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칩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들(D0~D7)을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부(420)와, 정렬된 각각의 데이터들(D0_1~D7_1)과 각각 대응되는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 및 테스트시 하나 이상의 변경 신호(CHANGE<0:N>)에 응답하여 데이터들(D0_1~D7_1)과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간의 대응관계를 바꿔주는 변경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정렬부(420)는 칩 외부로부터 직렬(serial)로 입력된 데이터들(D0~D7)을 병렬(parallel)로 정렬한다. 데이터 정렬부(420)로 입력되는 데이터들(D0~D7)은 데이터 핀(DQ)으로부터 데이터 입력버퍼(410)를 통해 입력된다. 데이터 정렬부(420)는 데이터들(D0~D7)을 정렬하기 위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R, DQSF)를 사용한다. 도면에서는 데이터 정렬부(420)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들(D0~D7)을 병렬로 정렬(D0_1~D7_1)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는 현재의 메모리장치가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정렬하기 때문이며, (스펙에 규정되는)데이터 정렬방식이 바뀌면 데이터 정렬부가 데이터를 정렬하는 방식도 이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정렬된 각각의 데이터들(D0_1~D7_1)은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과 각각 대등된다. 테스트시가 아닌 노멀 모드시 D0_1~D7_1은 GIO0~7에 대응된다.
변경부(430)는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곳으로, 테스트시에 하나 이상의 변경신호(CHANGE<0:N>)에 응답하여 정렬된 데이터들(D0_1~D7_1)과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 간의 대응관계를 바꾸어 준다. 변경신호(CHANGE<0:N>)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갯수가 될 수 있다. 변경신호(CHANGE<0:N>)의 갯수가 늘어날수록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정렬된 데이터들(D0_1~D7_1)과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 간의 대응관계를 바꾸어 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변경신호가 CHANGE<0:3>의 4개로 구성된 경우 CHANGE<0>가 인에이블되면, D0_1는 D1_2로 출력되고 D1_1는 D0_2로 출력되게, CHANGE<1>이 인에이블되면 D2_1는 D3_2로 출력되고 D3_1은 D2_2로 출력되게..... 등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부(430)의 입력 데이터들(D0_1~D7_1)과 출력 데이터들(D0_2~D7_2)을 서로 바꾸어 줄 수 있다. 변경신호가 CHANGE<0> 하나로 구성된다면 CHANGE<0>이 인에이블되면 D0_1~D3_1은 D4_2~D7_2로 출력되게 D4_1~D7_1은 D0_2~D3_2로 출력되게 설정할 수 있다.
변경부(430)의 입력 데이터들(D0_1~D7_1)과 출력 데이터들(D0_2~D7_2)이 서로 바뀌면 결국 데이터 정렬부(420)를 통해 정렬된 데이터들(D0_1~D7_1)과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 간의 대응관계가 서로 바뀌게 된다. 변경신호(CHANGE<0:N>)를 몇 개를 사용할지 또한 변경신호(CHANGE<0:N>)가 인에이블 되는 경우 어떤 데이 터들(D0_1~D7_7)과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 간의 대응관계를 바꾸어 줄지는 필요에 따라 알맞게 설계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변경부(430)를 사용하면 테스트장비의 한계로 데이터를 D0~3은 '하이'로 D4~D7은 '로우'로 입력해 주었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들(D0_1~D7_1)과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GIO7) 간의 대응관계를 변경해 줌으로써, D0='하이', D1='로우', D2='하이', D3='로우', D4='하이', D5='로우', D6='하이', D7='로우' 등으로 입력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변경부(430)의 후단에 있는 드라이버(440)는 변경부(430)의 출력 데이터(D0_2~D7_2)를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에 실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에서의 대응결정부(도 1의 130)를 포함하지 않게 구성하였다. 어차피 테스트시가 아닌 노멀 모드시 변경부(430)는 입력된 데이터들을 변경함이 없이 그대로 출력(D0_1~D7_1=D0_2~D7_2)하므로 종래기술에서와 동일한 대응결정부(130)는 변경부(430)의 전단 또는 후단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면 BL4 및 온 더 플라이 모드 등 여러 모드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종래기술의 대응결정부(130)는 BL=8, BL=4, 온 더 플라이 모드 등 규정에 맞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대응 관계를 결정해 준다는데 비해(노멀모드에서 사용됨, 여러 가지의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 본 발명에서의 변경부(430)는 다양한 데이터 패턴의 구현을 위해 테스트시 일부러 규정과는 다르게 데이터의 대응 관계를 결정해 준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테스트시에 사용됨, 본래의 규정과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대응시켜 데이터 패턴에 변화 유도).
도 5는 도 4의 변경부(430)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변경부(430)는 하나 이상의 변경신호(CHANGE<0:N>)를 사용하여 다양하게 데이터들(D0_1~D7_1)과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의 대응관계를 바꾸어 주게 설계될 수 있자만, 도 5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변경신호(CHANGE<0>)를 사용하며, 변경신호(CHANGE<0>)가 인에이블되면 데이터 D0_1~D3_1은 데이터 입/출력 라인 GIO4~7에 대응되고, 데이터 D4_1~D7_1은 데이터 입/출력 라인 GIO0~3에 대응되게 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부(430)는 변경신호(CHANGE<0>)의 인에이블 여부에 의해 입력되는 2개의 데이터들(D0_1~D7_1) 중 하나를 출력(D0_2~D7_2)하는 멀티플렉서들(510, 520, 530, 540, 550, 560, 570, 580)을 포함하며 구성될 수 있다.
가장 상단의 멀티플렉서(510)를 보면 변경신호(CHANGE<0>) 디스에이블시 멀티플렉서는 D0_1을 D0_2로 출력한다. 따라서 데이터 D0_1은 데이터 입/출력 라인 GIO0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변경신호(CHANGE<0>)가 인에이블되면 멀티플렉서(510)는 D4_1을 D0_2로 출력한다. 따라서 데이터 D4_1이 데이터 입/출력 라인 GIO0으로 전달된다. 나머지 멀티플렉서들(520, 530, 540, 550, 560, 570, 580)도 이와 같이 동작하기 때문에 변경부(430)는 변경신호(CHANGE<0>)의 인에이블 여부에 의해 데이터들(D0_1~D7_1)과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 사이의 대응관계를 바꾸어 주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변경부(430)는 변경신호(CHANGE<0>)도 하나만 사용되는 가장 간단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여러 개의 변경신호(CHANGE<0:N>)를 사용하여 대응관계를 다양하게 변경시키는 변경부(430)도 어차피 변경신호들의 인에이블 여부에 의해 입력신호들 중 출력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변경부(430)가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변경신호(CHANGE<0>)가 인에이블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칩 외부로부터 데이터 D0~3는 '하이'데이터로 입력되고, 데이터 D4~7은 '로우'데이터로 입력되었지만, 데이터 입/출력 라인 GIO0~3에는 데이터 D4~7이('로우') 데이터가 실리고, 데이터 입/출력 라인 GIO4~7에는 데이터 D0~3이 실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데이터(D0~7)가 입력된 순서대로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에 실리지 않고, 입력된 순서가 바뀌어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에 실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단지 변경부(430)가 도 5와 같이 구성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며, 변경부(430)가 도 5와는 다르게 구성된 경우에는 외부에서 데이터(D0~7)가 '하이', '하이', '하이', '하이', '로우', '로우', '로우', '로우'의 순서로 입력되더라도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에는 '하이', '로우', '하이', '로우', '하이', '로우', '하이', '로우' 등의 순서로 입력되게 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조합으로 데이터(D0~7)의 순서가 서로 바뀌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칩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 이터들(D0~D7)을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부(720); 정렬된 데이터들(D0~D7)을 전송하는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GIO7); 및 테스트시 하나 이상의 변경 신호(CHANGE<0:N>)에 응답하여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에 실린 데이터들을 서로 바꿔주는 변경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정렬부(720)는 칩 외부로부터 직렬로 입력된 데이터들(D0~D7)을 병렬로 정렬한다. 데이터 정렬부(720)는 도 4의 제1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정렬부(42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정렬된 각각의 데이터들(D0~D7)은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과 각각 대응된다. 입력된 순서대로 데이터 D0~D7은 데이터 입/출력 라인 GIO0~7에 각각 대응된다. 정렬된 데이터들을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에 실어주는 역할은 드라이버(730)가 한다.
변경부(740)는 테스트시 하나 이상의 변경신호(CHANGE<0:N>)에 응답하여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_1~GIO7_1)에 실린 데이터를 서로 바꾸어 준다. 즉, 변경신호(CHANGE<0:N>)가 디스에이블된 노멀 모드에서는 변경부(740)로 입력되는 GIO0_1~GIO7_1=GIO0_2~GIO7_2가 되지만, 테스트모드시 변경신호(CHANGE<0:N>)가 인에이블 되면 입력되는 데이터들(GIO0_1~GIO7_1)을 서로 바꾸어 출력(GIO0_2~GIO7_2)한다.
제2실시예에서의 변경부(740)는 제1실시예에서의 변경부(43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실시예에서의 변경부(430)는 데이터들(D0~D7)이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에 실리기 전에 서로 바꾸어 줌으로써 데이터들(D0~D7)과 데 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 간의 대응관계를 바꾸어 주었던데 반해, 제2실시예에서의 변경부(740)는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에 실린 데이터를 서로 바꾸어 준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을 뿐이다(따라서 도 5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의 변경부(740)도 변경신호(CHANGE<0:7>)의 갯수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갯수를 입력받게 설계될 수 있으며, 변경신호들(CHANGE<0:N>)이 인에이블 되었을 때 어떠한 조합으로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에 실린 데이터들이 바뀌는 지도 설계에 따라 무수히 많은 조합이 가능하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변경부(740)가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 중 글로벌 입/출력 라인들(GIO0~7: Global Input/Output line)에 실린 데이터들을 서로 바꾸어 주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변경부(740)는 글로벌 입/출력 라인들(GIO)뿐만이 아니라 로컬 입/출력 라인들(LIO)에 실린 데이터들을 서로 바꾸어주게 설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로컬 입/출력 라인(LIO)은 하나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두개의 라인(LIO, LIOb와 같이 한쌍의 라인이 하나의 데이터를 전달)을 사용하므로 변경부(740)는 로컬 입/출력 라인들(LIO)보다는 글로벌 입/출력 라인들(GIO)에 실린 데이터들을 서로 바꾸어 주는 것이 더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변경부(740)가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에 실린 데이터들을 서로 바꾸어 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서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와 그 동작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구성도이다.
제3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최대한 활용하고, 여기에 테스트부(850)만을 추가하여 앞의 두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칩 외부로부터 직렬로 입력된 데이터들(D0~D7)을 병렬로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부(820); 정렬된 각각의 데이터들(ALIGNR_0, ALIGNF_0, ALIGNR_1, ALIGNF_1, ALIGNR_2, ALIGNF_2 , ALIGNR_3 , ALIGNF_3)과 각각 대응되는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 버스트 길이 설정신호(BL4_d) 및 온 더 플라이 모드 신호(BLFLY_d)의 인에이블 여부에 의해 결정되는 규칙에 따라 정렬된 데이터들(ALIGNR_0, ALIGNF_0, ALIGNR_1, ALIGNF_1, ALIGNR_2, ALIGNF_2 , ALIGNR_3 , ALIGNF_3)과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GIO0~7) 간의 대응관계를 결정하는 대응결정부(830); 및 테스트시 변경신호(CHANGE)가 인에이블되면 대응결정부(830)로 입력되는 버스트 길이 설정신호(BL4_d)와 온 더 플라이 모드 신호(BLFLYb_d)를 인에이블시키는 테스트부(8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응결정부(83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들(D0~D7)이 직렬로 입력되는 순서대로 정렬되는 제0라인~제7라인(ALIGNR_0, ALIGNF_0, ALIGNR_1, ALIGNF_1 , ALIGNR_2, ALIGNF_2 , ALIGNR_3 , ALIGNF_3)을 포함한다(D0=ALIGNR_0, D1=ALIGNF_0, D2=ALIGNR_1, D3=ALIGNF_1 , D4=ALIGNR_2, D5=ALIGNF_2 , D6=ALIGNR_3 , D7=ALIGNF_3로 정렬됨). 그리고 기본적으로 버스트길이가 8일 때(BL4, BLFLYb 디스에이블)는 제0라인~제7라인(ALIGNR_0, ALIGNF_0, ALIGNR_1, ALIGNF_1 , ALIGNR_2, ALIGNF_2 , ALIGNR_3 , ALIGNF_3)을 그대로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에 대응시킨다. 즉, 대응결정부(830)의 입력라인은 그대로 출력라인에 대응된다(도면의 d가 안붙은 라인이 그대로 d가 붙은 라인에 대응).
버스트 길이가 4일 때(BL4_d 인에이블)는 제4라인~제7라인(ALIGNR_2, ALIGNF_2 , ALIGNR_3 , ALIGNF_3)을 데이터 입/출력 라인에 0~3(GIO0~3)에 대응시킨다. 또한, 온 더 플라이 모드신호가 인에이블(BLFLYb_d='로우') 되면 제0라인~제3라인(ALIGNR_0, ALIGNF_0, ALIGNR_1, ALIGNF_1)을 데이터 입출력라인 4~7(GIO4~7)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의 대응결정부(830)는 종래의 대응결정부(13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배경기술의 부분을 참조하면 된다.
제3실시예는 이러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테스트부(850)를 더 포함한다. 테스트부(850)는 노멀모드에서는 자신이 입력받는 버스트길이 설정신호(BL4)와 온 더 플라이 모드신호(BLFLYb)를 모두 그대로 출력한다(BL4=BL4_d, BLFLYb=BLFLYb_d). 그러나 테스트시에 변경신호(CHANGE)가 인에이블되면 대응결정부(830)로 입력되는 버스트길이 설정신호(BL4_d) 및 온 더 플라이 모드 신호(BLFLYb_d)를 모두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변경신호(CHANGE)가 인에이블되면 제4라인~제7라인(ALIGNR_2, ALIGNF_2 , ALIGNR_3 , ALIGNF_3)은 데이터 입/출력 라인에 0~3(GIO0~3)에 대응되고, 제0라인~제3라인은 데이터 입출력 라인 4~7에 대응된다.
즉, 변경신호(CHANGE) 인에이블시 D0~D3은 GIO4~7에 실리고, D4~D7은 GIO0~3에 실리게 된다. 변경신호(CHANGE)의 인에이블에 의해 데이터(D0~D7)가 입력된 순 서와는 다르게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7)에 실리게 되는 것이다.
제3실시예는 종래의 구성에 단지 테스트부만(850)을 추가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데이터(D0~D7)의 입력 순서를 바꾸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응결정부(830)는 이미 정해진 규칙으로만 데이터들(D0~D7)의 대응 관계를 바꾸어줄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D0~D7)의 순서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데는 제약이 따를 수 있다.
참고로 제3실시예에서 변경신호(CHANGE)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도 6과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
도 9는 도 8의 테스트부(850)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그 동작을 보면, 변경신호가 디스에이블된 경우(CHANGE='로우')에 버스트길이 설정신호(BL4=BL4_D)와 온 더 플라이 모드신호(BLFLYb=BLFLYb_d)는 모두 그대로 출력된다. 그러나 변경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CHANGE='하이'), 테스트부(850)에서 출력되는 버스트길이 설정신호(BL4_d)와 온 더 플라이 모드신호(BLFLYb_d)는 입력되는 신호(BL4, BLFLYb)와 관계없이 모두 인에이블된다(BL4_d='하이', BLFLYb_d='로우').
따라서 변경신호(CHANGE)가 인에이블되면 대응결정부(830)가 데이터들(D0~D7)의 순서를 바꾸어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GIO7)으로 실어줄 수 있게 해준다.
도 4~도 7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테스트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테스트방법은, 테스트장비로부터 반도 체 메모리장치로 데이터들(D0~D7)이 직렬로 입력되는 단계; 직렬로 입력된 상기 데이터들(D0~D7)을 병렬로 정렬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변경 신호(CHANGE<0:N>)에 응답하여 병렬로 정렬된 상기 데이터들(D0~D7)을 서로 바꾸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히, 메모리장치의 테스트시 칩 외부로부터 버퍼(420 또는 720) 등을 통해 데이터들(D0~D7)이 직렬로 입력된다. 그러면 직렬로 입력된 데이터들(D0~D7)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등(DQSR, DQSF)을 이용하여 래치되고 정렬된다.
종래의 메모리장치와 같은 경우에는 데이터들(D0~D7)이 입력된 순서대로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0~7)을 통해 메모리장치 내부로 데이터(D0~D7)가 전달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변경부(430, 740)를 통해 데이터(D0~D7)의 순서를 바꾸어 준 후(데이터 입/출력 라인과의 대응 관계를 바꾼다던지(도 4), 데이터 입/출력 라인에 실린 데이터를 서로 바꾸어 준다던지(도 7)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데이터를 메모리장치 내부로 전달한다.
따라서 테스트장비의 동작 스피드가 메모리장치의 동작 스피드보다 느려서 테스트시 데이터(D0~D7)를 원하는 대로('하이', '로우', '하이', '로우'등으로) 입력하지 못한다고 하여도, 내부적으로 데이터(D0~D7)의 순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데이터 패턴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변경신호의 갯수(CHANGE<0:N>)는 설계자가 설계하는 대로 임의의 갯수가 될 수 있으며, 변경신호들(CHANGE<0:N>이 어떠한 조합으로 인에이블 되느냐에 따라 데이터들(D0~D7)의 순서를 바꾸어 주는 조합도 여러 가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정렬해 데이터 입/출력 라인까지 전달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대응결정부(13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병렬로 정렬해 데이터 입/출력 라인에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변경부(430)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변경부(430)가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변경신호(CHANGE<0>)가 인에이블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도 8의 테스트부(850)의 일실시예 구성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칩 외부로부터 직렬로 입력된 데이터들을 병렬로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부;
    정렬된 각각의 상기 데이터들과 각각 대응되는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
    버스트 길이 설정신호 및 온 더 플라이 모드 신호의 인에이블 여부에 의해 결정되는 규칙에 따라 상기 정렬된 데이터들과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간의 대응관계를 결정하는 대응결정부; 및
    테스트시 변경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대응결정부로 입력되는 버스트 길이 설정신호와 상기 온 더 플라이 모드 신호를 인에이블시키는 테스트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결정부는,
    상기 데이터들이 직렬로 입력된 순서대로 정렬되는 제0라인~제7라인을 포함하며,
    버스트 길이가 8일 때는 상기 제0라인~제7라인을 그대로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 0~7에 대응시키고,
    상기 버스트 길이 설정신호가 인에이블되는, 버스트 길이가 4일 때는 상기 제4라인~제7라인을 상기 데이터 입/출력라인 0~3에 대응시키며,
    상기 온 더 플라이 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0라인~제3라인을 상기 데이터 입/출력라인 4~7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변경신호에 의해 상기 버스트 길이 설정신호와 상기 온 더 플라이 모드신호가 동시에 인에이블되면,
    상기 대응결정부는 상기 제0라인~제3라인은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 4~7에 상기 제4라인~제7라인은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 0~3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들은,
    글로벌 입/출력 라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070137427A 2007-12-26 2007-12-26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테스트방법 KR100937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427A KR100937995B1 (ko) 2007-12-26 2007-12-26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테스트방법
US12/181,700 US8296610B2 (en) 2007-12-26 2008-07-29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427A KR100937995B1 (ko) 2007-12-26 2007-12-26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테스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83A KR20090069683A (ko) 2009-07-01
KR100937995B1 true KR100937995B1 (ko) 2010-01-21

Family

ID=4080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427A KR100937995B1 (ko) 2007-12-26 2007-12-26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테스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96610B2 (ko)
KR (1) KR100937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6244B2 (en) * 2009-05-29 2011-01-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aligning a serial bit stream with a parallel output
KR20120136474A (ko) 2011-06-09 2012-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테스트 장치 및 그 테스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397B1 (ko) * 1995-07-25 1999-02-18 김광호 데이타 변경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멀티 비트 테스트 회로
JPH11213699A (ja) * 1998-01-28 1999-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20030089181A (ko) * 2002-05-17 2003-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적으로 데이터 로드 신호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및 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직렬 데이터의 병렬데이터로의 프리패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396A (ja) * 1999-06-16 2001-01-12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
US6986082B2 (en) * 2001-06-28 2006-01-10 Winbond Electronics Corp. Testing system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58485B1 (ko) * 2003-07-11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모듈 및 이 모듈의 테스트 방법
JP4601305B2 (ja) * 2004-02-27 2010-12-22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6120241A (ja) * 2004-10-21 2006-05-1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KR100663362B1 (ko) * 2005-05-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라이트 및 리드방법
US7333908B2 (en) * 2005-09-01 2008-02-19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generating test patterns in high speed memory devices
JP4686350B2 (ja) * 2005-12-09 2011-05-25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自己テスト方法
KR100735751B1 (ko) * 2005-12-26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4353329B2 (ja) * 2006-10-27 2009-10-28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テスト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397B1 (ko) * 1995-07-25 1999-02-18 김광호 데이타 변경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멀티 비트 테스트 회로
JPH11213699A (ja) * 1998-01-28 1999-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20030089181A (ko) * 2002-05-17 2003-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적으로 데이터 로드 신호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및 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직렬 데이터의 병렬데이터로의 프리패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72479A1 (en) 2009-07-02
KR20090069683A (ko) 2009-07-01
US8296610B2 (en)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71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multi-port memories
US8438439B2 (en) Integrated circuit having a scan chain and testing method for a chip
US791186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test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950020755A (ko) 일치 검출 회로를 갖고 있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및 테스트 방법
US7036060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its analyzing method
US810874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mount test circuits and mount test method thereof
JPS59105571A (ja) デイジタル電子回路
JP3822367B2 (ja) 直接アクセスモードテストを使用する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テスト方法
US20100125431A1 (en) Compact test circuit and integrated circuit having the same
KR100937995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테스트방법
JP2000111618A (ja) Bist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KR100464436B1 (ko) 병렬비트 테스트시 데이터 입출력 포맷을 변환하는 회로및 방법
US6317851B1 (en) Memory test circuit and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to which the memory test circuit is incorporated
US6463562B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macros and its testing method
JP2005038511A (ja) 半導体装置
JP5612249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49432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 방법
JPH04148258A (ja) バス線試験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100491052B1 (ko) 시스템온칩 시험 회로 및 시험 방법
JPH03262048A (ja) シフトパス構成制御システム
JP2004334930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010108796A (ko) 내장된 코아 회로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체인 회로부를 구비한 시스템-온 칩
GB2346450A (en) Method and module for testing communication ports
JPH10142297A (ja) 集積回路におけるスキャンテスト回路およびスキャンテスト方法
KR1998005036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