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222B1 - 보호 필름 박리용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및 이를 구비한박리장치 - Google Patents

보호 필름 박리용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및 이를 구비한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222B1
KR100827222B1 KR1020060039643A KR20060039643A KR100827222B1 KR 100827222 B1 KR100827222 B1 KR 100827222B1 KR 1020060039643 A KR1020060039643 A KR 1020060039643A KR 20060039643 A KR20060039643 A KR 20060039643A KR 100827222 B1 KR100827222 B1 KR 10082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assembly unit
roller
peeling
tap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314A (ko
Inventor
함민수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6003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222B1/ko
Priority to TW96114741A priority patent/TWI386690B/zh
Priority to CN2009101515841A priority patent/CN101604044B/zh
Publication of KR2007010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25Removing or cutting binding material, e.g. straps or ba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점착성 테이프를 이용하여 편광판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헤드와 상기 박리헤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로 구성되며, 일정량의 점착성 테이프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박리헤드에 장탈착 가능한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을 구비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를 제공한다.
편광판, 보호필름, 박리, 박리장치, 점착성 테이프

Description

보호 필름 박리용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리장치{TAPE ASSEMBLY UNIT AND PEELING APPARATUS HAVING THEREOF}
도 1은 편광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박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박리장치의 문제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및 가이드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롤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롤러 및 완충재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편광판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사회가 정보화 됨에 따라 정보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는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그것이 갖고 있는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소비화 등의 장점 때문에, 액정표시장치는 CRT(Cathode 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수단으로써 점차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는 사용자와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내부의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소자 셀(Cell)이 사용된다. 이 경우, 액정표시소자 셀은 액정을 개재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부 및 하부 기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액정표시소자 셀을 이루는 상하부기판의 최외곽면에는 편광판이 부착된다. 이 편광판은 액정을 투과한 빛 중 특정 방향으로 강하게 진동하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액정표시소자 셀이 자신에게 부여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능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 편광판(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1)의 일면에 접착제 피막(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 보호필름(3)이 피복되어 있다. 상기 접착제(2)는 상기 편광판(1)을 액정표시소자 셀의 표면에 부착시킬 때 양자를 접착시키는 역할 을 하며, 상기 보호필름(3)은 편광판(1)의 제작 및 이동과정에서 상기 접착제 피막 및 편광판을 보호하는 역학을 한다.
하지만 상기 편광판(1)을 액정표시소자 셀에 부착시킬 때에는 이 보호필름(3)을 벗겨낸 후에 부착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이 보호필름 박리작업은 매우 정확성을 요하는 작업으로서 박리 작업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편광판 부착이 불가능하여 불량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 보호필름 박리 작업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박리 장치(10)를 사용하여 진행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1)을 일정한 테이블(4)에 흡착 고정한 후 점착성 필름(11)을 보호필름(3)의 상면에 접촉시킨다. 이때 이 점착성 테이프(11)와 보호필름(3) 간의 접착력이 상기 보호필름(3)과 접착제 피막(2) 사이의 접착력보다 강해야 한다. 그러면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보호필름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점착성 테이프를 들어올리면, 접착력에 의하여 보호필름이 편광판으로부터 분리되어 박리되는 것이다. 종래의 박리장치의 구조를 보면 접촉롤러(12); 점착성 테이프 공급롤러(13); 점착성 테이프 회수롤러(14);로 구성되는 박리 헤드 및 상하 이동수단(15);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접촉롤러(12)는 상기 점착성 테이프(11)의 일부분을 보호필름의 일면에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점착성 테이프 공급롤러(13)는 일정량의 점착성 테이프(11)가 권취되어 있으며, 계속하여 점착성 테이프를 접촉롤러(12)에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점착성 테이프 회수 롤러(14)는 상기 공급롤러에서 공급되어 상기 접촉롤러를 거친 점착성 테이프가 감겨서 회수되는 구성요소이다. 마지막으로 상하 이동수단(15)은 상기 박리 헤드를 상하 방향으 로 이동시켜 보호필름과 접촉시키고, 보호필름을 분리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그런데 종래의 박리장치에서는 일정량의 점착성 테이프를 소진한 후에는 이 점착성 테이프의 교체를 위하여 복잡한 분해 조립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상기 박리헤드에 구비되어 있는 점착성 테이프 공급롤러(13)와 회수 롤러(14)를 모두 박리헤드에서 분리하여야 하는데, 이 점착성 테이프 공급롤러와 회수롤러는 별도의 케이스(16)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공정 중에 박리 헤드로 부터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그 분해 조립과정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롤러(12)가 편광판(1)과 수평하게 접촉되지 않아서 보호필름과의 접촉면적이 작고, 그에 따라 보호필름의 박리 작업이 실패하는 횟수가 잦은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성 테이프의 교체 작업이 용이한 보호필름 박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점착성 테이프를 이용하여 편광판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헤드와 상기 박리헤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로 구성되며, 일정량의 점착성 테이프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박리헤드에 장탈착 가능한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을 구비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은, 사용 전의 점착성 테이프가 장착되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사용 후의 점착성 테이프가 회수되는 회수롤러; 상기 공급롤러로부터 회수롤러로 이동하는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 경로 중에 배치되며, 점착성 테이프를 보호필름에 접촉시키는 접촉롤러; 상기 공급롤러, 회수롤러 및 접촉롤러가 취부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별도로 마련되는 박리 헤드에 체결하는 체결구;로 구성되는 것이, 분해 조립 과정이 단순하여 점착성 테이프 교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구는, 그 말단에 나사산 구조가 형성되어 너트와 결합되는 것이, 간단한 체결 작업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구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구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박리헤드에 체결된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의 미동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는, 돌출된 기둥 형상이며, 일단부 외주면에 멈춤구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이,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의 조립과정에서 박리헤드와의 정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촉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접촉롤러의 유격공간을 제공하는 완충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접촉롤러와 보호필름의 수평 접촉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리헤드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을 수용하여 결합되는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를 상기 상하 이동부와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과 결합시에 상기 회수롤러의 일측과 결합하여 이 회수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수롤러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가 상기 상하 이동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구조를 가지는 것이, 상기 접촉롤러가 보호필름과 접촉시에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힌지구조에 의하여 회동된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가 원위치되도록 당기는 당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다음 박리 공정을 위하여 박리헤드를 원위치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당김부를, 그 일단이 상기 상하 이동부의 일측에 고정되 고, 타단은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에 고정된 스프링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에는, 상기 박리헤드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다양한 편광판의 규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100)는 박리헤드(110)와 상하 이동부(120)로 구성된다. 먼저 박리헤드(110)는 점착성 테이프를 이용하여 편광판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이 박리헤드(110)에는, 일정량의 점착성 테이프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박리헤드에 장탈착 가능한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130)이 구비된다.
이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롤러(131); 회수롤러(132); 접촉롤러(133); 브라켓(134); 체결구(135);로 구성된다.
먼저 공급롤러(131)는 박리작업에 사용되기 전의 점착성 테이프(11)가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회수롤러(132)는 상기 공급롤러(131)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사용 후의 점착성 테이프가 회수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공급롤러(131)와 회수롤러(132)에 의하여 점착성 테이프가 연속하여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 수롤러(132)는 별도로 박리헤드에 마련되는 회수롤러 회전부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공급롤러(131)는 상기 회수롤러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롤러(133)는, 공급롤러(131)로부터 회수롤러(132)로 이동하는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 경로 중에 배치되며, 점착성 테이프를 보호필름에 접촉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 접촉롤러(133)는 상기 브라켓(134)의 외부로 돌출되어 보호필름의 면과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이 접촉롤러(1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34)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롤러 삽입홀(136a)에 양 단이 삽입되어 취부된다. 이때 접촉롤러 삽입홀(136a)에 삽입된 접촉롤러의 양단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롤러 삽입홀에 삽입되는 접촐롤러(133)의 양단에 상기 접촉롤러의 유격공간을 제공하는 완충재(13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촉롤러(133)와 접촉롤러 삽입홀(136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이 완충재(136)가 삽입되며, 자신의 수축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접촉롤러의 말단이 접촉롤러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약 간의 유격공간을 가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롤러 삽입홀(136a)의 내경이 상기 접촉롤러(133) 말단의 외경보다 크게 마련되고, 상기 접촉롤러에 일정한 크기 이하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접촉롤러가 상기 접촉롤러 삽입홀의 중앙에 위치되지만, 그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완충재가 수축하여 접촉롤러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접촉롤러(133)의 위치가 외력에 의하여 변동되는 것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롤러(133)와 보호필름(3)이 정상적인 접촉을 하지 못한 경우에 접촉롤러의 위치를 보정하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롤러의 전면이 보호필름과 접촉하도록 한다. 따라서 접촉롤러(133)의 외측에 구비되는 점착성 테이프의 접착력이 최대한 작용하도록 하여 박리 작업의 실패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완충재(136)를, 상기 접촉롤러 삽입홈에 삽입되는 O-링으로 구성한다.
한편 완충재가, 상기 접촉롤러의 외주부와 중심축 사이에 개재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접촉롤러의 구조를 외주부와 중심축으로 구성되는 2중 구조를 가지게 하고, 상기 외주부와 중심축 사이의 공간에 신축성을 가지는 완충재를 삽입하여 외주부가 일정한 유격 공간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접촉롤러 및 완충재를 사용하여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롤러와 보호필름의 정상적인 접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34)은, 상기 공급롤러(131), 회수롤러(132) 및 접촉롤러(133)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취부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브라켓(134)은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130)의 전체적인 외형을 유지하며 각 세부 구성요소의 배치 장소를 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135)는, 상기 브라켓(134)을 별도로 마련되는 박리 헤드(110)에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체결구(135)에 의하여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130)이 박리 헤드(110)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구(1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말단에 나사산(135a) 구조가 형성되어 너트(137)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135)가 박리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 삽입홀(111)을 통과하고, 통과된 체결구(135)의 말단에 너트(137)가 결합되어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130)을 박리 헤드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은 단순한 너트 결합에 의하여 박리헤드에 장탈착이 가능하므로 그 장탈착 작업이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135)의 일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재(138)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구(135) 하나만으로는, 상기 박리헤드(110)에 결합되어 있는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130)이 박리 작업 중에 위치가 변경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가이드 부재(138)를 더 마련하고 이 가이드 부재의 말단이 상기 박리헤드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 삽입홀(112)에 삽입되어 박리헤드에 체결된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의 위치 이동을 방지한다.
이때 이 가이드 부재(13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기둥 형상이며, 일단부 외주면에 멈춤구(138a)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멈춤구(138a)에 의하여 가이드 부재(138)가 가이드 부재 삽입홀(112)에 삽입되는 깊이가 결정되고, 이 깊이에 의하여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130)이 박리헤드(110)와의 결합 간격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가이드 부재는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의 안정적인 체결과 간격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박리헤드(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113); 결합부(114); 회수롤러 회전부(115);로 구성된다. 먼저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113)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130)을 수용하며, 박리헤드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113)에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에 배치되어 있는 여러가지 세부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공급롤러와 대응되는 곳에는 상기 공급롤러 결합부(114)가 형성되어 상기 공급롤러(131)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공급롤러가 자유롭게 회전하되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만 회전하도록 그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회수롤러(13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과 결합시에 상기 회수롤러의 일측과 결합하여 이 회수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수롤러 회전부(115)가 마련된다. 이 회수롤러 회전부(115)는 상기 회수롤러(132)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회수롤러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이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공급롤러도 회전하여 점착성 테이프가 공급롤러로부터 회수롤러로 이동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구(135) 및 가이드 부재(138)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 삽입홀(111, 112)이 형성되어 체결구 및 가이드 부재가 삽입되는 위치를 정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4)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113)를 상기 상하 이동부(120)와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이 결합부(114)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113)가 상기 상하 이동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있는 점착성 테이프가 보호필름과 접촉되는 경우에 점착성 테이프와 보호필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박리 작업 실패율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114)에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회동 각도 제한 부재(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회동 각도 제한부재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가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하여 박리된 보호필름이 점착성 테이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100)에는, 상기 힌지구조에 의하여 회동된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113)가 원위치되도록 당기는 당김부(11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당김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 이동부와 박리헤드에 그 일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박리헤드가 회동된 후에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는 것이다. 1회의 박리 작업이 진행된 후에 상기 박리헤드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위치되어야만 다음 박리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당김부(116)가 박리헤드(110)를 원위치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당김부(116)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상기 상하 이동부(12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113)에 고정된 스프링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에는, 박리가 시작된 보호필름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클램프는 상기 접촉롤러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에 부착된 보호필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의 일단을 접촉롤러에 강바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이 클램프는, 일정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가지며, 박리작업 초기에는 상기 접촉롤러와 이격된 상태로 대기하다가 보호필름의 일단이 편광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접촉롤러에 부착되면 회동하여 보호필름을 접촉롤러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 이동부(120)는, 상기 박리헤드(1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박리 작업을 진행할 때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박리헤드를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접촉롤러에 감겨 있는 점착성 테이프가 보호필름과 접촉하여야 한다. 그리고 나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한번 하강시켜 점착성 테이프와 보호필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 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헤드를 상승시켜 보호필름이 편광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박리헤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박리헤드는 다수개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편광판의 규격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광판의 크기가 커질수록 배치되는 박리헤드의 수가 증가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리헤드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1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수평 이동부(140)에 의하여 배치되는 박리헤드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가장 적절한 박리헤드의 개수를 정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박리장치를 사용하여 박리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점착성 테이프가 새로이 장착되어 있는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130)을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113)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구와 가이드 부재가 각각 자신의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구와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를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을 흡착고정하고 있는 스테이지를 수평이동시켜 평관판을 보호필름 박리장치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하 이동부를 사용하여 박리헤드를 하강시킨다. 이때 박리헤드의 하강 높이는 상기 접촉롤러(133)에 감겨 있는 점착성 테이프(11)가 보호필름(3)과 접촉한 후 상기 결합부(114)의 힌지에 의하여 상기 박리헤드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되는 높이까지 이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성 테이프가 보호필름과 충분하게 접촉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리헤드를 상승시켜 보호필름을 편광판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렇게 박리헤드를 들어올리면 회동되어 있던 박리헤드가 상기 당김부에 의하여 원위치된다. 그리고 나서 클램프를 사용하여 박리헤드에 부착된 보호필름의 일단을 고정시킨다. 그 후 회수롤러(132) 구동부를 구동시켜 회수롤러를 회전시키면 점착성 테이프가 공급롤러로부터 회수롤러로 이동하면서 보호필름이 박리된다. 이때 상기 스테이지는 진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퇴피하면서 편광판을 수평이동시킨다. 따라서 편광판에 피복되어 있는 보호필름이 순차적으로 박리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박리작업을 진행하다가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모두 소진되면, 테이프가 소진된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을 분리하고, 이미 새로운 테 이프가 장착되어 있는 다른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을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에 결합시켜 박리 작업을 진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 2개의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이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성 테이프의 교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감소되어 장비의 가동 중단 시간이 짧아지고 상대적으로 장비 운전시간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성 테이프와 보호필름의 초기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보호필름 회수 실패 확률이 낮아지며, 접촉롤러의 유격 공간을 제공하는 완충재에 의하여 보호필름 회수 성공 확률이 더욱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17)

  1. 점착성 테이프를 이용하여 편광판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헤드와 상기 박리헤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박리헤드에 장탈착 가능한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을 구비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은,
    사용 전의 점착성 테이프가 장착되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사용 후의 점착성 테이프가 회수되는 회수롤러;
    상기 공급롤러로부터 회수롤러로 이동하는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 경로 중에 배치되며, 점착성 테이프를 보호필름에 접촉시키는 접촉롤러;
    상기 공급롤러, 회수롤러 및 접촉롤러가 고정되어 취부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별도로 마련되는 박리 헤드에 체결하는 체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그 말단에 나사산 구조가 형성되어 너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호필름 박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구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이 박리헤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돌출된 기둥 형상이며, 일단부 외주면에 멈춤구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접촉롤러의 유격공간을 제공하는 완충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O-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러의 내부에는,
    상기 접촉롤러의 외주부와 중심축 사이에 개재되어 마련되며, 상기 접촉롤러 의 유격 공간을 제공하는 완충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헤드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을 수용하여 결합되는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를 상기 상하 이동부와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과 결합시에 상기 회수롤러의 일측과 결합하여 이 회수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수롤러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가 상기 상하 이동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회동 각도 제한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구조에 의하여 회동된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가 원위치 되도록 당기는 당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는,
    그 일단이 상기 상하 이동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수용부에 고정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러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에 부착된 보호필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을 접촉롤러에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일정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접촉롤러와 이격된 상태로 대기하다가 보호필름의 일단이 상기 접촉롤러에 부착되면 회동하여 보호필름을 접촉롤러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헤드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헤드는 다수개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KR1020060039643A 2006-04-28 2006-05-02 보호 필름 박리용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및 이를 구비한박리장치 KR10082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43A KR100827222B1 (ko) 2006-05-02 2006-05-02 보호 필름 박리용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및 이를 구비한박리장치
TW96114741A TWI386690B (zh) 2006-04-28 2007-04-26 將偏光片貼上lcd面板的保護膜分離頭單元以及具有該單元的偏光片附著設備
CN2009101515841A CN101604044B (zh) 2006-04-28 2007-04-27 偏振器附着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43A KR100827222B1 (ko) 2006-05-02 2006-05-02 보호 필름 박리용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및 이를 구비한박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14A KR20070107314A (ko) 2007-11-07
KR100827222B1 true KR100827222B1 (ko) 2008-05-07

Family

ID=3906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643A KR100827222B1 (ko) 2006-04-28 2006-05-02 보호 필름 박리용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및 이를 구비한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073B1 (ko) * 2011-10-17 2014-02-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판넬 박리 장치
KR101419353B1 (ko) * 2012-10-11 2014-07-1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2433A (ja) * 1995-02-22 1996-11-05 Sharp Corp 粘着フィルム剥離方法及び装置
KR20050049904A (ko) * 2003-11-24 2005-05-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편광판 부착장치
KR20060033887A (ko) * 2006-03-24 2006-04-20 (주)와이티에스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2433A (ja) * 1995-02-22 1996-11-05 Sharp Corp 粘着フィルム剥離方法及び装置
KR20050049904A (ko) * 2003-11-24 2005-05-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편광판 부착장치
KR20060033887A (ko) * 2006-03-24 2006-04-20 (주)와이티에스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14A (ko)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613B1 (ko) 부착 테이프의 접속 장치, 부착 장치
US92899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0831430B1 (ko) 편광필름 부착장치
CN103703876B (zh) 元件供给装置
KR100720856B1 (ko) 박리장치
KR100827222B1 (ko) 보호 필름 박리용 테이프 어셈블리 유닛 및 이를 구비한박리장치
JP2008126400A (ja) 接着フィルムカッティング装置、それを有する接着フィルム付着設備、並びにそれ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カッティング及び付着方法
CN101298204A (zh) 用以将偏光片贴合在液晶显示面板的设备
JP2010167405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位置合わせ方法
KR20190078799A (ko) 보호 필름 박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0548960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20140007553A (ko) 보호필름 박리 방법 및 장치
KR100832774B1 (ko)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
KR100847697B1 (ko)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
TWI386704B (zh) 用以將偏光片貼合在液晶顯示面板的設備
KR100539972B1 (ko)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부착방법
KR102310537B1 (ko) 보호필름 박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US2011012821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base structure thereof
KR101467239B1 (ko) 테이프 부착장치
JP2007210265A (ja) 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60040924A (ko) 액정패널용 편광판 부착장치
KR20130056800A (ko) 필름 박리 장치 및 방법
KR100761553B1 (ko) 릴 이송 시스템
KR20060118075A (ko) 편광판 부착장치
KR20230041530A (ko) 박형(薄型) 소재 박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