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630B1 - LH 및 FSH의 조합 작동 활성을 갖는 글리신 치환된티에노[2,3-d]피리미딘 - Google Patents

LH 및 FSH의 조합 작동 활성을 갖는 글리신 치환된티에노[2,3-d]피리미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630B1
KR100891630B1 KR1020047003096A KR20047003096A KR100891630B1 KR 100891630 B1 KR100891630 B1 KR 100891630B1 KR 1020047003096 A KR1020047003096 A KR 1020047003096A KR 20047003096 A KR20047003096 A KR 20047003096A KR 100891630 B1 KR100891630 B1 KR 100891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pyrimidine
thieno
phenyl
but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135A (ko
Inventor
한센로버트게라드줄스마리
티머스코넬리스마리우스
켈더얀
Original Assignee
엔.브이.오가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오가논 filed Critical 엔.브이.오가논
Publication of KR2004002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06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anterior pituitary hormones, e.g. TSH, ACTH, FSH, LH, PRL, G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06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anterior pituitary hormones, e.g. TSH, ACTH, FSH, LH, PRL, GH
    • A61P5/0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anterior pituitary hormones, e.g. TSH, ACTH, FSH, LH, PRL, GH for decreasing, blocking or antagonising the activity of the anterior pituitary hormone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docri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Diabet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글리신 치환된 티에노[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4008527303-pct00016
상기 식에서,
X는 O 또는 H,H이고;
A는 S, NH, N(R6), O 또는 결합이며;
R1은 (1-4C)알킬, (2-4C)알케닐, 페닐 또는 (2-5C)헤테로아릴이고,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는 경우에 따라 히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아미노 또는 (1-4C)(디)알킬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중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R2는 H, (1-4C)알킬, (1-4C)알콕시(2-4C)알킬 또는 히드록시(2-4C)알킬이며;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시(1-4C)알킬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R5는 H 또는 (1-4C)알킬이며;
R6은 R1에 대해 개시한 바와 동일한 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LH와 FSH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모두 갖으며, 생식력 조절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LH 및 FSH의 조합 작동 활성을 갖는 글리신 치환된 티에노[2,3-d]피리미딘{GLYCINE-SUBSTITUTED THIENO[2,3-d]PYRIMIDINES WITH COMBINED LH AND FSH AGONISTIC ACTIVITY}
본 발명은 당단백질 호르몬 작동 활성을 갖는 화합물, 구체적으로 황체형성 호르몬(LH) 및 난포 자극 호르몬(FSH) 작동 활성을 모두 갖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과 의학적 치료에 있어서 이들 화합물의 용도, 특히 생식력 조절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생식선자극호르몬은 대사, 체온 조절 및 생식 과정을 비롯한 각종 신체 기능에 있어서 중요한 작용을 한다. 뇌하수체 생식선자극호르몬 FSH 및 LH는, 예를 들어 난포 발생과 성숙을 자극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는 반면에, LH는 배란 과정 유도에 관여한다(Sharp, R.M. Clin. Endocrinol 33:787-807, 1990; Dorrington and Armstrong, Recent Prog. Horm. Res 35: 301-342, 1979; Levy et al, Human Reproduction 15:2258-2265, 2000).
현재, 무배란 불임 여성에서의 난소 자극, 즉 체외 수정(IVF)을 위한 난소 과다자극과 배란 유도를 위해(Insler, V., Int. J. Fertility 33:85-97, 1988, Navot 및 Rosenwaks, J. Vitro Fert. Embryo Transfer 5:3-13, 1988), 그리고 남성 생식선저하증 및 남성 불임을 위해 LH를 FSH와 병용하여 임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생식선자극호르몬은 난소 및 고환의 분화 및 스테로이드형성을 개시하는 특정 생식선 세포 종류에 작용한다. 이들 뇌하수체 및 태반 호르몬의 작용은 G-단백질이 커플링된 수용체의 거대군 중 그 구성원인 특이적 혈장막 수용체에 의해 매개된다. 이들은 7개의 경막 도메인과 단일 폴리펩티드로 구성되며 Gs 단백질과 상호작용할 수 있어서, 아데닐 시클라제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치료 목적의 생식선자극호르몬은 인간의 뇨 공급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그 순도는 낮다(Morse et al, Amer. J. Reproduct. Immunol. and Microbiology 17:143, 1988). 대안적으로, 이들 호르몬은 재조합 생식선자극호르몬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단백질 외에도, 생식선자극호르몬 수용체는 합성 저분자량 화합물에 의해 활성화 또는 탈활성화될 수 있다. 이환식 헤테로방향족 화합물은 WO00/61586호에 개시되어 있다. 시험관내 및 생체내 실험에 의해, 이들 화합물이 LH 작동제로서 유용한 것이 확인되었다.
정상 여성에서, 뇌하수체 LH 및 FSH의 방출 특징은 배란에 앞서 월경중기 폭발(surge)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배란은 3가지 특징적인 생리 현상, 즉 난모세포 성숙, 난포 파열 및 황체화를 특징으로 한다. 이들 현상의 시험관내 유도에 있어서 LH-폭발의 역할에 대해서는 이의가 없지만, FSH-폭발의 역할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FSH는, 히포크산틴이 유도하는 감수분열 정지를 긍정적으로 해소하는 인자를 난모세포 더미가 생성하도록 하여 시험관내 난모세포 성숙을 유도한다는 것 이 최근에 밝혀졌다(Lu et al, Mol. Cell. Endocrinol. 164:191-196, 2000). 이 인자는 감수분열 활성화 스테롤(MAS)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LH 활성을 나타내는 저 분자량 화합물을 제공한다. 예상외로, 이들 화합물은 LH 활성 외에도 FSH 활성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들 화합물은 피리미딘 고리의 4번 위치가 페닐기로 치환되고, 이 페닐기는 메타 위치에서 치환된 티에노[2,3-d]피리미딘이다. 치환기는 3원자 스페이서(NH-C(O)-CH2)를 포함하며, 이들은 치환된 아미노기로 추가로 작용화된다. 일반적으로 이 화합물은 다양한 정도로 FSH 작동 활성을 갖지만, 일반적으로 LH 작동 활성보다는 낮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글리신 치환된 티에노[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01
상기 식에서,
X는 O 또는 H,H이고;
A는 S, NH, N(R6), O 또는 결합이며;
R1은 (1-4C)알킬, (2-4C)알케닐, 페닐 또는 (2-5C)헤테로아릴이고,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는 경우에 따라 히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아미노 또는 (1-4C)(디)알킬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중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R2는 H, (1-4C)알킬, (1-4C)알콕시(2-4C)알킬 또는 히드록시(2-4C)알킬이며;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1-4C)알킬 및 히드록시(1-4C)알킬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R5는 H 또는 (1-4C)알킬이다.
R6은 R1에 대해 개시한 바와 동일한 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정의 부분에 사용된 용어 (1-4C)알킬은 탄소 원자가 1∼4개인 분지 또는 미분지의 알킬기를 의미하며,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또는 t-부틸 등이 있다.
화학식 I의 정의 부분에 사용된 용어 (2-4C)알케닐은 탄소 원자가 2∼4개인 분지 또는 미분지의 알케닐기를 의미하며, 비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1-메틸-비닐, 1-부테닐, 2-부테닐, 3-부테닐, 2-메틸-1-프로페닐, 2-메틸-2-프로페닐, 1-메틸-1-프로페닐, 1-에틸-비닐 등이 있다.
용어 (1-4C)알콕시(1-4C)알킬은 탄소 원자가 1∼4개인 알킬기가 산소 원자를 통하여 탄소 원자가 1∼4개인 다른 알킬기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알킬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용어 (1-4C)알콕시(2-4C)알킬은 탄소 원자가 1∼4개인 알킬기가 산소 원자를 통하여 탄소 원자가 2∼4개인 다른 알킬기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알킬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용어 히드록시(1-4C)알킬은 탄소 원자가 1∼4개인 알킬기에 히드록실기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알킬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용어 히드록시(2-4C)알킬은 탄소 원자가 2∼4개인 알킬기에 히드록실기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알킬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용어 (1-4C)(디)알킬아미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소 원자가 1∼4개인 하나 또는 두개의 알킬기가 질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2-5C)헤테로아릴은, 탄소 원자가 2∼5개이고 적어도 N, O 및/또는 S에서 선택된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치환된 방향족기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미다졸릴, 티에닐, 푸릴 또는 피리딜 등이 있다.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LH 및 FSH 작동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다. 인간 LH 또는 FSH 수용체로 각각 적절히 형질감염시킨 CHO 세포를 이용한 시험관내 생검에서, LH 수용체에 대한 EC50은 5.10-8 M 미만인 것으로 밝혀진 반면에, FSH 수용체에 대한 EC50은 10-5 M 미만이었다. 통상적으로, FSH 활성 범위는 LH 작동제 자극 활성의 약 1%∼약 10%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티에노[2,3-d]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생식력 제어,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란 유도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티에노[2,3-d]피리미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LH 및 FSH 수용체를 모두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식력에 문제가 있는 여성을 치료하는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티에노[2,3-d]피리미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키랄 탄소 원자를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순수한 키랄 화합물로서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및/또는 에난티오머의 혼합물로서 얻을 수 있다. 순수한 키랄 화합물을 얻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결정화법 또는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이 있다.
치료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은 반대이온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화학식 I의 염기의 산부가염을, 예컨대 약학적 허용 화합물의 제조 또는 정제에 사용할 수 있다. 약학적 허용 여부와 관련 없이 모든 염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산 부가염의 예는 염산, 인산, 황산 등과 같은 무기산, 바람직하게는 염산으로부터 유도된 것과, 구연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락트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글리콜산, 숙신산 등의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언급하고 있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에 대한 적절한 투여 경로는 근육내 주사, 피하 주사, 정맥내 주사 또는 복강내 주사, 경구 및 비강내 투여 등이 있다.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는 것이 좋다. 활성 성분 또는 이의 약학 조성물의 정확한 투여량 및 투여법은 실현하고자 하는 치료 효과(불임 치료; 피임)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구체적인 화합물, 투여 경로, 약제를 투여하고자 하는 개별 피험체의 연령 및 증상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경구 투여법에서는 흡착에 더욱 의존하는 다른 투여법에 비하여 소량을 투여해도 된다. 그러나, 인간에 대한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체중 1 kg당 0.0001∼25 ㎎이다. 목적하는 용량을 1회 용량으로서 또는 해당일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투여되는 복수회 분할용량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여성 수용체의 경우에는, 난포 지지를 위한 월경 주기를 통해서 매일 적절한 간격을 두고 투여하거나 또는 배란 유도용 1회 용량으로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량 및 투여법은 여성 수용체와 남성 수용체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IVF 응용예에서와 같은 시험관내 또는 생체외 응용예의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 0.01∼5 ㎍/㎖의 농도로 배양 배지 중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학적 허용 보조제와 함께 화학식 I의 티에노[2,3-d]피리미딘 화합물과, 경우에 따라 다른 치료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조제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 있어야 하고 수용체에게 무해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허용가능"해야 한다.
약학 조성물은 경구, 직장, 비강, 국소(예, 경피, 협측 및 설하), 질내 또는 비경구(예, 피하, 근육내, 정맥내 및 피내) 투여용으로 적절한 것들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약학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문헌[Gennaro et al.,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1990, see especially Part 8: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Their Manufacture)]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활성 성분을 임의의 보조제와 함께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조 성분이라고 불리우는 보조제(들)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것들(Gennaro, 상기 문헌 참조), 예컨대 충전제, 결합제, 희석제, 붕해제, 윤활제, 착색제, 착향제 및 습윤제 등을 포함한다.
경구 투여용으로 적절한 약학 조성물은 환제, 정제 또는 캡슐과 같은 분리형 용량 단위로서, 산제 또는 과립으로서, 또는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환괴 또는 페이스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조성물은 직장 투여용 좌약 또는 관장제로 추가 가공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용으로 적절한 조성물은 수성 및 비수성 멸균 주사를 포함한다. 조성물을 단위 용량 또는 다회 용량 용기, 예컨대 밀봉된 병과 앰플에 제공하고, 멸균 액체 담체를 첨가하기만 하면 되는, 예컨대 사용 전에 물을 붓기만 하면 되는 동결 건조된(동결건조)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비강 흡입 투여에 적절한 조성물 또는 조제물은 용량 계량형 가압 에어로졸, 네블라이저 또는 취입기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미세 가루 또는 분무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티에노[2,3-d]피리미딘 화합물은 방출 속도를 제어하는 막으로 둘 러싸이고 활성 물질의 코어로 구성된 이식용 약학 디바이스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이식체는 피하 또는 국소 적용되며, 비교적 오랫 동안, 예를 들어 수주 내지 수년 동안 대략 일정한 속도로 활성 성분을 방출한다. 이식용 약학 디바이스의 제조를 위한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유럽 특허 0,303,306호(악조 엔.브이)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천연 LH와 동일한 임상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장점은 이들 화합물이 FSH 활성을 보유하고, 변경된 안정성을 나타내며, 다르게 투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THF와 같은 적절한 용매 중에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같은 3급 염기의 존재 하에 실온에서 Q가 Cl 또는 Br인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화학식 III의 아민을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아민 다수가 시판되고 있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02
Q가 Cl 또는 Br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같은 3급 염기의 존재 하에 디클로로메탄 또는 THF와 같은 적절한 용매 중에서 화학식 V-a의 메타 아닐린 유도체를 Q가 Cl 또는 Br인 아실 클로라이드 타입(IV)으로 위치 선택적(regioselective) 아실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03
화학식 V의 화합물은, 금속(Pd/Pt) 촉매의 존재 하에 수소와 같은 적절한 환원제를 사용하여 화학식 VI의 유도체에서 니트로 작용기를 공지된 방법으로 환원시켜 얻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환원 방법은 문헌[P.M. Carabateas, P.R. Brundage, K.O. Gelotte, M.D. Gruett, R.R. Lorenz, J. Heterocycl. Chem. 21, 1849 (1984)]에 개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고온에서 염산의 존재 하에 에탄올과 같은 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염화주석(III)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J. Heilbron, J. Chem. Soc, 1279 (1940)).
Figure 112004008527303-pct00004
화학식 VI의 티에노피리딘은,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BTU) 또는 브로모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rOP)와 같은 커플링제 및 3급 염기(예,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 민)의 영향 하에 카르복실산(VII)을 t-부틸 아민과 축합시켜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05
상응하는 에틸 에테르(VIII)의 카르복실산(VII)으로의 비누화는 고온(80℃∼환류 온도)에서 수성 디옥산 중 수산화리튬,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발생한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06
화학식 VIII의 이환식 시스템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작용 하에 화학식 X의 염화물을 에틸 머캅토아세테이트로 치환한 다음, 염기가 촉매하는 중간체 티오에테르(IX)의 고리 폐쇄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티에노[2,3-d]피리미딘 고리 형성 방법은 문헌[S.A. Abdel-Hady, M.A. Badawy, Y.A. Ibrahim, Sulfur Lett. 9, 101 (1989) 및 S. Tumkevicius, Liebigs Ann., 1703 (1995)]에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07
고리화 반응을 위한 적절한 조건은 환류 온도에서 톨루엔/에탄올(1/1, v/v) 중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에탄올 중의 나트륨 에톡시드이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08
화학식 X의 화합물은, 예컨대 문헌[A.A. Santilli, D.H. Kim and S.V. Wanser, J. Heterocycl. Chem. 8, 445, 197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서 합성할 수 있다. 전형적인 실험에서는, 화학식 XI의 아미드를 고온(80℃∼환류 온도)에서 POCl3로 처리한다. 반응 혼합물에 적절한 용매, 예컨대 디옥산을 첨가하고, 및/또는 PCl5 또는 N,N-디메틸아닐린을 첨가하면 반응 시간이 단축되고 염화물(X)의 수율이 높아질 수 있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09
화학식 XI의 락탐 형성을 위한 일반적인 경로는 에틸 시아노아세테이트를 3-니트로-벤즈알데히드 및 화학식 XII의 화합물과 축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화학식 XII의 화합물은 이소티오우레아(XII-a), 이소우레아(XII-b), 단일치환된 구아니딘(XII-c), 2치환된 구아니딘(XII-d) 또는 아미딘(XII-e)일 수 있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10
전형적인 실험에서는 에틸 시아노아세테이트, 3-니트로벤즈알데히드 및 유도체(XII)를 적절한 용매, 예컨대 에탄올, 메탄올,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디논,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피리딘에 현탁시키고, 탄산칼륨, 아세트산나트륨, 나트륨 메톡시드 또는 나트륨 에톡시드와 같은 염기를 첨가한다. 반응은 고온(70℃∼환류 온도)에서 일어난다. 여과 후에, 잔류물을 물에 넣고 산성화(pH2)시킨 후에, 생성물(XI)이 침전된다(S. Kambe, K. Saito and H. Kishi, Synthesis, 287 (1979); A.M. Abd-Elfattah, S.M. Hussain and A.M. El-Reedy, Tetrahedron 39, 3197 (1983); S.M. Hussain, A.A. El-Barbary and S.A. Mansour, J. Heterocycl. Chem. 22, 169 (1985)).
Figure 112004008527303-pct00011
또는,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A=N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XIV의 아민 친핵성 화합물과의 친핵 치환반응을 통해 화학식 XIII의 설폭시드 유도체로부터 제 조할 수 있다. 이 반응은 1,4-디옥산과 같은 적절한 용매 중에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같은 3급 염기의 존재 하에 고온에서 실시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12
유사하게, 화학식 I-b로 표시되는 A=O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XV의 알콕시드 친핵성 화합물과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해 화학식 XIII의 설폭시드 유도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은 과량의 알코올 R1-OH와 칼륨 t-부톡시드의 존재 하에 실시된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13
화학식 XIII의 설폭시드 유도체는 화학식 I-c로 표시되는 R1=Me이고 A=S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산화시켜 얻을 수 있다. 산화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중에서 3-클로로벤조산에 의해 실시된다. 용매의 산성 특성은 5-아미노기의 상응하는 5-니 트로소 유도체로의 산화를 억제한다.
Figure 112004008527303-pct00014
생식선자극호르몬의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는 시험관내 및 생체내 분석 뿐 아니라 수용체 결합을 측정하는 방법도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발현된 수용체를 시험하고자 하는 화합물과 접촉시키고, 작용 반응의 자극 또는 억제 또는 결합을 측정한다.
작용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서 LH 또는 FHS 수용체 유전자, 바람직하게는 인간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분리된 DNA를 적절한 숙주 세포 중에서 발현시킨다. 이러한 세포는 중국산 햄스터 난소 세포일 수 있지만, 다른 세포도 적절하다. 세포는 포유류 기원인 것이 좋다(Jia et al, Mol.Endocrin., 5:759-776, 1991).
재조합 LH 또는 FSH 발현 세포주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latest edition). 수용체의 발현은 목적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의 발현에 의해 실현된다. 부위 지정 돌연변이 유발, 부가 서열의 결찰, PCR 및 적절한 발현계의 구성을 위한 기술은 모두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목적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의 전부 또는 일부는 표준 고상 기법으로 합성하여, 바람직하게는 용이하게 결찰시키기 위한 제한 부위를 포함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포함된 암호 서열의 전사 및 번역을 위한 적절한 제어 성분이 DNA 암호 서열에 제공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박테리아와 같은 원핵 숙주와 효모, 식물 세포, 곤충 세포, 포유류 세포, 조류 세포 등과 같은 진핵 숙주를 비롯한 각종 숙주에 대해 적합한 발현계가 현재 이용가능하다.
그 다음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시험 화합물과 접촉시켜 작용 반응의 자극이나 억제 또는 결합을 관찰한다.
대안적으로, 발현된 수용체를 포함하는 분리된 세포막을 사용하여 화합물의 결합을 측정할 수 있다.
결합을 측정하기 위해서, 방사성 또는 형광성 표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기준 화합물로서 인간 재조합 LH 또는 FSH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경쟁 결합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분석 방법은 수용체 매개된 cAMP 축적의 자극을 측정하여 LH 또는 FSH 수용체 작동 화합물에 대해 스크리닝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그러한 방법은 숙주 세포의 세포 표면 상에 수용체를 발현시킨 다음 그 세포를 시험 화합물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 다음 cAMP의 양을 측정한다. 시험 화합물이 수용체에 결합할 때 이 시험 화합물의 억제 또는 자극 효과에 따라서 cAMP의 양이 감소 또는 증가된다.
예컨대 노출된 세포 중의 cAMP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 외에도,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DNA로 형질감염시킨 후에, 발현량이 cAMP 농도에 반응하는 리포터 유전자를 암호화하는 제2의 DNA로 형질감염시킨 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리포터 유전자는 cAMP 유도성이거나 또는 신규 cAMP 반응성 성분에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포터 유전자 발현은 cAMP의 농도 변화에 반응하는 임의의 반응 성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적절한 리포터 유전자는, 예컨대 LacZ, 알칼리 포스파타제, 반딧불이 루시퍼라제 및 녹색 형광 단백질이다. 이러한 트랜스액티베이션 분석의 원리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며, 예컨대 문헌[Stratowa, Ch, Himmler, A and Czernilofsky, A.P. (1995) Curr.Opin.Biotechnol. 6:574]에 개시되어 있다.
LH 또는 FSH 수용체에 대한 활성 화합물을 선별하기 위해서, 10-5 M에서의 시험은 LH 또는 FSH가 기준 물질로서 사용될 때 최대 활성의 2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또 다른 기준은 EC50값으로서, < 10-5 M, 바람직하게는 < 10-7 M이어야 한다.
당업자는 바람직한 EC50 값이 시험 화합물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10-5 M 미만의 EC50을 갖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약물 선택용 후보로서 생각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값은 10-7 M 미만이다. 그러나, EC50은 더 높지만 특정 수용체에 대해 선택적인 화합물도 양호한 후보일 수 있다.
LH 수용체 작동 화합물에 대한 스크리닝은 마우스 Leydig 세포 생체분석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Van Damme, M., Robersen, D. and Diczfalusy, E. (1974). Acta Endocrinol. 77: 655-671 Mannaerts, B., Kloosterboer, H. and Schuurs, A. (1987). Neuroendocrinology of reproduction. R. Rolland et al. Ed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V., 49-58). 이 분석에서, LH 수용체가 매개하는 테스토스테론 생성 자극은 수컷 마우스로부터 분리된 Leydig 세포에서 측정할 수 있다.
화합물의 FSH 작동 활성은 Nayudu, P. 및 Osborn, S.(1992, J. Reproduction and Fertility 95:349-362)에 따라 배양된 마우스 난포를 사용하여 생체외 모델에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우스 난소 난포를 분리하고 FSH 작동 화합물의 존재하에 배양하여 난포 성장을 유도한다. 난포 직경과 배양 배지 중의 에스트라디올의 양을 측정하여 이를 난포 성장의 지표로 한다.
화합물의 생체내 LH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미성숙 마우스의 배란 유도를 연구할 수 있다. 이 분석에서 미성숙 암컷 마우스를 뇨 FSH로 감작(prime)시키고, 약 48 시간 후에 LH 작동 화합물로 처리한다. LH 작동제 처리 후에 동물을 죽이고, 난관 내의 난자 수를 현미경으로 평가한다.
화합물의 FSH 생체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FSH 작동 화합물로 0, 8, 24 및 32 시간에 미성숙 암컷 래트를 처리하여 난포 성장을 유도한다. 실험 개시 52시간 후에 동물에게 hCG를 주사하여 배란을 유도한다. 실험 개시 72 시간 후에 동물을 죽이고, 난관 내의 난자 수를 현미경으로 평가한다. 또한, 난소의 중량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LH 또는 hCG가 사용되는 치료법에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치료법의 예로는 생식선저하에 의한 생식선저하증을 갖는 남성 및 여성 피험체에서의 LH 대체법, 배란을 유도하는 월경중기 투여법(배란 유도(OI) 또는 제어형 과다자극(COH)) 또는 황체의 자극 등이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떤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a) 5-시아노-4-(3-니트로페닐)-2-메틸티오-6-히드록시-피리미딘
무수 EtOH (1500 ㎖) 중 S-메틸이소티오우레아 설페이트 (69.0 g), 3-니트로벤즈알데히드 (75.0 g), 에틸 시아노아세테이트 (56.0 ㎖) 및 탄산칼륨 (72.5 g)의 혼합물을 60℃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조에서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무수 EtOH로 세척하고, 고온수(100℃)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2N HCl을 이용하여 pH2로 산성화하고 빙조에서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얼음물로 세척하였다. 침전물 중의 잔류수를 1,4-디옥산과 동시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수율: 54.0 g.
MS-ESI: [M+H]+ = 289.0
TLC: Rf = 0.3, 실리카겔, DCM/MeOH = 9/1 (v/v).
(b) 6-클로로-5-시아노-4-(3-니트로페닐)-2-메틸티오-피리미딘
POCl3 (100 ㎖)를 무수 1,4-디옥산 (300 ㎖) 중 5-시아노-4-(3-니트로페닐)-2-메틸티오-6-히드록시-피리미딘 (실시예 1(a), 25.0 g)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90℃에서 3시간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4-디옥산 (100 ㎖)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0℃로 냉각하였다. 얼음물을 조심하여 첨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침전물 중의 잔류수를 1,4-디옥산과 동시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수율: 26.0 g.
MS-ESI: [M+H]+ = 307.0
TLC: Rf = 0.5,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c) 에틸 5-시아노-4-(3-니트로페닐)-2-메틸티오-6-(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피리미딘
DIPEA (15.7 ㎖)를 EtOH (250 ㎖) 및 DCM (250 ㎖) 중 에틸 2-머캅토아세테이트 (9.3 ㎖) 및 6-클로로-5-시아노-4-(3-니트로페닐)-2-메틸티오-피리미딘 (실시예 1(b), 26.0 g)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후에, 0.1N 수성 HCl (500 ㎖)을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DCM (3 x 500 ㎖)으로 추출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수율: 28.0 g
MS-ESI: [M+H]+ = 391.4
TLC: Rf = 0.5,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d) 에틸 5-아미노-4-(3-니트로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톨루엔 (150 ㎖) 및 EtOH (150 ㎖)의 혼합물 중 에틸 5-시아노-4-(3-니트로페닐)-2-메틸티오-6-(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피리미딘 (실시예 1(c), 28.0 g) 및 DIPEA (30 ㎖)의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환류 온도(100℃)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톨루엔과 동시 증발시켜 잔류 DIPEA를 제거하였다.
수율: 28.0 g
MS-ESI: [M+H]+ = 391.4
TLC: Rf = 0.6,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e) 에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EtOH (400 ㎖)를 1,4-디옥산 (400 ㎖) 중 에틸 5-아미노-4-(3-니트로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1(d), 28.0 g), 진한 수성 HCl (15 ㎖) 및 염화주석(II) (41.0 g)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 다. 잔류물을 EtOAc (1000 ㎖) 중에 현탁시켰다. 4N 수성 NaOH를 첨가하여 10∼11의 pH를 얻었다. 이 혼합물을 격렬하게 교반하고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MgSO4)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율: 21.0 g
MS-ESI: [M+H]+ = 361.0
TLC: Rf = 0.6,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f) 5-아미노-4-(3-아미노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산
수산화칼륨 (32.4 g)을 1,4-디옥산 (300 ㎖) 및 물 (100 ㎖)의 혼합물 중의 에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1(e), 21.0 g) 용액에 첨가하였다. 90℃에서 16 시간 후에 혼합물을 10℃로 냉각하고 격렬히 교반하면서 2N 수성 구연산 (300 ㎖)을 첨가하였다. 생성되는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 (180 ㎖)로 세척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수율: 14.0 g
MS-ESI: [M+H]+ = 333.0
TLC: Rf = 0.5, 실리카겔, DCM/MeOH = 9/1 (v/v).
(g) t-부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TBTU (16.1 g)를 DCM/DMF (1/1, v/v, 250 ㎖) 중의 5-아미노-4-(3-아미노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산 (실시예 1(f), 14.0 g), DIPEA (17.4 ㎖) 및 t-부틸아민 (7.3 g)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수성 포화 NaHCO3 (3 x 100 ㎖), 0.1 N 수성 HCl (100 ㎖) 및 물 (100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지근한 무수 EtOH (300 ㎖)로부터 결정화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수율: 10.5 g
MS-ESI: [M+H]+ = 388.2
HPLC: Rt = 30.72 분, Luna C-18(2), 5 ㎛, 25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물/ACN/MeOH = 90/9.5/0.5 ∼ 0/95/5, 실행 시간 = 50 분.
(h)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티에노 [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브로모아세틸 클로라이드 (615 ㎎)를 무수 DCM (20 ㎖) 중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g), 1.08 g) 및 DIPEA (2.43 ㎖)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한 다음, 건조(MgSO4)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헵탄/EtOAc = 3/2 (v/v)를 용출제로서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로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수율: 910 ㎎
MS-ESI: [M+H]+ = 510.2
TLC: Rf = 0.3,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i)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메틸-2-아미노-에탄올 (250 ㎎)을 DCM (5 ㎖) 중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h), 250 ㎎)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112 ㎎ (TFA-염)
MS-ESI: [M+H]+ = 503.2
HPLC: Rt = 11.45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2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1-히드록시-2-메틸-프로프-2-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250 ㎎)을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h), 250 ㎎)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하였다.
수율: 67 ㎎ (TFA-염)
MS-ESI: [M+H]+ = 517.2
HPLC: Rt = 12.67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3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글리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200 ㎎)를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h), 250 ㎎)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0 ㎖)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하였다.
수율: 133 ㎎ (TFA-염)
MS-ESI: [M+H]+ = 517.2
HPLC: Rt = 11.87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4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2-메톡시에틸)-에틸아민 (266 ㎎)을 DCM (5 ㎖) 중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h), 200 ㎎)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84 ㎎ (TFA-염)
MS-ESI: [M+H]+ = 531.2
HPLC: Rt = 12.62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5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R-1-메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프-1-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250 ㎎)를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h), 250 ㎎)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0 ㎖)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 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77 ㎎ (TFA-염)
MS-ESI: [M+H]+ = 559.2
HPLC: Rt = 13.22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6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N-비스-(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N,N-비스-(2-메톡시에틸)-아민 (400 ㎎)을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h), 250 ㎎)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166 ㎎ (TFA-염)
MS-ESI: [M+H]+ = 561.3
HPLC: Rt = 13.62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7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2,3-디히드록시-프로프-1-일)-글리시닐) -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올 (250 ㎎)을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h), 250 ㎎)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164 ㎎ (TFA-염)
MS-ESI: [M+H]+ = 519.2
HPLC: Rt = 12.62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8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1,3-디히드록시프로프-2-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아미노-3-히드록시 프로판올 (250 ㎎)을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메틸티오-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h), 250 ㎎)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117 ㎎ (TFA-염)
MS-ESI: [M+H]+ = 519.2
HPLC: Rt = 12.62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9
t-부틸 5-아미노-2-페닐-4-(3-((N-에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a) 5-시아노-4-(3-니트로페닐)-2-페닐-6-히드록시-피리미딘
무수 EtOH (250 ㎖) 중 벤즈아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6.4 g), 3-니트로벤즈알데히드 (15.1 g), 에틸 시아노아세테이트 (11.2 ㎖) 및 탄산칼륨 (16.6 g)의 혼합물을 60℃에서 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조에서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무수 EtOH로 세척하고, 투명한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물(100℃)에서 가열하였다. 용액을 50℃로 냉각하고, 2N 수성 HCl을 첨가하여 pH2로 산성화하고, 빙조에서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얼음물로 세척하였다. 1,4-디옥산과 동시증발시켜 잔류수를 제거하였다.
수율: 15.0 g.
MS-ESI: [M+H]+ = 319.2
TLC: Rf = 0.3, 실리카겔, DCM/MeOH = 9/1 (v/v).
(b) 6-클로로-5-시아노-4-(3-니트로페닐)-2-페닐-피리미딘
POCl3 (50 ㎖)를 무수 1,4-디옥산 p.a. (200 ㎖) 중 5-시아노-4-(3-니트로페닐)-2-페닐-6-히드록시-피리미딘 (실시예 9(a), 15.0 g) 및 디메틸아닐린 (0.5 ㎖)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90℃에서 3 시간 후에, 미지근한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4-디옥산에 용해시키고, 얼음물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1,4-디옥산과의 동시증발 로 잔류수를 제거하였다.
수율: 15.8 g
MS-ESI: [M+H]+ = 337.4
TLC: Rf = 0.8,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c) 에틸 5-시아노-4-(3-니트로페닐)-2-페닐-6-(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피리미딘
DIPEA (8.71 ㎖)를 질소 대기 하에서 EtOH (125 ㎖) 및 DCM (125 ㎖)의 혼합물 중의 에틸 2-머캅토아세테이트 (5.15 ㎖) 및 6-클로로-5-시아노-4-(3-니트로페닐)-2-페닐-피리미딘 (실시예 9(b), 15.8 g)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후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0.5N 수성 HCl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율: 19.7 g
MS-ESI: [M+H]+ = 421.2.
TLC: Rf = 0.7,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d) 에틸 5-아미노-4-(3-니트로페닐)-2-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DIPEA (20.0 ㎖)를 무수 EtOH (100 ㎖) 및 톨루엔 p.a. (100 ㎖) 혼합물 중의 에틸 5-시아노-4-(3-니트로페닐)-2-페닐-6-(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피리미딘 (실시예 9(c), 19.7 g)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100℃에서 48 시간 후에,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차가운 EtOH로 세척한 다음, 40℃에서 진공 건조하였다.
수율: 17.0 g
MS-ESI: [M+H]+ = 421.2
TLC: Rf = 0.5,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e) 에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무수 EtOH (250 ㎖) 중 염화주석(II) (23.0 g)의 용액을 1,4-디옥산 p.a. (250 ㎖) 중의 에틸 5-아미노-4-(3-니트로페닐)-2-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9(d), 16.6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37% 수성 HCl (6.9 ㎖)을 첨가하고, 16 시간 동안 환류(90℃)하에 혼합물을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500 ㎖) 중에 현탁시키고. 4N 수성 NaOH를 첨가하여 pH 10-11을 얻었다. 포화 수성 NaCl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율: 17.0 g
MS-ESI: [M+H]+ = 421.2
TLC: Rf = 0.5,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f) 5-아미노-4-(3-아미노페닐)-2-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산
수산화칼륨 (20.0 g)을 1,4-디옥산 (210 ㎖) 및 물 (80 ㎖)의 혼합물 중의 에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9(e), 17.0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90℃에서 16 시간 후에,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 (300 ㎖)에 현탁시키고, 0℃로 냉각하였다. 2N 수성 구연산을 첨가하여 혼합물의 pH를 3으로 산성화하고, 0℃∼최대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40℃에서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수율: 13.3 g
MS-ESI: [M+H]+ = 363.0
TLC: Rf = 0.2, 실리카겔, DCM/MeOH = 95/5 (v/v).
(g) t-부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IPEA (15.3 ㎖), t-부틸아민 (9.3 ㎖) 및 TBTU (14.1 g)를 질소 대기 하에서 DCM (250 ㎖) 및 DMF (50 ㎖)의 혼합물 중 5-아미노-4-(3-아미노페닐)-2-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산 (실시예 9(f), 13.3 g)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 0.1N 수성 HCl 및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헵탄/EtOAc = 3/7 ∼ 1/1 (v/v)를 용출제로서 사용한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수율: 14.7 g
MS-ESI: [M+H]+ = 418.4
TLC: Rf = 0.4,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h)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페닐-티에노 [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브로모아세틸 클로라이드(2.80 ㎖)를 DCM (50 ㎖)중의 t-부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9(g), 5.8 g) 및 DIPEA (12.2 ㎖) 용액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헵탄/EtOAc = 3/2 (v/v)를 용출제로서 사용한 실리카겔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로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와 t-부틸 5-아미노-4-(3-(2-클로로아세트아미도)-페닐)-2-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의 1:1 (몰/몰) 혼합물을 얻었다.
수율: 2.6 g
MS-ESI: [M+H]+ = 540.2, [M'+H]+ = 494.2
TLC: Rf = 0.3,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i) t-부틸 5-아미노-2-페닐-4-(3-((N-에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CM (5 ㎖) 중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9(h), 500 ㎎)의 교반된 용액에 N-에틸-2-아미노-에탄올 (500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시간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DCM (100 ㎖)으로 희석하고, 수성 NaHCO3 (1M, 2 x 50 ㎖)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271 ㎎ (TFA-염)
MS-ESI: [M+H]+ = 547.2
HPLC: Rt = 11.88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10
t-부틸 5-아미노-2-페닐-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CM (5 ㎖) 중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페닐- 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9(h), 500 ㎎)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DiPEA, 1 ㎖)의 교반된 용액에 글리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700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 시간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DCM (100 ㎖)으로 희석하고, 수성 NaHCO3 (1M, 2 x 50 ㎖)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321 ㎎ (TFA-염)
MS-ESI: [M+H]+ = 547.2
HPLC: Rt = 12.54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11
t-부틸 5-아미노-2-(2-푸릴)-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a) 2-아미디노푸란
냉각되고(0 ℃) 포화된 에탄올성 HCl (40 ㎖)을 2-푸로니트릴 (13 ㎖)를 함유하는 냉각된(빙조, 0 ℃) 반응 용기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상온이 되게 하고, 48 시간 동안 질소 대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후에, 상응하는 2-푸릴 에틸 이미데이트를 함유하는 잔류물을 에탄올 (20 ㎖)에 재용해시키고 질소 대기 하에서 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포화된 에탄올성 암모니아 (40 ㎖)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8 시간 동안 밀봉된 반응 용기 내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여과 후에,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화합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15.0 g
(b) 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푸릴)-6-히드록시-피리미딘
무수 EtOH (300 ㎖) 중 2-아미디노푸란 (실시예 11(a), 15 g), 3-니트로벤즈알데히드 (24 g), 에틸 시아노아세테이트 (17 ㎖) 및 탄산칼륨 (25 g)의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조에서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무수 EtOH로 세척한 다음 유백색 현탁액이 생길 때까지 교반하면서 수중에서 가열하였다(100 ℃). 현탁액을 50℃로 냉각하고, 2N 수성 HCl을 첨가하여 pH 2로 산성화한 다음 빙조에서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얼음물로 세척하였다. 잔류수는 1,4-디옥산과 동시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수율: 16.0 g
MS-ESI: [M+H]+ = 309.2
TLC: Rf = 0.3, 실리카겔, DCM/MeOH = 9/1 (v/v).
(c) 6-클로로-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푸릴)-피리미딘
POCl3 (50 ㎖)를 무수 1,4-디옥산 p.a. (250 ㎖) 중 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푸릴)-6-히드록시-피리미딘 (실시예 11(b), 16.0 g) 및 디메틸아닐린 (0.5 ㎖)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90℃에서 2 시간 후에, 미지근한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4-디옥산에 용해시키고 얼음물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잔류수는 1,4-디옥산과 동시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수율: 16.0 g
MS-ESI: [M+H]+ = 327.2
TLC: Rf = 0.75,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d) 에틸 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푸릴)-6-(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피리미딘
DIPEA (9.1 ㎖)를 EtOH (125 ㎖) 및 DCM (125 ㎖)의 혼합물 중의 에틸 2-머캅토아세테이트 (5.4 ㎖) 및 6-클로로-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푸릴)-피리미딘 (실시예 11(c), 16.0 g)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후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0.5N 수성 HCl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율: 20.0 g
MS-ESI: [M+H]+ = 411.2.
TLC: Rf = 0.7,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e) 에틸 5-아미노-4-(3-니트로페닐)-2-(2-푸릴)-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DIPEA (20.0 ㎖)를 무수 EtOH (100 ㎖) 및 톨루엔 p.a. (100 ㎖)의 혼합물 중 에틸 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푸릴)-6-(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피리미딘 (실시예 11(d), 20 g)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100℃에서 48 시간 후에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차가운 EtOH로 세척한 다음 40℃에서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수율: 20 g
MS-ESI: [M+H]+ = 411.2
TLC: Rf = 0.6,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f) 에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푸릴)-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무수 EtOH (250 ㎖) 중 염화주석(II) (28.0 g) 용액을 1,4-디옥산 p.a. (250 ㎖) 중의 에틸 5-아미노-4-(3-니트로페닐)-2-(2-푸릴)-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11(e), 20 g) 용액에 첨가하였다. 37% 수성 HCl (8.5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90℃).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500 ㎖)에 현탁시켰다. 4N 수성 NaOH를 첨가하여 pH 10-11을 얻었다. 포화 수성 NaCl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희석하 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율: 17.5 g
MS-ESI: [M+H]+ = 381.2
TLC: Rf = 0.4,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g)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푸릴)-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산
수산화칼륨 (23.0 g)을 1,4-디옥산 (210 ㎖) 및 물 (80 ㎖)의 혼합물 중 에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푸릴)-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11(f), 17.5 g) 용액에 첨가하였다. 90℃에서 8 시간 후에,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 (300 ㎖)에서 현탁시킨 다음 0℃로 냉각하였다. 2N 수성 구연산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pH 3으로 산성화하고 0℃ 내지 최대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40℃에서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수율: 16.9 g
MS-ESI: [M+H]+ = 353.2
TLC: Rf = 0.2, 실리카겔, DCM/MeOH = 95/5 (v/v).
(h) t-부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푸릴)-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IPEA (19.2 ㎖), t-부틸아민 (11.6 ㎖) 및 TBTU (17.7 g)를 DCM (250 ㎖) 및 DMF (50 ㎖)의 혼합물 중의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푸릴)-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산 (실시예 11(g), 16.9 g)의 용액에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후에 상당량의 황색 침전물이 생겼으며, 이를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40℃의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수율: 18.0 g
MS-ESI: [M+H]+ = 408.2
TLC: Rf = 0.4,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i)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2-푸릴)-티에노 [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브로모아세틸 클로라이드 (100 ㎕)를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푸릴)-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1(h), 250 ㎎) 및 DIPEA (0.5 ㎖)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용출제로서 헵탄/EtOAc = 3/2 (v/v)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로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및 t-부틸 5-아미노-4-(3-(2-클로로아세트아미도)-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의 1:1 (mol/mol) 혼합물을 얻었다.
수율: 124 ㎎
MS-ESI: [M+H]+ = 540.2, [M'+H]+ = 494.2
TLC: Rf = 0.3,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j) t-부틸 5-아미노-2-(2-푸릴)-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CM (5 ㎖) 중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2-푸릴)-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1(i), 130 ㎎)의 교반된 용액에 N-메틸-2-아미노-에탄올 (200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 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수성 NaHCO3 (1M, 2 x 10 ㎖)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81 ㎎ (TFA-염)
MS-ESI: [M+H]+ = 523.2
HPLC: Rt = 11.01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12
t-부틸 5-아미노-2-(2-푸릴)-4-(3-(N-(1-히드록시-2-메틸-프로프-2-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2-푸릴)-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1(i), 130 ㎎)의 교반 용액에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260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 시간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수성 NaHCO3 (1M, 2 x 10 ㎖)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54 ㎎ (TFA-염)
MS-ESI: [M+H]+ = 537.2
HPLC: Rt = 11.15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13
t-부틸 5-아미노-2-(2-푸릴)-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CM (5 ㎖) 중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2-푸릴)-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1(i), 130 ㎎) 및 DiPEA (0.5 ㎖)의 교반된 용액에 글리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324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수성 NaHCO3 (1 M, 2 x 10 ㎖)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74 ㎎ (TFA-염)
MS-ESI: [M+H]+ = 537.2
HPLC: Rt = 12.09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14
t-부틸 5-아미노-2-(2-티에닐)-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 -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a) 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티에닐)-6-히드록시-피리미딘
무수 EtOH (200 ㎖) 중의 2-아미디노티오펜 히드로클로라이드 (10.0 g), 3-니트로벤즈알데히드 (9.7 g), 에틸 시아노아세테이트 (6.81 ㎖) 및 탄산칼륨 (10.1 g)의 혼합물을 8 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조에서 0℃로 냉각하고, 무수 EtOH로 세척하고, 잔류물을 물 (100℃)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50℃로 냉각하고, 2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2로 산성화하고, 빙조에서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얼음물로 세척하였다. 잔류수는 1,4-디옥산과 동시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수율: 10.0 g
MS-ESI: [M+H]+ = 325.0
TLC: Rf = 0.3, 실리카겔, DCM/MeOH = 9/1 (v/v).
(b) 6-클로로-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티에닐)-피리미딘
POCl3 (30 ㎖)를 무수 1,4-디옥산 (150 ㎖) 중의 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티에닐)-6-히드록시-피리미딘 (실시예 14(a), 10.0 g) 및 디메틸아닐린 (2∼3 소적)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90℃에서 3 시간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4-디옥산에서 용해시키고 얼음물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잔류수는 1,4-디옥산과 동시증발시켜 제거하고 40℃의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수율: 9.8 g
MS-ESI: [M+H]+ = 343.4
TLC: Rf = 0.8,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c) 에틸 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티에닐)-6-(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피리미딘
DIPEA (5.57 ㎖)를 EtOH (80 ㎖) 및 DCM (80 ㎖)의 혼합물 중의 에틸 2-머캅토아세테이트 (3.28 ㎖) 및 6-클로로-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티에닐)-피리미딘 (실시예 14(b), 9.8 g)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대기 하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후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0.5N 수성 HCl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수율: 12.9 g
MS-ESI: [M+H]+ = 427.2
TLC: Rf = 0.7,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d) 에틸 5-아미노-4-(3-니트로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DIPEA (13.0 ㎖)를 무수 EtOH (75 ㎖) 및 톨루엔 p.a. (75 ㎖)의 혼합물 중의 에틸 5-시아노-4-(3-니트로페닐)-2-(2-티에닐)-6-(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피리미딘 (실시예 14(c), 12.9 g)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100℃에서 48 시간 후에,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차가운 EtOH로 세척하고, 40℃의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11.0 g
MS-ESI: [M+H]+ = 427.2
TLC: Rf = 0.6,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e) 에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무수 EtOH (150 ㎖) 중의 염화주석(II) (15 g) 용액을 1,4-디옥산 (150 ㎖) 중의 에틸 5-아미노-4-(3-니트로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14(d), 10.86 g) 용액에 첨가하였다. 37% 수성 HCl (4.5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400 ㎖)에 현탁시키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THF를 첨가하였다. 4N 수성 NaOH를 첨가하여 pH 10-11를 얻었다. 포화 수성 NaCl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율: 12.0 g
MS-ESI: [M+H]+ = 397.2
TLC: Rf = 0.4,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f)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산
수산화칼륨 (13 g)을 1,4-디옥산 (150 ㎖) 및 물 (50 ㎖)의 혼합물 중 에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14(e), 10.1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90℃에서 16 시간 후에,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 (180 ㎖)에 현탁시키고 0℃로 냉각하였다. 2N 수성 구연산을 첨가하여 pH 3으로 산성화하고 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40℃의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수율: 6.3 g
MS-ESI: [M+H]+ = 369.2
TLC: Rf = 0.2, 실리카겔, DCM/MeOH = 95/5 (v/v).
(g) t-부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 -6-카르복스아미드
DIPEA (7.1 ㎖), t-부틸아민 (4.3 ㎖) 및 TBTU (6.6 g)를 DCM (125 ㎖) 및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25 ㎖)의 혼합물 중의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산 (실시예 14(f), 6.3 g)의 혼합물에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0.1 N 수성 HCl 및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은 용출제로서 헵탄/EtOAc = 3/7 ∼ 1/1 (v/v)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율: 6.45 g
MS-ESI: [M+H]+ = 424.2
TLC: Rf = 0.3,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h)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브로모아세틸 클로라이드 (2.40 ㎖)를 DCM (50 ㎖) 중의 t-부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4(g), 5.0 g) 및 DIPEA (10.5 ㎖)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용출제로서 헵탄/EtOAc = 3/2 (v/v)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및 t-부틸 5-아미노-4-(3-(2-클로로아세트아미도)-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의 혼합물을 얻었다.
수율: 3.0 g
MS-ESI: [M+H]+ = 546.2, [M'+H]+ = 500.2
TLC: Rf = 0.2, 실리카겔, 톨루엔/EtOAc = 7/1 (v/v).
(i) t-부틸 5-아미노-2-(2-티에닐)-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 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4(h), 100 ㎎)의 교반된 용액에 N-메틸-2-아미노에탄올 (140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 시간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수성 NaHCO3 (1 M, 2 x 10 ㎖)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59 ㎎ (TFA-염)
MS-ESI: [M+H]+ = 539.2
HPLC: Rt = 11.01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15
t-부틸 5-아미노-2-(2-티에닐)-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4(h), 100 ㎎) 및 DiPEA (0.5 ㎖)의 교반된 용액에 글리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250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수성 NaHCO3 (1 M, 2 x 10 ㎖)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74 ㎎ (TFA-염)
MS-ESI: [M+H]+ = 553.0
HPLC: Rt = 12.57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16
t-부틸 5-아미노-2-(2-티에닐)-4-(3-((N,N-디-(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CM (5 ㎖) 중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2-티에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4(h), 100 ㎎)의 교반된 용액에 N,N-디-(2-메톡시에틸)-아민 (200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DCM (50 ㎖)으로 희석하고, 수성 NaHCO3 (1 M, 2 x 10 ㎖)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59 ㎎ (TFA-염)
MS-ESI: [M+H]+ = 597.4
HPLC: Rt = 13.84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17
t-부틸 5-아미노-2-에틸아미노-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a) t-부틸 5-아미노-2-메탄설피닐-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25 ㎖) 중의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4, 1.0 g)의 교반된 용액에 3-클로로퍼벤조산 (m-CPBA, 1.0 g)을 첨가하였다. 17 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상온(20 ℃)에서 감압 하에 농축하고, DCM (100 ㎖)에 재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2 x 50 ㎖) 및 물 (50 ㎖)로 조심스럽게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820 ㎎
MS-ESI: [M+H]+ = 547.3
TLC: Rf = 0.2, 실리카겔, DCM/MeOH = 9/1 (v/v).
(b) t-부틸 5-아미노-2-에틸아미노-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에틸 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50 ㎎)를 1,4-디옥산 (5 ㎖) 중의 t-부틸 5-아미노-2-메탄설피닐-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7(a), 100 ㎎) 및 DiPEA (0.5 ㎖)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감압 하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에, 잔류물을 DCM (50 ㎖)에 용해시키고 염수 (1 M, 25 ㎖) 및 물 (25 ㎖)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 얻은 잔류물은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은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 중에서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36 ㎎ (TFA-염)
MS-ESI: [M+H]+ = 528.4
HPLC: Rt = 10.21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18
t-부틸 5-아미노-2-(N,N-디메틸아미노)-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a) t-부틸 5-아미노-2-메탄설피닐-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25 ㎖) 중의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i), 1.0 g)의 교반된 용액에 3-클로로퍼벤조산 (m-CPBA, 1.0 g)을 첨가하였다. 17 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상온(20℃)에서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DCM (100 ㎖)에 재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2 x 50 ㎖) 및 물 (50 ㎖)로 조심스럽게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910 ㎎
MS-ESI: [M+H]+ = 519.6
TLC: Rf = 0.15, 실리카겔, DCM/MeOH = 9/1 (v/v).
(b) t-부틸 5-아미노-2-(N,N-디메틸아미노)-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디메틸 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50 ㎎)를 1,4-디옥산 (5 ㎖) 중 t-부틸 5-아미노-2-메탄설피닐-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8(a), 100 ㎎) 및 DiPEA (0.5 ㎖)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감압 하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에, 잔류물을 DCM (50 ㎖) 중에 취하고, 염수 (1 M, 25 ㎖) 및 물 (25 ㎖)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 얻은 잔류물은,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은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36 ㎎ (TFA-염)
MS-ESI: [M+H]+ = 500.2
HPLC: Rt = 10.03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19
t-부틸 5-아미노-2-에틸아미노-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a) t-부틸 5-아미노-2-메탄설피닐-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25 ㎖) 중의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3, 1.0 g)의 교반된 용액에 3-클로로퍼벤조산 (m-CPBA, 1.0 g)을 첨가하였다. 17 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상온 (20 ℃)에서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DCM (100 ㎖) 중에 재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2 x 50 ㎖) 및 물 (50 ㎖)로 조심스럽게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은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680 ㎎
MS-ESI: [M+H]+ = 533.6
TLC: Rf = 0.17, 실리카겔, DCM/MeOH = 9/1 (v/v).
(b) t-부틸 5-아미노-2-에틸아미노-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에틸 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50 ㎎)를 1,4-디옥산 (5 ㎖) 중의 t-부틸 5-아미노-2-메탄설피닐-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9(a), 100 ㎎) 및 DiPEA (0.5 ㎖) 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감압 하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에, 잔류물을 DCM (50 ㎖) 중에 용해시키고, 염수 (1 M, 25 ㎖) 및 물 (25 ㎖)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 얻은 잔류물은,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은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57 ㎎ (TFA-염)
MS-ESI: [M+H]+ = 514.2
HPLC: Rt = 12.56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20
t-부틸 5-아미노-2-이소프로필아미노-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이소프로필아민 (150 ㎎)을 1,4-디옥산 (5 ㎖) 중의 t-부틸 5-아미노-2-메탄설피닐-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7(a), 100 ㎎) 및 DiPEA (0.5 ㎖)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감압 하에 반응 혼 합물을 농축시킨 후에, 잔류물을 DCM (50 ㎖) 중에 취하고 염수 (1 M, 25 ㎖) 및 물 (25 ㎖)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 얻은 잔류물은,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은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57 ㎎ (TFA-염)
MS-ESI: [M+H]+ = 542.4
HPLC: Rt = 11.01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21
t-부틸 5-아미노-2-알릴아미노-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알릴 아민 (200 ㎎)을 1,4-디옥산 (5 ㎖) 중의 t-부틸 5-아미노-2-메탄설피닐-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9(a), 100 ㎎) 및 DiPEA (0.5 ㎖)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킨 후에, 잔류물을 DCM (50 ㎖) 중에 용해시키고, 염수 (1 M, 25 ㎖) 및 물 (25 ㎖)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 다. 그 결과 얻은 잔류물은,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은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65 ㎎ (TFA-염)
MS-ESI: [M+H]+ = 526.4
HPLC: Rt = 13.18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22
t-부틸 5-아미노-2-메톡시-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칼륨 t-부톡시드 (100 ㎎)를 메탄올 (5 ㎖) 중의 t-부틸 5-아미노-2-메탄설피닐-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7(a), 200 ㎎)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킨 후에, 잔류물을 DCM (50 ㎖) 중에 용해시키고, 수성 염화암모늄 (1 M, 25 ㎖), 염수 (1 M, 25 ㎖) 및 물 (25 ㎖)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 얻은 잔류물은,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 써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은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92 ㎎ (TFA-염)
MS-ESI: [M+H]+ = 515.4
HPLC: Rt = 12.21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23
t-부틸 5-아미노-2-알릴옥시-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칼륨 t-부톡시드 (100 ㎎)를 알릴 알코올 (5 ㎖) 중의 t-부틸 5-아미노-2-메탄설피닐-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7(a), 200 ㎎)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킨 후에, 잔류물을 DCM (50 ㎖) 중에 용해시키고, 수성 염화암모늄 (1 M, 25 ㎖), 염수 (1 M, 25 ㎖) 및 물 (25 ㎖)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 얻은 잔류물은,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은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 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63 ㎎ (TFA-염)
MS-ESI: [M+H]+ = 541.4
HPLC: Rt = 12.71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24
t-부틸 5-아미노-2-이소프로폭시-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칼륨 t-부톡시드 (100 ㎎)를 이소프로판올 (5 ㎖) 중의 t-부틸 5-아미노-2-메탄설피닐-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7(a), 200 ㎎)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킨 후에, 잔류물을 DCM (50 ㎖) 중에 용해시키고, 수성 염화암모늄 (1 M, 25 ㎖), 염수 (1 M, 25 ㎖) 및 물 (25 ㎖)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 얻은 잔류물은,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은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 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32 ㎎ (TFA-염)
MS-ESI: [M+H]+ = 543.4
HPLC: Rt = 12.93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25
t-부틸 5-아미노-2-(4-피리딜)-4-(3-((N-(1-히드록시-2-메틸-프로프-2-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a) 5-시아노-4-(3-니트로페닐)-2-(4-피리딜)-6-히드록시-피리미딘
무수 EtOH (250 ㎖) 중의 4-아미디노-피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6.5 g), 3-니트로벤즈알데히드 (15.1 g), 에틸 시아노아세테이트 (11.2 ㎖) 및 탄산칼륨 (16.6 g)의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조에서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무수 EtOH로 세척하고, 투명한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물 (100℃)에서 가열하였다. 용액을 50℃로 냉각하고, 2N 수성 HCl을 첨가하여 pH 2로 산성화하고, 빙조에서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얼음물로 세척하였다. 잔류수는 1,4-디옥산과 함께 동시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수율: 18.3 g
MS-ESI: [M+H]+ = 320.2
TLC: Rf = 0.2, 실리카겔, DCM/MeOH = 9/1 (v/v)
(b) 6-클로로-5-시아노-4-(3-니트로페닐)-2-(4-피리딜)-피리미딘
POCl3 (50 ㎖)를 무수 1,4-디옥산 p.a. (200 ㎖) 중 5-시아노-4-(3-니트로페닐)-2-(4-피리딜)-6-히드록시-피리미딘 (실시예 25(a), 18.3 g) 및 디메틸아닐린 (0.5 ㎖)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90℃에서 3 시간 후에, 미지근한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4-디옥산에 용해시키고 얼음물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잔류수는 1,4-디옥산과 함께 동시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수율: 17.2 g
MS-ESI: [M+H]+ = 338.4
TLC: Rf = 0.7,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c) 에틸 5-시아노-4-(3-니트로페닐)-2-(4-피리딜)-6-(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피리미딘
DIPEA (9.8 ㎖)를 EtOH (125 ㎖) 및 DCM (125 ㎖)의 혼합물 중의 에틸 2-머캅토아세테이트 (5.7 ㎖) 및 6-클로로-5-시아노-4-(3-니트로페닐)-2-(4-피리딜)-피리미딘 (실시예 25(b), 17.2 g)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후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0.5N 수성 HCl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율: 20.5 g
MS-ESI: [M+H]+ = 422.0
TLC: Rf = 0.6,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d) 에틸 5-아미노-4-(3-니트로페닐)-2-(4-피리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DIPEA (20.0 ㎖)를 무수 EtOH (100 ㎖) 및 톨루엔 p.a. (100 ㎖) 중의 에틸 5-시아노-4-(3-니트로페닐)-2-(4-피리딜)-6-(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피리미딘 (실시예 25(c), 20.5 g)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100℃에서 48 시간 후에,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차가운 EtOH로 세척하고 40℃의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수율: 15.7 g
MS-ESI: [M+H]+ = 422.2
TLC: Rf = 0.5,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e) 에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4-피리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무수 EtOH (250 ㎖) 중 염화주석(II) (21.0 g) 용액을 1,4-디옥산 p.a. (250 ㎖) 중의 에틸 5-아미노-4-(3-니트로페닐)-2-(4-피리딜)-티에노[2,3-d]피리미딘-6- 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25(d), 15.7 g) 용액에 첨가하였다. 37% 수성 HCl (6.9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500 ㎖) 중에 현탁시켰다. 4N 수성 NaOH를 첨가하여 pH 10-11을 얻었다. 포화 수성 NaCl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율: 12.0 g
MS-ESI: [M+H]+ = 392.2
TLC: Rf = 0.3,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f) 5-아미노-4-(3-아미노페닐)-2-(4-피리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산
수산화칼륨 (15.7 g)을 1,4-디옥산 (210 ㎖) 및 물 (80 ㎖)의 혼합물 중의 에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4-피리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25(e), 12.0 g) 용액에 첨가하였다. 90℃에서 16 시간 후에,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 (300 ㎖)에 현탁시키고, 0℃로 냉각하였다. 2N 구연산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pH 3으로 산성화하고, 0℃ 내지 최대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40℃의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수율: 12.0 g
MS-ESI: [M+H]+ = 364.2
TLC: Rf = 0.1, 실리카겔, DCM/MeOH = 95/5 (v/v).
(g) t-부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4-피리딜)-티에노[2,3-d]피리미딘 -6-카르복스아미드
DIPEA (12.9 ㎖), t-부틸아민 (7.8 ㎖) 및 TBTU (11.9 g)를 DCM (250 ㎖) 및 DMF (50 ㎖) 혼합물 중의 5-아미노-4-(3-아미노페닐)-2-(4-피리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실산 (실시예 25(f), 12.0 g)의 혼합물에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후에,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 0.1N 수성 HCl 및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한(MgSO4)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용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올 = 1/0 ∼ 95/5 (v/v)을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로 미정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수율: 12.2 g
MS-ESI: [M+H]+ = 419.4
TLC: Rf = 0.3,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h)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4-피리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THF (25 ㎖) 중의 브로모아세틸 브로마이드 (0.59 ㎖) 용액을 THF (50 ㎖) 중의 t-부틸 5-아미노-4-(3-아미노페닐)-2-(4-피리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25(g), 2.0 g) 및 N,N-디메틸 아닐린 (3.0 ㎖) 용액에 적가 하였다. 실온에서 30분 후에,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한 후, DCM (100 ㎖)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은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2.3 g
MS-ESI: [M+H]+ = 539.2
TLC: Rf = 0.3, 실리카겔, 헵탄/EtOAc = 3/2 (v/v).
(i) t-부틸 5-아미노-2-(4-피리딜)-4-(3-((N-(1-히드록시-2-메틸-프로프-2-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4-피리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25(h), 200 ㎎)의 교반된 용액에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300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 시간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DCM (100 ㎖)으로 희석하고, 수성 NaHCO3 (1 M, 2 x 50 ㎖)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73 ㎎ (TFA-염)
MS-ESI: [M+H]+ = 548.2
HPLC: Rt = 9.65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26
t-부틸 5-아미노-2-(4-피리딜)-4-(3-((N,N-비스-(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DCM (5 ㎖) 중의 t-부틸 5-아미노-4-(3-(2-브로모아세트아미도)-페닐)-2-(4-피리딜)-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25(h), 200 ㎎)의 교반된 용액에 비스-(2-메톡시에틸)-아민 (300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 시간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DCM (100 ㎖)으로 희석하고, 수성 NaHCO3 (1 M, 2 x 50 ㎖)로 세척하고, 건조한(MgSO4)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30분 동안 0.1% 수성 TFA + 10% 수성 ACN/ACN = 90/10 ∼ 10/90 (v/v)의 구배로 Luna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함으로써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1,4-디옥산, 0.1% 수성 TFA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170 ㎎ (TFA-염)
MS-ESI: [M+H]+ = 592.2
HPLC: Rt = 12.02 분, 컬럼 Luna C-18(2), 3 ㎛, 100 x 2.0 mm, 검출 UV = 210 nm, 오븐 온도 = 40℃, 유속 = 0.25 ㎖/분, 용출제 인산염 완충제 50 mM pH 2.1/물/ACN = 10/80/10 ∼ 10/10/80 (v/v/v), 실행 시간 = 20 분.
실시예 27
CHO-LH 및 CHO-FSH의 시험관내 생활성
화합물의 LH 작동제 활성은 인간 LH 수용체로 안정하게 형질감염되고 cAMP 반응성 성분(CRE)/반딧불이 루시퍼라제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프로모터로 동시형질감염시킨 중국산 햄스터 난소(CHO) 세포에서 시험하였다. Gs-커플링된 LH 수용체에 리간드가 결합하면 cAMP가 증가할 것이며, 그 후 루시퍼라제 리포터 구성체의 트랜스벡션 증가가 유도될 것이다. 루시퍼라제 시그널은 발광 계수기로 정량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대해서 EC50 값(최대의 1/2(50%) 자극을 유발하는 시험 화합물의 농도)을 계산하였다. 이를 위해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GraphPad PRISM, 버젼 3.0 (미국 샌디에고 소재의 GraphPad 소프트웨이 인코포레이티드)을 사용하였다.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의 FSH 작동제 활성을 루시퍼라제 리포터 유전자와 인간 FSH 수용체로 형질감염된 CHO 세포에서 시험하였다. 결과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생체내 활성
LH/FSH 리포터 작동제 화합물의 생체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미성숙 마우스에서 배란 유도를 연구하였다. 이 분석에서는 미성숙 암컷 마우스를 뇨 FSH(Humegon 12.5 IU/동물)로 감작시켰다. 약 48 시간 후에, 동물을 LH/FSH 작동제 화합물(이 제제는 실시예 1, 4, 9 및 17에 개시되어 있음) 50 ㎎/kg의 용량 농도로 처리하였다. LH/FSH 작동제 처리 24 시간 후에 동물을 죽이고, 난관의 난자 수를 현미경으로 평가하였다. 평균 10∼15 마리의 동물을 시험하였다. 난자의 평균 수는 8개였으며, 실시예 17의 화합물만 예외적으로 0.4개였다.
화합물 명칭 실시예 LH EC50(M) FSH EC50(M)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1 2.73E-09 5.69E-08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1-히드록시-2-메틸-프로프-2-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 5.42E-09 8.06E-07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3 5.97E-09 1.44E-06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4 7.00E-09 1.01E-07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R-1-메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프-1-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5 9.63E-09 3.48E-07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N,N-비스-(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6 1.00E-08 1.18E-06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2,3-디히드록시-프로프-1-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7 1.22E-08 1.13E-06
t-부틸 5-아미노-2-메틸티오-4-(3-((1,3-디히드록시프로프-2-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8 2.64E-08 1.00E-06
t-부틸 5-아미노-2-페닐-4-(3-((N-에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9 4.82E-09 6.06E-07
t-부틸 5-아미노-2-페닐-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10 1.01E-08 2.48E-06
t-부틸 5-아미노-2-(2-푸릴)-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11 4.00E-09 6.16E-07
t-부틸 5-아미노-2-(2-푸릴)-4-(3-(N-(1-히드록시-2-메틸-프로프-2-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12 1.18E-08 2.97E-06
t-부틸 5-아미노-2-(2-푸릴)-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13 1.21E-08 2.55E-06

화합물 명칭 실시예 LH EC50(M) FSH EC50(M)
t-부틸 5-아미노-2-(2-티에닐)-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14 5.28E-09 1.44E-06
t-부틸 5-아미노-2-(2-티에닐)-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15 1.82E-08 3.21E-06
t-부틸 5-아미노-2-(2-티에닐)-4-(3-((N,N-디-(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16 2.13E-08 6.81E-06
t-부틸 5-아미노-2-에틸아미노-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17 1.04E-08 1.25E-06
t-부틸 5-아미노-2-(N,N-디메틸아미노)-4-(3-((N-메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18 1.45E-08 1.63E-06
t-부틸 5-아미노-2-에틸아미노-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19 2.29E-08 2.30E-06
t-부틸 5-아미노-2-이소프로필아미노-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0 4.24E-08 2.95E-06
t-부틸 5-아미노-2-알릴아미노-4-(3-((N-(메톡시카르보닐메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1 5.70E-08 5.60E-07
t-부틸 5-아미노-2-메톡시-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2 1.16E-08 9.53E-07
t-부틸 5-아미노-2-알릴옥시-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3 3.68E-08 1.74E-06
t-부틸 5-아미노-2-이소프로폭시-4-(3-((N-에틸-N-(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4 7.82E-08 2.51E-06
t-부틸 5-아미노-2-(4-피리딜)-4-(3-((N-(1-히드록시-2-메틸-프로프-2-일)-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5 3.47E-08 4.00E-07
t-부틸 5-아미노-2-(4-피리딜)-4-(3-((N,N-비스-(2-메톡시에틸)-글리시닐)-아미노)-페닐)-티에노[2,3-d]피리미딘-6-카르복스아미드 26 3.82E-08 1.23E-06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티에노[2,3-d]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화학식 I
    Figure 112009000557279-pct00015
    상기 식에서,
    X는 O 또는 H2이고;
    A는 S, NH, N(R6), O 또는 결합이며;
    R1은 (1-4C)알킬, (2-4C)알케닐, 페닐 또는 (2-5C)헤테로아릴이고,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는 경우에 따라 히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아미노 또는 (1-4C)(디)알킬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중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R2는 H, (1-4C)알킬, (1-4C)알콕시(2-4C)알킬 또는 히드록시(2-4C)알킬이며;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1-4C)알킬 및 히드록시(1-4C)알킬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R5는 H 또는 (1-4C)알킬이며;
    R6은 R1에 대해 개시한 바와 동일한 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X는 H2인 것인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5는 (1-4C)알킬인 것인 화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3과 R4는 동일한 것인 화합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3과 R4는 모두 H인 화합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는 (1-4C)알킬인 것인 화합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것인 화합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티에노[2,3-d]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 용매화물을 약학적 허용 보조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어형 과다자극, 배란 유도, 또는 생식선 저하증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KR1020047003096A 2001-09-04 2002-08-29 LH 및 FSH의 조합 작동 활성을 갖는 글리신 치환된티에노[2,3-d]피리미딘 KR100891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3328 2001-09-04
EP01203328.8 2001-09-04
PCT/EP2002/009648 WO2003020727A1 (en) 2001-09-04 2002-08-29 GLYCINE-SUBSTITUTED THIENO [2,3-d]PYRIMIDINES WITH COMBINED LH AND FSH AGONISTIC A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135A KR20040029135A (ko) 2004-04-03
KR100891630B1 true KR100891630B1 (ko) 2009-04-03

Family

ID=818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096A KR100891630B1 (ko) 2001-09-04 2002-08-29 LH 및 FSH의 조합 작동 활성을 갖는 글리신 치환된티에노[2,3-d]피리미딘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7375109B2 (ko)
EP (1) EP1427734B1 (ko)
JP (1) JP4263094B2 (ko)
KR (1) KR100891630B1 (ko)
CN (1) CN1261437C (ko)
AR (1) AR036408A1 (ko)
AT (1) ATE309251T1 (ko)
AU (1) AU2002333750B2 (ko)
BR (1) BR0212173A (ko)
CA (1) CA2457212C (ko)
CY (1) CY1106052T1 (ko)
DE (1) DE60207280T2 (ko)
DK (1) DK1427734T3 (ko)
EC (1) ECSP044990A (ko)
ES (1) ES2252540T3 (ko)
HR (1) HRP20040194A2 (ko)
HU (1) HUP0401443A3 (ko)
IL (2) IL160194A0 (ko)
IS (1) IS2419B (ko)
MX (1) MXPA04002046A (ko)
NO (1) NO328792B1 (ko)
NZ (1) NZ531375A (ko)
PE (1) PE20030467A1 (ko)
PL (1) PL368388A1 (ko)
RU (1) RU2294331C2 (ko)
WO (1) WO2003020727A1 (ko)
ZA (1) ZA2004014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0923B2 (en) * 2002-12-16 2005-05-10 Astrazeneca Ab Compounds
KR100666484B1 (ko) * 2005-02-04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회로 및 입출력 방법
US8741259B2 (en) 2008-10-20 2014-06-03 Marvin C. Gershengorn Low molecular weight thyroid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TSHR) agonists
CN101762915B (zh) * 2008-12-24 2013-04-17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Tft-lcd阵列基板及其驱动方法
CA2789818A1 (en) 2010-04-08 2011-10-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 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Inverse agonists and neutral antagonists for the tsh receptor
EP2900675B1 (en) 2012-09-28 2019-03-06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roduction method of thienopyrimidine derivati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1586A1 (en) * 1999-04-08 2000-10-19 Akzo Nobel N.V. Bicyclic heteroaromatic compounds useful as lh agonis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79031T2 (de) 1987-08-08 1993-06-24 Akzo Nv Kontrazeptives implant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1586A1 (en) * 1999-04-08 2000-10-19 Akzo Nobel N.V. Bicyclic heteroaromatic compounds useful as lh agoni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09251T1 (de) 2005-11-15
IL160194A0 (en) 2004-07-25
CA2457212A1 (en) 2003-03-13
CN1551883A (zh) 2004-12-01
CA2457212C (en) 2011-02-15
NO20040922L (no) 2004-03-03
BR0212173A (pt) 2004-07-20
ZA200401459B (en) 2004-11-22
IS2419B (is) 2008-10-15
JP4263094B2 (ja) 2009-05-13
NO328792B1 (no) 2010-05-18
ECSP044990A (es) 2004-04-28
DK1427734T3 (da) 2006-03-06
EP1427734B1 (en) 2005-11-09
US20040180907A1 (en) 2004-09-16
KR20040029135A (ko) 2004-04-03
DE60207280T2 (de) 2006-05-18
HUP0401443A3 (en) 2008-05-28
CN1261437C (zh) 2006-06-28
HUP0401443A2 (hu) 2004-11-29
JP2005504784A (ja) 2005-02-17
NZ531375A (en) 2005-06-24
RU2004110036A (ru) 2005-10-10
CY1106052T1 (el) 2011-04-06
WO2003020727A1 (en) 2003-03-13
DE60207280D1 (de) 2005-12-15
HRP20040194A2 (en) 2004-08-31
MXPA04002046A (es) 2004-07-16
AU2002333750B2 (en) 2008-02-21
PE20030467A1 (es) 2003-05-26
PL368388A1 (en) 2005-03-21
AR036408A1 (es) 2004-09-08
EP1427734A1 (en) 2004-06-16
ES2252540T3 (es) 2006-05-16
RU2294331C2 (ru) 2007-02-27
IS7152A (is) 2004-02-13
IL160194A (en) 2009-06-15
US7375109B2 (en)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9863B1 (en) Bicyclic heteroamatic compounds useful as LH agonists
AU2002337035B2 (en) Thieno[2,3-d]pyrimidines with combined LH and FSH agonistic activity
AU2002337035A1 (en) Thieno[2,3-d]pyrimidines with combined LH and FSH agonistic activity
EP1322651B1 (en) Bicyclic heteroaromatic compounds
KR100891630B1 (ko) LH 및 FSH의 조합 작동 활성을 갖는 글리신 치환된티에노[2,3-d]피리미딘
AU2002333750A1 (en) Glycine-substituted thieno[2,3-d]pyrimidines with combined LH and FSH agonistic activity
TWI314861B (en) Glycine-substituted thieno [2,3-d] pyrimidines with combined lh and fsh agonistic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