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731B1 -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731B1
KR100924731B1 KR1020080009437A KR20080009437A KR100924731B1 KR 100924731 B1 KR100924731 B1 KR 100924731B1 KR 1020080009437 A KR1020080009437 A KR 1020080009437A KR 20080009437 A KR20080009437 A KR 20080009437A KR 100924731 B1 KR100924731 B1 KR 10092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data
playback
reproduction
end position
star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516A (ko
Inventor
타이요오 마츠하시
하루요시 구마사카
요시히로 사가와
히로마사 이시야마
타케시 코구레
Original Assignee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1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26Pre-filtering or post-filte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2Blocking, i.e. grouping of samples in time; Choice of analysis windows; Overlap fac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11B2020/10574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volume or amplitu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재생 장치(2)는, 디코드 처리부(23), 문턱값 산출부(27), 음악 데이터 출력부(30)를 구비한다. 문턱값 산출부(27)는, 디코드 처리부(23)로부터 얻어진 제1 음악 데이터의 종료 위치로부터 그 말미 부분의 소정 구간의 평균 진폭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균 진폭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의 무음부를 검출하기 위한 문턱값을 산출한다. 음악 데이터 출력부(30)는, 문턱값 이상이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재생 종료 위치로 하고, 문턱값 이상이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재생 개시 위치로 하여 곡 간의 무음부를 제거하여 재생한다.
문턱값, 재생 종료, 재생 개시

Description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PLAYBACK DEVICE, PLAYBACK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READABLE PLAYBACK PROGRAM}
본 발명은, 압축된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고, 곡 간에 있어서 음이 끊기는 갭의 발생을 억제하여 재생하는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의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DAP: Digital Audio Player)의 보급에 의해, MP3(MPEG-1 Audio LayerⅢ), AAC(Advanced Audio Coding) 등의 여러 종류의 음악 데이터 압축 방식이 규격화되고 있다.
이들 압축 방식에서는, 1곡분의 데이터는 1개의 음악 소스로서 관리되고, 1개의 음악 소스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되어 압축(인코드) 처리된다. 그리고, 음악 소스로부터 압축 음악 데이터를 얻는 인코드 처리의 과정에서, 변형 이산 코사인 변환(MDCT: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이 이용된다. 이 MDCT 변환은, 인접한 프레임을 중복시켜 행하기 때문에, 인접한 프레임의 경계에 있어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프레임을 중복시키는 변환을 위해, 신장(伸張)(디코드) 처리할 때에는 직전의 프레임의 데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MDCT 변환을 이용한 인코드 처리에서는,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보다 앞에 무음부(無音部)를 부가한 선두 프레임이 작성된다. 마찬가지로,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보다도 뒤에 무음부를 부가한 말미 프레임도 작성된다.
도1 은 인코드 처리 전의 음악 소스 및 인코드 처리 후의 압축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에 있어서의 파형(波形)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코드 처리 후의 압축 음악 데이터는 프레임(frame) 단위로 분할되어, 선두 부분에 무음부가 부가된다. 도1 의 인코드 처리 후의 압축 음악 데이터는, 선두 부분으로의 무음부의 부가에 의해, 인코드 처리 전의 음악 데이터와 비교하여 음의 시작이 늦어지게 된다. 도2 는 인코드 처리 전의 음악 소스 및 인코드 처리 후의 압축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의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코드 처리 후의 압축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도 무음부가 부가된다.
그런데, 음악 CD(Compact Disk)로서, 곡끼리가 이어져 있는 생연주를 기록한, 소위 라이브반(live disk)이 존재한다. 전술한 MDCT 변환을 이용한 압축 방식에 의해, 이 라이브반을 재생하여 얻어지는 1곡분의 음악 소스마다 인코드 처리하여 압축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여 재생하는 경우, 앞의 곡의 말미 부분과 다음 곡의 선두 부분과의 곡 간에 있어서 갭(gap)이 발생한다. 이 갭이 발생함으로써, 음이 일순간 끊겨 버려, 부자연스러운 재생 음이 생겨 버린다.
이러한 곡 간의 갭을 해소하는 기술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1) 곡이 바뀔 때에, 앞의 재생곡의 말미 부분의 음을 점차로 작게(페이드아웃; fade out) 하고, 동시에 다음에 재생하는 곡(다음 재생곡)의 음의 선두 부분을 점차로 크게(페이드인; fade in) 하는 크로스페이드를 수초 간 행함으로써, 곡 간의 갭이 두드러지지 않도록 곡을 재생한다. 도3 은 파선으로 나타내는 앞의 재생곡과 실선으로 나타내는 다음의 재생곡을 크로스페이드 시킨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2) 음악 소스의 인코드 처리 시에 음악 소스의 길이 정보를 보존해 두고, 그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곡 간의 갭을 제거함으로써, 곡 간의 갭을 일으키게 하는 일이 없이 곡을 재생한다. (3) 라이브반 등의 곡 간에 무음부가 없는 복수곡(複數曲)의 음악 소스를 1개의 파일에 보존함으로써, 곡 간의 갭을 일으키게 하는 일이 없이 재생한다. 이 방법은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9372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1)의 방법의 경우, 도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이 연속하여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재생음은 부자연스럽게 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 (2)의 방법의 경우, 곡 간의 갭을 제거하여 재생하는 플레이어는, 인코드 처리를 행하는 장치(인코더)에 대응하고 있는 것에 한정된다.
즉, 플레이어는, 어떠한 인코드 처리가 행해졌는가를 미리 알고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3)의 방법의 경우도 상기 (2)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어는 인코더에 대응하고 있는 것에 한정된다. 또한, 복수곡의 음악 소스 전체에서 1개의 파일에 보존하기 때문에, 소망의 곡을 즉시 재생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라이브반으로부터 얻어지는 1곡분의 음악 소스마다 인코드 처리된 압축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압축 방식에 의하는 일이 없이, 곡 간에 있어서 음이 끊기는 갭의 발생을 억제하여 곡을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재생 대상곡의 압축 음악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코드 처리하는 디코드 수단과, 디코드 수단에 의해 제1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의 소정 구간에 있어서의 평균 진폭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균 진폭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의 무음부를 검출하기 위한 문턱값(threshold)을 산출하는 문턱값 산출 수단과, 제1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문턱값 산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하는 재생 종료 위치 검출 수단과, 디코드 수단에 의해 제1 압축 음악 데이터의 다음의 재생 대상곡인 제2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2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의 근방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재생 개시 위치 검출 수단과, 제1 음악 데이터의 재 생 종료 위치까지 재생한 후,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부터 재생을 행하는 재생 수단을 구비하는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재생 개시 위치 검출 수단은,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의 증감 방향과 동일 방향의 데이터 부분이고, 그리고 진폭 레벨이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 레벨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재생 개시 위치 검출 수단은, 제2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가 제1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재생 장치는,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재생 종료 위치 검출 수단은, 판별 수단에 의해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를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하고, 재생 개시 위치 검출 수단은, 판별 수단에 의해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재생 장치는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와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제 1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재생 종료 위치 이전의 소정 구간과,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재생 개시 위치 이후의 소정 구간의 파형을 정형(整形)하는 파형 정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형 정형 수단은, 제1 음악 데이터와 제2 음악 데이터를 잇는 위치에서의 진폭 레벨을 무음으로 하여 파형을 정형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재생 대상곡의 압축 음악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과,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에 의해 제1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의 소정 구간에 있어서의 평균 진폭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균 진폭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의 무음부를 검출하기 위한 문턱값을 산출하는 스텝과, 제1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문턱값을 산출하는 스텝에 의해 얻어진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에 의해 제1 압축 음악 데이터의 다음의 재생 대상곡인 제2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2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의 근방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까지 재생한 후,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부터 재생을 행하는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의 증감 방향과 동일 방향의 데이터 부분이고, 그리고 진폭 레벨이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 레벨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제2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가 제1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재생 방법은,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고,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판별하는 스텝에 의해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를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하고,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판별하는 스텝에 의해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재생 방법은,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와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제1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재생 종료 위치 이전의 소정 구간과,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재생 개시 위치 이후의 소정 구간의 파형을 정형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형을 정형하는 스텝은, 제1 음악 데이터와 제2 음악 데이터를 잇는 위치에서의 진폭 레벨을 무음으로 하여 파형을 정형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재생 대상곡의 압축 음악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과,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에 의해 제1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의 소정 구간에 있어서의 평균 진폭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균 진폭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의 무음부를 검출하기 위한 문턱값을 산출하는 스텝과, 제1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문턱값을 산출하는 스텝에 의해 얻어진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에 의해 제1 압축 음악 데이터의 다음의 재생 대상곡인 제2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2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의 근방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까지 재생한 후,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부터 재생을 행하는 재생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재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의 증감 방 향과 동일 방향의 데이터 부분이고, 그리고 진폭 레벨이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 레벨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제2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가 제1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재생 프로그램은,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고,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판별하는 스텝에 의해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를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하고,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판별하는 스텝에 의해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재생 프로그램은,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와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제1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재생 종료 위치 이전의 소정 구간과,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재생 개시 위치 이후의 소정 구간의 파형을 정형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형을 정형하는 스텝은, 제1 음악 데이터와 제2 음악 데이터를 잇는 위치에서의 진폭 레벨을 무음으로 하여 파형을 정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브반을 재생하여 얻어지는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여 재생하는 경우에, 어떠한 음악 데이터라도, 곡 간에 있어서 음이 끊기는 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4 내지 도16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맨 처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장치를, 도4 내지 도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 는, 기록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 장치(1)는, 음악 소스 입력부(11)와, 인코드 처리부(12)와, 압축 음악 데이터 기록부(13)와, 기록 제어부(14)와, 기록 조작부(15)와, USB 단자(16)와, 반도체 메모리부(17)와, 크래들부(cradle section; 18)를 구비한다.
음악 소스 입력부(11)에는, CD 등의 기록 매체 또는 서버 등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 소스가 그 매체 또는 서버 등으로부터 입력된다. 그리고, 음악 소스 입력부(11)는, 기록 제어부(14)의 제어에 기초하여, 1곡분에 상당하는 음악 소스마다 인코드 처리부(12)로 공급한다. 인코드 처리부(12)는, 기록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음악 소스를 전술한 MDCT 변환을 이용한 압축 방식에 의해 인코드 처리하고, 인코드 처리된 압축 음악 데이터를 압축 음악 데이터 기록부(13)에 공급한다.
기록 조작부(15)는, 유저의 선택 조작에 의해 압축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는 매체가 선택된 경우에, 기록 제어부(14)를 통하여, 압축 음악 데이터 기록부(13)에 선택 지시 신호를 공급한다. 압축 음악 데이터 기록부(13)는, 인코드 처리부(12)로부터 공급된 압축 음악 데이터를 기록 유지한다. 또한, 전술한 선택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압축 음악 데이터를 USB 단자(16), 반도체 메모리부(17) 또는 크래들부(18)에 공급한다. USB 단자(16)는, 접속된 USB 케이블을 통하여, 압축 음악 데이터를 후술하는 재생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부(17)는, 착탈이 자유로운 반도체 메모리에, 압축 음악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크래들부(18)는, 접속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는 스탠드형의 접속 기기이며, 압축 음악 데이터를 재생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크래들부(18)는, 접속된 재생 장치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고, 또한 그 재생 장치의 충전도 가능하다.
도5 는 도4 에 나타내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인코드 처리를 행하는 수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6 은 도4 에 나타내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인코드 처리 전후의 음악 소스의 선두 부분에 있어서의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7 은 도4 에 나타내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인코드 처리 전후의 음악 소스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의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인코드 처리부(12) 및 기록 제어부(14)는, 음악 소스 입력부(11)로부터 공급된 음악 데이터를 이하의 수순으로 인코드 처리한다. 맨 처음에, 기록 제어부(14)는, 음악 소스의 선두 위치보다 앞의 소정수의 샘플에 대하여, 도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음부를 부가하도록 인코드 처리부(12)를 제어한다(도5, 스텝S01). 무음 부의 부가는, 데이터 영역의 소정수의 샘플에 대하여 무효 데이터(제로)를 패딩(padding)하는 방법으로 행해진다. 또한, 이 무음부는 일반적으로 인코더 딜레이(encoder delay)로 불리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악 소스를 분할하여 관리하는 1개의 프레임은 1152개의 샘플을 포함한다. 또한, CD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의 경우에는 44100개의 샘플이 1초간의 데이터에 상당한다. 기록 제어부(14)는, 1프레임의 절반인 576개의 샘플에 대하여 제로를 패딩하도록 인코드 처리부(12)를 제어한다. 따라서, 인코드 처리 후의 선두의 프레임(1)에는, 선두 위치로부터 프레임 단위의 절반의 무음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록 제어부(14)는, 도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단위의 절반인 576개의 샘플을 중복시켜 프레임1, 2, 3…으로 순서대로 분할하도록 인코드 처리부(12)를 제어한다(도5, 스텝S02).
기록 제어부(14)는, 스텝(S02)에서 분할된 프레임 중에, 음악 소스의 말미 위치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도5, 스텝S03). 음악 소스의 말미 위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스텝(S02)으로 되돌아가서 음악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가 검출된 경우, 기록 제어부(14)는, 음악 소스의 말미 위치로부터 프레임 1개분에 못 미치는 나머지 샘플에 대하여, 제로를 패딩하도록 인코드 처리부(12)를 제어한다(도5, 스텝S04). 또한, 기록 제어부(14)는, 음악 소스의 최후부에 1프레임을 추가하고, 그 1프레임의 샘플에 제로를 패딩하도록 인코드 처리부(12)를 제어한다(도5, 스텝S05).
도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S04) 및 스텝(S05)의 인코드 처리 후, 무 음부가 부가된 파형 데이터가 된다. 예를 들면, 도7 에 나타내는 프레임(M)(M은 1 이상의 정수(整數))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가 검출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레임(M)의 유효 데이터를 포함하는 샘플수가 864개인 경우, 스텝(S04)에 있어서, 기록 제어부(14)는, 1프레임분의 나머지인 288개의 샘플에 대하여, 제로를 패딩하도록 인코드 처리부(12)를 제어한다. 추가로, 스텝(S05)에 있어서, 기록 제어부(14)는, 1프레임분의 1152개의 샘플에 대하여, 제로를 패딩하도록 인코드 처리부(12)를 제어한다. 따라서, 다음의 프레임(M+1)은, 유효 데이터를 포함하는 샘플이 288개, 무효 데이터를 포함하는 샘플이 864개가 된다. 또한, 최종 프레임(M+2)은 모두 무효 데이터가 된다. 최종 프레임(M+2)에 유효 데이터가 전혀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인접한 프레임을 이용한 MDCT 변환에 의한 압축 방식에 의해 인코드 처리하는 방법이라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여 소정의 무음부를 부가한 후, 기록 제어부(14)는, MDCT 변환 압축 방식에 의해 음악 소스를 인코드 처리하도록 인코드 처리부(12)를 제어한다(도5, 스텝S06). 스텝(S06)의 후, 인코드 처리를 종료하고, 압축 음악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 압축 음악 데이터는, 후술하는 디코드 처리 기능을 구비한 재생 장치에서 재생된다. 또한, 전술한 1개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샘플수나 제로를 패딩하는 개수 등은 달라도 좋은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재생 장치에 대해서, 도8 내지 도15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8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생 장 치(2)는, USB 단자(21)와,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와, 디코드 처리부(23)와, 재생 제어부(24)와, 재생 조작부(25)와, 버퍼 관리부(26)와, 문턱값 산출부(27)와, 파형 정형부(28)와, 버퍼(29)와, 음악 데이터 출력부(30)를 구비한다.
USB 단자(21)는, 도4 에 나타낸 기록 장치(1) 등에 의해 인코드 처리된 압축 음악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는 장치와, USB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는, USB 단자(21)를 통하여 전송되는 압축 음악 데이터를 격납한다. 또한,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는, 재생 제어부(24)를 통하여 재생 조작부(25)로부터 공급되는 재생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재생 대상곡의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부(23)에 공급한다. 또한, 재생 조작부(25)는, 유저의 지시에 의해 음악 재생이 선택된 경우에, 재생 제어부(24)를 통하여 재생 지시 신호를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에 공급한다.
디코드 처리부(23)는, 재생 제어부(24)의 제어에 의해,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로부터 공급된 압축 음악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행하고, 복호화된 음악 데이터(이후, 단순히 음악 데이터라고 함)를 생성하고, 이 음악 데이터를 버퍼 관리부(24)에 공급한다. 또한, 디코드 처리부(23)는, 현재의 재생 대상곡의 압축 음악 데이터(이후, 제1 압축 음악 데이터라고 함)의 디코드 처리가 종료하면, 디코드 처리한 현재의 재생 대상곡의 음악 데이터(이후, 제1 음악 데이터라고 말함)의 재생이 종료하기 전에, 다음의 재생 대상곡의 압축 음악 데이터(이하, 제2 압축 음악 데이터라고 함)의 디코드 처리를 개시하여, 다음의 재생 대상곡의 음악 데이터(이후, 제2 음악 데이터라고 함)를 생성한다.
버퍼 관리부(26)는, 재생 제어부(24)의 제어에 의해, 디코드 처리부(23)로부터 공급된 음악 데이터, 후술하는 문턱값 산출부(27)와 파형 정형부(28)에 의해 소정의 처리가 된 후의 음악 데이터를 버퍼(29)에 격납함과 함께, 버퍼(29)에 격납된 음악 데이터를 음악 데이터 출력부(30)에 공급한다.
문턱값 산출부(27)는, 재생 제어부(24)의 제어 및 버퍼 관리부(26)의 관리에 의해,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로부터 그 말미 위치보다 앞의 소정 구간에 있어서의 평균 진폭 레벨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 평균 진폭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 포함되는 무음부를 검출하기 위한 문턱값을 산출한다.
파형 정형부(28)는, 재생 제어부(24)의 제어 및 버퍼 관리부(26)의 관리에 의해, 후술하는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와,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제1 음악 데이터 및 제2 음악 데이터의 파형을 정형한다.
버퍼(29)는, 버퍼 관리부(26)의 관리에 의해, 디코드 처리부(23)로부터 공급된 음악 데이터 및, 무음부의 검출이나 파형 정형 등의 처리 후의 음악 데이터를 격납한다. 음악 데이터 출력부(30)는, 재생 제어부(24) 및 버퍼 관리부(26)의 제어에 의해, 버퍼(29)에 격납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 등의 출력 장치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생 장치(2)에서 무음부를 검출하여 재생하는 수순의 일 예를 도9 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록 장치(1)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음악 데이터는, USB 단자(21)를 통하여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에 공급된다.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는, 공급된 압축 음악 데이터를 격납한다. 또한, USB 단자(21)를 대신하여 크래들이나 반도체 메모리 등을 통하여,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에 압축 음악 데이터를 격납하는 재생 장치이어도 좋다.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는, 유저의 재생 지시에 의해 재생 조작부(25)로부터 재생 제어부(24)를 통하여, 재생 지시 신호가 공급되면, 그 재생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에 격납되어 있는 제1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부(23)에 공급한다(도9, 스텝S11).
다음으로, 재생 제어부(24)는, 공급된 제1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도록 디코드 처리부(23)를 제어한다(도9, 스텝S12). 디코드 처리부(23)는, 제1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여 제1 음악 데이터를 생성한다. 재생 제어부(24)는, 디코드 처리에 의해 생성된 제1 음악 데이터를 버퍼 관리부(26)에 공급하도록 디코드 처리부(23)를 제어한다. 버퍼(29)는, 버퍼 관리부(26)로부터 공급된 제1 음악 데이터를 격납한다.
재생 제어부(24)는, 제1 압축 음악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가 종료했는지 안 했는지를 판단한다(도9, 스텝S13). 디코드 처리가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S12)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13)에서 디코드 처리가 종료한 경우, 재생 제어부(24)는, 다음의 재생 대상곡이 되는 제2 압축 음악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도9, 스텝S14). 제2 압축 음악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한 후, 재생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S14)에서, 제2 압축 음악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재생 제어부(24)는,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에 격납되어 있는 제2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부(23)에 공급하도록 압축 음악 데이터 격납부(22)를 제어한다(도9, 스텝S15). 재생 제어부(24)는, 제2 압축 음악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개시하도록 디코드 처리부(23)를 제어한다(도9, 스텝S16). 디코드 처리부(23)는, 제2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여 제2 음악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음악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버퍼(29)는, 이 제2 음악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격납한다.
다음으로, 재생 제어부(24)는, 문턱값 산출부(27)에 있어서, 문턱값을 산출했는지 안 했는지를 판단한다(도9, 스텝S17). 문턱값을 산출하고 있는 경우, 스텝(S21)으로 진행한다. 문턱값을 산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 재생 제어부(24)의 제어 및 버퍼 관리부(26)의 관리에 의해, 문턱값 산출부(27)는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의 무음부를 검출하기 위한 문턱값을 산출한다(도9, 스텝S18).
도10a 는 제1 음악 데이터가 라이브반인 경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 문턱값을 산출하기 위한 평균 진폭 레벨 분석 구간과 무음부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S18)에 있어서, 문턱값은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재생 제어부(24)는, 버퍼 관리부(26)를 통하여, 버퍼(29)에 격납되어 있는 제1 음악 데이터를 읽어낸다. 다음으로, 재생 제어부(24)는,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로부터 그 말미 위치보다 앞의 소정 구간, 즉 도10a 에 나타내는 평균 진폭 레벨 분석 구간에 있어서, 평균 진폭 레벨을 산출한다. 또한, 평균 진폭 레벨은 진폭값의 절대값을 평균하여 산출한다. 재생 제어부(24)는, 이 평균 진폭 레벨에 기초하여, 문턱값을 산출하도록, 버퍼 관리부(26)를 통하여 문턱값 산출부(27)를 제어한 다.
또한, 도10a 에 나타내고 있는 라이브반의 경우의 무음부는, 도5 의 MDCT 변환을 이용한 인코드 처리에서 부가되는 것이지만, 이 무음부의 진폭은 MDCT 변환의 영향으로 미소한 노이즈 성분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무음부의 진폭값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진폭 레벨은, 유효 데이터를 갖는 부분의 진폭 레벨보다는 충분히 작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문턱값 산출부(27)는, 예를 들면 평균 진폭 레벨 분석 구간에 있어서 산출된 평균 진폭 레벨의 1/3의 값을 구하여 문턱값으로 한다. 또한, 이 무음부의 샘플수는, 프레임 1개 내지 2개 정도분이기 때문에, 시간폭으로 하여 수십 밀리 초 정도이다. 따라서, 평균 진폭 레벨 분석 구간은, 수십 밀리 초 이상 필요하다.
도10b 는 제1 음악 데이터가 통상반(normal disk)인 경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 문턱값을 산출하기 위한 평균 진폭 레벨 분석 구간과 무음부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통상반이란, 통상의 1곡마다 기록된 앨범 CD를 지칭하고 있다. 도1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반의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은, 도5 의 MDCT 변환을 이용한 인코드 처리에 의해 부가된 무음부 외에, 원래의 음악 소스 자체에 수십 밀리 초 정도의 무음부를 갖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이브반의 음악 데이터는, MDCT 변환을 이용한 인코드 처리에 의해 부가된 무음부를 제거하여 갭의 발생을 억제할 필요가 있고, 통상반의 음악 데이터는, 무음부를 제거하여 재생음이 부자연스럽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재생 제어부(24)는 평균 진폭 레벨이 유음(有音)으로 간주할 수 있는 소정의 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라이브반과 통상반의 음악 데이터를 식별한다. 그 때문에, 평균 진폭 레벨 분석 구간은, 라이브반의 음악 데이터의 경우에는 말미 부분의 유효 데이터를 갖는 부분이 필요하고 그리고 충분히 포함되고, 통상반의 음악 데이터의 경우에는 무음부만이 포함되는 시간폭으로 할 필요가 있고, 수백 밀리 초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라이브반의 음악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문턱값은 도1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값을 갖고, 한편, 통상반의 음악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문턱값은 도1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제로가 된다. 또한, 문턱값은 절대값이기 때문에, 도1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폭값이 정(正)의 방향과 부(負)의 방향으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재생 제어부(24)는, 문턱값 산출부(27)에서 산출된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도9, 스텝S19).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가 아닌 경우, 즉 라이브반의 음악 데이터로 생각되는 경우, 재생 제어부(24)는,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로부터 선두 위치로 향하여, 진폭 레벨이 문턱값 이상에서, 가장 말미 위치에 가까운 위치를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한다(도9, 스텝S20). 또한, 진폭 레벨과 문턱값은 모두 절대값이기 때문에, 진폭 레벨이 문턱값 이상의 경우란, 진폭값이 정의 방향과 부의 방향의 양자를 포함한다. 또한, 무음부란, 진폭 레벨이 문턱값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1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의 무음부를 검출하고, 이 무음부를 제거하여 재생 종료 위치로 하게 된다. 그리고, 재생 제어부(24)는, 버퍼 관리부(26)를 통하여, 이 검출된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 치를 나타내는 정보나 재생 종료 위치에서의 진폭 레벨 등의 정보를 버퍼(29)에 격납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스텝(S19)에 있어서,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즉 통상반의 음악 데이터로 생각되는 경우, 도10b 에 나타낸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의 무음부를 검출하여 제거하면 부자연스러운 재생음이 된다. 따라서, 재생 제어부(24)는,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는,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로 간주하고, 후술하는 스텝(S21)으로 진행한다.
다시, 도9 의 플로우 차트로 되돌아가면, 재생 제어부(24)는, 제2 음악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가 소정 시간 진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도9, 스텝S21). 소정 시간 진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S16)으로 되돌아간다. 소정 시간 진행하고 있는 경우,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도9, 스텝S22).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가 아닌 경우, 즉 라이브반의 음악 데이터로 생각되는 경우,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한다(도9, 스텝S23). 또한,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는, 재생 제어부(24)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와 연속적으로 이어서 재생할 수 있는 위치로서 검출된다.
스텝(S23)에 있어서,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즉 통상반의 음악 데이터로 생각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의 무음부를 검출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는,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로 하여, 스텝(S25)으로 진행한다. 또한, 통상반의 음악 데 이터의 선두 부분의 무음부도, 말미 부분의 무음부와 마찬가지로, MDCT 변환을 이용한 인코드 처리에 의해 부가된 무음부와 원래의 음악 소스 자체에 있는 무음부로 구성되어 있다.
스텝(S23)은, 스텝(S21)의 디코드 처리가 소정 시간분 진행된 후에 행한다. 이 이유는,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에 무음부가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디코드 처리가 일정 시간 진행되어 있지 않으면,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스텝(S23)에 있어서, 재생 제어부(24)는, 버퍼 관리부(26)를 통하여, 버퍼(29)에 격납되어 있는 제2 음악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가 끝난 부분을 읽어낸다. 그리고, 스텝(S18)에서 산출한 문턱값을 이용하여,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의 무음부를 검출한다.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과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은, 본래 파형이 이어져 있기 때문에 진폭 레벨에 큰 차이는 없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스텝(S23)에 있어서도 말미 부분에서 산출한 값과 동일한 문턱값을 이용한다.
재생 제어부(24)는,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2 음악 데이터의 위치를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제1 조건은, 진폭 레벨이 문턱값 이상이다. 제1 조건에 의해, MDCT를 이용한 인코드 처리에 의해 부가된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의 무음부가 검출되어 제거된다. 제2 조건은,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의 증감 방향과 동일 방향이다. 제3 조건은, 진폭 레벨이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 레벨에 대하여 미 리 정한 범위 내이다. 제2, 제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조건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전술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데이터 내의 위치를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또한,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의 검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퍼(29)에 격납되어 있는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 레벨이나 진폭의 증감 방향의 정보가 이용된다.
도11a 는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1b 는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의 진폭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1b 는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 제1∼제3 조건을 만족시키고,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11a 및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폭값이 부로부터 정이 되는 진폭의 증감 방향을 (+), 진폭값이 정으로부터 부가 되는 진폭의 증감 방향을 (-)로 한다. 도11a 및 11b 에 있어서,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에서의 진폭의 증감 방향은 (-)이다. 따라서, 재생 제어부(24)는,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 진폭 레벨이 문턱값 이하의 무음부를 제외하고, 진폭의 증감 방향이 (-)이고, 그리고 진폭 레벨이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양자의 진폭 레벨이 완전히 일치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2 음악 데이터의 진폭 레벨이, 미리 정한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에 있어서의 진폭 레벨의 1/2배∼2배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재생 제어부(24)는 양자를 동일하다고 간주한다. 재생 제어부(24)는, 이 검출된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버퍼 관리부(26)를 통하여, 버퍼(29)에 격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진폭 레벨을 동일하다고 간주하는 조건은, 다른 방법이어도 좋다.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 전술한 제1∼제3 조건에 더하여, 이하의 제4 조건을 만족시키고,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데이터 내의 위치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 하여도 좋다. 제4 조건은,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에 있어서의 파형의 기울기가,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파형의 기울기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이다.
도12a 는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의 파형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2b 는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의 파형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2a 및 12b 에 있어서,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에서의 진폭의 증감 방향은 (-)이고, 파형의 기울기의 값은 (a)이다. 따라서, 재생 제어부(24)는,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 문턱값 이하의 무음부를 제외하고, 진폭의 증감 방향이 (-)이고, 진폭 레벨이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그리고 진폭의 증감의 기울기의 값(b)이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한다.
파형의 기울기에 대해서도, 진폭 레벨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파형의 기울기의 값(b)이, 미리 정한 제1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재생 종료 위치의 파형의 기울기의 값(a)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재생 제어부(24)는 양자를 동일하다고 간주한다. 또한,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파형의 기울기란, 그 위치와 앞의 위치의 2점 사이의 증감의 기울기이어도 좋고, 소정수의 샘플 사이에서의 증감의 기울기로 하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S23)에 의해 검출된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에 있어서의 진폭 레벨과,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에 있어서의 진폭 레벨은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실제는 음악 데이터 내의 유효 데이터를 갖는 부분을 잘못하여 무음부로 판단할 가능성도 있다. 그 때문에, 스텝(S23)의 처리 후, 재생 제어부(24)는,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와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제1 음악 데이터와 제2 음악 데이터의 곡 간의 파형 정형 처리를 행하도록, 버퍼 관리부(26)를 통하여 파형 정형부(28)를 제어한다(도9, 스텝S24).
도13a 는 제1 음악 데이터와 제2 음악 데이터의 파형 정형 처리 후의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13b 는 제1 음악 데이터와 제2 음악 데이터의 파형 정형 처리 후의 파형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S24)에 있어서, 재생 제어부(24)는, 버퍼 관리부(26)로부터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와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의 진폭 레벨 등의 정보를 수취한다.
도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와 제2 음 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를 이음 부분의 위치로 하여,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을 페이드아웃 시키고,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을 페이드인 시킨다. 청각상 자연스럽게 되도록, 페이드아웃, 페이드인 모두 수 밀리 초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3a 에 있어서, 페이드아웃 및 페이드인은 모두 50개의 샘플에 대해서 행하고 있다.
또한, 도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드아웃과 페이드인의 이음 부분의 진폭 레벨은 무음을 나타내는 레벨(제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음 부분에서 부자연스러운 재생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재생 제어부(24)는, 스텝(S24)에 있어서의 파형 정형 처리 후의 페이드아웃 및 페이드인의 파형 데이터를, 버퍼 관리부(26)를 통하여 버퍼(29)에 격납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과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을 재생할 때에는, 스텝(S24)에서 파형 정형 처리를 한 데이터를 이용한다.
스텝(S24)의 처리 후,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까지 재생이 종료했는지 안 했는지를 판정한다(도9, 스텝S25).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까지 재생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 다시 스텝(S24)으로 되돌아간다.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까지 재생이 종료한 경우, 재생 제어부(24)는, 버퍼 관리부(26)를 통하여, 버퍼(29)에 격납되어 있는 제2 음악 데이터를 순서대로 읽어내어 음악 데이터 출력부(30)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음악 데이터 출력부는, 제2 음악 데이터를 스피커 등의 출력 장치에 공급하여 재생한다(도9, 스텝S26).
이후, 재생 제어부(24)는, 스텝(S12)으로 되돌아가, 제2 음악 데이터를 제1 음악 데이터에 치환하여 재생하고, 압축 음악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가 끝나지 않은 부분을 디코드 처리하여,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도14 는 도9 에 나타낸 플로우 차트에 따라, 라이브반의 제1 및 제2 음악 데이터의 곡 간의 무음부를 제거한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15 는 제1 음악 데이터 및 제2 음악 데이터를 직접 이은 경우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15 와 비교하여, 도14 는 곡 간의 무음부가 제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재생 장치(2)는, 라이브반의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무음부를 검출하여 제거함으로써, 갭의 발생을 억제하여 재생음이 부자연스럽게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6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51)는, 도4 에 나타내는 기록 장치(1)와, 도8 에 나타내는 재생 장치(2)를 일체화한 것이다. 도16 에 있어서, 도4 또는 도8 과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는 구성 요소는, 도4 또는 도8 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조작부(52)는, 도4 에 나타내는 기록 조작부(15)와, 도8 에 나타내는 재생 조작부(25)의 양자의 기능을 겸비한다. 제어부(53)는, 도4 에 나타내는 기록 제어부(14)와 도8 에 나타내는 재생 제어부(24)의 양자의 기능을 겸비한다. 도16 에 나타내는 기록 재생 장치(51)와 같이, 기록 장치(1), 재생 장치(2)를 일체화하여도 전술한 바와 같은 도9 에 나타낸 플로우 차트에 의해, 곡 간에 있어서 음이 끊기는 갭의 발생을 억제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보다 앞의 소정 구간에 있어서의 평균 진폭 레벨을 이용하여,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 및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의 무음부를 검출한다. 곡끼리가 이어져 있는 라이브반의 음악 소스의 경우는, 이 무음부를 제거하여 재생함으로써, 곡 간에 있어서의 음의 끊김을 억제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곡마다 구성된 통상반의 음악 소스의 경우는, 이 무음부를 제거하는 일이 없이, 통상의 자연스러운 음으로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재생 장치는, 라이브반과 통상반의 차이를 수동으로 바꾸는 일이 없이 자동적으로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부담이 적은 장치이다.
본 발명의 재생 장치는,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나 외부 서버 등의 기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접속한 경우에, 음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휴대전화나 퍼스널 컴퓨터 등에 적용 가능하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인코드 처리 전후의 음악 소스의 선두 부분에 있어서의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 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인코드 처리 전후의 음악 소스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의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 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앞의 재생곡과 다음의 재생곡을 크로스페이드 시킨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5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장치에서 행해지는 인코드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장치에서 행해지는 인코드 처리 전후의 압축 음악 데이터의 선두 부분에 있어서의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장치에서 행해지는 인코드 처리 전후의 압축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의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9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재생 장치에서 행해지는, 무음부를 제거하여 재생하는 순서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10a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음악 데이터가 라이브반인 경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 문턱값을 산출하기 위한 평균 진폭 레벨 분석 구간과 무음부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0b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음악 데이터가 통상반인 경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 문턱값을 산출하기 위한 평균 진폭 레벨 분석 구간과 무음부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1a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1b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의 진폭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2a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음악 데이터의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2b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의 진폭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및 제2 음악 데이터의 파형 정형 처리 후의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3b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및 제2 음악 데이터의 파형 정형 처리 후의 파형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4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재생 장치에 있어서, 도6 에 나타낸 플로우 차트에 따라, 라이브반으로부터 얻어지는, 제1 및 제2 음악 데이터의 곡 간의 무음부를 제거한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5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재생 장치에 있어서, 라이브반의 제1 및 제2 음악 데이터를 직접 이은 파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16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Claims (18)

  1. 재생 대상곡의 압축 음악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코드 처리하는 디코드 수단과,
    상기 디코드 수단에 의해 제1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의 소정 구간에 있어서의 평균 진폭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평균 진폭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의 무음부(無音部)를 검출하기 위한 문턱값을 산출하는 문턱값 산출 수단과,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문턱값 산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상기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하는 재생 종료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디코드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압축 음악 데이터의 다음의 재생 대상곡인 제2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2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의 근방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재생 개시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까지 재생한 후,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개시 위치로부터 재생을 행하는 재생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개시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의 증감 방향과 동일 방향의 데이터 부분이고, 그리고 진폭 레벨이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 레벨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개시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가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재생 종료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문턱값이 상기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를 상기 제 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하고,
    상기 재생 개시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문턱값이 상기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개시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 이전의 소정 구간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개시 위치 이후의 소정 구간의 파형을 정형(整形)하는 파형 정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정형 수단은,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를 잇는 위치에서의 진폭 레벨을 무음을 나타내는 레벨로 하여 파형을 정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7. 재생 대상곡의 압축 음악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과,
    상기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에 의해 제1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의 소정 구간에 있어서의 평균 진폭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평균 진폭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의 무음부를 검출하기 위한 문턱값을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문턱값을 산출하는 스텝에 의해 얻어진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상기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에 의해 상기 제1 압축 음악 데이터의 다음의 재생 대상곡인 제2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2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의 근방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까지 재생한 후,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개시 위치로부터 재생을 행하는 재생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의 증감 방향과 동일 방향의 데이터 부분이고, 그리고 진폭 레벨이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진 폭 레벨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가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상기 판별하는 스텝에 의해 상기 문턱값이 상기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를 상기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하고,
    상기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상기 판별하는 스텝에 의해 상기 문턱값이 상기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개시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 이전의 소정 구간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개시 위치 이후의 소정 구간의 파형을 정형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을 정형하는 스텝은,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를 잇는 위치에서의 진폭 레벨을 무음을 나타내는 레벨로 하여 파형을 정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13. 재생 대상곡의 압축 음악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과,
    상기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에 의해 제1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의 소정 구간에 있어서의 평균 진폭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평균 진폭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부분에 있어서의 무음부를 검출하기 위한 문턱값을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문턱값을 산출하는 스텝에 의해 얻어진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에 가장 가까 운 위치를 상기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디코드 처리하는 스텝에 의해 상기 제1 압축 음악 데이터의 다음의 재생 대상곡인 제2 압축 음악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한 제2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문턱값 이상의 진폭 레벨에서,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의 근방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까지 재생한 후,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개시 위치로부터 재생을 행하는 재생 스텝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의 증감 방향과 동일 방향의 데이터 부분이고, 그리고 진폭 레벨이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진폭 레벨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가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파형의 기울기에 대하여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값이 소정의 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상기 판별하는 스텝에 의해 상기 문턱값이 상기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말미 위치를 상기 제1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하고,
    상기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은, 상기 판별하는 스텝에 의해 상기 문턱값이 상기 소정의 값 이하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선두 위치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의 상 기 재생 개시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 이전의 소정 구간과, 상기 제2 음악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개시 위치 이후의 소정 구간의 파형을 정형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을 정형하는 스텝은, 상기 제1 음악 데이터와 상기 제2 음악 데이터를 잇는 위치에서의 진폭 레벨을 무음을 나타내는 레벨로 하여 파형을 정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09437A 2007-01-30 2008-01-30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24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9419 2007-01-30
JPJP-P-2007-00019419 2007-01-30
JPJP-P-2007-00337815 2007-12-27
JP2007337815A JP4973492B2 (ja) 2007-01-30 2007-12-27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再生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516A KR20080071516A (ko) 2008-08-04
KR100924731B1 true KR100924731B1 (ko) 2009-11-04

Family

ID=3978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437A KR100924731B1 (ko) 2007-01-30 2008-01-30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4223B2 (ko)
EP (1) EP1953751A3 (ko)
JP (1) JP4973492B2 (ko)
KR (1) KR100924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3601B2 (en) * 2007-03-22 2010-05-25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buffer management for processing audio files
US20100063825A1 (en) * 2008-09-05 2010-03-1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mory Management and Crossfading in an Electronic Device
US8553504B2 (en) * 2008-12-08 2013-10-08 Apple Inc. Crossfading of audio signals
US9942593B2 (en) * 2011-02-10 2018-04-10 Intel Corporation Producing decoded audio at graphics engine of host processing platform
JP6005910B2 (ja) * 2011-05-17 2016-10-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音響装置
JP5907227B1 (ja) * 2014-09-22 2016-04-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楽音制御装置、楽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17279B1 (en) * 2015-12-07 2019-09-17 Amazon Technologies, Inc. Customized cross fades for continuous and seamless playba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1133A (ja) * 1993-12-28 1995-08-04 Advance Co Ltd 音声信号処理装置
JP2003157664A (ja) * 2001-11-20 2003-05-30 Kenwood Corp 曲間検出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7599A (en) * 1980-12-10 1982-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ystem of detecting final end of each voice section
US4376874A (en) * 1980-12-15 1983-03-15 Sperry Corporation Real time speech compaction/relay with silence detection
JPS6146999A (ja) * 1984-08-10 1986-03-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音声始端決定装置
JP3413862B2 (ja) * 1993-02-12 2003-06-09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区間検出方法
WO1998041978A1 (fr) * 1997-03-19 1998-09-24 Hitachi, Ltd. Procede et dispositif destines a detecter des points de depart et de terminaison d'une section son dans une sequence video
JPH11306737A (ja) * 1998-04-17 1999-11-05 Nippon Columbia Co Ltd 音響再生装置
JP3901475B2 (ja) * 2001-07-02 2007-04-04 株式会社ケンウッド 信号結合装置、信号結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39598B2 (ja) * 2001-08-10 2011-08-0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音楽データ再生装置
US7161887B2 (en) * 2001-11-13 2007-01-09 Dige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digital data from a medium
JP2004093729A (ja) 2002-08-30 2004-03-25 Alpine Electronics Inc 音楽データ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1133A (ja) * 1993-12-28 1995-08-04 Advance Co Ltd 音声信号処理装置
JP2003157664A (ja) * 2001-11-20 2003-05-30 Kenwood Corp 曲間検出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3751A3 (en) 2008-12-17
JP4973492B2 (ja) 2012-07-11
EP1953751A2 (en) 2008-08-06
US7714223B2 (en) 2010-05-11
US20080289479A1 (en) 2008-11-27
KR20080071516A (ko) 2008-08-04
JP2008209903A (ja)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731B1 (ko)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7987327B2 (en) Backup system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storing backup data based on data quality
JP5368988B2 (ja) 音楽再生装置、音楽再生方法、音楽再生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JP2006221714A (ja) 符号化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4256331B2 (ja) 音声データエンコード装置および音声データデコード装置
US20080147218A1 (e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2004093729A (ja) 音楽データ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4990375B2 (ja) 記録再生装置
JP4256332B2 (ja) 音声データエンコード装置および音声データデコード装置
JP4588626B2 (ja) 楽曲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39598B2 (ja) 音楽データ再生装置
JP4934990B2 (ja) 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2002109824A (ja) ディジタル音声信号の記録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7279241A (ja) 復号処理装置
JP4765460B2 (ja) 音声符号化装置および音声符号化方法
JP2011209412A (ja) 圧縮装置、圧縮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4254960B2 (ja) 音声データエンコード装置および音声データ再生装置
KR101744912B1 (ko) 라디오 녹음 모듈 및 방법
JP4284601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123225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4977777B2 (ja) 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並びに符号化用プログラム
JP4787131B2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並びにオーディオ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オーディオ記録装置、オーディオ記録方法
JP2010039122A (ja) 記録再生装置
JP2011013620A (ja) 音声編集方法及び装置
JP2009020922A (ja) 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