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558B1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558B1
KR100793558B1 KR1020060090129A KR20060090129A KR100793558B1 KR 100793558 B1 KR100793558 B1 KR 100793558B1 KR 1020060090129 A KR1020060090129 A KR 1020060090129A KR 20060090129 A KR20060090129 A KR 20060090129A KR 100793558 B1 KR100793558 B1 KR 10079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isplay devices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원규
신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0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558B1/ko
Priority to US11/806,896 priority patent/US2008006830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대한 원장단위의 검사시, 신호지연으로 인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원장검사를 위한 배선들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은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과,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의 영역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배선그룹과,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의 영역에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배선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중 인접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크라이빙 라인들이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은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nd Mother Substrate of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은 스크라이빙이 완료된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기판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배선그룹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이 완료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배선그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회로부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2 회로부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400: 모기판 210, 410: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20, 420: 주사 구동부 230, 430: 화소부
240, 440: 데이터 구동부 250, 450: 데이터 분배부
260, 460: 검사부 270, 470: 제1 배선그룹
280, 480: 제2 배선그룹 290, 490: 스크라이빙 라인
310, 510: 지지 기판 320, 520: 밀봉용 기판
330, 530: 밀봉재 710: 제1 회로부
720: 제2 회로부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 치들에 대한 원장단위의 검사시, 신호지연으로 인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원장검사를 위한 배선들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들은 하나의 모기판(mother substrate) 상에 형성된 후 스크라이빙(scribing) 되어 개개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로 분리된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대한 검사는 스크라이빙이 완료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각각에서 따로 수행된다.
도 1은 스크라이빙이 완료된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는 주사 구동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데이터 분배부(140) 및 화소부(150)를 구비한다.
주사 구동부(120)는 주사신호를 생성한다. 주사 구동부(120)에서 생성된 주사신호는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부(130)에서 생성된 데이터 신호는 출력선들(O1 내지 Om)로 공급된다.
데이터 분배부(140)는 데이터 구동부(130) 각각의 출력선들(O1 내지 Om)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선(D)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분배부(140)는 데이터 구동부(130)의 채널 수를 감소시켜, 고해상도의 표시장치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화소부(150)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t Diode)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화소부(1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및 제2 전원(ELVDD, ELVSS)과, 주사 구동부(120)로부터 공급된 주사신호 및 데이터 분배부(1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에 대한 검사는 개개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검사하는 검사 장비에서 수행된다. 만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를 구성하는 회로 배선이 변경되거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검사 장비를 변경해야 하거나 검사를 위해 요구되는 지그(jig)가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들을 따로 검사해야 하기 때문에 검사 시간이 길어지고 비용이 상승하는 등 검사의 효율성도 떨어진다.
따라서, 스크라이빙 이전에 모기판 상에서 원장 단위(Sheet Unit)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들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기판 상에서 검사를 수행할 때 신호지연으로 인한 문제없이 검사를 수행함은 물론, 원장단위의 검사를 위한 배선들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기판에 형성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대한 원장단위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기판 상에서 검사를 수행할 때 신호지연으로 인한 문제없이 검사를 수행함은 물론, 원장단위의 검사를 위한 배선들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을 포함하는 모기판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의 영역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배선그룹과,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의 영역에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배선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중 인접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크라이빙 라인들이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은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각각은, 적어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접속된 다수의 화소가 포함된 화소부 와, 상기 주사선들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의 일측단에 접속된 검사부와, 상기 데이터선들의 타측단에 접속된 데이터 분배부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부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기판과, 상기 화소부의 상부에 위치된 밀봉용 기판과, 상기 지지기판과 상기 밀봉용 기판 사이에 형성된 밀봉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은 상기 밀봉재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재는 프릿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선그룹은 상기 모기판 상의 동일한 열에 위치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과 공통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배선그룹은 상기 모기판 상의 동일한 행에 위치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과 공통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은 자신과 접속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로 전원들 및/또는 신호들을 공급한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배선그룹에 속한 소정의 배선들과 상기 데이터선들 사이에 접속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또는 제2 배선그룹에 속한 어느 하나의 배선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동시에 턴-온된다. 상기 검사부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소스 전극들은 상기 제1 배선그룹 또는 상기 제2 배선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들이 턴-온될 때 상기 데이터선으로 검사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분배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배선그룹으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어스 신호에 의하여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각각은, 상기 데이터 분배부와 접속되며 각각의 출력선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에 포함된 소정의 배선과 상기 주사 구동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모기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동안 자신과 접속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1 회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회로부는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주사선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속되어, 상기 주사선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에 대응되는 출력신호를 상기 제1 또는 제2 배선그룹에 속한 소정의 배선으로 출력하는 제2 회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회로부는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모기판 상에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과, 상기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 및 제2 배선그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모기판으로부터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중 인접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크라이빙 라인들이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은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이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적어도 화소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화소부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기판과, 상기 화소부의 상부에 위치된 밀봉용 기판 사이를 밀봉재에 의하여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봉재는 프릿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릿은 상기 밀봉용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되어 레이저에 의하여 용융되었다가 경화되어 상기 지지기판과 상기 밀봉용 기판 사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릿은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과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적어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접속된 다수의 화소가 포함된 화소부와, 상기 주사선들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의 일측단에 접속된 검사부와, 상기 데이터선들의 타측단에 접속된 데이터 분배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사부는 상기 데이터선들 각각과 접속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검사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화소부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기판과, 상기 화소부의 상부에 위치된 밀봉용 기판과, 상기 지지기판과 상기 밀봉용 기판 사이에 형성된 밀봉재를 포함한다. 상기 밀봉재는 프릿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나 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2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과, 제1 배선그룹(270) 및 제2 배선그룹(280)을 구비한다.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은 주사 구동부(220), 화소부(230), 데이터 구동부(240), 데이터 분배부(250) 및 검사부(260)를 구비한다.
주사 구동부(220)는 모기판(200) 상에서 수행되는 원장단위의 검사시에 제1 배선그룹(27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들 및 주사 제어신호들에 의하여 구동되어 화소부(230)로 주사신호를 공급한다.
화소부(230)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다수의 화소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화소부(230)는 원장단위의 검사시에, 제1 및 제2 그룹(270, 280)으로부터 소정의 전원들을 공급받고, 주사 구동부(220) 및 검사부(260)로부터각각 주사신호와 검사신호를 공급받는다. 전원들, 주사신호 및 검사신호를 공급받은 화소부(230)는 이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원장단위의 검사가 완료되고,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이 모기판(200)으로부터 스크라이빙 된 이후, 화소부(230)는 도시되지 않은 패드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들과, 주사 구동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신호와, 데이터 분배부(25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데이터 구동부(240)는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가 모기판(200)으로부터 스크라이빙 된 이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데이터 신호 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구동부(240)는 모기판(2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스크라이빙 이후 칩의 형태로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에 실장될 수도 있다.
데이터 분배부(250)는 데이터 구동부(240) 각각의 출력선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적색, 녹색 및 청색 부화소 각각의 세 개의 데이터선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분배부(250)는 데이터 구동부(240)의 채널 수를 감소시켜, 고해상도의 표시장치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부(230)에 포함된 하나의 화소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개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데이터 분배부(250)는 모기판(20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동안 오프되도록 설정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분배부(250)는 원장단위 검사시에 제2 배선그룹(280)으로부터 바이어스 신호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데이터 구동부(240) 및 데이터 분배부(250)는 데이터선들의 일측단에 접속되도록 화소부(230)의 하측에 형성된다.
검사부(260)는 제2 배선그룹(280)으로부터 적색, 녹색 및 청색 검사신호와, 검사 제어신호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검사부(260)로 공급되는 검사신호의 수는 부화소들의 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편의상 도 2에서는 검사부(260)와 제2 배선그룹(280) 사이에 두 개의 배선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 이들 사이에는 검사 제어신호와, 검사신호의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사부(260)는 원장단위의 검사시에 공급되는 검사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검사신호를 화소부(230)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부화소들로 공급한다. 여기서, 검사신호는 검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신호는 점등검사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이와 같은 검사부(260)는 데이터 구동부(240) 및 데이터 분배부(250)와 대향되도록 화소부(230)의 상측에 형성되어 데이터선들의 타측단과 접속된다.
제1 배선그룹(270)은 수직방향(제1 방향)으로 형성되며, 모기판(200) 상의 동일한 열에 위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제2 배선그룹(280)은 수평방향(제2 방향)으로 형성되며, 모기판(200) 상의 동일한 행에 위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은 모기판(20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동안, 검사가 수행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에 형성된 주사 구동부(220), 화소부(230), 데이터 분배부(250) 및 검사부(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검사를 위한 전원들 및 신호들을 공급한다.
한편, 모기판(200) 상에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은 지지기판(310)과 지지기판(310)의 적어도 일영역과 중첩되도록 위치된 밀봉용 기판(320) 사이에 형성된 밀봉재(330)에 의하여 산소 및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되며, 이에 대 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200)이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을 구비함으로써, 모기판(200) 상에 형성된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을 스크라이빙 하지 않은 상태로 원장단위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으로 검사를 위한 전원들 및 신호들을 공급함으로써,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과 접속된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에서 검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과 접속된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으로 전원들 및 신호들을 공급함으로써, 모기판(200) 상에 형성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에 대한 검사를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검사시간을 줄이고, 비용을 감축하는 등 검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를 구성하는 회로배선이 변경되거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의 회로배선과 모기판(200)의 크기가 변경되지 않으면 검사장비나 지그를 변경하지 않고도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특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와 접속된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으로만 전원들 및 신호들을 공급함으로써, 모기판(200)에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210)들 중 특정 유기 발광 표시장치(210)에서만 검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화소부(230)에 제1 전원(ELVDD)을 공급하는 배선과, 제2 전원(ELVSS)을 공급하는 배선을 서로 다른 방향 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원(ELVDD)을 공급하는 배선은 제1 배선그룹(270)에 포함시키고, 제2 전원(ELVSS)을 공급하는 배선을 제2 배선그룹(280)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와 접속된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으로만 제1 및 제2 전원(ELVDD, ELVSS)을 포함한 전원들 및 신호들을 공급하여 모기판(200)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원장단위의 검사가 완료되면 모기판(200) 상에 형성된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은 스크라이빙 된다. 여기서, 스크라이빙 라인(290)은 제1 배선그룹(270) 및 제2 배선그룹(280)과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들에 포함된 주사 구동부(220), 화소부(230), 데이터 분배부(250) 및 검사부(260)가 스크라이빙 이후 전기적으로 격리되도록 위치된다. 즉, 제1 배선그룹(270) 및 제2 배선그룹(280)과 주사 구동부(220), 화소부(230), 데이터 분배부(250) 및 검사부(260)의 전기적 접속점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10)의 스크라이빙 라인(290) 외부에 위치된다. 이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제1 배선그룹(270) 및 제2 배선그룹(280)으로 유입되는 정전기와 같은 노이즈는 주사 구동부(220), 화소부(230), 데이터 분배부(250) 및 검사부(260)로 공급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기판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을 도 2와 결부하여 설명하면, 모기판(200)에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들(210) 각각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화소부(230)와 주사 구동부(220) 등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기판(310)과, 지지기판(310)의 상부에 위치된 밀봉용 기판(320)과, 지지기판(310)과 밀봉용 기판(320) 사이에 형성된 밀봉재(3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밀봉용 기판(320)은 산소 및 수분 등의 침투로부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화소부(230)의 상부에 위치되어 밀봉재(330)에 의해 지지기판(310)에 접착된다. 즉, 밀봉용 기판(320) 및 밀봉재(330)에 의해 밀봉되는 영역은 적어도 화소부(2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밀봉용 기판(320)은 화소부(230)와 주사 구동부(220)의 상부에 위치되고, 밀봉재(330)는 밀봉용 기판(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되어 지지기판(310)과 밀봉용 기판(320)을 접착시킬 수 있다. 즉, 밀봉재(330)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 화소부(230)의 외측에 형성된다.
한편, 데이터 구동부(240) 등은 밀봉 이후에 칩 등의 형태로 실장될 수도 있기 때문에, 밀봉용 기판(320)은 데이터 구동부(240) 및 데이터 분배부(250)와는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밀봉재(330)로 프릿(frit)을 이용하면, 지지기판(310)과 밀봉용 기판(320) 사이를 완전히 밀봉하여 흡습재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밀봉영역 내부(특히, 화소부(230))로 산소 및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융된 프릿을 경화시켜 밀봉함으로써 두 기판 사이를 완전히 밀봉시킬 수 있다.
프릿은 본래적으로 첨가제가 포함된 파우더형태의 유리원료를 의미하나, 유리 기술분야에서는 통상적으로 프릿이 용융되어 형성된 유리를 동시에 의미하기도 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양자를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프릿은 전이금속을 포함하며, 레이저 또는 적외선에 의하여 용융되었다가 경화되면서 지지기판(310) 및 밀봉용 기판(320)에 접착되어 이들 기판 사이를 완전히 밀봉함으로써, 두 기판 사이로 산소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릿은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재와, 열팽창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러(filler)를 포함한 프릿 페이스트 상태로 밀봉용 기판(320)에 도포된 후 소성되어 페이스트에 포함된 수분이나 유기바인더가 제거된 후 경화된다. 여기서, 프릿 페이스트는 유리 분말에 산화물 분말 및 유기물을 첨가하여 젤 상태로 만든 것이다.
단, 프릿을 이용하여 밀봉을 수행하는 경우, 지지기판(310)과 밀봉용 기판(320) 사이에 위치된 프릿(330)에 레이저 등을 조사해야 하기 때문에, 프릿(330) 하부에 회로소자나 배선 등이 위치되는 경우, 레이저 조사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이 회로소자나 배선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릿(330) 하부의 회로소자나 배선이 밀봉 공정 중에 손상되어 쇼트 결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모기판(200)에서 이와 같은 프릿(330)은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도록 위치된다. 이 경우, 프릿(330)을 이용한 밀봉 공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조사되는 레이저 등에 의하여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에 쇼트 결함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이 손상되는 경우, 제1 및 제2 배선그룹(270, 280)을 이용해야하는 원장단위의 검사시에 검사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아 검사의 신뢰성 및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 자체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제2 실시예를 통하여 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편의상 도 3에서는 프릿(330)과 중첩되는 제1 배선그룹(270) 각각을 하나의 배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하나의 배선으로 도시된 제1 배선그룹(270)에는 다수의 배선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제1 배선그룹(270)과 프릿(330)이 접촉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1 배선그룹(270)과 프릿(33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 등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배선그룹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4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과, 스크라이빙 라인들(490) 사이에 위치된 제1 배선그룹(470) 및 제2 배선그룹(480)을 포함한다.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은 주사 구동부(420), 화소부(430), 데 이터 구동부(440), 데이터 분배부(450) 및 검사부(460)를 구비한다.
주사 구동부(420)는 모기판(400) 상에서 수행되는 원장단위의 검사시에 제1 배선그룹(470)에 포함된 제1 배선(471), 제2 배선(472) 및 제3 배선들(473)로부터 각각 제3 전원(VDD), 제4 전원(VSS) 및 주사 제어신호들을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주사 구동부(420)는 제3 전원(VDD), 제4 전원(VSS) 및 주사 제어신호들에 대응하여 주사신호 및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주사 구동부(420)에서 생성된 주사신호 및 발광 제어신호는 각각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발광 제어선들(E1 내지 En)을 통해 화소부(430)로 공급된다.
화소부(430)는 주사선들(S), 발광 제어선들(E) 및 데이터선들(D)과 접속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하나의 화소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구비한 다수의 부화소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하나의 화소가 적색, 녹색 및 청색 부화소들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화소부(430)는 모기판(400) 상에서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을 이용한 원장단위의 검사가 수행되는 동안, 제1 배선그룹(470)에 포함된 제4 배선(474), 제2 배선그룹(480)에 포함된 제11 배선(481) 및 제12 배선(482)으로부터 각각 제1 전원(ELVDD), 제2 전원(ELVSS) 및 초기화전원(Vinit)을 공급받는다. 아울러, 화소부(430)는 원장단위의 검사시에 주사 구동부(420)와 제1 검사부(460)로부터 각각 주사신호 및/또는 발광 제어신호와, 검사신호를 공급받는다. 제1 전원(ELVDD), 제2 전원(ELVSS), 초기화전원(Vinit), 주사신호 및/또는 발광 제어신호와, 검사신호를 공급받은 화소부(430)는 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화소부(430)는 원장단위의 검사가 완료되고,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이 모기판(400)으로부터 스크라이빙 된 이후, 도시되지 않은 패드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들과, 주사 구동부(420)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신호 및/또는 발광 제어신호와, 데이터 분배부(45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데이터 구동부(440)는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가 모기판(400)으로부터 스크라이빙 된 이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구동부(440)는 모기판(4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스크라이빙 이전 또는 이후에 칩의 형태로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실장될 수도 있다.
데이터 분배부(450)는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가 모기판(400)으로부터 스크라이빙 된 이후, 데이터 구동부(440) 각각의 출력선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적색, 녹색 및 청색 부화소 각각의 세 개의 데이터선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선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분배부(4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선(D) 및 데이터 구동부(440)의 출력선(O) 사이에 접속된 다수의 그룹 트랜지스터들(G1 내지 Gm)을 구비한다. 각각의 그룹 트랜지스터들(G1 내지 Gm)은 적색 부화소의 데이터선(D1, D4, ..., D3m-2)과 접속되는 제1 트랜지스터(T11, T21, ..., Tm1), 녹색 부화소의 데이터선(D2, D5, D3m-1)과 접속되는 제2 트랜지스터(T12, T22, ..., Tm2) 및 청색 부화소의 데이터선(D3, D6, ..., D3m)과 접속되는 제3 트랜지스터(T13, T23, ..., Tm3)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들(T11, T21, ..., Tm1)은 외부로부터 적색 클럭신호를 공급받고, 제2 트랜지스터들(T12, T22, ..., Tm2)은 녹색 클럭신호를 공급받으며, 제3 트랜지스터들(T13, T23, ..., Tm3)은 청색 클럭신호를 공급받는다. 이하, 그룹 트랜지스터들(G1 내지 Gm)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들(T11 내지 Tm3)을 분배 트랜지스터라 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분배 트랜지스터들(T11 내지 Tm3)은 적색, 녹색 및 청색 클럭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440)의 출력선들(O1 내지 Om)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선들(D1 내지 D3m)로 공급한다. 여기서, 적색 클럭신호, 녹색 클럭신호 및 청색 클럭신호를 제어하여 컬러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적색 클럭신호, 녹색 클럭신호 및 청색 클럭신호를 서로 다른 시간에 공급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적색 클럭신호, 녹색 클럭신호 및 청색 클럭신호를 동시에 공급하여 백색의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전술한 데이터 분배부(450)는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을 이용한 원장단위 검사시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만일, 원장단위의 검사시에, 데이터 분배부(450)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려고 한다면, 데이터 분배부(450)는 제1 및/또는 제2 배선그룹(470, 480)으로부터 적색 클럭신호, 녹색 클럭신호 및 청색 클럭신호를 공급받아야 한다.
하지만,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은 모기판(400) 상에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색 클럭신호, 녹색 클럭신호 및 청색 클럭신호가 제1 및 제2 배선 그룹(470, 480)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신호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색 클럭신호, 녹색 클럭신호 및 청색 클럭신호에 지연이 발생되는 경우, 화소회로에서 데이터 전압을 충전할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해 올바른 화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신호지연으로 인하여 검사 제어신호 및 검사신호와, 적색 클럭신호, 녹색 클럭신호 및 청색 클럭신호를 동기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장단위 검사시 데이터 분배부(450)는 오프되도록 설정하고 검사부(460)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원장단위 검사시 검사신호가 데이터 구동부(440) 및 데이터 분배부(450)를 경유하지 않고 검사부(460)를 통하여 화소부(430)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원장단위 검사시 데이터 분배부(450)는 제2 배선그룹(480)에 포함된 제17 배선(487)으로부터 데이터 분배부(450)에 포함된 분배 트랜지스터들(T11 내지 Tm3)이 오프되도록 하는 바이어스 신호를 공급받는다. 즉, 원장단위 검사시 분배 트랜지스터들(T11 내지 Tm3)의 게이트 전극은 제17 배선(487)과 접속되어 제17 배선(487)으로부터 바이어스 신호를 공급받는다. 바이어스 신호를 공급받은 분배 트랜지스터들(T11 내지 Tm3)은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데이터 분배부(450)의 분배 트랜지스터들(T11 내지 Tm3)과 검사부(46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M1 내지 M3m)은 데이터선(D)의 반대쪽 단부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배부(450)의 분배 트랜지스터들(T11 내지 Tm3)이 각각 데이터선(D)의 일측 단부에 접속되면, 검사부(46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M1 내지 M3m) 각각은 데이터선(D)의 다른측 단부에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검사부(460)는 원장단위 검사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이 제2 배선그룹(480)에 포함된 제16 배선(486)에 공통으로 접속된 다수의 트랜지스터들(M1 내지 M3m)을 구비한다.
각 트랜지스터(M1 내지 M3m)의 소스 전극은 제13 내지 제15 배선(483 내지 485)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데이터선들(D1 내지 D3m)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13 배선(483)에 접속된 트랜지스터들(M1, M4, ..., M3m-2)은 적색 부화소의 데이터선(D1, D4, ..., D3m-2)에 접속되고, 제14 배선(484)에 접속된 트랜지스터들(M2, M5, ..., M3m-1)은 녹색 부화소의 데이터선(D2, D5, ..., D3m-1)에 접속되며, 제15 배선(485)에 접속된 트랜지스터들(M3, M6, ..., M3m)은 청색 부화소의 데이터선(D3, D6, ..., D3m)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검사부(46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M1 내지 M3m)은 원장단위의 검사시, 제16 배선(486)으로부터 공급되는 검사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동시에 턴-온되어, 제13 내지 제15 배선(483 내지 485)으로부터 공급되는 검사신호를 각 데이터선(D1 내지 D3m)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13 내지 제15 배선(483 내지 485)으로부터 검사부(460)를 경유하여 데이터선들(D1 내지 D3m)로 공급되는 검사신호들, 즉, 적색, 녹색 및 청색 검사신호들은 소정의 컬러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시간에 공급될 수도 있고, 동시에 공급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6 배선(486)을 통해 검사부(460)에 검사 제어신호가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3 내지 제15 배선(483 내지 485)으로 공급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검사신호들의 공급시간에 대응하여 컬러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검사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검사신호는 수행하고자 하는 검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신호는 점등검사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이와 같은 검사부(460)는 데이터 구동부(440) 및 데이터 분배부(450)와 대향되도록 화소부(430)의 상측에 형성되어 데이터선들(D)의 타측단과 접속된다.
한편, 전술한 검사부(460)는 검사가 완료되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즉, 검사부(460)는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이 모기판(400)에서 스크라이빙 된 이후 정상구동시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순히 트랜지스터 그룹으로서만 존재하게 된다.
제1 배선그룹(470)은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 사이의 영역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되며, 모기판(400)의 동일한 열에 위치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1 배선그룹(470)은 제3 전원(VDD)을 공급받는 제1 배선(471), 제4 전원(VSS)을 공급받는 제2 배선(472), 주사 제어신호들을 공급받는 제3 배선들(473) 및 제1 전원(ELVDD)을 공급받는 제4 배선(474)을 구비한다.
제1 배선(471)은 원장단위 검사시에 공급되는 제3 전원(VDD)을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형성된 주사 구동부(420)로 공급한다.
제2 배선(472)은 원장단위 검사시에 공급되는 제4 전원(VSS)을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형성된 주사 구동부(420)로 공급한다.
제3 배선들(473)은 원장단위 검사시에 공급되는 주사 제어신호들을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형성된 주사 구동부(420)로 공급한다. 주사 제어신호들에는 주사 구동부(420)의 클럭신호, 출력 인에이블 신호 및 스타트 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제로, 주사 구동부(420)로 공급되는 주사 제어신호의 수는 주사 구동부(420)의 회로구성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제3 배선들(473)의 수는 주사 구동부(420)의 회로구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3 배선들(473)에는 세 개의 배선이 포함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제4 배선(474)은 원장단위 검사시에 공급되는 제1 전원(ELVDD)을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형성된 화소부(430)로 공급한다.
제2 배선그룹(480)은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 사이의 영역에 제2 방향으로 형성되며, 모기판(400)의 동일한 행에 위치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2 배선그룹(480)은 제2 전원(ELVSS)을 공급받는 제11 배선(481), 초기화 전원(Vinit)을 공급받는 제12 배선(482), 적색 검사신호를 공급받는 제13 배선(483), 녹색 검사신호를 공급받는 제14 배선(484), 청색 검사신호를 공급받는 제15 배선(485), 검사 제어신호를 공급받는 제16 배선(486) 및 바이어스 신호를 공급받는 제17 배선(487)을 구비한다.
제11 배선(481)은 원장단위 검사시에 공급되는 제2 전원(ELVSS)을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형성된 화소부(430)로 공급한다.
제12 배선(482)은 원장단위 검사시에 공급되는 초기화 전원(Vinit)을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형성된 화소부(430)로 공급한다.
제13 배선(483)은 원장단위 검사시에 공급되는 적색 검사신호를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형성된 검사부(460)로 공급한다.
제14 배선(484)은 원장단위 검사시에 공급되는 녹색 검사신호를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형성된 검사부(460)로 공급한다.
제15 배선(485)은 원장단위 검사시에 공급되는 청색 검사신호를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형성된 검사부(460)로 공급한다.
제16 배선(486)은 원장단위 검사시에 공급되는 검사 제어신호를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형성된 검사부(460)로 공급한다.
제17 배선(487)은 원장단위 검사시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신호를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형성된 데이터 분배부(450)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고,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 사이에 위치된다. 즉,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 사이, 즉, 인접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크라이빙 라인들(490)이 설정되고,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은 이들 스크라이빙 라인들(490) 사이의 영역에 위치된다. 따라서, 스크라이빙 공정에서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은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을 스크라이빙 라인들(490) 사이의 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은 지지기판(510)과 밀봉용 기판(520)을 접착시키는 밀봉재(530)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밀봉재(530)로 프릿을 이용하는 경우, 화소부(430)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기판(510)과 화소부(430)의 상부에 위치된 밀봉용 기판(520) 사이의 영역, 특히, 화소부(430)를 산소 및 수분의 침입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밀봉재(530)로써 프릿(530)을 사용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프릿(530)은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에 포함된 밀봉용 기판(5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되어 레이저 등에 의해 용융되었다가 경화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의 외부에 형성하는 경우, 프릿(530)과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프릿(530)과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이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하면, 프릿(530)에 레이저 등을 조사하는 밀봉 공정 중에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에 쇼트 결함 등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을 이용한 원장단위의 검사시에, 검사의 신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장단위 검사시 데이터 분배부(450)는 오프되도록 유지된 상태에서 적색, 청색 및 녹색 검사신호가 검사부(460)를 경유하여 화소부(430)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분배부(450)를 이용한 검사시 발생할 수 있는 신호지연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장단위 검사시 검사부(460)에 포함된 다수의 트랜지스터들(M1 내지 M3m)이 턴-온된 상태에서 적색, 청색 및 녹색 검사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화소 회로에서 데이터 전압을 충전할 시간이 확보되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배부(450)를 경유하지 않고 검사가 수행되기 때문에 검사 제어신호 및 검사신호와, 적색 클럭신호, 녹색 클럭신호 및 청색 클럭신호를 동기화할 필요가 없어져 동기화에 대한 어려움이 제거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내지 제4 배선(471 내지 474)과 제11 내지 제17 배선(481 내지 487)이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중 소정의 어느 한 배선그룹에 포함되도록 설정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전원(ELVDD)을 공급하는 제1 배선(471)은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 모두에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에만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이 완료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크라이빙이 완료된 이후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에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이 남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에 의한 내부 소자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에서 검사부(460)는 패드부(495)를 통해 공급되는 바이어스 신호에 의하여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주사 구동부(420), 화소부(430), 데이터 구동부(440) 및 데이터 분배부(450) 등은 외부로부 터 패드부(49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들 및/또는 신호들에 의하여 구동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 및 그 구성요소는 전술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 및 그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할당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를 제조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기판(400) 상에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과,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은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410) 사이의 스크라이빙 라인들(490) 사이의 영역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인접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410) 사이의 스크라이빙 라인(490)은 적어도 두 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포함된 화소부(430) 등은 상부에 위치된 밀봉용 기판(520)과, 밀봉용 기판(5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된 프릿(530)에 의하여 밀봉된다. 이때, 프릿(530)은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과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된다. 이와 같은 프릿(530)은 밀봉 과정에서 레이저 등에 의하여 용융되었다가 경화되면서 지지기판(510)과 밀봉용 기판(520) 사이에 접착되어, 이들 사이의 영역 을 완전히 밀봉한다.
이후,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을 이용하여 모기판(400)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410)에 대한 원장단위의 검사를 수행한다.
모기판(400) 상에서의 원장단위의 검사가 완료되면, 스크라이빙 라인들(490)을 따라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를 모기판(40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모기판(400) 상에 형성된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크라이빙 라인들(490)이 존재하므로, 두 번의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하여 각각의 스크라이빙 라인들(490)에 따라 스크라이빙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스크라이빙 라인들(490)을 따른 스크라이빙 공정이 한 번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과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410) 사이에는 모기판(400) 상에서 검사가 수행되는 동안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410)을 제어하는 회로소자들이 더 위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410) 사이에는 제1 및 제2 회로부(710, 720)가 위치될 수 있다.
제1 회로부(710)는 원장검사용 회로로, 모기판(40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때,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의 온/오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회로부(710)는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에 포함된 소정의 배선으로부터 수직 제어신호(VC)와, 수평 제어신호(HC)와, 주사 제어신호(SCS)와, 제3 및 제4 전원(VDD, VSS)을 공급받아 주사 구동부(420)를 제어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의 온/오프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1 배선그룹(470)은 수직 제어신호(VC)를 공급하는 제5 배선(475)을 더 포함하고, 제2 배선그룹(480)은 수평 제어신호(HC)를 공급하는 제18 배선(488)을 더 포함한다.
일례로, 제1 회로부(7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프트 제어신호 생성부(712)와, 쉬프트 클럭신호 생성부(7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쉬프트 제어신호 생성부(712)는 노어 게이트(712_1)와, 인버터(712_2)를 포함한다.
노어 게이트(712_1)는 제3 전원(VDD)과 제4 전원(VSS) 사이에 접속된 제1 내지 제4 트랜지스터(T1 내지 T4)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는 제3 전원(VDD)과 제4 전원(VSS)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며 P 타입 트랜지스터로 설정되고,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T3, T4)는 제2 트랜지스터(T2)와 제4 전원(VSS)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며, N 타입 트랜지스터로 설정된다. 여기서, 제1 및 제4 트랜지스터(T1, T4)의 게이트 전극은 제18 배선(488)과 접속되어 수평 제어신호(HC)를 공급받고, 제2 및 제3 트랜 지스터(T2, T3)의 게이트 전극은 제5 배선(475)과 접속되어 수직 제어신호(VC)를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노어 게이트(712_1)는 자신에게 공급되는 수평 제어신호(HC) 및 수직 제어신호(VC)가 모두 로우레벨인 경우에만, 제3 전원(VDD)에 상응하는 하이레벨의 전압값을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며, 노어 게이트(712_1)의 출력신호는 제1 쉬프트 제어신호(SCTL)로 이용된다.
인버터(712_2)는 제3 전원(VDD)과 제4 전원(VSS)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며, 게이트 전극이 노어 게이트(712_1)의 출력단에 접속된 서로 다른 타입의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T5, T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인버터(712_2)는 노어 게이트(712_1)에서 출력되는 신호(즉, 제1 쉬프트 제어신호(SCTL))를 인버팅하여 제2 쉬프트 제어신호(SCTLB)를 생성한다.
쉬프트 클럭신호 생성부(714)는 삼상 인버터(Tristate inverter, 714_1)와, 제어 트랜지스터(Tc)와, 인버터(714_2)를 구비한다.
삼상 인버터(714_1)는 제3 전원(VDD)과 제4 전원(VSS) 사이에 직렬접속된 제11 내지 제14 트랜지스터(T11 내지 T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1 및 제12 트랜지스터(T11, T12)는 P 타입 트랜지스터로 설정되고, 제13 및 제14 트랜지스터(T13, T14)는 N 타입 트랜지스터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11 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 전극은 쉬프트 제어신호 생성부(712)의 노어 게이트(712_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제1 쉬프트 제어신호(SCTL)를 공급받는다. 제12 및 제13 트랜지스터(T12, T13)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 제어신호(SCS)를 공급받는 제3 배선들(473)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 어 제1 클럭신호(CLK1)를 공급받는다. 제14 트랜지스터(T14)의 게이트 전극은 쉬프트 제어신호 생성부(712)에 포함된 인버터(712_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제2 쉬프트 제어신호(SCTLB)를 공급받는다.
제어 트랜지스터(Tc)는 삼상 인버터(714_1)의 출력단인 제1 노드(N1)와 제4 전원(VSS) 사이에 접속되며, N 타입 트랜지스터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어 트랜지스터(Tc)의 게이트 전극은 노어 게이트(712_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제1 쉬프트 제어신호(SCTL)를 공급받는다.
인버터(714_2)는 제3 전원(VDD)과 제4 전원(VSS)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서로 다른 타입의 제15 및 제16 트랜지스터(T15, T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5 및 제16 트랜지스터(T15, T16)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노드(N1)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쉬프트 클럭신호 생성부(714)는 하이레벨의 제1 쉬프트 제어신호(SCTL)와 로우레벨의 제2 쉬프트 제어신호(SCTLB)가 공급되는 경우, 제1 클럭신호(CLK1)와 관계없이 하이레벨의 제1 쉬프트 클럭신호(SFTCLK)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외의 경우, 예를 들어 로우레벨의 제1 쉬프트 제어신호(SCTL)와 하이레벨의 제2 쉬프트 제어신호(SCTLB)를 공급받는 경우, 제1 클럭신호(CLK1)와 동일한 파형의 제1 쉬프트 클럭신호(SFTCLK)를 생성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쉬프트 클럭신호 생성부(714)는 제1 쉬프트 클럭신호(SFTCLK)와 상반된 파형을 갖는 제2 쉬프트 클럭신호(SFTCLKB) 생성회로를 더 포함하여 제2 쉬프트 클럭신호(SFTCLKB)를 더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회로부(710)는 수평 제어신호(HC) 및 수직 제어신 호(VC)가 모두 로우레벨인 경우, 하이레벨의 제1 쉬프트 제어신호(SCTL)와 로우레벨의 제2 쉬프트 제어신호(SCTLB)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1 클럭신호(CLK1)와 무관하게 하이레벨의 제1 및 제2 쉬프트 클럭신호(SFTCLK, SFTCLKB)를 생성한다.
제1 회로부(710)에서 생성된 하이레벨의 제1 및 제2 쉬프트 클럭신호(SFTCLK, SFTCLKB)는 주사 구동부(420)를 제어하는데, 이 경우 주사 구동부(420)는 화소부(430)가 턴-오프되도록 하는 주사신호 및/또는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이외의 경우 즉, 수평 제어신호(HC) 및 수직 제어신호(VC)가 모두 로우레벨인 경우를 제외한 경우, 제1 회로부(710)는 제1 클럭신호(CLK1)와 동일한 파형의 제1 쉬프트 클럭신호(SFTCLK)를 생성하여 주사 구동부(420)로 공급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에서 검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1 회로부(710)는 모기판(400) 상에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특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가 신호지연 등으로 오작동하는 경우, 오작동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를 독립적으로 오프시킴으로써 다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에 대한 검사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제2 회로부(720)는 측정용 회로로, 모기판(40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동안, 검사가 수행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의 주사 구동부(420)에서 생성되어 화소부(430)로 공급되는 주 사신호(SS)를 공급받아 이를 측정함으로써, 정상적인 주사신호의 발생여부 및 주사 구동부(420)의 소비 전력 등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제2 회로부(720)는 주사선들(S) 중 어느 하나와,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 사이에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회로부(7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전원(VDD)과 제4 전원(VSS) 사이에 접속된 삼상 인버터를 포함한다.
삼상 인버터는 제3 전원(VDD)과 제4 전원(VSS) 사이에 직렬접속된 제21 내지 제24 트랜지스터(T21 내지 T24)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1 및 제22 트랜지스터(T21, T22)는 P 타입 트랜지스터로 설정되고, 제23 및 제24 트랜지스터(T23, T24)는 N 타입 트랜지스터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21 트랜지스터(T21)의 게이트 전극은 제1 회로부(710)와 접속되어 제1 쉬프트 제어신호(SCTL)를 공급받고, 제22 및 제23 트랜지스터(T22, T23)의 게이트 전극은 제n 주사선(Sn)과 접속되어 제n 주사신호(SSn)를 공급받으며, 제24 트랜지스터(T24)의 게이트 전극은 제1 회로부(710)와 접속되어 제2 쉬프트 제어신호(SCTLB)를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제2 회로부(720)는 모기판(400) 상에서 검사가 수행될 때, 자신과 접속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즉, 제1 쉬프트 제어신호(SCTL)가 하이레벨이고, 제2 쉬프트 제어신호(SCTLB)가 로우레벨인 때를 제외한 경우) 제n 주사신호(SSn)에 대응하는 출력신호(OS)를 제19 배선(489)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2 배선그룹(480)은 제2 회로부(720)의 출력신호(OS)를 공급받는 제19 배선(48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2 회로부(720)는 제1 회로부(710)에 제1 및 제2 쉬프트 제어신호(SCTL, SCTLB) 생성회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1 또는 제2 배선그룹(470, 480)으로부터 제1 및 제2 쉬프트 제어신호(SCTL, SCTLB)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회로부(710, 720)도 제1 및 제2 배선그룹(470, 480)과 마찬가지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10)들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스크라이빙 라인들(49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밀봉시 제1 및 제2 회로부(710, 720)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도 8 및 도 9에서는 신호선들의 방향을 임의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신호선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수직 제어신호(VC)를 공급받는 제15 배선(475)은 제1 배선그룹(470)에 포함되어 제1 방향(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수평 제어신호(HC)를 공급하는 제18 배선(488)은 제2 배선그룹(480)에 포함되어 제2 방향(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제1 및 제2 배선그룹을 구비함으로써 모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들을 스크라이빙 하지 않은 상태로 원장단위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검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검사신호가 데이터 분배부를 경유하지 않고 검사부를 통해 화소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신호지연으로 인한 문제없이 원장단위의 검사를 수행하여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장단위의 검사를 위한 제1 및 제2 배선그룹과, 원장검사시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을 제어하는 회로소자들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스크라이빙 라인들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배선그룹과 원장검사용 회로소자들이 프릿과 중첩되지 않아 밀봉시 발생할 수 있는 배선들 및 회로소자들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검사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7)

  1.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을 포함하는 모기판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의 영역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중 동일한 열에 위치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1 배선그룹과,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의 영역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중 동일한 행에 위치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2 배선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중 인접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크라이빙 라인들이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은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각각은,
    적어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접속된 다수의 화소가 포함된 화소부와,
    상기 주사선들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의 일측단에 접속된 검사부와,
    상기 데이터선들의 타측단에 접속된 데이터 분배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부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기판과, 상기 화소부의 상부에 위치된 밀봉용 기판과, 상기 지지기판과 상기 밀봉용 기판 사이에 형성된 밀봉재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은 상기 밀봉재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프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은 자신과 접속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로 전원들 및 신호들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배선그룹에 속한 소정의 배선들과 상기 데이터선들 사이에 접속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또는 제2 배선그룹에 속한 어느 하나의 배선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동시에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소스 전극들은 상기 제1 배선그룹 또는 상기 제2 배선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들이 턴-온될 때 상기 데이터선으로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배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배선그룹으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어스 신호에 의하여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각각은, 상기 데이터 분배부와 접속되며 각각의 출력선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에 포함된 소정의 배선과 상기 주사 구동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모기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동안 자신과 접속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1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부는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속되어, 상기 주사선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에 대응되는 출력신호를 상기 제1 또는 제2 배선그룹에 속한 소정의 배선으로 출력하는 제2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부는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6. 모기판 상에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을 형성함과 아울러, 동일한 열에 위치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공통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사이에 제1 방향으로 제1 배선그룹을 형성하고, 동일한 행에 위치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공통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제2 배선그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모기판으로부터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중 인접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크라이빙 라인들이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은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이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적어도 화소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부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기판과, 상기 화소부의 상부에 위치된 밀봉용 기판 사이를 밀봉재에 의하여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프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은 상기 밀봉용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되어 레이저에 의하여 용융되었다가 경화되어 상기 지지기판과 상기 밀봉용 기판 사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은 상기 제1 및 제2 배선그룹과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3. 적어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접속된 다수의 화소가 포함된 화소부와,
    상기 주사선들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의 일측단에 접속된 검사부와,
    상기 데이터선들의 타측단에 접속된 데이터 분배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데이터선들 각각과 접속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부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기판과, 상기 화소부의 상부에 위치된 밀봉용 기판과, 상기 지지기판과 상기 밀봉용 기판 사이에 형성된 밀봉재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프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060090129A 2006-09-18 2006-09-1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79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129A KR100793558B1 (ko) 2006-09-18 2006-09-1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11/806,896 US20080068309A1 (en) 2006-09-18 2007-06-05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other substrate of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129A KR100793558B1 (ko) 2006-09-18 2006-09-1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558B1 true KR100793558B1 (ko) 2008-01-14

Family

ID=3918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129A KR100793558B1 (ko) 2006-09-18 2006-09-18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68309A1 (ko)
KR (1) KR1007935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836A (ko) * 2012-10-09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20140045838A (ko) * 2012-10-09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20140045837A (ko) * 2012-10-09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KR102059936B1 (ko) 2012-12-14 2019-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023B1 (ko) * 2006-08-23 2008-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
KR100840090B1 (ko) * 2007-08-17 2008-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
KR100941834B1 (ko) * 2008-05-07 2010-02-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및 그 에이징 방법
KR100947448B1 (ko) * 2008-06-11 2010-03-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TWI399734B (zh) * 2008-11-07 2013-06-2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面板
KR101015312B1 (ko) * 2009-08-20 2011-02-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
KR101040859B1 (ko) * 2009-09-02 2011-06-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985921B1 (ko) * 2012-06-13 2019-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90339B1 (ko) * 2014-02-25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11841A (ko) * 2020-07-21 2022-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626047B1 (en) * 2020-09-25 2023-04-11 Apple Inc. Reference array current sens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212A (ko) * 2000-11-27 2002-06-01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소형 액정표시장치용 액정 셀의 제조공정
KR20060094324A (ko) * 2005-02-24 2006-08-2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소자의 기판 배선 구조 및 방법
KR20070001583A (ko) * 2005-06-29 2007-0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장단위 검사가 가능한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및 그 검사 방법
KR20070032485A (ko) * 2005-09-16 2007-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장 단위 검사가 가능한 유기 이엘 어레이 기판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2906A (en) * 1933-08-11 1937-03-09 Pangborn Corp Filtering and collecting apparatus
US2350011A (en) * 1940-08-12 1944-05-30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Filtering and filtering apparatus
US3033373A (en) * 1958-07-24 1962-05-08 Mueller Hans Filter cloth fastening means
US4455222A (en) * 1982-04-15 1984-06-19 Less Thomas M Flux recovery device
US4491519A (en) * 1982-11-19 1985-01-01 Kurita Machinery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Filter cloth arrangement for use in fixed filter cloth type filter press
US5053700A (en) * 1989-02-14 1991-10-01 Amber Engineering, Inc. Method for wafer scale testing of redundant integrated circuit dies
FR2700063B1 (fr) * 1992-12-31 1995-02-10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Procédé de test de puces de circuit intégré et dispositif intégré correspondant.
US5618424A (en) * 1995-04-21 1997-04-08 Nagaoka International Corp. Rotary drum type device for separating solid particles from a liquid
JPH10260391A (ja) * 1997-03-19 1998-09-29 Fujitsu Ltd 検査回路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US6677171B1 (en) * 1998-07-14 2004-01-13 Sharp Kabushiki Kaisha Manufacturing method of collective substrate of active-matrix substrates, manufacturing method of active-matrix substrates, and inspecting method of collective substrates of active-matrix substrates
US6762735B2 (en) * 2000-05-12 2004-07-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JP4562938B2 (ja) * 2001-03-30 2010-10-1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2340989A (ja) * 2001-05-15 2002-11-2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測定方法、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JP3737405B2 (ja) * 2001-09-13 2006-01-18 Necマイクロシステム株式会社 チップ製造方法およびシステム、回路基板、回路チップ
KR100777724B1 (ko) * 2002-02-07 2007-1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자 발광소자와, 이의 기판 및 그 절단방법
US7265572B2 (en) * 2002-12-06 2007-09-04 Semicondcu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US7205986B2 (en) * 2002-12-18 2007-04-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testing method of the same
KR100479525B1 (ko) * 2002-12-31 2005-03-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다수의 어레이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TWI229199B (en) * 2004-01-02 2005-03-11 Au Optronics Corp Testing apparatus of flat display
US7503821B2 (en) * 2004-07-23 2009-03-17 Lg Display Co., Ltd. Mother glass and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6091239A (ja) * 2004-09-22 2006-04-0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検査方法
JP2006235492A (ja) * 2005-02-28 2006-09-07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100636502B1 (ko) * 2005-08-31 2006-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장단위 검사가 가능한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검사방법
KR100754140B1 (ko) * 2005-12-21 2007-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장단위 검사가 가능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모기판과그 검사방법
US7304492B2 (en) * 2006-03-06 2007-12-04 Chunghwa Picture Tubes, Ltd. Inspecting circuit layout for LCD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for LCD panel
KR100759688B1 (ko) * 2006-04-0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장단위 검사가 가능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모기판과 그 검사방법
KR100732819B1 (ko) * 2006-08-30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
KR100840090B1 (ko) * 2007-08-17 2008-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212A (ko) * 2000-11-27 2002-06-01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소형 액정표시장치용 액정 셀의 제조공정
KR20060094324A (ko) * 2005-02-24 2006-08-2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소자의 기판 배선 구조 및 방법
KR20070001583A (ko) * 2005-06-29 2007-0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장단위 검사가 가능한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및 그 검사 방법
KR20070032485A (ko) * 2005-09-16 2007-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장 단위 검사가 가능한 유기 이엘 어레이 기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836A (ko) * 2012-10-09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20140045838A (ko) * 2012-10-09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20140045837A (ko) * 2012-10-09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KR101965260B1 (ko) * 2012-10-09 2019-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1984736B1 (ko) 2012-10-09 2019-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1980230B1 (ko) * 2012-10-09 2019-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KR102059936B1 (ko) 2012-12-14 2019-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68309A1 (en)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55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81202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
TWI546792B (zh) 能夠片單元測試的有機發光顯示器之母基板及片單元測試之方法
KR102054849B1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KR100759688B1 (ko) 원장단위 검사가 가능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모기판과 그 검사방법
KR100754140B1 (ko) 원장단위 검사가 가능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모기판과그 검사방법
KR10084009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
JP4887027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の母基板
US914761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KR102047005B1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KR100840090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
KR10073281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
KR10094183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및 그 에이징 방법
KR20180004247A (ko) 디스플레이 패널 리던던시 스킴
KR100858610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모기판과 그의 제조방법
KR2016013006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35446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113089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검사 방법
KR100662995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