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442B1 - 개량된 전극 연결부를 가진 압전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개량된 전극 연결부를 가진 압전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442B1
KR100716442B1 KR1020017001906A KR20017001906A KR100716442B1 KR 100716442 B1 KR100716442 B1 KR 100716442B1 KR 1020017001906 A KR1020017001906 A KR 1020017001906A KR 20017001906 A KR20017001906 A KR 20017001906A KR 100716442 B1 KR100716442 B1 KR 10071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xternal electrode
piezoelectric actuator
voltage
conn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483A (ko
Inventor
루돌프 하인츠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7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5Further connection or lead arrangements, e.g. flexible wiring boards, terminal pi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2Interconnections, e.g. connection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특히 압전층들 및 그것들 사이에 배치된 내부전극들(2,3)로 된 다층 구조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압전 액추에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제 1 외부전극(6)은, 각 내부전극들(2,3)과 접촉될 수 있는, 각 측면상의 도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압 공급을 위한 탄성 전기 접촉은 접속부(4,5;15)를 통해 망상 또는 직물형의 제 2 외부전극(7)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전극은 제 1 전극(6)에 배치된다. 제 2 외부전극은 적어도 점상으로 제 1 전극(6)과 연결되어 있고 접촉면 또는 접촉점(8;14;17)의 영역에 역시 팽창가능한 영역을 갖고 있다.
압전 액추에이터, 접촉점, 접속부, 외부전극, 내부전극.

Description

개량된 전극 연결부를 가진 압전 액추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 with improved electrode connections}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예컨대 밸브 등과 같은 기계 부품을 작동하기 위한 압전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소위 압전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적당한 결정 구조를 가진 재료로 압전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외부 전압을 인가하면 결정 구조 및 전압의 인가 범위에 의존하여 사전 설정될 수 있는 방향으로 압축 또는 인장을 나타내는, 압전 소자의 기계적 반응이 일어난다.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구조는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다층 액추에이터), 전압이 제공되게 하는 전극들은 각각 층과 층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압전 액추에이터는 예컨대 자동차의 연료 분사 장치에서 전환 밸브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압전 액추에이터의 작동시 특히 층 구조에 기계적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외부 접속 전극의 영역에는 장애를 일으키는 파열 형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각각 측면에 접촉된 내부전극들은 빗 모양으로 층 구조물 내에 통합되기 때문에, 층 구조물 방향으로 상하로 차례로 배치되는 전극들은 각각 교대로 대향 측면에 접촉되어야 한다. 압전 액추에이터의 작동시, 즉 층 구조물 내에 대향 배치된 내부전극들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내부전극들의 영역과 외부전극에 있는 접점들의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기계적 힘이 발생되고, 상기 힘은 기계적 응력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외부전극들 내에 균열이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기계 부품을 작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전술한 압전 액추에이터는, 각 외부전극의 적어도 한 층은 망상 또는 직물형으로 각 측면상에 분포되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점상으로 각 내부전극들과 접촉됨으로써 바람직하게 개선된다. 이 경우 접점 사이에는 팽창가능한 영역이 위치하게 되고 전압 공급은 접속부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부들도 역시 접촉면의 영역에 또는 접촉점들 사이에 팽창가능한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층으로서 외부전극, 예컨대 금속면이 각 내부전극들과 접촉되어 있는 각 측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외부전극으로서 망상 또는 직물형의 층이 제 1 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층은 적어도 점상으로 제 1 층과 접촉되고 또한 이 경우에도 접점 사이에는 팽창가능한 영역이 놓이게 된다. 전압의 공급은 제 2 외부전극에 있는 접속부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전극도 접촉면의 영역에 또는 접촉점들 사이에 팽창 가능한 영역을 갖는다.
망상 또는 직물형의 외부전극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전극으로부터 박리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횡 균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망상 또는 직물형의 외부전극은 바람직하게 단지 점상으로 납땜될 수 있고, 따라서 압전 액추에이터가 팽창할 때 외부전극 내에 큰 전단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전단 응력 발생은 전극의 균열을 초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압을 위한 접속부들이 납땜 접점을 통해 접속될 수 있고, 상기 납땜 접점은, 내부전극들이 압전 액추에이터의 가장자리에 까지는 뻗지 않게 함으로써 액티브한 종방향 팽창을 갖지 않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층 구조물의 영역내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압을 위한 접속부들은 바람직하게 납땜 접점, 용접 접점 또는 크림프 접점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접점은 망상 또는 직물형의 외부전극의 폴드 영역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접속부는 폴드 영역 내에 배치되는 플랫 와이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압을 위한 접속부들은, 압전 액추에이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폴드 영역에 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를 통해서 접속되거나, 또는 점상으로 직물형의 외부전극에 배치된, 수평 또는 수직으로 파형을 이루는 와이어 및 납땜 접점, 용접 접점 또는 크림프 접점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전압을 위한 접속부들은, 점상으로 바람직하게는 탄성 콤(comb)에 그리고 제 2 외부전극에 위치하는, 콤전극 및 납땜 또는 용접 접점들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되며, 개별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다수의 조합된 형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그리고 다른 분야에 실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그 자체로 특허 청구할 수 있는 실시예일 있고, 이것들은 모두 본 발명에서 특허 청구된다.
도 1은 압전 세라믹 및 내부전극들로 구성된 층들의 다층 구조물 및 제 1의 플랫 외부전극상의 망상의 외부전극을 구비한 압전 액추에이터의 단면도.
도 2는 전압의 접속부를 가진 도 1에 따른 망상 외부전극의 평면도.
도 3은 전기 접속부의 영역에 있는 층 구조물의 상세 단면도.
도 4는 폴드 영역에 있는 전기 접속부를 가진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
도 5는 폴드 영역에 배치된 접속 와이어를 가진 도 4에 의한 실시예의 변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망상 외부전극이 브레킷 납땜에 의해 제 1 외부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실시예.
도 7은 망상 외부전극이 크림프에 의해 접속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실시예.
도 8은 망상 외부전극이 압전 액추에이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폴드영역에 있는 브레킷 땜질 또는 크림프에 의해 접속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실시예.
도 9,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전기 접속을 위한 파형의 접속 와이어.
도 12 및 도 13은 콤 모양의 전기 접속 와이어에 대한 두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실시예들이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에는 압전 액추에이터(1)가 도시되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적합한 결정구조를 가진 세라믹 재료의 압전 포일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위 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외부 전압을 전기 접속부(4 및 5)를 통해 내부전극들(2 및 3)에 인가하면 압전 액추에이터(1)의 기계적 반응이 이루어진다. 도 2로부터는 상기 구조의 측면도를, 또한 도 3으로부터는 접속 와이어(4 및 5) 영역의 단면도를 볼 수 있다.
제 1 플랫 외부전극(6)은 내부전극들(2 및 3)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외부전극은 다시 접점(8)을 통해 예컨대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제 2 망상 외부전극(7)과 접촉되어 있다. 제 1 외부전극(6)은 Ni, Ni+Cu 또는 Ni+PbSn으로 된 얇은, 예컨대 몇 ㎛ 두께의 층일 수 있고, 이 층은 직접 압전 액추에이터(1)의 표면 상에 접착한다. 접속 와이어(4 및 5)는 접점 지점(9)에서 망상 외부전극(7)과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납땜 지점(9)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에는, 내부전극들(2 및 3)이 외부전극(6 및 7)에 까지는 이르고 있지 않아 압전효과로 인한 아무 기계적 반응도 일어나지 않는 비활성 저부 영역(10)이 제공된다. 그리하여 이 저부 영역(10)에서는 상기 도입부에서 언급한 균열 형성 등의 단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외부전극(7)의 영역이 접속 와이어(4 또는 5)를 고정하기 위해 접혀 있고 이로써 납땜 지점(9)의 경화 및 그것에 따른 균열 형성이 방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높이(H)에 의해, 압전 액추에이터(1)가 팽창할 수 있는 탄성의 폴드 영역(11)이 얻어진다. 상기 팽창은 경화 접속 와이어(4 또는 5)에 의해 저지되지 않는다. 이 경우 특히 접속 와이어(4 또는 5)의 용접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땜납이 구역(h)을 통해 흘러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납땜의 경우) 이것은 경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내지 3에 따라 제공된 바와 같이 비활성(부동태) 저부 영역이 생략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도 4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각 접속 와이어(4 또는 5)는 폴드 영역(11)의 내부에 용접되어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 용접된 플랫 접속 와이어(4 또는 5)가 제공되고, 그 폭이 작기 때문에 가열판(12)에 의해 망상 외부전극의 브레킷 납땜이 제 1 외부전극(6)에서 실시될 수 있다.
도 7은 접속 와이어(4 또는 5)가 폴드 영역(11) 상에 배치된 크림프된 스트립(13)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접속 와이어(4 및 5)를 고정시키는 변형예를 도시하고, 여기서는 연속하는 와이어가 압전 액추에이터(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안내되어 있다. 이 경우 폴드 지점(11)에서 국부적인 납땜 또는 용접시 와이어(4 또는 5)와 각 외부전극(7) 사이에 피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 역시 감소한다.
도 9 및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접속 와이어(4 및 5)가 파형이고, 따라서 외부전극(7)의 팽창 방지가 감소된다. 와이어(4 및 5)는 압전 액추에이터(1)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작은 지점(14)에서 용접 또는 납땜된다. 와이어(4 및 5)는 도 9 및 10에 따라 외부전극(7)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파형화 되어 있고, 따라서 이 경우 망상의 외부전극(7)을 압전 액추에이터(1)에 또는 제 1 플랫 외부전극(6)에 큰 장해 없이 땜 부착을 하기 위해 도 6을 참고로 언급된 브레킷 납땜이 가능하다. 앞서 외부전극(7)에 용접된 와이어(4 또는 5)는 고정을 위해 그리고 브레킷 납땜 시 센터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망상의 외부전극(7) 위에 평평하게 납땜 또는 용접된 파형의 접속 와이어(4 또는 5)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지점들(14)에 점상의 접촉이 행해지고, 이로써 외부전극(7)의 팽창성이 방해를 받지 않는다. 이때 가장 간단하게 접속 와이어(4 또는 5)를 설치한 후에야 외부전극이 브레킷 납땜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특수 형태의 접속 와이어(15)가 설치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콤 모양으로 접촉 지점(17)들에 연장된, 탄성의 저부(16)들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 지점들에서 상기 탄성의 저부는 각각 외부전극(7)에 납땜 또는 용접된다.

Claims (8)

  1. - 다층 구조물의 압전층들 및 상기 압전층들 사이에 배치된 내부전극들(2,3)을 가지며,
    - 상기 내부전극들(2, 3)의 측면이 교대로 외부전극(6,7)에 접촉하고, 상기 외부전극들(6, 7)을 통해 전압이 공급될 수 있으며,
    - 하나의 외부전극(7)은 망상 또는 직물형으로 각각 측면상에 분포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점상으로 상기 각각의 내부전극들(2,3)과 접촉되어 있으며, 접점들 사이에는 팽창가능한 영역이 위치하며,
    - 접속부들(4,5;13;15)을 통해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접속부들은 접촉면들 또는 접촉점들(8;14;17)의 영역들 사이에 팽창가능한 영역들을 갖고 또는 탄성 폴드 영역들(11)에 위치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외부전극(6)으로서 도전면이 각 측면상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은 각각의 상기 내부전극들(2,3)과 접촉되고, 상기 제 2의 망상 또는 직물형 외부전극(7)이 상기 제 1 전극(6)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외부전극은 적어도 점상으로 상기 제 1 전극(6)과 접촉되고, 또한 상기 접촉점들(8;14;17) 사이에는 팽창가능한 영역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압을 위한 상기 접속부들(4,5)이 납땜 접점(soldered contact)(9)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납땜 접점은, 상기 내부전극들(2,3)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의 가장자리에 까지는 이르지 않게 함으로써, 거의 종방향 팽창을 갖지 않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의 상기 층 구조물의 영역(10)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압을 위한 상기 접속부들(4,5;13)은 제 2 외부전극(7)의 상기 폴드 영역(11)에 있는 납땜 접점, 용접 접점 또는 크림프 접점(crimped contact)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전압을 위한 상기 접속부들은, 상기 폴드 영역(11)의 내부에 배치된 플랫 와이어(flat wire)(4,5)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전압을 위한 상기 접속부들은,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 폴드 영역(11)에 걸쳐 연장되는 와이어(4,5)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압을 위한 상기 접속부들은 각각, 점상으로 제 2 외부전극(7)에 배치되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파형을 이루는 와이어(4,5) 및 납땜 접점, 용접 접점 또는 크림프 접점(crimped contact)(14)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압을 위한 상기 접속부들은, 콤형의 와이어(15) 및, 각각 탄성 콤(16)과 제 2 외부전극(7)에 위치하는 납땜 접점 또는 용접 접점(17)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KR1020017001906A 1999-06-19 2000-05-26 개량된 전극 연결부를 가진 압전 액추에이터 KR100716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8189.0 1999-06-19
DE19928189A DE19928189A1 (de) 1999-06-19 1999-06-19 Piezoak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483A KR20010072483A (ko) 2001-07-31
KR100716442B1 true KR100716442B1 (ko) 2007-05-10

Family

ID=791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906A KR100716442B1 (ko) 1999-06-19 2000-05-26 개량된 전극 연결부를 가진 압전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11018B1 (ko)
EP (1) EP1110249B1 (ko)
JP (1) JP5108190B2 (ko)
KR (1) KR100716442B1 (ko)
CZ (1) CZ301223B6 (ko)
DE (2) DE19928189A1 (ko)
WO (1) WO2000079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3271A1 (de) * 1999-03-24 2000-09-28 Bosch Gmbh Robert Piezoelektrischer Aktor
DE60103445T2 (de) * 2000-03-29 2005-06-02 Nec Tokin Ceramics Corp. Vielschicht-Piezoaktor mit Elektroden mit verstärkter Leitfähigkeit
DE10017975A1 (de) * 2000-04-11 2001-10-25 Bosch Gmbh Robert Piezoelektrischer Vielschichtaktor
JP3964184B2 (ja) * 2000-12-28 2007-08-22 株式会社デンソー 積層型圧電アクチュエータ
DE10112738C1 (de) * 2001-03-16 2002-06-2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Instrumententräger
EP1384272B1 (de) 2001-04-30 2005-06-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Weiterkontaktierung für ein elektrisches bauteil sowie piezoelektrisches bauteil in vielschichtbauweise
EP1502310B1 (de) 2002-05-06 2008-11-12 Epcos Ag Piezoakto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34787C1 (de) * 2002-06-07 2003-10-30 Pi Ceramic Gmbh Keramische Te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onolithischen Vielschichtaktors, monolithischer Vielschichtaktor aus einem piezokeramischen oder elektrostriktiven Material
DE10327902A1 (de) * 2002-07-19 2004-06-24 Ceramtec Ag Innovative Ceramic Engineering Außenelektrode an einem piezokeramischen Vielschichtaktor
DE10241992B4 (de) * 2002-09-11 2005-05-04 Siemens Ag Piezoelektrischer Aktor
DE10259949A1 (de) * 2002-12-20 2004-07-01 Robert Bosch Gmbh Piezoaktor
US20040130081A1 (en) * 2003-01-06 2004-07-08 Hein David A. Piezoelectric material to damp vibrations of an instrument panel and/or a steering column
JP2005183478A (ja) * 2003-12-16 2005-07-07 Ibiden Co Ltd 積層型圧電素子
US7082655B2 (en) * 2003-12-18 2006-08-01 Ge Inspection Technologies, Lp Process for plating a piezoelectric composite
JP5167576B2 (ja) * 2005-04-22 2013-03-21 Tdk株式会社 積層型圧電素子
US7385337B2 (en) 2004-06-18 2008-06-10 Tdk Corporation Multilayer piezoelectric element
DE102004043525B4 (de) * 2004-09-08 2011-02-24 Epcos Ag Piezoaktor und Verwendung des Piezoaktors
JP4466321B2 (ja) 2004-10-28 2010-05-26 Tdk株式会社 積層型圧電素子
DE102005018322B4 (de) * 2005-04-20 2007-03-08 Siemens Ag Piezoakto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4936306B2 (ja) 2006-01-13 2012-05-23 日本碍子株式会社 積層型圧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6007306B3 (de) * 2006-02-16 2007-09-13 Siemens Ag Elektrische Anordnung mit einer Drahtverbind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erartigen elektrischen Anordnung
DE102006006077B4 (de) * 2006-02-09 2009-04-0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iezokeramischer Vielschicht-Aktor,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iezokeramischen Vielschicht-Aktors und Einspritzsystem
DE102006035038A1 (de) * 2006-07-28 2008-01-31 Epcos Ag Federelement sowie Piezoaktor mit dem Federelement
US7679273B2 (en) * 2006-07-31 2010-03-16 Delphi Technologies, Inc. Strain tolerant metal electrode design
DE102006040316B4 (de) * 2006-08-29 2012-07-05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Piezokeramischer Flächenaktu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CN101159308A (zh) * 2007-02-01 2008-04-09 昆山攀特电陶科技有限公司 多层压电式微位移致动器
DE102007037866A1 (de) 2007-08-10 2009-02-12 Robert Bosch Gmbh Piezoelektrischer Aktor
EP2185304B1 (en) * 2007-09-07 2013-07-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multi-element alloy powder containing silver and at least two non-silver containing elements
DE102007049145A1 (de) 2007-10-12 2009-04-16 Robert Bosch Gmbh Piezoakto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1897049B (zh) * 2007-11-14 2013-12-18 怡德乐纳斯公司 具有结合焊带的平面弹簧组件及其制造方法
EP2259352B1 (en) * 2008-04-11 2012-08-2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Laminated piezoelectric actuator
DE102008062021A1 (de) * 2008-08-18 2010-03-04 Epcos Ag Piezoaktor in Vielschichtbauweise
DE102008058011A1 (de) * 2008-11-19 2010-02-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ls Stapel ausgebildetes elektronisches Bauelement
DE102009013125A1 (de) * 2009-03-13 2010-09-23 Epcos Ag Piezoaktor in Vielschichtbauweise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Außenelektrode bei einem Piezoaktor
DE102010022925B4 (de) 2010-06-07 2019-03-07 Tdk Electronics Ag Piezoelektrisches Vielschichtbauelement und Verfahren zur Ausbildung einer Außenelektrode bei einem piezoelektrischen Vielschichtbauelement
DE102010030432A1 (de) 2010-06-23 2011-12-29 Robert Bosch Gmbh Piezoelektrischer Aktor
DE102010061946A1 (de) 2010-11-25 2012-05-31 Robert Bosch Gmbh Piezoelektrisches Aktormodul und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2011007325A1 (de) * 2011-04-13 2012-10-18 Robert Bosch Gmbh Speichereinheit zum Speichern elektrischer Energie mit einem niederohmig kontaktierten Energiespeicher
DE102011090038A1 (de) 2011-12-28 2013-07-04 Robert Bosch Gmbh Piezoelektr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iezoelektrischen Bauelements
DE102013106223A1 (de) * 2013-06-14 2014-12-18 Epcos Ag Vielschichtbauelement mit einer Außenkontaktierung, einer Weiterkontaktierung und einem Verbindungselement
DE102013108753A1 (de) * 2013-08-13 2015-02-19 Epcos Ag Vielschichtbauelement mit einer Außenkontakti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ielschichtbauelements mit einer Außenkontaktierung
DE102015112044A1 (de) * 2015-07-23 2017-01-26 Epcos Ag Halterung für ein piezoelektrisches Bauelement
DE102015226143A1 (de) * 2015-12-21 2017-06-22 Robert Bosch Gmbh Vielschichtak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5784A (ja) * 1983-01-24 1984-08-04 Nippon Soken Inc 積層型圧電体
JPH08236828A (ja) * 1995-02-27 1996-09-13 Nippondenso Co Ltd 積層圧電体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2588A (en) * 1975-08-29 1977-03-15 Science Accessories Corporation Position determining apparatus and transducer therefor
DE3330538A1 (de) * 1983-08-24 1985-03-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Piezoelektrisches stellglied
JPS61272984A (ja) * 1985-05-28 1986-12-03 Nec Corp 電歪効果素子
JPH04167579A (ja) * 1990-10-31 1992-06-15 Nec Corp 電歪効果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4201937C2 (de) * 1991-01-25 1997-05-22 Murata Manufacturing Co Piezoelektrisches laminiertes Stellglied
US5459371A (en) * 1993-03-12 1995-10-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ultilayer piezoelectric element
JPH07226541A (ja) * 1994-02-09 1995-08-22 Brother Ind Ltd 積層型圧電素子
JPH08250777A (ja) * 1995-03-10 1996-09-27 Chichibu Onoda Cement Corp 連結積層型圧電アクチュエータ素子
DE19646676C1 (de) * 1996-11-12 1998-04-23 Siemens Ag Piezoaktor mit neuartiger Kontaktierung und Herstellverfahren
DE19646511C1 (de) * 1996-11-12 1998-05-14 Marco Systemanalyse Entw Piezoaktuatorisches Antriebs- oder Verstellelement
DE19648545B4 (de) * 1996-11-25 2009-05-07 Ceramtec Ag Monolithischer Vielschichtaktor mit Außenelektroden
JPH10223936A (ja) * 1997-02-10 1998-08-21 Minolta Co Ltd 積層型圧電素子の製造方法
JPH10284763A (ja) * 1997-03-31 1998-10-23 Chichibu Onoda Cement Corp 圧電アクチュエータ
DE19715488C1 (de) * 1997-04-14 1998-06-25 Siemens Ag Piezoaktor mit neuer Kontaktierung und Herstellverfahren
JPH11135851A (ja) * 1997-10-31 1999-05-21 Kyocera Corp 積層型圧電アクチュエータ
DE19856201A1 (de) * 1998-12-05 2000-06-15 Bosch Gmbh Robert Piezoelektrischer Ak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5784A (ja) * 1983-01-24 1984-08-04 Nippon Soken Inc 積層型圧電体
JPH08236828A (ja) * 1995-02-27 1996-09-13 Nippondenso Co Ltd 積層圧電体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236828
59-13578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0249A1 (de) 2001-06-27
JP2003502869A (ja) 2003-01-21
KR20010072483A (ko) 2001-07-31
US6411018B1 (en) 2002-06-25
WO2000079607A1 (de) 2000-12-28
CZ2001576A3 (cs) 2001-08-15
DE50013299D1 (de) 2006-09-21
CZ301223B6 (cs) 2009-12-16
JP5108190B2 (ja) 2012-12-26
DE19928189A1 (de) 2001-04-19
EP1110249B1 (de)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442B1 (ko) 개량된 전극 연결부를 가진 압전 액추에이터
KR100692884B1 (ko) 열팽창에 적응하는 외부 전극을 갖는 압전 액추에이터
US6208026B1 (en) External electrode for a monolithic multi-layer actuator
US6522052B2 (en) Multilayer-type piezoelectric actuator
JP4227255B2 (ja) 改善された電気的な接触接続を持つピエゾ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のようなピエゾアクチュエータの使用
JP4843143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
KR20020024309A (ko) 압전 액츄에이터
JP2006517729A (ja) 目標破損個所を備えた圧電素子及び圧電素子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圧電素子の使用
US7276837B2 (en) Piezoelectric actuator
KR20010043243A (ko) 압전 액추에이터
JP2003502873A (ja) 圧電式アクチュエータ
KR20010072858A (ko) 개선된 전극 접점을 구비한 압전 다층 액츄에이터와 그제조방법
US7477002B2 (en) Piezo-actuator
KR100686907B1 (ko) 압전식 다층 액추에이터
US7015629B2 (en) Additional contacting for an electrical component and piezoelectric component in the form of a multilayer structure
JP2003502879A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
JP2005057996A (ja) ピエゾ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該ピエゾアクチュエータを製作するための方法
JPH09270539A (ja) 積層型圧電アクチュエータ
JP2009534823A (ja) 外部から接触される圧電素子内部電極を備えた圧電アクチュエータ
JPH04371237A (ja) 多孔性担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