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141B1 - 오디오신호들을전송하기위한회로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신호들을전송하기위한회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141B1
KR100458141B1 KR1019960027861A KR19960027861A KR100458141B1 KR 100458141 B1 KR100458141 B1 KR 100458141B1 KR 1019960027861 A KR1019960027861 A KR 1019960027861A KR 19960027861 A KR19960027861 A KR 19960027861A KR 100458141 B1 KR100458141 B1 KR 100458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power amplifiers
amplifiers
audio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150A (ko
Inventor
요아침 뒨네바크케
덕 쉬반테스-로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97000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77Selecting one or more amplifiers from a plurality of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신호 증폭기를 갖는,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는, 각각 입력 및 출력을 갖는 4개의 전력 증폭기들로서, 상기 전력 증폭기들 중 제 1 및 제 3 전력 증폭기들은 이들에게 인가된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비반전형이고, 상기 전력 증폭기들 중 제 2 및 제 4 전력 증폭기들은 반전형이며,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기의 입력들은 제 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열되고,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의 입력들은 제 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4개의 전력 증폭기들을 포함하고, 저진폭의 오디오 신호들을 위한 제 1 구성 모드에서, 제 1 및 제 4 전력 증폭기는 각각 싱글엔드형 증폭기를 형성하고 제 2 및/또는 제 3 전력 증폭기의 출력들은 기준 전위를 운반하며, 보다 높은 진폭의 오디오 신호들을 위한 제 2 구성 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기는 제 1 브리지 증폭기를 형성하고,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는 제 2 브리지 증폭기를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기의 출력들은 제 1 신호 싱크의 접속을 위해 배열되고,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의 출력들은 제 2 신호 싱크의 접속을 위해 배열되며, 신호 싱크들이 또 다른 증폭기 배치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구성 모드로의 자동 전환이 행해지는,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대칭 신호 증폭기에 대해 비대칭 입력들을 갖는 신호 싱크들과의 호환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EP 0 613 242 A1호에는 2개의 확성기들을 구동시키도록 적응된 자체 구성가능 이중 브리지 전력 증폭기(self-configurable dual-bridge power amplifier)가 기재되어 있다. 다수의 구성 스위치들은 증폭기가 직렬 배열로 두개의 확성기들을 구동시키는 단일 브리지 증폭기로서 또는 각각 하나의 확성기를 구동시키는 별개의 두 브리지 증폭기들의 구성으로서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첫번째로 언급한 경우에는, 확성기들의 직렬 배열의 중앙 탭(tap)은 기준 전위(reference potential)에 접속되고, 그 결과로서 상기 단일 브리지 증폭기는 두개의 싱글엔드형(single-ended) 증폭기들의 조합으로서 동작한다. 증폭기에 인가된 입력 신호들의 레벨들이 두 기준 전압들 사이의 간격 내에서 유지되는 한, 증폭기는 단일 브리지 증폭기 또는 이중 싱글엔드형 증폭기로서 동작할 것이다. 만일 입력 신호들의 레벨들이 상기 기준 전압들을 초과하면, 증폭기는 이중 브리지 증폭기로서 동작될 것이다.
이러한 증폭기 배치는 작은 신호 진폭들을 위한 증폭기단들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 등에서 사운드 재생을 위해 종래 기술의 증폭기 배치에 스테레오 채널을 위한 한 쌍의 확성기들을 연결시키는 것이 이점이 되며, 이 확성기들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전면부에 설치되고 제 2 확성기는 사운드가 재생되는 공간의 후부에 설치된다. 처리된 오디오 신호의 진폭에 의존하여, 증폭기 배치는 싱글엔드형 증폭기 또는 브리지 증폭기를 형성하고, 이 증폭기는 상이한 신호들로, 특히 상이한 진폭의 신호들로 확성기들을 구동할 수 있다. 제 1 구성 모드라고 하는 직렬 접속된 확성기 쌍을 갖는 두 개의 싱글엔드형 증폭기들로서의 증폭기 배치의 구성에 있어서, 확성기들 사이의 노드("탭", 위 참조)는 단지 상술한 기준 전위를 운반하고 오디오 신호는 운반하지 않는다. 오디오 신호는 브리지 모드에서만 증폭기 배치의 한 단을 통해 확성기 단자들 각각에 인가되고, 상기 브리지 모드는 또한 증폭기 배치가 각 확성기들에 대해 하나, 즉, 두 개의 브리지 증폭기들로서 동작하는, 제 2구성 모드로서 칭하여진다.
증폭기 배치에 접속된 확성기들은 각각 대칭 신호 싱크(sink)를 나타낸다. 만일 확성기들이 상이한 구조의 동일한 대칭 신호 싱크들에 의해 대체된다면, 확성기 배치는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것이다. 왜냐하면 대칭 입력들만이 입력 신호들 간의 차를 처리하고, 따라서 오디오 신호나 기준 전위가 대칭 입력의 단자에 인가되는지의 여부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대칭 입력들을 갖는 신호 싱크들이 접속될 때에는 다른 상황이 발생한다.
신호원(카 라디오)과 부가적인 증폭기(사운드 시스템) 사이에 물리적인 분리가 있는 경우에, 카 라디오의 출력단들은 고 신호 레벨들, 및 그 결과로서 부스터 증폭기의 입력 라인들에의 전송에 대한 큰 신호 대 잡음비를 얻기 위해 구동기들로서 종종 이용된다. 또한, 이것은 차폐되지 않은 리드들(non-screened leads)의 이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들 사운드 시스템들의 입력들이 대칭적일 때, 즉, 각 채널에 대해, 이를테면 각 확성기에 대해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입력을 가질 때, 상기 입력들은 아무런 문제없이 상술된 바와 같은 신호 증폭기의 출력들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운드 시스템이 단순성의 이유 때문에 비대칭 입력을 갖는다면 상황은 완전히 달라진다. 특히 이 상황은, 오래된 제품, 특히 싱글엔드형 출력단들만을 갖는 카 라디오들의 경우에 발생한다. 이 싱글엔드형 출력단들의 출력 단자들 또한 비대칭이므로 이들 단들에 비대칭 입력들을 이용하여 사운드 시스템을 접속시키는 것이 유용하다. 그리고, 사운드 시스템의 입력들은 정확한 위상 관계에서 원하는 신호들로 구동된다.
그러나, 만일, 예를 들어 신형 카 라디오가 비대칭 출력들을 갖는 그와 같은 사운드 시스템과 함께 자동차에 설치된다면, 이 카 라디오의 출력단들이, 대칭 출력들을 갖는 서두에서 규정된 유형의 신호 증폭기에 의해 형성되는 문제들이 발생할 것이다. 그러면, 사운드 시스템의 소정의 채널들, 즉, 소정의 확성기들은 신호 증폭기가 제 1 구성 모드에서 동작할 때 더 이상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서두에서 규정한 유형의 신호 증폭기들을 구비하는 장치들은 비대칭 입력들을 갖는 사운드 시스템들이나 라인 드라이버들과 결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무런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배치들이 결합되고 서로 조합하여 동작되도록 하는 간단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신호 증폭기를 갖는,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는, 각각 입력 및 출력을 갖는 4개의 전력 증폭기들로서, 상기 전력 증폭기들 중 제 1 및 제 3 전력 증폭기들은 이들에게 인가된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비반전형(non-inverting)이고, 상기 전력 증폭기들 중 제 2 및 제 4 전력 증폭기들은 반전형이며,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기의 입력들은 제 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열되고,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의 입력들은 제 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4개의 전력 증폭기들을 포함하고,
저진폭의 오디오 신호들을 위한 제 1 구성 모드에서, 제 1 및 제 4 전력 증폭기는 각각 싱글엔드형 증폭기를 형성하고 제 2 및/또는 제 3 전력 증폭기의 출력들은 기준 전위를 운반(carry)하며,
보다 높은 진폭의 오디오 신호들을 위한 제 2 구성 모드에서, 제 1 및 제 2전력 증폭기는 제 1 브리지 증폭기를 형성하고,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는 제 2브리지 증폭기를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기의 출력들은 제 1 신호 싱크(sink)의 접속을 위해 배열되고,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의 출력들은 제 2 신호 싱크의 접속을 위해 배열되며,
신호 싱크들이 또 다른 증폭기 배치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구성 모드로의 자동 전환이 행해지는,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대칭 출력들을 갖는 자체 구성가능 신호 증폭기가, 대칭 입력들을 갖는 입력 회로와 비대칭 입력들을 갖는 입력 회로 모두와 함께 회로 장치의 어떠한 변경없이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장치들의 연속적인 설치 또는 교체를 하는 경우에, 카 라디오의 예를 들면, 기존의 장치들 또는 설치될 새로운 장치들에는 어떠한 개조도 불필요하다. 다만, 적어도 비대칭 입력들을 갖는 입력 회로가 구동될 때, 구동 신호 증폭기는 제 2 구성 모드, 즉, 브리지 모드에서, 처리될 오디오 신호들의 모든 진폭들에 대해 자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사운드 시스템들의 입력 회로들이 확성기들보다 상당히 높은 입력 저항을 갖고 신호 증폭기에서의 전력 손실이 시작부터 상당히 작기 때문에 동작 및 오디오 신호 재생 품질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가능하다.
명백히, 본 발명은 또한 각각 4개의 전력 증폭기들의 복수의 그룹들을 포함하는 신호 증폭기들의 배치에 응용될 수 있다. 4개의 전력 증폭기들을 갖는 신호 증폭기가 만일 스테레오 채널의 2개의 확성기들(예를 들어, 앞과 뒤)을 구동시키는데 양호하게 사용된다면, 각각 4개의 전력 증폭기들의 복수의 그룹들을 포함하는 신호 증폭기 배치들은 다중 채널 스테레오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2구성 모드로의 자동 전환은 카 라디오/사운드 시스템 조합에서 행하여진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부스터 증폭기가 리드들을 통해 카 라디오에 접속된다. 그러나, 사운드 재생 장치들, 특히, 확성기들 또한 신호 증폭기들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최대한의 설계상의 자유를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는 비대칭 입력들을 갖는 신호 싱크들의 사용에 적응되더라도, 대칭 입력들을 갖는 신호 싱크들과 조합한 동작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환은 비대칭 입력들을 갖는 그와 같은 신호 싱크가 나타나는 경우에만 동작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제 2 구성 모드로의 신호원(카 라디오)의 자동 전환은 대체로, 또다른 증폭기 배치들을 포함하고 그 결과로 비교적 높은 임피던스를 갖는 입력들을 가지는 모든 신호 싱크들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이것은 조금도 더 높은 손실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그것은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설명한다.
양호하게는, 신호원(카 라디오)이 제 2 구성 모드로의 자동 전환을 위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이 같은 제어 신호는 사운드 시스템으로부터 생길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신호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인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이 의미하고 있는 것은, 사운드 시스템 또는 라디오가 그와 같은 제어 신호를 공급하도록 적응되어야 하거나 또는 상기 유형의 데이터 버스가 이용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개 이것은 실례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만일 적절한 제어 신호가 본 발명이나 또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는 회로 장치에 의해 발생된다면 그것은 이점이 된다.
이러한 제어 신호가 가능한 단순하고, 예를 들어, 카 라디오 시스템과 같은 다른 부품과는 독립적인 방식으로 발생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변형예는, 전력 증폭기들의 출력들에서 신호 싱크들에 의해 야기된 부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부하 임피던스가 주어진 값을 초과할 때 제 2 구성 모드로 자동 전환하기 위한 측정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즉, 2개의 채널들을 갖는 2개의 확성기들을 위한 사운드 시스템의 접속을 위해서, 두 임피던스들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두 임피던스 값들이 주어진 값을 초과한다면, 측정 및 제어 회로는 하나의 라인 드라이버 또는 하나의 사운드 시스템이 접속되는지를 검출하고, 라인 드라이버의 유형-대칭 또는 비대칭 입력들을 갖는-은 가장 단순한 경우에서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측정 및 제어 회로가 사용될 때, 제 2 구성 모드로의 자동 전환은 그것이 갖는 입력들의 종류와는 관계없이 어떤 라인 드라이버에 대해서도 가능한 한 단순해지는 반면, 대칭 및 비대칭 입력들을 구별 및 검출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현저한 이점, 즉, 전력 손실의 감소가 얻어지지 않고, 보다 더 큰 복잡도를 수반하게 된다.
한편, 두 임피던스들의 측정은 에러 검출을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측정된 임피던스들 중 하나가 주어진 값보다 더 높고 두번째 것이 더 낮을 때는 항상 에러가 검출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단지 예로서 명확히 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 1 도는 기본적으로 EP 0 613 242 A1호로부터 공지된 것과 같이, 신호 증폭기(1)의 회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신호 증폭기(1)는 비반전 제 1 전력 증폭기(2), 반전 제 전력 2 증폭기(3), 비반전 제 3 전력 증폭기(4), 및 반전 제 4 전력 증폭기(5)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기(2, 3)는 제1 오디오 신호 입력(6)에 접속된 그들의 입력들을 갖고,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4, 5)는 제 2 오디오 신호 입력(7)에 접속된 그들의 입력들을 갖는다. 제 3 전력 증폭기(4)의 입력은 제 1 스위치(8)를 거쳐 접속되며, 이 제 1 스위치는 전환 스위치이고, 그것에 의해 제 3 전력 증폭기(4)의 입력이 제 2 오디오 신호 입력(7) 또는 기준 전위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 1 신호 싱크를 형성하는 제 1 확성기(11)는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기(2 및 3) 각각의 출력들에 접속된 그의 단자들(13, 14)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 2 신호 싱크를 형성하는 제 2 확성기(12)는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4 및 5) 각각의 출력들에 접속된 그의 단자들(15, 16)을 갖는다. 확성기들(11, 12)의 극성들은 점으로 표시된다. 제 2 전력 증폭기(3)의 출력 및 제 1 확성기(11)의 단자(14)는 회로 차단기인 제 2 스위치(9)를 거쳐 서로 접속된다. 역시 회로 차단기인 제 3 스위치(10)는 제 2 및 제 3 전력 증폭기(3, 4)의 출력들간에 또는 확성기들(11, 12)의 단자들(14 및 15)간에 선택적으로 접속을 확립한다.
EP 0 613 242 A1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신호 증폭기(1)는 두 개의 구성 모드들을 취할 수 있다. 스위치들(8, 9, 10)이 도시된 지점에 있는 제 1 구성 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기(2, 3)는 제 1 확성기(11)(즉, 제 1 신호 싱크)를 위한 브리지 증폭기를 형성하고,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4, 5)는 제 2 확성기(12)(즉, 제 2 신호 싱크)를 위한 브리지 증폭기를 형성하고, 이 브리지 증폭기들에 의해, 확성기들(11, 12)은 오디오 신호 입력들(6, 7)에 인가된 오디오 신호와는 상호 무관하게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증폭기(1)는,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어 적어도 진폭에 있어서 상호간에 상이한 오디오 신호를 갖는 스테레오 채널을 위한 전면부 확성기 및 후부 확성기를 구동시킨다.
제 1 구성 모드에서, 스위치들(8, 9, 10)은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지점들 반대편의 지점에 있다. 따라서, 제 1 스위치(8)는 제 3 전력 증폭기(4)의 입력에 기준 전위를 보내고, 제 2 스위치(9)는 제 2 전력 증폭기(3)의 출력에서 신호를 방해하고, 제 3 스위치(10)는 확성기들(11, 12)의 단자들(14 및 15)을 서로 접속시킨다(또한 제 3 전력 증폭기(4)의 출력에 접속된다). 이 제 1 구성 모드에서, 신호 증폭기(1)는 두 개의 확성기들(11, 12)을 위한 두 싱글엔드형 증폭기들을 형성하고, 제 3 전력 증폭기(4)는 상호 접속된 단자들(14, 15)에의 기준 전위의 전송을 위한 버퍼 증폭기로서의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제 1 구성 모드는 오디오 신호 입력들(6, 7)에서의 오디오 신호들의 저진폭들을 위해 사용되고, 제 2 구성 모드는 상기 오디오 신호들의 고진폭들을 위해 사용된다.
이미 기술하였던 구성 요소들이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제 2 도는, 예를 들어, 카 라디오용 사운드 시스템의 대칭 입력들에 대한 신호 증폭기(1)의 접속을 도시하고 있다. 이 입력 회로(17)는 각 채널에 대해, 예를 들면, 연산 증폭기와 같은 증폭기(18 또는 19)를 구비한다. 증폭기들(18, 19)은 원래 공지된 방법으로 배열된 입력 및 피드백 저항기들을 구비한다. 제 1 증폭기(18)의 비반전 입력(20)은 제 1 전력 증폭기(2)의 출력에 접속되고, 제 1 증폭기(18)의 반전 입력(21)은 제 2 전력 증폭기(3)의 출력에 접속되고, 제 2 증폭기(19)의 비반전 입력(22)은 제 3 전력증폭기(4)의 출력에 접속되고, 제 2 증폭기(19)의 반전 입력(23)은 제 4 전력 증폭기(5)의 출력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1 증폭기(18)의 출력(24)은 제 1 확성기 채널을 위해 그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전하고, 제 2 증폭기(19)의 출력(25)은 제 2 확성기 채널을 위해 그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전한다. 또다른 신호 처리를 위해서, 예를 들면, 필터, 압축기, DSP 또는 출력단들이 접지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출력들(24, 25)에 접속될 수도 있다.
제 2 도는 제 1 구성 모드에서의 신호 증폭기(1)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입력 회로(17)의 증폭기들(18, 19)은 그들의 입력들(20 내지 23)과 함께 신호 증폭기(1)에 접속된다. 오디오 신호 입력들(6, 7)에서의 사인파 심볼들, 제 1 및 제 4 전력 증폭기(2, 5)의 출력들, 및 출력들(24, 25)은 전송될 오디오 신호들의 경로를 나타낸다. 오디오 신호가 전력 증폭기(4)의 출력에서 나타나지 않고, 이에 따라서 입력들(21 및 22)에서 나타나지 않지만, 이것은 입력 회로(17)만이 입력들(20, 21 및 22, 23) 사이의 차를 각각 처리하기 때문에 신호 전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 3 도는 제 2 도의 회로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비대칭 버전(version) 및 비대칭 입력 회로(117)에 신호 증폭기(101)를 포함하는 단순화된 블록 구성도이다. 입력 회로(117)는 또다시, 비대칭 신호를 위해 배열된 두 개의 증폭기들(118, 119)을 포함하고, 신호 증폭기(101)의 비대칭 버전만이 비반전 유형의 제 1 및 제3 전력 증폭기(102, 104)를 모두 포함한다. 제 2 도의 라인 드라이버(17)의 증폭기들(18, 19)의 입력들(20, 21)은 제 3 도의 입력 회로(117)의 증폭기들(118, 119)의 입력들(120, 121)에 해당된다. 이 비대칭 배치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 경로 또한 사인파 심볼들에 의해 심볼화되어 있다. 신호들은 오디오 신호 입력들(6 및 7)에 해당되는 신호 증폭기(101)의 오디오 신호 입력들(106, 107)로부터 출력들(24, 25)에 해당되는 입력 회로(117)의 출력들(124, 125)로 정확하게 전송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제 4 도에서처럼, 제 2 도에 도시된 신호 증폭기(1)가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는 입력 회로(117)에 결합된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사인파 심볼들로부터 명백해지듯이, 입력 회로(117)의 제 2 증폭기(119)의 입력(122) 및 그 결과로 얻어지는 출력(125)은 여기에 도시된 제 1 구성 모드에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 이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은, 제 2 증폭기(119)의 입력(122)이 제 3 전력 증폭기(4)의 출력에 접속되는 것 대신에 제 4 전력 증폭기(5)의 출력에 접속된다는 점에서 간단하게 개선될 수는 없는데, 왜냐하면 출력(125)에서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125)에서 위상이 반전되어 나타날 것이고 그것에 의해 전체 오디오 신호 재생을 방해할 것이기 때문이다.
제 5 도는 제 2 구성 모드에서의 제 4 도의 회로 장치를 도시한다. 또다시 사인파 심볼들은 오디오 신호 경로를 나타내고, 이들 사인과 심볼들의 다른 버전들 또한 오디오 신호들의 위상을 나타낸다. 이제 오디오 신호들이 정확한 위상 관계로 출력들(124, 125)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제 4 도에 도시된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은, 신호 증폭기(1)가 본 발명을 따르는 자동 전환에 의해 제 2 구성 모드에서 항상 유지된다는 점에서 매우 간단하게 개선될 수 있다. 이것은 제 2 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입력단(17) 및 적절하게 실현될 제 4 도 또는 제 5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대칭) 입력단(117)과 신호 증폭기(1)와의 결합으로, 필요한 어떤 부가적인 개조 없이도 오디오 신호들의 정확한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보다 오래된 유형의 사운드 시스템에서 신호 증폭기(101)를 포함하는 신호원(카 라디오)이 신호 증폭기(1)를 포함하는 개선된 모델에 의해 교체되는 경우에 매우 큰 이점이 된다. 그리고 그 접속들은 두 카 라디오 모델들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시스템의 접속에 대해, 제 2 구성 모드로의 자동 전환, 즉 이중 브리지 증폭기로서의 동작으로의 자동 전환 또한, 두 구성 모드들 사이에서의 전환 도중에 오디오 신호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방해 및 보다 높은 전력 등급과 더 우수한 확성기들의 사용으로 인해 가청될 수도 있는 방해를 미리 막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따르는 자동 전환은 또한 대칭 입력들을 갖는 회로 입력(17)이 사용될 때도 행해질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을 위해 사용된 것과 같은 신호 증폭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제 2 도는 대칭적인 입력들을 갖는 사운드 시스템과 제 1 도의 신호 증폭기와의 결합을 도시하는 도면.
제 3 도는 비대칭적인 입력들을 갖는 사운드 시스템과 신호 증폭기와의 결합을 도시하는 단순화된 도면.
제 4 도는 신호 증폭기의 제 1 구성 모드에서 제 1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 증폭기와 제 3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대칭 입력들을 갖는 사운드 시스템과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 5 도는 신호 증폭기의 제 2 구성 모드에서의 제 4 도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신호 증폭기 2 ~ 5 : 전력 증폭기
6, 7 : 오디오 신호 입력 8, 9, 10 : 스위치
11, 12 : 확성기 117 : 입력 회로
124, 125 : 출력

Claims (6)

  1. 신호 증폭기를 갖는,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는, 각각 입력 및 출력을 갖는 4개의 전력 증폭기들(2, 3, 4, 5)로서, 상기 전력 증폭기들 중 제 1 및 제 3 전력 증폭기(2, 4)는 이들에게 인가된 오디오 신호들에 대해 비반전형(non-inverting)이고, 상기 전력 증폭기들 중 제 2 및 제 4 전력 증폭기(3, 5)는 이들에게 인가된 오디오 신호들에 대해 반전형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기(2, 3)의 입력들은 제 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4, 5)의 입력들은 제 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4개의 증폭기들(2, 3, 4, 5)을 포함하고,
    저진폭의 오디오 신호들을 위한 제 1 구성 모드에서, 상기 제 1 및 제 4 전력 증폭기(2, 5)는 각각 싱글엔드형(single-ended) 증폭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및/또는 제 3 전력 증폭기(3, 4)의 출력들은 기준 전위를 운반(carry)하고,
    보다 높은 진폭의 오디오 신호들을 위한 제 2 구성 모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기(2, 3)는 제 1 브리지 증폭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4, 5)는 제 2 브리지 증폭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증폭기(2, 3)의 출력들은 제 1 신호 싱크(sink)(11)의 접속을 위해 배열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기(4, 5)의 출력들은 제 2 신호 싱크(12)의 접속을 위해 배열되고,
    상기 신호 싱크들(11, 12)이 또 다른 증폭기 배치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구성 모드로의 자동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성모드로의 상기 자동 전환은, 신호원을 형성하는 카 라디오, 및 사운드 시스템으로도 칭하여지는 부가적인 증폭기의 조합들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운드 시스템으로도 칭하여지는 상기 부가적인 증폭기에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재생 장치를 각각 하나의 라인을 통해 접속하는,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싱크들은 비대칭 입력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라디오를 형성하는 상기 신호원은 상기 제 2 구성 모드로의 상기 자동 전환을 위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들의 출력들에서 상기 신호 싱크들에 의해 야기된 부하(load) 임피던스들을 측정하고, 상기 부하 임피던스들이 주어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제 2 구성 모드로 자동 전환하기 위한 측정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장치.
KR1019960027861A 1995-07-12 1996-07-11 오디오신호들을전송하기위한회로장치 KR100458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25410A DE19525410A1 (de) 1995-07-12 1995-07-12 Schaltungsanordnung zum Übertragen von Tonsignalen
DE19525410.4 1995-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150A KR970008150A (ko) 1997-02-24
KR100458141B1 true KR100458141B1 (ko) 2005-04-19

Family

ID=776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861A KR100458141B1 (ko) 1995-07-12 1996-07-11 오디오신호들을전송하기위한회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29174A (ko)
EP (1) EP0753936B1 (ko)
JP (1) JPH09107252A (ko)
KR (1) KR100458141B1 (ko)
DE (2) DE19525410A1 (ko)
SG (1) SG55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6759A (en) * 1997-10-06 1999-01-05 Ford Motor Company Audio output amplifier with parallel class AB stages
US7289723B2 (en) 1997-12-12 2007-10-30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recording system using variable recording rate
US6091441A (en) * 1998-02-10 2000-07-18 Scientific-Atlanta, Inc. Radio frequency detector for cable television distribution systems
US7167569B1 (en) * 2000-10-25 2007-01-2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Output coupling capacitor free audio power amplifier dynamically configured for speakers and headphones with excellent click and pop performance
US20020131611A1 (en) * 2001-03-13 2002-09-19 Hoover Alan Anderson `Audio surround sound power management switching
US6498534B1 (en) * 2001-06-15 2002-12-24 Lsi Logic Corporation Amplifier circuit for line driver
US7043033B1 (en) * 2002-03-15 2006-05-0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ode control for audio amplifier coupling
US20030198358A1 (en) * 2002-04-19 2003-10-23 Hoover Alan Anderson Loudspeaker arrangement and switching apparatus therefor
WO2004010575A1 (ja) * 2002-07-18 2004-01-29 Sony Corporation パワーアンプ装置
EP1487100A1 (en) * 2003-06-09 2004-12-15 STMicroelectronics S.r.l. Multi-channel power amplifier with channels independently self-configuring bridge or single-ended output, particulary for audio applications
DE102004010785B4 (de) * 2004-03-05 2015-10-08 Dr. Johannes Heidenhain Gmbh Konfigurierbarer Eingangsverstärker für Positionsmesseinrichtungen
EA200870374A1 (ru) * 2006-03-27 2009-04-28 Шелл Интернэшнл Рисерч Маатсхаппий Б.В. Усилитель и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входного сигнала
GB2462975A (en) * 2007-07-03 2010-03-03 Shell Int Research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time-varying magnetic field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carbon fluid
US9543913B2 (en) 2013-01-09 2017-01-10 Osc, Llc Programmably configured switchmode audio amplifier
EP2802076B1 (en) * 2013-05-08 2015-11-18 Nxp B.V. Dual bridge amplifier configuration
GB201405007D0 (en) * 2014-03-20 2014-05-07 Astrium Ltd Isolation in a multi-port amplif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436A (ko) * 1986-02-07 1987-09-26 이반 밀러 레르너 브릿지 증폭기
KR890003115A (ko) * 1987-07-24 1989-04-13 야마구치 하루오 광대역 증폭기(wideband amplifi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198A (en) * 1991-05-15 1992-11-03 Allied-Signal Inc. Mobile radio audio system
DE4203353A1 (de) * 1992-02-06 1993-08-12 Philips Patentverwaltung Tonsignal-verstaerker
EP0613242B1 (en) * 1993-02-24 1997-10-29 STMicroelectronics S.r.l. Self-configurable dual bridge power amplifier
JPH0865068A (ja) * 1994-08-18 1996-03-08 Rohm Co Ltd 低電圧駆動のオーディオ信号増幅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436A (ko) * 1986-02-07 1987-09-26 이반 밀러 레르너 브릿지 증폭기
KR890003115A (ko) * 1987-07-24 1989-04-13 야마구치 하루오 광대역 증폭기(wideband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608581D1 (de) 2002-02-21
SG55212A1 (en) 2000-08-22
EP0753936A1 (de) 1997-01-15
DE19525410A1 (de) 1997-01-23
JPH09107252A (ja) 1997-04-22
EP0753936B1 (de) 2002-01-16
KR970008150A (ko) 1997-02-24
US5729174A (en) 1998-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141B1 (ko) 오디오신호들을전송하기위한회로장치
US8270631B2 (en) Multi-channel audio amplification apparatus
US20060013331A1 (en) Current mode differenti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three units of data using four signal lines
JP3459109B2 (ja) 自己構成可能な二元的ブリッジパワー増幅器
US20170344505A1 (en) Data Processing Circuit and Data Processing Method
EP1006650B1 (en) BTL amplifier apparatus
US7602237B2 (en) Amplifying circuit
US6166570A (en) Output buffer circuit with switchable common mode output level
WO1999005782A3 (en) Sense amplifier for complementary or non-complementary data signals
JP5060369B2 (ja) 出力バッファー回路
JP2002141816A (ja) 並列信号受信回路
KR970008290B1 (ko) 에이브이시스템의 오디오/비디오 연결장치
EP1297624B1 (en) Dual bridge amplifier
US20040131123A1 (en) Balanced transmission apparatus
US4637049A (en) Car-mounted audio system
JP3359046B2 (ja) 音声出力装置
US6697612B2 (en) Receiving section of a telephone
JP3452833B2 (ja) コンパレータ回路
US20240136992A1 (en) Gain control device, method and data amplif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2760651B2 (ja) バランス調整装置
WO2003061122A3 (en)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for regenerating complementary digital signals
GB2310577A (en) Automatic switching amplifier
JP3099689B2 (ja) フイールドバスインターフエイス回路
JP2004221885A (ja) 電力増幅装置および電力増幅システム
KR200312252Y1 (ko) 차량용 오디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