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927B1 -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 - Google Patents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927B1
KR100705927B1 KR1020050101308A KR20050101308A KR100705927B1 KR 100705927 B1 KR100705927 B1 KR 100705927B1 KR 1020050101308 A KR1020050101308 A KR 1020050101308A KR 20050101308 A KR20050101308 A KR 20050101308A KR 100705927 B1 KR100705927 B1 KR 10070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groups
formula
alk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휘민
이수정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1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927B1/ko
Priority to US11/438,807 priority patent/US7935475B2/en
Priority to JP2006158810A priority patent/JP4557175B2/ja
Priority to TW095127207A priority patent/TWI374917B/zh
Priority to CN200610109228XA priority patent/CN195612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927B1/ko
Priority to US13/097,660 priority patent/US8679725B2/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008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066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the polymethine chain being part of a carbocyclic ring,(e.g. benzene, naphtalene, cyclohexene, cyclobutenene-quadrat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2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odd number of >CH- or >C[alkyl]- groups
    • C09B23/08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odd number of >CH- or >C[alkyl]- groups more than three >CH- groups, e.g. polycarbocyanines
    • C09B23/086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odd number of >CH- or >C[alkyl]- groups more than three >CH- groups, e.g. polycarbocyanines more than five >C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5/00Complex metal compounds of azo dyes
    • C09B45/02Preparation from dyes containing in o-position a hydroxy group and in o'-position hydroxy, alkoxy, carboxyl, amino or keto groups
    • C09B45/04Azo compounds in general
    • C09B45/06Chrom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9/00Sulfur dyes
    • C09B49/12Sulfur dyes from other compounds, e.g. other 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08Triarylamine dyes containing no other chromoph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ⅰ) 820 ~ 95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 950 ~ 11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디임모늄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 및 580 ~ 6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선택적 가시광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색소, 및 ⅱ) 점착제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점착필름 또는 방사방지기능 혼합 복합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원료가와 공정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면필터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근적외선, 색보정, 점착제, 필터, 시아닌, 금속착체계 색소

Description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Near Infrared Absorbing and Color Compensation Adhesive Composition and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ⅰ) 820 ~ 95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 및 950 ~ 11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디임모늄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 및 580 ~ 6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선택적 가시광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색소, 및 ⅱ) 점착제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대화면화가 쉽고, 두께가 얇은 자발광형 표시수단으로서 대화면 텔레비젼으로 점차 그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 플레이에는 방전가스가 형광체를 발광시키기 위해 자외선을 발광할 때 다량의 근적외선도 발생시킨다.
상기 근적외선 영역은 많은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에서 사용되는 930nm 부근의 파장대와 겹치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 발생되는 근적외선으로 인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자체뿐만 아니라 주위의 다른 가전제품의 리모트 콘트롤 장치의 사용에도 오작동을 일으키게 한다. 또한, 적외선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850nm 부근의 파장 영역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근적외선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근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820 ~ 1000nm의 영역의 근적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필터가 필요하다.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형광체에서 발하는 빛 중에서 적색의 빛은 590nm 부근의 강한 발광 때문에 그 색 순도가 크게 떨어진다. 또한, 형광체를 여기시키기 위한 페닝가스의 주성분 중 네온 가스에 의해 585nm 부근에서는 주황색의 네온광이 발광색에 관계 없이 항상 발광한다. 따라서, 이들을 줄이고 자연색에 가까운 색을 얻기 위해서는 580 ~ 600nm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색보정 필터가 필요하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근적외선 차단 필터 및 색보정 필터 이외에도 다량의 전자파가 방출되기 때문에 이들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전자파차폐 필터가 필요하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LCD와 달리 외광의 반사가 심하여 명실에서 사용시 그 명암비가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사방지층을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의 근적외선 차단, 전자파 차단, 색보정, 반사방지는 각각의 기능을 갖는 필름형태의 재료를 적층한, 하나의 전면필터로서 구현된다. 즉, 각각의 필름은 기재필름과 그 위에 기능성 물질의 코팅층이 형성되고 점착층과 보호필름, 이형필름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이형필름과 보호필름은 전면필터 제작시 각각의 필름을 적층한 후 버려지는 재료로서 각각의 필름의 기능이 통합되면 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점착층도 각각의 필름을 적층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필요한 필름의 수가 줄어들면 그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코팅이 이루어지는 기재필름의 수도 필름들의 기능을 통합하면 줄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면필터에 사용되는 필름의 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 제시되었고 그 중에서 근적외선 흡수, 색보정 기능 코팅층을 없애고 점착코팅층에 포함시키는 방법이 유력한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본특허 제3621322호는 점착성 수지에 700~1100nm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적외선 흡수제를 포함시킨 조성물을 이용한 적외선 흡수 시트를 개시하고 있고, 일본특허공개 제2002-311843호는 점착제에 가시광 및/또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제를 포함시킨 조성물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용 부재를 개시하고 있으며, 일본특허공개 제2005-62506호는 점착제에 800~1100nm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포함시킨 조성물을 이용한 광학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근적외선 흡수 용도로 사용되는 색소로는 안트라퀴논(anthraquinone)계, 프탈로시아닌 (phthalocyanine)계, 시아닌(cyanine)계, 디티올-금속 착체(dithiol-metal complex)계, 디임모늄(diimmonium)계가 있다.
이 중, 안트라퀴논계와 디티올-금속착체계 색소는 점착제의 작용기에 의해 변성을 일으키지 않지만 흡광도가 매우 낮아 충분한 근적외선 차단을 위해서는 많은 양을 사용해야 하며, 많은 양의 색소 사용시 가시광 투과도가 크게 떨어져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프탈로시아닌계는 점착제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색소로서 흡광도도 높고 점착제의 작용기에 의해서도 변성을 일으키지 않지만, 흡광영역이 좁아 넓은 영역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흡수 파장대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색소를 조합하여 사용해야 하며, 다량의 색소 사용에 따른 고비용의 문제와 가시광 투과율의 저하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넓은 범위의 근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가시광 영역의 흡광이 적은 디임모늄계 색소가 프라즈마 디스플레이용 근적외선 흡수 필터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디임모늄계 색소는 최대 흡수 파장이 950nm 내지 1100nm라 850nm 부근의 빛은 효율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850nm 부근의 근적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좁은 파장대를 흡수하지만 흡광도가 높은 프탈로시아닌계나 시아닌계의 근적외선 차단 색소를 추가로 사용해야 한다. 이 중 시아닌계 색소는 프탈로시아닌계 색소보다 흡광도가 높아 소량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 면에서 이점이 있고,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흡광도가 낮아 유리하지만 점착제의 작용기와의 반응으로 실제적으로 점착제에 혼합하여 사용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색보정 용도로 사용되는 색소로는 시아닌계 색소와 테트라아자포피린계 색소가 있다. 이 중 시아닌계 색소는 점착제의 작용기와 반응하므로 점착제에 혼합하여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워 실제적으로 테트라아자포피린계의 색소가 점착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아닌계 색소는 테트라아자포피린이나 프탈로시아닌 보다 높은 흡광도 및 낮은 가시광 흡수율을 가지고 있으나, 점착제의 작용기에 대한 내구성이 낮아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시아닌과 금속착체계 색소를 일체화시킨 색소와 디임모늄과 금속착체계 색소를 일체화시킨 색소가 본래의 시아닌계 또는 디임모늄계 색소의 흡광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점착제의 작용기에도 내구성을 지님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성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점착제와 혼합하여도 그 흡광성능이 변하지 않는 시아닌계 색소와 디임모늄계 색소의 금속착체와의 염을 만들고 염을 점착제와 혼합하여 점착필름 또는 반사방지기능 혼합 복합필름을 만들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면필터에 사용함으로써 원료가와 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ⅰ) 820 ~ 95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 및 950 ~ 11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 적외선 흡수 디임모늄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 및 580 ~ 6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선택적 가시광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색소, 및 ⅱ) 점착제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ⅰ) 820 ~ 95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 950 ~ 11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디임모늄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 및 580 ~ 6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선택적 가시광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색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820 ~ 95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색소 양이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기 화 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근적외선 흡수 시아닌계 색소가 바람직하다. 이들 색소는 대개 할로겐 음이온이나 ClO4 -, PF6 -, SbF6 -, BF4 -, 톨루엔 술포네이트 음이온 등과 이온 결합을 이루어 존재하고 있다.
Figure 112005061019545-pat00001
상기 식에서, R1과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halogen)원자, 니트로(nitro)기, 시아노(cyano)기, 알콕시(alkoxy)기, 알킬(alkyl)기, 알킬 알콕시(alkyl alkoxy)기 또는 아미노(amino)기이고, R2와 R9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또는 알킬알콕시기 또는 알킬술폰산(alkylsulfonic acid)기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된 페닐기 또는 알킬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A와 B는 각각 벤젠환 또는 나프탈렌환이며, X와 Y는 각각 C 또는 N 또는 S 또는 Se이고, X와 Y가 C일 때 R5, R6, R7, R8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또는 R5와 R6, R7과 R8이 서로 연결된 알킬고리이고, X와 Y가 N일 때 X와 Y는 치환기로 R5와 R7 하나씩 만을 가지며 이들은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며, X와 Y가 S 또는 Se일 때는 X와 Y는 치환기를 갖지 않으며, n은 0~2의 정수이다.
Figure 112005061019545-pat00002
상기 식에서, R1, R2, R3,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또는 알킬알콕시기 또는 R1과 R2, R3와 R4가 서로 연결된 알킬고리이고, R5와 R6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halogen)원자, 니트로(nitro)기, 시아노(cyano)기, 알콕시(alkoxy)기, 알킬(alkyl)기, 알킬 알콕시(alkyl alkoxy)기 또는 아미노(amino)기이며, n은 0~3의 정수이다.
상기와 같은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서 시판되는 상품으로는 아사히 덴키사제 TZ-115, 하야시바라 바이오케미칼사제 NK-7916, 일본 화약사제 PDC-400, 야마다 화학사제 PD-301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950 ~ 11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디임모늄계 색소 양이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색소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5061019545-pat00003
상기 식 중에서 R1은 치환기를 가지는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는 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는 아릴기이다. 이들 양이온은 음이온으로서 할로겐 음이온이나 ClO4 -, PF6 -, SbF6 -, BF4 -, 톨루엔 술포네이트 음이온 등과 이온 결합을 이루어 존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디임모늄계 색소로서 시판되는 상품으로는 일본화약사제 PDC-220, 일본 칼리토사제 CIR-1085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580 ~ 6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선택적 가시광 흡수 색소 양이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선택적 가시광 흡수 시아닌계 색소가 바람직하다. 이들도 대개 할로겐 음이온이나 ClO4 -, PF6 -, SbF6 -, BF4 -, 톨루엔 술포네이트 음이온 등과 이온 결합을 이루어 존재하고 있다.
Figure 112005061019545-pat00004
상기 식에서, R9과 R10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halogen)원자, 니트로(nitro)기, 시아노(cyano)기, 알콕시(alkoxy)기, 알킬(alkyl)기, 알킬 알콕시(alkyl alkoxy)기 또는 아미노(amino)기이고,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또는 알킬알콕시기 또는 알킬술폰산(alkylsulfonic acid)기이며, n=0일 때 R7은 수소원자, R8은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된 페닐기 또는 알킬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n=1일 때 R7은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된 페닐기 또는 알킬기 또는 아미노기이며, R8은 수소원자이며, A와 B는 각각 벤젠환 또는 나프탈렌환이고, X와 Y는 각각 C 또는 N 또는 S 또는 Se이며, X와 Y가 C일 때 R1, R2, R3,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또는 R1과 R2, R3과 R4가 서로 연결된 알킬고리이고, X와 Y가 N일 때 X와 Y는 치환기로 R1과 R3 하나씩 만을 가지며 이들은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며, X와 Y가 S 또는 Se일 때는 X와 Y는 치환기를 갖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선택적 가시광 흡수 색소로서 시판되는 상품으로는 아사히 덴키사제 TY-102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들 시아닌계 또는 디임모늄계 색소 양이온과 이온결합체를 형성하는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기 화학식 5 ~ 6으로 표시되는 디티올-금속착체계 음이온이나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아조계 금속착체 음이온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대개 수소양이온이나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 또는 테트라알킬/테트라페닐 포스포늄 양이온과 이온결합을 형성하여 존재하며, 그 형태가 시스(cis) 형태이거나 트랜스(trans) 형태 모두 가능하다.
Figure 112005061019545-pat00005
상기 식에서, A는 0 ~ 4 개의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로서 그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알킬 알콕시기, 시아노기, 알킬술피드기, 치환된 술포닐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갖고, M은 금속원자로서 Pd, Ni, Co 또는 Cu이다.
상기 화학식 5와 같은 디티올-금속착체계 색소로서 시판되는 상품으로는 스미토모 세이카 (Sumitomo Seika)사제의 EST-5, BBT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5061019545-pat00006
상기 식에서, A와 B는 각각 0 ~ 4 개의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로서 그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알킬 알콕시기, 시아노기, 알킬술피드기, 치환된 술포닐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갖고, M은 금속원자로서 Pd, Ni, Co 또는 Cu이다. 상기식의 디티올과 중심금속과의 결합은 시스형태이거나 트랜스형태 모두 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6과 같은 디테올-금속착체계 색소는 시판되는 하야시바라 바이오케미칼사제 NKX-1199를 환원하여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5061019545-pat00007
상기 식에서 A와 B는 각각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 또는 나프탈렌고리로서 그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알킬 알콕시기, 시아노기, 알킬술피드기, 치환된 술포닐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갖고, M은 금속원자로서 Pd, Ni, Co 또는 Cr 등이다.
상기 화학식 7과 같은 색소로는 엠도맨 (M-Dohmen)사제 Lumaplast Black-KB를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에 특징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 ~ 4와 화학식 5 ~ 7의 색소들의 이온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색소는 하기 반응식 1 또는 2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시아닌 또는 디임모늄]+[음이온]- + [양이온]+[디티올-금속착체]-
→ [시아닌 또는 디임모늄]+[디티올-금속착체]-
[시아닌 또는 디임모늄]+[음이온]- + [양이온]+[아조-금속착체]-
→ [시아닌 또는 디임모늄]+[아조-금속착체]-
삭제
즉, 반응식 1에서 음이온과 이온결합을 이루고 있는 상기 화학식 1 ~ 4로 표시되는 시아닌계 또는 디임모늄계 색소를 양이온과 이온결합을 이루고 있는 상기 화학식 5 ~ 7로 표시되는 디티올-금속착체계 색소와 혼합 후 가열하여 이온교환 반응시키면, 상기 화학식 1 ~ 4의 시아닌계 또는 디임모늄계 색소 양이온과 짝이온을 이루는 음이온과 상기 화학식 5 ~ 7의 디티올-금속착체 음이온과 짝이온을 이루는 양이온이 서로의 강한 결합에너지로 인해 이온결합체를 이루고 남은 시아닌계 또는 디임모늄계 색소 양이온과 디티올-금속착체 음이온이 이온결합체를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화학식 1 ~ 4로 표시되는 시아닌의 짝이온인 음이온과 상기 화학식 5 ~ 7로 표시되는 디티올-금속착체의 짝이온인 양이온은 극성용매에 용해도가 크기 때문에 물을 첨가하면 물층에 녹아나오고 시아닌과 디티올-금속착체의 이온결합체는 유기용매에 용해도가 커서 유기용매층에 녹아 서로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반응식 2에서는 시아닌계 또는 디임모늄계 색소와 아조계 금속착체계 색소를 반응시켜 원하는 [시아닌 또는 디임모늄]+[아조-금속착체]- 색소를 제조할 수 있다. 아조-금속착체계 색소의 양이온이 수소 양이온인 경우에는 이온교환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트리에틸아민 (Triethylamine)을 첨가하기도 한다.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면 수소양이온은 트리에틸아민과 결합하여 암모늄 양이온이 되어 이온교환 반응을 빠르게 진행시킨다.
본 발명의 이온 결합체 색소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 ~ 1g의 함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디티올-금속착체계 화합물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화합물로는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의 중심금속으로는 Cu, Co, Ni 등이 있으며 중심금속에 따라서 그 최대흡수파장과 흡광도가 변한다.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 중 중심금속이 Cu인 경우는 가시영역중 400nm 부근에서 최대 흡광을 나타내어 청색영역을 흡수하지만, 그 흡광계수가 짝이온을 이루는 시아닌 양이온에 비하면 매우 작기 때문에 근적외선 또는 580 ~ 600nm 영역의 빛을 흡수하기에 충분한 양을 사용해도 최종 조색시 전체 가시광 투과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중심금속이 Ni인 경우는 380nm와 850nm 부근에서 최대흡광을 나타내므로 중심금속이 Cu인 경우보다 가시광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작고, 근적외선도 흡수하므로 이의 사용이 바람직하나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중심금속이 Cu인 화합물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Figure 112005061019545-pat00010
한편,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디티올-금속착체계 화합물 중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그 중심금속이 Ni일 경우 최대흡광 영역이 930nm 부근으로 리모트콘트롤 장치에서 사용하는 근적외선 파장대와 일치하므로 930nm 부근에서 최대흡광을 갖는 시아닌 양이온과 이온결합체를 이루면 근적외선 흡수 능력이 합하여져 적은 양의 이온결합체 색소로도 리모트 콘트롤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근적외선 흡광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Figure 112005061019545-pat00011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많이 쓰이는 색소로는 하기 화학식 10 으로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Figure 112005061019545-pat00012
이들을 실제 근적외선 차단, 색보정 점착 코팅액으로 사용할 경우 전면필터가 전자파 차폐 수단으로 구리 메쉬 필름을 사용할 때는 580 ~ 600nm에서 최대흡광을 갖고 반치폭이 작은 선택적 가시광 흡수 색소, 근적외선 흡수 색소, 그 외 전체 색조 균형을 맞추기 위한 추가의 투과율 조절용 색소를 모두 포함해야 한다.
선택적 가시광 흡수 색소와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모두 이온결합체 색소로 사용해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중 일부를 다른 색소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선택적 가시광 흡수색소로는 테트라아자포피린계 색소가 첨가 가능하며,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는 프탈로시아닌계 색소가 첨가 가능하다.
전면필터의 전자파 차폐 수단으로 금속과 금속산화물의 도전층이 채용될 경우 이 도전층이 근적외선 흡수의 역할도 하므로 580 ~ 600nm에서 최대흡광을 갖는 시아닌과 금속착체의 이온결합체와 투과율 조절용 색소만 함유하면 되고 근적외선 흡수 색소는 넣을 필요가 없다. 그러나, 도전층만으로 근적외선 흡수기능이 충분하지 않다면 추가로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넣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다른 성분인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마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을 중합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 40g 정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 이외에 아크릴산, 말레익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시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산 히드록시 메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나,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초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중합성 비닐계 모노머 등을 공중합 성분으로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은 점착제에 대해서 0.5 ~ 20 g 정도 함유시키는 것이 양호한 점착성을 나타낸다. 점착성 수지의 분자량은 5만 ~ 200만 정도의 것이 적당하고, 유리전이온도는 0℃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나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등의 에폭시계 가교제, 부톡시 멜라민 등의 멜라민계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도 좋다.
가교제를 첨가하면 점착층의 탄성을 높여 준다. 특히 색소의 첨가시 점착층의 탄성이 낮으면 라미네이션할 때 점착층의 무너짐으로 인해 색조의 불균형을 가져오기 쉽다. 가교제의 첨가량은 점착성 수지에 대하여 0.1 ~ 5 g 정도가 적당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수지 외에 실리콘계 점착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부가반응형 실리콘계 점착제는 시아닌계 색소의 파괴를 적게 일으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시아닌과 디티올-금속착체 이온의 결합체와 혼합하면 이온결합체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는 알케닐기를 포함한 유기폴리실록산(organopolysiloxane)과 SiH기를 포함한 포함한 유기수소 폴리실록산(organohydrogen polysiloxane)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과 백금화합물과 같은 촉매에 의하여 부가반응이 일어나 경화하게 된다. 점착특성은 알케닐기를 포함한 유기폴리실록산과 SiH기를 포함한 유기수소 폴리실록산의 배합비를 바꿈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점착제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용매로는 케톤화합물인 메틸에틸케톤(MEK), 아세톤(Acetone),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사이클로펜타논(Cyclopentanone) 이나 에테르 화합물인 디옥솔란(Dioxolane), 디옥신(Dioxane), 디메톡시에탄(Dimethoxyethane) 그리고 방향족화합물인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등이 적당하고, 전체 고형분의 함량은 10 ~ 40g가 적당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실리콘으로 처리된 중박리 이형필름에 클로즈드 에지 다이 코팅이나 리버스롤 코팅, 바코팅 등의 방법으로 코팅한 후 경박리 이형필름을 코팅면 위에 라미네이션하여 점착필름을 만들어 반사방지필름이나 전자파차폐 구리 메쉬 필름의 점착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박리 이형필름 위에 점착코팅을 하자마자 반사방지필름이나 전자파 차폐 메쉬 필름의 이면에 라미네이션하여 근적외선 차단. 색보정 기능이 첨가된 반사방지필름 또는 전자파 차폐 메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필름은 중박리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강화유리에 부착하여 PDP 전면필터를 제작할 수 있고,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아닌과 디티올 - 금속착체의 이온결합체의 제조 (1)
830nm 부근에서 최대흡광을 갖고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SbF6 -)를 음이온으로 갖는 일본화약사제 근적외선 흡수 시아닌계 색소 PDC-400MC(S) 1.0g과 테트라부틸암모늄을 양이온으로 갖는 스미토모 세이카사제 디티올-구리착체 EST-5(화학식 8) 1.0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ml에 녹인 후 60℃로 가열한 후, 150ml의 물을 1 시간 동안 서서히 넣어 시아닌과 디티올-금속착체의 이온결합체를 석출시키고, 필터링하여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를 물에 녹여 제거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아세토니트릴에 녹인 후 재결정하여 1.2g의 이온결합체를 수득하였다. 스펙트로포토미터(Perkin-Elmer사제 Lambda 950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흡광파장을 측정한 결과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최대흡광도는 원래의 시아닌 색소 PDC-400MC(S)와 같았다.
실시예 2. 시아닌과 디티올 - 금속착체의 이온결합체의 제조 (2)
하야시바라 바이오 케미컬사제 디티올-니켈 착체 NKX-1199 1.0g과 파라 페닐렌디아민(시그마 알드리치사제) 0.33g을 10ml의 디메틸술폭시드에 녹여 10분간 교반한 후 노말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0.59g이 녹아 있는 20ml의 에탄올 용액에 부어 10분간 교반하였다. 모든 용매를 감압하여 증발시킨 후 남겨진 물질을 에틸아세테이트 10ml로 추출한 다음 20ml의 증류수와 혼합하여 격렬히 교반한 후 물층을 버리고 에틸아세테이트 층은 감압하여 용매를 증발시켜 NKX-1199가 환원되어 노말테트라부틸암모늄과 이온결합체를 이룬 화합물 1.3g을 수득하였다(반응식 3).
제조된 디티올-니켈착체 화합물 1.0g과 850nm 부근에서 최대흡광을 갖는 하야시바라 바이오케미칼사제 근적외선 흡수 시아닌계 색소 NK-5706 1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ml에 녹인 후 60℃로 가열한 다음 150ml의 물을 1시간 동안 서서히 넣은 후 필터링 한 다음 얻어진 고체를 아세토니트릴에 녹여 재결정하여 1.4g의 이온결합체를 수득하였다. 스펙트로포토미터(Perkin-Elmer사제 Lambda 950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최대흡광파장을 측정한 결과 원래의 시아닌 색소 NK-5706과 같은 파장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61019545-pat00013
실시예 3. 시아닌과 디티올 - 금속착체의 이온결합체의 제조 (3)
585nm 부근에서 최대흡광을 갖는 아사히덴카사제 시아닌계 색소 TY-102 1.0g과 스미모토 세이카사제 디티올-구리착체 EST-5 0.9g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20ml에 넣어 60℃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50ml의 증류수를 30분 동안 천천히 넣은 다음 필터링하여 얻어진 고체를 아세토니트릴에 녹여 재결정하여 1.3g의 이온결합체를 수득하였다. 스펙트로포토미터(Perkin-Elmer사제 Lambda 950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최대흡광파장을 측정한 결과 원래의 TY-102의 최대흡광파장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4. 시아닌과 아조금속착체의 이온결합체의 제조 (1)
엠도멘사제 아조금속착체 Lumaplast Black-KB 1.2g과 트리에틸아민 0.5g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20ml에 넣은 후, 585nm 부근에서 최대흡광을 갖는 아사히덴카사제 시아닌계 색소 TY-102 1.0g을 넣고 60℃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50ml의 증류수를 30분 동안 천천히 넣은 다음 필터링하여 얻어진 고체를 아세토니트릴에 녹여 재결정하여 1.4g의 이온결합체를 수득하였다. 스펙트로포토미터(Perkin-Elmer사제 Lambda 950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최대흡광파장을 측정한 결과 원래의 TY-102의 최대흡광파장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5. 디임모늄과 아조금속착체의 이온결합체의 제조 (2)
엠도멘사제 아조금속착체 Lumaplast Black-KB 1.5g과 트리에틸아민 0.7g을 아세토니트릴 20ml에 넣은 후, 일본화약사제 디임모늄계 색소 PDC-220 1g을 넣고 60℃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증발하여 용매를 5ml로 줄이고 톨루엔 30ml에 부어 석출된 고체를 필터링하여 버리고 톨루엔 용액의 용매를 증발시켜 디임모늄과 아조금속착체의 이온결합체 1.2g을 얻었다. 스펙트로포토미터(Perkin-Elmer사제 Lambda 950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최대흡광파장을 측정한 결과 원래의 PDC-220의 최대흡수파장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6. 시아닌과 디티올 - 금속착체의 이온결합체를 포함한 점착필름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이온결합체 0.05 g와 다우코닝 (Dow Corning)사제 실리콘계점착제 SD4570 10g을 메틸에틸케톤 10ml에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다우코닝사제 경화제 SRX212 0.1g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두께 100um의 도요보사제 PET필름 A4100에 바코팅으로 코팅한 후 100℃로 2분간 건조하고 니파(Nippa) 사제 불소계 이형필름 SS-4를 코팅면 위에 라미네이션하여 점착코팅 광학필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반사방지기능과 근적외선 흡수,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 형필름 제조 (1)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이온결합체 0.1 g,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이온결합체 0.02 g,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이온결합체 0.6 g와 소켄사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물 점착제 SK-1435 10g을 메틸에틸케톤 5ml에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소켄사제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L-45 0.02g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니파사제 이형필름 PET-75X1-V4위에 바코팅을 하여 100℃로 2분간 건조한 후 하드코팅, 고굴절율 코팅, 저굴절율 코팅이 된 반사방지필름의 코팅면의 이면에 라미네이션을 하여 반사방지기능과 근적외선 흡수,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반사방지기능과 근적외선 흡수,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필름 제조 (2)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이온결합체 0.1 g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이온결합체 0.02 g,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이온결합체 0.6 g와 다우코닝 (Dow Corning)사제 실리콘계 점착제 SD4570 10g을 메틸에틸케톤 10ml에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다우코닝사제 경화제 SRX212 0.1g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니파사제 이형필름 PET-75X1-V4위에 바코팅을 하여 100℃로 2분간 건조한 후 하드코팅, 고굴절율 코팅, 저굴절율 코팅이 된 반사방지필름의 코팅면의 이면에 라미네이션을 하여 반사방지기능과 근적외선 흡수,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반사방지기능과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필름 제조 (1)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이온결합체 0.02 g와 소켄사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물 점착제 SK-1435 10g을 메틸에틸케톤 5ml에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소켄사제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L-45 0.02g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니파사제 이형필름 PET-75X1-V4위에 바코팅을 하여 100℃로 2분간 건조한 후 하드코팅, 고굴절율 코팅, 저굴절율 코팅이 된 반사방지필름의 코팅면의 이면에 라미네이션을 하여 반사방지기능과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반사방지기능과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필름 제조 (2)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이온결합체 0.02 g와 다우코닝 (Dow Corning)사제 실리콘계 점착제 SD4570 10g을 메틸에틸케톤 10ml에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다우코닝사제 경화제 SRX212 0.1g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니파사제 이형필름 PET-75X1-V4위에 바코팅을 하여 100℃로 2분간 건조한 후 하드코팅, 고굴절율 코팅, 저굴절을 코팅이 된 반사방지필름의 코팅면의 이면에 라미네이션을 하여 반사방지기능과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한 점착필름 제조 (1)
일본화약사제 시아닌계 색소 PDC-400MC(S) 0.05 g와 다우코닝 (Dow Corning)사제 실리콘계 점착제 SD4570 10g을 메틸에틸케톤 10ml에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다우코닝사제 경화제 SRX212 0.1g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두께 100um의 도요보사제 PET필름 A4100에 바코팅으로 코팅한 후 100℃로 2분간 건조하고 니파 (Nippa) 사제 불소계 이형필름 SS-4를 코팅면 위에 라미네이션하여 점착코팅 광학필름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반사방지기능과 근적외선 흡수,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필름 제조 (1)
하야시바라 바이오케미칼사제 시아닌계 색소 NK-5706 0.1 g, 아사히 덴카사제 시아닌계 색소 TY-102 0.02 g, 일본화약사제 디임모늄계 색소 PDC-220과 소켄사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물 점착제 SK-1435 10g을 메틸에틸케톤 5ml에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소켄사제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L-45 0.02g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니파사제 이형필름 PET-75X1-V4위에 바코팅을 하여 100℃로 2분간 건조한 후 하드코팅, 고굴절율 코팅, 저굴절을 코팅이 된 반사방지필름의 코팅면의 이면에 라미네이션을 하여 반사방지기능과 근적외선 흡수,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반사방지기능과 근적외선 흡수,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 형필름 제조 (2)
하야시바라 바이오케미칼사제 시아닌계 색소 NK-5706 0.1 g, 아사히 덴카사제 시아닌계 색소 TY-102 0.02 g, 일본화약사제 디임모늄계 색소 PDC-220과 다우코닝 (Dow Corning)사제 실리콘계 점착제 SD4570 10g을 메틸에틸케톤 10ml에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다우코닝사제 경화제 SRX212 0.1g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니파사제 이형필름 PET-75X1-V4위에 바코팅을 하여 100℃로 2분간 건조한 후 하드코팅, 고굴절율 코팅, 저굴절을 코팅이 된 반사방지필름의 코팅면의 이면에 라미네이션을 하여 반사방지기능과 근적외선 흡수,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반사방지기능과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필름 제조 (1)
아사히 덴카사제 시아닌계 색소 TY-102 0.02 g과 소켄사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물 점착제 SK-1435 10g을 메틸에틸케톤 5ml에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소켄사제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L-45 0.02g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니파사제 이형필름 PET-75X1-V4위에 바코팅을 하여 100℃로 2분간 건조한 후 하드코팅, 고굴절율 코팅, 저굴절율 코팅이 된 반사방지필름의 코팅면의 이면에 라미네이션을 하여 반사방지기능과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반사방지기능과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필름 제조 (2)
아사히 덴카사제 시아닌계 색소 TY-102 0.02 g과 다우코닝 (Dow Corning)사제 실리콘계 점착제 SD4570 10g을 메틸에틸케톤 10ml에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다우코닝사제 경화제 SRX212 0.1g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니파사제 이형필름 PET-75X1-V4위에 바코팅을 하여 100℃로 2분간 건조한 후 하드코팅, 고굴절율 코팅, 저굴절율 코팅이 된 반사방지필름의 코팅면의 이면에 라미네이션을 하여 반사방지기능과 색보정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광투과율 측정)
실시예 6 ~ 10과 비교예 1 ~ 5에서 제작한 필름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두께 3mm의 소다라임 유리판에 라미네이션하여 스펙트로포토미터(Perkin-Elmer사제 Lambda 950 spectrophotometer)로 특정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투과율(%)
585 nm 830 nm 950 nm
실시예 6 - 12 -
실시예 7 40 15 8
실시예 8 33 10 5
실시예 9 41 - -
실시예 10 34 - -
비교예 1 - 37 -
비교예 2 71 - 72
비교예 3 55 - 63
비교예 4 70 - 73
비교예 5 55 - 62
실시예 6과 비교예 1, 실시예 7과 비교예 2, 실시예 8과 비교예 3, 실시예 9와 비교예 4, 실시예 10과 비교예 5를 비교하면, 시아닌계 또는 디임모늄계 색소를 단독 사용하였을 때보다 금속착체 음이온과 이온 결합체를 형성한 색소를 사용하였을 때 점착제에 의한 색소의 파괴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제에 특정 파장 영역의 가시광 흡수 시아닌계 색소, 근적외선 흡수 시아닌계 색소와 근적외선 흡수 디임모늄계 색소를 성공적으로 혼합할 수 있어서 반사방지필름 등의 점착제로 사용하면 PDP용 전면필터에 필요한 필름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원료절감과 공정수 단축의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ⅰ) 820 ~ 95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 및 950 ~ 11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근적외선 흡수 디임모늄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이온결합체 색소, 및 ⅱ) 점착제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이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고, 상기 근적외선 흡수 디임모늄계 색소 양이온이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며, 상기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이 하기 화학식 5 ~ 7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98440645-pat00022
    상기 식에서, R1과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halogen)원자, 니트로(nitro)기, 시아노(cyano)기, 알콕시(alkoxy)기, 알킬(alkyl)기, 알킬 알콕시(alkyl alkoxy)기 또는 아미노(amino)기이고, R2와 R9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또는 알킬알콕시기 또는 알킬술폰산(alkylsulfonic acid)기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된 페닐기 또는 알킬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A와 B는 각각 벤젠환 또는 나프탈렌환이며, X와 Y는 각각 C 또는 N 또는 S 또는 Se이고, X와 Y가 C일 때 R5, R6, R7, R8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또는 R5와 R6, R7과 R8이 서로 연결된 알킬고리이고, X와 Y가 N일 때 X와 Y는 치환기로 R5와 R7 하나씩 만을 가지며 이들은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며, X와 Y가 S 또는 Se일 때는 X와 Y는 치환기를 갖지 않으며, n은 0~2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98440645-pat00023
    상기 식에서, R1, R2, R3,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또는 알킬알콕시기 또는 R1과 R2, R3와 R4가 서로 연결된 알킬고리이고, R5와 R6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halogen)원자, 니트로(nitro)기, 시아노(cyano)기, 알콕시(alkoxy)기, 알킬(alkyl)기, 알킬 알콕시(alkyl alkoxy)기 또는 아미노(amino)기이며, n은 0~3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06098440645-pat00017
    상기 식 중에서 R1은 치환기를 가지는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는 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는 아릴기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06098440645-pat00019
    상기 식에서, A는 0 ~ 4 개의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로서 그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알킬 알콕시기, 시아노기, 알킬술피드기, 치환된 술포닐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갖고, M은 금속원자로서 Pd, Ni, Co 또는 Cu이다.
    [화학식 6]
    Figure 112006098440645-pat00020
    상기 식에서, A와 B는 각각 0 ~ 4 개의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로서 그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알킬 알콕시기, 시아노기, 알킬술피드기, 치환된 술포닐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갖고, M은 금속원자로서 Pd, Ni, Co 또는 Cu이다.
    [화학식 7]
    Figure 112006098440645-pat00021
    상기 식에서 A와 B는 각각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 또는 나프탈렌고리로서 그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알킬 알콕시기, 시아노기, 알킬술피드기, 치환된 술포닐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갖고, M은 금속원자로서 Pd, Ni, Co 또는 Cr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가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의 함량이 5~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실리콘 처리된 경박리성 이형필름과 실리콘 처리된 중박리성 이형필름의 사이에 제 1항 또는 제2항의 점착제 조성물이 코팅된 점착필름.
  6. 한 면에 반사방지층을 적층하고, 반대면에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이 코팅된 반사방지성 점착필름.
  7. 제 6 항의 반사방지성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전면필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결합체 색소로서 580 ~ 600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선택적 가시광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과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의 이온결합체 색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가시광 흡수 시아닌계 색소 양이온이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고, 상기 금속착체계 색소 음이온이 하기 화학식 5 ~ 7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06098440645-pat00024
    상기 식에서, R9과 R10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halogen)원자, 니트로(nitro)기, 시아노(cyano)기, 알콕시(alkoxy)기, 알킬(alkyl)기, 알킬 알콕시(alkyl alkoxy)기 또는 아미노(amino)기이고,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또는 알킬알콕시기 또는 알킬술폰산(alkylsulfonic acid)기이며, n=0일 때 R7은 수소원자, R8은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된 페닐기 또는 알킬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n=1일 때 R7은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된 페닐기 또는 알킬기 또는 아미노기이며, R8은 수소원자이며, A와 B는 각각 벤젠환 또는 나프탈렌환이고, X와 Y는 각각 C 또는 N 또는 S 또는 Se이며, X와 Y가 C일 때 R1, R2, R3,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또는 R1과 R2, R3과 R4가 서로 연결된 알킬고리이고, X와 Y가 N일 때 X와 Y는 치환기로 R1과 R3 하나씩 만을 가지며 이들은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며, X와 Y가 S 또는 Se일 때는 X와 Y는 치환기를 갖지 않는다.
    [화학식 5]
    Figure 112006098440645-pat00025
    상기 식에서, A는 0 ~ 4 개의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로서 그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알킬 알콕시기, 시아노기, 알킬술피드기, 치환된 술포닐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갖고, M은 금속원자로서 Pd, Ni, Co 또는 Cu이다.
    [화학식 6]
    Figure 112006098440645-pat00026
    상기 식에서, A와 B는 각각 0 ~ 4 개의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로서 그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알킬 알콕시기, 시아노기, 알킬술피드기, 치환된 술포닐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갖고, M은 금속원자로서 Pd, Ni, Co 또는 Cu이다.
    [화학식 7]
    Figure 112006098440645-pat00027
    상기 식에서 A와 B는 각각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 또는 나프탈렌고리로서 그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알킬 알콕시기, 시아노기, 알킬술피드기, 치환된 술포닐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갖고, M은 금속원자로서 Pd, Ni, Co 또는 Cr이다.
  10. 한 면에 반사방지층을 적층하고, 반대면에 제 8항 또는 제 9항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이 코팅된 반사방지성 점착필름.
  11. 제 10항의 반사방지성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전면필터.
KR1020050101308A 2005-10-26 2005-10-26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 KR10070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308A KR100705927B1 (ko) 2005-10-26 2005-10-26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
US11/438,807 US7935475B2 (en) 2005-10-26 2006-05-22 Near-infrared absorbing and color compensation film composition for electronic devices
JP2006158810A JP4557175B2 (ja) 2005-10-26 2006-06-07 近赤外線吸収及び色補正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TW095127207A TWI374917B (en) 2005-10-26 2006-07-26 Near-infrared absorbing and color compensation film composition for electronic devices
CN200610109228XA CN1956122B (zh) 2005-10-26 2006-08-03 用于电子装置的近红外线吸收及色彩补偿薄膜组合物
US13/097,660 US8679725B2 (en) 2005-10-26 2011-04-29 Near-infrared absorbing and color compensation film composition for electronic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308A KR100705927B1 (ko) 2005-10-26 2005-10-26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927B1 true KR100705927B1 (ko) 2007-04-12

Family

ID=3798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308A KR100705927B1 (ko) 2005-10-26 2005-10-26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35475B2 (ko)
JP (1) JP4557175B2 (ko)
KR (1) KR100705927B1 (ko)
CN (1) CN1956122B (ko)
TW (1) TWI37491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876B1 (ko) 2011-12-16 2018-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및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
WO2021167368A1 (ko) * 2020-02-20 2021-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점착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3345B2 (ja) * 2005-04-28 2012-10-31 株式会社エーピーアイ コーポレーション 近赤外線吸収色素含有粘着剤
US8227621B2 (en) * 2005-06-30 2012-07-24 Li-Cor, Inc. Cyanine dyes and methods of use
KR100705927B1 (ko) * 2005-10-26 2007-04-12 제일모직주식회사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
JP2008191446A (ja) * 2007-02-06 2008-08-21 Nippon Kayaku Co Ltd 光学フィルター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
JP5087755B2 (ja) * 2007-02-20 2012-1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明カード
JP5285878B2 (ja) * 2007-07-25 2013-09-11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部材
JP2009057426A (ja) * 2007-08-30 2009-03-19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
WO2010121163A2 (en) * 2009-04-17 2010-10-21 Li-Cor, Inc. Fluorescent imaging with substituted cyanine dyes
US20100291706A1 (en) * 2009-05-15 2010-11-18 Millipore Corporation Dye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US20100320158A1 (en) * 2009-06-19 2010-12-23 Brian Mahas Separator separating chips and other material from coolant and method
US8293451B2 (en) * 2009-08-18 2012-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ar-infrared absorbing film compositions
JP5484841B2 (ja) * 2009-09-16 2014-05-07 株式会社日本触媒 フタロシアニン化合物
WO2012054749A1 (en) 2010-10-20 2012-04-26 Li-Cor, Inc. Cyanine dyes and their conjugates
JP5699529B2 (ja) * 2010-10-22 2015-04-15 日油株式会社 3d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ム
US20130157463A1 (en) * 2011-12-14 2013-06-20 Shin-Etsu Chemical Co., Ltd. Near-infrared absorbing film composition for lithographic appl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0453A1 (en) * 2004-02-23 2005-09-01 Lg Chem, Ltd.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6996A (ja) 1988-07-27 1990-0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記録材料用組成物
JPH0255189A (ja) * 1988-08-18 1990-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記録媒体
EP0458257B1 (en) * 1990-05-21 1998-09-02 TDK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JP3163813B2 (ja) 1992-12-28 2001-05-0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H09230134A (ja) * 1995-12-22 1997-09-05 Mitsui Toatsu Chem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用フィルター
US6032898A (en) * 1996-08-29 2000-03-07 Alwin Manufacturing Co. Multiple roll towel dispenser
DE69728971T2 (de) * 1996-12-27 2005-04-07 Tdk Corp. Optisches aufzeichnungsmedium
US6071672A (en) * 1997-02-10 2000-06-06 Tdk Corporation Photo-stabilized cyanine dyes and optical recording media
EP1124144A4 (en) * 1998-10-20 2010-12-01 Fujifilm Corp OPTICAL FILTER
JP2000258605A (ja) * 1999-03-04 2000-09-22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反射防止膜
JP2000250420A (ja) 1999-02-25 2000-09-1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装置用の前面板
JP4395947B2 (ja) * 1999-12-14 2010-01-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
JP3621322B2 (ja) 2000-01-25 2005-02-16 株式会社巴川製紙所 赤外線吸収性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赤外線吸収シート
TW572969B (en) * 2000-02-10 2004-01-21 Hayashibara Biochem Lab Trimethine cyanine dye, light absorbent, light-resistant improver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contain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WO2001062853A1 (fr) * 2000-02-23 2001-08-30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Colorants cyanine
US6680009B2 (en) * 2000-07-06 2004-01-20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filter comprising transparent support and filter layer having three absorption maximums
JP2002022935A (ja) * 2000-07-06 2002-01-23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フィルター
US20030064322A1 (en) * 2000-12-19 2003-04-03 Yoshinori Koyama Light absorbing agent
JP3517210B2 (ja) 2000-12-28 2004-04-12 日清紡績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材料
JP2002205466A (ja) 2001-01-10 2002-07-23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性平版印刷用原板
JP2003114323A (ja) 2001-10-04 2003-04-18 Bridgestone Corp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
JP2002311843A (ja) 2001-04-17 2002-10-25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磁波遮蔽用部材及びディスプレイ
EP1385024B1 (en) 2001-05-01 2010-05-19 Bridgestone Corporation Near infrared absorbtion film
JP2003021715A (ja) * 2001-05-01 2003-01-24 Bridgestone Corp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
JP4596682B2 (ja) 2001-05-30 2010-12-08 株式会社Adeka 光学フィルター
JP2003019865A (ja) 2001-07-06 2003-01-21 Hitachi Maxell Ltd 光情報記録媒体
US6607160B2 (en) * 2001-07-30 2003-08-19 Kimberly-Clark Worldwide Easy loading dispenser
JP3981285B2 (ja) 2001-12-26 2007-09-2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遮光剤
JP4069625B2 (ja) 2002-01-09 2008-04-02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セパレータ付き感圧型接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組立体並びにその組立方法
JP2003221523A (ja) 2002-01-31 2003-08-08 Sumitomo Seika Chem Co Ltd 近赤外線吸収色素およびこれを用いた近赤外線吸収材
JP3901595B2 (ja) * 2002-02-25 2007-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平版印刷用原版
JP2003276342A (ja) 2002-03-26 2003-09-30 Tdk Corp 光記録媒体
JP4119665B2 (ja) 2002-04-03 2008-07-1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遮光剤
JP4119690B2 (ja) 2002-06-10 2008-07-1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遮光剤
JP4303030B2 (ja) 2002-10-17 2009-07-29 住友精化株式会社 光吸収色素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吸収材
JP2004182857A (ja) 2002-12-03 2004-07-02 Sumitomo Seika Chem Co Ltd 近赤外線吸収色素
KR100523126B1 (ko) 2003-02-12 2005-10-19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근적외선을 차단할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전자파 차폐필터
JP4431336B2 (ja) * 2003-04-09 2010-03-10 株式会社日本触媒 樹脂組成物、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
JP2005023104A (ja) 2003-06-30 2005-01-27 Sumitomo Seika Chem Co Ltd 近赤外線吸収色素
US7332257B2 (en) 2003-07-11 2008-02-19 Asahi Glass Company, Limited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JP2005062506A (ja) 2003-08-13 2005-03-10 Asahi Glass Co Ltd 近赤外線吸収性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フィルム
KR20050033971A (ko) 2003-10-07 2005-04-14 삼성코닝 주식회사 색감향상용 전자파 차폐 필름 및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표시 장치
JP2005154689A (ja) 2003-11-28 2005-06-16 Hitachi Chem Co Ltd セパレータ付き感圧型接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組立体並びにその組立方法
DE102004011347A1 (de) * 2004-03-05 2005-09-29 Basf Ag Druckfarben für den Offset- und/oder Hochdruck mit NIR-Absorbern sowie in Offset- und/oder Hochdruckfarben lösliche NIR-Absorber
KR100705927B1 (ko) * 2005-10-26 2007-04-12 제일모직주식회사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
US20070100704A1 (en) * 2005-10-28 2007-05-03 Microsoft Corporation Shopping assist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0453A1 (en) * 2004-02-23 2005-09-01 Lg Chem, Ltd. Adhesive film functionalizing color compensation and near infrared ray (nir) blocking and plasma display panel filter us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876B1 (ko) 2011-12-16 2018-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및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
WO2021167368A1 (ko) * 2020-02-20 2021-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점착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06375A (ko) *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점착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4739B1 (ko) 2020-02-20 2022-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점착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802209B2 (en) 2020-02-20 2023-10-31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adhesive optical filter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04303A1 (en) 2011-08-25
US7935475B2 (en) 2011-05-03
US20070090331A1 (en) 2007-04-26
JP2007119722A (ja) 2007-05-17
TWI374917B (en) 2012-10-21
TW200716713A (en) 2007-05-01
CN1956122B (zh) 2011-02-16
CN1956122A (zh) 2007-05-02
JP4557175B2 (ja) 2010-10-06
US8679725B2 (en)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927B1 (ko)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
WO2018003756A1 (ja) 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及び撮像光学系
KR100745728B1 (ko)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KR20090076846A (ko) 다기능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70293666A1 (en) Optical Filter and Its Applications, and Porphyrin Compound Used in Optical Filter
JP2009227851A (ja) 光学フィルタ用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タ
JP200551466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
JP4297898B2 (ja) 近赤外線吸収および色補正層を含む画像表示装置用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用フィルタ
JP2011093958A (ja) 近赤外線吸収性粘着剤組成物および近赤外線吸収性粘着剤層
KR20060136138A (ko)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층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용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용 필터
JP2002138203A (ja) 近赤外線遮蔽用樹脂組成物および近赤外線遮蔽用積層体
JP4277615B2 (ja) 近赤外線吸収組成物及び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KR2004006748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용 전면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JP4553962B2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
JP2003139946A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JP2001133624A (ja)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
JP2021192089A (ja) 近赤外線吸収板およびこれを含む光学装置
KR100715096B1 (ko) 장시간 색안정성이 우수한 착색 점착제 조성물, 그리고이를 이용한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20090069321A (ko) 근적외선 흡수 색소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흡수 필터 및 점착제
JP4793977B2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JP4403473B2 (ja) 近赤外線吸収化合物および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JP353078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フィルター用近赤外吸収組成物
JP2001247526A (ja) 近赤外線吸収化合組成物および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JP2004323481A (ja) テトラアザポルフィリン系化合物、テトラアザポルフィリン系色素及びそれらを使用した光学フィルター
JP2002226827A (ja) 近赤外線吸収化合物、それを用いた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および当該フィルターを利用した近赤外線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