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297B1 - 백색다공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색다공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297B1
KR100389297B1 KR10-1998-0042175A KR19980042175A KR100389297B1 KR 100389297 B1 KR100389297 B1 KR 100389297B1 KR 19980042175 A KR19980042175 A KR 19980042175A KR 100389297 B1 KR100389297 B1 KR 100389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polyester
polyester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5195A (ko
Inventor
채훈
김상일
이관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42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297B1/ko
Publication of KR2000002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극한점도가 0.5 내지 0.8dℓ/g이고 주반복 단위의 60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지수가 1.0 내지 25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비이온계 대전방지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전체 수지에 대하여 5 내지 35중량%이고, 상기 대전 방지제는 폴리에르테르 수지에 대하여 0.1 내지 2.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밀도와 질감등에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며, 내구성을 갖는 합성 종이로서 일반 펄프종이의 대용 기재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이 미려하고 백색도, 겉보기 밀도, 분산성 및 제전성 등이 향상된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 대용품을 위한 기재로서는 무기미립자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필름이 많이 사용되어 왔었으나, 폴리올레핀 필름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후성 및 수치안정성이 불량하여 사용에 한계가 있어 요즘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여러가지 용도의 종이 대용품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폴리에스테르는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내열성, 내구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등이 우수하여 의료용 및 각종 산업용품의 제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탄성율, 치수안정성, 이활성 등의 성질이 우수하여 자기기록 매체, 콘덴서, 사진 필름, 산업용품, 포장재, 라벨용품, 그래픽 아트 용품 및 그 외의 각종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최근에는 종이 대용품의 용도로서 각종 카드(신용카드 및 통신카드), 라벨용품, 프린터용 수상지, 바코드 프린터용 수상지, 포스터, 달력,지도, 무진지, 표시판, 백판, 인화지, 복사용지 및 특수 용도의 인쇄 출판물에사용되는 비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와 같은 종이 대용품으로 사용되기에는 지나치게 뻣뻣하여 질감이 종이와는 다를 뿐 아니라, 투명도 및 색상면에 있어서 종이와 같은 느낌을 주지 못하며 폴리에스테르 자체의 밀도가 높아서 무겁기 때문에 동시에 다량을 보관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우수한 특성을 살리면서도 종이와 같은 부드러운 질감을 갖는 경량화된 필름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는데, 그 예를 살펴보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87-243120호 및 제 90-206622호에는 폴리에스테르에 무기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83-50625호에는 폴리에스테르에 발포제를 배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경량화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82-49648호 및 제 88-68441호에는 폴리에스테르에 폴리올레핀 수지를 배합, 연신시켜 필름의 표면 및 내부에 미세 기공을 형성시킴으로써 필름의 표면 특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경량화를 꾀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먼저, 무기 입자를 다량 첨가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는 폴리에스테르의 비중이 높아져 필름의 경량화가 용이하지 않으며, 발포제를 배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는 기포의 분산성이 불량하고 첨가하는 무기물의 입도를 조절하기가 어려워 필름의 물성조절이 곤란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에 폴리올레핀 수지를 건상 배합하는 방법은 폴리올레핀의 특성상 정전기의 발생량이 많아 자기카드 등 고급 정보기록 용도로서 사용할때 정보 손실 등을 야기할 뿐 아니라 압출성형 과정에서 폴리에스테르의 성형가공 온도의 차이가 너무 커서 폴리올레핀의 열노화가 발생되므로 최종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매우 저하되고 필름의 색상이 황변되며 필름 표면의 광택도가 너무 커서 고급스러움을 잃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내에서 폴리올레핀 수지의 분산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개선된 물성, 종이와 같은 양질의 질감,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대전방지 기능을 가지며 경량화된 고기능성 종이대용기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극한점도가 0.5 내지 0.8dℓ/g이고 주반복 단위의 60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지수가 1.0 내지 25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비이온계 대전방지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전체 수지에 대하여 5 내지 35중량%이고, 상기 대전 방지제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하여 0.1 내지 2.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5중량%의 대전방지제를포함하고 극한점도가 0.5 내지 0.8dℓ/g이며 주반복 단위의 60중량% 이상이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용융지수가 1.0 내지 25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95:5 내지 65:3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수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혼합수지를 하기 조건에서 건조하는 단계;
Tm(PO) - 10 〈 T1〈Tm(PO) + 10
2 < td< 4, 진공도: 10mmHg
상기 식에서, Tm(PO)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온도(℃) 이고, T1은 건조기내의 수지의 온도(℃) 이며, td는 건조시간(hr)을 나타냄
(c) 상기 건조된 수지를 하기 조건에서 용융압출하여 필름 쉬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식에서, Tm(PET)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온도(℃)이고, T2는 용융압출기내의 용융된 수지의 온도(℃) 이며, T3는 용융압출다이의 온도(℃)를 나타냄
(d) 상기 미연신 필름 쉬트를 이축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주요 성분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다가 유기산 성분과 다가 알콜 성분을 중축합시켜서 얻을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바람직하기로는 카르복실산이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그 구체적인 예는 메틸 테레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 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 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 디카르복실산 및 α, β-비스(2-클로로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산이며, 이중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테레트탈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콜은, 바람직하기로는 글리콜이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알킬렌 글리콜인데, 그 구체적인 예는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펜타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및 헥실렌 글리콜이고 이중 에틸렌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극한 점도가 0.5 내지 0.8dℓ/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60중량% 이상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호모폴리에스테르이고 40중량% 이내에서 공중합이 가능하다. 상기 공중합 성분은 바람직하기로는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파라-크실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등과 같은 디올 화합물; 아디프산, 나트륨 5-설포이소프탈산 등과 같은 디카르복실산; 및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등과 같은 다작용성 카르복실산이다.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용융지수가 1.0 내지 25g/10분인 올레핀계 화합물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중합 또는 공중합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기로는 호모폴리에틸렌, 블록폴리프로필렌, 랜덤폴리메틸펜텐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또한 상기 단량체는 바람직하기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헥센 및 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이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스테르와 혼합되어 압출성형, 연신되는 경우 두 수지 상호간의 상용성 불량으로 인하여 필름 표면 및 내부에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필름의 표면 특성 개선과 경량화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은 전체 수지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35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8 내지 20중량%이다. 폴리올레핀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경량화를 이룰 수 없는 반면 3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성과 필름의 질감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대전방지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되어, 필름에 우수한 제전특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필름의 표면장력을 증가시켜 잉크 및 코팅액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최근 자기카드 등의 정보기록 용도에서 기록정보의 손실에 악영향을 미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특성이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바람직하기로는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알킬아민, 올레인산모노글리세라이드, 올레인산디글리세라이드,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스테아린산디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와 같은 비이온계 화합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빛의 투과율이나 색상과 같은 광학적 특성의 조절 및 마찰계수, 표면조도 및 미세한 촉감의 조절을 목적으로 무기미립자가 첨가될 수 있는데, 상기 무기미립자는 바람직하기로는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활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이다.
상기 무기미립자의 평균입경과 첨가량은 최종 필름에서의 두께 및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무기미립자의 평균입경은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0㎛이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3㎛이다. 평균 입경이 0.1㎛ 미만인 경우에는 광학 특성과 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게 되는 반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표면조도가 지나치게 증가되어 거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종이 대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에는 3㎛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3㎛를 초과하는 경우 종이와 같은 질감을 주는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무기미립자의 첨가량은,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15중량%이다. 첨가량이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강도, 유연성 등의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되고, 무기물 다량 투입으로 인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제조 공정상 필터의 여압이 상승하고 필름이 파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반면, 투입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최종 필름의 광투과성이 높아져 차폐성이 불량하게 되고 백색도가 낮아 색감이 좋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또한 중합체 수지의 열산화반응의 라디칼 연쇄반응을 저해할 목적으로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의 첨가량은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준으로하여 0.005 내지 0.5중량%이다. 첨가량이 0.00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올레핀의 내열성 향상 효과가 극히 미미하게 되며, 0.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안정성 효과가 더 이상 개선됨이 없이 비용만 상승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은, 바람직하기로는 테트라키스 3,5-디-t-부틸하이드록시페닐프로파노일옥시메틸메탄, 옥타데실 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파노에이트, 2-하이드록시-4-n-옥타시벤조페논, 2,4-디-t-부틸페닐 또는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인데, 상기 화합물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형태로 사용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중축합촉매, 분산제, 정전인가제, 결정화촉진제, 기핵제 및 블로킹방지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유효량만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합성방법에 의해 극한점도가 0.5 내지 0.8dℓ/g이며 주반복 단위의 60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고 40중량%내에서 공중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5중량%의 대전방지제를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혼합시키며, 이외에도 앞서 설명한 바 있는 무기미립자 또는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을 혼합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용융지수가 1.0 내지 25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95:5 내지 65:3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직접 압출기를 통해 용융압출 시킨 후 컴파운딩에 의해 1차 혼합수지를 제조한다.
다음, 상기 혼합수지를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충분히 건조시킨다.
Tm(PO) - 10〈 T1〈Tm(PO) + 10
2 < td< 4, 진공도: 10mmHg
상기 식에서, Tm(PO)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온도(℃) 이고, T1은 건조기내의 수지의 온도(℃) 이며, td는 건조시간(hr)을 나타낸다. 상기 단계에서, 건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수지내에 수분함량이 높아져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가수분해를 유발하여 연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건조 시간이 필요이상으로 길거나 건조 온도가 높으면 폴리올레핀 수지의 열화로 인하여 변색현상이 발생한다.
다음, 상기 건조된 수지를 하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조건에서 용융압출하여 필름 쉬트를 형성한다.
상기 식에서, Tm(PET)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온도(℃)이고, T2는 용융압출기내의 용융된 수지의 온도(℃) 이며, T3는 용융압출다이의 온도(℃)를 나타낸다.
상기 식에서 알 수 있듯이, 용융 압출기내의 용융된 수지의 온도(T1)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온도 보다 10 내지 55℃ 높게 설정되어야 하며, 동시에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온도 보다 105 내지 150℃ 높게 설정되어야 한다.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온도는 250 내지 260℃인데, 용융된 수지의 온도가 이보다 10℃ 이상 높지 않으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미용융물이 다량 발생되어 균일한 쉬트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반면, 55℃를 초과해서 높을 경우는 비교적 고점도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용융점도가 크게 감소하지 않는 반면 비교적 저점도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용융점도가 크게 감소하여 양 수지 상호간의 용융점도의 차이가 커지므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내에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분산성이 극도로 저하되어, 혼합성이 양호한 쉬트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용융압출기 내에서의 용융수지의 온도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온도 보다 105 내지 150℃ 높게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컨대 용융온도가 150 내지 170℃인 폴리프로필렌의 경우는 용융수지의 온도를 255 내지 320℃로 설정하여야 한다.
용융압출다이의 온도(T2)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온도 보다 10 내지 60℃ 높게 설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용융압출기내의 수지 온도의 균형이 다이에서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점도가 온도 의존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통상의 이축연신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미연신 쉬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시켜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다. 이때 연신비는 바람직하기로는 2.5 내지 6배인데, 연신비가 너무 작으면 기공의 형성이 불량하여 비중이 높아지고 기계적인 물성이 부족하며 백색도가 떨어지게 되는 반면, 연신비가 지나치게 커지면 필름 파단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조된 필름의 각종 성능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겉보기 밀도
사염화탄소와 크실렌으로 이루어진 밀도구배관을 25℃로 유지하고 부침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2) 파단 강도
필름의 파단 강도는 인스트론(Instron)사의 UTM4206을 사용하여 ASTM D 882에 따라 필름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3) 백색도
필름의 백색도는 JIS-1015의 방법에 따라 450nm에서의 반사율 B% 및 550nm에서의 반사율 G%를 구한 다음, 하기 식에 따라 백색도를 구하였다.
백색도 = 4B - 3G
(4) 색 b값(황색도)
색 b값은 일본 전색공업주식회사의 광원색차계 (모델명: SZS-∑80)를 사용하여 C광원을 측정 광원으로 하여 2°의 측정각에서 측정하였다.
(5) 분산성
필름 내부의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기공의 분산 상태 및 균일도를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6) 질감
필름의 부드러운 정도를 촉감과 육안에 의해 관찰하였다.
(7) 외관
필름의 두께 균일도와 색상 및 색상 균일도를 육안에 의해 판별하였다.
(8) 제전특성
미국 휴렛 팩커드사의 절연 저항 측정기를 사용하여 표면 저항(단위;Ω)을 측정(20℃, 상대습도 65%, 인가전압 500V)한 다음,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제전특서을 평가하였다.
양호 : 표면저항이 1012Ω 미만
불량 : 표면저항이 1012Ω 이상
(9) 공정 안정성
24시간 동안 필름의 파단 발생 빈도수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A,B,C 및 D로 분류하였다.
A : 1회 이하
B : 5회 이하
C : 10회 이하
D : 10회 초과
<실시예 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당량비가 1:2가 되도록 혼합한 후 여기에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인 망간아세테이트를 0.05중량%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량체, 즉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평균입경이 0.5㎛인 입방결정 구조의 이산화티탄을 5중량%, 대전방지제인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알킬아민을 1.0중량% 첨가한 다음, 중축합 반응 촉매인 삼산화안티몬을 0.04중량% 사용하여 중축합 반응을 시켜 극한 점도가 0.60dℓ/g인 고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고유점도가 0.630dℓ/g, 용융온도가 256℃)를 제조하였다.
다음, 상기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용융지수가 5.0g/10분이고 용융온도가 161℃인 쉬트 형성용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중량비가 85:15가 되도록 혼합한 다음 통상의 컴파운딩 방식에 의해 1차 혼합수지를 제조하였다.
다음, 상기 혼합수지를 160℃의 건조기내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용융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수지의 온도를 285℃, 용융압출 다이의 온도를 290℃로 조절하여 쉬트를 형성시켰다.
다음, 상기 쉬트를 3.5:1의 연신비로 종연신 및 횡연신시킴으로써 두께 100㎛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필름에 대하여 전술한 방법에 따라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알수 있듯이 제조된 필름의 물성은 모두 양호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무기미립자 및 대전방지제의 최종 첨가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여, 전술한 방법에 따라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된 필름의 물성은 전반적으로 양호하였다.
<비교예 1 내지 12>
폴리프로필렌 함량, 무기미립자 및 대전방지제의 첨가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여, 전술한 방법에 따라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된 필름의 물성은 각 조건에 따라, 밀도, 파단강도, 백색도, 색 b값, 분산성, 질감, 외관, 제전특성 또는 공정안정성에 있어서 불량하다.
[표 1]
(A) 이산화티탄 (평균 입경 0.5㎛, 입방결정 구조)
(B) 대전방지제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에 폴리올레핀 수지, 무기미립자 및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밀도와 질감 등의 면에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구성을 갖는 합성 종이로서 일반 펄프종이에 대한 대용 기재로서 유용하다.

Claims (3)

  1.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5중량%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고 극한점도가 0.5 내지 0.8dℓ/g이며 주반복 단위의 60중량% 이상이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용융지수가 1.0 내지 25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95:5 내지 65:3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수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혼합수지를 하기 조건에서 건조하는 단계;
    Tm(PO) - 10 < T1〈 Tm(PO) + 10
    2 < td< 4, 진공도: 10mmHg
    상기 식에서, Tm(PO)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온도(℃) 이고, T1은 건조기내의 수지의 온도(℃) 이며, td는 건조시간(hr)을 나타냄
    (c) 상기 건조된 수지를 하기 조건에서 용융압출하여 필름 쉬트를 형성하는단계; 및
    상기 식에서, Tm(PET)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온도(℃)이고, T2는 용융압출기내의 용융된 수지의 온도(℃) 이며, T3는 용융압출다이의 온도(℃)를 나타냄
    (d) 상기 미연신 필름 쉬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2.5 내지 6배의 연신비로 이축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0.005 내지 0.5중량%의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또는 0.1 내지 10 중량%의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인 무기 미립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이고,
    상기 무기 미립자는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실리카, 카올린, 탈크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이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헥센 및 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중합 또는 공중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1998-0042175A 1998-10-09 1998-10-09 백색다공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KR100389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175A KR100389297B1 (ko) 1998-10-09 1998-10-09 백색다공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175A KR100389297B1 (ko) 1998-10-09 1998-10-09 백색다공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195A KR20000025195A (ko) 2000-05-06
KR100389297B1 true KR100389297B1 (ko) 2004-03-20

Family

ID=19553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175A KR100389297B1 (ko) 1998-10-09 1998-10-09 백색다공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362A (ko) * 1999-12-10 2001-07-04 장용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710552B1 (ko) * 2002-12-10 2007-04-24 에스케이 주식회사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335B1 (ko) * 1987-07-30 1990-08-28 주식회사 에스 케이 씨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방법
JPH06298977A (ja) * 1993-04-12 1994-10-25 Kao Corp 多孔性フィルム
JPH07228719A (ja) * 1993-12-24 1995-08-29 Tokuyama Corp 多孔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45484B1 (ko) * 1995-05-24 1998-07-01 안시환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193689B1 (ko) * 1997-04-25 1999-06-15 장용균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06422B1 (ko) * 1997-07-07 1999-07-01 장용균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53829A (ko) * 1997-12-24 1999-07-15 장용균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25395B1 (ko) * 1997-09-25 1999-10-15 장용균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43945B1 (ko) * 1998-02-13 2000-02-01 장용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335B1 (ko) * 1987-07-30 1990-08-28 주식회사 에스 케이 씨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방법
JPH06298977A (ja) * 1993-04-12 1994-10-25 Kao Corp 多孔性フィルム
JPH07228719A (ja) * 1993-12-24 1995-08-29 Tokuyama Corp 多孔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45484B1 (ko) * 1995-05-24 1998-07-01 안시환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193689B1 (ko) * 1997-04-25 1999-06-15 장용균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06422B1 (ko) * 1997-07-07 1999-07-01 장용균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225395B1 (ko) * 1997-09-25 1999-10-15 장용균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53829A (ko) * 1997-12-24 1999-07-15 장용균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43945B1 (ko) * 1998-02-13 2000-02-01 장용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195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440B1 (ko) 이형 필름
KR0167152B1 (ko) 백색 다공성 고분자 필름
KR100389297B1 (ko) 백색다공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JP2000037835A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基材とする受像シート
KR100193691B1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500663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470446B1 (ko) 이형 캐리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3527321B2 (ja) 高分子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43945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52037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3770507B2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59982B1 (ko)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
KR0165825B1 (ko) 고분자 필름
KR100193690B1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0141317B1 (ko) 개선된 고분자 필름
KR0147979B1 (ko) 고기능성 종이 대용 고분자 필름
KR100291985B1 (ko) 백색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
KR0157175B1 (ko)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KR100439626B1 (ko)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560157B1 (ko) 종이 대용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970010468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369440B1 (ko) 종이 대용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0151809B1 (ko)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0157176B1 (ko)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KR960015625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