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643B1 - 줌렌즈 및 프로젝터장치 - Google Patents

줌렌즈 및 프로젝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643B1
KR100847643B1 KR1020070070652A KR20070070652A KR100847643B1 KR 100847643 B1 KR100847643 B1 KR 100847643B1 KR 1020070070652 A KR1020070070652 A KR 1020070070652A KR 20070070652 A KR20070070652 A KR 20070070652A KR 100847643 B1 KR100847643 B1 KR 100847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lens
conditional expression
enlarged side
following con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637A (ko
Inventor
에츠로 가와카미
야스유키 데지마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6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 G02B15/177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having a negative front lens or group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02B15/142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enses (AREA)

Abstract

DMD 등의 빛의 반사방향을 바꾸어 화상을 형성하는 라이트 벌브로부터의 화상을 스크린 또는 그 밖에 확대 투사하는 고성능이고 렌즈 구경이 작으며 컴팩트한 줌렌즈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확대측부터 차례로,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군 및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군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렌즈군은 광각단에서 중간영역까지는 확대측으로부터 축소측 방향으로, 또 중간영역에서 망원단에 걸쳐서는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렌즈군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에 걸쳐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렌즈 전체계의 변배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70070652
줌렌즈, 광각단, 중간영역, 망원단, 아베수

Description

줌렌즈 및 프로젝터장치{ZOOM LENS AND PROJECTOR UNIT}
본 발명은 주로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등의 빛의 반사방향을 바꾸어 화상을 형성하는 라이트 벌브로부터의 화상을 스크린 그 밖에 확대 투사하는 렌즈 구경이 작고 컴팩트한 줌렌즈 및 이 줌렌즈를 탑재한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미소한 마이크로 미러(경면소자)를 화소에 대응시켜 평면상에 배열하고, 마이크로 머신 기술을 이용하여, 각각의 경면의 각도를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화상을 표시하는 DMD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 DMD는 이 분야에서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어 온 액정패널보다 응답속도가 빠르고, 밝은 화상이 얻어진다고 하는 특징이 있어, 소형이고 고휘도이고 또한 고화질이며, 휴대가능하게 한 프로젝터 장치를 실현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에, 급속히 보급되어 오고 있다.
프로젝터 장치에 있어서 라이트 벌브로서 DMD를 이용하는 경우, 동시에 사용하는 투사용 렌즈에 대해서는 DMD 특유의 제약이 발생한다.
제 1 제약은 소형의 프로젝터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최대의 제약이라고도 생각되는 투사용 렌즈의 F값에 관한 것이다. 현재, DMD에 있어서, 화상을 생성할 때에 마이크로 미러의 ON 및 OFF를 표현하기 위해 선회하는 각도는 ±12°이고, 이것에 의해 유효한 반사광(유효광)과 무효인 반사광(무효광)을 전환하고 있다. 따라서, DMD를 라이트 벌브로 한 프로젝터장치에 있어서는 유효광을 포착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무효광을 포착하지 않는 것이 조건으로 되고, 이 조건으로부터 투사용 렌즈의 F값을 인도할 수 있다. 즉 F = 2.4로 된다. 실제로는 더욱 조금이라도 광량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요망이 있기 때문에, 실제 손해가 없는 범위에서의 콘트라스트의 저하 등에 배려한 후에 더욱 작은 F값을 요구받는 경우도 많다.
또, 이러한 조건은 투사용 렌즈의 라이트 벌브측의 푸필의 위치가 일정하다고 하는 조건하에서 성립하고 있기 때문에, 줌렌즈 등의 푸필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한 분만큼 광량의 로스(loss)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밝기가 문제로 되기 쉬운 광각단(wide angle end)에서 푸필 위치를 최적화하는 등의 배려도 필요하다.
제 2 제약은 광원계와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화를 위해서는 투사용 렌즈의 이미지 써클은 가능한한 작게 하고자 하기 때문에, DMD에 투사용의 광속을 입력하는 광원계의 배치는 한정되어 버린다. 상술한 DMD로부터의 유효광을 투사용 렌즈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광원계를 투사용 렌즈와 대략 동일한 방향(인접)에 설치하게 된다. 또 투사용 렌즈의 무엇보다도 라이트 벌브측 렌즈와 라이트 벌브의 사이(즉 일반적으로는 백포커스)를 투사계와 광원계의 양 광학계에서 사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투사용 렌즈에는 큰 백포커스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동시에, 광원으로부터의 도광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 라이트 벌브측의 렌즈계를 작게 설계할 필요가 생긴다.
이것은 투사용 렌즈의 광학설계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투사용 렌즈의 후방 부근에 라이트 벌브측의 푸필 위치가 오도록 설계한다고 하는 제약으로 된다. 한편, 투사용 렌즈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렌즈를 조합할 필요가 있으며, 다수개의 렌즈를 배치하면 투사용 렌즈의 전체 길이는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게 되고, 투사용 렌즈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면, 입사 푸필 위치가 후방에 있는 렌즈에서는 당연히 전방의 렌즈지름이 커져 버린다고 하는 소형화와는 상반된 문제로 된다.
이와 같이, 개발을 실행함에 있어서 큰 제약은 있지만, 라이트 벌브로서 DMD를 채용하는 프로젝터장치는 소형화한 후에 다른 방식보다 유리하다고 되어 있으며, 현재로는 프리젠테이션을 실행할 때에 편리한 데이터 프로젝터를 중심으로 하여, 휴대 가능한 컴팩트한 것이 널리 보급되어 오고 있다. 또 장치 자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사용될 투사용 렌즈에 관해서도 컴팩트화의 요망은 매우 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기능화라고 하는 요망도 있어, 제수차(諸收差)의 보정의 결과로서의 화질에 관한 성능이 사용할 DMD의 사양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은 물론, 편리성의 점에서는 줌 구성에 의한 변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DMD의 중심과 투사 렌즈의 광축을 어긋나게 한 소위 시프트구성을 채용하기 위해 이미지 써클이 큰 것을 요구하게 되고, 렌즈의 그 광각단의 화각이 큰 것, 또한 변배비도 큰 것이 요구되도록 되어 왔다.
이러한 사양으로 개발된 투사용 렌즈는 특히 전군(前群)렌즈의 구경이 요망보다 아무래도 커지는 경향이며, 프로젝터 장치의 두께 치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휴대가능한 것을 전제로 한 프로젝터장치에 있어서 두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은 중요하고,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과 함께 가지고 다닐 일이 많은 사용방법을 하는 프로젝터장치에서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27166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투사용 렌즈의 컴팩트화 설계방법의 일예가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0.7인치 DMD를 사용한 경우의 앞렌즈(前玉) 유효지름은 39㎜에서 42㎜로 되어, 적어도 프로젝터장치의 두께를 50㎜ 이하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두께는 실제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과 함께 휴대해 보면 아직은 두께에 불만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DMD 등의 빛의 반사방향을 바꾸어 화상을 형성하는 라이트 벌브의 특성에 적합하고, 라이트 벌브로부터의 화상을 스크린상 혹은 그 밖의 벽면 등에 확대 투사하는 용도에 있어서 결상 성능이 높고, 또한 렌즈 구경이 작고 컴팩트한 줌렌즈를 실현하며, 컴팩트하고 밝으며, 작은 회의실 등의 한정된 공간에서도 큰 화면을 투사할 수 있는 고화질이고 휴대에 편리한 박형의 프로젝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양태는 확대측부터 차례로, 전체적으로 부(negative)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군 및 전체적으로 정(positive)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군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렌즈군은 광각단에서 중간영역까지는 확대측으로부터 축소측 방향으로, 또 중간영역에서 망원단에 걸쳐서는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하고, 상기 제 2 렌즈군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에 걸쳐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렌즈 전체계의 변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1)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제 2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2)을 만족시키고 있으며, 광각단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렌즈군의 축소측에 설정되는 공간의 크기에 관해 하기 조건식(3)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이다.
(1) -1.1 < fw/f < -0.5
(2) 0.35 < fw/f <0.6
(3) 1.7 < dw /fw
단,
fw :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 전체계의 합성 초점거리
(제 1 렌즈군의 가장 확대측면으로부터의 확대측 물체거리 1700㎜에 초점맞춤 상태)
f : 제 1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f : 제 2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dwⅡ : 광각단에 있어서의 제 2 렌즈군과 DMD 등의 커버유리의 사이의 공간 간격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다른 하나는 상기 줌렌즈를 탑재한 프로젝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D 등의 라이트 벌브의 특성에 적합한 결상 성능이 높고 컴팩트한 줌렌즈를 실현하며, 컴팩트하고 밝으며, 고화질의 프로젝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를 설명한다.
이 줌렌즈는 확대측부터 차례로,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군 및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군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렌즈군은 광각단에서 중간영역까지는 확대측으로부터 축소측 방향으로, 또 중간영역에서 망원단에 걸쳐서는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하고, 상기 제 2 렌즈군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에 걸쳐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렌즈 전체계의 변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1)을 만족시 키고 있고, 상기 제 2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2)를 만족시키고 있으며, 광각단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렌즈군의 축소측에 설정되는 공간의 크기에 관해 하기 조건식(3)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1.1 < fw/fI < -0.5
(2) 0.35 < fw/f<0.6
(3) 1.7 < dw /fw
단,
fw :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 전체계의 합성 초점거리
(제 1 렌즈군의 가장 확대측면으로부터의 확대측 물체 거리 1700㎜에 초점맞춤 상태)
fI : 제 1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f: 제 2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dwⅡ : 광각단에 있어서의 제 2 렌즈군과 DMD 등의 커버유리의 사이의 공간 간격
조건식(1)은 전체로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군으로의 파워의 적절한 배분에 관한 조건이다. 광학계 전체의 크기와 제수차를 적절히 보정하기 위한 조건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된다. 또 DMD 등의 라이트 벌브를 조명하기 위한 광학계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 2 렌즈군과 DMD 등의 커버 유리의 사이의 공간간격의 크기부분에 취하지 않으면 안 되어, 이 공간을 확보함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제약이다.
그 때문에 하한을 넘으면, 제 1 렌즈군이 갖는 부의 합성 파워가 크게 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제 2 렌즈군의 정의 파워를 강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되어, 제수차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성능이 악화된다. 반대로 상한을 넘으면, 제 1 렌즈군과 제 2 렌즈군의 공간 간격을 크게 취하지 않으면 안 되고, 광학계 전체의 크기가 커져 소형화의 목적과 상반되거나, 혹은 제 2 렌즈군과 DMD 등의 커버유리의 사이의 공간간격 부분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조건식(2)는 광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렌즈 전체계의 변배를 담당하는 강한 정파워를 갖는 제 2 렌즈군에 관한 것이다. 상한을 넘어 정파워가 커지면 제 2 렌즈군의 변배에 관한 이동량은 작아도 되지만, 다른 각 렌즈군과의 밸런스가 무너져 성능이 저하하고, 하한을 넘으면 수차적으로는 유리하지만, 이동량이 커져 소형화를 손상시켜 버린다.
또, 조건식(3)은 제 2 렌즈군의 축소측의 광각단에 있어서의 간격 조건이다. 라이트 벌브의 조명계의 스페이스를 위해 이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하한을 넘으면 조명계의 스페이스가 부족하여 프로젝터장치로서 설계가 곤란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 렌즈군은 확대측부터 차례로 제 1a 렌즈군 및 제 1b 렌즈군을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a 렌즈군은 확대측부터 차례로, 확대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형상의 부렌즈, 부렌즈 및 정렌즈를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b 렌즈군은 가장 확대측의 굴절면이 축소측을 향한 강한 오목면이며, 가장 축소측의 굴절면이 축소측을 향한 볼록면으로써 1개 내지 3개의 렌즈를 배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a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4)를 만족시키고, 상기 제 1b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5)를 만족시키며, 상기 제 1 렌즈군의 광축상의 치수에 관해 하기 조건식(6)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 -0.8 < fw/fIa < -0.1
(5) -0.45 < fw/fIb < 0.1
(6) 1.2 < TI/fw < 2.4
단,
fIa:제 1 렌즈군을 구성하는 제 1a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fIb:제 1 렌즈군을 구성하는 제 1b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TI:제 1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과 제 1 렌즈군에서 가장 축소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축소측면의 광축상의 거리
조건식(4) 및 조건식(5)는 조명계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 즉 긴 백포커스(back focus)를 양호한 성능과 소형화라고 하는 상반된 조건하에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제 1 렌즈군은 강한 부의 파워를 갖는 것이 필수로 되지만, 그것을 조건식(4), 조건식(5)에서 나타나도록 배분한다.
각각의 조건식이 표현하는 내용으로서는 조건식(4)에서는 제 1a 렌즈군의 부의 파워에 관한 것이다. 백포커스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특히 제 1a 렌즈군의 부파워를 증대하는 것이 유효하며, 상한, 하한을 넘으면 제 1b 렌즈군 또는 제 1a 렌즈군의 부파워가 과대하게 되어 양호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조건식(5)에서는 제 1b 렌즈군의 부파워에 관한 것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제 1a 렌즈군의 부파워보다 작은 것이 유리하게 된다. 상한, 하한을 넘으면 각각 제 1a 렌즈군 또는 제 1b 렌즈군의 부파워가 과대하게 되어 양호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계속되는 조건식(6)은 소형화, 특히 앞렌즈 근방의 렌즈의 소구경화를 위해 효과적인 조건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렌즈군의 강한 부파워에 의해 제 1 렌즈군 사출 후의 광속은 크게 발산되어 있고, 따라서 렌즈지름도 대구경화되기 쉽다. 이것을 조건식(6)과 같이 제 1 렌즈군의 두께를 크게 취하는 것에 의해서 방지하는 것이다.
또, 제 1 렌즈군의 부파워를 분산하기 위해, 렌즈 개수도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여, 필연적으로 제 1 렌즈군은 어느 정도 길어질 수 밖에 없다. 하한을 넘으면 소구경화는 곤란하고, 상한을 넘으면 광축방향의 치수가 너무 크게 되어 사양을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동시에 렌즈 개수의 증가에 수반해서 중량이 증가하여 소형화의 의미가 없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축소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7)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굴절률의 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8)을 만족시키고 있 으며, 상기 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분산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9)을 만족시키고 있고, 또 상기 제 1b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10)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7) 0. 85 < fw/r a2 < 1.6
(8) 1.65 < NⅠa
(9) V aP - V aN < -9.0
(10) -1.4 < fw/r b1 < -0.8
단,
r a2:제 1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축소측면의 곡률반경
r b1:제 1b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곡률반경
NⅠa: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의 평균값
V aP: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정렌즈의 아베수(Abbe's number)의 평균값
V aN: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부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조건식(7)은 상기 제 1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축소측의 형상에 관한 것으로서, 강한 파워를 갖게 하면서, 확대측의 광속에 대해 대략 동심적 형상으로 하고, 근본적으로 수차의 발생을 억제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한을 넘으면, 구면수차, 코머수차가 보정 과잉으로 되고, 하한을 넘으면 반대로 보정 부족으로 된다.
조건식(8)은 특히 강한 부파워를 갖는 제 1a 렌즈군의 굴절률의 특징에 관한 것이다. 강한 부파워를 획득하는 것에 의한 곡률의 강도를 경감하기 위해, 고굴절률인 것이 필수이고, 조건식에 있어서 하한을 넘으면 곡률 과대의 면이 되는 것에 의한 구면수차, 코머수차가 과대로 되고, 또 페츠발합(Petzval sum)도 너무 작아져 버려, 양호한 성능을 얻을 수 없다.
조건식(9)는 제 1 렌즈군에 있어서 기본으로 되는 색지움(achromatism) 조건이며, 색수차 보정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한 조건식이다. 부의 강한 파워를 갖는 제 1 렌즈군 중에서 큰 부파워를 분담하고 있는 상기 제 1a 렌즈군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분산특성의 밸런스를 표현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군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기본적인 색수차를 작게 억제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이들 렌즈의 유리재 선택을 조건식(9)의 조건하에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적절한 파워 배분을 실현할 수 있어 색수차의 양호한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한을 넘으면 색수차 보정으로 인해 각 렌즈의 파워가 과대로 되고, 제수차가 악화된다.
조건식(10)은 제 1 렌즈군에 있어서의 구면수차, 코머수차 보정과 앞렌즈 근방에 배치되는 렌즈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본 줌렌즈의 사양은 광각단에 서의 화각이 광각인 동시에 앞렌즈 지름을 작게 설계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통상 이 2개의 조건은 상반된 성격의 조건이다. 각 수차 보정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앞렌즈 지름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상높이가 큰 상점(像點)에 대응하는 광선속을 앞렌즈 근방에 있어서 더욱 광선높이가 낮은 위치를 통과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을 제 1 렌즈군내에서 현저한 형태로 실천하고 있는 것이 제 1b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이다. 이 렌즈에 부가되어 있는 파워는 비교적 작지만, 축소측으로 크게 볼록하게 되는 메니스커스형상으로 되는 것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한편, 제 1 렌즈군내의 구면수차, 코머수차 보정과의 밸런스를 취할 필요도 있으며, 하한을 넘으면, 즉 곡률반경이 너무 작은 경우이지만, 이 때는 구면수차, 코머수차의 보정에 관한 자유도가 부족하게 되고, 상한을 넘으면 앞렌즈 지름을 더욱 크게 하여 대응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주어진 소형화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또, 제 1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에 관해, 적어도 확대측면이 비구면형상이고,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11)을 만족시키고, 상기 제 1a 렌즈군의 확대측으로부터 2번째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12)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0.9 < fw/fIa1 < -0.4
(12) -0.65 < fw/r a3 < -0.1
단,
fIa1: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초점거리
r a3: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확대측으로부터 2번째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곡률반경
조건식(11)은 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한 것으로서, 축외 수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상한을 넘으면 부의 파워가 너무 작아져, 축외 수차의 보정에 대해 충분한 대응을 취할 수 없고, 또 하한을 넘으면 부의 파워가 과대하게 되어, 색수차를 비롯한 제수차가 열화한다.
계속되는 조건식(12)는 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확대측으로부터 2번째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형상에 관한 것이며, 조건식(7) 및 조건식(11)과 함께 앞렌즈 근방에 관한 축외 수차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상한을 넘으면, 이 면의 곡률반경이 커져 곡률이 작아지고, 하한을 넘으면 반대로 곡률이 커지고, 어쨌든, 축외 수차인 배율의 색수차, 왜곡 보정이 곤란하게 된다.
또, 상기 제 2 렌즈군은 확대측부터 차례로 제 2a 렌즈군, 제 2b 렌즈군, 및 제 2c 렌즈군을 배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a 렌즈군은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도록 1개 내지 2개의 정렌즈를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b 렌즈군은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1개의 부렌즈로 구성되거나 또는 부렌즈 및 정렌즈를 각 1개씩 배치해서 구성되고, 상기 제 2c 렌즈군은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도록 정렌즈를 2개와 부렌즈를 1개 배치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a 렌즈군, 상기 제 2b 렌즈군 및, 상기 제 2c 렌즈군에 설 정되는 파워에 관해, 각각 하기 조건식(13), 하기 조건식(14) 및 하기 조건식(15)을 만족시키고, 또 상기 제 2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정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굴절률의 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16)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0.35 < fw/fⅡa < 0.85
(14) -0.65 < fw/fⅡb < -0.25
(15) 0.2 < fw/fⅡc < 0.6
(16) NⅡP < 1.65
단,
fⅡa:제 2 렌즈군을 구성하는 제 2a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fⅡb:제 2 렌즈군을 구성하는 제 2b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fⅡc:제 2 렌즈군을 구성하는 제 2c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NⅡP:제 2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정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의 평균값 
조건식(13)은 제 2 렌즈군의 확대측에 배치되고, 강한 정파워를 갖는 제 2a렌즈군에 관한 것이고, 정렌즈가 1개 또는 2개로 구성된다. 제 1 렌즈군으로부터 제 2 렌즈군에 걸쳐 발산하는 광선속을 수렴하기 위한 큰 정파워의 부여와, 적절히 제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조건으로 된다. 상한을 넘으면, 정파워가 과대하게 되고, 하한을 넘으면 반대로 수렴하기 위한 정파워가 부족하게 되지만, 어쨌든, 구면수차, 색수차에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조건식(14)는 부의 제 2b 렌즈군의 파워에 관한 것으로써, 정의 제 2a 렌즈군 및 제 2c 렌즈군의 파워와 조합해서 배치하는 것은 색수차나, 상면 만곡 등의 수차를 기본적으로 작게 억제하기 위해 중요하다. 상한을 넘으면, 색수차 보정을 위해 제 2a 렌즈군 및 제 2c 렌즈군의 군 파워도 작아져 버리기 때문에, 페츠발합을 작게 할 수 없다. 하한을 넘으면, 반대로, 제 2 렌즈군이 강한 정파워와 부파워의 조합이 되므로, 고차의 구면수차, 코머수차가 과대하게 된다.
또, 조건식(15)는 제 2c 렌즈군의 파워를 규정하는 것이다. 제 2 렌즈군의 정파워를 조건식(13) 및 조건식(15)와 같이 적절히 분배함으로써, 양호한 성능이 얻어진다. 상한을 넘으면 제 2c 렌즈군의 파워가 과대하게 되고, 하한을 넘으면 제 2a 렌즈군의 파워가 과대하게 되며, 모두 양호한 성능을 얻을 수 없다.
한편, 조건식(16)은 구성요소의 정렌즈의 굴절률에 관한 것으로써, 상면 만곡 보정에 필요하게 되는 조건이다. 소형화를 위해, 부의 제 1 렌즈군은 강한 파워를 갖고, 이것에 의해 페츠발합은 과소하게 되기 쉽다. 조건식(16)에 의해 제 2 렌즈군을 구성하는 정렌즈의 굴절률을 낮게 억제하는 것에 의해서, 이것을 밸런스하여 보정한다. 따라서, 상한을 넘으면 상면 만곡의 보정 과잉으로 된다.
또, 상기 제 2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17)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제 2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분산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18)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7) 0.4 < fw/r a1 < 0.9
(18) 50 < VⅡa
단,
r a1:제 2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곡률반경
VⅡa:제 2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조건식(17)은 구면수차를 밸런스좋게 보정하기 위한 조건식이다. 즉 제 2a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형상은 제 1 렌즈군을 사출하는 발산된 광선속을 수렴하는 상태로 인도하기 위한 강한 정파워를 갖는 형상을 부여받고 있고, 그 결과 큰 언더(under)의 구면수차를 발생하고 있다. 이것에 대응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b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에 있어서, 큰 오버(over)의 구면수차를 발생하여 밸런스되어 있는 상대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건식(17)의 상한을 넘으면 언더의 구면수차가 커지고, 하한을 넘으면 오버의 구면수차가 커진다.
조건식(18)은 색수차 보정 조건이다. 제 2a 렌즈군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강한 정파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색수차로의 영향도 크다. 따라서, 조건식(18)과 같이, 아베수가 큰(분산이 작은)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필수로 된다. 하한을 넘으면, 제 2a 렌즈군에 있어서의 단파장에 대한 색수차가 크고 언더로 되어 보정이 곤란해진다.
또, 상기 제 2b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19)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9) -0.8 < fw/r b1 < -0.25
단,
r b1:제 2b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곡률반경
조건식(1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건식(17)과 아울러, 구면수차를 밸런스좋게 보정하기 위한 조건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대적의 구조이고, 조건식(19)에 있어서 하한을 넘으면 오버의 구면수차가 커지고, 반대로 상한을 넘으면 언더의 구면수차가 커진다.
또, 상기 제 2c 렌즈군에서 가장 축소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축소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20)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제 2c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분산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21)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0.65 < fw/r c5 < -0.25
(21) 15 < V cP-V cN
단,
r c5:제 2c 렌즈군에서 가장 축소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축소측면의 곡률반 경
V cP:제 2c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정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V cN:제 2c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부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조건식(20)은 렌즈 전체계에 있어서의 구면수차를 세세히 보정하기 위한 조건식이다. 구면수차의 보정에 관해 지배적이었던 상술한 제 2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 및 제 2b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형상에서도 다 보정되지 않고 잔존하는 구면수차를 보정하고 있다. 상한을 넘으면 보정 부족으로 되고, 반대로 하한을 넘으면 보정 과잉으로 된다.
조건식(21)은 제 2c 렌즈군에 있어서의 색보정 조건이다. 단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각 렌즈의 파워가 과대하게 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고, 그를 위해서는 조건식(21)을 만족시키는 정렌즈, 부렌즈의 아베수가 필요한 조건으로 된다. 하한을 넘으면, 색수차의 보정이 곤란하게 된다.
또, 상기 제 2c 렌즈군은 부렌즈와 정렌즈의 적어도 2개의 접합에 의한 부분계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접합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굴절률에 관한 특성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22)를 만족시키고 있고, 마찬가지로 접합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분산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23)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2) 0.25 < N cCN-N cCP
(23) 20 < V cCP-V cCN
단,
N cCP:제 2c 렌즈군의 접합 부분계에 배치되는 정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의 평균값
N cCN:제 2c 렌즈군의 접합 부분계에 배치되는 부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의 평균값
V cCP:제 2c 렌즈군의 접합 부분계에 배치되는 정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V cCN:제 2c 렌즈군의 접합 부분계에 배치되는 부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제 2c 렌즈군의 접합 부분계의 배치방법에 관해서는 정렌즈 1개를 분리해서 배치하는 경우, 확대측에 배치하는 배치방법과 축소측에 배치하는 배치방법이 있다. 어느 경우에도 접합 렌즈에 굴절률차를 부여하고, 접합면에서의 구면수차의 보정능력을 유지하면서 상면 만곡 보정의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조건식(22)에서 하한을 넘으면, 상면 만곡 보정 과잉 및 구면수차 보정 부족으로 된다. 또 조건식(23)은 렌즈 전체계에 있어서의 색수차 보정에 관한 조건식으로 되어 있으며, 하한을 넘으면 특히 배율 색수차가 커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를 프로젝터장치에 탑재하는 것에 의해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휴대에도 편리한 박형의 프로젝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D 등의 라이트 벌브의 특성에 적합한 결상성능이 높고 컴팩트한 줌렌즈를 실현하여, 컴팩트하고 밝으며, 고화질의 프로젝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수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의 줌렌즈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줌렌즈에서는 확대측부터 차례로,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군 LG1 및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군 LG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렌즈군(LG1)은 확대측부터 차례로 제 1a 렌즈군(LG1a) 및, 제 1b 렌즈군(LG1b)을 배치해서 구성된다. 상기 제 1a 렌즈군(LG1a)은 확대측부터 차례로, 확대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형상의 부렌즈(렌즈 명칭(L111), 확대측면(111), 축소측면(112)), 부렌즈(렌즈 명칭(L112), 확대측면(113), 축소측면(114)), 및, 정렌즈(렌즈 명칭(L113), 접합의 경우는 확대측면(114), 축소측면(115))를 배치해서 구성된다. 계속되는 상기 제 1b 렌즈군(LG1b)은 가장 확대측의 굴절면이 축소측을 향한 강한 오목면이고, 가장 축소측의 굴절면이 축소측을 향한 볼록면으로써, 1개 내지 3개의 렌즈를 배치해서 구성된다(렌즈 명칭을 확대측부터 차례로 L121, L122‥‥, 면의 명칭을 확대측부터 차례로 121, 122‥‥로 한다).
상기 제 2 렌즈군(LG2)은 확대측부터 차례로 제 2a 렌즈군(LG2a), 제 2b 렌즈군(LG2b) 및, 제 2c 렌즈군(LG2c)을 배치해서 구성된다. 상기 제 2a 렌즈군(LG2a)은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고, 1개 내지 2개의 정렌즈를 배치해서 구 성된다(렌즈 명칭을 확대측부터 차례로 L211, L222, 면의 명칭을 확대측부터 차례로 211, 212, 213, 214로 한다). 상기 제 2b 렌즈군(LG2b)은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고, 1개의 부렌즈로 구성되거나 또는 부렌즈 및 정렌즈를 각 1개씩 배치해서 구성된다(렌즈 명칭을 확대측부터 차례로 L221, L222, 면의 명칭을 확대측부터 차례로 221, 222‥‥로 한다). 상기 제 2c 렌즈군(LG2c)은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정렌즈를 2개와 부렌즈를 1개 배치해서 구성된다(렌즈 명칭을 확대측부터 차례로 L231, L232‥‥, 면의 명칭을 확대측부터 차례로 231, 232‥‥로 한다).
또, 상기 제 2 렌즈군 LG2의 축소측과 DMD 등의 라이트 벌브면의 사이에는 조명계 광로를 위한 큰 공간간격을 마련해서 DMD 등의 라이트 벌브의 구성부품인 커버유리 CG(확대측면을 C01, 축소측면을 C0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렌즈군 LG1을 구성하는 상기 제 1a 렌즈군(LG1a) 및 상기 제 1b 렌즈군(LG1b)은 가동식의 제 1 렌즈경통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렌즈군(LG2)을 구성하는 상기 제 2a 렌즈군(LG2a), 상기 제 2b 렌즈군(LG2b) 및, 상기 제 2c 렌즈군(LG2c)은 가동식의 제 2 렌즈경통에 고정되어 있다. 변배 동작으로서는 상기 제 3 렌즈군(LG3)은 변배동작 중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렌즈군(LG1)은 광각단에서 중간영역까지는 확대측으로부터 축소측 방향으로, 또 중간영역에서 망원단에 걸쳐서는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하고, 상기 제 2 렌즈군(LG2)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에 걸쳐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렌즈 전체계의 변배를 이루고 있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비구면에 대해서는 주지와 같이, 광축방 향에 Z축,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Y축을 취할 때, 비구면식:
Z=(Y2/r)/[1+√{1-(1+K)(Y/r)2}]
    + A·Y4 + B·Y6 + C·Y8 + D·Y10 + ‥‥
으로 주어지는 곡선을 광축 주위에 회전해서 얻어지는 곡면으로써, 근축 곡률반경:r, 원추정수:K, 고차의 비구면계수:A, B, C, D‥‥를 부여해서 형상을 정의한다. 또한, 표 중의 원추정수 및 고차의 비구면계수의 표기에 있어서「E와 거기에 계속되는 숫자」는 「10의 누승」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E-4」는 10-4를 의미하고, 이 수치를 직전의 수치에 곱하면 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줌렌즈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수치예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도 1은 그 렌즈 구성도, 도 2는 그 제수차도이다. 표 및 도면 중, f는 줌렌즈 전체계의 초점거리, Fno는 F넘버, 2ω는 줌렌즈의 전체 화각을 나타낸다. 또, r은 곡률반경, d는 렌즈두께 또는 렌즈간격, nd는 d선에 대한 굴절률, υd는 d선의 아베수를 나타낸다(단, 표 중의 초점맞춤동작에 의해 변화하는 수치는 111면으로부터의 물체 거리를 1700㎜로 한 초점맞춤상태에서의 수치). 제수차도 중의 구면수차도에 있어서의 CA1, CA2, CA3은 각각 CA1 = 550.0㎚, CA2 = 435.8㎚, CA3 = 640.0㎚의 파장에 있어서의 수차 곡선이며, S. C.은 정현 조건이다. 비점수차도에 있어서의 S는 수평방향(sagital), M은 수직방향(meridional)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전반에 걸쳐 특별 히 기재가 없는 한, 제반 값의 계산에 사용하고 있는 파장은 CA1 = 550.0㎚이다.
Figure 112007051215331-pat00001
[실시예 2]
 본 발명의 줌렌즈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수치예를 표 2에 나타낸다. 또, 도 3은 그 렌즈 구성도, 도 4는 그 제수차도이다.
Figure 112007051215331-pat00002
[실시예 3]
본 발명의 줌렌즈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수치예를 표 3에 나타낸다. 또, 도 5는 그 렌즈 구성도, 도 6은 그 제수차도이다.
Figure 112007051215331-pat00003
[실시예 4]
본 발명의 줌렌즈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수치예를 표 4에 나타낸다. 또, 도 7은 그 렌즈 구성도, 도 8은 그 제수차도이다.
Figure 112007051215331-pat00004
[실시예 5]
본 발명의 줌렌즈의 제 5 실시예에 대해 수치예를 표 5에 나타낸다. 또, 도 9는 그 렌즈 구성도, 도 10은 그 제수차도이다.
Figure 112007051215331-pat00005
[실시예 6]
본 발명의 줌렌즈의 제 6 실시예에 대해 수치예를 표 6에 나타낸다. 또, 도 11은 그 렌즈 구성도, 도 12는 그 제수차도이다.
Figure 112007051215331-pat00006
다음에 제 1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에 관해 조건식(1) 내지 조건식(23)에 대응하는 값을 정리하여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51215331-pat00007
표 7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의 각 실시예에 관한 수치는 조건식(1) 내지 (23)을 만족시키고 있는 동시에,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차도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수차 모두 양호하게 보정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를 탑재한 프로젝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프로젝터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으로써, 본체 케이스인 전면판(12)의 측방에 투영구를 덮는 렌즈커버(19)를 가짐과 동시에, 이 전면판(12)에는 복수의 환기구멍(18)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또, 도 13에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본체 케이스인 상면판(11)에는 키/인디케이터(indicator)부를 설치하는 것이고, 이 키/인디케이터부에는 전원 스위치 키나 전원의 온 또는 오프를 알리는 파워 인디케이터, 광원장치의 램프를 점등시키는 램프 스위치키 및 램프의 점등을 표시하는 램프 인디케이터, 광원장치 등이 과열되었을 때에 알리는 과열 인디케이터 등의 키나 인디케이터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본체 케이스의 배면에는 배면판에 USB 단자나 화상신호 입력용의 D-SUB 단자, S단자, RCA 단자 등을 설치하는 입출력 커넥터부 및 전원 어댑터 플러그나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Ir수신부 등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본체 케이스의 측판인 우측판 및, 도 13에 나타낸 측 판인 좌측판(15)에는 각각 복수의 환기구멍(18)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줌렌즈는 이 프로젝터의 렌즈커버(19)로 덮여 있는 투영구에 면하도록 탑재된다.
또, 이 프로젝터(10)의 상면판(11)을 떼어낸 상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좌측판(15)을 따른 위치에 상기 줌렌즈 A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의 제 1 실시예의 렌즈 구성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렌즈의 제수차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의 제 2 실시예의 렌즈 구성도,
도 4는 제 2 실시예의 렌즈의 제수차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의 제 3 실시예의 렌즈 구성도.
도 6은 제 3 실시예의 렌즈의 제수차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의 제 4 실시예의 렌즈 구성도,
도 8은 제 4 실시예의 렌즈의 제수차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의 제 5 실시예의 렌즈 구성도,
도 10은 제 5 실시예의 렌즈의 제수차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의 제 6 실시예의 렌즈 구성도,
도 12는 제 6 실시예의 렌즈의 제수차도,
도 13은 발명에 의한 프로젝터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터장치의 상면판을 떼어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Claims (10)

  1. 확대측부터 차례로,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군 및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군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렌즈군은 광각단에서 중간영역까지는 확대측으로부터 축소측 방향으로, 또 중간영역에서 망원단에 걸쳐서는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하고, 상기 제 2 렌즈군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에 걸쳐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렌즈 전체계의 변배를 이루고 있고, 상기 제 1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1)을 만족시키고 있으며, 상기 제 2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2)를 만족시키고 있고, 광각단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렌즈군의 축소측에 설정되는 공간의 크기에 관해 하기 조건식(3)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 -1.1 < fw/fI < -0.5
    (2) 0.35 < fw/f < 0.6
    (3) 1.7 < dwⅡ/fw
    단,
    fw는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 전체계의 합성 초점거리
    (제 1 렌즈군의 가장 확대측면으로부터의 확대측 물체거리 1700㎜에 초점맞춤 상태)
    fI은 제 1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f는 제 2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dwⅡ는 광각단에 있어서의 제 2 렌즈군의 축소측의 공간 간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군은 확대측부터 차레로 제 1a 렌즈군 및 제 1b 렌즈군을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a 렌즈군은 확대측부터 차례로, 확대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형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이하, 부렌즈), 부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이하, 정렌즈)를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b 렌즈군은 가장 확대측의 굴절면이 축소측을 향한 오목면이고, 가장 축소측의 굴절면이 축소측을 향한 볼록면으로써 1개 내지 3개의 렌즈를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a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4)를 만족시키고, 상기 제 1b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5)를 만족시키며, 상기 제 1 렌즈군의 광축상의 치수에 관해 하기 조건식(6)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4) -0.8 < fw/fIa < -0.1
    (5) -0.45 < fw/fIb < 0.1
    (6) 1.2 < TI/fw < 2.4
    단,
    fIa는 제 1 렌즈군을 구성하는 제 1a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fIb는 제 1 렌즈군을 구성하는 제 1b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TI는 제 1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과 제 1 렌즈군에서 가장 축소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축소측면의 광축상의 거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축소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7)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굴절률의 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8)을 만족시키고 있으며, 상기 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분산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9)를 만족시키고 있고, 또 상기 제 1b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10)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7) 0.85 < fw/rIa2 < 1.6
    (8) 1.65 < NIa
    (9) VIaP-VIaN < -9.0
    (10) -1.4 < fw/rIb1 < -0.8
    단,
    rIa2는 제 1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축소측면의 곡률반경
    rIb1은 제 1b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곡률반경
    NIa는 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의 평균값
    VIaP는 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정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VIaN은 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부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4. 제 2 항에 있어서,
    제 1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에 관해, 적어도 확대측면이 비구면형상이고,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11)을 만족시키고, 상기 제 1a 렌즈군의 확대측으로부터 2번째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12)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1) -0.9 < fw/fIa1 < -0.4
    (12) -0. 65 < fw/rIa3 < -0.1
    단,
    fIa1은 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초점거리
    rIa3은 제 1a 렌즈군을 구성하는 확대측으로부터 2번째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곡률반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군은 확대측부터 차례로 제 2a 렌즈군, 제 2b 렌즈군 및 제 2c 렌즈군을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a 렌즈군은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고 1개 내지 2개의 정렌즈를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b 렌즈군은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1개의 부렌즈로 구성되거나 또는 부렌즈 및 정렌즈를 각 1개씩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c 렌즈군은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정렌즈를 2개와 부렌즈를 1개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a 렌즈군, 상기 제 2b 렌즈군 및 상기 제 2c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각각 하기 조건식(13), 하기 조건식(14) 및 하기 조건식(15)를 만족시키고, 또 상기 제 2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정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굴절률의 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16)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3) 0.35 < fw/fⅡa < 0.85
    (14) -0.65 < fw/fⅡb < -0.25
    (15) 0.2 < fw/fⅡc < 0.6
    (16) NⅡP < 1.65
    단,
    fⅡa는 제 2 렌즈군을 구성하는 제 2a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fⅡb는 제 2 렌즈군을 구성하는 제 2b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fⅡc는 제 2 렌즈군을 구성하는 제 2c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NⅡP는 제 2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정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의 평균값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17)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제 2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분산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18)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7) 0.4 < fw/r a1 < 0.9
    (18) 50 < VⅡa
    단,
    r a1은 제 2a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곡률반경
    VⅡa는 제 2a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b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19)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9) -0.8 < fw/r b1 < -0.25
    단,
    r b1은 제 2b 렌즈군에서 가장 확대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확대측면의 곡률반경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c 렌즈군에서 가장 축소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축소측면의 형상에 관해 하기 조건식(20)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제 2c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분산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21)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20) -0.65 < fw/r c5 < -0.25
    (21) 15 < V cP-V cN
    단,
    r c5는 제 2c 렌즈군에서 가장 축소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축소측면의 곡률반경
    V cP는 제 2c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정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V cN은 제 2c 렌즈군을 구성하는 각 부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c 렌즈군은 부렌즈와 정렌즈의 적어도 2개의 접합에 의한 부분계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접합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굴절률에 관한 특성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22)를 만족시키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접합되는 각 렌즈에 사용되는 유리재의 분산특성에 관해 하기 조건식(23)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22) 0.25 < N cCN-N cCP
    (23) 20 < V cCP-V cCN
    단,
    N cCP는 제 2c 렌즈군의 접합 부분계에 배치되는 정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의 평균값
    N cCN은 제 2c 렌즈군의 접합 부분계에 배치되는 부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의 평균값
    V cCP는 제 2c 렌즈군의 접합 부분계에 배치되는 정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V cCN은 제 2c 렌즈군의 접합 부분계에 배치되는 부렌즈의 아베수의 평균값
  10. 확대측부터 차례로,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1 렌즈군 및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 2 렌즈군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렌즈군은 광각단에서 중간영역까지는 확대측으로부터 축소측 방향으로, 또 중간영역에서 망원단에 걸쳐서는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하고, 상기 제 2 렌즈군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에 걸쳐 축소측으로부터 확대측 방향으로 광축상을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렌즈 전체계의 변배를 이루고 있고, 상기 제 1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1)을 만족시키고 있으며, 상기 제 2 렌즈군에 설정되는 파워에 관해 하기 조건식(2)를 만족시키고 있고, 광각단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렌즈군의 축소측에 설정되는 공간의 크기에 관해 하기 조건식(3)을 만족시키는 줌렌즈로서 ;
    (1) -1.1 < fw/fI < -0.5
    (2) 0.35 < fw/f < 0.6
    (3) 1.7 < dwⅡ/fw
    단,
    fw는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 전체계의 합성 초점거리
    (제 1 렌즈군의 가장 확대측면으로부터의 확대측 물체거리 1700㎜에 초점맞춤 상태)
    fI은 제 1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f는 제 2 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dwⅡ는 광각단에 있어서의 제 2 렌즈군의 축소측의 공간 간격인 줌렌즈를 본체 케이스의 투영구에 면하도록 탑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장치.
KR1020070070652A 2006-07-24 2007-07-13 줌렌즈 및 프로젝터장치 KR100847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01334 2006-07-24
JP2006201334A JP5023592B2 (ja) 2006-07-24 2006-07-24 ズーム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637A KR20080009637A (ko) 2008-01-29
KR100847643B1 true KR100847643B1 (ko) 2008-07-21

Family

ID=3897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652A KR100847643B1 (ko) 2006-07-24 2007-07-13 줌렌즈 및 프로젝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19831B2 (ko)
JP (1) JP5023592B2 (ko)
KR (1) KR100847643B1 (ko)
CN (1) CN101114049B (ko)
TW (1) TWI3462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3127B2 (ja) * 2006-07-24 2012-07-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JP4983126B2 (ja) * 2006-07-24 2012-07-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JP4193887B2 (ja) * 2006-07-31 2008-12-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JP4995599B2 (ja) * 2007-03-02 2012-08-08 株式会社タムロン ズームレンズ
JP5263589B2 (ja) * 2008-08-13 2013-08-14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系、このズームレンズ系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ズームレンズ系を用いた変倍方法
JP5326594B2 (ja) * 2009-01-21 2013-10-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装置
CN101995647B (zh) * 2009-08-24 2012-06-06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变焦投影镜头
KR101670054B1 (ko) * 2009-10-14 2016-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2011112908A (ja) * 2009-11-27 2011-06-09 Fujifilm Corp 変倍光学系および撮像装置
WO2012117720A1 (ja) 2011-02-28 2012-09-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変倍光学系および撮像装置
WO2012153505A1 (ja) * 2011-05-09 2012-11-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変倍光学系および撮像装置
JP2012242688A (ja) * 2011-05-20 2012-12-10 Tamron Co Ltd ズームレンズ
CN102221767A (zh) * 2011-06-29 2011-10-19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投影装置
WO2013031188A1 (ja) * 2011-08-29 2013-03-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CN103293642B (zh) * 2012-03-02 2015-08-26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投影镜头和投影装置
TWI507727B (zh) * 2013-04-30 2015-11-11 Young Optics Inc 變焦鏡頭
JP6156848B2 (ja) * 2014-05-27 2017-07-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変倍光学系および撮像装置
CN113238439A (zh) * 2021-07-09 2021-08-10 南京芯视元电子有限公司 一种投影显示模组和穿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212A (ja) * 1982-09-18 1984-03-26 Canon Inc ズ−ムレンズ
JPH06230283A (ja) * 1993-02-01 1994-08-19 Hitachi Ltd ズームレンズ
JP3175411B2 (ja) * 1993-06-25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3476914B2 (ja) * 1994-07-21 2003-12-10 リコー光学株式会社 投影用ズームレンズ
US5737129A (en) * 1994-12-26 1998-04-07 Nikon Corporation Wide-angle zoom lens
JP3519817B2 (ja) * 1995-04-05 2004-04-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3528946B2 (ja) * 1995-06-05 2004-05-24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
JPH09211327A (ja) * 1996-01-31 1997-08-15 Nikon Corp ズームレンズ
JP3686178B2 (ja) * 1996-08-23 2005-08-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H10206734A (ja) * 1997-01-17 1998-08-07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
JPH10282416A (ja) * 1997-04-09 1998-10-23 Minolta Co Ltd ズームレンズ
US6308011B1 (en) * 1998-03-31 2001-10-23 Canon Kabushiki Kaisha Zoom lens and 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0275520A (ja) * 1999-03-24 2000-10-06 Minolta Co Ltd ズームレンズ
US6412972B1 (en) * 1999-12-10 2002-07-02 Altman Stage Lighting Company Digital light protection apparatus with digital micromirror device and rotatable housing
JP4519232B2 (ja) 1999-12-28 2010-08-04 株式会社シグマ ズームレンズ
US6618210B2 (en) * 2000-07-07 2003-09-09 Olympus Optical Co., Ltd. Zoom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294299B2 (ja) * 2001-11-26 2009-07-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JP2004093593A (ja) * 2002-08-29 2004-03-2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ズームレンズ
JP4325200B2 (ja) * 2003-01-24 2009-09-02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
JP2006053437A (ja) * 2004-08-13 2006-02-23 Nikon Corp ズームレンズ
JP4204351B2 (ja) * 2003-02-28 2009-01-07 京セラ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4107109B2 (ja) 2003-03-06 2008-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レンズ
JP4380200B2 (ja) * 2003-04-08 2009-12-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レンズ
US7152979B2 (en) * 2003-08-14 2006-12-26 Christie Digital Systems, Inc. Projector with sealed light valve
US6943958B2 (en) * 2003-08-20 2005-09-13 Olympus Corporation Zoom lens system and camera using the same
JP2005300858A (ja) * 2004-04-09 2005-10-27 Tokai Univ ズームレンズ
JP2005316183A (ja) * 2004-04-28 2005-11-10 Canon Electronics Inc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6106109A (ja) * 2004-09-30 2006-04-20 Nikon Corp 非球面レンズ、該非球面レンズを備えた光学装置
JP4588416B2 (ja) * 2004-11-04 2010-1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振機能を備えたズームレンズ
JP4700953B2 (ja) * 2004-11-17 2011-06-15 日東光学株式会社 投写用ズームレンズおよびプロジェクタ装置
TWI285272B (en) * 2005-03-23 2007-08-11 Ind Tech Res Inst Variable focus lens assembly
JP4983126B2 (ja) * 2006-07-24 2012-07-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JP4983127B2 (ja) * 2006-07-24 2012-07-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JP4193887B2 (ja) * 2006-07-31 2008-12-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13609A (en) 2008-03-16
CN101114049B (zh) 2010-06-02
US7619831B2 (en) 2009-11-17
CN101114049A (zh) 2008-01-30
US20080019021A1 (en) 2008-01-24
JP5023592B2 (ja) 2012-09-12
TWI346246B (en) 2011-08-01
KR20080009637A (ko) 2008-01-29
JP2008026750A (ja)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643B1 (ko) 줌렌즈 및 프로젝터장치
KR100847648B1 (ko) 줌렌즈 및 프로젝터장치
KR100847644B1 (ko) 줌렌즈 및 프로젝터장치
US7233447B2 (en) Zoom lens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which uses same
JP5513248B2 (ja) 投写用ズーム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2002107618A (ja) 広角投映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画像表示装置
CN112180570B (zh) 投影光学***及投影装置
JP2004117519A (ja) 変倍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投射装置
JP2011069959A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投射型表示装置
JP5887175B2 (ja) 投射用ズームレンズおよびプロジェクタ装置
JP4340432B2 (ja) 投射用ズームレンズ
JP2008039877A (ja) 投写用広角レンズ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4193888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JP4151718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装置
CN101661158B (zh) 变焦透镜及使用它的投影机
JP2004109897A (ja) 投映用ズームレンズ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ー
JP2012211972A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投射型表示装置
JP2005084455A (ja) テレセントリックなズームレンズ
JP2008241982A (ja) 投写用広角レンズ
JP2005084351A (ja) ズーム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