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715B1 -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715B1
KR100521715B1 KR10-2003-0022315A KR20030022315A KR100521715B1 KR 100521715 B1 KR100521715 B1 KR 100521715B1 KR 20030022315 A KR20030022315 A KR 20030022315A KR 100521715 B1 KR100521715 B1 KR 100521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unit
degrees
unit
main bod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112A (ko
Inventor
미즈타마사토모
이케우치신지
센도우다미츠루
히가노사카에
사토히토시
오히라키미노루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0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non-parallel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ing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는 하측 본체 유니트와 상측 본체 유니트를 힌지 기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해 2단 접힘식으로 구성되고, 힌지 기구로서 2축식 힌지 기구를 구비한다. 2축식 힌지 기구는 상측 본체 유니트를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하는 개방 상태까지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1 힌지 유니트와, 제1 힌지 유니트를 그 회전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2 힌지 유니트를 구비한다. 제1, 제2 힌지 유니트는 이들 회전 중심축이 직각 교차되도록 연결된다.

Description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FOLDABLE AND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로 대표되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내장된 프로그램을 따른 조작 정보 처리나 그것에 관련한 상대측과의 통신 정보 처리나 이를 위한 데이터 표시가 가능한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의 예로서 이하와 같은 폴더형 휴대 전화기가 알려져 있다. 폴더형 휴대 전화기는 하측 본체 유니트와 상측 본체 유니트로 이루어진다. 하측 본체 유니트는 사용자용의 조작 기능을 담당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를 구비한다. 상측 본체 유니트는 조작부에 대한 조작에 수반하는 조작 정보 처리 및 이 조작 정보 처리에 관련하는 상대측과의 통신 정보 처리에 수반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다. 하측 본체 유니트와 상측 본체 유니트는 1축의 힌지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힌지 기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2단 접힘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 전화기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136252에 개시되고 있다.
이 폴더형 휴대 전화기에 적용되는 힌지 기구로서 이하의 것이 알려져 있다. 힌지 기구는 제1 회전축(개폐 회전축)을 갖는 힌지 유니트를 구비한다. 이 힌지 유니트에 의하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측 본체 유니트를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약180도 회전시켜 개방 상태로 한다. 이 개방 상태가 통화 위치로서 규정된다.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경우, 통상 하측 본체 유니트의 상측 본체 유니트에 대한 접힘면에는 조작부 외에 집음용의 마이크로폰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측 본체 유니트의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한 접힘면에는 표시부 외에 발성용의 스피커가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의 경우, 힌지 기구에 의해 상측 본체 유니트를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약180도 회전시킨 개방 상태를 통화 위치로서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방 상태에서의 사용성이 좋지 않다는 결점이 있다. 예를 들면, 상대측과의 통화시에 사용자가 상측 본체 유니트의 스피커에 귀를 가까이 하면, 하측 본체 유니트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이 멀어져 버리는 것에 의해 통화가 곤란해진다. 또한 개방 상태에서는 전체가 길어진 형태가 되어 사용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이것은 종래의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는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상측 본체 유니트를 하측 본체 유니트의 면내 위치에서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결점을 해소하는 것으로, 폴더형의 동작 기능을 개선해 통화가 쉽고, 전체를 컴팩트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성이 좋은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하측 본체 유니트와, 조작부에 대한 조작에 수반하는 조작 정보 처리 및 상기 조작 정보 처리에 관련하는 상대측과의 통신 정보 처리에 수반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측 본체 유니트를 힌지 기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해 2단 접힘식으로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하면,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는 힌지 기구로서 2축식 힌지 기구를 구비한다. 2축식 힌지 기구는 상측 본체 유니트를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하는 개방 상태까지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1 힌지 유니트와, 제1 힌지 유니트를 그 회전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2 힌지 유니트를 구비한다. 제1, 제2 힌지 유니트는 이들 회전 중심축이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 제1 힌지 유니트는 상측 본체 유니트 내에 수용되고, 제2 힌지 유니트는 그 일부가 하측 본체 유니트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측 본체 유니트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는 제1, 제2 힌지 유니트는 각각, 제1, 제2 회전축을 갖는다. 2축식 힌지 기구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측 본체 유니트를 회전시켜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함과 동시에,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측 본체 유니트를 하측 본체 유니트의 면내 위치에서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한다. 또한 2축식 힌지 기구는 상측 본체 유니트의 개방 경사 각도를,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하는 각도와, 소정의 통화 위치에서 벗어난 제2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한 각도로 할 수 있도록 제2 회전축의 주위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제어하는 경사각 가변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는 2축식 힌지 기구의 경사각 가변 기능은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의 회전각이 각각 0도의 폐쇄 상태로부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측 본체 유니트를 회전시켜 개방 상태로 한 다음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개방 경사 각도를 160도~170도의 범위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경사각 가변 기능은 160도~170도의 범위의 각도로부터 상측 본체 유니트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의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정 가능하다. 2 회전축의 주위의 회전 각도가 0도~90도의 범위에서는 개방 경사 각도를 160도~170도의 범위로부터 180도까지 가변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90도~180도의 범위에서는 개방 경사 각도를 180도로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을 폴더형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폴더형 휴대 전화기(이하, 휴대 전화기로 약칭함)(500)의 기본 구성을 회전 동작 상태의 추이에 따라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특히, 도1은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한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회전 없음, 즉 폐쇄 상태를 나타낸다. 도2는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해 회전시킨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도3은 도2의 개방 상태로부터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해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9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회전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4는 도3의 회전 도중상태로부터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해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다시 9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혀서 포개진 상태를 나타낸다.
휴대 전화기(500)는 사용자용의 조작 기능을 담당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107)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가 구비된 하측 본체 유니트(100)를 구비한다.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는 안테나(104)가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조작 버튼은 텐키 등의 조작키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기(500)는 또, 적어도 2개의 처리, 즉 조작부에 대한 조작에 수반하는 조작 정보 처리 및 이 조작 정보 처리에 관련하는 상대측과의 통신 정보 처리에 수반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02)가 구비된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구비한다. 하측 본체 유니트(100)와 상측 본체 유니트(200)는 2축의 힌지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2축식 힌지 기구(300)에 의해 개폐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2단 접힘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2축식 힌지 기구는 제1, 제2 힌지 유니트로 이루어지고, 이하에 설명하는 복수의 기능으로 규정되는 상측 본체 유니트 경사각 가변 기능을 갖는다. 제1 힌지 유니트, 제2 힌지 유니트는 각각, 제1 회전축(개폐 회전축), 제2 회전축(수평 회전축)을 구비한다. 제1 힌지 유니트에서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해 회전시켜 개방 상태에서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하는 기능이 실현된다. 제2 힌지 유니트에서는 상기의 개방 상태에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하측 본체 유니트(100)의 면내 위치에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의 어느 방향에도 회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 실현된다. 제2 힌지 유니트에서는 또,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개방 경사 각도를, 소정의 통화 위치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소정의 통화 위치에서 벗어난 제2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한 임의의 위치로 할 수 있도록 제2 회전축의 주위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제어 가능한 기능이 실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2축식 힌지 기구(300)에서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의 회전각이 0도인 경우 폐쇄 상태이다. 2축식 힌지 기구(300)에서는 상기의 폐쇄 상태로부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해 회전시켜 개방 상태로 한 다음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순개방 경사 각도를 160도~170도의 범위로 설정 가능하다. 2축식 힌지 기구(300)에서는 또, 이 160도~170도의 범위의 회전 각도 위치에서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의 범위로 회전 가능하다. 제2 회전축의 주위의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회전 각도가 0도~90도의 범위에서는 경사각 가변 기능은 개방 경사 각도를 160도~170도의 범위로부터 180도까지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회전 가능하다. 제2 회전축의 주위의 회전 각도가 90도~180도의 범위에서는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개방 경사 각도를 180도로 유지해 회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기능이 상측 본체 유니트 경사각 가변 기능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수평 회전"이라는 것은 "지면에 대해 평행인 회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500)에서, 하측 본체 유니트(100)의 상측 본체 유니트(200)에 대한 접힘면의 단부에, 조작부 외에 집음용의 마이크로폰(103)이 마련되어 있다. 또,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한 접힘면에는 표시부(제1 표시부)(202)의 근방의 단부에, 발성용의 스피커(20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500)의 경우,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접힘면의 표시부(202)의 근방에는 사용자용의 선택 가능한 표시 조작 기능을 담당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207)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선택용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접힘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에 통신 정보 처리에 수반하는 데이터 중의 적어도 발신 통지 처리를 포함하는 간이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다른 표시부(제2 표시부)(206)가 마련되어 있다.
하측 본체 유니트(100) 및 상측 본체 유니트(200)는 소정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거의 동일한 크기의 편평한 장원(oval) 형상을 갖고 있다. 하측 본체 유니트(100) 및 상측 본체 유니트(200)는 독립해 회전 가능한 직교하는 2개의 힌지 유니트로 구성된 2축식 힌지 기구(300)를 사이에 두고 기계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기(500)는 상측 본체 유니트(200)가 2축식 힌지 기구(300)를 중심으로 하여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해 개폐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5는 휴대 전화기(500)에 구비되는 2축식 힌지 기구(300)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2축식 힌지 기구(300)는 제1 힌지 유니트(개폐 회전용 힌지 유니트)(320)와 제2 힌지 유니트(수평 회전용 힌지 유니트)(310)를 결합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힌지 유니트(310)는 하측 본체 유니트(100) 내에 수용된다. 제2 힌지 유니트(310)는 제2 회전축(수평 회전축)을 구성하기 위해서, 하측 본체 유니트(100)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금속제의 베이스 브래킷(301)과, 베이스 브래킷(30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외측 케이스(311)와, 외측 케이스(311) 내에서 베이스 브래킷(301)에 고정되고 선단 부분이 조작부를 마련한 면에 수직으로 돌출하는 고정축(312)을 포함한다. 외측 케이스(311)는 고정축(312)을 중심축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다. 제1 힌지 유니트(320)는 제2 힌지 유니트(310)의 선단측에 고정축(312)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회동 가능한 제1 회전축(개폐 회전축)(321)을 갖는다. 제1 회전축(321)은 제1 힌지 유니트(320) 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힌지 유니트(310)는 그 일부가 하측 본체 유니트(100)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측 본체 유니트(100) 내에 설치된다. 즉, 제2 힌지 유니트(310)는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서의 조작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그 상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폭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수직으로 연장해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회전 가능하게 하도록 설치된다. "소정 거리"라는 것은,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두께 치수의 대략 절반을 의미한다. 한편, 상측 본체 유니트(200)에는 제1 회전축(321)을 포함하는 제1 힌지 유니트(320)가 두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 힌지 유니트(320)의 중앙부에서 제1 회전축(321)이 연결 브래킷(303)을 사이에 두고 제2 힌지 유니트(310)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힌지 유니트(320)에서는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는 제1 회전축(321)의 양단에 연결 브래킷(303)을 사이에 두고 외측 케이스(322)가 장착되어 있다. 또, 각 외측 케이스(322)의 연재 방향의 단부에는 제1 회전축(321)과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연결하기 위한 L자 모양의 브래킷(302)이 장착되어 있다. 브래킷(302)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각 브래킷(302)은 그 일단측이 회전축의 선단부에 접속된다. 각 브래킷(302)의 타단측은 L자 모양으로 직각으로 굴곡된다. 이 굴곡부는, 도시되는 형태에서는 수평으로 연장한 설치 날개부가 되고 있고, 상측 본체 유니트(200) 내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즉, 연결 브래킷(303)을 포함하는 제1 힌지 유니트(320)는 상측 본체 유니트(200) 내에 수용된다.
한편, 제2 힌지 유니트(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브래킷(301)에 고정된 고정축(312)을 중심으로 해서, 외측 케이스(311)가 회전되는 구조이다. 외측 케이스(311)의 하단부에는 회전 스토퍼(3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축(312)의 선단부 부근은 도시되지 않는 캡으로 덮이고, 하측 본체 유니트(100) 내에 물이나 이물질 등을 침입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2축식 힌지 기구(300)에서는 제2 힌지 유니트(310)의 외측 케이스(311)를 제1 힌지 유니트(320)의 연결 브래킷(303)에 강고하게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힌지 유니트(310)가 회전되면, 연결 브래킷(303)을 포함하는 제1 힌지 유니트(320) 전체가 함께 회전한다. 외측 케이스(311), 연결 브래킷(303) 및 회전 스토퍼(316)는 일체화 성형에 의해 제공되어도 좋다.
도6은 상술한 2축식 힌지 기구(300)에 구비되는 제2 힌지 유니트(31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제2 힌지 유니트(310)에서는 베이스 브래킷(301)에 고정축(312)이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축(312) 측에서는 연결 브래킷(303), 회전 캠(314a) 및 고정 캠(313a), 외측 케이스(311), 회전 스토퍼(316)가 이 순서로 마련된다. 한편, 베이스 브래킷(301)의 일면측에서는 회전 캠(314b) 및 고정 캠(313b), 코일 스프링(315)이 이 순서로 마련된다. 특히, 코일 스프링(315)은 2쌍의 캠 기구를 가압하는 구조가 되도록 상기 각 부분을 조합시킨다. 그 결과, 상기 구조 부분이 회전 토크를 발생시키는 토크 유니트로서 기능한다. 그밖에, 베이스 브래킷(301)의 다른 면측에는 회전 가동 스토퍼(317), 스토퍼 누름판(318)이 조립 부착된다.
도7a~도7c는 제2 힌지 유니트(310)에 이용되는 고정축(312)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특히, 도7a는 고정축(312)을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7b는 고정축(312)을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7c는 고정축(312)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고정축(312)은 대략 원주 혹은 대략 원통상이고, 베이스 브래킷(301)에 고정된다. 고정축(312)은 그 측면의 일부가 컷되어 노치 평면부(312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축(312)의 정상부(312c)에는 편심한 위치에 원주형상의 돌기(312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힌지 유니트(310)에서는 고정축(312)에 장착되는 고정 캠(313a, 313b)과, 외측 케이스(311)에 고정된 회전 캠(314a, 314b)이 각각 쌍이 되어 2쌍의 캠 기구가 구성된다. 이들2쌍의 캠 기구는 코일 스프링(315)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인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고정 캠(313a, 313b)은 고정축(312)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구멍을 갖고, 이 구멍에 고정축(312)이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캠(313a, 313b)은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지만 고정축(312)의 중심축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있다. 그리고, 고정 캠(313a, 313b)은 코일 스프링(315)에 의해 중심축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외측 케이스(311)에 고정된 회전 캠(314a, 314b)에 눌려진다. 이들 회전 캠(314a, 314b)에는 90도의 각도마다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성형되어 있고, 각 돌기는 각도를 갖는 슬로프에 의해 평탄부와 이어지고 있다. 한편, 고정 캠(313a, 313b)에는 반대로 90도마다 홈이 성형되고, 홈의 바닥부와 평탄부가 슬로프에 의해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힌지 유니트(310)에서는 외측 케이스(311)가 회전되면, 외측 케이스(311)에 고정된 회전 캠(314a, 314b)이 회전되어 고정 캠(313a, 313b) 상을 슬라이드한다. 한편, 고정 캠(313a, 313b)은 코일 스프링(315)에 의해 회전 캠(314a, 314b)에 대해 눌리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캠(313a, 313b)과 회전 캠(314a, 314b)과의 각각의 접촉면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적당한 부하 토크를 발생한다. 2쌍의 캠 기구에서의 홈과 돌기가 서로 맞물리기 직전에서는 회전 캠(314a, 314b)의 돌기는 고정 캠(313a, 313b)의 각각의 슬로프에 근접한다. 이 때, 고정 캠(313a, 313b)은 코일 스프링(315)이 누르는 힘에 의해 홈과 돌기가 맞물리도록 회전 캠(314a, 314b)측으로 끌린다. 이와 같은 작용을 이루는 위치 및 구조를 이후, "클릭 위치", "클릭 기구"라고 부르기로 한다.
홈과 돌기가 결합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회전 캠(314a, 314b)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이 회전 동작에 의해 코일 스프링(315)에 의해 가압된 고정 캠(313a, 313b)을 이들 돌기가 홈으로부터 빠지는 높이까지 올라가게 하는 정도의 토크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클릭 기구가 기능하는 클릭 위치 부근에서는, 고정 캠(313a, 313b)이 클릭 위치까지 끄는 토크를 발생함과 동시에, 고정 캠(313a, 313b)이 클릭 위치에서 탈출할 때의 충분한 유지 토크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한쌍의 캠 기구가 코일 스프링(315)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 캠(314a, 314b)의 돌기와 고정 캠(313a, 313b)의 홈이 고정축(312)의 외주에 대하여 각각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끄는 토크는 동시에 발생하지만, 한쌍의 캠 기구의 설치 위치를 고정축(312)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약간 벗어나게 함으로써, 클릭 작용 발생시에 발생하는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클릭 기구는 제1 힌지 유니트(320)의 제1 회전축(321) 및 제2 힌지 유니트(310)의 외측 케이스(311)의 회전각이 각각 0도의 폐쇄 상태 및 소정의 통화 위치의 개방 상태에서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끌어 고정하기 위한 유지력을 발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소정의 통화 위치의 개방 상태로부터 고정축(312)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의 어느 방면으로 회전시켰을 때도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회전각도로 각각 끌어 고정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회전 각도라는 것은, 예를 들면 상술한 예에서는 정면, 우측, 바로 아래, 좌측 위치 등의 특정 위치이다.
도8은 상술한 2축식 힌지 기구(300)에 구비되는 제1 힌지 유니트(320)에서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제1 힌지 유니트(320)는 연결 브래킷(303)의 일측에 제1 회전축(321)을 사이에 두고 외측 케이스(322)의 일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또, 외측 케이스(322)의 타단측에는 고정 캠(323), 회전 캠(324), 코일 스프링(325)을 이 순서로 마련하고, 브래킷(302)을 조립 부착함으로써 고정 캠(323)이 외측 케이스(322)에 고정된 상태에서 한다. 그리고, 고정 캠(323) 및 회전 캠(324)으로 이루어지는 캠 기구를 코일 스프링(325)으로 가압하는 구조로 한다. 이에 따라, 이 구조 부분이 개폐 토크를 발생시키는 토크 유니트로서 기능한다. 마찬가지의 구조가 연결 브래킷(303)의 다른 쪽 측에도 구성된다.
제1 힌지 유니트(320)에서는 제1 회전축(321)은 고정축(3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주 혹은 대략 원통상이고, 그 측면이 일부 컷되어 노치 평면부(312a)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캠(324)은 제1 회전축(32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구멍을 갖고, 이 구멍에 제1 회전축(321)이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캠(324)은 제1 회전축(321)과 일체가 되어 회전 가능함과 함께, 제1 회전축(321)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회전 캠(324)은 축 방향에 관해서는 코일 스프링(325)에 의해 가압되고 있으므로, 외측 케이스(322)에 고정된 고정 캠(323)에 눌린다.
고정 캠(323), 회전 캠(324)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 홈이 서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들 돌기와 홈은 개폐 각도가 -10도~ 10도에서는 폐쇄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시키고, 개폐 각도가 150도~190도에서는 열리는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개폐 각도는 후술하는 회전 제한 기구에 의해 0도~180도로 규제된다. 그러나, 0도 부근에서는 폐쇄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시키고, 180도 부근에서는 열리는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므로,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폐쇄 상태, 180도의 개방 상태에서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당한 유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힌지 유니트(320)에서는 한쌍의 토크 유니트가 연결 브래킷(303)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토크가 동기되어 발생한다.
상술한 제1 힌지 유니트(320) 및 제2 힌지 유니트(310)로 이루어지는 2축식 힌지 기구(300)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해 개방 경사 각도가 160도~170도의 범위의 위치를 소정의 통화 위치로 하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로부터 고정축(312)을 중심으로 해서,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의 범위로 회전시킬 때에 개방 경사 각도를 180도로 하여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강제적으로 누르기 위한 끌기 개폐 캠(고정 캠(323) 및 회전 캠(324)으로 이루어지는 캠 기구)가 제1 힌지 유니트(320)에 조립된다.
다음에, 상술한 2축식 힌지 기구(300)의 회전 제한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회전 제한 기구의 필요성은 이하와 같다. 제2 힌지 유니트(310)의 외측 케이스(311)와 제1 힌지 유니트(320)의 제1 회전축(321)을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측 본체 유니트(200)와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선이 각 유니트 내에 설치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500)로서 사용할 때에 사용자의 귀와 입에,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스피커(203)와 하측 본체 유니트(100)의 마이크로폰(103)이 각각 확실하게 맞도록, 상측 본체 유니트(200)로 하측 본체 유니트(100)를 160도 정도의 각도로 유지 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이유에 의해, 회전 제한 기구는 수평 방향의 회전 범위와 개폐 방향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제1 회전축(321)에 관해서는 폐쇄 상태를 0도로 하고, 열리는 방향으로 플러스의 각도를 정의한다. 외측 케이스(311)에 관해서는 제1 회전축(321)의 폐쇄 상태에서 상측 본체 유니트(200)와 하측 본체 유니트(100)가 포개진 상태를 0도로 한다. 예를 들면 폐쇄 상태에서는 회전각이 0도, 개폐각이 0도가 되고, 통화 상태에서는 회전각을 0도, 개폐각을 160도로 나타낸다.
여기서는, 각 회전축기구에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제2 힌지 유니트(310)에서의 외측 케이스(311)의 수평 방향에 대한 회전 범위를 ±180도로 규제한다. 또한, 제1 힌지 유니트(320)에서의 제1 회전축(321)의 개폐 방향의 회전 범위를, 외측 케이스(311)의 회전각이 0도인 경우에 0도~160도로 한다. 또, 외측 케이스(311)의 회전각이 90도~180도인 경우에는 제1 회전축(321)의 회전 범위를 0도~180도로 규제한다. 또한, 외측 케이스(311)의 회전각이 0도~90도의 범위에서는 제1 회전축(321)의 회전 범위의 규제를 160도로부터 180도로 매끄럽게 이행하도록 한다.
먼저, 외측 케이스(311)의 수평 방향의 회전 범위의 규제는 수평 회전 억제 기구로 행한다. 수평 회전 억제 기구는 도6에 나타낸 회전 스토퍼(316), 클로(317a)가 형성된 원판 형상의 회전 가동 스토퍼(317)와 스토퍼 누름판(318)으로 구성된다. 이 수평 회전 억제 기구에서는 회전 가동 스토퍼(317)가 스토퍼 누름판(318)에 의해 베이스 브래킷(30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 부착되어 있다. 또, 베이스 브래킷(301)에는 회전 가동 스토퍼(317)의 클로(317a)가 일정 회전 각도만 가동하도록 노치(301a)(도5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스토퍼(316)에는 외주의 일부에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돌기(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스토퍼(316)는 외측 케이스(311)에 장착되어 외측 케이스(311)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회전 시에, 회전 스토퍼(316)의 돌기가 외측 케이스(311)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 가동 스토퍼(317)의 클로(317a)에 닿는 것으로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수평 방향에서의 회전 범위가 규제된다.
여기서는,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수평 방향에서의 회전 각도를 ±180도로 규제하기 때문에, 회전 스토퍼(316)의 돌기의 폭만큼만 회전 가동 스토퍼(317)를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의 회전 각도± 180도는 완전 폴딩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나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 제1 회전축(321)의 개폐 방향의 회전 범위의 규제는 도8에 나타낸 제1 회전축(321)에 설치되는 원주 형상의 개폐 제어 핀(326)과, 도7a~도7c에 나타낸 고정축(312)의 정상부(312c)에 설치된 원주형상의 돌기(312b)로 구성되는 개폐 제어 기구로 행한다. 이 개폐 제어 기구에서는 베이스 브래킷(301)에 고정된 고정축(312)의 돌기(312b)가 중심부에서 개폐 방향으로 편심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개폐 제어 핀(326)이 제1 회전축(321)의 중앙부 부근에 제1 회전축(321)의 중심축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압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축(321)이 개방 상태의 위치(160도 이상)에 있는 경우에는 고정축(312)의 돌기(312b)와 개폐 제어 핀(326)이 접촉하고, 개폐 제어 핀(326)을 회전시키는 개폐 각도를 제한한다.
여기서는 개폐 제어 핀(326)은 제1 회전축(321)에 압입되고 있지만, 접착이나 용접 같은 다른 수법으로 제1 회전축(321)에 장착하도록 해도 좋고, 일체 성형에 의해 제공되어도 좋다.
2축식 힌지 기구(300)에서의 상측 본체 유니트(200)와 하측 본체 유니트(100)와의 사이의 전기 접속에 대해서는 기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s)을 이용한다. 즉, FPC를 제1 힌지 유니트(320), 제2 힌지 유니트(310)에 각각에 감고, 이들 양단부를 하측 본체 유니트(100)와 상측 본체 유니트(200)에서의 전기 회로에 각각에 접속하는 형태를 적용한다. 단, 이 경우, FPC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 FPC를 제1 힌지 유니트(320)나 제2 힌지 유니트(310)에 1바퀴보다 많이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무튼, 이와 같은 수평 회전 억제 기구나 개폐 제어 기구가 구축된 2축식 힌지 기구(300)에서는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개방 경사 각도를, 소정의 통화 위치와, 소정의 통화 위치에서 벗어나 고정축(312)의 주위로 회전한 위치간에 다르게 할 수 있는, 상측 본체 유니트 경사각 가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9a~도9d는 상술한 휴대 전화기(500)에서의 2축식 힌지 기구(300)에 의한 개폐 동작 상태의 추이에 따른 주요부 구성의 투시도이다. 도9a는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한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개방 경사 각도가 0도인 경우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다. 도9b는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한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개방 경사 각도가 90도인 경우의 개방 중간 상태를 나타낸다. 도9c는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한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개방 경사 각도가 160도인 경우의 개방 상태(통화 위치 상태)를 나타낸다. 도9d는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한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개방 경사 각도가 180도인 경우의 접혀서 포개진 상태를 나타낸다.
휴대 전화기(500)에 있어서, 2축식 힌지 기구(300)에 의해 개폐 동작이 제한될 때, 먼저 도9a에 나타나는 개폐각(개방 경사 각도)가 0도의 폐쇄 상태로부터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90도 열면 도9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개폐각이 0도, 90도에서는 도9a, 도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제어 핀(326)과 돌기(312b)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개폐 방향에서의 회전은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9b의 개폐각90도의 상태로부터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160도로 열면 도9c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개폐 제어 핀(326)과 원주상 돌기(312b)가 접촉함으로써, 상측 본체 유니트(200)가 그 이상 열리는 것이 억제된다.
개폐각 0도는 상측 본체 유니트(200)와 하측 본체 유니트(100)가 접혀서 포개진 상태를 의미하며, 따라서 개폐각이 0도 이하가 되는 일은 없다. 제1 회전축(321)은 그 좌우에 있는 토크 유니트에 의해 0도 부근에서는 폐쇄하는 방향으로 끄는 토크가 발생하고, 160도 부근에서는 열리는 방향으로 끌기 토크가 발생하므로, 0도, 160도에서는 그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
또한, 도9c의 개폐각160도의 상태로부터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고정축(312)의 주위에 180도 회전시키면(시계 방향이든 반시계 방향이든 상관없음), 상측 본체 유니트(200)가 더 열려 도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각이 180도의 상태가 된다. 이것은 하측 본체 유니트(100)에 대해 상측 본체 유니트(200)가 접혀서 포개진 상태가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고정축(312)의 주위에 90도~180도의 범위로 회전시킨 경우(시계 방향이든 반시계 방향이든 상관없음)에도 마찬가지로 개폐각이 180도의 상태가 된다.
즉, 여기서는 도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축(312)의 돌기(312b)에 대해 개폐 제어 핀(326)이 반대측에 퇴피하도록 이동한다. 이 경우, 개폐 제어 핀(326)과 돌기(312b)가 접촉하지 않고 개폐각180도에서 개폐 제어핀 (326)이 고정축(312)의 정상부(312c)(도7b)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범위가 90도~180도인 경우, 상측 본체 유니트(200)의 개폐 방향에서의 회전각의 제한은 0도~180도의 범위가 된다.
상측 본체 유니트(200)를 고정축(312)의 주위에 0도~90도의 범위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개폐 제어 핀(326)과 돌기(312b)가 각각 원주 형상이기 때문에, 개폐각을 0도의 상태로부터 90도~180도의 범위에서의 임의 상태에서 매끄럽게 이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개폐각이 160도~180도에서 매끄럽게 이행한다. 개폐각160도~180도 사이는 항상 열리는 방향으로 끄는 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개폐 제어핀(326)과 돌기(312b)가 맞닿은 상태에서 있고, 덜컹거림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이 안정감이 있는 회전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의 일례인 폴더형 휴대 전화기(500)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주요부인 2축식 힌지 기구(300)는 무선 통신방식을 채용한 간이한 구성의 어느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는 조작부를 구비한 하측 본체 유니트와 표시부를 구비한 상측 본체 유니트를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힌지 기구로서, 제1 회전축(개폐 회전축)과 제2 회전축(수평 회전축)을 갖는 2축식 힌지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이하 같은 상측 본체 유니트 경사각 가변 기능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해진다.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측 본체 유니트를 회전시켜 개방 상태에서 함으로써 통화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개방 경사 각도를 160도~170도의 범위의 위치에서 설정할 수 있다. 또, 이 설정 위치에서 상측 본체 유니트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의 범위로 회전시킬 때, 회전각도가 0도~90도의 범위에서는 개방 경사 각도를 180도까지의 범위에서 가변시킬 수 있고, 또한 회전 각도가 90도~180도의 범위에서는 개방 경사 각도를 180도로 유지해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기능이 개선되어 통화가 쉬워지고, 전체를 컴팩트하게 한 채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좋아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는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상측 본체 유니트를 연 후에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180도 회전시켜 접혀서 포개진 상태에서 표시부를 외측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직접 전자메일을 읽고, 화상을 보고, 착신 상대를 확인한 후에 수신하는 등의 종래에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조작을 즉시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를 외측으로 한 채로 컴팩트한 상태에서 운반하면서 지도 등의 화면을 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성이 훨씬 향상된다.
특히, 통화 사용시에는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한 상측 본체 유니트의 개폐각이 160도 정도로 규정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상측 본체 유니트의 스피커, 하측 본체 유니트의 마이크로폰에 대해 귀, 입을 확실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화 사용중 상측 본체 유니트를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회전시켜 옆쪽으로 했을 때에는 상측 본체 유니트는 하측 본체 유니트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부의 키와 평행인 배치가 되기 때문에, 통화의 편리화 및 표시의 편리화를 동시에 얻게 되고, 사용성이 가일층 향상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폴더형 휴대 전화기를 구성하고 있는 상측 본체 유니트를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2는 도1의 상측 본체 유니트를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열리도록 회전시킨 개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도2의 개방 상태로부터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상측 본체 유니트를 9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회전 도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도3의 상태로부터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상측 본체 유니트를 다시 9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혀서 포개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도1~도4에 나타낸 폴더형 휴대 전화기에 구비되는 2축식 힌지 기구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도5에 나타낸 2축식 힌지 기구에 구비되는 제2 힌지 유니트(수평 회전용 힌지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
도7a~도7c는 도6에 나타낸 제2 힌지 유니트에 이용되는 제2 회전축(수평 회전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도5에 나타낸 2축식 힌지 기구에 구비되는 제1 힌지 유니트(개폐 회전용 힌지 유니트)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
도9a~도9d는 도1~도4에 나타낸 폴더형 휴대 전화기에서의 2축식 힌지 기구에 의한 개폐 동작 상태의 추이에 따른 주요부의 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측 본체 유니트
103 마이크로폰
104 안테나
107 조작 버튼
200 상측 본체 유니트
202 표시부
203 스피커
207 조작 버튼
300 2축식 힌지 기구
500 휴대 전화기

Claims (8)

  1.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하측 본체 유니트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조작에 수반하는 조작 정보 처리 및 상기 조작 정보 처리에 관련하는 상대측과의 통신 정보 처리에 수반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측 본체 유니트를 힌지 기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해 2단 접힘식으로 구성되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로서 2축식 힌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2축식 힌지 기구는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를 상기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하는 개방 상태까지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 1 힌지 유니트와, 상기 제 1 힌지 유니트를 그 회전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 2 힌지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힌지 유니트는 각각 제 1, 제 2 회전축을 갖고,
    상기 제 1, 제 2 힌지 유니트는 이들 회전 중심축이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2축식 힌지 기구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를 회전시켜 상기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를 상기 하측 본체 유니트의 면내 위치에서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의 어느 쪽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하는 각도와, 상기 소정의 통화 위치에서 벗어나 상기 제 2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한 각도로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회전축의 주위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의 개방 경사 각도를 제어하는 경사각 가변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유니트는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 2 힌지 유니트는 그 일부가 상기 하측 본체 유니트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하측 본체 유니트 내에 수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축식 힌지 기구의 상기 경사각 가변 기능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의 회전각이 각각 0도의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를 회전시켜 상기 개방 상태로 한 다음, 상기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상기 개방 경사 각도를 160도 내지 170도의 범위로 설정 가능하고,
    상기 경사각 가변 기능은 상기 160도 내지 170도의 개방 경사각 범위로부터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를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의 각도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정 가능하고,
    상기 제 2 회전축의 주위의 상측 본체 유니트의 회전 각도가 0도 내지 90도의 범위인 경우 상기 경사각 가변 기능은 상기 개방 경사 각도를 상기 160도 내지 170도의 범위로부터 180도까지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를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 2 회전축의 주위의 상측 본체 유니트의 회전 각도가 90도 내지 180도의 범위인 경우 상기 경사각 가변 기능은 상기 개방 경사 각도를 180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를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축식 힌지 기구에서의 상기 제1 힌지 유니트에는 끌기 개폐 캠이 내장되고, 상기 끌기 개폐 캠은,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를 상기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상기 개방 경사 각도가 상기 160도 내지 170도의 범위의 상기 소정의 통화 위치로 한 후,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를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180도의 범위로 회전시킬 때에, 상기 개방 경사 각도 위치를 180도의 각도 위치에 강제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축식 힌지 기구는 클릭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릭 기구는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의 회전각이 각각 0도의 폐쇄 상태 및 상기 소정의 통화 위치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기구는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를 상기 소정의 통화 위치를 규정하는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의 어느쪽으로 회전시켰을 때도 예정된 복수 종류의 회전 각도에서 각각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본체 유니트는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접히는 접힘면에 상기 조작부와 집음용(集音用) 마이크로폰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측 본체 유니트는 상기 표시부로서 상기 하측 본체 유니트에 대해 접히는 접힘면에 마련된 제1 표시부와, 상기 접힘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마련된 상기 통신 정보 처리에 수반하는 데이터 중의 적어도 발신 통지를 포함하는 간이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를 갖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접힘면의 상기 제1 표시부의 근방에는 사용자용의 선택 가능한 표시 조작 기능을 담당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선택용 조작부와 발성용의 스피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KR10-2003-0022315A 2002-04-10 2003-04-09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KR100521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07405A JP4063571B2 (ja) 2002-04-10 2002-04-10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JP-P-2002-00107405 2002-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112A KR20030081112A (ko) 2003-10-17
KR100521715B1 true KR100521715B1 (ko) 2005-10-14

Family

ID=2844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315A KR100521715B1 (ko) 2002-04-10 2003-04-09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58816B1 (ko)
EP (1) EP1353488B1 (ko)
JP (1) JP4063571B2 (ko)
KR (1) KR100521715B1 (ko)
CN (1) CN100444665C (ko)
DE (1) DE60305566T8 (ko)
TW (1) TWI2228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8571B2 (ja) * 2002-12-06 2009-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その配線装置および配線方法
JP4402355B2 (ja) * 2003-01-21 2010-01-20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JP2004293633A (ja) * 2003-03-26 2004-10-21 Nec Corp 折り畳み型携帯端末
CN100367837C (zh) * 2003-04-07 2008-02-06 安费诺凤凰株式会社 旋转铰接装置
KR100513015B1 (ko) 2003-04-08 2005-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7475452B2 (en) * 2003-05-21 2009-01-13 Premier Image Technology Corporation Swivel structure for information product
TWM240060U (en) * 2003-07-24 2004-08-01 High Tech Comp Corp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WM242945U (en) * 2003-09-18 2004-09-01 Quanta Comp Inc Mobile phone with twin rotational shafts
KR100566276B1 (ko) * 2003-10-17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JP4215614B2 (ja) * 2003-10-22 2009-01-2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用ヒンジ
US20050125570A1 (en) * 2003-10-23 2005-06-09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JP4113092B2 (ja) * 2003-10-24 2008-07-02 三菱製鋼株式会社 二軸ヒンジの回転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
JP4169342B2 (ja) 2003-10-28 2008-10-22 三菱製鋼株式会社 ヒンジ機構
KR100651412B1 (ko) 2003-10-31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ATE431038T1 (de) * 2003-11-21 2009-05-15 Nokia Corp Zweischritt-aktivierung eines telefons
KR100640452B1 (ko) * 2003-12-06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31670B1 (ko) 2003-12-09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4306436B2 (ja) * 2003-12-11 2009-08-05 三菱製鋼株式会社 ハーネス配線が可能な2軸ヒンジ機構
JP4756134B2 (ja) 2003-12-23 2011-08-24 エスティー‐エリクソン、ソシエテ、アノニム 復号化方法及び装置
GB2409497B (en) * 2003-12-23 2007-06-20 Nokia Corp Modular hing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100594106B1 (ko) * 2004-01-27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TWM252215U (en) * 2004-01-30 2004-12-01 Benq Corp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inclined buttons
US20050187024A1 (en) * 2004-02-25 2005-08-25 Bong-Hee Cho Portable swing-type communication device for games and hinge apparatus thereof
JP4552463B2 (ja) * 2004-03-08 2010-09-2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0630075B1 (ko) * 2004-03-12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640380B1 (ko) * 2004-03-12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
JP4975240B2 (ja) * 2004-03-26 2012-07-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055218B2 (en) * 2004-06-01 2006-06-06 Shin Zu Shing Co., Ltd. Hinge
US7565719B2 (en) 2004-06-18 2009-07-28 Sinher Technology Inc. Hinge for anchoring and folding on a small pintle
US7082642B2 (en) * 2004-06-18 2006-08-01 Sinher Technology Inc. Hinge for anchoring and folding on a small pintle
JP2006014893A (ja) * 2004-06-30 2006-01-19 Yoshino Kogyosho Co Ltd コンパクト容器
US7590435B2 (en) 2004-07-07 2009-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cking apparatus of swing hing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4120942B2 (ja) * 2004-07-22 2008-07-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060023411A1 (en) * 2004-07-27 200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ng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e same
KR100746717B1 (ko) 2004-09-07 2007-08-0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2방향 개폐장치
CN100417858C (zh) * 2004-11-17 2008-09-10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双轴旋转式铰链机构
KR100677420B1 (ko) * 2004-12-3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본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
JP2006233998A (ja) * 2005-02-22 2006-09-0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4584052B2 (ja) * 2005-06-28 2010-11-17 富士通株式会社 二軸回り回転部品および電子機器
JP2007013299A (ja) * 2005-06-28 2007-01-18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
US7680267B2 (en) * 2005-07-01 2010-03-16 Plantronics, Inc. Headset with a retractable speaker portion
TWM280716U (en) * 2005-08-08 2005-11-21 Jarllytec Co Ltd Slide component and its revolution axis frame
US7809414B2 (en) 2005-12-14 2010-10-05 Sharp Kabushiki Kaish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pening/closing opera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TWI303955B (en) * 2005-12-28 2008-12-01 High Tech Comp Corp Dual-axis circuit board
KR100818143B1 (ko) 2006-05-19 2008-03-31 노키아 코포레이션 2단 가동 전화기
CN100582505C (zh) * 2006-07-14 2010-01-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KR100867434B1 (ko) * 2006-07-24 2008-11-06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TWM304879U (en) * 2006-08-09 2007-01-11 Jarllytec Co Ltd Multi-tasking spindle structure
JP4709719B2 (ja) * 2006-09-22 2011-06-2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US7603748B2 (en) * 2006-11-13 2009-10-20 Shin Zu Shing Co., Ltd. Hinge with simplified components
WO2009104637A1 (ja) * 2008-02-20 2009-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2軸ヒンジ機構及び携帯端末
WO2009104596A1 (ja) * 2008-02-20 2009-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2軸ヒンジ機構及び携帯端末
JP2010065801A (ja) * 2008-09-12 2010-03-25 Kato Electrical Mach Co Ltd 開閉装置および当該開閉装置を搭載した携帯情報端末
US8121661B2 (en) * 2009-03-03 2012-02-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chanism for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RU2617335C1 (ru) * 2016-03-02 2017-04-24 Павел Анатольевич Зайцев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для сбора идентифицирующих личность данных
FR3063561B1 (fr) * 2017-03-02 2019-04-19 Ingenico Group Dispositif de support pour terminal de paiement
US20180368588A1 (en) * 2017-06-22 2018-12-27 Taizhou Chuangxin Electronic Co., Ltd. Rotation Mechanism and Display Support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5517A (en) * 1993-12-07 1996-01-16 Gray; Robert R. Portable wireless telephone having swivel chassis
US6430400B1 (en) 1996-01-16 2002-08-06 Ericsson Inc. Detachable flip cover assembly for a portable phone
KR20010000974A (ko) * 1998-11-02 2001-01-05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에서 양면 액정표시장치
JP3031903B1 (ja) 1998-12-25 2000-04-10 三菱製鋼株式会社 ヒンジ機構
US6850773B1 (en) * 1999-10-21 2005-02-01 Firooz Ghassabian Antenna system for a wrist communication device
JP3555853B2 (ja) 1999-11-08 2004-08-18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01251406A (ja) 2000-03-07 2001-09-14 Hitachi Ltd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
US6549789B1 (en) * 2000-04-28 2003-04-1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daptable user interface
JP2002135380A (ja) * 2000-10-27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JP2002158758A (ja) * 2000-11-20 2002-05-31 Nec Corp 開閉型携帯情報端末
US6850784B2 (en) * 2001-01-31 2005-02-01 Microsoft Corporation Modular two-body design for integration of mobile computing device features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3078596A (ja) * 2001-08-31 2003-03-14 Nec Corp 折畳式携帯端末、その表示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3174495A (ja) *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61168A (zh) 2003-12-10
EP1353488A2 (en) 2003-10-15
JP4063571B2 (ja) 2008-03-19
EP1353488A3 (en) 2004-05-12
DE60305566T2 (de) 2007-05-10
TWI222824B (en) 2004-10-21
DE60305566T8 (de) 2007-08-23
KR20030081112A (ko) 2003-10-17
TW200306110A (en) 2003-11-01
DE60305566D1 (de) 2006-07-06
US7158816B1 (en) 2007-01-02
EP1353488B1 (en) 2006-05-31
JP2003304316A (ja) 2003-10-24
CN100444665C (zh)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1715B1 (ko)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EP1207671B1 (en)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P1530346B1 (en)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KR100800677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축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결 부재
JP4093038B2 (ja)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機構
EP1630331B1 (en) Biaxial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mechanism thereof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EP1594290B1 (en) Two-way folder-type terminal
JP3722780B2 (ja) マルチアングルヒンジカムを設けた携帯用端末機のヒンジ装置
EP1693539B1 (en) Hinge device for a display for rotation type mobile phone
EP1773030A2 (en) Foldable portable terminal with a hinge which allows several angle positions of the two housings
KR10064045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EP175531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EP1511312B1 (en) Camera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WO2006070702A1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
KR100703395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각도 조절 장치
KR101138539B1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14528B1 (ko)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200372884Y1 (ko)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66312A (ko) 휴대용 통신 장치
JP2004128971A (ja) 携帯通信端末
KR20050031336A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