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250B1 -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250B1
KR100795250B1 KR1020060094223A KR20060094223A KR100795250B1 KR 100795250 B1 KR100795250 B1 KR 100795250B1 KR 1020060094223 A KR1020060094223 A KR 1020060094223A KR 20060094223 A KR20060094223 A KR 20060094223A KR 100795250 B1 KR100795250 B1 KR 100795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an
disposed
expansion chamber
exhaust
motor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342A (ko
Inventor
마사유키 다니구치
노리요시 츠츠이
노부타카 와키타
히데토시 다카마츠
유지 가시와바라
šœ이치 나카지마
츠요시 아리마
히로타카 하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85937A external-priority patent/JP44738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87128A external-priority patent/JP4344720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82Catalytic reactor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e.g. exhaust silencers or other exhaust purification devices
    • F01N3/2885Catalytic reactor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e.g. exhaust silencers or other exhaust purification devices with exhaust silencers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0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the gases flowing through the silencer two or more times longitudinally in opposite directions, e.g. using parallel or concentric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9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in combination with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silencers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otorcy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다기통 엔진의 엔진 본체가 오일 팬을 하부에 갖고 차체에 탑재되고, 상기 엔진 본체의 각 기통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배기관의 집합부의 하류측에 복수의 팽창실이 순차 접속되는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에 있어서, 소음기는 상기집합부에 접속되는 제1 팽창실과, 제1 팽창실에 연속하는 다른 팽창실을 갖고, 상기 각 배기관 및 상기 집합부가 상기 오일 팬의 일측 측방에 배치되고, 제1 팽창실이 상기 오일 팬의 타측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다른 팽창실이 엔진 본체의 뒤쪽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소음기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자동 이륜차의 최저 지상고 및 뱅크 각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EXHAUST SYSTEM FOR MOTORCY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자동 이륜차의 요부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2 화살표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기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서 도시한 배기 장치의 일부 절결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5-5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오일 팬을 도 2와는 반대측에서 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기 장치의 잔부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의 8-8선 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의 배기 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헤드 파이프 6 : 프론트 포크
7 : 메인 프레임 8 : 피봇 프레임
9 : 시트 레일 10 : 리어 프레임
11 : 연결 부재 12 : 엔진 행거
13 : 엔진 본체 14 : 크랭크 케이스
15 : 실린더 블록 16 : 실린더 헤드
17 : 헤드 커버 18 : 오일팬
19 : 크랭크 샤프트 20 : 밋션 케이스
21, 22, 23 : 브래킷 25 : 지지축
33 : 흡기장치 37 : 연료 분사 밸브
40 : 배기 장치 48 : 서모스탯
58 : 기체 61 : 내통
72 : 케이싱 75 : 촉매
85 : 테일 플레이트 86 : 스페이서
본 발명은 다기통 엔진의 엔진 본체가 오일 팬을 하부에 갖고 차체에 탑재되며, 상기 엔진 본체의 각 기통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배기관의 집합부의 하류측에 복수의 팽창실을 갖는 소음기가 접속되는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기통 엔진의 각 기통으로부터 연장된 배기관에 접속되는 소음기 가, 엔진 본체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가 알려져 있고, 이러한 종류의 배기 장치에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45642호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배기관이 엔진의 오일 팬의 좌우에 양분되어 배치되고, 대략 직사각형 단면의 통형상으로 형성된 소음기가 오일 팬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기 장치에서는 엔진의 오일 팬의 바로 아래에 소음기가 배치되기 때문에, 소음기의 용량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 자동 이륜차의 최저 지상고나 뱅크 각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고, 소음기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자동 이륜차의 최저 지상고 및뱅크 각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기통 엔진의 엔진 본체가 오일 팬을 하부에 갖고 차체에 탑재되고, 상기 엔진 본체의 각 기통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배기관의 집합부의 하류측에 복수의 팽창실을 갖는 소음기가 접속되는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집합부에 접속되는 제1 팽창실과, 제1 팽창실에 연속하는 다른 팽창실을 갖고, 상기 각 배기관 및 상기 집합부가 상기 오일 팬의 일측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팽창실이 상기 오일 팬의 타측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다른 팽창실이 상기 엔진 본체의 뒤쪽에 배치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 특징의 구성에 의하면, 각 배기관 및 집합부가 오일 팬의 일측 측방에 배치되고, 제1 팽창실이 오일 팬의 타측 측방에 배치되며, 다른 팽창실이 엔진 본체의 뒤쪽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오일 팬의 바로 아래에 소음기가 배치된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팽창실 전체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자동 이륜차의 최저 지상고 및 뱅크 각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장치를 구성하는 중량물이 엔진의 아래쪽에 집중 배치되기 때문에 자동 이륜차의 저중심화 및 부피의 집중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오일 팬은 아래쪽으로 팽출한 팽출부를 하부에 갖고, 상기 각 배기관 및 상기 집합부가 상기 팽출부의 일측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팽창실이 상기 팽출부의 타측 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가지런하게 하면서 제1 팽창실의 대용량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팽출부의 일측 측면은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차체의 폭방향을 따르는 안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팽출부의 타측 측면은 오일 팬의 저면에 대략 직교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되는 차양부를 갖고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 측면의 외측방에 배치되는 상기 배기관이 상기 차양부의 아래쪽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타측 측면의 외측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팽창실에, 상기 오일 팬의 뒤쪽으로부터 접속되는 것을 제3 특징으 로 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치 자유도가 높은 배기관이 오일 팬의 팽출부의 일측 측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엔진 본체의 하부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오일 팬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고, 제1 팽창실이 그 적어도 일부를 차양부의 아래쪽에 위치시키도록 하여 상기 팽출부의 타측 측면의 외측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팽창실이 배치되는 측에 자동 이륜차가 경사 이동할 때의 뱅크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오일 팬의 상기 일측 측방에 촉매 컨버터가 배치되는 것을 제4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오일 팬의 일측 측방이 좁은 스페이스에 촉매 컨버터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1 팽창실을 형성하는 기체가, 횡단면 형상을 대략 삼각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차체 정면에서 보아 바깥쪽을 향하여 기울기가 상방향으로 경사하는 면을 따라 배치되고, 이것과 대칭적으로 복수의 상기 배기관이 차체 정면에서 보아 바깥쪽을 향하여 기울기가 상방향으로 경사하는 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제5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팽창실측에 차체가 뱅크할 때의 뱅크 각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차체가 배기관측에 뱅크할 때의 뱅크 각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팽창실을 형성하는 기체 및 배기관의 외관이 좌우 대칭 형상이 되어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따라 이하에 상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해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우선 도 1에 있어서, 자동 이륜차의 차체(B)는 그 전단에 헤드 파이프(5)를 구비하고 있고, 전륜(WF)을 축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6)가 상기 헤드 파이프(5)에서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고, 헤드 파이프(5)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7…)의 후부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피봇 프레임(8…)이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양 메인 프레임(7…)의 후부에는 뒤로 상승되며 연장되는 시트 레일(9…)의 전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피봇 프레임(8…)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상기 시트 레일(9…)의 아래쪽을 뒤로 상승되며 연장되는 리어 프레임(10…)의 전단이 연결되고, 시트 레일(9…) 및 리어 프레임(10…) 사이는 연결 부재(11…)로 서로 연결된다. 또한, 헤드 파이프(5) 및 메인 프레임(7…)의 전부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엔진 행거(12…)의 상부가 결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7…)의 아래쪽에는 차체(B)의 폭방향에 4기통을 병렬 배치한 4기통 엔진(E)의 엔진 본체(13)가 배치되어 있고, 이 엔진 본체(13)는 피봇 프레임(8…)의 상하 방향 중간부 및 하부 및 엔진 행거(12…)의 하부에서 지지된다.
상기 엔진 본체(13)는 크랭크 케이스(14)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14)의 상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블록(15)과, 실린더 블록(15)의 상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16)와, 실린더 헤드(16)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17)와, 크랭크 케이스(14)의 하부에 결합되는 오일 팬(18)을 구비하고, 실린더 축선(C1)을 앞으로 상승되게 경사시킨 자세로 차체(B)에 탑재된다.
상기 크랭크 케이스(14)에는 차체(B)의 폭방향에 연장되는 축선을 갖는 크랭크 샤프트(19)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크랭크 샤프트(19)의 회전 출력을 변속하는 변속기(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밋션 케이스(20)가 자동 이륜차에 탑재 상태에서 실린더 블록(15)보다 뒤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크랭크 케이스(14)에 일체로 연달아 설치된다.
그렇게 하여 피봇 프레임(8…)의 상하 방향 중간부 및 하부에는 브래킷(21…, 22…)이 체결되어 있고, 상기 밋션 케이스(20)의 상부 및 하부가 브래킷(21…, 22…)에 체결된다. 또한 엔진 행거(12…)의 하부에는 브래킷(23…)이 체결되어 있고, 이 브래킷(23…)에 실린더 블록(15)의 전부가 체결된다.
후륜(WR)은 스윙 아암(24)의 후부에 축 지지되어 있고, 이 스윙 아암(24)의 전방부는 상기 브래킷(21…, 22…) 사이에서 피봇 프레임(8…)에 지지축(25)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메인 프레임(7…)의 후부 및 스윙 아암(24) 사이에 리어 쿠션 유닛(2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변속기가 구비하는 출력축(27)의 회전 동력은 상기 출력축(27)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켓(28)과, 후륜(WR)의 차축에 고정되는 피동 스프로켓(도시하지 않음)과, 구동 스프로켓(28) 및 피동 스프로켓에 감아 걸리는 무단 형상의 체인(30)으로 이루어지는 체인 전동 수단(31)을 통하여 후륜(WR)에 전달된다.
실린더 헤드(16)의 후면에는 차체(B)의 폭방향에 간격을 두어 병렬되는 흡기 포트(도시하지 않음)가 각 기통마다 개구되어 있고, 각 흡기 포트에는 흡기 장치(33)가 접속된다
그렇게 하여 흡기 장치(33)는 상기 각 흡기 포트에 개별로 접속되는 스로틀 보디(34…)와, 그들의 스로틀 보디(34…)의 상류단이 공통으로 접속되는 에어 크리너(35)를 구비하는 것으로, 각 스로틀 보디(34…) 내에 형성되는 흡기로(36…)의 흡기 축선(C2…)은 앞으로 상승되며 경사된 실린더 축선(Cl)에 거의 직교하여 뒤로 상승되며 연장되도록 설정된다. 게다가, 각 스로틀 보디(34…)에는 각 기통에 개별로 대응한 연료 분사 밸브(37…)가 부가 설치된다.
실린더 헤드(16)의 전면에는, 차체(B)의 폭방향에 간격을 두고 병렬되는 배기 포트(38…)가 각 기통마다 개구되어 있고, 각 배기 포트(38…)에는 각 배기 포트(38…)에 상류단을 개별로 접속시키는 4개의 배기관(39A, 39B, 39C, 39D)을 갖는 배기 장치(40)가 접속되고, 이 배기 장치(40)는 엔진 본체(13)의 하부에서의 오일 팬(18)의 우측방, 뒤쪽 및 좌측방을 지나 후륜(WR)의 우측방으로 연장된다.
엔진 행거(12)의 전방에는 라디에이터(44)가 배치되어 있고, 이 라디에이터(44)는 헤드 파이프(15) 및 엔진 행거(12…)로 지지된다. 한편, 상기 밋션 케이스(20)의 좌측면에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19)로부터의 전달 동력으로 회전 구동되는 워터 펌프(45)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라디에이터(44)에서 냉각된 냉각수는 제1 냉각수 호스(46)를 통해 워터 펌프(45)에 흡입된다.
그런데 실린더 블록(15) 및 실린더 헤드(16)에는 워터 자켓(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는 것으로, 워터 펌프(45)로부터 토출되는 냉각수는 제2 냉각수 호스(47)를 통해 실린더 블록(15) 내의 워터 제트에 공급된다. 또한 실린더 헤드(16) 내의 워터 제트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의 경로는, 상기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서모스탯 (48)에 의해 전환된다. 즉 실린더 헤드(16) 내의 워터 제트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 중, 워터 펌프(45)에 복귀되는 수량과 라디에이터(44)에 공급되는 수량의 비율이 서모스탯(48)으로 조정되는 것으로, 워터 펌프(45)측으로 되돌리는 냉각수를 이끄는 제3 냉각수 호스(49)를 통해 서모스탯(48) 및 워터 펌프(45) 사이가 접속되어 있고, 라디에이터(44)측에 공급되는 제4 냉각수 호스(50)를 통해 서모스탯(48) 및 라디에이터(44) 사이가 접속된다.
도 2∼도 4에 있어서, 배기 장치(40)는 상기 실린더 헤드(16)의 전면의 각 배기 포트(38…)에 상류단이 개별로 접속되는 4개의 배기관(39A∼39D)과, 그들의 배기관(39A∼39D)의 하류단이 공통으로 접속되는 집합부로서의 집합 배기관(51)과, 집합 배기관(51)의 하류단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제1 접속관(52)과, 제1 접속관(52)의 하류단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촉매 컨버터(53)와, 상기 촉매 컨버터(53)의 하류단에 접속되는 소음기(M1)를 구비하고, 상기 소음기(M1)는 제1 팽창실(59)을 갖는 제1 소음부(54)와, 제2 팽창실(69)을 갖는 동시에 제1 소음부(54)로부터의 배기 가스가 인도되는 제2 소음부(55)와, 제2 소음부(55)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인도하는 제2 접속관(56)과, 제3 팽창실(79)(도 7 참조)을 갖는 동시에 제2 접속관(56)의 하류단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제3 소음부(57)로 구성된다.
실린더 헤드(16)의 전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4개의 배기관(39A∼39D)은 상기 오일 팬(18)의 일측(이 실시예에서는 우측) 측방에 배치되도록 하여 만곡된다. 또한 집합 배기관(51)은 4개의 배기관(39A∼39D) 중, 인접하는 2개의 배기관(39A, 39B)의 하류단을 접속시키는 제1 분기관부(51a)와, 상기 배기관(39A∼ 39D) 중, 나머지 2개의 배기관(39C, 39D)의 하류단을 접속시키는 제2 분기관부(51b)와, 제1 및 제2 분기관부(51a, 51b)의 하류단을 공통으로 연장시키는 집합관부(51c)를 일체로 갖고 대략 Y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 팬(18)의 일측 측방에 배치된다.
한편, 제1 소음부(54)의 기체(58)는 자동 이륜차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통(60)과, 외통(60) 내에 동축에 배치되는 내통(61)과, 전방을 향하여 부풀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통(60)의 전단에 결합되는 외측 단판(62)과, 전방을 향하여 부풀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 단판(62)의 안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내통(61)의 전단에 결합되는 내측 단판(63)으로 이중 관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내측 단판(63)이 외측 단판(62)에 용접되며, 외통(60) 및 내통(61) 사이에는 링형상의 스페이서(64) 및 글래스 울(65)이 개재된다.
그렇게 하여 기체(58)의 상기 내통(61) 및 상기 내측 단판(63) 내에는 차체(B)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1 팽창실(59)이 형성되고, 기체(58)가 상기 오일 팬(19)의 타측(이 실시예에서는 좌측) 측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팽창실(59)도 오일 팬(18)의 타측(이 실시예에서는 좌측) 측방에 배치되게 된다.
더구나, 제1 팽창실(59)을 형성하는 상기 기체(58)의 단면형상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차체(B)의 폭방향을 따르는 내측 위치가 되는 경사면(58a)을 외측면으로 하여 횡단면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음부(54)의 기체(58)에서의 외통(60)의 전방부 상면에는 지지판(66)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66)은 엔진 본체(13)의 크랭크 케이스(14)에 설치된 지지부(14a)에 마운트 고무(67)를 통해 지지된다.
제2 소음부(55)의 기체(68)는, 제1 소음부(54)에서의 외통(60)의 후단에 결합되어 오일 팬(18)의 뒤쪽에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이 기체(68) 내에 제1 팽창실(59)에 연속하는 제2 팽창실(69)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팽창실(69)은 엔진 본체(13)의 뒤쪽에서 상기 오일 팬(18) 및 후륜(WR)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더구나 제2 소음부(55)의 기체(68)에 있어서 제1 소음부(54)측의 단부 내면에는 제1 및 제2 팽창실(59, 69)을 떼어놓기 위한 격판(70)의 외주가 고착된다. 또한 제2 소음부(55)의 기체(68)에서의 상면에도 지지판(71)이 고착되어 있고, 이 지지판(71)은 도시하지 않는 마운트 고무를 통해 차체(B)에 지지된다.
촉매 컨버터(53)의 케이싱(72)의 대부분은 제2 팽창실(69) 내에 수용된다. 그렇게 하여 상기 케이싱(72)은 하류측 반부에 확경부(73a)를 갖는 제1 관부재(73)의 하류단에, 상류측 반부에 확경부(74a)를 갖는 제2 관부재(74)의 상류단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제2 관부재(74)의 확경부(74a) 내에 촉매(75)가 충전된다.
더구나 제1 관부재(73)의 상류단은 제2 소음부(55)의 기체(68)를 기밀하게 관통하여 우측방으로 돌출되고, 집합 배기관(51)의 집합관부(51c)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제1 접속관(52)의 하류단이 제1 관부재(73)의 상류단, 즉 촉매 컨버터(53)의 상류단에 접속된다.
또한 제1 소음부(54)의 기체(68)에서의 내통(61)의 격벽(70)측의 부분에는, 제2 팽창실(69) 근처의 부분에서 제1 팽창실(59)을 좌우에 떼어놓는 세퍼레이터 (76)가 고착되어 있고, 이 세퍼레이터(76)의 좌측에서 제1 팽창실(59)에 하류단을 연통시키는 제1 도관(77)이, 격벽(70)을 기밀하게 관통하고, 제1 도관(77)의 상류단은 촉매 컨버터(53)의 케이싱(72)에서의 하류단, 즉 제2 관부재(74)의 하류단에 접속된다.
즉, 오일 팬(18)의 일측 측방에 배치되는 4개의 배기관(39A∼39D)이 오일 팬(18)의 타측 측방에 배치되는 제1 팽창실(59)에, 집합 배기관(51), 제1 접속관(52)과, 촉매 컨버터(53) 및 제1 도관(77)을 통해 오일 팬(18)의 뒤쪽측으로부터 접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76)의 우측에서 제1 팽창실(59)에 상류단을 연통시키는 제2 도관(78)이 격벽(70)을 기밀하게 관통하고, 제2 도관(78)의 하류단은 제2 팽창실(69)로 개구된다. 즉, 제1 팽창실(59) 내의 배기 가스는 제2 도관(78)을 통해 제2 팽창실(69)로 인도된다.
도 2 및 도 6에 주목하여, 오일 팬(18)은 아래쪽에 팽출한 팽출부(18d)를 하부에 갖는 것이고, 이 팽출부(18d)의 좌우 양측면 중, 한 쪽의 제1 측면(18a)은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차체(B)의 폭방향을 따르는 안쪽에 위치하도록 경사되어 형성되고, 제1 측면(18a)에 대향하는 4개의 배기관(39A∼39D)은 경사된 제1 측면(18a)을 따르도록 각 배기관(39A∼39D)이 상하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측면(18a)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중간부(18aa)는, 도 6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뒤쪽을 향함에 따라 차체(B)의 폭방향 안쪽에 위치하도록 경사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팽출부(18d)의 좌우 양측면 중, 다른쪽의 제2 측면(18b)은 오일 팬(18)의 저면(18c)에 대략 직교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측판부(18ba)와, 상기 측판부(18ba)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에 연장되는 차양부(18bb)를 갖고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팽출부(18d)의 일측(이 실시예에서는 우측) 측방에, 각 배기관(39A∼39D) 및 집합 배기관(51)과, 제1 소음부(54), 즉 제1 팽창실(59)이 배치되고, 제1 소음부(54), 즉 제1 팽창실(59)은 그 적어도 일부, 이 실시예에서는 절반부가 차양부(18bb)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2 측면(18b)의 외측방, 즉 팽출부(18d)의 타측(이 실시예에서는 좌측) 측방에 배치된다.
더구나, 도 2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을 대략 삼각형상으로 하여 제1 팽창실(59)을 형성하는 기체(58)가 차체 정면에서 보아 바깥쪽을 향하여 기울기 상방향으로 경사하는 면(LL)을 따라 배치되고, 이것과 대칭적으로 복수의 상기 배기관(39A∼39D)이 차체 정면에서 보아 바깥쪽을 향하여 기울기 상방향으로 경사하는 면(LR)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고, 상기 양면(LL, LR)은 차체 중심선(LC)에 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소음부(54)의 기체(58)에서의 외통(60)의 전방부 상면에 고착된 지지판(66)을 지지하도록 하여 크랭크 케이스(14)에 설치된 지지부(14a)는, 그 대부분이 제2 측면(18b)에서의 차양부(18bb)의 하면의 외측방으로의 연장선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크랭크 케이스(L4)에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지지부(14a)의 구조에 의해 제1 팽창실(59)의 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기체(58)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배기관(39A∼39D) 및 제1 소음부(54), 즉 제1 팽창실(59) 사이에서 오일 팬(18)의 전면에는 오일 배출용 개구부(8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구부(80)는 착탈 가능한 볼트 등의 캡(94)으로 밀봉된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제3 소음부(57)의 기체(81)는 자동 이륜차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통(82)과, 외통(82) 내에 동축에 배치되는 내통(83)과, 앞쪽을 향함에 따라 작은 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외통(82)의 전단에 결합되는 테이퍼 관(84)과, 내통(83)의 후단부와 함께 외통(82)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외통(82) 및 내통(83)의 후단부를 밀봉하는 테일 플레이트(85)로 구성되어 엔진 본체(13)의 뒤쪽 그리고 후륜(WR)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이고, 이 기체(81) 내에 제3 팽창실(79)이 형성된다. 즉 제3 팽창실(79)도 엔진 본체(13)의 뒤쪽 그리고 후륜(WR)의 우측에 배치된다.
외통(82) 및 내통(83) 사이에는 링형상의 스페이서(86) 및 글래스 울(87)이 개재되고, 기체(81)에서의 테이퍼 관(84)에는 제2 접속관(56)의 하류단이 접속된다. 또한 내통(83)의 전단부 내면에는 지지 부재(88)가 고착되어 있고, 제3 팽창실(79)을 대기에 개방하도록 하여 테일 플레이트(85)를 기밀하게 관통하는 대기 방출관(89)의 전단부가 상기 지지 부재(88)로 지지되며, 이 대기 방출관(89)의 후부는 테일 플레이트(85)에 용접된다. 또한 대기 방출관(89)의 중간부는 흡음통(90)으로 덮여 있고, 흡음통(9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대기 방출관(89)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91, 91…)이 천공되고, 흡음통(90) 및 대기 방출관(89) 사이에는 글래스 울(92)이 충전된다.
더구나, 도 8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제3 팽창실(79)을 형성하는 상기 기체(81)의 단면 형상은,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차체(B)의 폭방향을 따르는 내측 위치가 되는 경사면(81a)을 외측면으로 하여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제1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면, 오일 팬(18)의 측방에 제1 팽창실(59)이 배치되어 있고, 제1 팽창실(59)의 용적을 충분히 확보한 경우라도, 배기 장치(40)를 포함하는 엔진(E)의 하부가 전후 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더구나 오일 팬(18)의 일측(이 실시예에서는 우측) 측방에 배치되는 4개의 배기관(39A∼39D)이, 오일 팬(18)의 타측(이 실시예에서는 좌측) 측방에 배치되는 제1 팽창실(59)에, 오일 팬(18)의 뒤쪽측으로부터 접속되기 때문에, 오일 팬(18)의 아래쪽에 배기 장치(40)의 구성 부재가 배치되는 일은 없고, 따라서 엔진 본체(13)의 탑재 위치가 위쪽 위치가 되는 것을 회피하여 저중심화를 꾀할 수 있다.
더구나 소음기(M1)는 집합 배기관(51)에 접속되는 제1 팽창실(59)과, 제1 팽창실(59)에 연속하는 제2 및 제3 팽창실(69, 79)을 갖고, 각 배기관(39A∼39D) 및 배기 집합관(51)이 오일 팬(18)의 일측(우측) 측방에 배치되고, 제1 팽창실(59)이 오일 팬(18)의 타측 측방에 배치되며, 제2 및 제3 팽창실(69, 79)이 엔진 본체(13)의 뒤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오일 팬(18)의 바로 아래에 소음기가 배치된 종래의 것에 비교해서, 팽창실(59, 69, 79) 전체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자동 이륜차의 최저 지상고 및 뱅크 각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배기 장치(40)를 포함하는 엔진(E)의 하부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기 장치(40)를 구성하는 중량물이 엔진(E)의 아래쪽에 집중 배치되기 때문에, 자동 이륜차의 저중심화 및 부피의 집중화를 꾀할 수 있다.
더구나 제3 팽창실(79)의 용적을 최대한 작게 하더라도 팽창실 전체로서는 충분한 용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3 팽창실(79), 즉 제3 소음부(57)를 후륜(WR)으로부터 뒤쪽까지 연장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컴팩트하게 형성하여 자동 이륜차 전체의 컴팩트화 및 중량 부피의 집중화를 꾀할 수 있고, 자동 이륜차의 운동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팬(18)은 아래쪽으로 팽출한 팽출부(18d)를 하부에 갖고, 각 배기관(39A∼39D) 및 집합 배기관(51)과, 제1 팽창실(59)이 팽출부(18d)의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가지런히 하면서, 제1 팽창실(59)의 대용량화를 꾀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오일 팬(18)에서의 팽출부(18d)의 좌우 양측면 중, 한 쪽(우측)의 제1 측면(18a)은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차체(B)의 폭방향을 따르는 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통로 단면적이 작으며, 배치 자유도가 높은 배기관(39A∼39D)이 제1 측면(18a)의 외측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엔진(E)의 하부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오일 팬(18)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팬(18)에서의 상기 팽출부(18d)의 좌우 양측면 중, 다른 쪽(좌방)의 제2 측면(18b)은 오일 팬(18)의 저면(18c)에 대략 직교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측판부(18ba)와, 상기 측판부(18ba)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되는 차양부(18bb)를 갖고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팽창실(59)을 형성하는 제1 소음 부(54)가 그 적어도 일부를 상기 차양부(18bb)의 아래쪽에 위치시키도록 하여 제2 측면(18b)의 외측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팽창실(59)이 배치되는 측(좌측)에 자동 이륜차가 경사 이동할 때의 뱅크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더구나 제1 소음부(54)에서의 기체(58)의 단면형상이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차체(B)의 폭방향을 따르는 안쪽 위치가 되는 경사면(58a)을 외측면으로 하여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동 이륜차가 좌측에 경사 이동할 때의 뱅크각 확보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제1 팽창실(59)을 형성하는 기체(58)가, 횡단면 형상을 대략 삼각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차체 정면에서 보아 바깥쪽을 향하여 기울기 상방향으로 경사하는 면(LL)을 따라 배치되고, 이것과 대칭적으로 복수의 상기 배기관(39A∼39D)이 차체 정면에서 보아 바깥쪽을 향하여 기울기 상방향으로 경사하는 면(LR)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팽창실(59)측에 차체가 뱅크할 때의 뱅크 각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차체가 배기관(39A∼39D)측에 뱅크할 때의 뱅크 각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팽창실(59)을 형성하는 기체(58) 및 배기관(39A∼39D)의 외관이 좌우 대칭 형상이 되어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차체(B)의 폭방향으로 나란하여 엔진 본체(L3)에서의 실린더 헤드(16)의 전면에 4개의 배기 포트(38…)가 설치되고, 그들의 배기 포트(38…)에 개별로 접속되는 4개의 배기관(39A∼39D)이 제1 측면(18a)의 외측방에 배치되어 뒤쪽에 연장되고, 그들의 배기관(39A∼39D)의 하류단이 오일 팬(18)에서의 제2 측면(18b)의 외측방에 배치되는 제1 팽창실(59)에 공통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차체(B)의 폭방향에 복수 기통이 나란하는 다기통의 엔진(E)에 있어서, 복수의 배기관(39A∼39D) 및 제1 팽창실(59)을 오일 팬(18)의 좌우로 양분하여 배치하도록 하여, 엔진(E)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량 밸런스를 균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39A∼39D)이 오일 팬(18)의 상기 제1 측면(18a)을 따르도록 상하로 어긋나 배치되기 때문에, 각 배기관(39A∼39D)이 배치되는 측에 자동 이륜차가 경사 이동할 때의 뱅크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제3 팽창실(79)을 형성하는 제3 소음부(57)에서의 기체(81)의 단면 형상이,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차체(B)의 폭방향을 따르는 안쪽 위치가 되는 경사면(81a)을 외측면으로 하여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배기관(39A∼39D)이 배치되는 측, 즉 우측에 자동 이륜차가 경사 이동할 때의 뱅크각을 확보하도록 오일 팬(18)에서의 상기 제1 측면(18a)의 형상 및 각 배기관(39A∼39D)의 배치를 정했을 때에, 제3 소음부(57)가 뱅크각 확보의 장해가 되는 일은 없다.
또한 각 배기관(39A∼39D)이 배치되는 측인 제1 측면(18a)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중간부(18aa)가 뒤쪽을 향함에 따라 차체(B)의 폭방향 안쪽에 위치하도록 경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배기관(39A∼39D)을 오일 팬(18)의 후부 측방에서 집합시켰을 때에, 그 집합부의 단면 형상을 원형에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집합부의 단면적을 유지한 상태라도 엔진(E)의 하부가 외측방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 집합부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관(39A∼39D)이 배치되는 측에 자동 이륜차가 경사 이동할 때의 뱅크각을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각 배기관(39A∼39D) 및 제1 소음부(54) 사이에서 오일 팬(18)의 전 면에, 오일 배출용 개구부(80)가 설치되기 때문에, 오일 팬(18)의 오일 교환 시에 공구에 의한 액세스가 용이해지고, 개구부(80)의 아래쪽에 자동 이륜차의 구조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일 교환 시에 상기 구조 부재에 오일이 걸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메인테넌스성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상기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도시할 뿐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기 장치(95)는 4개의 배기관(39A∼39D)과, 그들의 배기관(39A∼39D)의 하류단이 공통으로 접속되는 집합 배기관(51)과, 촉매(96)를 내장하여 집합 배기관(51)의 하류단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촉매 컨버터(97)와, 촉매 컨버터(97)의 하류단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제1 접속관(98)과, 제1 접속관(98)의 하류단에 접속되는 소음기(M2)를 구비하고, 소음기(M2)는 제1 팽창실(102)을 갖는 제1 소음부(99)와, 제2 팽창실(104)을 갖는 동시에 제1 소음부(99)로부터의 배기 가스가 인도되는 제2 소음부(100)와, 제2 소음부(100)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인도하는 제2 접속관(101)과, 제3 팽창실(79)(제1 실시예의 도 7 참조)를 갖는 동시에 제2 접속관(101)의 하류단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제3 소음부(57)로 구성된다.
각 배기관(39A∼39D), 집합 배기관(51) 및 촉매 컨버터(97)는 오일 팬(18)의 일측(우측) 측방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소음부(99) 및 제2 소음부(100)는 제1 소음부(99)를 앞쪽 위치로 하여 전후로 나란하도록 하여 오일 팬(18)의 타측(좌측) 측방에 배치된다. 더구나 제1 팽창실(102)을 형성하는 제1 소음부(99)의 기체(103)와, 제2 팽창실(104)를 형성하는 제2 소음부(100)의 기체(105)는, 전후로 나 란하도록 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고, 제1 및 제2 팽창실(102, 104) 사이를 떼어놓는 격벽(106)이 상기 양 기체(103, 105) 중, 어느 하나에 고착된다. 또한 제1 소음부(99)의 기체(103)에는 제2 팽창실(104) 근처의 부분에서 제1 팽창실(102)을 좌우로 떼어놓는 세퍼레이터(107)가 고착된다.
제1 접속관(98)은 오일 팬(18)의 뒤쪽에서 대략 U자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촉매 컨버터(97)의 하류단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제1 접속관(98)은, 그 하류단을 상기 세퍼레이터(107)의 좌측에서 제1 팽창실(102)에 통과하게 하도록 하여 제2 소음부(100)의 기체(105) 및 격벽(106)을 기밀하게 관통한다. 또한 세퍼레이터(107)의 우측에서 제1 팽창실(102)에 일단을 개구한 도관(108)이 격벽(106)을 관통하여 상기 격벽(106)에 고착되고, 도관(108)의 타단은 제2 팽창실(104)에 연통한다. 또한, 제2 접속관(101)의 상류단은 제2 팽창실(104)에 통과하도록 하여 제2 소음부(100)의 기체(105)에 접속되고, 후륜(WR)(제1 실시예 참조)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3 소음부(57)에 제2 접속관(101)의 하류단이 접속된다.
이 제2 실시예의 배기 장치(95)는, 제2 팽창실(104)이 제1 팽창실(102)의 뒤쪽에서 엔진 본체(13)의 뒤쪽에 배치되고, 촉매 컨버터(97)가 오일 팬(18)의 우측에 배치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배기 장치(40)와는 상이한 구성을 갖는 것이지만,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더구나 오일 팬(18)의 우측 측방에 촉매 컨버터(97)가 배치되기 때문에, 오일 팬(18)의 우측 측방이 좁은 스페이스에 촉매 컨버터(97)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소음기 내에 촉매 컨버터를 수납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소음기(M2)의 용량 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다기통 엔진(E)의 엔진 본체(13)가 오일 팬(l8)을 하부에 갖고 차체(B)에 탑재되고, 상기 엔진 본체(13)의 각 기통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배기관(39A, 39B, 39C, 39D)의 집합부(51)의 하류측에, 복수의 팽창실(59, 69, 79; 102, 104, 79)을 갖는 소음기(M1, M2)가 접속되는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M1, M2)는 상기 집합부(51)에 접속되는 제1 팽창실(59, 102)과, 제1 팽창실(59, 102)에 연속하는 다른 팽창실(69, 79 ; 104, 79)을 갖고, 상기 각 배기관(39A∼39D) 및 상기 집합부(51)가 상기 오일 팬(18)의 일측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팽창실(59, 102)이 상기 오일 팬(18)의 타측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다른 팽창실(69, 79 ; 104, 79)이 상기 엔진 본체(13)의 뒤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팬(18)은 아래쪽으로 팽출한 팽출부(18d)를 하부에 갖고, 상기 각 배기관(39A∼39D) 및 상기 집합부(51)가 상기 팽출부(18d)의 일측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팽창실(59, 102)이 상기 팽출부(18d)의 타측 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18d)의 일측 측면(18a)은,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차체(B)의 폭방향을 따르는 안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팽출부(18D)의 타측 측면(18b)은 오일 팬(18)의 저면(18c)에 대략 직교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측판부(18ba)와, 상기 측판부(18ba)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되는 차양부(18bb)를 갖고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 측면(18a)의 외측방에 배치되는 상기 배기관(39A∼39D)이 상기 차양부(18bb)의 아래쪽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타측 측면(18b)의 외측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팽창실(59, 102)에, 상기 오일 팬(18)의 뒤쪽으로부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팬(l8)의 상기 일측 측방에 촉매 컨버터(9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창실(59)을 형성하는 기체(58)가 횡단면 형상을 대략 삼각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차체 정면에서 보아 외측을 향하여 기울기 상방향으로 경사하는 면을 따라 배치되고, 이것과 대칭적으로 복수의 상기 배기관(39A∼39D)이 차체 정면에서 보아 외측을 향하여 기울기 상방향으로 경사하는 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
KR1020060094223A 2005-09-30 2006-09-27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 KR100795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5937A JP4473804B2 (ja) 2005-09-30 2005-09-30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JP-P-2005-00287128 2005-09-30
JPJP-P-2005-00285937 2005-09-30
JP2005287128A JP4344720B2 (ja) 2005-09-30 2005-09-30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ンジン下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342A KR20070037342A (ko) 2007-04-04
KR100795250B1 true KR100795250B1 (ko) 2008-01-15

Family

ID=3790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223A KR100795250B1 (ko) 2005-09-30 2006-09-27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40347B2 (ko)
KR (1) KR100795250B1 (ko)
BR (1) BRPI0603997B1 (ko)
CA (1) CA2561046C (ko)
DE (1) DE102006044875B4 (ko)
TW (1) TWI3177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1554B2 (ja) * 2007-03-30 2012-03-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排気装置
JP4700041B2 (ja) * 2007-11-02 2011-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2009241922A (ja) * 2007-12-28 2009-10-22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5969328B2 (ja) * 2012-09-04 2016-08-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939943B2 (ja) * 2012-09-14 2016-06-2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EP2775115A1 (en) * 2013-03-04 2014-09-10 FM Projects S.R.L. Exhaust system for two-cylinder engines of motorcycles
JP2014227927A (ja) * 2013-05-23 2014-12-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5889268B2 (ja) * 2013-12-04 2016-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排気装置
JP6237472B2 (ja) 2014-05-28 2017-11-29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排気管構造
US10041387B2 (en) * 2015-12-25 2018-08-07 Honda Motor Co., Ltd. Exhaust device structure for rocking vehicle
JP6639536B2 (ja) * 2018-02-09 2020-0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6790034B2 (ja) * 2018-09-11 2020-1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直列4気筒内燃機関の排気管構造
JP2022107208A (ja) * 2021-01-08 2022-07-21 スズキ株式会社 排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007A (ja) * 2002-06-25 2004-01-29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2004345642A (ja) * 2004-08-09 2004-12-09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9800A (en) * 1984-12-10 1989-03-07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Exhaust system for vehicle
JPH0619795Y2 (ja) * 1989-01-12 1994-05-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排気装置
JP2966554B2 (ja) * 1991-02-22 1999-10-2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排気装置のo2 センサ配置構造
JP3889236B2 (ja) * 2001-04-04 2007-03-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排気系構造
CA2381497A1 (en) * 2002-01-02 2003-08-01 Peter F. Crombeen Exhaust gas muffler
JP3699423B2 (ja) * 2002-06-25 2005-09-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4373162B2 (ja) * 2003-09-05 2009-11-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のオイル貯留装置
JP4362390B2 (ja) * 2004-02-27 2009-11-1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4455962B2 (ja) * 2004-09-13 2010-04-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007A (ja) * 2002-06-25 2004-01-29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2004345642A (ja) * 2004-08-09 2004-12-09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03997A (pt) 2007-08-21
TWI317776B (en) 2009-12-01
TW200728596A (en) 2007-08-01
DE102006044875A1 (de) 2007-05-31
CA2561046A1 (en) 2007-03-30
BRPI0603997B1 (pt) 2018-02-14
US7540347B2 (en) 2009-06-02
DE102006044875B4 (de) 2012-12-20
CA2561046C (en) 2010-02-23
KR20070037342A (ko) 2007-04-04
US20070107419A1 (en)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250B1 (ko) 자동 이륜차의 배기 장치
US7699134B2 (en) Motorcycle exhaust system
US8096114B2 (en) Catalyst arrangement construction of motorcycle
JP5969328B2 (ja) 自動二輪車
KR100811368B1 (ko) 요동 삼륜차
JP5345416B2 (ja) 自動二輪車の消音管
US7044253B2 (en) Exhaust pipe structure of vehicle with low floor
CA2470872C (en) Suction device of engine for vehicle
CN101029586B (zh) 车辆排气装置
CN216140128U (zh) 一种跨骑式车辆
JP2528288B2 (ja)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ナ装置
JP3889236B2 (ja) 自動二輪車の排気系構造
CN101172504B (zh) 机动二轮车
JP4696844B2 (ja) 自動二輪車
JP4344720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ンジン下部構造
CN215475527U (zh) 一种跨骑式车辆的进排气***的布置结构及跨骑式车辆
JP2021032093A (ja) 排気装置
JP3890898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2次空気供給装置
JP4313635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CN214112764U (zh) 一种四轮跨骑式车辆
JP5659681B2 (ja) 内燃機関の消音装置
JP6533461B2 (ja) 揺動車両の排気装置構造
MXPA06011186A (en) Exhaust system of motorcycle
JPH0692778B2 (ja) 自動二輪車の吸気装置
JPH09203310A (ja) 自動二輪車用消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