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539B1 - 관조인트 - Google Patents

관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539B1
KR100629539B1 KR1020040095285A KR20040095285A KR100629539B1 KR 100629539 B1 KR100629539 B1 KR 100629539B1 KR 1020040095285 A KR1020040095285 A KR 1020040095285A KR 20040095285 A KR20040095285 A KR 20040095285A KR 100629539 B1 KR100629539 B1 KR 10062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body
pipe
joint
portions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408A (ko
Inventor
하마도미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Publication of KR20050049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with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7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hose being introduced into or onto the connecting member and automatically lock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관을, 한쪽 손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붙이고 뗄 수 있는 관조인트를 제공한다.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끝단쪽의 개구부(6)로부터 관(P)이 삽입되는 조인트본체(2)와, 이 조인트본체(2)내에 장착되어, 조인트본체(2)에 삽입된 관(P)을, 조인트본체(2)에 대하여 잠금하여 유지하는 잠금부재(4)를 구비하는 관조인트(F)로서, 상기 잠금부재(4)는, 바깥둘레부가 상기 조인트본체(2)의 안둘레벽에 미끄럼접촉하여, 조인트본체(2)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링부(10)와, 이 링부(10)로부터 상기 조인트본체(2)의 상기 개구부(6)쪽을 향하여 이어져, 선단부에, 조인트본체(2)의 안쪽을 향하는 갈고리부(12)가 형성된, 가요성을 가진 연출부(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인트본체(2)에는, 상기 개구부(6)쪽이 서서히 지름이 축소되어, 상기 잠금부재(4)가 개구부(6)쪽을 향하여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연출부(14)의 선단부가 진입하여 이 선단부를 지름축소시키고, 상기 갈고리부(12)에 의해서 관(P)을 잠금시키는 테이퍼부(22)가 설치된다.

Description

관조인트{TUBE JOINT}
도 1은 본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관조인트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축선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관조인트의 조작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축선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관한 관조인트의 조작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축선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관한 관조인트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축선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관한 관조인트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축선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관한 관조인트의 조인트본체의 축선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관한 관조인트의, 관을 떼어낼 때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체의 개구끝단으로부터 본 갈고리부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갈고리부의 정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에서 나타낸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가요성 연출부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금속 갈고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관한 관조인트의 축선방향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F, F2 : 관조인트 P : 관
2 : 조인트본체 4 : 잠금부재
6 : 개구끝단 10, 11 : 링부
12 : 갈고리부 12a : 곡부
12b : 꼭대기부 14 : 연출부
14a : 테이퍼면 15 : 금속갈고리
16 : 아암부 18 : O링 패킹
20 : Y링 패킹 22 : 테이퍼부
24 : 볼록부 26 : 안둘레벽
28 : 제 1 홈부 30 : 제 2 홈부
32 : 오목부 34 : 접촉면
36 : 코일스프링(힘가함부재) 37 : 판스프링(힘가함부재)
38 : 지지부 40 : Y링 패킹(패킹)
본 발명은 관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쪽끝단쪽으로부터 관이 삽입되는 원통형 본체 및, 그 관을 본체에 대하여 잠금하여 유지할 수 있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관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관조인트의 일례가, 일본국 특허공보 2002-106772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관조인트는: 파이프형상의 조인트본체와, 일끝단쪽이 조인트본체내에 압입·고정된 가이드통체와, 가이드통체의 일끝단쪽에 고정된 스토퍼와, 가이드통체의 일끝단쪽에 그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마련된 해제링과, 시일링, 및 잠금 갈고리를 구비한다. 이 관조인트는 유체기기의 접속구멍에 접속된다.
접속해야 할 관은, 해제링 및 가이드통체에 의하여 구성되는 조인트의 관삽입구내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잠금 갈고리는,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이동되고, 선단이 관의 바깥둘레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로 관을 바깥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잠금 갈고리의 선단이 관의 외벽을 물게된다. 따라서, 관이 관조인트내에 확실하게 잠궈지게 되는 것이다. 관을 뽑을 때는 관을 일단 안쪽으로 눌러 넣어 잠금 갈고리를 관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이다.
많은 외부유체기기에 있어서는, 다수개의 접속구멍이 설치되어 있어서, 좁은 영역에 몰려있거나, 닿기 어려운 부분 도는 보기 어려운 부분에 설치되거나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상기 일본특허공보에 개시된 관조인트에 있어서는, 간조인트를 다루기가 어렵다. 즉, 해제링이 안쪽으로 눌려져야 하고, 동시에 관을 뽑아내는 조작이 필요하다. 작업자는 관조인트 및 관을 양손으로 동시에 조작해야 한다. 따라서, 비숙 련 작업자가 간단히 착탈조작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특히, 좁은 영역에 몰려있거나, 닿기 어려운 부분 도는 보기 어려운 부분에 설치된 경우에는, 관과 관조인트를 다루는 것이 한층 더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관조인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조인트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의 관조인트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관이 삽입되는 한끝단쪽의 개구를 가지는 조인트본체 및;
상기 조인트본체내에 장착되고, 관을 조인트본체에 대하여 잠금하여 유지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조인트본체의 안둘레벽에 미끄럼접촉하는 안둘레부를 가지며, 조인트본체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링부와;
상기 링부로부터 상기 조인트본체의 상기 개구끝단쪽을 향하여 연장된 다수개의 가요성 연출부; 및,
상기 가요성연출부의 앞끝단에 각각 형성되며 방사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갈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본체는 테이퍼부를 가지며, 이 테이퍼부는 상기 한쪽 개구끝단을 향하여 그의 안지름이 서서히 축소되며, 상기 잠금부재가 개구끝단쪽을 향하여 이동할 때 및 상기 가요성 연출부의 선단부가 그 테이퍼부의 내로 진입할 때, 상기 가요성 연출부의 선단부의 지름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갈고리부가 관을 물어서 잠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관을 조인트본체의 한쪽 개구끝단에 삽입하고, 그 관을 바깥쪽으로 잡아당김에 의해 간단히 조인트본체에 잠금할 수가 있다. 즉, 관을 삽입함으로써, 갈고리부가 관의 바깥둘레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관을 바깥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가요성 연출부의 선단부가 테이퍼부내로 진입하여, 그 선단부들의 지름이 축소되고 갈고리부들이 관의 외벽면에 밀착되어 걸린다. 따라서, 관이 확실하게 관조인트내에 잠금되어 유지된다. 또한, 관은 한손으로 관조인트에 부착하고 그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관조인트에 있어서는, 조인트본체의 개구끝단의 내부지름은 테이퍼부의 최소 내부지름과 거의 같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관을 관조인트에 부착할 때에, 잠금부재의 가요성 연출부의 선단부가 테이퍼부에 관하여 개구끝단측에 위치할 때까지, 관을 상기 잡아뽑는 방향으로 당기면, 연출부의 선단부가 테이퍼부의 경사면상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선단부들이 조인트본체의 안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관의 잠금이 확고하게 유지된다.
관조인트에 있어서는, 테이퍼부에 관하여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가요성 연출부의 선단부들은, 그 선단부를 회전이동하는 외력이 가하여졌을 때에는 둘레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으며, 이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는 잠금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걸림고정수단은, 가요성 연출부가 초기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연출부의 선단부가 테이퍼부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선단부들이 둘레방향으로 회전이동변위되었을 때에는, 선단부들이 테이퍼부내에 진입시키지 않도록 걸림고정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관을 관조인트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관을 조인트본체 안쪽으로 밀어 넣은 후, 조인트본체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고, 밖으로 관을 잡아뽑는 방향으로 당기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관을 조인트본체 안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가요성 연출부의 선단부들이 테이퍼부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선단부의 지름이 넓어진다. 이어서 관을 둘레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킴으로써, 선단부들은 관에 물려있는 갈고리부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또한, 관을 잡아뽑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선단부들은 걸림고정수단과 걸려져서 바깥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관만을 조인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관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수단은: 조인트본체의 안쪽 둘레면을 향하여 가용성 연출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다수개의 볼록부와;
조인트본체의 안쪽 둘레면상에 형성되고, 조인트본체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부들이 초기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선단부들이 방해받지 않고 테이퍼부내에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제 1 홈부; 및,
조인트본체의 안쪽둘레면내에 형성되며, 그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홈부와 연이어 통하며, 상기 선단부들이 볼록부에 간섭받지 않고서 둘레방향으로 회전이동할수 있도록 허용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볼록부들은 한쪽 개구끝단상에 위치한 오목부의 가장자리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선단부가 회전이동할 때에 테이퍼부로 들어가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볼록부와, 제 1 홈부 및, 오목부에 의하여 간단하게 걸림고정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관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볼록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은, 오목부의 안쪽 바닥면을 향할수록 한쪽 개구끝단으로부터의 간격이 점차적으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관을 잡아당김으로써, 볼록부는 오목부의 상기 가장자리부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의 바닥면쪽을 향하는 힘이 경사면에 가해지기 때문에, 연출부의 지름이 확대된다; 갈고리부는 관을 해제하게 되고, 관은 관조인트로부터 쉽게 빠지게 된다.
또한, 관조인트에 있어서, 잠금부재는, 본체의 축방향으로 링부로부터 연장된 다수개의 아암부와,
조인트본체의 안쪽 둘레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 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아암부의 선단부들은 제 2 홈부에 각각 끼워맞춤되어, 아암부의 선단부들은 그의 둘레방향의 회전이동동작은 규제되지만, 축선방향의 이동은 허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아암부의 선단부의 회전이동이동이 규제되고, 아암부 및/또는 연출부의 탄성에 의해, 연출부의 선단부에 둘레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외력이 작용하고 있을 때는, 연출부의 선단부가 조인트본체의 둘레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동시에; 연출부의 선단부들이 탄성으로부터 해제되었을 때는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관조인트는, 상기 잠금부재를 개구끝단쪽을 향하여 힘을 가하는 힘가함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힘가함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잠금부재의 복귀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출부의 선단부가 힘가함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테이퍼부내에 유지되고,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관조인트에 있어서는, 상기 힘가함부재는, 링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조인트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관조인트의 부품갯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관조인트의 제조단가도 감소될 수 있다.
관조인트에 있어서, 갈고리부는, 톱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갈고리부가 관의 외부둘레면에 효과적으로 물려들어가기 때문에, 관을 적합하게 잠금할 수 있다. 관이 관조인트로부터 떼어내어질 때는, 갈고리부가 관의 회전이동에 추종하여, 연출부의 선단부가 바람직하게 회전이동된다.
또한, 상기 갈고리부의 톱날의 곡부는, 갈고리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갈고리부의 곡부의 가장자리부가 얇아져서 관의 외벽면에 적합하게 들어가게 된다. 한편, 갈고리부의 근원부는 굵기 때문에, 갈고리부가 지나치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관을 떼어낼 때는, 갈고리부가 관으로부터 사이가 멀어지기 쉬워진다.
관조인트에 있어서는, 각 갈고리부의 끝단부들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갈고리부의 단단한 끝단부들은 관의 외부둘레면에 효과적으로 물려들어간다.
관조인트에 있어서는, 테이퍼부와 한쪽 개구끝단의 사이에, 조인트본체 안쪽둘레면과 관과의 사이의 틈으로부터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관에 밀착하는 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를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관조인트(F)의 단면도를, 도 1 내지 5에 나타낸다. 도 1, 도 2 및 도 4는, 관조인트(F)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는, 도 2 및 도 4에서 나타낸 A-A 선에 따라 화살표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는, 도 3 및 도 5의 B-B 선에 따라 화살표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조인트(F)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개구끝단(6)을 가지는 조인트본체(2)를 구비한다. 플라스틱관(P)은 개구끝단(6)으로부터 관조인트(F)에 삽입된다. 조인트본체(2)의 다른 끝단(8)은, 외부유체기기(도시않됨)의 접속구멍에 접속된다.
또한, 관조인트(F)는, 조인트본체(2)내에 장착된 잠금부재(4)를 구비한다. 잠금부재(4)는, 조인트본체(2)와 동축에 배치되어, 바깥둘레부가 조인트본체(2)의 안둘레벽에 미끄럼접촉한다. 링부(10)는 조인트본체(2)내에 마련되며 조인트본체(2)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수개의 연출부(14)는 링부(10)로부터 조인트본체(2)의 개구끝단(6)을 향하여 연장된다. 다수개의 갈고리부(12)들은 각각 연출부(14)의 선단부에 형성된다. 각 갈고리부는 각 연출부(14)의 선단으로부터 안쪽으로 방사방향으로 돌출된다. 다수개의 아암부(16)들 또한 링부(10)로부터 개구끝단(6)을 향하여, 조인트본체(2)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출부(14)들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가요성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연출부(14)가 링부(10)의 둘레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또한, 3개의 아암부(16)는, 링부(10)의 둘레방향으로 120도의 간격으로 배열된다. 연출부와 아암부(16)들은 교호로 각각 60도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부(10)는: 개구끝단(6)상에 형성된, 관(P)의 바깥지름보다도 큰 지름의 큰지름부(10a)와; 다른 끝단(8)쪽에 형성된, 관(P)의 바깥지름보다도 작은 지름의 작은지름부(10c) 및; 그의 지름이 관(P)의 바깥지름과 거의 같은 지름의 중간지름부(10b)로 이루어진다.
큰지름부(10a)의 안둘레면상에는, 큰지름부(10a)와 중간지름부(10b)사이의 단차부에 걸어맞추어진 O링 패킹(18)이 설치된다. O링 패킹(18)은 유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중간지름부(10b)의 바깥둘레면상에는, Y링 패킹(20)이 설치된다. Y링 패킹(20) 또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도 6은, 잠금부재(4)가 제거된 상태의 조인트본체(2)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조인트본체(2)는, 개구끝단(6)를 구성하는 관통구멍을 가지는 캡부재(2a)를 포함한다.
조인트본체(2)내에는, 개구끝단(6)쪽을 향하여 그의 지름이 서서히 축소하는 테이퍼부(22)가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4)가 개구끝단(6)쪽을 향하여 이동하였을 때에, 연출부(14)의 선단부가 테이퍼부(22)내로 진입하여, 각 연출부(14)들이 방사방향으로 안쪽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연출부의 선단부의 지름이 축소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연출부(14)의 중도부의 단면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부(22)와 개구끝단(6)의 사이에 형성된, 안둘레벽(26)의 내부지름과, 캡부재(2a)의 관통구멍의 내부지름은 테이퍼부(22)의 최소지름과 거의 같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본체(2)의 테이퍼부(22)를 포함하는 안둘레면에는, 제 2 홈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의 선단부(16)들이 각각 제 2 홈부(30)에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구조로, 아암부(16)의 선단부들은 조인트본체(2)의 둘레방향의 회전동작이 규제됨과 동시에, 축선방향의 이동은 허용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4)가 개구끝단(6)를 향하여 이동될 때는, 아암부(16)의 선단부가 제 2 홈부(30)내를 부드럽게 진행하여, 잠금부재(4)의 조인트본체(2)의 축선방향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개구끝단(6)쪽에 위치한 제 2 홈부(30)의 끝단들은, 캡부재(2a)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연출부(14)의 선단부에는 볼록부(24)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들 볼록부(24)들은 조인트본체(2)의 안둘레면을 향하여 돌출된다. 즉, 볼록부(24)들은 갈고리부(1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제 1 홈부(28)들은 본체(2)의 내부둘레면내에 형성되며, 그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홈부(28)들은 테이퍼부(22)의 내측으로부터 테이퍼부(22)를 경유하여 개구끝단(6)를 향하여 연장된다. 볼록부(24)들은 연출부(14)의 테이퍼부(22)내로의 진입을 허용하도록 제 1 홈부(28)로 들어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4)가 개구끝단(6)을 향하여 이동될 때, 볼록부(24)는 제 1 홈부(28)내로 진입하고, 따라서 연출부(14)의 선단부가 테이퍼부(22)내에 부드럽게 진입할 수가 있다.
또, 제 1 홈부(28)의 개구끝단(6)쪽의 끝단부는, 캡부재(2a)에 의해 막혀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본체(2)의 안쪽둘레면에는, 제 1 홈부(28)와 연이어 통하는 오목부(32)가 형성된다. 오목부(32)는, 테이퍼부(22)의 안쪽에 위치된다. 오목부(32)는 조인트본체(2)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오목부(32)와 각 제 1 홈부(28)는 T자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개의 오목부(32)들은 개별적으로 형성되지만, 한 개의 원형 오목부(32)가 조인트본체(2)의 안둘레의 전체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 한, 제 1 홈부(28)의 다른 끝단(8)측상에 내부둘레면의 일부가 오목부(32)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그 부분의 내부지름은 테이퍼부(22)의 최대지름보다도 크다.
도 2 및 도 3에서, 연출부(14)의 선단부들은 테이퍼부(22)의 안쪽에 위치한다. 연출부(14)의 선단부에 조인트본체(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외력이 작용했을 때는, 볼록부(24)들은 각각 오목부(32)내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선단부들은 회전이동할 수 있다(도 7 참조). 플라스틱 등의 가요성재료로 구성되는 잠금부재(4)는 변형 또는 비틀어지게 되고 따라서 연출부(14)의 선단부들이 회전이동한다. 각 아암부(16)들은 제 2 홈부(30)내에 끼워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잠금부재(4) 전체가 회전이동해 버리는 경우는 없다. 설령, 연출부(14)를 개구끝단(6)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외력이 작용하였다고 해도, 볼록부(24)가 개구끝단(6)측에 위치하는 오목부(32)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연출부(14)는 개구끝단(6)를 향하여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외력이 연출부(14)의 선단부를 해제하였을 때는, 연출부(14)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의 위치로 복귀딘다. 이 초기위치에서, 볼록부(24)들은 각각 제 1 홈부(28)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각각이 개구끝단(6)쪽에 위치한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32)의 접촉면(34)들은, 각각 볼록부(32)들과 접촉하게 된다. 각 접촉면(34)들은 경사면을 가지며, 여기에서 오목부(32)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개구끝단(6)쪽으로부터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코일스프링(36)들이 잠금부재(4)의안쪽에 마련된다. 코일스프링(36)들은, 항상 잠금부재(4)를 개구끝단(6)쪽을 향하여 힘을 가한다. 각 코일스프링(36)의 한 끝단은 링형상의 지지부(38)에 고정되고; 각 코일스프링(36)의 다른 끝단은 잠금부재(4)의 링부(10)의 작은 지름부(10c)에 고정된다.
다음에, 연출부(14)의 선단부 및 갈고리부(12)에 대하여, 도 8A-8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갈고리부(12)를 포함하는 연출부(14)의 선단부를 조인트본체(2)의 개구끝단(6)쪽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8B는 그의 정면도; 도 8C는 도 8A에 나타낸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연출부(14)의 선단부는,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본체(2)의 안쪽으로 향하여, 조인트본체(2)의 축선으로부터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짧아지게 되는 경사면(14a)을 가진다.
갈고리부(12)는, 물결치는 톱날형상으로 형성된다. 갈고리부(12)는 골짜기부(12a)를 가지며, 그의 두께는 꼭대기부(12b)를 따라서 점차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8C 참조).
또, 갈고리부(12)를 포함하는 잠금부재(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가요성재료로 구성된다. 갈고리부(12)의 강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갈고리부(12)가 관(P)에 효과적으로 달라붙도록 하기 위해, 갈고리부(12) 금속 갈고리(15)가 마련될 수 있다(도 9 참조). 이 경우에, 금속 갈고리(15)를 갈고리부(12)와 일체로 형성하고, 선단부(15a)가 갈고리부(12)의 선단부로부터 돌출 한다. 금속 갈고리(15)에는, 관통구멍(15b)을 형성한다. 관통구멍(15b)을 형성함으로써, 금속갈고리(15)가 삽입성형되고, 플라스틱 갈고리부(12)와 일체로 된다.
다음에, 관조인트(F)에 관(P)을 부착하는 방법 및, 관조인트(F)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P)을 연결하기 전의 단계에서는, 잠금부재(4)가 코일스프링(36)의 가하는 힘으로 개구끝단(6)를 향하여 힘이 가해져, 연출부(14)의 선단부가 테이퍼부(22)내에 진입한다. 따라서, 선단부의 지름은 약간 축소되고 있다 (도 1참조). 이 상태에서, 연출부(14)의 형상복원력이 테이퍼부(22)의 테이퍼면을 누르게 된다; 한편, 연출부 선단부를 테이퍼면을 따라 조인트본체(2)의 안쪽으로 이동하려는 대항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잠금부재(4)는, 코일스프링(36)의 가하는 힘과, 변형된 연출부(14)의 형상복원력이 균형을 이루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코일스프링(36)의 가하는 힘은, 초기상태에 연출부(14)의 선단부가 테이퍼부(22)내에 진입한 상태로 정지하는 강도에 설계되어 있다.
초기상태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작업자는, 관(P)을 관조인트(F)에 부착하기 위하여, 관(P)을 개구끝단(6)으로 삽입한다. 관(P)의 한 끝단은 연출부(14)의 선단부의 테이퍼면(14a)에 접촉한다. 관(P)을 더욱 삽입하면, 관(P)은 연출부(14)의 선단부를 바깥쪽으로 방사방향으로 밀게 되고, O링 패킹(18) 및 중간지름부(10b) 내로 진입하게 된다. 관(P)은 작은 지름부(10c)의 끝단부에 맞부딪친다. 또한, 관(P)을 코일스프링(36)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더욱 밀어 넣으면, 잠금부재(4)가 조인트본체(2)의 안쪽으로 이동된다. 잠금부재(4)를 안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잠금부 재(4)의 선단부는 테이퍼부(22)보다 안쪽으로 위치한 상태로 되며, 테이퍼부(22)로부터 해제된다. 이 상태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부(16)는 제 1 홈부(28)의 안쪽 가장자리부와 접촉하고; 볼록부(24)가 오목부(32)의 안쪽 가장자리부에 접촉한다. 따라서, 잠금부재(4)는 더 안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갈고리부(12)는 관(P)의 바깥둘레면과 가볍게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관(P) 바깥쪽으로 잡아당긴다. 관(P)의 외벽면에 톱날형상의 갈고리부(12)가 약간 달라붙게 되고, 잠금부재(4)는 관(P)과 함께 개구끝단(6)을 향하여 이동된다. 연출부(14)의 선단부가 테이퍼부(22)내로 진입하고, 각 연출부(14)는 방사방향으로 변형되어 선단부들의 지름이 축소된다. 지름을 축소함으로써, 갈고리부가 관(P)의 외벽면에 강하게 물려들어간다. 이 때, 연출부(14)의 볼록부(24)는 제 1 홈부(28)로 들어가게 되고,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관(P)을 더욱 계속 당기면, 연출부(14)의 선단부는 안둘레벽(26)의 부분까지 도달한다 (도 4 및 도 5 참조). 이 상태에서는, 갈고리부(12)가 관(P)의 외벽면에 강하게 물려들어가서, 관(P)을 확고하게 유지한다. 즉, 관(P)은 조인트본체(2)에 대하여 안전하게 잠금된다. 테이퍼부(22)와 개구끝단(6)의 사이에 형성된 안둘레벽(26)의 내부지름은 테이퍼부(22)의 최소지름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출부(14)의 선단부는, 테이퍼부(22)의 경사면상에 위치하지 않고, 연출부(14)의 선단부[잠금부재(4)]가 테이퍼부(22)의 경사면을 따라서 안쪽으로 되돌아가는 일은 없다. 즉, 관이 자연히 느슨해져 버리는 경우란 없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도, 코일스프링(36)은 잠금부재(4)를 개구끝단(6)쪽을 향하여 밀어내도록 힘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잠금부재(4)의 연출부(14)가 테이퍼부(22) 안쪽으로 되돌아가는 일이 없고, 관(P)은 확실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관조인트(F)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는 손으로 관(P)을 개구끝단(6)로부터 삽입한 후 역방향으로 당기는 것만으로 관(P)을 용이하게 부착하여 잠금시킬 수 있다.
링부(10)의 바깥둘레면과 조인트본체(2)의 안둘레면의 사이의 틈은 Y링 패킹(20)에 의해 밀봉되므로, 조인트본체(2)내의 유체가 그 틈으로부터 외부로 유출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관(P)의 바깥둘레벽과 링부(10)의 사이의 빈틈은, O링 패킹(18)에 의해서 밀봉되므로, 링부(10)내의 유체가 그 틈으로부터 외부로 유출하는 경우가 없다.
다음에, 관조인트(F)로부터 관(P)을 떼어내는 방법과, 관조인트(F)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의 상태에서 관조인트(F)로부터 관(P)을 떼어낼 때는, 작업자는 먼저 관(P)을 안쪽으로 민다. 그렇게 하면, 잠금부재(4)는 안쪽으로 이동하고, 테이퍼부(22)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안쪽으로 변형된 연출부(14)가 테이퍼부(22)로부터 개방되어 지름이 확대된다. 따라서, 관(P)에 갈고리부(12)가 물고들어간 것이 느슨해진다.
이 상태에서, 관(P)을 관(P)의 축선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이동시킨다. 갈고리부(12)는 관(P)에 약간 물려있게 된다. 또한, 갈고리부(12)는 톱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둘레방향으로의 마찰계수가 높다. 따라서, 관(P)을 회전이동시킴으로써, 잠금부재(4)가 비틀어지도록 휘어지고, 연출부(14)의 갈고리부(12)는 관(P)과 갈고리부(1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관(P)과 함께 조인트본체(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이동된다(도 7참조).
관(P)을 바깥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잠금부재(4)는 관(P)과 함께 개구끝단(6)쪽으로 당겨지지만, 볼록부(24)가 개구끝단(6)측에 위치한 오목부(32)의 접촉면(34)에 접촉하여 걸리고, 잠금부재(4)의 개구끝단(6)쪽에 대한 이동은 규제된다. 따라서, 관(P)만이 관조인트(F)로부터 뽑혀진다.
관(P)이 뽑혀지면, 관(P)의 회전이동을 따라 비틀어지도록 휘어져 있던 잠금부재(4)의 휘어짐이 개방되어, 연출부(14)의 선단부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3 참조). 따라서, 볼록부(24)는 접촉면(34)으로부터의 걸림이 개방되고, 잠금부재(4)는 코일스프링(36)의 가하는 힘에 의해서 다시 도 1에 나타낸 위치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의 관조인트(F)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는, 관(P)을 삽입방향으로 누른 후, 약간 회전이동시키고, 뽑아내는 방향으로 당기는 것만으로, 관(P)을 관조인트(F)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관(P)을 한쪽 손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붙이고 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관과 관조인트에 대하여 어떠한 조작을 하기 위해서 양손 으로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관조인트(F)가, 서로 근접하게 밀집하여 설치되거나, 작업자에 있어 닿기 어려운 부분이나 보기 어려운 부분에 설치되어 있거나 하는 경우에도, 관(P)의 붙이고 떼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32)가 볼록부(24)와 접촉하는 접촉면(34)은, 각 오목부(32)의 안쪽바닥면을 향할수록 개구끝단(6)으로부터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짧아진다. 볼록부(24)가 관(P)의 이동을 따라 접촉면(34)에 접촉했을 때, 오목부(32)의 안쪽바닥으로 이르는 힘이 경사진 접촉면(34)에 작용하게 되며, 연출부(14)의 지름이 확대된다. 따라서, 갈고리부(12)가 관(P)으로부터 분리되어, 관(P)을 보다 쉽게 뽑을 수 있다.
또,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갈고리부(12)의 톱날의 곡부(12a)는, 갈고리부(12)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갈고리부(12)의 곡부의 얇은 가장자리부는 관(P)의 외벽면에 적절하게 들어가게 된다. 한편, 갈고리부(12)의 톱날부의 아랫부분은 두껍기 때문에, 갈고리부(12)가 지나치게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관조인트(F)로부터 관(P)을 떼어낼 때는 갈고리부(12)가 관(P)으로부터 사이가 멀어지기 쉬워진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관조인트(F2)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관조인트(F2)를 축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의 관조인트(F2)에 있어서 특기할 점은, 관조인트(F)의 패킹(18) 및 (20)의 대신에 Y링 패킹(40)을 가진 점 및, 관조인트(F)의 코일스프링(36)에 대신하여 판스프링(37)을 가진 점이다.
관조인트(F2)에 있어서, 안둘레벽(26)과 개구끝단(6)의 사이의 안둘레벽면의 일부에 패킹[Y링 패킹(40)]이 마련된다. Y링 패킹(40)은, 안둘레벽(26)의 개구끝단(6)쪽에 설치된 링형상부재(42)와, 캡부재(2a)의 끝단부의 사이에 끼워진다.
Y링 패킹(40)은 관(P)과 관조인트(F2) 사이의 유체의 유출을 방지한다. Y링 패킹(40)의 채용에 의해, 실시예 1의 관조인트(F)에서의 2개의 패킹(18) 및 (20)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관조인트(F2)의 부품갯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링부(10)는 상이한 지름을 가지는 부위(10a),(10b),(10c)를 가졌으나, 본 실시예의 링부(11)는 지름이 다른 부분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관조인트(F2)의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관조인트(F2)는, 잠금부재(4)와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37)을 가진다. 판스프링(37)은, 링부(11)로부터 다른 끝단(8)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들의 끝단부가 조인트본체(2)의 다른 끝단(8)쪽을 막도록 형성된 벽부(2c)에 접촉하여, 잠금부재(4)를 개구끝단(6)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고 있다.
판스프링(37)은 가요성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에 의해 구성되는 잠금부재(4)와 일체로 형성된다.
판스프링(37)의 지지부로서의 벽부(2c)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구멍부(2b)가 복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판스프링(37)은 잠금부재(4)의 이동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판스프링(37)의 끝단부가 벽부(2c)에 접촉하면서 미끄럼동작했을 때에도, 판스프링(37)에 의해서 관조인트(F2)의 유로가 막혀 버리는 경우는 없다.
제 1 실시예의 코일스프링(36)에 대신하여, 잠금부재(4)와 일체로 형성한 판스프링(37)을 채용함으로써, 관조인트(F2)의 부품갯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관조인트(F2)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판스프링(37)을, 조인트본체(2)의 둘레방향에 따른 나선형상으로 형성하면, 판스프링(37)의 끝단부가 벽부(2c)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 미끄럼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관조인트(F)의 지지부(38)와 마찬가지로 구멍부(2b)는 중앙부에 하나만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은 그의 실질적인 특성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의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만 고려되고 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않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표현되었으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등가인 의미 및 범위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사항들도 그들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2)

  1.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관(P)이 삽입되는 한쪽 개구끝단(6)를 가지는 조인트본체(2) 및;
    상기 조인트본체(2)내에 마련되고, 관(P)을 상기 조인트본체(2)내에 잠궈서 유지하는 잠금부재(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잠금부재(4)는:
    상기 조인트본체(2)의 안쪽 둘레면에 미끄럼접촉하는 안둘레부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본체(2)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링부(10,11)와;
    상기 링부(10,11)로부터 상기 조인트본체(2)의 한쪽 개구끝단(6)을 향하여 연장된 다수개의 가요성 연출부(14); 및,
    상기 가요성연출부(14)의 앞끝단에 각각 형성되며 방사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갈고리(12)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본체(2)는 테이퍼부(22)를 가지며, 이 테이퍼부는 상기 한쪽 개구끝단(6)을 향하여 그의 내부지름이 점차로 감소되며, 상기 잠금부재(4)가 상기 개구끝단(6)을 향하여 이동할 때 및 상기 가요성 연출부(14)의 선단부가 테이퍼부(22)내로 진입할 때, 상기 가요성 연출부(14)의 선단부의 지름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갈고리부(12)가 관을 잠금시키고, 그리고
    상기 조인트본체(2)의 개구끝단(6)의 내부지름이 테이퍼부(22)의 최소 내부지름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2.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관(P)이 삽입되는 한쪽 개구끝단(6)를 가지는 조인트본체(2) 및;
    상기 조인트본체(2)내에 마련되고, 관(P)을 상기 조인트본체(2)내에 잠궈서 유지하는 잠금부재(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잠금부재(4)는:
    상기 조인트본체(2)의 안쪽 둘레면에 미끄럼접촉하는 안둘레부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본체(2)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링부(10,11)와;
    상기 링부(10,11)로부터 상기 조인트본체(2)의 한쪽 개구끝단(6)을 향하여 연장된 다수개의 가요성 연출부(14); 및,
    상기 가요성연출부(14)의 앞끝단에 각각 형성되며 방사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갈고리(12)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본체(2)는 테이퍼부(22)를 가지며, 이 테이퍼부는 상기 한쪽 개구끝단(6)을 향하여 그의 내부지름이 점차로 감소되며, 상기 잠금부재(4)가 상기 개구끝단(6)을 향하여 이동할 때 및 상기 가요성 연출부(14)의 선단부가 테이퍼부(22)내로 진입할 때, 상기 가요성 연출부(14)의 선단부의 지름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갈고리부(12)가 관을 잠금시키고, 그리고
    테이퍼부(22)에 관하여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가요성연출부(14)의 선단부들은, 그 선단부를 회전이동하는 외력이 가하여졌을 때에는 둘레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그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는 상기 잠금부재(4)의 탄성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걸림고정수단은, 가요성 연출부(14)의 선단부들이 초기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테이퍼부(22)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선단부들이 둘레방향으로 회전이동하였을 때에는, 선단부들이 테이퍼부(22)내에 진입시키지 않도록 걸림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본체(2)의 개구끝단(6)의 내부지름이 테이퍼부(22)의 최소 내부지름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수단은:
    상기 조인트본체(2)의 안쪽 둘레면을 향하여 가요성 연출부(14)로부터 각각 돌출된 다수개의 볼록부(24)와;
    조인트본체(2)의 안쪽 둘레면상에 형성되고, 조인트본체(2)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부들이 초기위치에 있을 때, 그 선단부들이 볼록부(24)의 방해를 받지 않고 테이퍼부(22)내에로 들어갈 수 있도록 허용하는 다수개의 제 1 홈부(28); 및,
    조인트본체(2)의 안쪽둘레면내에 형성되며, 그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홈부(28)와 연이어 통하며, 상기 선단부들이 볼록부(24)에 의한 간섭없이 둘레방향으로 회전이동할수 있도록 허용하는 오목부(32)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24)들은 한쪽 개구끝단(6)상에 위치한 오목부(24)의 가장자리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선단부가 회전이동할 때에 테이퍼부(22)로 들어가는 것을 금지하는 관조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24)와 접촉하는 오목부(32)의 가장자리의 접촉면(34)은, 오목부(32)의 안쪽 바닥을 향하면서 점차적으로 한쪽 개구끝단(6)으로부터의 간격이 짧아지는 경사면인 관조인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4)는, 조인트본체(2)의 축방향으로 링부(10,11)로부터 연장된 다수개의 아암부(16)와,
    조인트본체(2)의 안쪽 둘레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 홈부(30)를 가지며, 또한,
    아암부(16)의 선단부들은 제 2 홈부(30)에 각각 끼워맞춤되어, 아암부(16)의 선단부들이 조인트본체(2)의 둘레방향의 회전이동은 규제되지만, 그의 축선방향의 이동은 허용되도록 하는 관조인트.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4)를 개구끝단쪽을 향하여 바깥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가함부재(36,37)를 구비하는 관조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힘가함부재(36,37)는, 링부(10,11)와 일체로 형성되며, 조인트본체(2)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관조인트.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갈고리부(12)는, 톱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조인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부(12)의 톱날의 곡부(12a)는, 갈고리부(12)의 꼭대기부(12b)를 향하여 감에 따라 점차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조인트.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갈고리부(12)의 꼭대기부(12b)들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관조인트.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테이퍼부(22)와 한쪽 개구끝단(6)의 사이에, 조인트본체(2)의 안쪽둘레면과 관(P)과의 사이 틈으로부터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P)에 밀착한 패킹(40)이 설치되는 관조인트.
KR1020040095285A 2003-11-21 2004-11-19 관조인트 KR100629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92621 2003-11-21
JP2003392621 2003-11-21
JPJP-P-2004-00227398 2004-08-04
JP2004227398A JP2005172218A (ja) 2003-11-21 2004-08-04 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408A KR20050049408A (ko) 2005-05-25
KR100629539B1 true KR100629539B1 (ko) 2006-09-27

Family

ID=3443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285A KR100629539B1 (ko) 2003-11-21 2004-11-19 관조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95286B2 (ko)
EP (1) EP1533557B1 (ko)
JP (1) JP2005172218A (ko)
KR (1) KR100629539B1 (ko)
DE (1) DE602004004232T2 (ko)
TW (1) TWI2450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16Y1 (ko) 2008-05-23 2010-07-23 (주)와콘엔지니어링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5588B1 (fr) * 2003-05-28 2006-05-05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instantane
JP4264937B2 (ja) * 2003-07-09 2009-05-20 Smc株式会社 チャック及び管継手
JP2006010010A (ja) * 2004-06-29 2006-01-12 Smc Corp 管継手
GB0421835D0 (en) * 2004-10-01 2004-11-03 Imi Norgren Ltd Tube coupling cap
US7490865B1 (en) * 2007-07-30 2009-02-17 Tzu Liang Tsai Quick connector
DE102008007447A1 (de) * 2008-02-01 2009-08-13 Viega Gmbh & Co. Kg Unlösbare Verbindung aus einem Fitting, einer Hülse und einem Rohr sowie Fitting für Fluidleitungen und Hülse für Fluidleitungsrohre
KR101449036B1 (ko) * 2008-05-07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튜브 연결용 커넥터
TWI387697B (zh) 2008-10-23 2013-03-01 Yugen Kaisha Hama Int 管接頭
CN102330723A (zh) * 2010-07-13 2012-01-25 新秩序投资119股份有限公司 管配件
JP2013545043A (ja) 2010-10-15 2013-12-19 スウエイジロク・カンパニー 導管継手を口輪と連結するプッシュ
KR101681788B1 (ko) 2011-03-29 2016-12-01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관이음매
KR101681787B1 (ko) 2011-03-29 2016-12-01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관이음매
EP2508784B1 (en) 2011-04-08 2014-01-08 Aronkasei CO., LTD. Pipe Coupling
EP2508783B1 (en) 2011-04-08 2014-05-14 Aronkasei CO., LTD. Pipe coupling
GB2495313B (en) * 2011-10-05 2013-12-04 Micron Technology Inc Connection method
GB201205575D0 (en) * 2012-03-29 2012-05-16 Guest John I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MY159566A (en) * 2013-04-02 2017-01-13 Chezy Ind Sdn Bhd Mechanical pipe joint
WO2015061404A1 (en) 2013-10-24 2015-04-30 Swagelok Company Single action push to connect conduit fitting
US10458582B2 (en) 2015-04-23 2019-10-29 Swagelok Company Single action push to connect conduit fitting with colleting
JP6845155B2 (ja) 2015-04-23 2021-03-17 スウエイジロク・カンパニー コレットを有する導管継手の単動押動式接続
CN113518879B (zh) 2019-04-01 2023-12-15 斯瓦戈洛克公司 推动连接式导管接头组件和装置
US11603952B2 (en) * 2021-07-23 2023-03-14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In-line quick connector
CN115411691B (zh) * 2022-11-02 2023-01-2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佛山供电局 一种gil管道及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4987A (en) * 1954-02-03 1957-03-12 Corcoran Richard Stanley Pipe coupling with detent means
US3724882A (en) * 1971-05-10 1973-04-03 Ford Motor Co Tube-to-hose connection
CH553942A (de) * 1973-01-31 1974-09-13 Legris France Sa Schnellanschluss fuer eine schlauch- oder rohrleitung.
US4049297A (en) * 1975-12-15 1977-09-20 Reneau Bobby J Pipe coupling apparatus
JPS594230Y2 (ja) * 1978-08-30 1984-02-06 浩一 園田 ワンタツチ着脱式管接手
GB2199102B (en) * 1986-12-18 1990-02-14 Hunting Oilfield Service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nectors
US4993755A (en) * 1989-09-22 1991-02-19 Master Industries, Inc. Quick connect fitting
JPH0439492A (ja) * 1990-05-31 1992-02-10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US5284369A (en) * 1990-08-24 1994-02-08 Tokai Rubber Industries, Ltd. Quick connector
EP0550323B1 (fr) * 1991-12-26 1996-08-14 Legris S.A.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composants d'un réseau de distribution de fluides, réseau et composants faisant application
US5653480A (en) * 1993-03-19 1997-08-05 Bridgestone Flowtech Corporation Pipe coupling
GB9402758D0 (en) * 1994-02-11 1994-04-06 Guest John 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IT1280732B1 (it) * 1995-07-26 1998-02-06 Ferrari Group Srl Innesto rapido automatico per impianti di irrigazione domestica
GB9515473D0 (en) * 1995-07-28 1995-09-27 Guest John 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GB9515497D0 (en) * 1995-07-28 1995-09-27 Guest John 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US5788290A (en) * 1995-12-27 1998-08-04 Fastest, Inc. Quick connect coupler
JP4394816B2 (ja) 2000-09-28 2010-01-06 株式会社日本ピスコ 管継手
FR2824618B1 (fr) * 2001-05-14 2006-02-10 Comap Raccord instantane pour tubes a fixation par bague elastique externe
GB0221076D0 (en) * 2002-09-11 2002-10-23 Guest John I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16Y1 (ko) 2008-05-23 2010-07-23 (주)와콘엔지니어링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95286B2 (en) 2007-03-27
EP1533557A1 (en) 2005-05-25
US20050110275A1 (en) 2005-05-26
EP1533557B1 (en) 2007-01-10
DE602004004232D1 (de) 2007-02-22
DE602004004232T2 (de) 2007-11-22
TW200517618A (en) 2005-06-01
KR20050049408A (ko) 2005-05-25
JP2005172218A (ja) 2005-06-30
TWI245099B (en) 200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539B1 (ko) 관조인트
JP6073510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EP1933074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US7044505B2 (en) Quick connector with function of verifying complete connection
US5354106A (en) Connector for connecting a pipe of small diameter with block expansion prevention surfaces
JP2005180687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KR20040036547A (ko) 관 조인트
US7401818B2 (en) Quick connector
JP4088922B2 (ja) 継手
US8746749B2 (en) Tube fitting for releasably locking and unlocking a tube
JP5226482B2 (ja) プラグ用防塵キャップ
US9845906B2 (en) Release clip
JP2005188647A (ja) ロッドの連結構造
JP5193569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2010019311A (ja) 配管と継手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4845511B2 (ja) 管継手
JP2021050748A (ja) 管継手および管の取り外し方法
JP4402737B1 (ja) 管継手
JPH03265789A (ja) 管継手
JPS6110077Y2 (ko)
JP5107416B2 (ja) ロッドの連結構造
JP2006009997A (ja) 管継手
JP5268798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2006266475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5244636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